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3250A - 모듈식 캐스케이디드 에너지 시스템을 갖는 레일 기반 및 다른 전기 차량을 위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듈식 캐스케이디드 에너지 시스템을 갖는 레일 기반 및 다른 전기 차량을 위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3250A
KR20230013250A KR1020227043403A KR20227043403A KR20230013250A KR 20230013250 A KR20230013250 A KR 20230013250A KR 1020227043403 A KR1020227043403 A KR 1020227043403A KR 20227043403 A KR20227043403 A KR 20227043403A KR 20230013250 A KR20230013250 A KR 20230013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nverter
modules
energy
energy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3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하일 슬렙첸코프
루즈베 나데리
모하마드 무사비
Original Assignee
티에이이 테크놀로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에이이 테크놀로지스, 인크. filed Critical 티에이이 테크놀로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230013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2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60L53/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charging converter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60L1/003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to auxiliary motors, e.g. for pumps, compres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8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llecting current from conductor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4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llecting current from lines in slotted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4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7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2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by charging in short intervals along the itinerary, e.g. during short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different nominal vol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9/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external to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10D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30A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40DC to A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모듈식 캐스케이디드 에너지 시스템을 갖는 레일 기반 전기 차량과 같이 간헐적으로 충전되는 전기 차량에 대해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모듈식 시스템은 EV의 수많은 모터 및 보조 부하에 다상, 단상 및/또는 DC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시스템 또는 서브시스템이 EV에 존재하는 경우, 예를 들어, 간헐적으로 접속된 충전 소스로부터 전력을 운반하도록 지정된 라인을 통해 또는 서브시스템의 어레이들 사이에 상호 접속된 모듈의 존재를 통해서와 같이 다수의 상이한 방식으로 이들 시스템 또는 서브시스템 사이에서 에너지를 교환하도록 상호 접속될 수 있다. 서브시스템은 모터 부하 단독, 모터 부하와 보조 부하 조합, 및 보조 부하 단독에 전력을 공급하는 서브시스템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모듈식 캐스케이디드 에너지 시스템을 갖는 레일 기반 및 다른 전기 차량을 위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5월 14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025,099호, 2020년 5월 22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029,368호, 및 2020년 9월 28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084,293호의 이익을 주장하고 이들 가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 모두는 모든 목적을 위해, 여기에 그 전체가 참조로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요지는 일반적으로 모듈식 캐스케이디드 에너지 시스템(modular cascaded energy systems)을 갖는 레일 기반 및 다른 전기 차량을 위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레일에서 동작하는 전기 차량의 경우 전기 모터를 구동하는 전력은 충전 소스에 의해 제공된다. 이 충전 소스는 일반적으로 트랙의 범위(span)를 따라 존재하는 고전압 전도체의 형태이다. 충전 소스는 예를 들어, 전차선(catenary)과 같은 오버 헤드 라인, 예를 들어, 제3 레일과 같은 지면 전력 공급 장치, 또는 예를 들어, 도관과 같은 지하 공급 장치일 수 있다. 레일 기반 EV는 EV가 이동할 때 충전 소스와 지속적으로 접촉하는 전도성 요소(예컨대, 팬터그래프 또는 플라우(plow))를 통해 이 충전 소스로부터 전력을 수신한다. 경우에 따라 레일 기반 EV는 정적 접근 방식을 사용하고 차량이 정지 상태에 있을 때 전도체를 충전 소스와 접촉하도록 연장하고 차량이 움직이지 않는 동안 충전하며, 이동을 재개하기 전에 전도체를 충전 소스와의 접촉으로부터 후퇴한다.
계속해서 레일을 따라 달리는 충전 소스 라인은 추가적인 물리적 공간과 기반 시설이 필요하고, 미학적이지 않을 수 있고, 환경에서 대중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며, 안전한 방식으로 건설 및 유지 관리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 종래의 레일 기반 EV는 모터 동작을 위한 전력을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레일 기반 EV가 충전 소스가 없는 레일 범위를 횡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레일 기반 EV는 주행거리(range)의 제한, 에너지 소스의 수명 제한, 전력을 필요로 하는 수많은 모터와 보조 부하를 갖춘 레일 기반 EV에 대해 구현 유연성 부족의 문제를 겪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일 기반 전기 차량 및 관련 차량 및 고정식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하기 위한 개선된 에너지 시스템에 대한 필요가 존재한다.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모듈식 캐스케이디드 에너지 시스템을 갖는 레일 기반 전기 차량과 같이 간헐적으로 충전되는 전기 차량에 대해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모듈식 시스템은 EV의 수많은 모터 및 보조 부하에 다상, 단상 및/또는 DC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시스템 또는 서브시스템이 EV에 존재하는 경우, 예를 들어, 간헐적으로 접속된 충전 소스로부터 전력을 운반하도록 지정된 라인을 통해 또는 서브시스템의 어레이들 사이에 상호 접속된 모듈의 존재를 통해서와 같이 다수의 상이한 방식으로 이들 시스템 또는 서브시스템 사이에서 에너지를 교환하도록 상호 접속될 수 있다. 서브시스템은 모터 부하 단독, 모터 부하와 보조 부하 조합, 및 보조 부하 단독에 대해 전력을 공급하는 서브시스템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서브시스템의 각 모듈은, 모듈이 간헐적으로 접속된 충전 소스로부터 비교적 높은 전압 신호를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에너지 소스를 충전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변환기로 해당 전압을 수정할 수 있도록, 또한 모듈이 하나 이상의 에너지 소스로부터의 DC 전압을 EV의 하나 이상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AC 출력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해 또 다른 변환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변환기 및 하나 이상의 에너지 소스로 구성될 수 있다. 충전은 예를 들어, 오버헤드, 지면 또는 지하 충전 소스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레일 기반 EV와 같이 EV가 이동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요지의 다른 시스템, 디바이스, 방법, 피처(features) 및 이점은, 다음의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의 검토시,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에게 명백할 것이거나 또는 명백하게 될 것이다. 모든 그러한 추가적인 시스템, 방법, 피처 및 이점은 이 설명 내에서 포함되어야 하고, 본원에서 설명되는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보호되어야 한다는 것이 의도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피처는, 청구항들에서 그들 피처의 명시적 기재가 없는 한, 첨부된 청구항을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그 구조 및 동작 둘 모두에 관한, 본원에서 기술되는 요지의 세부 사항은, 같은 참조 번호가 같은 부분을 가리키는 첨부의 도면의 연구에 의해 명백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의 컴포넌트는 반드시 일정한 비율은 아니며, 대신, 요지의 원리를 예시하는 데 강조가 이루어진다. 또한, 모든 예시는 개념을 전달하도록 의도되는데, 모든 예시에서, 상대적인 크기, 형상 및 다른 세부적인 속성은 문자 그대로 또는 정확하게 예시되기 보다는 개략적으로 예시될 수도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d 내지 도 1e는 에너지 시스템을 위한 제어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f 내지 도 1g는 부하 및 충전 소스와 결합된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에너지 시스템 내의 모듈 및 제어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c는 모듈의 물리적 구성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d는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의 물리적 구성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다양한 전기적 구성을 갖는 모듈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에너지 소스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에너지 버퍼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변환기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다양한 토폴로지를 갖는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a는 모듈의 예시적인 출력 전압을 도시하는 도표이다.
도 8b는 모듈 어레이의 예시적인 다중 레벨 출력 전압을 도시하는 도표이다.
도 8c는 펄스 폭 변조 제어 기술에서 사용 가능한 예시적인 기준 신호 및 반송파 신호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도 8d는 펄스 폭 변조 제어 기술에서 사용 가능한 예시적인 기준 신호 및 반송파 신호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도 8e는 펄스 폭 변조 제어 기술에 따라 생성된 예시적인 스위치 신호를 도시하는 도표이다.
도 8f는 펄스 폭 변조 제어 기술하에 모듈 어레이로부터 출력 전압의 중첩에 의해 생성된 예시적인 다중 레벨 출력 전압을 도시하는 도표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을 위한 제어기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a는 상호접속 모듈을 갖는 다상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다상 실시예에서 상호접속 모듈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c는 상호접속 모듈에 의해 함께 접속된 2개의 서브시스템을 갖는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d는 보조 부하를 공급하는 상호접속 모듈을 갖는 3상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e는 도 10d의 다상 실시예에서 상호접속 모듈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f는 보조 부하를 공급하는 상호접속 모듈을 갖는 3상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a는 전기 레일 기반 차량의 예시적인 경로를 도시하는 예시이다.
도 11b는 전기 레일 기반 차량을 위한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의 전기 레이아웃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c는 전기 레일 기반 차량을 위한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의 전기 레이아웃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d는 전기 레일 기반 차량을 위한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의 전기 레이아웃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e는 전기 레일 기반 차량을 위한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의 전기 레이아웃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f는 전기 레일 기반 차량을 위한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의 전기 레이아웃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b는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에서의 사용을 위한 모듈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에서의 사용을 위한 모듈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b는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토폴로지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c 내지 도 14d는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상호접속 모듈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토폴로지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상호접속 모듈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본 요지가 상세하게 설명되기 이전에, 본 개시는 설명되는 특정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그러한 만큼, 물론, 변경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기 때문에, 제한하도록 의도되지는 않는다.
간헐적 충전에 의존하는 레일 기반 및 다른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구현된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에 관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먼저 이러한 기본 시스템을 더 자세히 설명하는 것이 유용한다. 도 1a 내지 도 10f를 참조하여, 다음 섹션은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의 실시예, 즉,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을 위한 제어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의 실시예, 충전 소스 및 부하에 대한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실시예의 구성, 개별 모듈의 실시예, 시스템 내 모듈의 배열을 위한 토폴로지의 실시예, 제어 방법론의 실시예, 시스템 내 모듈의 동작 특성 밸런싱(balancing)의 실시예, 및 상호접속 모듈의 사용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설명한다.
애플리케이션의 예
고정식 애플리케이션은,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이 사용 중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지만 사용되지 않을 때는 대체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다. 모듈 기반 에너지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다른 엔티티가 소비하기 위해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거나 나중에 소비하기 위해 에너지를 저장하거나 버퍼링하는 동안 정적 위치에 있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는 고정식 애플리케이션의 예는 다음의 것을 포함하지만,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하나 이상의 주거용 구조물 또는 현장에 의한 또는 그들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에너지 시스템, 하나 이상의 산업용 구조물 또는 현장(locales)에 의한 또는 그들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에너지 시스템, 하나 이상의 상업용 구조물 또는 현장에 의한 또는 그들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에너지 시스템, 하나 이상의 정부 구조물 또는 현장(군사적 및 비군사적 용도 둘 모두를 포함함)에 의한 또는 그들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에너지 시스템, 이하에서 설명되는 이동식 애플리케이션을 충전하기 위한 에너지 시스템(예컨대, 충전 소스 또는 충전소), 및 태양력 발전, 풍력, 지열 에너지, 화석 연료, 또는 핵반응을, 저장을 위한 전기로 변환하는 시스템. 고정식 애플리케이션은 종종 예를 들어, 그리드 및 마이크로그리드, 모터 및 데이터 센터와 같은 부하를 공급한다. 고정식 에너지 시스템은 저장 역할 또는 비저장 역할 중 어느 하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때때로 트랙션 애플리케이션(traction applications)이라고 언급되는 이동식 애플리케이션은, 일반적으로, 모듈 기반의 에너지 시스템이 엔티티 상에 또는 내에 위치되고, 그 엔티티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이동시키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모터에 의해 원동력(motive force)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기 에너지를 저장 및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실시예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이동식 엔티티의 예는, 육지 위 또는 아래에서, 바다 위 또는 아래에서, 육지 또는 바다 위에서 그들과 떨어져(예컨대, 공중에서 날고 있거나 또는 호버링함), 또는 우주 공간(outer space)을 통해 이동하는 전기 및/또는 하이브리드 엔티티를 포함하지만,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실시예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이동식 엔티티의 예는, 차량, 기차, 전차, 배(ship), 선박(vessel), 항공기, 및 우주선을 포함하지만,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실시예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이동식 차량의 예는, 단지 하나의 휠 또는 트랙을 갖는 것들, 단지 두 개의 휠 또는 트랙을 갖는 것들, 단지 세 개의 휠 또는 트랙을 갖는 것들, 단지 네 개의 휠 또는 트랙을 갖는 것들, 그리고 다섯 개 이상의 휠 또는 트랙을 갖는 것들을 포함하지만,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실시예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이동식 엔티티의 예는, 자동차, 버스, 트럭, 오토바이, 스쿠터, 산업용 차량, 광산 차량, 비행 차량(flying vehicle)(예컨대, 비행기, 헬리콥터, 드론, 등등), 해상 선박(예컨대, 상업용 수송 선박, 배, 요트, 보트 또는 다른 선박(watercraft)), 잠수함, 기관차 또는 레일 기반의 차량(예컨대, 기차, 전차 등), 군용 차량, 우주선, 및 위성을 포함하지만,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한 고정식 애플리케이션(예컨대, 그리드, 마이크로 그리드, 데이터 센터,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또는 이동식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전기 차량)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한 참조는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만들어지며, 특정한 실시예가 그 특정한 이동식 또는 고정식 애플리케이션으로만 사용되도록 제한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모터에 전력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실시예는 이동식 애플리케이션 및 고정식 애플리케이션 둘 모두에서 사용될 수 있다. 소정의 구성이 다른 것에 비해 몇몇 애플리케이션에 더 적합할 수도 있지만, 본원에서 개시되는 모든 예시적인 실시예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이동식 애플리케이션 및 고정식 애플리케이션 둘 모두에서 사용될 수 있다.
모듈 기반 에너지 시스템의 예
도 1a는 모듈 기반의 에너지 시스템(10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여기서, 시스템(100)은, 통신 경로 또는 링크(106-1 내지 106-N)를 통해, 각각, N 개의 변환기-소스 모듈(108-1 내지 108-N)과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어 시스템(102)을 포함한다. 모듈(108)은 에너지를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부하(101)(또는 다른 모듈(108))에 에너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실시예에서, 임의의 수의 두 개 이상의 모듈(108)이 사용될 수 있다(예컨대, N은 2 이상임). 모듈(108)은 도 7a 내지 도 7e와 관련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예시의 용이성을 위해, 도 1a 내지 도 1c에서, 모듈(108)은 직렬로, 또는 일차원 어레이로서 접속되어 도시되는데, 여기서 N번째 모듈은 부하(101)에 결합된다.
시스템(100)은 부하(101)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부하(101)는 예를 들어, 모터 또는 그리드와 같은 임의의 유형의 부하일 수 있다. 시스템(100)은 또한 충전 소스로부터 수신된 전력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도 1f는 충전 소스(15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전력 입력 인터페이스(151) 및 부하(101)에 전력을 출력하기 위한 전력 출력 인터페이스를 갖는 시스템(10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시스템(100)은 인터페이스(152)를 통해 전력을 출력함과 동시에 인터페이스(151)를 통해 전력을 수신 및 저장할 수 있다. 도 1g는 전환 가능한 인터페이스(154)를 갖는 시스템(100)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시스템(100)은 충전 소스(15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것과 부하(101)에 전력을 출력하는 것 사이에서 선택하거나 선택하도록 지시받을 수 있다. 시스템(100)은 기본 부하(primary loads) 및 보조 부하(auxiliary loads) 모두를 포함하는 다수의 부하(101)를 공급하고 그리고/또는 다수의 충전 소스(150)(예컨대, 유틸리티 운영 전력망 및 로컬 재생 에너지 소스(예컨대, 태양열))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b는 시스템(100)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제어 시스템(102)은 통신 경로 또는 링크(115-1 내지 115-N)를 통해, 각각, N개의 상이한 로컬 제어 디바이스(local control device; LCD)(114-1 내지 114-N)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스터 제어 디바이스(master control device; MCD)(112)로서 구현된다. 각각의 LCD(114-1 내지 114-N)는 통신 경로 또는 링크(116-1 내지 116-N)를 통해, 각각, 하나의 모듈(108-1 내지 108-N)과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결과, LCD(114)와 모듈(108) 사이에 1:1 관계가 존재한다.
도 1c는 시스템(100)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MCD(112)는 각각 통신 경로 또는 링크(115-1 내지 115-M)를 통해 M개의 상이한 LCD(114-1 내지 114-M)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다. 각각의 LCD(114)는 2개 이상의 모듈(108)과 결합되어 이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시되는 예에서, 각각의 LCD(114)는 두 개의 모듈(108)과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결과, M개의 LCD(114-1 내지 114-M)는 통신 경로 또는 링크(116-1 내지 116-2M)를 통해 각각 2M개의 모듈(108-1 내지 108-2M)과 결합된다.
제어 시스템(102)은 전체 시스템(100)에 대한 단일 디바이스(예컨대, 도 1a)로서 구성될 수 있거나, 다수의 디바이스(예컨대, 도 1b-1c) 전체에 걸쳐 분산되거나 이들 다수의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시스템(102)은 MCD(112)가 필요하지 않고 시스템(100)에서 생략될 수 있도록 모듈(108)과 연관된 LCD들(114) 사이에 분산될 수 있다.
제어 시스템(102)은 소프트웨어(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되는 명령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시스템(102)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는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싱 회로(120) 및 메모리(122)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 및 메모리의 예시적인 구현예가 하기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제어 시스템(102)은 통신 링크 또는 경로(105)를 통해 시스템(100) 외부의 디바이스(104)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시스템(102)(예컨대, MCD(112))은 시스템(100)에 대한 데이터 또는 정보를 또 다른 제어 디바이스(104)(예컨대, 이동식 애플리케이션에서 차량의 전자 제어 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ECU) 또는 모터 제어 유닛(Motor Control Unit; MCU), 고정식 애플리케이션에서의 그리드 제어기 등)에 출력할 수 있다.
통신 경로 또는 링크(105, 106, 115, 116, 및 118)(도 2b)는 각각 데이터 또는 정보를 병렬 또는 직렬 방식으로 양방향으로 통신하는 유선(예컨대, 전기, 광학) 또는 무선 통신 경로일 수 있다. 데이터는 표준화된(예컨대, IEEE, ANSI) 또는 사용자 지정(예컨대, 독점) 형식으로 전달될 수 있다.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에서, 통신 경로(115)는 FlexRay 또는 CAN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경로(106, 115, 116, 및 118)는 또한 하나 이상의 모듈(108)로부터 제어 시스템(102)에 대한 동작 전력을 직접 공급하기 위해 유선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LCD(114)에 대한 동작 전력은, LCD(114)가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108)에 의해서만 공급될 수 있고, MCD(112)에 대한 동작 전력은(예컨대, 자동차의 전력 네트워크를 통해) 모듈(108)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간접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어 시스템(102)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하나 이상의 모듈(108)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모듈(108)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는 예를 들어, 부하(101)의 요건과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요인에 또한 기초할 수 있다. 제어 가능한 양상은 각 모듈(108)의 전압, 전류, 위상 및/또는 출력 전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시스템(100)의 모든 모듈(108)의 상태 정보는 모든 모듈(108-1...108-N)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102)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다른 변형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특정 모듈(108)(또는 모듈(108)의 서브세트)은, 해당 특정 모듈(108)(또는 서브세트)의 상태 정보에 기초해, 해당 특정 모듈(108)(또는 서브세트)이 아닌 다른 모듈(108)의 상태 정보에 기초해, 해당 특정 모듈(108)(또는 서브세트) 이외의 모든 모듈(108)의 상태 정보에 기초해, 해당 특정 모듈(108)(또는 서브세트)의 상태 정보 및 해당 특정 모듈(또는 서브세트)이 아닌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듈(108)의 상태 정보에 기초해, 또는 시스템(100)의 모든 모듈(108)의 상태 정보에 기초해 제어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각 모듈(108)의 하나 이상의 양상, 특성, 또는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상태 정보의 유형은 모듈(108) 또는 그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예컨대, 에너지 소스, 에너지 버퍼, 변환기, 모니터 회로)의 다음 양상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모듈의 하나 이상의 에너지 소스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예컨대, 용량에 대한 에너지 소스의 충전 레벨, 예컨대, 분수 또는 백분율), 모듈의 하나 이상의 에너지 소스의 건전성 상태(State of Health; SOH)(예컨대, 이상적인 조건과 비교된 에너지 소스의 조건의 성능 지수), 모듈의 하나 이상의 에너지 소스 또는 다른 컴포넌트의 온도, 모듈의 하나 이상의 에너지 소스의 용량, 모듈의 하나 이상의 에너지 소스 및/또는 다른 컴포넌트의 전압, 모듈의 하나 이상의 에너지 소스 및/또는 다른 컴포넌트의 전류, 및/또는 모듈의 컴포넌트 중 하나 이상에서의 결함(fault)의 유무.
LCD(114)는 각 모듈(108)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거나 각 모듈(108)로부터 또는 각 모듈(108) 내에서 수신된 모니터링된 신호 또는 데이터로부터 상태 정보를 결정하고 그 정보를 MCD(112)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 LCD(114)는 원시 수집 데이터를 MCD(112)에 전달할 수 있고, MCD는 그 후 원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태 정보를 알고리즘적으로 결정한다. 그런 다음, MCD(112)는 모듈(108)의 상태 정보를 사용하여 상응하게 제어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이 결정은 각 모듈(108)의 동작을 유지하거나 조정하기 위해, LCD(114)에 의해 활용될 수 있는 명령어, 명령, 또는 다른 정보(예컨대, 하기에서 설명되는 변조 지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CD(112)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그 정보를 평가하여 적어도 하나의 모듈(108)(예컨대, 그 컴포넌트)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모듈(108)(예컨대, 그것의 비교 가능한 컴포넌트) 사이의 차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CD(112)는 특정 모듈(108)이 하나 이상의 다른 모듈(108)과 비교하여 다음 조건 중 하나로 동작하고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더 낮거나 더 높은 SOC로, 상대적으로 더 낮거나 더 높은 SOH로, 상대적으로 더 낮거나 더 높은 용량으로, 상대적으로 더 낮거나 더 높은 전압으로, 상대적으로 더 낮거나 더 높은 전류로, 상대적으로 더 낮거나 더 높은 온도로, 또는 결함이 있거나 없이. 그러한 예들에서, MCD(112)는 (조건에 따라) 해당 특정 모듈(108)의 관련 양상(예컨대, 출력 전압, 전류, 전력, 온도)이 감소 또는 증가되게 하는 제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컨대, 상대적으로 더 낮은 SOC 또는 더 높은 온도로 동작하는) 이상치 모듈(outlier module)(108)의 활용은 해당 모듈(108)의 관련 파라미터(예컨대, SOC 또는 온도)가 하나 이상의 다른 모듈(108)의 관련 파라미터로 수렴되도록 감소될 수 있다.
특정한 모듈(108)의 동작을 조정할지의 여부의 결정은, 사전 결정된 문턱값, 한계, 또는 조건에 대한 상태 정보의 비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드시 다른 모듈(108)의 상태에 대한 비교에 의하지는 않는다. 사전 결정된 문턱값, 한계, 또는 조건은 사용 동안 변경되지 않는, 제조사에 의해 설정한 것들과 같은 정적인 문턱값, 한계, 또는 조건일 수 있다. 사전 결정된 문턱값, 한계, 또는 조건은 사용 중에 변경이 허용되는 또는 변경되는 동적 문턱값, 한계, 또는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MCD(112)는, 모듈(108)이 사전 결정된 문턱값 또는 한계를 위반하여(예컨대, 그 사전 결정된 문턱값 또는 한계 위에서 또는 아래에서), 또는 허용 가능한 동작 조건의 사전 결정된 범위를 벗어나 동작하고 있다는 것을 해당 모듈(108)에 대한 상태 정보가 나타내는 경우, 해당 모듈(108)의 동작을 조정할 수 있다. 유사하게, MCD(112)는, 모듈에 대한 상태 정보가 실제의 또는 잠재적인 결함의 존재를 나타내거나(예컨대, 경보, 또는 경고) 또는 실제의 또는 잠재적인 결함의 부재 또는 제거를 나타내는 경우, 해당 모듈(108)의 동작을 조정할 수 있다. 결함의 예는, 컴포넌트의 실제 고장, 컴포넌트의 잠재적 고장, 단락 또는 다른 과도한 전류 조건, 개방 회로, 과도한 전압 조건, 통신 수신의 실패, 손상된 데이터의 수신, 및 등등을 포함하지만,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결함의 유형과 심각도에 따라, 결함이 있는 모듈의 활용을 줄여 모듈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모듈의 활용을 완전히 중단할 수 있다.
MCD(112)는 시스템(100) 내의 모듈(108)을 제어하여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거나 이를 향해 수렴할 수 있다. 목표는, 예를 들어, 서로에 대해 동일한 또는 유사한 레벨에서의, 또는 사전 결정된 문턱값, 한계, 또는 조건 내에서의 모든 모듈(108)의 동작일 수 있다. 이 프로세스는 또한, 모듈(108)의 동작 또는 동작 특성에서의 밸런싱 또는 밸런스를 달성하기 위한 추구로서 지칭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밸런스"는 모듈(108) 또는 그 컴포넌트 사이의 절대적인 동등성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불일치를 적극적으로 감소시키지 않으면 존재할 모듈들(108) 사이의 동작에서의 불일치를 적극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시스템(100)의 동작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전달하도록 광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다.
