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3301A - 신발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신발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301A
KR20180063301A KR1020187012994A KR20187012994A KR20180063301A KR 20180063301 A KR20180063301 A KR 20180063301A KR 1020187012994 A KR1020187012994 A KR 1020187012994A KR 20187012994 A KR20187012994 A KR 20187012994A KR 20180063301 A KR20180063301 A KR 20180063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duct
wall
holding portion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2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1415B1 (ko
Inventor
하지메 스즈키
시게하루 나카모토
Original Assignee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아쿠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아쿠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63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02Shoe-cleaning machines,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18Devices for holding footwear during cleaning or shining; Holding devices with stretching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A47L23/205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with 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4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solely by water j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신발 세탁장치는 세탁된 후의 신발을 고효율적으로 탈수할 수 있다. 신발 세탁장치(1)는 세탁액이 공급되는 수용실(3); 수용실(3) 내의 신발(S)의 신발 입구(SH)로부터 신발(S)의 내부 공간(SN)에 삽입되어 신발 입구(SH)가 하방(Z2)을 향하도록 신발(S)을 유지하며, 신발(S)의 내부 공간(SN)을 마주하는 개구부(33)를 구비하는 중공의 유지부(4); 유지부(4)에 연결된 덕트(7); 및 덕트(7)에서 유지부(4)의 내부로 공기를 보내는 송풍부(8);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발 세탁장치
본 발명은 신발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에서 개시한 신발 세탁기에서, 외조 내에 배치된 내조의 바닥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이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축의 하부에는 원형의 날개(이른바 펄세이터)가 일체로 설치된다. 회전축의 원주면에는 횡방향에서 내조의 내면 부근까지 돌출된 메인 브러쉬(main brush)가 상하방향에 걸쳐 설치되고, 날개에는 위로 돌출된 보조 브러쉬가 설치된다. 내조가 급수되고 신발이 회전축과 내조의 내면 사이에 넣어진 상태에서 회전축을 반전하면, 상기 신발은 메인 브러쉬와 보조 브러쉬에 의해 마찰되어 세탁된다. 다음, 내조와 회전축은 동시에 고속 회전하여, 신발을 탈수한다.
특허문헌 1에서의 신발 세탁기에 있어서, 탈수를 위해 내조와 회전축을 고속으로 회전 시, 신발의 신발 바닥이 내조의 내면을 향한 상태에 있을 경우, 원심력의 작용을 받은 수분은 신발 바닥에 의해 차단되어 신발에서 스며 나오기 어려우므로, 충분히 탈수되지 않는다. 이럴 경우, 탈수 후의 신발을 신발 세탁기에서 꺼내면, 신발에 고인 물은 신발에서 흩어지며 떨어져 주위를 적실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1:일본 실개소62-120956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 기반하여 완성한 것이며, 세탁된 후의 신발을 고효율적으로 탈수하는 신발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신발 세탁장치는 신발을 수용하고 세탁액이 공급되는 수용실; 상기 수용실 내의 신발의 신발 입구로부터 신발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신발 입구가 하방을 향하도록 신발을 유지하며, 신발의 내부 공간을 마주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중공의 유지부; 상기 유지부에 연결된 덕트; 및 상기 덕트에서 상기 유지부의 내부로 공기를 보내는 송풍부;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구부가 상기 유지부에 의해 유지되는 신발의 신발 끝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용실에서 세탁액을 회수하는 회수조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에는 상기 유지부에 의해 유지되는 신발에서 상기 개구부 및 상기 유지부의 내부를 통해 상기 덕트 내에 도달한 수분이 상기 회수조로 떨어지도록 하는 배수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송풍부에 의해 상기 덕트에서 상기 유지부의 내부로 보내진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발 세탁장치에서 수용실에 수용된 신발은 수용실에 공급되는 세탁액에 의해 세탁된다. 수용실 내에서, 중공의 유지부는 신발의 신발 입구로부터 신발의 내부 공간에 삽입됨으로써, 신발 입구가 하방을 향하도록 신발을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유지부의 개구부는 신발의 내부 공간을 마주한다. 신발 세탁장치에 있어서, 송풍부는 유지부에 연결된 덕트(duct)로부터 유지부의 내부에 공기를 보낸다. 유지부의 내부에 보내진 공기는 개구부에서 세차게 신발의 내부 공간에 유입되고, 이때, 세탁액 등 수분이 신발에서 스며 나오게 한다. 스며 나온 수분은 하방을 향한 신발 입구에서 흩어지며 떨어진다. 따라서, 공기가 유지부의 개구부로부터 신발의 내부 공간으로 반복적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내부 공간 측에서 세탁 후의 신발을 고효율적으로 탈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지부의 개구부는 유지부에 의해 유지되는 신발의 신발 끝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유지부의 개구부로부터 신발의 내부 공간에 유입된 공기는 내부 공간 전체에 분포되어 수분이 신발에서 스며 나오도록 하므로, 세탁 후의 신발을 더욱 고효율적으로 탈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실에서 세탁액을 회수하는 회수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써, 유지부에 의해 유지되는 신발에서 유지부의 개구부 및 유지부의 내부를 통해 덕트 내에 도달한 수분이 덕트에 형성된 배수홀로부터 회수조에 떨어지도록 한다. 이로써, 신발에서 스며 나온 수분을 재차 신발에 부착되지 않도록 회수조에 회수하므로, 세탁 후의 신발을 더욱 고효율적으로 탈수할 수 있다.
이외,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덕트로부터 유지부의 내부에 보내되므로, 상기 공기는 유지부의 개구부를 통해 신발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거나 수용실에 가득 차 신발의 외부를 둘러싸고 신발을 드라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신발 세탁장치의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신발 세탁장치의 예시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신발 세탁장치의 예시적인 종단면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변형예에 따른 신발 세탁장치의 예시적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변형예에 따른 신발 세탁장치의 예시적인 종단면 우측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신발 세탁장치(1)의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이하, 도 1에서의 좌우방향을 신발 세탁장치(1)의 좌우방향(X)이라 하고, 도 1에서의 상하방향을 신발 세탁장치(1)의 전후방향(Y)이라 하며, 도 1의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신발 세탁장치(1)의 상하방향(Z)이라 한다. 좌우방향(X)은 도 1의 좌측에 해당되는 좌측(X1) 및 도 1의 우측에 해당되는 우측(X2)을 포함한다. 전후방향(Y)은 도 1의 하방에 해당되는 전방(Y1) 및 도 1의 상방에 해당되는 후방(Y2)을 포함한다. 상하방향(Z)은 도 1의 지면의 표면에 해당되는 상방(Z1) 및 도 1의 지면의 안쪽에 해당되는 하방(Z2)을 포함한다. 좌우방향(X) 및 전후방향(Y)은 수평방향에 포함되고, 상하방향(Z)은 수직방향과 동일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신발 세탁장치(1)는 대략 직육면체인 박스 모양의 외관을 구비한다. 신발 세탁장치(1)는 하우징에 형성된 케이스(2), 케이스(2) 내에 설치된 수용실(3), 분사기구(5), 노즐(6), 덕트(duct)(7), 송풍부(8) 및 가열부(9)를 포함한다(후술되는 도 2를 참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및 도 1 이후의 각 도면에서는, 케이스(2)만 단면선을 추가한 단면도로 도시하고, 케이스(2) 이외의 각 부재는 측면도로 도시한다.
