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9966A - 화장료 도포체 - Google Patents

화장료 도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9966A
KR20230009966A KR1020227043423A KR20227043423A KR20230009966A KR 20230009966 A KR20230009966 A KR 20230009966A KR 1020227043423 A KR1020227043423 A KR 1020227043423A KR 20227043423 A KR20227043423 A KR 20227043423A KR 20230009966 A KR20230009966 A KR 20230009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ed
cosmetic
shape
coated body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3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치코 스에츠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Publication of KR20230009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9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도포의 경계부위나, 예를 들면, 입아귀, 눈초리 등의 세세한 부위를 깨끗하게 마무리할 수 있고, 도포부에의 터치도 지나치게 연하지 않고 지나치게 단단하지 않고, 화장료도 잘 펴바를 수 있는 사용성이 좋은 화장료 도포체의 제공. 고정부와, 해당 고정부로부터 봉 형상으로 연신되는 베이스부와, 해당 베이스부로부터 더욱 직경이 축소되면서 연신되는 테이퍼부를 포함하고, 해당 베이스부의 측면에서부터 해당 테이퍼부의 반대쪽의 측면에 걸쳐서, 경사지게 절결된 형상으로 형성한 도포면을 구비한 화장료 도포체.

Description

화장료 도포체
본 발명은, 화장료 도포도구에 부착되어,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화장료 도포체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 도포도구를 구비한 용기는, 직접 손으로 화장료를 취해서 도포하는 일 없이 피부 상에 도포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사용되고 있고, 도포체의 도포면은 화장료를 적량 도포해서 아름답게 마무리할 수 있도록 형상이나 재질이 연구되어 왔다.
도포체의 도포면은, 입술, 눈꺼풀, 눈썹, 볼, 코 등 안면의 여러 장소에서 세세한 곳을 도포할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이러한 세세한 도포작업에 바람직한 도포체로서, 특허문헌 1에는 도포부를 얇은 형태로 한 것이, 특허문헌 2, 3에는 선단양측이 경사지게 절결된 형상의 도포체가, 각각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의 것은, 선단부의 폭이 넓어서 세세한 작업에 적합하지 않거나(특허문헌 1, 3), 혹은 얇은 형태 때문에 도포체 자체의 강성이 부족하여(특허문헌 1, 2), 손으로부터의 힘을 적절하게 도포체의 선단까지 전달하는 것이 어렵거나, 화장료를 생각한 것처럼 펴바를 수 없고 뭉치는 일이 있거나 하는 등의 과제가 있었다.
JP 2006-094892 A JP 3811458 B JP 실용신안 3174060 B
그래서, 본 발명은, 종래의 화장료 도포체의 이러한 결점을 극복하고, 도포의 경계부위나, 예를 들면 입아귀, 눈초리 등의 세세한 부위를 깨끗하게 마무리할 수 있고, 도포부에의 터치도 지나치게 부드럽지도 지나치게 단단하지도 않고, 화장료도 잘 펴바를 수 있는 사용성이 좋은 화장료 도포체의 제공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고정부와, 해당 고정부로부터 봉 형상으로 연신되는 베이스부(base part)와, 해당 베이스부로부터 더욱 직경이 축소되면서 연신되는 테이퍼부를 포함하고, 해당 베이스부의 측면에서부터 해당 테이퍼부의 반대쪽의 측면에 걸쳐서, 경사지게 절결된 형상으로 형성한 도포면을 구비한 화장료용 도포체이다.
또 본 발명은, 도포체의 선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축선의 연장선에 대하여 도포면과 반대쪽의 측면방향으로 치우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도포체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직방향에 대한 상기 도포면의 경사각도는,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도포체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포체의 선단부의 곡률반경은, 정면에서 보아서 0.2 내지 0.9㎜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도포체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포체의 도포면과 테이퍼부의 경사면 사이의 각도는, 측면에서 보아서 15 내지 3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도포체이다.
