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7159A - 다축 부직포 및 타일 유닛 - Google Patents

다축 부직포 및 타일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159A
KR20230017159A KR1020227023279A KR20227023279A KR20230017159A KR 20230017159 A KR20230017159 A KR 20230017159A KR 1020227023279 A KR1020227023279 A KR 1020227023279A KR 20227023279 A KR20227023279 A KR 20227023279A KR 20230017159 A KR20230017159 A KR 20230017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multifilament
yarn
multiaxial
multiaxial non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3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추야 이시다
신야 사토
Original Assignee
니토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토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니토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17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2Inorgan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4Glass yarn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04H3/0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in rectilinear paths, e.g. crossing at right ang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filaments or yarns secured together by chemical or thermo-activatable bonding agents, e.g. adhesives, applied or incorporated in liquid or solid for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ydrocarbon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afterhalogenated or sulfochlorinat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 D06M15/33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of vinyl acetate; Polyvinylalcoh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별도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타일을 접착 가능하고 또한 우수한 보형성을 가진 다축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축 부직포는, 병렬된 복수의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와,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와 교차하는 복수의 교차 멀티필라멘트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 및 상기 교차 멀티필라멘트사조가, 100℃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이 25~55°인 접착 수지로 피복된다.

Description

다축 부직포 및 타일 유닛
본 발명은 다축 부직포 및 타일 유닛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 시트의 보강 재료로서, 유리 섬유사를 비롯한 멀티필라멘트사조(multifilament yarn strand)를 경사, 위사, 사교사(斜交絲)로서 이것들을 적층하고, 이것들의 교점을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접착제로 고정한 2~4개의 축을 갖는 부직포(다축 부직포)가 제안되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열가소성 수지 시트와 다축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복합재료의 용도로서 항공기, 차, 건설 재료와 같은 각종 용도가 제안되었다.
한편, 열가소성 수지와 복합화되지 않는 다축 부직포의 용도로서, 다축 부직포 상에 복수의 건축물 외벽용 타일이 접착제로 접착된 타일 유닛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 특허 제2019-026945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 특허 제2009-108603호 공보
본 발명자들은 멀티필라멘트사조들이 그 교점에서 타일을 접착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로 고정되어 있는 다축 부직포이면, 별도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복수개의 타일을 접착하여 타일 유닛을 구성 가능함을 알아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다축 부직포로 구성된 타일 유닛의 경우에는, 중량이 있는 타일이고 여름철에 고온이 되는 환경에서 타일 유닛이 보관된 후 시공 현장에서 강한 힘이 인가되는 양태로 타일 유닛이 취급된 경우 다축 부직포의 형태가 무너져 타일 유닛이 붕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별도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타일을 접착 가능하고 또한 우수한 보형성을 가진 다축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축 부직포를 포함하는 타일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축 부직포는 병렬된 복수의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와, 이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와 교차하는 복수의 교차 멀티필라멘트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 및 상기 교차 멀티필라멘트사조가 접착 수지로 피복되어 있고, 상기 접착 수지의 100℃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이 25~55°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축 부직포는 상기 위상각이 25~55°의 범위에 있어 타일을 접착 가능하고 또한 우수한 보형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축 부직포에서 상기 위상각이 25° 미만이면 타일을 접착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축 부직포에서 상기 위상각이 55°을 초과하면 다축 부직포의 보형성이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축 부직포는 상기 접착 수지가 열가소성 수지와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축 부직포는 상기 열경화성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축 부직포는 상기 열경화성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가 20℃ 이하이므로 보다 우수한 보형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축 부직포는 상기 접착 수지의 100℃, 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이 46~55°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축 부직포는 상기 위상각이 46~55°의 범위에 있으므로 본 발명의 다축 부직포에 타일을 보다 효율적으로 접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축 부직포는 상기 멀티필라멘트사조가 유리 섬유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축 부직포는 상기 멀티필라멘트사조가 유리 섬유사이므로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범용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멀티필라멘트사조가 유리 섬유사인 것은, 본 발명의 다축 부직포를 포함하는 타일 유닛에 있어서 타일 유닛 취급시의 강성의 향상, 타일 유닛 제조시의 내열성이나 치수 안정성의 향상, 및 타일 유닛 시공시의 내후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축 부직포는 상기 복수의 교차 멀티필라멘트사조가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와 사교(斜交)하는 복수의 제1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와, 상기 제1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와 반대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에 사교하는 복수의 제2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축 부직포는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와, 상기 제1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와, 상기 제2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로 구성되는 3축 부직포이므로,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에 의해 뒤틀림이나 변형의 발생이 억제되고 또한 생산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축 부직포는 상기 복수의 교차 멀티필라멘트사조가,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와 직교하는 복수의 직교 멀티필라멘트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와 상기 직교 멀티필라멘트사조로 구성되는 2축 부직포이므로 특히 우수한 생산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축 부직포는 상기 복수의 교차 멀티필라멘트사조가,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와 직교하는 복수의 직교 멀티필라멘트사조와,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와 사교하는 복수의 제1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와, 상기 제1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와 