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829B1 - 슬리브 및 이를 구비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슬리브 및 이를 구비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829B1
KR100927829B1 KR1020080051911A KR20080051911A KR100927829B1 KR 100927829 B1 KR100927829 B1 KR 100927829B1 KR 1020080051911 A KR1020080051911 A KR 1020080051911A KR 20080051911 A KR20080051911 A KR 20080051911A KR 100927829 B1 KR100927829 B1 KR 100927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groove
main body
receiving groove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원
박대용
신화엽
차재혁
Original Assignee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1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8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02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riven by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1End pieces for multiconductor cables supported by the cable and for facilitating connections to other conductive members, e.g. for liquid cooled weldin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슬리브는, 일측 단부에 걸림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터미널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몰딩부로 구성되되, 상기 몰딩부는 상기 걸림구 방향으로 개구된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수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슬리브의 몰딩부를 개선하여 몰딩함으로써 코어와 슬리브의 수직, 길이방향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필드코일 어셈블리, 슬리브, 몰딩부, 수지

Description

슬리브 및 이를 구비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SLEEVE AND FIELD COIL ASSEMBL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압축기용 마그네틱 클러치에 사용되는 슬리브 및 이를 구비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리브의 몰딩 부위를 개선하여 몰딩함으로써 슬리브와 코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슬리브 및 이를 구비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엔진 등의 외부 구동력에 의해 작동하며, 단속적으로 작동되도록 마그네틱 클러치가 함께 장착되어 있다.
통상 마그네틱 클러치는 전원 공급시 권취된 코일의 전자기 유도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FIELD COIL ASSEMBLY)의 자기력으로 풀리의 구동력을 압축기 구동축의 허브 디스크에 전달하는 장치로서, 권취된 코일에 대한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라 압축기에 대한 동력을 단속하여 예컨대 공조장치의 냉방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종래기술의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필드코일 어셈블리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슬리브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필드코일 어셈블리는, 코일선(11)이 인출되는 보빈코일(10)과, 일측에 상기 보빈코일(10)이 수용되며 상기 코일선(11)이 관통되는 돌출부(21)와 상기 돌출부(21) 일측에 형성되는 유동홈(22)을 구비하는 보빈(20)과, 상기 보빈을 수용하며 상기 돌출부(21)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31)과 상기 관통공(31)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결합부(32)를 구비하는 코어(30) 및 상기 돌출부(21)의 양측을 감싸면서 상기 결합부(32)에 삽입되는 걸림구(41)가 형성된 슬리브(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구(41)는 본체(42)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42)에는 상기 코일선(11)이 상기 걸림구(41) 방향으로 압착되는 코일압착부(43)가 형성된 터미널(44)이 설치되며, 상기 터미널(44)은 상기 본체(42)의 사출성형시에 일체로 구성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42)와 걸림구(41)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몰딩부(45)가 형성되며, 상기 몰딩부(45)는 전면에서 보아 'T'자형 홈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코어(30) 내에 보빈코일(10)이 삽입된 보빈(20)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코일선(11)을 터미널(44)의 코일압착부(43)에 압착시킨 후 코어(30)의 개방된 단부로 수지를 충전함으로써, 상기 수지가 상기 보빈(20)의 유동홈(22)과 상기 코어(30)의 관통공(31)을 따라 상기 슬리브(40)의 몰딩부(45)로 안내되어 상기 슬리브(40)를 코어(30)에 몰딩 시킨다. 이때, 상기 'T'자형의 몰딩부(45)에 충전된 수지가 응고되어 상기 슬리브(40)는 코어(30)에 고정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필드코일 어셈블리는 상기 슬리브(40)의 'T'자형 몰딩부(45)에 의해 슬리브(4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그 수직방향의 결합력은 우수하지만 길이방향의 결합력은 현저하게 떨어진다.
