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0340A -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 - Google Patents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0340A
KR20230010340A KR1020210090768A KR20210090768A KR20230010340A KR 20230010340 A KR20230010340 A KR 20230010340A KR 1020210090768 A KR1020210090768 A KR 1020210090768A KR 20210090768 A KR20210090768 A KR 20210090768A KR 20230010340 A KR20230010340 A KR 20230010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jig
fixing
axis
multip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0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8418B1 (ko
Inventor
류호형
Original Assignee
(주) 탑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탑텍스 filed Critical (주) 탑텍스
Priority to KR1020210090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418B1/ko
Publication of KR20230010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0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6Liftable or lowerable drill heads or headstocks; Balanc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8Drill jigs for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 B23Q3/064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for holding elongated workpieces, e.g. pip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에 관한 것으로서, 다축으로 형성되어 다수 개의 드릴이 장착될 수 있고 수직으로 하강되어 피가공물에 홀을 가공하는 가공유닛과, 상기 가공유닛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가공물의 하부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단지그와, 상기 하단지그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가공물의 배면 및 양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중단지그와, 상기 중단지그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가공물의 상부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단지그와, 상기 하단지그, 상기 중단지그, 상기 상단지그를 서로 평행한 상태로 연결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Multi-axis drilling machine to drill multiple hole at the same time by fixing long workpiece}
본 발명은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가공물의 길이에 관계없이 고정이 가능하고 홀 가공 부위를 한 번에 수행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르방은 드릴로 구멍을 뚫는 공작기계인 드릴링머신을 의미하며, 드릴링머신은 회전하는 주축에 드릴 등 절삭공구를 장치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공작물에 구멍을 뚫거나 리밍보링, 나사내기 등을 할 수 있는 장치다.
이러한 보르방은 작업대 위에 피가공물을 놓고 주축 끝에 드릴을 장치하여 기어식 모터로 회전시키면서 레버로 상하운동을 시켜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르방은 드릴이 하나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가공물을 작업대에 올린 후 드릴링하는 위치에 맞추고 레버를 이용하여 드릴을 하강시킴으로써 피가공물에 드릴링 작업이 가능해진다.
이때 피가공물에 홀 가공이 진행되면서 드릴의 회전에 의해 피가공물의 위치가 틀어지면서 가공불량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피가공물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필요성이 있다.
종래의 보르방의 경우 대부분 길이가 짧게 형성된 피가공물을 가공하기 때문에 고정시키는데 큰 문제점이 없었으나, 길이가 긴 형상의 피가공물을 작업대에 세워서 작업하는 경우 작업대에 고정된 부위와 드릴이 가공되는 부분의 길이 차이로 인해 가공부위가 흔들리면서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보르방은 하나의 드릴을 이용하여 각각의 가공 부위를 순차적으로 드릴링 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가공부위에 맞춰 드릴 또는 피가공물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87033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세워서 드릴링할 때 피가공물을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가공시 불량이 발생되지 않아 정밀 가공이 가능한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 개의 드릴을 이용하여 피가공물의 홀 가공 부위에 동시에 홀 가공이 진행되도록 하여 한번 동작으로 홀 가공이 완료될 수 있는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가공물이 쉽게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은 다축으로 형성되어 다수 개의 드릴이 장착될 수 있고 수직으로 하강되어 피가공물에 홀을 가공하는 가공유닛과, 상기 가공유닛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가공물의 하부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단지그와, 상기 하단지그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가공물의 배면 및 양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중단지그와, 상기 중단지그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가공물의 상부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단지그와, 상기 하단지그, 상기 중단지그, 상기 상단지그를 서로 평행한 상태로 연결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의 상기 상단지그는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피가공물이 장착 또는 분리될 때는 상부로 이동되어 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피가공물이 가공될 때는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피가공물의 상부면을 상기 안착홈에 의해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의 상기 