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9397A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9397A
KR20190049397A KR1020180064487A KR20180064487A KR20190049397A KR 20190049397 A KR20190049397 A KR 20190049397A KR 1020180064487 A KR1020180064487 A KR 1020180064487A KR 20180064487 A KR20180064487 A KR 20180064487A KR 20190049397 A KR20190049397 A KR 20190049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ink member
vaporizer
fastening protrusion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8262B1 (ko
Inventor
김태훈
박종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US16/760,128 priority Critical patent/US11369145B2/en
Priority to PCT/KR2018/012776 priority patent/WO2019088580A2/ko
Priority to EP18874446.0A priority patent/EP3704970A4/en
Priority to JP2020502181A priority patent/JP6884264B2/ja
Priority to CN201880049189.XA priority patent/CN110996692B/zh
Publication of KR20190049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262B1/ko
Priority to JP2021080578A priority patent/JP7275194B2/ja
Priority to JP2023075965A priority patent/JP2023099164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Smoker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24B15/302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by natural substances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17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01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4Wick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5Device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means, e.g. Wi-Fi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24F40/95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c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04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means employed
    • G02B19/0009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means employed having refractive surface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33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 G02B19/0047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 G02B19/0061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the light source comprising a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H05B6/108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for heating a flui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01Thermal arrangements, e.g. for cooling, heating or preventing overheating
    • H05K1/0203Cooling of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8Arrangements of two or more hingeably connected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i.e. connected by flexible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04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in general
    • H05K2201/012Flame-retardant; Preventing of inflamm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37Materials
    • H05K2201/0154Polyimid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219Thermoelectric component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궐련이 삽입 가능한 케이스와, 케이스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증기화기와, 케이스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 여부에 따라 증기화기가 케이스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1 작동과, 케이스로부터 증기화기의 분리를 허용하는 제2 작동이 가능한 탈부착 조작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AEROROL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연소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궐련 또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같이 비연소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궐련이 아닌 별도로 구비되는 카트리지에 저장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궐련과는 별도로 가열됨으로써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으며, 반복적인 흡연에 의해 소모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재공급하기 위해 카트리지를 교체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저장하는 증기화기를 케이스에 탈부착 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발생원과 궐련을 복합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경험과 사용의 편리를 제공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원을 가열함으로써 생성되는 에어로졸을 궐련으로 통과시킴으로써 풍부한 풍미와 니코틴 등을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궐련이 삽입 가능한 케이스와, 케이스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증기화기와, 케이스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 여부에 따라 증기화기가 케이스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1 작동과, 케이스로부터 증기화기의 분리를 허용하는 제2 작동이 가능한 탈부착 조작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탈부착 조작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1 링크부재와, 제1 링크부재와 맞물려 제1 링크부재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제1 링크부재는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링크부재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는 버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링크부재는 제1 링크부재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제1 링크부재는 돌출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더 포함하되, 돌출부재와 수용홈이 접촉하는 면의 일부는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탈부착 조작부는 제1 링크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2 링크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는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링크부재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레일부재를 더 포함하고, 제2 링크부재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레일부재를 포함하며, 케이스는, 제1 레일부재에 수용되는 제1 가이드 부재와, 제2 레일부재에 수용되는 제2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제1 레일부재는 제1 링크부재의 수평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운동과 함께 제1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하고, 제2 레일부재는 제2 링크부재의 수직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운동과 함께 제2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레일부재와 상기 제2 레일부재는 제1 가이드 부재와 제2 가이드 부재를 수용하도록 제1 링크부재와 제2 링크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인입 형성된 단차홈 형상 및 제1 링크부재와 제2 링크부재를 관통하는 관통홀 형상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탈부착 조작부가 상기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제1 가이드 부재는 제1 레일부재의 일측 단부와 맞물려 제1 링크부재의 케이스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탈부착 조작부가 제2 작동 상태일 경우, 제1 가이드 부재는 제1 레일부재의 타측 단부와 맞물려 제1 링크부재의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탈부착 조작부가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제2 가이드 부재는 제2 레일부재의 일측 단부와 맞물려 제2 링크부재의 제1 링크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탈부착 조작부가 상기 제2 작동 상태일 경우, 제2 가이드 부재는 제2 레일부재의 타측 단부와 맞물려 제2 링크부재의 제1 링크부재를 향하는 방향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링크부재는 증기화기 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증기화기는 체결돌기를 수용하는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체결돌기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체결홈은 스토퍼가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스토퍼를 수용하도록 상측으로 인입 형성되며, 스토퍼는, 탈부착 조작부가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체결홈에 수용되어 증기화기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탈부착 조작부가 제2 작동 상태일 경우 하측으로 이동하여 체결홈으로부터 분리되어 증기화기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토퍼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증기화기가 케이스에 설치되려 할 경우, 증기화기는 경사면과 접촉하여 경사면에 대해 슬라이딩함으로써 스토퍼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는 체결돌기가 케이스를 관통함으로써 체결돌기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가이드홀을 포함하고, 가이드홀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체결돌기는 가이드홀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탈부착 조작부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일측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1 버튼부재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타측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2 버튼부재와, 제1 버튼부재와 연결되어 케이스의 일측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슬라이딩 부재와, 제2 버튼부재와 연결되어 케이스의 타측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는, 제1 버튼부재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하되, 제1 버튼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한 상측 임계 위치와 하측 임계 위치를 정의하는 제1 슬라이딩 홈과, 제2 버튼부재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하되, 제2 버튼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한 상측 임계 위치와 하측 임계 위치를 정의하는 제2 슬라이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탈부착 조작부는, 수직 방향으로 제1 슬라이딩 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와, 수직 방향으로 제2 슬라이딩 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 슬라이딩 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제1 레일부재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 슬라이딩 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제2 레일부재와,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슬라이딩 부재는 증기화기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제2 슬라이딩 부재는 증기화기 측으로 돌출되는 제2 체결돌기를 포함하며, 증기화기는, 제1 체결돌기를 수용하는 제1 체결홈과, 제2 체결돌기를 수용하는 제2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체결돌기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1 스토퍼를 포함하고, 제2 체결돌기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며, 제1 체결홈은 제1 스토퍼가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제1 스토퍼를 수용하도록 상측으로 인입 형성되며, 제2 체결홈은 제2 스토퍼가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제2 스토퍼를 수용하도록 상측으로 인입 형성되며, 제1 스토퍼는, 탈부착 조작부가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제1 체결홈에 수용되어 증기화기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탈부착 조작부가 제2 작동 상태일 경우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1 체결홈으로부터 분리되어 증기화기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며, 제2 스토퍼는, 탈부착 조작부가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제2 체결홈에 수용되어 증기화기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탈부착 조작부가 제2 작동 상태일 경우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2 체결홈으로부터 분리되어 증기화기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스토퍼와 제2 스토퍼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증기화기가 케이스에 설치되려 할 경우, 증기화기는 경사면과 접촉하여 경사면에 대해 슬라이딩됨으로써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는, 제1 체결돌기가 케이스를 관통함으로써 제1 체결돌기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 가이드홀과, 제2 체결돌기가 케이스를 관통함으로써 제2 체결돌기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2 가이드홀을 포함하고, 제1 가이드홀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제1 체결돌기는 제1 가이드홀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2 가이드홀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제2 체결돌기는 제2 가이드홀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탈부착 조작부는, 케이스로부터 증기화기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링크부재와, 케이스로부터 증기화기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케이스의 타측에 설치되되, 제1 링크부재와 맞물려 제1 링크부재의 회전 운동에 의해 함께 회전 가능한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제1 링크부재는 케이스의 일측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링크부재를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버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링크부재는 제2 링크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제2 링크부재는 제1 링크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 돌출부재와 접촉하는 제2 돌출부재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버튼부재를 가압할 경우 제1 돌출부재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 돌출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돌출부재와 제2 돌출부재가 접촉하는 면은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탈부착 조작부는, 탈부착 조작부가 제2 작동 상태일 경우 탈부착 조작부의 위치에서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탈부착 조작부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제1 링크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와 제2 링크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는 제1 탄성부재와 제2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버튼부재는 케이스의 내측 벽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탈부착 조작부가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케이스의 상기 내측 벽면에 맞물림으로써 제1 링크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링크부재는 제2 링크부재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제2 링크부재는 제1 링크부재 측으로 돌출되는 제2 체결돌기를 포함하며, 증기화기는 제1 체결돌기를 수용하도록 일측에 인입 형성되는 제1 체결홈과, 제2 체결돌기를 수용하도록 타측에 인입 형성되는 제2 체결홈을 포함하고, 제1 체결돌기와 제2 체결돌기는, 탈부착 조작부가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각각 제1 체결홈과 제2 체결홈에 수용되어 증기화기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탈부착 조작부가 제2 작동 상태일 경우 각각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체결홈과 제2 체결홈으로부터 분리되어 증기화기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체결돌기와 제2 체결돌기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증기화기가 케이스에 설치되려 할 경우, 증기화기는 경사면에 대해 슬라이딩됨으로써 제1 체결돌기와 제2 체결돌기를 탈부착 조작부가 제2 작동 상태일 경우의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탈부착 조작부는, 케이스로부터 증기화기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링크부재와, 케이스로부터 증기화기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케이스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제1 링크부재는 케이스의 일측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링크부재를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1 버튼부재를 포함하며, 제2 링크부재는 케이스의 타측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2 링크부재를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2 버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탈부착 조작부는, 탈부착 조작부가 제2 작동 상태일 경우 탈부착 조작부의 위치에서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탈부착 조작부의 위치로 복원되는 방향으로 제1 링크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와 제2 링크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는 제1 탄성부재와 제2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버튼부재는 케이스의 내측 벽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탈부착 조작부가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케이스의 내측 벽면에 맞물림으로써 제1 링크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 걸림턱을 포함하고, 제2 버튼부재는 케이스의 내측 벽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탈부착 조작부가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케이스의 내측 벽면에 맞물림으로써 제2 링크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링크부재는 제2 링크부재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제2 링크부재는 제1 링크부재 측으로 돌출되는 제2 체결돌기를 포함하며, 증기화기는, 제1 체결돌기를 수용하도록 일측에 인입 형성되는 제1 체결홈과, 제2 체결돌기를 수용하도록 타측에 인입 형성되는 제2 체결홈을 포함하고, 제1 체결돌기와 2 체결돌기는, 탈부착 조작부가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각각 제1 체결홈과 제2 체결홈에 수용되어 증기화기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탈부착 조작부가 제2 작동 상태일 경우 각각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체결홈과 제2 체결홈으로부터 분리되어 증기화기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체결돌기와 제2 체결돌기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증기화기가 케이스에 설치되려 할 경우, 증기화기는 경사면에 대해 슬라이딩됨으로써 제1 체결돌기와 제2 체결돌기를 탈부착 조작부가 제2 작동 상태일 경우의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버튼 조작을 통해 증기화기를 케이스에 간편하게 탈부착 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원에서 에어로졸을 발생시킨 후 발생한 에어로졸의 흐름을 궐련으로 통과시켜 사용자에게 적합한 풍미와 니코틴 등을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은 궐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증기화기가 케이스에서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탈부착 조작부가 제1 작동 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정면도이다.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탈부착 조작부가 제2 작동 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정면도이다.
