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308A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308A
KR20190027308A KR1020180067035A KR20180067035A KR20190027308A KR 20190027308 A KR20190027308 A KR 20190027308A KR 1020180067035 A KR1020180067035 A KR 1020180067035A KR 20180067035 A KR20180067035 A KR 20180067035A KR 20190027308 A KR20190027308 A KR 20190027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erosol generating
case
coupl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6846B1 (ko
Inventor
이종섭
전인성
오성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7758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70436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1395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70453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CN202010763064.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1904043A/zh
Priority to US16/644,654 priority patent/US11344062B2/en
Priority to JP2020501377A priority patent/JP6963089B2/ja
Priority to MYPI2020001220A priority patent/MY195322A/en
Priority to PCT/KR2018/006747 priority patent/WO2019050132A1/ko
Priority to EP21210402.0A priority patent/EP3987949A1/en
Priority to CN202111492624.6A priority patent/CN114271542A/zh
Priority to EP18854661.8A priority patent/EP3679814A4/en
Priority to CN201880050526.7A priority patent/CN111031826A/zh
Priority to EP20188926.8A priority patent/EP3750412A3/en
Publication of KR20190027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846B1/ko
Priority to US16/942,481 priority patent/US11259567B2/en
Priority to JP2020128351A priority patent/JP6799192B2/ja
Priority to JP2021168924A priority patent/JP7225344B2/ja
Priority to US17/534,847 priority patent/US11937631B2/en
Priority to JP2022001510A priority patent/JP7277621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일 측에서 개방된 개구와, 개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궐련을 수용하는 내부공간과,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제 1 하우징;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 1 하우징의 타 측에 결합되는 제 2 하우징;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체결부; 제 2 하우징에 결합되는 배터리; 및 제 2 하우징, 체결부 및 배터리를 내부에 수용하며 제 2 하우징과 결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되, 체결부는 케이스에 의해 외부로의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Aerosol generating device}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체결 구조가 은폐되어 노출되지 않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궐련 또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사용될 때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체결하는 체결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의 압력 또는 자극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노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체결 구조를 사용자가 임의 분해 또는 해제하게 될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종래의 체결 구조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관에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거나 은폐되더라도 체결 구조를 은폐시키는 구조가 단순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파손 또는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체결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체결 구조를 은폐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조에서는 사용자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임의 분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파손 또는 손상 시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임의 분해 여부를 확인할 수 없었다.
실시예들은 체결 구조가 은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일 측에서 개방된 개구와, 개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궐련을 수용하는 내부공간과,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제 1 하우징;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 1 하우징의 타 측에 결합되는 제 2 하우징;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체결부; 제 2 하우징에 결합되는 배터리; 및 제 2 하우징, 체결부 및 배터리를 내부에 수용하며 제 2 하우징과 결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되, 체결부는 케이스에 의해 외부로의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제 2 하우징과 케이스를 결합시키는 결합부, 및 결합부를 덮도록 케이스의 일 면에 장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케이스와 커버의 사이에 접착부를 더 포함하고, 접착부의 양 면에는 접착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접착부에 의해 케이스에 결합된 커버가 케이스로부터 분리될 때, 접착부에 소정의 표시가 발생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은 제 1 하우징의 타 측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하고, 체결부는 플랜지로부터 제 2 하우징을 향해 연장되는 제 1 홈부, 제 1 홈부에 대응되며 제 2 하우징에 형성된 제 2 홈부, 및 제 1 홈부와 제 2 홈부를 체결하는 체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 수단은 핀, 나사, 또는 리벳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체결부는 제 1 하우징으로부터 제 2 하우징을 향하여 연장되는 후크부 및 제 2 하우징에 형성되어 후크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는 제 2 하우징의 일 면에 형성된 제 1 결합구, 제 1 결합구에 대응되며 케이스에 형성된 제 2 결합구 및 제 1 결합구와 제 2 결합구를 결합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수단은 핀, 나사, 또는 리벳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은 제 1 하우징의 일 측면에 제어부와 연결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케이스는 스위치를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제 1 하우징을 내부에 수용하는 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부에 개구와, 개구를 통하여 궐련이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과,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제 1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 2 하우징을 제 1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시키는 단계; 체결부를 통하여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단계; 배터리를 제 2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단계; 및 제 2 하우징, 체결부 및 배터리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케이스를 제 2 하우징과 결합시키는 단계;를 구비하고, 체결부는 케이스에 의해 외부로의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는 궐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케이스가 결합되는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커버와 캡부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및 히터(13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증기화기(14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내부 공간에는 궐련(200)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히터(130)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히터(13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에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및 히터(130)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증기화기(140) 및 히터(130)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증기화기(140) 및 히터(130)가 병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내부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설계에 따라, 배터리(110), 제어부(120), 히터(130) 및 증기화기(140)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궐련(2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삽입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히터(130) 및/또는 증기화기(140)를 작동시켜, 궐련(200) 및/또는 증기화기(140)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히터(130) 및/또는 증기화기(140)에 의하여 발생된 에어로졸은 궐련(2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필요에 따라, 궐련(2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히터(130)를 가열할 수 있다.
