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464A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464A
KR20230014464A KR1020210095836A KR20210095836A KR20230014464A KR 20230014464 A KR20230014464 A KR 20230014464A KR 1020210095836 A KR1020210095836 A KR 1020210095836A KR 20210095836 A KR20210095836 A KR 20210095836A KR 20230014464 A KR20230014464 A KR 20230014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eater
space
aerosol generating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9102B1 (ko
Inventor
안휘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10095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102B1/ko
Priority to PCT/KR2022/010611 priority patent/WO2023003351A1/en
Publication of KR20230014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70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Abstract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양측이 개구된 삽입공간이 형성된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개구된 일측을 막고, 내부에 챔버가 형성된 커버; 길게 연장되고, 상기 커버를 관통하며, 일측이 상기 삽입공간에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챔버에 배치되는 히터; 그리고, 상기 챔버의 내부에 메워지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실링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에어로졸을 통해 매질 또는 물질로부터 일정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매질은 다양한 성분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다양한 성분의 향미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니코틴 성분, 허브 성분 및/또는 커피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히터 주변의 틈을 실링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히터 주변 구조의 열 변형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히터 및 히터 주변 구조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히터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히터에 전기를 인가하는 리드와이어의 단선 및 꼬임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히터 주변 결합구조가 간소화된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양측이 개구된 삽입공간이 형성된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개구된 일측을 막고, 내부에 챔버가 형성된 커버; 길게 연장되고, 상기 커버를 관통하며, 일측이 상기 삽입공간에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챔버에 배치되는 히터; 그리고, 상기 챔버의 내부에 메워지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실링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히터 주변의 틈을 실링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히터 주변 구조의 열 변형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히터 및 히터 주변 구조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히터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히터에 전기를 인가하는 리드와이어의 꼬임 및 단선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히터 주변 결합구조가 간소화된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히터(10)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히터(10)는 원기둥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히터(10)의 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히터(10)는 전력을 직접 인가받아 발열되거나, 주변에 배치된 유도코일을 통하여 유도 가열 방식으로 발열될 수 있다.
히터(10)는 히터바디(11)를 구비할 수 있다. 히터바디(11)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히터바디(11)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히터(10)는 히터팁(12)을 구비할 수 있다. 히터팁(12)은 히터(1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히터팁(12)은 히터바디(11)의 상측에서 히터바디(11)와 연결될 수 있다. 히터팁(12)은 상측을 향하여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히터팁(12)은 끝단이 뾰족할 수 있다. 궐련은 히터(10)에 꽂힐 수 있다.
히터(10)는 플랜지(13)를 구비할 수 있다. 플랜지(13)는 히터바디(11)의 일측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3)는 히터바디(11)의 하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히터바디(11)는 플랜지(13)의 중앙을 관통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랜지(13)는 원형이 아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13)는 사각형일 수 있다.
제1 커버(20)는 제1 플레이트(21)와 제1 둘레부(2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는 제1 커버(20)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히터삽입구(214)는 제1 플레이트(21)의 중심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는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둘레부(22)는 제1 플레이트(2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1 둘레부(22)는 제1 플레이트(21)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둘레부(22)는 제1 플레이트(21)의 외주면보다 내측으로 리세스(recess)될 수 있다. 제1 둘레부(22)의 일측 외주면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제1 평탄부(221)를 형성할 수 있다. 후크(222)는 제1 둘레부(22)의 외주면의 일측 또는, 제1 평탄부(221)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리드와이어(161)는 히터(10)의 하단부(151) 주변으로부터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리드와이어(161)는 고정부(152)를 관통할 수 있다. 제1 리드와이어(161)는 히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히터(10)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히터(10)는 제1 리드와이어(161)로부터 전력을 전송받아 발열될 수 있다. 제1 리드와이어(161)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리드와이어(162)는 히터(10)의 하단부(151) 주변으로부터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리드와이어(162)는 고정부(152)를 관통할 수 있다. 히터(10)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16, 도 8 참조)는 히터(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16)는 히터(10)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제2 리드와이어(162)는 센서(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16)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제2 리드와이어(162)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리드와이어(161)와 제2 리드와이어(162)는 하단부(151)에 대하여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리드와이어(161)와 제2 리드와이어(162)는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질 수 있다.
고정부(152)는 히터(10)의 하단부(151)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52)는 히터(10)의 하단부(151)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외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부(152) 및 하단부(151)는 플랜지(13)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152)는 복수로 구비되며, 하단부(15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고정부(152)는 제1 리드와이어(161)를 감싸서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152)는 제2 리드와이어(162)를 감싸서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152)의 개수는 제1 리드와이어(161) 및 제2 리드와이어(162)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리드와이어(161) 및 제2 리드와이어(162)는 각각 2개씩 구비되고, 고정부(152)의 개수는 4개일 수 있다.