도 7은 사용자가 버튼부재를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 증기화기가 탈부착 조작부와의 결합을 통해 케이스에 설치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절개 측면도이다.
도 8은 사용자가 버튼부재를 가압한 상태에서 증기화기가 탈부착 조작부와의 결합을 통해 케이스에 설치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절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a는 도 9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탈부착 조작부가 제1 작동 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정면도이다.
도 10b는 도 9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탈부착 조작부가 제2 작동 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증기화기가 케이스에서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a는 도 1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탈부착 조작부가 제1 작동 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정면도이다.
도 13b는 도 1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탈부착 조작부가 제2 작동 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a는 도 14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탈부착 조작부가 제1 작동 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정면도이다.
도 15b는 도 14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탈부착 조작부가 제2 작동 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정면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배터리(1010), 제어부(1020), 히터(1030) 및 증기화기(1200)를 포함한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내부 공간에는 궐련(200)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히터(1030)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히터(103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에는 배터리(1010), 제어부(1020), 증기화기(1200) 및 히터(1030)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증기화기(1200) 및 히터(1030)가 병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내부 구조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설계에 따라, 배터리(1010), 제어부(1020), 증기화기(1200) 및 히터(1030)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궐련(2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삽입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증기화기(1200)를 작동시켜, 증기화기(1200)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증기화기(1200)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은 궐련(2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증기화기(1200)에 관한 설명은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하기로 한다.
배터리(10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010)는 히터(1030) 또는 증기화기(120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102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0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0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20)는 배터리(1010), 히터(1030) 및 증기화기(1200)뿐 만 아니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0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히터(1030)는 배터리(101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2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삽입되면, 히터(1030)는 궐련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1030)는 궐련(200)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히터(1030)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030)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1030)가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히터(1030)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희망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희망 온도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원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예로, 히터(1030)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1030)에는 궐련을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궐련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히터(1030)가 궐련(200)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히터(1030)는 관 형 가열 요소, 판 형 가열 요소, 침 형 가열 요소 또는 봉 형의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의 모양에 따라 궐련(200)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는 히터(1030)가 복수 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히터(1030)들은 궐련(2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궐련(200)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히터(1030)들 중 일부는 궐련(2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는 궐련(2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히터(1030)의 형상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증기화기(1200)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에어로졸은 궐련(2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증기화기(1200)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기류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기류 통로는 증기화기(1200)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이 궐련(2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화기(1200)는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는 독립적인 모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액상 조성물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증기화기(1200)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증기화기(1200)와 일체로서 제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또는 비타민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은 액체 저장부의 액상 조성물을 가열 요소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전달 수단은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과 같은 심지(wick)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열 요소는 액체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기 위한 요소이다. 예를 들어, 가열 요소는 금속 열선, 금속 열판, 세라믹 히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가열 요소는 니크롬선과 같은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성될 수 있고,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전류 공급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와 접촉된 액체 조성물에 열을 전달하여, 액체 조성물을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화기(1200)는 카토마이저(cartomizer) 또는 무화기(atomizer)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배터리(1010), 제어부(1020) 및 히터(1030)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및/또는 촉각 정보의 출력을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퍼프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궐련 삽입 감지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궐련(200)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 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배터리(1010)의 충전에 이용될 수 있다. 또는, 크래들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히터(1030)가 가열될 수도 있다.
궐련(200)은 일반적인 연소형 궐련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200)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1 부분과 필터 등을 포함하는 제2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궐련(200)의 제2 부분에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과립 또는 캡슐의 형태로 만들어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제2 부분에 삽입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내부에는 제1 부분 전체가 삽입되고, 제2 부분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내부에 제1 부분의 일부만 삽입될 수도 있고,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일부가 삽입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2 부분을 입으로 문 상태에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은 외부 공기가 제1 부분을 통과함으로써 생성되고, 생성된 에어로졸은 제2 부분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된다.
일 예로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형성된 공기 통로의 개폐 및/또는 공기 통로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화량, 끽연감 등이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외부 공기는 궐련(200)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을 통하여 궐련(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궐련(200)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궐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궐련(200)은 담배 로드(210) 및 필터 로드(22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1 부분은 담배 로드(210)를 포함하고, 제2 부분은 필터 로드(220)를 포함한다.
도 3에는 필터 로드(220)가 단일 세그먼트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필터 로드(220)는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220)는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제1 세그먼트 및 에어로졸 내에 포함된 소정의 성분을 필터링하는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필터 로드(220)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궐련(200)은 적어도 하나의 래퍼(240)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래퍼(240)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궐련(200)은 하나의 래퍼(240)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궐련(200)은 2 이상의 래퍼(240)들에 의하여 중첩적으로 포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래퍼에 의하여 담배 로드(210)가 포장되고, 제2 래퍼에 의하여 필터 로드(220)가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된 담배 로드(210) 및 필터 로드(220)가 결합되고, 제3 래퍼에 의하여 궐련(200) 전체가 재포장될 수 있다. 만약, 담배 로드(210) 또는 필터 로드(220) 각각이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되어 있다면, 각각의 세그먼트가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된 세그먼트들이 결합된 궐련(200) 전체가 다른 래퍼에 의하여 재포장될 수 있다.
담배 로드(21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담배 로드(210)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에는, 멘솔 또는 보습제 등의 가향액이, 담배 로드(210)에 분사됨으로써 첨가할 수 있다.
담배 로드(210)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로드(210)는 시트(sheet)로 제작될 수도 있고, 가닥(strand)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는 담배 시트가 잘게 잘린 각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는 열 전도 물질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 물질은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금속 호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담배 로드(210)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담배 로드(210)에 전달되는 열을 고르게 분산시켜 담배 로드에 가해지는 열 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담배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서셉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담배 로드(210)는 외부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 이외에도 추가의 서셉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로드(220)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한편, 필터 로드(22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220)는 원기둥 형(type) 로드일 수도 있고,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220)는 리세스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만약, 필터 로드(220)가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경우,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필터 로드(220)는 향미가 발생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필터 로드(220)에 가향액이 분사될 수도 있고, 가향액이 도포된 별도의 섬유가 필터 로드(220)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2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230)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캡슐(230)은 향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캡슐(230)은 향료를 포함하는 액체를 피막으로 감싼 구조일 수 있다. 캡슐(230)은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만약, 필터 로드(220)에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세그먼트가 포함될 경우, 냉각 세그먼트는 고분자 물질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세그먼트는 순수한 폴리락트산 만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냉각 세그먼트는 복수의 구멍들이 뚫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냉각 세그먼트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로졸이 냉각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200)은 전단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단 필터는 담배 로드(210)에 있어서, 필터 로드(220)에 대향하는 일측에 위치한다. 전단 필터는 담배 로드(210)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흡연 중에 담배 로드(210)로부터 액상화된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도 1 및 도 2의 1000)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1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케이스(1100)와 증기화기(1200)의 결합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증기화기가 케이스에서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케이스(1100)와 증기화기(1200) 및 커버(100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002)는 케이스(110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됨으로써 케이스(1100)와 커버(1002)가 함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1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외관의 일부분을 형성하며 내부에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배터리(1010), 제어부(1020) 및 히터(1030)를 포함한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을 수용하여 보호하는 기능을 수용한다. 또한, 케이스(1100)에 결합된 커버(1002)의 상면에는 궐련(200)이 삽입될 수 있는 외부구멍(1100h)이 형성된다.