즉, 상기 몰딩부(45)의 상부면을 수지로 감싸지므로 몰딩부(45)에 수직방향으로 발생되는 힘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지만, 몰딩부(45)의 홈이 상기 슬리브(40)의 길이방향으로 동일하게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수지가 몰딩부(45)를 고정하고 있는 힘이 약하여 작은 길이방향의 힘이 작용하더라도 코어(30)로부터 슬리브(40)가 쉽게 이탈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리브의 몰딩부를 개선하여 몰딩함으로써 코어와 슬리브의 수직, 길이방향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슬리브 및 이를 구비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리브의 몰딩부를 라운딩 처리하여 수지의 유입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조립공정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슬리브 및 이를 구비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슬리브는, 일측 단부에 걸림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터미널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몰딩부로 구성되되, 상기 몰딩부는 상기 걸림구 방향으로 개구된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수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홈의 내측으로 걸림홈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홈은 슬리브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는 하나 이상의 유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양측에는 연통홈이 더 형성되되, 상기 연통홈은 상기 수용홈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끝단이 절곡되어 상기 걸림구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몰딩부는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몰딩부의 연결부위에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은 개구된 일단과 폭이 넓어진 타단의 모서리를 라운딩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드코일 어셈블리는, 코일선이 인출되는 보빈코일, 상기 보빈코일이 수용되며 상기 코일선이 통과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일측에 형성되는 유동홈을 구비하는 보빈, 상기 보빈을 수용하며 상기 돌출부가 상부로 노출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코어 및 상기 돌출부의 양측을 감싸면서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는 걸림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터미널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몰딩부를 포함하는 슬리브로 구성되되, 상기 몰딩부는 상기 걸림구 방향으로 개구된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수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홈의 내측으로 걸림홈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홈은 슬리브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는 하나 이상의 유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양측에는 연통홈이 더 형성되되, 상기 연통홈은 상기 수용홈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끝단이 절곡되어 상기 걸림구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몰딩부는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몰딩부의 연결부위에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은 개구된 일단과 폭이 넓어진 타단의 모서리를 라운딩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및 이를 구비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따르면, 슬리브의 몰딩부에 걸림홈, 유입홈 및 연통홈을 형성하여 몰딩함으로써 코어와 슬리브의 수직, 길이방향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슬리브의 몰딩부를 라운딩 처리하여 수지의 유입이 원활하여 조립공정이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생산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드코일 어셈블리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슬리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슬리브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의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드코일 어셈블리(A)는, 한 쌍의 코일선(110)이 인출되는 보빈코일(100)과, 일측에 상기 보빈코일(100)이 수용되며 상기 코일선(110)이 관통되는 돌출부(210)와 상기 돌출부(210)와 댕향되게 형성되는 유동홈(220)을 구비하는 보빈(200)과, 상기 보빈(200)을 수용하며 상기 돌출부(210)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관통공(310)이 형성된 코어(300) 및 상기 코어(300)에 결합되는 슬리브(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빈코일(100)은 절연재료의 필름으로 피복되어 있는 단일의 도전성 와이어를 링형으로 권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빈코일(100)과 보빈(200)은 상기 코어(3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지에 의해 몰딩되어 상기 보빈코일(100)과 코어(300)를 고정시킴과 아울러 다시 한번 절연시킨다.
그리고, 상기 코어(300)의 상부에는 플랜지(320)가 결합되고, 상기 플랜지(320)에는 상기 관통공(310)의 양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부(321)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400)에는 상기 결합부(321)에 결합되어 상기 슬리브(400)를 지지하는 한 쌍의 걸림구(41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빈(200)의 돌출부(210)는 관통공(310)을 관통하여 돌출되며, 상기 한 쌍의 걸림구(410)는 상기 돌출부(210)를 감싸는 상태로 돌출부(210)와 결합부(321) 사이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 걸림구(410)는 본체(42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420)의 내부에는 상기 코일선(110)이 삽입되는 코일압착부(431)가 형성된 터미널(430)이 설치되는데, 여기서 상기 터미널(430)은 예컨데 상기 본체(420)의 사출성형시에 일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420)에는 걸림구(410) 쪽으로 개구된 몰딩부(440)가 형성되는데, 상기 몰딩부(440)는 개구된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수용홈(441)으로 그 상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수용 홈(441)에 전술한 종래기술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가 몰딩되면 폭이 작은 개구 부분에 의해 걸림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슬리브(400) 길이방향에 대한 결합력이 향상된다.