상단지그는 상기 드릴이 삽입되는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해 다수 개의 부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의 상기 가이드봉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상단지그가 상승되는 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형성되는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단지그가 하강되는 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형성되는 지지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의 상기 상단지그 및 상기 중단지그는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어 상기 피가공물의 길이에 맞춰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의 상기 하단지그, 상기 중단지그, 상기 상단지그는 장착되는 피가공물의 형상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에 의하면,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세워서 드릴링할 때 피가공물을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가공시 불량이 발생되지 않아 정밀 가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에 의하면, 다수 개의 드릴을 이용하여 피가공물의 홀 가공 부위에 동시에 홀 가공이 진행되도록 하여 한번 동작으로 홀 가공이 완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에 의하면, 피가공물이 쉽게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을 통해 홀가공되는 피가공물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이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의 상단지그 저면을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의 상단지그가 상승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에 피가공물이 안착되고 상단지그가 하강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가공물의 길이에 관계없이 고정이 가능하고 홀 가공 부위를 한 번에 수행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가 긴 피가공물(10)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가 긴 피가공물(10)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을 통해 홀가공되는 피가공물(10)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가 긴 피가공물(10)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이 피가공물(10)을 가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가 긴 피가공물(10)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의 상단지그(400) 저면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길이가 긴 피가공물(10)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은 다축으로 형성되어 다수 개의 드릴(110)이 장착될 수 있고 수직으로 하강되어 피가공물(10)에 홀을 가공하는 가공유닛(100)과, 가공유닛(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피가공물(10)의 하부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단지그(200)와, 하단지그(200)의 상부에 형성되며 피가공물(10)의 배면 및 양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중단지그(300)와, 중단지그(300)의 상부에 형성되며 피가공물(10)의 상부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안착홈(420)이 형성되어 있는 상단지그(400)와, 하단지그(200), 중단지그(300), 상단지그(400)를 서로 평행한 상태로 연결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봉(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단지그(400)는 드릴(110)이 삽입되는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해 다수 개의 부싱(41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단지그(400) 및 중단지그(300)는 가이드봉(500)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어 피가공물(10)의 길이에 맞춰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공유닛(100)은 하부에는 다수 개의 드릴(110)이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하나의 구동부를 통해 다수 개의 드릴(110)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공유닛(100)은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에 위치된 피가공물(10)을 향해 하강되어 회전되는 다수 개의 드릴(110)에 의해 피가공물(10)에 홀을 가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가공유닛(100)은 작업자가 레버를 회전시켜 수동으로 하강시킬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승강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가공유닛(100)의 하부에는 피가공물(10)을 고정시키기 위해 하단지그(200), 중단지그(300), 상단지그(400)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지그는 가이드봉(50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평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하단지그(200)는 피가공물(10)의 하부면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가공유닛(100)의 작업대 또는 프레임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고 가공유닛(100)의 드릴(110) 위치에 맞춰 피가공물(10)이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하단지그(200)의 상부면에는 피가공물(10)의 하부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피가공물(10)의 하부면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고 하단지그(200)의 내측으로 파여지는 삽입홈(22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피가공물(10)을 보다 쉽게 삽입홈(220)으로 삽입시키고, 피가공물(10)의 상부면이 상단지그(400)를 밀어내었을 때 발생하는 가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하단지그(200)의 상부면에는 전면에서 삽입홈(220)까지 삽입홈(220)의 깊이보다 적게 파여지는 가이드홈(210)이 마련되게 된다.
