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3380A - 김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김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3380A
KR20230013380A KR1020210094051A KR20210094051A KR20230013380A KR 20230013380 A KR20230013380 A KR 20230013380A KR 1020210094051 A KR1020210094051 A KR 1020210094051A KR 20210094051 A KR20210094051 A KR 20210094051A KR 20230013380 A KR20230013380 A KR 20230013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water
circulation belt
bel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래
Original Assignee
(주)피오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오이엔지 filed Critical (주)피오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094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3380A/ko
Publication of KR20230013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3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 성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성형장치는 복수개의 이송바퀴가 마련되며, 후술하는 구성요소를 고정지지할 수 있게 구성된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를 설치되며 모터(122)의 구동에 따라 상기 베이스(110)를 순환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메쉬망 형태의 순환벨트(120)와, 상기 베이스(110)의 일측에 위치되며 물에 희석된 파래를 상기 순환벨트(120)의 상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공급부(130)와, 상기 공급부(130)에서 공급되는 파래는 상기 순환벨트(120)에 안착되도록 하고, 물은 상기 순환벨트(120)의 통공을 통해 낙하되도록 하여 물과 파래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김을 성형하도록 하는 성형부(140)와, 상기 성형부(140)에서 성형된 김을 상기 순환벨트(120)를 통해 공급받아 김에 잔류하는 물(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탈수부(150)를 포함하는 김 성형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김 성형장치{laver forming machine}
본 발명은 김 성형장치에 관한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잘게 세절하여 물에 희석시킨 파래를 일정한 두께 및 일정한 형상으로 연속 자동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파래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탈수할 수 있도록 한 김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른 김은 파래 양식장에서 채취한 파래를 잘게 세절하여 물에 희석시키고 희석된 파래를 김발에 펼쳐 부착시킨 후 이를 건조하여 마른 김을 생산한다. 최근에는 김 생산에 따른 노동력을 절감시키고, 김의 생산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김의 성형과 건조를 자동으로 하는 김 제조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종래의 김 제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김을 김발의 상측에 넓게 펼쳐 김을 성형하는 초제부(1)와, 성형된 김으로부터 수분을 제거시키는 탈수부(2)와, 탈수된 김을 건조시키는 건조부(3)와, 건조부를 통과한 김을 김발에서 분리시키는 김 분리부(4)와, 상기 초제부와 탈수부와 건조부 및 김 분리부로 김발이 설치된 발장걸이를 걸어 순환 이송시키는 이송체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김 제조장치는 상기 초제부에서 파래를 발장걸이에 설치된 김발에 넓게 펼쳐 김을 성형시킨다. 이때 이송체인은 정지된 상태를 취하며 김의 성형이 완료되면 1스텝 전진한 후 후방에 위치한 김발에 김을 초제하도록 다시 정지하는 간헐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김의 초제 후에는 탈수부를 거쳐 탈수과정을 거친 다음 건조부를 통과하면서 건조되고, 건조된 김은 김 분리부로 이송되어 김발에서 마른김이 분리되는 것이다.
여기서, 김발이 설치된 발장걸이는 이송체인과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다시 상술한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종래의 상기 이송체인은 초제부와 탈수부 및 김 분리부로 발장걸이를 이송시키기 위해 간헐동작하는 수평이송체인과, 탈수부를 거친 발장걸이를 넘겨받아 건조부로 인입시켜 이송시킨 후 상기 김 분리부로 건네주는 건조이송체인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수평이송체인은 초제부와 탈수부 및 김 분리부를 간헐동작하면서 통과함에 따라 수평이송체인의 간헐동작을 위해 구동모터의 구동제어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으로써 상당한 부하가 발생하여 수명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었고, 또한 에너지량의 증가로 경제적인 부담이 되었으며, 간헐동작을 통해 김 분리부에서 김을 분리함에 따라 김의 하루 생산량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김 성형장치를 강구하게 되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161639호(2012.06.26, 해태제조기의 건조장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한 두께 및 일정한 형상의 김을 자동으로 연속 성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김의 생산효율을 향상시켜 결과적으로 김의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김 형상으로 성형된 파래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탈수할 수 있도록 한 김 성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김 