케이스(1100)와 커버(1002)는 열을 잘 전달하지 않는 플라스틱 소재나, 표면에 열차단 물질이 코팅된 금속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케이스(1100)와 커버(1002) 는 예를 들어 사출성형 방식이나, 3D 프린팅 방식이나, 사출성형으로 제작된 소형 부속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케이스(110)와 커버(1002)의 사이에는 케이스(1100)와 커버(1002)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유지 장치는 예를 들어 돌기와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가 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커버(1002)와 케이스(1001)의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가압할 수 있는 조작버튼에 의해 돌기가 이동하여 돌기가 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구조가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유지 장치는 예를 들어 자석과 자석에 달라붙는 금속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유지 장치에 자석을 이용하는 경우 케이스(1100)와 커버(1002) 중 어느 하나에 자석을 설치하고 다른 하나에 자석에 달라붙는 금속 부재를 설치할 수 있고, 아니면 케이스(1100)와 커버(1002) 모두에 자석을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서 커버(1002)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므로 필요한 경우 커버(1002)를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증기화기(1200)는 케이스(1100)의 일측 단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버튼부재(1311)는 후술할 탈부착 조작부(도 6a의 1300 참조)의 일부 구성요소로서, 사용자가 임의로 가압하여 케이스(1100)와 증기화기(1200) 사이의 체결 관계를 해제할 수 있다.
탈부착 조작부(130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겠으나, 도 5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버튼부재(1311)를 가압할 경우, 증기화기(1200)에 삽입 가능한 체결돌기(1323)가 케이스(1100)에 형성된 가이드홀(1140)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함으로써 케이스(1100)와 증기화기(1200)를 체결하거나 분리하는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증기화기(1200)가 케이스(1100)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케이스(1100)에 설치되는 모습을 묘사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증기화기(1200)는 커버(1002)와 같이 케이스(1100)의 상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접근하여 케이스(11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케이스(1100)의 측면으로 증기화기(1200)가 접근하여 설치되는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탈부착 조작부가 제1 작동 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정면도이며,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탈부착 조작부가 제2 작동 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정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케이스(1100)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증기화기(1200)가 케이스(1100)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1 작동(도 6a 참조)과, 케이스로부터 증기화기(1200)의 분리를 허용하는 제2 작동(도 6b 참조)이 가능한 탈부착 조작부(13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탈부착 조작부(1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1 링크부재(1310)와, 제1 링크부재(1310)와 맞물려 상기 제1 링크부재(1310)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2 링크부재(1320)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링크부재(1310)는 케이스(1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링크부재(1310)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는 버튼부재(1311)를 포함한다.
제2 링크부재(1320)는 제1 링크부재(1310)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재(1321)를 포함한다. 제1 링크부재(1310)는 제2 링크부재(1320)의 돌출부재(1321)를 수용하는 수용홈(1312)를 포함하며, 돌출부재(1321)와 수용홈(1312)이 접촉하는 면의 일부는 경사면(SP)일 수 있다.
또한, 탈부착 조작부(1300)는 제1 링크부재(13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2 링크부재(1320)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1330)를 더 포함하고, 케이스(1100)는 탄성부재(1330)를 지지하는 베이스부(1110)를 포함한다.
제1 링크부재(131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레일부재(1313)를 더 포함하고, 제2 링크부재(1320)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레일부재(1322)를 더 포함한다. 케이스(1100)는 제1 레일부재(1313)에 수용되는 제1 가이드 부재(1120)와, 제2 레일부재(1322)에 수용되는 제2 가이드 부재(1130)을 포함한다.
제1 레일부재(1313)는 제1 링크부재(1310)의 수평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운동과 함께 제1 가이드 부재(1120)를 따라 이동하고, 제2 레일부재(1322)는 제2 링크부재(1320)의 수직 방향으로의 운동과 함께 제2 가이드 부재(113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 레일부재(1313)와 제2 레일부재(1322)는 각각 제1 가이드 부재(1120)와 제2 가이드 부재(1130)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1 링크부재(1310)와 제2 링크부재(1320)를 관통하는 관통홀 형상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레일부재(1313)와 제2 레일부재(1322)는 각각 제1 가이드 부재(1120)와 제2 가이드 부재(1130)를 수용하기 위해 제1 링크부재(1310)와 제2 링크부재(1320)의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인입 형성된 단차홈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탈부착 조작부(1300)가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제1 가이드 부재(1120)는 제1 레일부재(1313)의 일측 단부에 맞물려 제1 링크부재(1310)가 케이스(110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제1 링크부재(1310)의 케이스(1100)로부터 이탈하는 방향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탈부착 조작부(1300)가 제2 작동 상태일 경우, 제1 가이드 부재(1120)는 제1 레일부재(1313)의 타측에 맞물려 제1 링크부재(1310)의 케이스(1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버튼부재(1311)를 가압하지 않은 탈부착 조작부(1300)의 제1 작동 상태에서는, 제1 링크부재(1310)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케이스(110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제1 가이드 부재(1120)는 제1 레일부재(1313) 내의 우측 단부에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제1 레일부재(1313)는 제1 가이드 부재(1120)의 위치보다 더 좌측으로 이동할 수 없다. 즉, 제1 링크부재(1310)는 제1 가이드 부재(1120)가 정의한 위치보다 더 좌측으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케이스(1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케이스(11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버튼부재(1311)를 가압한 탈부착 조작부(1300)의 제2 작동 상태에서는, 제1 링크부재(131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케이스(110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제1 가이드 부재(1120)는 제1 레일부재(1313) 내의 좌측 단부에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제1 레일부재(1313)는 제1 가이드 부재(1120)의 위치보다 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없다. 즉, 제1 링크부재(1310)는 제1 가이드 부재(1120)가 정의한 위치보다 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버튼부재(1311)까지 케이스(110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탈부착 조작부(1300)가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제2 가이드 부재(1130)는 제2 레일부재(1322)의 하측 단부와 맞물려 제2 링크부재(1320)의 상측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탈부착 조작부(1300)가 제2 작동 상태일 경우, 제2 가이드 부재(1130)는 제2 레일부재(1322)의 상측 단부와 맞물려 제2 링크부재(1320)의 하측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버튼부재(1311)를 가압하지 않은 탈부착 조작부(1300)의 제1 작동 상태에서는, 제2 링크부재(1320)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제1 링크부재(1310)를 상측으로 가압하지 않도록, 제2 가이드 부재(1130)는 제2 레일부재(1322) 내의 하측 단부에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제2 레일부재(1322)는 제2 가이드 부재(1130)의 위치보다 더 상측으로 이동할 수 없다. 즉, 제2 링크부재(1320)는 제2 가이드 부재(1130)가 정의한 위치보다 더 상측으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상측으로 이동하여 제1 링크부재(1310)에 필요 이상의 힘을 가해 제1 링크부재(1310)를 파손시키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2 링크부재(1320)의 수직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운동을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버튼부재(1311)를 가압한 탈부착 조작부(1300)의 제2 작동 상태에서는, 제2 링크부재(1320)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베이스부(1110)를 하측으로 가압하지 않도록, 제2 가이드 부재(1130)는 제2 레일부재(1322)의 상측 단부에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제2 레일부재(1322)는 제2 가이드 부재(1130)의 위치보다 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없다. 즉, 제2 링크부재(1320)는 제2 가이드 부재(1130)가 정의한 위치보다 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하측으로 이동하여 베이스부(1110)에 필요 이상의 힘을 가해 베이스부(1110)를 파손시키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2 링크부재(1320)의 수직 방향으로의 운동을 구속할 수 있다.
