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767B1 - 휘발성 유기 화합물 흡착 제거용 촉매 제조 방법 및 그 활용. - Google Patents
휘발성 유기 화합물 흡착 제거용 촉매 제조 방법 및 그 활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6767B1 KR101606767B1 KR1020130110953A KR20130110953A KR101606767B1 KR 101606767 B1 KR101606767 B1 KR 101606767B1 KR 1020130110953 A KR1020130110953 A KR 1020130110953A KR 20130110953 A KR20130110953 A KR 20130110953A KR 101606767 B1 KR101606767 B1 KR 1016067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atile organic
- ozone
- vocs
- decomposition
- catalyst
- Prior art date
Links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group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PWHULOQIROXLJO-UHFFFAOYSA-N manganese Chemical compound [Mn] PWHULOQIROXLJ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OZAIFHULBGXAKX-UHFFFAOYSA-N precursor Substances N#CC(C)(C)N=NC(C)(C)C#N OZAIFHULBGXAKX-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9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ZWEHNKRNPOVVGH-UHFFFAOYSA-N 2-butanone Chemical compound CCC(C)=O ZWEHNKRNPOVVG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10021426 porous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5000012239 silicon dioxid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VZGDMQKNWNREIO-UHFFFAOYSA-N Carbon tetra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l)(Cl)Cl VZGDMQKNWNREI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VZJVWSHVAAUDKD-UHFFFAOYSA-N Potassium permanganate Chemical compound [K+].[O-][Mn](=O)(=O)=O VZJVWSHVAAUDK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IKHGUXGNUITLKF-UHFFFAOYSA-N acetaldehyde Chemical compound CC=O IKHGUXGNUITLKF-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UHOVQNZJYSORNB-UHFFFAOYSA-N benz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UHOVQNZJYSORNB-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150000004677 hydrat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363 dried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40071125 manganese acetat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5
- UOGMEBQRZBEZQT-UHFFFAOYSA-L manganese(2+);diacetate Chemical compound [Mn+2].CC([O-])=O.CC([O-])=O UOGMEBQRZBEZQT-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5
- SYBFKRWZBUQDGU-UHFFFAOYSA-N [O--].[O--].[Mn++].[Cu++] Chemical compound [O--].[O--].[Mn++].[Cu++] SYBFKRWZBUQDGU-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VXNZUUAINFGPBY-UHFFFAOYSA-N 1-butene Chemical compound CCC=C VXNZUUAINFGPBY-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20366 ClO 4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OXBLHERUFWYNTN-UHFFFAOYSA-M Copper(I) chloride Chemical compound [Cu]Cl OXBLHERUFWYNTN-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3
- ORTQZVOHEJQUHG-UHFFFAOYSA-L Copper(II)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u]Cl ORTQZVOHEJQUHG-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3
- XTVVROIMIGLXTD-UHFFFAOYSA-N Copper(II) nitrate Chemical compound [Cu+2].[O-][N+]([O-])=O.[O-][N+]([O-])=O XTVVROIMIGLXT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YRNNKGFMTBWUGL-UHFFFAOYSA-L Copper(II) perchlorate Chemical compound [Cu+2].[O-]Cl(=O)(=O)=O.[O-]Cl(=O)(=O)=O YRNNKGFMTBWUGL-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3
- ARUVKPQLZAKDPS-UHFFFAOYSA-L Copper(II) sulfate Chemical compound [Cu+2].[O-][S+2]([O-])([O-])[O-] ARUVKPQLZAKDPS-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3
- YXJGFVDFBZFVTQ-UHFFFAOYSA-N [Cu][Mn][Cu] Chemical compound [Cu][Mn][Cu] YXJGFVDFBZFVTQ-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NLHHRLWOUZZQLW-UHFFFAOYSA-N acrylonitrile Chemical compound C=CC#N NLHHRLWOUZZQL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KAKZBPTYRLMSJV-UHFFFAOYSA-N butadiene Chemical compound C=CC=C KAKZBPTYRLMSJ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IJDNQMDRQITEOD-UHFFFAOYSA-N butane Chemical compound CCCC IJDNQMDRQITEO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1273 but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0365 copper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25000002534 ethynyl group Chemical group [H]C#C* 0.000 claims description 3
