KR102144942B1 -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942B1
KR102144942B1 KR1020180103440A KR20180103440A KR102144942B1 KR 102144942 B1 KR102144942 B1 KR 102144942B1 KR 1020180103440 A KR1020180103440 A KR 1020180103440A KR 20180103440 A KR20180103440 A KR 20180103440A KR 102144942 B1 KR102144942 B1 KR 102144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rizontal
dividing
vertica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7518A (ko
Inventor
김광만
Original Assignee
(주)바로건설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로건설기술 filed Critical (주)바로건설기술
Publication of KR20190127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시로 설치하였다 소요 작업이 끝나면 제거하는 복공판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수평하중에 대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복공판이 설치되는 동안은 수직하중에 대응하면서도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며 상기 복공판에 분할복공판을 이용한 관통홀의 형성으로 공간활용도를 높인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Connecting structure of deck plate for dispersing and supporting a vertical load and horizontal load and con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시로 설치하였다 소요 작업이 끝나면 제거하는 복공판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수평하중에 대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복공판이 설치되는 동안은 수직하중에 대응하면서도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며 상기 복공판에 분할복공판을 이용한 관통홀의 형성으로 공간활용도를 높인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공판은 지하철공사, 지하시설공사를 위해 도로 또는 대지를 파헤치는 경우 차량이나 보행자가 도로를 원활하게 주행하거나 보행할 수 있도록 굴토면 복개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그리고 지하구조물을 역타 공법으로 시공할 시 H-빔(beam)과 토류판, CIP(Cast in-Place Pile), SCW(Soil Cement Wall) 등과 같이 주열식 흙막이벽을 시공한 후, 흙막이벽 내측을 굴토하면서 흙막이벽으로 전달되는 토압 등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기 위한 슬래브공사를 순차적으로 지하 구조물 아래층 방향으로 시행함에 있어서 슬래브가 없는 부분은 H 빔 등의 스트러트를 흙막이벽과 매 지하층의 슬래브사이에 단속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토압을 지지하였다.
또는 구축되는 지상 건물에 일부구간에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설치장치들이 빈번히 변경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구간에는 영구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를 타설하지 않고 철골보와 강재 철재 멍에장선 그리고 철판을 설치하였다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장치가 신설 또는 변경되면 구간의 철재 구조를 제거하고 수직으로 설치되는 장치를 배치하는 철재 가설구조물를 사용하여 왔다.
본 발명은 상기 역타 공법의 슬래브가 없는 부분의 스트러트와 지상의 철재 가설구조물을 좀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설치해체가 가능하며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을 적용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지하구조물에 임시로 설치되는 복공판은 평평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복공판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통상 철골보인 H 빔(beam) 등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H 빔의 상부 플랜지면에 복공판을 평평하게 배열하여 시공하고, H 빔에 설치되는 복공판은 수직하중이나 외부 충격에 견디기 위하여 복공판과 H 빔은 용접이나 다양한 고정 장치로 고정하였다. 예를 들어 복공판을 H 빔에 고정하는 '복공판용 고정 장치'인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018-0000626호는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된 체결 브래킷과 상기 체결 브래킷과 복공판의 저면 사이에 지지대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체결 브래킷을 상기 복공판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복공판과 지지대 상호 간의 마찰은 물론 진동이나 충격을 예방하여 소음이나 마모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으나 여기에 설치된 복공판은 H 빔에 견고히 고정되면서 상부로부터 내려오는 수직하중에 대응하고 수평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는 아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0818733호인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는 차량이 지나갈 시 소음을 줄이거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복공판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본체의 측면에 끼움바가 마련되고 상기 콘크리트 본체의 끼움바가 형성된 반대측 면에는 끼움홈이 마련되어 이들이 서로 이어져 결합되는 구조이나 이러한 복공판 구조체도 수직하중에 대응하는 것이고 수평하중과 함께 분산 지지하기 위한 구조가 아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330177호인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은 다수의 복공판의 내부에 긴장재를 연결하여 복공판들 사이에 발생하는 갭을 제거하여 차량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줄이기 위한 것이고 수직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즉, 종래 H 빔 등에 고정 설치되는 복공판은 차량이나 보행자들의 통행이나 일정한 소요의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으로 이러한 복공판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가해지는 수직하중을 감당하기 위하여 설치되었을 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도록 복공판이 구성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복공판이 설치되는 지상구조물에 있어서도 복공판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도록 하는 구조는 아니였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018-0000626호(2018. 3. 06.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0818733호(2008. 3. 26.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330177호(2013. 11. 11. 등록)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수직하중을 담당하는 복공판에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게 함으로써 복공판의 활용도를 높이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평하중을 받는 복공판에 분할복공판을 이용하여 관통홀을 형성함으로써 복공판이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면서도 수직 코어 등 수직 구조물이 관통홀을 통과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이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어나 램프 등 영구수평구조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는 H 빔 위에 복공판을 설치하고 영구수평구조가 형성되는 부분의 H 빔 위에 슬래브를 형성하여 지하구조물을 시공하도록 함으로써 흙막이벽으로부터 전달되는 토압 등의 수평하중을 지탱할 수 있게 하여 안정적으로 시공이 가능한 것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된 복공판이 흙막이벽으로부터 전달되는 토압 등의 수평하중을 지탱하므로 별도의 버팀대나 어스앵커를 시공하지 않아도 되므로 자재의 간소화로 인한 시공을 간편하게 하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상구조물의 일부를 영구구조물이 아닌 가설구조물로 형성할 경우, 상기 가설구조물 부분에 설치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과 분할복공판을 슬래브와 밀착되게 설치함으로써 지진이나 풍하중 등의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저항하는 지상구조물의 구조부재 크기를 줄일 수 있는 것을 제공하고, 또한 복공판과 복공판을 서로 밀착시킴으로써 장비나 인력의 이동시 발생하는 수평하중으로 인해 복공판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인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는, 수평의 H 빔과 H 빔의 상부 플랜지면에 설치되는 복공판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기 위하여, 