한편, 제2 링크부재(1320)는 증기화기(1200) 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돌기(1323)을 포함한다. 체결돌기(1323)는 제2 링크부재(1320)의 수직 방향 슬라이딩 운동과 함께 상하로 움직일 수 있으며, 체결돌기(1323)의 상하 운동에 따라 증기화기(1200)는 케이스(1100)에 설치되거나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돌기(1323)와 증기화기(1200)의 체결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 도 7 및 도 8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설명한 구조에 따르면, 사용자는 케이스(1100)의 외부로 노출된 버튼부재(1311)를 가압하여 케이스(1100)와 증기화기(1200)의 체결 구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6b는 사용자가 버튼부재(1311)를 가압했을 경우 탈부착 조작부(1300)의 각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이동하는지를 묘사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버튼부재(1311)를 가압할 경우 버튼부재(1311)와 연결된 제1 링크부재(1310) 또한 사용자가 버튼부재(1311)를 가압한 방향, 즉 우측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여기서, 버튼부재(1311)와 제1 링크부재(1310)가 서로 연결되었다 함은 버튼부재(1311)와 제1 링크부재(1310)가 각기 다른 재료로 구성된 경우뿐만 아니라 버튼부재(1311)와 제1 링크부재(1310)가 동일한 소재로 일체로 형성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제1 링크부재(131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하게 되면, 경사면(SP)을 통해 제1 링크부재(1310)와 맞물린 상태의 제2 링크부재(1320)는 경사면(SP)의 슬라이딩에 따라 하측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에 따라 체결돌기(1323) 또한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증기화기(1200)가 케이스(1100)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케이스(1100)로부터의 증기화기(1200)의 분리를 허용할 수 있으며, 증기화기(1200)가 케이스(1100)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케이스(1100)로의 증기화기(1200)의 설치를 허용할 수도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부재(1320)가 하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있는 경우 탄성부재(1330)는 압축되며, 그 복원력으로서 탄성부재(1330)는 제2 링크부재(1320)를 상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버튼부재(1311)를 가압한 상태에서 증기화기(1200)를 케이스(1100)에 설치하고,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부재(1311)에서 손을 뗄 경우 체결돌기(1323)는 탄성부재(1330)의 복원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여 증기화기(1200)를 케이스(1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체결돌기(1323)의 상하 운동에 의해 어떠한 방법으로 증기화기(1200)가 케이스(1100)에 설치되거나 분리되는지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사용자가 버튼부재를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 증기화기가 탈부착 조작부와의 결합을 통해 케이스에 설치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절개 측면도이며, 도 8은 사용자가 버튼부재를 가압한 상태에서 증기화기가 탈부착 조작부와의 결합을 통해 케이스에 설치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절개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증기화기(1200)는 체결돌기(1323)을 수용하는 체결홈(1210)을 포함한다.
체결돌기(1323)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스토퍼(1323_st)를 포함하고, 체결홈(1210)은 스토퍼(1323_st)가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제1 작동위치) 스토퍼(1323_st)를 수용하도록 상측으로 인입 형성된다. 즉, 스토퍼(1323_st)는 탈부착 조작부(1300)가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체결홈(1210)에 수용되어 증기화기(1200)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또한, 스토퍼(1323_st)는 탈부착 조작부(1300)가 제2 작동 상태일 경우 하측으로 이동하여(제2 작동위치) 체결홈(1210)으로부터 분리되어 증기화기(1200)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한다.
구체적으로, 스토퍼(1323_st)는 경사면(1323_ip)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버튼부재(1311)를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 증기화기(1200)가 케이스(1100)에 설치되려 할 경우, 증기화기(1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323_st)의 경사면(1323_ip)와 접촉하여 경사면(1323_ip)에 대해 슬라이딩 함으로써 스토퍼(1323_st)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증기화기(1200)가 케이스(1100) 측으로 계속해서 밀려들어갈 경우 스토퍼(1323_st)가 체결홈(1210)에 끼워짐으로써 증기화기(1200)가 케이스(1100)에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는 버튼부재(1311)를 누르지 않고도 증기화기(1200)를 케이스(1100)에 장착할 수 있다. 물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재(1311)를 누른 상태에서는 스토퍼(1323_st)의 경사면(1323_ip)가 증기화기(1200)의 접촉 없이 쉽게 증기화기(1200)를 케이스(1100)에 장착할 수 있다. 반대로, 증기화기(1200)를 케이스(1100)에서 분리하려고 할 경우 사용자는 버튼부재(1311)를 눌러 스토퍼(1323_st)를 하측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0)는, 케이스(2100)의 양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버튼부재(2310)와 제2 버튼부재(2320)를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증기화기(2200)를 케이스(1100)로부터 탈부착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제1 버튼부재(2310)와 제2 버튼부재(2320)은 후술할 탈부착 조작부(도 10a의 2300 참조)의 일부 구성요소로서, 사용자는 제1 버튼부재(2310)와 제2 버튼부재(2320)을 동시에 가압하여 케이스(2100)와 증기화기(2200) 사이의 체결 관계를 해제할 수 있다.
도 5에 동일한 구성이 나타나 있어 별도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케이스(2100)는 제1 체결돌기(2331)가 케이스(2100)를 관통함으로써 제1 체결돌기(2331)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 가이드홀(도 5의 1140과 동일한 구조)과, 제2 체결돌기(2341)가 케이스(2100)를 관통함으로써 제2 체결돌기(2341)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2 가이드홀(도 5의 1140과 동일한 구조)을 포함하고, 제1 가이드홀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제1 체결돌기(2331)는 제1 가이드홈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2 가이드홀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제2 체결돌기(2341)는 제2 가이드홈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탈부착 조작부(230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겠으나, 도 9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제1 버튼부재(2310)와 제2 버튼부재(2320)를 케이스(2100)의 양측에서 함께 가압할 경우, 증기화기(2200)에 삽입 가능한 제1 체결돌기(2331)와 제2 체결돌기(2341)가 각각 케이스(2100)에 형성된 제1 가이드홀과 제2 가이드홀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함으로써 케이스(2100)와 증기화기(2200)를 체결하거나 분리하는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a는 도 9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탈부착 조작부가 제1 작동 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정면도이며, 도 10b는 도 9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탈부착 조작부가 제2 작동 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정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탈부착 조작부(2300)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케이스(2100)의 일측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1 버튼부재(2310)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케이스(2100)의 타측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2 버튼부재(2320)를 포함한다. 제1 버튼부재(2310)와 제2 버튼부재(2320)의 표면에는 제1 버튼부재(2310)와 제2 버튼부재(2320)를 사용자가 손쉽게 슬라이딩 시킬 수 있도록 돌출된 사용자 손잡이(2311)(232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탈부착 조작부(2300)는 제1 버튼부재(2310)와 연결되어 케이스(1100)의 일측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슬라이딩 부재(2330)와, 제2 버튼부재(2320)와 연결되어 케이스(2100)의 타측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슬라이딩 부재(2340)를 포함한다.
또한, 탈부착 조작부(2300)는 수직 방향으로 제1 슬라이딩 부재(2330)를 탄성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2350)과, 수직 방향으로 제2 슬라이딩 부재(2340)를 탄성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2360)를 포함한다.
케이스(2100)는 제1 버튼부재(2310)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하되, 제1 버튼부재(2310)가 슬라이딩 가능한 상측 임계 위치(P1)와 하측 임계 위치(P2)를 정의하는 제1 슬라이딩 홈(2110)과, 제2 버튼부재(2320)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하되, 제2 버튼부재(2320)가 슬라이딩 가능한 상측 임계 위치(P1)와 하측 임계 위치(P2)를 정의하는 제2 슬라이딩 홈(2120)을 포함한다.
또한, 케이스(2100)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 슬라이딩 부재(2330)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제1 레일부재(2130)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 슬라이딩 부재(2340)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제2 레일부재(2140)를 포함하고, 제1 탄성부재(2350)와 제2 탄성부재(2360)를 지지하는 베이스부(2150)(2160)를 더 포함한다.
도 10a와 도 10b에는 제1 탄성부재(2350)를 지지하는 베이스부(2150)와 제2 탄성부재(2360)를 지지하는 베이스부(2160)가 개별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베이스부(2150)(2160)는 일체로 형성되어 일측이 제1 탄성부재(2350)를, 타측이 제2 탄성부재(2360)를 지지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슬라이딩 부재(2330)는 증기화기(2200)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체결돌기(2331)를 포함하고, 제2 슬라이딩 부재(2340)는 증기화기(2200) 측으로 돌출되는 제2 체결돌기(2341)를 포함하며, 증기화기(2200)는 제1 체결돌기(2331)를 수용하는 제1 체결홈(미도시)와, 제2 체결돌기(2341)를 수용하는 수용하는 제2 체결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돌기(2331)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1 스토퍼(2331_st)를 포함하고, 제2 체결돌기(2341)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2 스토퍼(2341_st)를 포함하며, 제1 체결홈은 제1 스토퍼(2331_st)가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제1 스토퍼(2331_st)를 수용하도록 상측으로 인입 형성되며, 제2 체결홈은 상기 제2 스토퍼(2341_st)가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제2 스토퍼(2341_st)를 수용하도록 상측으로 인입 형성된다.