케이스(2)는 좌측벽(15), 우측벽(16), 전방벽(17), 후방벽(18), 바닥벽(19), 상방벽(20)(도 2를 참조), 제1분리벽(21) 및 제2분리벽(22)을 일체로 포함한다. 좌측벽(15) 및 우측벽(16)은 좌우방향(X)에서 얇고 상하방향(Z)을 따르는 대략 직사각형인 판상으로 형성되고, 좌우방향(X)에서 이격되도록 마주보게 배치된다. 좌측벽(15)의 하단부에는 좌우방향(X)을 따라 좌측벽(15)을 관통하는 출구(23)가 형성된다. 우측벽(16)에는 좌우방향(X)을 따라 우측벽(16)을 관통하는 흡기구(24)가 형성된다. 흡기구(24)에는 격자(25)가 장착된다. 전방벽(17) 및 후방벽(18)은 전후방향(Y)에서 얇고 상하방향(Z)을 따르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전방벽(17)은 좌측벽(15)과 우측벽(16)의 전단 사이에 가설되며, 후방벽(18)은 좌측벽(15)과 우측벽(16)의 후단 사이에 가설된다. 후방벽(18)에는 전후방향(Y)을 따라 후방벽(18)을 관통하는 배기구(26)가 형성된다. 설명하여야 할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 출구(23), 흡기구(24) 및 배기구(26)는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실제로 출구(23)는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은 위치에 있고, 흡기구(24) 및 배기구(26) 서로의 높이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 이후의 각 도에서는, 출구(23), 흡기구(24) 및 배기구(26)의 각자의 위치는 간혹 도 1에서의 위치와 부동할 수 있다.
바닥벽(19)은 상하방향(Z)에서 얇고 수평으로 연장된 대략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바닥벽(19)의 네 변은 각각 좌측벽(15), 우측벽(16), 전방벽(17) 및 후방벽(18) 각자의 하단에 연결된다(도 2 및 후술되는 도 3을 참조). 이로써, 바닥벽(19)은 하방(Z2)으로부터 좌측벽(15), 우측벽(16), 전방벽(17) 및 후방벽(18)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막는다. 바닥벽(19)의 하면의 4 개의 모서리에는 신발 세탁장치(1)가 놓여지는 지면과 접촉하는 다리부(27)가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도 2를 참조). 상방벽(20)은 상하방향(Z)에서 얇고 수평으로 연장된 대략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방벽(20)의 네 변은 각각 좌측벽(15), 우측벽(16), 전방벽(17) 및 후방벽(18) 각자의 상단에 연결된다(도 2 및 도 3을 참조). 이로써, 상방벽(20)은 상방(Z1)으로부터 좌측벽(15), 우측벽(16), 전방벽(17) 및 후방벽(18)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막는다.
제1분리벽(21)은 좌우방향(X)에서 얇고 상하방향(Z)을 따르는 대략 직사각형인 판상으로 형성되고, 좌측벽(15)과 우측벽(16) 사이에 배치된다. 제1분리벽(21)은 전방벽(17)에서 우측(X2)으로 치우친 위치와 후방벽(18)에서 우측(X2)으로 치우친 위치 사이에 가설된다. 제1분리벽(21)의 하단은 상방(Z1)으로 바닥벽(19)과 떨어지도록 배치된다(도 2를 참조). 제2분리벽(22)은 상하방향(Z)에서 얇고 대략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제1분리벽(21)의 하단과 상하방향(Z)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며, 제1분리벽(21)의 하단과 좌측벽(15)사이에 가설되며, 전방벽(17)과 후방벽(18) 사이에 가설된다(도 2 및 도 3을 참조).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분리벽(22)의 하방(Z2)에 위치한 부재를 점선 또는 1점 쇄선으로 도시한다. 위에서 관찰할 경우의 제2분리벽(22)의 대략 중앙에는 상하방향(Z)을 따라 제2분리벽(22)을 관통한 좌우방향(X)으로 긴 유입구(28)가 형성된다.
도 2는 신발 세탁장치(1)의 예시적인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용실(3)은 좌측벽(15), 제1분리벽(21), 전방벽(17), 후방벽(18), 제2분리벽(22) 및 상방벽(20)에 의해 둘러싸인 대략 직육면체 공간이다. 상방벽(20)은 수용실(3)의 천장을 구성한다. 수용실(3)은 신발 세탁장치(1)의 세탁 대상인 한 쌍의 신발(S)을 여유있게 수용하는 너비를 구비한다. 설명하여야 할 것은, 케이스(2)의 임의의 벽, 예를 들어 전방벽(17) 또는 상방벽(20)에는 수용실(3)에 신발(S)을 출입시키는 출입구(미도시) 및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미도시)가 설치된다. 후방벽(18)의 배기구(26)는 후방(Y2)에서 수용실(3)과 연통되고(도 1을 참조), 제2분리벽(22)의 유입구(28)는 하방(Z2)에서 수용실(3)과 연통된다. 수용실(3) 내에는 급수로(29)가 설치된다. 급수로(29)에 있어서, 일단부(29A)는 상방벽(20)을 관통하여 수도꼭지(미도시)와 연결되고, 타단부(29B)에는 상방(Z1)에서 수용실(3) 내를 향하는 급수구(29C)가 형성된다. 급수로(29)의 도중에는 개폐가능한 급수밸브(30)가 설치된다. 설명하여야 할 것은, 도 2 이외의 도면에서는 급수로(29) 및 배수밸브(30)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였다.
