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586A - 워킹카용 적재함 구조 - Google Patents
워킹카용 적재함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14586A KR20230014586A KR1020210096080A KR20210096080A KR20230014586A KR 20230014586 A KR20230014586 A KR 20230014586A KR 1020210096080 A KR1020210096080 A KR 1020210096080A KR 20210096080 A KR20210096080 A KR 20210096080A KR 20230014586 A KR20230014586 A KR 202300145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ading box
- side panel
- panel
- door
- load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8883 loss of bal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8—Tipping body constructions
- B60P1/283—Elements of tipping devices
- B60P1/286—Loading buck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6—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ilboards or sideboar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37—Latching mean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78—Recycling of wood or furniture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킹카용 적재함 구조를 적재물 입자 간에 또는 구조물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하여 단위면적이 받는 하중에 대한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적재함의 외형이 변형되거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워킹카 적재함 구조에 관한 것으로, 화물이 상하차되는 수평상태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 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전면패널과, 바닥면의 좌,우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측벽과, 바닥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하로 회동되면서 적재함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도어가 장착된 적재함이 구비되고, 적재함의 바닥면에는 적재물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적재물의 하차시 안정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워킹플로어가 장착된 워킹카용 적재함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좌,우 양측에는 측벽을 구성하도록 사이드패널을 장착하되, 사이드패널이 사이드패널의 양측단에서 수직으로 사이드패널을 지지하는 엣지프레임과, 사이드패널의 상단과 하단에 장착되어 엣지프레임과 연결되어 사이드패널을 지지하는 수평프레임과, 상단 수평프레임과 하단 수평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장착되는 버팀대에 의하여 사이드패널이 보강구조를 갖도록 하고, 상기 버팀대는 사이드패널 상단의 하중을 하부측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상단의 수평프레임과 하단의 수평프레임의 중앙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수직 버팀대와, 상기 사이드패널 중앙 상단의 하중을 적재함 하단으로 분산되게 전달하기 위한 경사 버팀대를 포함하도록 하고, 수직 버팀대를 사이드패널의 중앙에 복수로 구성하면서 그 양측으로 하양 경사지게 경사 버팀대를 등간격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하여 사이드패널 중앙 상단으로 집중되는 하중을 사이드패널 하부측으로 고르게 분산시켜 사이드패널의 보강이 이루어지고 고하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적재함의 후방에는 적재함 상단에 힌지 고정되어 상,하로 회동작동하면서 적재함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리어도어를 구비하고, 리어도어는 도어패널의 상단에 장착된 브라켓이 적재함 상단과 고정축에 의하여 축결합되어 상,하 회동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구동장치의 샤프트의 왕복 작동에 의하여 고정축과 위치를 달리하는 가동축에 동력을 전달하여 리어도어의 개폐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자동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도어패널의 브라켓이 고정축에서 상,하 유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도어패널을 체결하기 위한 구조가 상,하 승강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락킹부와 단속구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리어도어가 기밀성 있게 체결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우드칩이나 곡물과 같은 화물을 운송할 때 바닥을 움직여 적재물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하차시 적재물을 안정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워킹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워킹카용 적재함 구조를 적재물 입자 간에 또는 구조물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하여 단위면적이 받는 하중에 대한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적재함의 외형이 변형되거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워킹카 적재함 구조에 관한 것이다.
워킹카는 벌크 형태인 우드칩이나 곡물, 사료, 광석 등 다양한 자재 및 재료를 대량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특수자동차를 말하는 것으로, 운반물의 종류에 따라 곡물덤프차, 우드칩 운반차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워킹카의 적재함에는 유압 실린더로 바닥을 움직여 그 위에 적재된 각종 재료 및 벌크 자재, 가공품, 완제품 등을 마찰력을 이용하여 이송하거나 적재, 토출하도록 구성되며, 그 바닥은 바닥은 적재물 성상에 따른 다양한 모양과 재질의 프로파일이 장착된 워킹플로어가 구비된다.
