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2300A -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제조방법 및 그 지지체 - Google Patents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제조방법 및 그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2300A
KR20230012300A KR1020210092937A KR20210092937A KR20230012300A KR 20230012300 A KR20230012300 A KR 20230012300A KR 1020210092937 A KR1020210092937 A KR 1020210092937A KR 20210092937 A KR20210092937 A KR 20210092937A KR 20230012300 A KR20230012300 A KR 20230012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arboxymethylcellulose
support
pack sheet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5076B1 (ko
Inventor
김주원
박창훈
이창근
김철기
김다울
Original Assignee
(주)이미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미인 filed Critical (주)이미인
Priority to KR1020210092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076B1/ko
Publication of KR20230012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Compound processes or apparatus, for finishing or dressing textile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2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squeezing ro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7/00Mercerising, e.g. lustring by merceri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9/00Breaking or soften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8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44Alcohols; Metal alcohol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84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 D06M13/188Mono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제조방법 및 그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 종래기술에 의한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를 소정의 조건에서 유연 가공처리를 하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에 기반하는 미용팩 시트라도 겔링감, 투명감을 유지하면서 미용팩 시트의 자동화 제조라인에서 공정불량을 야기하지 아니하고, 미용팩 시트의 피부 밀착력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제조방법 및 그 지지체{Manufacturing method of carboxymethylcellulose supporting body for beauty pack sheet and its supporting body}
본 발명은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제조방법 및 그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겔링감, 투명감을 유지하면서 미용팩 시트의 자동화 제조라인에서 공정불량을 야기하지 아니하고, 미용팩 시트의 피부 밀착력도 개선하는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오스 지지체의 제조방법 및 그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미용팩 시트는 시트형 지지체에 팩제(화장유액)가 함침된 형태로서, 대부분의 미용팩 시트는 지지체로서 셀룰로오스 계열인 펄프·면·레이온·리오셀 등의 섬유에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원사를 결합시킨 스펀레이스(spunlace) 부직포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스펀레이스 부직포는 고압의 물 워터젯으로 웹을 형성하기 때문에 화학약품이 사용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고압의 물의 흐름으로 섬유를 엉키도록 하여 섬유의 손상이 거의 없고 모양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미용팩 시트의 사용감과 피부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지체로서 셀룰로오스(cellulose)의 히드록시기(cellulose-OH)를 카르복시메틸기(-CH2COOH)로 치환하여 겔링감, 투명감 및 수분 흡수력을 향상시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지지체가 소개되고 있다.
여기서 '겔링감'이란, 지지체가 건조한 상태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하이드로겔처럼 부풀어 오르고 말랑해져 쿠션감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는 카르복시메틸기(-CH2COOH)의 치환도가 너무 높으면 수용성이 커서 지지체 시트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므로, 미용팩 시트용 지지체로서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는 적당한 겔링감을 나타내는 치환도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겔링감을 나타내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치환도는 0.5 ~ 0.65이고, 그 이상에서는 물에 용해될 수 있다.
그러나 겔링감을 나타내는 치환도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도 건조된 상태에서는 강직성이 커서 미용팩 시트의 자동화 제조라인에서 자동접지의 불량을 야기하는 등, 자동화 공정의 적용에 문제점을 가진다.
미용팩 시트의 자동화 제조라인이 지지체 원단의 롤 투입, 타발, 접지, 파우치에 삽입, 팩제 충전, 파우치 밀봉, 파우치 롤링의 순서로 이루어지는 바와 같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시트 원단을 롤에 투입하여 타발하고, 타발된 지지체의 시트 원단을 파우치에 삽입하기 전에 자동으로 접게 되는데(자동접지), 지지체의 시트원단이 강직성을 가지면 접어진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므로 파우치에 지지체의 시트원단을 삽입하지 못하게 되는 공정불량(자동접지 불량)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기술에 의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제조공정에 소정의 공정조건을 가지는 유연 가공처리 공정을 도입하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가 미용팩 시트의 자동화 제조라인에 잘 적용될 뿐만 아니라, 미용팩 시트의 피부 밀착성도 크게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9815호(2015.10.6.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30572호(2020.11.19.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겔링감을 부여하는 치환도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가 미용팩 시트의 자동화 제조라인에서 야기하는 자동접지 불량을 방지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용팩 시트의 자동화 제조라인에 잘 적용되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겔링감,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피부 밀착성이 개선되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 기반의 미용팩 시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 제조방법이: 1) 셀룰로오스 시트를 NaOH 수용액에 침지하여 머서화(Mercerization) 처리를 하는 단계; 2) 머서화 처리가 끝난 알칼리 셀룰로오스 시트를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한 MCA(Monochloro acetic acid) 용액에 침지하여 에테르화(Etherification) 처리를 하는 단계; 3) 잔존하는 염기와 산의 미반응 물질을 중화 및 세정하고, 에테르화 처리를 거친 시트를 건조하여 1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를 얻는 단계; 4) 1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를 비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유연제 용액에 침지하여 유연 가공처리를 하는 단계; 5) 유연가공 처리된 시트를 건조하여 최종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1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의 치환도는 0.5~0.65이다.