- KFUSEUYYWQURPO-OWOJBTEDSA-N trans-1,2-dichloroethene Chemical compound Cl\C=C\Cl KFUSEUYYWQURPO-OWOJBTED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IAQRGUVFOMOMEM-ONEGZZNKSA-N trans-but-2-ene Chemical compound C\C=C\C IAQRGUVFOMOMEM-ONEGZZNK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291 vacuum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3463 adsorb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QPLDLSVMHZLSFG-UHFFFAOYSA-N copper oxide Chemical compound [Cu]=O QPLDLSVMHZLSF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3660 Reticulum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197 catalytic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NUJOXMJBOLGQSY-UHFFFAOYSA-N Manganese dioxide Chemical compound O=[Mn]=O NUJOXMJBOLGQS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149 energy-dispersive X-ray emission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468 manganese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VASIZKWUTCETSD-UHFFFAOYSA-N manganese(II) oxide Inorganic materials [Mn]=O VASIZKWUTCETS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AMWRITDGCCNYAT-UHFFFAOYSA-L manganese(II,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Mn].O[Mn]=O.O[Mn]=O AMWRITDGCCNYAT-UHFFFAOYSA-L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PNEYBMLMFCGWSK-UHFFFAOYSA-N AI2O3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MWUXSHHQAYIFBG-UHFFFAOYSA-N Nitrogen oxide Substances O=[N] MWUXSHHQAYIF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381 Plasm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41 X-ray diff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QKSDPGPPEASGEC-UHFFFAOYSA-N [Mn+2].[N-]=C=O.[N-]=C=O Chemical compound [Mn+2].[N-]=C=O.[N-]=C=O QKSDPGPPEASG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98 atmosphe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95 desor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99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 palladium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11 spectroscopic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12 waste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LBFUKZWYPLNNJC-UHFFFAOYSA-N Cobalt(II,III) oxide Chemical compound [Co]=O.O=[Co]O[Co]=O LBFUKZWYPLNN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GQXTTSVLMQFHM-UHFFFAOYSA-N Peroxyacetyl nitrate Chemical compound CC(=O)OO[N+]([O-])=O VGQXTTSVLMQFH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LXAZYQCSSNEPD-UHFFFAOYSA-N [O-2].[Mn+2].[Cu]=O Chemical compound [O-2].[Mn+2].[Cu]=O DLXAZYQCSSNEP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99 aldehy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945 aromatic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93 ceram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9 chemical indus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428 cobalt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61 compo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4 electron beam technolog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70 eth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60 explo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282 hal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12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76 ket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8 loa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13 nitroge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00 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3 pall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KDLHZDBZIXYQEI-UHFFFAOYSA-N palladium Substances [Pd] KDLHZDBZIXYQE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99 photocata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941 photo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552 photo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41 silica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27 silica g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2 storag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76 supplementa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78 thermal 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28 transition metal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68 wat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2—Impregnation, coating or precipitation
- B01J37/03—Precipitation; Co-precipitation
- B01J37/031—Precipit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comprising silic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34—Inorganic material 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8—Silica
Abstract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분해에 사용되는 촉매 및 흡착제 특히, 오존(O3)의 분해를 통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제거 과정에서 촉매 및 흡착제를 사용하여 분해능을 향상시킨다.
흡착 및 촉매제로 구리(Cu)와 망간(Mn)을 다공성 실리카를 함침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여,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분해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원 발명에 의한 구리(Cu)와 망간(Mn)을 다공성 실리카를 함침하여 제조한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를 사용하여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제거하면,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제거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반응하지 않고 남아있는 오존(O3)의 분해능도 향상되어 반응 후 휘발성 유기 화합물과 오존(O3)이 검출되지 않는 효과를 나타낸다.
