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292A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292A
KR20220000292A KR1020200078056A KR20200078056A KR20220000292A KR 20220000292 A KR20220000292 A KR 20220000292A KR 1020200078056 A KR1020200078056 A KR 1020200078056A KR 20200078056 A KR20200078056 A KR 20200078056A KR 20220000292 A KR20220000292 A KR 20220000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aerosol generating
generating device
hook
aeros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0371B1 (ko
Inventor
김동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00078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371B1/ko
Publication of KR20220000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위치하고, 상기 카트리지가 갖는 지지면에 걸림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본체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후크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AEROSOL GENERATING DEVICE}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트리지와 본체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상태나 고체 상태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거나, 액체 상태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증기를 생성한 후 생성한 증기를 고체 상태의 향 매체를 통과시킴으로써 향미를 갖는 에어로졸을 공급하는 등의 방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하는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본체를 포함한다. 종래에는 카트리지 및 본체 간의 결합력이 낮게 구현되므로, 사용 도중 카트리지와 본체가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들은 카트리지와 본체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위치하고, 상기 카트리지가 갖는 지지면에 걸림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본체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후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본체; 및 상기 카트리지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가 갖는 지지면에 걸림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본체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후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비교적 쉬운 작업을 통해 카트리지 및 본체 사이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와 이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예시적인 일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예시적인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와 본체가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와 본체가 결합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와 본체가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확대한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와 본체가 결합되는 과정을 확대한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와 본체가 결합된 후의 모습을 확대한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변환부재의 제 1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확대한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11은 변환부재의 제 2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확대한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12는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와 본체가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3은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정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와 본체가 결합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와 이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카트리지(2)와, 카트리지(2)를 지지하는 본체(3)를 포함한다.
카트리지(2)는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 상태에서 본체(3)에 결합할 수 있다. 카트리지(2)의 일부분이 본체(3)의 수용 공간(30)에 삽입됨으로써 카트리지(2)가 본체(3)에 장착될 수 있다.
카트리지(2)는 예를 들어 액체 상태나, 고체 상태나, 기체 상태나, 겔(gel) 상태 등의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상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상 조성물은 예를 들어,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및 비타민 혼합물의 어느 하나의 성분이나, 이들 성분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니코틴 염이 첨가된 임의의 중량비의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액상 조성물에는 2종 이상의 니코틴 염이 포함될 수도 있다. 니코틴 염은 니코틴에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포함하는 적절한 산을 첨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니코틴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니코틴 또는 합성 니코틴으로서, 액상 조성물의 총 용액 중량에 대한 임의의 적절한 중량의 농도를 가질 수 있다.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혈중 니코틴 흡수 속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작동 온도, 향미 또는 풍미, 용해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벤조산, 락트산, 살리실산, 라우르산, 소르브산, 레불린산, 피루브산,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시트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페닐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숙신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사카린산, 말론산 또는 말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의 산 또는 상기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 이상의 산들의 혼합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카트리지(2)는 본체(3)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신호 또는 무선 신호 등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카트리지(2)의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phase)을 기체의 상으로 변환하여 에어로졸(aerosol)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한 증기화된 입자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의 기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2)는 본체(3)로부터 전기 신호를 공급받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거나, 초음파 진동 방식을 이용하거나, 유도 가열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을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카트리지(2)가 자체적인 전력원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본체(3)로부터 카트리지(2)에 전달되는 전기적인 제어 신호나 무선 신호에 의해 카트리지(2)가 작동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카트리지(2)는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하는 액체 저장부(21)와, 액체 저장부(21)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에어로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무화기(atomizer)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저장부(21)가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다'는 것은 액체 저장부(21)가 그릇(container)의 용도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단순히 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액체 저장부(21)의 내부에 예를 들어 스펀지(sponge)나 솜이나 천이나 다공성 세라믹 구조체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함침(함유)하는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무화기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여 에어로졸로 변환하기 위한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액체 전달 수단(wick; 윅)과, 액체 전달 수단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은 예를 들어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는 전기 저항에 의해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액체 전달 수단에 전달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기 위하여 구리, 니켈, 텅스텐 등의 금속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는 예를 들어, 금속 열선(wire), 금속 열판(plate), 세라믹 발열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니크롬선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현되거나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거나 액체 전달 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무화기는 또한 별도의 액체 전달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여 에어로졸로 변환하기 위한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과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메시 형상(mesh shape)이나 판 형상(plate shape)의 발열체로 구현될 수 있다.
