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8907A - 안전화 - Google Patents

안전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8907A
KR20230008907A KR1020230001873A KR20230001873A KR20230008907A KR 20230008907 A KR20230008907 A KR 20230008907A KR 1020230001873 A KR1020230001873 A KR 1020230001873A KR 20230001873 A KR20230001873 A KR 20230001873A KR 20230008907 A KR20230008907 A KR 20230008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toe cap
support
groove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1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웅
Original Assignee
신재웅
(주)내셔널피피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웅, (주)내셔널피피이코리아 filed Critical 신재웅
Priority to KR1020230001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8907A/ko
Publication of KR20230008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89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1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combined with heel stiffener, toe stiffener, or shank stiffen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ith heel or toe ca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1Toe stiffe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하물으로부터 발가락을 보호하기 위해, 앞코의 내부에 토우캡이 구비된 안전화에 관한 것이다. 특히, 스프링 현상을 방지하여, 발에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화{Safety shoes}
본 발명은, 낙하물으로부터 발가락을 보호하기 위해, 앞코의 내부에 토우캡이 구비된 안전화에 관한 것이다.
안전화는 낙하물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공사현장 등에서 작업자들이 착용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안전화에는 금속 재질의 토우캡이 안전화의 앞코의 내부에 구비되며, 토우캡을 통해, 낙하물로부터 작업자의 발가락을 보호하게 된다.
종래의 안전화(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드솔(2)의 상부에 토우캡(3)이 구비된다.
이 경우, 토우캡(3)의 절곡부(3a)는 미드솔(2)의 상면에 의해 지지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우캡(3)에 낙하물의 하중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절곡부(3a)가 미드솔(2)의 양측을 하부로 누르게 된다. 미드솔(2)의 양측이 눌림에 따라, 탄성계수가 크며 연질 재질의 미드솔(2)의 특성으로 인해, 절곡부(3a) 사이의 영역의 미드솔(2)이 솟아오르게 된다. 이처럼, 토우캡(3)에 하중이 가해져, 미드솔(2)이 솟아오르게 되는 현상을 스프링 현상이라 한다.
위와 같은 스프링 현상은, 토우캡(1)과 미드솔(2) 사이의 높이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발등에 토우캡(100)이 닿게 되어, 사용자의 발등이 다치는 부상의 원인이 된다.
이에, 스프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화들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스프링 방지 안전화에 관한 특허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90573호(이하, '특허문헌 1' 이라 한다)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32257호(이하, '특허문헌 2' 라 한다)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경우, 미드솔 부재의 선단부에 다수의 강철볼들을 함입시켜, 외부 하중이 토우캡에 가해지더라도, 미드솔 부재가 강철볼의 직경만큼 눌려지지 않도록 하여 발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경우, 토우캡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지게 되면, 강철불이 연질의 미드솔 부재를 누르게 되므로, 스프링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특허문헌 2의 경우에도, 편자형 지지부재로, 토우캡의 절곡부의 하부를 지지하더라도, 토우캡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짐에 따라, 스프링 현상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위와 같이, 단순히, 토우캡의 절곡부를 경질의 부재로 지지하는 것만으로는 스프링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없어 낙하물에 의해 토우캡에 충격이 가해지면 토우캡 내부의 공간이 줄어듬으로써, 발등이 토우캡에 닿아 부상이 발생하게 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90573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3225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프링 현상을 방지하여, 발에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안전화는, 앞코의 내부에 토우캡이 구비되는 안전화에 있어서, 미드솔과 상기 토우캡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방지부는, 상기 미드솔의 좌측에 배치되며, 그 상면이 상기 토우캡의 절곡부의 좌측 하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미드솔의 우측에 배치되며, 그 상면이 상기 토우캡의 절곡부의 우측 하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연결하며, 그 하면이 상기 미드솔의 상면에 안착되는 브릿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2지지부 각각의 상면에는 상기 미드솔의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2지지부 각각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2경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2지지부 각각이 상기 절곡부의 좌, 우측 각각을 상기 미드솔의 외측에서 감싸는 형상을 갖도록, 상기 제1, 2상부 경사면의 최상부 각각은 상기 절곡부의 좌, 우측 하면 각각보다 상기 미드솔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드솔의 좌, 우측 각각에는 제1, 2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지지부 각각은 상기 제1, 2홈 각각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
또한, 상기 제1, 2지지부의 삽입부 영역의 각각의 형상은 상기 제1, 2홈 각각의 형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2지지부 각각의 상면에는 상기 미드솔의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2지지부 각각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2경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2홈 각각에는 상기 미드솔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미드솔의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2홈 경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2지지부 각각의 하면에는 상기 미드솔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 2지지부 각각의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3, 4경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홈의 바닥과 상기 제1지지부의 하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홈의 깊이는 상기 제1지지부의 높이보다 깊게 형성되고, 상기 제2홈의 바닥과 상기 제2지지부의 하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2홈의 깊이는 상기 제2지지부의 높이보다 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 방지부의 재질은 상기 미드솔의 재질보다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릿지의 전방에는 상기 토우캡의 전방 형상과 대응되는 전방 곡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릿지는 상기 미드솔의 상부에 구비되는 안창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안전화는, 앞코의 내부에 토우캡이 구비되는 안전화에 있어서, 미드솔과 상기 토우캡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방지부는, 그 하면이 상기 미드솔의 상면에 설치되는 브릿지; 및 상기 브릿지의 좌, 우측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토우캡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브릿지에 인장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미드솔의 좌, 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 2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토우캡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질수록 상기 브릿지에 발생하는 인장력이 더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우캡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제1, 2지지부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릿지와 상기 제1, 2지지부는 별도로 제작되어 상호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릿지와 상기 제1, 2지지부는 일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안전화는, 앞코의 내부에 토우캡이 구비되는 안전화에 있어서, 미드솔과 상기 토우캡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방지부는, 상기 미드솔의 좌측에 형성된 제1홈에 삽입되며, 그 상면이 상기 토우캡의 절곡부의 좌측 하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미드솔의 우측에 형성된 제2홈에 삽입되며, 그 상면이 상기 토우캡의 절곡부의 우측 하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의 상면에는 상기 미드솔의 좌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지지부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부의 상면에는 상기 미드솔의 우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2지지부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부가 구비되며, 상기 토우캡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제1지지부에 의해 상기 미드솔의 좌측 하부 방향으로 힘이 발생되고, 상기 제2지지부에 의해 상기 미드솔의 우측 하부 방향으로 힘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홈에는 상기 미드솔의 좌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미드솔의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홈 경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홈에는 상기 미드솔의 우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미드솔의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홈 경사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부의 하면에는 상기 미드솔의 좌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지지부의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3경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부의 하면에는 상기 미드솔의 우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2지지부의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4경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안전화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토우캡에 가해지는 하중이 토우캡을 지지하는 제1, 2지지부로 전달되어 브릿지가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브릿지가 미드솔의 중앙 영역이 솟아오르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스프링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제1, 2지지부 각각의 제1, 2경사면을 통해, 토우캡에 하중이 전달되면, 제1, 2지지부에 의해 인장력이 발생되어 브릿지가 더욱 팽팽하게 유지되고, 이로 인해, 스프링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 2지지부 각각이 제1, 2홈에 삽입되어 브릿지에 인장력을 발생시켜 브릿지가 더욱 팽팽해질 수 있으며, 미드솔의 솟아오름을 완전히 억제할 수 있다.