반대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에 사교하는 복수의 제2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축 부직포는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와, 상기 직교 멀티필라멘트사조와, 상기 제1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와, 상기 제2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로 구성되는 4축 부직포이므로,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에 의해 뒤틀림이나 변형의 발생이 억제되고, 또한 직교 멀티필라멘트사조에 의해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강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타일 유닛은 상술한 본 발명의 다축 부직포와 복수개의 타일을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축 부직포의 일 양태(3축 부직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축 부직포의 다른 양태(2축 부직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축 부직포의 또 다른 양태(4축 부직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타일 유닛의 제조 방법의 일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타일 유닛의 제조 방법의 다른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타일 유닛의 제조 방법의 또 다른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이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는 일 양태에 있어서, 병렬된 복수의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와, 이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와 사교하는 복수의 제1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3)와, 상기 제1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3)와 반대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에 사교하는 복수의 제2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4)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3) 및 제2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4)는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에 교차하는 교차 멀티필라멘트사조에 상당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는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병렬된 복수의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와, 이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와 직교하는 복수의 직교 멀티필라멘트사조(5)로 구성된다. 여기서, 직교 멀티필라멘트사조(5)는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에 교차하는 교차 멀티필라멘트사조에 상당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는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병렬된 복수의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와, 이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와 직교하는 복수의 직교 멀티필라멘트사조(5)와,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와 사교하는 복수의 제1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3)와, 상기 제1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3)와 반대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에 사교하는 복수의 제2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4)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3), 제2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4) 및 직교 멀티필라멘트사조(5)는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에 교차하는 교차 멀티필라멘트사조에 상당한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로서는 예를 들어 유리 섬유사, 탄소 섬유사, 아라미드 섬유사, 비닐론 섬유사를 사용할 수 있다. 기계적 강도 및 범용성이 우수하고 또한 다축 부직포를 포함하는 타일 유닛에 있어서, 타일 유닛 취급시의 강성의 향상, 타일 유닛 제조시의 내열성이나 치수 안정성의 향상, 및 타일 유닛 시공시의 내후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로서는 유리 섬유사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로서 사용 가능한 유리 섬유사로서는 E유리 섬유 조성을 구비한 실, 고강도 유리 섬유 조성을 구비한 실, 내알칼리 유리 섬유 조성을 구비한 실을 들 수 있다. 상기 E 유리 섬유 조성은 유리 섬유의 전량에 대해 SiO2를 52~56질량%, B2O3를 5~10질량%, Al2O3를 12~16질량%, CaO와 MgO를 합계 20~25질량%, Na2O와 K2O와 Li2O를 합계 0~1질량%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강도 유리 섬유 조성은 유리 섬유의 전량에 대해 SiO2를 57~70질량%, Al2O3를 18~30질량%, CaO를 0~13질량%, MgO를 5~15질량%, Na2O와 K2O와 Li2O를 합계 0~1질량%, TiO2를 0~1질량%, B2O3를 0~2질량%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알칼리 유리 섬유 조성은 유리 섬유의 전량에 대해 SiO2를 54~65질량%, Al2O3를 0~2질량%, CaO와 MgO와 SrO와 BaO와 ZnO를 합계 0~10질량%, Na2O를 10~17질량%, K2O를 0~8질량%, Li2O를 0~5질량%, TiO2를 0~7질량%, ZrO를 12~25질량% 포함한다. 범용성이 우수하므로,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로서는 E유리 섬유 조성을 구비한 실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는 복수의 동일한 종류의 멀티필라멘트사조 또는 각각 다른 종류의 멀티필라멘트사조로 이루어지는 합사일 수도 있고 합연사일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를 구성하는 필라멘트의 필라멘트경은 예를 들어 3~30㎛이고, 바람직하게는 4~24㎛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18㎛이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의 필라멘트 집속 개수는 예를 들어 50~6000개이고, 바람직하게는 100~5000개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4000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2000개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1200개이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의 중량은 예를 들어 1~10000tex(g/1000m)이고, 바람직하게는 3~5800tex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500tex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1000tex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800tex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500tex이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의 연수(撚數)는 예를 들어 0~500T/m이고, 바람직하게는 0~300T/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0T/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0T/m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100T/m이고,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0~50T/m이고, 더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0~10T/m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T/m이다. 아울러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가 합연사인 경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의 연수는 합연시에 부여되는 연수를 의미한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의 실 폭은 예를 들어 1.0~4.0mm이고, 바람직하게는 1.5~3.5m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3.2mm이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는 예를 들어 2.0~25.0개/25mm로 병렬되고, 바람직하게는 2.0~10.0개/25mm로 병렬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6.0개/25mm로 병렬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2~6.0개/25mm로 병렬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5~6.0개/25mm로 병렬되고,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3.0~5.5개/25mm로 병렬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4.0~5.0개/25mm로 병렬된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의 실 간격은 예를 들어 1.0~20.0mm이고, 바람직하게는 2.0~15.0m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15.0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8.0mm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0~10.0mm이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상기 