카트리지(2)의 내부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2)의 액체 저장부(21)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저장부(21)는 본체(3)에 결합할 때에 본체(3)의 홈(3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액체 저장부(21)로부터 돌출하는 돌출창(21a)을 포함한다. 마우스피스(22) 및 액체 저장부(21)의 전체가 투명한 플라스틱이나 유리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액체 저장부(21)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돌출창(21a)만이 투명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본체(3)는 수용 공간(30)의 내측에 배치된 접속 단자(3t)를 포함한다. 본체(3)의 수용 공간(30)에 카트리지(2)의 액체 저장부(21)가 삽입되면 본체(3)는 접속 단자(3t)를 통하여 카트리지(2)에 전력을 제공하거나, 카트리지(2)의 작동과 관련한 신호를 카트리지(2)에 공급할 수 있다.
카트리지(2)의 액체 저장부(21)의 일측 단부에는 마우스피스(22)가 결합된다. 마우스피스(2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사용자의 구강으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마우스피스(22)는 액체 저장부(21)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한 에어로졸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22a)을 포함한다.
본체(3)에는 슬라이더(7)가 본체(3)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슬라이더(7)는 본체(3)에 대해 이동함으로써 본체(3)에 결합된 카트리지(2)의 마우스피스(22)의 적어도 일부를 덮거나 마우스피스(22)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슬라이더(7)는 카트리지(2)의 돌출창(21a)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장공(7a)을 포함한다.
슬라이더(7)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양측 단부가 개방된 통 형상을 갖는다. 슬라이더(7)의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통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3)의 가장자리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본체(3)에 대해 이동 가능한 클립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절곡된 판의 구조나, 만곡된 원호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갖는 구부러진 반원통 형상 등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슬라이더(7)는 본체(3)와 카트리지(2)에 대한 슬라이더(7)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자성체를 포함한다. 자성체는 영구자석이나, 철, 니켈, 코발트, 또는 이들의 합금 등과 같은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는 슬라이더(7)의 내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제1 자성체(8a)와, 슬라이더(7)의 내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제2 자성체(8b)를 포함한다. 제1 자성체(8a)와 제2 자성체(8b)는 슬라이더(7)의 이동 방향, 즉 본체(3)가 연장하는 방향인 본체(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체(3)는 슬라이더(7)가 본체(3)에 대하여 이동하는 동안 슬라이더(7)의 제1 자성체(8a)와 제2 자성체(8b)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된 고정 자성체(32)를 포함한다. 본체(3)의 고정 자성체(32)도 수용 공간(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두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7)의 위치에 따라, 고정 자성체(32)와 제1 자성체(8a) 또는 고정 자성체(32)와 제2 자성체(8b) 사이에서 작용하는 자력에 의하여 슬라이더(7)는 마우스피스(22)의 단부를 덮거나 노출시키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체(3)는 슬라이더(7)가 본체(3)에 대하여 이동하는 동안 슬라이더(7)의 제1 자성체(8a)와 제2 자성체(8b)의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는 위치변화 감지 센서(3s)를 포함한다. 위치변화 감지 센서(3s)는 예를 들어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홀 효과(hall effect)를 이용한 홀 센서(hall IC)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서 본체(3)와 카트리지(2)와 슬라이더(7)는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의 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이지만, 실시예는 이러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형상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예를 들어 원형이나 타원형이나 정사각형이나 여러 가지 형태의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할 때 반드시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구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편하게 예를 들어 유선형으로 만곡되거나 특정 영역에서 미리 정해진 각도로 절곡되며 길게 연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예시적인 일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서는 슬라이더(7)가 본체(3)와 결합된 카트리지의 마우스피스(22)의 단부를 덮는 위치로 이동한 작동 상태가 도시되었다. 슬라이더(7)가 마우스피스(22)의 단부를 덮는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마우스피스(22)가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며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슬라이더(7)의 장공(7a)을 통하여 카트리지의 돌출창(21a)을 시각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카트리지가 보유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를 사용하기 위해서 슬라이더(7)를 본체(3)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예시적인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서는 슬라이더(7)가 본체(3)와 결합된 카트리지의 마우스피스(22)의 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로 이동한 작동 상태가 도시되었다. 슬라이더(7)가 마우스피스(22)의 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구강에 마우스피스(22)를 삽입하여 마우스피스(22)의 배출공(22a)을 통해서 배출되는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슬라이더(7)가 마우스피스(22)의 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도 슬라이더(7)의 장공(7a)을 통하여 카트리지의 돌출창(21a)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사용자가 카트리지가 보유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배터리(110), 히터(120), 센서(130),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메모리(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내부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설계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새로운 구성이 더 추가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본체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들은 본체에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본체 및 카트리지로 구성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들은 본체 및 카트리지에 나뉘어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는 본체 및 카트리지 각각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들이 위치하는 공간을 한정하지 않고, 각 구성들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배터리(1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즉, 배터리(110)는 히터(12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내에 구비된 다른 하드웨어 구성들, 즉, 센서(130),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메모리(150) 및 제어부(16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10)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거나 일회용 배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는 리튬폴리머(LiPoly) 배터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히터(12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11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다. 히터(120)는 배터리(11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삽입된 궐련을 가열하거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장착된 카트리지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1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본체(3)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본체(3) 및 카트리지(2)로 구성되는 경우, 히터(120)는 카트리지(2)에 위치할 수 있다. 