MCD(112)는 LCD(114)와 연관된 모듈(108)을 제어할 목적으로 LCD(114)에 제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변조 지수 및 기준 신호, 변조된 기준 신호, 또는 기타일 수 있다. 각각의 LCD(114)는 연관된 모듈(들)(108) 내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예컨대, 변환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제어 정보를 사용(예컨대, 수신 및 프로세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MCD(112)는 스위치 신호를 직접 생성하고 이를 LCD(114)에 출력하고, LCD(114)는 스위치 신호를 의도된 모듈 컴포넌트에 중계한다.
제어 시스템(102)의 전부 또는 일부는 이동식 또는 고정식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다른 양상을 제어하는 시스템 외부 제어 디바이스(104)와 결합될 수 있다. 이 공유 또는 공통 제어 디바이스(또는 서브시스템)에 통합될 때, 시스템(100)의 제어는 공유된 디바이스의 하드웨어와 함께 공유된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외부 제어 디바이스(104)의 비제한적인 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차량 기능(예컨대, 모터 제어, 운전자 인터페이스 제어, 트랙션 제어 등)에 대한 제어 능력을 갖는 차량 ECU 또는 MCU; 하나 이상의 다른 전력 관리 기능(예컨대, 부하 인터페이싱, 부하 전력 요건 예측, 전송 및 스위칭, 충전 소스(예컨대, 디젤, 태양열, 풍력)와의 인터페이스)을 담당하는 그리드 또는 마이크로 그리드 제어기, 충전 소스 전력 예측, 백업 소스 모니터링, 자산 디스패치(asset dispatch) 등); 및 데이터 센터 제어 서브시스템(예컨대, 환경 제어, 네트워크 제어, 백업 제어 등)을 포함한다.
도 1d 및 도 1e는, 제어 시스템(102)이 구현될 수 있는 공유 또는 공통 제어 디바이스(또는 시스템)(132)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d에서, 공통 제어 디바이스(132)는 마스터 제어 디바이스(112) 및 외부 제어 디바이스(104)를 포함한다. 마스터 제어 디바이스(112)는 경로(115)를 통해 LCD(114)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141)뿐만 아니라 내부 통신 버스(136)를 통해 외부 제어 디바이스(104)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142)를 포함한다. 외부 제어 디바이스(104)는 버스(136)를 통해 마스터 제어 디바이스(112)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143), 및 통신 경로(136)를 통해 전체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엔티티(예컨대, 차량 또는 그리드의 컴포넌트)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14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공통 제어 디바이스(132)는 내부에 포함된 개별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 칩 또는 패키지로서 구현되는 디바이스(112 및 104)를 갖는 공통 하우징 또는 패키지로서 통합될 수 있다.
도 1e에서, 외부 제어 디바이스(104)는 공통 제어 디바이스(132)로서 작용하며, 마스터 제어 기능성은 디바이스(104) 내의 컴포넌트(112)로서 구현된다. 이 컴포넌트(112)는 디바이스(104)의 메모리 내에 저장 및/또는 하드코딩되고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다른 프로그램 명령어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포넌트는 전용 하드웨어도 포함할 수 있다. 컴포넌트는 외부 제어 디바이스(104)의 운영 소프트웨어와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내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예컨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가 있는 독립형 모듈 또는 코어일 수 있다. 외부 제어 디바이스(104)는 인터페이스(141)를 통한 LCD(114) 및 인터페이스(144)를 통한 다른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관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4/132)는 단일 IC 칩으로서 통합될 수 있고, 단일 패키지에서 다수의 IC 칩으로 통합될 수 있거나, 공통 하우징 내에 다수의 반도체 패키지로서 통합될 수 있다.
도 1d 및 도 1e의 실시예에서, 시스템(102)의 마스터 제어 기능성은 공통 디바이스(132)에서 공유되지만, 공유 제어의 다른 분할이 허용된다. 예를 들어, 마스터 제어 기능성의 일부는 공통 디바이스(132)와 전용 MCD(112) 사이에 배포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마스터 제어 기능성 및 로컬 제어 기능성의 적어도 일부는 공통 디바이스(132)에서 구현될 수 있다(예컨대, 잔여 로컬 제어 기능성은 LCD(114)에서 구현됨). 일부 실시예에서, 모든 제어 시스템(102)은 공통 디바이스(또는 서브시스템)(132)에서 구현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로컬 제어 기능성은 예를 들어,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과 같은, 각 모듈(108)의 또 다른 컴포넌트와 공유되는 디바이스 내에서 구현된다.
캐스케이디드 에너지 시스템 내 모듈의 예
모듈(108)은 하나 이상의 에너지 소스 및 전력 전자 변환기, 및 원하는 경우 에너지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내지 2b는 전력 변환기(202), 에너지 버퍼(204), 및 에너지 소스(206)를 가진 모듈(108)을 갖는 시스템(100)의 추가적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변환기(202)는 전압 변환기 또는 전류 변환기일 수 있다. 실시예는 전압 변환기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만,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변환기(202)는 에너지 소스(204)로부터의 직류(direct current; DC) 신호를 교류(alternating current; AC)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전력 접속부(110)(예컨대, 인버터)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변환기(202)는 또한 접속부(110)를 통해 AC 신호 또는 DC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연속 형태 또는 펄스 형태의 극성을 갖는 에너지 소스(204)에 인가할 수 있다. 변환기(202)는 예를 들어, 풀 브리지의 하프 브리지(H-브리지)와 같은 스위치(예컨대, 전력 트랜지스터)의 배열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변환기(202)는 스위치만을 포함하고 변환기(및 모듈 전체)는 변압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변환기(202)는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AC 소스로부터 DC 에너지 소스를 충전하는 것과 같이 AC에서 DC로의 변환(예컨대, 정류기), DC에서 DC로의 변환, 및/또는 AC에서 AC로의 변환(예컨대, AC-DC 변환기와 함께 사용)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C-AC 변환을 수행하기 위한 일부 실시예에서, 변환기(202)는 단독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전력 반도체(예컨대, 스위치, 다이오드, 사이리스터 등)와 조합하여 변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량 및 비용이 중요한 요소인 것과 같은 다른 실시예에서, 변환기(202)는 변압기 없이 전력 스위치, 전력 다이오드, 또는 다른 반도체 디바이스만으로 변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너지 소스(206)는 바람직하게는 직류를 출력할 수 있고 전기 구동 디바이스용 에너지 저장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에너지 밀도를 갖는 견고한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이다. 연료 전지는 단일 연료 전지,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된 다수의 연료 전지, 또는 연료 전지 모듈일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에너지 소스는 각 모듈에 포함될 수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소스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유형의 두 개의 배터리, 동일하거나 상이한 유형의 두 개의 커패시터, 동일하거나 상이한 유형의 두 개의 연료 전지,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 및/또는 연료 전지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배터리, 및 하나 이상의 연료 전지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에너지 소스(206)는 예를 들어, 단일 배터리 셀, 또는 배터리 모듈 또는 어레이에서 함께 접속된 다수의 배터리 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전기화학 배터리일 수 있다. 도 4a 내지 4d는 단일 배터리 셀(402)(도 4a), 다수의(예컨대, 4개의) 셀(402)의 직렬 접속을 갖는 배터리 모듈(도 4b), 단일 셀(402)의 병렬 접속을 갖는 배터리 모듈(도 4c), 및 각각 다수의(예컨대, 2개의) 셀(402)을 갖는 레그(legs)와의 병렬 접속을 갖는 배터리 모듈(도 4d)로서 구성된 에너지 소스(206)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배터리 유형의 예로는 고상 배터리, 액체 전기형 기반 배터리, 액상 배터리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리튬(Li) 금속 배터리, Li 이온 배터리, Li 공기 배터리, 나트륨 이온 배터리, 칼륨 이온 배터리, 마그네슘 이온 배터리, 알카라인 배터리, 니켈 금속 수소화물 배터리, 황산니켈 배터리, 납산 배터리, 아연 공기 배터리와 같은 흐름 배터리 및 기타를 포함한다. Li 이온 배터리 유형의 몇 가지 예는 Li 코발트 산화물(LCO), Li 망간 산화물(LMO), Li 니켈 망간 코발트 산화물(NMC), Li 철 인산염(LFP), 리튬 니켈 코발트 알루미늄 산화물(NCA) 및 리튬 티탄염(LTO)을 포함한다.
에너지 소스(206)는 또한 예를 들어, 울트라커패시터 또는 슈퍼커패시터와 같은 고에너지 밀도(high energy density; HED) 커패시터일 수 있다. HED 커패시터는 일반적인 전해 커패시터의 고체 유전체형과는 달리, 이중층 커패시터(정전 전하 저장), 의사 커패시터(전기화학적 전하 저장),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정전 및 전기화학)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HED 커패시터는 더 높은 용량과 더불어 전해 커패시터의 에너지 밀도의 10배 내지 100배(또는 그 이상)의 에너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HED 커패시터는 킬로그램당 1.0 와트시(Wh/kg)보다 큰 비에너지(specific energy)와 10 패럿(F) 내지 100 패럿(F)보다 큰 커패시턴스를 가질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와 관련하여 설명된 배터리와 같이, 에너지 소스(206)는 어레이(예컨대, 직렬, 병렬 또는 이들의 조합)로 함께 접속된 단일 HED 커패시터 또는 다수의 HED 커패시터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에너지 소스(206)는 또한 연료 전지일 수 있다. 연료 전지의 예로는 양성자 교환막 연료 전지(proton-exchange membrane fuel cell; PEMFC), 인산 연료 전지(phosphoric acid fuel cell; PAFC), 고체산 연료 전지, 알칼리성 연료 전지, 고온 연료 전지,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용융 전해질 연료 전지 등을 포함한다. 도 4a 내지 도 4d와 관련하여 설명된 배터리와 같이, 에너지 소스(206)는 어레이(예컨대, 직렬, 병렬 또는 이들의 조합)로 함께 접속된 단일 연료 전지 또는 다수의 연료 전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 커패시터 및 연료 전지의 전술한 예는 완전한 목록을 형성하도록 의도되지 않았으며, 당업자는 본 요지의 범위 내에 속하는 다른 변형을 인식할 것이다.
에너지 버퍼(204)는 DC 라인 또는 링크(예컨대, 아래에서 설명되는 +VDCL 및 -VDCL) 전체에 걸쳐 전류의 변동을 감쇠하거나 필터링하여 DC 링크 전압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변동은 변환기(202)의 스위칭, 또는 다른 과도에 의해 야기되는 상대적으로 낮거나(예컨대, 킬로헤르츠) 높은(예컨대, 메가헤르츠) 주파수 변동 또는 고조파일 수 있다. 이러한 변동은 소스(206)로 또는 변환기(202)의 포트(IO3 및 IO4)로 전달되는 대신 버퍼(204)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전력 접속부(110)는 모듈(108)로, 모듈(108)로부터, 모듈(108)을 통해 에너지 또는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접속부이다. 모듈(108)은 에너지 소스(206)로부터 전력 접속부(110)로 에너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여기서 에너지는 시스템의 다른 모듈로 또는 부하로 전달될 수 있다. 모듈(108)은 또한 다른 모듈(108) 또는 충전 소스(DC 충전기, 단상 충전기, 다상 충전기)로부터 에너지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는 또한 에너지 소스(206)를 우회하는 모듈(108)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모듈(108) 안팎으로 에너지 또는 전력의 라우팅은 LCD(114)(또는 시스템(102)의 또 다른 엔티티)의 제어 하에 변환기(202)에 의해 수행된다.
도 2a의 실시예에서, LCD(114)는 모듈(108)로부터 분리된 컴포넌트로서 구현되고(예컨대, 공유 모듈 하우징 내에 있지 않음) 통신 경로(116)를 통해 변환기(202)에 접속되고 그것과 통신할 수 있다. 도 2b의 실시예에서, LCD(114)는 모듈(108)의 컴포넌트로서 포함되고 내부 통신 경로(118)(예컨대, 공유 버스 또는 개별 접속)를 통해 변환기(202)에 접속되고 그것과 통신할 수 있다. LCD(114)는 또한 경로(116 또는 118)를 통해 에너지 버퍼(204) 및/또는 에너지 소스(206)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것들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모듈(108)은 또한 예를 들어, 전압, 전류, 온도 또는 상태 정보를 구성하는 다른 동작 파라미터와 같은 모듈(108)의 하나 이상의 양상 및/또는 그 컴포넌트를 모니터링(예컨대, 수집, 감지, 측정, 및/또는 결정)하도록 구성된 모니터 회로(208)를 포함할 수 있다(또는 예를 들어, LCD(114)에 의해 상태 정보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태 정보의 주요 기능은 모듈(108)의 하나 이상의 에너지 소스(206)의 상태를 설명하여 시스템(100)의 다른 소스와 비교하여 에너지 소스를 얼마나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지만, 다른 컴포넌트의 상태를 설명하는 상태 정보(예컨대, 전압, 온도 및/또는 버퍼(204)의 결함 존재, 온도 및/또는 변환기(202) 결함의 존재, 모듈(108)의 다른 곳에 결함의 존재 등)가 활용 결정에도 사용될 수 있다. 모니터 회로(208)는 하나 이상의 센서, 션트, 분할기, 결함 검출기, 쿨롱 카운터, 제어기 또는 이러한 양상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다른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 회로(208)는 다양한 컴포넌트(202, 204, 및 206)로부터 분리될 수 있거나, 각각의 컴포넌트(202, 204, 및 206)(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됨)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통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니터 회로(208)는 배터리 에너지 소스(204)에 대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의 일부이거나 이와 공유될 수 있다. 하나보다 많은 유형의 상태 정보가 단일 회로 또는 디바이스로 모니터링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추가 회로에 대한 필요 없이 알고리즘적으로 결정될 수 있으므로, 각 유형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개별 회로가 필요하지 않는다.
LCD(114)는 통신 경로(116, 118)를 통해 모듈 컴포넌트에 대한 상태 정보(또는 원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LCD(114)는 또한 경로(116, 118)를 통해 모듈 컴포넌트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경로(116 및 118)는 진단, 측정, 보호 및 제어 신호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된 정보는 하나 이상의 모듈 컴포넌트에 대한 제어 신호일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변환기(202)에 대한 스위치 신호 및/또는 모듈 컴포넌트로부터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하나 이상의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LCD(114)는 상태 정보를 직접 요청함으로써, 또는 상태 정보가 생성되도록 자극(예컨대,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어떤 경우에는 변환기(202)를 특정 상태로 배치하는 스위치 신호와 조합하여 상태 정보가 경로(116, 118)를 통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모듈(108)의 물리적 구성 또는 레이아웃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듈(108)은 모든 모듈 컴포넌트, 예를 들어, 변환기(202), 버퍼(204), 및 소스(206)가 예를 들어, 통합된 LCD(114)와 같은 다른 선택적인 컴포넌트와 함께 수용되는 공통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양한 컴포넌트는 함께 고정되는 개별 하우징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2c는, 모듈의 에너지 소스(206) 및 예를 들어, 모니터 회로(208)(미도시)와 같은 동반되는 전자 장치를 홀딩하는 제1 하우징(220), 예를 들어, 변환기(202), 에너지 버퍼(204), 및 예를 들어, 모니터 회로(미도시)와 같은 다른 동반되는 전자 장치와 같은 모듈 전자 장치를 홀딩하는 제2 하우징(222), 및 모듈(108)을 위한 LCD(114)(도시되지 않음)를 홀딩하는 제3 하우징(224)을 갖는 모듈(108)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다양한 모듈 컴포넌트들 사이의 전기 접속은 하우징(220, 222, 224)을 통해 진행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다른 모듈(108) 또는 MCD(112)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와의 접속을 위해 하우징 외부 중 임의의 것 상에 노출될 수 있다.
시스템(100)의 모듈(108)은 애플리케이션의 필요 및 부하의 수에 의존하는 다양한 구성으로 서로에 대해 물리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100)이 마이크로그리드에 전력을 제공하는 고정식 애플리케이션에서 모듈(108)은 하나 이상의 랙 또는 다른 프레임워크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해상 선박과 같은 더 큰 이동식 애플리케이션에도 적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모듈(108)은 함께 고정되고 팩(pack)이라고 하는 공통 하우징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랙 또는 팩은 모든 모듈 전체에 걸쳐 공유되는 자체 전용 냉각 시스템을 가질 수 있다. 팩 구성은 예를 들어, 전기 차량과 같은 소형 이동식 애플리케이션에 유용하다. 시스템(100)은 (예컨대, 마이크로그리드에 병렬 공급을 위해) 하나 이상의 랙 또는 (예컨대, 차량의 상이한 모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d는 공통 하우징(230) 내에서 전기적으로 그리고 물리적으로 함께 결합된 9개의 모듈(108)을 갖는 팩으로서 구성된 시스템(10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러한 구성 및 추가 구성의 예는 모든 목적을 위해 전체가 여기에 참조로 포함되는, 국제 출원 공개공보 제2020/205574호에서 설명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다양한 전기적 구성을 갖는 모듈(108)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들 실시예는 모듈(108)당 하나의 LCD(114)를 갖는 것으로 설명되고, LCD(114)는 연관된 모듈 내에 수용되지만,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도 3a는 시스템(100) 내의 모듈(108A)의 제1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모듈(108A)은 에너지 소스(206), 에너지 버퍼(204), 및 변환기(202A)를 포함한다. 각 컴포넌트는, 전력이 입력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전력이 출력될 수 있는 전력 접속 포트(예컨대, 단자, 커넥터)를 가지고 있으며, 여기서 IO 포트라고 지칭된다. 이러한 포트는 상황에 따라 입력 포트 또는 출력 포트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에너지 소스(206)는 여기에 설명된 에너지 소스 유형 중 임의의 것(예컨대, 도 4a 내지 도 4d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은 배터리, HED 커패시터, 연료 전지, 또는 기타)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에너지 소스(206)의 포트(IO1 및 IO2)는 에너지 버퍼(204)의 포트(IO1 및 IO2)에 각각 접속될 수 있다. 에너지 버퍼(204)는 변환기(202)를 통해 버퍼(204)에 도달하는 고주파수 에너지 맥동 및 저주파수 에너지 맥동을 버퍼링하거나 필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모듈(108)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버퍼(204)에 대한 토폴로지 및 컴포넌트는 이러한 고주파수 전압 맥동의 최대 허용 진폭을 수용하도록 선택된다. 에너지 버퍼(204)의 몇몇(비제한적)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5a 내지 도 5c의 개략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서, 버퍼(204)는 전해 및/또는 막 커패시터(CEB)이고, 도 5b에서 버퍼(204)는 2개의 인덕터(LEB1 및 LEB2)와 2개의 전해 및/또는 막 커패시터(CEB1 및 CEB2)에 의해 형성된 Z-소스 네트워크(710)이고, 도 5c에서 버퍼(204)는 2개의 인덕터(LEB1 및 LEB2), 2개의 전해 및/또는 막 커패시터(CEB1 및 CEB2) 및 다이오드(DEB)에 의해 형성된 준(quasi) Z-소스 네트워크(720)이다.
에너지 버퍼(204)의 포트(IO3 및 IO4)는 변환기(202A)의 포트(IO1 및 IO2)에 각각 접속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전력 변환기 유형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 6a는 포트(IO1 및 IO2)에서 DC 전압을 수신하고 포트(IO3 및 IO4)에서 펄스를 생성하도록 스위치할 수 있는 DC-AC 변환기로서 구성된 변환기(202A)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변환기(202A)는 다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서 변환기(202A)는 풀 브리지 구성으로 배열된 4개의 스위치(S3, S4, S5, S6)를 포함한다. 제어 시스템(102) 또는 LCD(114)는 제어 입력 라인(118-3)을 통해 각 게이트에 대한 각 스위치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치는 예를 들어, 여기에 도시된 금속 산화물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 MOSFET),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 또는 갈륨 질화물(GaN) 트랜지스터와 같은 전력 반도체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스위치 유형일 수 있다. 반도체 스위치는 상대적으로 높은 스위칭 주파수에서 동작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소망되는 경우, 변환기(202)가 펄스 폭 변조(pulse-width modulated; PWM) 모드에서 동작되는 것, 및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간격 내에서 제어 명령에 응답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것은 과도 모드(transient mode)에서 빠른 동적 거동 및 출력 전압 조절의 높은 공차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DC 라인 전압(VDCL)은 포트(IO1)와 포트(IO2) 사이의 변환기(202)에 인가될 수 있다. 스위치(S3, S4, S5, S6)의 상이한 조합에 의해 포트(IO3 및 IO4)에 VDCL을 접속함으로써, 변환기(202)는 포트(IO3 및 IO4)에서 세 가지 상이한 전압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VDCL, 0 및 -VDCL. 각 스위치에 제공되는 스위치 신호는 스위치가 켜져 있는지(닫힘) 꺼져 있는지(열림)를 제어한다. +VDCL을 얻기 위해 스위치 S4와 S5가 턴오프된 동안에 스위치 S3과 S6이 턴온되는 반면에, -VDCL은 스위치 S4와 S5를 턴온하고 스위치 S3과 S6을 턴오프해서 얻어질 수 있다. 출력 전압은 S4와 S6이 턴오프된 상태에서 S3과 S5를 턴온하거나 S3과 S5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S4와 S6을 턴온해서 0(0에 가까운 것을 포함) 또는 기준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전압은 전력 접속부(110)를 통해 모듈(108)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변환기(202)의 포트(IO3 및 IO4)는, 다른 모듈(108)의 출력 전압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출력 전압을 생성하기 위해 전력 접속부(110)의 모듈 IO 포트 1 및 2에 접속될(또는 이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변환기(202)의 실시예에 대한 제어 신호 또는 스위치 신호는 변환기(202)의 출력 전압을 생성하기 위해 시스템(100)에 의해 활용되는 제어 기술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기술은 예를 들어, 공간 벡터 펄스 폭 변조(space vector pulse-width modulation; SVPWM) 또는 사인파 펄스 폭 변조(sinusoidal pulse-width modulation; SPWM), 또는 이들의 변형과 같은 PWM 기술이다. 도 8a는 변환기(202)의 출력 전압 파형(802)의 예를 도시하는 전압 대 시간의 그래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PWM 제어 기술의 상황에서 설명될 것이지만,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종류의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한 가지 대체 종류는 히스테리시스를 기반으로 하며 그 예는 국제 특허 공보 제WO 2018/231810A1호, 제WO 2018/232403A1호 및 제WO 2019/183553A1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는 모든 목적을 위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각각의 모듈(108)은 다수의 에너지 소스(206)(예컨대, 2개, 3개, 4개 또는 그 이상)로 구성될 수 있다. 모듈(108)의 각 에너지 소스(206)는 모듈의 다른 소스(206)와 독립적으로 접속부(110)에 전력을 공급(또는 충전 소스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제어 가능(전환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소스(206)는 동시에 접속부(110)에 전력을 출력할 수 있거나(또는 충전될 수 있거나), 소스(206) 중 단지 하나(또는 서브세트)가 임의의 시간에 전력을 공급할(또는 충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듈의 소스들(206)은 그들 사이에서 에너지를 교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나의 소스(206)가 또 다른 소스(206)를 충전할 수 있다. 소스들(206) 각각은 여기에 설명된 임의의 에너지 소스(예컨대, 배터리, HED 커패시터, 연료 전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소스들(206) 각각은 동일한 유형(예컨대, 각각이 배터리일 수 있음) 또는 상이한 유형일 수 있다(예컨대, 제1 소스는 배터리일 수 있고, 제2 소스는 HED 커패시터일 수 있거나, 제1 소스는 제1 유형(예컨대, NMC)을 갖는 배터리일 수 있고, 제2 소스는 제2 유형(예컨대, LFP)을 갖는 배터리일 수 있다).
도 3b는 1차 에너지 소스(206A) 및 2차 에너지 소스(206B)를 갖는 이중 에너지 소스 구성의 모듈(108B)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1차 소스(202A)의 포트(IO1 및 IO2)는 에너지 버퍼(204)의 포트(IO1 및 IO2)에 접속될 수 있다. 모듈(108B)은 추가 IO 포트를 갖는 변환기(202B)를 포함한다. 버퍼(204)의 포트(IO3 및 IO4)는 변환기(202B)의 포트(IO1 및 IO2)에 각각 접속될 수 있다. 2차 소스(206B)의 포트(IO1 및 IO2)는 변환기(202B)의 포트(IO5 및 IO2)에 각각 접속될 수 있다(또한 버퍼(204)의 포트(IO4)에도 접속됨).