배터리(1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는 히터(130) 또는 증기화기(14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12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배터리(110), 히터(130) 및 증기화기(140)뿐 만 아니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히터(130)는 배터리(11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삽입되면, 히터(130)는 궐련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130)는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히터(130)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130)가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히터(130)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희망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희망 온도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원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예로, 히터(130)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130)에는 궐련을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궐련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는 관 형 가열 요소, 판 형 가열 요소, 침 형 가열 요소 또는 봉 형의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의 모양에 따라 궐련(200)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는 히터(130)가 복수 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히터(130)들은 궐련(2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궐련(200)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히터(130)들 중 일부는 궐련(2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는 궐련(2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히터(130)의 형상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증기화기(140)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에어로졸은 궐련(2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증기화기(140)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기류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기류 통로는 증기화기(140)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이 궐련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화기(140)는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는 독립적인 모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액상 조성물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증기화기(140)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증기화기(140)와 일체로서 제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또는 비타민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은 액체 저장부의 액상 조성물을 가열 요소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전달 수단은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과 같은 심지(wick)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열 요소는 액체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기 위한 요소이다. 예를 들어, 가열 요소는 금속 열선, 금속 열판, 세라믹 히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가열 요소는 니크롬선과 같은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성될 수 있고,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전류 공급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와 접촉된 액체 조성물에 열을 전달하여, 액체 조성물을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화기(140)는 카토마이저(cartomizer) 또는 무화기(atomizer)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히터(130) 및 증기화기(140)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및/또는 촉각 정보의 출력을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퍼프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궐련 삽입 감지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궐련(200)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 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배터리(110)의 충전에 이용될 수 있다. 또는, 크래들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히터(130)가 가열될 수도 있다.
궐련(200)은 일반적인 연소형 궐련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200)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1 부분과 필터 등을 포함하는 제 2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궐련(200)의 제 2 부분에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과립 또는 캡슐의 형태로 만들어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제 2 부분에 삽입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내부에는 제 1 부분의 전체가 삽입되고, 제 2 부분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내부에 제 1 부분의 일부만 삽입될 수도 있고, 제 1 부분의 전체 및 제 2 부분의 일부가 삽입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 2 부분을 입으로 문 상태에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은 외부 공기가 제 1 부분을 통과함으로써 생성되고, 생성된 에어로졸은 제 2 부분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된다.
일 예로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형성된 공기 통로의 개폐 및/또는 공기 통로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화량, 끽연감 등이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외부 공기는 궐련(200)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을 통하여 궐련(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궐련(200)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궐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궐련(200)은 담배 로드(210) 및 필터 로드(22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 1 부분(210)은 담배 로드(210)를 포함하고, 제 2 부분(32000)은 필터 로드(220)를 포함한다.
도 4에는 필터 로드(220)가 단일 세그먼트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필터 로드(220)는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220)는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제 1 세그먼트 및 에어로졸 내에 포함된 소정의 성분을 필터링하는 제 2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필터 로드(220)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궐련(200)은 적어도 하나의 래퍼(240)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래퍼(240)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궐련(200)은 하나의 래퍼(240)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궐련(200)은 2 이상의 래퍼(240)들에 의하여 중첩적으로 포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래퍼에 의하여 담배 로드(210)가 포장되고, 제 2 래퍼에 의하여 필터 로드(220)가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된 담배 로드(210) 및 필터 로드(220)가 결합되고, 제 3 래퍼에 의하여 궐련(200) 전체가 재포장될 수 있다. 만약, 담배 로드(210) 또는 필터 로드(220) 각각이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되어 있다면, 각각의 세그먼트가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된 세그먼트들이 결합된 궐련(200) 전체가 다른 래퍼에 의하여 재포장될 수 있다.