히터(120)가 카트리지에 위치하는 경우, 히터(120)는 본체(3) 및 카트리지(2)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한 배터리(1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히터(120)는 임의의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은 타이타늄, 지르코늄, 탄탈럼, 백금, 니켈, 코발트, 크로뮴, 하프늄, 나이오븀, 몰리브데넘, 텅스텐, 주석, 갈륨, 망간, 철, 구리, 스테인리스강, 니크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히터(120)는 금속 열선(wire),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이 배치된 금속 열판(plate), 세라믹 발열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히터(120)는 카트리지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카트리지는 히터(120), 액체 전달 수단 및 액체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저장부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체 전달 수단으로 이동하고, 히터(120)는 액체 전달 수단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20)는 니켈크롬과 같은 소재를 포함하고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거나 액체 전달 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히터(1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수용 공간에 삽입된 궐련을 가열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수용 공간에 궐련이 수용됨에 따라 히터(120)는 궐련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히터(120)는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히터(120)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히터(120)는 궐련 또는 카트리지를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궐련 또는 카트리지에는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가 포함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에서 센싱된 결과는 제어부(160)로 전달되고, 센싱 결과에 따라 제어부(160)는 히터의 동작 제어, 흡연의 제한, 궐련(또는 카트리지) 삽입 유/무 판단, 알림 표시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수행되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는 퍼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퍼프 감지 센서는 온도 변화, 유량(flow) 변화, 전압 변화 및 압력 변화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는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감지 센서는 히터(120)(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가 가열되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히터(120)의 온도를 감지하는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거나,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대신 히터(120) 자체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히터(120)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는 위치변화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변화 감지 센서는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의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램프,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모터, 소리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입/출력(I/O) 인터페이싱 수단들(예를 들어,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과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충전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들,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Near-Field Communication) 등)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싱 모듈 등의 다양한 인터페이싱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는 위의 예시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예시들 중 일부만이 취사 선택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15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메모리(150)는 제어부(160)에서 처리된 데이터들 및 처리될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의 다양한 종류들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50)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동작 시간, 최대 퍼프 횟수, 현재 퍼프 횟수, 적어도 하나의 온도 프로파일 및 사용자의 흡연 패턴에 대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하드웨어이다. 제어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에 의해 센싱된 결과를 분석하고 뒤이어 수행될 처리들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히터(120)의 동작이 개시 또는 종료되도록 히터(12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히터(120)가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되거나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히터(12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6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히터(120)의 동작을 개시하기 위해 히터(120)의 모드를 예열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한 후 히터(120)의 모드를 예열모드에서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퍼프 횟수를 카운트한 후 퍼프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히터(120)에 전력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퍼프 횟수를 카운트한 후 퍼프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제어부(160)는 램프, 모터 및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곧 종료될 것임을 예고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배터리(110)를 충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크래들 내부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크래들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배터리(110)를 충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와 본체가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와 본체가 결합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하는 카트리지(2), 카트리지(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본체(3), 및 본체(3)에 위치하는 후크장치(4)를 포함한다. 후크장치(4)는 카트리지(2)가 갖는 지지면(23)에 걸림에 따라 카트리지(2) 및 본체(3) 간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후크장치(4)를 지지면(23)에 지지시키는 비교적 쉬운 작업을 통해 카트리지(2) 및 본체(3) 사이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결합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카트리지(2), 본체(3), 및 후크장치(4)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와 본체가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확대한 개략적인 정단면도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와 본체가 결합되는 과정을 확대한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며,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와 본체가 결합된 후의 모습을 확대한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카트리지(2)는 삽입홈(2a)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홈(2a)은 후크장치(4)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삽입홈(2a)은 카트리지(2)의 케이스(20,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됨)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20)는 카트리지(2)의 본체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삽입홈(2a)은 케이스(20)의 일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홈을 가공하는 작업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20)의 일면은 본체(3)를 향하는 케이스(20)의 면일 수 있다.
