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734B1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734B1
KR102630734B1 KR1020210112580A KR20210112580A KR102630734B1 KR 102630734 B1 KR102630734 B1 KR 102630734B1 KR 1020210112580 A KR1020210112580 A KR 1020210112580A KR 20210112580 A KR20210112580 A KR 20210112580A KR 102630734 B1 KR102630734 B1 KR 102630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nsertion hole
heater
space
aerosol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0400A (ko
Inventor
안휘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10112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734B1/ko
Priority to CN202280048339.1A priority patent/CN117615673A/zh
Priority to PCT/KR2022/010611 priority patent/WO2023003351A1/en
Publication of KR20230030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70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를 마주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1 삽입구;와, 상기 제2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구와 정렬되는 제2 삽입구;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는 스페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1 삽입구 및 제2 삽입구와 연통된 공간;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삽입구 및 상기 제2 삽입구를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제1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는 히터; 및 상기 공간에 메워지는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에어로졸을 통해 매질 또는 물질로부터 일정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매질은 다양한 성분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다양한 성분의 향미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니코틴 성분, 허브 성분 및/또는 커피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히터 주변의 틈을 실링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히터 주변 구조의 열 변형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히터 및 히터 주변 구조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히터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히터에 전기를 인가하는 리드와이어의 단선 및 꼬임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히터 주변 결합구조가 간소화된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를 마주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1 삽입구;와, 상기 제2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구와 정렬되는 제2 삽입구;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는 스페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1 삽입구 및 제2 삽입구와 연통된 공간;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삽입구 및 상기 제2 삽입구를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제1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는 히터; 및 상기 공간에 메워지는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히터 주변의 틈을 실링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히터 주변 구조의 열 변형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히터 및 히터 주변 구조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히터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히터에 전기를 인가하는 리드와이어의 꼬임 및 단선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히터 주변 결합구조가 간소화된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19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커버(20)는 제1 플레이트(21)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커버(20)는 제2 플레이트(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는 제1 커버(2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는 제2 플레이트(2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는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삽입구(214)는 제1 플레이트(21)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구(214)는 제1 플레이트(21)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삽입구(214)는 상하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2)는 제1 커버(2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2)는 제1 플레이트(2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2)는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2)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삽입구(224)는 제2 플레이트(22)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구(224)는 제2 플레이트(22)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삽입구(224)는 상하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2 삽입구(224)는 제1 삽입구(214)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삽입구(214)와 제2 삽입구(224)는 서로 상하방향으로 마주하며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2)는 제1 플레이트(21)보다 둘레가 클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와 제2 플레이트(22)는 서로 상하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와 제2 플레이트(22)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공간(234)은 제1 플레이트(21)와 제2 플레이트(2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공간(234)은 제1 플레이트(2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공간(234)은 제2 플레이트(2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삽입구(214)는 공간(234)과 연통될 수 있다. 제2 삽입구(224)는 공간(234)과 연통될 수 있다. 공간(234)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삽입구(214)와 제2 삽입구(22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와 제2 플레이트(22)의 두께는 동일하거나 대략 유사할 수 있다.
제1 커버(20)는 스페이서(23)를 구비할 수 있다. 스페이서(23)는 제1 플레이트(21)와 제2 플레이트(2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23)는 제1 플레이트(21)와 제2 플레이트(22)에 연결될 수 있다. 스페이서(23)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스페이서(23)는 공간(234)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페이서(23)는 공간(234)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23)는 제1 삽입구(214)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스페이서(23)는 제2 삽입구(224)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스페이서(23)의 두께는 제1 플레이트(21) 및/또는 제2 플레이트(22)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대략 유사할 수 있다. 스페이서(23)는 제1 플레이트(21)의 가장자리와 제2 플레이트(22)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리세스(recess)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페이서(23)는 제1 플레이트(21)와 제2 플레이트(22)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스페이서(23)는 공간(234)에 대하여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페이서(23)는 공간(234)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스페이서(23)는 제1 플레이트(21) 및 제2 플레이트(22)의 변형에 대하여 내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인서트 사출이나, 히터의 발열 시에 제1 플레이트(21) 및 제2 플레이트(22)가 열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간(234)은 제1 플레이트(21), 제2 플레이트(22) 및 스페이서(23)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는 공간(234)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2)는 공간(234)의 하부를 덮을 수 있다. 한 쌍의 스페이서(23)는 공간(234)의 양 측을 덮을 수 있다. 공간(234)의 적어도 일측은 개방될 수 있다. 공간(234)은, 한 쌍의 스페이서(23)의 사이에서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스페이서(23)는 이너스페이서(231)와 아우터스페이서(23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너스페이서(231)는 공간(234)의 일측을 덮을 수 있다. 이너스페이서(231)는 아우터스페이서(232)보다 공간(234)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너스페이서(231)는 제1 플레이트(21)의 반경방향 또는 제2 플레이트(22)의 반경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이너스페이서(231)는 공간(234)을 사이에 두고 일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이너스페이서(231)는 공간(234)을 사이에 두고 서로를 마주할 수 있다. 이너스페이서(231)는 제1 플레이트(21) 및 제2 플레이트(22)의 중심 주변을 지지할 수 있다.
