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490Y1 - 신발 밑창 - Google Patents

신발 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490Y1
KR200482490Y1 KR2020160000025U KR20160000025U KR200482490Y1 KR 200482490 Y1 KR200482490 Y1 KR 200482490Y1 KR 2020160000025 U KR2020160000025 U KR 2020160000025U KR 20160000025 U KR20160000025 U KR 20160000025U KR 200482490 Y1 KR200482490 Y1 KR 2004824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protrusion
ground
auxiliary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0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앤지
Priority to KR20201600000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4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4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4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8Wedged end por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1메인접지부(210)와 제1보조접지부(220)를 감싸도록 신발본체(10)의 테두리를 따라 제1특수돌기(231)가 형성됨으로써, 잔디, 눈, 카페트 등 지면이 비고정형 상태일 때 이를 잡아주어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발 밑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신발 밑창은, 발을 감싸는 신발본체(10)의 하부에 장착되는 신발 밑창에 있어서, 베이스부(100);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며,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 제1메인돌기(211)로 이루어진 제1메인접지부(210);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메인접지부(210)의 전,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제1보조돌기(221)로 이루어진 제1보조접지부(220);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메인접지부(210)와 상기 제1보조접지부(220)를 감싸도록 상기 신발본체(10)의 테두리를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제1특수돌기(231)로 이루어진 제1특수접지부(23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발 밑창{The outsole of footwear}
본 고안은 신발 밑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골프나 등산 등의 스포츠 활동을 하거나 외출을 할 때 발에 착용하는 운동화에 사용되며, 지면과 접하여 접지력을 부가하는 신발 밑창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신발은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고 부상을 방지하기 위함이지만, 글래에는 보다 편안하고 가벼우며,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신발에 많은 연구와 노력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운동화는 다양한 스포츠활동이나 운동 등의 활동적인 활동을 할 때에 발을 지지해줌으로써, 사람의 점프능력이나, 달리기 속도 등의 기능을 향상시켜주기도 한다.
이러한 운동화가 일방적인 신발들과 다른 점은, 하부에 밑창이 구비되어 지면과의 접촉시 접지력이 부가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운동화의 밑창은 다수개의 돌기가 상호 이격 배치되는 형태이거나, 일정 간격으로 골이 형성된 형태이다.
그러나 종래의 운동화의 밑창은 돌기의 높이가 모두 동일하여 접지력의 향상에 한계가 있으며, 접지력이 균일하여 날씨나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미끄러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72874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메인접지부(210)와 제1보조접지부(220)를 감싸도록 신발본체(10)의 테두리를 따라 제1특수돌기(231)가 형성됨으로써, 잔디, 눈, 카페트 등 지면이 비고정형 상태일 때 이를 잡아주어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발 밑창을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신발 밑창은, 발을 감싸는 신발본체(10)의 하부에 장착되는 신발 밑창에 있어서, 베이스부(100);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며,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 제1메인돌기(211)로 이루어진 제1메인접지부(210);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메인접지부(210)의 전,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제1보조돌기(221)로 이루어진 제1보조접지부(220);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메인접지부(210)와 상기 제1보조접지부(220)를 감싸도록 상기 신발본체(10)의 테두리를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제1특수돌기(231)로 이루어진 제1특수접지부(230); 를 포함한다.
상기 제1메인돌기(211)는 사각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보조돌기(221)와 상기 제1특수돌기(231)는 원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특수돌기(231)의 높이는 상기 제1메인돌기(211)와 상기 제1보조돌기(221)의 높이보다 높으며, 하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메인돌기(211)는 밑면에는 가로 방향으로 긴 제1주름부(211a)가 형성된다.