복공판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홈; 상기 고정홈과 대향하는 복공판의 타측에 형성되는 너트공; 상기 복공판과 복공판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홈을 통해 너트공으로 결합되어 상기 복공판을 서로 결합시키는 고정볼트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의 H 빔과 H 빔의 상부 플랜지면에 설치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일부에 관통홀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복공판을 2개 이상으로 분할된 분할복공판을 형성하고 분할복공판이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기 위하여 분할복공판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홈; 상기 고정홈과 대향하는 분할복공판의 타측에 형성되는 너트공; 복공판과 분할복공판이 밀착되고 분할복공판과 분할복공판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홈을 통해 너트공으로 결합되어 상기 복공판과 분할복공판, 분할복공판과 분할복공판을 서로 결합시키는 고정볼트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의 H 빔과 H 빔의 상부 플랜지면에 설치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사이에 분할복공판을 설치하기 위하여, 수평의 H 빔과 H 빔의 상부 플랜지면에 설치되는 일정 두께의 단턱부를 양 단부에 가지고 단턱부와 단턱부 사이에는 H 빔의 상부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지지대로 이루어진 경량 트러스구조물이거나 경량 형강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턱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분할복공판 배면의 각 모서리부에 단턱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복공판을 설치한 지하 역타 공법에서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1) 흙막이벽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굴착된 지면에 다수의 수직철골부재를 매설하는 단계; (2) 상기 수직철골부재의 상단부 또는 측면에 H 빔을 설치하는 단계; (3) 영구수평구조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 설치되는 수평의 H 빔과 H 빔의 상부 플랜지면에 상·하 또는 좌·우 연속적으로 복공판을 설치하는 단계; (4) 상기 복공판과 흙막이벽 사이의 공간 및 영구수평구조가 형성되는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 (5) 상기 복공판 및 슬래브 하부를 굴토하는 단계; (6) (2) 내지 (5)를 기초하부까지 반복하여 진행하는 단계; (7) 기초를 형성하고 지하외벽과 영구수직재를 형성하는 단계; (8) 최하층부터 상부층 방향으로 차례로 상기 복공판을 지지하는 상기 H 빔을 제거하고 영구수평구조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의 수직철골부재를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지상구조물의 일부를 영구구조물이 아닌 가설구조물로 형성할 경우, 상기 가설구조물 부분에 설치되는 수평의 H 빔들 상부 플랜지면에 복공판 설치로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1) 가설구조물 부분에 H 빔들을 설치하는 단계; (2) 상기 수평의 H 빔과 H 빔 상부 플랜지면에 복공판을 설치하되 복공판과 복공판을 서로 밀착하고 상기 복공판은 지상구조물의 슬래브 또는 벽체 등에 밀착되어 수평하중에 저항하도록 하는 단계; (3) 복공판과 복공판이 서로 밀착되는 부분에는 어느 하나의 복공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고정홈으로 고정볼트를 삽입한 후 다른 하나의 복공판에 형성된 너트공으로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복공판과 복공판을 결합시키되, 수평의 H 빔과 H 빔의 상부 플랜지면에 설치되는 복공판 사이에 관통홀을 형성하기 위하여 수평의 H 빔과 H 빔에 설치되는 일정 두께의 단턱부를 양 단부에 가지고 단턱부와 단턱부 사이에는 H 빔의 상부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지지대로 이루어진 경량 트러스구조물이거나 경량 형강구조물을 수평의 H 빔과 H 빔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단턱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배면의 각 모서리부에 단턱부홈이 형성된 분할복공판의 단턱부홈을 단턱부에 끼워 맞추어 분할복공판을 설치하는 단계; 복공판과 분할복공판, 분할복공판과 분할복공판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홈을 통해 고정볼트와 너트공으로 결합되어 상기 복공판과 분할복공판, 분할복공판과 분할복공판을 서로 결합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직하중을 담당하는 복공판에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게 함으로써 복공판의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하중을 받는 복공판에 분할복공판을 이용하여 관통홀을 형성함으로써 복공판이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면서도 수직 코어 등 수직 구조물이 관통홀을 통과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일수 있는 효과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구수평구조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의 H 빔에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을 설치하고 영구수평구조가 형성되는 부분의 H 빔에는 슬래브를 형성하며, 지하구조물을 시공하도록 하므로 흙막이벽으로부터 전달되는 토압 등의 수평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구수평구조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 한하여 설치된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이 흙막이벽으로부터 전달되는 토압 등의 수평하중을 지탱하여 별도의 버팀대나 어스앵커를 시공하지 않아도 되므로 자재의 간소화로 인한 시공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상구조물의 일부를 영구구조물이 아닌 가설구조물로 형성할 경우, 상기 가설구조물 부분에 설치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과 분할복공판을 슬래브와 밀착되게 설치함으로써 지진이나 풍하중 등의 수평하중에 저항하여 지상구조물의 안전성 확보 및 구조부재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또한 복공판과 복공판을 서로 밀착시킴으로써 장비나 인력의 이동시 발생하는 수평하중으로 인해 복공판이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H 빔들 사이에 복공판과 분할복공판이 설치되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H 빔들 사이에 패드가 부착된 분할복공판이 설치되는 분리사시도
도 5(a),(b)는 본 발명에서 H 빔들 사이에 분할복공판용 지지보가 설치된 입면도
도 6(a),(b)는 본 발명에서 분할복공판의 배면 사시도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구조물이 시공되는 과정의 상태도
도 15는 지상구조물과 지상구조물 사이에 설치된 가설구조물에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과 분할복공판이 설치된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평면도
도 17(a),(b)는 고정홈에 고정볼트를 임시 고정하기 위하여 설치된 고정볼트 임시고정편의 단면도 및 평면도
도 18은 H 빔의 상부 플랜지면 중앙에 센터고정돌기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19는 사각파이프로 외주면을 형성한 복공판이 고정볼트로 체결된 상태의단면도
도 20 내지 도 22는 사각파이프로 외주면을 형성한 복공판에 제1,2너트를 설치하여 고정볼트로 체결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서 H 빔들 사이에 복공판과 분할복공판이 설치되고, 이들의 하부에 패드가 부착되는 분리사시도
도 24는 분할복공판 하면의 단턱부 사이에 패드가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25는 H 빔의 상부 플랜지면 중앙에 돌출부가 형성된 덮개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26(a),(b)는 분할복공판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받침판과 간이 지지트러스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정단면도이이다. 본 발명에서 복공판(110)은 H 빔(beam)(30)과 H 빔(30) 사이에 거치 고정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공판(110)은 수평의 H 빔(30)과 H 빔(30) 상부 플랜면에 설치 고정된다. 이러한 복공판(110)이 H 빔(30)에 거치되어 고정되는 것은 앞서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됨에 따라 이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것을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인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100)는, 연속 설치되는 복공판(110)과, 상기 복공판(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홈(120), 상기 고정홈(120)과 대향하는 복공판(110)의 타측에 형성되는 너트공(130), 상기 고정홈(120)을 통해 너트공(130)으로 결합되어 상기 복공판(110)과 복공판(110)을 서로 결합시키는 고정볼트(14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홈(120)은 상부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고정볼트(140)의 삽입이 용이하여 작업이 수월하다.