아우터스페이서(232)는 이너스페이서(23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스페이서(232)는 제1 플레이트(21) 및 제2 플레이트(22)의 가장자리 주변을 지지할 수 있다. 아우터스페이서(232)는 제1 플레이트(21) 및 제2 플레이트(22)의 둘레를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스페이서(232)는 제1 플레이트(21)의 둘레로부터 반경 내측방향으로 리세스 될 수 있다. 아우터스페이서(232)는 제2 플레이트(22)의 둘레로부터 반경 내측방향으로 리세스될 수 있다. 스크류홀(27)은 이너스페이서(23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커버(20)는 허브(25)를 구비할 수 있다. 허브(25)는 제2 플레이트(22)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허브(25)는 제2 삽입구(224)의 주변을 둘러쌀 수 있다. 형성될 수 있다. 허브(25)는 제3 삽입구(254)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제3 삽입구(254)는 제2 삽입구(22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삽입구(254)는 제2 삽입구(224)에 연통될 수 있다. 허브(25)의 내주면 및 제3 삽입구(254)는 비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서포트바(251)는 허브(25)의 내주면으로부터 제3 삽입구(254)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서포트바(251)는 상하방향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서포트바(251)는 복수로 구비되어, 허브(25)의 내주면을 따라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포트바(251)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어느 한 쌍의 서포트바(251)는 제3 삽입구(254)에 대하여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서포트가이드(252)는 서포트바(251)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가이드(252)는 서포트바(251)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홀(221)은 제2 플레이트(22)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홀(221)은 제2 플레이트(22)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고정홀(221)은 공간(234)과 연통될 수 있다. 제1 고정홀(221)은 공간(234)과 제2 고정홀(22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홀(221)은 제2 삽입구(224)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 고정홀(221)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삽입구(224)는 한 쌍의 제1 고정홀(22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고정홀(221)은 제2 삽입구(224)에 대하여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고정홀(221)과 제2 삽입구(224)는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고정홀(221)과 제2 삽입구(224)는 이너스페이서(231)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고정홀(221) 각각은, 한 쌍의 리브(261) 각각의 끝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고정홀(222)은 제2 플레이트(22)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홀(222)은 제1 고정홀(22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고정홀(222)은 제1 고정홀(221)과 연통될 수 있다. 제2 고정홀(222)은 공간(234)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고정홀(222)의 둘레는 제1 고정홀(221)의 둘레보다 클 수 있다. 제2 고정홀(222)의 중심과 제1 고정홀(221)의 중심은 일치할 수 있다. 제2 고정홀(222)의 가장자리는 제1 고정홀(221)의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고정홀(222)은 제1 고정홀(221)보다 외측으로 더 함몰되거나 리세스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홀(222)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고정홀(222) 각각은, 한 쌍의 제1 고정홀(221)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커버(20)는 리브(261)를 구비할 수 있다. 리브(261)는 제2 플레이트(2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리브(261)는 제2 플레이트(2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브(261)는 제2 플레이트(22)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리브(261)는 제2 플레이트(22)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리브(261)는 제3 삽입구(254)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브(261)는 제2 플레이트(22)의 둘레로부터 반경 내측방향으로 리세스될 수 있다.
리브(261)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리브(261)는 제3 삽입구(254)에 대하여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리브(261) 각각은 한 쌍의 스페이서(23) 각각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리브(261) 각각은 한 쌍의 스페이서(23)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홀(221) 및 제2 고정홀(222)은 한 쌍의 리브(261) 중 어느 하나의 리브(261)의 끝단과, 상기 끝단에 인접한 다른 하나의 리브(261)의 끝단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리브(261)는 제2 플레이트(22)를 지지할 수 있다. 리브(261)는 제2 플레이트(22)의 변형에 대하여 내력을 제공할 수 있다.