상기 제1메인돌기(211)의 가로 방향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메인돌기(211)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24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부(240)의 외주연에는 나선형의 스크류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신발본체(10)의 앞꿈치 부분에 배치되는 제1접지부(200); 상기 신발본체(10)의 뒷꿈치 부분에 배치되는 제2접지부(300); 상기 제1접지부(200)와 상기 제2접지부(300) 사이에 배치되는 절곡부(400); 를 포함하되, 상기 제1접지부(200)는, 상기 제1메인접지부(210), 제1보조접지부(220) 및 상기 제1특수접지부(230); 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신발 밑창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에서 바라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의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에서 바라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은, 베이스부(100), 제1접지부(200), 제2접지부(300) 및 절곡부(400)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은, 일반적인 캐쥬얼화 등에 장착되는 밑창으로서, 발을 감싸는 신발본체(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신발의 접지력을 향상시키고 발바닥을 날카로운 것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부(100)는 신발의 바닥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납작한 판 형상이며, 상기 신발본체(10)의 하부를 감싸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00)는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좀더 상세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베이스부(10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 다양한 탄성 재질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접지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에서 발바닥의 앞부분, 즉 앞꿈치 부분에 배치되며, 제1메인접지부(210), 제1보조접지부(220), 제1특수접지부(230) 및 제1연결부(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메인접지부(21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하부에 돌출 형성된 제1메인돌기(21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메인돌기(211)는 사각형 형상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단면 형상이 하방향으로 갈수록 세로 방향 폭이 점점 좁아지는 사다리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메인돌기(211)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1접지부(200)의 중심부분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1메인돌기(2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행 5열로 상호 이격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의 크기에 따라 5행 5열 등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메인돌기(211)의 밑면에는 제1주름부(211a)가 형성된다.
상기 제1주름부(211a)는 요철과 같이 세로 방향으로 울퉁불퉁하게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긴 일자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메인돌기(211)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지면과의 접촉시 접촉 면적을 최대화하여 접지력이 향상되고, 특히 밑면에 상기 제1주름부(211a)가 형성됨으로써 접지력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제1메인돌기(211)의 측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지면과 접촉한 상태로 밀림 발생시 상기 제1메인돌기(211)가 휨변형되면서 측면이 지면과 접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접지력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제1보조접지부(220)는 상기 제1메인접지부(210)의 전,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돌출된 제1보조돌기(22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보조돌기(221)는 대략 원통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하단이 구 형상으로 처리된다.
또한, 상기 제1보조돌기(221)는 상기 제1메인접지부(210)의 전방,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접지부(200)의 위쪽에 약11개 정도 상호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메인접지부(210)의 후방,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접지부(200)의 아래쪽에 약 16개 정도 상호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1보조돌기(221)의 높이는 상기 제1메인돌기(211)와 거의 비슷하며, 상기 제1메인돌기(211)를 보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특수접지부(230)는 상기 제1메인접지부(210)와 상기 제1보조접지부(220)를 감싸도록 상기 신발본체(1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제1특수돌기(23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특수돌기(231)는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하부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특수돌기(231)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가 상기 제1메인돌기(211) 및 상기 제1보조돌기(221)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특수돌기(231)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테두리를 따라 일렬로 상호 이격 배치된다.
이와 같이 높이가 상기 제1메인돌기(211) 및 상기 제1보조돌기(221)보다 높고, 상기 베이스의 최 외각에 배치되는 상기 제1특수돌기(231)가 구비됨으로써, 잔디, 눈, 카페트 등 지면이 비 고정형 상태일 때 이를 잘 잡아주어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접지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제1연결부(240)는 상기 제1메인돌기(211)의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돌기이고, 상기 제1메인돌기(211)의 가로 방향 사이를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1연결부(240)의 외주연에는 나선형의 제1스크류돌기(241)가 형성된다.
