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573Y1 - 안전화용 미드솔 - Google Patents

안전화용 미드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573Y1
KR200290573Y1 KR2020020016433U KR20020016433U KR200290573Y1 KR 200290573 Y1 KR200290573 Y1 KR 200290573Y1 KR 2020020016433 U KR2020020016433 U KR 2020020016433U KR 20020016433 U KR20020016433 U KR 20020016433U KR 200290573 Y1 KR200290573 Y1 KR 2002905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toe cap
cap
safety
safety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4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렉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렉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렉스타
Priority to KR2020020016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5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5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573Y1/ko

Lin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우캡이 놓여지며 종래의 미드솔에 해당하는 미드솔 부재의 선단부에 다수의 강철볼들을 함입시키므로써 외부 하중이 상부에 작용된 토우캡이 미드솔 부재와 밑창의 선단부를 눌러 압착시키게 되어도 미드솔 부재가 상기 강철볼의 직경만큼 눌려지지 않도록 하여 발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안전화용 미드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안전화용 미드솔(20)은, 토우캡의 절곡부(13A) 저면 형상에 대응하는 전방 선단부 상면의 편자형 토우캡 지지부(22S)에 그 폭방향 중심부를 따라 다수의 요홈(G)들이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형성된 탄성재질의 미드솔 부재(22)와; 미드솔 부재(22)의 상기 요홈(G)들에 각각 함입, 접착고정되는 다수의 강철볼(21)들로 구성되어 토우캡이 상기 강철볼들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 구조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미드솔은 토우캡이 강철볼의 직경만큼 미드솔 부재를 누를 수 없게 되어 토우캡 내부 공간 축소가 최소화되기 때문에 발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안전화용 미드솔{The mid-sole for safety boots}
본 발명은 외부 하중이 작용시 미드솔(mid-sole)과 밑창을 압박하면서 바닥측으로 눌려지는 강철제 토우캡(toe cap)의 하강 변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안전화용 미드솔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발가락과 발등의 보호를 위하여 안전화의 앞 부분 갑피 내면에 접착된 내피의 내면에 위치하게 되는 안전 사고 방지용 강철제 토우캡이 놓여지는 종래의 미드솔에 해당하는 미드솔 부재의 선단부에 다수의 강철볼들을 함입시키고, 이 강철볼들에 의해 상기 토우캡이 지지되도록 하므로써, 지면에 수직한 외부 하중이 상부에 작용된 토우캡이 탄성재질의 미드솔 부재와 밑창의 선단부를 눌러 압착시키게 될 때 미드솔 부재가 상기 강철볼의 직경만큼 눌려지지 않도록 하여 발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전화용 미드솔에 관한것이다.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안전화는 그 용도에 따라 가죽제 안전화, 고무제 안전화, 정전기 안전화, 발등 안전화, 절연화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안전화는 공장이나 공사 현장 등에서 발에 떨어지는 중량물로부터 발을 보호하거나, 보행중 매우 날카롭거나 딱딱한 물체에 발 앞부분이 부딪혀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발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신발을 의미한다.
따라서, 안전화에는 발가락과 발등의 앞 부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안전화의 앞부분으로부터 대략 발등의 중간부에 해당하는 부위까지 덮을 수 있는 보호수단, 즉 토우캡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토우캡은 안전 규정상 1,100kg의 하중이나 46cm 높이에서 떨어지는 23kg의 중량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가격대비 강성이 우수한 강철 소재를 드로잉 가공하여 제작된다.
상기와 같이 드로잉 가공된 강철제 토우캡은 우수한 강성을 갖기 때문에 토우캡만을 고려할 경우에는 상기 안전 규정을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으나, 강철제 토우캡이 구비된 종래의 안전화는 구조적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발의 안전성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토우캡이 구비된 종래 안전화의 부분 절개 측면도와 토우캡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 1과 2에 의거하여 종래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안전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안전화(1)의 앞부분은, 안전화의 최외측인 갑피(11)의 내면에 다소의 쿠션이 있는 내피(12)가 접착되고, 이 내피(12)의 내면에 발 보호용 토우캡(13)이 부착된다.
이때, 발등과 상기 토우캡(13)의 일측 선단부(E)가 발등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토우캡의 상기 선단부 부근 내면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얇은 판상의 완충부재(13B)가 부착되며, 하단부에는 토우캡을 지지하면서 미드솔(17)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3A)가 형성된다.
즉, 상기 종래의 안전화(1)는 밑창(18)의 상면에 미드솔(17)이, 미드솔(17)의 전방 선단부 상면, 및 선단부와 테두리 부근을 제외한 전체 상면에 토우캡의 절곡부(13A)와 내답판(16)이 각각 놓여지고, 상기 토우캡의 절곡부(13A)와 내답판(16)의 상면위로 내답판(16)을 접착고정시키기 위한 부직포 내지는 직물(15)이 깔리게 되며, 직류(15)의 상면에 깔창(14)이 접착되는 구조이며, 상기 미드솔과 밑창은 쿠션을 가지고 있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 내답판(16)은 못과 같이 끝이 뾰족한 물체가 겉창을 뚫고 안전화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 금속판이 사용되고, 금속재질의 내답판(16)을 접착고정시키는 동시에 어느 정도의 쿠션성도 얻기 위하여 상기 직물(15)이 내답판(16)과 깔창(14) 사이에 개재된다.