하단지그(200)의 상부면에 피가공물(10)을 위치시키면 피가공물(10)의 상부면이 상단지그(400)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내게 되는데, 상단지그(400)와 하단지그(200) 사이의 길이보다 피가공물(10)의 길이가 긴 경우 피가공물(10)이 삽입홈(220)까지 삽입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하단지그(200)의 상부면보다 내측으로 파여지는 가이드홈(210)을 형성시킴으로써 피가공물(10)이 삽입홈(220) 방면으로 삽입될 때 상단지그(400)와 하단지그(200) 사이의 길이보다 피가공물(10)의 길이가 길더라도 가이드홈(210)에 의한 유격이 발생하여 쉽게 삽입홈(220)에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삽입홈(220)은 피가공물(10)보다 내측으로 파여지는 깊이가 깊기 때문에 피가공물(10)이 삽입홈(220)에 삽입되면 피가공물(10)의 하부면 및 가장자리가 삽입홈(220)에 구속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중단지그(300)는 하단지그(200)의 삽입홈(220)에 삽입된 피가공물(10)의 중단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전면 중앙에 피가공물(10)이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지지홈(310)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에는 돌출단(320)이 형성되어 있어 피가공물(10)의 배면과 양측면과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단지그(400)는 피가공물(10)의 상부면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가이드봉(500)을 따라 상하로 승강될 수 있어 피가공물(10)이 삽입될 때는 피가공물(10)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피가공물(10)에 삽입홈(220)에 삽입되면 중력에 의해 하강되어 피가공물(10)이 삽입홈(220) 방면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단지그(400)의 무게에 의해 피가공물(10)은 하부면은 삽입홈(220) 내부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단지그(400)의 하부면에는 안착홈(420)이 형성되어 있어 피가공물(10)의 상부면이 안착홈(420)에 삽입될 수 있게 되며, 안착홈(420)을 통해 상단지그(400)가 하부 방향으로 하중을 가할 때 피가공물(10)의 상부면이 기울어지지 않고 수직방향으로만 하중이 가해져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단지그(400)에는 드릴(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홀에는 부싱(410)이 장착되어 있어 드릴(110)이 삽입되면서 상단지그(400)의 홀 내측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단지그(400)에 형성된 홀은 피가공물(10)의 홀 가공위치와 일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싱(410)의 내경은 드릴(110)의 외경보다 0.2mm 이상 크게 형성하여 드릴(110)이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유격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드릴(110)의 중심축과 부싱(410)의 중심축이 일치되지 않은 경우 드릴(110)에 의한 부싱(41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스틸 재질을 열처리하여 기계적 물성치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싱(410)에 의해 드릴(110)이 삽입되는 위치를 가이드하면서 피가공물(10)의 홀 가공위치에 드릴(110)이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어 정밀가공이 가능해진다.
가이드봉(500)은 다수 개가 하단지그(200), 중단지그(300), 상단지그(4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도 1과 같이 3개가 삼각형 형태로 배치되거나 4개가 사각형 형태로 배치되어 하단지그(200), 중단지그(300), 상단지그(400)가 평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가이드봉(500)의 하단은 하단지그(200)에 볼트 결합되어 고정되게 되고, 중단지그(300)와 상단지그(400)는 각각 가이드봉(500)의 중단과 상단에 위치되어 가이드봉(500)을 따라 상하로 승강될 수 있게 된다.
중단지그(300)의 경우 피가공물(10)의 길이에 맞춰 상하로 슬라이딩된 후 피가공물(10)의 중단위치에 고정되게 되며,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된 홀을 통해 볼트를 삽입하여 가이드봉(500)을 가압함으로써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단지그(400)는 가이드봉(500)의 상단에서 자유롭게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피가공물(10)이 삽입될 때 가이드봉(500)의 상단으로 이탈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봉(500)의 상단에는 고정단(510)이 형성되게 된다.
고정단(510)을 통해 상단지그(400)는 가이드봉(5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상부로 이동되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게 되며, 피가공물(10)이 삽입홈(220)에 삽입되면 중력에 의해 하강되면서 피가공물(10)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단지그(200), 중단지그(300), 상단지그(400)는 장착되는 피가공물(10)의 형상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단지그(200)에 형성된 삽입홈(220), 중단지그(300)에 형성된 지지홈(310), 상단지그(400)에 형성된 안착홈(420)은 피가공물(10)의 크기, 형태, 모양, 모델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특정 피가공물(10)에 따라 하단지그(200), 중단지그(300), 상단지그(400)를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보다 빠른 교체를 위해 삽입홈(220), 지지홈(310), 안착홈(420)이 형성된 부분만 부분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모듈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가이드봉(500)으로부터 각 지그를 분리하지 않고 다양한 피가공물(10)을 가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피가공물(10)이 교체됨에 따라 가공유닛(100)에 형성된 드릴(110)의 위치와 상단지그(400)에 형성된 부싱(410)의 위치도 수평방면으로 가변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부싱(410)의 경우 상단지그(400)에 상부면에서 수평방향을 따라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되는 관통 홀을 형성한 후 홀을 따라 부싱(410)이 이동되면서 피가공물(10)의 홀 가공 위치에 맞춰 부싱(410)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게 된다.