제1 스토퍼(2331_st)는 탈부착 조작부(2300)가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제1 체결홈에 수용되어 증기화기(2200)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탈부착 조작부(2300)가 제2 작동 상태일 경우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1 체결홈으로부터 분리되어 증기화기(2200)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스토퍼(2341_st)는 탈부착 조작부(2300)가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제2 체결홈에 수용되어 증기화기(2200)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탈부착 조작부(2300)가 제2 작동 상태일 경우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2 체결홈으로부터 분리되어 증기화기(2200)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제1 스토퍼(2331_st)와 제2 스토퍼(2341_st)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증기화기(2200)가 케이스(2100)에 설치되려 할 경우, 증기화기(2200)는 경사면과 접촉하여 경사면에 대해 슬라이딩됨으로써 제1 스토퍼(2331_st) 및 제2 스토퍼(2341_st)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1 체결돌기(2331)와 제2 체결돌기(2341)의 상하 운동에 의한 케이스(1100)와 증기화기(1200)의 체결 및 분리 방법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체결돌기(1323)와 체결홈(1210)의 구조와 동일하다. 다만, 도 9 내지 도 10b에서 설명한 제1 체결돌기(2331)와 제2 체결돌기(2341)는 사용자가 제1 버튼부재(2310)와 제2 버튼부재(2320) 모두를 슬라이딩 작동시켜야만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는 차이점이 있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버튼부재(1311)를 가압하면 케이스(1100)의 양측에 배치된 체결돌기(1323)가 모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했으나, 도 9 내지 도 10b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 체결돌기(2331)와 제2 체결돌기(2341)를 모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제1 버튼부재(2310)와 제2 버튼부재(2320)를 모두 가압하여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야 한다.
이러한 차이점 이외에는, 도 9 내지 도 10b에 도시된 제1 체결돌기(2331)와 제2 체결돌기(2341)가 제1 체결홈과 제2 체결홈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동작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체결돌기(1323)와 체결홈(1210)의 작동 방법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증기화기가 케이스에서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0)는 케이스(3100)와 증기화기(3200) 및 탈부착 조작부(33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3100)와 증기화기(3200) 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은 이미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과 구별되는 구조적인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난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가 탈부착 조작부(3300)의 버튼부재(3312)를 조작하는 방식은 도 4에 도시된 버튼부재(1311)를 조작하는 방식과 동일하다. 즉, 사용자는 버튼부재(3312)를 측면에서 가압할 수 있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구별되는 특징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가 버튼부재(3312)를 가압할 경우 제1 체결돌기(3314)는 상하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케이스(3100)의 내부에 설치된 제1 회전축(도 13a의 3311)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며, 이러한 회전 운동에 따라 제1 체결돌기(3314)가 증기화기(3200)의 측면에 형성된 제1 체결홈(3210)에 삽입됨으로써 증기화기(3200)를 케이스(3100)에 체결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하, 도 13a와 13b를 참조하여 탈부착 조작부(323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a는 도 1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탈부착 조작부가 제1 작동 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정면도이고, 도 13b는 도 1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탈부착 조작부가 제2 작동 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정면도이다.
도 13a와도 13b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3000)는 케이스(3100)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증기화기(3200)가 케이스(3100)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1 작동(도 13a 참조)과, 케이스(3100)로부터 증기화기(3200)의 분리를 허용하는 제2 작동(도 13b 참조)이 가능한 탈부착 조작부(33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탈부착 조작부(3300)는 케이스(3100)로부터 증기화기(3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회전축(33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3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링크부재(3310)와, 케이스(3100)로부터 증기화기(3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회전축(33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케이스(3100)의 타측에 설치되되, 제1 링크부재(3310)와 맞물려 제1 링크부재(3310)의 회전 운동에 의해 함께 회전 가능한 제2 링크부재(3320)를 포함한다.
제1 링크부재(3310)는 케이스(3100)의 일측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링크부재(3310)를 제1 회전축(331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버튼부재(3312)를 포함한다.
제1 링크부재(3310)는 제2 링크부재(33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돌출부재(3313)를 포함하고, 제2 링크부재(3320)는 제1 링크부재(33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 돌출부재(3313)와 접촉하는 제2 돌출부재(3323)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버튼부재(3312)를 가압할 경우 제1 돌출부재(3313)는 제1 회전축(331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 돌출부재(3323)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면에는 제1 돌출부재(3313)와 제2 돌출부재(3323)가 접촉하는 면이 경사면(SP)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경사면(SP)은 제1 돌출부재(3313)와 제2 돌출부재(3323)가 더 효율적으로 맞물리기 위한 구조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제1 돌출부재(3313)와 제2 돌출부재(3323)가 맞물리는 면은 수평 방향에 가까울 수도 있다.
한편, 탈부착 조작부(3300)는 탈부착 조작부(3300)가 제2 작동 상태(도 13b 참조)일 경우 탈부착 조작부(3300)의 위치에서 제1 작동 상태(도 13a 참조)일 경우 탈부착 조작부(3300)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제1 링크부재(3310)를 탄성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3330)와, 제2 링크부재(3320)를 탄성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33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케이스(3100)는 제1 탄성부재(3330)와 제2 탄성부재(3340)를 지지하는 베이스부(3110)를 포함한다.
즉,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부재(3312)를 가압할 경우 제1 탄성부재(3330)는 압축되며, 그에 대한 복원력으로 제1 탄성부재(3330)는 버튼부재(3312)를 탄성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링크부재(3310)는 전체적으로 제1 회전축(331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의 힘을 받으므로, 다시 말해 도 13a에 도시된 탈부착 조작부(3300)의 제1 작동 상태로 복원되려는 힘을 받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버튼부재(3312)를 가압할 경우 제2 탄성부재(3340) 또한 압축되며, 그에 대한 복원력으로 제2 탄성부재(3340)는 제2 링크부재(3320)를 탄성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링크부재(3320)는 전체적으로 제2 회전축(332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반향으로의 힘을 받으므로, 다시 말해 도 13a에 도시된 탈부착 조작부(3300)의 제1 작동 상태로 복원되는 힘을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튼부재(3312)는 케이스(3100)의 내측 벽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탈부착 조작부(3300)가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케이스(3100)의 내측 벽면에 맞물림으로써 제1 링크부재(3310)의 회전을 제한하는 걸림턱(3312p)를 포함한다. 즉,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재(3312)는 제1 탄성부재(3330)에 의해 제1 회전축(331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받으나, 걸림턱(3312p)이 케이스(3100)의 내측 벽면에 맞물려 제1 링크부재(3310)의 회전을 제한함에 따라 도 13a에 도시된 제1 작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링크부재(3310)는 제2 링크부재(3320)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체결돌기(3314)를 포함하고, 제2 링크부재(3320)는 제1 링크부재(3310) 측으로 돌출되는 제2 체결돌기(3324)를 포함한다.
증기화기(3200)는 도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돌기(3314)를 수용하도록 일측에 인입 형성되는 제1 체결홈(3210)과, 제2 체결돌기(3324)를 수용하도록 타측에 인입 형성되는 제2 체결홈(3220)을 포함한다.
제1 체결돌기(3314)와 제2 체결돌기(3324)는 탈부착 조작부(3300)가 제1 작동 상태일 경우(도 13a 참조) 각각 제1 체결홈(3210)과 제2 체결홈(3220)에 수용되어 증기화기(3200)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탈부착 조작부(3300)가 제2 작동 상태일 경우(도 13b 참조) 각각 제1 회전축(3311)과 제2 회전축(3321)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체결홈(3210)과 제2 체결홈(3220)으로부터 분리되어 증기화기(3200)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돌기(3314)와 제2 체결돌기(3324)는 각각 경사면(3314_ip)(3324_ip)를 포함하고, 증기화기(3200)가 케이스(3100)에 설치되려 할 경우, 증기화기(3200)는 경사면(3314_ip)(3324_ip)에 대해 슬라이딩됨으로써 제1 체결돌기(3314)와 제2 체결돌기(3324)를 탈부착 조작부(3300)가 제2 작동 상태일 경우의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증기화기(3200)와 제1 체결돌기(3314)의 경사면(3314_ip), 그리고 증기화기(3200)와 제2 체결돌기(3324)의 경사면(3324_ip)이 서로 접촉하여 증기화기(3200)가 제1 체결돌기(3314)의 경사면(3314_ip)과 제2 체결돌기(3324)의 경사면(3324_ip)에 대해 슬라이딩함으로써, 제1 체결돌기(3314)는 제1 회전축(331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2 체결돌기(3324)는 제2 회전축(332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증기화기(3200)가 케이스(3100) 측으로 계속해서 밀려들어갈 경우 제1 체결돌기(3314)는 제1 체결홈(3210)에, 제2 체결돌기(3324)는 제2 체결홈(3220)에 끼워짐으로써 증기화기(3200)가 케이스(310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4000)는 케이스(4100)와 증기화기(4200) 및 탈부착 조작부(43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4100)와 증기화기(4200)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은 이미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과 구별되는 구조적인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에 나타난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가 탈부착 조작부(4300)의 제1 버튼부재(4312)와 제2 버튼부재(4322)를 조작하는 방식은 도 11에 도시된 버튼부재(3312)를 조작하는 방식과 동일하다. 즉, 사용자는 제1 버튼부재(4312)와 제2 버튼부재(4322)를 각각 측면에서 가압할 수 있다. 다만,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 구별되는 특징은,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는 제1 버튼부재(4312)와 제2 버튼부재(4222)를 동시에 가압해야 된다는 점이다.