더욱, 본 발명은, 상기 도포면의 윤곽선은, 베이스부 측에서는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고, 테이퍼부 측에서는 선단부 부근이 원호 형상으로 굴곡되는 대략 V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화장료 도포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도포체는, 베이스부와 테이퍼부의 양쪽에 걸쳐서 도포면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충분한 양의 화장료를 도포 가능한 도포면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선단측을 테이퍼부로 한 것에 부가해서 경사지게 절결된 형상으로 함으로써, 선단부가 세세한 작업에 알맞은 가늘기와 뾰족한 상태가 되므로, 섬세한 도포작업이 필요한 마무리 등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도포체는, 선단측을 테이퍼부로 한 것에 부가해서 경사지게 절결된 형상으로 함으로써, 선단부 부근의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두께를 확보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도포 시에 선단부까지 손의 힘을 적절하게 전달할 수 있고, 화장료도 적절하게 펴바를 수 있다.
도 1의 (a)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도포체의 평면도, (b) 이의 배면도, (c)이의 정면도, (d) 이의 측면도, (e) 이의 밑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도포체를 구비한 화장료 용기 및 화장료 도포도구의 정면 및 그 단면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도포체의 다른 실시형태의 정면도, (b) 이의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도포체의 다른 실시형태의 정면도, (b) 이의 측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도포체의 다른 실시형태의 정면도, (b) 이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화장료 도포도구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로 하등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도포체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장료 용기의 용기 본체(4)에 탈착 가능한 덮개부(3)로부터 매달려 있는 지지축(2)의 선단에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화장료용기는, 용기 본체(4)의 경부(neck) 내에 스크레이핑부(scraping part)(41)를 구비하고, 이것에 의해 도포체(1)에 붙은 여분의 화장료를 스크레이핑해버리는 유형의 것이지만, 화장료 용기의 양상에 대해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도포체는, 지지축(2)을 개재해서 덮개부(3)에 부착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 설치한 파지부에 고정부(11)를 부착해서 독립된 도포체로 하거나, 고정부를 직접 파지부로 해서 독립된 도포체로서 사용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도포체(1)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포체(1)는, 지지축(2)에 부착 가능하게 형성된 고정부(11)와, 해당 고정부(11)로부터 연신되는 베이스부(12)와, 해당 베이스부(12)로부터 더욱 연신되는 테이퍼부(13)를 포함한다.
고정부(11)는, 지지축(2)의 선단으로부터 개구 형성된 구멍부(21)에 끼워넣음 가능한 크기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도포체(1)를 지지축(2)에 고정될 수 있으면, 그 고정 방법은 끼워넣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부(11)의 선단에서는, 봉 형상의 베이스부(12)가 연신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베이스부(12)는, 도포면(14)을 형성하기 위해서 경사지게 절결된 부분을 고려하지 않으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도 3 내지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원기둥 형상이나, 육각기둥 형상 등의 그 밖의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 도 4, 5의 것은,모두 베이스부(12)가 육각기둥 형상이지만, 그 꼭지각의 위치가 원주방향으로 약 30° 벗어나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12)의 선단에는 앞쪽이 가늘어지는 것처럼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부(13)가 연신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테이퍼부(13)는, 경사지게 절결된 부분을 고려하지 않으면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원뿔 형상으로 해도 된다.