가공유닛(100)의 드릴(110) 위치도 부싱(410)과 동일하게 수평방면으로 이동되는 홈을 형성한 후 홈을 따라 드릴(110)이 이동되도록 하여 다양한 가공 위치에 맞게 드릴(110)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가 긴 피가공물(10)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의 상단지그(400)가 상승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가 긴 피가공물(10)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에 피가공물(10)이 안착되고 상단지그(400)가 하강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길이가 긴 피가공물(10)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의 상단지그(400)는 가이드봉(50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피가공물(10)이 장착 또는 분리될 때는 상부로 이동되어 공간을 마련하고, 피가공물(10)이 가공될 때는 하부로 이동되어 피가공물(10)의 상부면을 안착홈(420)에 의해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봉(500)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단지그(400)가 상승되는 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형성되는 고정단(510)과, 고정단(5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단지그(400)가 하강되는 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형성되는 지지단(5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봉(500)의 상단에는 상단지그(400)가 승강되는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고정단(510)과 지지단(520)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단(520)은 고정단(510)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단지그(400)는 고정단(510)과 지지단(520)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단(510)과 지지단(520) 사이의 거리만큼 자유롭게 슬라이딩되면서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피가공물(10)이 상단지그(400)와 하단지그(200) 사이로 피가공물(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여유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피가공물(10)이 삽입될 때 도 5와 같이 상단지그(400)는 상부 방면으로 이동되어 상단지그(400)와 하단지그(200) 사이로 피가공물(10)이 쉽게 삽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게 되며, 피가공물(10)의 하부면이 도 1의 삽입홈(220)에 삽입되면 상단지그(400)가 하강되면서 피가공물(10)의 상부면이 도 4의 안착홈(420)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단지그(400)가 하강되면서 상단지그(400)의 무게에 의해 피가공물(10)은 수직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단지그(400)와 하단지그(200) 사이에 고정될 수 있게 되며, 중단지그(300)에 의해 피가공물(10)은 양측면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단지그(400)가 승강함에 따라 상단지그(400)에서 하단지그(200)까지의 거리가 피가공물(10)의 길이보다 더 길어지게 되므로 피가공물(10)을 쉽게 삽입하거나 꺼낼 수 있게 되며, 별도의 척을 이용하여 고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지지단(520)과 고정단(510)의 위치는 피가공물(10)의 길이에 따라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가이드봉(500) 외면에 피가공물(10)의 모델에 따라 정해진 높이에 위치되도록 스토퍼홈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쉽게 높낮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고정단(510), 지지단(520)은 측면에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볼트가 삽입되면서 가이드봉(50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피가공물(10)이 상단지그(400)와 하단지그(200)에 안착된 상태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단지그(200)의 삽입홈(220)과 상단지그(400)의 안착홈(420)에는 가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다수 개의 압력센서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력센서는 피가공물(10)이 안착홈(420)과 삽입홈(220)에 삽입된 상태를 압력을 통해 수치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며, 다수 개의 분산되어 배치됨에 따라 특정 위치의 압력이 증가되는 것을 감지하여 삽입된 상태가 불량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피가공물(10)이 상단지그(400)와 하단지그(200) 사이에 삽입될 때 드릴링을 통해 발생한 칩이 유입되어 피가공지그의 한쪽이 기울어진 경우 상단지그(400)가 하강되면서 가압하는 압력이 불균일하게 측정되므로 작업자가 이를 확인하여 피가공물(10)을 정상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단(510)의 하부면은 자석이 형성되어 있어 상단지그(400)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단지그(400)를 자기력에 의해 상승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되며, 상단지그(400)가 상부 방향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피가공물(10)을 쉽게 삽입하거나 빼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단(520)의 상부면에도 자석을 형성시켜 상단지그(400)가 하강되었을 때 지지단(520)과 자기력에 의해 결합되어 피가공물(10)을 가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피가공물(10)에 홀 가공 될 때 진동에 의해 상단지그(400)가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에 의하면,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세워서 드릴링할 때 피가공물을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가공시 불량이 발생되지 않아 정밀 가공이 가능하고, 다수 개의 드릴을 이용하여 피가공물의 홀 가공 부위에 동시에 홀 가공이 진행되도록 하여 한번 동작으로 홀 가공이 완료될 수 있으며, 피가공물이 쉽게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피가공물 100 : 가공유닛