성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성형장치는 복수개의 이송바퀴가 마련되며, 후술하는 구성요소를 고정지지할 수 있게 구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설치되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베이스를 순환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메쉬망 형태의 순환벨트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위치되며 물에 희석된 파래를 상기 순환벨트의 상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파래는 상기 순환벨트에 안착되도록 하고, 물은 상기 순환벨트의 통공을 통해 낙하되도록 하여 물과 파래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김을 성형하도록 하는 성형부와, 상기 성형부에서 성형된 김을 상기 순환벨트를 통해 공급받아 김에 잔류하는 물(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탈수부를 포함하는 김 성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김 성형장치는 물에 희석된 파래가 공급관을 통해 순환벨트로 공급되면, 물은 메쉬망 형태로 이루어진 순환벨트에 의해 탈수통으로 낙하되고 파래는 순환벨트에 남겨지는 형태로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방식으로 김을 쉽고 간편하게 성형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 김 제조장치와 달리 순환벨트가 간헐적으로 정지하는 것 없이 연속적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김의 생산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계류관을 통과하는 순환벨트의 깊이에 따라 김의 두께를 설정할 수 있어 원하는 두께의 김을 성형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김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성형장치의 안내팬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된 벨트세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성형장치(100)는 일정한 두께 및 일정한 형상을 갖도록 자동으로 연속 성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성형장치(100)는 김을 띠 형태로 성형하여 추후 롤 형상으로 권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성형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이송바퀴가 마련되며, 후술하는 구성요소를 고정지지할 수 있게 구성된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를 설치되며 모터(122)의 구동에 따라 상기 베이스(110)를 순환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메쉬망 형태의 순환벨트(120)와, 상기 베이스(110)의 일측에 위치되며 물에 희석된 파래를 상기 순환벨트(120)의 상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공급부(130)와, 상기 공급부(130)에서 공급되는 파래는 상기 순환벨트(120)에 안착되도록 하고, 물은 상기 순환벨트(120)의 통공을 통해 낙하되도록 하여 물과 파래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김을 성형하도록 하는 성형부(140)와, 상기 성형부(140)에서 성형된 김을 상기 순환벨트(120)를 통해 공급받아 김에 잔류하는 물(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탈수부(150)와, 상기 탈수부(150)를 거쳐 물이 제거된 김은 건조기로 이송되고, 김이 제거된 순환벨트(120)에 에어를 분사하여 순환벨트(120)에 잔류하는 부산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벨트세척부(160)와, 상기 베이스(11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순환되는 순환벨트(12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장력조절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베이스(110)는 후술하는 구성요소들을 고정시킬 있도록 하는 몸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부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의 이동을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이송바퀴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성형부(140)가 위치된 일측은 상기 순환벨트(120)의 순환방향을 기준으로 상방향을 향하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탈수부(150)가 위치된 타측은 상기 순환벨트(120)의 순환방향을 기준으로 하방향을 향하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마치 삼각형 형상을 띄도록 형성된다.
순환벨트(120)는 상기 베이스(110)를 순환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메쉬망 형태로 이루어져 물은 통과될 수 있도록 하고, 물에 희석된 파래는 통과되지 못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공급부(130)에서 물에 희석된 파래가 순환벨트(120)의 상측으로 공급되면 물은 상기 통공을 통해 하부로 낙하되고, 파래는 상기 순환벨트(120)의 상측에 남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순환벨트(120)는 모터(122)의 구동에 따라 상기 베이스(110)를 순환하는 것으로, 상기 성형부(140)가 위치되는 부분의 순환벨트(120)는 상측으로 기울어져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탈수부(150)가 위치되는 부분의 순환벨트(120)는 하측으로 기울어져 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벨트(120)가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순환되게 설치되되, 상기 베이스(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에 성형부(140)가 위치되고, 도면상 좌측에 탈수부(150)가 위치되되, 상기 성형부(140)가 위치되는 부분의 순환벨트(120)는 상방향으로 향하도록 순환되고, 탈수부(150)가 위치되는 부분의 순환벨트(120)는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순환되게 구성된다.