여기서 상기 유연 가공처리 단계에서 사용되는 유연제는 양이온성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아마이드계, 아마이드 유도체계, 비이온성의 실리콘계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이다.
또한, 여기서 상기 유연제는 1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의 중량기준으로 1 ~ 3 o.w.f 사용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유연 가공처리 단계의 처리온도는 40~50℃이다.
또한, 여기서 상기 유연 가공처리 단계의 처리시간은 10~20분이다.
또한, 여기서 상기 최종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는 KS K ISO 9073-7 규격의 '텍스타일-부직포 시험방법'으로 측정한 강연도(stiffness)가 0.1 ~ 0.12이다.
또한, 여기서 상기 최종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는 아래 a)~d)의 시험방법에 따른 부착력 시험에서 150 ~ 350gf의 부착력을 나타낸다.
a) 25mmx150mm 크기의 시트 시편을 정제수에 1시간 동안 침지한 후, 시험판(STS 304 스테인리스 강판)의 한쪽 끝에 시편의 25mmx100mm의 면적이 접촉하도록 부착한다.
b) 시편 위에 2000g의 압착롤러를 300mm/min의 속도로 1회 왕복시켜 시험판에 시편을 압착한다.
c) 1시간이 경과한 후, 시험판의 상단을 인장시험기의 상부 그립에 고정시키고 시편은 하부 그립에 고정시킨다.
d) 100mm/min의 속도로 잡아당겨서 시편이 시험판에서 떨어질 때까지 측정하고, 3매의 시편에 대한 최대 하중값의 평균을 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에 팩제를 함침한 미용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겔링감을 부여하는 치환도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가 미용팩 시트의 자동화 제조라인에서 야기하는 자동접지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미용팩 시트의 자동화 제조라인에 잘 적용되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겔링감,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피부 밀착성이 개선되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 기반의 미용팩 시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제조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에 팩제가 함침된 미용팩 시트의 투명성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에 팩제가 함침된 미용팩 시트의 투명성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된 '겔링감', '투명성'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에 팩제를 함침시킨 미용팩 시트의 성질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제조흐름도이다.
도 1에 의하면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는 아래와 같이 제조된다.
우선 단위면적당 중량이 40g/m2인 셀룰로오스 시트를 20% NaOH 수용액에 침지하여 상온에서 20분간 머서화(mercerization) 처리를 한다. 머서화는 셀룰로오스를 알칼리 셀룰로오스화시키고 셀룰로오스 섬유를 팽윤시킨다.
머서화가 끝난 알칼리 셀룰로오스 시트를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한 20% MCA(monochloro acetic acid) 용액에 침지하여 45℃에서 30분간 에테르화(etherification) 처리를 한다. 에테르화는 알칼리 셀룰로오스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화시킨다.
앞의 처리과정에서 잔존하는 염기와 산의 미반응 물질을 중화 및 세정하고, 시트를 건조하여 1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를 얻는다.
이어서 1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를 양이온성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아마이드계, 아마이드 유도체계, 비이온성의 실리콘계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유연제 용액에 침지하여 유연 가공처리(softening)를 한다.
이때 양이온성 유연제로는 제4급 암모늄 화합물인 dialkyldimethyl 암모늄 화합물, diamido alkoxyl 암모늄 화합물, imidazolinium 화합물 등이 주로 사용되고, 비이온성의 실리콘계 유연제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Polydimethylsiloxane)을 기반으로 하고 에폭시, 아미노 등의 관능기가 부여된 유연제가 사용된다.