110 : 드릴 200 : 하단지그
210 : 가이드홈 220 : 삽입홈
300 : 중단지그 310 : 지지홈
320 : 돌출단 400 : 상단지그
410 : 부싱 420 : 안착홈
500 : 가이드봉 510 : 고정단
520 : 지지단

Claims (6)

  1. 다축으로 형성되어 다수 개의 드릴이 장착될 수 있고 수직으로 하강되어 피가공물에 홀을 가공하는 가공유닛과;
    상기 가공유닛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가공물의 하부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단지그와;
    상기 하단지그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가공물의 배면 및 양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중단지그와;
    상기 중단지그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가공물의 상부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단지그와;
    상기 하단지그, 상기 중단지그, 상기 상단지그를 서로 평행한 상태로 연결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지그는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피가공물이 장착 또는 분리될 때는 상부로 이동되어 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피가공물이 가공될 때는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피가공물의 상부면을 상기 안착홈에 의해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지그는
    상기 드릴이 삽입되는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해 다수 개의 부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상단지그가 상승되는 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형성되는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단지그가 하강되는 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형성되는 지지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지그 및 상기 중단지그는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어 상기 피가공물의 길이에 맞춰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지그, 상기 중단지그, 상기 상단지그는 장착되는 피가공물의 형상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
KR1020210090768A 2021-07-12 2021-07-12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 KR102528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768A KR102528418B1 (ko) 2021-07-12 2021-07-12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768A KR102528418B1 (ko) 2021-07-12 2021-07-12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340A true KR20230010340A (ko) 2023-01-19
KR102528418B1 KR102528418B1 (ko) 2023-05-03

Family

ID=85078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768A KR102528418B1 (ko) 2021-07-12 2021-07-12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41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345U (ko) * 1995-07-25 1997-02-19 자동차의 시트벨트 풀림방지장치
KR200287033Y1 (ko) 2002-05-14 2002-08-30 서재선 탁상 드릴링머신의 작업대 승강장치
KR200351493Y1 (ko) * 2004-02-20 2004-05-24 대륙프랜지공업(주) 플랜지용 자동드릴머신
KR20080100107A (ko) * 2007-05-11 2008-11-14 백문현 드릴스탠드
CN107414119A (zh) * 2017-06-07 2017-12-01 周梅 一种弹性夹紧钻孔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345U (ko) * 1995-07-25 1997-02-19 자동차의 시트벨트 풀림방지장치
KR200287033Y1 (ko) 2002-05-14 2002-08-30 서재선 탁상 드릴링머신의 작업대 승강장치
KR200351493Y1 (ko) * 2004-02-20 2004-05-24 대륙프랜지공업(주) 플랜지용 자동드릴머신
KR20080100107A (ko) * 2007-05-11 2008-11-14 백문현 드릴스탠드
CN107414119A (zh) * 2017-06-07 2017-12-01 周梅 一种弹性夹紧钻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8418B1 (ko)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342590U (zh) 一种液压缸头的车用夹具
CN210080759U (zh) 打孔台钻
KR101934947B1 (ko) 다축 홀 가공장치
KR20180022132A (ko) 드릴 가공 장치
CN106141204A (zh) 一种电磁阀阀体端面车削加工机床
KR100768940B1 (ko) 열교환기용 시트 플레이트 가공을 위한 드릴링 머신
CN111570840A (zh) 立卧一体式钻孔装置
CN108145510B (zh) 一种四工序双工位双推料开料机
KR102528418B1 (ko) 길이가 긴 피가공물을 고정시켜 다수 개의 홀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축 보르방
KR101928710B1 (ko) 서포트 브래킷용 지그
CN102626880B (zh) 工件加工工装
JP2012166292A (ja) 多軸ボール盤における各刃具の軸方向位置揃え方法、多軸ボール盤における各刃具の軸方向位置揃え部材、及び多軸ボール盤における各刃具の軸方向位置揃え装置
JP5393846B2 (ja) ワークの張出し部分をクランプするクランプ装置を具備する工作機械
CN208051058U (zh) 一种螺旋锥齿轮加工装置
JP5435169B1 (ja) 工作機械
KR100657991B1 (ko) 자동선반
KR101928711B1 (ko) 샤프트 피니온용 지그
CN106002394A (zh) 一种飞轮壳精加工辅助定位装置
KR20170091807A (ko) 금속 제품의 자동 가공 장치
CN210731090U (zh) 一种旋转型快捷钻孔工装
CN205363370U (zh) 一种飞轮壳精加工辅助定位装置
CN211438180U (zh) 立卧一体式钻孔装置
CN211438179U (zh) 立式钻孔机的主轴箱、立式钻孔机及立卧一体式钻孔机
CN216138149U (zh) 一种单臂深孔加工定位结构
CN216228596U (zh) 用于复合加工光学元件的切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