또한, 공급부(130)는 물에 희석된 파래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 저장통(132)과, 일단이 상기 순환벨트(120)의 상측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저장통(132)과 펌프(P)를 통해 연결되는 공급관(134)과, 상기 공급관(134)의 배출관(134c) 측에 설치되어 유동되는 물 및 파래를 상기 순환벨트(120)가 위치된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한 안내팬(136)과, 상기 안내팬(136)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구동모터(138)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채취한 파래를 잘게 세절한 후 물에 희석시킨 파래를 저장통(132)에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펌프(P)를 구동시켜 저장통(132) 내에 저장된 물 및 파래가 상기 공급관(134)을 통해 상기 순환벨트(120)가 위치된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공급관(134)은 상기 펌프(P)와 연결되어 물 및 파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 유입관(134a)과, 상기 유입관(134a)과 결합되어 유동되는 물 및 파래에 일정한 압력이 생성될 수 있게 관 내부 직경이 점차 축소되다가 다시 점차 확장되도록 하여 파래가 물에 희석된 상태에서 일정한 속도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 병목관(134b)과, 상기 병목관(134b)을 통과한 물 및 파래를 상기 순환벨트(120)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배출관(134c)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펌프(P)에 의해 물 및 파래가 상기 유입관(134a)으로 지속적으로 유입되면 유입되는 압력에 의해 물 및 파래가 병목관(134b)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병목관(134b)은 관 내부 직경이 점차 축소되면서 물과 파래에 압력이 가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물과 파래가 수축되었다가 관 내부 직경이 확장되면서 물과 파래가 넓게 퍼지면서 확산되어 물에 파래가 효과적으로 희석되게 된다.
이후, 상기 병목관(134b)을 통과한 물 및 파래는 배출관(134c)으로 유동된다. 상기 배출관(134c)은 상기 순환벨트(120)로 유동되는 물 및 파래를 순환벨트(120)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병목관(134b)과 연통되게 설치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공급관(134)은 일정한 속도로 상기 순환벨트(120)에 물 및 파래가 공급될 수 있게 펌프(P)와 연결되어 물에 희석된 파래를 유입 및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물 및 파래를 유입하는 유입관(134a)이 하측에 위치되고, 유입관(134a)을 통해 유입된 물 및 파래를 순환벨트(120)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배출관(134c)이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펌프(P)의 구동에 의해 상기 유입관(134a)으로 물 및 파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면 유입관(134a)의 상측으로 위치된 병목관(134b)을 경유하여 배출관(134c)을 통해 배출되게 되는데 이때, 물 및 파래는 하측에 위치된 유입관(134a)을 통해 공급되기 때문에 내부에서 와류가 발생하여 파래가 물에 넓게 퍼지게 되고 또한, 병목관(134b)의 좁아졌다 넓어지는 관 내부의 형상으로 인해 보다 효과적으로 파래가 물에 넓게 퍼지게 된다. 이후 병목관(134b)에 의해 물에 골고루 퍼진 파래는 배출관(134c)을 통해 순환벨트(120)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관(134c) 내에는 유동되는 물 및 파래를 상기 순환벨트(120)로 원활하게 배출할수 있게 안내팬(136)이 설치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안내팬(136)은 상기 베이스(110)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구동모터(138)와 체인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138)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배출관(134c) 내로 유입된 물 및 파래가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물과 파래를 배출구(135) 측으로 안내한다.
이때, 상기 안내팬(136)은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회전봉(136a)과 상기 회전봉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안내돌기(136b)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돌기(136b)는 끝단이 회전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되어 파래 등이 안내돌기(136b)에 걸려 회전봉(136a)과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원활하게 파래를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배출관(134c)을 통해 배출된 물 및 파래를 김의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한 성형부(14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30)의 배출구(135)가 위치된 부분의 순환벨트(120) 측면 양측을 감싸도록 위치되어 성형되는 김의 측면을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성형가이드(142)와, 상기 성형가이드(142)가 설치된 부분의 순환벨트(120) 하부에 설치되어 순환벨트(120)를 통과한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집수통(144)과, 상기 집수통(144) 내에 설치되며 집수된 물을 펌프(미도시)를 이용하여 흡입할 수 있도록 한 배수구(146)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형가이드는 상기 순환벨트(120)에 안착되는 파래가 상기 순환벨트(120)의 중심에만 위치될 수 있게 가이드하는 것으로 상기 순환벨트(120)의 측면 양측에 위치된다. 즉, 상기 배출구(135)를 통해 물 및 파래가 공급되면 상기 순환벨트(120)의 측면 양측에 마련된 성형가이드(142)가 순환벨트(120)의 측면 양측을 덮고 있기 때문에 상기 성형가이드를 제외한 부분에만 파래가 안착되면서 결과적으로 띠 형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집수통(144)은 상기 공급부(130)의 배출구(135)가 위치된 순환벨트(120) 하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형가이드(142)가 설치된 부분의 순환벨트(120)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벨트(120)의 통공을 통과한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복수개의 격벽(145)에 의해 구획되어 복수개의 집수실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 집수통(144)은 내부로 상기 순환벨트(120)를 통과한 물이 유입될 수 있게 상측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집수공(147)이 형성되어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집수실에는 유입되는 물을 펌프를 이용하여 흡입할 수 있도록 한 배수구(146)가 설치되어 있다.