제3, 4경사부를 통해 제1, 2지지부 각각이 쐐기 기능을 하여 브릿지에 인장력을 발생시키므로, 스프링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가 이동 가능한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브릿지의 인장력을 더욱 크게 하여, 스프링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안전화의 후방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안전화에 충격이 가해질 때 발생되는 스프링 현상을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후방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미드솔에 스프랭백 방지부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후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스프링 방지부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스프링 방지부의 브릿지의 변형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후방 단면도.
도 9는 도 8의 미드솔의 평면도.
도 10은 도 8의 미드솔의 후방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미드솔에 스프링 방지부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후방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후방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미드솔의 평면도.
도 14는 도 12의 미드솔의 후방 단면도.
도 15(a) 및 도 15(b)는 도 14의 스프링 방지부의 사시도.
도 16은 도 14의 미드솔에 도 15(a) 및 도 15(b)의 스프링 방지부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후방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후방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후방 단면도.
도 19는 도 18의 미드솔에 스프랭백 방지부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후방 단면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 도인 단면도 및/또는 사시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후방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미드솔에 스프랭백 방지부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후방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스프링 방지부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는, 안전화(10)의 앞코의 내부에 구비되는 토우캡(100);과,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안창(200);과, 안창(200)의 하부에 구비되는 미드솔(300);과, 미드솔(3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안전화(10)의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400);과, 토우캡(100)의 외면을 감싸며, 안전화(10)의 외면 및 형상을 이루는 외피(500);와, 미드솔(300)과 토우캡(100)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 방지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토우캡(100)은 안전화(10)의 앞코의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F)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토우캡(100)은 금속 등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토우캡(100)에는 토우캡(100)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절곡부(110)가 구비된다.
토우캡(100)은 전방벽, 상부벽, 좌측벽 및 우측벽이 각각 토우캡(100)의 전방면, 상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이룬다.
토우캡(100)은 전방벽, 좌측벽 및 우측벽 각각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된 절곡부(110)가 토우캡(100)의 바닥면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토우캡(100)은 바닥면의 일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전방벽, 상부벽, 좌측벽 및 우측벽에 의해 전방면, 상면, 좌측면 및 우측면이 폐쇄된 형상을 갖게 된다.
이러한 전방벽, 상부벽, 좌측벽 및 우측벽은 서로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전방벽, 상부벽, 좌측벽 및 우측벽 각각이 곡면으로 처리되어, 토우캡(100)의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전체적으로 유선형 형상을 갖는다.
절곡부는 전방벽, 좌측벽 및 우측벽 각각의 하부에 절곡되어 연장되게 형성된다.
절곡부는 토우캡(100)의 바닥면의 일부만을 이루게 된다. 절곡부(110)는 전체적으로 'U' 자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토우캡(100)의 바닥면은 'U' 자 형상의 내부가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절곡부(110)는 전방벽, 좌측벽 및 우측벽 각각의 내면과, 절곡부(110)의 상면이 이루는 사잇각이 90°이상이 되도록, 토우캡(100)의 바닥면 방향으로 절곡된다. 이 경우, 절곡부(110)의 폭은 수㎜ 내지 수십㎜의 길이를 갖는다.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상부에는 안창(200)이 구비되며, 안창(200)은 발바닥이 닿는 부분이다.
안창(200)의 하부에는 미드솔(300)이 구비되며, 미드솔(300)의 하부에는 안전화(10)의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400)이 구비된다.
또한, 토우캡(100)의 외면에는 외피(500)가 감싸지며, 이러한 외피(500)는 안전화(10)의 외면 및 형상을 이룬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전화(10)는 미드솔(300)과 미드솔(300)의 하부에 아웃솔(400)이 구비됨으로써, 아웃솔(400)이 안전화(10)의 바닥을 이루는 다층 겉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안전화(10)는 미드솔(300) 또는 아웃솔(400)만으로 구비됨으로써, 미드솔(300) 또는 아웃솔(400)이 안전화(10)의 바닥을 이루는 단층 겉창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스프링 방지부(6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방지부(600)는, 미드솔(300)의 좌측에 배치되며, 그 상면이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좌측 하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610);와, 미드솔(300)의 우측에 배치되며, 그 상면이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우측 하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620);와, 제1지지부(610)와 제2지지부(620)를 연결하며, 그 하면이 미드솔(300)의 상면에 안착되는 브릿지(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방지부(600)는, 그 하면이 미드솔(300)의 상면에 설치되는 브릿지(630);와, 브릿지(630)의 좌, 우측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토우캡(100)에 하중이 가해지면 브릿지(630)에 인장력을 발생시키며, 미드솔(300)의 좌, 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 2지지부(610, 6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지지부(610)는 미드솔(300)의 좌측에 배치되어 설치되고, 제2지지부(620)는 미드솔(300)의 우측에 배치되어 설치된다.
제1지지부(610)와 제2지지부(620)는 브릿지(63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1지지부(610)의 하면은 미드솔(300)의 좌측 상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1지지부(610)는 미드솔(300)의 좌측 상면에 설치된다.
제1지지부(610)의 상면은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좌측 하면을 지지한다.
제1지지부(610)의 상면에는 미드솔(300)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제1지지부(610)의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경사부(611)가 구비된다.