즉, 본 발명의 도포체(1)는, 경사지게 절결된 부분을 고려하지 않으면, 베이스부(12)와 테이퍼부(13)를 합쳐서 연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연필 형상"이란, 같은 직경으로 형성된 원기둥 형상 혹은 다각형 기둥 형상의 베이스부(12) 위에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부(13)가 연신되고 있고, 그 테이퍼부(13)의 경사면에 따른 윤곽형상이 직선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형상의 베이스부(12)의 측면에서부터 테이퍼부(13)의 반대쪽의 측면에 걸쳐서, 경사지게 절결된 때에 형성되는 단면이 도포면(14)을 구성한다. 여기서 "반대쪽의 측면"이란, 베이스부(12)의 측면의 임의의 부분에 대하여 뒤쪽에 해당하는 베이스부(12)의 측면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테이퍼부(13)의 경사면을 의미한다. 여기서 "경사지게 절결된"이란, 최종적으로 경사지게 절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제조 공정상 반드시 절결해서 형성할 필요는 없고, 일반적인 사출 형성 등 그 밖의 제조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도포체(1)는 베이스부(12)의 정면측면(121)으로부터 테이퍼부(13)의 배면측면(131)에 걸쳐서, 경사지게 절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단면에 상당하는 부분의 도포면(14)은, 베이스부(12)와 테이퍼부(13)의 양쪽에 걸쳐서 연속하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도포면(14)의 윤곽선은, 정면에서 보아서 베이스부(12) 측에서는, 전체적으로 완만한 포물선의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대해, 테이퍼부(13) 측에서는, 도포체(1)의 선단부(15) 부근은 원호 형상으로 굴곡되는 대략 V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도포면(14)의 형상에 의해, 베이스부(12) 측에서는 충분한 화장료를 보유할 수 있는 동시에, 보다 날카로운 형상의 테이퍼부(13) 측에서는 세세한 부분에 적절하게 도포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부(12)의 축선의 연장선이 도포면(14)과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포체(1)의 선단부(15)가, 베이스부(12)의 축선의 연장선에 대하여 도포면(14)과는 반대쪽의 배면측면(131) 방향으로 치우쳐 있는 것처럼 형성되어 있다. 또, 선단부(15)는, 경사지게 절결된 때의 자른 대로의 형상보다도 다소 모서리를 둥글게 해서 원호 형상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체(1)의 선단부(15)의 위치는, 도포면(14)의 경사각도나 선단부(15)의 원호의 곡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며, 본 실시형태과 같이, 베이스부(12)의 축선의 연장선에 대하여 도포면(14)과는 반대쪽의 배면측면(131) 방향으로 치우쳐 있는 것처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도포면(14)의 경사각도나 선단부(15)의 원호의 곡률이 최적인 것이 되므로, 바람직하다.
연직방향에 대한 도포면(14)의 경사각도(θ1)는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의 범위이다. 또한, 선단부(15)의 곡률반경(R)은, 정면에서 보아서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8㎜,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6㎜의 범위이다. 또, 도포면(14)과 테이퍼부(13)의 경사면 사이의 각도(θ2)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의 범위이다. 또, 여기서 "테이퍼부(13)의 경사면"이란, 도포면(14)과는 반대쪽의 배면측면(131)을 의미한다.
이상과 같이, 베이스부(12)와 테이퍼부(13)의 양쪽에 걸쳐서 도포면(14)을 형성하고, 또한, 도포면(14)의 경사각도와 선단부(15)의 곡률반경을 상기와 같이 설정하는 것에 의해, 충분한 양의 화장료를 도포 가능한 도포면(14)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도포면(14)은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완전히 평탄하게 형성할 필요는 없고, 다소 오목면이나 볼록면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선단측을 테이퍼부(13)로 한 것에 부가해서 경사지게 절결된 형상으로 함으로써, 선단부(15)가 세세한 작업에 알맞은 가늘기와 뾰족한 상태가 되므로, 섬세한 작업이 필요한 마무리 등은 선단부(15)로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선단측을 테이퍼부(13)로 한 것에 부가해서 경사지게 절결된 형상으로 함으로써, 선단부(15) 부근의 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두께를 확보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도포 시에 선단부(15)까지 손의 힘을 적절하게 전달할 수 있고, 화장료도 적절하게 펴바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도포체(1)는, 일반적인 화장료 도포체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그 