카트리지(2)는 지지면(23)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면(23)은 후크장치(4)가 걸리기 위한 것이다. 지지면(23)은 후크장치(4)가 걸림에 따라 후크장치(4)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면(23)은 삽입홈(2a)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지지면(23)은 전체적으로 굴곡이 없는 평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후크장치(4)가 걸릴 수 있는 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2)는 연결면(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면(24)은 지지면(23)에 연결된 것이다. 연결면(24)은 삽입홈(2a)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연결면(24) 및 지지면(23) 사이의 각도(α, 도 7 및 도 8에 도시됨)는 90도 이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연결면(24) 및 지지면(23) 사이의 각도(α)가 둔각인 비교예와 대비하여 볼 때, 본체(3) 및 카트리지(2)의 분리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비교예는 본체(3) 및 카트리지(2)의 결합상태에서, 지지면(23)이 이루는 경사를 따라 후크장치(4)가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체(3)는 카트리지(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체(3)는 후크장치(4)가 지지면(23)에 걸림에 따라 카트리지(2)에 결합되거나, 후크장치(4)가 지지면(23)에 대한 걸림이 해제됨에 따라 카트리지(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체(3)에는 후크장치(4)가 결합될 수 있다. 본체(3) 및 후크장치(4)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후크장치(4)는 지지면(23)에 걸리기 위한 걸림위치(HP) 및 지지면(23)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 해제위치(CP) 간에 전환될 수 있다. 후크장치(4)는 걸림위치(HP)에서 지지면(23)에 접촉될 수 있다. 후크장치(4)는 걸림 해제위치(CP)에서 지지면(23)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후크장치(4)는 전체적으로 갈고리(Hook)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지지면(23)에 걸릴 수 있는 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후크장치(4)는 내측에 확보공간(4a)이 형성되도록 본체(3)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확보공간(4a)은 후크장치(4)가 걸림위치(HP) 및 걸림 해제위치(CP) 간에 전환되기 위한 공간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에서는 확보공간(4a)을 기준으로 이격된 2개의 후크장치(4)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확보공간(4a)의 외측을 둘러싸는 1개의 후크장치(4) 또는 확보공간(4a)을 기준으로 이격된 3개 이상의 후크장치(4)가 본체(3)로부터 돌출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후크장치(4)는 후크부재(41)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부재(41)는 후크본체(40)로부터 확보공간(4a)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후크본체(40)는 후크부재(41)와 본체(3)의 사이에서 후크부재(41)와 본체(3)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후크본체(40), 후크부재(41), 및 본체(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후크부재(41)는 지지면(23)에 지지될 수 있다.
후크장치(4)는 제 1 걸림면(42) 및 제 2 걸림면(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걸림면(42)은 지지면(23)에 걸리는 것이다. 제 1 걸림면(42)은 지지면(23)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걸림면(42)은 전체적으로 굴곡 없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지지면(23)에 걸릴 수 있는 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걸림면(42)은 후크부재(41)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걸림면(43)은 제 1 걸림면(42)에 연결된 것이다. 제 2 걸림면(43)은 후크본체(40)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걸림면(43) 및 제 1 걸림면(42) 사이의 각도(β, 도 7 및 도 8에 도시됨)는 90도 이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제 2 걸림면(43) 및 제 1 걸림면(42) 사이의 각도(β)가 둔각인 비교예와 대비하여 볼 때, 후크장치(4)가 걸림위치(HP)에서 걸림 해제위치(CP)로 전환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비교예는 본체(3) 및 카트리지(2)의 결합상태에서, 제 1 걸림면(42)이 이루는 경사를 따라 후크장치(4) 걸림 해제위치(CP)로 전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본체(3) 및 카트리지(2)의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후크장치(4)는 유도면(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도면(44)은 후크부재(41)에 형성될 수 있다. 유도면(44)은 삽입홈(2a)을 향하는 후크부재(41)의 면일 수 있다. 유도면(44)은 제 2 걸림면(43)과 이격된 위치에서, 제 1 걸림면(42)에 연결될 수 있다.