담배 로드(21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담배 로드(210)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에는, 멘솔 또는 보습제 등의 가향액이, 담배 로드(210)에 분사됨으로써 첨가할 수 있다.
담배 로드(210)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로드(210)는 시트(sheet)로 제작될 수도 있고, 가닥(strand)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는 담배 시트가 잘게 잘린 각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는 열 전도 물질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 물질은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금속 호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담배 로드(210)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담배 로드(210)에 전달되는 열을 고르게 분산시켜 담배 로드에 가해지는 열 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담배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서셉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담배 로드(210)는 외부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 이외에도 추가의 서셉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로드(220)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한편, 필터 로드(22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220)는 원기둥 형(type) 로드일 수도 있고,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220)는 리세스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만약, 필터 로드(220)가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경우,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필터 로드(220)는 향미가 발생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필터 로드(220)에 가향액이 분사될 수도 있고, 가향액이 도포된 별도의 섬유가 필터 로드(220)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2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230)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캡슐(230)은 향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캡슐(230)은 향료를 포함하는 액체를 피막으로 감싼 구조일 수 있다. 캡슐(230)은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만약, 필터 로드(220)에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세그먼트가 포함될 경우, 냉각 세그먼트는 고분자 물질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세그먼트는 순수한 폴리락트산 만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냉각 세그먼트는 복수의 구멍들이 뚫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냉각 세그먼트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로졸이 냉각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200)은 전단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단 필터는 담배 로드(210)에 있어서, 필터 로드(220)에 대향하는 일측에 위치한다. 전단 필터는 담배 로드(210)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흡연 중에 담배 로드(210)로부터 액상화된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도 1 내지 도 3의 100)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제 1 하우징(10), 제 2 하우징(20), 체결부(50), 및 케이스(8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제 1 하우징(10)은 일 측에서 개방된 개구(11)를 갖고 개구(11)를 통해 삽입된 궐련(200; 도 1 참조)을 수용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10)은 또한 삽입된 궐련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갖고 내부 공간에는 궐련을 가열하는 히터(130; 도 1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제 1 하우징(10)의 타 측에 결합되는 제 2 하우징(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하우징(20)은 궐련이 삽입되는 제 1 하우징(10)의 일 측의 반대편인 제 1 하우징(10)의 타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20)은 제 2 하우징(20)의 내부에 제어부(120; 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하우징(20)은 또한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부(120)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스위치(27)를 제 2 하우징(20)의 일 측면에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제 1 하우징(10)과 제 2 하우징(20)을 결합시키는 체결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하우징(20)은 제 1 하우징(10)의 타 측에 체결부(50)를 통하여 결합되어 제 1 하우징(10)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제 2 하우징(20)과 결합되는 배터리(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10)는 제 2 하우징(20)의 일 면과 결합할 수 있으며, 제 1 하우징(10)의 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배터리(110)는 예를 들어 제 2 하우징(20)의 일 측면을 감싸는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배터리(110)는 또한 제 2 하우징(20)과 결합하여 일체형을 이룰 수 있고 제 2 하우징(20)에 전력을 제공하여 제 2 하우징(20) 내부의 제어부가 작동되게 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제 2 하우징(20), 체결부(50), 및 배터리(110)를 내부에 수용하며 제 2 하우징(20)과 결합하는 케이스(8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80)가 제 2 하우징(20), 체결부(50), 및 배터리(110) 모두를 내부에 수용함에 따라 제 2 하우징(20), 체결부(50), 및 배터리(110)는 외부로의 노출이 방지되고 케이스(80)에 의하여 은폐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10)과 제 2 하우징(20)을 결합시키는 체결부(50)가 케이스(80)에 의해 은폐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사용자가 제 1 하우징(10) 및 제 2 하우징(20)의 결합을 일반적인 접근으로 해제 또는 분리할 수 없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체결부(5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알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제 1 하우징(10)은 제 1 하우징(10)의 타 측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8)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18)는 제 1 하우징(10)의 타 측 단부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 1 하우징(10)의 타 측 단부에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진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체결부(50)는 플랜지(18)로부터 제 2 하우징(20)을 향해 돌출하는 제 1 홈부(15), 제 1 홈부(15)에 대응되며 제 2 하우징(20)에 형성된 제 2 홈부(25), 및 제 1 홈부(15)와 제 2 홈부(25)를 체결하는 체결 수단(28)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홈부(15)는 플랜지(18)로부터 제 2 하우징(20)을 향하여 돌출하여, 제 1 하우징(20)과 제 2 하우징(20)이 결합하였을 때 제 1 홈부(15)가 제 2 하우징(20)의 외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홈부(25)는 제 1 홈부(15)의 위치에 대응되게 제 2 하우징(2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홈부(15)와 제 2 홈부(25)는 결합 시에 동일한 중심축을 가질 수 있어 체결 수단(28)이 제 1 홈부(15)와 제 2 홈부(25)를 함께 통과할 수 있다.
