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0786A -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0786A
KR20230010786A KR1020230001302A KR20230001302A KR20230010786A KR 20230010786 A KR20230010786 A KR 20230010786A KR 1020230001302 A KR1020230001302 A KR 1020230001302A KR 20230001302 A KR20230001302 A KR 20230001302A KR 20230010786 A KR20230010786 A KR 20230010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support body
locking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1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2478B1 (ko
Inventor
신승준
Original Assignee
신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준 filed Critical 신승준
Priority to KR1020230001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478B1/ko
Publication of KR20230010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0786A/ko
Priority to KR1020230175543A priority patent/KR20230169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62Devices acting on, attached to, or simulating the effect of, vertebral processes, vertebral facets or ribs ; Tools for suc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62Devices acting on, attached to, or simulating the effect of, vertebral processes, vertebral facets or ribs ; Tools for such devices
    • A61B17/7065Devices with changeable shape, e.g. collapsible or having retractable arms to aid implantation;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2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bones, e.g. intraosseus in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62Devices acting on, attached to, or simulating the effect of, vertebral processes, vertebral facets or ribs ; Tools for such devices
    • A61B17/7067Devices bearing against one or more spinous processes and also attached to another part of the spine;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74Tools specially adapted for spinal fixation operations other than for bone removal or filler handling

Abstract

척추내시경수술에서 절개공을 통해 몸속으로 삽입될 수 있는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를 개시한다.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는 서로 인접한 극돌기들 사이에 삽입되는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극돌기들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제1 지지 몸체와 제1 지지 몸체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돌출 가능한 복수의 제1 지지 돌기를 가지는 제1 지지 부재, 서로 인접한 극돌기들 중 다른 하나를 지지하는 제2 지지 몸체와 제2 지지 몸체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돌출 가능한 복수의 제2 지지 돌기를 가지는 제2 지지 부재,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조정 부재를 포함한다. 제1 지지 몸체는 제1 지지 몸체에 가해진 외력이 해제되면 복수의 제1 지지 돌기가 제1 지지 몸체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제1 방향으로 돌출되어 복수의 제1 지지 돌기 사이에 어느 하나의 극돌기와 접촉되는 제1 접촉면을 형성한다. 제2 지지 몸체는 제2 지지 몸체에 가해진 외력이 해제되면 복수의 제2 지지 돌기가 제2 지지 몸체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제2 방향으로 돌출되어 복수의 제2 지지 돌기 사이에 다른 하나의 극돌기와 접촉되는 제2 접촉면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Endoscopic Interspinous Insert}
본 발명은 척추간 삽입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시경을 이용한 척추 수술에 사용되는 척추간 삽입체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 절제 또는 후방감압술 이후 척추분절의 불안정성을 해결하기 위해, 극돌기 스페이서(interspinous spacer)를 환자의 극돌기 사이에 삽입하는 극돌기 스페이서 삽입술이 이루어지고 있다.
극돌기 스페이서 삽입술은, 수술하고자 하는 부위를 일정 구간 절개하고, 절개된 부위를 통해 서로 인접한 극돌기들 사이에 스페이서를 삽입한 후, 스트랩이나 밴드 등을 이용하여 극돌기들을 둘러서 감쌈으로써 스페이서를 인접한 극돌기들 사이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최근에는, 극돌기 스페이서 삽입술에서도, 수술하고자 하는 부위를 일정 구간만큼 절개하는 대신, 수술하고자 하는 부위의 주변에 몇 개의 절개공들을 형성하고, 절개공들을 통해 내시경과 수술용 기구들을 삽입하여 극돌기 스페이서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극돌기 스페이서의 크기는 절개공의 크기에 비해 크므로, 극돌기 스페이서가 절개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61635호(척추간 삽입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척추내시경수술에서 절개공을 통해 몸속으로 삽입될 수 있는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는 서로 인접한 극돌기들 사이에 삽입되는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인접한 극돌기들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제1 지지 몸체와, 상기 제1 지지 몸체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돌출 가능한 복수의 제1 지지 돌기를 가지는 제1 지지 부재; 상기 서로 인접한 극돌기들 중 다른 하나를 지지하는 제2 지지 몸체와, 상기 제2 지지 몸체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돌출 가능한 복수의 제2 지지 돌기를 가지는 제2 지지 부재; 와,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조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몸체는, 상기 제1 지지 몸체에 가해진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돌기가 상기 제1 지지 몸체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제1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돌기 사이에 어느 하나의 극돌기와 접촉되는 제1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지지 몸체는, 상기 제2 지지 몸체에 가해진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돌기가 상기 제2 지지 몸체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제2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돌기 사이에 다른 하나의 극돌기와 접촉되는 제2 접촉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가 가압되면,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가 서로 포개어져 함께 유선형의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몸체 내부에 결합되는 제1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지지 몸체 내부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조정 부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그 내부가 중공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락킹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조정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조정 부재의 회전을 제한한다.
상기 제1 지지 몸체와 상기 제2 지지 몸체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가 절개공을 통해 몸 속으로 삽입된 후, 몸속에서 그 형상이 수술에 적합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수술하고자 하는 부위를 일정 구간 절개하는 대신, 절개공을 통해 수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가 펼쳐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도1b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가 펼쳐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가 극돌기들 사이에 배치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도 1b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b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의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조정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의 제2 프레임 및 조정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4c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의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조정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의 제2 프레임 의 측면도이다. 도 5c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d는 락킹 부재에 의해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락킹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락킹 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b는 제1 락킹 블록의 평면도와 제2 락킹 블록의 저면도이다. 도 6c는 락킹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6d는 락킹 부재와 조정 부재가 고정 나사에 의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의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조정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의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조정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7c 및 도 7d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의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조정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의 제2 프레임 의 측면도이다. 도 8c는 도 8a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d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가 펼쳐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도1b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가 펼쳐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 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c에는 척추간 삽입체가 삽입되는 극돌기들의 단면을 추가하였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가 극돌기들 사이에 배치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도 1b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b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100)는 제1 지지 부재(110), 제2 지지 부재(120) 및 조정 부재(130)를 포함한다.
제1 지지 부재(110)는 서로 인접한 극돌기들 중 어느 하나(S1)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촉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 지지 부재(110)는 제1 지지 몸체(112), 복수의 제1 지지 돌기(114), 제1 프레임(116) 및 제1 삽입홈(118)을 포함한다.