그리고 적재물을 적재함에 상차할 때 워킹플로어에 의하여 벌크형태의 적재물을 안정화시켜 덤프 트럭에 비해 더욱 많은 적재용량을 확보함은 물론, 도심 건물사이나 바닥이 고르지 못한 작업장에서 전복의 위험이 없이 안전하게 적재물의 상,하차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입자가 작은 것들을 마찰력을 이용하여 적재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적재물이 많이 쌓일수록 수평방향에 대한 하중에 증가하고 적재함의 양 측벽이 부풀어 오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특히 이 하중에 상대적으로 강성이 약한 사이드패널의 중심부에 집중되면서 측벽에 발생하는 휨모멘트를 사이드패널이 견디지 못하고 파괴되면서 균형이 붕괴되는 문제가 있음은 물론, 이러한 변형으로 인하여 적재함 전체의 변형 및 손상을 초래하고 지지능력이 상실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적재물의 종류에 따라서 적재함 내부에서 적재물 입자 간에 발생하는 응력과 구조물의 접촉물 사이에서 발생하는 힘에 의하여 발생하는 압력등을 고려하여 측벽의 두께 및 구조 설계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압력크기나 방향을 잘못 고려한 경우 측벽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적재함의 사용시간을 단축하며, 적재함 자체를 다시 제작하거나 부분 교체하는 등의 유지보수를 위한 추가비용이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특정된 일부의 적재물에 대한 두께 및 구조 설계가 이루어질 경우 용도가 한정된다는 문제가 있으며, 여러 적재물을 대상으로 강도를 충분히 향상시키기 위하여 소재 자체를 두껍게 제작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적재함 자체의 중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공차중량이 늘어나게 되며, 이는 결국 적재용량이 감소하는 결과를 수반한다.
따라서 적재함의 보강을 위한 여러 방법, 예를 들면 사이드패널에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철판을 추가 용접하여 보강을 하거나, 또는 사이드패널 바깥쪽에 판스프링(일명: 하시라)을 장착하여 적재함을 보강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별도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철판을 추가 용접하는 방식은 공차중량이 너무 늘어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판스프링을 장착하는 방식은 도로위에서 충격이 발생할 때 판스프링이 떨어져 나가면서 대형사고로 이어지고, 다른 차량의 앞유리를 뚫고 들어가 운전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안전상 문제를 초래한다.
한편, 워킹카 적재함의 후방에는 리어도어가 장착되어 적재물을 토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최근에는 자동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오토 리어도어가 주로 사용되는데, 종래와 같이 적재물 압력에 의하여 사이드패널이 변형되는 경우 적재함 후방에 장착된 리어도어가 연계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장착상태가 손상되거나 변형될 우려가 있으며, 그로 인하여 오작동이나 고장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적재물의 압력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재함이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적재중량에 따른 적재함의 변형 및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적재함의 공차중량을 낮추고 적재함의 설치높이를 낮게 하여 적재부피를 더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적재함 후면에 형성된 리어도어를 활용한 적재함의 단속이 긴밀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인출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화물이 상하차되는 수평상태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 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전면패널과, 바닥면의 좌,우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측벽과, 바닥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하로 회동되면서 적재함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도어가 장착된 적재함이 구비되고, 적재함의 바닥면에는 적재물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적재물의 하차시 안정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워킹플로어가 장착된 워킹카용 적재함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좌,우 양측에는 측벽을 구성하도록 사이드패널을 장착하되, 사이드패널이 사이드패널의 양측단에서 수직으로 사이드패널을 지지하는 엣지프레임과, 사이드패널의 상단과 하단에 장착되어 엣지프레임과 연결되어 사이드패널을 지지하는 수평프레임과, 상단 수평프레임과 하단 수평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장착되는 버팀대에 의하여 사이드패널이 보강구조를 갖도록 하고, 상기 버팀대는 사이드패널 상단의 하중을 하부측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상단의 수평프레임과 하단의 수평프레임의 중앙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수직 버팀대와, 상기 사이드패널 중앙 상단의 하중을 적재함 하단으로 분산되게 전달하기 위한 경사 버팀대를 포함하도록 하고, 수직 버팀대를 사이드패널의 중앙에 복수로 구성하면서 그 양측으로 하양 경사지게 경사 버팀대를 등간격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하여 사이드패널 중앙 상단으로 집중되는 하중을 사이드패널 하부측으로 고르게 분산시켜 사이드패널의 보강이 이루어지고 고하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적재함의 후방에는 적재함 상단에 힌지 고정되어 상,하로 회동작동하면서 적재함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리어도어를 구비하고, 리어도어는 도어패널의 상단에 장착된 브라켓이 적재함 상단과 고정축에 의하여 축결합되어 상,하 회동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구동장치의 샤프트의 왕복 작동에 의하여 고정축과 위치를 달리하는 가동축에 동력을 전달하여 리어도어의 개폐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자동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도어패널의 브라켓이 고정축에서 상,하 유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도어패널을 체결하기 위한 구조가 상,하 승강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락킹부와 단속구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리어도어가 기밀성 있게 체결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워킹카용 적재함 구조에 의하면, 적재함 자체의 강성을 보강하고 적재함 내에서 압력분포가 균일하게 이루어져 물품을 적재하였을 경우 그 하중이 하대에 균등하게 분산되어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행 중 진동이나 충격에 따른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출고 후에 철판을 덧대거나 판스프링 등의 추가적인 보강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적재함의 장착구조를 간소화하고, 적재함 자체가 보강되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공차 중량을 감소시키고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적재물의 인출을 위하여 적재함 후면에는 자동 리어도어를 마련하고, 그 리어도어가 긴밀히 적재함을 밀폐시키면서도 견고하게 적재함에 설치되어 변형이나 손상 등에 의한 오작동 등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개폐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재함이 워킹카에 장착된 상태의 외관도