제1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3)는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와 동일한 특징을 갖는 멀티필라멘트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3)는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와 동일한 사조일 수도 있고 다른 실조일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상기 제1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3)는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와 사교하고 있고, 상기 제1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3)와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가 이루는 각도는 예를 들어 40~70°이고, 바람직하게는 40~6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5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3~47°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45°이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3)는 예를 들어 1.4~14.0개/25mm로 병렬되고, 바람직하게는 1.4~10.5개/25mm로 병렬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7.0개/25mm로 병렬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4~4.2개/25mm로 병렬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1~3.9개/25mm로 병렬되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2.8~3.5개/25mm로 병렬된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3)의 실 간격은 예를 들어 1.5~20.0mm이고, 바람직하게는 2.0~20.0m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20.0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15.0mm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0~9.5mm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0~9.0mm이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상기 제2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4)는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와 같은 특징을 갖는 멀티필라멘트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4)는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와 동일한 사조일 수도 있고 다른 사조일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상기 제2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4)는 상기 제1 사교 멀티 필라멘트사(3)와 반대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와 사교하고 있고, 상기 제2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4)와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가 이루는 각도는 예를 들어 40~70°이고, 바람직하게는 40~6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5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3~47°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45°이다. 또한 상기 제2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4)는 상기 제1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3)와 직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2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4)는 예를 들어 1.4~14.0개/25mm로 병렬되고, 바람직하게는 1.4~10.5개/25mm로 병렬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7.0개/25mm로 병렬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4~4.2개/25mm로 병렬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1~3.9개/25mm로 병렬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8~3.5개/25mm로 병렬된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2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4)의 실 간격은 예를 들어 1.5~20.0mm이고, 바람직하게는 2.0~20.0m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20.0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15.0mm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0~9.5mm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0~9.0mm이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상기 직교 멀티필라멘트사조(5)는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와 동일한 특징을 갖는 멀티필라멘트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직교 멀티필라멘트사조(5)는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와 동일한 사조일 수도 있고 다른 사조일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직교 멀티필라멘트사조(5)는 예를 들어 2.0~25.0개/25mm로 병렬되고, 바람직하게는 2.0~10.0개/25mm로 병렬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6.0개/25mm로 병렬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6.0개/25mm로 병렬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0~5.5개/25mm로 병렬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4.0~5.0개/25mm로 병렬된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직교 멀티필라멘트사조(5)의 실 간격은 예를 들어 1.0~20.0mm이고, 바람직하게는 1.0~15.0m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15.0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12.0mm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0~9.5mm이고,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3.0~8.0mm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4.0~7.0mm이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 및 상기 교차 멀티필라멘트사조(즉 제1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3), 제2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4) 및 직교 멀티필라멘트사조(5))는 접착 수지로 피복되어 있다. 접착 수지는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와 상하 방향에서 인접하는 교차 멀티필라멘트사조, 또는 상하 방향에서 인접하는 교차 멀티필라멘트사조들(예를 들어 제1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3)와 제2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4))을 그 교점에서 고정하고, 또한 다축 부직포(1)와 타일 등의 피접착물과의 접착에 기여한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지는 100℃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이 25~55°의 범위에 있다. 상기 위상각이 25° 미만이면 타일을 접착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축 부직포에 있어서 상기 위상각이 55° 초과이면 다축 부직포의 보형성이 저하된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지의 100℃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은, 먼저 상기 접착 수지를 300㎛ 두께의 필름형으로 가공하여 측정 샘플을 조제하고, 이어서, 얻어진 측정 샘플에 대해 Bohlin CVO 레오미터(Malvern Instruments사;
Figure pct00001
20mm 패러렐 콘 사용; 측정 주파수 5Hz; 측정 온도 범위 30~120℃; 승온 속도 10℃/분)에 의해 각 온도에서의 위상각을 측정하고, 측정 온도가 100℃일 때의 위상각을 읽음으로써 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측정 샘플은, 클로로포름, 톨루엔 등의 접착 수지를 용해 가능한 용매를 이용하여 다축 부직포(1)로부터 접착 수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접착 수지를 필름형으로 가공함으로써도 조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지는 100℃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이, 다축 부직포(1)에 타일을 보다 효율적으로 접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바람직하게는 46~55°의 범위에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7~55°의 범위에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8~54о의 범위에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49~53°의 범위에 있다.