제 1 홈부(15)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 1 홈부(15)는 제 1 하우징(10)의 플랜지(18) 상에서 제 1 하우징(20)의 원주 방향에 대한 플랜지(18)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홈부(25)는 제 1 홈부(15)와 대응되도록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제 2 하우징(20)에서 제 1 홈부(15)가 연장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홈부(15)와 제 2 홈부(25)가 복수 개 설치될 때에는 제 1 홈부(15)와 제 2 홈부(25)가 플랜지(18)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체결 수단(28)은 제 1 홈부(15)와 제 2 홈부(25)를 통과하여 제 1 홈부(15)와 제 2 홈부(25)를 체결할 수 있으며, 체결 수단(28)은 예를 들어 핀, 나사, 또는 리벳일 수 있다. 제 1 홈부(15)와 제 2 홈부(25)는 체결 수단(28)과 결합될 수 있으며 체결 수단(28)에 따라 크기 또는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수단(28)인 나사일 경우, 제 1 홈부(15)와 제 2 홈부(25)는 체결 수단(28)인 나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 1 홈부(15) 및 제 2 홈부(25) 각각의 내부에 나사산을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다.
제 1 하우징(10)과 제 2 하우징(20)이 제 1 홈부(15)와 제 2 홈부(25)를 체결하는 체결 수단(28)에 의해서 결합되면 제 1 하우징(10) 내의 히터(130)는 제 2 하우징(20) 내의 제어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하우징(10)의 히터(130)는 제 2 하우징(20)의 제어부(1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는 흡연 시 제 2 하우징(20)의 일 면에 형성되어 제어부(120)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스위치(27)를 눌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6a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체결부(5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알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제 1 하우징(10)은 제 1 하우징(10)의 타 측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8)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50)는 플랜지(18)로부터 연장되어 제 2 하우징(20)을 향해 연장되는 후크부(65) 및 제 2 하우징(20)에 형성되어 후크부(65)를 수용하는 수용부(75)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부(65)는 제 1 하우징(10)의 플랜지(18)로부터 제 2 하우징(20)을 향하여 돌출함으로써 제 1 하우징(10)이 제 2 하우징(20)과 결합하였을 때 후크부(65)가 제 2 하우징(20)의 외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후크부(65)는 제 2 하우징(20)의 내부를 향하도록 돌출함으로써 제 1 하우징(10)이 제 2 하우징(20)과 결합하였을 때 후크부(65)가 제 2 하우징(20)의 내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후크부(65)는 고리 형상을 포함하는 돌출부를 후크부(65)의 말단에 가질 수 있으나 실시예는 후크부(65)의 구체적 구성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후크부(65)의 말단은 제 2 하우징(20)의 외면 상에 위치하고 후크부(65)의 돌출부는 제 2 하우징(20)의 외면 방향으로 연장하는 고리 형상의 돌출부일 수 있다. 후크부(65)는 고리 형상의 돌출부를 통하여 제 2 하우징(20)의 외면 상에 형성된 수용부(75)와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후크부(65)는 제 2 하우징(20)의 내면과 결합하도록 제 2 하우징(20)의 내부로 연장할 수 있다. 후크부(65)의 말단에 형성된 돌출부는 고리 형상으로 제 2 하우징(20)의 내면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후크부(65)의 말단에 형성된 돌출부는 제 2 하우징(2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75)와 직접 체결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20)의 수용부(75)에 수용된 후크부(65)는 소정 범위 이상의 힘이 가해질 때 제 2 하우징(20)과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20)에 형성된 수용부(75)는 제 1 하우징(10)의 후크부(65)에 대응되도록 제 2 하우징(20)의 외면 또는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75)는 후크부(65)의 말단의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부(65)의 말단의 돌출부의 형상이 고리 형상일 경우 수용부(75)는 고리 형상과 체결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10)의 후크부(65)와 제 2 하우징(20)의 수용부(75)가 제 2 하우징(20)의 내부에서 결합되면 후크부(65)와 수용부(75)는 외부로부터 은폐될 수 있다.