제1 지지 몸체(112)는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100)가 서로 인접한 극돌기들(S1, S2)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극돌기들 중 어느 하나(S1)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지지 몸체(112)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이외에, 탄성력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지 몸체(112)는 극돌기들 중 어느 하나(S1)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촉되는 제1 접촉면(11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면(112a)은 극돌기들 중 어느 하나(S1)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접촉면(112a)은 제1 지지 몸체(112)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표면 거칠기가 큰 메쉬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접촉면(112a)이 메쉬 구조로 마련되므로, 제1 접촉면(112a)이 극돌기(S1)와 접촉 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제1 접촉면(112a)이 극돌기(S1)의 표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현상이 방지되고, 척추간 삽입체(100)는 극돌기들(S1, S2)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지지 돌기(114)는 제1 지지 몸체(112)의 양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복수의 제1 지지 돌기(114) 중 어느 하나(114a)는 제1 접촉면(112a)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복수의 제1 지지 돌기(114) 중 다른 하나(114b)는 제1 접촉면(112a)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지지 돌기(114)는 각각 극돌기들 중 어느 하나(S1)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라운드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척추간 삽입체(100)가 극돌기들(S1, S2)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극돌기들 중 어느 하나(S1)는 복수의 제1 지지 돌기(114)에 의해 그 외측면이 감싸진 상태에서 복수의 제1 지지 돌기(114)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지지 부재(110)가 극돌기들 중 어느 하나(S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16)은 제1 지지 몸체(112)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16)은 조정부재(130)와 맞물려 조정부재(1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16)은 인체에 무해하며 소독이 가능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116)은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외에, 강성을 가지며 내식성이 강한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16)은 조정 부재(130)의 일단부(130a)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116a)와, 제1 프레임(116)의 내면으로부터 제1 수용부(116a)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1 티스들(116b)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티스들(116b)은 제1 지지 부재(110)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각각의 제1 티스(116b)는 수평면에 대해 제1 경사각(θ1)을 형성하는 제1 경사면(116b1)과 수평면에 대해 제2 경사각(θ2)을 형성하는 제2 경사면(116b2)을 가진다. 제2 경사각(θ2)은 제1 경사각(θ1)보다 큰 값을 가진다.
제1 삽입홈(118)은, 켈리포셉과 같은 의료용 수술 기구(미도시) 등이 제1 지지 몸체(112)의 내측으로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지지 몸체(112)의 외면으로부터 그 내측을 향해 오목한 형상으로 마련된다. 제1 삽입홈(118)은 의료용 포셉이나 집게 또는 의료용 드라이버나 렌치 등 다양한 도구가 삽입 가능하도록 그 형상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120)는 서로 인접한 극돌기들 중 다른 하나(S2)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촉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 부재(120)는 제1 지지 부재(110)와 서로 겹겹이 포개어 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겹겹이 포개어진 구조는 각 지지부재(110, 120)가 벌어지면서 수평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하여 양측 날개가 트위스트 되는 회전이탈이 방지 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120)는 제2 지지 몸체(122), 복수의 제2 지지 돌기(124), 제2 프레임(126) 및 제2 삽입홈(128)을 포함한다.
제2 지지 몸체(122)는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100)가 서로 인접한 극돌기들(S1, S2)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극돌기들 중 다른 하나(S2)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지지 몸체(122)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이외에, 탄성력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지지 몸체(122)는 극돌기들 중 다른 하나(S2)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촉되는 제2 접촉면(12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촉면(122a)은 극돌기들 중 다른 하나(S2)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접촉면(122a)은 제2 지지 몸체(122)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표면 거칠기가 큰 메쉬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접촉면(122a)이 메쉬 구조로 마련되므로, 제2 접촉면(122a)이 극돌기(S2)와 접촉 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제2 접촉면(122a)이 극돌기(S2)의 표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현상이 방지되고, 척추간 삽입체(100)는 극돌기들(S1, S2)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지지 돌기(124)는 제2 지지 몸체(122)의 양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복수의 제2 지지 돌기(124) 중 어느 하나(124a)는 제2 접촉면(122a)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복수의 제2 지지 돌기(124) 중 다른 하나(124b)는 제2 접촉면(122a)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지지 돌기(114) 및 복수의 제2 지지 돌기(124)는 스펀지,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체로 구비되므로, 척추간 삽입체(100)가 의료용 수술 기구(미도시)에 홀딩되어 복수의 제1 지지 돌기(114) 및 복수의 제2 지지 돌기(124)가 가압되면, 척추간 삽입체(100)는 예를 들면 총알과 같은 유선형의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척추간 삽입체(100)는 켈리포셉과 같은 의료용 수술 기구(미도시) 등에 홀딩되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형으로 그 형상이 변형된 상태로 절개공(미도시)을 통과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지지 돌기(124)는 각각 극돌기들 중 다른 하나(S2)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라운드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척추간 삽입체(100)가 극돌기들(S1, S2)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극돌기들 중 다른 하나(S2)는 복수의 제2 지지 돌기(124)에 의해 그 외측면이 감싸진 상태에서 복수의 제2 지지 돌기(124)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2 지지 부재(120)가 극돌기들 중 다른 하나(S2)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26)은 제2 지지 몸체(122)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26)은 조정부재(130)와 맞물려 조정부재(1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26)은 인체에 무해하며 소독이 가능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레임(126)은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외에, 강성을 가지며 내식성이 강한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26)은 조정 부재(130)의 타단부(130b)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126a)와, 제2 프레임(126)의 내면으로부터 제2 수용부(126a)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2 티스들(126b)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2 티스들(126b)은 제2 지지 부재(120)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각각의 제2 티스(126b)는 수평면에 대해 제3 경사각(θ3)을 형성하는 제3 경사면(126b1)과 수평면에 대해 제4 경사각(θ4)을 형성하는 제4 경사면(126b2)을 가진다. 제4 경사각(θ4)은 제3 경사각(θ3)보다 큰 값을 가진다. 제3 경사각(θ3)은 제1 경사각(θ과 동일할 수 있고, 제4 경사각(θ4)은 제2 경사각(θ2)과 동일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티스들(116b)과 복수의 제2 티스들(126b)은 함께 프레임측 티스들을 구성한다.