아울러, 상기 수용홈(441)은 개구된 일단과 폭이 넓어진 타단의 모서리를 라운딩 처리하여 수지의 유입이 원할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용홈(441)을 정면에서 보면 라운딩 처리된 상기 수용홈(441)의 테두리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S'자로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수용홈(431)에 의해 상기 코어(300)와 슬리브(400)는 충분한 길이방향 결합력을 얻을 수는 있지만, 이를 더욱 보강하기 위해서 상기 수용홈(441)의 내측으로 상기 슬리브(400) 길이방향으로 수직되게 걸림홈(442)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걸림홈(442)의 단면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된 상기 걸림홈(442)에 수지가 몰딩되면 슬리브(400)의 길이방향에 대한 결합력은 더욱 향상된다.
또한, 상기 걸림홈(442) 외에도 상기 수용홈(441)의 바닥면에 하나 이상의 유입홈(443)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수용홈(441)의 양측으로 연통홈(444)을 추가로 형성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연통홈(444)은 상기 수용홈(441)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끝단이 절곡되어 상기 걸림구(410)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몰딩부(440)는 본체(420)의 상면에 대해 아래쪽으로 단차지게 형 성되어 수지가 상부를 덮도록 구성되며, 상기 본체(420)와 몰딩부(440)의 경계부위에는 스토퍼(450)가 형성되어 몰딩되는 수지가 몰딩부(440) 외측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수지의 낭비 및 외관 저하를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코어(300)의 개방된 단부로 수지를 충전하여 상기 수지가 상기 보빈(200)의 유동홈(220)과 상기 코어(300)의 관통공(310)을 따라 상기 슬리브(400)의 몰딩부(440)로 안내되어 상기 돌출부(210), 결합부(321) 및 걸림구(410)가 서로 몰딩된다. 이후, 상기 몰딩부(440)에 형성된 수용홈(441), 걸림홈(442), 유입홈(443) 및 연통홈(444)에 충전된 수지가 응고됨으로로써 상기 슬리브(400)가 코어(3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필드코일 어셈블리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슬리브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드코일 어셈블리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슬리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슬리브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A - 필드코일 어셈블리 100 - 보빈코일
110 - 코일선 200 - 보빈
210 - 돌출부 220 - 유동홈
300 - 코어 310 - 관통공
320 - 플랜지 321 - 걸림부
400 - 슬리브 410 - 걸림구
420 - 본체 430 - 터미널
431 - 코일압착부 440 - 몰딩부
441 - 수용홈 442 - 걸림홈
443 - 유입홈 444 - 연통홈
450 - 스토퍼

Claims (12)

  1. 일측 단부에 걸림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터미널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몰딩부로 구성되되,
    상기 몰딩부는 상기 걸림구 방향으로 개구된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수용홈인 것이며,
    상기 수용홈의 내측으로 걸림홈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홈은 슬리브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는 하나 이상의 유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양측에는 연통홈이 더 형성되되, 상기 연통홈은 상기 수용홈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끝단이 절곡되어 상기 걸림구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는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몰딩부의 연결부위에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개구된 일단과 폭이 넓어진 타단의 모서리를 라운딩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7. 코일선이 인출되는 보빈코일,
    상기 보빈코일이 수용되며 상기 코일선이 통과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일측에 형성되는 유동홈을 구비하는 보빈,
    상기 보빈을 수용하며 상기 돌출부가 상부로 노출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코어 및
    상기 돌출부의 양측을 감싸면서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는 걸림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터미널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몰딩부를 포함하는 슬리브로 구성되되,
    상기 몰딩부는 상기 걸림구 방향으로 개구된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수용홈인 것이며,