유연제는 1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의 중량기준으로 1 ~ 3 o.w.f 사용되고, 유연제 용액의 용매로서 정제수가 사용되며, 용매는 1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 1kg당 20ℓ 사용된다.
유연제의 사용량이 1 o.w.f보다 적으면 유연 가공처리가 불균일해지고, 3 o.w.f보다 많으면 유연제의 과다로 인하여 시트에 얼룩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참고로 o.w.f는 'on the weight of fiber'의 약자로, 주로 섬유의 염색가공에서 처리약제의 양을 섬유의 중량을 기준으로 계산하는 방법이다.
o.w.f = {가공제량(g)/ 섬유중량(g)} * 100
아울러 유연제 용액에 1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를 침지하여 처리하는 온도는 40~50℃이며, 처리시간은 10~20분이다. 예시된 처리온도와 처리시간의 범위를 벗어나면 유연 가공처리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1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를 유연가공 처리한 후 건조하여 최종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를 얻으며, 이 최종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가 바로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로 사용된다.
도 1에서 1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의 제조단계까지는 종래기술에 의한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를 제조하는 과정과 동일하며, 도 1의 1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는 시중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은 시판되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치환도 0.5~0.65)를 유연 가공처리하여 최종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를 얻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게 해석되지 않음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제작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를 제작하기 위해, 우선 도 1의 제조공정에 따라 제조되어 시판중인 1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를 시트 원단으로 준비하였다.
준비된 1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 원단은 치환도 0.6이고, KS K ISO 9073-7 규격의 '텍스타일-부직포 시험방법'으로 측정한 강연도(stiffness)가 0.16 이며, 단위 면적당 중량 40g/m2의 것으로, 미용팩 시트용 지지체로 사용되어 자동화 제조라인에서 미용팩 시트를 제조할 때 자동접지 불량을 자주 야기하던 것이었다.
또한, 준비된 1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 원단은 현장에서 종래기술에 의한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로 많이 사용되는 것이어서, 이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비교예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는 아래와 같이 제작되었다.
40℃의 정제수 100ℓ에 비이온성 실리콘계 유연제인 Siloxanes and Silicones, 3-[(2-aminoethyl)amino]propyl Me, di-Me]를 포함하는 Huntsman International사의 'Ultratex UM New' 2 o.w.f 및 양이온성 유연제인 Octadecanoic acid, reaction products with diethylenetriamine and urea, acetates를 포함하는 Huntsman International사의 'Sapamine FPG' 2 o.w.f를 각각 함유한 2종류의 유연제 용액을 준비하고, 앞에서 준비한 1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 원단 5kg을 상기 2종류의 유연제 용액의 각각에 20분간 침지하여 유연 가공처리한 후, 110℃에서 건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작된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KS K ISO 9073-7 규격의 '텍스타일-부직포 시험방법'으로 측정한 강연도(stiffness)는 상기 비이온성 실리콘계 유연제로 처리한 것은 0.1, 상기 양이온성 유연제로 처리한 것은 0.12이었다.
2.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로써 미용팩 시트의 제작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로써 미용팩 시트를 제작하면서 자동화 제조 공정성, 제작된 미용팩 시트의 겔링감, 투명성, 피부밀착력 등을 확인해 보았다.
2-1. 미용팩 시트의 자동화 제조 공정성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를 실시예로 하고, 종래기술에 의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 지지체(상기 1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 원단)를 비교예로 하여 각각의 지지체 시트 원단을 10회씩 자동화 제조라인에 투입하여 미용팩 시트를 제조한 바, 자동화 공정성에 대하여 아래 [표 1]의 시험결과를 얻었다.
평가등급은 아래와 같이 설정되었다.
○ : 자동접지 양호
△ : 자동접지 보통
× : 자동접지 불량
구분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10회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 × × × × × × × ×
[표 1]에서 실시예 1, 실시예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 기반의 미용팩 시트로서, 실시예 1은 1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를 상기 비이온성 실리콘계 유연제로 처리한 경우이며, 실시예 2는 상기 양이온성 유연제로 처리한 경우이다.