케이스(2)의 내부 공간은 수용실(3) 이외에 종방향 공간(31) 및 횡방향 공간(32)을 더 포함한다. 종방향 공간(31)은 전방벽(17), 후방벽(18), 바닥벽(19) 및 상방벽(20) 각자의 우측(X2) 부분 및 우측벽(16), 제1분리벽(21)에 의해 둘러싸인 대략 세로로 긴 공간이다. 횡방향 공간(32)은 전방벽(17), 후방벽(18) 및 바닥벽(19)의 각자의 좌측(X1) 부분 및 좌측벽(15)의 하방(Z2) 부분, 제2분리벽(22)에 의해 둘러싸인 대략 가로로 긴 공간이고, 종방향 공간(31)의 하단부에서 연속적으로 좌측(X1)으로 연장되며, 수용실(3)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한 쌍의 신발(S)에 따라 두 개의 유지부(4)가 설치된다. 두 개의 유지부(4)는 제2분리벽(22)의 유입구(28)보다 후방(Y2)에 더욱 접근하는 구역에 위치하며, 좌우방향(X)을 따라 배열되어 배치된다(도 1을 함께 참조). 각 유지부(4)는 개구부(33)을 구비하는 중공체이고, 본 실시형태에서 유지부(4)는 제2분리벽(22)에서 상방(Z1)으로 연장되는 관 형상이고, 그 상단에는 개구부(33)가 설치된다. 유지부(4)의 상단에서 개구부(33)를 테를 두르는 가장자리부(4A)는 상방(Z1)으로 갈수록 후방(Y2)으로 편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도 3을 참조).
분사기구(5)는 회수조(35), 유로(36) 및 펌프(37)를 포함한다. 회수조(35)는 횡방향 공간(32)에 수용되는 크기를 구비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탱크이며, 하방(Z2)에서 제2분리벽(22)에 고정된다. 제2분리벽(22)의 유출구(28)는 상방(Z1)에서 회수조(35)의 내부와 연통된 상태에 있다. 회수조(35)의 하단부에는 배수구(38) 및 유출구(39)가 형성된다.
배수로(40)의 일단부(40A)는 배수구(38)에 연결되고, 배수로(40)의 타단부(40B)는 좌측벽(15)의 출구(23)에 연결된다. 타단부(40B)는 출구(23)에서 케이스(2)의 외부, 즉 신발 세탁장치(1)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배수로(40)의 도중에는 개폐가능한 배수밸브(41)가 설치된다. 배수밸브(41)를 닫은 상태에서 급수밸브(30)를 열면, 수도꼭지로부터의 물은 급수로(29)를 통해 급수구(29C)에서 수용실(3) 내로 흘러 내리고, 유입구(28)를 통해 회수조(35) 내에 저장된다. 설명하여야 할 것은, 도 2에서 회수조(35) 내의 물결선은 회수조(35) 내에 저장된 물의 수면(W)이다. 물이 회수조(35) 내에 저장된 상태에서 배수밸브(41)를 열 경우, 회수조(35) 내의 물은 배수로(40)를 통해 타단부(40B)로부터 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3은 신발 세탁장치(1)의 예시적인 종단면 우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동시에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유로(36)는 유출로(50), 제1분기로(51), 제2분기로(52) 및 제3분기로(53)를 포함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유출로(50)는 횡방향 공간(32)에서 회수조(35)의 주위에 배치된다. 유출로(50)의 일단부(50A)는 회수조(35)의 유출구(39)에 연결된다. 유출로(50)는 일단부(50A)에서 연장되어 회수조(35)의 후방(Y2)으로 되돌아오고, 유출로(50)의 타단부(50B)는 회수조(35)의 후방(Y2)에서 상방(Z1)으로 연장되며, 유출로(50)는 제1분기로(51) 및 제2분기로(52)로 분기된다.
제1분기로(51)는 일단부(51A)가 유출로(50)의 타단부(50B)에 연결된 상태로 회수조(35)의 후방벽(35A)을 관통하고, 회수조(35) 내에서 전방(Y1)을 향해 제2분리벽(22)의 유입구(28)까지 수평으로 연장된다. 후방벽(35A)의 제1분기로(51)의 주위와 제1분기로(51) 사이의 간극은 충전재(미도시) 등에 의해 막히므로, 회수조(35) 내의 수분이 상기 간극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분기로(51)의 타단부(51B)는, 대략 직각으로 굴곡되어 상방(Z1)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부분(51C); 및 유입구(28)에서 상방(Z1)으로 노출된 종방향 부분(51C)의 상단부로부터, 좌우방향(X)의 양측 바깥쪽을 향해 연장되는 횡방향 부분(51D); 을 포함한다(도 1을 함께 참조). 좌우방향(X)에서 횡방향 부분(51D)의 중앙부에는 종방향 부분(51C)의 상단부가 연결된다.
제2분기로(52)는, 유출로(50)의 타단부(50B)에서 제2분리벽(22)을 관통하고 상방(Z1)으로 연장되는 근원부분(52A); 근원부분(52A)의 상단부에서 좌우방향(X)의 양측 바깥쪽으로 연장된 횡방향 부분(52B); 및 횡방향 부분(52B)에서 상방벽(20)의 근접까지 연장되는 3 개의 종방향 부분(52C); 을 포함한다(도 2를 함께 참조). 횡방향 부분(52B)은 수용실(3)의 하단부에서 후방벽(18)을 따르는 구역에 배치되고, 좌우방향(X)의 횡방향 부분(52B)의 중앙부에는 근원부분(52A)의 상단부가 연결된다. 3 개의 종방향 부분(52C)은 좌우방향(X)에서의 횡방향 부분(52B)의 중앙부 및 양단부에서 각각 하나씩 상박(Z1)으로 연장된다.
제3분기로(53)는 제2분기로(52)의 횡방향 부분(52B)에서 분기되어, 전방(Y1)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된다. 제3분기로(53)는 좌우방향(X)을 따라 배열되어 2 개가 설치된다. 좌측(X1)의 제3분기로(53)에 있어서, 일단부(53A)는 횡방향 부분(52B)의 좌측 단부와 중앙부 사이의 구역에 연결되고, 타단부(53B)는 후방(Y2)에서 좌측(X1)의 유지부(4)와 이격되도록 마주보게 배치된다(도 1을 참조). 우측(X2)의 제3분기로(53)에 있어서, 일단부(53A)는 횡방향 부분(52B)의 우측 단부와 중앙부 사이의 구역에 연결되고, 타단부(53B)는 후방(Y2)에서 우측(X2)의 유지부(4)와 이격되도록 마주보게 배치된다(도 1을 참조).
