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8719B1 -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의 보빈과 그 필드코어 - Google Patents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의 보빈과 그 필드코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8719B1
KR100668719B1 KR1020050059651A KR20050059651A KR100668719B1 KR 100668719 B1 KR100668719 B1 KR 100668719B1 KR 1020050059651 A KR1020050059651 A KR 1020050059651A KR 20050059651 A KR20050059651 A KR 20050059651A KR 100668719 B1 KR100668719 B1 KR 100668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coil
coil housing
field
pow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4225A (ko
Inventor
조성원
박대용
신화엽
송준호
임억규
Original Assignee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9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8719B1/ko
Publication of KR20070004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4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 F16D27/108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27/112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027/001Means for electric connection of the coils of the electromagnetic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027/005Details relating to the internal construction of coils or to clutches having more than one coil in the same housing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의 보빈과 그 필드코어에 관한 것으로서, 코일하우징(500)과, 상기 코일하우징(500)의 상면에 고정되어 압축기에 고정되는 설치판(400)과, 상기 코일하우징(500)에 삽입되는 필드코일(600)과, 상기 필드코일(600)과 코일하우징(500) 사이에 배치된 보빈(700)과, 상기 코일하우징(500)의 외부에서 상기 필드코일(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커넥터(800)를 포함하는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와,
상기 보빈(700)의 둘레를 따라 안쪽 바닥에는 다수의 제1간격유지용 돌부(76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간격유지용 돌부(760)는 상기 보빈(700)의 내측면에 대하여 틈이 형성되어 있는 보빈을 특징으로 하므로,
전원 커넥터의 보다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며, 사출공정시 사출액의 유동저항이 크게 감소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의 보빈과 그 필드코어{A BOBBIN OF FIELD CORE FOR ELETRO-MAGNETIC CLUTCH, AND THE FIELD CORE}
도 1은, 차량용 냉매 압축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전자클러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필드코어 어셈블리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필드코어를 도시한 분리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의 사출전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보빈의 구조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빈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400... 설치판
410... 설치판관통홈
500... 코일하우징
510... 하우징관통공간
600... 필드코일
610... 리드선
700... 보빈
710... 단자받침돌기부
800... 전원 커넥터
810... 커넥터 단자
820... 커넥터 몸체
830... 걸림다리부
본 발명은 차량용 냉매 압축기에 사용되는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의 보빈과 그 필드코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와의 연결을 위한 사출공정시 사출액이 보다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의 보빈과 그 필드코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에 이용되는 압축기는, 전자석 클러치 즉, 전자 클러치(이하, '전자클러치'로 통칭함)의 풀리에 밸트를 개재하여 엔진에 연결하고, 이 전자클러치의 통전에 따라 압축기에 전달되는 동력을 단속하게 된다.
이러한 전자클러치는 로터에 삽입되어 압축기의 전면 하우징에 고정되는 필드코어를 포함하고 있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는, 일반적인 전자클러치와 필드코어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클러치(10)는 차량 에어컨용 압축기(20)에 장착되며, 압축기(20)의 전면 하우징에는 로터(30)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상기 로터(30)는,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필드코어 어셈블리(50)가 미세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삽입되며, 상기 로터(30)의 외주면에는 엔진에 설치된 V-벨트가 연결되는 풀리(40)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필드코어 어셈블리(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코일하우징(51)과, 상기 코일하우징(51)에 삽입되는 필드코일(60)과, 상기 필드코일(60)과 코일하우징(51) 사이에 배치된 보빈(70)과, 코일하우징(51)의 상면에 고정되어 압축기(20)에 고정되는 설치판(5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드코일(60)은 미세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권취되어 코일하우징(51)에 삽입되며, 코일하우징(51)과의 이격된 공간에는 상기 보빈(70) 외에 에폭시 등으로 몰딩된 수지부재(62)가 배치되어 있어 필드코일(60)과 코일하우징(51) 사이의 쇼트가 방지된다. 