도 7a는 케이스(80)가 결합되는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7a 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제 2 하우징(20), 배터리(110), 및 체결부(50)를 내부에 수용하며 제 2 하우징(20)과 결합하는 케이스(8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80)는 내부에 제 2 하우징(20), 배터리(110), 및 체결부(5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동을 가질 수 있다. 내부의 공동에 제 2 하우징(20), 배터리(110), 및 체결부(50)가 수용되어 제 2 하우징(20), 배터리(110), 및 체결부(50)의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체결부(50)의 노출이 방지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사용자의 체결부(50)에 대한 일반적인 접근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사용자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해제 또는 분해할 수 없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임의 분해가 방지될 수 있다.
케이스(80)는 결합부(88)를 통하여 제 2 하우징(20)과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결합부(88)는 제 2 하우징(20)의 일 면에 형성된 제 1 결합구(29), 제 1 결합구(29)에 대응되며 케이스(80)에 형성된 제 2 결합구(85), 및 제 1 결합구(29)와 제 2 결합구(85)를 결합하는 결합 수단(8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결합구(29)는 제 2 하우징(20)의 타 측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결합구(29)는 제 2 하우징(20)의 타 측 면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 2 하우징(20)의 타 측 면의 중심에 대해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대칭적인 홈일 수 있다.
제 2 결합구(85)는 케이스(80)의 타 측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80)가 제 2 하우징(20), 체결부(50), 및 배터리(110)를 수용하면서 제 2 하우징(20)에 결합될 때 제 2 하우징(20)의 제 1 결합구(29)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80)가 결합되었을 때 제 1 결합구(29)와 제 2 결합구(85)는 동일한 중심축을 가질 수 있어 결합 수단(86)이 제 1 결합구(29)와 제 2 결합구(85)를 함께 통과할 수 있다.
결합 수단(86)은 제 1 결합구(29)와 제 2 결합구(85)를 통과하여 제 1 결합구(29)와 제 2 결합구(85)를 체결할 수 있으며, 결합 수단(86)은 예를 들어 핀, 나사, 또는 리벳일 수 있다. 제 1 결합구(29)와 제 2 결합구(85)는 결합 수단(86)과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 수단(86)에 따라 크기 또는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수단(86)인 나사일 경우, 제 1 결합구(29)와 제 2 결합구(85)는 결합 수단(86)인 나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 1 결합구(29) 및 제 2 결합구(85) 각각의 내부에 나사산을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다.
케이스(80)는 제 2 하우징(20)의 일 측면 상에 형성된 스위치(27)를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통공(83)을 포함할 수 있다. 통공(83)은 스위치(27)의 위치와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80)의 일 측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27)는 통공(83)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어 사용자의 일반적인 접근이 용이할 수 있다. 스위치(27)는 제 2 하우징(20) 내부의 제어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제어부(1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흡연 시에 스위치(27)를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7b는 커버(30)와 캡부(90)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제 1 하우징(10)의 외측에 배치되어 제 1 하우징(10)을 둘러싸며 단부가 플랜지(18)에 접촉하는 캡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캡부(90)는 제 1 하우징(10)을 내부에 수용하는 내부 공동을 가질 수 있다. 캡부(90)가 제 1 하우징(10)을 둘러싸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결합되었을 때 캡부(90)의 단부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플랜지(18)와 접촉할 수 있다.