포지셔닝부(262)는 리브(261)의 끝단이 경사지게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포지셔닝부(262)는 리브(261)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리브(261)의 외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포지셔닝부(262)는 제1 커버(20)가 금형에 삽입될 때, 제1 커버(20)의 배치를 안내하여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커버(20)는 커넥터(263)를 구비할 수 있다. 커넥터(263)는 허브(25)와 리브(261)를 연결할 수 있다. 커넥터(263)는 허브(25)로부터 리브(261)를 향하여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커넥터(263)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커넥터(263)는 허브(25)로부터 방사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263)는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고정홀(221) 및 제2 고정홀(222)은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커넥터(263)의 사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스크류홀(27)은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커넥터(263)의 사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263)는 제2 플레이트(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263)는 제2 플레이트(22)의 변형에 대하여 내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21)의 폭(w1)은 제2 플레이트(22)의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의 가장자리는, 제2 플레이트(22)의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삽입구(214), 제2 삽입구(224) 및 제3 삽입구(254)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삽입구(214), 제2 삽입구(224) 및 제3 삽입구(254)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오버랩(overlap)될 수 있다. 제1 삽입구(214)의 직경(w3)과 제2 삽입구(224)의 직경(w3)은 동일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와 제2 플레이트(22)는 공간(234)을 상하로 덮을 수 있다. 공간(234)은 제1 삽입구(214) 및 제2 삽입구(224)보다 클 수 있다. 공간(234)의 일부는 제1 삽입구(214) 및 제2 삽입구(224)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구(214) 및 제2 삽입구(224)는 공간(234)과 연통될 수 있다. 공간(234)은 이너스페이서(231)가 연장된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공간(234)은 제1 고정홀(221) 및 제2 고정홀(222)이 배치된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고정홀(221)은 이너스페이서(231)가 길게 연장된 방향의 양 끝단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홀(221)은 공간(234)이 개방된 제1 고정홀(221)은 공간(234)과 연통될 수 있다. 제1 고정홀(221)은 공간(23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고정홀(222)은 제1 고정홀(221)보다 더 클 수 있다. 제2 고정홀(222)은 제1 고정홀(221)에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2 고정홀(222)의 가장자리는 제1 고정홀(221)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스크류홀(27)은 제2 플레이트(22)의 하측으로부터 아우터스페이서(232)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홀(27)은 하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스크류홀(27)의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히터(10)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히터(10)는 원기둥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히터(10)의 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히터(10)는 전력을 직접 인가받아 발열되거나, 주변에 배치된 유도코일을 통하여 유도 가열 방식으로 발열될 수 있다. 히터(10)는 제1 커버(20)를 관통할 수 있다. 히터(10)는 제1 삽입구(214), 제2 삽입구(224) 및 제3 삽입구(254)에 삽입될 수 있다.
히터(10)는 히터바디(11)를 구비할 수 있다. 히터바디(11)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히터바디(11)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히터(10)는 히터팁(12)을 구비할 수 있다. 히터팁(12)은 히터(1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히터팁(12)은 히터바디(11)의 상측에서 히터바디(11)와 연결될 수 있다. 히터팁(12)은 상측을 향하여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히터팁(12)은 끝단이 뾰족할 수 있다. 궐련은 히터(10)에 꽂힐 수 있다.
고정부(15)는 히터(10)의 하단부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5)는 히터(10)의 하단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외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부(15)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15)는 복수로 구비되며, 하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고정부(15)는 제1 리드와이어(161)를 감싸서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15)는 제2 리드와이어(162)를 감싸서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15)의 개수는 제1 리드와이어(161) 및 제2 리드와이어(162)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리드와이어(161) 및 제2 리드와이어(162)는 각각 2개씩 구비되고, 고정부(15)의 개수는 4개일 수 있다.
제1 리드와이어(161)는 히터(10)의 하단부 주변으로부터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리드와이어(161)는 고정부(15)를 관통할 수 있다. 제1 리드와이어(161)는 히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히터(10)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히터(10)는 제1 리드와이어(161)로부터 전력을 전송받아 발열될 수 있다. 제1 리드와이어(161)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리드와이어(162)는 히터(10)의 하단부 주변으로부터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리드와이어(162)는 고정부(15)를 관통할 수 있다. 히터(10)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16, 도 9 참조)는 히터(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16)는 히터(10)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제2 리드와이어(162)는 센서(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16)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제2 리드와이어(162)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리드와이어(161)와 제2 리드와이어(162)는 하단부에 대하여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리드와이어(161)와 제2 리드와이어(162)는 서로 다른 굵기를 가질 수 있다.
히터바디(11)의 폭(w4)은 제1 삽입구(214)의 폭(w3)과 같거나, 제1 삽입구(214)의 폭(w3)보다 약간 클 수 있다. 히터바디(11)의 폭(w4)은 제2 삽입구(224)의 폭(w3)과 같거나, 제2 삽입구(224)의 폭(w3)보다 약간 클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히터(10)는 제1 삽입구(214), 제2 삽입구(224) 및 제3 삽입구(254)에 삽입될 수 있다. 히터(10)는 히터팁(12, 도 1 참조)부터 히터바디(11)의 순서대로 제1 내지 제3 삽입구(214, 224, 254)를 관통할 수 있다. 히터(10)는 제1 커버(2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히터(10)는 제3 삽입구(254), 제2 삽입구(224) 및 제1 삽입구(214)의 순서대로 삽입될 수 있다.