상기 접착 수지의 100℃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은 통상, 상기 접착 수지로서 융점이 낮은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 수지의 100℃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은, 상기 접착 수지가 열가소성 수지와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 비율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지는 50℃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이 예를 들어 3~20°의 범위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5~15°의 범위에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14°의 범위에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12°의 범위에 있다. 아울러 상기 접착 수지의 50℃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은, 측정 온도가 100℃일 때 대신에 50℃일 때의 위상각을 읽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접착 수지의 100℃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수지와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 수지가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은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 열 기계 분석(TMA), 시차열·열중량 동시 측정(TG-DTA), 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법(FT-IR),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GC-MS),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측정(NMR) 등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융점이 70~150℃인 열가소성 수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융점이 75~105℃인 열가소성 수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융점이 80~90℃인 열가소성 수지이다. 아울러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은 JIS K 7121:2012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지가 포함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를 예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다축 부직포의 보형성의 향상에 기여하므로 바람직하게는 유리 전이 온도가 20℃ 이하인 열경화성 수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리 전이 온도가 -10~20℃인 열경화성 수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리 전이 온도가 -5~15℃인 열경화성 수지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리 전이 온도가 -3~12℃인 열경화성 수지이다. 아울러 열경화성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JIS K 7121:2012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클로로포름, 톨루엔 등의 접착 수지를 용해 가능한 용매를 이용하여 다축 부직포(1)로부터 접착 수지를 추출하고, 열가소성 수지는 용해하지 않고 열경화성 수지를 용해하는 용매를 적절히 이용함으로써 단리된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하여도 열경화성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지가 포함할 수 있는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 초산비닐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지가 열가소성 수지와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열경화성 수지에 대한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 비율(질량비;열가소성 수지/열경화성 수지)은 예를 들어 94/6~55/45의 범위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93/7~80/20의 범위에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2/8~85/15의 범위에 있다. 아울러 열경화성 수지에 대한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 비율은 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법(FT-IR),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GC-MS) 등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지가 열가소성 수지와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접착 수지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열경화성 수지가 혼합되어 1층의 접착 수지층으로서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 및 상기 교차 멀티필라멘트사조를 피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 및 상기 교차 멀티필라멘트사조의 표면에 열경화성 수지층이 형성되고 그 위에 열가소성 수지층이 형성되는 것과 같이, 상기 접착 수지는 2층으로 이루어지는 접착 수지층으로서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 및 상기 교차 멀티필라멘트사조를 피복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의 생산성을 위해서는, 상기 접착 수지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열경화성 수지가 혼합되어 1층의 접착 수지층으로서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 및 상기 교차 멀티필라멘트사조를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제2005-163220호 공보에 기재된 제조 장치를 적절히 설계 변경함으로써 제조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의 단위면적 당 중량은 예를 들어 50~250g/m2이고, 바람직하게는 60~200g/m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150g/m2이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0~700㎛이고, 바람직하게는 200~55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450㎛이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의 질량에 대한 접착 수지의 질량의 비율은 예를 들어 10~40질량%이고, 바람직하게는 15~35질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30질량%이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의 질량에 대한 접착 수지의 질량의 비율은 다축 부직포(1)를 구성하는 멀티필라멘트사조가 무기 섬유사인 경우, JIS R 3420:2013에 준거한 강열 감량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는 타일 유닛용으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그 외에도 부직포용 보강재, 필름용 보강재 및 알루미늄박용 보강재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타일 유닛은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와 복수개의 타일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타일은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의 접착 수지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 상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타일 유닛에 사용되는 복수개의 타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건축물 외벽용 타일이나 건축물 내장용 타일을 사용할 수 있다. 타일의 개수는 예를 들어 10~100개이다.