캡부(90)는 제 1 하우징(10)을 내부에 수용하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분리 가능하도록 제 1 하우징(10)의 플랜지(18)와 결합한다. 이 때 캡부(90)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제 1 하우징(1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10)과 캡부(90)는 서로에 대하여 인력이 작용되는 결착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결착 수단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지만 외부의 일반적인 충격에 의해서는 분리되지 않도록 소정 범위 이상의 인력을 제 1 하우징(10)과 캡부(90)의 사이에 제공할 수 있다. 결착 수단은 예를 들어 자성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캡부(90)는 제 1 하우징(10)을 내부에 수용하여 제 1 하우징(10)으로 외부의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 1 하우징(10)의 파손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캡부(90)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결합되면, 캡부(90)의 외측 표면과 케이스(80)의 외측 표면이 서로 연속하여 이어짐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일체형의 매끈한 외형을 가질 수 있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제 2 하우징(20)과 케이스(80)를 결합하는 결합부(88)를 덮도록 케이스(80)의 일 면에 장착되는 커버(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30)는 제 2 하우징(20)과 케이스(80)를 결합하는 결합부(88)를 덮어 결합부(88)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사용자의 결합부(88)에 대한 일반적인 접근이 방지될 수 있다. 결합부(88)에 대한 일반적 접근이 방지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사용자의 임의적인 해제 또는 분해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케이스(80)의 일 면과 커버(30) 사이에 접착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35)의 양 면에는 접착 물질이 도포될 수 있어 커버(30)는 접착부(35)를 통하여 케이스(80)에 결합될 수 있다.
접착부(35)는 커버(30)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구성 요소가 접착부(35)에 결합된 후 접착부(35)로부터 분리될 때 커버(30)가 케이스(80)로부터 분리된 것을 나타내도록 접착부(35)의 적어도 일부가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커버(30)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부터 사용자가 임의로 분리하게 되면 커버(30)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부터 분리된 것임을 나타낼 수 있도록 접착부(35)에는 소정의 표시가 남을 수 있다.
접착부(35)의 표시는 커버(30)가 분리될 때에 접착부(35)의 적어도 일부분이 변형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30)가 분리될 때에 접착부(35)의 접착 물질이 변형되거나, 접착 물질과 함께 접착부(35)의 일부분이나 전체가 구겨지거나 찢어짐으로써 접착부(35)의 표시가 발생할 수 있다.
접착부(35)에 남는 표시는 비가역적으로서, 표시가 접착부(35)에 발생하게 되면 접착부(35)로부터 표시를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접착부(35)를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커버(30)의 분리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커버(30)의 임의 분리에 대한 정보를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제 1 하우징(10), 제 2 하우징(20), 및 배터리(110) 중 적어도 하나의 분리 여부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을 체결하는 체결 구조가 은폐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체결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의 압력 또는 자극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노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체결 구조를 사용자가 임의 분해 또는 해제하게 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파손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커버(30)를 결합시키는 접착부(35)에는 커버(30)가 접착부(35)로부터 분리될 때 비가역적인 표시가 남는다. 표시가 접착부(35)에 남은 후에는 접착부(35)로부터 표시를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접착부(35)를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커버(30)의 임의 분리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커버(30)의 임의 분리에 대한 정보를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제 1 하우징(10), 제 2 하우징(20), 및 배터리(110) 중 적어도 하나의 분리 여부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조 방법은 상부에 개구(11)와, 개구(11)를 통하여 궐련(200)이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과,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히터(130)를 포함하는 제 1 하우징(10)을 제공하는 단계와 제어부(120)를 포함하는 제 2 하우징(20)을 제 1 하우징(10)의 하부에 결합시키는 단계;와 체결부(50)를 통하여 제 1 하우징(10)과 제 2 하우징(20)을 결합시키는 단계;와 배터리(110)를 제 2 하우징(20)에 결합시키는 단계와, 제 2 하우징(20), 체결부(50) 및 배터리(110)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케이스(80)를 제 2 하우징(20)과 결합시키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체결부(50)는 케이스(80)에 의해 외부로의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제조 방법의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대하여 상술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와 중복되는 범위에서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일 측에서 개방된 개구와, 상기 개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궐련을 수용하는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제 1 하우징;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하우징의 타 측에 결합되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체결부;
    상기 제 2 하우징에 결합되는 배터리; 및