제1경사부(611)는 미드솔(300)의 좌측 방향으로 갈수록 제1지지부(610)의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경사부(611)는 미드솔(300)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제1지지부(610)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경사부(611)는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좌측 하면을 지지한다. 다시 말해, 제1경사부(611)는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좌측 하면에 접하게 된다.
이 경우, 제1경사부(611)의 최상부는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좌측 하면보다 미드솔(300)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1지지부(610)는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좌측을 미드솔(300)의 외측에서 감싸는 형상을 갖게 된다.
제2지지부(620)의 하면은 미드솔(300)의 우측 상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2지지부(620)는 미드솔(300)의 우측 상면에 설치된다.
제2지지부(620)의 상면은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우측 하면을 지지한다.
제2지지부(620)의 상면에는 미드솔(300)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제2지지부(620)의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경사부(621)가 구비된다.
제2경사부(621)는 미드솔(300)의 우측 방향으로 갈수록 제2지지부(620)의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경사부(621)는 미드솔(300)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제1지지부(610)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2경사부(621)는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우측 하면을 지지한다. 다시 말해, 제2경사부(621)는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우측 하면에 접하게 된다.
이 경우, 제2경사부(621)의 최상부는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우측 하면보다 미드솔(300)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2지지부(620)는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우측을 미드솔(300)의 외측에서 감싸는 형상을 갖게 된다.
전술한 제1경사부(611), 제2경사부(621)는 직선 형상의 경사부일수도 있고, 곡선 형상의 경사부일수도 있다.
브릿지(630)는 제1, 2지지부(610, 620)를 연결하도록 제1, 2지지부(610, 620) 사이에 배치된다.
브릿지(630)의 하면은 미드솔(300)의 상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브릿지(630)는 미드솔(300)의 상면에 설치된다.
브릿지(630)는 좌, 우측 상면이 제1, 2지지부(610, 620)의 하면 각각에 연결되어 제1, 2지지부(610, 620)를 연결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630)의 전방에는 토우캡(100)의 전방 형상과 대응되는 전방 곡면부(631)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브릿지(630)의 전체적인 형상은 안전화(10)의 앞코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위와 달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630a)는 다른 변형 예를 갖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스프링 방지부의 브릿지의 변형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브릿지(630a)는 그 전체적인 형상이 미드솔(3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안창(2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이 경우, 브릿지(630a)는 안창(200)과 미드솔(3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따라서, 브릿지(630a)를 구비한 스프링 방지부가 구비되더라도, 별도의 부재 없이 브릿지(630a)의 상부에 바로 안창(200)을 결합시킴으로써, 안전화(10)를 더욱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스프링 방지부(600), 즉, 브릿지(630) 및 제1, 2지지부(610, 620)의 재질은 미드솔(300)의 재질보다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 방지부(600), 즉, 브릿지(630) 및 제1, 2지지부(610, 620)는 미드솔(300)보다 탄성계수가 낮다.
전술한 브릿지(630) 및 제1, 2지지부(610, 620)의 재질은 경질의 강화 패브릭, 또는 경질의 에폭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릿지(630) 및 제1, 2지지부(610, 620)은 서로 동일한 동종 재질 또는 서로 다른 이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릿지(630) 및 제1, 2지지부(610, 620)은 사출 가공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스프링 방지부(600)는 낙하물에 의해 토우캡(100)의 상부벽에 하중이 가해질 때, 미드솔(300)의 전방 중앙부가 솟아오르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스프링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낙하물에 의해 토우캡(100)의 상부벽에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절곡부(110)의 좌측을 통해, 제1지지부(610)의 제1경사부(611)에 하중이 전달되고, 절곡부(110)의 우측을 통해, 제2지지부(620)의 제2경사부(621)에 하중이 전달된다.
브릿지(630)는 팽팽한 상태로 그 하면이 미드솔(300)의 상면에 안착 및 결합되도록 미드솔(300)에 설치되는데, 위와 같이, 제1, 2지지부(610, 620)에 하중이 전달되면, 팽팽한 브릿지(630)가 미드솔(300)의 중앙부가 솟아오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경사부(611)가 제1지지부(610)의 좌측으로 갈수록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제1경사부(611)에 가해지는 힘은, 제1지지부(610)의 좌측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제2경사부(621)가 제2지지부(620)의 우측으로 갈수록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제2경사부(621)에 가해지는 힘은, 제2지지부(620)의 우측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위와 같이, 낙하물의 하중이 토우캡(100)의 절곡부(110) 및 제1, 2경사부(611, 621)로 전달되어 제1, 2지지부(610, 620)에는 각각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다시 말해, 제1, 2지지부(610, 620)는 미드솔(300)의 외측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위와 같이, 제1, 2지지부(610, 620)에 각각 좌측과 우측 방향 즉, 미드솔(300)의 외측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됨에 따라, 브릿지(630)에는 인장력이 작용하게 된다.
제1, 2지지부(610, 620)에 의해 발생된 인장력으로 인해, 브릿지(630)가 더욱 팽팽하게 유지된다.