제1 공간(224)은 제1 플레이트(21)의 하측에 위치되며, 히터삽입구(214)와 연통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는 제1 공간(224)의 상측을 덮을 수 있다. 제1 둘레부(22)의 내주면(223)은 제1 공간(224)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제1 공간(224)은 하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히터삽입구(214)는 제1 플레이트(21)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히터삽입구(214)는 제1 공간(224)과 연통될 수 있다. 히터삽입구(214)는 제1 공간(224)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히터삽입구(214)는 제1 둘레부(2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히터삽입구(214)는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히터삽입구(214)는 히터바디(11)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포트부(213)는, 히터삽입구(214)의 주변에서, 제1 플레이트(21)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포트부(213)는 히터삽입구(214)의 하단 주변을 둘러쌀 수 있다. 포트부(213)는 히터삽입구(214)를 향해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바(225)는 제1 둘레부(22)의 내주면(223)으로부터 제1 공간(224)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서포트바(225)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서포트바(225)는 히터삽입구(214)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서포트바(225)는 복수로 구비되어, 제1 둘레부(22)의 내주면(223)을 따라 둘레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포트바(225)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어느 한 쌍의 서포트바(225)는 제1 공간(224)에 대하여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서포트가이드(226)는 서포트바(225)의 하단이 경사지게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가이드(226)는 서포트바(225)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1 공간(224)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질 수 있다.
후크(222)는 제1 평탄부(22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후크(222)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크(222)는 제1 둘레부(22)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외측으로 기울어진 면을 구비할 수 있다. 후크(222)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후크(222)는 제1 둘레부(22)의 양측에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후크(222)는 제1 공간(224)에 대하여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히터(10)는 히터삽입구(214)에 삽입될 수 있다. 히터(10)는 히터팁(12, 도 1 참조)부터 히터바디(11)의 순서대로 히터삽입구(214)를 관통할 수 있다. 히터바디(11)의 폭(w1)은 히터삽입구(214)의 폭(w2)과 같거나, 히터삽입구(214)의 폭(w2)보다 약간 클 수 있다. 히터(10)는 히터삽입구(214)에 꽉 끼어지도록 압입될 수 있다. 포트부(213)는 히터(10)를 히터삽입구(214)로 안내할 수 있다. 히터(10)는 포트부(213)와 접촉되어 히터삽입구(214)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히터바디(11) 및 히터팁(12, 도 1 참조)는 제1 커버(20)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히터(10)가 히터삽입구(214)에 삽입되면, 플랜지(13)는 제1 플레이트(21)에 걸릴 수 있다. 플랜지(13)는 제1 공간(224)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10)가 히터삽입구(214)를 관통할 때, 플랜지(13)는 서포트가이드(226)에 접촉되어 슬라이드되며, 제1 공간(224)으로 안내될 수 있다. 서포트바(225)는 제1 공간(224)에 배치된 플랜지(13)의 측부를 지지할 수 있다. 서포트바(225) 및 서포트가이드(226)는 플랜지(13)의 측부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서포트바(225) 각각은, 플랜지(13)의 복수의 면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서포트바(225)는 제1 둘레부(22)로부터 히터바디(11) 및 플랜지(13)를 이격시켜, 제1 공간(224)의 내부에 틈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10)를 제1 커버(20)에 삽입하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히터(10) 및 플랜지(13)는 제1 공간(224)에서 흔들리거나 회전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커버(30)는 제2 플레이트(31) 및 제2 둘레부(3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1)는 제2 커버(30)의 하부 또는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1)는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1)는 원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둘레부(32)는 제2 플레이트(3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둘레부(32)는 제1 플레이트(3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1)는 제2 공간(34)의 바닥을 덮을 수 있다. 제2 둘레부(32)의 내주면은 제2 공간(34)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제2 공간(34)은 상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2 둘레부(32)는 제1 둘레부(2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314)는 제2 플레이트(31)가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314)는 히터(10)의 하단부(151) 및 고정부(15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히터(10)의 하단부(151)와 고정부(152)는 함몰부(314)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커버와이어홀(3610, 3620)은 함몰부(314)에서 제2 플레이트(31)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와이어홀(3610, 3620)은 제2 공간(34)과 연통될 수 있다. 제1 커버와이어홀(3610)은 제1 리드와이어(16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드와이어(161)는 제1 커버와이어홀(3610)을 통과할 수 있다. 제2 커버와이어홀(3620)은 제2 리드와이어(16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리드와이어(162)는 제2 커버와이어홀(3620)을 통과할 수 있다. 제1 커버와이어홀(3610)과 제2 커버와이어홀(3620)은 직경이 서로 다를 수 있다.
후크홀(322)은 제2 둘레부(32)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후크홀(322)은 후크(22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후크홀(322)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후크홀(322)은 제2 둘레부(32)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후크홀(322)은 제2 공간(34)에 대하여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후크홀(322)은 제2 공간(34)과 연통될 수 있다.
제2 평탄부(3231)와 후크가이드부(3232)는, 후크홀(322)의 주변에서, 제2 둘레부(32)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후크가이드부(3232)는 후크홀(322)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후크가이드부(3232)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제2 공간(34)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후크가이드부(3232)는 제2 평탄부(323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평탄부(3231)는 후크홀(322)의 주변을 둘러쌀 수 있다.
유입홀(324)은 제2 둘레부(32)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유입홀(324)은 후크홀(322)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홀(324)은 제2 공간(34)과 연통될 수 있다.
포지셔닝돌기(35, 36)는 제2 플레이트(31)의 하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포지셔닝돌기(35, 36)는 하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포지셔닝돌기(35)와 제2 포지셔닝돌기(36)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포지셔닝돌기(35)와 제2 포지셔닝돌기(36)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포지셔닝돌기(35)와 제2 포지셔닝돌기(36)는 서로 마주할 수 있다.