모듈(108B)의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1차 에너지 소스(202A)는 시스템(100)의 다른 모듈(108)과 함께 부하에 의해 필요한 평균 전력을 공급한다. 2차 소스(202B)는 부하 전력 피크에서 추가 전력을 제공하거나, 초과 전력을 흡수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에너지 소스(202)를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1차 소스(206A) 및 2차 소스(206B) 모두는 변환기(202B)의 스위치 상태에 따라 동시에 또는 별개의 시간에 활용될 수 있다. 만약 동시에라면, 전해 및/또는 막 커패시터(CES)는 소스(206B)에 대한 에너지 버퍼로서 작용하기 위해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206B)와 병렬로 배치될 수 있거나, 에너지 소스(206B)는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에너지 소스(예컨대, 배터리 또는 연료 전지)와 병렬로 HED 커패시터를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b 및 도 6c는 각각 변환기(202B 및 202C)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변환기(202B)는 스위치 회로 부분(601 및 602A)을 포함한다. 부분(601)은 변환기(202A)와 유사한 방식으로 풀 브리지로서 구성된 스위치(S3 내지 S6)를 포함하고, IO1 및 IO2를 IO3 및 IO4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모듈(108B)의 출력 전압을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부분(602A)은 하프 브리지로서 구성되고 포트(IO1)와 포트(IO2) 사이에 결합된 스위치(S1 및 S2)를 포함한다. 결합 인덕터(LC)는 포트(IO5)와 스위치(S1)와 스위치(S2) 사이에 존재하는 노드1 사이에 접속되어 스위치 부분(602A)이 전압(또는 역전류)을 조절(부스트(boost) 또는 벅(buck))할 수 있는 양방향 변환기가 되도록 한다. 스위치 부분(602A)은 가상 제로 전위에 있을 수 있는 포트(IO2)로 참조되는 +VDCL2 및 0인 노드1에서 2개의 상이한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에너지 소스(202B)로부터 인출되거나 에너지 소스(202B)로 입력되는 전류는, 예를 들어, 펄스 폭 변조 기술 또는 스위치(S1 및 S2)를 정류하기 위한 히스테리시스 제어 방법을 사용하여, 결합 인덕터(LC) 상의 전압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른 기술도 사용될 수 있다.
변환기(202C)는 스위치 부분(602B)이 하프 브리지로서 구성되고 포트(IO5)와 포트(IO2) 사이에 결합된 스위치(S1 및 S2)를 포함하기 때문에 202B의 것과는 다르다. 결합 인덕터(LC)는, 스위치 부분(602B)이 전압을 조절하게 구성되도록 스위치(S1)와 스위치(S2) 사이에 존재하는 노드1과 포트(IO1) 사이에 접속된다.
제어 시스템(102) 또는 LCD(114)는 각 게이트에 대한 제어 입력 라인(118-3)을 통해 변환기(202B 및 202C)의 각 스위치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 및 도 6a의 실시예에서, LCD(114)(MCD(112)가 아님)는 변환기 스위치에 대한 스위칭 신호를 생성한다. 대안적으로, MCD(112)는 스위치에 직접 전달되거나 LCD(114)에 의해 중계될 수 있는 스위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모듈(108)이 3개 이상의 에너지 소스(206)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변환기(202B 및 202C)는, 각각의 추가 에너지 소스(206B)가 특정 소스의 필요에 따라 추가 스위치 회로(602A 또는 602B)로 이어지는 추가 IO 포트에 결합되도록 그에 따라 스케일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중 소스 변환기(202)는 스위치 부분(202A 및 202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에너지 소스들(206)을 갖는 모듈(108)은 예를 들어, 소스들(206) 사이의 에너지 공유, 애플리케이션 내로부터의 에너지 포획(예컨대, 회생 제동(regenerative braking)), 전체 시스템이 방전 상태에 있는 동안에도 2차 소스에 의한 1차 소스의 충전, 및 모듈 출력의 능동적인 필터링과 같은 추가적인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의 예는 2020년 3월 27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캐스케이디드 및 상호접속 구성이 가능한 모듈 기반 에너지 시스템 및 관련 방법(Module-Based Energy Systems Capable Of Cascaded And Interconnected Configurations, And Methods Related Thereto)"인 국제 출원 공개공보 제WO 2020/205574호와, 2019년 3월 22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전력 관리 및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Management and Control)"인 국제 출원 공개공보 제WO 2019/183553호에 설명되어 있으며, 이들 둘 모두는 모든 목적을 위해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통합된다.
각 모듈(108)은 하나 이상의 에너지 소스(206)로 하나 이상의 보조 부하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조 부하는 1차 부하(101)보다 낮은 전압을 요구하는 부하이다. 보조 부하의 예는, 예를 들어, 전기 차량의 온보드 전기 네트워크, 전기 차량의 HVAC 시스템일 수 있다. 시스템(100)의 부하는, 예를 들어, 전기 차량 모터 또는 전기 그리드의 위상 중 하나일 수 있다. 이 실시예는, 에너지 소스의 전기적 특성(단자 전압 및 전류)과 부하의 전기적 특성 사이의 완전한 디커플링을 허용할 수 있다.
도 3c는 제1 보조 부하(301) 및 제2 보조 부하(302)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모듈(108C)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여기서 모듈(108C)은 도 3b의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함께 결합된 에너지 소스(206), 에너지 버퍼(204), 및 변환기(202B)를 포함한다. 제1 보조 부하(301)는 소스(206)로부터 공급되는 것과 동일한 전압을 필요로 한다. 부하(301)는 모듈(108C)의 IO 포트 3 및 4에 결합되고, 이는 차례로 소스(206)의 포트 IO1 및 IO2에 결합된다. 소스(206)는 전력 접속부(110)와 부하(301) 모두에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보조 부하(302)는 소스(206)보다 낮은 정전압을 필요로 한다. 부하(302)는, 변환기(202B)의 포트 IO5 및 IO2에 각각 결합되는, 모듈(108C)의 IO 포트 5 및 6에 결합된다. 변환기(202B)는 포트(IO5)(도 6b)에 결합된 결합 인덕터(LC)를 갖는 스위치 부분(602)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206)에 의해 공급된 에너지는 변환기(202B)의 스위치 부분(602)을 통해 부하(302)에 공급될 수 있다. 부하(302)가 입력 커패시터를 가지며(그렇지 않으면, 커패시터가 모듈(108C)에 추가될 수 있음), 따라서 스위치(S1 및 S2)는 결합 인덕터(LC)를 통해 전압 온 및 전류를 조절하도록 정류되어 부하(302)에 대해 안정적인 정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고 가정된다. 이 조절은 소스(206)의 전압을 부하(302)에 의해 요구되는 더 낮은 크기의 전압으로 강압(step down)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듈(108C)은 부하(301)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제1 보조 부하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제1 부하가 IO 포트 3 및 4에 결합된다. 모듈(108C)은 또한 부하(302)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제2 보조 부하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제2 보조 부하(302)가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추가 부하(302)에 대해 모듈(108C)은 추가 전용 모듈 출력 포트(예컨대, 5 및 6), 추가 전용 스위치 부분(602), 및 추가 부분(602)에 결합된 추가 변환기 IO 포트로 스케일링될 수 있다.
따라서 에너지 소스(206)는 1차 부하(101)에 필요한 시스템 출력 전력의 대응 부분뿐만 아니라 임의의 수의 보조 부하(예컨대, 301 및 302)에 대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소스(206)로부터 다양한 부하로의 전력 흐름은 원하는 대로 조정될 수 있다.
모듈(108)은 2개 이상의 에너지 소스(206)(도 3b)로 필요에 따라 그리고 각각의 추가 소스(206B) 또는 제2 보조 부하(302)에 대한 스위치 부분(602) 및 변환기 포트(IO5)의 추가를 통해 제1 및/또는 제2 보조 부하(도 3c)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추가 모듈 IO 포트(예컨대, 3, 4, 5, 6)가 추가될 수 있다. 모듈(108)은 또한, 본 명세서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어레이, 2개 이상의 팩, 또는 2개 이상의 시스템(100) 사이에서 에너지를 교환하기 위해(예컨대, 밸런싱을 위해) 상호접속 모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 상호접속 기능성은 마찬가지로 다수의 소스 및/또는 다수의 보조 부하 공급 능력과 결합될 수 있다.
제어 시스템(102)은 모듈(108A, 108B, 및 108C)의 컴포넌트와 관련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는 각 에너지 소스(206)의 활용(사용량) 관리, 과전류, 과전압 및 고온 조건으로부터 에너지 버퍼(204)의 보호, 변환기(202)의 제어 및 보호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에너지 소스(206)의 활용을 관리(예컨대, 증가, 감소 또는 유지함으로써 조정)하기 위해, LCD(114)는 각 에너지 소스(206)(또는 모니터 회로)로부터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된 전압, 온도 및 전류를 수신할 수 있다. 모니터링된 전압은 소스(206)의 다른 컴포넌트(예컨대, 각 개별 배터리 셀, HED 커패시터 및/또는 연료 전지)에 독립적인 각 기본 컴포넌트의 전압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모두, 또는 전체로서 기본 컴포넌트 그룹의 전압(예컨대, 배터리 어레이, HED 커패시터 어레이 및/또는 연료 전지 어레이의 전압)일 수 있다. 유사하게, 모니터링된 온도 및 전류는 소스(206)의 다른 컴포넌트와 무관한 각 기본 컴포넌트의 온도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모두, 또는 전체로서 기본 컴포넌트 그룹의 온도 및 전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모니터링된 신호는 LCD(114)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 정보일 수 있다: 기본 컴포넌트 또는 기본 컴포넌트 그룹의 실제 용량, 실제 충전 상태(SOC) 및/또는 건전성 상태(SOH)의 계산 또는 결정; 모니터링된 그리고/또는 계산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경고 또는 경보 표시를 설정 또는 출력; 및/또는 상태 정보의 MCD(112)로의 전송. LCD(114)는 MCD(112)로부터 제어 정보(예컨대, 변조 지수,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고 이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소스(206)의 활용을 관리하는 변환기(202)에 대한 스위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에너지 버퍼(204)를 보호하기 위해, LCD(114)는 에너지 버퍼(204)(또는 모니터 회로)로부터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된 전압, 온도, 및 전류를 수신할 수 있다. 모니터링된 전압은 다른 컴포넌트들과는 독립적으로 버퍼(204)의 각 기본 컴포넌트의(예컨대, CEB, CEB1, CEB2, LEB1, LEB2, DEB의) 전압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모두, 또는 전체로서 기본 컴포넌트 또는 버퍼(204)의 그룹의 전압(예컨대, IO1과 IO2 사이, 또는 IO3과 IO4 사이)일 수 있다. 유사하게, 모니터링된 온도 및 전류는 다른 컴포넌트와 무관한 버퍼(204)의 각 기본 컴포넌트의 온도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모두, 또는 전체로서 기본 컴포넌트 그룹 또는 버퍼(204)의 온도 및 전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모니터링된 신호는 LCD(114)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 정보일 수 있다: 경고 또는 경보 표시를 설정하거나 출력하는 것; MCD(112)에 상태 정보를 전달하거나; 또는 버퍼 보호를 위해 전체로서 소스(206) 및 모듈(108)의 활용을 조정(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변환기(202)를 제어하는 것.
변환기(202)를 제어 및 보호하기 위해, LCD(114)는 MCD(112)(예컨대, 변조된 기준 신호, 또는 기준 신호 및 변조 지수)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는 LCD(114)에서 PWM 기술과 함께 사용되어 각 스위치(예컨대, S1 내지 S6)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LCD(114)는 변환기(202)의 전류 센서로부터 전류 피드백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는 변환기(202)의 모든 스위치의 결함 상태(예컨대, 단락 또는 개방 회로 고장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변환기 스위치의 구동 회로(미도시)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결함 상태 신호와 함께 과전류 보호에 사용될 수 있다. 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LCD(114)는 모듈(108)의 활용을 관리하고 시스템(100)으로부터 변환기(202)(및 전체 모듈(108))를 잠재적으로 우회하거나 접속 해제하기 위해 적용될 스위칭 신호의 조합을 결정할 수 있다.
제2 보조 부하(302)를 공급하는 모듈(108C)을 제어하는 경우, LCD(114)는 모듈(108C)에서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된 전압(예컨대, IO 포트 5와 6 사이의 전압) 및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된 전류(예컨대, 부하(302)의 전류인 결합 인덕터(LC)의 전류)를 수신할 수 있다. 이들 신호에 기초하여, LCD(114)는 부하(302)에 대한 전압을 제어(및 안정화)하기 위해 (예컨대, 변조 지수 또는 기준 파형의 조정에 의해) S1 및 S2의 스위칭 사이클을 조정할 수 있다.
캐스케이디드 에너지 시스템 토폴로지의 예
2개 이상의 모듈(108)은 어레이 내의 각 모듈(108)에 의해 생성된 이산 전압의 중첩에 의해 형성된 전압 신호를 출력하는 캐스케이디드 어레이에서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도 7a는 N개의 모듈들(108-1, 108-2..,108-N)이 직렬로 함께 결합되어 직렬 어레이(700)를 형성하는 시스템(100)에 대한 토폴로지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이 실시예 및 모든 실시예에서, N은 1보다 큰 임의의 정수일 수 있다. 어레이(700)는 어레이 출력 전압이 전체에 걸쳐 생성되는 제1 시스템 IO 포트(SIO1) 및 제2 시스템 IO 포트(SIO2)를 포함한다. 어레이(700)는 어레이(700)의 SIO1 및 SIO2에 접속할 수 있는 DC 또는 AC 단상 부하용 DC 또는 단상 AC 에너지 소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8a는 48 볼트 에너지 소스를 갖는 단일 모듈(108)에 의해 생성된 예시적인 출력 신호를 도시하는 전압 대 시간의 도표이다. 도 8b는 직렬로 결합된 6개의 48V 모듈(108)을 갖는 어레이(700)에 의해 생성된 예시적인 단상 AC 출력 신호를 도시하는 전압 대 시간의 도표이다.
시스템(100)은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한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매우 다양한 상이한 토폴로지로 배열될 수 있다. 시스템(100)은 다수의 어레이(700)를 사용하여 부하에 다상 전력(예컨대, 2상, 3상, 4상, 5상, 6상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 어레이는 상이한 위상각을 갖는 AC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b는 함께 결합된 2개의 어레이(700-PA 및 700-PB)를 갖는 시스템(100)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N개의 모듈(108)의 직렬 접속에 의해 형성되는 각 어레이(700)는 1차원적이다. 2개의 어레이(700-PA 및 700-PB)는 각각 단상 AC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2개의 AC 신호는 상이한 위상각(PA 및 PB)(예컨대, 180도 떨어져 있음)을 갖는다. 각 어레이(700-PA 및 700-PB)의 모듈(108-1)의 IO 포트 1은 각각 시스템 IO 포트(SIO1 및 SIO2)를 형성하거나 이에 접속될 수 있으며, 이는 차례로 부하(미도시)에 2상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각 어레이의 첫 번째 출력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대안적으로 포트(SIO1 및 SIO2)를 접속하여 두 개의 병렬 어레이로부터 단상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각 어레이(700-PA 및 700-PB)의 모듈(108-N)의 IO 포트 2는 시스템 IO 포트(SIO1 및 SIO2)로부터 어레이의 반대쪽 끝에 있는 각 어레이(700-PA 및 700-PB)에 대한 두 번째 출력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공통 노드에서 함께 결합될 수 있고, 원하는 경우 추가 시스템 IO 포트(SIO3)에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중립(neutral)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공통 노드는 레일이라고 지칭될 수 있고, 각 어레이(700)의 모듈(108-N)의 IO 포트 2는 어레이의 레일 측에 있는 것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7c는 함께 결합된 3개의 어레이(700-PA, 700-PB, 및 700-PC)를 갖는 시스템(100)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N개의 모듈(108)의 직렬 접속에 의해 형성되는 각 어레이(700)는 1차원적이다. 3개의 어레이(700-1 및 700-2)는 각각 단상 AC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여기서 3개의 AC 신호는 상이한 위상각(PA, PB, PC)(예컨대, 120도 떨어져 있음)을 갖는다. 각 어레이(700-PA, 700-PB 및 700-PC)의 모듈(108-1)의 IO 포트 1은 각각 시스템 IO 포트(SIO1, SIO2 및 SIO3)를 형성하거나 이에 접속될 수 있으며, 이는 차례로 3상 전력을 부하(미도시)에 제공할 수 있다. 각 어레이(700-PA, 700-PB 및 700-PC)의 모듈(108-N)의 IO 포트 2는 공통 노드에서 함께 결합되고, 원하는 경우, 추가 시스템 IO 포트(SIO4)에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중립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7b 및 7c의 2상 및 3상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개념은 훨씬 더 많은 위상의 전력을 생성하는 시스템(100)으로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예의 비제한적인 목록은 다음을 포함한다: 상이한 위상각(예컨대, 90도 간격)을 갖는 단상 AC 신호를 생성하도록 각각 구성된 4개의 어레이(700)를 갖는 시스템(100); 상이한 위상각(예컨대, 72도 간격)을 갖는 단일 위상 AC 신호를 생성하도록 각각 구성된, 5개의 어레이(700)를 갖는 시스템(100); 및 상이한 위상 각(예컨대, 60도 간격)을 갖는 단일 위상 AC 신호를 생성하도록 각각 구성된, 6개의 어레이(700)를 갖는 시스템(100).
시스템(100)은, 어레이(700)가 각 어레이 내의 모듈들(108) 사이의 전기적 노드에서 상호접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d는 결합된 직렬 및 델타 배열로 함께 결합된 3개의 어레이(700-PA, 700-PB, 및 700-PC)를 갖는 시스템(100)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각각의 어레이(700)는 N개의 모듈(108)의 제2 직렬 접속과 결합된 M개의 모듈(108)의 제1 직렬 접속을 포함하며, 여기서 M은 2 이상이고 N은 2 이상이다. 델타 구성은 임의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어레이들 간의 상호접속에 의해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어레이(700-PC)의 모듈(108-(M+N))의 IO 포트 2는 어레이(700-PA)의 모듈(108-M)의 IO 포트 2 및 모듈(108-(M+1))의 IO 포트 1과 결합되고, 어레이(700-PB)의 모듈(108-(M+N))의 IO 포트 2는 어레이(700-PC)의 모듈(108-M)의 IO 포트 2 및 모듈(108-(M+1))의 IO 포트 1과 결합되며, 어레이(700-PA)의 모듈(108-(M+N))의 IO 포트 2는 어레이(700-PB)의 모듈(108-M)의 IO 포트 2 및 모듈(108-(M+1))의 IO 포트 1과 결합된다.
도 7e는 결합된 직렬 및 델타 배열로 함께 결합된 3개의 어레이(700-PA, 700-PB, 및 700-PC)를 갖는 시스템(100)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실시예는 상이한 교차 접속을 갖는 것을 제외하고 도 7d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이 실시예에서, 어레이(700-PC)의 모듈(108-M)의 IO 포트 2는 어레이(700-PA)의 모듈(108-1)의 IO 포트 1과 결합되고, 어레이(700-PB)의 모듈(108-M)의 IO 포트 2는 어레이(700-PC)의 모듈(108-1)의 IO 포트 1과 결합되며, 어레이(700-PA)의 모듈(108-M)의 IO 포트 2는 어레이(700-PB)의 모듈(108-1)의 IO 포트 1과 결합된다. 도 7d 및 7e의 배열은 각 어레이(700)에서 2개만큼 적은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결합된 델타 및 직렬 구성은 시스템의 모든 모듈(108)(상간(interphase) 밸런싱)과 전력망 또는 부하의 위상들 간의 효과적인 에너지 교환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원하는 출력 전압을 얻기 위해 어레이(700)에서 모듈(108)의 총 수를 줄이는 것을 허용한다.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모듈(108)의 수가 시스템(100) 내의 각 어레이(700)에서 동일한 것이 유리하지만, 그러한 것은 요구되지 않으며 상이한 어레이(700)는 상이한 수의 모듈(108)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각 어레이(700)는 모두 동일한 구성(예컨대, 모든 모듈은 108A이거나, 모든 모듈은 108B이거나, 모든 모듈은 108C이거나 기타 등등임) 또는 상이한 구성(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은 108A이거나, 하나 이상은 108B이거나, 하나 이상은 108C이거나 기타 등등임)인 모듈(108)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여기에서 다루어지는 시스템(100)의 토폴로지의 범위는 광범위하다.
제어 방법론의 예시적인 실시예
언급된 바와 같이, 시스템(100)의 제어는 예를 들어, 히스테리시스 또는 PWM과 같은 다양한 방법론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PWM의 몇 가지 예는 공간 벡터 변조 및 사인 펄스 폭 변조를 포함하며, 여기서 변환기(202)에 대한 스위칭 신호는 각 모듈(108)의 활용을 연속적으로 회전시켜 그들 사이에 전력을 균등하게 분배하는 위상 변이 반송파 기술로 생성된다.
도 8c 내지 도 8f는 증분 변이된 2-레벨 파형을 사용하여 다중 레벨 출력 PWM 파형을 생성할 수 있는 위상 변이 PWM 제어 방법론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X-레벨 PWM 파형은 (X-1)/2 2-레벨 PWM 파형의 합산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2-레벨 파형은 기준 파형(Vref)을 360°/(X-1)만큼 증분 변이된 반송파와 비교하여 생성될 수 있다. 반송파는 삼각형이지만, 실시예는 삼각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9-레벨 예시가 도 8c에 도시되어 있다(4개의 모듈(108)을 사용함). 반송파는 360°/(9-1) = 45°만큼 증분 변이되고 Vref와 비교된다. 결과적인 2-레벨 PWM 파형이 도 8e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2-레벨 파형은 변환기(202)의 반도체 스위치(예컨대, S1 내지 S6)에 대한 스위칭 신호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8e를 참조한 예로서, 변환기(202)를 각각 갖는 4개의 모듈(108)을 포함하는 1차원 어레이(700)에 대해, 0° 신호는 S3의 제어를 위한 것이고 180° 신호는 제1 모듈(108-1)의 S6을 위한 것이며, 45° 신호는 S3을 위한 것이고, 225° 신호는 제2 모듈(108-2)의 S6을 위한 것이며, 90° 신호는 S3을 위한 것이고 270° 신호는 제3 모듈(108-3)의 S6을 위한 것이며, 135° 신호는 S3을 위한 것이고 315° 신호는 제4 모듈(108-4)의 S6을 위한 것이다. 각 하프 브리지의 슛 스루(shoot through)를 회피하기 위해 충분한 데드 타임으로 S3에 대한 신호는 S4에 대해 상보적이며 S5에 대한 신호는 S6에 대해 상보적이다. 도 8f는 4개의 모듈(108)로부터의 출력 전압의 중첩(합산)에 의해 생성된 예시적인 단상 AC 파형을 도시한다.
대안은 첫 번째 (N-1)/2개의 반송파와 함께 포지티브 기준 신호 및 네거티브 기준 신호를 모두 활용하는 것이다. 9-레벨 예시가 도 8d에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0° 내지 135° 스위칭 신호(도 8e)는 +Vref를 도 8d의 0° 내지 135° 반송파와 비교하여 생성되고 180° 내지 315° 스위칭 신호는 -Vref를 도 8d의 0° 내지 135° 반송파와 비교하여 생성된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 비교 논리가 반전된다. 예를 들어, 상태 머신 디코더와 같은 다른 기술은 또한 변환기(202)의 스위치에 대한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다상 시스템 실시예에서, 동일한 반송파가 각 위상에 대해 사용될 수 있거나, 반송파 세트가 각 위상에 대해 전체적으로 변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기준 전압(Vref)을 갖는 3상 시스템에서, 각각의 어레이(700)는 도 8c 및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상대 오프셋을 갖는 동일한 수의 반송파를 사용할 수 있지만, 제2 위상의 반송파는 제1 위상의 반송파에 비해 120도만큼 변이되고, 제3 위상의 반송파는 제1 위상의 반송파에 비해 240도만큼 변이된다. 각 위상에 대해 다른 기준 전압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위상 정보가 기준 전압에서 전달될 수 있고 각 위상에 대해 동일한 반송파가 사용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반송파 주파수는 고정될 것이지만,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반송파 주파수가 조정될 수 있으며, 이는 고전류 조건에서 EV 모터의 손실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적절한 스위칭 신호는 제어 시스템(102)에 의해 각 모듈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CD(112)는, LCD(114)가 제어하는 모듈 또는 모듈들(108)에 따라 각각의 LCD(114)에 Vref 및 적절한 반송파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그러면, LCD(114)는 스위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어레이의 모든 LCD(114)에 모든 반송파 신호가 제공될 수 있고 LCD는 적절한 반송파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각 모듈(108)의 상대적 활용은 밸런싱을 수행하기 위한 상태 정보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다. 파라미터의 밸런싱에는 개별 모듈 활용 조정이 수행되지 않는 시스템과 비교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파라미터 발산을 최소화하기 위해 활용 조정이 포함될 수 있다. 활용은 시스템(100)이 방전 상태에 있을 때 모듈(108)이 방전하는 상대적인 시간량 또는 시스템(100)이 충전 상태에 있을 때 모듈(108)이 충전하는 상대적인 시간량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모듈(108)은 어레이(700)의 다른 모듈에 대해 밸런싱될 수 있으며, 이는 어레이내(intra-array) 또는 상내(intraphase) 밸런싱으로 지칭될 수 있고, 상이한 어레이(700)는 서로에 대해 밸런싱될 수 있으며, 이는 어레이간 또는 상간 밸런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이한 서브시스템의 어레이(700)는 또한 서로에 대해 밸런싱될 수 있다. 제어 시스템(102)은 상내 밸런싱, 상간 밸런싱, 모듈 내의 다수의 에너지 소스의 활용, 능동 필터링 및 보조 부하 공급의 임의의 조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도 9a는 단상 AC 또는 DC 어레사용 제어 시스템(102)의 어레이 제어기(90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어레이 제어기(900)는 피크 검출기(902), 분할기(904), 및 상내(또는 어레이 내) 밸런스 제어기(906)를 포함할 수 있다. 어레이 제어기(900)는 입력으로서 기준 전압 파형(Vr) 및 어레이 내의 N개의 모듈들(108) 각각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출력으로서 정규화된 기준 전압 파형(Vrn) 및 변조 지수(Mi)를 생성할 수 있다. 피크 검출기(902)는 Vr의 피크(Vpk)를 검출하며, 이는 제어기(900)가 동작하고 그리고/또는 밸런싱하는 위상에 특유할 수 있다. 분할기(904)는 Vr을 검출된 Vpk로 나눔으로써 Vrn을 생성한다. 상내 밸런스 제어기(906)는 제어되는 어레이(700) 내의 각 모듈(108)에 대한 변조 지수 Mi를 생성하기 위해 상태 정보(예컨대, SOCi, Ti, Qi, Vi 등)와 함께 Vpk를 사용한다.