도 2은 도 1의 워킹카 적재함의 보강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적재함의 외관도
도 4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워킹카 적재함의 후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워킹카 적재함의 리어도어 장착구조도
도 6은 도 5의 리어도어 개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적재함 후방의 리어도어 장착구조도
도 8은 도 7의 리어도어 도어패널과 구동장치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리어구조 개폐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리어도어 개방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11은 도 10의 브라켓 절첩 구조를 나타낸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리어도어의 락킹구조도
도 13은 도 12의 도어패널의 측면 락킹구조를 나타낸 상세도
도 14는 도 12의 도어패널의 하부면 락킹구조를 나타낸 상세도
도 2은 도 1의 워킹카 적재함의 보강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적재함의 외관도
도 4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워킹카 적재함의 후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워킹카 적재함의 리어도어 장착구조도
도 6은 도 5의 리어도어 개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적재함 후방의 리어도어 장착구조도
도 8은 도 7의 리어도어 도어패널과 구동장치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리어구조 개폐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리어도어 개방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11은 도 10의 브라켓 절첩 구조를 나타낸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리어도어의 락킹구조도
도 13은 도 12의 도어패널의 측면 락킹구조를 나타낸 상세도
도 14는 도 12의 도어패널의 하부면 락킹구조를 나타낸 상세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워킹카용 적재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이 상하차되는 수평상태의 바닥면(12)과, 상기 바닥면 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전면패널(14)과, 바닥면의 좌,우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측벽(16)과, 바닥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하로 회동되면서 적재함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어(18)가 장착되어 구성되며, 적재함(10)의 바닥면에는 적재물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적재물의 하차시 안정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워킹플로어가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적재함(10)의 좌,우 양측에는 측벽(16)을 구성하도록 사이드패널(100)이 장착되되, 사이드패널(100)에는 사이드패널의 양측단에서 수직으로 사이드패널을 지지하는 엣지프레임(120)과, 사이드패널의 상단과 하단에 장착되어 엣지프레임과 연결되어 사이드패널을 지지하는 수평프레임(140)과, 상단 수평프레임과 하단 수평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장착되는 버팀대(160)에 의하여 사이드패널이 보강구조를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사이드패널(100)이 엣지프레임(120)과 수평프레임(140)과 버팀대(160)의 연결 구조에 의하여 내하중이 향상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사이드패널(100)은 적재함(10)의 바닥면(12)에서 수직으로 직립되게 장착될 수 있는 것으로, 그 재질은 강도, 인성, 경도가 높은 금속판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긁힘과 찍힘에 대한 저항이 높은 내마모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패널(100)은 테두리 부분이 엣지프레임(120)과 수평프레임(140)에 용접하여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바닥면의 상단에 직립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이드패널(100)에는 버팀대(160)가 용접에 의하여 장착되어 사이드패널(100)에 내하중이 발생하는 경우 사이드패널(100) 상단의 하중을 하부측으로 전달하여 하중이 분산되게 한 것으로, 상기 버팀대(160)는 사이드패널 상단의 하중을 하부측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상단의 수평프레임과 하단의 수평프레임의 중앙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수직 버팀대(162)와, 상기 사이드패널 중앙 상단의 하중을 적재함 하단으로 분산되게 전달하기 위한 경사 버팀대(1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워킹카에 적재되는 적재물들은 입자가 작은 것들을 마찰력을 이용하여 적재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적재물이 많이 쌓일수록 수평방향에 대한 하중에 증가하고 적재함의 양 측벽에 하중이 집중되면서 부풀어 오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상기와 같이 수직 버팀대(162)와 경사 버팀대(164)에 의하여 사이드패널의 중심부에 집중되는 하중을 적재함 하부측으로 유도하여 측벽에서 휨모멘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하중이 적재함 전체로 분산되어 균형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적재함 전체가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지능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 버팀대(162)는 측벽의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접합되는 복수의 수직 버팀대를 구성하여 상단 수평프레임(142)이 장착된 부분을 포함하여 측벽의 상단에 가해지는 하중을 하부측으로 전달하여 하중을 분산시키게 된다.