흡착 및 촉매제로 구리(Cu)와 망간(Mn)을 다공성 실리카를 함침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여,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분해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원 발명에 의한 구리(Cu)와 망간(Mn)을 다공성 실리카를 함침하여 제조한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를 사용하여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제거하면,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제거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반응하지 않고 남아있는 오존(O3)의 분해능도 향상되어 반응 후 휘발성 유기 화합물과 오존(O3)이 검출되지 않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제거하는 기술에 관련된 것으로 휘발성 유기 화합물 흡착 제거용 촉매 제조 방법 및 그 활용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오존(O3)의 분해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제거하는 반응에 이용되는 촉매에 관한 기술이다.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이란 증기압이 높아 대기 중으로 쉽게 증발되어 질소산화물(NOx)과 공존시 태양광의 작용에 의하여 광화학반응을 일으켜 오존(Ozone) 및 팬(Peroxyacetyl Nitrate;PAN) 등 이차 오염물질(Secondary Polutants)을 생성시킴으로서 광화학스모그현상(Photochemical Smog)을 일으킴은 물론 물질에 따라 심한 악취를 동반하며, 각종 동·식물에 피해를 주는 유해물질을 말하는 것으로, 휘발성 유기 화합물질은 1990년대 중반 대기 중 휘발성 유기 화합물질 농도수준과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알려지면서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휘발성 유기 화합물질를 처리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상용화되었거나 개발중인 제어기술로는 직접소각, 촉매소각, 흡착, 응축, 생물막, 막분리, 유브이(UV) 및 광촉매 산화, 플라즈마(Plasma)산화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이들 기술 중 직접소각기술인 축열식 열소각설비(Regenerative Thermal Oxidizer; RTO)와 축열식 촉매소각설비(Regenerative Catalytic Oxidizer; RCO), 그리고 저농도 악취의 제거를 위한 생물막법(Biofilter)의 적용이 급증하는 추세에 있다.
직접소각 혹은 열소각으로 알려져 있는 공정으로 650 내지 870 ℃의 고온에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연소시킴으로써 이산화탄소(CO2)와 수증기(H2O)로 완전산화시키는 기술로 보조연료를 이용하여 적정온도를 유지하여 주는데, 유입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이 조연제 역할을 하므로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많은 양의 보조연료가 필요하게 된다. 반면에 휘발성 유기 화합물 농도가 매우 높아 Lower Explosive Limit(LEL)의 25% 를 넘어서면 폭발방지를 위해 오히려 희석공기가 필요하다. 연소온도 외에도 휘발성 유기 화합물 제거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두 인자는 체류시간(Residence Time)과 혼합도(Degree of Mixing)이며, 체류시간은 보통 0.5 내지 1초 이나 만약 할로겐 성분이 포함된 특정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처리할 경우에는 체류시간이 조금 더 길어진다.
열회수장치는 연소전에 들어오는 가스를 예열시키기 위해 설치하는데, 이는 도입가스의 연소온도에 필요한 부가연료를 줄여 준다.
열회수 방법에는 직화식(Direct Flame), 열교환기식(Recuperative), 축열식(Regenerative)의 세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으며, 직화식은 열회수장치가 없으며 Afterburner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이에 비하여 근래 들어 열교환 효율이 90% 이상으로 보조연료 사용량을 대폭 줄일 수 있어 많이 적용되고 있는 축열식은 세라믹재료를 이용해 열을 회수하는 시스템으로 축열식 열소각설비(RTO)라고 불리워진다.
축열식 열소각설비는 1970년대 미국에서 개발된 새로운 형태의 직접소각설비로 가장 큰 특징은 소각설비의 단점이었던 비싼 연료비가 최소한으로 줄어 들었다는 것인데 국내는 물론 선진국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최근들어서는 기존 2-Chamber 이상의 RTO가 가지고 있는 단점인 열교환 및 처리효율의 변동과 유입 및 배출가스 흐름의 잦은 절체에 따른 댐퍼의 고장 등을 보완하고, 처리부지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1-Chamber RTO가 상용화되어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 설비의 핵심은 회전하면서 유입 및 유출가스의 유로를 변경시켜 주는 로타리 디버터이다.
촉매소각은 연소실 내에 충진되어 있는 촉매가 연소에 필요한 활성화에너지를 낮춤으로써 비교적 저온에서 연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연소실의 온도를 300~400℃로 낮출 수 있다. 결과적으로 촉매산화에 소요되는 연료비(Operation Cost)는 같은 성능의 열소각공정에 비해 싸다.
촉매(Catalyst)로는 백금과 팔라듐(Paradium),크롬알루미나(Chrome-alumina), 코발트산화물(Cobalt Oxide), 리망간산화물(Copper Oxide-Manganese Oxide) 등의 금속산화물이 포함된다.
촉매의 평균수명은 2∼5년인데, 방해물질(Inhibitors)이나, 분진에 의한 막힘, 그리고 열화(Thermal Aging) 등에 의하여 촉매활성이 떨어지므로 이와 같은 물질이 존재하면 촉매의 수명은 줄어든다.