히터바디(11)의 폭(w4)은 제1 삽입구(214) 및 제2 삽입구(224)의 폭(w3)과 같거나 약간 클 수 있다. 히터(10)는 제1 삽입구(214) 및 제2 삽입구(224)에 꽉 끼어지도록 압입될 수 있다. 히터(10)는 제1 삽입구(224) 및 제2 삽입구(224)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히터(10)의 상부는 제1 커버(20)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히터바디(11) 및 히터팁(12)은 제1 커버(20)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히터(10)의 하단(13)은 제1 커버(20)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히터(10)는 제3 삽입구(254)를 통과하여 제1 삽입구(214) 및 제2 삽입구(224)에 삽입될 수 있다. 히터(10)가 제3 삽입구(254)를 통과할 때, 서포트가이드(252)는 히터(10)를 제3 삽입구(254)로 안내할 수 있다. 히터(10)는 서포트가이드(252)에 접촉되어 제3 삽입구(254) 및 제2 삽입구(224)를 향하여 슬라이드될 수 있다.
서포트바(251)는 히터(10)가 제3 삽입구(254)를 통과하여 제2 삽입구(224)를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서포트바(251)는 제2 삽입구(224) 및 제1 삽입구(214)가 나란하게 배치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3 삽입구(254)에서, 히터바디(11)는, 서포트바(251)에 접촉되어 제2 삽입구(224)를 향하여 슬라이드될 수 있다. 서포트바(251)는 히터바디(11)의 둘레를 지지할 수 있다. 서포트바(251)는 히터바디(11)를 제2 삽입구(224) 및 제1 삽입구(214)가 나란하게 배치된 방향으로 길게 배치시킬 수 있다.
히터(10)가 제1 삽입구(214) 및 제2 삽입구(224)에 삽입되면, 고정부(15)는 제3 삽입구(254)에 배치될 수 있다. 허브(25) 및 제3 삽입구(254)는, 히터(10)의 하단부(13) 및 고정부(15)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히터(10)의 하단부(13) 및 고정부(15)는 제3 삽입구(254)에서 허브(25)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히터(10)의 하단부(13) 및 고정부(15)는 하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히터(10)가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면, 고정부(15)는 허브(25)에 걸릴 수 있다. 제1 리드와이어(161) 및 제2 리드와이어(162)는 허브(25)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삽입구(224) 및 제1 삽입구(214)를 차례대로 통과하도록 히터(10)를 삽입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히터(1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히터(10)가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리드와이어(161) 및 제2 리드와이어(162)가 서로 꼬이거나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히터(10) 및 제1 커버(20)가 결합된 구조체를, 히터조립체(HA)라 명명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센서(16)는 히터(10)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센서(16)는 히터(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히터(10)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센서(16)는 히터(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센서(16)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히터바디(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센서(16)는 제2 리드와이어(1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히터(10)는 제1 리드와이어(16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히터(10)가 제1 커버(20)와 결합되면, 히터(10)의 상부는 제1 플레이트(21)로부터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히터(10)의 상부는 제1 플레이트(21)로부터 상측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히터(10)는 공간(234)을 관통할 수 있다. 히터(10)의 일부는 공간(234)에 배치될 수 있다. 공간(234)은 히터바디(11)의 일측에 접촉될 수 있다. 공간(234)은 제1 커버(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히터바디(11)의 일부는, 공간(234)의 내부에서, 제1 커버(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히터바디(11)는 한 쌍의 이너스페이서(2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10)는 제1 플레이트(21) 및 제2 플레이트(22)에 압입되어, 제1 커버(20)에 대하여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 및 제2 플레이트(22)는 상하방향으로 두 지점에서 히터(1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2) 및 허브(25)는 히터(1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리드와이어(161) 및 제2 리드와이어(162)는 제1 커버(20)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히터조립체(HA)는 제1 금형(200) 및 제2 금형(300)에 삽입될 수 있다. 히터조립체(HA)의 상부는 제1 금형(200)에 삽입될 수 있다. 히터조립체(HA)의 하부는 제2 금형(300)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금형(200)과 제2 금형(300)은 서로 상하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금형(200)과 제2 금형(300)은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히터조립체(HA)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금형(300)은 금형홈(362)을 포함할 수 있다. 리브(261, 도 8 참조)는 금형홈(362)에 삽입될 수 있다. 리브(261)는 금형홈(362)에 삽입되면, 제2 금형(300) 내에서, 히터조립체(HA)의 위치가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포지셔닝부(262, 도 8 참조)는 금형홈(362) 주변에서, 제2 금형(300)에 접촉될 수 있다. 금형홈(362)은 포지셔닝부(262)와 대응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리브(261)가 금형홈(362)에 삽입될 때, 포지셔닝부(262)는 제2 금형(300)에 접촉되어 슬라이드되어, 제2 금형(300)에 대한 히터조립체(HA)의 배치를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조립체(HA)가 제2 금형(200) 내로 용이하게 삽입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리드와이어(161)와 제2 리드와이어(162)가 서로 접촉되거나 꼬이거나,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히터바디(11)는 제1 금형(200)에 삽입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제1 금형(200)은 히터홀(210)을 구비할 수 있다. 히터바디(11)는 히터홀(210)에 삽입되거나 히터홀(210)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커버(20)의 상부는 제1 금형(200)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커버(20)의 하부는 제2 금형(300)에 지지될 수 있다. 히터(10)의 하단부(13)는 제2 금형(300)에 지지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1 금형(200)과 제2 금형(300)이 접촉되거나 결합되면, 제1 금형(200)과 제2 금형(300)의 사이에 통로(101, 102, 103)가 형성될 수 있다. 통로(101, 102, 103)는 히터조립체(HA)와 연결될 수 있다. 통로(101, 102, 103)는 공간(234)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통로(101)는 제1 금형(200)과 제2 금형(30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통로(101)는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통로(10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히터조립체(HA)는 제1 통로(10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통로(101)의 하부는, 제1 커버(20)의 측부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제1 통로(101)의 하부는, 제1 플레이트(21)의 둘레에 접촉되어 둘러쌀 수 있다. 제1 통로(101)의 하부는, 제2 플레이트(22)의 둘레에 접촉되어 둘러쌀 수 있다. 제1 통로(101)는 공간(234)과 연통될 수 있다.
