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0102A -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0102A
KR20230010102A KR1020210089849A KR20210089849A KR20230010102A KR 20230010102 A KR20230010102 A KR 20230010102A KR 1020210089849 A KR1020210089849 A KR 1020210089849A KR 20210089849 A KR20210089849 A KR 20210089849A KR 20230010102 A KR20230010102 A KR 20230010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ated carbon
weight
oxide
adsorben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3454B1 (ko
Inventor
최현수
민준석
신동일
이기응
윤태진
진찬언
김종근
오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프로에이치엔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프로에이치엔,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프로에이치엔
Priority to KR1020210089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454B1/ko
Publication of KR20230010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0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2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B01J20/04
    • B01J20/0233Compounds of Cu, Ag, A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2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B01J20/04
    • B01J20/0233Compounds of Cu, Ag, Au
    • B01J20/0237Compounds of C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0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used for impregnation or coating
    • B01J20/3204Inorgan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34Inorganic material layers
    • B01J20/3236Inorganic material layers containing metal, other than zeolites, e.g. oxides, hydroxides, sulphides or sa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30Sulfur compounds
    • B01D2257/304Hydrogen sulf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30Sulfur compounds
    • B01D2257/306Organic sulfur compounds, e.g. mercapt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는 활성탄 및 활성탄에 담지된 구리 산화물을 포함한다.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는 구리 산화물을 활성탄 100중량부 기준 2 내지 6중량부로 포함한다. 이에 따라, 유해 가스에 대한 흡착 용량 및 흡착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 및 이의 제조 방법{ADSORBENT FOR REMOVAL OF HAZARDOUS GAS AND METHODE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활성탄을 포함하는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황화합물 및 알데히드 등의 유무기 유해 가스는 환경 오염을 야기하고 인체의 호흡기, 신경계, 안구 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유해 가스 제거를 위해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 제거 설비가 설치 및 운용되고 있으나, 이로써 모든 유무기 유해 가스를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특히, 메틸머캅탄, 황화수소, 다이메틸 설파이드, 다이메틸 다이 설파이드와 같이 악취를 유발하는 황화합물은 분자 크기가 매우 작아 물리적 제거에 한계가 있다.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온의 열에너지를 이용한 제거 방식, 플라즈마를 이용한 분해 및 전기를 통한 집진 방식이 알려져 있다.
열에너지를 이용하는 방법은 고온의 열원으로 가스를 태워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대상 가스의 분해온도 이상의 온도가 필요해 가열을 위한 공정 비용이 높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촉매를 적용하는데, 공정 온도를 낮추고 선택적으로 가스를 제거할 수 있다. 높은 공정 효율을 위해서는 촉매의 성능과 수명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촉매는 피독에 취약하며, 파손에 의해 공정 내 차압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고농도의 가스 제거에는 적합하나, 저농도에서는 높은 효율을 얻기 어렵다. 오염물질을 상온에서 제거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촉매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공정의 크기가 증가할 필요가 있다. 반응 후 생성물에 따른 부산물도 존재할 수 있으며, 이를 제거하기 위한 추가 설비가 필요해 설비가 거대화된다.
플라즈마 방식은 플라즈마를 통해 유해 가스를 원자 단위까지 분해한다. 그러나, 플라즈마를 발생 및 유지시키기 위한 조건이 까다로워 운용 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원자 단위까지 분해된 후 오염 물질이 재결합을 통해 제3의 오염물질을 생성시킬 수 있으며, 반응 후 오존이 발생하여 추가적인 제거 설비가 필요하다.
전기 집진 방식은 전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공정 유지를 위한 비용이 높다. 유기물이나 먼지가 집진 되었을 때 정전기나 스파크에 의한 폭발 위험도 존재한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2068184호에는 탄소계 코어 및 흡착성 쉘을 포함하는 흡착제가 개시되어 있으나, 유해 가스 제거 효율을 증가시키고 운용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2068184호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우수한 제거 성능을 갖는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우수한 제거 성능을 갖는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1. 활성탄; 및 상기 활성탄에 담지된 구리 산화물을 포함하며, 상기 구리 산화물은 상기 활성탄 100중량부 기준 2 내지 6중량부 포함되는,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
2. 위 1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중량부의 은 산화물을 더 포함하는,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
3. 위 1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 100중량부에 3 내지 9 중량부의 유기산을 더 포함하는,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
4. 위 1에 있어서, 상기 유해 가스는 메틸 머캅탄(methyl mercaptan), 황화수소, 다이메틸 설파이드(dimethyl sulfide), 다이메틸 다이설파이드(dimethyl disulfide)인,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
5. 구리 산화물을 포함하는 첨착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첨착 조성물로 활성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6중량부의 구리 산화물을 첨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의 제조 방법
6. 위 5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은 100중량부 기준 0.1 내지 1중량부의 은 산화물이 첨착되는,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의 제조 방법.