변조 지수 및 Vrn은 각 변환기(202)에 대한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변조 지수는 제로와 1 사이의 숫자일 수 있다(제로 및 1을 포함함). 특정 모듈(108)에 대해, 정규화된 기준(Vrn)은 Mi에 의해 변조되거나 스케일링될 수 있고, 이 변조된 기준 신호(Vrnm)는 도 8c 내지 8f와 관련하여 설명된 PWM 기술에 따라 또는 다른 기술에 따라 Vref(또는 -Vref)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변조 지수는 변환기 스위칭 회로(예컨대, S3-S6 또는 S1-S6)에 제공되는 PWM 스위칭 신호를 제어하고, 따라서 각 모듈(108)의 동작을 조절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상 또는 전체 동작을 유지하도록 제어되는 모듈(108)은 1의 Mi를 수신할 수 있는 반면, 정상 또는 전체 동작 미만으로 제어되는 모듈(108)은 1 미만의 Mi를 수신할 수 있고, 전력 출력을 중단하도록 제어되는 모듈(108)은 0의 Mi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동작은 예를 들어, MCD(112)가 변조 및 스위치 신호 생성을 위해 Vrn 및 Mi를 적절한 LCD(114)로 출력함으로써, MCD(112)가 스위치 신호 생성을 위해 변조를 수행하고 변조된 Vrnm을 적절한 LCD(114)로 출력함으로써, 또는 MCD(112)가 변조 및 스위치 신호 생성을 수행하고 스위치 신호를 각 모듈(108)의 LCD 또는 변환기(202)에 직접 출력함으로써와 같이, 제어 시스템(102)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Vrn은 예를 들어, Vrn의 모든 기간에 대해 한 번 또는 분당 한 번 등과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전송된 Mi와 함께 계속 전송될 수 있다.
제어기(906)는 여기에 설명된 상태 정보(예컨대, SOC, 온도(T), Q, SOH, 전압, 전류)의 임의의 유형 또는 유형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각 모듈(108)에 대한 Mi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OC 및 T를 사용할 때 모듈(108)은, 어레이(700)의 다른 모듈(108)에 비해 SOC가 상대적으로 높고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면 상대적으로 높은 Mi를 가질 수 있다. SOC가 상대적으로 낮거나 T가 상대적으로 높으면, 그 모듈(108)은 상대적으로 낮은 Mi를 가질 수 있고, 결과적으로 어레이(700)의 다른 모듈(108)보다 덜 활용된다. 제어기(906)는 모듈 전압의 합이 Vpk를 초과하지 않도록 Mi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pk는 각 모듈의 소스(206)의 전압과 해당 모듈에 대한 Mi의 곱의 합일 수 있다(예컨대, Vpk = M1V1+M2V2+M3V3 ... +MNVN 등). 변조 지수의 다른 조합, 그리고 따라서 모듈에 의한 각각의 전압 기여가 사용될 수 있지만 총 생성 전압은 동일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제어기(900)는, 각 모듈(108) 내의 에너지 소스(들)의 SOC가 밸런스를 유지하거나, 언밸런싱된 경우 밸런싱된 조건으로 수렴하도록, 그리고/또는 각 모듈 내의 에너지 소스(들) 또는 다른 컴포넌트(예컨대, 에너지 버퍼)의 온도가 밸런스를 유지하거나, 언밸런싱된 경우 밸런싱된 조건으로 수렴하도록, 시스템의 전력 출력 요건을 어느 한 시점에 달성하는 것을 방지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소스들 간 용량 차이로 인해 SOC 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모듈 안팎의 전력 흐름이 조절될 수 있다. SOC와 온도의 밸런싱은 간접적으로 SOH의 어떤 밸런싱을 야기할 수 있다. 전압과 전류는 원하는 경우 직접 밸런싱될 수 있지만 많은 실시예에서 시스템의 주요 목표는 SOC와 온도를 밸런싱하는 것이며, SOC의 밸런싱은 모듈의 용량과 임피던스가 유사한 고도로 대칭적인 시스템에서 전압과 전류의 밸런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동시에 모든 파라미터를 밸런싱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예컨대, 한 파라미터의 밸런싱은 또 다른 파라미터를 더 언밸런싱할 수 있음), 임의의 둘 이상의 파라미터(SOC, T, Q, SOH, V, I)의 밸런싱의 조합은 애플리케이션의 요건에 따라 어느 하나에 우선순위가 부여되어 적용될 수 있다. 다른 파라미터(T, Q, SOH, V, I) 중 하나가 문턱값을 벗어난 심각한 언밸런싱된 조건에 도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밸런싱에서 다른 파라미터(T, Q, SOH, V, I)보다 SOC에 우선순위가 부여될 수 있다.
상이한 위상의 어레이들(700)(또는 예를 들어, 병렬 어레이들이 사용되는 경우 동일한 위상의 어레이들) 간의 밸런싱은 상내 밸런싱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도 9b는 적어도 Ω개의 어레이(700)를 갖는 Ω-위상 시스템(100)에서의 동작을 위해 구성된 Ω-위상(또는 Ω-어레이) 제어기(95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Ω은 1보다 큰 임의의 정수이다. 제어기(950)는 위상 PA 내지 PΩ에 대한 하나의 상간(또는 어레이간) 제어기(910) 및 Ω개의 상내 밸런스 제어기(906-PA ... 906-PΩ)뿐만 아니라, 각각의 위상-특유 기준(VrPA 내지 VrPΩ)으로부터 정규화된 기준(VrnPA 내지 VrnPΩ)을 생성하기 위한 피크 검출기(902) 및 분할기(904)(도 9a)를 포함할 수 있다. 상내 제어기(906)는 도 9a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각 어레이(700)의 각 모듈(108)에 대해 Mi를 생성할 수 있다. 상간 밸런스 제어기(910)는 전체 다차원 시스템 전체에 걸쳐, 예를 들어, 상이한 위상의 어레이들 사이에서 모듈(108)의 양상을 밸런싱하도록 구성되거나 프로그래밍된다. 이것은 위상에 공통 모드를 주입(예컨대, 중립점 변이(neutral point shifting))하거나 상호접속 모듈(본 명세서에 설명됨)을 사용하거나 둘 다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공통 모드 주입은 하나 이상의 어레이에서 언밸런스를 보상하도록 정규화된 파형(VrnPA 내지 VrnPΩ)을 생성하기 위해 기준 신호(VrPA 내지 VrPΩ)에 위상 및 진폭 변이를 도입하는 것을 수반하며, 본 명세서에 통합된 국제 출원 공개공보 제WO 2020/205574호에서 더 설명된다.
제어기(900 및 950)(또한, 밸런스 제어기(906 및 910))는 제어 시스템(102) 내에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기(900 및 950)는 MCD(112) 내에서 구현될 수 있고, LCD들(114) 사이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분산되거나, MCD(112) 및 LCD(114)와 독립적인 개별 제어기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호접속(Interconnection; IC) 모듈의 예시적인 실시예
모듈(108)은 어레이들 사이에서 에너지를 교환하거나, 보조 부하에 대한 소스로서 작용하거나, 또는 둘 다를 목적으로 상이한 어레이들(700)의 모듈들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은 본 명세서에서 상호접속(IC) 모듈(108IC)로서 지칭된다. IC 모듈(108IC)은 이미 설명된 모듈 구성(108A, 108B, 108C) 및 본 명세서에서 설명될 다른 것들 중 임의의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IC 모듈(108IC)은 임의의 수의 하나 이상의 에너지 소스, 선택적 에너지 버퍼, 하나 이상의 어레이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그리고/또는 하나 이상의 보조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 회로, 제어 회로(예컨대, 로컬 제어 디바이스), 및 IC 모듈 자체 또는 그것의 다양한 부하에 대한 상태 정보(예컨대, 에너지 소스의 SOC, 에너지 소스 또는 에너지 버퍼의 온도, 에너지 소스의 용량, 에너지 소스의 SOH, IC 모듈에 관한 전압 및/또는 전류 측정, 보조 부하(들)에 관한 전압 및/또는 전류 측정 등)를 수집하기 위한 모니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a는 Ω개의 어레이(700-PA 내지 700-PΩ)로 Ω-위상 전력을 생성할 수 있는 시스템(10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여기서 Ω는 1보다 큰 임의의 정수일 수 있다. 이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서, IC 모듈(108IC)은, 모듈(108IC)이 접속되는 어레이(700)(이 실시예에서 어레이(700-PA 내지 700-PΩ))가 모듈(108IC)과 출력(예컨대, SIO1 내지 SIOΩ)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어레이(700)의 레일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모듈(108IC)은 어레이(700-PA 내지 700-PΩ)의 각 모듈(108-N)의 IO 포트 2에 접속하기 위한 Ω개의 IO 포트를 갖는다. 여기에 도시된 구성에서, 모듈(108IC)은 모듈(108IC)의 하나 이상의 에너지 소스를 어레이(700-PA 내지 700-PΩ) 중 하나 이상에 선택적으로 접속함으로써(또는, 상간 밸런싱이 요구되지 않는다면, 어느 출력에도 접속하지 않거나, 모든 출력에 동일하게 접속함으로써) 상간 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다. 시스템(100)은 제어 시스템(102)(미도시, 도 1a 참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10b는 모듈(108IC)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모듈(108IC)은 차례로 스위치 회로(603)와 접속되는 에너지 버퍼(204)와 접속된 에너지 소스(206)를 포함한다. 스위치 회로(603)는 에너지 소스(206)를 어레이(700-PA 내지 700-PΩ) 각각에 독립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스위치 회로 유닛(604-PA 내지 604-PΩ)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스위치 구성이 각 유닛(604)에 대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는 2개의 반도체 스위치(S7 및 S8)를 갖는 하프 브리지로서 구성된다. 각 하프 브리지는 LCD(114)로부터의 제어 라인(118-3)에 의해 제어된다. 이 구성은 도 3a와 관련하여 설명된 모듈(108A)과 유사하다. 변환기(202)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스위치 회로(603)는 애플리케이션의 요건에 적합한 임의의 배열 및 임의의 스위치 유형(예컨대, MOSFET, IGBT, 실리콘, Ga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 회로 유닛(604)은 에너지 소스(206)의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 사이에 결합되고 모듈(108IC)의 IO 포트에 접속된 출력을 갖는다. 유닛(604-PA 내지 604-PΩ)은 전압 +VIC 또는 -VIC를 각각의 모듈 I/O 포트 1 내지 Ω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제어 시스템(10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 시스템(102)은 여기에 언급된 PWM 및 히스테리시스 기술을 포함하는 임의의 원하는 제어 기술에 따라 스위치 회로(603)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회로(102)는 LCD(114) 및 MCD(112)(미도시)로서 구현된다. LCD(114)는 모듈(108IC)의 모니터 회로로부터 모니터링 데이터 또는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모니터링 데이터 및/또는 이 모니터링 데이터로부터 파생된 다른 상태 정보는 여기에 설명된 시스템 제어에 사용하기 위해 MCD(112)로 출력될 수 있다. LCD(114)는 또한 시스템(100)의 모듈(108)과 예를 들어, PWM(도 8c-8d)에서 사용되는 톱니 신호와 같은 하나 이상의 반송파 신호(미도시)의 동기화를 위한 타이밍 정보(미도시)를 수신할 수 있다.
상간 밸런싱을 위해, 소스(206)로부터 비례적으로 더 많은 에너지가, 다른 어레이(700)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충전 상태인 어레이(700-PA 내지 700-PΩ) 중 임의의 하나 이상에 공급될 수 있다. 특정 어레이(700)에 대한 이러한 보충 에너지의 공급은, 그 어레이(700)에서 그러한 캐스케이디드 모듈(108-1 내지 108-N)의 에너지 출력이, 공급되지 않은 위상 어레이(들)에 비해 감소되게 한다.
예를 들어, PWM을 적용하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LCD(114)는 모듈(108IC)이 예를 들어, VrnPA 내지 VrnPΩ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어레이(700) 각각에 대한 정규화된 전압 기준 신호(Vrn)를 (MCD(112)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LCD(114)는 또한 MCD(112)로부터 각각의 어레이(700)에 대한 스위치 유닛(604-PA 내지 604-PΩ)에 대한 변조 지수(MiPA 내지 MiPΩ)를 각각 수신할 수 있다. LCD(114)는 해당 어레이에 직접 결합된 스위치 섹션에 대한 변조 지수를 갖는 각각의 개별 Vrn을 변조(예컨대, 곱하기)할 수 있고(예컨대, VrnA에 MiA를 곱하기), 그런 다음, 반송파 신호를 활용하여 각각의 스위치 유닛(604)에 대한 제어 신호(들)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MCD(112)는 변조를 수행하고 모듈(108IC)의 LCD(114)에 직접 각 유닛(604)에 대한 변조된 전압 기준 파형을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모든 프로세싱 및 변조는 제어 신호를 각 유닛(604)에 직접 출력할 수 있는 단일 제어 엔티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이 스위칭은, 에너지 소스(206)로부터의 전력이 적절한 간격 및 기간으로 어레이(들)(700)에 공급되도록 변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론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어레이에 있는 각 에너지 소스의 현재 용량(Q) 및 SOC와 같은 시스템(100)에 대한 수집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MCD(112)는 각 어레이(700)에 대한 총 충전을 결정할 수 있다(예컨대, 어레이에 대한 총 충전은 해당 어레이의 각 모듈에 대한 용량 곱하기 SOC의 합계로 결정할 수 있음). MCD(112)는 (예컨대, 여기에 설명된 상대적 차이 문턱값 및 다른 메트릭의 사용을 통해) 밸런싱된 조건 또는 언밸런싱된 조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각각의 스위치 유닛(604-PA 내지 604-PΩ)에 대해 그에 따라 변조 지수(MiPA 내지 MiPΩ)를 생성할 수 있다.
밸런싱된 동작 동안, 각각의 스위치 유닛(604)에 대한 Mi는 시간에 따라 동일하거나 유사한 양의 순 에너지가 에너지 소스(206) 및/또는 에너지 버퍼(204)에 의해 각 어레이(700)에 공급되게 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스위치 유닛(604)에 대한 Mi는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고, 모듈(108IC)이 시스템(100)에서 다른 모듈(108)과 동일한 비율로 모듈(108IC)을 드레인(drain)하도록, 모듈(108IC)이 밸런싱된 동작 동안 하나 이상의 어레이(700-PA 내지 700-PΩ)에 에너지의 순 방전 또는 시간 평균 방전을 수행하게 하는 레벨 또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 유닛(604)에 대한 Mi는 밸런싱된 동작 동안 에너지의 순 방전 또는 시간 평균 방전을 야기하지 않는 레벨 또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0의 순 에너지 방전을 야기함). 이것은 모듈(108IC)이 시스템의 다른 모듈보다 낮은 총 충전을 갖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어레이들(700) 사이에 언밸런싱된 조건이 발생할 때, 시스템(100)의 변조 지수는 밸런싱된 조건을 향한 수렴을 야기하거나 추가 발산을 최소화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시스템(102)은, 모듈(108IC)이 다른 것들보다 낮은 충전으로 어레이(700)로 더 많이 방전하게 할 수 있고, 또한 해당 낮은 어레이(700)의 모듈(108-1 내지 108-N)이 (예컨대, 시간 평균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더 적게 방전하게 할 수 있다. 모듈(108IC)에 의해 기여되는 상대적 순 에너지는 지원되는 어레이(700)의 모듈(108-1 내지 108-N)에 비해 증가하고, 또한 순 에너지 모듈(108IC)의 양과 비교하여 다른 어레이에 기여한다. 이는, 적절한 또는 필요한 레벨에서 해당 낮은 어레이에 대한 Vout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해당 저 어레이(700)를 공급하는 스위치 유닛(604)에 대한 Mi를 증가시키고, 저 어레이(700)의 모듈(108-1 내지 108-N)의 변조 지수를 감소시킴으로써, 그리고 다른 상위 어레이를 상대적으로 변경하지 않고 공급하는(또는 이를 감소시키는) 다른 스위치 유닛(604)에 대한 변조 지수를 유지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b의 모듈(108IC)의 구성은 단일 시스템에 대한 상간 또는 어레이간 밸런싱을 제공하기 위해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어레이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스위치 부분(604) 및 에너지 소스를 각각 갖는 하나 이상의 다른 모듈(108IC)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Ω개의 상이한 어레이(700)와 결합된 Ω개의 스위치 부분(604)을 갖는 모듈(108IC)은 하나의 어레이(700)와 결합된 하나의 스위치 부분(604)을 갖는 제2 모듈(108IC)과 결합될 수 있어서, 두 모듈은 Ω+1개의 어레이(700)를 갖는 시스템(100)을 서비스하기 위해 결합된다. 임의의 수의 모듈(108IC)이 이러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각각은 시스템(100)의 하나 이상의 어레이(700)와 결합된다.
더욱이, IC 모듈은 시스템(100)의 둘 이상의 서브시스템 사이에서 에너지를 교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c는 IC 모듈에 의해 상호접속된 제1 서브시스템(1000-1) 및 제2 서브시스템(1000-2)을 갖는 시스템(10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서브시스템(1000-1)은 시스템 I/O 포트(SIO1, SIO2 및 SIO3)를 통해 제1 부하(도시되지 않음)에 3상 전력(PA, PB 및 PC)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반면, 서브시스템(1000-2)은 시스템 I/O 포트(SIO4, SIO5 및 SIO06)를 통해 각각 3상 전력(PD, PE 및 PF)을 제2 부하(도시되지 않음)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서브시스템(1000-1 및 1000-2)은 EV의 상이한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상이한 팩으로서 구성되거나 상이한 마이크로그리드에 전력을 공급하는 상이한 랙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모듈(108IC)은 (IO 포트 1을 통해) 서브시스템(1000-1)의 제1 어레이 및 (IO 포트 2를 통해) 서브시스템(1000-2)의 제1 어레이와 결합되고, 각 모듈(108IC)은, 도 3c의 모듈(108C)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각 모듈(108IC)의 에너지 소스(206)와 결합되는 I/O 포트 3 및 4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 접속은 모듈(108IC-1, 108IC-2, 및 108IC-3)의 소스(206)를 병렬로 배치하고, 따라서 모듈(108IC)에 의해 저장 및 공급되는 에너지는 이 병렬 배열에 의해 함께 풀링된다. 예를 들어, 중대한(serious) 접속과 같은 다른 배열도 사용될 수 있다. 모듈(108IC)은 서브시스템(1000-1)의 공통 인클로저 내에 수용되지만, 상호접속 모듈은 공통 인클로저 외부에 있을 수 있고 두 서브시스템(1000)의 공통 인클로저들 사이에 독립적인 엔티티로서 물리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각각의 모듈(108IC)은 도 10b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IO 포트 1과 결합된 스위치 유닛(604-1) 및 I/O 포트 2와 결합된 스위치 유닛(604-2)을 갖는다. 따라서, 서브시스템들(1000) 간의 밸런싱(예컨대, 팩 간 또는 랙 간 밸런싱)을 위해 특정 모듈(108IC)은 자신이 접속된 두 어레이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예컨대, 모듈(108IC-1)은 어레이(700-PA) 및/또는 어레이(700-PD)에 공급할 수 있음). 제어 회로는 상이한 서브시스템의 어레이의 상대적인 파라미터(예컨대, SOC와 온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IC 모듈의 에너지 출력을 조정하여 동일한 랙 또는 팩의 두 어레이 사이의 불균형(imbalances)을 보상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이한 서브시스템의 어레이들 또는 위상들 간의 불균형을 보상한다. 세 개의 모듈(108IC) 모두가 병렬이기 때문에, 시스템(100)의 임의의 그리고 모든 어레이 사이에서 에너지가 효율적으로 교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각 모듈(108IC)은 2개의 어레이(700)를 공급하지만, 시스템(100)의 모든 어레이에 대한 단일 IC 모듈 및 각 어레이(700)에 대한 하나의 전용 IC 모듈을 갖는 구성(예컨대, 6개의 어레이를 위한 6개의 IC 모듈, 여기서 각 IC 모듈은 하나의 스위치 유닛(604)을 가짐)을 포함하는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수의 IC 모듈을 갖는 모든 경우에, 에너지 소스는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에너지를 공유하기 위해 병렬로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위상들 사이에 IC 모듈을 갖는 시스템에서 상간 밸런싱은 위에서 설명한 대로 중립점 변이(또는 공통 모드 주입)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조합은 더 넓은 범위의 동작 조건에서 보다 견고하고 유연한 밸런싱을 가능하게 한다. 시스템(100)은 중립점 변이 단독, 상간 에너지 주입 단독, 또는 이 둘의 조합을 동시에 사용하여 상간 밸런싱을 수행하는 적절한 상황을 결정할 수 있다.
IC 모듈은 또한 (소스(206)와 동일한 전압에서) 하나 이상의 보조 부하(301)에 그리고/또는 (소스(302)로부터 강압된 전압에서) 하나 이상의 보조 부하(302)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d는 상간 밸런싱을 수행하고 보조 부하(301 및 302)를 공급하기 위해 접속된 2개의 모듈(108IC)을 갖는 3상 시스템(100A)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e는 모듈(108IC-1 및 108IC-2)에 중점을 둔 시스템(100)의 이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여기서, 제어 회로(102)는 LCD(114) 및 MCD(112)(미도시)로서 다시 구현된다. LCD(114)는 모듈(108IC)로부터 모니터링 데이터(예컨대, ES1의 SOC, ES1의 온도, ES1의 Q, 보조 부하(301 및 302)의 전압 등)를 수신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시스템 제어에 사용하기 위해 MCD(112)에 이것 및/또는 다른 모니터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각각의 모듈(108IC)은 해당 모듈에 의해 공급되는 각각의 부하(302)에 대한 스위치 부분(602A)(또는 도 6c에 대해 설명된 602B)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스위치 부분(602)은 독립적으로 또는 MCD(112)로부터의 제어 입력에 기초하여 LCD(114)에 의해 부하(302)에 대한 필수 전압 레벨을 유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모듈(108IC)은 하나의 부하(302)를 공급하기 위해 함께 접속된 스위치 부분(602A)을 포함하지만, 이것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f는 모듈(108IC-1, 108IC-2, 및 108IC-3)을 갖는 하나 이상의 보조 부하(301 및 302)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3상 시스템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모듈(108IC-1 및 108IC-2)은 도 10d 내지 도 10e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모듈(108IC-3)은 순전히 보조 역할로 구성되며 시스템(100)의 임의의 어레이(700)에 전압이나 전류를 능동적으로 주입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모듈(108IC-3)은 하나 이상의 보조 스위치 부분(602A)을 갖는 변환기(202B,C)(도 6b-6c)를 갖지만 스위치 부분(601)을 생략하는, 도 3b의 모듈(108C)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듈(108IC-3)의 하나 이상의 에너지 소스(206)는 모듈(108IC-1 및 108IC-2)의 에너지 소스와 병렬로 상호접속되며, 따라서 시스템(100)의 이 실시예는 보조 부하(301 및 302)를 공급하기 위해 그리고 모듈(108IC-3)의 소스(206)와의 병렬 접속을 통해 모듈(108IC-1 및 108IC-2)의 소스(206A) 상의 충전을 유지하기 위한 추가 에너지로 구성된다.
각 IC 모듈의 에너지 소스(206)는 시스템의 다른 모듈(108-1 내지 108-N)의 소스(206)와 동일한 전압 및 용량에 있을 수 있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모듈(108IC)이 다수의 어레이(700)(도 10a)에 에너지를 인가하여 IC 모듈이 위상 어레이의 모듈 자체와 동일한 속도로 방전되도록 하는 실시예에서 비교적 더 높은 용량이 바람직할 수 있다. 모듈(108IC)이 또한 보조 부하를 공급하는 경우, IC 모듈이 보조 부하를 공급하고 다른 모듈과 비교적 동일한 속도로 방전할 수 있도록 훨씬 더 큰 용량이 요구될 수 있다.
