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8059A - 두부 이송 기구 및 두부 연속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두부 이송 기구 및 두부 연속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8059A
KR20230008059A KR1020227037669A KR20227037669A KR20230008059A KR 20230008059 A KR20230008059 A KR 20230008059A KR 1020227037669 A KR1020227037669 A KR 1020227037669A KR 20227037669 A KR20227037669 A KR 20227037669A KR 20230008059 A KR20230008059 A KR 20230008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fu
manufacturing device
conveyor
manufacturing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7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이치로 타카이
마사히데 타케다
카즈유키 시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타카이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타카이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타카이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30008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80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28Conveyors with a load-conveying surface formed by a single flat bel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40Pulse curds
    • A23L11/45Soy bean curds, e.g. tof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2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6Fixed platforms or combs, e.g. bridges betwee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두부 연속 제조 장치(1)에 있어서, 두부를 연속 응고기(10)로부터 연속 성형기(30)로 이송하기 위한 두부 이송 기구(50)로서, 연속 응고기(10)의 끝단(終端)과, 연속 응고기(10)의 끝단에 대향(對向)하는 연속 성형기(30)의 시작단(始端)을 건너지르도록 배치되는 갈아타기 부재(20)와, 연속 성형기(30)의 시작단에 있어서, 연속 성형기(30)의 하측의 무단 형상(無端狀; 이음매가 없는 형상) 반송 컨베이어(32)가 두부를 반송(搬送)하는 반송면에 대해 하방으로 예각을 이루며 꺾여 구부러지도록, 연속 성형기(30)의 하측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32)를 안내하는 방향 전환 안내부(40)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소형화가 가능하고, 두부의 이송에 관한 트러블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두부 이송 기구 및 두부 연속 제조 장치
[0001] 본 발명은, 두부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제조 장치에 적용되는 두부 이송 기구에 관한 것이다.
[0002] 종래부터, 두유를 응고시켜서 두부류(類)를 제조할 때, 소량 생산인 경우에는 상자형 틀(型箱)을 이용하여 제조하지만, 대량생산인 경우에는, 상자형 틀을 이용하지 않고, 두유류를 반송 컨베이어로 반송(搬送)시키면서 응고시켜 두부류를 연속적으로 성형하여 제조한다. 성형 후에는, 소정의 크기로 커팅하여, 팩에 수납된다. 이러한 두부류의 연속 제조 장치로서 다양한 장치가 이미 제공되고 있다.
[0003] 종래의 두부류의 연속 제조 장치의 대부분은, 적어도 1차 컨베이어와 2차 컨베이어의 두 개의 컨베이어를 포함하며, 두부류를 1차 컨베이어로부터 2차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이송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일본 특허 제2983085호 일본 특허공고공보 S52-5583호 일본 특허 제3568193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H03-251151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8-198593호
[0005]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이송 기구에 이용되고 있는 갈아타기 판(板)의 길이(두부의 진행 방향의 길이)가 길어서, 필연적으로 연속 제조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하였다. 또한, 예컨대 1차 컨베이어측의 연속 응고기로부터 이송되는 시트 형상 두부가 잘못 미끄러지면, 두부가 거기에서 막혀 트러블이 생기기 쉽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바닥측(底側)으로부터 물을 분출시켜서 두부가 미끄러지기 쉽도록 하는 구조를 채용하거나, 1차 컨베이어와 2차 컨베이어의 높낮이 차를 크게 하여 내리막 구배(勾配)의 경사를 갖게 하는, 등의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두부의 성질이 변화되면, 지나치게 미끄러져서 이송 시에 균열이 생겨 깨지거나, 미끄러지지 않고 두부가 퇴적되거나 함으로써, 물 분출량을 빈번하게 가감하여 조정하는 등의 수고를 필요로 하였다.