7. 위 5에 있어서, 상기 첨착 조성물은 유기산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첨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유기산에 의해 상기 활성탄이 산 처리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의 제조 방법.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흡착제는 소정 량의 구리 산화물이 담지된 활성탄을 포함한다. 유해 가스(예를 들면, 메틸 머캅탄, 황화수소, 다이메틸 설파이드, 다이메틸 다이 설파이드)를 고효율로 제거할 수 있다.
흡착제는 은 산화물을 포함하여 유해 가스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산 처리된 흡착제는 더욱 향상된 유해가스 제거 효율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리 산화물이 담지된 활성탄을 포함하는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를 제공한다. 상기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는 유해가스에 대한 제거 효율이 우수하다.
상기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이하, '흡착제'로 약칭될 수 있음)는 유해 가스를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적 제거는 상기 유해 가스의 유해 성분에 대한 화학적 흡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적 제거는 상기 유해 가스에 대한 산화 반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해 가스는 무기 유해 가스 및 유기 유해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해 가스는 악취 유발 가스 및 독성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무기 유해 가스는 메틸 머캅탄(methyl mercaptan), 황화수소, 다이메틸 설파이드(dimethyl sulfide), 다이메틸 다이설파이드(dimethyl disulfid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해 가스는 물(H2O)로 산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가 산화 반응을 통해 상기 황화 수소 및 이에 포함된 황을 화학적으로 흡착(제거)시킬 수 있다. 상기 화학적 흡착은 예를 들면, 공유 결합을 형성하여 물리적 흡착에 비하여 우수한 고정력을 가질 수 있다.
활성탄은 입자 내부에 기공을 포함하여 넓은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활성탄은 상기 유해 가스를 물리적으로 흡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활성탄은 반데르발스 결합을 통해 상기 유해 가스를 흡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의 입경은 약 0.3 내지 4.75mm일 수 있다. 상기 입경 범위에서 유해 가스에 대한 제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활성탄의 입경은 약 1.7 내지 2.36mm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활성탄은 야자계 활성탄, 석탄계 활성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탄은 입상, 구형 또는 펠렛 형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활성탄은 야자계일 수 있다
상기 활성탄은 후술하는 구리(Cu) 산화물 및/또는 은(Ag) 산화물이 담지되어 첨착 활성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리 산화물은 타 금속의 산화물에 비하여 우수한 흡착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은 산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활성탄의 비표면적 및 활성 사이트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구리(Cu) 산화물 및/또는 은(Ag) 산화물에 대한 담지 용량이 증가하여, 유해 가스 흡착 용량 및 선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산 처리는 상기 구리(Cu) 산화물 및 상기 은(Ag) 산화물의 유해 가스 환원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산 처리는 상기 구리(Cu) 산화물 및 상기 은(Ag) 산화물의 산화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따라서, 상기 유해 가스에 대한 환원 용량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흡착제는 상기 활성탄에 담지된 구리(Cu)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착제는 상기 활성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2 내지 6중량부의 상기 구리(Cu)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리(Cu) 산화물이 약 2중량부 미만으로 담지될 경우, 유해 가스에 대한 제거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구리(Cu) 산화물이 약 6중량부 초과로 담지될 경우, 용매에 충분히 용해되지 않아 첨착이 불균일해 지고 양산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유해 가스 제거 효율이 실질적으로 포화됨에도 불구하고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리(Cu) 산화물은 상기 활성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3 내지 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리(Cu) 산화물은 산화 구리(I; Cu2O) 또는 산화 구리(II; CuO)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우수한 환원성을 갖는 산화 구리(II)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화 구리(II)는 하기 반응식 1의 반응을 통해 황화 수소의 황 성분을 흡착하여 황화 수소를 제거할 수 있다.
[반응식 1]
H2S + CuO -> H2O + CuS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은 은(Ag) 산화물이 담지될 수 있다. 상기 은(Ag) 산화물은 상기 유해 가스를 화학적으로 흡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은(Ag) 산화물은 상기 구리(Cu) 산화물의 화학적 흡착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은(Ag) 산화물은 상기(Cu) 구리 산화물의 환원 반응을 촉진하여 상기 유해 가스의 산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은(Ag) 산화물은 산화 은(I; Ag2O) 또는 산화 은(II; AgO)을 포함할 수 있다. 산화 은(II)을 사용할 경우, 상기 유해 가스의 산화 반응이 촉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화 은(II)은 하기 반응식 2의 반응을 통해 황화 수소를 제거할 수 있다.
