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2188A -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 - Google Patents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2188A
KR20230012188A KR1020210092660A KR20210092660A KR20230012188A KR 20230012188 A KR20230012188 A KR 20230012188A KR 1020210092660 A KR1020210092660 A KR 1020210092660A KR 20210092660 A KR20210092660 A KR 20210092660A KR 20230012188 A KR20230012188 A KR 20230012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torage
small mobility
mobility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동은
이상헌
황진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2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2188A/ko
Priority to US17/694,250 priority patent/US20230022812A1/en
Priority to DE102022202945.3A priority patent/DE102022202945A1/de
Priority to CN202210373562.5A priority patent/CN115610306A/zh
Publication of KR20230012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1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7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7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road vehicles
    • B60P3/073Vehicle re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3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under a sea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2Bi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4Personal mobilit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4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down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내부에 마련되며, 플로어의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하방에 이격공간이 형성된 시트; 시트 하방의 이격공간에 형성되며, 차량의 측벽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차량 외측으로 개방되고, 소형모빌리티가 수납되는 수납슬롯;
수납슬롯의 개방부에 마련된 도어부; 및 도어부의 일측에 마련되며 도어부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수납슬롯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STORAGE VEHICLE FOR SMALL MOBILITY}
본 발명은 승객이 소형모빌리티에서 차량으로 환승하는 경우, 탑승했던 소형모빌리티를 차량의 내부공간에 보관하고 하차시 다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소형모빌리티는 승객의 좌석 하단의 수납슬롯에 보관되어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는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동킥보드의 이용자가 급등하고, 이와 관련된 서비스 역시 이슈가 되고 있다. 전동킥보드는 일반적으로 하단에 2개의 휠과 탑승자가 서있을 수 있는 발판부가 마련되고 전방에는 조작을 위한 핸들이 마련되고, 간편한 조작방식으로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소형모빌리티는 자동차나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전이나 이용한 후에 짧은 거리를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현재 소형모빌리티는 개인용 소형모빌리티를 제외하고, 대부분 공유 서비스를 통해 이용되고 있으며, 여러 지점에 배치된 후 탑승자가 이용한 후 이용을 마친 장소에 그대로 반납하게 된다. 이 때, 탑승자가 차량 등을 이용한 후 도착장소에서 소형모빌리티가 필요한 경우나 탑승자가 소형모빌리티의 탑승을 원하는 장소에 소형모빌리티가 없거나 이용자가 많은 경우에는 소형모빌리티를 이용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탑승자가 소형모빌리티나 차량을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소형모빌리티를 이용한 후 차량에 수납하거나 차량으로부터 인출하여 소형모빌리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의 개발이 요구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21-0014985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승객이 소형모빌리티에서 차량으로 환승하는 경우, 탑승했던 소형모빌리티를 차량의 내부공간에 보관하고 하차시 다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승객이 탑승하는 차량의 내부공간에는 시트 하단의 공간을 활용하여 소형모빌리티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슬롯을 형성하며, 소형모빌리티는 승객의 좌석 하단의 수납슬롯에 보관되어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는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은 차량의 내부에 마련되며, 플로어의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하방에 이격공간이 형성된 시트; 시트 하방의 이격공간에 형성되며, 차량의 측벽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차량 외측으로 개방되고, 소형모빌리티가 수납되는 수납슬롯; 수납슬롯의 개방부에 마련된 도어부; 및 도어부의 일측에 마련되며 도어부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수납슬롯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시트는 시트백이 차량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시트백은 차량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위치됨으로써 차량의 측벽과 시트백의 사이에 사이공간을 형성하며, 시트쿠션이 플로어의 상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이격공간은 사이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수납슬롯은 이격공간 및 사이공간에 마련되며, 소형모빌리티 수납 시 소형모빌리티의 발판부는 이격공간에 위치되고, 소형모빌리티의 핸들부는 사이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도어부는 차량 측벽에 마련되어 측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시트의 상단측에서 차량의 플로어까지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개폐부는 도어부의 상단에 마련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액츄에이터가 일방 또는 타방으로 회전됨에 따라 도어부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되어 개방부가 개폐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액츄에이터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도어부의 중앙측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통해 도어부와 결합되며, 지지부는 액츄에이터의 회전에 따라 도어부를 차량의 외측으로 밀어내며 상방으로 슬라이딩시키거나, 차량의 내측으로 당기며 하방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수납슬롯의 개방부 하단에는 수납보조부가 마련되며, 수납보조부는 도어부 개방 시 차량의 플로어와 지면을 연결함으로써 소형모빌리티 수납 또는 인출을 보조할 수 있다.