상기 보빈(70)은 나일론 등의 합성수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코일하우징(51)과 설치판(53)에는, 필드코일(60)의 통전을 위해 와인딩된 코일을 인출하여 외부 전원라인과 연결된 리드선(61)을 연결하기 위한 인출공(52)과 관통공(5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드선(61)이 전원과 연결되도록 설치판(53) 쪽에는 전원 커넥터(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리드선(61)의 단부와 전원 커넥터의 단자(terminal) 사이의 연결이 단자의 탄성력에 의해 이루졌기 때문에, 외부의 진동이나 걸림 등에 의해 빠져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인출된 리드선(61)이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지 않고 헐렁거려서 장기간 사용시 파단 등의 파손이 발생될 우려가 높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필드코일로부터의 리드선과 전원 커넥터와의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하면서 동시에 필드코일과 코어 하우징 사이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 사출물을 적용하고, 그 사출공정시 사출용액이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의 보빈과 그 필드코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의 보빈은,
코일하우징과, 상기 코일하우징의 상면에 고정되어 압축기에 고정되는 설치 판과, 상기 코일하우징에 삽입되는 필드코일과, 상기 필드코일과 코일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보빈과, 상기 코일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필드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의 구성요소인 보빈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둘레를 따라 안쪽 바닥에는 다수의 제1간격유지용 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간격유지용 돌부의 측면은 상기 보빈의 내측면에 대하여 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의 보빈은,
코일하우징과, 상기 코일하우징의 상면에 고정되어 압축기에 고정되는 설치판과, 상기 코일하우징에 삽입되는 필드코일과, 상기 필드코일과 코일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보빈과, 상기 코일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필드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의 구성요소인 보빈에 있어서,
상기 코일하우징의 안쪽 바닥에 접촉하는 보빈의 바깥쪽 표면에는 그 둘레들 따라 다수의 제2간격유지용 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의 보빈은,
코일하우징과, 상기 코일하우징의 상면에 고정되어 압축기에 고정되는 설치판과, 상기 코일하우징에 삽입되는 필드코일과, 상기 필드코일과 코일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보빈과, 상기 코일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필드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의 구성요소인 보빈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둘레를 따라 안쪽 바닥에는 다수의 제1간격유지용 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간격유지용 돌부의 측면은 상기 보빈의 내측면에 대하여 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하우징의 안쪽 바닥에 접촉하는 보빈의 바깥쪽 표면에는 그 둘레들 따라 다수의 제2간격유지용 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간격유지용 돌부는 상기 보빈의 내측면과 평행하게 마주보는 2개의 주면부와 상기 2개의 주면부의 단부끼리 연결된 마감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마감부는 매끈한 곡선에 의해 볼록하게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드코일의 리드선이 인출되는 지점에 인접한 제1간격유지용 돌부의 마감부에는, 상기 인출지점을 향하는 제2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는,
코일하우징과, 상기 코일하우징의 상면에 고정되어 압축기에 고정되는 설치판과, 상기 코일하우징에 삽입되는 필드코일과, 상기 필드코일과 코일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보빈과, 상기 코일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필드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 되는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보빈은 전술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보빈의 상면에는 필드코일로부터의 리드선이 관통되도록 끼워지는 단자받침돌기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일하우징에는 상기 단자받침돌기부가 지나가는 하우징관통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원 커넥터의 2개의 단자가 상기 리드선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단자받침돌기부 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보빈의 단자받침돌기부와 전원 커넥터의 몸체 일부와 단자는 사출물에 의해 감싸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전원 커넥터의 몸체에는, 상기 2개의 단자를 사이에 두고 걸림다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설치판에는 설치판관통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설치판관통홈의 마주보는 입구 양단에 위쪽으로 볼록한 굽형성형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다리부가 상기 굽형성형부의 아래쪽에 끼워져서 걸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 커넥터의 단자는, 단자받침돌기부의 끝면에 접촉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되 상기 리드선이 끼워지도록 수용홈이 형성된 단자결합판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간격유지용 돌부의 측면은 상기 상기 코일하우징의 내측면에 대하여 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1000)는, 코일하우징(500)과, 상기 코일하우징(500)의 상면에 고정되어 압축기에 고정되는 설치판(400)과, 상기 코일하우징(500)에 삽입되는 필드코일(600)과, 상기 필드코일(600)과 코일하우징(500) 사이에 배치된 보빈(700)과, 상기 코일하우징(500)의 