상기 제1스크류돌기(241)는 상기 제1연결부(240)의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스크류돌기(241)가 형성된 상기 제1연결부(24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메인돌기(211) 사이에 작은 자갈이나 모레가 끼여 있더라도, 착용자의 답력에 의해 쉽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자갈이나 모레 등으로 인해 접지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제2접지부(300)는 상기 신발본체(10)의 뒷꿈치 부분,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접지부(20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며, 제2메인접지부(310), 제2보조접지부(320), 제2특수접지부(330) 및 제2연결부(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메인접지부(310)는 제2메인돌기(311)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메인돌기(311)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2접지부(300)의 중간 부분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2메인돌기(311)는 3행3열로 배치되며, 경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메인돌기(311)의 밑면에는 제2주름부(311a)가 형성된다.
상기 제2보조접지부(320)는 제2보조돌기(321)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보조돌기(321)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2메인접지부(310)의 전방에 약 8개 정도, 후방에 약 7개 정도 상호 이격 배치된다.
상기 제2특수접지부(330)는 제2특수돌기(331)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메인돌기(311)와 상기 제2보조돌기(321)를 감싸도록 상기 베이스의 테두리를 따라 일렬로 상호 이격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메인돌기(311)의 가로 방향 사이에는 제2스크류돌기(341)가 형성된 제2연결부(340)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메인돌기(311), 제2주름부(311a). 상기 제2보조돌기(321), 제2특수돌기(331), 상기 제2연결부(340) 및 상기 제2스크류돌기(341)의 형상 및 구성은 제1메인돌기(211), 제1주름부(211a), 제1보조돌기(221), 제1특수돌기(231), 상기 제1연결부(240) 및 상기 제1스크류돌기(241)와 각각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절곡부(400)는 상기 제1접지부(200)와 상기 제2접지부(30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아무런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평평한 구간이다.
상기 절곡부(400)는 돌기가 없기 때문에 쉽게 구부러지며, 발바닥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휘어져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은, 상기 제1접지부(200), 제2접지부(300) 및 상기 절곡부(400)로 이루어짐으로써, 착용자의 몸무게가 많이 쏠리는 앞꿈치와 뒤꿈치는 접지력을 높게하고, 가운데 부분은 쉽게 구부러지게 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안정성과 기능성이 보강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제1메인접지부(210)와 제1보조접지부(220)를 감싸도록 상기 신발본체(10)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제1특수돌기(231)가 형성됨으로써, 잔디, 눈, 카페트 등 지면이 비 고정형 상태일 때 이를 잡아주어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제1특수돌기(231)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접촉 면적에 따른 누르는 힘이 높아져 미찰력을 증가되며, 이로 인해 접지력을 더욱 높이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베이스부 200 : 제1접지부
210 : 제1메인접지부 211 : 제1메인돌기
211a : 제1주름부 220 : 제1보조접지부
221 : 제1보조돌기 230 : 제1특수접지부
231 : 제1특수돌기 240 : 제1연결부
241 : 제1스크류돌기 300 : 제2접지부
310 : 제2메인접지부 311 : 제2메인돌기
311a : 제2주름부 320 : 제2보조접지부
321 : 제2보조돌기 330 : 제2특수접지부
331 : 제2특수돌기 340 : 제2연결부
341 : 제2스크류돌기 400 : 절곡부

Claims (5)

  1. 발을 감싸는 신발본체(10)의 하부에 장착되는 신발 밑창에 있어서,
    베이스부(100);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며,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 제1메인돌기(211)로 이루어진 제1메인접지부(210);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메인접지부(210)의 전,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제1보조돌기(221)로 이루어진 제1보조접지부(220);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메인접지부(210)와 상기 제1보조접지부(220)를 감싸도록 상기 신발본체(10)의 테두리를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제1특수돌기(231)로 이루어진 제1특수접지부(230);
    를 포함하며,
    상기 제1메인돌기(211)는 사각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측단면 형상이 하방향으로 갈수록 세로 방향 폭이 점점 좁아지는 사다리꼴로 형성되며,