본 실시 형태의 타일 유닛은 일 양태에 있어서, 도 4에 도시한 제조 장치(11)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제조 장치(11)에서는,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를 심재(12)로부터 닙 롤러(nip roller)(13)를 통해 인출하여 제1 컨베이어(14)로 반송하면서, 제1 컨베이어(14)의 도중에 마련된 커터(15)로 소정의 사이즈로 절단한다. 이어서, 소정의 사이즈로 절단된 다축 부직포(1)를 제2 컨베이어(16)로 반송되는 타일 세트(17)(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타일)에 적층하고, 얻어진 적층물을 가열로(18)로 100~300℃의 조건에서 1~20분간 가열한 후 플레이트식 압착 장치(19)를 이용하여 0.1~1.0MPa의 압력으로 압착한다. 그리고, 압착 후의 상기 적층물을 냉각 블로우(20)로 냉각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의 타일 유닛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타일 유닛은 다른 양태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제조 장치(21)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제조 장치(21)에서는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를 심재(12)로부터 닙 롤러(13)를 통해 인출하여 제1 컨베이어(14)로 반송하면서, 제1 컨베이어(14)의 도중에 설치된 커터(15)로 소정의 사이즈로 절단한다. 이어서, 소정의 사이즈로 절단된 다축 부직포(1)를 제2 컨베이어(16)로 반송되는 타일 세트(17)에 적층한다. 타일 세트(17)는 제2 컨베이어(16)의 바로 위에 마련된 가열 히터(22)로 100~300℃의 조건에서 10~60초간 가열되고 있다. 이어서, 가열된 타일 세트(17)와 소정의 사이즈로 절단된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를 적층하고, 얻어진 적층물을 플레이트식 압착 장치(19)를 이용하여 0.1~1.0MPa의 압력으로 압착한다. 그리고, 압착 후의 상기 적층물을 냉각 블로우(20)로 냉각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의 타일 유닛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타일 유닛은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제조 장치(31)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제조 장치(31)에서는 본 실시 형태의 다축 부직포(1)를 심재(12)로부터 닙 롤러(13)를 통해 인출하여 제1 컨베이어(14)로 반송하면서, 제1 컨베이어(14)의 도중에 설치된 커터(15)로 소정의 사이즈로 절단한다. 이어서, 소정의 사이즈로 절단 된 다축 부직포(1)를 제2 컨베이어(16)로 반송되는 타일 세트(17)에 적층하고, 얻어진 적층물을 스틸 가열 벨트(32)로 100~300℃0.1~1.0MPa의 조건에서 10~60초간 가열 압착한다. 이어서, 열압착된 상기 적층물을 냉각 롤러(33)를 이용하여 0.1~1.0MPa의 압력으로 압착하면서 냉각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의 타일 유닛을 얻을 수 있다. 냉각 롤러(33)는 냉각수 탱크(34)로부터 순환 펌프(35), 칠러(chiller)(36)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고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 제1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3) 및 제2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4)로서, 필라멘트경 9㎛의 필라멘트가 800개 집속되는 135tex의 E 유리 조성을 구비하는 유리 섬유사와, 이 유리 섬유사들을 피복하는 접착 수지를 이용하여 실시예 1의 다축 부직포(1)(3축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 접착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로서의 융점이 85℃인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와 유리 전이 온도가 10℃인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를 질량비 9:1로 혼합한 혼합물이다. 또한 상기 접착 수지는 100℃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이 51°이고, 50℃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이 10°이다. 본 실시예의 다축 부직포(1)의 단위면적 당 질량은 100g/m2이고, 두께는 390㎛이고, 다축 부직포(1)의 질량에 대한 접착 수지의 질량의 비율은 24질량%였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다축 부직포(1)에 대해 다음과 같이 하여 보형성 및 타일 접착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보형성의 평가방법]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다축 부직포(1)를 A4 사이즈로 재단하고, 초산비닐계 접착제가 도포된 타일 8장을 적층하고, 100℃0.5MPa로 압착하여 평가 샘플을 작성했다. 이어서, 평가 샘플을 50℃로 가열된 오븐 내에 오븐 상부로부터 매달린 상태로 30분간 보관 유지했다. 그 후, 오븐에서 평가 샘플을 꺼내어 외관을 관찰하여 형상에 변화가 없는 경우를 “A”, 처짐 등의 경미한 형상의 변화가 있는 경우를 “B”, 교점 박리 등의 큰 형상의 변화가 있는 경우를 “C”로 평가했다.
[타일 접착성의 평가 방법]
실시예 1의 다축 부직포(1) 상에, 표면 온도가 90℃ 또는 100℃가 되도록 가열된 타일 8개를 배치하여 0.5MPa로 압착했다. 타일이 압착된 다축 부직포(1)를 수직으로 들어 올려도 8장의 타일 전부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경우, 다축 부직포(1)에 타일을 접착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표면 온도가 90℃ 및 100℃가 되도록 가열된 타일을 접착 가능한 경우에 다축 부직포(1)의 타일 접착성을 “A”, 표면 온도가 90℃가 되도록 가열된 타일은 접착할 수 없으나, 표면 온도가 100℃가 되도록 가열된 타일을 접착 가능한 경우에 다축 부직포(1)의 타일 접착성을 “B”, 표면 온도가 90℃ 및 100℃가 되도록 가열된 타일을 접착할 수 없는 경우에 다축 부직포(1)의 타일 접착성을 “C”로 평가했다.