한편, 최근에는 보조연료비의 추가적인 절감을 위하여 일정한 중저농도를 유지할 경우에도 보조연료없이 운전이 가능한 축열식 촉매소각공정(RCO)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RCO는 직접소각 방식인 RTO의 축열재 상단에 촉매를 장착하므로써 RTO의 성능과 함께 연소온도를 촉매소각 온도로 운전하는 방식이다.
흡착이란 가스중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 분자가 흡착제와 접촉하여 분자간의 약한 인력으로 결합하는 과정으로 과거에는 단순 악취의 제거를 위하여 활성탄을 사용 후 폐기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으나 근래 들어 흡착탑을 두 개 이상을 두어 고농도 유기 용제를 회수하는 흡착 재생방식의 사용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흡착제로는 활성탄(Activated Carbon), 실리카겔(Silicagel), 알루미나(Alumina), 제올라이트(Zeolite) 등이 있어 흡착하고자 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흡착제를 선정하여야 하나 휘발성 유기 화합물 제거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흡착제는 활성탄이다.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흡착탑의 형태는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는 재생형태의 고정층(Fixed Bed)으로 두개 이상의 활성탄 층으로 이루어져, 하나 이상의 층에서는 흡착이, 그리고 다른 층에서는 탈착이 이루어져 같은 방향(Concurrent)으로 연속조작이 가능한 형태이다.
두번째는 폐기 및 재이용이 가능한 캐니스터(Canister)로 기존에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세번째는 이동층(Moving Bed)으로 한 층이 이동하며 동시에 흡착과 탈착이 진행되므로 같은 용량의 고정층에 비해 활성탄 요구량이 훨씬 적다. 마지막으로 흡착제를 유동시켜 한 장치 내의 분리된 영역에서 흡착과 탈착이 같은 방향(Concurrent Flow)으로 이루어지는 형태로 유동층(Fluidizing Bed)이라 불리워진다.
생물막법이란 미생물을 사용하여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이산화탄소, 물, 그리고 광물염으로 전환시키는 일련의 공정이다. 충진층으로는 토양, 퇴비층, 톱밥, 활성탄 등이 사용되며, 여기에 사용되는 미생물은 제어하려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또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 제거율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변하는데, 알데히드류(Aldehydes), 케톤류(Ketones), 알콜류(Alcohols), 에테르류(Ethers), 에스테르류(Esters), 유기산(Organic Acids) 등은 빨리 제거되는 반면, 할로겐족 탄화수소류(Halogenated Hydrocarbons)와 고분자상태의 방향족 탄화수소류(Aromatic Hydrocarbons)는 늦게 분해한다.
또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함유한 폐가스는 가스의 상태에 따라 적절히 제진, 냉각, 가습 등 전처리를 실시하는데, 이러한 전처리 요소들은 필터층을 오래도록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그밖에 처리시설로는 고농도에서 사용되는 응축법(Condensation)과 막기술이 있는데, 응축법은 가스흐름의 온도를 정압상태에서 떨어뜨리거나 정온상태에서 가압하거나 혹은 두 경우를 조합하므로써 비응축성 가스흐름에서 휘발성 유기 화합물를 제거하는 과정을 말한다. 여기에는 2가지 형태의 일반적인 응축기가 있는데 하나는 간접접촉식(Surface Contact Type)이고, 다른 하나는 직접접촉방식(Direct Contact Type)이다.
막기술(Membranes)은 반투과성 막(Semi-permeable Membrane)을 사용하여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선택적으로 폐가스로부터 분리하는 기술로 아직은 막의 적용성에 한계를 가지고 있으나 향후 무한한 성장가능성을 가진 기술이다.
또한, 산화법의 경우 상기 언급된 소각법 이외에 최근들어 광촉매, 플라즈마, 전자빔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한 최신 산화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나 아직은 기술력 부족 및 고가의 운전비 등으로 소규모, 저농도의 배출가스에 제한적으로 적용이 시도되고 있는 상황이다.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분해에 사용되는 촉매 및 흡착제 특히, 오존(O3)의 분해를 통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제거 과정에서 촉매 및 흡착제를 사용하여 분해능을 향상시킨다.
흡착 및 촉매제로 구리(Cu)와 망간(Mn)을 다공성 실리카(Silica)에 함침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여,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분해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로 작용하는 구리, 망간에 함침된 다공성 실리카를 구리(Cu)와 망간(Mn)을 동시에 다공성 실리카를 침지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또한, 구리(Cu)에 다공성 실리카를 침지하는 단계, 망간(Mn)에 상기 구리(Cu)가 함침된 다공성 실리카를 침지하는 단계를 분리하여 제조하는 방법도 가능할 것이다.