[0006] 본 발명은, 소형화가 가능하고, 두부의 이송에 관한 트러블을 억제할 수 있는 두부 이송 기구 및 두부 연속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0007]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인 두부 이송 기구는, 두부 연속 제조 장치에 있어서, 두부를 제1 제조 장치로부터 제2 제조 장치로 이송하기 위한 두부 이송 기구로서,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끝단(終端)과, 해당 제1 제조 장치의 끝단에 대향(對向)하는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시작단(始端)을 건너지르도록 배치되는 갈아타기 부재와,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시작단에 있어서, 해당 제2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無端狀; 이음매가 없는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상기 두부를 반송하는 반송면에 대해 하방으로 예각을 이루며 꺾여 구부러지도록,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를 안내하는 방향 전환 안내부를 구비한다.
[0008] 본 발명의 두부 이송 기구에 있어서, 예컨대 상기 방향 전환 안내부는,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를 하방으로 꺾어 구부리는 방향 전환부와, 상기 방향 전환부보다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끝단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상기 방향 전환부보다 하방에 배치된 방향 전환 보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 전환부에 의해 꺾여 구부러진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상기 방향 전환 보조부에 건너질러짐으로써, 상기 방향 전환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의 꺾여 구부러진 부분이 예각을 유지한다.
[0009] 본 발명의 두부 이송 기구는, 예컨대 상기 방향 전환부로부터 상기 방향 전환 보조부로 향하는 방향 전환면에 대해, 상기 방향 전환부를 중심으로 하여 180도 회전시켜 얻어지는 가상면을 정의하고,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면과 상기 가상면이 이루는 각도 α가, 90°<α<270°이다.
[0010] 본 발명의 두부 이송 기구는, 예컨대 상기 방향 전환부가 회전 롤러 또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0011] 본 발명의 두부 이송 기구는, 예컨대 상기 회전 롤러의 단면(斷面)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이다.
[0012] 본 발명의 두부 이송 기구는, 예컨대 상기 고정 부재가, 적어도 원호를 포함하는 단면 형상을 구비한다.
[0013] 본 발명의 두부 이송 기구는, 예컨대 상기 방향 전환부의 양단(兩端)이 테이퍼 형상이다.
[0014] 본 발명의 두부 이송 기구는, 예컨대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반송 컨베이어가 금속 벨트, 테플론 벨트, 식품용 벨트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한다.
[0015] 본 발명의 두부 이송 기구는, 예컨대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수지제 여과포 벨트, 테플론 벨트, 식품용 벨트, 와이어 네트(wire net) 벨트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한다.
[0016] 본 발명의 두부 이송 기구는, 예컨대 상기 제1 제조 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두부의 경도가 1∼100kN/m2이다.
두부 이송 기구.
[0017] 본 발명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는, 상술한 두부 이송 기구와, 제1 제조 장치와, 제2 제조 장치를 구비한다.
[0018] 본 발명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는, 예컨대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가장 후단(最後端)과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상기 방향 전환부의 가장 전단(最前端)이, 수평 방향에 있어서 근접해 있거나, 접촉하고 있거나, 또는 서로 겹쳐 있다.
[0019] 본 발명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는, 예컨대 상기 제1 제조 장치 상에 절단 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두부를 절단한 후에,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로 이송한다.
[0020]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인 두부 이송 기구는, 두부 연속 제조 장치에 있어서, 두부를 제1 제조 장치로부터 제2 제조 장치로 이송하기 위한 두부 이송 기구로서,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끝단과, 해당 제1 제조 장치의 끝단에 대향하는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시작단을 건너지르도록 배치되는 갈아타기 부재와,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끝단에서, 해당 제1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상기 두부를 반송하는 반송면에 대해 하방으로 예각을 이루며 꺾여 구부러지도록,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를 안내하는 방향 전환 안내부를 구비한다.