제2 삽입홈(128)은, 의료용 수술 기구 등이 제2 지지 몸체(122)의 내측으로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제2 지지 몸체(122)의 외면으로부터 그 내측을 향해 오목한 형상으로 마련된다. 제2 삽입홈(128)은 의료용 가위나 집게 또는 의료용 드라이버나 렌치 등 다양한 도구가 삽입 가능하도록 그 형상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조정 부재(130)는 제1 지지 부재(110)와 제2 지지 부재(120) 사이에 배치된다. 조정 부재(130)는 제1 프레임(116)과 제2 프레임(126)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조정 부재(130)는 원기둥 형상의 조정 몸체(132)와 조정 몸체(13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제3 티스들(134) 및 복수의 제4 티스들(136)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3 티스들(134) 및 복수의 제4 티스들(136)은 함께 조정측 티스들을 구성한다. 조정부재는 탄성 및 강도를 가지는 실리콘, 고무, 플라스틱 재질 이나 기타 합성금속소재 등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제3 티스들(134)은 복수의 제1 티스들(116b)과 각각 맞물리고, 복수의 제4 티스들(136)은 복수의 제2 티스들(126b)과 각각 맞물린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티스(116b)는 수평면에 대해 제1 경사각(θ을 형성하는 제1 경사면(116b1)과 수평면에 대해 제2 경사각(θ을 형성하는 제2 경사면(116b2)을 가지며, 제2 경사각(θ2)은 제1 경사각(θ1)보다 큰 값을 가진다. 따라서 복수의 제3 티스들(134)이 복수의 제1 티스들(116b)과 각각 맞물린 상태에서 복수의 제3 티스들(134)은 상대적으로 경사각이 완만한 제1 경사면(116b1)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반면에, 상대적으로 경사각이 가파른 제2 경사면(116b2)을 따른 복수의 제3 티스들(134)의 이동은 제한된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제2 티스(126b)는 수평면에 대해 제3 경사각(θ3)을 형성하는 제3 경사면(126b1)과 수평면에 대해 제4 경사각(θ4)을 형성하는 제4 경사면(116b2)을 가지며, 제4 경사각(θ4)은 제3 경사각(θ3)보다 큰 값을 가진다. 따라서 복수의 제4 티스들(136)이 복수의 제2 티스들(126b)과 각각 맞물린 상태에서 복수의 제4 티스들(136)은 상대적으로 경사각이 완만한 제3 경사면(126b1)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반면에, 상대적으로 경사각이 가파른 제4 경사면(126b2)을 따른 복수의 제4 티스들(136)의 이동은 제한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조정부재(130)와 제1 프레임(116) 사이의 체결 구조 및 조정부재(130)와 제2 프레임(126) 사이의 체결 구조에 의해 제1 지지 부재(110)는 제1 방향(a)으로만 이동이 가능하고, 제2 지지 부재(120)는 제1 방향(a)과 반대되는 제2 방향(b)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다. 즉 제1 지지 부재(110)와 제2 지지 부재(120)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척추간 삽입체(100)가 극돌기들(S1, S2)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척추간 삽입체(100)는, 의료용 수술 기구(미도시) 등에 홀딩되어 유선형으로 그 형상이 변형된 상태로 절개공(미도시)을 통과하여 극돌기들(S1, S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척추간 삽입체(100)의 제1 지지 부재(110)와 제2 지지 부재(120)는 서로 겹겹이 포개어진 상태일 수 있다. 의료용 수술 기구로는 의료용 포셉, 집게 등과 같이, 양단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조절 가능한 기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b, 도 2c,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척추간 삽입체(100)가 극돌기들(S1, S2)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척추간 삽입체(100)에 대한 홀딩이 해제되면, 복수의 제1 지지 돌기(114) 및 복수의 제2 지지 돌기(124)가 탄성력에 의해 돌출된다. 자세하게는 복수의 제1 지지 돌기(114)는 제1 방향(a)으로 돌출되고, 복수의 제2 지지 돌기(124)는 제2 방향(b)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삽입홈(118) 및 제2 삽입홈(128)에 포셉 등과 같은 수술용 도구(미도시)의 양단을 각각 삽입하고, 제1 삽입홈(118) 및 제2 삽입홈(128)에 삽입된 수술용 도구(미도시)의 양단을 벌리면 제1 지지 부재(110)는 제1 방향(a)으로 이동하고, 제2 지지 부재(120)는 제2 방향(b)으로 이동하면서 제1 지지 부재(110)와 제2 지지 부재(120) 사이의 간격이 증가한다. 이 때, 앞서 설명한 조정부재(130)와 제1 프레임(116) 사이의 체결 구조 및 조정부재(130)와 제2 프레임(126) 사이의 체결 구조에 의해 제1 지지 부재(110)의 제2 방향(b)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제2 지지 부재(120)의 제1 방향(a)으로의 이동은 제한된다.
제1 지지 부재(110)와 제2 지지 부재(120)가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면 제1 삽입홈(118) 및 제2 삽입홈(128)으로부터 의료용 수술 기구(미도시)가 분리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지지 부재(110)와 제2 지지 부재(120)는 각각 극돌기들(S1, S2)과 접촉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척추간 삽입체(100)가 극돌기들(S1, S2)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극돌기들(S1, S2) 주위로 스트랩(미도시)을 팽팽하게 둘러 감싸면, 척추간 삽입체(100)는 극돌기들(S1, S2)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척추간 삽입체(100)가 극돌기들 사이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극돌기들(S1, S2)을 포함하는 해당 척추 분절의 안정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상에서는 제1 지지 부재(110)와 제2 지지 부재(120)가 조정부재(130)와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조정부재(130)가 제1 지지 부재(110)와 제2 지지 부재(12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거나 일체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만 조정부재(130)에 대해 이동 가능한 구조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조정부재(130)가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구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정부재(130) 및 각 프레임의 중공 형상은 그 단면이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제1 프레임(116) 및 제2 프레임(126)과 맞물리기 위한 티스가 다각면체 형상의 일면에만 마련되는 구조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100)는 척추의 극돌기들 사이에 삽입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몸 속에 존재하는 뼈들 또는 다른 조직의 돌기들 사이에 삽입되는 데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200)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10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의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조정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의 제2 프레임 및 조정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4c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c를 참조하면, 제1 프레임(216)은 조정부재(2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프레임(216)은 조정부재(230)의 일단부(230a)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216a)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216)은 인체에 무해하며 소독이 가능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216)은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외에, 강성을 가지며 내식성이 강한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프레임(226)은 조정부재(2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프레임(226)은 조정 부재(230)의 타단부(230b)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226a)를 포함한다.
제2 프레임(226)은 인체에 무해하며 소독이 가능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레임(226)은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외에, 강성을 가지며 내식성이 강한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조정 부재(230)는 제1 프레임(216)과 제2 프레임(226) 사이에 배치된다.
조정 부재(230)는 원통형의 탄성체로 구성되고, 자세하게는 압축하려고 하는 힘에 저항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의 외부의 압축력에 대한 저항력은 압축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 값(단위: N/mm)에 비례한다. 이는 압축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 값에 따라 제1 프레임(216)과 제2 프레임(226) 사이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압축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 값을 조절하여 제1 프레임(216)과 제2 프레임(226)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정 부재(230)의 일단부(230a)는 제1 프레임(216)의 제1 수용부(216a)에 수용되고, 조정 부재(230)의 타단부(230b)는 제2 프레임(226)의 제2 수용부(226a)에 수용된다.
조정 부재(230)의 일단부(230a)는 제1 프레임(216)의 제1 수용부(216a)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 프레임(216)의 내면에 결합 및 고정되고, 조정 부재(230)의 타단부(230b)는 제2 프레임(226)의 제2 수용부(226a)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2 프레임(226)의 내면에 결합 및 고정된다.
락킹 부재(240)는 제1 프레임(216)이 제2 프레임(226)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제1 프레임(216)에 결합된 후크(242) 및 제2 프레임(226)으로부터 연장되는 걸림부(244)를 포함한다.