포지셔닝핀(313)은 제2 플레이트(31)의 하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포지셔닝핀(313)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포지셔닝핀(313)은 단부가 라운드진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커버(20)와 제2 커버(30)는 결합될 수 있다. 제1 둘레부(22)는 제2 공간(34)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둘레부(32)는 제2 공간(34)에 삽입된 제1 둘레부(22)를 감쌀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는 제2 공간(34)의 상측을 덮을 수 있다.
제1 둘레부(22)가 제2 공간(34)에 삽입되면, 후크(222)는 후크홀(322)에 삽입되어, 제1 커버(20)와 제2 커버(30)를 체결시킬 수 있다. 후크(222)는 후크가이드부(3232)와 제2 평탄부(3231)에 차례로 슬라이드되며 후크홀(322)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평탄부(221)는 후크가이드부(3232)와 제2 평탄부(3231)에 차례로 슬라이드되며, 제1 평탄부(221)는 제2 평탄부(3231)를 마주할 수 있다. 제1 평탄부(221)는 제2 평탄부(3231)에 접촉되거나 밀착될 수 있다.
제1 커버(20)와 제2 커버(30)가 결합되면, 제1 공간(224)과 제2 공간(34)은 연통될 수 있다. 제2 공간(34)은 제1 공간(224)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공간(224)과 제2 공간(34)은 중첩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간(224)과 제2 공간(34)이 연통된 공간을, 챔버(C, 도 8 참조)라 정의할 수 있다. 챔버(C)는 제1 커버(20)와 제2 커버(30)로 둘러싸일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는 챔버(C)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1)는 챔버(C)의 하부를 덮을 수 있다. 제1 둘레부(22)는 챔버(C)의 측부 중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제1 둘레부(22)는 제2 공간(34)의 측부 중 일부만을 덮을 수 있다.
제2 둘레부(32)가 개구되어 형성된 유입홀(324)은 챔버(C)와 연통될 수 있다. 챔버(C)는 유입홀(32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후크홀(322)의 일부는 챔버(C)와 연통될 수 있다. 챔버(C)는 후크홀(32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커버(20)와 제2 커버(30)가 결합되면, 플랜지(13)는 챔버(C)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10)의 하단부(151) 및 고정부(152)는 함몰부(314)에 삽입되어, 제2 플레이트(3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리드와이어(161)는 제1 커버와이어홀(3610)을 통과하여 제2 플레이트(31)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리드와이어(162)는 제2 커버와이어홀(3620)을 통과하여 제2 플레이트(31)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포지셔닝돌기(35)는 제2 플레이트(31)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이격부(315)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포지셔닝돌기(36)는 제2 플레이트(31)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이격부(315)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포지셔닝돌기(35)와 제2 포지셔닝돌기(36)가 금형 내에 삽입될 때, 이격부(315)는 공차 마진을 확보하여, 제조상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1 포지셔닝돌기(35)는 제1 팁부(351)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포지셔닝돌기(35)는 제1 경사부(35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포지셔닝돌기(35)는 연장부(35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포지셔닝돌기(35)는 제1 라운딩부(35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팁부(351)는 제1 포지셔닝돌기(35)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부(352)는 제1 팁부(351)로부터 제2 플레이트(31)를 향하여 제1 팁부(351)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경사부(352)는 제1 팁부(351)를 향할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제1 경사부(352)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제1 팁부(351)의 양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부(353)는 제1 경사부(352)로부터 제2 플레이트(31)를 향하는 방향으로 벤딩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부(35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라운딩부(354)는 제1 연장부(353)로부터 제2 플레이트(31)를 향하여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라운딩부(354)는 제2 플레이트(3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포지셔닝돌기(36)는 제2 팁부(361)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포지셔닝돌기(36)는 제2 경사부(36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포지셔닝돌기(36)는 연장부(353)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포지셔닝돌기(36)는 제2 라운딩부(364)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팁부(361)는 제2 포지셔닝돌기(36)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경사부(362)는 제2 팁부(361)로부터 제2 플레이트(31)를 향하여 제2 팁부(361)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경사부(362)는 제2 팁부(361)를 향할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제2 경사부(362)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제2 팁부(361)의 양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부(363)는 제2 경사부(362)로부터 제2 플레이트(31)를 향하는 방향으로 벤딩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부(36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라운딩부(364)는 제2 연장부(363)로부터 제2 플레이트(31)를 향하여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라운딩부(364)는 제2 플레이트(3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포지셔닝돌기(35)와 제2 포지셔닝돌기(36)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포지셔닝돌기(35)와 제2 포지셔닝돌기(36)는 높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포지셔닝돌기(36)의 높이(H2)는, 제1 포지셔닝돌기(35)의 높이(H2)보다 더 높을 수 있다(도 7 참조). 제1 팁부(351)와 제2 팁부(361)는 서로 폭 또는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제1 경사부(352)와 제2 경사부(362)는 연장된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연장부(353)와 제2 연장부(363)는 연장된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는, 제1 포지셔닝돌기(35)와 제2 포지셔닝돌기(36)가 서로 대향되지 않거나 마주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포지셔닝돌기(35)와 제2 포지셔닝돌기(36)가 금형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면서, 제2 커버(30) 및 이에 결합된 제1 커버(20)와 히터(10)가 금형의 정위치로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도 10 참조). 또한, 금형 내에 용융된 상태의 사출물(100a)을 주입하는 과정에서(도 11 참조), 제1 라운딩부(354)는 부품에 가해지는 데미지를 줄일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1)는 유입홀(324)의 하측을 덮지 않을 수 있다. 유입홀(324)은 하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1)는, 유입홀(324)이 형성된 제2 둘레부(32)로부터 반경 내측방향으로 리세스되어, 유입홀(324)의 하부로부터 반경 내측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유입홀(324)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둘레부(32)의 하부(321)를 리세스부(321)라 명명할 수 있다. 리세스부(321)는 제2 플레이트(31)의 가장자리가 반경 내측방향으로 리세스되어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금형(mold) 내에 용융된 상태의 사출물(100a)을 주입할 때, 유입홀(324) 및 후크홀(322)을 통하여 챔버(C)의 내부로 사출물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도 7 및 11 참조).