펌프(37)는 회전하는 임펠러(impeller)(미도시)가 내장된 원심 펌프(centrifugal pump) 등이며, 유출로(50)의 도중에 설치된다. 노즐(6)은 복수 개가 설치되며, 수용실(3) 내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노즐(6)의 개수는 14 개이다. 14 개의 노즐(6)은 제1분기로(51)에 설치된 3 개의 제1노즐(6A); 제2분기로(52)에 설치된 9 개의 제2노즐(6B); 및 제3분기로(53)에 설치된 2 개의 제3노즐(6C)을 포함한다(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 제1노즐(6A)은 제1분기로(51)의 횡방향 부분(51D)의 후면의 좌우방향(X)에서의 중앙부 및 양단부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고, 후방(Y2)을 향한다(도 1을 참조). 제2노즐(6A)은 제2분기로(52)의 각 종방향 부분(52C)의 전면의 상하방향(Z)에서의 중앙부 및 양단부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고, 전방(Y1)을 향한다(도 2를 참조). 제3노즐(6C)은 각 제3분기로(53)의 타단부(53B)의 상면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고, 상방(Z1)을 향한다(도 1을 참조). 이와 같이, 제1분기로(51), 제2분기로(52) 및 제3분기로(53)를 포함하는 유로(36)는 회수조(35)와 각 노즐(6)을 연결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덕트(7)는 종방향 공간(31) 내에서 우측벽(16)을 따라 상하방향(Z)으로 연장된 종방향 덕트(60); 종방향 덕트(60)의 하단부에서 우측벽(16)을 따라 후방(Y2)으로 연장된 제1횡방향 덕트(61); 및 제1횡방향 덕트(61)의 후단부에서 좌측(X1)으로 연장된 제2횡방향 덕트(62)를 포함한다(도 1을 참조). 우측벽(16)의 흡기구(24)는 우측(X2)에서 종방향 덕트(60)의 내부와 연통된다. 종방향 덕트(60)의 하단부분은 메인 덕트(60A) 및 바이패스 덕트(60B)로 분기되고, 메인 덕트(60A) 및 바이패스 덕트(60B)는 각각 상방(Z1)에서 제1횡방향 덕트(61)에 연결된다.
1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횡방향 덕트(62)의 좌측부분(62A)은 회수조(35)의 우측벽(35B)을 관통하고, 회수조(35) 내에서 두 개의 유지부(4)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우측벽(35B)의 좌측부분(62A)의 주위와 좌측부분(62A)의 간극은 충전재(미도시) 등에 의해 막히므로, 회수조(35) 내의 수분이 상기 간극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좌측부분(62A)은 하방(Z2)에서 각 유지부(4)에 연결되고, 각 유지부(4)의 내부와 좌측부분(62A)의 내부는 서로 연통된 상태에 있다. 좌측부분(62A)의 바닥부에는 상방(Z1)에서 회수조(35)의 내부를 마주하는 배수홀(62B)이 형성된다.
송풍부(8)는 이른바 송풍기이고, 좌측(X1)에서 종방향 덕트(60)의 상단부에 고정된 모터(65); 및 종방향 덕트(60)의 내부의 상단부에 배치된 회전 날개(66)를 포함한다. 모터(65)는 우측(X2)으로 돌출되도록 종방향 덕트(60)의 내부의 상단부에 배치된 출력축(67)을 구비한다. 회전 날개(66)는 복수 개가 설치되고, 출력축(67)에서 방사형으로 확장되도록 출력축(67)에 고정된다.
가열부(9)는 전열선 등으로 구성된 가열장치이고, 메인 덕트(60A)에 배치된다. 메인 덕트(60A)의 내면에는 고리형의 위치결정부(68)가 설치되고, 가열부(9)와 걸림됨으로써, 가열부(9)를 메인 덕트(60A) 내에 위치 결정한다.
케이스(2) 내에서 예를 들어 종방향 공간(31)에는 마이크로컴퓨터 등으로 구성된 제어부(70)가 설치된다. 또한, 케이스(2)의 외면에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버튼 등으로 구성된 조작부(미도시)가 설치된다. 제어부(70)는 배선(미도시)을 통해 상기 조작부, 송풍부(8), 가열부(9), 급수밸브(30), 펌프(37) 및 배수밸브(41)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어부(70)는 사용자의 조작부에 대한 조작을 접수하거나, 송풍부(8), 가열부(9) 및 펌프(37)의 작업을 제어하거나, 급수밸브(30) 및 배수밸브(41)를 각각 개폐할 수 있다.
다음, 신발 세탁장치(1)가 실행하는 신발(S)의 세탁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세탁작동은 세제가 혼합된 세탁액으로 신발(S)을 세탁한 후, 신발(S)을 헹굼하는 세탁과정; 및 세탁과정 이후 신발(S)을 탈수하여 건조하는 탈수과정; 을 포함한다.
세탁작동을 시작하기 전, 사용자는 상기 도어(미도시)를 열어 한 쌍의 신발(S)을 수용실(3)에 넣는다.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수용실(3)에 수용된 한 쌍의 신발(S) 각자에 있어서, 사용자는 하방(Z2)으로부터 유지부(4)를 신발(S)의 신발 입구(SH)에서 각각 하나씩 신발(S)의 내부 공간(SN)에 삽입시킨다. 이로써, 수용실(3) 내에서, 한 쌍의 신발(S)은 좌우방향(X)을 따라 배열되고, 각 유지부(4)는 신발 입구(SH)가 하방(Z2)으로 향하도록 신발(S)을 종방향 자세로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유지부(4)의 상단의 개구부(33)는 신발(S)의 내부 공간(SN)을 마주한다. 구체적으로, 개구부(33)는 유지부(4)가 유지하는 신발(S)의 신발 끝(ST)으로 향하도록 배치된다. 설명하여야 할 것은, 종방향 자세인 신발(S)은 직립된 상태일 수 있고,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신발 끝(ST)이 신발 굽(SK)보다 후방(Y2)으로 편향되도록 약간 경사진 상태에 있을 수도 있다.