이하, 도 15a와 도 15b를 참조하여 탈부착 조작부(43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a는 도 14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탈부착 조작부가 제1 작동 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정면도이고, 도 15b는 도 14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탈부착 조작부가 제2 작동 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정면도이다.
도 15a와 도 15b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4000)는 케이스(4100)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증기화기(4200)가 케이스(4100)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1 작동(도 15a 참조)과, 케이스(4100)로부터 증기화기(4200)의 분리를 허용하는 제2 작동(도 15b 참조)이 가능한 탈부착 조작부(43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탈부착 조작부(4300)는 케이스(4100)로부터 증기화기(4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회전축(43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케이스(4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링크부재(4310)와, 케이스(4100)로부터 증기화기(4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회전축(43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케이스(4100)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링크부재(4320)를 포함한다.
제1 링크부재(4310)는 케이스(4100)의 일측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링크부재(4310)를 제1 회전축(431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1 버튼부재(4312)를 포함한다.
제2 링크부재(4320)는 케이스(4100)의 타측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2 링크부재(4320)를 제2 회전축(432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2 버튼부재(4322)를 포함한다.
또한, 탈부착 조작부(4300)는 탈부착 조작부(4300)가 제2 작동 상태(도 15b 참조)일 경우 탈부착 조작부(4300)의 위치에서 제1 작동 상태(도 15a 참조)일 경우 탈부착 조작부(4300)의 위치로 복원되는 방향으로 제1 링크부재(4310)를 탄성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4330)와 제2 링크부재(4320)를 탄성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43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케이스(4100)는 제1 탄성부재(4330)와 제2 탄성부재(4340)를 지지하는 베이스부(4110)를 포함한다.
즉,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버튼부재(4312)를 가압할 경우 제1 탄성부재(4330)는 압축되며, 그에 대한 복원력으로 제1 탄성부재(4330)는 제1 버튼부재(4312)를 탄성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링크부재(4310)는 전체적으로 제1 회전축(431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의 힘을 받으므로, 다시 말해 도 15a에 도시된 탈부착 조작부(4300)의 제1 작동 상태로 복원되려는 힘을 받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제2 버튼부재(4322)를 가압할 경우 제2 탄성부재(4340)는 압축되며, 그에 대한 복원력으로 제2 탄성부재(4340)는 전체적으로 제2 회전축(432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의 힘을 받으므로, 다시 말해 도 15a에 도시된 탈부착 조작부(4300)의 제1 작동 상태로 복원되려는 힘을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버튼부재(4312)는 케이스(4100)의 내측 벽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탈부착 조작부(4300)가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케이스(4100)의 내측 벽면에 맞물림으로써 제1 링크부재(4310)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 걸림턱(4312p)을 포함한다. 즉,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버튼부재(4312)는 제1 탄성부재(4330)에 의해 제1 회전축(431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받으나, 걸림턱(4312p)이 케이스(4100)의 내측 벽면에 맞물려 제1 링크부재(4310)의 회전을 제한함에 따라 도 15a에 도시된 제1 작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버튼부재(4322)는 케이스(4100)의 내측 벽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탈부착 조작부(4300)가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케이스(4100)의 내측 벽면에 맞물림으로써 제2 링크부재(4320)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 걸림턱(4322p)을 포함한다. 즉,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버튼부재(4322)는 제2 탄성부재(4340)에 의해 제2 회전축(432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받으나, 걸림턱(4322p)이 케이스(4100)의 내측 벽면에 맞물려 제2 링크부재(4320)의 회전을 제한함에 따라 도 15a에 도시된 제1 작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링크부재(4310)는 제2 링크부재(4320)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체결돌기(4313)를 포함하고, 제2 링크부재(4320)는 제1 링크부재(4310) 측으로 돌출되는 제2 체결돌기(4323)을 포함한다.
증기화기(42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돌기(4313)를 수용하도록 일측에 인입 형성되는 제1 체결홈(4210)과, 제2 체결돌기(4323)를 수용하도록 타측에 인입 형성되는 제2 체결홈(4220)을 포함한다.
제1 체결돌기(4313)와 제2 체결돌기(4323)는 탈부착 조작부(4300)가 제1 작동 상태일 경우(도 15a 참조) 각각 제1 체결홈(4210)과 제2 체결홈(4220)에 수용되어 증기화기(4200)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탈부착 조작부(4300)가 제2 작동 상태일 경우(도 15b 참조) 각각 제1 회전축(4311)과 제2 회전축(4321)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체결홈(4210)과 제2 체결홈(4220)으로부터 분리되어 증기화기(4200)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돌기(4313)와 제2 체결돌기(4323)는 각각 경사면(4313_ip)(4323_ip)를 포함하고, 증기화기(4200)가 케이스(4100)에 설치되려 할 경우, 증기화기(4200)는 경사면(4313_ip)(4323_ip)에 대해 슬라이딩됨으로써 제1 체결돌기(4313)와 제2 체결돌기(4323)를 탈부착 조작부(4300)가 제2 작동 상태일 경우의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증기화기(4200)와 제1 체결돌기(4313)의 경사면(4313_ip), 그리고 증기화기(4200)와 제2 체결돌기(4323)의 경사면(4323_ip)이 서로 접촉하여 증기화기(4200)가 제1 체결돌기(4313)의 경사면(4313_ip)과 제2 체결돌기(4323)의 경사면(4323_ip)에 대해 슬라이딩함으로써, 제1 체결돌기(4313)는 제1 회전축(431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2 체결돌기(4323)는 제2 회전축(432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증기화기(4200)가 케이스(4100) 측으로 계속해서 밀려들어갈 경우 제1 체결돌기(4313)는 제1 체결홈(4210)에, 제2 체결돌기(4323)는 제2 체결홈(4220)에 끼워짐으로써 증기화기(4200)가 케이스(41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2000)(3000)(4000)에 의하면, 간단한 버튼 조작을 통해 증기화기(1200)(2200)(3200)(4200)를 케이스(1100)(2100)(3100)(4100)에 간편하게 탈부착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에어로졸 생성 장치 2350: 제1 탄성부재
1100: 케이스 2360: 제2 탄성부재
1110: 베이스부 3100: 케이스
1120: 제1 가이드 부재 3110: 베이스부
1130: 제2 가이드 부재 3200: 증기화기
1140: 가이드홀 3210: 제1 체결홈
1200: 증기화기 3220: 제2 체결홈
1210: 체결홈 3300: 탈부착 조작부
1300: 탈부착 조작부 3310: 제1 링크부재
1310: 제1 링크부재 3311: 제1 회전축
1311: 버튼부재 3312: 버튼부재
1312: 수용홈 3312p: 걸림턱
1313: 제1 레일부재 3313: 제1 돌출부재
1320: 제2 링크부재 3314: 제1 체결돌기
1321: 돌출부재 3314_ip: 경사면
1322: 제2 레일부재 3320: 제2 링크부재
1323: 체결돌기 3321: 제2 회전축
1323_st: 스토퍼 3323: 제2 돌출부재
1323_ip: 경사면 3324: 제2 체결돌기
1330: 탄성부재 3324_ip: 경사면
2100: 케이스 3330: 제1 탄성부재
2110: 제1 슬라이딩 홈 3340: 제2 탄성부재
2120: 제2 슬라이딩 홈 4100: 케이스
2130: 제1 레일부재 4110: 베이스부
2140: 제2 레일부재 4200: 증기화기
2150: 제1 베이스부 4210: 제1 체결홈
2160: 제2 베이스부 4220: 제2 체결홈
2170: 제1 가이드홀 4300: 탈부착 조작부
2180: 제2 가이드홀 4310: 제1 링크부재
2200: 증기화기 4311: 제1 회전축
2210: 제1 체결홈 4312: 제1 버튼부재
2220: 제2 체결홈 4312p: 제1 걸림턱
2300: 탈부착 조작부 4313: 제1 체결돌기
2310: 제1 버튼부재 4313_ip: 경사면
2320: 제2 버튼부재 4320: 제2 링크부재
2330: 제1 슬라이딩 부재 4321: 제2 회전축
2331: 제1 체결돌기 4322: 제2 버튼부재
2331_st: 제1 스토퍼 4322p: 제2 걸림턱
2331_ip: 경사면 4323: 제2 체결돌기
2340: 제2 슬라이딩 부재 4323_ip: 경사면
2341: 제2 체결돌기 4330: 제1 탄성부재
2341_st: 제2 스토퍼 4340: 제2 탄성부재
2341_ip: 경사면

Claims (37)

  1. 궐련이 삽입 가능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증기화기; 및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 여부에 따라 상기 증기화기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1 작동과,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증기화기의 분리를 허용하는 제2 작동이 가능한 탈부착 조작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조작부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1 링크부재와,
    상기 제1 링크부재와 맞물려 상기 제1 링크부재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링크부재를 상기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는 버튼부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부재는 상기 제1 링크부재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부재는 상기 돌출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재와 상기 수용홈이 접촉하는 면의 일부는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조작부는 상기 제1 링크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링크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재는 상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레일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크부재는 상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레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레일부재에 수용되는 제1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2 레일부재에 수용되는 제2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일부재는 상기 제1 링크부재의 상기 수평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운동과 함께 상기 제1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2 레일부재는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상기 수직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운동과 함께 상기 제2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부재와 상기 제2 레일부재는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2 가이드 부재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1 링크부재와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인입 형성된 단차홈 형상 및 상기 제1 링크부재와 상기 제2 링크부재를 관통하는 관통홀 형상 중 하나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조작부가 상기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1 레일부재의 일측 단부와 맞물려 상기 제1 링크부재의 상기 케이스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운동을 제한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조작부가 상기 제2 작동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1 레일부재의 타측 단부와 맞물려 상기 제1 링크부재의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운동을 제한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조작부가 상기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상기 제2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2 레일부재의 일측 단부와 맞물려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상기 제1 링크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운동을 제한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조작부가 상기 제2 작동 상태일 경우,
    상기 제2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2 레일부재의 타측 단부와 맞물려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상기 제1 링크부재를 향하는 방향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운동을 제한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2.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부재는 상기 증기화기 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화기는 상기 체결돌기를 수용하는 체결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홈은 상기 스토퍼가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스토퍼를 수용하도록 상측으로 인입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탈부착 조작부가 상기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상기 체결홈에 수용되어 상기 증기화기의 상기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탈부착 조작부가 상기 제2 작동 상태일 경우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체결홈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증기화기의 상기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증기화기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려 할 경우, 상기 증기화기는 상기 경사면과 접촉하여 상기 경사면에 대해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스토퍼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케이스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체결돌기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가이드홀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조작부는,