[실시예 2]
접착 수지로서, 열가소성 수지로서의 융점이 85℃인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와 유리 전이 온도가 10℃인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를 질량비 6:4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본 실시예의 다축 부직포(1)(3축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 접착 수지는 100℃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이 31°이고, 50℃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이 12°이다. 본 실시예의 다축 부직포(1)의 단위면적 당 질량은 100g/m2이고, 두께는 380㎛이고, 다축 부직포(1)의 질량에 대한 접착 수지의 질량의 비율은 26질량%였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다축 부직포(1)에 대해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보형성 및 타일 접착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3]
접착 수지로서, 열가소성 수지로서의 융점이 85℃인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와 유리 전이 온도가 30℃인 초산비닐수지를 질량비 9:1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본 실시예의 다축 부직포(1)(3축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 접착 수지는 100℃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이 41°이고, 50℃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이 8°이다. 본 실시예의 다축 부직포(1)의 단위면적 당 질량은 100g/m2이고, 두께는 390㎛이고, 다축 부직포(1)의 질량에 대한 접착 수지의 질량의 비율은 25질량%였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다축 부직포(1)에 대해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보형성 및 타일 접착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비교예 1]
접착 수지로서, 열가소성 수지로서의 융점이 85℃인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와 유리 전이 온도가 9℃인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를 질량비 4:6으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본 비교예의 다축 부직포(1)(3축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 접착 수지는 100℃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이 15°이고, 50℃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이 16°이다. 본 비교예의 다축 부직포(1)의 단위면적 당 질량은 100g/m2이고, 두께는 390㎛이고, 다축 부직포(1)의 질량에 대한 접착 수지의 질량의 비율은 25질량%였다.
이어서, 본 비교예의 다축 부직포(1)에 대해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보형성 및 타일 접착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비교예 2]
접착 수지로서, 열가소성 수지로서의 융점이 85℃인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와 유리 전이 온도가 10℃인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를 질량비 95:5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본 비교예의 다축 부직포(1)(3축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 접착 수지는 100℃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이 59°이고, 50℃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이 7°이다. 본 비교예의 다축 부직포(1)의 단위면적 당 질량은 100g/m2이고, 두께는 390㎛이고, 다축 부직포(1)의 질량에 대한 접착 수지의 질량의 비율은 25질량%였다.
이어서, 본 비교예의 다축 부직포(1)에 대해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보형성 및 타일 접착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비교예 3]
접착 수지로서 열가소성 수지로서의 융점이 130℃인 폴리 아미드 수지와 유리 전이 온도가 10℃인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를 질량비 9:1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본 비교예의 다축 부직포(1)(3축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 접착 수지는 100℃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이 9°이고, 50℃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이 15°이다. 본 비교예의 다축 부직포(1)의 단위면적 당 질량은 100g/m2이고, 두께는 380㎛이고, 다축 부직포(1)의 질량에 대한 접착 수지의 질량의 비율은 24질량%였다.
이어서, 본 비교예의 다축 부직포(1)에 대해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보형성 및 타일 접착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비교예 4]
접착 수지로서, 열가소성 수지로서의 융점이 85℃인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만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본 비교예의 다축 부직포(1)(3축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 접착 수지는, 100℃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이 63°이고, 50℃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이 9°이다. 본 비교예의 다축 부직포(1)의 단위면적 당 질량은 100g/m2이고, 두께는 390㎛이고, 다축 부직포(1)의 질량에 대한 접착 수지의 질량의 비율은 25질량%였다.