상기 너트공(130)의 입구는 고정볼트(14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외측으로 갈수록 고정볼트(140)의 직경보다 크게 넓어지게 형성함으로써 고정볼트(140)로 너트공(130)에 나사 고정할 시 고정볼트(140)의 중심축과 너트공(130)의 중심축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도 고정볼트(140)가 너트공(130)에 자연스럽게 접근되어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복공판(110)은 상·하 또는 좌·우 연속적으로 배열하여 고정볼트(140)를 통해 결합하므로 구조를 간소화함과 동시에 작업성이 우수하며, 결합된 복공판(110)은 외부로 가해지는 수평하중을 감당하는 구조로 이루어 진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H 빔(30)들 사이에 복공판(110)과 분할복공판(160)이 설치되는 분리사시도로서, H 빔(30)들 사이에 복공판(110)이 설치되는 구성에 있어서 설치된 복공판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배관 등의 통과를 위하여 관통공간인 관통홀(180)을 필요로 하고 상기 관통홀(180)의 면적이 상기 복공판의 면적에 비해 작을 경우에 복공판(110)보다 면적이 작은 분할복공판(160)을 설치함으로써 복공판(110)과 분할복공판(160)에서 차이가 나는 부분에는 관통홀(180)이 형성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공판(110)의 크기는 복공판(110)이 설치되는 현장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되는데 대부분 복공판(110)의 외형은 정사각형보다 세로변이 가로변보다 긴 직사각형 형상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3과 같이 관통홀(180)을 형성하기 H 빔(30)들 사이에 분할복공판용 지지보(170)를 설치하는데, 상기 분할복공판용 지지보(170)는 도 4(a),(b)에서와 같이 경량 트러스구조물이나 경량 형강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172)를 포함하며, 이를 보다 구체적 살피면 상기 지지보(170)의 양 단부는 H 빔(30)의 플랜지 상부에 설치되는 일정의 높이를 가지는 단턱부(171)와 상기 양 단턱부(171)에 이어지면서 H 빔(30)의 플랜지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지지대(172)로 이루어져 있다. 도 5인 분할복공판(160)의 배면 사시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할복공판(160)의 배면의 각 모서리부에 단턱부홈(161)이 형성되어 있다. 복공판(110)과 분할복공판(160) 또는 분할복공판(160)과 분할복공판(160)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복공판(110)과 동일한 구성인 고정홈(120), 탭나사(130), 고정볼트(140)가 구비되어 있으며 결합방법도 위에서 설명하고 복공판(110)의 결합 방법과 동일하다. 즉, 분할복공판(160)은 관통홀(180)을 형성하기 위하여 복공판(110)을 축소한 것에 해당이고, 단지 분할복공판(160)이 분할복공판(160)의 배면의 각 모서리부에 단턱부(171)를 수용하기 위한 단턱부홈(161)을 형성한 것이 복공판(110)과 차이가 있는 부분이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통홀(180)을 형성하면서 분할복공판(16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복공판(110)은 우선 H 빔(30) 방향으로의 분할복공판(160)의 설치되는 폭만큼의 거리를 남기고 복공판(110)을 배치한 후 지지보(170)를 H 빔(30) 방향으로의 설치되는 분할복공판(160)의 양 단부 하면의 단턱홈부가 위치될 장소인 H 빔(30)의 플랜지 상면에 분할복공판용 지지보(170)의 단턱부(171)를 위치시킨 후 분할복공판(160)을 지지대(172)에 설치하는 것으로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할복공판(160)의 배면에 형성된 단턱부홈(161)을 지지보(170)의 단턱부(171)에 끼워서 맞게 위치시키고 이어서 고정볼트(140)로 복공판(110)과 분할복공판(160)을 결합하게 된다. 도면 3은 분할복공판용 지지보(170)에 단일의 분할복공판(160)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H 빔(30)과 H 빔(30)의 폭 방향으로 분할복공판(160)의 폭이 좁아 분할복공판(160)을 2개 이상 결합하는 경우에는 복공판(110)과 분할복공판(160), 분할복공판(160)과 분할복공판(160)을 고정볼트(140)로 결합하게 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100)를 이용한 지하구조물과 같이, 수평의 H 빔(30)과 H 빔(30)의 상부 플랜지면에 설치되는 복공판(110) 일부에 관통홀(180)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복공판(110)을 2개 이상으로 분할된 분할복공판(160)을 형성하고 분할복공판(160)이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기 위하여, 분할복공판(16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홈(120)과 상기 고정홈(120)과 대향하는 분할복공판(160)의 타측에 형성되는 너트공(130), 복공판(110)과 분할복공판(160)이 밀착되고 분할복공판(160)과 분할복공판(160)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홈(120)을 통해 너트공(130)으로 결합되어 상기 복공판(110)과 분할복공판(160), 분할복공판(160)과 분할복공판(160)을 서로 결합시키는 고정볼트(140)가 구성된다. 또한, 수평의 H 빔(30)과 H 빔(30)의 상부 플랜지면에 설치되는 복공판(110) 사이에 분할복공판(160)을 설치하기 위하여, 수평의 H 빔(30)과 H 빔(30)의 상부 플랜지면에 설치되는 일정 두께의 단턱부(171)를 양 단부에 가지고 단턱부(171)와 단턱부(171) 사이에는 H 빔(30)의 상부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지지대(172)로 이루어진 경량 트러스구조물이거나 경량 형강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턱부(17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분할복공판(160) 배면의 각 모서리부에 단턱부홈(161)이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래에서 설명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100)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에서, 수평의 H 빔(30)과 H 빔(30)의 상부 플랜지면에 설치되는 복공판(110) 및 분할복공판(160)의 하부에 패드(230)를 부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H 빔(30)과 H 빔(30)의 상부 플랜지면에는 복공판(110) 및 분할복공판(160)을 설치하며, 상기 복공판(110) 및 분할복공판(160)을 설치하기 위하여 수평의 H 빔(30)과 H 빔(30)에 지지보(170)를 설치하되, 일정 두께를 가지면서 수평으로 이루어진 지지대(172)의 양단이 H 빔(30)의 상부 플랜지면에 안착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지지보(170)의 양단 상부에 분할복공판(160)을 안착시키고, 상기 분할복공판(160)의 양측에는 H 빔(30)과 H 빔(30)에 복공판(110)을 안착시키되, 상기 분할복공판(160)의 양단부 하면의 지지대(172)와 지지대(172) 사이에 상기 지지대(172)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의 패드(230)를 각각 부착시키고, 상기 분할복공판(160)과 입접하는 복공판(110) 하면에는 복공판(110)의 폭과 동일한 패드(230)를 부착시킨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복공판(110) 및 분할복공판(160)의 양단 하면에 패드(230)를 부착하여 설치함으로써 복공판(110) 및 분할복공판(160)의 높이를 균일하게 맞출 수 있어 시공성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5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H 빔(30)과 H 빔(30)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보(170)는 지지대(172)의 양단부에 단턱부(171)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단턱부(171)를 없애면서 지지대(172)가 수평으로 이루어져 H 빔(30)에 안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할복공판(160)은 배면의 각 모서리부에 단턱부홈(161)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할복공판(160)의 배면이 평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100)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구축공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구조물이 시공되는 바닥면에 흙막이벽(10)을 형성하는데, 상기 흙막이벽(10)은 H beam과 토류판, CIP(Cast in-Place Pile), SCW(Soil Cement Wall) 등과 같이 주열식으로 시공된다.
상기 흙막이벽(10)의 시공이 완료되면, 흙막이벽(1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철골부재(20)를 매설하고, 상기 수직철골부재(20)의 상단부에 브라켓을 고정시킨 후 이러한 수직철골부재(20)의 상단부에 H 빔(30)를 안착시켜 볼트/너트 및 용접으로 고정하는데 설치되는 H 빔(30)은 수직철골부재(20)의 상단부뿐만 아니라 지하 외벽이 형성되는 지하 외벽선 내측인 측면에도 상기 수직철골부재(2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H 빔(3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H 빔(3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H 빔(30)의 상부에는 코어나 램프 등 영구수평구조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 상·하 또는 좌·우 연속적으로 복공판(11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복공판(110)과 복공판(110)이 서로 밀착되는 부분에는 상기 복공판(110)에 형성된 고정홈(120)으로 고정볼트(140)를 삽입한 후, 상기 복공판(110)에 형성된 너트공(130)으로 고정볼트(140)를 체결하여 상기 복공판(110)과 복공판(110)을 서로 결합시키고, 복공판(110)과 철골부인 H 빔(30)의 결합은 종래부터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되게 때문에 이에 대한 도시를 생략한다.
상기 H 빔(30)에 복공판(110)이 설치되면, 상기 복공판(110)과 흙막이벽(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콘크리트 타설 또는 보강대를 설치하여 흙막이벽(10)의 수평하중을 복공판(110)을 전달하게 된다.