즉,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 집수통(144) 내에 복수개의 집수실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집수실 내에 물이 유입될 수 있게 집수통(144)의 상측에 복수개의 집수공(14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집수통(144) 내 각각의 집수실에는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배수구(14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구(146)는 펌프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서 상기 펌프가 구동되면 집수실 내에 진공상태가 되면서 상기 집수공(147)을 통해 순환벨트(120)의 상측에 위치된 김에서 물을 흡수하도록 하는 동시에 집수통(144) 내의 물을 흡수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된다.(도 5참조)
따라서, 성형부(140)에서 띠 형상으로 김을 성형할 수 있게 되며, 물은 집수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성형부(140)에서 상기 순환벨트(120)의 상측에 성형된 띠 형태의 김은 상기 베이스(110)의 일측에 위치된 탈수부(150)로 이동된다.
상기 탈수부(150)는 상기 성형부(140)에서 성형된 김에 잔류하는 물(수분)을 흡수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순환벨트(120)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복수개의 격벽(153)에 의해 구획되게 복수개의 탈수실이 구비된 탈수통(152)과, 상기 탈수통(152) 내에 설치되며 집수된 물을 펌프(미도시)를 이용하여 흡입할 수 있도록 한 배수구(15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탈수부(150)는 상기 성형부(140)와 성형가이드(142)를 제외한 구성이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성형부(140)에서 띠형상으로 김이 성형되고, 성형된 김은 순환벨트(120)에 의해 탈수부(150)로 이동되며, 상기 탈수부(150)에서 김에 잔류하는 물기가 제거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탈수부(150)를 거쳐 수분(물)이 제거된 성형 김은 상기 순환벨트(120)에서 이격되어 건조부(미도시)로 이동되게 되는데, 초기에 제작되는 김은 제대로된 형상을 유지할 수 없어 이를 제거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탈수부(150)에는 초기 띠 형태로 성형되는 김을 롤 형태로 권취할 수 있도록 한 권취부재(15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권취부재(156)는 상기 탈수부(150)의 탈수통(152)을 경유한 성형 김을 선택적으로 권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순환벨트(120)의 측면 양측에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봉(156a)과, 상기 한 쌍의 지지봉(156a)에 고정설치는 "ㄴ" 형상의 받침판(156b) 및 상기 받침판(156b)의 상측에 위치되며 제거하고자 하는 김을 권취할 수 있도록 한 권취봉(156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즉, 초기 성형되는 김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 상기 받침판(156b)의 상측에 마련된 권취봉(156c)에 상기 순환벨트(120)의 상측에 위치된 성형김의 일단을 작업자가 권취하는 방식으로 권취한 다음 김의 형상이 제대로 성형되면 이를 절단하여 불완전하게 성형된 초기 성형 김을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성형된 김은 상기 탈수부(150)에서 수분이 제거된 후 김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 건조기(미도시)로 이송되고 김이 제거된 순환벨트(120)는 벨트세척부(160)로 이동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김을 성형하도록 한 김 성형장치(100)에 관한 기술로서 성형된 김을 건조시키는 건조기의 기술은 본 발명에 해당되지 않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벨트세척부(160)는 상기 순환벨트(120)에서 김을 분리하고 잔류하는 김의 부산물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110)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순환벨트(120)가 경유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벨트세척부(160)는 일측에 상기 순환벨트(120)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한 관통구(162)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의 측면 양측에는 측면에서 에어가 분사되는 에어샤워구(16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구(162) 내에는 통과되는 상기 순환벨트(120)에 에어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 에어분사기(164)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벨트세척부(160)에서 순환벨트(120)에 잔류하는 김 부산물을 세척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력조절부(170)는 상기 베이스(110)를 순환하는 순환벨트(120)의 장력을 조절하여 팽팽한 상태에서 순환벨트(120)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베이스(1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에 상기 순환벨트(120)와 접촉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한 롤러(171)가 마련된 회동부재(172)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1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부재(172)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될 수 있게 설치되는 엑츄에이터(17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베이스(110)를 순환하는 순환벨트(120)와 회동부재(172)에 마련된 롤러(171)가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일측으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순환벨트(120)의 텐션(장력)을 조절하여 일정한 속도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김이 일정한 형태로 성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성형장치는 김을 일정하게 자동으로 쉽고 간편하게 성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성형장치는 상기 성형부(140)에 마련된 성형가이드(142)의 교체를 통해 김의 폭방향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공급부(130)에서 공급되는 김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김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김 성형장치 110 : 베이스