걸림홈(105)은 제1 통로(101)와 연통될 수 있다. 걸림홈(105)은 제1 플레이트(21)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걸림홈(105)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걸림홈(105)은 제1 커버(20)의 상단 가장자리에 접촉될 수 있다.
유입홈(106)은 제1 통로(101)와 연통될 수 있다. 유입홈(106)은 제1 플레이트(21)와 제2 플레이트(2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유입홈(106)은 공간(234)과 연통될 수 있다. 유입홈(106)은 제1 플레이트(21) 및 제2 플레이트(22)의 가장자리로부터 한 쌍의 스페이서(23)의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통로(102)는 제1 통로(101)의 상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통로(103)는 제2 통로(102)의 끝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통로(103)는 제1 통로(101)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3 통로(103)는 제1 통로(101)의 측부를 감쌀 수 있다.
제1 금형(200) 및 제2 금형(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사출재주입홀(20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출재주입홀(204)은 통로(101, 102, 103)와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출재주입홀(204)은 제2 통로(102)와 연통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금형(200)과 제2 금형(300)은 예시적인 것으로써, 금형은, 내부에 히터조립체(HA)가 삽입되거나 배치될 수 있는 공간과, 통로(101, 102, 103)를 형성하면 족하고, 개수나 형상, 결합방향 등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하우징(40)은, 금형(200, 300) 내에서 인서트 사출(injection molding)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134)는 히터조립체(HA)의 공간(234)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히터조립체(HA)의 구성요소 간의 틈 사이에 인서트 사출 될 수 있다. 히터조립체(HA)와 하우징(40)은, 인서트 사출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40)은 히터조립체(HA) 내에 인서트 사출된 실링부재(134)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사출물(100a)은 사출재주입홀(204)을 통해 금형(200, 300) 내로 주입될 수 있다. 제1 사출물(100a)은 사출재주입홀(204)에 주입되어, 통로(101, 102, 103)에 유입될 수 있다. 제1 사출물(100a)은 용융되어 액체상태일 수 있다. 제1 사출물(100a)은 통로(101, 102, 103)에 채워질 수 있다. 제1 사출물(100a)은, 제1 통로(101)로부터 공간(234)으로 유입될 수 있다. 공간(234)으로 유입된 제1 사출물(100a)은, 히터조립체(HA)의 구성요소 간의 틈 사이를 메울 수 있다. 용융된 상태의 제1 사출물(100a), 경화되어 제2 사출물(100)이 될 수 있다.
금형(200, 300) 내의 통로(101, 102, 103)로 주입된 제1 사출물(100a)은 경화되어 제2 사출물(100)을 형성하며 하우징(40)을 구성할 수 있다. 공간(234)으로 유입된 제1 사출물(100a)은 히터조립체(HA)의 구성요소 간의 틈 사이를 메운 상태로 경화되어 제2 사출물(100)을 형성할 수 있다. 공간(234) 및/또는 공간(234) 주변에서 히터조립체(HA)의 구성요소간 틈에 인서트 사출된 제2 사출물(100)을 실링부재(134)라 명명할 수 있다.
실링부재(134)는 제2 사출물(1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134)는 공간(234)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실링부재(134)는 공간(234)을 메울(filled) 수 있다. 실링부재(134)는 공간(234)에 완전히 채워져, 공간(234)과 공간(234)의 주변을 고정시키고, 실링할 수 있다. 실링부재(134)는 제1 삽입구(214, 도 4 참조)와 히터바디(11)의 사이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실링부재(134)는 제2 삽입구(224, 도 4 참조)와 히터바디(11)의 사이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실링부재(134)는 한 쌍의 스페이서(23)의 사이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실링부재(134)는 한 쌍의 스페이서(23)의 사이에서, 스페이서(23)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134)는 한 쌍의 스페이서(23)의 사이에서,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끝단에서 파이프(41)의 내주면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40)은 인서트 사출을 통해 형성되며, 제2 사출물(100)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40)은 파이프(41)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40)은 아우터월(42)을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40)은 어퍼월(43)을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40)은 걸림부(415)를 구비할 수 있다.