다음으로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상기 혼합물을 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시한다.
본원 발명에 의한 구리(Cu)와 망간(Mn)을 다공성 실리카를 함침하여 제조한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를 사용하여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제거하면,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제거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반응하지 않고 남아있는 오존(O3)의 분해능도 향상되어 반응 후 휘발성 유기 화합물과 오존(O3)이 검출되지 않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은 본원 발명에 의한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 방법을 나타낸다.
도 4는 본원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 방법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의 분해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원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 방법의 오존(O3) 분해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원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의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EDX(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를 나타낸다.
도 7은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의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EDX(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를 나타낸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은 본원 발명에 의한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 방법을 나타낸다.
도 4는 본원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 방법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의 분해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원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 방법의 오존(O3) 분해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원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의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EDX(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를 나타낸다.
도 7은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의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EDX(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를 나타낸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촉매로 작용하는 망간산구리(CuMnOx)가 함침된 다공성 이산화규소(SiO2)는 구리 전구체, 망간 전구체, 다공성 실리카 및 용매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구리 전구체와 상기 망간 전구체를 상기 용매에 용해시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구리 전구체와 상기 망간 전구체를 상기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에 상기 다공성 실리카를 침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상기 혼합물을 산화시켜 망간산구리(CuMnOx)가 함침된 다공성 이산화규소(SiO2)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구리 전구체는 질산구리(Cu(NO3)2), 염화구리(CuCl2), 황산구리(CuSO4), 과염소산구리(Cu(ClO4)2), 이들의 수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질산구리(Cu(NO3)2) 수화물인 Cu(NO3)2·3H2O일 것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상기 망간 전구체는 망간 아세테이트(Mn(CH3COO)2), 이질산 망간(Mn(NO3)2), 과망간산칼륨(KMnO4), 이들의 수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망간 아세테이트(Mn(CH3COO)2) 수화물인 (CH3COO)2Mn·4H2O일 것이나 이 또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공성 실리카는 겔 또는 졸의 형태로 Zeosil와 SS-Sil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Zeosil 142, SS-Sil-52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다공성 실리카로 Zeosil 142, SS-Sil-52를 사용하였으며, SS-Sil-52를 사용하여 제조된 촉매를 이용하는 것이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분해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용매는 메탄올(MeOH)과 증류수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구리 전구체와 망간 전구체의 용해도를 높이기 위해 메탄올에 일정량의 증류수를 추가하여 용매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에서는 진공건조 방법과 자연건조 방법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건조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건조된 상기 혼합물을 산화시키는 단계에서 200℃ 내지 400℃의 오븐에서 산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350℃에서 산화시키는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은