그리고 그 양측으로는 수직 버팀대를 기준으로 패널의 상부로부터 외곽측으로 기울어지게 장착된 경사 버팀대(164)가 중앙의 수직 버팀대(162)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배열되게 구성됨으로써 사이드패널의 탄성, 좌굴에 의한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때 수직 버팀대(162)를 중심으로 적재함의 전,후방으로, 즉 사이드패널의 양측으로 경사 버팀대가 대칭되게 등간격으로 배열되면서 사이드패널의 하부측 가장자리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사이드패널 중앙 상단으로 집중되는 하중을 사이드패널 하부측으로 고르게 분산시켜 사이드패널의 보강이 이루어짐은 물론 고하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양측의 최외곽의 경사 버팀대(164)는 적재함의 테두리 프레임을 통하여 하중이 분산되게 엣지프레임(120)에 하중이 전달될 수 있도록 모서리부분에 지지되게 장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적재함 보강을 위하여 사이드패널(100)에 장착되는 수직 버팀대(162)와 경사 버팀대(16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절곡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버팀대(160) 단면은 양측에 직립면이 형성된 자 형태로 형성하거나 또하는 양측 직립면 사이가 다시 절곡된 구조로 이중 절곡부를 형성하여 자로 형성되어 버팀대 자체가 길이방향으로 보강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이중 절곡부의 하단을 직립면 하단의 높이와 대응되게 형성함으로써 버팀대를 사이드패널에 장착할 때 장착단면이 3포인트 구조로 다중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버팀대 자체의 보강이 이루어짐으로 인하여 변형을 방지하고 사이드패널의 보강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패널(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의 사이드패널(100)을 상,하로 양분하여 상부판(102)과, 하부판(104)으로 구성하면 자재비용을 절감하고 그 연결부위에서의 보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하부판(102,104)의 경계에는 연결프레임(146)을 구비하여 상,하부판의 이음새를 마감하면서 버팀대(160)와 연결되어 이중 보강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상부판(102)과 하부판(104)의 이음새 부분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절곡부를 서로 맞대어 용접이나 볼트 방식으로 고정하고, 상기 이음새 부분에는 연결프레임(146)을 장착하여 이음새 부분을 마감하면서도 연결부의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상부판(102)의 상단은 상단 수평프레임(142)에 지지되고, 하부판(104)의 하단은 하단 수평프레임(144)에 지지된 상태에서 그 이음부분이 연결프레임(146)에 의하여 가려지면서 이음부의 보강이 이루어진다.