한편, 제1, 2지지부(610, 620)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내리 눌리는 힘이 작용하게 되어 미드솔(300)의 좌, 우측에 하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미드솔(300)의 중앙 영역이 상부로 솟아오르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이, 인장력으로 인해 팽팽하게 유지된 브릿지(630)는 미드솔(300)의 중앙 영역이 상부로 솟아오르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게 된다. 따라서, 브릿지(630)가 구비된 미드솔(300)의 영역은 상부로 솟아오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안전화와 달리,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안전화(10)는 스프링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토우캡(100)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짐에 따라, 브릿지(630)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더욱 커지게 됨으로써, 미드솔(300)의 솟아오름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는 토우캡(100)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질수록 브릿지(630)에 발생하는 인장력이 더 커지게 되며, 이를 통해, 스프링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토우캡(100)에 하중이 가해지면 제1, 2지지부(610, 620)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브릿지(630)에 인장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는 종래의 안전화에서 발생되는 스프링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토우캡(100)의 상부벽과 미드솔(300)의 상면 사이의 공간이 줄어들어 사용자의 발등이 토우캡(100)의 상부벽에 닿게 됨으로써, 발등에 부상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스프링 방지부(600)는, 브릿지(630)와 제1, 2지지부(610, 620)는 별도로 제작되어 상호 접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브릿지(630)와 제1, 2지지부(610, 620)는 서로 다른 이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의 스프링 방지부(600')는 브릿지(630)와 제1, 2지지부(610', 620')가 별도로 제작되어 상호 접합되며, 서로 다른 이종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위와 달리, 스프링 방지부(600)는, 브릿지(630)와 제1, 2지지부(610, 620)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브릿지(630)와 제1, 2지지부(610, 620)는 서로 동일한 동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도 12, 도 15(a), 도 15(b)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의 스프링 방지부(600")는 브릿지(630)와 제1, 2지지부(610", 620")가 일체로 제작되며, 서로 동일한 동종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후방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미드솔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미드솔의 후방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미드솔에 스프링 방지부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후방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는, 안전화(10)의 앞코의 내부에 구비되는 토우캡(100);과, 제1홈(310') 및 제2홈(320') 각각이 양측에 구비된 미드솔(300');과, 미드솔(3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안전화(10)의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400);과, 미드솔(300')과 토우캡(100)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 방지부(600');를 포함하고, 스프링 방지부(600')는, 제1홈(310')에 삽입되어 미드솔(300')의 좌측에 배치되며, 그 상면이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좌측 하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610');와, 제2홈(320')에 삽입되어 미드솔(300')의 우측에 배치되며, 그 상면이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우측 하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620');와, 제1지지부(610')와 제2지지부(620')를 연결하며, 그 하면이 미드솔(300')의 상면에 안착되는 브릿지(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와 비교하여, 미드솔(300')의 양측에 제1, 2홈(310', 320')이 각각 구비되고, 스프링 방지부(600')의 제1, 2지지부(610', 620') 각각이 제1, 2홈(310', 320') 각각에 삽입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하다. 따라서,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에 대한 설명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의 구성이 대체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미드솔(300')의 전방 좌측에는 제1홈(310')이 구비되고, 미드솔(300')의 전방 우측에는 제2홈(320')이 구비된다.
제1홈(310')은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좌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2홈(320')은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우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홈(310')의 내부에는 제1지지부(610')가 삽입되어 위치하고, 제1홈(310')의 상부에는 제1지지부(610')에 의해 지지되는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좌측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2홈(320')의 내부에는 제2지지부(620')가 삽입되어 위치하고, 제2홈(320')의 상부에는 제2지지부(620')에 의해 지지되는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우측이 위치하게 된다.
제1지지부(610')는 제1홈(310')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1지지부(610')는 제1홈(310')에 삽입된 채, 미드솔(300')에 설치된다.
이 경우, 제1지지부(610')의 삽입부가 제1홈(310')에 빈틈없이 삽입되도록 제1지지부(610')의 삽입부 영역의 형상은 제1홈(31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는 제1지지부(610')의 삽입부 영역의 형상은, 그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을 갖으며, 제1홈(310')의 형상 또한 그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제2지지부(620')는 제2홈(320')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2지지부(620')는 제2홈(320')에 삽입된 채, 미드솔(300')에 설치된다.
이 경우, 제2지지부(620')의 삽입부가 제2홈(310')에 빈틈없이 삽입되도록 제2지지부(620')의 삽입부 영역의 형상은 제2홈(32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는 제2지지부(620') 삽입부 영역의 형상은, 그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을 갖으며, 제2홈(320')의 형상 또한 그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을 갖을 수 있다.
브릿지(630)는 제1지지부(610')와 제2지지부(620')를 연결하며, 브릿지(630)의 하면은 미드솔(300')의 상면에 결합된다.
제1지지부(610'), 제2지지부(620') 및 브릿지(630)는 하나의 바디로 사출 성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제1지지부(610') 및 제2지지부(620')를 연결하는 브릿지(630)는 그 하면이 제1, 2홈(310', 320') 사이의 미드솔(300')의 상면 영역 안착되어 결합된다. 이 경우, 브릿지(630)는 팽팽한 상태로 상기 미드솔(300')의 상면 영역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다시 말해, 제1지지부(610') 및 제2지지부(620')가 양측에서 브릿지(630)를 당겨, 브릿지(630)에 인장력이 있는 상태로 브릿지(630)가 미드솔(300')에 안착된 채, 결합되므로, 브릿지(630)는 팽팽한 상태가 유지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의 스프링 방지부(600')는 제1, 2홈(310', 320') 각각에 삽입된 제1, 2지지부(610', 620')를 통해, 스프링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낙하물에 의해 토우캡(100)의 상부벽에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절곡부(110)의 좌측을 통해, 제1지지부(610')에 하중이 전달되고, 절곡부(110)의 우측을 통해, 제2지지부(620')에 하중이 전달된다.
이 경우, 제1지지부(610') 및 제2지지부(620') 각각은 제1홈(310') 및 제2홈(320')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브릿지(630)에 인장력이 계속적으로 가해지게 되며, 이로 인해, 브릿지(630)는 팽팽한 상태로 계속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제1, 2지지부(610, 620)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내리 눌리는 힘이 작용하게 되어 미드솔(300')의 좌, 우측에 하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미드솔(300')의 중앙 영역이 상부로 솟아오르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이, 인장력으로 인해 팽팽하게 유지된 브릿지(630)는 미드솔(300')의 중앙 영역이 상부로 솟아오르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게 된다. 따라서, 브릿지(630)가 구비된 미드솔(300')의 영역은 상부로 솟아오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안전화(10')는 스프링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토우캡(100)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짐에 따라, 브릿지(630)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더욱 커지게 됨으로써, 미드솔(300')의 솟아오름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가 스프링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토우캡(100)의 상부벽과 미드솔(300')의 상면 사이의 공간이 줄어들어 사용자의 발등이 토우캡(100)의 상부벽에 닿게 됨으로써, 발등에 부상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
이하,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후방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미드솔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미드솔의 후방 단면도이고, 도 15(a) 및 도 15(b)는 도 14의 스프링 방지부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미드솔에 도 15(a) 및 도 15(b)의 스프링 방지부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후방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는, 안전화(10)의 앞코의 내부에 구비되는 토우캡(100);과, 제1홈 경사부(311")가 구비된 제1홈(310") 및 제2홈 경사부(321")가 구비된 제2홈(320")이 양측에 구비된 미드솔(300");과, 미드솔(3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안전화(10)의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400);과, 미드솔(300")과 토우캡(100)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 방지부(600");를 포함하고, 스프링 방지부(600")는, 제1홈(310")에 삽입되어 미드솔(300")의 좌측에 배치되며, 그 상면에 제1경사부(611"")가 구비되어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좌측 하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610");와, 제2홈(320")에 삽입되어 미드솔(300")의 우측에 배치되며, 그 상면에 제2경사부(621"")가 구비되어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우측 하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620");와, 제1지지부(610")와 제2지지부(620")를 연결하며, 그 하면이 미드솔(300")의 상면에 안착되는 브릿지(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와 비교하여, 제1, 2홈(310", 320") 각각에 제1, 2홈 경사부(311", 321")가 각각 구비되고, 스프링 방지부(600")의 제1, 2지지부(610", 620") 각각의 상면에 제1, 2경사부(611", 621")가 형성되어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하다. 따라서,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 및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에 대한 설명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의 구성이 대체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미드솔(300")의 전방 좌측에는 제1홈(310")이 구비되고, 미드솔(300")의 전방 우측에는 제2홈(320")이 구비된다.