수납보조부는 개방부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돌출되는 판 형상이며, 일단이 플로어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전 시 타단이 지면에 지지될 수 있다.
수납보조부는 플로어측 단부에 탄성부가 구비되며, 도어부가 개방되는 경우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차량 외측으로 회전되어 타단이 지면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어부는 상단부와 하단부를 포함하며, 개폐부는 도어부의 상단부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시키고, 도어부의 상단부가 상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도어부의 하단부는 차량 외측으로 회전되어 차량의 플로어와 지면을 연결함으로써 소형모빌리티 수납 또는 인출을 보조할 수 있다.
도어부는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며, 개폐부는 도어부를 측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수납슬롯의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다.
수납슬롯의 하단에는 고정부가 마련되며, 고정부는 수납슬롯에 소형모빌리티가 수납된 경우 소형모빌리티의 하단을 고정하고, 개방부가 개방된 경우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고정부는 수납슬롯에 소형모빌리티가 수납된 경우, 소형모빌리티의 바퀴 또는 발판부를 로킹함으로써 소형모빌리티를 고정할 수 있다.
수납슬롯에는 충전부가 마련되며, 충전부는 수납슬롯에 소형모빌리티가 수납된 경우 소형모빌리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에 따르면, 승객이 소형모빌리티에서 차량으로 환승하는 경우, 탑승했던 소형모빌리티를 차량의 내부공간에 보관하고 하차시 다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승객이 탑승하는 차량의 내부공간에는 시트 하단의 공간을 활용하여 소형모빌리티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슬롯을 형성하며, 소형모빌리티는 승객의 좌석 하단의 수납슬롯에 보관되어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에서 수납슬롯이 개방되고 수납슬롯에 보관되어 있던 소형모빌리티가 수납슬롯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에서 시트의 하단에 형성되는 수납슬롯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에서 도어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에서 수납보조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에서 수납슬롯이 개방되고 수납슬롯에 보관되어 있던 소형모빌리티가 수납슬롯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에서 시트의 하단에 형성되는 수납슬롯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에서 도어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에서 수납보조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은 차량의 내부에 마련되며, 시트백이 차량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플로어의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하방에 이격공간이 형성된 시트(100); 시트(100) 하방의 이격공간에 형성되며, 차량의 측벽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차량 외측으로 개방되고, 소형모빌리티가 수납되는 수납슬롯(200); 수납슬롯(200)의 개방부에 마련된 도어부(210); 및 도어부(210)의 일측에 마련되며 도어부(210)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수납슬롯(200)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개폐부(3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은 소형모빌리티가 수납되는 수납슬롯(200)이 구비된 차량으로써, 승객이 차량의 내부공간에 승차하여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고, 차량을 탑승하기 전후에 수납슬롯(200)에 수납되는 소형모빌리티를 이용함으로써, 간편하게 소형모빌리티와 차량간에 환승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소형모빌리티가 수납되는 수납슬롯(200)은 차량의 내부공간에서 시트의 하단에 빈공간을 이용하기 때문에 공간활용의 측면에서 효율적이며, 시트의 시트백과 시트쿠션을 따라 형성되는 공간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동킥보드와 같은 소형모빌리티를 접거나 변형시키지 않고도 그대로 수납슬롯(200)에 수납함으로써 수납과 인출 역시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에서 수납슬롯이 개방되고 수납슬롯에 보관되어 있던 소형모빌리티가 수납슬롯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에서 시트의 하단에 형성되는 수납슬롯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에서 시트(100)는 시트백이 차량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시트백은 차량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위치됨으로써 차량의 측벽과 시트백의 사이에 사이공간을 형성하며, 시트쿠션이 플로어의 상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이격공간은 사이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에서 