이때, 연결프레임(146)을 이중 절곡구조로 형성하여 이음부가 수용되어 외관을 수려하게 하면서도 이음부의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중 절곡부는 ''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판(102)과 하부판(104)의 이음새 부분을 마감하면서 연결부위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내측 절곡부가 상부판(102) 또는 하부판(104) 또는 상,하부판(102,104)이 연결된 부위에 맞닿아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고하중에 의한 사이드패널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보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수평프레임(142)과 연결프레임(146)의 사이에는 보조프레임(148)을 더 장착하여 내하중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측벽의 상단부위의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연결프레임(146)과 보조프레임(148)이 높낮이를 달리하는 위치에서 수직 버팀대(162)와 경사 버팀대(164)와 엇갈려 이중 고정되기 때문에 상호 보완, 보강이 이루어지면서 보강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적재함 자체의 강성을 보강하고 적재함 내에서 압력분포가 균일하게 이루어져 물품을 적재하였을 경우 그 하중이 하대에 균등하게 분산되어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행 중 진동이나 충격에 따른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차량 출고 후에 철판을 덧대거나 판스프링 등의 추가적인 보강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적재함의 장착구조를 간소화하고, 적재함 자체가 보강되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공차 중량을 감소시키고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적재함의 후방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 상단에 힌지 고정되어 상,하로 회동작동하면서 적재함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리어도어(200)가 장착되는 것으로, 리어도어(200)는 적재함의 개구된 후방을 개방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도어패널(220)과, 도어패널(220)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작동이 이루어지는 구동장치(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패널(220)은 상단에 브라켓(222)이 장착되어 적재함 상단과 고정축(224)에 의하여 축 결합되어 도어패널(220)의 상,하 회동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240)는 실린더(242)에 샤프트(244)가 내장되어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샤프트(244)가 왕복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그 샤프트에 연결되어 있는 도어패널(220)을 상,하로 회동시켜 리어도어(200)의 개폐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244)의 선단에는 도어패널(220)의 고정축(224)과 위치를 달리하는 가동축(226)과 축 결합되어 리어도어의 개폐작동을 위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게 되며, 구동장치(240)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 또는 리모컨에 의하여 리어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브라켓(222)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이 상,하 유동가능하게 장공(223)을 형성하면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240)를 작동시키는 경우에 고정축(224)에 대하여 도어패널(220)이 유동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함께 도어패널(220)에 락킹부(260)를 형성하고 적재함의 측벽이나 바닥면에 단속구(280)를 형성하면 도 12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부(260)가 단속구(280)에 결속되어 리어도어의 임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속구(280)는 락킹부(260)가 상향 움직일 될 경우에만 락킹이 해제되도록 상부측이 개구될 수 있으며, 도어패널(220)이 구동장치(240)에 의한 제어가 없이도 도어패널(220)이 유동되지 않고 밀폐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구동장치(240)가 제어하지 않더라도 도어패널(220)의 자중에 의하여 락킹부(260)가 단속구(280)에 안착되므로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체결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반대로 리어도어(200)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구동장치(240)를 동작시키면 가동축(226)을 들어올리면서 고정축(224)이 함께 장공(223)의 범위 내에서 견인되어 들어올려지므로 락킹부(260)가 단속구(280)에 락킹된 상태를 해제되는 것이고, 이후 구동장치(240)를 계속 동작시키면 고정축(224)의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고정축(224)을 기준으로 가동축(226)이 들어올려지면서 도어패널(220)이 기울어지면서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락킹부(260)와 단속구(280)의 락킹/언락킹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어패널(220)의 측변에 형성되는 락킹부(260)는 돌출된 축으로 이루어진 제1락킹부(262)를 형성하고, 적재함의 측벽에는 그 돌출된 제1락킹부(262)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향 개구되게 내입홈(282a)이 형성되고, 그 일단에 경사면(282b)이 형성된 제1단속구(282)로 형성하여 도어패널(220)이 정위치에 락킹이 이루어지면서도 적재함 