제1홈(310")은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좌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2홈(320")은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우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홈(310")의 내부에는 제1지지부(610")가 삽입되어 위치하고, 제1홈(310")의 상부에는 제1지지부(610")에 의해 지지되는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좌측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2홈(320")의 내부에는 제2지지부(620")가 삽입되어 위치하고, 제2홈(320")의 상부에는 제2지지부(620")에 의해 지지되는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우측이 위치하게 된다.
제1지지부(610")는 미드솔(300")의 제1홈(310")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1지지부(610")는 제1홈(310")에 삽입된 채, 미드솔(300")에 설치된다.
제1지지부(610")의 상면에는 제1지지부(610")의 상부로 갈수록 미드솔(300")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부(611")가 구비된다.
제1경사부(611")는 미드솔(300")의 좌측 방향으로 갈수록 제1지지부(610")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경사부(611")는 미드솔(300")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제1지지부(610")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경사부(611")는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좌측 하면을 지지한다. 다시 말해, 제1경사부(611")은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좌측 하면에 접하게 된다.
이 경우, 제1경사부(611")의 최상부는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좌측 하면보다 미드솔(300")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1지지부(610")는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좌측을 미드솔(300")의 외측에서 감싸는 형상을 갖게 된다.
제1홈(310")에는 미드솔(300")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미드솔(300")의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홈 경사부(311")가 구비된다. 다시 말해, 제1홈(310")에는 미드솔(300")의 좌측 방향으로 갈수록 미드솔(300")의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홈 경사부(311")가 구비된다.
제1지지부(610")의 하면에는 미드솔(300")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제1지지부(610")의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3경사부(613")가 구비된다. 다시 말해, 제1지지부(610")의 하면에는 미드솔(300")의 좌측 방향으로 갈수록 제1지지부(610")의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3경사부(613")가 구비된다.
위와 같이, 제1홈(310")에 제1홈 경사부(311")가 구비되고, 제1지지부(610")에 제3경사부(613")가 구비됨에 따라, 제1지지부(610")가 제1홈(310")에 삽입 시, 제1지지부(610")와 제1홈(310")에 빈틈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1지지부(610")가 제1홈(310")에 삽입 시, 제3경사부(613")와 제1홈 경사부(311")는 서로 접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지지부(610")는 제1홈(310")에 삽입된다. 이 경우, 제1지지부(610")가 제1홈(310")에 빈틈없이 삽입되도록 제1지지부(610")의 삽입부 영역의 형상은 제1홈(31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홈 경사부(311")와 제3경사부(613")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제1경사부(611"), 제3경사부(613") 및 제1홈 경사부(311")는, 직선 형상의 경사부일수도 있고, 곡선 형상의 경사부일수도 있다.
제2지지부(620")는 미드솔(300")의 제2홈(320")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2지지부(620")는 제2홈(320")에 삽입된 채, 미드솔(300")에 설치된다.
제2지지부(620")의 상면에는 제2지지부(620")의 상부로 갈수록 미드솔(300")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부(621")가 구비된다.
제2경사부(621")는 미드솔(300")의 우측 방향으로 갈수록 제2지지부(620")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경사부(621")는 미드솔(300")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제2지지부(620")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2경사부(621")는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우측 하면을 지지한다. 다시 말해, 제2경사부(621")은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우측 하면에 접하게 된다.
이 경우, 제2경사부(621")의 최상부는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우측 하면보다 미드솔(300")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2지지부(620")는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우측을 미드솔(300")의 외측에서 감싸는 형상을 갖게 된다.
제2홈(320")에는 미드솔(300")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미드솔(300")의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홈 경사부(321")가 구비된다. 다시 말해, 제2홈(320")에는 미드솔(300")의 우측 방향으로 갈수록 미드솔(300")의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홈 경사부(321")가 구비된다.
제2지지부(620")의 하면에는 미드솔(300")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제2지지부(620")의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4경사부(623")가 구비된다. 다시 말해, 제2지지부(620")의 하면에는 미드솔(300")의 우측 방향으로 갈수록 제2지지부(620")의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4경사부(623")가 구비된다.
위와 같이, 제2홈(320")에 제2홈 경사부(321")가 구비되고, 제2지지부(620")에 제4경사부(623")가 구비됨에 따라, 제2지지부(620")가 제2홈(320")에 삽입 시, 제2지지부(620")와 제2홈(320")에 빈틈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2지지부(620")가 제2홈(320")에 삽입 시, 제4경사부(623")와 제2홈 경사부(321")는 서로 접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지지부(620")는 제2홈(320")에 삽입된다. 이 경우, 제2지지부(620")가 제2홈(320")에 빈틈없이 삽입되도록 제2지지부(620")의 삽입부 영역의 형상은 제2홈(32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홈 경사부(321")와 제4경사부(623")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제2경사부(621"), 제4경사부(623") 및 제2홈 경사부(321")는, 직선 형상의 경사부일수도 있고, 곡선 형상의 경사부일수도 있다.