후크(242)는 틸팅 가능하게 마련되며, 그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돌기(242a)를 포함하며 원래 형상으로 돌아올 수 있게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걸림돌기(242a)는 걸림부(244)에 결합되거나, 걸림부(244)에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부(244)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걸림부(244)는 걸림돌기(242a)가 삽입되어 걸리는 복수의 걸림 홀(244a)을 포함한다. 복수의 걸림 홀(244a)은 조정 부재(230)가 연장되거나 압축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걸림돌기(242a)가 걸림 홀들(244a)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걸리면, 후크(242)는 걸림부(244)에 고정된다. 후크(242)가 걸림부(244)에 걸려 고정되면, 제1 프레임(216)은 제2 프레임(226)에 고정된다.
락킹 부재(240)는 제2 프레임(226)에 오목하게 형성된 경사면(2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246)은 걸림부(244)와 제2 프레임(226)의 일 부분 사이에 수용 공간(246a)을 형성한다. 걸림 홀들(244a) 중 어느 하나에서 이탈된 걸림돌기(242a)를 포함한 후크(242)의 일단은 수용 공간(246a)에 수용되고, 따라서 후크(242)의 일단과 제2 프레임(226)은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제1 프레임(216)과 제2 프레임(226)의 간격이 조정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수술용 기구(P)를 통해 복수의 걸림 홀(244a) 중 어느 하나에 걸린 걸림돌기(242a)를 가압하면, 걸림돌기(242a)는 복수의 걸림 홀(244a)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이탈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242a)는 경사지게 배치되고, 수술용 기구(P)는 경사지게 진입되어 걸림돌기(242a)를 가압하게 된다.
복수의 걸림 홀(244a) 중 어느 하나에서 이탈된 걸림돌기(242a)를 포함한 후크(242)의 일단은 수용 공간(246a)에 수용된다.
후크(242)의 일단이 복수의 걸림 홀(244a)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이탈되어 수용 공간(246a)에 수용되면, 제1 프레임(216)은 제2 프레임(226)으로부터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락킹 해제 상태가 된다.
또한, 조정 부재(23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프레임(216)은 제1 방향(a)으로 가압되고, 제2 프레임(226)은 제2 방향(b)으로 가압된 상태이므로, 제1 프레임(216)이 락킹 해제 상태가 됨과 동시에 제1 프레임(216)은 제1 방향(a)으로 이동하고, 제2 지지 부재(220)는 제2 방향(b)으로 이동한다.
걸림돌기(242a)가 복수의 걸림 홀(244a)에서 한 번 이탈되면, 조정 부재(23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프레임(216)과 제2 프레임(226)이 서로 이격된다. 이 때, 이탈된 걸림돌기(242a)는 조정 부재(23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되면서 걸림 홀들(244a) 중 다른 하나에 원래 형상으로 돌아오려는 탄성력에 의해 걸릴수 있다. 걸림 홀들(244a) 중 다른 하나에 걸린 걸림돌기(242a)에 의해 제1 프레임(216)은 제2 프레임(226)과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후크(242) 및 걸림부(244)는 쉽게 부러지지 않도록 단단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환자가 허리를 반복적으로 젖히는 등의 움직임에 의해 후크(242) 및 걸림부(244)의 파손으로 인하여 걸림돌기가(242a)가 걸림 홀(244a)로부터 이탈되거나, 걸림돌기가(242a)가 걸림 부(244)와 충돌하여 부러지는 현상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300)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10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의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조정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의 제2 프레임 의 측면도이다. 도 5c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d는 락킹 부재에 의해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락킹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제1 프레임(316)은 조정 부재(330)와 맞물리는 복수의 제1 티스들(316b)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프레임(316)은 인체에 무해하며 소독이 가능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316)은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외에, 강성을 가지며 내식성이 강한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프레임(316)은 제1 수용부(316a)와, 제1 프레임(316)의 내면으로부터 제1 수용부(316a)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1 티스들(316b)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티스들(316b)은 제1 프레임(316)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제2 프레임(326)은 조정부재(330)와 맞물리는 복수의 제2 티스들(326b)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프레임(326)은 인체에 무해하며 소독이 가능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레임(326)은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외에, 강성을 가지며 내식성이 강한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2프레임(326)은 제2 수용부(326a)와, 제2 프레임(326)의 내면으로부터 제2 수용부(326a)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2 티스들(326b)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2 티스들(326b)은 제2 지지 부재(320)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조정 부재(330)는 복수의 제1 티스들(316b)과 복수의 제2 티스들(326b)에 각각 맞물릴 수 있는 기어의 형상으로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외에, 강성을 가지며 내식성이 강한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조정 부재(330)는 후술할 락킹 부재(350)의 일 부분이 결합되는 락킹홈(330a)을 포함한다. 락킹홈(330a)은 의료용 드라이버나 렌치 등의 도구(D)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조정 부재(330)의 일측으로부터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락킹홈(330a)에 의료용 드라이버나 렌치 등의 도구(D)가 삽입되어 토크가 가해지면, 조정 부재(330)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조정 부재(330)가 회전하게 되고, 조정 부재(330)가 회전하면, 조정 부재(330)와 맞물린 복수의 제1 티스들(316b) 및 복수의 제2 티스들(326b)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각각 제1 프레임(316)과 제2 프레임(326)을 이동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락킹홈(330a)의 형상을 사각 형상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락킹홈(330a)의 형상은 사각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 형상 이외에 원형, 타원형, 다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조정 부재(330)에는 후술할 고정나사(358)가 삽입 가능하도록 원형의 삽입홈(340)이 더 마련된다.
삽입홈(340)의 내면에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된다. 나사산(미도시)에는 후술할 고정 나사(358)가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티스들(316b)과 복수의 제2 티스들(326b)이 서로 상, 하로 배치되어 조정 부재(330)와 맞물리는 구조에 의해 제1 프레임(316)과 제2 프레임(326)은 항상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제1 프레임(316)과 제2 프레임(326)은 조정 부재(3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조정 부재(330)는 조정 부재(330)의 일단과 반대되는 조정 부재(330)의 타단에 결합되는 회전지지부(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프레임(316)과 제2 프레임(326)의 간격이 조정되고, 후술할 락킹 부재(350)를 통해 제1 프레임(316)과 제2 프레임(326)이 락킹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의료용 드라이버나 렌치 등의 도구(D)가 조정 부재(330)의 락킹홈(330a)에 삽입되어 토크가 가해지면, 조정 부재(330)가 회전되고, 조정 부재(330)와 맞물린 복수의 제1 티스들(316b) 및 복수의 제2 티스들(326b)이 각각 제 1방향(a)과 제2 방향(b)으로 이동하면서 제1 프레임(316)과 제2 프레임(326) 사이의 간격이 증가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 드라이버나 렌치 등의 도구(D)는 경사지게 진입되어 조정 부재(330)와 결합된다.