Methyl Ethyl Ketone, Acetaldehyde, Acetylene, Acetylene Dichloride, Acrylonitrile, Benzene, 1,3-Butadiene, Butane, 1-Butene, 2-Butene 및 Carbon Tetrachloride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원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Methyl Ethyl Ketone(MEK)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의 또 다른 제조 방법은 촉매로 작용하는 구리(Cu)와 망간(Mn)에 함침된 다공성 실리카를 구리(Cu)에 다공성 실리카를 함침하는 단계와 망간(Mn)에 상기 구리(Cu)가 함침된 다공성 실리카(Silica)를 함침하는 단계로 분리하여 진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촉매로 작용하는 산화구리(CuO)와 산화망간(MnO2)이 함침된 다공성 이산화규소(SiO2)는 구리 전구체, 망간 전구체, 다공성 실리카 및 용매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구리 전구체를 상기 용매에 용해시켜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구리 전구체를 상기 용매에 용해시킨 제 1 용액에 상기 다공성 실리카를 침지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망간 전구체를 상기 용매에 용해시켜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망간 전구체를 상기 용매에 용해시킨 제 2 용액에 상기 제 1 혼합물을 침지하여 제 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2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상기 제 2 혼합물을 산화시켜 산화구리(CuO)와 산화망간(MnO2)이 함침된 다공성 이산화규소(SiO2)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구리 전구체는 질산구리(Cu(NO3)2), 염화구리(CuCl2), 황산구리(CuSO4), 과염소산구리(Cu(ClO4)2), 이들의 수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질산구리(Cu(NO3)2) 수화물인 Cu(NO3)2·3H2O일 것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상기 망간 전구체는 망간 아세테이트(Mn(CH3COO)2), 이질산 망간(Mn(NO3)2), 과망간산칼륨(KMnO4), 이들의 수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망간 아세테이트(Mn(CH3COO)2) 수화물인 (CH3COO)2Mn·4H2O일 것이나 이 또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다공성 실리카는 겔 또는 졸의 형태로 Zeosil와 SS-Sil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Zeosil 142, SS-Sil-52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다공성 실리카로 Zeosil 142, SS-Sil-52를 사용하였으며, SS-Sil-52를 사용하여 제조된 촉매를 이용하는 것이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분해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용매는 메탄올(MeOH)과 증류수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구리 전구체와 망간 전구체의 용해도를 높이기 위해 메탄올에 일정량의 증류수를 추가하여 용매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에서는 진공건조 방법과 자연건조 방법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건조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건조된 상기 혼합물을 산화시키는 단계에서 200℃ 내지 400℃의 오븐에서 산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350℃에서 산화시키는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은
Methyl Ethyl Ketone, Acetaldehyde, Acetylene, Acetylene Dichloride, Acrylonitrile, Benzene, 1,3-Butadiene, Butane, 1-Butene, 2-Butene 및 Carbon Tetrachloride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원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Methyl Ethyl Ketone(MEK)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는 그 세공 용적(pore volume)이 0.1 ㎤/g 내지 0.5 ㎤/g 인 것이 가능할 것이다.
더욱 자세히 살펴 보면, 구리(Cu)와 망간(Mn)에 함침된 다공성 실리카를 구리(Cu)와 망간(Mn)을 동시에 다공성 실리카(Silica)를 함침하여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 즉, 상기 망간산구리(CuMnOx)가 함침된 다공성 이산화규소(SiO2)의 세공 용적(pore volume)이 0.2 ㎤/g 내지 0.4 ㎤/g 인 것이 가능할 것이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0.25 ㎤/g 내지 0.32 ㎤/g 인 것이다.
또한, 구리(Cu)에 다공성 실리카(Silica)를 함침하는 단계와 망간(Mn)에 상기 구리(Cu)가 함침된 다공성 실리카를 함침하는 단계로 분리하여 제조된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인, 상기 산화구리(CuO)와 산화망간(MnO2)이 함침된 다공성 이산화규소(SiO2)의 세공 용적(pore volume)이 0.1 ㎤/g 내지 0.3 ㎤/g 인 것이 가능할 것이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0.19 ㎤/g 내지 0.21 ㎤/g 인 것이다.
상기 세공 용적(pore volume)이 클수록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제거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도 3은 본원 발명에 의한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 방법을 나타낸다.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 방법은 본원 발명에 의한 촉매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촉매에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과 오존(O3)을 주입하는 단계, 50 ℃ 내지 100 ℃에서 오존(O3)의 분해 반응을 이용하여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오존(O3)의 분해 반응 단계에서 반응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온도는 70 ℃인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구리 전구체로 Cu(NO3)2·3H2O, 망간 전구체로 (CH3COO)2Mn·4H2O, 다공성 실리카(Silica)로 SS-Sil-52, 메탄올(MeOH)에 증류수를 첨가한 용매를 사용한다.
구리 전구체인 Cu(NO3)2·3H2O와 망간 전구체인 (CH3COO)2Mn·4H2O를 메탄올(MeOH)에 증류수를 첨가한 용매에 완전히 용해시킨 후, 다공성 실리카(Silica)로 SS-Sil-52를 넣고 반죽하듯 함침시킨다.
다음으로 구리 전구체인 Cu(NO3)2·3H2O와 망간 전구체인 (CH3COO)2Mn·4H2O에 함침된 SS-Sil-52를 진공건조 한다.
다음으로 300℃ 내지 350℃ 의 오븐에서 산화시켜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인 망간산구리(CuMnOx)가 함침된 다공성 이산화규소(SiO2)를 제조하였다.
상기 촉매의 조성비율은 표 1와 같다.
Atomic % | |
Si | 72.5 |
Mn | 23.5 |
Cu | 4.0 |
구리 전구체로 Cu(NO3)2·3H2O, 망간 전구체로 (CH3COO)2Mn·4H2O, 다공성 실리카(Silica)로 SS-Sil-52, 메탄올(MeOH)에 증류수를 첨가한 용매를 사용한다.