특히, 상기 미드솔은 다소의 강성을 갖는 밑창과 달리 매우 부드러운 재질이기 때문에 외부 하중에 눌려지는 경우에는 쉽게 탄성적으로 압착되어 그 두께가 매우 얇은 상태가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수직한 외부 하중(F)이 종래 안전화의토우캡(13) 상부에 작용하게 되면 밑창(18)과 미드솔(17)의 선단부가 토우캡(13)에 의해 눌려 그 두께가 얇아지면서 상기 밑창(18)과 미드솔(17)의 선단부 후방이 지면으로부터 들리면서 선단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승하게 되는 형태가 되므로써 토우캡(13) 내부 공간의 높이가 축소되어 발의 안정성이 위협을 받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살펴본 종래 안전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외부 하중 작용시 토우캡이 눌려지는 정도를 축소시켜 토우캡의 공간 높이를 발의 두께 이상으로 확보할 수 있게 하므로써, 외부 하중에 의해 토우캡이 눌려도 발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토우캡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안전화용 미드솔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안전화의 부분 절개 측면도.
도 2는 안전화에 사용되는 토우캡의 사시도.
도 3은 토우캡과 미드솔 및 겉창의 결합부를 보인 것으로,
(가)는 외부 하중이 부여되지 않은 경우의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이고,
(나)는 토우캡 상부에 외부 하중이 부여된 경우 미드솔과 겉창의 변형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 일실시예 미드솔이 채용된 안전화의 부분 절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 일실시예 미드솔을 보인 것으로,
(가)는 분리 사시도이고,
(나)는 결합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 지지부재를 보인 것으로,
(가)는 육면체형 지지부재의 사시도이고,
(나)는 편자형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안전화 11. 갑피
12. 내피 13. 토우캡
14. 깔창 15. 직물
16. 내답판 17, 20. 미드솔
18. 밑창 21. 강철볼
22. 미드솔 부재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미드솔의 선단부에 함입된 다수의 강철볼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안전화용 미드솔에 구비되는 상기 강철볼들은 토우캡의 절곡부 저면에 위치하여 토우캡을 지지하게 되므로써 토우캡이 외부 하중에 의해 눌리게 되는 정도를 축소시켜 토우캡 내부 공간 높이의 감소 정도를 줄여 주게 되며, 그에 따라 외부 하중에 대한 발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구조로서 지면에 수직한 외부 하중이 상기 토우캡 상부에 작용시 토우캡이 하강되는 정도를 강철볼의 직경만큼 경감되도록 함에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토우캡 절곡부가 놓여지는 미드솔 선단부와 그 저면의 밑창이 외부 하중이 작용된 상기 토우캡의 절곡부에 의해 눌려져 탄성적으로 압착되는 경우, 그 압착 두께가 상기 강철볼의 직경만큼 증가하게 되므로써 토우캡 내부의 공간 높이 축소 정도가 감소되어 발의 안정성이 강철볼의 직경만큼 안전하게 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4에 본 고안 일실시예 안전화용 미드솔이 채용된 안전화의 부분 절개 측면도를, 도 5에 강철볼이 함입된 본 고안 일실시예 미드솔의 사시도와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미드솔이 채용된 안전화(2)의 앞부분은 외부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갑피(11), 내피(12) 및 토우캡(13)이 일련의 순으로 적층된 형태이고, 바닥부는 지면으로부터 겉창(18), 미드솔(20), 토우캡의 절곡부(13A)와 내답판(16), 직물(15) 및 깔창(14)이 일련의 순으로 적층되는 구조로서, 상기 토우캡의 절곡부(13A) 저면이 본 고안의 미드솔(20)을 구성하는 강철볼(21)들의 외주면 상부에 접촉, 지지되도록 함에 본 고안 미드솔(20)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미드솔(20)은 종래의 미드솔(16)에 해당하며, 쿠션성이 있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의 미드솔 부재(22)와; 미드솔 부재(22)의 전방선단부 상면으로부터 내부로 형성된 다수의 요홈(G)들에 각각 함입, 접착고정되어 토우캡을 지지하게 되는 지지부재의 역할을 수행하는 다수의 강철볼(21)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강철볼(21)들은, 강철볼들이 개재되지 않을 경우 대략 편자(또는 제철,蹄鐵)형상을 하는 토우캡의 절곡부(13A) 저면에 접촉하게 되는 토우캡 지지부(22S)의 폭방향 중심부를 따라 위치하도록 상기 미드솔 부재(22)의 요홈(h)들에 합입, 접착고정된다.