[반응식 1]
H2S + AgO -> H2O + AgS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은(Ag) 산화물은 상기 활성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0.1 내지 1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은(Ag) 산화물이 약 0.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상기 흡착제의 유해 가스 제거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은(Ag) 산화물이 약 1중량부 초과로 포함될 경우, 은 산화물 입자의 응집 현상 또는 피독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은 산화물은 상기 활성탄에 대하여 약 0.2 내지 0.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예시적으로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구리(Cu) 산화물을 포함하는 첨착 조성물을 준비한다(예를 들면, 단계 S10). 상기 첨착 조성물은 활성탄 입자의 외부 표면과 내부 기공 내 표면에 상기 구리 산화물을 첨착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첨착 조성물은 상기 구리(Cu) 산화물을 분산 및/또는 용해시킨 수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첨착 조성물은 유기 용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첨착 조성물은 첨착하고자 하는 활성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2 내지 6중량부의 구리(Cu)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첨착 조성물을 통해 상기 활성탄에 상기 활성탄 100중량부 기준 약 2 내지 6중량부의 구리(Cu) 산화물을 담지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첨착 조성물은 은(Ag)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첨착 조성물은 상기 구리(Cu) 산화물과 상기 은(Ag) 산화물을 함께 포함하여, 상기 활성탄 입자의 내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구리(Cu) 산화물 입자 및 은(Ag) 산화물 입자를 첨착(코팅)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첨착 조성물을 통해 상기 활성탄에 상기 활성탄 100중량부 기준 약 0.1 내지 1중량부의 은(Ag) 산화물이 담지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첨착 조성물에 활성탄을 첨가하고, 상기 첨착 조성물을 교반시킨 후 용매를 증발시켜 상기 구리(Cu) 산화물 및/또는 상기 은v 산화물을 상기 활성탄에 담지시킬 수 있다(예를 들면, 단계 S20). 이를 통해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를 제조할 수 있다. 용매는 가열 또는 감압 건조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공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공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첨착 조성물에 산을 첨가할 수 있다(예를 들면, 단계 S30). 예를 들면, 상기 첨착 조성물에 첨가된 산에 의해 상기 활성탄이 산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산 처리는 상기 구리(Cu) 산화물을 첨착시키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산 처리에 의해 상기 활성탄의 외부 표면 및 내부 기공 내 표면의 특성이 개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활성탄의 내외부 표면적이 증가하여 상기 구리(Cu) 산화물 및 상기 은(Ag) 산화물의 황화수소 흡착 용량이 증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첨착 조성물에 첨가되는 산은 유기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기산은 탄소수 2 내지 6의 2가 유기산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2가 유기산은 옥살산, 말론산, 석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가 유기산은 석신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리(Cu) 산화물, 상기 은(Ag) 산화물 및 유기산을 상기 활성탄에 보다 균일하게 첨착시킬 수 있으며, 첨착 및 산 처리 공정을 일원화하여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산 처리는 상기 활성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3 내지 9중량부의 유기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산은 상기 활성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5 내지 7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기산의 사용량이 상기 활성탄 100중량부 기준 약 5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 활성탄의 활성 사이트가 실질적으로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의 사용량이 상기 활성탄 100중량부 기준 약 7중량부 초과일 경우, 상기 활성탄의 내부 기공이 폐쇄되거나 응집 현상 등으로 인해 활성탄 자체의 활성이 감소할 수 있다. 이 경우, 유해 가스 흡착 제거량이 감소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는 공기 정화 필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직포 등의 투기성 소재에 상기 흡착제를 흡착 및 코팅시켜 공기 정화 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흡착제는 용매에 분산되어 상기 투기성 소재에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용매가 제거될 경우 상기 흡착제가 상기 투기성 소재 상에 흡착 및 코팅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정화 필터는 상기 활성탄을 통해 유해 가스를 물리적으로 흡착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구리(Cu) 산화물 및 상기 은(Ag) 산화물을 통해 유해 가스를 화학적으로 흡착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들을 포함하는 실험예를 제시하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평균 입경 1.7-2.36mm의 야자계 활성탄을 준비하였다. 활성탄 100중량부에 기준 4중량부의 산화 구리(II) 카보네이트를 탈이온수에 분산시켜 첨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활성탄을 플라스크에 진공 교반 시켜 불순물을 제거한 후 첨착 조성물을 투입하였다. 첨착 조성물을 100oC, 1h건조 및 산소 분위기 170oC에서 20h 열처리하여 산화 구리(II)가 담지된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를 준비하였다. 열처리 온도는 산화 구리(II) 카보네이트가 분해되는 온도로 설정하였다. 상기 온도에 미달할 경우 구리(Cu) 산화물 형성이 어려우며, 이상의 온도에서는 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1 내지 5
활성탄에 산화 구리(II) 대신에 산화 니켈(II), 산화 망간(IV), 산화 철(III), 산화 아연 및 산화 마그네슘을 각각 첨착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 내지 5의 흡착제를 준비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의 흡착제를 반응기에 충진 후 H2S를 60ppm로 포함하는 기체를 0.25m/s로 통과시켜 H2S의 제거율이 94%이 되는 시점까지 걸리는 시간(파과 시간)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제거율은 반응기 전단 대비 반응기 후단에서 배출되는 황화수소의 양에 따라 산정하였다.