소재는 한정되지 않지만, 경도가 높은 TPE, TPU(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부타다이엔 스타이렌, 폴리스타이렌,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부타다이엔 고무, 폴리스타이렌 부타다이엔 고무, 폴리아이소프렌, 실리콘 고무 등의 플라스틱이나 고무류, 더욱, 폴리에스터계, 우레탄계, 올레핀계, 폴리카보네이트계 등의 엘라스토머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스터계의 엘라스토머로서는, 예를 들어, Hytrel(등록상표) G3548L, PELPRENE(등록상표) P30B, PELPRENE(등록상표) P40B, 우레탄계의 엘라스토머로서는, 예를 들어, Toyobo Urethane(등록상표) E-3090A, Toyobo Urethane(등록상표) E-3070A, PANDEX(등록상표) T-8190, 올레핀계의 엘라스토머로서는, 예를 들어, Sarlink(등록상표) 3170, 폴리카보네이트계의 엘라스토머로서는, 예를 들어, PANDEX(등록상표) T-9290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도포체(1) 전체 혹은 그 일부에는 플록(flock) 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도포체(1)에 대한 화장료의 부착량이 증가하거나, 도포부에의 감촉이 변화되거나 해서 바람직하다. 또한, 섬유의 길이를 부분적으로 변화시켜도 되고, 예를 들어, 도포면(14)에 장착된 섬유의 길이와, 베이스부(12)와 테이퍼부(13)에 장착된 섬유의 길이가 서로 다르도록 해도 된다. 도포체 상에의 화장료의 부착량을 적은 것으로부터 많은 것까지 보다 광범위하게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도포 용이성도 향상된다. 플록 처리용의 섬유로서, 사용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로서는 나일론, 폴리에스터, 아크릴, 비닐론,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합성 섬유,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의 재생 섬유, 양모, 비단, 면, 마 등의 천연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또는, 천연해면, 면 스펀지 등의 미세입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 섬유의 형상으로서는, 길이 0.5 내지 2㎜, 굵기 0.01 내지 0.1㎜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길이 0.5 내지 1.5㎜, 굵기 0.01 내지 0.06㎜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도포체는, 예를 들어, 액상 화장료, 유성 화장료, 분체 화장료 등에 사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입술용 화장료(입술 연지, 립 그로스), 컨실러, 아이브로우, 아이섀도우, 아이라이너 등의 부분적으로 사용하는 아이템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에 직접 연결해서 이용하는 액상 화장료가 더욱 바람직하다.
1: 도포체
2: 지지축
3: 덮개부
4: 용기 본체
11: 고정부
12: 베이스부
13: 테이퍼부
14: 도포면
15: 선단부
21: 구멍부
41: 스크레이핑부
121: 정면측면
131: 배면측면
θ1: 도포면의 경사각도
θ2: 도포면과 테이퍼부의 경사면 사이의 경사각도
R: 선단부의 곡률반경(정면에서 보아서)

Claims (6)

  1. 화장료 도포체로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봉 형상으로 연신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더욱 직경이 축소되면서 연신되는 테이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에서부터 해당 테이퍼부의 반대쪽의 측면에 걸쳐서, 경사지게 절결된 형상으로 형성한 도포면을 포함하는, 화장료 도포체.
  2. 제1항에 있어서,
    도포체의 선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축선의 연장선에 대하여 상기 도포면과 반대쪽의 측면방향으로 치우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도포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직방향에 대한 상기 도포면의 경사각도는 8 내지 2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도포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포체의 선단부의 곡률반경은, 정면에서 보아서 0.2 내지 0.9㎜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도포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포체의 도포면과 테이퍼부의 경사면 사이의 각도는, 측면에서 보아서 15 내지 3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도포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면의 윤곽선은, 베이스부 측에서는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고, 테이퍼부 측에서는 선단부 부근이 원호 형상으로 굴곡되는 대략 V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화장료 도포체.