또한,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H 빔(30)의 상부에 영구수평구조가 형성되는 부분에는 철근(41)을 배근하되, 상기 철근(41)의 단부를 복공판(110)의 외측 내부 일부에 수용하기 위한 복공판(110)에 수용홈(150)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150)에 슬래브(40)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된 철근(41) 단부를 수용하되 상기 수용홈(150)에는 슬래브(40) 타설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망사 등을 이용하며 상기 수용홈(150)의 깊이나 개수는 수용홈(150)에 수용되는 철근(41)의 수와 철근(41) 단부 길이에 맞추어 형성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지하층의 일부를 굴착하고, 상기 수직철골부재(20)에 브라켓을 고정시킨 후 지하층 H 빔(30)을 안착시켜 볼트/너트 및 용접으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지하층 H 빔(30)이 설치되면, 상기 지하층 H 빔(30) 상부에 상·하 또는 좌·우 연속적으로 복공판(11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복공판(110)과 복공판(110)이 서로 밀착되는 부분에는 상기에서 시공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볼트(130)를 이용하여 상기 복공판(110)과 복공판(110)을 서로 결합시키고, 상기 복공판(110)이 설치되면, 상기 복공판(110)과 흙막이벽(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콘크리트 타설 또는 보강대를 설치하여 흙막이벽(10)의 수평하중을 복공판(110)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슬래브가 형성되는 부분의 끝부분에는 철근(41)을 배근하되, 상기 철근(41)의 단부가 복공판(110)의 외측에 형성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수용홈(150)으로 수용되도록 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하층 슬래브(40)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지하층 슬래브(40)를 형성한 후 양생이 완료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구수평구조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는 상기 H 빔 위에 복공판(110)을 설치하고 그 후부 터파기를 진행하고 이를 기초까지 반복한다.
기초가 타설되면 흙막이벽(10)의 내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하외벽(50)을 형성하고, 영구수직재(70)을 형성하면서 복공판(110) 및 H 빔(30)을 철거한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공판(110)이 설치되었던 곳에 설치된 수직철골부재(20)를 제거하면 지하구조물의 설치가 완료된다.
또한,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100)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구축공법에서 있어서 관통홀(180)을 형성하기 위하여 복공판(110)에 분할복공판(160)을 설치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수평의 H 빔(30)과 H 빔(30)의 상부 플랜지면에 설치되는 복공판(110)과 분할복공판(160)의 설치 구조나 방법은 상기 도 3 내지 도 5와 동일하여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복공판(110)을 설치한 지하 역타공법에서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100)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단계별로 함축하여 설명하면, (1) 흙막이벽(1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굴착된 지면에 다수의 수직철골부재(20)를 매설하는 단계; (2) 상기 수직철골부재(20)의 상단부 또는 측면에 H 빔(30)을 설치하는 단계; (3) 영구수평구조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 설치되는 수평의 H(30) 빔과 H 빔(30)의 상부 플랜지면에 상·하 또는 좌·우 연속적으로 복공판(110)을 설치하는 단계; (4) 상기 복공판(110)과 흙막이벽(10) 사이의 공간 및 영구수평구조가 형성되는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40)를 형성하는 단계; (5) 상기 복공판(110) 및 슬래브(40) 하부를 굴토하는 단계; (6) (2) 내지 (5)를 기초하부까지 반복하여 진행하는 단계; (7) 기초를 포함한 바닥층(60)을 형성하고 지하외벽(50)과 영구수직재(70)을 형성하는 단계; (8) 최하층부터 상부층 방향으로 차례로 상기 복공판(110)을 지지하는 상기 H 빔(30)을 제거하고 상기 영구수평구조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의 수직철골부재(20)를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 한다.
본 발명은 코어나 램프 등 영구수평구조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 설치된 H 빔(30)에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110)을 설치하고 영구수평구조가 형성되는 부분에 설치된 H 빔(30)에는 슬래브(40)를 형성함으로써 흙막이벽(10)으로부터 전달되는 토압 등의 수평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며, 또한, 본 발명은 영구수평구조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 설치된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110)이 흙막이벽(10)으로부터 전달되는 토압 등의 수평하중을 지탱하여 별도의 버팀대나 어스앵커를 시공하지 않아도 되므로 자재의 간소화로 인한 시공이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110)에 분할복공판(160)을 이용하여 관통홀(180)을 형성함으로써 복공판(110)이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다양한 이점을 가지게 된다.
다음은 지상구조물의 일부를 영구구조물이 아닌 가설구조물로 형성할 경우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100)를 이용한 지상구조물의 구축공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는 지상구조물과 지상구조물 사이에 설치된 가설구조물에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과 분할복공판이 설치된 사시도이고, 도 16는 상기 도 15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5와 같이 지상구조물과 지상구조물 사이의 가설구조물에 H 빔(30)을 설치하고 H 빔(30) 상부에는 복공판(110)과 분할복공판(160)이 설치된 것이다. 분할복공판(160)을 설치하는 것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즉, 관통홀(180)을 형성하기 위하여 복공판(110)과 복공판(110) 사이에 위치하는 분할복공판(160)을 설치하기 위하여 양 H 빔(30)들 사이에 분할복공판용 지지보(170)를 설치하는데, 상기 분할복공판용 지지보(170)는 경량 트러스구조물이나 경량 형강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17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보(170)의 양 단부는 H 빔(30)의 플랜지 상부에 설치되는 일정의 높이를 가지는 단턱부(171)와 상기 양 단턱부(171)에 이어지면서 H 빔(30)의 플랜지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지지대(172)로 이루어져 있다. 분할복공판(160)의 배면의 각 모서리부에 단턱부홈(161)이 형성되어 있고 복공판(110)과 분할복공판(160) 또는 분할복공판(160)과 분할복공판(160)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복공판과 동일한 구성인 고정홈(120), 탭사나(130), 고정볼트(140)가 구비되어 있으며 결합방법도 위에서 설명하고 복공판(110)의 결합 방법과 동일하다.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통홀(180)을 형성하면서 분할복공판(16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H 빔(30) 방향으로의 분할복공판(160)의 설치되는 폭만큼의 거리를 남긴 후 복공판(110)을 배치한 후 H 빔(30) 방향으로의 설치되는 분할복공판(160)의 양 단부 하면의 단턱부홈(161)이 위치될 장소인 H 빔(30)의 플랜지 상면에 분할복공판(160)용 지지보(170)의 단턱부(171)를 위치시킨 후 그 상부에 분할복공판(160)을 설치하는 것으로 분할복공판(160)의 배면에 형성된 단턱부홈(161)을 지지보(170)의 단턱부(171)에 끼워서 맞게 위치시키고 이어서 고정볼트(140)로 복공판(110)과 분할복공판(160)을 결합하게 된다. 도 16은 분할복공판용 지지보(170)에 단일의 분할복공판(160)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H 빔(30)과 H 빔(30)의 폭 방향으로 분할복공판(160)의 폭이 좁아 분할복공판(160)을 2개 이상 결합하는 경우에는 복공판(110)과 분할복공판(160), 분할복공판(160)과 분할복공판(160)을 고정볼트(140)로 결합하게 된다.
도 17(a),(b)는 고정홈에 고정볼트를 임시 고정하기 위하여 설치된 고정볼트 임시고정편의 단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a)와 같이 복공판(110)의 고정홈(120)을 통하여 설치되는 고정볼트(140)를 임시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 임시고정편(190)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고정볼트 임시고정편(190)은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공판(110)의 하판부 상면에 설치되어 고정볼트(140)를 임시로 위치시키기 때문에 작업자가 고정볼트(140)를 타측 복공판(110)의 너트공(130)에 결합할 경우에는 고정볼트 임시고정편(190)에 임시로 설치된 고정볼트(140)를 간단하게 탈리시켜 타측 복공판(110)의 너트공(130)에 결합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별도로 조달된 고정볼트(140)를 작업 현장으로 이송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이 시공을 간편하고 빠르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고정볼트 임시고정편(190)은 고정볼트(140)를 손으로 쉽게 탈착시키기 위해서는 탄성을 가지는 강철이나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이를 용접이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복공판(110)의 하판부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게 한다.