    상기 수용홈의 내측으로 걸림홈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홈은 슬리브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는 하나 이상의 유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양측에는 연통홈이 더 형성되되, 상기 연통홈은 상기 수용홈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끝단이 절곡되어 상기 걸림구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는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몰딩부의 연결부위에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개구된 일단과 폭이 넓어진 타단의 모서리를 라운딩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
KR1020080051911A 2008-06-03 2008-06-03 슬리브 및 이를 구비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 KR100927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911A KR100927829B1 (ko) 2008-06-03 2008-06-03 슬리브 및 이를 구비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911A KR100927829B1 (ko) 2008-06-03 2008-06-03 슬리브 및 이를 구비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7829B1 true KR100927829B1 (ko) 2009-11-23

Family

ID=41605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911A KR100927829B1 (ko) 2008-06-03 2008-06-03 슬리브 및 이를 구비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8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041B1 (ko) * 2011-03-30 2013-11-26 주식회사 두원전자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어 조립체
CN103453048A (zh) * 2012-05-31 2013-12-18 上海三电贝洱汽车空调有限公司 线圈环组件及其制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548B1 (ko) 2005-03-21 2006-05-10 우리산업 주식회사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 및 그제조방법
KR20060106441A (ko) * 2005-04-08 2006-10-12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조립체
KR100668719B1 (ko) 2005-07-04 2007-01-16 우리산업 주식회사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의 보빈과 그 필드코어
KR20070107467A (ko) * 2006-05-03 2007-11-07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548B1 (ko) 2005-03-21 2006-05-10 우리산업 주식회사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 및 그제조방법
KR20060106441A (ko) * 2005-04-08 2006-10-12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조립체
KR100668719B1 (ko) 2005-07-04 2007-01-16 우리산업 주식회사 전자클러치용 필드코어의 보빈과 그 필드코어
KR20070107467A (ko) * 2006-05-03 2007-11-07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041B1 (ko) * 2011-03-30 2013-11-26 주식회사 두원전자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어 조립체
CN103453048A (zh) * 2012-05-31 2013-12-18 上海三电贝洱汽车空调有限公司 线圈环组件及其制造方法
CN103453048B (zh) * 2012-05-31 2017-10-03 华域三电汽车空调有限公司 线圈环组件的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274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조립체
KR100677736B1 (ko) 필드코일 어셈블리 구조
EP2983277A2 (en) Electromagnetic drive coil unit and molding method thereof
US8610527B2 (en) Field coil assembly of electromagnetic clutch for a compressor
KR100991607B1 (ko) 클로 폴형 모터 및 펌프
KR102173360B1 (ko) 인버터 일체형 bldc 모터
KR100927829B1 (ko) 슬리브 및 이를 구비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
JP6562590B2 (ja) 電磁的駆動コイル装置並びにそれを備えた電動弁及び電磁弁
JP6405873B2 (ja) 磁性部品の端子台、およびこの端子台を成形する金型装置
WO2022016781A1 (zh) 电子水泵和车辆
KR102444446B1 (ko) 인버터 일체형 bldc 모터
JP2015056587A (ja) ステータユニット
JP2018157720A (ja) コイル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た電動弁及び電磁弁
KR20030031424A (ko) 전자 코일과 그 제조 방법 및 코일 보빈
JP2019036613A (ja) コイル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70694Y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KR101162057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조립체
JP2018164398A (ja) 電磁的駆動コイル装置
KR101112600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조립체
CN109327106B (zh) 一种出线盒及其电机
CN211689434U (zh) 一种选针器线圈
KR20170025002A (ko) 세탁기용 스테이터
JP2006014427A (ja) 電動弁用モータ
JP2912234B2 (ja) 電磁継電器
US11233438B2 (en) Terminal frame and stator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