[표 1]에 의하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자동화 제조라인에서 자동접지 불량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비교예는 80%의 자동접지 불량율을 나타내어,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 기반의 미용팩 시트가 비이온성 실리콘계 유연제로 처리한 경우나 양이온성 유연제로 처리한 경우 모두 종래기술에 의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 기반의 미용팩 시트보다 미용팩 시트의 자동화 제조라인에서 우수한 공정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2-2. 미용팩 시트의 겔링감
상기 자동화 제조 공정성이 평가된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 기반의 미용팩 시트(실시예 1, 2)와 종래기술에 의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 지지체 기반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 기반의 미용팩 시트(비교예)의 겔링감을 비교한 바, 아래 [표 2]의 시험결과를 얻었다.
각 미용팩 시트에는 동일한 팩제가 함침되었으며, 팩제는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0.82 중량%, 글리세린 5.45 중량%, 에틸헥실글리세린 0.03 중량%, 1,2-헥산디올 0.17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0.21 중량%,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0.08 중량%,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0.04 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중량%, 카보머 0.12 중량%, PEG-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15 중량%, 모란뿌리추출물 0.20 중량%, 병풀추출 0.20 중량%, 캐모마일꽃추출물 0.1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제조되었다.
평가등급은 아래와 같이 설정되었다.
○ : 겔링감 양호
△ : 겔링감 보통
× : 겔링감 불량
구분 n=1 2 3 4 5 6 7 8 9 10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
[표 2]에 의하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겔링감은 비교예와 큰 차이가 없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유연 가공처리가 미용팩 시트의 겔링감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3. 미용팩 시트의 투명성
상기 겔링감이 평가된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 기반의 미용팩 시트(실시예 1, 2)와 종래기술에 의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 지지체 기반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 기반의 미용팩 시트(비교예)의 투명성을 비교한 바, 아래 [표 3]의 시험결과를 얻었다.
평가등급은 아래와 같이 설정되었다.
○ : 투명성 양호
△ : 투명성 보통
× : 투명성 불량
구분 n=1 2 3 4 5 6 7 8 9 10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
[표 3]에 의하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투명성은 비교예와 큰 차이가 없거나 비교예보다 양호하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유연 가공처리가 미용팩 시트의 투명성에 미치는 영향은 없거나 투명성을 개선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 기반의 미용팩 시트로서 [표 3]의 실시예 1의 n=7번째 미용팩 시트의 투명성을 나타내는 사진으로, 미용팩(마스크팩) 시트가 놓여진 바닥의 파란색이 미용팩 시트를 투과하여 미용팩 시트의 윤곽이 잘 보이지 않을 정도로 미용팩 시트의 투명성이 좋음을 나타낸다.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 기반의 미용팩 시트로서 [표 3]의 비교예의 n=7번째 미용팩 시트의 투명성을 나타내는 사진으로, 미용팩(마스크팩) 시트가 놓여진 바닥의 파란색이 미용팩 시트를 투과하여 미용팩 시트도 파랗게 보일 정도로 투명성이 좋지만, 미용팩 시트의 윤곽이 잘 보이지 않을 정도는 아니어서 도 2의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 기반의 미용팩 시트보다는 투명성이 덜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2-4.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부착력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에 팩제를 함침시킨 미용팩 시트는 종래기술에 의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에 팩제를 함침시킨 미용팩 시트가 가진 겔링감,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종래기술에 의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 지지체 기반의 미용팩 시트에 비해 피부 밀착력이 크게 개선되는바,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가 가진 고유의 부착력이 종래기술에 의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 지지체의 그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를 실시예로 하고, 종래기술에 의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 지지체(상기 1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 원단)를 비교예로 하여 부착력을 시험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부착력은 KS T 1028 규격의 '점착테이프 및 점착시트의 시험방법'을 응용하여 물에 젖은 상태에서 측정되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는 점착력이 점착테이프처럼 크지 않고 건조된 상태에서 부착력을 평가하기 어렵기 때문에, 각각 정제수에 1시간 동안 침지하여 전처리한 후에 25mmx150mm 크기로 시편을 절취하고, 시험판에 부착되는 시편의 면적을 25mmx100mm로 설정하였다.