이어서, 본 비교예의 다축 부직포(1)에 대해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보형성을 평가했다. 아울러 본 비교예의 다축 부직포(1)는 보형성의 평가시에, 타일 압착시의 열로 변형이 발생할 정도로 보형성이 낮아 타일 유닛의 기재로서 부적격하다고 판단하여 타일 접착성의 평가를 실시하지 않았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비교예 5]
접착 수지로서 유리 전이 온도가 10℃인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본 비교예의 다축 부직포(1)(3축 부직포)를 얻었다. 상기 접착 수지는 100℃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이 14°이고, 50℃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이 17°이다. 본 비교예의 다축 부직포(1)의 단위면적 당 질량은 87g/m2이고, 두께는 280㎛이고, 다축 부직포(1)의 질량에 대한 접착 수지의 질량의 비율은 13질량%였다. 이어서, 본 비교예의 다축 부직포(1)에 대해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보형성 및 타일 접착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 유리 섬유사 유리 섬유사 유리 섬유사
제1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3) 유리 섬유사 유리 섬유사 유리 섬유사
제2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4) 유리 섬유사 유리 섬유사 유리 섬유사
접착수지 열가소성 수지 종류 에틸렌-아크릴 에틸렌-초산비닐 에틸렌-초산비닐
융점(℃) 85 85 85
열경화성 수지 종류 열경화성 아크릴 열경화성 아크릴 초산비닐
유리 전이 온도(℃) 10 10 30
위상각@100℃·5Hz(°) 51 31 41
위상각@50℃·5Hz(°) 10 12 8
보형성 A A B
타일 접착성 A B B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 유리 섬유사 유리 섬유사 유리 섬유사
제1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3) 유리 섬유사 유리 섬유사 유리 섬유사
제2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4) 유리 섬유사 유리 섬유사 유리 섬유사
접착수지 열가소성 수지 종류 에틸렌-초산비닐 에틸렌-초산비닐 폴리아미드
융점(℃) 85 85 130
열경화성 수지 종류 열경화성 아크릴 열경화성 아크릴 열경화성 아크릴
유리 전이 온도(℃) 10 10 30
위상각@100℃·5Hz(°) 15 59 9
위상각@50℃·5Hz(°) 16 7 15
보형성 A C B
타일 접착성 C A C
비교예 4 비교예 5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2) 유리 섬유사 유리 섬유사
제1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3) 유리 섬유사 유리 섬유사
제2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4) 유리 섬유사 유리 섬유사
접착수지 열가소성 수지 종류 에틸렌-초산비닐 -
융점(℃) 85 -
열경화성 수지 종류 - 열경화성 아크릴
유리 전이 온도(℃) - 10
위상각@100℃·5Hz(°) 63 14
위상각@50℃·5Hz(°) 9 17
보형성 C A
타일 접착성 - C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수지의 100℃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이 25~55°에 있는 실시예 1~3의 다축 부직포(1)는 우수한 보형성 및 타일 접착성을 가짐이 명백하다. 한편, 표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수지의 100℃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이 25° 미만 또는 55° 초과인 비교예 1~5의 다축 부직포(1)는 충분한 보형성 또는 타일 접착성을 갖지 않음이 명백하다.
1…다축 부직포, 2…제1 멀티필라멘트사조, 3…제1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 4…제2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 5…직교 멀티필라멘트사조, 11…제조 장치, 12…심재, 13…닙 롤러, 14…제1 컨베이어, 15…커터, 16…제2 컨베이어, 17…타일 세트, 18…가열로, 19…플레이트 압착 장치, 20…냉각 블로우, 21…제조 장치, 22…가열 히터, 31…제조 장치, 32…스팀 가열 벨트, 33…냉각 롤러, 34…냉각수 탱크, 35…순환 펌프, 36…칠러

Claims (9)

  1. 병렬된 복수의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와,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와 교차하는 복수의 교차 멀티필라멘트사조를 포함하는, 다축 부직포로서,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 및 상기 교차 멀티필라멘트사조가 접착 수지로 피복되어 있고,
    상기 접착 수지의 100℃, 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이 25~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부직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지가 열가소성 수지와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부직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수지가, 유리 전이 온도가 20℃ 이하인 열경화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부직포.
  4. 제1항~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지의 100℃, 주파수 5Hz의 조건에서 회전식 레오미터로 측정한 위상각이 46~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부직포.
  5. 제1항~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필라멘트사조가 유리 섬유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부직포.
  6. 제1항~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교차 멀티필라멘트사조가,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와 사교하는 복수의 제1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와,
    상기 제1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와 반대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에 사교하는 복수의 제2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부직포.
  7. 제1항~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교차 멀티필라멘트사조가,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와 직교하는 복수의 직교 멀티필라멘트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부직포.
  8. 제1항~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교차 멀티필라멘트사조가,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와 직교하는 복수의 직교 멀티필라멘트사조와,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와 사교하는 복수의 제1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와,
    상기 제1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와 반대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사조에 사교하는 복수의 제2 사교 멀티필라멘트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부직포.
  9. 제1항~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축 부직포와, 복수개의 타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유닛.