이하, 히터(10), 제1 커버(20) 및 제2 커버(30)가 결합된 구조체를, 히터조립체(HA)라 명명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사출물(100a)은 유입홀(324) 및/또는 후크홀(322)을 통해 커버(20, 30)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주입되어, 챔버(C)의 내부를 채울 수 있다. 제1 사출물(100a)은 용융된 상태로써, 커버(20, 30)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주입된 뒤, 챔버(C)의 내부에서 굳어 경화될 수 있다. 제1 사출물(100a)은 커버(20, 30) 및 히터(10) 간의 결합부위에서 발생하는 모든 틈들을 메울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커버(20)는 제2 커버(30)의 상측에 배치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후크(222)는 후크홀(322)에 삽입되어, 제2 둘레부(32)에 걸릴 수 있다. 후크(222)는, 제1 커버(20)가 제2 커버(30)로부터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는 제2 둘레부(32)의 상측을 덮을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는 제2 둘레부(32)의 상측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는 챔버(C)의 상측을 덮을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는 제2 둘레부(32)의 상측에 걸리고, 제1 둘레부(22)는 제2 공간(34)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둘레부(22)는 제2 둘레부(3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둘레부(22)의 외주면은, 제2 둘레부(3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1 둘레부(22)의 하부는 제2 플레이트(31)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히터바디(11)는 제1 플레이트(21)의 삽입구(214, 도 1 참조)를 통과하며 제1 플레이트(21)에 압입될 수 있다. 플랜지(13)는 제1 공간(224)에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13)는 서포트바(225)에 의해 지지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플랜지(13)는 서포트바(225)에 의해 제1 둘레부(2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플랜지(13)는 제1 둘레부(22) 및 제1 플레이트(21)로부터 이격되어 제1 공간(224)에서 틈을 형성할 수 있다. 플랜지(13)는 제2 플레이트(31)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히터(10)의 하단부(151) 및 고정부(152)는 제1 플레이트(31)에 의해 지지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센서(16)는 히터(10)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센서(16)는 히터(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히터(10)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센서(16)는 히터(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센서(16)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히터바디(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센서(16)는 제2 리드와이어(1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히터(10)는 제1 리드와이어(16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커버(20)와 제2 커버(30)가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되며, 내부에 챔버(C)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챔버(C) 내에 사출물(100a, 도 11 참조)를 주입하기 전에, 커버(20, 30) 내에서, 히터(10)의 움직임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되고, 히터(10)가 상측을 향하여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리드와이어(161)와 제2 리드와이어(162)가 서로 접촉되거나, 서로 꼬이거나, 단선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히터조립체(HA)는 제1 금형(200) 및 제2 금형(300)에 삽입될 수 있다. 히터조립체(HA)의 상부는 제1 금형(200)에 삽입될 수 있다. 히터조립체(HA)의 하부는 제2 금형(300)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금형(200)과 제2 금형(300)은 서로 상하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금형(200)과 제2 금형(300)은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히터조립체(HA)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금형(300)은 금형홈(335, 336)을 구비할 수 있다. 금형홈(335, 336)은 제2 금형(300)의 일부가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금형홈(335, 336)은 상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포지셔닝돌기(35, 36)는 금형홈(335, 336)에 슬라이드되며 삽입될 수 있다. 제1 포지셔닝돌기(35)는 제1 금형홈(335)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포지셔닝돌기(36)는 제2 금형홈(336)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금형(300)은 금형와이어홀(316)을 구비할 수 있다. 금형와이어홀(316)은 제2 금형(300)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금형와이어홀(316)은 제1 금형홈(335)과 제2 금형홈(336)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금형와이어홀(316)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금형와이어홀(316)은 제1 리드와이어(161)와 제2 리드와이어(162)의 개수에 대응되는 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리드와이어(161)와 제2 리드와이어(162)는 금형와이어홀(316)을 통과하여, 제2 금형(3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금형홈(335)과 제2 금형홈(336)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금형홈(335)은 제1 포지셔닝돌기(35)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금형홈(336)은 제2 포지셔닝돌기(36)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포지셔닝돌기(35)는 제2 금형홈(336)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포지셔닝돌기(36)는 제1 금형홈(335)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격부(315)는 금형홈(335, 336)의 주변에서, 제2 금형(300)에 걸리거나 지지될 수 있다. 포지셔닝핀(313)은 제2 금형(300)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히터조립체(HA)의 배치를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조립체(HA)가 제2 금형(200) 내로 용이하게 삽입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40, 도 14 참조) 및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대하여, 제1 리드와이어(161)와 제2 리드와이어(162)가 배치되는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리드와이어(161)와 제2 리드와이어(162)가 서로 접촉되거나 꼬이거나,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히터바디(11)는 제1 금형(200)에 삽입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제1 금형(200)은 히터홀(210)을 구비할 수 있다. 