도 18은 H 빔의 상부 플랜지면 중앙에 센터고정돌기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복공판(110)을 H 빔(30)의 상부 플랜지면에 설치하고 이에 맞대는 다른 복공판(110)을 H 빔(30)의 상부 프랜지면에 설치하는 경우 시공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설치되는 복공판(110)과 복공판(110)이 H 빔(30)의 상부 플랜지면의 중앙부를 좌우로 하여 정확하게 설치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일반적으로 개별 단위 복공판(110)의 무게는 인력으로 쉽게 조정할 정도 이상의 무게를 가지기 때문에 H 빔(30) 상부에 거치되는 복공판(110)을 H 빔(30)의 상부 플랜지면 중앙에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크레인 같은 중장비의 도움과 함께 인력에 의한 정확한 위치를 잡아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소요의 시공시간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H 빔(30)의 상부 플랜지면의 중앙부를 좌우로 복공판(110)을 손쉽게 설치하기 위하여 H 빔(30)의 상부 플랜지면 중앙에 센터고정돌기(200)를 고정 설치하고 복공판(110)에는 이를 수용할 수 있는 경사면(201)을 두었다. 즉, H 빔(30)의 상부 플랜지면 중앙에 센터고정돌기(200)의 일측에 경사면(201)을 가진 복공판(110)을 거치하고 다음으로 타측에도 경사면(201)을 가진 다른 복공판(110)을 앞서 거치된 복공판(110)에 맞대어 거치시키기만 하면 복공판(110)을 손쉽게 은 H 빔(30)의 상부 플랜지면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어 시공시간을 단축하면서도 정밀한 시공을 할 수 있다. 센터고정돌기(200)는 스터드 볼트(stud bolt)와 같이 강재로 형성되어 H 빔(30) 상부의 상부 플랜지면 중앙에 일정 거리를 두고 용접으로 설치하면 된다.
도 19는 사각파이프로 외주면을 형성한 복공판이 고정볼트로 체결된 상태의단면도이다. 복공판(110)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된다. 복공판 전체를 철재나 콘크리트로 형성하는 방법이 있는가 하면, 복공판(110)의 4면 테두리는 강재로 형성하고 그 내부는 콘크리트를 채우거나 강판으로 형성하는 방법 등도 있다. 도 19은 복공판(110)의 4면 테두리에 해당하는 복공판(110)의 외주면은 사각 파이프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콘크리트나 강판으로 형성한 경우에 관한 것으로 외주면이 사각파이프로 형성된 복공판(110)의 고정홈(120)에 설치되는 고정볼트(140)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관통공을 형성하고 그 관통공에는 고정볼트(140)를 통과시키고 가이드 하는 안내관(210)을 설치한다. 이에 맞대는 복공판(110)에도 상기 고정볼트(140)와 결합되는 너트공(130)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볼트(140)를 통과시키고 가이드 하는 안내관(210)을 설치하고 상기 안내관(210) 단부측의 사각파이프 내측부에는 고정너트(141)를 점용접하여 고정너트(140)가 사각파이프 내측에 고정되면서 고정볼트(140)와 체결시 겉돌지 않게 한다. 복공판(110)의 관통공에 결합되는 안내관(210)은 고정볼트(140)를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면서도 고정볼트(140)와 고정너트(141)가 체결되어 발생하는 압축력이 사각파이프에 작용할 경우 안내관(210)이 사각파이프를 지지함으로써 사각파이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복공판(110)의 고정홈(120)을 통하여 체결되는 고정볼트(140)를 가이드 하기 위하여 사각파이프의 관통공에 안내관(210)을 설치하고 이에 맞대는 타측 복공판(110)의 사각파이프에도 동일하게 안내관(210)을 설치하면서 고정너트(141)를 미리 사각파이프의 내측부에 고정시킴으로써 복공판(110)과 복공판(110)을 손쉽고 빠르게 결합시킬 수 있으면서도 고정볼트(140)와 고정너트(141)가 체결되는 결합부위의 사각파이프가 안내관(210)의 지지에 의하여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상구조물의 일부를 영구구조물이 아닌 가설구조물로 형성할 경우, 상기 가설구조물 부분에 설치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110)과 분할복공판(160)을 슬래브와 밀착되게 설치함으로써 지진이나 풍하중 등의 수평하중에 저항하여 지상구조물의 안전성 확보 및 구조부재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또한 복공판(110)과 복공판(110)을 서로 밀착시킴으로서 장비나 인력의 이동 시 발생하는 수평하중으로 인해 복공판이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 있다.
지상구조물의 일부를 영구구조물이 아닌 가설구조물로 형성하고 이러한 가설구조물에 설치된 H 빔(30) 상부 플랜지면에 복공판(110)을 설치하여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100)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가설구조물 부분에 H 빔(30)들을 설치하는 단계; 수평의 H 빔(30)과 H 빔(30) 상부 플랜지면에 복공판(110)을 설치하고 복공판(110)과 복공판(110)을 서로 밀착시켜 장비나 인력의 이동 시 발생하는 수평하중에 저항하도록 하는 단계; 복공판(110)과 복공판(110)이 서로 밀착되는 부분에는 어느 하나의 복공판(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고정홈(120)으로 고정볼트(140)를 삽입한 후 다른 하나의 복공판(110)에 형성된 너트공(130)으로 고정볼트(140)를 체결하여 복공판(110)과 복공판(110)을 결합시킨다.
도 20 내지 도 23은 사각파이프로 외주면을 형성한 복공판(110)과 이에 맞대는 복공판(110)에 각각 형성된 제1,2너트(220)(221)에 고정볼트(140)를 고정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복공판(110)과 복공판(110)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외주면이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진 일측의 복공판(110)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에는 고정볼트(140)가 나사체결되도록 적어도 1~5개 정도의 너트산이 형성된 제1너트(220)를 설치한다.
상기 일측의 복공판(110)과 맞대는 타측의 복공판(110)에는 상기 관통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에는 제2너트(221)를 설치한다.
상기 일측의 복공판(110) 내측에서 타측의 복공판(110) 측으로 고정볼트(140)가 나사체결되어 상기 복공판(110)과 복공판(110)을 서로 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고정볼트(140)는 제1너트(220)와 제2너트(221)에 순차적으로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볼트(140)는, 끝부분이 나사산으로 형성되고, 중간부분은 나사산을 없애면서 나사산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시작부분은 각형의 볼트 머리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1너트(220)와 제2너트(221)가 각각 형성된 일측의 복공판(110)과 이에 맞대는 타측의 복공판(110)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볼트(140)를 제1너트(220)에 체결하게 되면, 고정볼트(140)의 나사산이 제1너트(220)의 너트산에 체결되며, 고정볼트(140)의 나사산이 너트산을 통과하게 되면 고정볼트(140)의 중간부분이 제1너트(220)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볼트(140)는 상·하,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볼트(140)를 타측의 복공판(110)에 형성된 제2너트(221)에 체결하게 되면, 고정볼트(140)의 나사산이 제2너트(221)에 체결되면서 복공판(110)과 복공판(110)을 서로 고정하게 되며, 이때, 상기 타측의 복공판(110)에 형성된 제2너트(221)의 입구 측에는 모따기가 형성되어 있어 고정볼트(140)의 나사산이 제2너트(221)에 손쉽게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복공판(110)과 복공판(110)을 고정하게 되므로 조립성이 향상되어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고정볼트(140)의 나사산을 제1너트(220)에 통과시켜 이탈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운반이 용이함과 동시에 분실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4는 분할복공판의 하면의 단턱부(171) 사이에 패드가 부착된 상태도이다.