간헐적 충전을 갖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토폴로지의 예시적인 실시예
간헐적으로 사용 가능한 충전 소스를 갖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100)에 관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11a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달리 명시되지 않거나 논리적으로 타당하지 않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도 1a 내지 도 10f와 관련하여 설명된 시스템(100)의 모든 양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미 설명된 많은 변형은 다음 실시예에 대해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예를 들어, 기차, 트램, 트롤리 및 기타 철도 차량(rolling stock)과 같은 레일에서 동작하는 전기 차량(레일 기반 EV)과 같은 이동식 애플리케이션에 특히 적합하며, 여기서 충전 소스는 간헐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실시예는 예를 들어, 자동차, 버스, 트럭, 해상 차량(예컨대, 전기 페리), 비행기 등과 같은 다른 차량과 함께, 심지어 일부 고정식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예가 다른 차량 및 애플리케이션에 훨씬 더 넓은 적용 가능성을 갖는다는 이해와 함께, 예시적인 실시예가 레일 기반 EV, 특히 전기 트램 또는 기차의 맥락에서 설명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전기 트램이 충전 소스를 사용할 수 없는 레일의 섹션을 통해 이동하는 동안 에너지를 저장하고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1a는 레일(1105) 상에서 이동하는 전기 트램(1100)의 예시적인 경로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여기서 트램(1100)은 제1 위치인 정류장-A에서 제2 위치인 정류장-B로 이동하고 있다. 충전 소스는 정류장-A 주변의 구역-A 내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충전 소스는 정류장-B 주변의 구역-B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충전 소스는 오버헤드, 지면 또는 지면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구역-A 및 구역-B 내에 있을 때 트램(1100)은 전기 접촉 디바이스(예컨대, 전차선을 위한 팬터그래프)를 연장하여 충전 소스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동 중이든 정지해 있든 트램(1100)의 부하를 동작하고 시스템(100)의 에너지 소스(206)를 충전하기 위해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역-N은 충전 소스를 사용할 수 없는 구역-A와 구역-B 사이의 레일(1105)의 길이를 구분한다. 구역-N을 통과할 때 접촉 디바이스가 리트랙팅(retract)될 수 있고 트램(1100)은 트램(1100) 내의 모든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시스템(100) 내에 저장된 에너지를 사용한다.
트램(1100)은 각각 자체 제어 시스템(102)을 갖는 시스템(100)의 하나 이상의 반복으로 구성될 수 있고, 시스템(100)의 각 반복은 예를 들어, 모터 부하 및 보조 부하와 같은 하나 이상의 부하를 공급할 수 있다. 트램은 모든 차량의 모든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시스템(1000)을 갖는 시스템(100)의 단일 반복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서브시스템(1000)은 하나의 제어 시스템(102)(예컨대, 모든 서브시스템(1000)에 대한 단일 MCD(112))을 공유하거나 독립적인 제어 시스템(102)을 가질 수 있다. 차량은 각각 그 차량 내의 부하를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100)의 하나 이상의 서브시스템(1000)을 가질 수 있거나, 차량은 또 다른 차량의 서브시스템(1000)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 있다. 특정 차량이 그 특정 차량의 특정 부하를 공급하기 위한 서브시스템(1000)을 갖고 그 특정 차량이 다른 차량의 또 다른 서브시스템(1000)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다른 부하를 가질 수 있는 경우 접근법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1b는 두 개의 차량(1101 및 1102)과 그 사이에 상호접속부(1103)가 있는 전기 트램(110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시스템(100)은 전도체(1104)가 소스(150)와 접촉할 때 충전 소스(150)로부터 충전을 수신하기 위한 리트랙터블(retractable) 전도체(1104)를 갖는 제1 차량(1101)에 위치된다. 시스템(100)은 각 차량(1101 및 1102) 내의 하나 이상의 모터에 고전압 다상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시스템(100)은 라인(1111)을 통해 차량(1101)의 모터(1110-1A 내지 1110-XA)에 3상 전력(PA, PB, PC)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어레이(도시되지 않음)를 가지며, 여기서 X는 2 이상의 임의의 정수일 수 있다. 라인(1111)은 3상 전력이 차량(1102)의 모터(1110-1B 내지 1110-XB)에 공급될 수 있는 차량(1102)으로 상호 접속부(1103)를 통해 계속된다.
시스템(100)은 또한 각각 하나 이상의 전압에서 다상 전력, 단상 전력, 및 DC 전력을 포함하는 상이한 전력 요건을 갖는 보조 부하에 대해 다수의 전압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조 부하의 예로는 HVAC 시스템용 압축기, 배터리 열 관리 시스템(battery thermal management system; BTMS), 트램(1100)의 모든 자동화된 양상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온보드 전기 네트워크 등이 있다. 여기서, 시스템(100)은 라인(1113)을 통해 3상 전력(PD, PE, PF)을 3상 보조 부하(1112-1)에, 라인(1115)을 통해 단상(SP) 전력(라인(L), 중립(N))을 단상 보조 부하(1114-1)에, 라인(1117)을 통해 제1 레벨의 DC 전압을 보조 부하(301-1)에, 그리고 라인(1119)을 통해 제2 레벨의 DC 전압을 보조 부하(302-1)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예컨대, 도 10d 및 10e와 관련하여 설명된 부하(301 및 302)용 전력 공급 장치 참조). 라인(1113, 1115, 1117, 및 1119)은 상호 접속부(1103)를 통해 계속되어 차량(1102) 내의 유사한 부하(1112-2, 1114-2, 301-2, 및 302-2)를 공급한다. 여기에서, 차량(1101) 내의 부하에 대한 공급은 차량(1102) 내의 부하에 대한 동일한 라인을 통해 병렬 방식으로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현의 필요에 따라 비평행 방식으로 각 차량(1101 및 1102) 내의 다양한 부하를 공급하기 위해 상이한 라인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모터(1110)(예컨대, 1개, 2개, 3개, 4개 또는 그 이상)가 대차(bogie)에 고정되거나 대차와 연관될 수 있으며, 레일 기반 차량은 모든 차량에 대해 이러한 대차를 여러 개(예컨대, 2개 이상) 가질 수 있다. 시스템(100) 및 그 서브시스템(1000)의 배치는 모터(1110)에 근접하게 또는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다른 곳에 되어 질 수 있다. 도 11c는 도 11a와 관련하여 설명된 전기적 레이아웃을 갖는 트램(110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여기서, 각각의 차량은 2개의 모터(1110)를 갖는 2개의 대차(1120)를 포함하며, 각각은 차축(1122)을 구동하기 위한 원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시스템(100)은 차량(1101)에 물리적으로 위치되며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의 머리 위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승객의 발 또는 바닥 아래에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각 차량은 보조 부하(1112, 1114, 301 및 302)를 포함한다. 모든 모터(1110) 및 보조 부하는 도시된 화살표를 통해 시스템(100)에 의해 공급된다(개별 라인(1111, 1113, 1115, 1117, 및 1119)은 명확성을 위해 생략됨).
도 11d는 전기 트램(1100)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지만 다수의 서브시스템(1000)을 갖는 블록도이다. 각 서브시스템(1000)은 공통 하우징을 갖는 별도의 팩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차량(1101)은 라인의 세트(1111-1)를 통해 모터(1110-1 및 1110-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서브시스템(1000-1)과, 라인의 세트(1111-2)를 통해 모터(1110-3 및 1110-4)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2 서브시스템(1000-2)을 포함한다. 차량(1102)은 라인의 세트(1111-3)를 통해 모터(1110-5 및 1110-6)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3 서브시스템(1000-3)과, 라인의 세트(1111-4)를 통해 모터(1110-7 및 1110-8)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4 서브시스템(1000-4)을 포함한다. 차량(1102)은 또한 하나 이상의 보조 부하에 대해 다상 및/또는 단상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5 서브시스템(1000-5)을 포함한다. 여기서, 서브시스템(1000-5)은 라인(1113)을 통해 보조 부하(1112)에 3상 전력을 그리고 라인(1115)을 통해 보조 부하(1114)에 단상 전력을 공급한다. 서브시스템(1000-1 내지 1000-5) 각각은 하나 이상의 모듈(108IC 또는 108C)(예컨대, 도 3c 및 도 10a 내지 10f 참조)을 통해 부하(301 및 302)에 DC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서브시스템(1000)은 DC 전력을 공유하기 위한 공유 라인 세트에 접속될 수 있으며, 이러한 라인은 상호 접속부(1103)를 통해 차량(1101)과 차량(1102) 사이를 교차할 수 있다. 라인(1130)은, 트램(1100)이 충전 소스(150)에 접속될 때 각 시스템(100)의 모든 모듈(108)에 충전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충전 소스(150)로부터 고전압 포지티브 신호(DC_CS+)와 고전압 네거티브 DC 신호(DC_CS-)를 각각 전달할 수 있다. 공유 라인은 또한 보조 부하(301 및 302)에 공급하기 위해 더 낮은 DC 전압을 교환할 수 있다. 라인(1131)은 보조 부하(301)에 더 낮은 DC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포지티브 DC 신호(DC1+)와 네거티브 DC 신호(DC1-)를 각각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 라인은 도 3c, 10d 및 10e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IC 모듈(108IC)(및 108C)의 포트 3 및 4를 상호 접속하는 라인과 유사할 수 있으며, 상호 접속된 모듈(108)의 에너지 소스(206)의 전압을 전달할 수 있다. 라인(1132)은 보조 부하(302)에 더 낮은 DC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포지티브 DC 신호(DC2+)와 네거티브 DC 신호(DC2-)를 각각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 라인은 도 3c, 10d 및 10e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IC 모듈(108IC)(및 108C)의 포트 5 및 6을 상호 접속하는 라인과 유사할 수 있으며, 소스(206)로부터 조정된 스텝 다운 전압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1e는 도 11c와 관련하여 설명된 전기적 레이아웃을 갖는 트램(1100)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여기서, 서브시스템(1000-1 내지 1000-4) 각각은 대차(1120)의 차축(1122)과 연관된 2개의 모터(1110)에 전력을 공급한다. 차량(1102)의 서브시스템(1000-5)은, 차량(1102)에도 위치되지만 다른 차량에도 위치될 수 있는 부하(1112 및 1114)에 전력을 공급한다. 각각의 서브시스템(1000)은 충전 및 에너지 교환을 위한 공유 라인(1130), 에너지 교환 및 부하(301) 공급을 위한 라인(1131), 및 부하(302)를 공급하기 위한 라인(1132)에 접속된다. 도 11b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서브시스템(1000-1 내지 1000-5) 각각은 승객의 머리 위(여기에 도시됨) 또는 승객의 발 아래, 또는 다른 곳에 있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f는 다수의 서브시스템(1000)을 갖지만 보조 서브시스템(1000-5) 대신에 보조 전력 변환기(1150)를 갖는 전기 트램(1100)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보조 변환기(1150)는 DC 라인(1130)에서 사용 가능한 고전압을 트램(1100)의 하나 이상의 보조 부하에 대한 단상 및/또는 다상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변환기(1150)는 라인(1152)을 통해 3상 부하(1112)를 위한 3상 전력을 제공하고 라인(1154)을 통해 단상 부하(1114)를 위한 단상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충전 소스(150)에 접속될 때, 보조 변환기(1150)는 부하(1112 및 1114)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라인(1130)을 통해 소스(150)에 의해 제공되는 DC 전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2b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소스(150)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 다른 서브시스템(1000-1 내지 1000-4)은 양방향 DC-DC 변환기(1210)를 사용하여 포트 7 및 8로부터 라인(1130)으로 DC 전압을 출력함으로써 라인(1130)을 통해 보조 변환기(1150)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각 모듈(108)로부터의 DC 출력 전압은 DC 라인(1130)에서 합산되어 보조 변환기(1150)에 전력을 공급하기에 충분한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b 내지 도 11f의 실시예는 2대의 차량(1101 및 1102)을 갖는 트램(1100)에 대해 설명되지만, (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터(1110), 하나 이상의 부하(1112), 하나 이상의 부하(1114), 하나 이상의 부하(301) 및/또는 하나 이상의 부하(302)를 공급하는) 각 차량 내의 서브시스템의 임의의 조합과 함께 임의의 수(1개,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차량을 갖는 철도 차량으로 확장될 수 있다.
도 11d 내지 도 11f의 실시예는 또한 서브시스템(1000)과 같은 라인들(1130)(DC_CS+ 및 DC_CS-) 사이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종래의 고전압 배터리 팩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배터리 팩은 직렬로 접속된 다수의 배터리(예컨대, 리튬 이온) 또는 HED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듈식 캐스케이디드 다중 레벨 변환기로서 구성되지 않는다. 종래의 배터리 팩은 (공유 DC 라인(1130)을 통해 임의의 서브시스템(1000)을 위해, 보조 변환기(1150)를 위해, (인버터를 통해 접속된 경우) 모터 부하(1110)를 위해 직접적으로, DC 보조 부하(301 및 302)를 위해 직접적으로, (예컨대, DC-DC 변환기를 통해 접속된) DC 보조 부하(301 및 302)를 위해 직접적으로, 그리고/또는 (DC-AC 변환기를 통해 접속된 경우) AC 보조 부하(1112 및/또는 1114)를 위해 직접적으로 보조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배터리 팩은 종래의 팩과 충전 소스(150) 사이의 라인(1130)에 직렬로 개재(interpose)된 DC-DC 변환기를 통해 충전 소스(150)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개재된 DC-DC 변환기가 생략될 수 있고, 충전 소스(150)가 접속될 때 스위치(예컨대, 접촉기)를 갖는 라인(1130)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소스(150)의 분리 후에, 배터리 팩은 라인(1130)에 재접속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서브시스템(1000)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모듈(108A-C 및 108IC)은 트램(1100)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모듈 구성의 추가 예시적인 실시예도 설명된다. 도 12a는 트램(1100)의 시스템(100) 내에서 사용하도록 구성된 모듈(108D)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여기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에서 모듈(108D)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배터리, 하나 이상의 고에너지 밀도(HED) 커패시터, 및/또는 하나 이상의 연료 전지와 같은 임의의 수의 에너지 소스(206)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배터리가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배터리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동일하거나 상이한 전기화학(electrochemistries)을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상이한 유형의 고에너지 밀도 커패시터 및 연료 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각 배터리는 원하는 전압 및 전류 특성에 도달하기 위해 직렬, 병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접속된 단일 셀 또는 다수의 셀일 수 있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108)은 제1 소스(206A) 및 제2 소스(206B)를 포함하고,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소스는 상이한 유형의 배터리(예컨대, LTO 배터리 및 LFP 배터리)일 수 있거나 하나는 배터리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배터리일 수 있거나 임의의 다른 조합일 수 있다.
모듈(108D)은 도 3b의 모듈(108B)과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에너지 소스(206A 및 206B)와 결합된 변환기(202B 또는 202C)를 포함한다. 에너지 소스(206A)는 에너지 버퍼(204)와 결합되고, 이는 차례로 단방향 절연된(isolated) DC-DC 변환기(1200)와 결합된다. 모듈(108D)은 라인(1130)을 통해 충전 소스 신호 DC_CS+ 및 DC_CS-와 각각 접속되는 I/O 포트 7 및 8을 포함한다. 이러한 신호는 변환기(1200)의 DC-AC 변환기(1202)에 입력되어 고주파 AC 형태로 변환된 다음 변압기 및 정류기 섹션(1204)에 입력된다.
변압기 및 정류기 섹션(1204)은 고주파 변압기 및 1상 다이오드 정류기를 포함할 수 있다. 포트 7 및 8 상의 DC 전압은, 서브시스템(1000)이 동시에 충전을 수신하는 많은 그러한 모듈(108)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 소스에 의해 공급되는 총 전압보다 낮은 전압일 수 있다. 변압기 및 정류기 섹션(1204)은 필요한 경우 변환기(1202)로부터의 AC 신호의 전압을 수정할 수 있고 AC 신호를 충전 소스(206A 및 206B)에 대한 DC 형태로 다시 변환할 수 있다. 섹션(1204)은 또한 모듈(108D)의 다른 컴포넌트(202, 204, 206 및 114)에 고전압 절연을 제공한다.
전류가 충전 소스(150)로부터 수신되고 버퍼(204)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지만 반대 방식으로 전류를 출력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다이오드 정류기에 의해 단방향성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차량에 에너지 회수 시스템이 있는 경우 제동 시 제동으로부터의 전류는 전력 접속부(110)를 통해 각 모듈(108)로 다시 전달될 수 있고 변환기(202B,C)를 통해 소스(206A 및 206B) 중 하나로 라우팅될 수 있다. 단방향 DC-DC 절연 변환기(1200)(다이오드 정류기)의 존재는, 회수된 에너지가 모듈(108D)을 통해, 라인(1130)을 경유해 충전 소스로 다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LCD(114)는 각각 데이터 접속부(118-5 및 118-6)를 통해 변환기(1200), 특히 변환기(1202) 및 섹션(1204)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모듈(108E)의 다른 컴포넌트와 마찬가지로, 변환기(1202) 및 섹션(1204)을 위한 모니터 회로는 전류, 전압, 온도, 결함 등을 측정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이들 접속부(118-5 및 118-6)는 또한 변환기(1202)의 스위칭을 제어하고 섹션(1204) 내의 임의의 능동 요소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LCD(114)의 절연은 라인(118-5 및 118-6) 상에 존재하는 절연 회로(예컨대, 절연 게이트 드라이버 및 절연 센서)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도 12b는 모듈(108E)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모듈(108E)은 모듈(108D)의 것과 유사하게 구성되지만 변환기(1200) 대신 양방향 DC-DC 절연 변환기(1210)를 가지며 소스(206)(또는 전력 접속부(110))와 라인(1130)에 접속된 포트 7 및 8 사이에서 양방향 에너지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양방향 변환기(1210)는, (변환기 202B,C를 통해) 포트 7 및 8로부터 충전 소스(206A 및 206B)로 전류를 라우팅하고, (변환기(202B,C)로부터 포트 1 및 2로의 출력에 의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포트 7 및 8로부터의 전류를 라우팅하고, 보조 변환기(1150)를 통해 하나 이상의 고전압 보조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변환기(202B,C)를 사용해) 소스(206A 및/또는 206B)로부터 포트 7 및 8로 전류를 라우팅하며(도 11f), 라인(1130)을 통해 시스템(100)의 다른 모듈(108)을 충전하기 위해 (변환기(202B,C)를 통해) 소스(206A 및/또는 206B)로부터 포트(7 및 8)로 전류를 라우팅한다.
양방향 변환기(1210)는 I/O 포트 7과 8 사이에 접속되고 버퍼(204)는 변압기(1206)에 접속된 DC-AC 변환기(1202)를 포함하고, 변압기(1206)는 차례로 AC-DC 변환기(1208)에 접속된다. 컨버터(1202)는 포트(7, 8)의 DC 전압을 고주파 AC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고, 이 변환기(1206)는 필요에 따라 더 낮은 전압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된 AC 전압을 AC-DC 컨버터(1208)로 출력할 수 있고, 이 변환기는 소스(206A, 206B) 또는 모듈 포트(1 및 2)에 제공하기 위해 AC 신호를 다시 DC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변압기(1206)는 또한 모듈 컴포넌트(202, 204, 206, 1208, 114)를 포트 7 및 8의 고전압으로부터 절연할 수 있다. 모듈(108E)의 다른 컴포넌트와 마찬가지로, 변환기(1202), 변압기(1206), 및 변환기(1208)를 위한 모니터 회로는 전류, 전압, 온도, 결함 등을 측정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LCD(114)는 각각 데이터 접속부(118-5, 118-7, 및 118-8)를 통해 변환기(1210), 특히 변환기(1202), 변압기(1206)(예컨대, 모니터 회로 또는 이와 연관된 능동 컴포넌트), 및 변환기(1208)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들 접속부(118-5 및 118-6)는 또한 변환기(1202)의 스위칭을 제어하고 변압기(1206)와 연관된 임의의 제어 가능한 요소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LCD(114)의 절연은 라인(118-5 및 118-6)(예컨대, 절연 게이트 드라이버 및 절연 센서) 상에 존재하는 절연 회로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전기화학적 배터리 소스(206)의 경우, AC-DC 컨버터(1208)에 의해 소스(206)에 인가되는 충전 펄스의 길이는, 열화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부반응의 발생 없이 셀에서 전기화학적 저장 반응의 발생을 촉진하기 위해 소정의 길이, 예를 들어, 5 밀리초 미만을 갖도록 유지될 수 있다. 충전 방법론은 각 에너지 소스로부터의 능동 피드백을 통합하여 배터리 성능 저하가 검출된 경우 전압을 낮추거나 해당 모듈의 충전 루틴을 일시 중지하는 등의 방법으로 완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펄스는 소스(206)의 고속 충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높은 C 속도(예컨대, 5C 내지 15C 이상)에서 인가될 수 있다. 충전 펄스의 지속시간 및 주파수는 제어 시스템(10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모든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이러한 기술의 예는 2020년 5월 29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모듈식 수준에서의 고급 배터리 충전(Advanced Battery Charging on Modular Levels of Energy Storage System)"인 국제 특허 출원 공개공보 제WO 2020/243655호에 설명되어 있으며, 모든 목적을 위해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다.
도 13a는 모듈(108D)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변환기(202B)는 2차 소스(206B)와 결합되고, 다른 실시예에서 변환기(202C)(도 6c)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버퍼(204)는 여기에서 커패시터로서 구성된다. I/O 포트 7 및 8은 스위치 S10, S11, S12 및 S13이 있는 풀 브리지 변환기로서 구성된 양방향 변환기(1210), 특히 DC-AC 변환기(1202)에 차례로 결합되는 LC 필터(1302)에 결합된다. LC 필터(1302)는 DC 라인(1130)으로부터 및 DC 라인(1130)으로의 고조파를 필터링할 수 있고, 원하는 경우 전류 감속 기능을 제공하고 그리고/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분산 DC 필터일 수 있다. 노드 N1 및 N2으로부터의 풀 브리지 출력은 섹션(1204) 내에서 변압기(1206)의 1차 권선에 접속된다. 변압기(1206)의 2차 권선은 다이오드 D1-D4를 갖는 섹션(1204)의 다이오드 정류기의 노드 N3 및 N4와 결합된다. 변환기(1202)의 스위치는 MOSFET, IGBT, GaN 디바이스 또는 여기에 설명된 다른 것으로 구성된 반도체 스위치일 수 있다. LCD(114) 또는 제어 시스템(102)의 또 다른 요소는 스위치 S1-S6 및 S10-S13의 제어를 위한 스위칭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다른 기능과 함께, 변환기(202B)는 전류를, 충전을 위해 포트 7 및 8로부터 소스(206B)로, 또는 모터 부하(111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I/O 포트 1 및 2로 독립적으로 라우팅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13b는 모듈(108E)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변환기(202B)는 2차 소스(206B)와 결합되고, 다른 실시예에서 변환기(202C)(도 6c)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버퍼(204)는 커패시터로서 구성된다. I/O 포트 7 및 8은 스위치(S10, S11, S12 및 S13)가 있는 풀 브리지 변환기로서 구성된 양방향 변환기(1210), 특히 DC-AC 변환기(1202)에 차례로 결합되는 LC 필터(1302)에 결합된다. 노드(N1 및 N2)의 풀 브리지 출력은 변압기(1206)의 1차 권선에 접속된다. 변압기(1206)의 2차 권선은 스위치(S14, S15, S16 및 S17)를 갖는 AC-DC 변환기(1208)로서 구성된 제2 풀 브리지 회로의 노드(N3 및 N4)와 결합된다. 변환기(1208)의 스위치는 MOSFET, IGBT, GaN 디바이스 또는 여기에 설명된 다른 것으로 구성된 반도체 스위치일 수 있다. LCD(114) 또는 제어 시스템(102)의 또 다른 요소는 스위치(S1-S6 및 S10-S17)의 제어를 위한 스위칭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다른 기능과 함께, 변환기(202B)는 전류를, 충전을 위해 포트 7 및 8로부터 소스(206B)로, 또는 모터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I/O 포트 1 및 2로 독립적으로 라우팅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13c는 모듈(108E)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여기서 AC-DC 컨버터(1208)는, 인덕터(L2)를 통해 변압기(1206)의 이중 2차 권선의 일측에 접속된 소스(206)의 제1 단자와, 이중 2차 권선의 대향측과 소스(206)의 대향 단자에 결합된 공통 노드(예컨대, 노드(4)) 사이에 접속된 스위치(S18 및 S19)를 갖는 푸시-풀 변환기로서 구성된다. 푸시-풀 구성은 두 개의 스위치만 필요로 하므로 스위치에 더 큰 전압이 인가되지만 풀 브리지 변환기보다 비용 효율적이다.
도 14a는 병렬로 2개의 모터(1110-1 및 1110-2)에 3상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서브시스템(100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실시예는 3개의 직렬 어레이(700-PA, 700-PB, 및 700-PC)를 포함하고, 모듈(108)은 여기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모듈들 사이에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접속된 포트 1 및 2와 함께 캐스케이디드 방식으로 배열된다. 서브시스템(1000)은 시스템 포트(SIO1, SIO2 및 SIO3)를 통해 하나 이상의 부하(1112)에 3상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3개의 어레이(700-PA, 700-PB, 및 700-PC)를 갖는다. 이 실시예 및 도 14b의 실시예에서, 모듈(108) 각각은 모듈(108D)(도 12a) 또는 모듈(108E)(도 12b, 13a, 13b)로서 구성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중립 신호를 SIO6(N)에서 사용할 수 있다. 라인(1130)으로부터 공급된 DC 전압 신호(DC_CS+ 및 DC_CS-)는 시스템 I/O 포트(SIO4 및 SIO5)에 의해 각각 서브시스템(1000)에 공급된다. 모듈(108) 각각의 포트 7 및 8은, 인가된 충전 소스 전압이 각 어레이(700)의 모듈(108-1 내지 108-N) 전체에 걸쳐 분할되도록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접속된다.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서브시스템(1000)은 각각의 어레이(700)에서 N개의 모듈(108)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2 이상의 임의의 정수일 수 있다.