담지 성분 함량(중량부) 94% 파과 시간(분) 응집 여부
실시예 1 CuO 4 840 X
비교예 1 NiO 4 0 X
비교예 2 MnO 4 93 X
비교예 3 FeO 4 0 X
비교예 4 ZnO 4 225 X
비교예 5 MgO 4 0 X
표 1을 참조하면, 산화 구리를 사용하는 실시예의 경우 이외 금속 산화물을 사용하는 비교예들에 비하여 황화 수소 제거 용량 및 제거 효율이 현저히 향상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3 및 비교예 6 내지 8
실시예 1에 있어서, 산화 구리(II)를 활성탄 100중량부 대비 아래 표 2에 기재된 함량으로 담지시켜 흡착제를 준비하였다.
상기 흡착제의 파과 시간을 평가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담지 성분 함량(중량부) 94% 파과 시간(분) 응집 여부
실시예 2 CuO 2 540 X
실시예 3 CuO 6 900 O
비교예 6 CuO 1 150 X
비교예 7 CuO 8 795 O
비교예 8 CuO 10 780 O
표 2를 참조하면, Cu의 활성탄 100중량부 대비 함량이 6중량부를 초과하는 비교예들의 경우, 흡착제의 응집이 일어났다. 또한, Cu의 활성탄 100중량부 대비 함량이 2중량부 미만인 비교예의 경우 파과 시간이 감소되었다.
실시예 4 내지 6
실시예 1에 있어서, 첨착 조성물에 산화 은(II)를 활성탄의 총 중량 기준 아래 표 3에 기재된 함량으로 추가하고, 이를 통해 활성탄에 산화 구리(II) 및 산화 은(II)을 첨착시켜 흡착제를 준비하였다.
담지 성분 함량(중량부) 94% 파과 시간(분) 응집 여부
실시예 4 CuO / AgO 4 / 0.25 1390 X
실시예 5 CuO / AgO 4 / 0.5 1250 X
실시예 6 CuO / AgO 4 / 1 1103 X
표 3을 참조하면, 활성탄의 첨착 과정에서 Ag를 첨가할 경우 0.25%에서 가장 높은 파과시간을 나타냈으며, 함량이 증가할 경우 오히려 감소하였다.
실시예 7 내지 9
실시예 4에 있어서, 상기 첨착 조성물에 활성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래 표 4에 기재된 양의 석신산을 첨가하고, 이를 통해 활성탄을 첨착시켜 흡착제를 준비하였다.
준비된 흡착제의 파과 시간을 평가하여 아래 표 4에 나타내었다.
산 성분 함량(중량부) 94% 파과 시간(분) 응집 여부
실시예 7 CuO / AgO /석신산 4 / 0.25 / 3 1050 X
실시예 8 CuO / AgO /석신산 4 / 0.25 / 6 1800 X
실시예 9 CuO / AgO /석신산 4 / 0.25 / 9 950 O
표 4를 참조하면, 활성탄의 첨착 과정에서 6% 석신산을 사용할 경우 흡착제의 유해 가스 제거 용량 및 효율이 증가한 것이 확인하였다. 다만, 실시예 9와 같이 9%의 석신산을 사용할 경우 응집에 의해 성능이 감소하였다.

