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306A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306A
KR20190027306A KR1020180063759A KR20180063759A KR20190027306A KR 20190027306 A KR20190027306 A KR 20190027306A KR 1020180063759 A KR1020180063759 A KR 1020180063759A KR 20180063759 A KR20180063759 A KR 20180063759A KR 20190027306 A KR20190027306 A KR 20190027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heater
case
tube
proj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5072B1 (ko
Inventor
이종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7758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70436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1395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70453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MYPI2020001219A priority Critical patent/MY195328A/en
Priority to EP20188792.4A priority patent/EP3753423A1/en
Priority to PCT/KR2018/006702 priority patent/WO2019050131A1/ko
Priority to CN201880047174.XA priority patent/CN110891438B/zh
Priority to CN202111491697.3A priority patent/CN114766724A/zh
Priority to EP21209164.9A priority patent/EP3997993A1/en
Priority to EP18853434.1A priority patent/EP3679813A4/en
Priority to JP2020501188A priority patent/JP6959429B2/ja
Priority to CN202010756239.7A priority patent/CN111838772B/zh
Priority to US16/644,730 priority patent/US11647785B2/en
Publication of KR20190027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072B1/ko
Priority to US16/942,356 priority patent/US20200352229A1/en
Priority to JP2020128350A priority patent/JP6796739B2/ja
Priority to JP2021165298A priority patent/JP7277010B2/ja
Priority to US17/533,783 priority patent/US11730195B2/en
Priority to JP2022001512A priority patent/JP7323657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궐련이 삽입 가능한 케이스와, 케이스의 일측 단부에서 돌출되며 외부를 향하여 개방되는 중공 형상의 돌출관과, 단부가 돌출관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케이스에 설치되며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및 돌출관에 접촉하는 라운드면을 구비하며, 히터를 지지하도록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히터 고정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연소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궐련 또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같인 비연소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비연소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을 연소시키지 않고 소정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궐련에 포함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고, 에어로졸을 공기와 함께 흡입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말한다.
궐련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은 전량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비연소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공기 통로에서 수분이나 에어로졸의 일부가 액화되어 액적 형태로 고착됨으로써 누액이 내부로 침투하여 장치의 고장이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내부 공기 통로를 통과하며 액화된 액상 물질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발생원과 궐련을 복합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경험과 사용의 편리를 제공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원을 가열함으로써 생성되는 에어로졸을 궐련으로 통과시킴으로써 풍부한 풍미와 니코틴 등을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궐련이 삽입 가능한 케이스와, 케이스의 일측 단부에서 돌출되며 외부를 향하여 개방되는 중공 형상의 돌출관과, 단부가 돌출관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케이스에 설치되며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및 돌출관에 접촉하는 라운드면을 구비하며, 히터를 지지하도록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히터 고정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관과 히터 고정부 사이에 개재되어 돌출관과 히터 고정부 사이의 갭을 밀폐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히터 고정부는 돌출관과 맞닿는 면으로부터 인입 형성되는 실링홈을 더 구비하고, 실링부재는 실링홈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관은 히터 고정부와 맞닿는 면으로부터 인입 형성되는 실링홈을 포함하고, 실링부재는 실링홈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링부재는 탄성(elastic)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궐련이 삽입 가능한 케이스와, 케이스의 일측 단부에서 돌출되며 외부를 향하여 개방되는 중공 형상의 돌출관과, 단부가 돌출관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케이스에 설치되며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및 돌출관에 접촉하는 면으로부터 궐련이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뱅크부재와, 궐련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인입 형성되어 돌출관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구비하며, 히터를 지지하도록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히터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용홈에 설치되어 돌출관과 히터 고정부 사이의 갭을 밀폐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용홈은 복수개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수용홈 중 하나는 돌출관의 일부를 수용하며, 복수개의 수용홈 중 다른 하나에는 실링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링부재는 탄성(elastic)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궐련이 삽입 가능한 케이스와, 케이스의 일측 단부에서 돌출되며 외부를 향하여 개방되는 중공 형상의 돌출관과, 단부가 돌출관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케이스에 설치되며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와, 히터를 지지하도록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히터 고정부와, 히터에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둘러싸 지지하며, 케이스의 내부에 돌출관과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베이스부와, 돌출관과 베이스부 사이에 개재되어 돌출관과 베이스부 사이의 갭을 밀폐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관은 베이스부와 맞닿는 면으로부터 인입 형성되는 실링홈을 포함하고, 실링부재는 실링홈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부는 돌출관과 맞닿는 면으로부터 인입 형성되는 실링홈을 포함하고, 실링부재는 실링홈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링부재는 탄성(elastic)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의하면, 내부 공기 통로를 통과하며 액화된 액상 물질을 히터 측으로 인도하는 라운드면을 구비하여 액상 물질이 장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 공기 통로를 통과하며 액화된 액상 물질을 모아주는 방파제 역할을 하는 히터 고정부를 구비하여 액상 물질이 장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 공기 통로를 통과하며 액화된 액상 물질이 장치 내부로 침투하는 통로에 통로를 밀폐하는 실링부재를 설치하여 액상 물질의 내부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원에서 에어로졸을 발생시킨 후 발생한 에어로졸의 흐름을 궐련으로 통과시켜 사용자에게 적합한 풍미와 니코틴 등을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삽입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궐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분리한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일부 구성요소가 분리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일부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삽입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배터리(1100), 제어부(1200) 및 히터(1030)를 포함한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내부 공간에는 궐련(2000)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1에는 배터리(1100), 제어부(1200) 및 히터(1030)가 순서대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설계에 따라, 배터리(1100), 제어부(1200) 및 히터(1030)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궐련(20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삽입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히터(1030)를 가열한다. 궐련(2000)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가열된 히터(1030)에 의하여 온도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에어로졸은 궐련(2000)의 필터(220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내부 공간의 청소를 위하여, 궐련(20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히터(1030)를 가열할 수 있다.