도 14b는 모터(1110-1 및 1110-2)에 3상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모듈(108IC-1, 108IC-2, 및 108IC-3)을 또한 갖는 서브시스템(1000)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모듈(108IC)은 상호 접속된 에너지 소스(206)를 가질 수 있고 여기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어레이들(700) 사이의 상간 균형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모듈(108IC)은 또한 하나 이상의 보조 부하(301) 및/또는 하나 이상의 보조 부하(302)를 위해 라인(1131 및 1132)에 DC 전압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각각의 서브시스템(1000)이 보조 부하를 위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호접속된 모듈들(108IC)을 통한 상간 밸런싱 능력으로 구성되는지 여부에 따라, 도 11d 및 11e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서브시스템들(1000-1 내지 1000-4) 중 임의의 하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4c 및 도 14d는 도 14b의 실시예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된 모듈(108IC)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모듈(108IC)은 IO 포트 1을 소스(206)의 양의 DC 전압(포트 3) 또는 소스(206)의 음의 DC 전압(포트 4)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단일 스위치 부분(604)으로 구성된다. 스위치 부분(602A)은 라인(1132)에 대한 보조 부하 전압으로서 제공하기 위해 소스(206)의 전압을 조절하고 강압한다. 필터 커패시터(C3)는 포트 5와 6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모듈(108IC)은 도 13a의 것과 유사한 2개의 풀 브리지 변환기로 구성된 양방향 변환기(1210)를 포함한다. 도 14d는 AC-DC 변환기(1208)가 도 13b의 실시예와 유사한 푸시-풀 변환기로서 구성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트램(1100)의 보조 부하에 대해 다상, 단상, 및 DC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서브시스템(1000-5)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서브시스템(1000-5)은 시스템 포트(SIO1, SIO2 및 SIO3)를 통해 하나 이상의 부하(1112)에 3상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3개의 어레이(700-PD, 700-PE, 및 700-PF)를 갖는다. 서브시스템(1000-5)은 시스템 출력 SIO6(SP(L)) 및 SIO7(SP(N))을 통해 하나 이상의 부하(1114)에 단상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4 어레이(700-PG)를 갖는다. 서브시스템(1000-5)은 추가 어레이(700)의 추가를 통해 필요한 만큼 많은 상이한 위상의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어레이 내의 다수의 모듈(108)은 부하의 전압 요건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어레이(700)가 N개의 모듈(108)을 갖는 것으로 여기에서 도시되지만, N의 값은 어레이들 사이에서 상이할 수 있다. 각각의 어레이(700)의 N개의 모듈(108) 각각은 모듈(108D)(도 13a) 또는 모듈(108E)(도 13b)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어레이(700)는 또한 에너지 공유 및 상간 밸런싱을 위한 상호 접속된 소스(206)를 갖는 모듈(108IC)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108IC-1 내지 108IC-3)은 도 14a 및 14b와 관련하여 설명된 실시예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6은 단상 어레이(700-PD)에서 사용하기 위한 모듈(108IC-4)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실시예는, 모듈(108IC-4)이 2개의 스위치 부분(604-1 및 604-2)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4a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부분(604-1 및 604-2)은 IO 포트 1 및 2를 각각 VDCL+(포트 3) 또는 VDCL-(포트 4)에 독립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I/O 포트 1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레이(700-PD)의 모듈(108-N)의 포트 2에 접속될 수 있다. I/O 포트 2는 어레이(700-PD)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에 대한 중립 역할을 할 수 있다. LC 회로(16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 1과 2 사이에 접속되어 고조파 필터링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보조 부하를 위한 필수 3상 및 단상 전압을 생성하기 위해 별도의 서브시스템(1000)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서브시스템(1000-5)은 생략될 수 있고, 대신에 단상 보조 부하 전압에서 3상을 생성하기 위해 보조 전력 변환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 보조 변환기는 DC 충전 소스 라인(1130)에 접속될 수 있고, 충전 소스(150)가 접속되지 않을 때 충전 소스(150) 또는 다른 서브시스템(1000)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열 관리 시스템(battery thermal management system; BTMS)과 같은 큰 보조 부하가 라인(1130)으로부터 직접 전력을 공급받는 구성에서. 서브시스템(1000-1 내지 1000-5)의 모듈에서 양방향 변환기(1210)의 사용은 그러한 서브시스템이 라인(1130)에 걸쳐 상대적으로 더 높은 DC 전압을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예에서 라인(1130)을 가로질러 접속된 보조 부하는, 트램(1100)에 접속될 때 충전 소스에 의해 직접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그 다음 각 모듈(108)의 양방향 변환기(1210)를 통해 소스(206)로부터 전력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시스템(1000)에 의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임의의 특정 전압, 전류 또는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로서 그리고 문맥의 목적을 위해, 하나의 샘플 구현에서 충전 소스(150)는 라인(1130)에 600V 내지 1000V의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서브시스템(1000-1 내지 1000-4) 각각은 필요한 경우 전압 및 주파수에 의해 조절되고 안정화되는 다상 전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압은 모터의 필요에 따라 300V 내지 1000V일 수 있다. 부하(1112)에 대한 예시적인 3상 보조 전압은 300V 내지 500V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조정 및 안정화된다. 부하(1114)에 대한 예시적인 단상 보조 전압은 120V 내지 240V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조정 및 안정화된다. 부하(301)에 대한 예시적인 보조 전압은 48V 내지 60V일 수 있고 부하(302)에 대한 예시적인 보조 전압은 24V 내지 30V일 수 있다. 다시 이들은 단지 상황의 목적만을 위한 예이며 시스템(100)이 제공할 수 있는 전압은 애플리케이션의 필요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밸런싱된 전체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 보조 서브시스템(1000-5)의 소스(206)의 에너지는 라인(1131) 및 공유 상호 접속 모듈 접속을 통해 (비보조) 서브시스템(1000-1 내지 1000-4) 중 임의의 것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 에너지는 서브시스템(1000-1 내지 1000-4)을 충전하거나 모터에 공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서브시스템(1000-5)으로부터의 에너지는 모터에 직접 접속되지 않고 오히려 하나 이상의 다른 서브시스템(1000-1 내지 1000-4)을 통해 모터에 간접적으로 접속되더라도 하나 이상의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동을 통해 회수된 에너지는 라인(1131) 및 공유 상호 접속 모듈 접속을 통해 서브시스템(1000-1 내지 1000-5)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다음의 실시예의 상호 관계 및 상호 교환성에 중점을 두고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의 관점에서, 그리고/또는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에 대한 보충으로서, 본 요지의 다양한 양상이 하기에서 기술된다. 다른 말로 하면,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실시예들의 각각의 피처가 각각의 피처 및 모든 다른 피처와 결합될 수 있다는 사실에 중점을 둔다.
많은 실시예에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 가능한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각 모듈로부터의 제1 출력 전압의 중첩을 포함하는 AC 전압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함께 접속된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고, 각 모듈은: 에너지 소스; 에너지 소스에 접속되고 모듈의 제1 포트에서 제1 출력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변환기; 및 모듈의 제2 포트와 에너지 소스 사이에 접속된 제2 변환기를 포함하고, 제2 변환기는 제2 포트에서 충전 신호를 수신하고 충전 신호를 제2 출력 전압으로 변환하여 에너지 소스를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변환기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 시스템에서, 복수의 스위치는 풀 브리지 변환기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변환기는 에너지 소스 및 제1 변환기를 제2 포트로부터 절연시키도록 구성된 변압기를 포함하는 DC-DC 변환기이다. 이 시스템에서, 제2 변환기가 제2 포트와 변압기 사이에 접속된 DC-AC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제2 변환기는 변압기와 에너지 소스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 정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제2 변환기는 변압기와 에너지 소스 사이에 접속된 AC-DC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AC-DC 변환기는 풀 브리지 변환기 또는 푸시-풀 변환기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제2 변환기는 제2 포트로부터 에너지 소스로 전기를 전도하는 단방향 변환기일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제2 변환기는 제2 포트와 에너지 소스 사이에서 전기를 전도하는 양방향 변환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모듈은 어레이로서 직렬 접속되고, 각 모듈의 제2 포트에 인가되는 충전 신호의 전압이 총 충전 소스 전압으로부터 분할되게끔 총 충전 소스 전압을 수신하도록 접속된다. 이 시스템에서, 에너지 소스는 제1 에너지 소스일 수 있고, 각 모듈은 제2 에너지 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제2 에너지 소스는 인덕터에 의해 제1 변환기에 접속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제1 에너지 소스는 제1 유형의 리튬 이온 배터리일 수 있고, 제2 에너지 소스는 제2 유형의 리튬 이온 배터리일 수 있으며, 제1 유형과 제2 유형은 다를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제1 에너지 소스는 배터리일 수 있고, 제2 에너지 소스는 고에너지 밀도(high energy density; HED) 커패시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모듈은 에너지 소스와 병렬로 접속된 에너지 버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에너지 버퍼는 커패시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제1 변환기와 제2 변환기의 스위칭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모듈과 연관된 복수의 로컬 제어 디바이스, 및 복수의 로컬 제어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마스터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제어 시스템은 각 모듈의 제2 변환기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모듈의 에너지 소스들 사이에서 에너지를 교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 가능한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제1 복수의 모듈로부터의 출력 전압의 중첩을 포함하는 제1 AC 전압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함께 접속된 제1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는 제1 어레이; 및 제2 복수의 모듈로부터의 출력 전압의 중첩을 포함하는 제2 AC 전압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함께 접속된 제2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는 제2 어레이를 포함하고, 제1 복수의 모듈과 제2 복수의 모듈 중의 각 모듈은: 에너지 소스; 에너지 소스에 접속되고 모듈의 제1 포트에서 제1 출력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변환기; 및 모듈의 제2 포트와 에너지 소스에 접속된 제2 변환기를 포함하고, 제2 변환기는 제2 포트에서 충전 신호를 수신하고 충전 신호를 충전 전압으로 변환하여 에너지 소스를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 시스템은 제1 어레이와 결합된 제1 상호접속 모듈 및 제2 어레이와 결합된 제2 상호접속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상호접속 모듈과 제2 상호접속 모듈은 각각: 제1 포트와 제2 포트; 에너지 소스; 에너지 소스에 접속되고 제1 포트에서 출력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변환기; 및 제2 포트와 에너지 소스에 접속된 제2 변환기를 포함하고, 제2 변환기는 제2 포트에서 충전 신호를 수신하고 충전 신호를 충전 전압으로 변환하여 에너지 소스를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이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상호접속 모듈과 제2 상호접속 모듈의 에너지 소스는 병렬로 접속될 수 있다. 이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상호접속 모듈은 보조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상호접속 모듈은 제1 상호접속 모듈의 에너지 소스를 보조 부하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제3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상호접속 모듈은 스위치 회로를 통해 제1 상호접속 모듈의 에너지 소스와 제1 상호접속 모듈 외부의 보조 부하에 제1 상호접속 모듈의 인덕터를 접속하도록 구성된 제3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제1 어레이와 제2 어레이 사이의 에너지를 밸런싱하기 위해 제1 상호접속 모듈 및 제2 상호접속 모듈 각각의 제1 변환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제1 어레이와 제2 어레이 사이의 에너지를 밸런싱하기 위해 제1 상호접속 모듈 및 제2 상호접속 모듈 각각의 제1 변환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변환기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복수의 스위치는 풀 브리지 변환기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 시스템에서, 제2 변환기는 제2 포트로부터 에너지 소스와 제1 변환기를 절연시키도록 구성된 변압기를 포함하는 DC-DC 변환기일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제2 변환기는 제2 포트와 변압기 사이에 접속된 DC-AC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제2 변환기는 변압기와 에너지 소스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 정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제2 변환기는 변압기와 에너지 소스 사이에 접속된 AC-DC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AC-DC 변환기는 풀 브리지 변환기 또는 푸시-풀 변환기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제2 변환기는 제2 포트로부터 에너지 소스로 전기를 전도하는 단방향 변환기일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제2 변환기는 제2 포트와 에너지 소스 사이에서 전기를 전도하는 양방향 변환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복수의 모듈은 제1 어레이에서 직렬 접속되고, 제1 어레이의 각 모듈의 제2 포트에 인가되는 충전 신호의 전압이 총 충전 소스 전압으로부터 분할되게끔 총 충전 소스 전압을 수신하도록 접속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에너지 소스는 제1 에너지 소스이고, 여기서 각각의 모듈은 제2 에너지 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제2 에너지 소스는 인덕터에 의해 제1 변환기에 접속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제1 에너지 소스는 제1 유형의 리튬 이온 배터리일 수 있고, 제2 에너지 소스는 제2 유형의 리튬 이온 배터리일 수 있으며, 제1 유형과 제2 유형은 다를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제1 에너지 소스는 배터리일 수 있고, 제2 에너지 소스는 고에너지 밀도(high energy density; HED) 커패시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복수의 모듈 중 각 모듈, 제2 복수의 모듈 중 각 모듈, 제1 상호접속 모듈, 및 제2 상호접속 모듈은 에너지 소스와 병렬로 접속된 에너지 버퍼를 더 포함한다. 이 시스템에서, 에너지 버퍼는 커패시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제1 변환기와 제2 변환기의 스위칭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모듈과 연관된 복수의 로컬 제어 디바이스, 및 복수의 로컬 제어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마스터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제어 시스템은 각 모듈의 제2 변환기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모듈의 에너지 소스들 사이에서 에너지를 교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전기 차량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 가능한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제1 어레이, 제2 어레이, 및 제3 어레이에서 함께 접속된 제1 복수의 모듈 - 각 어레이는 해당 어레이의 모듈로부터의 출력 전압의 중첩을 포함하는 AC 전압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됨 -; 및 제2 복수의 모듈로부터의 출력 전압의 중첩을 포함하는 AC 전압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4 어레이에서 함께 접속된 제2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고, 제1의 복수의 모듈은 전기 차량의 제1 보조 부하에 3상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제2 복수의 모듈은 전기 차량의 제2 보조 부하에 단상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제1, 제2, 제3 및 제4 어레이에 접속된 복수의 상호접속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이 시스템에서, 복수의 상호접속 모듈 중 제1 상호접속 모듈은 전기 차량의 제3 보조 부하에 DC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제1 상호접속 모듈은 에너지 소스를 포함할 수 있고 에너지 소스를 제3 보조 부하에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제1 상호접속 모듈은 에너지 소스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상호접속 모듈의 인덕터 및 스위치 회로를 통해 에너지 소스를 제3 보조 부하에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듈 모두는 개별적으로: 에너지 소소; 에너지 소스에 접속되고 모듈의 제1 포트에서 출력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변환기; 및 모듈의 제2 포트와 에너지 소스에 접속된 제2 변환기를 포함하고, 제2 변환기는 제2 포트에서 충전 신호를 수신하고 충전 신호를 충전 전압으로 변환하여 에너지 소스를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이 시스템은 제1 어레이, 제2 어레이, 제3 어레이와 제4 어레이 사이의 에너지를 밸런싱하기 위해 복수의 상호접속 모듈 각각의 제1 변환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제1 어레이의 모듈은, 제1 어레이의 각 모듈의 제2 포트에 인가되는 충전 신호의 전압이 총 충전 소스 전압으로부터 분할되게끔 총 충전 소스 전압을 수신하도록 직렬로 접속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제1 어레이, 제2 어레이, 및 제3 어레이는, 각 어레이의 각 모듈의 제2 포트에 인가되는 충전 신호의 전압이 총 충전 소스 전압으로부터 분할되게끔 총 충전 소스 전압을 수신하도록 병렬 접속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든 모듈은 에너지 버퍼를 더 포함한다. 이 시스템에서, 에너지 버퍼는 커패시터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모듈 각각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많은 실시예에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 가능한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각 모듈로부터의 제1 출력 전압의 중첩을 포함하는 AC 전압 신호를 출력하도록 함께 접속된 복수의 모듈 - 각 모듈은 에너지 소스, 에너지 소스에 접속되고 모듈의 제1 포트에서 제1 출력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변환기, 및 모듈의 제2 포트와 에너지 소스 사이에 접속된 제2 변환기를 포함함 -; 및 각 모듈의 제1 변환기 및 제2 변환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시스템은 펄스 폭 변조 기술에 따라 제1 출력 전압을 출력하도록 각 모듈의 제1 변환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 시스템에서, 제어 시스템은 각 모듈의 제2 변환기를 제어하여 모듈의 에너지 소스를 충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시스템은 모듈의 에너지 소스를 충전하도록 각 모듈의 제2 변환기를 제어하고, 동시에 제1 출력 전압을 출력하도록 각 모듈의 제1 변환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복수의 모듈 중의 모듈의 서브세트는, 서브세트의 각 모듈의 제1 포트가 서브세트의 또 다른 모듈의 제1 포트에 결합되고 서브세트의 각 모듈의 제2 포트가 서브세트의 또 다른 모듈의 제2 포트에 결합되도록 캐스케이디드 방식으로 함께 접속될 수 있다. 이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모듈 중 제1 모듈의 제2 변환기 및 복수의 모듈 중 제2 모듈의 제2 변환기를 제어하여 제1 모듈의 에너지 소스와 제2 모듈의 에너지 소스 사이에서 에너지를 교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모듈 중 각 모듈의 제2 변환기는 에너지 소스 및 제1 변환기를 제2 포트로부터 절연시키도록 구성된 변압기를 포함하는 DC-DC 변환기이다. 이 시스템에서, 복수의 모듈 중 각 모듈의 제2 변환기는 제2 포트와 변압기 사이에 접속된 DC-AC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복수의 모듈 중 각 모듈의 제2 변환기는 변압기와 에너지 소스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 정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복수의 모듈 중 각 모듈의 제2 변환기는 변압기와 에너지 소스 사이에 접속된 AC-DC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AC-DC 변환기는 풀 브리지 변환기 또는 푸시-풀 변환기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에너지 소스는 제1 에너지 소스이고, 복수의 모듈 중 각 모듈은 인덕터를 통해 제1 변환기와 결합된 제2 에너지 소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모듈과 연관된 복수의 로컬 제어 디바이스, 및 복수의 로컬 제어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마스터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복수의 모듈은 제1 어레이, 제2 어레이, 및 제3 어레이에서 함께 접속되고, 제1 복수의 모듈 각각은 해당 어레이의 모듈로부터의 출력 전압의 중첩을 포함하는 AC 전압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 시스템은 제4 어레이, 제5 어레이, 및 제6 어레이에서 함께 접속된 제2 복수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복수의 모듈 각각은 해당 어레이의 모듈로부터의 출력 전압의 중첩을 포함하는 AC 전압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 시스템은 제3 복수의 모듈로부터의 출력 전압의 중첩을 포함하는 AC 전압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7 어레이에서 함께 접속된 제3 복수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제1 복수의 모듈은 전기 차량의 모터에 3상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복수의 모듈은 전기 차량의 제1 보조 부하에 3상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3 복수의 모듈은 전기 차량의 제2 보조 부하에 단상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제어 시스템은 제2 복수의 모듈 및 제3 복수의 모듈 중 각 모듈의 제1 변환기 및 제2 변환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 시스템은 시스템의 DC 라인에 결합된 보조 변환기를 더 포함하고, 보조 변환기는 DC 라인으로부터의 DC 전력을 보조 부하에 대한 AC 전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시스템은 각 모듈의 제2 변환기가 각 모듈의 제2 포트로부터 DC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여, 보조 전력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출력되는 DC 전압이 DC 라인에 인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모듈식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포함하는 레일 기반 전기 차량을 동작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복수의 모듈로부터의 복수의 제1 출력 전압을 포함하는 AC 전력 신호를 레일 기반 전기 차량의 전기 모터로 출력하는 단계 - 복수의 모듈 각각은 에너지 소스, 에너지 소스와 결합되고 모듈의 제1 포트로부터 제1 출력 전압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1 변환기, 및 에너지 소스와 모듈의 제2 포트 사이에 결합된 제2 변환기를 포함함 -; 충전 신호를 전기 차량에 인가하는 단계 - 충전 신호로부터의 전압은 복수의 모듈 각각의 제2 포트에 인가됨 -; 및 복수의 모듈 각각의 제2 변환기가 각 모듈의 에너지 소스를 충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에서, 충전 신호가 인가되는 동안 전기 차량이 이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더 큰 시스템 내의 둘 이상의 디바이스 또는 서브시스템 중 하나를 지칭한다. 모듈은 유사한 크기, 기능, 및 물리적 배열(예컨대, 전기 단자, 커넥터 등의 위치)의 다른 모듈과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일한 기능 및 에너지 소스(들)를 갖는 모듈은 동일한 시스템(예컨대, 랙 또는 팩) 내의 모든 다른 모듈과 동일하게 구성(예컨대, 크기 및 물리적 배열)될 수 있지만, 상이한 기능 또는 에너지 소스(들)를 갖는 모듈은 크기와 물리적 배열이 다를 수 있다. 각 모듈은 물리적으로 제거 가능하고 시스템의 다른 모듈(예컨대, 자동차의 휠 또는 정보 기술(information technology; IT) 블레이드 서버(blade server)의 블레이드)과 관련하여 교체할 수 있지만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시스템의 전체적인 분해 없이는 어떠한 하나의 모듈의 제거 및 교체도 허용하지 않는 공통 하우징에서 패키징될 수 있다. 그러나, 본원에서의 임의의 그리고 모든 실시예는, 각각의 모듈이, 종래의 방식으로, 예컨대 시스템의 분해 없이, 다른 모듈과 관련하여 제거 가능하고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용어 "마스터 제어 디바이스"는 본원에서 광의의 의미로 사용되며, 예를 들어, 로컬 제어 디바이스와 같은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와의 마스터 및 슬레이브 관계와 같은 임의의 특정한 프로토콜의 구현을 요구하지 않는다.
용어 "출력"은 본원에서 광의의 의미로 사용되며, 출력 및 입력 둘 모두로서 양방향 방식으로 기능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유사하게, 용어 "입력"은 본원에서 광의의 의미로 사용되며, 입력 및 출력 둘 모두로서 양방향 방식으로 기능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용어 "단자" 및 "포트"는 본원에서 광의의 의미로 사용되며, 단방향성 또는 양방향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입력 또는 출력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암(female) 구성 또는 수(male) 구성과 같은 특정한 물리적 또는 기계적 구조물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이한 참조 번호 표기법이 여기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표기법은 본 요지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요지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일부 도면은 동일한 또는 유사한 요소의 다수의 인스턴스를 도시한다. 이러한 요소에는 예를 들어, 123-1, 123-2, 또는 123-PA와 같이 "-X" 형식의 숫자나 문자가 추가될 수 있다. 이 -X 형식은 요소가 각 인스턴스에서 동일하게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도면에서 요소를 참조할 때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X 부가물(appendix)이 없는 속 번호(genus number)(예컨대, 123)에 대한 지칭은 속 내 요소의 모든 인스턴스를 광범위하게 지칭한다.
다음의 실시예의 상호 관계 및 상호 교환성에 중점을 두고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의 관점에서, 그리고/또는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에 대한 보충으로서, 본 요지의 다양한 양상이 하기에서 기술된다. 다시 말하면,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거나 또는 논리적으로 타당하지 않은 경우가 아니면, 실시예의 각 피처는 각각의 그리고 모든 다른 피처와 결합될 수 있다는 사실에 중점을 둔다.
프로세싱 회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및/또는 마이크로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의 각각은 별개의 또는 독립형 칩일 수 있거나 또는 다수의 상이한 칩(및 그 일부) 사이에서 분산될 수 있다. (예컨대, 데스크톱 PC, 랩톱, 태블릿 등등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개인 컴퓨팅 아키텍처,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아키텍처, 독점적(proprietary) 아키텍처, 맞춤형 아키텍처, 및 다른 것들과 같은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 임의의 유형의 프로세싱 회로가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는, 프로세싱 회로로 하여금 많은 상이한 액션을 취하게 하고 다른 컴포넌트를 제어하게 하는 메모리 상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는 다른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루틴을 또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회로는 통신 회로와 인터페이싱할 수 있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인코딩 및 디코딩, 다른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멀티미디어 기능, 통신 회로로의 제공에 적합한 포맷(예컨대, 동위상 및 직교)으로의 데이터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통신 회로로 하여금 데이터를 송신하게 할 수 있다(유선 또는 무선).
본원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그리고 모든 통신 신호는, 언급되거나 또는 논리적으로 타당하지 않은 경우를 제외하면, 무선으로 전달될 수 있다. 통신 회로는 무선 통신을 위해 포함될 수 있다. 통신 회로는, 적절한 프로토콜(예컨대, 와이파이,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에너지, 근접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무선 주파수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독점적 프로토콜, 및 기타) 하에서 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칩 및/또는 컴포넌트(예컨대, 송신기, 수신기, 트랜시버, 및/또는 다른 통신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프로토콜 및 회로와 함께 동작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와 함께 하나 이상의 다른 안테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통신 회로는 링크를 통한 송신을 위해 안테나를 공유할 수 있다. RF 통신 회로는 송신기 및 수신기(예컨대, 트랜스시버로서 통합됨) 및 연관된 인코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는 운영체제 및 임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그리고 송신되는 그리고 수신되는 통신의 프로세싱에 관련되지 않은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또한 적응될 수 있다.