    상기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측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1 버튼부재와,
    상기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타측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2 버튼부재와,
    상기 제1 버튼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의 일측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제2 버튼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의 타측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버튼부재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하되, 상기 제1 버튼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한 상측 임계 위치와 하측 임계 위치를 정의하는 제1 슬라이딩 홈과,
    상기 제2 버튼부재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하되, 상기 제2 버튼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한 상측 임계 위치와 하측 임계 위치를 정의하는 제2 슬라이딩 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조작부는,
    상기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제1 레일부재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제2 레일부재와,
    상기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2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증기화기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증기화기 측으로 돌출되는 제2 체결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증기화기는,
    상기 제1 체결돌기를 수용하는 제1 체결홈과,
    상기 제2 체결돌기를 수용하는 제2 체결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돌기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1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돌기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홈은 상기 제1 스토퍼가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제1 스토퍼를 수용하도록 상측으로 인입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홈은 상기 제2 스토퍼가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제2 스토퍼를 수용하도록 상측으로 인입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탈부착 조작부가 상기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체결홈에 수용되어 상기 증기화기의 상기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탈부착 조작부가 상기 제2 작동 상태일 경우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체결홈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증기화기의 상기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며,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탈부착 조작부가 상기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상기 제2 체결홈에 수용되어 상기 증기화기의 상기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탈부착 조작부가 상기 제2 작동 상태일 경우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체결홈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증기화기의 상기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와 상기 제2 스토퍼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증기화기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려 할 경우, 상기 증기화기는 상기 경사면과 접촉하여 상기 경사면에 대해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스토퍼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3.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체결돌기가 상기 케이스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제1 체결돌기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 가이드홀과,
    상기 제2 체결돌기가 상기 케이스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제2 체결돌기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2 가이드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홀은 상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체결돌기는 상기 제1 가이드홀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가이드홀은 상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체결돌기는 상기 제2 가이드홀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24. 제1 항에 있어서,
    탈부착 조작부는,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증기화기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링크부재와,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증기화기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1 링크부재와 맞물려 상기 제1 링크부재의 회전 운동에 의해 함께 회전 가능한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일측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링크부재를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버튼부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재는 상기 제2 링크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크부재는 상기 제1 링크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부재와 접촉하는 제2 돌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재를 가압할 경우 상기 제1 돌출부재는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돌출부재를 회전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재와 상기 제2 돌출부재가 접촉하는 면은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7.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조작부는,
    상기 탈부착 조작부가 상기 제2 작동 상태일 경우 상기 탈부착 조작부의 위치에서 상기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상기 탈부착 조작부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상기 제1 링크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2 링크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2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9.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 벽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탈부착 조작부가 상기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상기 케이스의 상기 내측 벽면에 맞물림으로써 상기 제1 링크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0.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재는 상기 제2 링크부재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크부재는 상기 제1 링크부재 측으로 돌출되는 제2 체결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증기화기는,
    상기 제1 체결돌기를 수용하도록 일측에 인입 형성되는 제1 체결홈과,
    상기 제2 체결돌기를 수용하도록 타측에 인입 형성되는 제2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돌기와 상기 제2 체결돌기는,
    상기 탈부착 조작부가 상기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각각 상기 제1 체결홈과 상기 제2 체결홈에 수용되어 상기 증기화기의 상기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탈부착 조작부가 상기 제2 작동 상태일 경우 각각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체결홈과 상기 제2 체결홈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증기화기의 상기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1.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돌기와 상기 제2 체결돌기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증기화기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려 할 경우, 상기 증기화기는 상기 경사면에 대해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제1 체결돌기와 상기 제2 체결돌기를 상기 탈부착 조작부가 상기 제2 작동 상태일 경우의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조작부는,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증기화기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링크부재와,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증기화기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일측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링크부재를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1 버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링크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타측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2 링크부재를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2 버튼부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3. 제32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조작부는,
    상기 탈부착 조작부가 상기 제2 작동 상태일 경우 상기 탈부착 조작부의 위치에서 상기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상기 탈부착 조작부의 위치로 복원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링크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2 링크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4. 제3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2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5. 제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 벽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탈부착 조작부가 상기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상기 케이스의 상기 내측 벽면에 맞물림으로써 상기 제1 링크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튼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 벽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탈부착 조작부가 상기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상기 케이스의 상기 내측 벽면에 맞물림으로써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 걸림턱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6. 제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재는 상기 제2 링크부재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크부재는 상기 제1 링크부재 측으로 돌출되는 제2 체결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증기화기는,
    상기 제1 체결돌기를 수용하도록 일측에 인입 형성되는 제1 체결홈과,
    상기 제2 체결돌기를 수용하도록 타측에 인입 형성되는 제2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돌기와 상기 제2 체결돌기는,
    상기 탈부착 조작부가 상기 제1 작동 상태일 경우 각각 상기 제1 체결홈과 상기 제2 체결홈에 수용되어 상기 증기화기의 상기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탈부착 조작부가 상기 제2 작동 상태일 경우 각각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체결홈과 상기 제2 체결홈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증기화기의 상기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7. 제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돌기와 상기 제2 체결돌기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증기화기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려 할 경우, 상기 증기화기는 상기 경사면에 대해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제1 체결돌기와 상기 제2 체결돌기를 상기 탈부착 조작부가 상기 제2 작동 상태일 경우의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80064487A 2017-10-30 2018-06-04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78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760,128 US11369145B2 (en) 2017-10-30 2018-10-26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detachable vaporizer
PCT/KR2018/012776 WO2019088580A2 (ko) 2017-10-30 2018-10-26 에어로졸 생성 장치
EP18874446.0A EP3704970A4 (en) 2017-10-30 2018-10-26 AEROSOL GENERATING DEVICE
JP2020502181A JP6884264B2 (ja) 2017-10-30 2018-10-26 エアロゾル生成装置
CN201880049189.XA CN110996692B (zh) 2017-10-30 2018-10-26 气溶胶生成装置
JP2021080578A JP7275194B2 (ja) 2017-10-30 2021-05-11 エアロゾル生成装置
JP2023075965A JP2023099164A (ja) 2017-10-30 2023-05-02 エアロゾル生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42578 2017-10-30
KR1020170142578 2017-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397A true KR20190049397A (ko) 2019-05-09
KR102078262B1 KR102078262B1 (ko) 2020-02-18

Family