유도면(44)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후크장치(4)가 삽입홈(2a)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곡면을 통해 후크장치(4)가 삽입홈(2a)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유도면(44)은 굴곡이 없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변환부재의 제 1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확대한 개략적인 정단면도이고, 도 11은 변환부재의 제 2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확대한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변환부재(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변환부재(5)는 후크장치(4)를 걸림위치(HP)로 전환시키기 위한 제 1 형태(F1) 및 후크장치(4)를 걸림 해제위치(CP)로 전환시키기 위한 제 2 형태(F2) 간에 변환하는 것이다. 변환부재(5)의 길이는 제 2 형태(F2)에 비해 제 1 형태(F1)에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변환부재(5)는 확보공간(4a)에 위치할 수 있다. 변환부재(5)는 후크장치(4)에 결합될 수 있다.
변환부재(5)는 전기적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제 1 형태(F1) 및 제 2 형태(F2) 간에 변환되도록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변환부재(5)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형태(F1)인 경우, 변환부재(5)는 전기적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제 2 형태(F2)로 변환될 수 있다. 이 경우, 변환부재(5)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후크장치(4)를 확보공간(4a)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후크장치(4)는 걸림위치(HP)에서 걸림 해제위치(CP)로 전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변환부재(5)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형태(F2)인 경우, 변환부재(5)는 전기적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제 1 형태(F1)로 변환될 수 있다. 이 경우, 변환부재(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후크장치(4)를 확보공간(4a)의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후크장치(4)는 걸림 해제위치(CP)에서 걸림위치(HP)로 전환될 수 있다.
변환부재(5)는 니켈(Nikel)-티타늄(Titanium) 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변환부재(5)가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형성된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변환제어부(5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변환제어부(5a)는 변환부재(5)의 형태가 변환되도록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변환제어부(5a)가 생성한 전기적 신호는 변환부재(5)에 제공될 수 있다. 변환제어부(5a)는 변환부재(5)에 연결될 수 있다. 변환제어부(5a)는 배터리(110)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작동될 수 있다. 변환제어부(5a)는 전체적으로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스위치(Switch)로 구현될 수 있다.
변환제어부(5a)는 변환부재(5)를 제 1 형태(F1)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 1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태양, 및 변환부재(5)를 제 2 형태(F2)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 2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태양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변환제어부(5a)가 갖는 제 1 태양 및 제 2 태양의 예시를 설명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변환제어부(5a)가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스위치(Switch)로 구현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일 예로서, 변환부재(5)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형태(F2)인 경우, 변환제어부(5a)는 사용자에 의해 1회 조작됨에 따라 제 1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변환제어부(5a)가 생성한 제 1 신호는 변환부재(5)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변환부재(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형태(F1)로 변환될 수 있다. 제 1 신호는 변환부재(5)에 전기 공급을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변환부재(5)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형태(F1)인 경우, 변환제어부(5a)는 사용자에 의해 1회 더 조작됨에 따라 제 2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변환제어부(5a)가 생성한 제 2 신호는 변환부재(5)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변환부재(5)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형태(F2)로 변환될 수 있다. 제 2 신호는 변환부재(5)에 전기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복원장치(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원장치(6)는 탄성력에 의한 복원력을 이용하여 후크장치(4)를 걸림위치(HP)로 복원시키는 것이다. 복원장치(6)는 변환부재(5)의 제 2 형태(F2)에서, 후크장치(4)를 확보공간(4a)의 외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변환부재(5)가 제 2 형태(F2)에서 제 1 형태(F1)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후크장치(4)가 걸림위치(HP)로 용이하게 복원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복원장치(6)는 확보공간(4a)에 위치할 수 있다. 복원장치(6)는 변환부재(5)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후크장치(4)에 결합될 수 있다. 복원장치(6)는 전체적으로 스프링(Spring)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2는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와 본체가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13은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정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와 본체가 결합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후크장치(4)가 카트리지(2)에 위치함과 아울러 지지면(23)이 본체(3)에 포함되도록 구현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도, 후크장치(4)는 본체(3)가 갖는 지지면(23)에 걸림에 따라 카트리지(2) 및 본체(3) 간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지지면(23)과 후크장치(4)의 배치 위치를 제외하고,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와 대략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10, 100 :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 카트리지
3 : 본체 4 : 후크장치
5 : 변환부재 5a : 변환제어부
6 : 복원장치 2a : 삽입홈
23 : 지지면 41 : 후크부재
42 : 제 1 걸림면 43 : 제 2 걸림면
44 : 유도면 HP : 걸림위치
CP : 걸림 해제위치 F1 : 제 1 형태
F2 : 제 2 형태

Claims (12)