설명된 요지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자바(Java),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스몰토크(Smalltalk), C++, C#, Transact-SQL, XML, PHP 또는 등등과 같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및 종래의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 예컨대 "C"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유사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비롯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작성될 수 있다.
메모리, 스토리지, 및/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존재하는 다양한 기능 유닛 중 하나 이상에 의해 공유될 수 있거나, 또는(예컨대, 상이한 칩 내에서 존재하는 별개의 메모리로서) 그것들 중 두 개 이상 사이에서 분산될 수 있다. 메모리는 또한 그 자체로 별개의 칩에 상주할 수 있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실시예가 메모리, 스토리지, 및/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과 연관되어 동작하는 경우, 그러면 그 메모리, 스토리지, 및/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비일시적이다. 따라서, 메모리, 스토리지, 및/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하나 이상의 청구항에 의해 포괄되는 경우, 그러면, 그 메모리, 스토리지, 및/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오로지 비일시적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비일시적" 및 "유형의(tangible)"는, 전파되는 전자기 신호를 제외한 메모리, 스토리지, 및/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설명하도록 의도되지만, 그러나 저장의 지속성 또는 그 밖의 것의 관점에서 메모리, 스토리지, 및/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유형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비일시적" 및/또는 "유형의" 메모리, 스토리지, 및/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매체(예컨대, RAM, SRAM, DRAM, FRAM, 등등), 판독 전용 매체(예컨대, ROM, PROM, EPROM, EEPROM, 플래시, 등등) 및 이들의 조합(예컨대, 하이브리드 RAM 및 ROM, NVRAM, 등등) 및 이들의 변형과 같은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를 포괄한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모든 피처, 요소, 컴포넌트, 기능, 및 단계는, 임의의 다른 실시예의 것들과 자유롭게 결합 가능하도록 그리고 대체 가능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특정 피처, 요소, 컴포넌트, 기능, 또는 단계가 오로지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경우, 그러면, 그 피처, 요소, 컴포넌트, 기능, 또는 단계는,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설명되는 모든 다른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단락은, 임의의 시간에, 상이한 실시예의 피처, 요소, 컴포넌트, 기능, 및 단계를 조합하는, 또는 하나의 실시예로부터의 피처, 요소, 컴포넌트, 기능, 및 단계를 또 다른 실시예의 것들과 대체하는 청구항을, 비록 특별한 경우에, 그러한 조합 또는 교체가 가능하다는 것을 후속하는 설명이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도입하기 위한 선행하는 기반 및 성문의(written) 지원으로서 기능한다. 특히 각각의 그리고 모든 그러한 조합 및 대체의 허용 가능성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에 의해 용이하게 인식될 것이다는 점을 고려하면, 모든 가능한 조합 및 대체의 명시적 언급은 과도하게 부담스럽다는 것이 명시적으로 인정된다.
본원에서 그리고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사용될 때, 단수 형태 "a(한)", "an(한)" 및 "the(그)"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 대상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가 다양한 수정 및 대안적 형태를 허용하지만, 그 특정한 예가 도면에서 도시되었고 본원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개시되는 특정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반대로,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의 취지 내에 속하는 모든 수정예, 등가예, 및 대안예를 포괄할 것이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더구나, 실시예의 임의의 피처, 기능, 단계, 또는 요소는 청구항뿐만 아니라, 청구항의 발명적 범위를, 그 범위 내에 있지 않은 피처, 기능, 단계, 또는 요소에 의해 정의하는 부정적인 한정(negative limitation)에서 기재되거나 또는 그것들에 추가될 수 있다.

Claims (92)

  1.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 가능한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에 있어서,
    각 모듈로부터의 제1 출력 전압의 중첩을 포함하는 AC 전압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함께 접속된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고,
    각 모듈은,
    에너지 소스;
    상기 에너지 소스에 접속되고 상기 모듈의 제1 포트에서 상기 제1 출력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변환기; 및
    상기 모듈의 제2 포트와 상기 에너지 소스 사이에 접속된 제2 변환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변환기는 상기 제2 포트에서 충전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충전 신호를 제2 출력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에너지 소스를 충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환기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풀 브리지(full bridge) 변환기로서 구성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환기는 상기 에너지 소스 및 상기 제1 변환기를 상기 제2 포트로부터 절연시키도록 구성된 변압기를 포함하는 DC-DC 변환기인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환기는 상기 제2 포트와 상기 변압기 사이에 접속된 DC-AC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환기는 상기 변압기와 상기 에너지 소스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 정류기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환기는 상기 변압기와 상기 에너지 소스 사이에 접속된 AC-DC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C-DC 변환기는 풀 브리지(full bridge) 변환기 또는 푸시-풀(push-pull) 변환기로서 구성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환기는 상기 제2 포트로부터 상기 에너지 소스로 전기를 전도하는 단방향 변환기인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환기는 상기 제2 포트와 상기 에너지 소스 사이에서 전기를 전도하는 양방향 변환기인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11.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모듈은 어레이로서 직렬 접속되고, 각 모듈의 상기 제2 포트에 인가되는 상기 충전 신호의 전압이 총 충전 소스 전압으로부터 분할되게끔 상기 총 충전 소스 전압을 수신하도록 접속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소스는 제1 에너지 소스이고, 각 모듈은 제2 에너지 소스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너지 소스는 인덕터에 의해 상기 제1 변환기에 접속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너지 소스는 제1 유형의 리튬 이온 배터리이고, 상기 제2 에너지 소스는 제2 유형의 리튬 이온 배터리이며, 상기 제1 유형과 상기 제2 유형은 상이한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너지 소스는 배터리이고, 상기 제2 에너지 소스는 고에너지 밀도(high energy density; HED) 커패시터인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16.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모듈은 상기 에너지 소스와 병렬로 접속된 에너지 버퍼를 더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버퍼는 커패시터인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환기와 상기 제2 변환기의 스위칭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모듈과 연관된 복수의 로컬 제어 디바이스, 및 상기 복수의 로컬 제어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마스터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각 모듈의 상기 제2 변환기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상기 모듈의 에너지 소스들 사이에서 에너지를 교환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21.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 가능한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복수의 모듈로부터의 출력 전압의 중첩을 포함하는 제1 AC 전압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함께 접속된 상기 제1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는 제1 어레이; 및
    제2 복수의 모듈로부터의 출력 전압의 중첩을 포함하는 제2 AC 전압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함께 접속된 상기 제2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는 제2 어레이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복수의 모듈과 상기 제2 복수의 모듈 중의 각 모듈은,
    에너지 소스;
    상기 에너지 소스에 접속되고 상기 모듈의 제1 포트에서 출력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변환기; 및
    상기 모듈의 제2 포트와 상기 에너지 소스에 접속된 제2 변환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변환기는 상기 제2 포트에서 충전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충전 신호를 충전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에너지 소스를 충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레이와 결합된 제1 상호접속 모듈 및 상기 제2 어레이와 결합된 제2 상호접속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상호접속 모듈과 상기 제2 상호접속 모듈은 각각,
    제1 포트와 제2 포트;
    에너지 소스;
    상기 에너지 소스에 접속되고 상기 제1 포트에서 출력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변환기; 및
    상기 제2 포트와 상기 에너지 소스에 접속된 제2 변환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변환기는 상기 제2 포트에서 충전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충전 신호를 충전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에너지 소스를 충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호접속 모듈과 상기 제2 상호접속 모듈의 상기 에너지 소스는 병렬로 접속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호접속 모듈은 보조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호접속 모듈은 상기 제1 상호접속 모듈의 상기 에너지 소스를 보조 부하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제3 포트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호접속 모듈은 스위치 회로 및 상기 제1 상호접속 모듈의 인덕터를 통해 상기 제1 상호접속 모듈의 상기 에너지 소스를 상기 제1 상호접속 모듈 외부의 보조 부하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제3 포트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27. 제22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레이와 상기 제2 어레이 사이의 에너지를 밸런싱하기 위해 상기 제1 상호접속 모듈 및 상기 제2 상호접속 모듈 각각의 상기 제1 변환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28. 제22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레이와 상기 제2 어레이 사이의 에너지를 밸런싱하기 위해 상기 제1 상호접속 모듈 및 상기 제2 상호접속 모듈 각각의 상기 제1 변환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환기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풀 브리지 변환기로서 구성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31.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환기는 상기 에너지 소스 및 상기 제1 변환기를 상기 제2 포트로부터 절연시키도록 구성된 변압기를 포함하는 DC-DC 변환기인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환기는 상기 제2 포트와 상기 변압기 사이에 접속된 DC-AC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환기는 상기 변압기와 상기 에너지 소스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 정류기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환기는 상기 변압기와 상기 에너지 소스 사이에 접속된 AC-DC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AC-DC 변환기는 풀 브리지 변환기 또는 푸시-풀 변환기로서 구성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환기는 상기 제2 포트로부터 상기 에너지 소스로 전기를 전도하는 단방향 변환기인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37.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환기는 상기 제2 포트와 상기 에너지 소스 사이에서 전기를 전도하는 양방향 변환기인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3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모듈은 상기 어레이에서 직렬 접속되고, 상기 제1 어레이의 각 모듈의 상기 제2 포트에 인가되는 상기 충전 신호의 전압이 총 충전 소스 전압으로부터 분할되게끔 상기 총 충전 소스 전압을 수신하도록 접속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39. 제2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소스는 제1 에너지 소스이고, 각 모듈은 제2 에너지 소스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너지 소스는 인덕터에 의해 상기 제1 변환기에 접속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너지 소스는 제1 유형의 리튬 이온 배터리이고, 상기 제2 에너지 소스는 제2 유형의 리튬 이온 배터리이며, 상기 제1 유형과 상기 제2 유형은 상이한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너지 소스는 배터리이고, 상기 제2 에너지 소스는 고에너지 밀도(high energy density; HED) 커패시터인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43. 제2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모듈 중 각 모듈, 상기 제2 복수의 모듈 중 각 모듈, 상기 제1 상호접속 모듈, 및 상기 제2 상호접속 모듈은 상기 에너지와 병렬로 접속된 에너지 버퍼를 더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버퍼는 커패시터인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45. 제21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환기와 상기 제2 변환기의 스위칭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모듈과 연관된 복수의 로컬 제어 디바이스, 및 상기 복수의 로컬 제어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마스터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모듈의 에너지 소스들 사이에서 에너지를 교환하기 위해 각 모듈의 상기 제2 변환기의 스위칭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48. 전기 차량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 가능한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어레이, 제2 어레이, 및 제3 어레이에서 함께 접속된 제1 복수의 모듈 - 각 어레이는 해당 어레이의 모듈로부터의 출력 전압의 중첩을 포함하는 AC 전압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됨 -; 및
    제2 복수의 모듈로부터의 출력 전압의 중첩을 포함하는 AC 전압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4 어레이에서 함께 접속된 상기 제2 복수의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의 복수의 모듈은 상기 전기 차량의 제1 보조 부하에 3상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복수의 모듈은 상기 전기 차량의 제2 보조 부하에 단상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레이, 상기 제2 어레이, 상기 제3 어레이, 및 상기 제4 어레이에 접속된 복수의 상호접속 모듈을 더 포함하는,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호접속 모듈 중 제1 상호접속 모듈은 상기 전기 차량의 제3 보조 부하에 DC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호접속 모듈은 에너지 소스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소스를 상기 제3 보조 부하에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52.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호접속 모듈은 에너지 소스를 포함하고, 스위치 회로 및 상기 제1 상호접속 모듈의 인덕터를 통해 상기 에너지 소스를 상기 제3 보조 부하에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53. 제48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모두는 개별적으로,
    에너지 소스;
    상기 에너지 소스에 접속되고 상기 모듈의 제1 포트에서 출력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변환기; 및
    상기 모듈의 제2 포트와 상기 에너지 소스에 접속된 제2 변환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변환기는 상기 제2 포트에서 충전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충전 신호를 충전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에너지 소스를 충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레이, 상기 제2 어레이, 상기 제3 어레이와 상기 제4 어레이 사이의 에너지를 밸런싱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상호접속 모듈 각각의 상기 제1 변환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55.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레이의 모듈은, 상기 제1 어레이의 각 모듈의 상기 제2 포트에 인가되는 상기 충전 신호의 전압이 총 충전 소스 전압으로부터 분할되게끔 상기 총 충전 소스 전압을 수신하도록 직렬로 접속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56.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레이, 상기 제2 어레이, 및 상기 제3 어레이는, 각 어레이의 각 모듈의 상기 제2 포트에 인가되는 상기 충전 신호의 전압이 총 충전 소스 전압으로부터 분할되게끔 상기 총 충전 소스 전압을 수신하도록 병렬 접속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57. 제48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든 모듈은 에너지 버퍼를 더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버퍼는 커패시터인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59. 제48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각각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60. 레일 기반 전기 차량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성되는, 상기 레일 기반 전기 차량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 가능한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레일 기반 전기 차량.
  61. 제60항에 있어서,
    전기 기차 또는 전기 트램으로서 구성된 레일 기반 전기 차량.
  62. 제60항에 있어서,
    이동하는 동안 충전 소스에 간헐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된 레일 기반 전기 차량.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소스는 전차선(catenary)인 것인, 레일 기반 전기 차량.
  64. 제60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는 전기 모터인 것인, 레일 기반 전기 차량.
  65. 레일 기반 전기 차량에 있어서,
    제48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성되는, 상기 레일 기반 전기 차량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 가능한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레일 기반 전기 차량.
  66. 제65항에 있어서,
    전기 기차 또는 전기 트램으로서 구성된 레일 기반 전기 차량.
  67. 제65항에 있어서,
    이동하는 동안 충전 소스에 간헐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된 레일 기반 전기 차량.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소스는 전차선인 것인, 레일 기반 전기 차량.
  69. 전기 차량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성되는, 상기 레일 기반 전기 차량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 가능한 제1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 상기 부하는 전기 모터임 -; 및
    제48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성되거나, 상기 레일 기반 전기 차량의 보조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가능한 제2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을 포함하는, 전기 차량.
  70.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 가능한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에 있어서,
    각 모듈로부터의 제1 출력 전압의 중첩을 포함하는 AC 전압 신호를 출력하도록 함께 접속된 복수의 모듈 - 각 모듈은 에너지 소스, 상기 에너지 소스에 접속되고 상기 모듈의 제1 포트에서 상기 제1 출력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변환기, 및 상기 모듈의 제2 포트와 상기 에너지 소스 사이에 접속된 제2 변환기를 포함함 -; 및
    각 모듈의 상기 제1 변환기 및 상기 제2 변환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
    을 포함하는,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펄스 폭 변조 기술에 따라 상기 제1 출력 전압을 출력하도록 각 모듈의 상기 제1 변환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각 모듈의 상기 제2 변환기를 제어하여 상기 모듈의 상기 에너지 소스를 충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73.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모듈의 상기 에너지 소스를 충전하도록 각 모듈의 상기 제2 변환기를 제어하고, 동시에 상기 제1 출력 전압을 출력하도록 각 모듈의 상기 제1 변환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74. 제72항 및 제73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복수의 모듈 중의 모듈의 서브세트는, 상기 서브세트의 각 모듈의 상기 제1 포트가 상기 서브세트의 또 다른 모듈의 제1 포트에 결합되고 상기 서브세트의 각 모듈의 상기 제2 포트가 상기 서브세트의 또 다른 모듈의 제2 포트에 결합되도록 캐스케이디드 방식(cascaded fashion)으로 함께 접속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모듈 중 제1 모듈의 상기 제2 변환기 및 상기 복수의 모듈 중 제2 모듈의 상기 제2 변환기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모듈의 상기 에너지 소스와 상기 제2 모듈의 상기 에너지 소스 사이에서 에너지를 교환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76. 제70항 내지 제7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듈 중 각 모듈의 상기 제2 변환기는 상기 에너지 소스 및 상기 제1 변환기를 상기 제2 포트로부터 절연시키도록 구성된 변압기를 포함하는 DC-DC 변환기인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77.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듈 중 각 모듈의 상기 제2 변환기는 상기 제2 포트와 상기 변압기 사이에 접속된 DC-AC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78.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듈 중 각 모듈의 상기 제2 변환기는 상기 변압기와 상기 에너지 소스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 정류기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79.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듈 중 각 모듈의 상기 제2 변환기는 상기 변압기와 상기 에너지 소스 사이에 접속된 AC-DC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80.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AC-DC 변환기는 풀 브리지 변환기 또는 푸시-풀 변환기로서 구성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81. 제70항 내지 제8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소스는 제1 에너지 소스이고, 상기 복수의 모듈 중 각 모듈은 인덕터를 통해 상기 제1 변환기와 결합된 제2 에너지 소스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82. 제70항 내지 제8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모듈과 연관된 복수의 로컬 제어 디바이스, 및 상기 복수의 로컬 제어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마스터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83. 제70항 내지 제8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모듈은 제1 어레이, 제2 어레이, 및 제3 어레이에서 함께 접속되고, 상기 제1 복수의 모듈 각각은 해당 어레이의 모듈로부터의 출력 전압의 중첩을 포함하는 AC 전압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84. 제83항에 있어서,
    제4 어레이, 제5 어레이, 및 제6 어레이에서 함께 접속된 제2 복수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복수의 모듈 각각은 해당 어레이의 모듈로부터의 출력 전압의 중첩을 포함하는 AC 전압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85. 제84항에 있어서,
    제3 복수의 모듈로부터의 출력 전압의 중첩을 포함하는 AC 전압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7 어레이에서 함께 접속된 상기 제3 복수의 모듈을 더 포함하는,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86.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모듈은 상기 전기 차량의 모터에 3상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복수의 모듈은 상기 전기 차량의 제1 보조 부하에 3상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3 복수의 모듈은 상기 전기 차량의 제2 보조 부하에 단상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87.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제2 복수의 모듈 및 상기 제3 복수의 모듈 중 각 모듈의 제1 변환기 및 제2 변환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88. 제70항 내지 제77항 및 제79항 내지 제8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DC 라인에 결합된 보조 변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변환기는 상기 DC 라인으로부터의 DC 전력을 보조 부하에 대한 AC 전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89.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보조 변환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출력되는 DC 전압이 상기 DC 라인에 인가되게끔, 각 모듈의 상기 제2 포트로부터 DC 전압을 출력하도록 각 모듈의 상기 제2 변환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듈식 에너지 시스템.
  90. 모듈식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포함하는 레일 기반 전기 차량을 동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모듈로부터의 복수의 제1 출력 전압을 포함하는 AC 전력 신호를 상기 레일 기반 전기 차량의 전기 모터로 출력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모듈 각각은 에너지 소스, 상기 에너지 소스와 결합되고 상기 모듈의 제1 포트로부터 상기 제1 출력 전압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1 변환기, 및 상기 에너지 소스와 상기 모듈의 제2 포트 사이에 결합된 제2 변환기를 포함함 -;
    충전 신호를 전기 차량에 인가하는 단계 - 상기 충전 신호로부터의 전압은 상기 복수의 모듈 각각의 상기 제2 포트에 인가됨 -; 및
    각 모듈의 상기 에너지 소스를 충전하도록 상기 복수의 모듈 각각의 상기 제2 변환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레일 기반 전기 차량을 동작하는 방법.
  91.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신호가 인가되는 동안 상기 전기 차량이 이동하는 것인, 레일 기반 전기 차량을 동작하는 방법.
  92.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식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제1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성되는 것인, 레일 기반 전기 차량을 동작하는 방법.
KR1020227043403A 2020-05-14 2021-05-13 모듈식 캐스케이디드 에너지 시스템을 갖는 레일 기반 및 다른 전기 차량을 위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 KR202300132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25099P 2020-05-14 2020-05-14
US63/025,099 2020-05-14
US202063029368P 2020-05-22 2020-05-22
US63/029,368 2020-05-22
US202063084293P 2020-09-28 2020-09-28
US63/084,293 2020-09-28
PCT/US2021/032295 WO2021231759A1 (en) 2020-05-14 2021-05-13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rail-based and other electric vehicles with modular cascaded energy 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250A true KR20230013250A (ko) 2023-01-26

Family

ID=7852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3403A KR20230013250A (ko) 2020-05-14 2021-05-13 모듈식 캐스케이디드 에너지 시스템을 갖는 레일 기반 및 다른 전기 차량을 위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11827115B2 (ko)
EP (1) EP4149791A4 (ko)
JP (1) JP2023526245A (ko)
KR (1) KR20230013250A (ko)
CN (1) CN115916581A (ko)
AU (1) AU2021271701A1 (ko)
BR (1) BR112022023043A2 (ko)
CA (1) CA3179327A1 (ko)
CL (1) CL2022003171A1 (ko)
IL (1) IL298081A (ko)
MX (1) MX2022014260A (ko)
PE (1) PE20230869A1 (ko)
WO (1) WO20212317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1759A1 (en) 2020-05-14 2021-11-18 Tae Technologies,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rail-based and other electric vehicles with modular cascaded energy systems
CN114475352A (zh) * 2022-03-18 2022-05-13 珠海极海半导体有限公司 电池供电电路、电池管理系统、mpu和汽车动力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0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103465D1 (de) 1990-05-08 1994-12-15 Asea Brown Boveri Zweiquadrantenstromrichter und dessen Verwendung als Steuerelement eines Energiespeichers.
US5428522A (en) 1992-08-17 1995-06-27 Kaman Electromagnetics Corporation Four quadrant unipolar pulse width modulated inverter
US5905371A (en) 1995-06-23 1999-05-18 D.C. Transformation, Inc. Sequential discharge and its use for rectification
US5642275A (en) 1995-09-14 1997-06-24 Lockheed Martin Energy System, Inc. Multilevel cascade voltage source inverter with seperate DC sources
JP3741171B2 (ja) 1996-06-17 2006-02-01 株式会社安川電機 多重パルス幅変調方式の電力変換装置
US6064180A (en) 1996-10-29 2000-05-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battery state-of-charge using neural network architecture
WO1998058439A1 (en) 1997-06-19 1998-12-23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Current stiff converters with resonant snubbers
US5933339A (en) 1998-03-23 1999-08-03 Electric Boat Corporation Modular static power converter connected in a multi-level, multi-phase, multi-circuit configuration
US6051961A (en) 1999-02-11 2000-04-18 Delta Electronics, Inc. Soft-switching cell for reducing switching losses in pulse-width-modulated converters
US6236580B1 (en) 1999-04-09 2001-05-22 Robicon Corporation Modular multi-level adjustable supply with series connected active inputs
AUPQ750500A0 (en) 2000-05-15 2000-06-08 Energy Storage Systems Pty Ltd A power supply
FR2814006B1 (fr) 2000-09-12 2002-11-08 Centre Nat Rech Scient Dispositif de conversion d'energie electrique a decoupage
US6373734B1 (en) 2000-09-15 2002-04-16 Artesyn Technologies, Inc. Power factor correction control circuit and power supply including same
US6803746B2 (en) 2001-11-02 2004-10-12 Aker Wade Power Technologies, Llc Fast charger for high capacity batteries
US6977492B2 (en) 2002-07-10 2005-12-20 Marvell World Trade Ltd. Output regulator
US6963796B2 (en) * 2003-09-10 2005-11-08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Modularized power take-off systems for vehicles
DE102004052174B4 (de) 2004-10-27 2015-03-19 Xignal Technologies Ag Verstärkerschaltung, umfassend einen Verstärker mit tiefpassgefilterter Rückkopplung
US7158393B2 (en) 2005-03-11 2007-01-02 Soft Switching Technologies Corporation Power conversion and voltage sag correction with regenerative loads
JP4811917B2 (ja) 2005-12-27 2011-11-09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US7485987B2 (en) 2006-02-23 2009-02-0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ower converting device
JP4850564B2 (ja) 2006-04-06 2012-01-1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FR2906654B1 (fr) 2006-09-29 2010-02-26 Schneider Toshiba Inverter Europe Sas Systeme d'alimentation electrique a decoupage et variateur de vitesse comportant un tel systeme.