브릿지(630)는 제1지지부(610")와 제2지지부(620")를 연결하며, 브릿지(630)의 하면은 미드솔(300")의 상면에 결합된다.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방지부(600")는, 브릿지(630)와 제1지지부(610") 및 제2지지부(62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630)의 전방에는 토우캡(100)의 전방 형상과 대응되는 전방 곡면부(631)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브릿지(630)의 전체적인 형상은 안전화(10)의 앞코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위와 달리, 브릿지는 전술한 도 4의 다른 변형 예의 브릿지(630a)와 같이, 그 전체적인 형상이 미드솔(3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안창(2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브릿지는 제1, 2지지부(610", 6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부(610") 및 제2지지부(620")를 연결하는 브릿지(630)는 그 하면이 제1, 2홈(310", 320") 사이의 미드솔(300")의 상면 영역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이 경우, 브릿지(630)는 팽팽한 상태로 상기 미드솔(300")의 상면 영역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다시 말해, 제1지지부(610") 및 제2지지부(620")가 양측에서 브릿지(630)를 당겨, 브릿지(630)에 인장력이 있는 상태로 브릿지(630)가 미드솔(300")에 안착된 채, 결합되므로, 브릿지(630)는 팽팽한 상태가 유지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의 스프링 방지부(600")는 제1, 2홈(310", 320") 각각에 삽입된 제1, 2지지부(610", 620")를 통해, 스프링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낙하물에 의해 토우캡(100)의 상부벽에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절곡부(110)의 좌측을 통해, 제1지지부(610")의 제1경사부(611")에 하중이 전달되고, 절곡부(110)의 우측을 통해, 제2지지부(620")의 제2경사부(621")에 하중이 전달된다.
이 경우, 제1경사부(611")가 제1지지부(610")의 좌측으로 갈수록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제1경사부(611")에 가해지는 힘은, 제1지지부(610")의 좌측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제2경사부(621")가 제2지지부(620")의 우측으로 갈수록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제2경사부(621")에 가해지는 힘은, 제2지지부(620")의 우측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위와 같이, 낙하물의 하중이 토우캡(100)의 절곡부(110) 및 제1, 2경사부(611", 621")로 전달되어 제1, 2지지부(610", 620")에는 각각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다시 말해, 제1, 2지지부(610", 620")는 미드솔(300")의 외측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위와 같이, 제1, 2지지부(610", 620")에 각각 좌측과 우측 방향 즉, 미드솔(300")의 외측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됨에 따라, 브릿지(630)에는 인장력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제1지지부(610") 및 제2지지부(620") 각각은 제1홈(310") 및 제2홈(320")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브릿지(630)에 인장력이 계속적으로 가해지게 된다.
위와 같이, 브릿지(630)는 제1, 2홈(310", 320") 및 제1, 2경사부(611", 621")에 의해 인장력이 가해지게 된다.
나아가, 제1지지부(610")에 하중이 가해질 때, 제1지지부(610")의 제3경사부(613")가 제1홈 경사부(311")에 접하여 있으므로, 제1지지부(610")는 하중이 가해질수록 제1지지부(610")의 좌측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즉, 제1홈 경사부(311") 및 제3경사부(613")에 의해, 제1지지부(610")가 일종의 쐐기 기능을 함으로써, 제1지지부(610")의 좌측, 즉, 미드솔(300")의 외측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2지지부(620")에 하중이 가해질 때, 제2지지부(620")의 제4경사부(623")가 제2홈 경사부(321")에 접하여 있으므로, 제2지지부(620")는 하중이 가해질수록 제2지지부(620")의 우측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즉, 제2홈 경사부(321") 및 제4경사부(623")에 의해, 제2지지부(620")가 일종의 쐐기 기능을 함으로써, 제2지지부(620")의 우측, 즉, 미드솔(300")의 외측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제1, 2지지부(610", 620")의 제1, 2경사부(611", 621") 및 제3, 4경사부(613", 623")의 형상과, 제1, 2홈(310", 320")의 제1, 2홈 경사부(311", 321")의 형상 및 제1, 2지지부(610", 620")가 제1, 2홈(310", 320") 각각에 빈틈없이 삽입되는 구성으로 인해, 낙하물의 하중이 토우캡(100)으로 전달되면, 제1, 2지지부(610", 620")를 통해, 브릿지(630)에 인장력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브릿지(630)는 팽팽한 상태로 계속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제1, 2지지부(610", 620")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내리 눌리는 힘이 작용하게 되어 미드솔(300")의 좌, 우측에 하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미드솔(300")의 중앙 영역이 상부로 솟아오르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이, 인장력으로 인해 팽팽하게 유지된 브릿지(630)는 미드솔(300")의 중앙 영역이 상부로 솟아오르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게 된다. 따라서, 브릿지(630)가 구비된 미드솔(300")의 영역은 상부로 솟아오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의 안전화(10")는 스프링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토우캡(100)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짐에 따라, 브릿지(630)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더욱 커지게 됨으로써, 미드솔(300")의 솟아오름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가 스프링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토우캡(100)의 상부벽과 미드솔(300")의 상면 사이의 공간이 줄어들어 사용자의 발등이 토우캡(100)의 상부벽에 닿게 됨으로써, 발등에 부상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a)
이하,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a)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후방 단면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a)는, 안전화(10a)의 앞코의 내부에 구비되는 토우캡(100);과, 제1홈 경사부(311a)가 구비된 제1홈(310a) 및 제2홈 경사부(321a)가 구비된 제2홈(320a)이 양측에 구비된 미드솔(300a);과, 미드솔(300a)의 하부에 구비되어 안전화(10)의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400);과, 미드솔(300a)과 토우캡(100)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 방지부(600a);를 포함하고, 스프링 방지부(600a)는, 제1홈(310a)에 삽입되어 미드솔(300a)의 좌측에 배치되며, 그 상면에 제1경사부(611a)가 구비되어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좌측 하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610a);와, 제2홈(320a)에 삽입되어 미드솔(300a)의 우측에 배치되며, 그 상면에 제2경사부(621a)가 구비되어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우측 하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620a);와, 제1지지부(610a)와 제2지지부(620a)를 연결하며, 그 하면이 미드솔(300a)의 상면에 안착되는 브릿지(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1홈(310a)의 바닥과 제1지지부(610a)의 하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1홈(310a)의 깊이는 제1지지부(610a)의 높이보다 깊게 형성되고, 제2홈(320a)의 바닥과 제2지지부(620a)의 하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2홈(320a)의 깊이는 제2지지부(620a)의 높이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a)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와 비교하여 제1홈(310a) 및 제2홈(320a) 각각에서 삽입되는 제1지지부(610a) 및 제2지지부(620a)의 크기에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하다. 따라서, 전술한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에 대한 설명으로,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a)의 구성이 대체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홈(310a)의 깊이는 제1지지부(610a)의 높이보다 깊게 형성된다. 즉, 제1지지부(610a)의 높이는 제1홈(310a)의 깊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홈(310a)에 제1지지부(610a)가 삽입되면, 제1지지부(610a)의 하면과 제1홈(310a)의 바닥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제1홈(310a)에 제1지지부(610a)가 삽입되면, 제1지지부(610a)의 제3경사부(613a)는 제1홈(310a)의 제1홈 경사면(311a)의 상부 영역에 접하게 된다.