히터바디(11)는 히터홀(210)에 삽입되거나 히터홀(210)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커버(20)는 제1 금형(200)에 지지될 수 있다. 제2 커버(30)는 제2 금형(300)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금형(200)과 제2 금형(300)이 접촉되거나 결합되면, 제1 금형(200)과 제2 금형(300)의 사이에 통로(101, 102, 103)가 형성될 수 있다. 통로(101, 102, 103)는 히터조립체(HA)와 연결될 수 있다. 통로(101, 102, 103)는 챔버(C)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통로(101)는 제1 금형(200)과 제2 금형(30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통로(101)는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통로(10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히터조립체(HA)는 제1 통로(10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통로(101)의 하부는, 제1 커버(20)와 제2 커버(30)의 측부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제1 통로(101)는 유입홀(324, 도 7 참조)을 통해 챔버(C)와 연통될 수 있다. 제1 통로(101)는 후크홀(222, 도 7 참조)을 통해 챔버(C)와 연통될 수 있다. 리세스부(321)는 제1 통로(101, 도 6 참조)와 접촉될 수 있다. 리세스부(321)는 제2 금형(200)으로부터 이격되어 틈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통로(101)는 걸림홈(105)과 연통될 수 있다. 걸림홈(105)은 제1 커버(20)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걸림홈(105)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걸림홈(105)은 제1 커버(20)의 상단 가장자리에 접촉될 수 있다.
제2 통로(102)는 제1 통로(101)의 상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통로(103)는 제2 통로(102)의 끝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통로(103)는 제1 통로(101)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3 통로(103)는 제1 통로(101)의 측부를 감쌀 수 있다.
제1 금형(200) 및 제2 금형(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사출재주입홀(20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출재주입홀(204)은 통로(101, 102, 103)와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출재주입홀(204)은 제2 통로(102)와 연통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금형(200)과 제2 금형(300)은 예시적인 것으로써, 금형은, 내부에 히터조립체(HA)가 삽입되거나 배치될 수 있는 공간과, 통로(101, 102, 103)를 형성하면 족하고, 개수나 형상, 결합방향 등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하우징(40)은, 금형(200, 300) 내에서 인서트 사출(injection molding)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134)는 히터조립체(HA)의 챔버(C)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실링부재(134)는 히터조립체(HA)의 구성요소 간의 틈 사이에 인서트 사출 될 수 있다. 히터조립체(HA)와 하우징(40)은, 인서트 사출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40)은 히터조립체(HA) 내에 인서트 사출된 실링부재(134)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사출물(100a)은 사출재주입홀(204)을 통해 금형(200, 300) 내로 주입될 수 있다. 제1 사출물(100a)은 사출재주입홀(204)에 주입되어, 통로(101, 102, 103)에 유입될 수 있다. 제1 사출물(100a)은 용융되어 액체상태일 수 있다. 제1 사출물(100a)은 통로(101, 102, 103)에 채워질 수 있다.
제1 통로(101)에 유입되는 제1 사출물(100a)은, 챔버(C)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사출물(100a)은, 제1 통로(101)로부터 유입홀(324)을 통과하여 챔버(C)로 유입될 수 있다(도 7 참조). 제1 사출물(100a)은, 제1 통로(101)로부터 후크홀(322)을 통과하여 챔버(C)로 유입될 수 있다. 챔버(C)로 유입된 제1 사출물(100a)은, 히터조립체(HA)의 구성요소 간의 틈 사이를 메울 수 있다. 제1 사출물(100a)은 제1 통로(101)로부터 걸림홈(105)으로 유입될 수 있다.
용융된 상태의 제1 사출물(100a)은, 경화되어 제2 사출물(100)이 될 수 있다. 인서트 사출을 통해 제2 사출물(100)을 형성한 이후, 금형을 제거한 뒤, 포지셔닝돌기(35, 36)는 제거될 수 있다.
금형(200, 300) 내의 통로(101, 102, 103)로 주입된 제1 사출물(100a)은 경화되어 제2 사출물(100)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40)은 제1 사출물(100a)이 경화되어 형성된 제2 사출물(100)로 구성될 수 있다. 챔버(C)로 유입된 제1 사출물(100a)은 히터조립체(HA)의 구성요소 간의 틈 사이를 메운 상태로 경화되어 제2 사출물(100)을 형성할 수 있다. 챔버(C) 및/또는 챔버(C) 주변에서 히터조립체(HA)의 구성요소간 틈에 인서트 사출된 제2 사출물(100)을 실링부재(134)라 명명할 수 있다.
실링부재(134)는 제2 사출물(1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134)는 챔버(C)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실링부재(134)는 챔버(C)를 메울(filled) 수 있다. 실링부재(134)는 제1 공간(224)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실링부재(134)는 제2 공간(34)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실링부재(134)는 히터삽입구(214, 도 1 참조)와 히터바디(11)의 사이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실링부재(134)는 커버와이어홀(3610, 3620, 도 4 참조)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실링부재(134)는 함몰부(314, 도 4 참조)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실링부재(134)는 제1 커버(20)와 제2 커버(30)의 틈 사이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플랜지(13)는 실링부재(134)에 둘러싸여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40)은 인서트 사출을 통해 형성되며, 제2 사출물(100)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40)은 파이프(41)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40)은 아우터월(42)을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40)은 어퍼월(43)을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40)은 걸림부(415)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40)은 파이프바닥(411)을 구비할 수 있다.