제1 프레임(316)과 제2 프레임(326)이 충분히 이격된 상태에서, 제1 프레임(316)과 제2 프레임(326) 및 락킹홈(330a)에 락킹 부재(350)가 결합되고, 고정 나사(358)가 제1 락킹 블록(352)의 제1 관통홀(352b) 및 제2 락킹 블록(354)의 제2 관통홀(354b)를 통과하여 고정나사(358)의 나사산(358c)이 삽입홈(340)의 나사산(미도시) 결합되면, 제1 프레임(316)과 제2 프레임(326)의 제1 방향(a) 또는 제2 방향(b)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제1 프레임(316)과 제2 프레임(326)은 락킹될 수 있다.
도 6a는 락킹 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b는 제1 락킹 블록의 평면도와 제2 락킹 블록의 저면도이다. 도 6c는 락킹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6d는 락킹 부재와 조정 부재가 고정 나사에 의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c를 참조하면, 락킹 부재(350)는 제1 락킹 블록(352), 제2 락킹 블록(354), 연결 플랜지(356) 및 고정 나사(358)를 포함하고,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외에, 강성을 가지며 내식성이 강한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락킹 블록(352)은 고정 나사(358)가 수용되도록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부에는 제2 락킹 블록(354)의 복수의 제2 티스들(354a)과 맞물릴 수 있도록 복수의 제1 티스들(352a)이 형성된다. 또한, 제1 락킹 블록(352)에는 제1 관통홀(352b) 및 제1 걸림 홈(352c) 이 마련된다.
제1 관통홀(352b)은 고정 나사(358)의 몸체(358b)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며, 제1 관통홀(352b)은 제2 관통홀(354b)과 연통된다.
제1 걸림 홈(352c)은 연결 플랜지(356)의 일단이 수용되는 제1 걸림부(352c1)와, 연결 플랜지(356)의 일단에서 돌출되어 연장된 제1 돌출부(356a)가 수용되는 제2 걸림부(352c2)를 포함한다.
제1 걸림부(352c1)는 제2 걸림부(352c2)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 걸림부(352c1)는 제2 락킹 블록(354)의 제2 걸림 홈(354c)의 제1 걸림부(354c1)와 연통된다.
제2 걸림부(352c2)는 연결 플랜지(356)의 제1 돌출부(356a)보다 더 큰 폭으로 형성된다.
제2 락킹 블록(354)은 고정 나사(358)가 수용되도록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며, 하부에는 제1 락킹 블록(352)의 복수의 제1 티스들(352a)과 맞물릴 수 있도록 복수의 제2 티스들(354a)이 형성된다.
또한, 제2 락킹 블록(354)에는 제2 관통홀(354b) 및 제2 걸림 홈(354c)이 마련된다.
제2 관통홀(354b)은 고정 나사(358)의 헤드(358a)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며, 제2 관통홀(354b)은 제1 관통홀(352b)과 연통된다.
제2 걸림 홈(354c)은 연결 플랜지(356)의 타단이 수용되는 제1 걸림부(354c1)와, 연결 플랜지(356)의 타단에서 돌출되어 연장된 제2 돌출부 (356b)가 수용되는 제2 걸림부(354c2)를 포함한다.
제1 걸림부(354c1)는 제2 걸림부(354c2)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 걸림부(354c1)는 제1 락킹블록(352)의 제1 걸림 홈(352c)의 제1 걸림부(352c1)와 연통된다.
제2 걸림부(354c2)는 연결 플랜지(356)의 제2 돌출부(356b)보다 더 큰 폭으로 형성된다.
연결 플랜지(356)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된다.
연결 플랜지(356)는 제1 락킹 블록(352)의 제1 걸림 홈(352c)과 제2 락킹 블록(354)의 제2 걸림 홈(354c)에 수용된다.
연결 플랜지(356)는 제1 돌출부(356a) 및 제2 돌출부(356b)를 포함한다.
제1 돌출부(356a)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된 연결 플랜지(356)의 일단에 연장되어 돌출되며, 제1 락킹 블록(352)의 제1 걸림 홈(352c)의 제2 걸림부(352c2)에 수용된다.
제2 돌출부(356b)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된 연결 플랜지(356)의 타단에 연장되어 돌출되며, 제2 락킹 블록(354)의 제2 걸림 홈(354c)의 제2 걸림부(354c2)에 수용된다.
고정 나사(358)는 제1 관통홀(352b) 및 제2 관통홀(354b)에 수용될 수 있으며, 헤드(358a), 몸체(358b) 및 나사산(358c)을 포함한다.
헤드(358a)는 제2 관통홀(354b)의 형상에 대응되는 납작머리나사의 머리 모양으로 마련된다.
몸체(358b)는 헤드(358a)의 일단에서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된다.
나사산(358c)은 몸체(358b)의 끝단부에 형성되며, 나사산(358c)과 조정 부재(330)는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락킹 부재(350)에 의해 제1 프레임(316)과 제2 프레임(326)이 락킹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d는 락킹 부재와 조정 부재가 고정 나사에 의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d를 참조하면, 조정 부재(330)에 의해 간격이 조정된 제1 프레임(316)과 제2 프레임(326) 사이에 락킹 부재(350)와 고정 나사(358)가 삽입 및 고정되어 제1 프레임(316)과 제2 프레임(326)의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락킹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간격이 벌어진 제1 프레임(316)과 제2 프레임(326)의 사이에 맞물린 조정 부재(330)의 락킹홈(330a)에 제1 락킹 블록(352)이 결합되며, 제2 락킹 블록(354)은 제1 프레임(316)과 제2 프레임(326)사이에 결합된다.
제1 락킹 블록(352)과 제2 락킹 블록(354)이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 나사(358)가 제1 관통홀(352b) 및 제2 관통홀(354b)을 통과하여 삽입되면, 고정 나사(358)의 나사산(358c)이 조정 부재(330)의 삽입홈(340)에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드라이버나 렌치 등의 조정 기구(미도시)에 의해 고정 나사(358)가 회전되면, 나사산(358c)이 삽입홈(340)에 형성된 나사산(340a)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 나사(358)가 삽입홈(340)에 나사 결합된다.
고정 나사(358)가 삽입홈(340)에 나사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1 락킹 블록(352)과 제2 락킹 블록(354)이 가까워지면서, 연결 플랜지(356)는 고정 나사(358)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연결 플랜지(356)의 제1 돌출부(356a)는 제1 관통홀(352b)의 제2 걸림부(352c2)로 이동되며, 제2 돌출부(356b)는 제2 관통홀(354b)의 제2 걸림부(354c2)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연결 플랜지(356)가 이동되면, 제2 락킹 블록(354)이 제1 락킹 블록(352)으로 이동되면서 복수의 제1 티스들(352a)과 복수의 제2 티스들(354a)이 맞물리게 되고, 제1 락킹 블록(352)과 제2 락킹 블록(354)은 서로 상대 회전이 제한된다.