    상기 제1보조돌기(221)와 상기 제1특수돌기(231)는 원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특수돌기(231)의 높이는 상기 제1메인돌기(211)와 상기 제1보조돌기(221)의 높이보다 높으며, 하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메인돌기(211)는 밑면에는 가로 방향으로 긴 제1주름부(211a)가 형성되며, 상기 제1주름부(211a)는 요철과 같이 세로 방향으로 울퉁불퉁하게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긴 일자 형상을 갖고,
    상기 제1메인돌기(211)의 가로 방향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메인돌기(211)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24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부(240)의 외주연에는 나선형의 제1스크류돌기(241)가 형성되며,
    상기 신발본체(10)의 앞꿈치 부분에 배치되는 제1접지부(200);
    상기 신발본체(10)의 뒷꿈치 부분에 배치되는 제2접지부(300);
    상기 제1접지부(200)와 상기 제2접지부(300) 사이에 배치되는 절곡부(400); 를 포함하되,
    상기 제1접지부(200)는, 상기 제1메인접지부(210), 제1보조접지부(220) 및 상기 제1특수접지부(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60000025U 2016-01-04 2016-01-04 신발 밑창 KR2004824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025U KR200482490Y1 (ko) 2016-01-04 2016-01-04 신발 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025U KR200482490Y1 (ko) 2016-01-04 2016-01-04 신발 밑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490Y1 true KR200482490Y1 (ko) 2017-02-01

Family

ID=58406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025U KR200482490Y1 (ko) 2016-01-04 2016-01-04 신발 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490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0234A (ja) * 2003-07-24 2005-02-17 Japana Co Ltd 靴底
JP2005052235A (ja) * 2003-08-08 2005-03-03 Kisai Kobo Kk 靴底
JP2005087639A (ja) * 2003-09-19 2005-04-07 Midori Anzen Co Ltd 耐滑靴底
JP2006026445A (ja) * 2005-10-12 2006-02-02 Midori Anzen Co Ltd 耐滑接地底
KR200472874Y1 (ko) 2012-11-29 2014-06-27 유수상 벌목화의 밑창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0234A (ja) * 2003-07-24 2005-02-17 Japana Co Ltd 靴底
JP2005052235A (ja) * 2003-08-08 2005-03-03 Kisai Kobo Kk 靴底
JP2005087639A (ja) * 2003-09-19 2005-04-07 Midori Anzen Co Ltd 耐滑靴底
JP2006026445A (ja) * 2005-10-12 2006-02-02 Midori Anzen Co Ltd 耐滑接地底
KR200472874Y1 (ko) 2012-11-29 2014-06-27 유수상 벌목화의 밑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88924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medial contact portion
US8789298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ball control portion
JP5781671B2 (ja) ヒールクッションシステムを持つ履物
US9155352B2 (en) Propulsive sole for impact distribution and round walking
US8516723B2 (en) Midfoot insert construction
US8776403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multiple cleat systems
CA2590197C (en) Sole structure for a shoe
JP4847493B2 (ja) ゴルフシューズおよびそのアウトソール
EP2891422B1 (en) Athletic footwear with ball control portions
US20100293813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Multiple Cleat Sizes
JP6630306B2 (ja) シューズ用ソール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ューズ
JP2012501717A (ja) 衝撃分散機能と転がり歩行機能を有する履物の中敷き
JP2022136233A (ja) シューズ用ソールの衝撃緩衝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シューズ
KR101265080B1 (ko) 기능성 신발물품
KR101251572B1 (ko)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KR200482490Y1 (ko) 신발 밑창
KR102063360B1 (ko) 접지력이 향상된 다목적 신발밑창
KR101625917B1 (ko) 기능성 신발물품
JP7115860B2 (ja) シューズ用ソールの衝撃緩衝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シューズ
JP3001789B2 (ja)
CN217565076U (zh) 减震防滑的运动鞋
CN219088528U (zh) 一种轻便运动鞋及运动鞋底
KR20130056814A (ko) 기능성 신발물품
KR102049408B1 (ko)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
KR102024770B1 (ko)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