KR1020227023279A 2020-05-29 2021-05-26 다축 부직포 및 타일 유닛 KR202300171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93940 2020-05-29
JP2020093940 2020-05-29
PCT/JP2021/019966 WO2021241630A1 (ja) 2020-05-29 2021-05-26 多軸不織布及びタイルユニ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159A true KR20230017159A (ko) 2023-02-03

Family

ID=78744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3279A KR20230017159A (ko) 2020-05-29 2021-05-26 다축 부직포 및 타일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1241630A1 (ko)
KR (1) KR20230017159A (ko)
CN (1) CN115516150A (ko)
TW (1) TW202206665A (ko)
WO (1) WO20212416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10406B2 (ja) * 2020-07-01 2024-01-10 日東紡績株式会社 接着性多軸不織布及びタイルユニット
JP7452364B2 (ja) * 2020-09-30 2024-03-19 東洋紡エムシー株式会社 サスティナブル網状構造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8603A (ja) 2007-10-30 2009-05-21 Sugie Seito Kk タイ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19026945A (ja) 2017-07-26 2019-02-21 旭化成株式会社 連続繊維不織布、複合材用強化繊維基材およびそれらの成形体ならびに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39746A1 (de) * 1977-09-03 1979-03-22 Verseid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quadronalstabilisierten textilbahn
JP4139517B2 (ja) * 1999-05-18 2008-08-27 倉敷紡績株式会社 接着基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530956B2 (ja) * 1999-07-06 2004-05-24 福井漁網株式会社 複合強化原糸を用いた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法並びに構造体
JP4449129B2 (ja) * 1999-12-21 2010-04-14 日東紡績株式会社 不織布及びユニットタイル
US7155866B2 (en) * 2002-11-05 2007-01-02 Certainteed Corporation Cementitious exterior sheathing product having improved interlaminar bond strength
US20040185734A1 (en) * 2003-03-21 2004-09-23 Gray Hugh Douglas Reinforced fabric substrat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4459680B2 (ja) * 2004-03-30 2010-04-28 日東紡績株式会社 不織布の製造方法及び不織布
JP2007056582A (ja) * 2005-08-25 2007-03-08 Inax Corp タイルユニット及びその施工方法
JP4933868B2 (ja) * 2006-09-06 2012-05-16 宇部日東化成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または補強用メッシュ状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028996A (ja) * 2011-07-29 2013-02-07 Lixil Corp タイルユニット
ITBO20120472A1 (it) * 2012-09-06 2014-03-07 Sailmaker Internat S P A Griglia reticolare multiassia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8603A (ja) 2007-10-30 2009-05-21 Sugie Seito Kk タイ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19026945A (ja) 2017-07-26 2019-02-21 旭化成株式会社 連続繊維不織布、複合材用強化繊維基材およびそれらの成形体ならびに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41630A1 (ja) 2021-12-02
TW202206665A (zh) 2022-02-16
CN115516150A (zh) 2022-12-23
JPWO2021241630A1 (ko)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17159A (ko) 다축 부직포 및 타일 유닛
USRE46859E1 (en) Composite laminate for a thermal and acoustic insulation blanket
JP5215842B2 (ja) ポリマーテープの貼合せシートの製造法ならびに貼合せシートおよび該貼合せシートの使用
US10035727B2 (en) Glass compositions, fiberizable glass compositions, and glass fibers made therefrom
CN1950199B (zh) 具有表面覆盖层的纤维增强的热塑性片材
JP4278678B2 (ja) サンドイッチパネル
US9993991B2 (en) Composite panel for floors or wallcovering componen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panel
CN101134380A (zh) 具有表面覆盖层的纤维增强的热塑性片材
US20080131645A1 (en) Sandwich panel
TW201217295A (en) Low density and high strength fiber glass for reinforcement applications
JP2007160587A (ja) 多層基材、プリフォームおよびプリフォーム製造方法
US20100261398A1 (en) Fiberglass corespun fabrics for use in flame resistant drywall installations
US9261333B2 (en) Flame retardant ballistic laminate
CN211363784U (zh) 一种超韧高强阻燃复合板
CA2811273A1 (en) Low density and high strength fiber glass for ballistic applications
US20040117958A1 (en) High temperature needle-felts with woven basalt scrims
KR102315321B1 (ko) 건축용 단열재의 표면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
JP2007125745A (ja) ガラス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材、ガラス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プリプレグ、ガラス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層及びlngタンク
US20190376212A1 (en) Double fabric for fiber reinforced composites
JP5855869B2 (ja) 繊維強化樹脂成形体及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内装材
JP2016164320A (ja) 耐熱性多軸ステッチ基材
KR101451178B1 (ko) 불연성 탄소섬유 하드 패널의 제조방법
JP2011219958A (ja) 畳芯材構成用ガラス長繊維クロス樹脂含浸シート、及び畳芯材構成用多層ガラス長繊維クロス樹脂含浸シート、並びに畳芯材、及び畳
CN216373638U (zh) 一种耐蚀玻璃纤维复合材料
US20240051258A1 (en) Fire-resistant composite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