제1 락킹 블록(352)이 조정 부재(330)의 락킹홈(330a)에 삽입되고, 제1 락킹 블록(352)과 맞물린 제2 락킹 블록(354)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316)과 제2 프레임(326)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제1 락킹 블록(352)와 제2 락킹 블록(354) 사이의 상대 회전이 제한되므로, 락킹 부재(350)에 의해 조정 부재(330)의 회전이 제한된다. 따라서, 제1 프레임(316)과 제2 프레임(326)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락킹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400)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10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의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조정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의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조정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7c 및 도 7d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제1 프레임(416)은 조정 부재(4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프레임(416)은 인체에 무해하며 소독이 가능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416)은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외에, 강성을 가지며 내식성이 강한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프레임(416)에는 제1 수용부(416a)가 형성된다.
제1 수용부(416a)는 조정 부재(430)의 스크류 베벨 기어(432a)의 스크류(432ab)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제2 프레임(426)은 제1 프레임(416)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프레임(426)은 인체에 무해하며 소독이 가능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레임(426)은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외에, 강성을 가지며 내식성이 강한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프레임(426)은 제2 수용부(426a), 제3 수용부(426b) 및 제4 수용부(426c)를 포함한다.
제2 수용부(426a)는 제1 프레임(416)을 수용하도록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3 수용부(426b)에는 조정 부재(430)의 스크류 베벨 기어(432a)의 헤드부(432aa)가 수용된다.
제4 수용부(426c)에는 조정 부재(430)의 조정 베벨 기어(432b)가 수용된다.
조정 부재(430)는 제1 프레임(416)과 제2 프레임(426)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조정 부재(430)는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제2 프레임(426)의 제3 수용부(426b)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스크류 베벨 기어(432a)와, 제2 프레임(426)의 제4 수용부(426c)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조정 베벨 기어(432b)를 포함하고,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외에, 강성을 가지며 내식성이 강한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스크류 베벨 기어(432a)는 조정 베벨 기어(432b)와 서로 맞물려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스크류 베벨 기어(432a)는 헤드(432aa) 및 스크류(432ab)를 포함한다.
헤드(432aa)는 제3 수용부(426b)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스크류(432ab)는 제2프레임(426)의 제2 수용부(426a)의 내부의 일정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조정 베벨 기어(432b)에는 삽입홈(432b1)과 락킹홈(432b2)이 마련된다.
삽입홈(432b1)은 조정 베벨 기어(432b)의 일단에서 내부로 원형, 타원형이나 다각형상 등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삽입홈(432b1)의 내면에는 락킹 부재(350)의 고정 나사(358)에 형성된 나사산(358c)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된다.
삽입홈(432b1)의 나사산(미도시)에 상술한 락킹 부재(350)의 부속된 나사산(358c)이 결합되면, 제1 프레임(416)이 제2 프레임(426)과 이격된 상태로 락킹될 수 있다.
조정 베벨 기어(432b)의 타단에는 의료용 드라이버나 렌치 등 다양한 도구가 삽입 가능하도록 타원형 또는 다각 형상을 가지는 락킹홈(432b2)이 마련된다.
락킹홈(432b2)은 조정 베벨 기어(432b)의 타단에서 다각형이나 타원형상으로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락킹홈(432b2)에 의료용 드라이버나 렌치 등의 도구가 삽입되어 토크가 가해지면, 조정 베벨 기어(432b)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조정 베벨 기어(432b)가 회전하게 되고, 조정 베벨 기어(432b)와 맞물린 스크류 베벨 기어(432a)가 회전하게 된다.
스크류 베벨 기어(432a)가 회전하면, 제1 프레임(416)이 제1 방향(a) 또는 제1 방향(a)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프레임(416)과 제2 프레임(426)사이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프레임(416)과 제2 프레임(426)의 간격이 조정되고, 락킹 부재(350)에 의해 락킹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의료용 드라이버나 렌치 등의 도구(미도시)가 조정 베벨 기어(432b)의 락킹홈(432b2)에 삽입되어 토크가 가해지면, 조정 베벨 기어(432b)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조정 베벨 기어(432b)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조정 베벨 기어(432b)와 맞물린 스크류 베벨 기어(432a)가 회전하게 된다. 스크류 베벨 기어(432a)가 회전하면, 스크류 베벨 기어(432a)의 스크류(432ab)와 맞물린 제1 프레임(416)이 제1 방향(a)으로 이동하면서 제1 프레임(416)과 제2 프레임(426) 사이의 간격이 증가한다.
제1 프레임(416)과 제2 프레임(426)이 충분히 이격된 상태에서, 의료용 드라이버나 렌치 등의 도구(미도시)가 조정 베벨 기어(432b)의 락킹홈(432b2)에서 분리된 후, 락킹홈(432b2)에 락킹 부재(350)의 제1 락킹 블록(352)이 결합되며, 조정 베벨 기어(432b)의 제4 수용부(426c)에 락킹 부재(350)의 제2 락킹블록(354)이 결합된다.
제1 락킹 블록(352)과 제2 락킹 블록(354)이 각각 연결 플랜지에(356)에 의해 느슨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 나사(358)가 제1 락킹 블록(352)의 제1 관통홀(352b) 및 제2 락킹 블록(354)의 제2 관통홀(354b)을 통과하여 삽입되면, 고정 나사(358)의 나사산(358c)이 조정 베벨 기어(432b)의 삽입홈(432b1)에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드라이버나 렌치 등의 조정 기구(미도시)에 의해 고정 나사(358)가 회전되면, 고정 나사(358)의 나사산(358c)이 삽입홈(432b1)에 형성된 나사산(미도시)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 나사(358)가 삽입홈(432b1)에 나사 결합된다.
고정 나사(358)가 삽입홈(432b1)에 나사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1 락킹 블록(352)과 제2 락킹 블록(354)이 가까워지면서, 연결 플랜지(356)가 고정 나사(358)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연결 플랜지(356)의 제1 돌출부(356a)는 제1 관통홀(352b)의 제2 걸림부(352c2)로 이동되며, 제2 돌출부(356b)는 제2 관통홀(354b)의 제2 걸림부(354c2)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연결 플랜지(356)가 이동되면, 제2 락킹 블록(354)이 제1 락킹 블록(352)을 향해 이동되면서 복수의 제1 티스들(352a)과 복수의 제2 티스들(354a)이 맞물리게 되고, 제1 락킹 블록(352)과 제2 락킹 블록(354)은 서로 상대 회전이 제한된다.
제1 락킹 블록(352)이 조정 베벨 기어(432b)에 고정되고, 제1 락킹 블록(352)과 맞물린 제2 락킹 블록(354)이 제4 수용부(426c)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제1 락킹 블록(352)와 제2 락킹 블록(354) 사이의 상대 회전이 제한되므로, 락킹 부재(350)에 의해 조정 베벨 기어(432b)의 회전이 제한된다. 또한, 조정 베벨 기어(432b)와 맞물린 스크류 베벨 기어(432a)의 회전이 제한된다. 따라서, 제1 프레임(416)이 제2 프레임(426)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락킹될 수 있다.