수납슬롯(200)은 이격공간 및 사이공간에 마련되며, 소형모빌리티 수납 시 소형모빌리티의 발판부는 이격공간에 위치되고, 소형모빌리티의 핸들부는 사이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소형모빌리티는 핸들부와 발판부를 접지 않고도 그대로 수납슬롯(200)에 수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소형모빌리티를 접어서 수납함으로써 수납슬롯(200)에 다른 짐을 보관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에서 도어부(210)는 차량 측벽에 마련되어 측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시트의 상단측에서 차량의 플로어까지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에서 개폐부(300)는 도어부(210)의 상단에 마련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액츄에이터가 일방 또는 타방으로 회전됨에 따라 도어부(210)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되어 개방부가 개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에서 액츄에이터는 액츄에이터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도어부(210)의 중앙측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통해 도어부(210)와 결합되며, 지지부는 액츄에이터의 회전에 따라 도어부(210)를 차량의 외측으로 밀어내며 상방으로 슬라이딩시키거나, 차량의 내측으로 당기며 하방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에서 수납보조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에서 수납슬롯(200)의 개방부 하단에는 수납보조부(220)가 마련되며, 수납보조부(220)는 도어부(210) 개방 시 차량의 플로어와 지면을 연결함으로써 소형모빌리티 수납 또는 인출을 보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에서 수납보조부(220)는 개방부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돌출되는 판 형상이며, 일단이 플로어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전 시 타단이 지면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에서 수납보조부(220)는 플로어측 단부에 탄성부(310)가 구비되며, 도어부(210)가 개방되는 경우 탄성부(310)의 탄성력에 의해 차량 외측으로 회전되어 타단이 지면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수납보조부(220)는 지면과 차량의 플로어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승객은 소형모빌리티를 별도로 지면으로부터 들어서 수납슬롯(200)에 수납하는 것이 아니라 소형모빌리티의 바퀴가 수납보조부(220)를 타고 간편하고 자연스럽게 수납 또는 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개방부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스텝모터(305, 315)가 마련될 수 있고, 개방부 상단의 스텝모터(305)의 제어를 통해 도어부(210)를 차량의 외측으로 밀어내며 상방으로 슬라이딩시키거나, 차량의 내측으로 당기며 하방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또한, 개방부 하단의 스텝모터(315)는 수납보조부(220)와 연결되어 수납보조부(2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텝모터(305, 315)의 제어를 통해, 탑승 전 탑승객이 개인단말기에서 수납차량의 서버로 사용 요청 신호를 보내면, 수납차량 정차 후 수납차량 서버에서는 수납슬롯(200)이 비어있는 도어부(210)를 열어주도록 개방부 상단 스텝모터와 개방부 하단 스텝모터(315)에 순차적으로 전원을 인가하고 모터를 구동하여 도어부(210)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탑승객이 소형모빌리티를을 소형모빌리티 고정부에 고정후, 수납차량 서버로 사용 완료 신호를 보내면 수납차량 서버는 개방부 상단 스텝모터와 개방부 하단 스텝모터(315)에 순차적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를 구동하여 도어부(210)를 닫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탑승객 하차시, 탑승객의 개인단말기나 수납차량 내부의 제어유닛을 통해 수납차량 서버로 하차 사용 요청 신호를 보내면, 수납차량 정차 이후, 사용한 수납슬롯(200)의 도어부(210)를 순차적으로 개방하도록 제어하며, 탑승객이 소형모빌리티 고정해제 후, 수형모빌리티의 회수를 마치고 수납차량 서버로 사용 완료 신호를 보내면 수납차량 출발 전 도어부(210)가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에서 도어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에서 도어부(210)는 도 4를 참고하면 Case 1 부터 3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에서 도어부(210)는 상단부와 하단부를 포함하며, 개폐부(300)는 도어부(210)의 상단부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시키고, 도어부(210)의 상단부가 상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도어부(210)의 하단부는 차량 외측으로 회전되어 차량의 플로어와 지면을 연결함으로써 소형모빌리티 수납 또는 인출을 보조할 수 있다. 이는 도 4의 Case 2에 해당하는 것이며, 이 경우 별도의 수납보조부(220)를 위한 구성이 없이도 도어부(210)의 하단부가 수납보조부(220)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에서 도어부(210)는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며, 개폐부(300)는 도어부(210)를 측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수납슬롯(200)의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다. 