배터리(11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0)는 히터(103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12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2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0)는 배터리(1100) 및 히터(1030)뿐 만 아니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히터(1030)는 배터리(110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된다. 예를 들어, 궐련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삽입되면, 히터(1030)는 궐련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1030)는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히터(1030)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030)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1030)가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히터(1030)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희망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희망 온도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원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예로, 히터(1030)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1030)에는 궐련을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궐련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히터(1030)가 궐련(20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히터(1030)는 관 형 가열 요소, 판 형 가열 요소, 침 형 가열 요소 또는 봉 형의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의 모양에 따라 궐련(2000)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는 히터(1030)가 복수 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히터(1030)들은 궐련(20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궐련(2000)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히터(1030)들 중 일부는 궐련(20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는 궐련(20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히터(1030)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배터리(1100), 제어부(1200) 및 히터(1030)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및/또는 촉각 정보의 출력을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퍼프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궐련 삽입 감지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궐련(2000)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 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배터리(1100)의 충전에 이용될 수 있다. 또는, 크래들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히터(1030)가 가열될 수도 있다.
궐련(2000)은 일반적인 연소형 궐련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2000)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1 부분(2100)과 필터 등을 포함하는 제2 부분(220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궐련(2000)의 제2 부분(2200)에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과립 또는 캡슐의 형태로 만들어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제2 부분(2200)에 삽입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내부에는 제1 부분(2100) 전체가 삽입되고, 제2 부분(2200)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내부에 제1 부분(2100)의 일부만 삽입될 수도 있고, 제1 부분(2100) 및 제2 부분(2200)의 일부가 삽입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2 부분(2200)을 입으로 문 상태에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은 외부 공기가 제1 부분(2100)을 통과함으로써 생성되고, 생성된 에어로졸은 제2 부분(2200)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된다.
일 예로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형성된 공기 통로의 개폐 및/또는 공기 통로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화량, 끽연감 등이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외부 공기는 궐련(2000)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을 통하여 궐련(2000)의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궐련(2000)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궐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궐련(2000)은 담배 로드(2100) 및 필터 로드(22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1 부분(2100)은 담배 로드(2100)를 포함하고, 제2 부분(2200)은 필터 로드(2200)를 포함한다.
도 2에는 필터 로드(2200)가 단일 세그먼트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필터 로드(2200)는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2200)는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제1 세그먼트 및 에어로졸 내에 포함된 소정의 성분을 필터링하는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필터 로드(2200)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궐련(2000)은 적어도 하나의 래퍼(2400)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래퍼(2400)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궐련(2000)은 하나의 래퍼(2400)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궐련(2000)은 두 개 이상의 래퍼(2400)들에 의하여 중첩적으로 포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래퍼에 의하여 담배 로드(2100)가 포장되고, 제2 래퍼에 의하여 필터 로드(2200)가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된 담배 로드(2100) 및 필터 로드(2200)가 결합되고, 제 3 래퍼에 의하여 궐련(2000) 전체가 재포장될 수 있다. 만약, 담배 로드(2100) 또는 필터 로드(2200) 각각이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되어 있다면, 각각의 세그먼트가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된 세그먼트들이 결합된 궐련(2000) 전체가 다른 래퍼에 의하여 재포장될 수 있다.
담배 로드(210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담배 로드(2100)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0)에는, 멘솔 또는 보습제 등의 가향액이, 담배 로드(2100)에 분사됨으로써 첨가할 수 있다.