[0021] 본 발명의 두부 이송 기구에 있어서, 예컨대 상기 방향 전환 안내부는,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를 하방으로 꺾어 구부리는 방향 전환부와, 상기 방향 전환부보다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시작단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상기 방향 전환부보다 하방에 배치된 방향 전환 보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 전환부에 의해 꺾여 구부러진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상기 방향 전환 보조부에 건너질러짐으로써, 상기 방향 전환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의 꺾여 구부러진 부분이 예각을 유지한다.
[0022] 본 발명의 두부 이송 기구는, 예컨대 상기 방향 전환부로부터 상기 방향 전환 보조부로 향하는 방향 전환면에 대해, 상기 방향 전환부를 중심으로 하여 180도 회전시켜 얻어지는 가상면을 정의하고,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면과 상기 가상면이 이루는 각도 α가, 90°<α<270°이다.
[0023] 본 발명의 두부 이송 기구는, 예컨대 상기 방향 전환부가 회전 롤러 또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0024] 본 발명의 두부 이송 기구는, 예컨대 상기 회전 롤러의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이다.
[0025] 본 발명의 두부 이송 기구는, 예컨대 상기 고정 부재가, 적어도 원호를 포함하는 단면 형상을 구비한다.
[0026] 본 발명의 두부 이송 기구는, 예컨대 상기 방향 전환부의 양단이 테이퍼 형상이다.
[0027] 본 발명의 두부 이송 기구는, 예컨대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반송 컨베이어가 금속 벨트, 테플론 벨트, 식품용 벨트, 와이어 네트 벨트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한다.
[0028] 본 발명의 두부 이송 기구는, 예컨대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반송 컨베이어가,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두부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두부를 반송한다.
[0029] 본 발명의 두부 이송 기구는, 예컨대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수지제 여과포 벨트, 테플론 벨트, 식품용 벨트, 와이어 네트 벨트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한다.
[0030] 본 발명의 두부 이송 기구는, 예컨대 상기 제1 제조 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두부의 경도가 1∼100kN/m2이다.
두부 이송 기구.
[0031] 본 발명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는, 상술한 두부 이송 기구와, 제1 제조 장치와, 제2 제조 장치를 구비한다.
[0032] 본 발명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는, 예컨대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상기 방향 전환부의 가장 후단과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가장 전단이, 수평 방향에 있어서 근접해 있거나, 접촉하고 있거나, 또는 서로 겹쳐 있다.
[0033] 본 발명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는, 예컨대 상기 제1 제조 장치 상에 절단 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두부를 절단한 후에,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로 이송한다.
[0034] 또한,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를 갖는 제1 제조 장치와,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를 갖는 제2 제조 장치를 구비하여, 두부를 상기 제1 제조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제조 장치로 이송하는 두부 연속 제조 장치로서,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끝단과, 해당 제1 제조 장치의 끝단에 대향하는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시작단 중 어느 한쪽(一方)인 해당 제조 장치의 단(端)에는, 해당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상기 두부를 반송하는 반송면에 대해 하방으로 예각을 이루며 꺾여 구부러지도록, 해당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를 안내하는 방향 전환 안내부를 구비한다.
[0035] 본 발명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는, 예컨대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끝단과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시작단을 건너지르도록 배치되는 갈아타기 부재를 더 구비한다.
[0036] 본 발명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에 있어서, 예컨대 상기 방향 전환 안내부는,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를 하방으로 꺾어 구부리는 방향 전환부와,
상기 방향 전환부보다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끝단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상기 방향 전환부보다 하방에 배치된 방향 전환 보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 전환부에 의해 꺾여 구부러진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상기 방향 전환 보조부에 건너질러짐으로써, 상기 방향 전환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의 꺾여 구부러진 부분이 예각을 유지한다.
[0037] 본 발명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에 있어서, 예컨대 상기 방향 전환 안내부는,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시작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제조 장치는, 상기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금속 벨트, 테플론 벨트, 식품용 벨트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연속 응고기이며,
상기 제2 제조 장치는, 상기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수지제 여과포 벨트, 테플론 벨트, 식품용 벨트, 와이어 네트 벨트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연속 성형기, 절단기, 반송기, 분배 정렬기 중 어느 하나이다.