신발(S)이 수용실(3)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노즐(6A)은 전방(Y1)으로부터 신발(S)의 신발 굽(SK)을 마주하고, 제2노즐(6B)는 후방(Y2)으로부터 신발(S)에서 발등을 덮는 상부(SU)를 마주하며, 제3노즐(6C)는 하방(Z2)으로부터 신발(S)의 신발 입구(SH)를 마주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발(S)을 수용실(3)에 수용하는 사용자는 상기 도어(미도시)를 닫아 수용실(3)을 밀폐한 후, 조작부(미도시)를 조작함으로써, 신발 세탁장치(1)를 지시하여 세탁작동을 시작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70)는 세탁과정을 시작하고, 배수밸브(41)를 닫은 상태에서 급수밸브(30)를 연다. 이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수도꼭지(미도시)로부터의 물, 즉 수돗물은 급수로(29), 수용실(3) 및 유입구(28)를 통해 회수조(35) 내에 저장된다. 다시 말하면, 신발 세탁장치(1)는 회수조(35)에 대해 급수를 진행한다. 회수조(35) 내의 수면(W)이 소정 수위에 도달하면, 제어부(70)는 급수밸브(30)를 닫아 급수를 정지한다. 급수 전후의 시각에서 사용자는 세제를 수용실(3)에 투입하거나, 급수로(29)와 연결된 세제 수용실(미도시)에 수용된 세제를 급수 시 수돗물에 용해되도록 한다. 이로써, 세제를 수돗물에 용해시켜 생성한 세탁액을 회수조(35)에 저장한다. 설명하여야 할 것은, 하우징(2)의 후방벽(18)의 배기구(26)에는 판상의 대향부(75)가 전방(Y1)에서 대향되도록 배치되므로, 수용실(3)에서 흩날리는 수돗물 또는 세탁액이 배기구(26)에 도달하여 배기구(26)로부터 장치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70)는 펌프(37)를 구동한다. 이로써, 회수조(35)의 세탁액은 유로(36)를 흘러, 각각 제1분기로(51), 제2분기로(52) 및 제3분기로(53)에 분포되고, 굵은 실선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1노즐(6A), 제2노즐(6B) 및 제3노즐(6C)에서 수용실(3) 내로 공급되며, 수용실(3) 내의 신발(S)에 고압으로 분사된다. 세탁액이 분사되는 신발(S)은 고압 분사의 충격력에 의해 흙 등 얼룩이 제거되거나 세탁액에 의해 얼룩이 화학 분해됨으로써 세탁된다. 특히, 제1노즐(6A)에서 신발(S)에 분사된 세탁액으로 신발(S)의 신발 굽(SK)의 전체 구역을 세탁하고, 제2노즐(6B)에서 신발(S)에 분사된 세탁액으로 신발(S)의 상부(SU)의 전체 구역을 세탁하며, 제3노즐(6C)에서 신발(S)에 분사된 세탁액으로 신발(S)의 신발 입구(SH)의 주위 및 내부 공간(SN)의 전체 구역을 세탁한다.
이와 같이, 신발 세탁장치(1)에 있어서, 브러쉬 등으로 신발(S)을 마찰하지 않아도, 각 노즐(6)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탁액을 통해 브러쉬 등으로 신발(S)을 문질러 씻는 경우와 동등한 세탁력을 유지할 수 있고, 손상되지 않도록 전방위적으로 신발(S) 전체를 세탁할 수 있다. 또한, 수용실(3) 내의 신발(S)은 유지부(4)에 의해 종방향 자세로 유지되므로, 노즐(6)에서 신발(S)에 분사되는 세탁액뿐만 아니라, 신발의 표면에서 아래로 흐르는 세탁액으로도 신발(S)을 세탁할 수 있다. 이외, 수용실(3) 내의 신발(S)은 강제적으로 이동될 필요 없이 유지부(4)에 의해 유지되는 정지 상태에서 세탁되므로, 변형되지 않도록 신발(S)을 세탁할 수 있다.
노즐(6)에서 수용실(3) 내의 신발(S)에 분사된 후 신발(S)에서 흩어지며 떨어지는 세탁액, 및 노즐(6)에서 수용실(3) 내에 분사되지만 신발(S)에 분사되지 않은 세탁액은 유입구(28)를 통해 회수조(35) 내로 흘러내려, 회수조(35)에 의해 회수된다. 제3노즐(6C)에서 신발(S)의 내부 공간(SN)에 분사되는 세탁액 중, 내부 공간(SN)에서 유지부(4) 상단의 개구부(33)를 통해 유지부(4)의 내부에 진입된 세탁액은 자체의 중량에 의해 유지부(4)의 내부에서 덕트(7)의 제2횡방향 덕트(62) 내에 도달한 후, 제2횡방향 덕트(62)의 바닥부의 배수홀(62B)에서 회수조(35)로 흘러내린다.
펌프(37)가 지속적으로 구동되므로, 회수조(35)로 회수된 세탁액은 유로(36)를 흘러 제1노즐(6A), 제2노즐(6B) 및 제3노즐(6C)에서 수용실(3) 내로 분사된다. 이로써, 세탁액은 수용실(3)과 회수조(35) 사이에서 순환된다. 따라서, 소량의 세탁액이라도, 순환적으로 반복 사용되어 신발(S)을 세탁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이러한 세탁액의 순환을 소정 시간 지속한 후, 펌프(37)를 정지하고, 배수밸브(41)를 연다. 이로써, 수용실(3) 및 회수조(35)의 세탁액은 배수로(40)를 통해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 제어부(70)는 배수밸브(41)를 닫는다.
이어서, 제어부(70)는 급수밸브(30)를 소정 시간동안 열어, 수돗물이 회수조(35)에서 소정된 수위까지 저장되도록 한 후, 펌프(37)를 구동한다. 이로써, 수돗물은 수용실(3)과 회수조(35) 사이에서 순환되고, 각 노즐(6)에서 수돗물을 수용실(3) 내의 신발(S)에 고압으로 분사함으로써, 수용실(3) 내의 신발(S)을 헹군다. 상술한 바와 같이, 헹굼 시 신발(S)의 내부 공간(SN)에서 유지부(4) 상단의 개구부(33)를 통해 유지부(4)의 내부에 진입된 수분은 제2횡방향 덕트(62)에 도달한 후, 제2횡방향 덕트(62)의 바닥부의 배수홀(62B)에서 회수조(35)로 흘러내린다.
제어부(70)는 이러한 수돗물의 순환을 소정 시간 지속한 후, 펌프(37)의 구동을 정지하고, 배수밸브(41)를 소정 시간동안 연다. 이로써, 수용실(3) 및 회수조(35)의 물은 배수로(40)를 통해 장치 외부로 배출되고, 자연적으로 놓여진 신발(S)에서 스며나온 수분도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 세탁과정은 종료된다.