담배 로드(2100)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로드(2100)는 시트(sheet)로 제작될 수도 있고, 가닥(strand)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0)는 담배 시트가 잘게 잘린 각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0)는 열 전도 물질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 물질은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금속 호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담배 로드(2100)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담배 로드(2100)에 전달되는 열을 고르게 분산시켜 담배 로드에 가해지는 열 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담배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0)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서셉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담배 로드(2100)는 외부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 이외에도 추가의 서셉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로드(2200)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한편, 필터 로드(220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2200)는 원기둥 형(type) 로드일 수도 있고,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2200)는 리세스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만약, 필터 로드(2200)가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경우,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필터 로드(2200)는 향미가 발생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필터 로드(2200)에 가향액이 분사될 수도 있고, 가향액이 도포된 별도의 섬유가 필터 로드(2200)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22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2300)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캡슐(2300)은 향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캡슐(2300)은 향료를 포함하는 내용액을 피막으로 감싼 구조일 수 있다. 캡슐(2300)은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갖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만약, 필터 로드(2200)에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세그먼트가 포함될 경우, 냉각 세그먼트는 고분자 물질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세그먼트는 순수한 폴리락트산 만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냉각 세그먼트는 복수의 구멍들이 뚫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냉각 세그먼트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로졸이 냉각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케이스(1001)와 커버(100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002)가 케이스(1001)의 일측 단부에 결합됨으로써 케이스(1001) 및 커버(1002)가 함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케이스(100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외관의 일부분을 형성하며 내부에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을 수용하여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커버(1002)와 케이스(1001)는 열을 잘 전달하지 않는 플라스틱 소재나, 표면에 열차단 물질이 코팅된 금속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커버(1002)와 케이스(1001)는 예를 들어 사출성형 방식이나, 3D 프린팅 방식이나, 사출성형으로 제작된 소형 부속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커버(1002)와 케이스(1001)의 사이에는 커버(1002)와 케이스(1001)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유지 장치는 예를 들어 돌기와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가 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커버(1002)와 케이스(1001)의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가압할 수 있는 조작버튼에 의해 돌기가 이동하여 돌기가 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구조가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유지 장치는 예를 들어 자석과 자석에 달라붙는 금속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유지 장치에 자석을 이용하는 경우 케이스(100)와 커버(1002) 중 어느 하나에 자석을 설치하고 다른 하나에 자석에 달라붙는 금속 부재를 설치할 수 있고, 아니면 케이스(1001)와 커버(1002) 모두에 자석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서 커버(1002)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므로 필요한 경우 커버(1002)를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케이스(1001)에 결합된 커버(1002)의 상면에는 궐련(2000)이 삽입될 수 있는 외부구멍(1002p)이 형성된다. 또한 커버(1002)의 상면에서 외부구멍(1002p)에 인접한 위치에 레일(1003r)이 형성된다. 레일(1003r)에는 커버(1002)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도어(1003)가 설치된다. 도어(1003)는 레일(1003r)을 따라 직선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도어(1003)가 레일(1003r)을 따라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궐련(2000)이 커버(1002)를 통과하여 케이스(1001)에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외부구멍(1002p)과 삽입구멍(1004p)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커버(1002)의 외부구멍(1002p)은 궐련(200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통로(1004h)의 삽입구멍(1004p)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어(1003)에 의해 외부구멍(1002p)이 외부로 노출되면, 사용자가 궐련(2000)의 단부(2000b)를 외부구멍(1002p)과 삽입구멍(1004p)에 삽입시켜 궐련(2000)을 커버(1002)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통로(1004h)에 장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어(1003)가 커버(1002)에 대해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실시예는 도어(1003)가 커버(1002)에 대해 결합되는 구조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어(1003)는 힌지 조립체를 통하여 커버(100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힌지 조립체를 이용하는 경우 도어(1003)는 커버(1002)의 상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외부구멍(1002p)의 측면으로 회전할 수도 있고, 아니면 도어(1003)가 커버(1002)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레일(1003r)은 오목한 홈 형상을 갖지만, 실시예는 레일(1003r)의 형상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레일(1003r)은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직선형이 아니라 곡선형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케이스(1001)에는 버튼(1009)이 설치된다. 버튼(1009)이 조작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커버(1002)가 케이스(1001)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커버(1002)와 케이스(1001)가 결합되는 부위에 공기가 커버(100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허용하는 외부 공기 유입용 간격(1002g)이 형성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분리한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일부 구성요소가 분리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일부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궐련(20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궐련(2000)을 입으로 물어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궐련(2000)의 사용을 종료한 경우 사용자는 궐련(2000)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로부터 분리한 후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내부에 잔류할 수 있는 담배 물질을 제거하는 청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청소 작업은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케이스(1001)로부터 커버(1002)를 분리한 후 궐련 지지부(4)를 케이스(1001)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내부 공간 및 히터(1030) 등을 외부로 노출시켜 담배 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커버(1002)는 케이스(1001)의 일측 단부(1001a)에 결합되어 있는 궐련 지지부(4)를 덮도록 케이스(1001)의 일측 단부(1001a)에 결합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케이스(1001)로부터 커버(1002)가 분리될 수 있다.