120 : 순환벨트 122 : 모터
130 : 공급부 132 : 저장통
134 : 공급관 134a : 유입관
134b : 병목관 134c : 배출관
136 : 안내팬 138 : 구동모터
140 : 성형부 142 : 성형가이드
144 : 집수통 145 : 격벽
146 : 배수구 147 : 집수공
150 : 탈수부 152 : 탈수통
153 : 격벽 154 : 배수구
156 : 권취부재 156a : 지지봉
156b : 받침판 156c : 권취봉
160 : 벨트세척부 162 : 관통구
164 : 에어분사기 170 : 장력조절부
171 : 롤러 172 : 회동부재

Claims (11)

  1. 복수개의 이송바퀴가 마련되며, 후술하는 구성요소를 고정지지할 수 있게 구성된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를 설치되며 모터(122)의 구동에 따라 상기 베이스(110)를 순환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메쉬망 형태의 순환벨트(120)와,
    상기 베이스(110)의 일측에 위치되며 물에 희석된 파래를 상기 순환벨트(120)의 상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공급부(130)와,
    상기 공급부(130)에서 공급되는 파래는 상기 순환벨트(120)에 안착되도록 하고, 물은 상기 순환벨트(120)의 통공을 통해 낙하되도록 하여 물과 파래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김을 성형하도록 하는 성형부(140)와,
    상기 성형부(140)에서 성형된 김을 상기 순환벨트(120)를 통해 공급받아 김에 잔류하는 물(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탈수부(150)를 포함하는 김 성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성형부(140)가 위치된 일측은 상기 순환벨트(120)의 순환방향을 기준으로 상방향을 향하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탈수부(150)가 위치된 타측은 상기 순환벨트(120)의 순환방향을 기준으로 하방향을 향하도록 기울어지게 삼각형 형상을 띄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성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130)는
    물에 희석된 파래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 저장통(132)과,
    일단이 상기 순환벨트(120)의 상측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저장통(132)과 펌프(P)를 통해 연결되는 공급관(134)과,
    상기 공급관(134)의 배출관(134c) 측에 설치되어 유동되는 물 및 파래를 상기 순환벨트(120)가 위치된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한 안내팬(136)과,
    상기 안내팬(136)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구동모터(138)를 포함하는 김 성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공급관(134)은
    상기 펌프(P)와 연결되어 물 및 파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 유입관(134a)과,
    상기 유입관(134a)과 결합되어 유동되는 물 및 파래에 일정한 압력이 생성될 수 있게 관 내부 직경이 점차 축소되다가 다시 점차 확장되도록 하여 파래가 물에 희석된 상태에서 일정한 속도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 병목관(134b)과,
    상기 병목관(134b)을 통과한 물 및 파래를 상기 순환벨트(120)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배출관(134c)으로 구성되는 김 성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134)은 일정한 속도로 상기 순환벨트(120)에 물 및 파래가 공급될 수 있게 펌프(P)와 연결되어 물에 희석된 파래를 유입 및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물 및 파래를 유입하는 유입관(134a)이 하측에 위치되고, 유입관(134a)을 통해 유입된 물 및 파래를 순환벨트(120)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배출관(134c)이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물 및 파래가 하측의 유입관(134a)으로 부터 상측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와류에 의해 파래가 물에 확장되는 형태로 퍼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성형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안내팬(136)은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회전봉(136a)과 상기 회전봉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안내돌기(136b)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돌기(136b)는 끝단이 회전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되어 파래 등이 안내돌기(136b)에 걸려 상기 회전봉(136a)과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원활하게 파래를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성형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140)는
    상기 공급부(130)의 배출구(135)가 위치된 부분의 순환벨트(120) 측면 양측을 감싸도록 위치되어 성형되는 김의 측면을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성형가이드(142)와,