세탁과정 이후, 제어부(70)는 송풍부(8)를 구동함으로써 회전 날개(66)를 회전하여, 탈수과정을 시작한다. 이로써, 도 2를 참조하면, 장치 외부의 공기는 케이스(2)의 흡기구(24)로부터 덕트(7) 내에 흡입된다. 덕트(7) 내에 흡입된 공기는 회전 날개(66)의 회전을 통해 종방향 덕트(60), 제1횡방향 덕트(61) 및 제2횡방향 덕트(62)의 순서로 덕트(7) 내에서 세차게 유동하여, 덕트(7)에서 각 유지부(4)의 내부에 송입된다.
유지부(4)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는 회전 날개(66)에 의해 가압된 고압 상태로 유지부(4)의 상단의 개구부(33)에서 신발(S)의 내부 공간(SN)으로 세차게 유입되며, 이때, 세탁액 등 수분은 신발(S)에서 스며나온다. 스며 나온 수분은 하방(Z2)의 신발 입구(SH)(도 3을 참조)를 향해 흩어지며 떨어진다. 따라서, 공기가 유지부(4)의 개구부(33)로부터 신발(S)의 내부 공간(SN)으로 반복적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내부 공간(SN) 측에서 세탁 후의 신발(S)을 고효율적으로 탈수할 수 있다. 특히, 개구부(33)는 유지부(4)가 유지하는 신발(S)의 신발 끝(ST)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유지부(4)의 개구부(33)로부터 신발(S)의 내부 공간(SN)에 유입된 공기는 내부 공간(SN) 전체에 분포되어 수분이 신발(S)에서 스며 나오도록 하므로, 세탁 후의 신발(S)을 고효율적으로 탈수할 수 있다. 내부 공간(SN)에 배출된 공기는 최종적으로 신발 입구(SK)에서 신발(S) 외부의 수용실(3) 내로 유출되고, 케이스(2)의 후방벽(18)의 배기구(26)(도 3을 참조)에서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발(S)의 내부 공간(SN)에서 유지부(4) 상단의 개구부(33)를 통해 유지부(4)의 내부에 진입된 수분은 제2횡방향 덕트(62)에 도달한 후, 제2횡방향 덕트(62)의 바닥부의 배수홀(62B)에서 회수조(35)로 흘러내린다. 이로써, 신발(S)에서 스며 나온 수분을 재차 신발(S)에 부착되지 않도록 회수조(35)에 회수하므로, 세탁 후의 신발(S)을 고효율적으로 탈수할 수 있다.
회전 날개(66)가 회전되기 시작해서부터 소정 시간이 지나면, 제어부(70)는 회전 날개(66)를 계속하여 회전하는 상태에서 가열부(9)를 작동한다. 이로써, 송풍부(8)를 통해 덕트(7)에서 각 유지부(4)의 내부에 보내진 공기는 종방향 덕트(60)의 메인 덕트(60A)를 통과 시, 메인 덕트(60A) 중의 가열부(9)에 의해 가열된다. 이로써, 가열 후의 공기는 열풍으로 변화되어 유지부(4)의 개구부(33)에서 신발(S)의 내부 공간(SN)에 유입되므로, 상기 열풍을 통해 신발(S)의 내측에서 신발(S)을 드라이(dry)할 수 있다. 이외, 상기 열풍을 수용실(3) 내에 가득 채워 신발(S)의 외측에서 신발(S)을 드라이할 수도 있다. 설명하여야 할 것은, 종방향 덕트(60)의 바이패스 덕트(60B)의 공기와 메인 덕트(60A)에서 가열된 공기는 제1횡방향 덕트(61)에서 합류하므로, 유지부(4)의 개구부(33)에서 유출된 열풍이 필요를 초과하는 고온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가열부(9)를 작동하여서부터 소정시간이 지난 후, 송풍부(8)와 가열부(9)를 정지하여, 탈수과정을 종료한다. 이로써, 일련의 세탁작동은 종료된다. 세탁작동이 종료된 후, 사용자는 상기 도어(미도시)를 열어, 세탁 후의 건조된 신발(S)을 수용실(3)에서 꺼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신발 세탁장치(1)에 있어서, 우선, 신발(S)을 수용실(3)에 수용하고 유지부(4)에 의해 유지되도록 한 다음, 신발(S)을 수용실(3) 내에서 이동하지 않아도, 일련의 세탁작동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실시형태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도 4는 변형예에 따른 신발 세탁장치(1)의 예시적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변형예에 따른 신발 세탁장치(1)의 예시적인 종단면 우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 도 1~도 3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며, 해당 부분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도 5에서 나타낸 변형예에서,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유지부(4)는 개구부(33)가 설치된 상단부(4B)가 전방(Y1)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굴곡되도록 형성된다. 유로(3)의 유출로(50)의 타단부(50B)는 유지부(4) 후방(Y2)의 제2분리벽(22)을 관통하여 하방(Z2)에서 수용실(3) 내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분기로(51)는 일단부(51A)가 유출로(50)의 타단부(50B)에 연결된 상태로, 상방(Z1)을 향해 상방벽(20)의 근접까지 수직으로 연장된다. 제1분기로(51)에 있어서, 상단부를 형성하는 타단부(51B)는 좌우방향(X)에서의 횡방향 부분(51D)의 중앙부에 연결된다. 제1노즐(6A)은 횡방향 부분(51D)의 전면의 좌우방향(X)에서의 중앙부 및 양단 부분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고, 전방(Y1)을 향한다(도 4를 참조).
상술한 제2분기로(52)에서, 근원부분(52A)은 유출로(50)의 타단부(50B)에서 전방(Y1)으로 연장되고, 횡방향 부분(52B)은 유지부(4)의 상단부(4B)의 하방(Z2)에서 근원부분(52A)의 전단부로부터 좌우방향(X)의 양측 바깥쪽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 3 개의 종방향 부분(52C)(도 2를 참조) 대신, 변형예의 제2분기로(52)는 횡방향 부분(52B)으로부터 전방벽(17)의 근접까지 연장된 3 개의 횡방향 부분(52D)을 포함한다. 3 개의 횡방향 부분(52D)은 좌우방향(X)에서의 횡방향 부분(52B)의 중앙부 및 양단부에서 각각 하나씩 전방(Y1)으로 연장된다(도 4를 참조). 제2노즐(6B)은 횡방향 부분(52D)의 상면에 설치되어, 전후방향(Y)에서의 중앙부 및 양단부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며, 상방(Z1)을 향한다.