궐련(2000)의 사용을 마친 후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로부터 궐련(2000)을 제거할 때에는 사용자가 궐련(2000)을 손으로 잡아 회전시키면서 궐련(2000)을 케이스(1001)로부터 빼낼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로부터 궐련(2000)을 제거할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궐련(2000)을 회전시킨 후 커버(1002)를 잡아당기면 커버(1002)가 궐련(2000)과 함께 케이스(100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궐련(2000)을 회전시키면서 케이스(1001)로부터 분리함으로써 궐련(2000)과 히터의 사이의 부착 상태가 해소됨과 동시에 궐련(2000)에 부착된 담배 물질을 궐련(2000)과 함께 케이스(1001)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궐련(2000)을 회전시키지 않고 커버(1002)를 잡아당기는 경우 궐련(2000)이 케이스(1001)로부터 분리되지만 궐련(2000)의 일부분, 예를 들어 담배 부분이 케이스(1001)로부터 배출되지 않고 히터(1030) 측에 남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케이스(1001)로부터 커버(1002)를 분리한 후에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스(1001)로부터 궐련 지지부(4)를 분리할 수 있다. 이때, 히터(1030) 측에 남아 있던 담배 부분은 궐련 지지부(4)와 함께 케이스(1001)로부터 분리된다. 그 후에, 사용자는 분리된 궐련 지지부(4)의 내에 남아 있는 담배 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궐련(2000)이 삽입 가능한 케이스(1001)와, 케이스(1001)의 일측 단부(1001a)에서 돌출되며 외부를 향하여 개방된 개구를 갖는 중공 형상의 돌출관(1020)과, 단부(1031)가 돌출관(102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케이스(1001)에 설치되며,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1030)와, 돌출관(1020)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라운드면(1040r)을 구비하며, 히터(1030)를 지지하도록 돌출관(1020)의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 고정부(1040)를 포함한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돌출관(10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돌출관(10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궐련 지지부(4)를 더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궐련 지지부(4)가 케이스(1001)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궐련 지지부(4)를 잡아서 상방으로 당기면 케이스(1001)로부터 궐련 지지부(4)를 분리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돌출관(1020)은 히터(1030)를 둘러싸 보호하며, 궐련 지지부(4)가 돌출관(1020)에 결합되었을 때 궐련 지지부(4)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돌출관(1020)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형상을 가지므로, 돌출관(1020)은 내부에 궐련 지지부(4)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통로(1020h)를 구비한다. 결합통로(1020h)의 상단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상측 방향을 향하여 외부로 개방된다.
케이스(1001)에는 궐련(2000)을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히터(1030)가 설치된다. 히터(1030)는 상측 단부(1031)가 돌출관(102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케이스(1001)에 설치된다. 돌출관(1020)에 궐련 지지부(4)가 결합된 상태에서 궐련 지지부(4)에 궐련(2000)이 수용되는 경우 히터(1030)의 상측 단부(1031)가 궐련(2000)의 단부(2000b)의 바닥면으로 삽입된다.
히터(1030)는 케이스(1001)의 내부에 설치된 배터리(도 1의 1100)와 제어부(도 1의 1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히터(1030)의 단부(1031)에 궐련(2000)이 삽입된 상태에서 전기가 히터(1030)에 공급되면 히터(1030)가 가열됨으로써 궐련(2000)이 가열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궐련 지지부(4)는 돌출관(1020)의 개구를 통하여 돌출관(1020)의 내부의 결합통로(1020h)에 삽입될 수 있다. 궐련 지지부(4)는 돌출관(1020) 내에 삽입되는 내부통(10)과, 내부통(10)을 지지하는 외부통(20)을 구비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궐련 지지부(4)의 외부통(20)은 대략 반원통 형상을 갖는 외부벽(20t)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며 외부벽(20t)으로부터 이격된 연장 지지면(26)을 구비한다. 궐련 지지부(4)가 돌출관(1020)에 결합되면 외부벽(20t)과 연장 지지면(26)의 사이에 돌출관(1020)이 삽입됨으로써 궐련 지지부(4)와 돌출관(102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궐련 지지부(4)와 돌출관(1020)의 안정적인 결합 구조에 의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충격으로 인한 외부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구성요소들이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를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하는 경우에도 양호한 내구성 및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청소 작업을 실시할 때에는 궐련 지지부(4)를 케이스(1001)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청소 작업이 확실하면서도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돌출관(1020)은 궐련(2000)의 단부에 외부의 공기를 직접적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돌출관(1020)은 돌출관(1020)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공기홀(1020g)과, 공기홀(1020g)로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돌출관(1020)의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공기유로(1020n)를 구비한다.