아울러 KS T 1028 규격에 의거한 압착롤러의 무게를 2000g으로 설정하고, 인장시험기의 상부그립에 시험판을, 하부그립에 시편을 고정하여 100mm/min의 속도로 잡아당겨서 시편이 시험판에서 떨어지는 하중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피부에 대한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부착력은 사람마다 피부상태가 상이하여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점착테이프의 점착 유지력을 평가하는 규격에서 차용한 시험판(STS 304 스테인리스 강판)을 피부의 대용수단으로 활용함과 아울러 미용팩 시트의 경우에는 팩제의 점도가 부착력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팩제의 점도에 의한 효과를 배제하기 위해 정제수에 침지한 시편으로 부착력을 평가함으로써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피부에 대한 부착력을 객관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부착력은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이 측정되었다.
a) 25mmx150mm 크기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 시편을 정제수에 1시간 동안 침지한 후, 시험판의 한쪽 끝에 시편의 25mmx100mm의 면적이 접촉하도록 부착한다.
b) 시편 위에 2000g의 압착롤러를 300mm/min의 속도로 1회 왕복시켜 시험판에 시편을 압착한다.
c) 1시간이 경과한 후, 시험판의 상단을 인장시험기의 상부그립에 고정시키고 시편을 하부그립에 고정시킨다.
d) 100mm/min의 속도로 잡아당겨서 시편이 시험판에서 떨어질 때까지 측정하되 3매의 시편에 대한 최대 하중값의 평균값을 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부착력에 대한 측정값은 아래의 [표 4]와 같다.
[표 4]에서 실시예 1은 지지체를 상기 비이온성 실리콘계 유연제로 처리한 경우이며, 실시예 2는 지지체를 상기 양이온성 유연제로 처리한 경우이다.
구 분 실 시 예 1(gf) 실 시 예 2(gf) 비 교 예(gf)
시편 1 222 204 126
시편 2 206 184 107
시편 3 234 207 122
평균값 221 198 118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실시예 2 모두 비교예에 비해 박리 하중값이 더 크고, 특히 비이온성 실리콘계 유연제로 처리한 실시예 1의 경우에는 비교예의 2배 정도로 박리 하중값이 커서,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가 종래기술에 따른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에 비해 젖은 상태의 부착력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5. 미용팩 시트의 피부 밀착력 시험
상기 겔링감이 평가된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 기반의 미용팩 시트 중 실시예 1과 종래기술에 의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 지지체 기반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 기반의 미용팩 시트(비교예)의 피부 밀착력을 패널 10명에 대한 관능검사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5]와 같다.
평가점수는 아래와 같이 설정되었다.
5점: 밀착력이 아주 좋음
4점: 밀착력이 좋음
3점: 밀착력이 보통임
2점: 밀착력이 좋지 않음
1점: 밀착력이 아주 좋지 않음
구분 패널1 2 3 4 5 6 7 8 9 10 평균
실시예1 4 5 4 5 4 5 4 5 4 4 4.4
비교예 3 4 4 4 4 4 4 3 4 4 3.8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이 비교예에 비해 패널들에 의한 평점이 높아,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로 이루어진 미용팩 시트가 종래기술에 따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로 이루어진 미용팩 시트에 비해 피부 밀착력에서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8)

  1.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 제조방법이:
    1) 셀룰로오스 시트를 NaOH 수용액에 침지하여 머서화(Mercerization) 처리를 하는 단계;
    2) 머서화 처리가 끝난 알칼리 셀룰로오스 시트를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한 MCA(Monochloro acetic acid) 용액에 침지하여 에테르화(Etherification) 처리를 하는 단계;
    3) 잔존하는 염기와 산의 미반응 물질을 중화 및 세정하고, 에테르화 처리를 거친 시트를 건조하여 1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를 얻는 단계;
    4) 1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를 비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유연제 용액에 침지하여 유연 가공처리를 하는 단계;
    5) 유연가공 처리된 시트를 건조하여 최종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의 치환도가 0.5~0.65인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 가공처리 단계에서 사용되는 유연제가 양이온성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아마이드계, 아마이드 유도체계, 비이온성의 실리콘계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제는 1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의 중량기준으로 1 ~ 3 o.w.f 사용되는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가 KS K ISO 9073-7 규격의 '텍스타일-부직포 시험방법'으로 측정한 강연도(stiffness)가 0.1 ~ 0.12인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시트가 아래 a)~d)의 시험방법에 따른 부착력 시험에서 150 ~ 350gf의 부착력을 나타내는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제조방법.