구리 전구체인 Cu(NO3)2·3H2O를 메탄올(MeOH)에 증류수를 첨가한 용매에 완전히 용해시킨 후, 다공성 실리카(Silica)로 SS-Sil-52를 넣고 반죽하듯 함침시킨다.
상기 구리 전구체인 Cu(NO3)2·3H2O가 함침된 SS-Sil-52를 망간 전구체로 (CH3COO)2Mn·4H2O를 메탄올(MeOH)에 증류수를 첨가한 용매에 완전히 용해시킨 용액에 넣어 반죽하듯 함침시킨다.
다음으로 자연건조 후, 300℃ 내지 350℃ 의 오븐에서 산화시켜 산화구리(CuO)가 함침된 다공성 이산화규소(SiO2)를 제조하였다.
상기 촉매의 조성비율은 표 2와 같다.
Atomic % | |
Si | 68.0 |
Mn | 27.3 |
Cu | 4.7 |
도 4는 본원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 방법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의 분해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원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 방법의 오존(O3) 분해도를 나타낸다.
상기 휘발성 유기 화합물로는 Methyl Ethyl Ketone(MEK)를 사용하였으며, 70 ℃에서 휘발성 유기 용매의 제거 반응을 진행하였다.
도 4 및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한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는 기존 제품의 동등, 이상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및 오존의 분해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원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의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EDX(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를 나타낸다.
도 7은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의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EDX(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를 나타낸다.
도 6 및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 예 1인 망간산구리(CuMnOx)가 함침된 다공성 이산화규소(SiO2)가 실시 예 2인 구리(CuO)와 산화망간(MnO2)이 함침된 다공성 이산화규소(SiO2) 보다 세공 용적(pore volume)이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원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 임을 명확히 한다.
Claims (20)
-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 제조 방법에 있어서,
촉매로 작용하는 망간산구리(CuMnOx)가 함침된 다공성 이산화규소(SiO2)는
(a) 구리 전구체, 망간 전구체, 다공성 실리카 및 용매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구리 전구체와 상기 망간 전구체를 상기 용매에 용해시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구리 전구체와 상기 망간 전구체를 상기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에 상기 다공성 실리카를 침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
(e) 건조된 상기 혼합물을 200℃ 내지 400℃에서 산화시켜 망간산구리(CuMnOx)가 함침된 다공성 이산화규소(SiO2)를 완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구리 전구체는
질산구리(Cu(NO3)2), 염화구리(CuCl2), 황산구리(CuSO4), 과염소산구리(Cu(ClO4)2), 이들의 수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망간 전구체는
망간 아세테이트(Mn(CH3COO)2), 이질산 망간(Mn(NO3)2), 과망간산칼륨(KMnO4), 이들의 수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다공성 실리카는 겔 또는 졸의 형태로 Zeosil와 SS-Sil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용매는 메탄올(MeOH)과 증류수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진공건조 방법과 자연건조 방법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건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 제조 방법.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은
Methyl Ethyl Ketone, Acetaldehyde, Acetylene, Acetylene Dichloride, Acrylonitrile, Benzene, 1,3-Butadiene, Butane, 1-Butene, 2-Butene 및 Carbon Tetrachloride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 제조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6 및 청구항 8 중의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되고,
상기 망간산구리(CuMnOx)가 함침된 다공성 이산화규소(SiO2)의 세공 용적(pore volume)이 0.1 ㎤/g 내지 0.5 ㎤/g 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용 촉매. - 삭제
-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 방법에 있어서,
(A) 청구항 17의 촉매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촉매에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과 오존(O3)을 주입하는 단계;
(C) 50 ℃ 내지 100 ℃에서 오존(O3)의 분해 반응을 이용하여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O3)의 분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흡착 제거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0953A KR101606767B1 (ko) | 2013-09-16 | 2013-09-16 | 휘발성 유기 화합물 흡착 제거용 촉매 제조 방법 및 그 활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0953A KR101606767B1 (ko) | 2013-09-16 | 2013-09-16 | 휘발성 유기 화합물 흡착 제거용 촉매 제조 방법 및 그 활용.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1586A KR20150031586A (ko) | 2015-03-25 |
KR101606767B1 true KR101606767B1 (ko) | 2016-03-28 |
Family