공기홀(1020g)은 돌출관(1020)의 길이 방향의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홀(1020g) 및 공기유로(1020n)는 돌출관(1020)의 외부의 공기가 돌출관(1020)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공기의 흐름 통로를 형성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궐련 지지부(4)가 돌출관(1020)에 결합될 때에는 궐련 지지부(4)의 연장 지지면(26)이 돌출관(1020)의 내측에 삽입된다. 궐련 지지부(4)의 연장 지지면(26)이 돌출관(1020)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돌출관(1020)의 내부에 위치하는 히터(1030)가 궐련 지지부(4)의 히터 삽입구(10b)를 통과한다.
궐련 지지부(4)가 돌출관(102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히터(1030)의 단부(1031)가 궐련 지지부(4)의 히터 삽입구(10b)를 통과하여 궐련 지지부(4)의 내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궐련 지지부(4)가 돌출관(1020)에 결합된 상태 궐련(2000)이 궐련 지지부(4)에 수용되는 경우 히터(1030)의 단부(1031)가 궐련(2000)에 삽입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사용자가 궐련(2000)을 수용통로(1004h)에 삽입하면 궐련(2000)이 궐련 지지부(4)를 따라 이동한다. 궐련 지지부(4)의 바닥에 궐련(2000)의 단부(2000b)가 도달하면 궐련(2000)을 쥐고 있는 사용자의 손에 바닥과 궐련(2000)의 단부(2000b)가 접촉하는 느낌이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궐련(2000)을 손에 쥐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밀어 넣는 간단한 동작을 실시함으로써 궐련(2000)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다.
사용자가 궐련(2000)을 궐련 지지부(4)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사용자가 궐련(2000)을 손으로 잡아 회전시키며 궐련(2000)을 궐련 지지부(4)의 외부로 빼낼 수 있다. 사용자가 궐련(2000)을 손으로 잡아 회전시키는 동안 담배 물질에 의해 서로 부착되어 있는 궐련(2000)과 히터(1030)가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궐련 지지부(4)에서 궐련(2000)을 분리한 이후에 사용자는 궐련 지지부(4)의 내부의 청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청소 작업을 실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궐련 지지부(4)를 케이스(1001)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사용자가 궐련 지지부(4)를 손으로 잡아 케이스(1001)의 외부로 궐련 지지부(4)를 빼낼 수 있다.
히터 고정부(1040)는 돌출관(1020)의 내부에 설치되며, 히터(1030)의 단부(1031)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멍(1040b)을 구비한다. 히터 고정부(1040)는 돌출관(1020)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케이스(1001)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돌출관(1020)과 히터 고정부(1040)는 서로 분리된 구성이므로 돌출관(1020)과 히터 고정부(1040)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갭(gap)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히터(1030)의 상측 단부(1031)는 히터 고정부(1040)의 관통구멍(1040b)을 통과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며, 또한 돌출관(1020)의 히터 삽입구(10b)를 통과하여 궐련 지지부(4)의 내부에 위치한다.
히터 삽입구(10b)의 면적은 히터 삽입구(10b)를 관통하는 히터(1030)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히터 삽입구(10b)를 통해 외부 공기가 출입할 수 있다.
돌출관(1020)과 궐련 지지부(4)의 사이, 그리고 히터 고정부(1040)와 궐련 지지부(4) 사이에는 내부 공간(50)이 형성된다. 내부 공간(50)의 일측은 궐련 지지부(4)가 돌출관(1020)에 장착될 경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통로(1004g)와 연통되며, 타측으로는 히터 삽입구(10b)와 연통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유입통로(1004g)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궐련 지지부(4)와 돌출부(1020) 사이 틈새를 따라 내부 공간(50)으로 유동하며, 사용자의 흡입 작용에 따라 내부 공간(50)에서 히터 삽입구(10b)를 통해 궐련(2000)을 지나 사용자에게 흡입될 수 있다.