이 후, 제1 프레임(416)과 제2 프레임(426) 사이의 간격조정이 필요할 경우 고정 나사(358)을 분리한 후, 조정 베벨 기어(432b)의 락킹홈(432b2) 및 제 2프레임의 제 4 수용부(426c)에 삽입되어 고정된 락킹 부재(미도시)를 분리하고, 의료용 드라이버나 렌치 등의 도구(미도시)를 통해 조정 베벨 기어(432b)를 회전시켜 제1 프레임(416)과 제2 프레임(426)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500)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10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의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조정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의 제2 프레임 의 측면도이다. 도 8c는 도 8a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d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면, 제1 프레임(516)은 제2 프레임(526)과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프레임(516)은 인체에 무해하며 소독이 가능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516)은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외에, 강성을 가지며 내식성이 강한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프레임(516)은 제1 조정홈(516a) 및 제1 수용홈(516b)을 포함한다.
제1 조정홈(516a)은 제1 프레임(516)의 일단에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을 포함한다. 제1 조정홈(516a)은 제2 조정홈(526a)과 서로 결합되어 원추(cone)형상을 형성한다. 즉, 제1 조정홈(516a)은 조정 부재(53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그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형상을 가진다.
제1 수용홈(516b)은 락킹 부재(350)의 제2 락킹 블록(354)의 일단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에서 내부로 오목하고 각지게 형성된다..
제2 프레임(526)은 제1 프레임(516)과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프레임(526)은 인체에 무해하며 소독이 가능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레임(526)은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외에, 강성을 가지며 내식성이 강한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프레임(526)은 제2 조정홈(526a) 및 제2 수용홈(526b)을 포함한다.
제2 조정홈(526a)은 제2 프레임(526)의 일단에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을 포함한다. 제2 조정홈(526a)은 제1 조정홈(516a)과 서로 결합되어 원추(cone)형상을 형성한다. 즉, 제2 조정홈(526a)은 조정 부재(53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그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형상을 가진다.
제2 수용홈(526b)은 락킹 부재(350)의 제2 락킹 블록(354)의 타단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에서 내부로 오목하고 각지게 형성된다.
조정 부재(530)는 제1 조정홈(516a)과 제2 조정홈(526a) 사이에 배치되며, 쐐기 형상으로 마련된다.
조정 부재(530)는 삽입홈(530a), 락킹홈(530b) 및 조정 나사산(532)을 포함하고,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외에, 강성을 가지며 내식성이 강한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홈(530a)은 의료용 드라이버나 렌치 등의 다양한 도구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조정 부재(330)의 일측으로부터 내부로 오목하고 각지게 형성된다.
삽입홈(530a)에 의료용 드라이버나 렌치 등의 도구가 삽입되어 토크가 가해지면, 조정 부재(530)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조정 부재(530)가 회전하게 되고, 조정 부재(530)가 회전하면, 조정 부재(530)와 나사 결합된 제1 프레임(516)과 제2 프레임(526)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각각 제1 프레임(516)과 제2 프레임(526)을 이동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홈(530a)의 형상을 사각 형상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삽입홈(530a)의 형상은 사각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 형상 이외에 원형, 타원형, 다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락킹홈(530b)은 의료용 드라이버나 렌치 등 다양한 도구가 삽입 가능하도록 타원형 또는 다각 형상으로 마련된다. 또한, 락킹홈(530b)에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된다. 나사산(미도시)에는 고정 나사(358)의 나사산(358c)이 결합될 수 있다.
조정 나사산(532)은 조정 부재(530)의 외주면에 마련되며, 제1 조정홈(516a)과 제2 조정홈(526a)에 각각 나사 결합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프레임(516)과 제2 프레임(526)의 간격이 조정되고, 락킹 부재(350)를 통해 제1 프레임(516)과 제2 프레임(526)이 락킹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면, 의료용 드라이버나 렌치 등의 도구(미도시)가 조정 부재(530)의 삽입홈(530a)에 삽입되어 토크가 가해지면, 조정 조정 나사산(532)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조정 부재(530)가 제1 프레임(516)과 제2 프레임(526)의 심층부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1 프레임(516)과 제2 프레임(526)의 사이가 벌어지면서, 제1 프레임(516)은 제1 방향(a)으로 이동하고, 제2 프레임(526)은 제2 방향(b)으로 이동하여 제1 프레임(516)과 제2 프레임(526) 사이의 간격이 증가한다.
제1 프레임(516)과 제2 프레임(526)이 충분히 이격된 상태에서, 제1 프레임(516)과 제2 프레임(526) 및 삽입홈(530a)에 락킹 부재(350)가 결합되고, 고정 나사(358)가 제1 락킹 블록(352)의 제1 관통홀(352b) 및 제2 락킹 블록(354)의 제2 관통홀(354b)를 통과하여 고정나사(358)의 나사산(358c)이 락킹홈(530b)의 나사산(미도시)에 결합되면, 제1 프레임(516)과 제2 프레임(526)의 제1 방향(a) 또는 제2 방향(b)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제1 프레임(516)과 제2 프레임(526)은 락킹될 수 있다.