이는 도 4의 Case 3에 해당하는 것이고, 이처럼 도어부(210)는 다양한 방식과 형상으로 수납슬롯(200)의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에서 수납슬롯(200)의 하단에는 고정부(미도시)가 마련되며, 고정부는 수납슬롯(200)에 소형모빌리티가 수납된 경우 소형모빌리티의 하단을 고정하고, 개방부가 개방된 경우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고정부는 수납슬롯에 소형모빌리티가 수납된 경우, 소형모빌리티의 바퀴 또는 발판부를 로킹함으로써 소형모빌리티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에서 수납슬롯(200)에는 충전부(미도시)가 마련되며, 충전부는 수납슬롯(200)에 소형모빌리티가 수납된 경우 소형모빌리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승객은 별도로 소형모빌리티를 충전하지 않더라도, 차량에 탑승하여 이동하는 동안 소형모빌리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차량을 이용한 후 다시 배터리가 충전된 소형모빌리티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은 Last Mile과 PBV(Purpose Built Vehicle, 목적기반차량) 이동 연계성을 통한 이동 편의 극대화 (Door to Door Transportation 실현), PM(Personal Mobility, 개인용 소형모빌리티), PBV, Hub, UAM(Urban Air Mobility, 도심항공모빌리티) 연계성 확보 위한 PBV에 소형모빌리티 격납 공간 확보, 개인용 모빌리티와 공유형 모빌리티의 활용 유연성을 확보, 모듈화된 격납 인출 메커니즘, 공간 구성을 통해 부품 통합화 추구 소형모빌리티 이용 조건에서 눈. 비 등의 악천후 상황에서 이용 불가시 PBV를 격납 공간으로 활용하도록 하여 비즈니스 대응성 향상 등의 다양한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시트 200 : 수납슬롯
210 : 도어부 220 : 수납보조부
300 : 개폐부

Claims (14)

  1. 차량의 내부에 마련되며, 플로어의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하방에 이격공간이 형성된 시트;
    시트 하방의 이격공간에 형성되며, 차량의 측벽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차량 외측으로 개방되고, 소형모빌리티가 수납되는 수납슬롯;
    수납슬롯의 개방부에 마련된 도어부; 및
    도어부의 일측에 마련되며 도어부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수납슬롯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시트는 시트백이 차량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시트백은 차량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위치됨으로써 차량의 측벽과 시트백의 사이에 사이공간을 형성하며, 시트쿠션이 플로어의 상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이격공간은 사이공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
  3. 청구항 2에 있어서,
    수납슬롯은 이격공간 및 사이공간에 마련되며, 소형모빌리티 수납 시 소형모빌리티의 발판부는 이격공간에 위치되고, 소형모빌리티의 핸들부는 사이공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
  4. 청구항 1에 있어서,
    도어부는 차량 측벽에 마련되어 측벽의 일부를 형성하고, 시트의 상단측에서 차량의 플로어까지 연장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
  5. 청구항 1에 있어서,
    개폐부는 도어부의 상단에 마련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액츄에이터가 일방 또는 타방으로 회전됨에 따라 도어부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되어 개방부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
  6. 청구항 5에 있어서,
    액츄에이터는 액츄에이터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도어부의 중앙측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통해 도어부와 결합되며, 지지부는 액츄에이터의 회전에 따라 도어부를 차량의 외측으로 밀어내며 상방으로 슬라이딩시키거나, 차량의 내측으로 당기며 하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
  7. 청구항 1에 있어서,
    수납슬롯의 개방부 하단에는 수납보조부가 마련되며, 수납보조부는 도어부 개방 시 차량의 플로어와 지면을 연결함으로써 소형모빌리티 수납 또는 인출을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
  8. 청구항 7에 있어서,
    수납보조부는 개방부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돌출되는 판 형상이며, 일단이 플로어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전 시 타단이 지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
  9. 청구항 8에 있어서,
    수납보조부는 플로어측 단부에 탄성부가 구비되며, 도어부가 개방되는 경우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차량 외측으로 회전되어 타단이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도어부는 상단부와 하단부를 포함하며, 개폐부는 도어부의 상단부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시키고, 도어부의 상단부가 상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도어부의 하단부는 차량 외측으로 회전되어 차량의 플로어와 지면을 연결함으로써 소형모빌리티 수납 또는 인출을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