후단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도어패널(220)의 하단에에는 하향 돌출되게 제2락킹부(264)를 형성하고, 적재함의 하단에는 그 제2락킹부(264)가 수용될 수 있도록 안착부(284a)가 형성된 제2단속구(284)를 장착하여 제2락킹부(264)가 제2단속구(284)에 결속되어 리어도어의 임의 개방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락킹부(264)는 경사면(264a)이 형성되어 제2단속구의 안착부(284a)에 끼움될 때 삽입 유도가 이루어짐은 물론,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1,2락킹부(262,264) 및 제1,2단속구(282,284)의 구조를 달리함으로써 도어패널의 측변 고정과 하부변 고정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면서 상호 보완되므로 도어패널(220)이 적재함 후방에 긴밀히 결속되어 차량 운행중 충격이 발생하거나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임의로 개방되거나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적재물을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적재물의 인출을 위하여 사용자가 리어도어를 작동하는 경우에만 자동으로 개폐가 이루어지고, 리어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리어도어가 긴밀히 적재함을 밀폐시키면서도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여 부분적인 변형이나 손상 등에 의한 오작동 등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개폐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작업현장에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10: 적재함
12: 바닥면
14: 전면패널
16: 측벽 18: 리어도어
100: 사이드패널 102: 상부판 104: 하부판
120: 엣지프레임
140: 수평프레임 142: 상단 수평프레임 144: 하단 수평프레임
160: 버팀대 162: 수직 버팀대 164: 경사 버팀대
200: 리어도어
220: 도어패널 222: 브라켓 223: 장공
224: 고정축 226: 가동축
240: 구동장치 242: 실린더 244: 샤프트
260: 락킹부 262: 제1락킹부 264: 제2락킹부
280: 단속구 282: 제1단속구 284: 제2단속구
16: 측벽 18: 리어도어
100: 사이드패널 102: 상부판 104: 하부판
120: 엣지프레임
140: 수평프레임 142: 상단 수평프레임 144: 하단 수평프레임
160: 버팀대 162: 수직 버팀대 164: 경사 버팀대
200: 리어도어
220: 도어패널 222: 브라켓 223: 장공
224: 고정축 226: 가동축
240: 구동장치 242: 실린더 244: 샤프트
260: 락킹부 262: 제1락킹부 264: 제2락킹부
280: 단속구 282: 제1단속구 284: 제2단속구
Claims (6)
- 화물이 상하차되는 수평상태의 바닥면(12)과, 상기 바닥면 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전면패널(14)과, 바닥면의 좌,우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측벽(16)과, 바닥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하로 회동되면서 적재함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도어(18)가 장착된 적재함(10)이 구비되고, 적재함(10)의 바닥면에는 적재물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적재물의 하차시 안정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워킹플로어(20)가 장착된 워킹카용 적재함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0)의 좌,우 양측에는 측벽을 구성하도록 사이드패널(100)이 장착되되, 사이드패널(100)에는 사이드패널의 양측단에서 수직으로 사이드패널을 지지하는 엣지프레임(120)과, 사이드패널의 상단과 하단에 장착되어 엣지프레임과 연결되어 사이드패널을 지지하는 수평프레임(140)과, 상단 수평프레임과 하단 수평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장착되는 버팀대(160)에 의하여 사이드패널이 보강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버팀대(160)는 사이드패널 상단의 하중을 하부측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상단의 수평프레임과 하단의 수평프레임의 중앙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수직 버팀대(162)와, 상기 사이드패널 중앙 상단의 하중을 적재함 하단으로 분산되게 전달하기 위한 경사 버팀대(164)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버팀대(162)는 사이드패널의 중앙에 복수로 구성되되, 상기 경사 버팀대(140)는 수직 버팀대(120)의 양측에 사이드패널의 하부측 가장자리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 버팀대가 등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수직 버팀대(120)를 중심으로 사이드패널의 전,후방 양측으로 경사 버팀대가 대칭되게 배열되어 사이드패널 중앙 상단으로 집중되는 하중을 사이드패널 하부측으로 고르게 분산시켜 사이드패널의 보강이 이루어지고 고하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카용 적재함 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 보강을 위하여 사이드패널(100)에 장착되는 수직 버팀대(162)와 경사 버팀대(164)는 이중 절곡구조를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카용 적재함 구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패널(100)은 적재함의 측벽을 상,하로 양분하여 상부판(102)과, 하부판(104)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하부판(102,104)의 경계에는 연결프레임(146)이 구비되어 상,하부판의 이음새를 마감하면서 버팀대(160)와 연결되어 이중 보강구조를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카용 적재함 구조.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재함의 후방에는 적재함 상단에 힌지 고정되어 상,하로 회동작동하면서 적재함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리어도어(200)가 장착되고,