    상기 성형가이드(142)가 설치된 부분의 순환벨트(120) 하부에 설치되어 순환벨트(120)를 통과한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집수통(144)과,
    상기 집수통(144) 내에 설치되며 집수된 물을 펌프(미도시)를 이용하여 흡입할 수 있도록 한 배수구(146)를 포함하는 김 성형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150)는 상기 성형부(140)에서 성형된 김에 잔류하는 물(수분)을 흡수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순환벨트(120)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복수개의 격벽(153)에 의해 구획되게 복수개의 탈수실이 구비된 탈수통(152)과,
    상기 탈수통(152) 내에 설치되며 집수된 물을 펌프(미도시)를 이용하여 흡입할 수 있도록 한 배수구(154)와,
    상기 탈수통(152)을 경유한 성형 김을 선택적으로 권취하여 롤 형태로 권취할 수 있도록 한 권취부재(156)로 구성되는 김 성형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재(156)는
    상기 순환벨트(120)의 측면 양측에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봉(156a)과,
    상기 한 쌍의 지지봉(156a)에 고정설치는 "ㄴ" 형상의 받침판(156b) 및
    상기 받침판(156b)의 상측에 위치되며 제거하고자 하는 김을 권취할 수 있도록 한 권취봉(156c)으로 이루어진 김 성형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150)를 거쳐 물이 제거된 김은 건조기로 이송되고, 김이 제거된 순환벨트(120)는 이송되어 에어를 분사하여 순환벨트(120)에 잔류하는 부산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벨트세척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벨트세척부(160) 일측에 상기 순환벨트(120)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한 관통구(162)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162)의 측면 양측에는 순환벨트(120)의 측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샤워구(163)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162) 내에는 통과되는 상기 순환벨트(120)에 에어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 에어분사기(16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성형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순환되는 순환벨트(12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장력조절부(170)를 포함하며,
    상기 장력조절부(170)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1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에 상기 순환벨트(120)와 접촉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한 롤러(171)가 마련된 회동부재(172)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1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부재(172)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될 수 있게 설치되는 엑츄에이터(174)로 이루어진 김 성형장치.
KR1020210094051A 2021-07-19 2021-07-19 김 성형장치 KR202300133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051A KR20230013380A (ko) 2021-07-19 2021-07-19 김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051A KR20230013380A (ko) 2021-07-19 2021-07-19 김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380A true KR20230013380A (ko) 2023-01-26

Family

ID=85110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051A KR20230013380A (ko) 2021-07-19 2021-07-19 김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338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639B1 (ko) 2009-04-08 2012-07-02 박유선 해태제조기의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639B1 (ko) 2009-04-08 2012-07-02 박유선 해태제조기의 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7459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31164A (ko) 건조 세탁기
KR20060065267A (ko) 건조 겸용 세탁기
WO2018014822A1 (zh) 热泵换热系统、热泵洗干一体机以及自动清洗方法
CN211129683U (zh) 一种蔬菜脱水装置
KR20180063301A (ko) 신발 세탁장치
CN208232591U (zh) 一种纺织印染用织布印花烘干装置
CN102191649B (zh) 洗衣机
KR100279070B1 (ko) 세탁건조기
JPS60501866A (ja) 無端ロ−プの形態をした布を湿潤処理するための装置
KR100761135B1 (ko) 건조 겸용 세탁기
JP6145686B2 (ja) 衣類乾燥機
KR20230013380A (ko) 김 성형장치
JP2005124763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100102297A (ko) 해태 제조장치
KR100865905B1 (ko) 습기제거장치가 부설된 농수산물 건조기
JPH06280155A (ja) ウエブの処理のための不連続的に作動する装置の運転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09642Y1 (ko) 곡물세척장치의 건조구조
CN102191655A (zh) 洗衣机
JPS5848663B2 (ja) 布を洗浄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255590Y1 (ko) 김 제조장치에 있어서의 김발 회전장치
CN221626630U (zh) 一种毛絮清洁装置及衣物处理设备
JP2008012120A (ja) 洗濯乾燥機
CN209224721U (zh) 一种版辊清洗烘干装置
CN118224854B (zh) 一种棉花烘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