파이프(41)는 제1 통로(101)로 유입된 제1 사출물(100a)이 경화되어 형성된 제2 사출물(1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파이프(41)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파이프(41)는 내부에 양측이 개구된 삽입공간(44)을 형성할 수 있다. 삽입공간(44)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공간(44)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간(44)의 상측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삽입공간(44)의 하측은 커버(20, 30)에 의해 덮힐 수 있다.
파이프(41)는 인서트 사출되어 히터조립체(HA)와 결합될 수 있다. 히터조립체(HA)는 파이프(41)의 하부를 막을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는 삽입공간(44)과 제1 공간(22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는 삽입공간(44)과 제1 공간(224)을 분리할 수 있다.
파이프(41)는 실링부재(134)와 함께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파이프(41)는 히터조립체(HA) 내의 실링부재(134)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41)와 실링부재(134)는 유입홀(324)을 통하여 서로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파이프(41)와 실링부재(134)는 후크홀(322)을 통하여 서로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히터바디(11)와 히터팁(12)은 삽입공간(44)에 배치될 수 있다. 궐련은 삽입공간(44)에 삽입되며, 히터(10)에 의해 하부가 관통될 수 있다. 히터(10)는 발열되어 궐련을 가열할 수 있다. 제1 리드와이어(161) 및 제2 리드와이어(162)는 파이프(41)의 하부로 노출될 수 있다.
걸림부(415)는 걸림홈(105)으로 유입된 제1 사출물(100a)이 경화되어 형성된 제2 사출물(1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걸림부(415)는 파이프(4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415)는 파이프(41)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내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걸림부(415)는 제1 플레이트(21)의 상측 가장자리를 덮으며 지지할 수 있다. 걸림부(415)는 제1 플레이트(21)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걸림부(415)는 히터조립체(HA)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파이프바닥(411)은 리세스부(321, 도 6 참조)의 주변에서, 제1 통로(101)로 유입된 제1 사출물(100a)이 경화되어 형성된 제2 사출물(1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파이프바닥(411)은 파이프(4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바닥(411)은 리세스부(321, 도 6 참조)를 덮을 수 있다. 파이프바닥(411)은 리세스부(321)에 접촉되며, 제2 커버(3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파이프바닥(411)은 히터조립체(HA)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어퍼월(43)은 파이프(41)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어퍼월(43)은 제2 통로(102)에 유입된 제1 사출물(100a)이 경화되어 형성된 제2 사출물(1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어퍼월(43)은 하우징(40)의 상부를 구성할 수 있다.
아우터월(42)은 어퍼월(43)의 끝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아우터월(42)은 제3 통로(103)에 유입된 제1 사출물(100a)이 경화되어 형성된 제2 사출물(1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월(42)은 하우징(40)의 외부 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아우터월(42)은 파이프(41)로부터 외측부로 이격될 수 있다. 공간(46)은 파이프(41)와 아우터월(4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조립체(HA)의 구성요소 간의 틈이 완전히 메워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40)과 히터조립체(HA) 간의 틈이 완전히 메워질 수 있다. 또한, 액체 등의 이물질이 히터(10)의 주변의 틈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히터조립체(HA)가 하우징(4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리드와이어(161)와 제2 리드와이어(162)의 위치가 서로 꼬이거나, 단선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히터조립체(HA)의 조립과정이 보다 간소화될 수 있다. 또한, 히터조립체(HA)와 하우징(40)의 결합공정을 보다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커버(20')는 컬럼(23)을 구비할 수 있다. 컬럼(23)은 제1 둘레부(22)의 하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컬럼(23)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컬럼(23)은 제1 공간(224)에 대하여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컬럼(23)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1 커버(20')는 포지셔닝홈(234)을 구비할 수 있다. 포지셔닝홈(234)은 컬럼(23)이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포지셔닝홈(234)은 하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한 쌍의 포지셔닝홈(234)은 각각 한 쌍의 컬럼(23)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포지셔닝홈(234)의 형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컬럼(23)의 상단은 포지셔닝홈(234)을 향하여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커버(20')는 서포트바(225, 227)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서포트바(225)와 제2 서포트바(227)는 제1 둘레부(22)의 내주면(223)으로부터 제1 공간(224)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1 서포트바(225)와 제2 서포트바(227)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서포트바(225)는 제1 공간(224)에 대하여 서로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서포트바(227)는 제1 공간(224)에 대하여 서로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포트바(225)와 제2 서포트바(227)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서포트바(227)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서포트바(227)는, 서포트바(227)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1 공간(224)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질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히터(10)가 히터삽입구(214)를 관통할 때, 플랜지(13)는 서포트가이드(226) 및 제2 서포트바(227)에 접촉되어 슬라이드되며, 제1 공간(224)으로 안내될 수 있다. 제1 서포트바(225)와 제2 서포트바(227)는 제1 공간(224)에 배치된 플랜지(13)의 측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서포트바(225) 및 제2 서포트바(227)는 제1 둘레부(22)로부터 플랜지(13)를 이격시켜, 제1 공간(224)의 내부에 틈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제2 커버(30')는 컬럼홀(317)을 구비할 수 있다. 컬럼홀(317)은 제2 플레이트(31)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컬럼홀(317)은 컬럼(2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개구될 수 있다. 제1 커버(20')와 제2 커버(30')가 결합되면, 컬럼(23)은 컬럼홀(317)에 삽입될 수 있다. 컬럼(23)은 컬럼홀(317)을 관통하여, 포지셔닝홈(234)이 제2 플레이트(3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금형에 형성된 포시셔닝돌기가 포지셔닝홈(234)에 삽입되어, 금형에 대하여 히터조립체(HA)의 배치가 안내될 수 있다. 컬럼(23)의 끝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금형에 형성된 돌기가 슬라이드되며, 포지셔닝홈(234)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서트 사출이 완료된 이후, 히터조립체(HA)로부터 포지셔닝돌기를 제거하지 않아도 되어, 제조방법이 더 간단해지고, 잔흔이 남지 않을 수 있다.