H 빔(30)과 H 빔(30)의 상부 플랜지면에는 복공판(110)과 분할복공판(160)을 설치하며, 상기 복공판(110)과 분할복공판(160)을 설치하기 위하여, 수평의 H 빔(30)과 H 빔(30)에 단턱부(171)를 가지는 지지보(170)를 설치한다.
상기 지지보(170)의 양단 상부에는 복공판(110)을 안착시키고, 상기 복공판(110)과 복공판(110) 사이에는 분할복공판(160)을 설치한다.
상기 복공판(110)과 분할복공판(160)의 양단부 하면에는 지지보(170)의 단턱부(171) 높이와 대응하는 패드(230)를 각각 부착시키되, 상기 단턱부(171) 상부에 안착되는 분할복공판(160)에 부착되는 패드(230)의 길이는 분할복공판(160)의 전체길이에서 단턱부(171)를 뺀 길이로 형성되어 단턱부(171)와 단턱부(171)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분할복공판(160)과 인접하는 타측의 복공판(110) 하면에는 복공판(110)과 길이와 동일한 패드(230)를 부착시킨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복공판(110)과 분할복공판(160)의 양단 하면에 패드(230)를 부착하여 설치함으로써 복공판(110)과 분할복공판(160)의 높이를 균일하게 맞출 수 있어 시공성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25는 H 빔의 상부 플랜지면 중앙에 돌출부가 형성된 덮개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복공판(110)을 H 빔(30)의 상부 플랜지면에 설치하고 이에 맞대는 타측 복공판(110)을 H 빔(30)의 상부 플랜지면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복공판(110)을 H 빔(30)의 상부 플랜지면의 중앙부를 좌우로 하여 정확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H 빔(30)의 상부 플랜지면 상부에 덮개(250)를 설치하되, 상기 덮개(250)의 양측을 하부로 절곡형성하여 H 빔(30)의 상부 플랜지면 상부 양단을 감싸도록 함으로써 상기 덮개(250)가 H 빔(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였고, 상기 덮개(250)의 상부 중앙에는 돌출부(251)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돌출부(251)의 양측에 복공판(110)을 간편하게 위치하도록 하였다.
즉, H 빔(30)에 덮개(250)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251)의 양측으로 복공판(110)을 각각 거치시키기만 하면 복공판(110)을 손쉽게 H 빔(30)의 상부 플랜지면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26의 (a),(b)는 분할복공판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받침판과 간이 지지트러스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H 빔(30)의 상부 플랜지면에 설치된 지지대(172)와 지지대(172) 사이에 'ㄱ'자 형상의 받침대(240)를 각각 고정하고, 상기 받침대(240)의 상부 양측에는 간이 지지트러스(242)가 움직이지 않도록 걸림턱(141)을 돌출 형성함으로써 간이 지지트러스(242)를 빠르게 안착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상기 받침판(240)의 상부에 간이 지지트러스(242)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간이 지지트러스(242)의 상부에 길이가 다른 분할복공판(160')을 안착시켜 설치하면 되며, 상기 간이 지지트러스(242)는 그 단면이 'T'자형으로 형성되어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분할복공판(160')의 하부에 밀착되어 수직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평의 H 빔(30)과 H 빔(30)의 상부 플랜지면에 설치되는 복공판(110) 사이에 관통홀(180)을 형성하기 위하여 분할복공판(160)을 설치하는 방법 역시 위에서 설명하고 지하 역타공법에서 설치된 것과 동일하다. 즉, 수평의 H 빔(30)과 H 빔(30)에 설치되는 일정 두께의 단턱부(171)를 양 단부에 가지고 단턱부(171)와 단턱부(171) 사이에는 H 빔(30)의 상부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지지대(172)로 이루어진 경량 트러스구조물이거나 경량 형강구조물을 수평의 H 빔(30)과 H 빔(30)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단턱부(17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배면의 각 모서리부에 단턱부홈(161)이 형성된 분할복공판(160)의 단턱부홈(161)을 단턱부(171)에 끼워 맞추어 분할복공판(160)을 설치하는 단계; 복공판(110)과 분할복공판(160), 분할복공판(160)과 분할복공판(160)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홈(120)을 통해 고정볼트(140)와 너트공(130)으로 결합되어 상기 복공판(110)과 분할복공판(160), 분할복공판(160)과 분할복공판(160)을 서로 결합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수평의 H 빔(30)과 H 빔(30) 상부 플랜지면에 설치되는 복공판(110)과 지상구조물의 슬래브(40) 또는 벽체 등과 같은 구조물의 밀착 결합을 위하여 복공판(110)과 접하는 지상구조물의 슬래브(40) 또는 벽체 등과 같은 구조물 측면 단부에 너트공(130)을 형성하여 복공판(110)의 고정홈(120)을 통해 고정볼트(140)로 결합함으로서 복공판과 슬래브 또는 벽체 등과 같은 구조물과 결합력을 보다 더 높일 수 있다.