    상기 제 2 하우징, 상기 체결부 및 상기 배터리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제 2 하우징과 결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상기 케이스에 의해 외부로의 노출이 방지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제 1 하우징의 타 측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플랜지로부터 제 2 하우징을 향해 연장되는 제 1 홈부, 상기 제 1 홈부에 대응되며 상기 제 2 하우징에 형성된 제 2 홈부, 및 상기 제 1 홈부와 상기 제 2 홈부를 체결하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핀, 나사, 또는 리벳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제 1 하우징으로부터 제 2 하우징을 향하여 연장되는 후크부 및 제 2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과 상기 케이스를 결합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를 덮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 면에 장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의 사이에 배치된 접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의 양 면에는 접착 물질이 도포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상기 커버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커버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된 것을 나타내도록 상기 접착부의 적어도 일부가 변형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상기 일 면에 형성된 제 1 결합구, 상기 제 1 결합구에 대응되며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제 2 결합구 및 상기 제 1 결합구와 상기 제 2 결합구를 결합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핀, 나사, 또는 리벳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제 1 하우징의 외측 표면에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스위치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통공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하우징을 둘러싸며 단부가 상기 플랜지에 접촉하는 캡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관은 상기 캡부의 외측 표면과 상기 케이스의 외측 표면이 서로 연속하며 이어짐으로써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3. 상부에 개구와, 상기 개구를 통하여 궐련이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제 1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 2 하우징을 상기 제 1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시키는 단계;
    체결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단계;
    배터리를 상기 제 2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2 하우징, 상기 체결부 및 상기 배터리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케이스를 상기 제 2 하우징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상기 케이스에 의해 외부로의 노출이 방지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80067035A 2016-12-16 2018-06-11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86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88926.8A EP3750412A3 (en) 2017-09-06 2018-06-15 Aerosol generation device
CN202111492624.6A CN114271542A (zh) 2017-09-06 2018-06-15 气溶胶生成装置
CN201880050526.7A CN111031826A (zh) 2017-09-06 2018-06-15 气溶胶生成装置
US16/644,654 US11344062B2 (en) 2017-09-06 2018-06-15 Aerosol generation device having concealed fastening portion
JP2020501377A JP6963089B2 (ja) 2017-09-06 2018-06-15 エアロゾル生成装置
MYPI2020001220A MY195322A (en) 2017-09-06 2018-06-15 Aerosol Generating Device
PCT/KR2018/006747 WO2019050132A1 (ko) 2017-09-06 2018-06-15 에어로졸 생성 장치
EP21210402.0A EP3987949A1 (en) 2017-09-06 2018-06-15 Aerosol generation device
CN202010763064.2A CN111904043A (zh) 2017-09-06 2018-06-15 气溶胶生成装置
EP18854661.8A EP3679814A4 (en) 2017-09-06 2018-06-15 AEROSOL GENERATING DEVICE
US16/942,481 US11259567B2 (en) 2017-09-06 2020-07-29 Aerosol generation device
JP2020128351A JP6799192B2 (ja) 2017-09-06 2020-07-29 エアロゾル生成装置
JP2021168924A JP7225344B2 (ja) 2017-09-06 2021-10-14 エアロゾル生成装置
US17/534,847 US11937631B2 (en) 2017-09-06 2021-11-24 Aerosol generation device having concealed fastening portion
JP2022001510A JP7277621B2 (ja) 2017-09-06 2022-01-07 エアロゾル生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72889 2016-12-16
KR20170046938 2017-04-11
KR1020170077586A KR20180070436A (ko) 2016-12-16 2017-06-19 에어로졸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170113954A KR20180070453A (ko) 2016-12-16 2017-09-06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70113954 2017-09-0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638A Division KR102012850B1 (ko) 2016-12-16 2019-03-11 에어로졸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308A true KR20190027308A (ko) 2019-03-14
KR102086846B1 KR102086846B1 (ko) 2020-03-09

Family

ID=70227729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759A KR102065072B1 (ko) 2016-12-16 2018-06-01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80067035A KR102086846B1 (ko) 2016-12-16 2018-06-11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90019194A KR102012848B1 (ko) 2016-12-16 2019-02-19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90027638A KR102012850B1 (ko) 2016-12-16 2019-03-11 에어로졸 생성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759A KR102065072B1 (ko) 2016-12-16 2018-06-01 에어로졸 생성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194A KR102012848B1 (ko) 2016-12-16 2019-02-19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90027638A KR102012850B1 (ko) 2016-12-16 2019-03-11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0650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2091B (zh) * 2019-01-17 2023-09-15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支持多抽吸模式的雾化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423895B1 (ko) 2019-11-25 2022-07-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 조립체,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471106B1 (ko) 2020-04-23 2022-11-2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이용되는 브라켓