ID=53025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0953A KR101606767B1 (ko) | 2013-09-16 | 2013-09-16 | 휘발성 유기 화합물 흡착 제거용 촉매 제조 방법 및 그 활용.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676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656866B2 (ja) * | 2015-09-30 | 2020-03-04 | フタムラ化学株式会社 | ガス中のvocおよび/または気相無機還元性化合物のオゾン酸化分解処理方法 |
CN105195168B (zh) * | 2015-10-14 | 2017-11-14 | 北京林业大学 | 一种具有空心六面体锰酸铜尖晶石的制备及其催化臭氧氧化除污染技术的应用方法 |
KR20180040171A (ko) * | 2016-10-11 | 2018-04-20 |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 자동차 도어트림에서 유래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질 및 악취유발물질 저감을 위한 다공성 유기 또는 무기 흡착재 제조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0509B1 (ko) * | 2010-10-08 | 2013-06-03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메조기공 망간 산화물을 이용한 촉매 및 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해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36963B1 (ko) | 2001-01-19 | 2002-05-17 | 김충섭 |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하니컴형 일체식 촉매 |
KR100544693B1 (ko) * | 2003-12-31 | 2006-01-23 | 주식회사 효성 |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및 일산화탄소 제거용 촉매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산화제거 방법 |
-
2013
- 2013-09-16 KR KR1020130110953A patent/KR10160676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0509B1 (ko) * | 2010-10-08 | 2013-06-03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메조기공 망간 산화물을 이용한 촉매 및 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해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1586A (ko) | 2015-03-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u et al. | Promotional removal of HCHO from simulated flue gas over Mn-Fe oxides modified activated coke | |
Feng et al. | Synergistic effects and mechanism of a non-thermal plasma catalysis system in volatile organic compound removal: a review | |
Parmar et al. | Emerging control technologies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 |
US9399208B2 (en) | Catalysts for oxidation of carbon monoxide and/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 |
Shu et al. | Synergetic degradation of VOCs by vacuum ultraviolet photolysis and catalytic ozonation over Mn-xCe/ZSM-5 | |
Chen et al. | Removal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by single-stage and two-stage plasma catalysis systems: a review of the performance enhancement mechanisms, current status, and suitable applications | |
CN109248679B (zh) | 一种VOCs常温降解高效催化剂及其制备与应用 | |
CN109107567B (zh) | 一种M-MnOX-CeO2催化剂及其应用 | |
CN111479630A (zh) | 用于催化甲醛氧化的锰催化剂及其制备和用途 | |
US10569256B2 (en) | Low cost oxidation catalysts for VOC and halogenated VOC emission control | |
KR101606767B1 (ko) | 휘발성 유기 화합물 흡착 제거용 촉매 제조 방법 및 그 활용. | |
CN105879901A (zh) | 一种用于催化燃烧VOCs的负载型催化剂的制备方法 | |
Du et al. | Mesostructured amorphous manganese oxides: facile synthesis and highly durable elimination of low-concentration NO at room temperature in air | |
CN104841369A (zh) | 一种蜂窝网活性炭过滤器空气滤芯及其制备方法 | |
JP2011189262A (ja) | 二酸化炭素回収装置からの排ガスの処理方法及び装置 | |
KR101483079B1 (ko) | 악취 제거 및 탄화수소 산화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12007688A (zh) | 一种用于低温催化氧化挥发性有机污染物的钌催化剂、其制备方法及应用 | |
Veerapandian et al. | Effect of non-thermal plasma in the activation and regeneration of 13X zeolite for enhanced VOC elimination by cycled storage and discharge process | |
Soares et al. | Oxidation of mixtures of ethyl acetate and butyl acetate over cryptomelane and the effect of water vapor | |
KR101329828B1 (ko) | 암모니아 제거용 텅스텐/티타니아 촉매와 그 제조방법 | |
CN113318582A (zh) | 一种制药工业中活性炭吸附脱附催化氧化VOCs的工艺 | |
TW200904513A (en) | Gas cleaning method for organic compound with low concentration | |
CN113210010A (zh) | 一种分区域涂覆的voc催化剂及其制备方法 | |
CN110404525B (zh) | 一种具有抗硫性能的催化氧化no的催化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 |
KR100622993B1 (ko) |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흡착 및 산화촉매반응을 수행하는이중 기능의 촉매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420 Effective date: 20160226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