    a) 25mmx150mm 크기의 시트 시편을 정제수에 1시간 동안 침지한 후, 시험판(STS 304 스테인리스 강판)의 한쪽 끝에 시편의 25mmx100mm의 면적이 접촉하도록 부착한다.
    b) 시편 위에 2000g의 압착롤러를 300mm/min의 속도로 1회 왕복시켜 시험판에 시편을 압착한다.
    c) 1시간이 경과한 후, 시험판의 상단을 인장시험기의 상부 그립에 고정시키고 시편은 하부 그립에 고정시킨다.
    d) 100mm/min의 속도로 잡아당겨서 시편이 시험판에서 떨어질 때까지 측정하고, 3매의 시편에 대한 최대 하중값의 평균을 구한다.
  7. 제5항 또는 제6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
  8. 제7항의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에 팩제를 함침한 미용팩 시트.
KR1020210092937A 2021-07-15 2021-07-15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제조방법 및 그 지지체 KR102545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937A KR102545076B1 (ko) 2021-07-15 2021-07-15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제조방법 및 그 지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937A KR102545076B1 (ko) 2021-07-15 2021-07-15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제조방법 및 그 지지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300A true KR20230012300A (ko) 2023-01-26
KR102545076B1 KR102545076B1 (ko) 2023-06-20

Family

ID=85110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937A KR102545076B1 (ko) 2021-07-15 2021-07-15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제조방법 및 그 지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0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815B1 (ko) 2014-04-22 2015-10-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섬유포의 대량 제조방법
KR102112218B1 (ko) * 2020-02-28 2020-05-19 (주)남영스타킹 무봉제 마스크 제조방법 및 무봉제 마스크
KR20200130572A (ko) 2019-05-09 2020-11-19 주식회사 셀바이오휴먼텍 저치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 시트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36643B1 (ko) * 2020-07-20 2021-04-07 주식회사 피앤씨랩스 고흡수성 셀룰로오스 부직포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815B1 (ko) 2014-04-22 2015-10-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섬유포의 대량 제조방법
KR20200130572A (ko) 2019-05-09 2020-11-19 주식회사 셀바이오휴먼텍 저치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 시트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12218B1 (ko) * 2020-02-28 2020-05-19 (주)남영스타킹 무봉제 마스크 제조방법 및 무봉제 마스크
KR102236643B1 (ko) * 2020-07-20 2021-04-07 주식회사 피앤씨랩스 고흡수성 셀룰로오스 부직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5076B1 (ko)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47637B (zh) 吸收性抗微生物伤口敷料
US20110024066A1 (en) Sanitary thin paper
FI103813B (fi) Selluloosakuituja
US6548730B1 (en) Wound dressings and materials suitable for use therein
CN110565264B (zh) 一种高透明高吸水性纤维素纤维水刺无纺布的制备方法
CN112870088B (zh) 一种吸湿成胶透明的面膜
JP6385191B2 (ja) 薬液含浸用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フェイスマスク
KR102545076B1 (ko) 미용팩 시트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지체의 제조방법 및 그 지지체
KR102212331B1 (ko) 저치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 시트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1979642A (zh) 一种抗菌棉绵柔巾及其制备方法
CN109602636B (zh) 一种无防腐剂面膜的生产工艺
US9534099B2 (en) Sponge cloth with net
KR102291773B1 (ko) 밀착성이 향상된 저치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마스크팩 시트 및 이 제조 방법
CN106729930A (zh) 一种复合型亲水性纤维敷料及其制备方法
EP0360383A2 (en) Resilient cotton fiber and related method
DE2823710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quellfaehiger, vernetzter carboxyalkylcellulose in faserform aus natuerlich vorkommender cellulose und deren verwendung
KR20170061308A (ko) 헤어 세정용 조성물
WO2016204280A1 (ja) 美容フェイスマスク用シート
KR100865140B1 (ko) 감귤류박 펄프를 포함하는 마스크시트
KR20220167415A (ko) 저치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흡수제로 이용하는 생리대
TW202133726A (zh) 清掃用濕巾及該清掃用濕巾的製造方法
CN116289172B (zh) 改性纤维素纤维水刺非织造布、制备方法及面膜
CN111759761A (zh) 一种含茶氨酸白茶面膜及其制备方法
JP6641150B2 (ja) 水解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79967B1 (ko) 친환경 천연 마스크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