외부에서 상기 필드코일(600)과 리드선(61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커넥터(8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코일하우징(500)과 설치판(400)은 용접이나 볼팅에 의해 미리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하우징(500)은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수용부가 회전하여 형성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보빈(700)의 상면에는 필드코일(600)로부터의 리드선(610)이 관통되도록 끼워지는 단자받침돌기부(71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하우징(500)과 설치판(400)에는 상기 보빈(700)의 단자받침돌기부(710)가 지나가도록 하우징관통공간(510)과 설치판관통홈(410)이 각각 형 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원 커넥터(800)의 2개의 단자(810)는 상기 리드선(61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단자받침돌기부(710)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단자(810)는 단자받침돌기부(710)의 끝면에 직접 접촉하는 지지판(811)과, 상기 지지판(811)으로부터 절곡되어 세워지되 상기 리드선(610)이 끼워지도록 수용홈이 형성된 단자결합판(8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홈은 단자결합판(812)을 일부 절곡하여 형성된다. 특히, 상기 수용홈은 리드선(610)을 향해 개방되어 있어 조립공정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전원 커넥터(800)의 몸체(820)에는, 상기 2개의 단자(810)를 사이에 두고 걸림다리부(830)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설치판(400)에는 설치판관통홈(410)의 마주보는 입구 양단에 볼록한 굽형성형부(42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다리부(830)가 상기 굽형성형부(420)의 아래쪽에 끼워져서 걸리게 되므로, 매우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보빈(700)의 단자받침돌기부(710)와 전원 커넥터(800)의 몸체(820) 일부와 단자(810)는 사출물(950)에 의해 감싸져 있다. 상기 사출물은 유리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빈(700)의 둘레를 따라 안쪽 바닥에 다수의 제1간격유지용 돌부(76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간격유지용 돌부(760)는 상기 보빈(700)의 내측면에 대하여 틈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결국, 상기 보빈(700)의 안쪽 바닥과 필드 코일(600)의 상면 사이에는 제1간 격유지용 돌부(760)에 의해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출작업이 이루어질 때 사출액이 상기 코일하우징(500)의 하우징관통공간(510)을 통해 흘러들어가서 보빈(700)의 안쪽까지 채울 때, 사출액이 필드 코일(600)과 보빈(700)의 안쪽 바닥 사이의 간격을 통해 지나갈 수 있기 때문에 유동저항이 크게 감소하게 되어 원활하고도 신속한 사출물의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돌부(760)와 보빈(700)의 내측면 사이의 틈과, 필드 코일(600)과 보빈(700)의 안쪽 바닥 사이의 간격은 사출물이 지나가는 유로의 역할을 수행한다.
더욱이,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간격유지용 돌부(760)는 상기 보빈(700)의 내측면과 평행한 마주보는 2개의 주면부(761)와 상기 2개의 주면부(761)의 단부끼리 연결된 마감부(762)로 구성되어 있어, 보다 균일한 사출액의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마감부(762)를 매끈한 곡선에 의해 볼록하게 처리하면 사출액의 유동은 보다 원활하게 된다.
한편, 필드코일(600)의 리드선이 인출되는 지점에 인접한 제1간격유지용 돌부(760)의 마감부(762)에는, 상기 인출지점을 향하는 제2돌출부(763)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출액이 도입되는 순간 유동저항이 급격히 감소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코일하우징(500)과 설치판(400)으로 이루어진 조립체에서 코일하우징(500)의 수용부에 필드코일(600)과 보빈(700)의 조립체를 결합한다.
물론, 필드코일(600)은 보빈(700) 내에 미리 수용되어 조립된 상태이다. 그리고, 필드코일(600)로부터의 리드선(610)을 보빈(700)의 단자받침돌기부(710)에 관통 결합함으로써, 리드선(610)의 단부가 인출되도록 한다.
다음, 전원 커넥터(800)의 2개의 단자(810)를, 보빈(700)의 단자받침돌기부(710)의 상면에 배치한다. 이 때, 필드코일(600)의 리드선(610)이 단자(810)에 원활히 연결되도록 배치한다. 또한, 걸림다리부(830)가 단자받침돌기부(710)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배치되고, 상기 굽형성형부(420)의 아래쪽에 끼워져서 걸리도록 설치한다.
이 때, 상기 단자받침돌기부(710)의 상면과 단자(810) 사이에 수지를 접근시킨 상태에서, 열을 가하여 양자를 서로 임시 접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설치판(400)의 일부, 보빈(700)의 단자받침돌기부(710), 전원 커넥터(800)의 몸체(820) 일부와 단자(810)를 통상적인 사출금형에 설치하여 사출시킨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하우징(500)의 안쪽 바닥에 접촉하는 보빈(700)의 바깥쪽 표면에, 그 둘레들 따라 다수의 제2간격유지용 돌부(770)가 형성되어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도면에서는 상기 돌부(770)의 형상이 원형으로 되어 있으나 특별히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필드코일(600)이 보빈(700)에 접한다고 해도, 보빈(700)이 코일하우징(500)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출물의 유동이 원활하게 되고 저항이 크게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결국 사출물의 균일한 공급이 가능하게 되어 불량률이 저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 커넥터 및 그의 단자를 보빈과 코일 하우징에 사출물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전원 커넥터의 보다 견고한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보빈의 둘레를 따라 안쪽 바닥에는 다수의 제1간격유지용 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간격유지용 돌부는 상기 내측면에 대하여 틈이 형성되어 있어, 사출시 사출액의 유동저항이 크게 감소한다.