파이프(41)는 제1 통로(101)로 유입된 제1 사출물(100a)이 경화되어 형성된 제2 사출물(1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파이프(41)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파이프(41)는 내부에 양측이 개구된 삽입공간(44)을 형성할 수 있다. 삽입공간(44)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공간(44)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간(44)의 상측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삽입공간(44)의 하측은 제1 커버(20)에 의해 덮힐 수 있다.
파이프(41)는 인서트 사출되어 히터조립체(HA)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는 파이프(41)의 하부를 막을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는 삽입공간(44)과 공간(234)을 분리할 수 있다.
파이프(41)는 공간(234)에 인서트 사출된 실링부재(134)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파이프(41)는 공간(234)이 커버(20)로부터 외부로 개구된 부분을 통하여 실링부재(124)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히터바디(11)와 히터팁(12)은 삽입공간(44)에 배치될 수 있다. 궐련은 삽입공간(44)에 삽입되며, 히터(10)에 의해 하부가 관통될 수 있다. 히터(10)는 발열되어 궐련을 가열할 수 있다. 히터(10)의 하단부(13), 제1 리드와이어(161) 및 제2 리드와이어(162)는 파이프(41)의 하부로 노출될 수 있다.
스페이서(23)는 제1 플레이트(21)의 가장자리와 제2 플레이트(22)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리세스될 수 있다. 실링부재(134)는 스페이서(23)의 외측에서, 제1 플레이트(21)의 가장자리와 제2 플레이트(22)의 가장자리 사이에 인서트 사출되어 파이프(41)의 내주면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걸림부(415)는 걸림홈(105)으로 유입된 제1 사출물(100a)이 경화되어 형성된 제2 사출물(1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걸림부(415)는 파이프(4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415)는 파이프(41)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내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걸림부(415)는 제1 플레이트(21)의 상측 가장자리를 덮으며 지지할 수 있다. 걸림부(415)는 제1 플레이트(21)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걸림부(415)는 히터조립체(HA)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는 걸림부(415) 및 실링부재(13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걸림부(415) 및 실링부재(134)는 제1 플레이트(21)를 상하로 잡아줄 수 있다. 걸림부(415)는 제1 플레이트(21)의 변형에 대하여 내력을 제공할 수 있다. 실링부재(134)는 제1 플레이트(21)의 변형에 대하여 내력을 제공할 수 있다. 실링부재(134)는 제2 플레이트(22)의 변형에 대하여 내력을 제공할 수 있다.
어퍼월(43)은 파이프(41)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어퍼월(43)은 제2 통로(102)에 유입된 제1 사출물(100a)이 경화되어 형성된 제2 사출물(1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어퍼월(43)은 하우징(40)의 상부를 구성할 수 있다.
아우터월(42)은 어퍼월(43)의 끝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아우터월(42)은 제3 통로(103)에 유입된 제1 사출물(100a)이 경화되어 형성된 제2 사출물(1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월(42)은 하우징(40)의 외부 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아우터월(42)은 파이프(41)로부터 외측부로 이격될 수 있다. 공간(46)은 파이프(41)와 아우터월(4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411, 412)는 고정홀(221, 222)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고정부재(411, 412)는 고정홀(221, 222)을 메울 수 있다. 고정부재(411, 412)는 실링부재(134)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고정부재(411, 412)는 제2 플레이트(22)에 대하여 변형에 대한 내력을 제공할 수 있다. 고정부재(411, 412)는 하측을 향하여 넓어질 수 있다.
제1 사출물(100a)은 제1 고정홀(221)에 유입될 수 있다. 제1 고정홀(221)에 유입된 제1 사출물(100a)은 경화되어 제2 사출물(100)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고정홀(221)에 인서트 사출된 제2 사출물(100)을 제1 고정부재(411)라 명명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411)는 제1 고정홀(221)을 완전히 채워 밀봉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411)는 실링부재(134)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사출물(100a)은 제2 고정홀(222)에 유입될 수 있다. 제2 고정홀(222)에 유입된 제1 사출물(100a)은 경화되어 제2 사출물(100)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고정홀(222)에 인서트 사출된 제2 사출물(100)을 제2 고정부재(412)라 명명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412)는 제2 고정홀(222)을 완전히 채워 밀봉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411)와 제2 고정부재(412)는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412)는 제2 플레이트(22)의 가장자리 부근에 걸릴 수 있다. 제2 고정부재(412)는 제2 플레이트(22)의 가장자리 주변을 고정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412)는 제2 플레이트(22)의 변형에 대하여 내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412)는 제2 플레이트(22)의 가장자리 주변이 하측으로 열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조립체(HA)의 구성요소 간의 틈이 완전히 메워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40)과 히터조립체(HA) 간의 틈이 완전히 메워질 수 있다. 또한, 액체 등의 이물질이 히터(10)의 주변의 틈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히터조립체(HA)가 하우징(4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사출 시, 또는, 히터(10)의 발열 시에, 히터조립체(HA)의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리드와이어(161)와 제2 리드와이어(162)의 위치가 서로 꼬이거나, 단선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히터조립체(HA)의 조립과정이 보다 간소화될 수 있다. 또한, 히터조립체(HA)와 하우징(40)의 결합공정을 보다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 참조하면, 제2 커버(30)는 제1 커버(20)의 하부를 덮으며 제1 커버(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커버(30)는 제1 커버(20)의 하부에 스크류 체결될 수 있다. 제2 커버(30)는 제1 커버(20)의 하부에 접촉되며, 제1 커버(2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커버(30)는 히터(10)의 하단부(13)를 덮으며 지지할 수 있다. 제2 커버(30)는 리브(261)를 덮으며 지지할 수 있다. 제1 커버(20)는 이너커버(20) 또는 어퍼커버(20)라 명명될 수 있다. 제2 커버(30)는 아우터커버(30) 또는 로어커버(20) 또는 지지커버(30)라 명명될 수 있다.