ID=66545361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467A KR102141648B1 (ko) 2017-10-30 2018-05-03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80059580A KR102074930B1 (ko) 2017-10-30 2018-05-25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80062137A KR102074935B1 (ko) 2017-10-30 2018-05-30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80064487A KR102078262B1 (ko) 2017-10-30 2018-06-04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80069645A KR102097681B1 (ko) 2017-10-30 2018-06-18 광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80072935A KR102138874B1 (ko) 2017-10-30 2018-06-25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히터
KR1020180074188A KR102140162B1 (ko) 2017-10-30 2018-06-27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467A KR102141648B1 (ko) 2017-10-30 2018-05-03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80059580A KR102074930B1 (ko) 2017-10-30 2018-05-25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80062137A KR102074935B1 (ko) 2017-10-30 2018-05-30 에어로졸 생성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645A KR102097681B1 (ko) 2017-10-30 2018-06-18 광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80072935A KR102138874B1 (ko) 2017-10-30 2018-06-25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히터
KR1020180074188A KR102140162B1 (ko) 2017-10-30 2018-06-27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7) KR10214164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85552A1 (en) * 2019-09-02 2021-03-03 Shenzhen IVPS Technology Co., Ltd. Electronic cigarette
WO2021071203A1 (en) * 2019-10-11 2021-04-15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showing the remaining amount of liquid composition using light source
KR20220000292A (ko) * 2020-06-25 2022-01-0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000631A (ko) * 2021-06-25 2023-01-0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019B1 (ko) * 2019-06-10 2021-07-13 주식회사 아쎄르 궐련형 전자담배
KR102277015B1 (ko) * 2019-06-10 2021-07-13 주식회사 아쎄르 궐련형 전자담배
KR102213838B1 (ko) 2019-06-14 2021-02-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광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13550B1 (ko) * 2019-07-23 2022-06-2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 조립체, 히터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히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272406B1 (ko) * 2019-07-24 2021-07-0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15061B1 (ko) * 2019-09-06 2021-10-20 주식회사 이엠텍 휴대용 에어로졸 발생장치
KR102412118B1 (ko) * 2019-10-10 2022-06-2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81055B1 (ko) * 2019-12-20 2022-03-31 주식회사 이엠텍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필름 히터 조립 구조
KR102381037B1 (ko) * 2019-12-20 2022-03-31 주식회사 이엠텍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히팅 파이프 조립 구조
KR102402064B1 (ko) * 2020-01-31 2022-05-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예열 시간이 단축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535306B1 (ko) 2020-02-07 2023-05-2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436024B1 (ko) * 2020-02-26 2022-08-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광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12627B1 (ko) * 2020-03-26 2022-06-2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53826B1 (ko) 2020-06-26 2023-07-1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2023537276A (ja) * 2020-08-10 2023-08-31 ジェイティ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スエイ ネスト型フレキシブルpcbを備えたエアロゾル発生装置
KR102567136B1 (ko) * 2020-09-01 2023-08-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가열 효율이 향상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533745B1 (ko) * 2020-10-22 2023-05-1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Rtc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30891B1 (ko) * 2021-04-05 2023-05-10 주식회사 이엠텍 발광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분리형 미세입자 발생장치
KR20220160948A (ko) * 2021-05-28 2022-12-06 신종수 전자담배
KR102588943B1 (ko) * 2021-08-10 2023-10-16 주식회사 이엠텍 자동 닫힘 구조를 구비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
KR102622599B1 (ko) * 2021-10-05 2024-01-09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휴대용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시스템
WO2024053966A1 (en) * 2022-09-05 2024-03-14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647550B1 (ko) * 2023-02-24 2024-03-14 주식회사 이엠텍 에어로졸 발생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4899A (ko) * 2002-02-15 2004-10-06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전기 흡연 장치 및 방법
JP2014216287A (ja) * 2013-04-30 2014-11-17 清水 和彦 無煙喫煙冶具用ヒーター
JP2015013192A (ja) * 2008-10-23 2015-01-22 バットマーク・リミテッド 吸入器
KR101631286B1 (ko) * 2014-05-12 2016-06-16 신종수 전자담배
WO2016207407A1 (en) * 2015-06-26 2016-12-29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R4906A (es) * 1993-09-10 1994-09-09 Philip Morris Prod Sistema electrico de fumar para distribuir sabores y metodopara su fabricacion
US6803545B2 (en) 2002-06-05 2004-10-12 Philip Morris Incorporated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and method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from a lithium ion power source
EP2253233A1 (en) * 2009-05-21 2010-11-24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EP2316286A1 (en) * 2009-10-29 2011-05-04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with improved heater
KR101012472B1 (ko) * 2010-07-15 2011-02-08 양재성 집광 표지판
EP2460423A1 (en) * 2010-12-03 2012-06-06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electrically heated aerosol generating system having improved heater control
KR101338073B1 (ko) * 2011-12-09 2013-12-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멀티심볼 표시장치
AU2012360817B2 (en) * 2011-12-30 2017-09-07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improved temperature distribution
GB2514893B (en) * 2013-06-04 2017-12-06 Nicoventures Holdings Ltd Container
JP6022700B2 (ja) * 2013-09-30 2016-11-0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型香味吸引器
KR101480423B1 (ko) * 2013-10-22 2015-01-13 주식회사 프로모파트너스 엘이디(led)를 이용한 광고 패널
TWI666992B (zh) * 2014-05-21 2019-08-01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氣溶膠產生系統及用在氣溶膠產生系統中之料匣
KR101486294B1 (ko) * 2014-11-14 2015-01-27 전병철 전자 담배
GB2533137A (en) * 2014-12-11 2016-06-15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US10998093B2 (en) * 2015-01-09 2021-05-04 Adherium (Nz) Limited Monitor for a medicament inhaler
WO2016123738A1 (zh) 2015-02-02 2016-08-11 深圳麦克韦尔股份有限公司 卷烟加热器及其加热组件
KR101957877B1 (ko) * 2015-02-11 2019-03-13 차이나 타바코 윈난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연무 발생기 및 그 조립 방법
KR101733448B1 (ko) 2015-03-31 2017-05-08 신종수 전자담배 및 전자담배 제조방법
CN107920588A (zh) * 2015-08-14 2018-04-17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包含用于鉴别装置中的吸烟制品的紧凑系统的电操作的吸烟装置
US11064739B2 (en) 2015-08-14 2021-07-20 Philip Morris Products S.A. 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 including a system for identifying smoking articles in the device
CN106723379B (zh) * 2017-01-16 2023-07-28 常州市派腾电子技术服务有限公司 电子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4899A (ko) * 2002-02-15 2004-10-06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전기 흡연 장치 및 방법
JP2015013192A (ja) * 2008-10-23 2015-01-22 バットマーク・リミテッド 吸入器
JP2014216287A (ja) * 2013-04-30 2014-11-17 清水 和彦 無煙喫煙冶具用ヒーター
KR101631286B1 (ko) * 2014-05-12 2016-06-16 신종수 전자담배
WO2016207407A1 (en) * 2015-06-26 2016-12-29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85552A1 (en) * 2019-09-02 2021-03-03 Shenzhen IVPS Technology Co., Ltd. Electronic cigarette
WO2021071203A1 (en) * 2019-10-11 2021-04-15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showing the remaining amount of liquid composition using light source
KR20210043289A (ko) * 2019-10-11 2021-04-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광원을 이용하여 액체 조성물의 잔량을 나타내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CN112969374A (zh) * 2019-10-11 2021-06-15 韩国烟草人参公社 气溶胶生成装置和用于使用光源示出液状组合物的剩余量的方法
EP3833201A4 (en) * 2019-10-11 2021-12-22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THE REMAINING AMOUNT OF A LIQUID COMPOSITION USING A LIGHT SOURCE
JP2022510364A (ja) * 2019-10-11 2022-01-26 ケイティー アンド ジー コーポレイション 光源を用いて液体組成物の残量を示す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方法
CN112969374B (zh) * 2019-10-11 2023-12-15 韩国烟草人参公社 气溶胶生成装置
US11930858B2 (en) 2019-10-11 2024-03-19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showing the remaining amount of liquid composition using light source
KR20220000292A (ko) * 2020-06-25 2022-01-0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000631A (ko) * 2021-06-25 2023-01-0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389A (ko) 2019-05-09
KR102074930B1 (ko) 2020-02-07
KR20190049394A (ko) 2019-05-09
KR102141648B1 (ko) 2020-08-05
KR102138874B1 (ko) 2020-07-29
KR102074935B1 (ko) 2020-02-07
KR20190049405A (ko) 2019-05-09
KR20190049408A (ko) 2019-05-09
KR102097681B1 (ko) 2020-04-06
KR102078262B1 (ko) 2020-02-18
KR102140162B1 (ko) 2020-07-31
KR20190049402A (ko) 2019-05-09
KR20190049396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9397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7225344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JP6972296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JP7275194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JP7245241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20190049390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히터 조립체
JP7338932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20190049406A (ko) 증기화기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190027308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002242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10101046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20190049630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210043291A (ko) 증기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20109769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2024513068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用ヒータ組立体、及びそれを含むエアロゾル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