제2홈(320a)의 깊이는 제2지지부(620a)의 높이보다 깊게 형성된다. 즉, 제2지지부(620a)의 높이는 제2홈(320a)의 깊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홈(320a)에 제2지지부(620a)가 삽입되면, 제2지지부(620a)의 하면과 제2홈(320a)의 바닥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제2홈(320a)에 제2지지부(620a)가 삽입되면, 제2지지부(620a)의 제4경사부(623a)는 제2홈(320a)의 제2홈 경사면(321a)의 상부 영역에 접하게 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a)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와 비교하여 브릿지(630)에 더욱 높은 인장력이 발휘되어 스프링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낙하물에 의해 토우캡(100)의 상부벽에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하중은 제1지지부(610a)로 전달된다.
이 후, 제1경사부(611a) 및 제3경사부(613a)로 인해, 상기 제1지지부(610a)에 전달된 하중은, 안전화(10a), 즉, 미드솔(300a)의 좌측 하부 방향으로 제1지지부(610a)에 힘이 작용하게 된다. 제1지지부(610a)의 하면과 제1홈(310a)의 바닥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지지부(610a)는 제3경사부(613a) 및 제1홈 경사면(311a)을 따라 안전화(10a), 즉, 미드솔(300a)의 좌측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낙하물에 의해 토우캡(100)의 상부벽에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하중은 제2지지부(620a)로도 전달된다.
이 후, 제2경사부(621a) 및 제4경사부(623a)로 인해, 상기 제2지지부(620a)에 전달된 하중은, 안전화(10a), 즉, 미드솔(300a)의 우측 하부 방향으로 제1지지부(610a)에 힘이 작용하게 된다.
제2지지부(620a)의 하면과 제2홈(320a)의 바닥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지지부(620a)는 제4경사부(623a) 및 제2홈 경사면(321a)을 따라 안전화(10a), 즉, 미드솔(300a)의 우측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위와 같이, 제1지지부(610a) 및 제2지지부(620a)가 각각 안전화(10a)의 좌측 하부 및 우측 하부로 이동됨으로써, 제1지지부(610a) 및 제2지지부(620a)에 의해 발생되는 브릿지(630)의 인장력이 더욱 크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낙하물에 의한 스프링 현상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a)는, 제1지지부(610a) 및 제2지지부(620a)가 이동 가능한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제3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보다 브릿지(630)의 인장력을 더욱 크게 하여, 스프링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b)
이하,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b)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의 후방 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미드솔에 스프랭백 방지부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후방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b)는, 안전화(10b)의 앞코의 내부에 구비되는 토우캡(100);과, 제1홈 경사부(311b)가 구비된 제1홈(310b) 및 제2홈 경사부(321b)가 구비된 제2홈(320b)이 양측에 구비된 미드솔(300b);과, 미드솔(300b)의 하부에 구비되어 안전화(10)의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400);과, 미드솔(300b)과 토우캡(100)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 방지부(600b);를 포함하고, 스프링 방지부(600b)는, 미드솔(300b)의 좌측에 형성된 제1홈(310b)에 삽입되며, 그 상면이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좌측 하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610b);와, 미드솔(300b)의 우측에 형성된 제2홈(320b)에 삽입되며, 그 상면 토우캡(100)의 절곡부(110)의 우측 하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620b);를 포함하고, 제1지지부(610b)의 상면에는 미드솔(300b)의 좌측으로 갈수록 제1지지부(610b)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부(611b)가 구비되고, 제2지지부(620b)의 상면에는 미드솔(300b)의 우측으로 갈수록 제2지지부(620b)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부(621b)가 구비되며, 토우캡(100)에 하중이 가해지면, 제1지지부(610b)에 의해 미드솔(300b)의 좌측 하부 방향으로 힘이 발생되고, 제2지지부(620b)에 의해 미드솔(300b)의 우측 하부 방향으로 힘이 발생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b)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와 비교하여 브릿지가 구비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하다. 따라서, 전술한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에 대한 설명으로,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b)의 구성이 대체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와 같이, 브릿지가 구비되지 않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b)의 경우에도, 낙하물에 의해 토우캡(100)의 상부벽에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제1홈 경사면(311b), 제1경사부(611b) 및 제3경사부(613b)에 의해 제1지지부(610b)에는 안전화(10b), 즉, 미드솔(300b)의 좌측 하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고, 제2홈 경사면(321b), 제2경사부(621b) 및 제4경사부(623b)에 의해 제2지지부(620b)에는 안전화(10b), 즉, 미드솔(300b)의 우측 하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된다.
요약하면, 토우캡(100)에 하중이 가해지면, 제1, 2지지부(610b, 620b)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이다.
이처럼, 낙하물의 하중으로 인해 제1지지부(610b) 및 제2지지부(620b)에 안전화(10b), 즉, 미드솔(300b)의 양측 방향으로 힘이 가해짐에 따라, 미드솔(300b) 자체에 인장력이 발생하게 되고, 토우캡(100)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질수록 미드솔(300b)에 발생되는 인장력이 더 커지게 된다.