ES2664868T3 (es) 2007-01-17 2018-04-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Control de un ramal de módulo de fase de un convertidor multinivel
US20080245593A1 (en) 2007-04-03 2008-10-09 Kim Richard J Hybrid light electric vehicle with all-wheel power train
US7787270B2 (en) * 2007-06-06 2010-08-31 General Electric Company DC-DC and DC-AC power conversion system
EP2096753B1 (en) 2008-02-29 2011-11-30 STMicroelectronics (Grenoble) SAS Switching amplifier
JP4315232B1 (ja) 2008-03-17 2009-08-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
US7775810B2 (en) 2008-06-12 2010-08-17 Delphi Technologies, Inc. Voltage tap apparatus for series connected conductive case battery cells
US7894224B2 (en) 2008-10-07 2011-02-22 DRS Power & Technologies, Inc. Voltage drive system with hysteretic current contro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2239064A (zh) 2008-10-07 2011-11-09 波士顿电力公司 用于交通工具和其它大容量应用的锂离子电池组阵列
CA2754960C (en) 2009-03-11 2016-08-23 Abb Technology Ag A modular voltage source converter
US20100298957A1 (en) 2009-05-15 2010-11-25 Synergy Elements, Inc. Multi-function sensor for home automation
US8169205B2 (en) 2009-05-26 2012-05-01 Silergy Technology Control for regulator fast transient response and low EMI noise
DE102009027836A1 (de) 2009-07-20 2011-01-27 SB LiMotive Company Ltd., Suwon Serienschaltung von Schaltreglern zur Energieübertragung in Batteriesystemen
EP2290799A1 (en) 2009-08-25 2011-03-02 Converteam Technology Ltd Bi-directional multilevel AC-DC converter arrangements
CN102577072B (zh) 2009-10-06 2015-05-27 Abb研究有限公司 改进型电压源转换器结构
US9413264B2 (en) 2009-12-07 2016-08-09 Illinois Tool Works Inc. Ground power unit for aircraft
DE102009054820A1 (de) 2009-12-17 2011-06-22 Robert Bosch GmbH, 70469 Energiespeichersystem und Verfahren zu dessen Betreiben
DE102009054823A1 (de) 2009-12-17 2011-06-22 Robert Bosch GmbH, 70469 Energieübertragungssystem für ein Energiespeichersystem
US8395280B2 (en) 2010-02-16 2013-03-12 Infineon Technologies Ag Circuit arrangement including a multi-level converter
US8476888B1 (en) 2010-02-24 2013-07-02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Switching regulator providing current regulation based on using switching transistor current to control on time
CN201789411U (zh) 2010-03-11 2011-04-06 荣信电力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全控型变流器件iegt的大容量h桥功率单元
DE102010027850A1 (de) 2010-04-16 2011-10-20 Sb Limotive Company Ltd. Batterie mit frei wählbarer Anzahl von Batteriezellen
DE102010027864A1 (de) 2010-04-16 2011-12-15 Sb Limotive Company Ltd. Batterie mit variabler Ausgangsspannung
WO2011162014A1 (ja) 2010-06-24 2011-12-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管理システムおよび電池管理装置および電池の再利用方法および情報通信端末機器
US8525477B2 (en) 2010-07-15 2013-09-03 O2Micro, Inc. Assigning addresses to multiple cascade battery modules in electric or electric hybrid vehicles
DE102010038880A1 (de) 2010-08-04 2012-02-09 Sb Limotive Company Ltd. Energiewandler zum Ausgeben elektrischer Energie
US9331499B2 (en) 2010-08-18 2016-05-03 Volterra Semiconductor LLC System, method, module, and energy exchanger for optimizing output of series-connected photovoltaic and electrochemical devices
US20120053871A1 (en) 2010-08-31 2012-03-01 Michael Sirard Integrated Intelligent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onitoring System
US20130221919A1 (en) 2010-09-02 2013-08-29 Nicky G. Gallegos System and methods for battery management
DE102010041001A1 (de) 2010-09-20 2012-03-22 Sb Limotive Company Ltd. Batterie mit integriertem DC/AC-Umsetzer
US8929099B2 (en) 2010-09-29 2015-01-06 Bitrode Corporation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and battery testing apparatus with converter
US8378623B2 (en) * 2010-11-05 2013-02-19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US20120155140A1 (en) 2010-12-21 2012-06-21 Chung-Sh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rmaments, Bureau,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synchronous Sigma-Delta Modulation Controller
US8614525B2 (en) 2010-12-21 2013-12-24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operating a power generation system
BR112013015894A2 (pt) 2010-12-22 2019-09-10 Ge Energy Power Conversion Technology Limited método para compensar as tensões em um grupo de capacitores de um dispositivo eletrônico e circuito de compensação
US8624437B2 (en) 2010-12-28 2014-01-07 Vestas Wind Systems A/S Power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WO2012123815A1 (en) 2011-03-17 2012-09-20 Ev Chip Energy Ltd. Battery pack system
ES2392079B1 (es) 2011-03-31 2013-11-04 Administrador De Infraestructuras Ferroviarias (Adif) Sistema y procedimiento de control de carga de baterías desde el sistema eléctrico ferroviario.
US20120262967A1 (en) 2011-04-13 2012-10-18 Cuks, Llc Single-stage inverter with high frequency isolation transformer
US9197079B2 (en) 2011-04-28 2015-11-24 Zoll Circulat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d archiving battery performance data
DE102011076039A1 (de) 2011-05-18 2012-11-22 Siemens Aktiengesellschaft Umrichteranordnung
US8946931B2 (en) 2011-07-28 2015-02-03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Dual boost converter for UPS system
RU2670417C1 (ru) 2011-08-12 2018-10-23 Кевин Стефен ДЭВИС Система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энергии
US9444275B2 (en) 2011-08-31 2016-09-13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Intelligent integrated battery module
EP2751920A2 (en) 2011-08-31 2014-07-09 Optistring Technologies AB Photovoltaic dc/ac inverter with cascaded h-bridge converters
FR2980653B1 (fr) 2011-09-22 2018-02-16 Geo27 Sarl Generateur de signaux de courant et procede de mise en oeuvre d'un tel generateur
US8792253B2 (en) 2011-10-03 2014-07-29 The Boeing Company System and methods for high power DC/DC converter
US8836366B2 (en) 2011-10-07 2014-09-16 Apple Inc. Method for testing integrated circuits with hysteresis
US20130088903A1 (en) 2011-10-11 2013-04-11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Control architecture for a multi-level active rectifier
DE102011084698A1 (de) 2011-10-18 2013-04-18 Sb Limotive Company Ltd. Umrichtereinheit für eine Asynchronmaschine
DE102011089297B4 (de) 2011-12-20 2023-11-16 Robert Bosch Gmbh Energiespeichereinrichtung, System mit Energiespeich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Ansteuern einer Energiespeichereinrichtung
DE102011089312A1 (de) 2011-12-20 2013-06-20 Robert Bosch Gmbh System und Verfahren zum Laden der Energiespeicherzellen einer Energiespeichereinrichtung
DE102011089648A1 (de) 2011-12-22 2013-06-27 Robert Bosch Gmbh Energiespeichereinrichtung, System mit Energiespeich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Ansteuern einer Energiespeichereinrichtung
JP5821619B2 (ja) 2011-12-26 2015-11-24 ソニー株式会社 電力貯蔵装置、電力システムおよび電動車両
US9461474B2 (en) 2012-01-17 2016-10-04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Power converter circuit with AC output
US9673732B2 (en) 2012-01-24 2017-06-06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Power converter circuit
DE102012202173B4 (de) 2012-02-14 2013-08-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ieb eines mehrphasigen, modularen Multilevelstromrichters
CA2865447C (en) 2012-03-01 2019-03-12 Alstom Technology Ltd Control circuit
US9653759B2 (en) 2012-03-29 2017-05-16 The Boe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ed battery life cycle management
US20130285457A1 (en) 2012-04-27 2013-10-31 Delphi Technologies, Inc. Cascaded multilevel inverter and method for operating photovoltaic cells at a maximum power point
DE102012207806A1 (de) 2012-05-10 2013-11-1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Batteriesystems, Batteriesystem und Kraftfahrzeug
US20140042815A1 (en) 2012-06-10 2014-02-1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A Body Corporate Balancing, filtering and/or controlling series-connected cells
DE102012214091A1 (de) 2012-08-08 2014-02-13 Robert Bosch Gmbh Batterie-Management-System mit Datenschnittstelle für Batteriemodul, Batteriemodul mit Datenspeicher, Batteriesystem mit Batterie-Management-System sowie Batteriemodul und Kraftfahrzeug mit Batteriesystem
DE102012216158A1 (de) 2012-09-12 2014-03-13 Robert Bosch Gmbh Batteriemanagementsystem, Batteriesystem,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r Erzeugung einer periodischen Wechselspannung
US20150288287A1 (en) 2012-09-21 2015-10-08 Aukland Uniservices Limited Modular multi-level converters
US9276493B2 (en) 2012-11-27 2016-03-01 Abb Technology Ltd Multilevel converter with cells being selected based on phase arm current
US20140152109A1 (en) 2012-11-30 2014-06-05 General Electric Company Medium voltag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E102012222746A1 (de) 2012-12-11 2014-06-1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Batteriemodulausbalancierung und Batteriemanagementsystem
WO2014126963A1 (en) 2013-02-12 2014-08-21 Enphase Ener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otic democratic pulse width modulation generation
US9459636B2 (en) 2013-02-22 2016-10-0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Transition control for a hybrid switched-mode power supply (SMPS)
WO2014151178A2 (en) 2013-03-15 2014-09-25 Enerde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attery control
EP2973935B1 (en) 2013-03-15 2018-10-31 GLX Power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dynamically reconfigurable energy storage device
PT106971B (pt) 2013-05-28 2022-05-17 Inst Superior Tecnico Gerador modular de impulsos bipolares ou unipolares com correção do decaimento da tensão integrada em módulos de semicondutores de potência
US10074995B2 (en) 2013-06-28 2018-09-1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attery management converter system
DE102013220684A1 (de) 2013-10-14 2015-04-16 Robert Bosch Gmbh Batteriemanagementsystem zum Überwachen und Regeln des Betriebs einer nachladbaren Batterie und Batteriesystem mit einem solchen Batteriemanagementsystem
EP2863534B1 (en) 2013-10-16 2018-09-26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Voltage source converter
US10069430B2 (en) 2013-11-07 2018-09-04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Modular converter with multilevel submodules
US9800167B2 (en) 2014-02-07 2017-10-24 Abb Schweiz Ag Multi-phase AC/AC step-down converter for distribution systems
CN103812377B (zh) 2014-02-08 2016-05-04 南京南瑞继保电气有限公司 模块化多电平换流器桥臂电流的控制方法
EP2924860B1 (en) 2014-03-25 2017-03-08 Alstom Technology Ltd. Voltage source converter and control thereof
DE202014002953U1 (de) 2014-04-07 2015-07-09 Stefan Goetz Elektrisches Energiespeichersystem
US9247345B2 (en) 2014-04-14 2016-01-26 Apple Inc. Multi-channel audio system having a shared current sense element for estimating individual speaker impedances
DE202014004749U1 (de) 2014-06-13 2015-09-15 Aehling, Dr. Jaensch & Dr. Goetz GbR (vertretungsberechtigter Gesellschafter Dr. Malte Jaensch, 74321 Bietigheim-Bissingen) Elektronische Schaltung zum vereinfachten Betrieb von Mehrpunktumrichtern
DE102014008399A1 (de) 2014-06-13 2015-12-17 Stefan Goetz Elektronische Schaltung und Verfahren zum vereinfachten Betrieb von Mehrpunktumrichtern
DE102014216811B4 (de) 2014-08-25 2022-03-10 Robert Bosch Gmbh Batteriemodulsystem
DE102014217703A1 (de) 2014-09-04 2016-03-1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zum laden eines energiespeichers
US9929662B2 (en) 2014-09-08 2018-03-27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Alternating average power in a multi-cell power converter
GB2535132A (en) 2014-10-09 2016-08-17 Isis Innovatio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WO2016081473A1 (en) 2014-11-17 2016-05-26 Shibashis Bhowmik Converter with phase-offset switching
CN204156591U (zh) 2014-11-19 2015-02-11 武汉艾德杰电子有限责任公司 电梯应急节能装置
EP3238315B1 (en) 2014-12-22 2018-06-20 ABB Schweiz AG Modular multi-level converter with thyristor valves
US10130037B2 (en) 2014-12-31 2018-11-20 Mean Green Products, LLC Electric mowe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GB2541352B (en) 2015-04-30 2022-02-16 Porsche Ag Apparatus and method for an electric power supply
EP3096446A1 (en) 2015-05-22 2016-11-23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A method of controlling a converter
DE102015112513A1 (de) 2015-07-30 2017-02-0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Matroschka-Umrichter
GB201514330D0 (en) 2015-08-12 2015-09-23 Isis Innovation Smart cells and control methods and systems
KR101629397B1 (ko) 2015-12-03 2016-06-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대칭 모듈러 멀티레벨 컨버터 제어 장치 및 방법
DE102015121226A1 (de) 2015-12-07 2017-06-0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Umrichter, Elektrisches Polyphasensystem und Verfahren
KR101857570B1 (ko) 2015-12-30 2018-05-15 주식회사 효성 모듈러 멀티레벨 컨버터 및 이의 dc 고장 차단 방법
GB2546789A (en) 2016-01-29 2017-08-02 Bombardier Primove Gmbh Arrangement with battery system for providing electric energy to a vehicle
DE102016105542A1 (de) 2016-03-24 2017-09-2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elektrischen Netzes
DE102016106359A1 (de) 2016-04-07 2017-10-1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Modul für einen Multilevelkonverter
DE102016109077A1 (de) 2016-05-18 2017-11-2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modularen Multilevelkonverters
US11152796B2 (en) 2016-06-24 2021-10-19 National Science Found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niform battery system state of charge management
DE102016112250A1 (de) 2016-07-05 2018-01-1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Elektronisches System
DE102016116128A1 (de) 2016-08-30 2018-03-0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Integration eines elektrischen Elements in eine elektrische Schaltung unter Last
US10530275B2 (en) 2016-10-21 2020-01-07 Abb Schweiz Ag Control of DC-to-AC modular multilevel converter
WO2018095552A1 (de) 2016-11-28 2018-05-31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romrichter
DE102016123924A1 (de) 2016-12-09 2018-06-1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Modulare Leistungselektronik zum Laden eines elektrisch betriebenen Fahrzeugs
GB201701751D0 (en) 2017-02-02 2017-03-22 Univ Oxford Innovation Ltd Smart cells and control methods and systems
FR3063188B1 (fr) 2017-02-22 2020-01-2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Batterie a groupes de cellule(s) de stockage associes respectivement a des modules de conversion, pour la fourniture de tensions de types differents
FR3065586A1 (fr) 2017-04-21 2018-10-2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Batterie a ensembles de groupe de cellule(s) et module de conversion, pour fournir differentes tensions et faire differentes recharges
DE102017207944A1 (de) 2017-05-11 2018-11-15 Audi Ag Batterievorrichtung mit zumindest einem Modulstrang, in welchem Moduleinheiten in einer Reihe hintereinander verschaltet sind, sowie Kraftfahrzeug und Betriebsverfahren für die Batterievorrichtung
DE102017110708A1 (de) 2017-05-17 2018-11-2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elektrischen Netzes
DE102017110709A1 (de) 2017-05-17 2018-11-2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elektrischen Netzes
CN107070287A (zh) 2017-06-06 2017-08-18 清华大学 电能路由器和电能路由器子模块
WO2018231810A1 (en) 2017-06-12 2018-12-20 Tae Technologies, Inc. Multi-level multi-quadrant hysteresis current controllers and methods for control thereof
EA202090065A1 (ru) 2017-06-16 2020-04-17 Таэ Текнолоджиз, Инк. Многоуровневые контроллеры напряжения гистерезиса для модуляторов напряжения и способы для их управления
DE102017113460A1 (de) 2017-06-20 2018-12-2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Elektronische Schaltung zur Konvertierung elektrischer Energie und zugehörige Steuerung
DE102017117031A1 (de) 2017-07-27 2019-01-3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Nachladeschaltung für modulare Multilevelkonverter
DE102017122661B3 (de) 2017-09-29 2019-03-0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tteriemodules
DE102017124125A1 (de) 2017-10-17 2019-04-1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Laden eines Energiespeichers
DE102017124126B4 (de) 2017-10-17 2019-05-0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Umrichter, elektrisches Polyphasen-System und Verfahren zum effizienten Leistungsaustausch
DE102017124122A1 (de) 2017-10-17 2019-04-1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Laden eines Energiespeichers
US10396631B2 (en) 2017-10-31 2019-08-27 Nio Usa, Inc. Dual inverter and electric motor split-flow cooling system
DE102017220175A1 (de) 2017-11-13 2019-05-16 Andus Electronic Gmbh Leiterplattentechnik Platinentechnologie für leistungselektronische Schaltungen
DE102017126704B4 (de) 2017-11-14 2022-04-2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Energieübertragung im Nullsystem
DE102017126840A1 (de) 2017-11-15 2019-05-1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zerrungsspektrumskontrolle durch Raumzeigermodulation
DE102017130443A1 (de) 2017-12-19 2019-06-1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lexibles Bootstrapping für Leistungselektronikschaltungen
DE102018103711A1 (de) 2018-02-20 2019-08-2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chaltung zur Multilevelmodulation
DE102018103713A1 (de) 2018-02-20 2019-08-2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Mechanisches und thermisches System für eine modulare Batterie mit Leistungselektronikkomponenten
FR3078454B1 (fr) 2018-02-27 2021-01-1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Module d’alimentation pour moteur de vehicule electrique
DE102018203997A1 (de) 2018-03-15 2019-09-19 Audi Ag Batteri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atterie
DE102018106162B4 (de) 2018-03-16 2020-06-1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Doppelabsicherung der Modulspeicheranbindung
DE102018106306A1 (de) 2018-03-19 2019-09-1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ahrzeug mit einem Energiespeicher
DE102018106307A1 (de) 2018-03-19 2019-09-1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tterieauslegung eines Fahrzeugs mit mehreren Antriebsmotoren
DE102018106305B4 (de) 2018-03-19 2020-06-2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Wechselstromladung einer intelligenten Batterie
DE102018106304A1 (de) 2018-03-19 2019-09-1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Gleichstromladung einer intelligenten Batterie
US20210020998A1 (en) 2018-03-19 2021-01-21 EVchip Energy Ltd. Power pack and power pack circuitry
DE102018106309A1 (de) 2018-03-19 2019-09-1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Energiespeicher
DE102018106308B4 (de) 2018-03-19 2020-02-1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Modulationsindexverbesserung durch intelligente Batterie
PE20201086A1 (es) 2018-03-22 2020-10-22 Tae Tech Inc Sistemas y metodos para gestion y control de potencia
DE102018109920A1 (de) 2018-04-25 2019-10-3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ühlung von leistungselektronischen Schaltungen
DE102018109925A1 (de) 2018-04-25 2019-10-3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 Anordnung
DE102018109926B4 (de) 2018-04-25 2019-12-1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 Anordnung
DE102018109921B3 (de) 2018-04-25 2019-08-0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s Energiespeichersystem
DE102018109922A1 (de) 2018-04-25 2019-10-3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s Energiespeichersystem
US10742127B2 (en) 2018-07-03 2020-08-11 Utah State University Battery integrated modular multifunction converter for grid energy storage systems
DE102018121403A1 (de) 2018-09-03 2020-03-0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tabilisierten Platine
DE102018121490A1 (de) 2018-09-04 2020-03-0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chaltung zu einer Systemintegration für eine modulare Wechselstrombatterie
DE102018121547A1 (de) 2018-09-04 2020-03-0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Leiterplatte zu einer Wärme- und Stromleitung bei leistungselektronischen Schaltungen
DE102018125728B3 (de) 2018-10-17 2020-02-2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ystem zur parallelen Schalttabellen-Optimierung für Multilevelkonverter
DE102018126780A1 (de) 2018-10-26 2020-04-3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Schaltungsanordnung von Gate-Treiber-Schaltungen und Leistungsschaltern mit negativer Sperrspannung
DE102018126779B4 (de) 2018-10-26 2020-06-1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Gate-Treiber-Schaltung mit Spannungsinvertierung für einen Leistungshalbleiterschalter
DE102018129111A1 (de) 2018-11-20 2020-05-2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chaltung zu einer Layout-Topologie für Seriell-/Parallel-Weichen
DE102019102306A1 (de) 2019-01-30 2020-07-3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chaltung zu einem Niedervoltversorgungsstrang mit eigener Spannungsquelle bei einer modularen Batterie
DE102019102311A1 (de) 2019-01-30 2020-07-3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Gate-Treiber-Schaltung mit Spannungsinvertierung für einen Leistungshalbleiterschalter
DE102019103757B3 (de) 2019-02-14 2020-07-0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Isolationswächter und System zur Isolationsüberwachung einer dynamisch umkonfigurierbaren modularen Wechselstrombatterie
US11327901B2 (en) 2019-03-01 2022-05-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odular dynamically allocated capacity storage systems implemented as respective batteries each having multiple source terminals
KR20210141716A (ko) 2019-03-29 2021-11-23 티에이이 테크놀로지스, 인크. 종속 접속되고 상호 접속된 구성들이 가능한 모듈 기반 에너지 시스템들 및 이에 관련된 방법
DE102019109723B3 (de) 2019-04-12 2020-08-0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ystem zu einer elektronischen Stromregelung bei einer flexiblen Gleichstrombatterie
DE102019112373A1 (de) 2019-05-13 2020-11-1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chaltung zur Anbindung eines Energiespeichers mittels Kaltleiter
DE102019112823A1 (de) 2019-05-16 2020-11-1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eines Präzisionsmultilevelkonverters
DE102019112826B3 (de) 2019-05-16 2020-06-1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Analog-Digital-Modul für einen modularen Multilevelkonverter
PE20220398A1 (es) 2019-05-30 2022-03-18 Tae Tech Inc Carga de bateria avanzada en niveles modulares de sistemas de almacenamiento de energia
DE102019120615B3 (de) 2019-07-31 2020-08-0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chaltung zur Bereitstellung erweiterter Schaltzustände für modularen Multilevelkonverter mit Halbrücken
DE102019120616B3 (de) 2019-07-31 2020-11-1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ystem für modularen Multilevelkonverter mit erweiterten Schaltzuständen
DE102019120947B3 (de) 2019-08-02 2020-11-1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Ladungsausgleich zwischen Modulen eines Multilevelkonverters
DE102019120945A1 (de) 2019-08-02 2021-02-0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odularen Multilevelkonverters und modularer Multilevelkonverter mit Modularmen aus Zwei-Quadranten-Modulen
DE102019125577B3 (de) 2019-09-24 2020-11-1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modularen Multilevelkonverters mittels neuronaler Netze
DE102019125578B3 (de) 2019-09-24 2020-11-1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modularen Multilevelkonverters mittels eines selbstlernenden neuronalen Netzes
DE102019130738A1 (de) 2019-11-14 2021-05-20 Audi Ag Batterie mit einem Batteriemodul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US20220402390A1 (en) * 2019-11-14 2022-12-22 Invertedpower Pty Ltd A multimodal converter for interfacing with multiple energy sources
DE102019130739A1 (de) 2019-11-14 2021-05-20 Audi Ag Batterie mit einer Batteriezelle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DE102019130736A1 (de) 2019-11-14 2021-05-20 Audi Ag Batterie mit einem Batteriemodul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DE102019130737A1 (de) 2019-11-14 2021-05-20 Audi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atterie und Steuereinrichtung hierfür
DE102019130740A1 (de) 2019-11-14 2021-05-20 Audi Ag Batterie mit einer Batteriezelle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DE102019130741A1 (de) 2019-11-14 2021-05-20 Audi Ag Batterie mit einer Batteriezelle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DE102019132685B4 (de) 2019-12-02 2022-05-25 Audi Ag Elektrische Schaltungsanordnung umfassend eine Erregerschaltung und eine Inverterschaltung und Kraftfahrzeug
WO2021231759A1 (en) 2020-05-14 2021-11-18 Tae Technologies,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rail-based and other electric vehicles with modular cascaded energy systems
DE102020117264B3 (de) 2020-07-01 2021-06-0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ystem zu einer Vorauswahl von Schaltzuständen für einen Multilevelkonverter
DE102020117435B3 (de) 2020-07-02 2021-06-0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Kompensation von Phasenspannungsungleichheiten
DE102020118242B3 (de) 2020-07-10 2021-07-01 Audi Aktiengesellschaft Mehrebenen-Wechselrichter zur Erzeugung einer mehrstufigen Ausgangsspannung
US20220376631A1 (en) * 2021-05-19 2022-11-24 Marco Tremblay Power supply unit for vehicle char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916581A (zh) 2023-04-04
IL298081A (en) 2023-01-01
MX2022014260A (es) 2023-02-22
US11827115B2 (en) 2023-11-28
PE20230869A1 (es) 2023-05-31
BR112022023043A2 (pt) 2022-12-20
US11794599B2 (en) 2023-10-24
EP4149791A4 (en) 2024-05-29
JP2023526245A (ja) 2023-06-21
CA3179327A1 (en) 2021-11-18
US20230044052A1 (en) 2023-02-09
EP4149791A1 (en) 2023-03-22
CL2022003171A1 (es) 2023-06-30
US20220072968A1 (en) 2022-03-10
AU2021271701A1 (en) 2022-12-22
WO2021231759A1 (en)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7347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module-based cascaded energy systems
US11794599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rail-based and other electric vehicles with modular cascaded energy systems
KR20220164600A (ko) 냉각 장치를 구비한, 교체 가능한 에너지 소스 기능을 갖는 모듈식 캐스케이디드 에너지 시스템
US11894781B2 (en) Multi-phase module-based energy system framework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US20220393486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current control of multiple energy sources in a balanced fashion
CA3226136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module-based cascaded energy systems configured to interface with renewable energy sources
JP2023543834A (ja) モジュールベースのカスケード式エネルギーシステム内の相内および相間平衡のためのシステム、デバイス、および方法
US20230001814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module-based cascaded energy systems having reconfigurable arrays
WO2024112798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rail-based and other electric vehicles with modular cascaded energy systems and fuel cells
JPWO2021211630A5 (ko)
WO2024044196A2 (en) Energy system islanding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