또한, 제2간격유지용 돌부에 의해 보빈이 코일하우징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출물의 유동이 원활하게 되고 저항이 크게 줄어들게 된다

Claims (10)

  1. 코일하우징(500)과, 상기 코일하우징(500)의 상면에 고정되어 압축기에 고정되는 설치판(400)과, 상기 코일하우징(500)에 삽입되는 필드코일(600)과, 상기 필드코일(600)과 코일하우징(500) 사이에 배치된 보빈(700)과, 상기 코일하우징(500)의 외부에서 상기 필드코일(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커넥터(800)를 포함하는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의 구성요소인 보빈에 있어서,
    상기 보빈(700)의 둘레를 따라 안쪽 바닥에는 다수의 제1간격유지용 돌부(76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간격유지용 돌부(760)의 측면은 상기 보빈(700)의 내측면에 대하여 틈이 형성되어 있되,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간격유지용 돌부(760)는 상기 보빈(700)의 내측면과 평행한 2개의 주면부(761)와 상기 2개의 주면부(761)의 단부끼리 연결된 마감부(76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의 보빈.
  2. 삭제
  3. 코일하우징(500)과, 상기 코일하우징(500)의 상면에 고정되어 압축기에 고정되는 설치판(400)과, 상기 코일하우징(500)에 삽입되는 필드코일(600)과, 상기 필드코일(600)과 코일하우징(500) 사이에 배치된 보빈(700)과, 상기 코일하우징(500)의 외부에서 상기 필드코일(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커넥터(800)를 포함하는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의 구성요소인 보빈에 있어서,
    상기 보빈(700)의 둘레를 따라 안쪽 바닥에는 다수의 제1간격유지용 돌부(76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간격유지용 돌부(760)의 측면은 상기 보빈(700)의 내측면에 대하여 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하우징(500)의 안쪽 바닥에 접촉하는 보빈(700)의 바깥쪽 표면에는 그 둘레들 따라 다수의 제2간격유지용 돌부(770)가 형성되어 있되,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간격유지용 돌부(760)는 상기 보빈(700)의 내측면과 평행한 2개의 주면부(761)와 상기 2개의 주면부(761)의 단부끼리 연결된 마감부(76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의 보빈.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762)는 매끈한 곡선에 의해 볼록하게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의 보빈.
  6. 제5항에 있어서,
    필드코일(600)의 리드선이 인출되는 지점에 인접한 제1간격유지용 돌부(760)의 마감부(762)에는, 상기 인출지점을 향하는 제2돌출부(76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의 보빈.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간격유지용 돌부(770)의 측면은 상기 상기 코일하우징(500)의 내측면에 대하여 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의 보빈.