도 19을 참조하면, 히터(10)를 제1 커버(20)에 압입할 수 있다(S1). 이후, 히터(10)가 압입된 제1 커버(20)와 제2 커버(30)를 결합하여 히터조립체(HA)를 형성할 수 있다(S2). 이후, 히터조립체(HA)를 금형에 삽입할 수 있다(S3). 이후, 히터조립체(HA)가 삽입된 금형 내에 용융된 상태의 사출물을 주입할 수 있다(S4). 이후, 사출물을 굳혀 경화시킨 다음, 금형을 제거하여 히터조립체(HA)와 결합된 하우징(40)을 형성할 수 있다(S5). 본 개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 제조방법은, 상기 S1 내지 S5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양측이 개구된 삽입공간(44)이 형성된 파이프(41); 상기 파이프(41)의 개구된 일측을 막고, 내부에 챔버(C)가 형성된 커버(20, 30); 길게 연장되고, 상기 커버(20, 30)를 관통하며, 일측이 상기 삽입공간(44)에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챔버(C)에 배치되는 히터(10); 그리고, 상기 챔버(C)의 내부에 메워지는 실링부재(134)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41)는, 상기 실링부재(134)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20, 30)는,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챔버(C)와 연통되며, 상기 실링부재(134)와 상기 파이프(41)가 일체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홀(324)을 구비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20, 30)는, 개구되어 상기 히터(10)가 관통하는 히터삽입구(214)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간(44)을 마주하고, 상기 챔버(C)의 일측인 제1 공간(224)을 감싸는 제1 커버(20); 및 상기 제1 커버(20)와 결합되며, 상기 챔버(C)의 타측인 제2 공간(34)을 감싸는 제2 커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커버(20)는, 상기 삽입공간(44)과 상기 제1 공간(224)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공간(44)과 상기 제1 공간(224)을 분리하며, 상기 히터삽입구(214)가 형성된 제1 플레이트(21); 및 상기 제1 플레이트(2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공간(224)의 측부를 둘러싸며, 상기 제2 공간(34)으로 개방된 제1 둘레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커버(20)는, 상기 제1 둘레부(22)로부터 상기 제1 공간(224)으로 돌출되어 상기 히터(10)의 측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 둘레부(22)로부터 상기 히터(10)를 이격시켜 상기 제1 공간(224)에 틈을 형성하는 서포트바(225)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134)는, 상기 제1 공간(224)에 형성된 상기 틈에 메워져 상기 히터(10)를 고정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커버(20)는, 상기 서포트바(225)의 끝단에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히터(10)가 슬라이드되어 상기 히터(10)를 상기 히터삽입구(214)로 안내하는 서포트가이드(226)를 구비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서포트바(225)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둘레부(22)의 내주면을 따라 이격 배열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기 히터(10)의 타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서포트바(225)에 지지되고, 비원형의 형상을 가진 플랜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커버(30)는, 상기 제2 공간(34)을 덮고, 상기 히터(10)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 플레이트(31); 및 상기 제2 플레이트(3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공간(34)의 측부를 둘러싸는 제2 둘레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둘레부(32)는, 개구되어 상기 제2 공간(34)과 연통되는 유입홀(324)을 구비하며, 상기 파이프(41)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파이프(41)는, 상기 유입홀(324)을 통해 상기 챔버(C) 내부의 실링부재(134)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커버(20)와 상기 제2 커버(30)는,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기 제2 커버(30)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후크홀(322); 및 상기 제1 커버(20)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후크홀(322)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커버(20)와 상기 제2 커버(30)를 체결하는 후크(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후크홀(322)은, 상기 챔버(C)와 연통되고, 상기 후크홀(322)에 결합된 상기 후크(222)와의 사이에, 상기 실링부재(134)와 상기 파이프(41)가 일체로 연결되는 틈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기 파이프(4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41)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삽입공간(44)을 향하여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커버(20, 30)의 상측 가장자리를 덮는 걸림부(4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20, 30)는, 하측으로 돌출되며, 인서트 사출 시, 금형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금형 내에서 상기 커버(20, 30)의 배치를 안내하는 포지셔닝돌기(35, 36)를 구비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포지셔닝돌기(35, 36)는, 복수로 구비되며,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포지셔닝돌기(35, 36)는, 하측을 향하여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20, 30)는, 상기 커버(20, 30)의 하부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되어 하측으로 개구되고, 인서트 사출 시, 금형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커버(20, 30)의 배치를 안내하는 포지셔닝홈(234)을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7)

  1. 양측이 개구된 삽입공간이 형성된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개구된 일측을 막고, 내부에 챔버가 형성된 커버;
    길게 연장되고, 상기 커버를 관통하며, 일측이 상기 삽입공간에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챔버에 배치되는 히터; 그리고,
    상기 챔버의 내부에 메워지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실링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챔버와 연통되며, 상기 실링부재와 상기 파이프가 일체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홀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개구되어 상기 히터가 관통하는 히터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간을 마주하고, 상기 챔버의 일측인 제1 공간을 감싸는 제1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와 결합되며, 상기 챔버의 타측인 제2 공간을 감싸는 제2 커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삽입공간과 상기 제1 공간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공간과 상기 제1 공간을 분리하며, 상기 히터삽입구가 형성된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공간의 측부를 둘러싸며, 상기 제2 공간으로 개방된 제1 둘레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제1 둘레부로부터 상기 제1 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히터의 측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 둘레부로부터 상기 히터를 이격시켜 상기 제1 공간에 틈을 형성하는 서포트바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1 공간에 형성된 상기 틈에 메워져 상기 히터를 고정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서포트바의 끝단에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히터가 슬라이드되어 상기 히터를 상기 히터삽입구로 안내하는 서포트가이드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바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둘레부의 내주면을 따라 이격 배열되고,