  11. 청구항 1에 있어서,
    도어부는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며, 개폐부는 도어부를 측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수납슬롯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수납슬롯의 하단에는 고정부가 마련되며, 고정부는 수납슬롯에 소형모빌리티가 수납된 경우 소형모빌리티를 고정하고, 개방부가 개방된 경우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고정부는 수납슬롯에 소형모빌리티가 수납된 경우, 소형모빌리티의 바퀴 또는 발판부를 로킹함으로써 소형모빌리티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수납슬롯에는 충전부가 마련되며, 충전부는 수납슬롯에 소형모빌리티가 수납된 경우 소형모빌리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
KR1020210092660A 2021-07-15 2021-07-15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 KR2023001218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660A KR20230012188A (ko) 2021-07-15 2021-07-15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
US17/694,250 US20230022812A1 (en) 2021-07-15 2022-03-14 Storage vehicle for small mobility
DE102022202945.3A DE102022202945A1 (de) 2021-07-15 2022-03-25 Aufbewahrungsfahrzeug für ein kleinmobil
CN202210373562.5A CN115610306A (zh) 2021-07-15 2022-04-11 用于小型移动工具的储存交通工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660A KR20230012188A (ko) 2021-07-15 2021-07-15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188A true KR20230012188A (ko) 2023-01-26

Family

ID=84546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660A KR20230012188A (ko) 2021-07-15 2021-07-15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22812A1 (ko)
KR (1) KR20230012188A (ko)
CN (1) CN115610306A (ko)
DE (1) DE10202220294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985A (ko) 2019-07-31 2021-02-10 주식회사 오스코 전동 킥보드 보관 겸용 충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985A (ko) 2019-07-31 2021-02-10 주식회사 오스코 전동 킥보드 보관 겸용 충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2202945A1 (de) 2023-01-19
US20230022812A1 (en) 2023-01-26
CN115610306A (zh)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9829B2 (en) Wheelchair vehicle access system
CN108995597A (zh) 机动车辆
US11447039B2 (en) Communication seat-type vehicle
JP2022551855A (ja) 統合モビリティシステム
KR20230012188A (ko) 소형모빌리티 수납차량
CN205601629U (zh) 一种太阳能充电式纯电动旅居房车装置
KR20200069528A (ko) 휠체어 이용자용 탑승장치
CN205220406U (zh) 一种电动汽车及供电触网、充电设施
JP2018177146A (ja) 車両搬送車
US20070164583A1 (en) Light weight passenger vehicle with expandable body size for collision protection
WO2004074072A1 (en) Seat for motor vehicle
WO2021083225A1 (zh) 子母载具及用于子母载具的母载具
CZ394997A3 (cs) Uzavřený železniční vůz pro společnou dopravu cestujících a osobních automobilů a/nebo přepravních modulů
CN209479556U (zh) 汽车车厢结构以及具有该车厢结构的汽车
EP0829417A2 (en) Electrically propelled small vehicle
CN102963451A (zh) 一人一座多上客/下客通道的公共交通客运车辆
GB2417021A (en) Passenger service vehicle disabled persons lift
RU217545U1 (ru) Автомобиль для людей с инвалидностью и маломобильных групп населения
GB2188292A (en) Converting vehicles to accommodate a wheel chair
CZ295834B6 (cs) Silniční motorové kolové vozidlo vhodné pro systém kombinované dopravy silnice-železnice
CN109398239A (zh) 汽车车厢结构以及具有该车厢结构的汽车
CN116252870A (zh) 一种无障碍电动观光车
CN215425612U (zh) 一种伸缩式轮椅导板
JPS5876342A (ja) 車両の車椅子搭載装置
CN217435948U (zh) 车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