KR1020227043423A 2020-07-02 2021-05-20 화장료 도포체 KR202300099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14539A JP2022012596A (ja) 2020-07-02 2020-07-02 化粧料塗布体
JPJP-P-2020-114539 2020-07-02
PCT/JP2021/019115 WO2022004176A1 (ja) 2020-07-02 2021-05-20 化粧料塗布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966A true KR20230009966A (ko) 2023-01-17

Family

ID=79315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3423A KR20230009966A (ko) 2020-07-02 2021-05-20 화장료 도포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32962A1 (ko)
EP (1) EP4176765A1 (ko)
JP (1) JP2022012596A (ko)
KR (1) KR20230009966A (ko)
CN (1) CN115734723A (ko)
TW (1) TW202210001A (ko)
WO (1) WO2022004176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4060B2 (ja) 1993-07-01 2001-06-11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性コポリマーとそれを含有したヘア及びスキンケア組成物
JP2006094892A (ja) 2004-09-28 2006-04-13 Figla Co Ltd 化粧料塗布体と該化粧料塗布体を具える液状化粧料容器
JP3811458B2 (ja) 1999-05-19 2006-08-23 ロレアル 化粧品収納塗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1143A1 (en) * 2005-12-30 2007-08-09 Antonio Montoli Flocked cosmetic applicators
JP3174060U (ja) 2011-12-22 2012-03-01 株式会社コーセー 高粘性液状化粧料用塗布具およびこれを利用する高粘性液状化粧料用容器
JP7237564B2 (ja) * 2018-03-29 2023-03-13 三菱鉛筆株式会社 化粧料塗布具
JP2020110399A (ja) * 2019-01-15 2020-07-27 株式会社 資生堂 化粧料塗布具
JP1645527S (ko) * 2019-04-25 2019-11-11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4060B2 (ja) 1993-07-01 2001-06-11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性コポリマーとそれを含有したヘア及びスキンケア組成物
JP3811458B2 (ja) 1999-05-19 2006-08-23 ロレアル 化粧品収納塗布装置
JP2006094892A (ja) 2004-09-28 2006-04-13 Figla Co Ltd 化粧料塗布体と該化粧料塗布体を具える液状化粧料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76765A1 (en) 2023-05-10
TW202210001A (zh) 2022-03-16
JP2022012596A (ja) 2022-01-17
CN115734723A (zh) 2023-03-03
US20230232962A1 (en) 2023-07-27
WO2022004176A1 (ja)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53569B2 (ja) 化粧用アプリケータ
JP6476113B2 (ja) 化粧品塗布具、デバイス、および関連する方法
JP4286023B2 (ja) 物質を皮膚に塗布するよう構成されたアプリケータエレメントを有するアプリケータ
KR102313932B1 (ko)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
JP5059350B2 (ja) 化粧料用塗布体付き容器
WO2017120442A1 (en) Precision cosmetic brush with tapered handle having three sides
EP3729992A1 (en) Tip applicator and cosmetic application device including same
JP2017119108A (ja) 目元化粧用塗布具および目元化粧用具
JP6820973B2 (ja) アイライナをパッケージングおよび塗布するためのデバイス
KR20230009966A (ko) 화장료 도포체
KR102040113B1 (ko) 화장용 브러시
US20240023694A1 (en) Applicator head for applying a cosmetic product
US11925250B2 (en) Cosmetic applicator
JP2001321223A (ja) 化粧用パフ
JP7346258B2 (ja) 塗布体
JP2005319004A (ja) 液体化粧料用塗布具
KR200378738Y1 (ko) 속눈썹 화장용 마스카라 브러쉬
WO2022190668A1 (ja) マスカラ塗布具
JP6549267B2 (ja) 化粧料塗布具
JP6393934B2 (ja) 唇用化粧料塗布具
JP2022163589A (ja) 化粧品容器及び化粧用アプリケータ
JP2004065783A (ja) ブラシまたは筆用の穂
JP2022131377A (ja) 塗布部材、塗布具及び化粧具
WO2022249979A1 (en) Ring curler and apparatus for a cosmetic product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