    상기 히터의 타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서포트바에 지지되고, 비원형의 형상을 가진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제2 공간을 덮고, 상기 히터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공간의 측부를 둘러싸는 제2 둘레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둘레부는,
    개구되어 상기 제2 공간과 연통되는 유입홀을 구비하며,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유입홀을 통해 상기 챔버 내부의 실링부재와 일체로 연결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0.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는,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결합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후크홀; 및
    상기 제1 커버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후크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를 체결하는 후크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홀은,
    상기 챔버와 연통되고, 상기 후크홀에 결합된 상기 후크와의 사이에, 상기 실링부재와 상기 파이프가 일체로 연결되는 틈이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삽입공간을 향하여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커버의 상측 가장자리를 덮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하측으로 돌출되며, 인서트 사출 시, 금형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금형 내에서 상기 커버의 배치를 안내하는 포지셔닝돌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돌기는,
    복수로 구비되며,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돌기는,
    하측을 향하여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 에어로졸 생성장치.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하부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되어 하측으로 개구되고, 인서트 사출 시, 금형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커버의 배치를 안내하는 포지셔닝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0210095836A 2021-07-21 2021-07-21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89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836A KR102589102B1 (ko) 2021-07-21 2021-07-21 에어로졸 생성 장치
PCT/KR2022/010611 WO2023003351A1 (en) 2021-07-21 2022-07-20 Aerosol-gener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836A KR102589102B1 (ko) 2021-07-21 2021-07-21 에어로졸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464A true KR20230014464A (ko) 2023-01-30
KR102589102B1 KR102589102B1 (ko) 2023-10-12

Family

ID=85106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836A KR102589102B1 (ko) 2021-07-21 2021-07-21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1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676A (ko) * 2017-05-26 2018-12-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190027306A (ko) * 2016-12-16 2019-03-1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83887B1 (ko) * 2018-04-10 2020-03-03 주식회사 이엠텍 전기 가열식 흡연기의 히터 연결 구조
CN113133551A (zh) * 2020-01-20 2021-07-20 青岛颐中科技有限公司 加热不燃烧烟具及其夹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306A (ko) * 2016-12-16 2019-03-1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180129676A (ko) * 2017-05-26 2018-12-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83887B1 (ko) * 2018-04-10 2020-03-03 주식회사 이엠텍 전기 가열식 흡연기의 히터 연결 구조
CN113133551A (zh) * 2020-01-20 2021-07-20 青岛颐中科技有限公司 加热不燃烧烟具及其夹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102B1 (ko) 202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203145A (ja) カプセル、そのようなカプセルから飲用可能な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飲料調製装置におけるそのようなカプセルの使用方法
CN103313443B (zh) 发热元件
JP2013515212A (ja) 改善された位置決めおよび保持ピンを有するガスケットアセンブリならびにその構成方法
CN103313444A (zh) 发热元件
KR102413769B1 (ko) 냉각수 히터
CN106300755A (zh) 电动机以及电动机的制造方法
KR20230014464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04518622A (zh) 定子、电动机以及制造电动机的定子的方法
KR101704011B1 (ko) 볼 조인트, 볼 조인트 제조 장치 및 볼 조인트 제조 방법
KR102630734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07409468A (zh) 电子控制装置
CN101682126B (zh) 用于将第一电子装置电连接到第二电子装置的电连接器及其方法
US9985379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the method of making the same
CN207199517U (zh) 能够安装于不同导轨的分断端子
JP2015512116A (ja) 制御機器ケーシングの製造のための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制御機器ケーシング
KR20230014603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장치 제조방법
KR20230057154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장치 제조방법
KR100668719B1 (ko)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의 보빈과 그 필드코어
KR10265702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07836064B (zh) 具有改进的通过注塑成型的可制造性的插头
KR10257381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3951490B2 (ja) コネクタ
KR101593066B1 (ko) 금형 및 금형을 갖는 사출 성형기
CN209592467U (zh) 电连接器
KR20230059658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