지상구조물의 일부를 영구구조물이 아닌 가설구조물에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110)과 분할복공판(160)을 서로 밀착시킴으로써 장비나 인력의 이동시 발생하는 수평하중으로 인해 복공판이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슬래브(40) 또는 벽체 등과 같은 구조물과 밀착되게 설치함으로써 지진이나 풍하중 등의 수평하중에 저항할 수 있는 효과 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가설구조물에 사용되는 복공판(110)의 경우 복공판과 복공판을 서로 연결하지 않아 장비나 인력의 이동시 발생하는 수평하중에 의해 미끄러지는 문제가 있었으나 복공판과 복공판을 서로 긴결함으로써 수평하중에 의한 밀림 또는 이동을 방지할 수 있고,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지 않았기 때문에 지진 또는 풍하중이 철골프레임 등으로 형성된 지상구조물이 저항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철골프레임 등의 지상구조물을 형성하는 보나 기둥 등의 부재의 크기를 크게 설계해야 했어야 하는 반면, 위에서 설명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110)을 상기 가설구조물에 설치함에 따라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지 않은 기존의 복공판(110)에 비해 지상구조물로 형성하는 철골프레임과 같은 상기 구조체의 부재 크기를 줄임으로써 경제성이 있는 지상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었고, 또한 분할복공판(160)에 의한 관통홀(180)을 형성함에 따라 복공판(110)이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면서도 공간 활용도를 높일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흙막이벽 20: 수직철골부재
30: H 빔 40: 슬래브
41: 철근 50: 지하외벽
60: 바닥층 70: 영구수직재
100: 복공판 연결구조 110: 복공판
120: 고정홈 130: 너트공
140: 고정볼트 150: 수용홈
160: 분할복공판 161: 단턱부홈
170: 지지보 171: 단턱부
172: 지지대 180: 관통홀
190: 고정볼트 임시고정편 200: 센터고정돌기
210: 안내관 220: 제1너트
221: 제2너트 230: 패드
240: 받침판 241: 걸림턱
242: 간이 지지트러스 250: 덮개
251: 돌출부

Claims (25)

  1. 수평의 H 빔과 H 빔의 상부 플랜지면에 설치되는 복공판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기 위하여,
    복공판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홈; 상기 고정홈과 대향하는 복공판의 타측에 형성되는 너트공; 상기 복공판과 복공판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홈을 통해 너트공으로 결합되어 상기 복공판을 서로 결합시키는 고정볼트가 구성되고,
    수평의 H 빔과 H 빔의 상부 플랜지면에 설치되는 복공판 일부에 관통홀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복공판을 2개 이상으로 분할된 분할복공판을 형성하고 분할복공판이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기 위하여,
    분할복공판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홈; 상기 고정홈과 대향하는 분할복공판의 타측에 형성되는 너트공; 복공판과 분할복공판이 밀착되고 분할복공판과 분할복공판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홈을 통해 너트공으로 결합되어 상기 복공판과 분할복공판, 분할복공판과 분할복공판을 서로 결합시키는 고정볼트가 구성되며,
    수평의 H 빔과 H 빔의 상부 플랜지면에 설치되는 복공판 사이에 분할복공판을 설치하기 위하여, 수평의 H 빔과 H 빔에 설치되는 일정 두께의 단턱부를 양 단부에 가지고 단턱부와 단턱부 사이에는 H 빔의 상부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지지대로 이루어진 경량 트러스구조물이거나 경량 형강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턱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분할복공판 배면의 각 모서리부에 단턱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공판이 지하 역타 공법에서 설치되는 경우, 복공판은 타설 양생되는 슬래브와 밀착되며 흙막이벽과 복공판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되어 흙막이벽으로부터 슬래브에 전달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공판이 지하 역타 공법에서 설치되는 경우, 수평의 H 빔과 H 빔의 상부 플랜지면에 설치되는 분할복공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경량 트러스구조물이거나 경량 형강구조물으로 이루어지며 일정 두께를 가지면서 수평으로 형성된 지지대를 H 빔에 얹고, 상기 지지대가 H 빔에 앉혀진 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패드를 분할 복공판 및 복공판이 H 빔과 접촉하는 부분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상구조물의 일부를 영구구조물이 아닌 가설구조물로 형성할 경우, 상기 가설구조물 부분에 설치되는 수평의 H 빔들 상부 플랜지면에 복공판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복공판은 서로 밀착되어 장비나 인력의 이동 시 발생하는 수평하중을 저항할 수 있고, 타설 양생되는 지상구조물의 슬래브 또는 벽체 등과 같은 구조물과 밀착되어 지진 또는 풍하중 등에 저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슬래브와 밀착되는 복공판의 단부에는 슬래브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된 철근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수평의 H 빔과 H 빔의 상부 플랜지면에 설치되는 복공판 일부에 관통홀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복공판을 2개 이상으로 분할된 분할복공판을 형성하고 분할복공판이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기 위하여,
    분할복공판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홈; 상기 고정홈과 대향하는 분할복공판의 타측에 형성되는 너트공; 복공판과 분할복공판이 밀착되고 분할복공판과 분할복공판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홈을 통해 너트공으로 결합되어 상기 복공판과 분할복공판, 분할복공판과 분할복공판을 서로 결합시키는 고정볼트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수평의 H 빔과 H 빔의 상부 플랜지면에 설치되는 복공판 사이에 분할복공판을 설치하기 위하여, 수평의 H 빔과 H 빔에 설치되는 일정 두께의 단턱부를 양 단부에 가지고 단턱부와 단턱부 사이에는 H 빔의 상부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지지대로 이루어진 경량 트러스구조물이거나 경량 형강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턱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분할복공판 배면의 각 모서리부에 단턱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수평의 H 빔과 H 빔의 상부플랜지면에 설치되는 복공판 일부에 관통홀을 형성하기 위하여 분할복공판을 설치하는데, 상기 분할복공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경량 트러스구조물이거나 경량 형강구조물로 이루어진 지지대를 H 빔에 얹고, 상기 지지대가 H 빔에 얹혀진 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패드를 모든 복공판과 H 빔과 접촉하는 부분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ㄱ'자의 받침판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간이 지지트러스가 안착되어 길이가 다른 분할복공판이 지지되며, 상기 받침판의 상부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간이 지지트러스가 이탈되지 않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고정볼트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부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너트공은 고정볼트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외측으로 갈수록 고정볼트의 직경보다 크게 넓어지게 형성하여 고정볼트의 중심축과 너트공의 중심축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도 고정볼트가 너트공에 자연스럽게 결합되게 하는 것을 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수평의 H 빔과 H 빔 상부 플랜지면에 설치되는 복공판과 지상구조물 슬래브의 밀착 결합을 위하여 복공판과 접하는 지상구조물의 슬래브 측면 단부에 너트공을 형성하여 복공판의 고정홈을 통해 고정볼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복공판의 고정홈에는 고정볼트를 탈착할 수 있는 고정볼트 임시고정편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16. 청구항 1에 있어서,
    H 빔의 상부 플랜지면 중앙에 센터고정돌기가 설치되고 이에 맞대는 복공판에는 상기 센터고정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외주면이 사각파이프로 형성되는 복공판의 고정홈에 설치되는 고정볼트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상기 사각파이프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가이드를 설치하고 이에 맞대는 타측 복공판에도 고정볼트와 결합되는 너트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볼트를 통과시키고 가이드 하는 안내관을 설치하고 상기 안내관 단부측의 사각파이프 내측부에는 고정너트를 용접하여 고정너트가 사각파이프 내측에 고정되면서 고정볼트와 체결시 겉돌지 않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외주면이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진 일측의 복공판과 이에 대응하는 타측의 복공판을 서로 결합하기 위하여 대응하는 동일 위치의 사각파이프 내에 일측의 복공판에는 1~5개의 너트산이 형성된 제1너트를 설치하고 타측의 복공판에는 제2너트를 설치하며, 상기 일측의 복공판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체결되는 고정볼트가 위치하며, 상기 고정볼트는 끝부분이 나사산 형상이며 중간부분은 나사산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시작부분은 각형의 볼트 머리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볼트의 나사산은 제1너트의 너트산만 통과하면 상·하, 좌·우로 움직여 제2너트의 구멍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면서 고정볼트의 나사산이 제1너트의 너트산만 통과하면 쉽게 탈락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19. 청구항 1에 있어서,
    H 빔의 상부 플랜지면 양단을 감싸도록 덮개가 설치되고 상기 덮개의 상부 중앙에는 복공판과 이에 맞대는 복공판 사이에 결합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복공판이 H 빔의 상부 플랜지면의 중심선을 이탈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20. 청구항 4의 복공판을 설치한 지하 역타 공법에서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1) 흙막이벽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굴착된 지면에 다수의 수직철골부재를 매설하는 단계;
    (2) 상기 수직철골부재의 상단부 또는 측면에 H 빔을 설치하는 단계;
    (3) 영구수평구조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 설치되는 수평의 H 빔과 H 빔의 상부 플랜지면에 상·하 또는 좌·우 연속적으로 복공판을 설치하는 단계;
    (4) 상기 복공판과 흙막이벽 사이의 공간 및 영구수평구조가 형성되는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
    (5) 상기 복공판 및 슬래브 하부를 굴토하는 단계;
    (6) (2) 내지 (5)를 기초하부까지 반복하여 진행하는 단계;
    (7) 기초를 포함한 바닥층을 형성하고 지하외벽과 영구수직재를 형성하는 단계;
    (8) 최하층부터 상부층 방향으로 차례로 상기 복공판을 지지하는 상기 H 빔을 제거하고 영구수평구조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의 수직철골부재를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를 이용한 시공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복공판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복공판과 복공판이 서로 밀착되는 부분에는 어느 하나의 복공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고정홈으로 고정볼트를 삽입한 후 다른 하나의 복공판에 형성된 너트공으로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복공판과 복공판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를 이용한 시공방법.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수평의 H 빔과 H 빔의 상부 플랜지면에 설치되는 복공판 사이에 관통홀을 형성하기 위하여 분할복공판을 설치하기 위하여,
    수평의 H 빔과 H 빔에 설치되는 일정 두께의 단턱부를 양 단부에 가지고 단턱부와 단턱부 사이에는 H 빔의 상부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지지대로 이루어진 경량 트러스구조물이거나 경량 형강구조물을 수평의 H 빔과 H 빔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단턱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배면의 각 모서리부에 단턱부홈이 형성된 분할복공판의 단턱부홈을 단턱부에 끼워 맞추어 분할복공판을 설치하는 단계;
    복공판과 분할복공판, 분할복공판과 분할복공판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홈을 통해 고정볼트와 너트공으로 결합되어 상기 복공판과 분할복공판, 분할복공판과 분할복공판을 서로 결합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를 이용한 시공방법.