제3분기로(53)는 좌우방향(X)을 따라 배열되도록 2 개가 설치되고, 제2분기로(52)의 횡방향 부분(52B)에서 분기되어 상방(Z1)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좌측(X1)의 제3분기로(53)에 있어서, 일단부(53A)는 횡방향 부분(52B)의 좌측 단부와 중앙부 사이의 구역에 연결되고, 타단부(53B)는 전방(Y1)에서 좌측(X1)의 유지부(4)와 이격되도록 마주보게 배치되며, 하방(Z2)에서 상기 유지부(4)의 상단부(4B)와 이격되도록 마주보게 배치된다(도 4를 참조). 우측(X2)의 제3분기로(53)에 있어서, 일단부(53A)는 횡방향 부분(52B)의 우측 단부와 중앙부 사이의 구역에 연결되고, 타단부(53B)는 전방(Y1)에서 우측(X2)의 유지부(4)와 이격되도록 마주보게 배치되며, 하방(Z2)에서 상기 유지부(4)의 상단부(4B)와 이격되도록 마주보게 배치된다(도 4를 참조). 제3노즐(6C)은 각 제3분기로(53)의 타단부(53B)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고, 상방(Z1)을 향한다.
변형예의 신발 세탁장치(1)로 세탁작동을 실행할 경우, 사용자는 신발(S)을 수용실(3)에 수용할 때, 전방(Y1)을 향해 굴곡된 각 유지부(4)의 상단부(4B)를 하방(Z2)에서 신발(S)의 신발 입구(SH)에 삽입한 후, 신발 끝(ST)을 향하도록 이를 신발(S)의 내부 공간(SN)에 삽입한다. 이로써, 수용실(3) 내에서, 한 쌍의 신발(S)은 좌우방향(X)을 따라 배열되고, 각 유지부(4)는 신발 끝(ST)이 전방(Y1)을 향하고 신발 입구(SH)가 하방(Y1)을 향하도록 신발(S)을 수평인 횡방향 자세로 유지한다. 이로써, 수용실(3)의 높이 사이즈(H)를 비교적 작도록 억제할 수 있으므로, 상하방향(Z)에서 신발 세탁장치(1)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변형예의 신발 세탁장치(1)에 있어서, 신발(S)이 수용실(3)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노즐(6A)은 후방(Y2)으로부터 신발(S)의 신발 굽(SK)을 마주하고, 제2노즐(6B)는 하방(Z2)으로부터 신발(S)의 상부(SU)를 마주하며, 제3노즐(6C)는 하방(Z2)으로부터 신발(S)의 신발 입구(SH)를 마주한다. 상술한 상태로 세탁작동을 실행할 경우, 제1노즐(6A)에서 신발(S)에 분사된 세탁액으로 신발(S)의 신발 굽(SK)의 전체 구역을 세탁하고, 제2노즐(6B)에서 신발(S)에 분사된 세탁액으로 신발(S)의 상부(SU)의 전체 구역을 세탁하며, 제3노즐(6C)에서 신발(S)에 분사된 세탁액으로 신발(S)의 신발 입구(SH)의 주위 및 내부 공간(SN)의 전체 구역을 세탁한다.
변형예의 신발 세탁장치(1)에 있어서, 유지부(4)는 횡방향 자세의 신발(S)을 신발 바닥(SZ)이 상방(Z1)을 향하도록 유지한다. 상술한 경우의 세탁과정에서, 제2노즐(6B) 등에서 위로 분사되어 수용실(3)의 상방벽(20)에 부딪혀 떨어지는 세탁액을 통해, 신발 바닥(SZ)을 고효율적으로 세탁할 수 있다.
이외, 신발 세탁장치(1)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독립적인 장치로 존재하지만, 세탁기 등 세탁소 기기에 조립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신발 세탁장치(1)는 급수로(29)를 세탁소 기기의 급수로에 연결하고, 배수로(40)를 세탁소 기기의 배수로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신발 세탁장치(1)의 제어부(70)는 세탁소 기기의 제어부의 지시를 접수하여 세탁작동을 실행할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것은, 신발 세탁장치(1)가 세탁소 기기의 하부 또는 상부에 배치된다고 가설할 경우, 세탁소 기기의 종방향 사이즈를 비교적 작게 억제하기 위해, 신발 세탁장치(1)는 상기 변형예와 같이 신발(S)을 횡방향 자세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분기로(53)의 제3노즐(6C)이 설치된 타단부(53B)가 유지부(4)의 내부를 관통하고, 제3노즐(6C)이 유지부(4)의 개구부(33)에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3노즐(6C)은 신발(S)의 내부 공간(SN)에 세탁액을 정확하게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세탁액을 수용실(3)에서 회수조(35)를 향해 떨어지도록 하는 유입구(28)에 세탁액에 함유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를 설치할 수 있다. 동일한 목적을 위해, 유로(36)의 유출로(50)에서, 회수조(35)의 유출구(39)에 연결된 일단부(50A)에 필터를 설치할 수 있다. 필터는 유출구(39)에서 회수조(35) 내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덕트(7), 회수조(35) 및 유로(36) 등의 형상, 크기 및 분포는 임의의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덕트(7) 중의 송풍부(8), 가열부(9)의 위치도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급수로(29)는 타단부(29B)가 회수조(35)에 연결되고, 급수구(29C)가 회수조(35) 내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급수로(29)에서 직접 회수조(35) 내로 급수할 수 있다.
1: 신발 세탁장치; 3: 수용실; 4: 유지부; 7: 덕트; 8: 송풍부; 9: 가열부; 33: 개구부; 35: 회수조; 62B: 배수홀; S: 신발; SH: 신발 입구; SN: 내부 공간; ST; 신발 끝; Z2: 하방.

Claims (4)

  1. 신발을 수용하고 세탁액이 공급되는 수용실;
    상기 수용실 내의 신발의 신발 입구로부터 신발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신발 입구가 하방을 향하도록 신발을 유지하며, 신발의 내부 공간을 마주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중공의 유지부;
    상기 유지부에 연결된 덕트; 및
    상기 덕트에서 상기 유지부의 내부로 공기를 보내는 송풍부; 를 포함하는 신발 세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유지부에 의해 유지되는 신발의 신발 끝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신발 세탁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실로 부터 세탁액을 회수하는 회수조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에는 상기 유지부에 의해 유지되는 신발에서 상기 개구부 및 상기 유지부의 내부를 통해 상기 덕트 내에 도달한 수분이 상기 회수조로 떨어지도록 하는 배수홀이 형성되는 신발 세탁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에 의해 상기 덕트에서 상기 유지부의 내부로 보내지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신발 세탁장치.