  1.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위치하고, 상기 카트리지가 갖는 지지면에 걸림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본체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후크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장치는 상기 지지면에 걸리기 위한 걸림위치 및 상기 지지면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기 위한 걸림 해제위치 간에 전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장치에 결합되고, 상기 후크장치를 상기 걸림위치로 전환시키기 위한 제 1 형태 및 상기 후크장치를 상기 걸림 해제위치로 전환시키기 위한 제 2 형태 간에 변환되는 변환부재;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재는 전기적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 1 형태 및 상기 제 2 형태 간에 변환되도록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 소재로 형성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재의 형태가 변환되도록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변환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제어부는 상기 변환부재를 상기 제 1 형태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 1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태양 및 상기 변환부재를 상기 제 2 형태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 2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태양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장치에 결합되고, 탄성력에 의한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후크장치를 상기 걸림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장치;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지지면에 연결된 연결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면 및 상기 지지면 사이의 각도는 90도 이하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장치는 상기 지지면에 걸리기 위한 제 1 걸림면, 및 상기 제 1 걸림면에 연결된 제 2 걸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걸림면 및 상기 제 1 걸림면 사이의 각도는 90도 이하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후크장치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장치는 상기 삽입홈을 향하는 유도면을 포함하며,
    상기 유도면은 곡면으로 형성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장치는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
  12.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본체; 및
    상기 카트리지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가 갖는 지지면에 걸림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본체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후크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200078056A 2020-06-25 2020-06-25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40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056A KR102540371B1 (ko) 2020-06-25 2020-06-25 에어로졸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056A KR102540371B1 (ko) 2020-06-25 2020-06-25 에어로졸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292A true KR20220000292A (ko) 2022-01-03
KR102540371B1 KR102540371B1 (ko) 2023-06-05

Family

ID=79348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056A KR102540371B1 (ko) 2020-06-25 2020-06-25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3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3091A (ko) * 2010-12-07 2012-06-1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태양전지판 전개용 힌지 및 그 힌지를 이용하여 태양전지판을 전개시키는 방법
KR20170049699A (ko) * 2015-10-27 2017-05-11 주식회사 노보 전자 담배
KR20190019118A (ko) * 2017-05-26 2019-02-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190049397A (ko) *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3091A (ko) * 2010-12-07 2012-06-1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태양전지판 전개용 힌지 및 그 힌지를 이용하여 태양전지판을 전개시키는 방법
KR20170049699A (ko) * 2015-10-27 2017-05-11 주식회사 노보 전자 담배
KR20190019118A (ko) * 2017-05-26 2019-02-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190049397A (ko) *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371B1 (ko) 202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004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25245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73151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16140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52454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7470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20138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27859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81295B1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카트리지,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가열 요소와 단자를 연결하는 방법
KR20210011827A (ko) 열 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가열 조립체
JP7324365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102272407B1 (ko) 마우스피스 교체식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256666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함께 이용되는 카트리지
KR102540371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286582B1 (ko) 궐련 및 카트리지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329282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78591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86581B1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충전용 전원변환장치,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하는 시스템
KR102365666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
KR20210015506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27561B1 (ko) 누액방지기능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330807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33080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27856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2258049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