  23. 지상구조물의 일부를 영구구조물이 아닌 가설구조물로 형성할 경우, 상기 가설구조물 부분에 설치되는 수평의 H 빔들 상부 플랜지면에 청구항 5의 복공판 설치로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1) 가설구조물 부분에 H 빔들을 설치하는 단계;
    (2) 상기 수평의 H 빔과 H 빔 상부 플랜지면에 복공판을 설치하되 복공판과 복공판을 서로 밀착하고 상기 복공판은 지상구조물의 슬래브와 밀착되어 수평하중에 저항하도록 하는 단계;
    (3) 복공판과 복공판이 서로 밀착되는 부분에는 어느 하나의 복공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고정홈으로 고정볼트를 삽입한 후 다른 하나의 복공판에 형성된 너트공으로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복공판과 복공판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를 이용한 시공방법.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수평의 H 빔과 H 빔의 상부 플랜지면에 설치되는 복공판 사이에 관통홀을 형성하기 위하여 분할복공판을 설치하는 방법은,
    수평의 H 빔과 H 빔에 설치되는 일정 두께의 단턱부를 양 단부에 가지고 단턱부와 단턱부 사이에는 H 빔의 상부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지지대로 이루어진 경량 트러스구조물이거나 경량 형강구조물을 수평의 H 빔과 H 빔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단턱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배면의 각 모서리부에 단턱부홈이 형성된 분할복공판의 단턱부홈을 단턱부에 끼워 맞추어 분할복공판을 설치하는 단계;
    복공판과 분할복공판, 분할복공판과 분할복공판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홈을 통해 고정볼트와 너트공으로 결합되어 상기 복공판과 분할복공판, 분할복공판과 분할복공판을 서로 결합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를 이용한 시공방법.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수평의 H 빔과 H 빔 상부 플랜지면에 설치되는 복공판과 복공판으로 서로 밀착되고 지상구조물의 슬래브 또는 벽체에 밀착 결합을 위하여 복공판과 접하는 지상구조물의 슬래브 측면 단부에 너트공을 형성하여 복공판의 고정홈을 통해 고정볼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180103440A 2018-05-04 2018-08-31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449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51646 2018-05-04
KR1020180051646 2018-05-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518A KR20190127518A (ko) 2019-11-13
KR102144942B1 true KR102144942B1 (ko) 2020-08-18

Family

ID=68534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440A KR102144942B1 (ko) 2018-05-04 2018-08-31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94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2759A (ja) * 2001-09-11 2003-03-19 Nippon Steel Corp 高力ボルトの仮固定治具
JP2004019391A (ja) * 2002-06-20 2004-01-22 Ohbayashi Corp 覆工板およびその接合構造
JP2004027504A (ja) * 2002-06-21 2004-01-29 Taisei Corp 覆工体
JP2009052673A (ja) * 2007-08-27 2009-03-12 Honda Motor Co Ltd 締結構造
JP2009228202A (ja) * 2008-03-12 2009-10-08 Andritz Inc 正面装着される据付取付具および関連する方法
KR101805900B1 (ko) * 2016-09-19 2017-12-07 (주)한국건설공법 지하구조물 시공용 거푸집 틀을 이용한 지하 구조물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733B1 (ko) 2006-04-28 2008-04-08 안승한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
KR100910986B1 (ko) * 2007-05-08 2009-08-05 (주)써포텍 복공판 구조체
KR101330177B1 (ko) 2011-03-23 2013-11-18 박기태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
KR101856654B1 (ko) 2016-06-23 2018-06-05 김은주 조립식 문짝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2759A (ja) * 2001-09-11 2003-03-19 Nippon Steel Corp 高力ボルトの仮固定治具
JP2004019391A (ja) * 2002-06-20 2004-01-22 Ohbayashi Corp 覆工板およびその接合構造
JP2004027504A (ja) * 2002-06-21 2004-01-29 Taisei Corp 覆工体
JP2009052673A (ja) * 2007-08-27 2009-03-12 Honda Motor Co Ltd 締結構造
JP2009228202A (ja) * 2008-03-12 2009-10-08 Andritz Inc 正面装着される据付取付具および関連する方法
KR101805900B1 (ko) * 2016-09-19 2017-12-07 (주)한국건설공법 지하구조물 시공용 거푸집 틀을 이용한 지하 구조물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518A (ko)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235B1 (ko) 안전성이 강화된 피씨 트러스 벽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0571102B1 (ko) 시공성이 개선된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의 장치
KR102243984B1 (ko) 자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합벽 순타 시공용 무지주 거푸집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90094971A (ko) 지하구조물 역타설 시공방법
KR101107567B1 (ko) Rc 구조물 역타 공법을 위한 보구조체와 수직 강재부재의 접합장치, 전용지지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381589Y1 (ko)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
KR20120096605A (ko)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및 방법
JP4333801B2 (ja) 永久アンカーが施工された壁構造の構築方法、永久アンカーが施工された壁構造
KR101631447B1 (ko) 콘크리트 충진 강관기둥과 합성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역타공법
KR102197107B1 (ko) 임플란트식 파일압입구가 이식된 슬래브단위체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기둥 시공방법
KR100679301B1 (ko)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
KR102269141B1 (ko) 지하 흙막이 가시설을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합벽 설치공법
JP5612353B2 (ja) 建物
KR102144942B1 (ko)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복공판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US20220412036A1 (en) Method for forming a foundation wall
KR101908943B1 (ko) Rc 벽체 역타 구조
KR101908356B1 (ko) 내진보강용 이중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100808939B1 (ko) 지하 가시설의 강선 보강 구조물
KR101473218B1 (ko) 지하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954387B1 (ko) 격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KR200378210Y1 (ko)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
KR101677431B1 (ko) 대용량 콘크리트 옹벽
KR101641837B1 (ko) 교량 하부구조물의 단면 증설시 자중 경감을 위한 단면 형성 방법
KR20080103260A (ko) 분리타설을 위한 철근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역타 지지구조
KR102177745B1 (ko) 기둥식 옥탑 pc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