이 후, 극돌기들(S1, S2)의 상태에 따라 제1 프레임(516)과 제2 프레임(526) 사이의 간격 조정이 필요할 경우, 삽입홈(530a)에 삽입되어 고정된 락킹부재(350)를 분리한 후, 의료용 드라이버나 렌치 등의 도구를 통해 조정 부재(530)를 회전시켜 제1 프레임(516)과 제2 프레임(526)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100, 200, 300, 400, 500)는 압력 센서(미도시)와 통신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극돌기들 사이에 삽입된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100, 200, 300, 400, 500)의 압력을 센싱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압력 센서와 전자기적으로 연결되고, 압력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적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의 서버나 사용자 단말기 등의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500: 척추간 삽입체
110: 제1 지지 부재
116, 216, 316, 416, 516: 제1 프레임
120: 제2 지지 부재
126, 226, 326, 426, 526: 제2 프레임
130, 230, 330, 430, 530: 조정 부재
350: 락킹 부재

Claims (7)

  1. 서로 인접한 극돌기들 사이에 삽입되는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인접한 극돌기들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제1 지지 몸체와, 상기 제1 지지 몸체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돌출 가능한 복수의 제1 지지 돌기를 가지는 제1 지지 부재;
    상기 서로 인접한 극돌기들 중 다른 하나를 지지하는 제2 지지 몸체와, 상기 제2 지지 몸체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돌출 가능한 복수의 제2 지지 돌기를 가지는 제2 지지 부재; 와,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조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몸체는, 상기 제1 지지 몸체에 가해진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돌기가 상기 제1 지지 몸체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제1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돌기 사이에 어느 하나의 극돌기와 접촉되는 제1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지지 몸체는, 상기 제2 지지 몸체에 가해진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돌기가 상기 제2 지지 몸체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제2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돌기 사이에 다른 하나의 극돌기와 접촉되는 제2 접촉면을 형성하는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가 가압되면,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가 서로 포개어져 함께 유선형의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몸체 내부에 결합되는 제1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지지 몸체 내부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각각 연결되는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조정 부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그 내부가 중공된 형상을 가지는 척추간 삽입체.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락킹 부재를 더 포함하는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조정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조정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척추간 삽입체.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몸체와 상기 제2 지지 몸체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
KR1020230001302A 2020-05-07 2023-01-04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 KR102612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1302A KR102612478B1 (ko) 2020-05-07 2023-01-04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
KR1020230175543A KR20230169917A (ko) 2020-05-07 2023-12-06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196A KR102490198B1 (ko) 2020-05-07 2020-05-07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
KR1020230001302A KR102612478B1 (ko) 2020-05-07 2023-01-04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196A Division KR102490198B1 (ko) 2020-05-07 2020-05-07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5543A Division KR20230169917A (ko) 2020-05-07 2023-12-06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786A true KR20230010786A (ko) 2023-01-19
KR102612478B1 KR102612478B1 (ko) 2023-12-08

Family

ID=7846824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196A KR102490198B1 (ko) 2020-05-07 2020-05-07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
KR1020230001302A KR102612478B1 (ko) 2020-05-07 2023-01-04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
KR1020230175543A KR20230169917A (ko) 2020-05-07 2023-12-06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196A KR102490198B1 (ko) 2020-05-07 2020-05-07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5543A KR20230169917A (ko) 2020-05-07 2023-12-06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57733A1 (ko)
KR (3) KR102490198B1 (ko)
WO (1) WO20212253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6940A1 (en) * 2022-04-07 2023-10-12 Linares Spinal Devices, Llc Expandable worm screw jack for installation between upper and lower succeeding articular processes and having enhanced bone gripping geometry and teeth profile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6244A1 (en) * 2000-08-30 2002-02-28 Trieu Hai H. Intervertebral disc nucleus implants and methods
US20050261768A1 (en) * 2004-05-21 2005-11-24 Trieu Hai H Interspinous spacer
JP4860691B2 (ja) * 2005-04-21 2012-01-25 グローバス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伸張可能な脊椎プロテーゼ
US20120253395A1 (en) * 2008-10-23 2012-10-04 Linares Medical Devices, Llc Two piece spinal jack incorporating varying mechanical and fluidic lift mechanisms for establishing a desired spacing between succeeding vertebrae
KR20140077183A (ko) * 2011-09-23 2014-06-23 오르소센서 척추 하중 및 위치 감지용 시스템 및 방법
KR101661635B1 (ko) 2015-02-06 2016-09-30 이상호 척추간 삽입체
WO2020070697A1 (en) * 2018-10-04 2020-04-09 G & G S.R.L. Improved interlaminar-type intervertebral suppor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8630A (en) * 1997-01-02 2000-05-30 St. Francis Medical Technologies, Inc. Spine distraction implant
US7776091B2 (en) * 2004-06-30 2010-08-17 Depuy Spine, Inc. Adjustable posterior spinal column positioner
WO2008065450A1 (en) * 2006-11-29 2008-06-05 Surgicraft Limited Orthopaedic implants and prostheses
DE102007052042A1 (de) * 2007-10-30 2009-05-14 Kilian Kraus Höhenverstellbares Wirbelsäulenimplantat
KR101010306B1 (ko) * 2010-02-01 2011-01-25 장웅규 척추체 대체장치
KR101719290B1 (ko) * 2015-02-24 2017-04-04 (주)티디엠 다기능 척추 고정용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6244A1 (en) * 2000-08-30 2002-02-28 Trieu Hai H. Intervertebral disc nucleus implants and methods
US20050261768A1 (en) * 2004-05-21 2005-11-24 Trieu Hai H Interspinous spacer
JP4860691B2 (ja) * 2005-04-21 2012-01-25 グローバス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伸張可能な脊椎プロテーゼ
US20120253395A1 (en) * 2008-10-23 2012-10-04 Linares Medical Devices, Llc Two piece spinal jack incorporating varying mechanical and fluidic lift mechanisms for establishing a desired spacing between succeeding vertebrae
KR20140077183A (ko) * 2011-09-23 2014-06-23 오르소센서 척추 하중 및 위치 감지용 시스템 및 방법
KR101661635B1 (ko) 2015-02-06 2016-09-30 이상호 척추간 삽입체
WO2020070697A1 (en) * 2018-10-04 2020-04-09 G & G S.R.L. Improved interlaminar-type intervertebral suppor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0198B1 (ko) 2023-01-19
KR20230169917A (ko) 2023-12-18
KR102612478B1 (ko) 2023-12-08
KR20210136243A (ko) 2021-11-17
WO2021225374A1 (ko) 2021-11-11
US20230157733A1 (en)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8464B2 (ja) 平板固定システム及び方法
AU2004216131B2 (en) Adjustable rod and connector device and method of use
US10945770B2 (en) Surgical band clamp system
JP4441407B2 (ja) 複数ロッドの骨取り付け部材
ES2354443T3 (es) Sistema que permite posicionar un elemento de conexión adyacentes a la columna vertebral en procedimientos poco invasivos.
JP6072012B2 (ja) 椎骨整列特徴を含む低侵襲的脊椎固定システム
US10070895B2 (en) Dual tulip assembly
ES2424040T3 (es) Elemento de fijación ósea dinámica
US9427263B2 (en) Device for fixing a bony structure to a support member
TWI649064B (zh) 用於穩定骨節段手術之裝置及其延長組件
US20070093832A1 (en) Spring-loaded, load sharing polyaxial pedicle screw assembly and method
US11653954B2 (en) Bone anchor
EP2184023A1 (en) A surgical tool for tensionning a flexible member
KR101037206B1 (ko) 척추 임플란트 보조 나사못 및 그 삽입기구
EP3406212B1 (en) Spinal distraction system
KR20230169917A (ko) 내시경용 척추간 삽입체
US11154338B2 (en) Bone fix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624684B2 (en) Spinal fixation holding device and spinal fixation system having the same
US9468470B2 (en) Anchor for attachment to a bony structure
US20210015523A1 (en) Rib Fixa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s
EP3193755B1 (en) Fusion systems of assembly and use
JP2009535090A (ja) 開放型背部調整連結装置
US10405895B2 (en) Device for supporting a spinal column and for spreading two adjacent ribs
US20100070034A1 (en) Cervical intra-lamina fusion implant device and method
JP6856669B2 (ja) 脊椎固定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脊椎固定具用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