KR1020187012994A 2015-10-09 2016-10-09 신발 세탁장치 KR1020514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01222A JP6611548B2 (ja) 2015-10-09 2015-10-09 靴洗浄装置
JPJP-P-2015-201222 2015-10-09
PCT/CN2016/101568 WO2017059816A1 (zh) 2015-10-09 2016-10-09 洗鞋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301A true KR20180063301A (ko) 2018-06-11
KR102051415B1 KR102051415B1 (ko) 2019-12-03

Family

ID=58487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994A KR102051415B1 (ko) 2015-10-09 2016-10-09 신발 세탁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16454B2 (ko)
EP (1) EP3360995A4 (ko)
JP (1) JP6611548B2 (ko)
KR (1) KR102051415B1 (ko)
CN (1) CN108138417B (ko)
WO (1) WO20170598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110B1 (ko) * 2018-11-06 2019-07-11 주식회사 스마트름뱅이 신발 세척 및 살균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5421A1 (zh) * 2016-06-16 2017-12-2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鞋装置
JP6800459B2 (ja) * 2015-10-09 2020-12-16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靴洗浄装置
JP7009816B2 (ja) * 2017-07-27 2022-02-10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 靴洗浄装置
JP7101376B2 (ja) * 2017-07-27 2022-07-15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 靴洗浄装置
JP6999111B2 (ja) * 2017-10-27 2022-02-04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 靴洗浄装置
CN107788933B (zh) * 2017-12-04 2019-01-18 温州海发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家用烘鞋设备
CN110946540B (zh) * 2018-09-27 2023-05-26 合肥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鞋机及其控制方法
CN111714062B (zh) * 2019-03-18 2022-04-0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鞋装置及洗涤设备
CN110507273A (zh) * 2019-10-10 2019-11-29 濮佳丽 一种具有全面清洗效果的自动洗鞋机
CN110643753A (zh) * 2019-11-06 2020-01-03 磐安林思皮革工业研究有限公司 一种延长高档皮具寿命的封装装置
JP7376043B2 (ja) * 2019-12-26 2023-11-08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 靴磨き装置
CN113057561B (zh) * 2021-04-06 2022-06-07 郭峰 一种浴场专用凉拖清洗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8094A (ja) * 1992-02-19 1993-09-07 Katsuhiko Ozawa 靴乾燥機
KR20020036819A (ko) * 2002-04-08 2002-05-16 이성로 신발 전용 세탁 건조기
US20090193676A1 (en) * 2008-01-31 2009-08-06 Guo Shengguang Shoe Drying Apparatus
US20110048474A1 (en) * 2009-09-01 2011-03-03 Soo Kil Kim Shoes refreshing, washing and drying machine
CN202168814U (zh) * 2011-05-30 2012-03-21 昆明冶金高等专科学校 一种具有风干、消毒功能的鞋子清洗装置
KR20140071200A (ko) * 2012-12-03 2014-06-11 이영우 운동화의 자동세탁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3890A (en) * 1965-05-14 1966-12-27 Valcox Corp Aspir-jet washer
GB1392805A (en) * 1971-04-27 1975-04-30 Hoover Ltd Washing machines
DE2659484A1 (de) * 1976-12-30 1978-07-06 Konrad Matulla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schuhen, insbesondere von sportschuhen
JP2532487B2 (ja) * 1987-07-20 1996-09-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靴乾燥装置
JPH0642864B2 (ja) * 1987-10-15 1994-06-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靴乾燥装置
US6584636B2 (en) * 2001-05-05 2003-07-01 Jon E Schlem Footwear cleaning apparatus
CN201147293Y (zh) * 2007-12-11 2008-11-12 荆门新科专利技术有限公司 一种多功能洗鞋机
CN201469236U (zh) 2009-08-10 2010-05-19 西安理工大学 节水型洗鞋机
CN102309299A (zh) * 2011-06-21 2012-01-11 苏州辉隆自动化设备有限公司 洗鞋机
CN202096183U (zh) 2011-06-21 2012-01-04 苏州辉隆自动化设备有限公司 洗鞋机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8094A (ja) * 1992-02-19 1993-09-07 Katsuhiko Ozawa 靴乾燥機
KR20020036819A (ko) * 2002-04-08 2002-05-16 이성로 신발 전용 세탁 건조기
US20090193676A1 (en) * 2008-01-31 2009-08-06 Guo Shengguang Shoe Drying Apparatus
US20110048474A1 (en) * 2009-09-01 2011-03-03 Soo Kil Kim Shoes refreshing, washing and drying machine
CN202168814U (zh) * 2011-05-30 2012-03-21 昆明冶金高等专科学校 一种具有风干、消毒功能的鞋子清洗装置
KR20140071200A (ko) * 2012-12-03 2014-06-11 이영우 운동화의 자동세탁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110B1 (ko) * 2018-11-06 2019-07-11 주식회사 스마트름뱅이 신발 세척 및 살균건조기
WO2020096176A1 (ko) * 2018-11-06 2020-05-14 주식회사 스마트름뱅이 신발 세척 및 살균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59816A1 (zh) 2017-04-13
JP6611548B2 (ja) 2019-11-27
EP3360995A4 (en) 2019-05-22
EP3360995A1 (en) 2018-08-15
US20180289237A1 (en) 2018-10-11
US10716454B2 (en) 2020-07-21
CN108138417A (zh) 2018-06-08
JP2017070631A (ja) 2017-04-13
KR102051415B1 (ko) 2019-12-03
CN108138417B (zh) 2020-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0762B1 (ko) 신발 세탁장치
KR20180063301A (ko) 신발 세탁장치
US7584633B2 (en) Spray type drum washing machine
WO2014016879A1 (ja) 洗濯乾燥機
KR20110124505A (ko) 세탁기와 그 물필터
KR100761135B1 (ko) 건조 겸용 세탁기
TWI447280B (zh) Laundry dryers and washing machines
WO2017215422A1 (zh) 洗鞋装置
KR101634171B1 (ko) 세탁기
WO2017215421A1 (zh) 洗鞋装置
CN111108242B (zh) 洗鞋装置
WO2014016996A1 (ja) 乾燥機能を有する洗濯機
WO2019019733A1 (zh) 洗鞋装置
KR20130123537A (ko) 세탁기의 필터장치
CN219010730U (zh) 清洁设备
CN110998008B (zh) 洗鞋装置
WO2019019732A1 (zh) 洗鞋装置
JP2024022837A (ja) 洗濯機
WO2019019734A1 (zh) 洗鞋装置
CN107299493A (zh) 洗涤干燥机
KR20130123538A (ko) 세탁기의 필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