상기 리어도어(200)는 도어패널(220)이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왕복 작동하는 구동장치(240)에 의하여 개폐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패널(220)은 상단에 장착된 브라켓(222)이 적재함 상단과 고정축(224)에 의하여 축결합되어 상,하 회동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되, 상기 구동장치(240)는 실린더(242)에 샤프트(244)가 내장되어 왕복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샤프트(244)의 선단에는 도어패널(220)의 고정축(224)과 위치를 달리하는 가동축(226)과 축 결합되어 리어도어의 개폐작동을 위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카용 적재함 구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도어(200)는 도어패널(220)에는 락킹부(260)가 형성되어 적재함에 형성된 단속구(280)에 결속되어 리어도어의 임의 개방을 방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222)에는 브라켓이 상,하 유동가능하게 장공(223)이 형성되어 고정축(224)에 대하여 도어패널(220)이 유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단속구(280)는 락킹부(260)가 상향 움직일 될 경우에만 락킹이 해제되도록 상부측이 개구되어 도어패널(220)이 구동장치(240)에 의한 제어가 없이도 도어패널(220)이 유동되지 않고 밀폐상태를 유지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카용 적재함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6080A KR102570847B1 (ko) | 2021-07-21 | 2021-07-21 | 워킹카용 적재함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6080A KR102570847B1 (ko) | 2021-07-21 | 2021-07-21 | 워킹카용 적재함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4586A true KR20230014586A (ko) | 2023-01-30 |
KR102570847B1 KR102570847B1 (ko) | 2023-08-29 |
Family
ID=85106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6080A KR102570847B1 (ko) | 2021-07-21 | 2021-07-21 | 워킹카용 적재함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084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09593A (ko) | 2023-05-26 | 2023-07-20 | 케이크레인 주식회사 | 카고크레인 적재함 및 그 제작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30279B2 (ja) * | 1996-03-19 | 2003-07-28 | 株式会社石井製作所 | 穀類容器 |
JP2013144555A (ja) * | 2012-01-13 | 2013-07-25 | Nitto Denko Corp | コンテナ装置 |
JP2020121740A (ja) * | 2019-01-30 | 2020-08-13 | 愛宕自動車工業株式会社 | オープントップコンテナ |
KR102159402B1 (ko) * | 2020-04-28 | 2020-09-23 | 노혜영 | 특장차 적재함 |
-
2021
- 2021-07-21 KR KR1020210096080A patent/KR10257084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30279B2 (ja) * | 1996-03-19 | 2003-07-28 | 株式会社石井製作所 | 穀類容器 |
JP2013144555A (ja) * | 2012-01-13 | 2013-07-25 | Nitto Denko Corp | コンテナ装置 |
JP2020121740A (ja) * | 2019-01-30 | 2020-08-13 | 愛宕自動車工業株式会社 | オープントップコンテナ |
KR102159402B1 (ko) * | 2020-04-28 | 2020-09-23 | 노혜영 | 특장차 적재함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09593A (ko) | 2023-05-26 | 2023-07-20 | 케이크레인 주식회사 | 카고크레인 적재함 및 그 제작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70847B1 (ko) | 2023-08-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72382B2 (en) | Loading assembly for transport containers, and related method of use | |
CN201317301Y (zh) | 底板可多面倾斜的自卸车车厢 | |
CN108674436B (zh) | 一种顶盖开闭机构、车体及漏斗车 | |
KR101464806B1 (ko) | 판 형상 화물의 수송용 날개식 컨테이너 및 그것을 적재하는 트레일러 | |
KR102570847B1 (ko) | 워킹카용 적재함 구조 | |
AU756429B2 (en) | Vehicle side tipper system | |
CN104843020A (zh) | 一种铁路自翻车 | |
KR102044089B1 (ko) |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 |
CN108791334B (zh) | 一种散料运输漏斗车 | |
CN108556856B (zh) | 一种底门开闭机构、车体及漏斗车 | |
US2250262A (en) | Side discharge hopper body | |
CN215206546U (zh) | 集装箱 | |
CN214607522U (zh) | 一种敞车底架 | |
KR20190032869A (ko) | 트럭용 적재함 덤프 장치 | |
CN112498398A (zh) | 一种敞车底架 | |
CN209758099U (zh) | 一种粉粒物料罐式车罐座总成 | |
CN112830112A (zh) | 集装箱 | |
CA2717418A1 (en) | Collapsible intermodal flatbed and method of use | |
KR100218496B1 (ko) | 덤프트럭용 적재함 | |
CN221819947U (zh) | 框架式自卸车货箱装置 | |
CN219635057U (zh) | 一种货箱与井下运输设备 | |
CN212921265U (zh) | 一种新型货箱结构 | |
CN114180367B (zh) | 一种仓储物流卸料平台 | |
CN204726434U (zh) | 一种铁路自翻车 | |
CN214215566U (zh) | 自卸车厢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