WO2023003351A1 (en) * 2021-07-21 2023-01-26 Kt&G Corporation Aerosol-generating device
KR102657025B1 (ko) * 2021-07-21 2024-04-1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89102B1 (ko) * 2021-07-21 2023-10-1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111934A (ko) * 2022-01-19 2023-07-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WO2024039138A1 (en) * 2022-08-17 2024-02-22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099B1 (ko) * 2008-07-07 2010-06-22 (주)휴맥스 케이스 체결 장치
KR101001077B1 (ko) * 2002-02-15 2010-12-14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전기 흡연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US20160286861A1 (en) * 2015-03-30 2016-10-06 Tuanfang Liu Tobacco baking device
KR20170044158A (ko) * 2014-08-21 2017-04-24 레이 스트라티직 홀딩스, 인크. 가동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송달 장치 및 관련 조립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8594A (en) * 1991-03-11 1995-02-14 Philip Morris Incorporated Electrical smoking system for delivering flavors and method for making same
CR4906A (es) * 1993-09-10 1994-09-09 Philip Morris Prod Sistema electrico de fumar para distribuir sabores y metodopara su fabricacion
US6053176A (en) * 1999-02-23 2000-04-25 Philip Morris Incorporated Heater and method for efficiently generating an aerosol from an indexing substrate
JP4739433B2 (ja) * 2009-02-07 2011-08-03 和彦 清水 無煙喫煙治具
KR20130027909A (ko) * 2011-09-08 2013-03-18 이영인 흡입감이 향상된 전자담배를 위한 카트리지
SG11201403623YA (en) 2011-12-30 2014-07-30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improved temperature distribution
AU2012388103B2 (en) * 2012-08-24 2016-11-03 Huizhou Kimree Technology Co., Ltd., Shenzhen Branch Electronic cigarette apparatus
DK3108760T3 (en) * 2012-12-28 2018-03-05 Philip Morris Products Sa HEATER FOR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KR101516304B1 (ko) 2013-09-12 2015-05-04 김한기 전자담배
KR101656061B1 (ko) * 2013-12-18 2016-09-22 신종수 전자담배
KR20170074898A (ko) * 2014-10-02 2017-06-30 디지레츠 인코포레이티드 일회용 탱크 전자 담배,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
CN204444239U (zh) * 2014-12-25 2015-07-08 上海绿馨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吸烟器
KR20160088163A (ko) * 2015-01-15 2016-07-25 주식회사다모아캠 충전단자 보호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담배 충전장치
CN105342011B (zh) * 2015-11-06 2018-06-26 浙江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固体烟弹卷烟的加热抽吸装置
CN205180371U (zh) * 2015-11-18 2016-04-27 卓尔悦(常州)电子科技有限公司 雾化器及其电子烟
CN205597118U (zh) 2016-03-14 2016-09-28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烟支加热装置及电子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077B1 (ko) * 2002-02-15 2010-12-14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전기 흡연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KR100965099B1 (ko) * 2008-07-07 2010-06-22 (주)휴맥스 케이스 체결 장치
KR20170044158A (ko) * 2014-08-21 2017-04-24 레이 스트라티직 홀딩스, 인크. 가동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송달 장치 및 관련 조립 방법
US20160286861A1 (en) * 2015-03-30 2016-10-06 Tuanfang Liu Tobacco bak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848B1 (ko) 2019-08-21
KR20190028683A (ko) 2019-03-19
KR102012850B1 (ko) 2019-08-21
KR102086846B1 (ko) 2020-03-09
KR20190027361A (ko) 2019-03-14
KR102065072B1 (ko) 2020-01-10
KR20190027306A (ko) 201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25344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20190028683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6793870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7402944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10213824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190049408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90049390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히터 조립체
CN110996692B (zh) 气溶胶生成装置
JP7335045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20190049393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생성 방법
CN111031826A (zh) 气溶胶生成装置
KR20210101046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20190049630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