Claims (7)

  1. 활성탄; 및
    상기 활성탄에 담지된 구리 산화물을 포함하며,
    상기 구리 산화물은 상기 활성탄 100중량부 기준 2 내지 6중량부 포함되는,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중량부의 은 산화물을 더 포함하는,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 100중량부에 3 내지 9 중량부의 유기산을 더 포함하는,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해 가스는 메틸 머캅탄(methyl mercaptan), 황화수소, 다이메틸 설파이드(dimethyl sulfide), 다이메틸다이 설파이드(dimethyl disulfide)인,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
  5. 구리 산화물을 포함하는 첨착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첨착 조성물로 활성탄 100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6중량부의 구리 산화물을 첨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은 100중량부 기준 0.1 내지 1중량부의 은 산화물이 첨착되는,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의 제조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첨착 조성물은 유기산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첨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유기산에 의해 활성탄이 산 처리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의 제조 방법.
KR1020210089849A 2021-07-08 2021-07-08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43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849A KR102643454B1 (ko) 2021-07-08 2021-07-08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849A KR102643454B1 (ko) 2021-07-08 2021-07-08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102A true KR20230010102A (ko) 2023-01-18
KR102643454B1 KR102643454B1 (ko) 2024-03-05

Family

ID=85106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849A KR102643454B1 (ko) 2021-07-08 2021-07-08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45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2273A (ja) * 1996-01-22 1997-10-07 Kuraray Chem Corp 硫黄化合物の吸着・除去剤
JP2000317271A (ja) * 1999-05-06 2000-11-21 Nissan Motor Co Ltd 吸着材
KR20080085428A (ko) * 2007-03-20 2008-09-24 주식회사 한일그린텍 은이 담지된 다공성 복합흡착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040851A (ko) * 2016-10-13 2018-04-23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 첨착 활성탄 흡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68184B1 (ko) 2017-09-29 2020-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흡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2273A (ja) * 1996-01-22 1997-10-07 Kuraray Chem Corp 硫黄化合物の吸着・除去剤
JP2000317271A (ja) * 1999-05-06 2000-11-21 Nissan Motor Co Ltd 吸着材
KR20080085428A (ko) * 2007-03-20 2008-09-24 주식회사 한일그린텍 은이 담지된 다공성 복합흡착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040851A (ko) * 2016-10-13 2018-04-23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 첨착 활성탄 흡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68184B1 (ko) 2017-09-29 2020-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흡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3454B1 (ko) 202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26408B (zh) 用於催化甲醛氧化的催化劑及其製備與用途
CN101695651B (zh) 一种铜铁改性活性炭吸附剂及其制备方法
EP1287888B1 (en) Method for producing an adsorbent having capability of decomposing organic halogen compounds
CN104841369A (zh) 一种蜂窝网活性炭过滤器空气滤芯及其制备方法
CN1830542A (zh) 一种浸渍活性炭及其制备方法
KR101680610B1 (ko) 산성가스 제거용 활성탄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792438A (zh) 低温干法处理苯系有机废气或废水的催化剂及制法和应用
KR101606767B1 (ko) 휘발성 유기 화합물 흡착 제거용 촉매 제조 방법 및 그 활용.
CN111203179A (zh) 一种可再生含酚有机废水催化吸附材料的制备方法及应用
CN113477245B (zh) 金属或金属离子修饰c基臭氧活化催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369021B1 (ko) 수분 안정성이 향상된 유독성 가스 제거용 저온산화촉매
KR20120132873A (ko) 화학적 첨착 및 진공 열처리에 의한 폐활성탄의 재생방법
CN1287893C (zh) 一种处理含酚废水活性炭的再生方法
CN1657142A (zh) 一种空气净化工艺
KR102643454B1 (ko)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506813B1 (ko) 오존분해용 산화망간계 촉매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413214B1 (ko)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 유해 가스 제거용 흡착제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필터
CN111111662A (zh) 一种负载型针铁矿的泡沫金属催化剂及其制备方法
CN111013574A (zh) 一种用于空气除甲醛的贵金属/碳球复合催化材料的制备方法
CN115845797A (zh) 一种气体吸附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778360B1 (ko) 공기청정기용 활성탄필터 및 공기청정기용 활성탄필터제조방법
KR20180098709A (ko) 유기금속계 커플링제를 사용한 금속-활성탄 복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사용한 흡장분해촉매
JP7177671B2 (ja) オゾン酸化分解処理に用いられるフィルター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34658B1 (ko) 질소 산화물 제거용 흡착제 및 이를 이용한 질소 산화물 처리방법
KR20170127683A (ko) 반복 재생형 흡착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