제2 커버(30)는 커버바닥부(31)와 커버둘레부(32)를 구비할 수 있다. 커버바닥부(31)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바닥부(31)는 제1 커버(20)의 하부를 하측에서 덮을 수 있다. 커버바닥부(31)는 히터(10)의 하단부(13) 또는 바닥부(13)를 지지할 수 있다. 커버바닥부(31)는 리브(261)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체결구(317)는 커버바닥부(31)가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체결구(317)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체결구(317)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한 쌍의 체결구(317) 각각은 한 쌍의 스크류홀(27)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37)는 체결구(317)를 관통하여 스크류홀(27)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커버바닥부(31)는 스크류(37)에 의해 제1 커버(20)의 하측에 고정될 수 있다.
와이어홀(360)은 커버바닥부(31)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홀(360)은 커버바닥부(31)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홀(360)은 제1 리드와이어(161) 및 제2 리드와이어(162)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리드와이어(161) 및 한 쌍의 리드와이어(162) 각각은, 복수의 와이어홀(360) 각각에 삽입될 수 있다. 리드와이어(161, 162)는 와이어홀(360)을 관통하여 제2 커버(3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커버둘레부(32)는 커버바닥부(3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둘레부(32)는 커버바닥부(31)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커버(30)가 제1 커버(20)에 결합되면, 커버둘레부(32)는 제1 커버(20)의 하부를 원주방향으로 덮을 수 있다. 커버둘레부(32)는 리브(261)의 측부를 감싸거나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이프(41)의 하부로 노출되는 제1 커버(20)의 하부 및 히터(1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히터(10)를 지지하거나 고정하여, 히터(10)가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20)가 열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히터(10)를 제1 커버(20)에 압입하여 히터조립체(HA)를 형성할 수 있다(S1). 이후, 히터조립체(HA)를 금형에 삽입할 수 있다(S2). 이후, 히터조립체(HA)가 삽입된 금형 내에 용융된 상태의 사출물을 주입할 수 있다(S3). 이후, 사출물을 굳혀 경화시킨 다음, 금형을 제거하여 히터조립체(HA)와 결합된 하우징(40)을 형성할 수 있다(S4). 이후, 제1 커버(20)에 제2 커버(30)를 결합할 수 있다(S5). 본 개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 제조방법은, 상기 S1 내지 S5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제1 플레이트(21);와, 상기 제1 플레이트(21)를 마주하는 제2 플레이트(22); 상기 제1 플레이트(21)에 형성된 제1 삽입구(214);와, 상기 제2 플레이트(22)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구(214)와 정렬되는 제2 삽입구(224); 상기 제1 플레이트(21)와 제2 플레이트(22) 사이를 지지하는 스페이서(23); 상기 제1 플레이트(21), 상기 제2 플레이트(22) 및 상기 스페이서(23)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1 삽입구(214) 및 제2 삽입구(224)와 연통된 공간(234);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삽입구(214) 및 상기 제2 삽입구(224)를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제1 플레이트(21)로부터 돌출되는 히터(10); 및 상기 공간(234)에 메워지는 실링부재(134)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공간(234)은, 제1 플레이트(21) 및 제2 플레이트(22)의 사이에서, 외부로 개구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일측이 개구되며, 타측이 상기 제1 플레이트(21)로 막히는 삽입공간(44)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234)의 개구를 통해 상기 실링부재(134)와 일체로 형성되는 파이프(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23)는, 복수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23)의 사이에 상기 공간(234)의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23)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공간(234)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스페이서(23)는,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실링부재(134)는, 상기 한 쌍의 스페이서(23)의 사이에서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파이프(41)와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파이프(4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41)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삽입공간(44)을 향하여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2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21)의 상측 가장자리를 덮는 걸림부(4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23)는, 상기 제1 플레이트(21)의 외주면과 상기 제2 플레이트(22)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리세스되고, 상기 실링부재(134)는, 상기 스페이서(23)의 외측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21)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2 플레이트(22)의 가장자리 사이에 메워지며, 상기 파이프(41)와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플레이트(22)는, 상기 공간(234)의 양측에 연통되도록 개구된 고정홀(221, 222)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홀(221, 222)에 메워지며, 상기 실링부재(134)와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부재(411, 4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411, 412)는, 상기 실링부재(13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넓어질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411, 412)는, 상기 실링부재(134)와 일체로 연결되는 제1 고정부재(411); 및 상기 실링부재(134)와 이격되며, 상기 제1 고정부재(411)보다 폭이 큰 제2 고정부재(4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플레이트(22)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22)를 지지하는 리브(2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리브(261)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2 삽입구(224)에 대하여 서로 대향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리브(261)는, 상기 제2 플레이트(22)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리브(261)는, 인서트 사출 시, 금형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리브(261)의 끝단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금형에 슬라이드되며 삽입되어 상기 금형 내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21), 제2 플레이트(22) 및 상기 히터(10)의 배치를 안내하는 포지셔닝부(2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플레이트(22)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히터(10)의 하단을 지지하는 로어커버(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플레이트(22)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22)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삽입구(224)에 대하여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리브(26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어커버(30)는, 상기 리브(261)를 지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8)