즉, 궐련(2000)이 삽입되는 궐련 지지부(4)의 내부와 내부 공간(50)은 히터(1030)와 히터 삽입구(10b)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한 간극을 통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이때, 궐련(2000)은 가열되어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나, 이와 동시에 에어로졸의 액화 또한 함께 이루어져 액상 물질이 궐련(2000)의 단부(2000b)에서 생성되어 히터(1030)와 히터 삽입구(10b)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통해 내부 공간(50) 측으로 누출될 수 있다. 또한, 내부 공간(50)에 잔류하는 에어로졸이 액화되어 돌출관(1020)의 내측 벽면에 맺힐 수 있으며, 돌출관(1020)의 내측 벽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여기서, '액상 물질'이라 함은 궐련(2000)의 판상엽 매질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 또는 에어로졸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만약, 내부 공간(50)에 잔류하는 액상 물질이 돌출관(1020)과 궐련 지지부(4) 사이에 형성되는 갭(gap)으로 유입될 경우, 액상 물질은 돌출관(1020)의 내측 벽면을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내부로 침투할 수 있으며, 내부로 침투한 액상 물질이 히터(1030)에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배터리(도 1의 1100)나 제어부(도 1의 1200)를 적실 경우 배터리(1100)나 제어부(120)가 파손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히터 고정부(1040)의 라운드면(1040r)은 내부 공간(50)으로 유입되는 액상 물질이 돌출관(1020)과 히터 고정부(1040) 사이의 갭(gap)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액상의 물질을 모아주는 일종의 방파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라운드면(1040r)은 내부 공간(50)에서 생성된 액상 물질이 내부 공간(50)의 모서리에 고착되지 않고 히터(1030) 측으로 전달되도록 보조할 수도 있다. 예컨대, 라운드면(1040r)에 의해 히터(1030) 측으로 전달된 액상 물질은 히터(1030)에 의해 가열되어 다시 에어로졸화될 수도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돌출관(1020)과 히터 고정부(1040)의 사이에 개재되어 돌출관(1020)과 히터 고정부(1040) 사이의 갭을 밀폐하는 실링부재(10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히터 고정부(1040)는 돌출관(1020)과 맞닿는 면으로부터 인입 형성되는 실링홈(1040h)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실링부재(1050)는 실링홈(1040h)에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링부재(1050)는 돌출관(1020) 측에 형성된 실링홈(미도시)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면에 나타난 실시예는 실링부재(1050)가 원형일 경우를 묘사하고 있으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링부재(1050)는 탄성(elastic) 재료를 포함하며, 돌출관(1020)과 히터 고정부(1040) 사이에 형성되는 갭을 통해 액상 물질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돌출관(1020)과 히터 고정부(1040) 사이의 갭을 밀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한 특정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링부재(1050)는 만약 내부 공간(50)에 누적된 액상 물질이 히터 고정부(1040)의 라운드면(1040r)의 높이(a)보다 높게 흘러 넘쳐 돌출관(1020)과 히터 고정부(1040) 사이에 형성되는 갭을 따라 흘러 내릴 경우에도, 액상 물질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막아 내부에 설치된 배터리(1100)와 제어부(1200)를 보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후술할 히터 고정부(2040)의 구조와 실링부재(2060)(2070)의 설치 위치 및 베이스부(2050)의 결합 구조 이외 다른 구성요소들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히터 고정부(2040)에 대해 설명하면, 히터 고정부(2040)는 히터(2030)를 지지하도록 돌출관(2020) 내부에 설치되되, 돌출관(2020)에 접촉하는 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뱅크부재(2040p)와, 돌출관(2020)에 접촉하는 면으로부터 인입 형성되어 돌출관(2020)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2040ha)(2040hb)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측'이라 함은 도면에 나타난 뱅크부재(2040p)가 돌출되는 수직 방향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 또한 포함하는 의미이다. 즉, 뱅크부재(2040p)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뱅크부재(2040p)는 상측을 향하는 사선(slant) 방향으로도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내부 공간(50)에 누적된 액상 물질이 돌출관(2020)과 히터 고정부(2040) 사이의 갭으로 유입된다고 하더라도, 뱅크부재(2040p)에 의해 액상 물질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 내부로의 침투가 1차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수용홈(2040hb)에는 실링부재(2060)가 설치됨으로써 돌출관(2020)과 히터 고정부(2040) 사이의 갭을 밀폐할 수 있으므로, 실링부재(2060)에 의해 2차로 액상 물질의 내부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의하면, 다른 실시예에 관한 히터 고정부(2040)는 모두 두 개의 수용홈(2040ha)(2040hb)을 포함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히터 고정부(2040)는 하나 이상의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도 7을 참조하면 히터(2030)에 인접하는 수용홈(2040ha)에는 돌출관(2020)의 일부가 수용되고, 히터(2030)에서 멀리 떨어진 수용홈(2040hb)에는 실링부재(2060)가 설치될 수 있으나, 이와는 반대의 구조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두 개의 수용홈(2040ha)(2040hb) 모두에 실링부재(2060)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히터에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배터리(도 1의 1100)와 제어부(도 2의 1200)를 둘러싸 지지하며, 케이스(2001)의 내부에 돌출관(2020)과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베이스부(2050)와, 돌출관(2020)과 베이스부(2050) 사이에 개재되어 돌출관(2020)과 베이스부(2050) 사이의 갭을 밀폐하는 실링부재(20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2070)는 도 6에 도시된 히터 고정부(1040)의 실링홈(1040h)과 같이 돌출관(2020)이나 베이스부(2050)에 형성된 실링홈(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으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시로서, 도 7에 도시된 돌출관(2020)과 베이스부(2050)에는 실링홈이 별도로 형성되지 않으며, 실링부재(2070)는 돌출관(2020)과 베이스부(2050)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개재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실링부재(1050)와 마찬가지로, 도 7에 도시된 실링부재(2060)(2070) 또한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실링부재(2060)(2070)는 돌출관(2020)과 히터 고정부(2040) 사이와, 돌출관(2020)과 베이스부(2050) 사이의 갭을 밀폐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내부로 액상 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과 효과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4: 궐련 지지부 1030: 히터