  8. 코일하우징(500)과, 상기 코일하우징(500)의 상면에 고정되어 압축기에 고정되는 설치판(400)과, 상기 코일하우징(500)에 삽입되는 필드코일(600)과, 상기 필드코일(600)과 코일하우징(500) 사이에 배치된 보빈(700)과, 상기 코일하우징(500)의 외부에서 상기 필드코일(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커넥터(800)를 포함하는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에 있어서,
    상기 보빈(700)은 제1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보빈(700)의 상면에는 필드코일(600)로부터의 리드선(610)이 관통되도록 끼워지는 단자받침돌기부(710)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일하우징(500)에는 상기 단자받침돌기부(710)가 지나가는 하우징관통공간(5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원 커넥터(800)의 2개의 단자(810)가 상기 리드선(6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단자받침돌기부(710) 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보빈(700)의 단자받침돌기부(710)와 전원 커넥터(800)의 몸체(820) 일부와 단자(810)는 사출물에 의해 감싸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커넥터(800)의 몸체(820)에는, 상기 2개의 단자(810)를 사이에 두고 걸림다리부(830)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설치판(400)에는 설치판관통홈(410)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설치판관통홈(410)의 마주보는 입구 양단에 위쪽으로 볼록한 굽형성형부(42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다리부(830)가 단자받침돌기부(710)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배치되고, 상기 굽형성형부(420)의 아래쪽에 끼워져서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커넥터(800)의 단자(810)는, 단자받침돌기부(710)의 끝면에 접촉하는 지지판(811)과, 상기 지지판(811)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되 상기 리드선(610)이 끼워지도록 수용홈이 형성된 단자결합판(81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
KR1020050059651A 2005-07-04 2005-07-04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의 보빈과 그 필드코어 KR100668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651A KR100668719B1 (ko) 2005-07-04 2005-07-04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의 보빈과 그 필드코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651A KR100668719B1 (ko) 2005-07-04 2005-07-04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의 보빈과 그 필드코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225A KR20070004225A (ko) 2007-01-09
KR100668719B1 true KR100668719B1 (ko) 2007-01-16

Family

ID=37870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651A KR100668719B1 (ko) 2005-07-04 2005-07-04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의 보빈과 그 필드코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87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829B1 (ko) 2008-06-03 2009-11-23 우리산업 주식회사 슬리브 및 이를 구비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
KR20150101149A (ko) 2014-02-26 2015-09-03 우리산업홀딩스 주식회사 필드코일 어셈블리
KR20150106167A (ko) 2014-03-11 2015-09-21 우리산업홀딩스 주식회사 필드코일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23590A (zh) * 2017-06-13 2017-08-08 苏州新智机电工业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压缩机离合器线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03929A (ja) 1987-02-18 1988-08-23 Hitachi Ltd 電磁クラツチの励磁装置
JPH07238958A (ja) * 1994-02-24 1995-09-12 Calsonic Corp 電磁クラッチ用コイルボビン
JPH07293596A (ja) * 1994-04-19 1995-11-07 Shinko Electric Co Ltd ブレーキ付電磁クラッチ
KR20030062064A (ko) * 2002-01-16 2003-07-23 한라공조주식회사 전자클러치의 코일보빈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03929A (ja) 1987-02-18 1988-08-23 Hitachi Ltd 電磁クラツチの励磁装置
JPH07238958A (ja) * 1994-02-24 1995-09-12 Calsonic Corp 電磁クラッチ用コイルボビン
JPH07293596A (ja) * 1994-04-19 1995-11-07 Shinko Electric Co Ltd ブレーキ付電磁クラッチ
KR20030062064A (ko) * 2002-01-16 2003-07-23 한라공조주식회사 전자클러치의 코일보빈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829B1 (ko) 2008-06-03 2009-11-23 우리산업 주식회사 슬리브 및 이를 구비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
KR20150101149A (ko) 2014-02-26 2015-09-03 우리산업홀딩스 주식회사 필드코일 어셈블리
KR101589438B1 (ko) * 2014-02-26 2016-01-29 우리산업 주식회사 필드코일 어셈블리
KR20150106167A (ko) 2014-03-11 2015-09-21 우리산업홀딩스 주식회사 필드코일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225A (ko) 200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8719B1 (ko)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의 보빈과 그 필드코어
KR20060031527A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조립체
CN110808645B (zh) 一种应用于油冷扁线电机定子的冷却结构
KR20090050561A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슬리브 제조방법
US8610527B2 (en) Field coil assembly of electromagnetic clutch for a compressor
KR100577548B1 (ko)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 및 그제조방법
US10119528B2 (en) Electric compressor with component for blocking electromagnetic noise
CN111224487A (zh) 马达
KR102172923B1 (ko) 코일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동밸브 및 전자밸브
EP0962948B1 (en) Line filter
JP6385037B2 (ja) ステータユニット
JP6722515B2 (ja) モータ
KR101162057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조립체
CN107276263A (zh) 电机枢轴防窜动安装结构及雨刮电机
JP2013115379A (ja) 縦型トランス
KR101784789B1 (ko) 필드 코일 어셈블리
CN211181815U (zh) 电磁线圈结构和膨胀阀
KR20200016468A (ko) 차량 구동모터용 터미널 장치
KR100927829B1 (ko) 슬리브 및 이를 구비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
KR20220091155A (ko)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조립체
KR200155277Y1 (ko) 전자석 클러치용 계자코일
US8587397B2 (en) Solenoid with a connection region
KR20170025002A (ko) 세탁기용 스테이터
JP6239323B2 (ja) ステータユニット
JP2017184331A (ja) 端子付きボビン、コイル部品、モータおよ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