  1.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를 마주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1 삽입구;와, 상기 제2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구와 정렬되는 제2 삽입구;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는 스페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1 삽입구 및 제2 삽입구와 연통되며, 외부로 개구되는 공간;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삽입구 및 상기 제2 삽입구를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제1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는 히터; 및
    상기 공간에 메워지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일측이 개구되며, 타측이 상기 제1 플레이트로 막히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개구를 통해 상기 실링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외부로 개구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3. 삭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복수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의 사이에 상기 공간의 개구를 형성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일측이 개구되며, 타측이 상기 제1 플레이트로 막히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개구를 통해 상기 실링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스페이서는,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한 쌍의 스페이서의 사이에서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파이프와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삽입공간을 향하여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측 가장자리를 덮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외주면과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리세스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스페이서의 외측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사이에 메워지며, 상기 파이프와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공간의 양측에 연통되도록 개구된 고정홀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홀에 메워지며, 상기 실링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실링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넓어지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실링부재와 일체로 연결되는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실링부재와 이격되며, 상기 제1 고정부재보다 폭이 큰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리브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2 삽입구에 대하여 서로 대향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인서트 사출 시, 금형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끝단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금형에 슬라이드되며 삽입되어 상기 금형 내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히터의 배치를 안내하는 포지셔닝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히터의 하단을 지지하는 로어커버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삽입구에 대하여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어커버는,
    상기 리브를 지지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0210112580A 2021-07-21 2021-08-25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30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580A KR102630734B1 (ko) 2021-08-25 2021-08-25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202280048339.1A CN117615673A (zh) 2021-07-21 2022-07-20 气溶胶产生装置
PCT/KR2022/010611 WO2023003351A1 (en) 2021-07-21 2022-07-20 Aerosol-gener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580A KR102630734B1 (ko) 2021-08-25 2021-08-25 에어로졸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400A KR20230030400A (ko) 2023-03-06
KR102630734B1 true KR102630734B1 (ko) 2024-01-29

Family

ID=85509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580A KR102630734B1 (ko) 2021-07-21 2021-08-25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30734B1 (ko)
CN (1) CN117615673A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80186B (zh) * 2017-07-28 2022-10-11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加熱器總成、氣溶膠產生裝置、氣溶膠產生系統、氣溶膠產生方法以及用於組裝該裝置用的加熱器總成之方法
KR102269573B1 (ko) * 2019-06-17 2021-06-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400A (ko) 2023-03-06
CN117615673A (zh)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1966B1 (ko) 위치 설정 액추에이터 및 제조 방법
KR100933884B1 (ko) 전기 가열 장치용 발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03313443B (zh) 发热元件
US9161391B2 (en) Electrical heating device
CN101682236B (zh) 具有温度监控器的电机定子
CN103443469B (zh) 供热循环泵
CN103313444B (zh) 发热元件
WO2013171961A1 (ja) 電動機アセンブリ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467246B (zh) 风扇电机
KR102630734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03188834A (zh) 电加热装置及用于电加热装置的框架
CN204205803U (zh) 定子以及具有该定子的电动机
KR102413769B1 (ko) 냉각수 히터
CN102563839A (zh) 电加热装置
JP2017017798A (ja) 電動機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100188A (zh) 电机模块及其制造方法
KR102589102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1704011B1 (ko) 볼 조인트, 볼 조인트 제조 장치 및 볼 조인트 제조 방법
US9197025B2 (en) Control unit housing and production method
KR10265702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WO2023124413A1 (zh) 雾化座及雾化器
CN101682126B (zh) 用于将第一电子装置电连接到第二电子装置的电连接器及其方法
JP5210204B2 (ja) インペラ装置および回転式インペラの製造方法
KR101441520B1 (ko) 인서트 성형금형 및 성형방법
CN103057522A (zh) 可加热的风挡玻璃清洗装置喷嘴及其加热元件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