10: 내부통 1040, 2040: 히터 고정부
10b: 히터 삽입구 1040b: 관통구멍
20: 외부통 1040g: 유입통로
20t: 외부벽 1040h: 실링홈
26: 연장 지지면 1040r: 라운드면
1000: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50, 2060, 2070: 실링부재
2000: 궐련 2040p: 뱅크부재
1001: 케이스 2040ha, 2040hb: 수용홈
1002: 커버 2050: 베이스부
1020: 돌출관 1100: 배터리
1020h: 결합통로 1200: 제어부
1020g: 공기홀

Claims (13)

  1. 궐련이 삽입 가능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 단부에서 돌출되며 외부를 향하여 개방되는 중공 형상의 돌출관;
    단부가 상기 돌출관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및
    상기 돌출관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라운드면을 구비하며, 상기 히터를 지지하도록 상기 돌출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 고정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관과 상기 히터 고정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돌출관과 상기 히터 고정부 사이의 갭을 밀폐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고정부는 상기 돌출관과 맞닿는 면으로부터 인입 형성되는 실링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실링홈에 설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관은 상기 히터 고정부와 맞닿는 면으로부터 인입 형성되는 실링홈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실링홈에 설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탄성(elastic) 재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궐련이 삽입 가능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 단부에서 돌출되며 외부를 향하여 개방되는 중공 형상의 돌출관;
    단부가 상기 돌출관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및
    상기 돌출관에 접촉하는 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뱅크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히터를 지지하도록 상기 돌출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 고정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고정부는 상기 돌출관과 맞닿는 면으로부터 인입 형성되어 상기 돌출관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에 설치되어 상기 돌출관과 상기 히터 고정부 사이의 갭을 밀폐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용홈 중 하나는 상기 돌출관의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복수개의 수용홈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실링부재가 설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탄성(elastic) 재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궐련이 삽입 가능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외부를 향하여 개방되는 중공 형상의 돌출관;
    단부가 상기 돌출관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상기 히터를 지지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히터 고정부;
    상기 히터에 상기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배터리와 제어부를 둘러싸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돌출관과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돌출관과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돌출관과 상기 베이스부 사이의 갭을 밀폐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관은 상기 베이스부와 맞닿는 면으로부터 인입 형성되는 실링홈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실링홈에 설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돌출관과 맞닿는 면으로부터 인입 형성되는 실링홈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실링홈에 설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탄성(elastic) 재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80063759A 2016-12-16 2018-06-01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65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44,730 US11647785B2 (en) 2017-09-06 2018-06-14 Aerosol generation device having structure for preventing liquid leakage
EP18853434.1A EP3679813A4 (en) 2017-09-06 2018-06-14 AEROSOL PRODUCTION DEVICE
CN202010756239.7A CN111838772B (zh) 2017-09-06 2018-06-14 气溶胶生成装置
EP20188792.4A EP3753423A1 (en) 2017-09-06 2018-06-14 Aerosol generation device
PCT/KR2018/006702 WO2019050131A1 (ko) 2017-09-06 2018-06-14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201880047174.XA CN110891438B (zh) 2017-09-06 2018-06-14 气溶胶生成装置
CN202111491697.3A CN114766724A (zh) 2017-09-06 2018-06-14 气溶胶生成装置
EP21209164.9A EP3997993A1 (en) 2017-09-06 2018-06-14 Aerosol generation device
MYPI2020001219A MY195328A (en) 2017-09-06 2018-06-14 Aerosol Generating Device
JP2020501188A JP6959429B2 (ja) 2017-09-06 2018-06-14 エアロゾル生成装置
US16/942,356 US20200352229A1 (en) 2017-09-06 2020-07-29 Aerosol generation device
JP2020128350A JP6796739B2 (ja) 2017-09-06 2020-07-29 エアロゾル生成装置
JP2021165298A JP7277010B2 (ja) 2017-09-06 2021-10-07 エアロゾル生成装置
US17/533,783 US11730195B2 (en) 2017-09-06 2021-11-23 Aerosol generation device
JP2022001512A JP7323657B2 (ja) 2017-09-06 2022-01-07 エアロゾル生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72889 2016-12-16
KR20170046938 2017-04-11
KR1020170077586A KR20180070436A (ko) 2016-12-16 2017-06-19 에어로졸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170113954A KR20180070453A (ko) 2016-12-16 2017-09-06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70113954 2017-09-0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194A Division KR102012848B1 (ko) 2016-12-16 2019-02-19 에어로졸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306A true KR20190027306A (ko) 2019-03-14