위와 같이, 낙하물의 하중이 가해짐에 따라 미드솔(300b)의 인장력이 더 커지게 되므로, 스프링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안전화(10b)는, 제1지지부(610b)와 제2지지부(620b)를 연결하는 브릿지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미드솔(300b) 자체에 인장력을 발생시켜, 스프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10', 10", 10a, 10b: 안전화
100: 토우캡 110: 절곡부
200: 안창
300, 300', 300", 300a, 300b: 미드솔
310', 310", 310a, 310b: 제1홈
311", 311a, 311b: 제1홈 경사면
320', 320", 320a, 320b: 제2홈
321", 321a, 321b: 제2홈 경사면
400: 아웃솔 500: 외피
600, 600', 600", 600a, 600b: 스프링 방지부
610, 610', 610", 610a, 610b: 제1지지부
611, 611", 611a, 611b: 제1경사부
613", 613a, 613b: 제3경사부
620, 620', 620", 620a, 620b: 제2지지부
621, 621", 621a, 621b: 제2경사부
623", 623a, 623b: 제4경사부
630, 630a: 브릿지 631: 전방 곡면부

Claims (5)

  1. 앞코의 내부에 토우캡이 구비되는 안전화에 있어서,
    미드솔과 상기 토우캡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방지부는,
    상기 미드솔의 좌측에 배치되며, 그 상면이 상기 토우캡의 절곡부의 좌측 하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미드솔의 우측에 배치되며, 그 상면이 상기 토우캡의 절곡부의 우측 하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연결하며, 그 하면이 상기 미드솔의 상면에 안착되는 브릿지;를 포함하는 안전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지지부 각각의 상면에는 상기 미드솔의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2지지부 각각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2경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의 좌, 우측 각각에는 제1, 2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지지부 각각은 상기 제1, 2홈 각각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
  4. 앞코의 내부에 토우캡이 구비되는 안전화에 있어서,
    미드솔과 상기 토우캡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방지부는,
    그 하면이 상기 미드솔의 상면에 설치되는 브릿지; 및
    상기 브릿지의 좌, 우측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토우캡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브릿지에 인장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미드솔의 좌, 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 2지지부;를 포함하는 안전화.
  5. 앞코의 내부에 토우캡이 구비되는 안전화에 있어서,
    미드솔과 상기 토우캡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방지부는,
    상기 미드솔의 좌측에 형성된 제1홈에 삽입되며, 그 상면이 상기 토우캡의 절곡부의 좌측 하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미드솔의 우측에 형성된 제2홈에 삽입되며, 그 상면이 상기 토우캡의 절곡부의 우측 하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의 상면에는 상기 미드솔의 좌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지지부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부의 상면에는 상기 미드솔의 우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2지지부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부가 구비되며,
    상기 토우캡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제1지지부에 의해 상기 미드솔의 좌측 하부 방향으로 힘이 발생되고, 상기 제2지지부에 의해 상기 미드솔의 우측 하부 방향으로 힘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
KR1020230001873A 2021-01-29 2023-01-05 안전화 KR202300089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1873A KR20230008907A (ko) 2021-01-29 2023-01-05 안전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389A KR102409827B1 (ko) 2021-01-29 2021-01-29 안전화
KR1020210175304A KR102487428B1 (ko) 2021-01-29 2021-12-09 안전화
KR1020230001873A KR20230008907A (ko) 2021-01-29 2023-01-05 안전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304A Division KR102487428B1 (ko) 2021-01-29 2021-12-09 안전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907A true KR20230008907A (ko) 2023-01-16

Family

ID=8221625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389A KR102409827B1 (ko) 2021-01-29 2021-01-29 안전화
KR1020210175304A KR102487428B1 (ko) 2021-01-29 2021-12-09 안전화
KR1020230001873A KR20230008907A (ko) 2021-01-29 2023-01-05 안전화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389A KR102409827B1 (ko) 2021-01-29 2021-01-29 안전화
KR1020210175304A KR102487428B1 (ko) 2021-01-29 2021-12-09 안전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098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8969A1 (ko) * 2022-06-10 2023-12-14 신재웅 안전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573Y1 (ko) 2002-05-29 2002-10-04 주식회사 트렉스타 안전화용 미드솔
KR200332257Y1 (ko) 2003-08-13 2003-11-05 주식회사영풍제화 안전화의 토우캡 지지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1718B1 (ko) * 2003-11-06 2006-05-22 한국과학기술원 안전화용 복합재료 선심구조
KR101433355B1 (ko) * 2014-02-27 2014-08-22 (주)빅토스 트레킹화용 미드솔
KR101879313B1 (ko) * 2017-01-16 2018-07-17 신재웅 안전화 토캡용 유동형 보강재
KR101973769B1 (ko) * 2018-11-21 2019-09-02 신재웅 토우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573Y1 (ko) 2002-05-29 2002-10-04 주식회사 트렉스타 안전화용 미드솔
KR200332257Y1 (ko) 2003-08-13 2003-11-05 주식회사영풍제화 안전화의 토우캡 지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0057A (ko) 2022-08-05
KR102409827B1 (ko) 2022-06-22
KR102487428B1 (ko) 202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6485B2 (en)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n impact absorber and having an upper decoupled from its sole in a midfoot region
US8418379B2 (en) Shoe sole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JP2023174819A (ja) シューズ用ソールおよびシューズ
EP3270726B1 (en) Sole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a sole structure
US5729916A (en) Shoe with energy storing spring having overload protection mechanism
KR20230008907A (ko) 안전화
KR101724626B1 (ko) 압력 분산 구조의 안전화 토캡용 보강재
JP2012532732A (ja) 履物用トーキャプ及びそのトーキャプが一体化されたアウトソール
JP2022136233A (ja) シューズ用ソールの衝撃緩衝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シューズ
KR20190084802A (ko) 접지력이 향상된 다목적 신발밑창
JP5764648B2 (ja) 運動靴
JP7115860B2 (ja) シューズ用ソールの衝撃緩衝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シューズ
KR101251586B1 (ko) 충격흡수 및 충격분산기능이 구비된 신발밑창
KR200408738Y1 (ko) 안전화용 내답판
EP4140344B1 (en) Sole and shoe
JP5848319B2 (ja) 背を高く見せる靴
KR102576313B1 (ko) 충격흡수구조를 포함하는 풋웨어 아웃솔 시스템
WO2020261319A1 (ja)
KR200482490Y1 (ko) 신발 밑창
JP5912515B2 (ja) 作業靴および甲プロテクター
KR200446203Y1 (ko)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및 신발
JP6265359B1 (ja) 履物
KR101733721B1 (ko) 신발 뒤꿈치용 보강구
WO2020096044A1 (ja) シューズ
US20060101668A1 (en) Mid-s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