물론, 토우캡(13)을 지지하기 위하여 미드솔 부재(22)에 결합되는 지지수단인 상기 강철볼(21)의 소재로는, 기준 외부 하중에 견딜 수 있기만 하면 강(鋼)이 아니어도 관계가 없으며, 그 형태 역시 반드시 볼과 같은 구형일 필요는 없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철볼(21)을 육면체형 지지부재(21')나 편자형 지지부재(21") 등 임의의 형상을 하는 지지부재로 대체할 수도 있다.
그러나, 미드솔 부재(22)에 함입되어 토우캡(13)을 지지하게 되는 지지부재로서 상기 강철볼(21), 육면체형 지지부재(21'), 편자형 지지부재(21") 또는 기타 다른 형상의 지지부재 등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는 있으나, 제조 원가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지지부재의 제조 조건과, 안전화의 전체 중량과 관계가 있는 지지부재의 크기 및 무게 등을 고려한 후 선택하여야만 한다.
특히, 외부 하중에 의해 토우캡이 하강되는 변위의 감소 정도는 지지부재의 높이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바, 가능한 한 지지부재의 높이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나, 지지부재의 높이가 높아지면 미드솔에 비록 함입되어 접착고정됨에도 불구하고 미드솔이 강성체가 아닌 쿠션성을 갖는 부드러운 합성수지이기 때문에 토우캡에 의해 눌려질 경우 토우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의 지지 구조가 안정되지 못하고 유동될 수 있는 바, 본 고안의 일실시예 미드솔(20)을 구성하는 상기 강철볼(21)과 같은 구의 형태가 가장 바람직한 지지부재의 형상이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미드솔은 강철볼이 토우캡을 지지하기 때문에 지면에 수직한 외부 하중이 토우캡에 부여되는 경우에도 강철볼의 직경만큼 토우캡이 미드솔 부재를 누를 수 없게 되는 바, 작업자의 발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안전화의 겉창 상면에 부착되는 미드솔에 있어서, 토우캡의 절곡부(13A) 저면 형상에 대응하는 전방 선단부 상면의 편자형 토우캡 지지부(22S)에 그 폭방향 중심부를 따라 다수의 요홈(G)들이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형성된 미드솔 부재(22)와; 상기 미드솔 부재(22)의 요홈(G)들에 각각 함입, 접착고정되는 다수의 강철볼(21)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용 미드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 부재(22)는 폴리우레탄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용 미드솔.
KR2020020016433U 2002-05-29 2002-05-29 안전화용 미드솔 KR2002905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433U KR200290573Y1 (ko) 2002-05-29 2002-05-29 안전화용 미드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433U KR200290573Y1 (ko) 2002-05-29 2002-05-29 안전화용 미드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573Y1 true KR200290573Y1 (ko) 2002-10-04

Family

ID=73123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433U KR200290573Y1 (ko) 2002-05-29 2002-05-29 안전화용 미드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57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301B1 (ko) * 2009-07-14 2009-11-02 주식회사 트렉스타 신발용 토우캡 및 그 토우캡이 일체화된 아웃솔
KR101433355B1 (ko) * 2014-02-27 2014-08-22 (주)빅토스 트레킹화용 미드솔
KR102409827B1 (ko) 2021-01-29 2022-06-22 신재웅 안전화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301B1 (ko) * 2009-07-14 2009-11-02 주식회사 트렉스타 신발용 토우캡 및 그 토우캡이 일체화된 아웃솔
KR101433355B1 (ko) * 2014-02-27 2014-08-22 (주)빅토스 트레킹화용 미드솔
KR102409827B1 (ko) 2021-01-29 2022-06-22 신재웅 안전화
KR20220110057A (ko) 2021-01-29 2022-08-05 신재웅 안전화
KR20230008907A (ko) 2021-01-29 2023-01-16 신재웅 안전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2440B2 (en) Cushioning sole for shoe
CA2522011C (en) Shoe with a composite insole
US6418641B1 (en) Sport shoe with structural frame
US7249425B2 (en) Shoe sole having soft cushioning device
US8453344B2 (en) Shoe sole with reinforcing structure and shoe sole with shock-absorbing structure
US5517770A (en) Shoe insole
EP1127503B1 (en) Athletic shoe midsole design and construction
US5933983A (en) Shock-absorbing system for shoe
US7523566B2 (en) Shoe sole
US8707583B2 (en) Air cushioning outsole window
US7246454B2 (en) Insoles with shock absorption flexible material
US9538809B2 (en) Shock absorbing shoes with improved assembly and operational performance
US20100251566A1 (en) Shock absorbing footwear construction
EP2792263A1 (en) Footwear
JPH02114905A (ja) 運動靴
KR100887625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이루어지는 탄성바닥재 및 이를구비한 신발
US20030110661A1 (en) Shock-absorbing shoe
US20100281709A1 (en) Elastic Shoes For Cushioning Against Impact
KR20090110506A (ko) 안전화용 토캡
KR200290573Y1 (ko) 안전화용 미드솔
US20190090583A1 (en) Sole structure for shoes and shoe including the same
KR101251572B1 (ko)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US20150351490A1 (en) Puncture Resistant Workboot
KR102123523B1 (ko) 통증 완화용 신발 밑창
KR20190084802A (ko) 접지력이 향상된 다목적 신발밑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