KR102065072B1 KR102065072B1 (ko) 2020-01-10

Family

ID=70227729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759A KR102065072B1 (ko) 2016-12-16 2018-06-01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80067035A KR102086846B1 (ko) 2016-12-16 2018-06-11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90019194A KR102012848B1 (ko) 2016-12-16 2019-02-19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90027638A KR102012850B1 (ko) 2016-12-16 2019-03-11 에어로졸 생성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035A KR102086846B1 (ko) 2016-12-16 2018-06-11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90019194A KR102012848B1 (ko) 2016-12-16 2019-02-19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90027638A KR102012850B1 (ko) 2016-12-16 2019-03-11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0650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4465A (ko) * 2021-07-21 2023-01-3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014464A (ko) * 2021-07-21 2023-01-3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11957176B2 (en) 2019-11-25 2024-04-16 Kt&G Corporation Heater assembly,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2091B (zh) * 2019-01-17 2023-09-15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支持多抽吸模式的雾化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471106B1 (ko) 2020-04-23 2022-11-2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이용되는 브라켓
WO2023003351A1 (en) * 2021-07-21 2023-01-26 Kt&G Corporation Aerosol-generating device
KR20230111934A (ko) * 2022-01-19 2023-07-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WO2024039138A1 (en) * 2022-08-17 2024-02-22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8594A (en) * 1991-03-11 1995-02-14 Philip Morris Incorporated Electrical smoking system for delivering flavors and method for making same
CR4906A (es) * 1993-09-10 1994-09-09 Philip Morris Prod Sistema electrico de fumar para distribuir sabores y metodopara su fabricacion
US6053176A (en) * 1999-02-23 2000-04-25 Philip Morris Incorporated Heater and method for efficiently generating an aerosol from an indexing substrate
US6615840B1 (en) * 2002-02-15 2003-09-09 Philip Morris Incorporated Electrical smoking system and method
KR100965099B1 (ko) * 2008-07-07 2010-06-22 (주)휴맥스 케이스 체결 장치
JP4739433B2 (ja) * 2009-02-07 2011-08-03 和彦 清水 無煙喫煙治具
KR20130027909A (ko) * 2011-09-08 2013-03-18 이영인 흡입감이 향상된 전자담배를 위한 카트리지
AU2012360817B2 (en) 2011-12-30 2017-09-07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improved temperature distribution
US8973587B2 (en) * 2012-08-24 2015-03-10 Kimree Hi-Tech Inc. Electronic cigarette device
CA2886395C (en) * 2012-12-28 2020-10-27 Philip Morris Products S.A. Heating assembly for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KR101516304B1 (ko) 2013-09-12 2015-05-04 김한기 전자담배
KR101656061B1 (ko) * 2013-12-18 2016-09-22 신종수 전자담배
US9913493B2 (en) * 2014-08-21 2018-03-13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including a moveable cartridge and related assembly method
EP3200633A4 (en) * 2014-10-02 2018-05-16 Digirettes, Inc. Disposable tank electronic cigarette, method of manufacture and method of use
CN204444239U (zh) * 2014-12-25 2015-07-08 上海绿馨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吸烟器
KR20160088163A (ko) * 2015-01-15 2016-07-25 주식회사다모아캠 충전단자 보호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담배 충전장치
CN104799434B (zh) * 2015-03-30 2017-06-23 刘团芳 一种香烟烘烤器
CN105342011B (zh) * 2015-11-06 2018-06-26 浙江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固体烟弹卷烟的加热抽吸装置
CN205180371U (zh) * 2015-11-18 2016-04-27 卓尔悦(常州)电子科技有限公司 雾化器及其电子烟
CN205597118U (zh) 2016-03-14 2016-09-28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烟支加热装置及电子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7176B2 (en) 2019-11-25 2024-04-16 Kt&G Corporation Heater assembly,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KR20230014465A (ko) * 2021-07-21 2023-01-3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014464A (ko) * 2021-07-21 2023-01-3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308A (ko) 2019-03-14
KR20190028683A (ko) 2019-03-19
KR20190027361A (ko) 2019-03-14
KR102065072B1 (ko) 2020-01-10
KR102012848B1 (ko) 2019-08-21
KR102086846B1 (ko) 2020-03-09
KR102012850B1 (ko)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23657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20190027306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11163653B (zh) 一种气溶胶生成装置
KR20190049397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RU275354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EP3704970A2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CN110891438B (zh) 气溶胶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