[0038] 본 발명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에 있어서, 예컨대 상기 방향 전환 안내부는,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제조 장치는, 상기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수지제 여과포 벨트, 테플론 벨트, 식품용 벨트, 와이어 네트 벨트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연속 성형기이며,
상기 제2 제조 장치는, 상기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수지제 여과포 벨트, 테플론 벨트, 식품용 벨트, 와이어 네트 벨트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절단기, 반송기, 분배 정렬기 중 어느 하나이다.
[0039] 본 발명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는, 예컨대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를 갖는 제3 제조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두부는, 제2 제조 장치로부터 상기 제3 제조 장치로 이송되며,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끝단과, 해당 제2 제조 장치의 끝단에 대향하는 상기 제3 제조 장치의 시작단 중 어느 한쪽인 해당 제조 장치의 단(端)에는, 해당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상기 두부를 반송하는 반송면에 대해 하방으로 예각을 이루며 꺾여 구부러지도록, 해당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를 안내하는 다른 방향 전환 안내부를 구비한다.
[0040] 본 발명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에 있어서, 예컨대 상기 방향 전환 안내부는,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시작단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다른 방향 전환 안내부는,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제조 장치는, 상기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금속 벨트, 테플론 벨트, 식품용 벨트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연속 응고기이며,
상기 제2 제조 장치는, 상기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수지제 여과포 벨트, 테플론 벨트, 식품용 벨트, 와이어 네트 벨트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연속 성형기, 절단기, 반송기, 분배 정렬기이며,
상기 제3 제조 장치는, 상기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수지제 여과포 벨트, 테플론 벨트, 식품용 벨트, 와이어 네트 벨트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절단기, 반송기, 분배 정렬기 중 어느 하나이다.
[0041] 본 발명의 두부 이송 기구에 의하면, 소형화가 가능하고, 두부의 이송에 관한 트러블을 억제할 수 있다.
[0042] 도 1은, 스틸 벨트식의 연속 응고기를 채용한 두부 연속 제조 장치의 측면도로서, 도 1의 (a)는 종래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 도 1의 (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식품용 벨트식의 연속 응고기를 채용한 두부 연속 제조 장치의 측면도로서, 도 2의 (a)는 종래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 도 2의 (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지면(紙面)에 있어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두부를 이송하는, 연속 응고기의 끝단, 연속 성형기의 시작단, 두부 이송 기구를 포함하는 영역의 확대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3의 (a)는 종래의 장치의 확대도, 도 3의 (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지면에 있어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내지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두부를 이송하는, 연속 응고기의 끝단, 연속 성형기의 시작단, 두부 이송 기구를 포함하는 영역의 확대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4의 (a)는 다른 실시형태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 도 4의 (b)는 또 다른 실시형태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방향 전환부를 설명하는 확대도로서, 도 5의 (a)는 회전 롤러에 의해 구성되는 방향 전환부의 확대도, 도 5의 (b)는 고정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방향 전환부의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a)∼(c)는, 회전 롤러에 의해 구성되는 방향 전환부의 각종 실시형태의 확대도이다.
도 7의 (a)∼(c)는, 고정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방향 전환부의 각종 실시형태의 확대도이다.
도 8은, 회전 롤러에 의해 구성되는 방향 전환부의 각종 실시형태의 도면으로서, 도 8의 (a)는 도 5의 (a)와 동등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의 (b)는, 도 8의 (a)의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8의 (c)는, 도 8의 (a)의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9는, 고정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방향 전환부의 각종 실시형태의 도면으로서, 도 9의 (a)는 도 5의 (b)와 동등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9의 (b)는, 도 9의 (a)의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9의 (c)는, 도 9의 (a)의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0의 (a)∼(f)는, 회전 롤러에 의해 구성되는 방향 전환부의 단면 형상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의 (a)∼(m)은, 고정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방향 전환부의 단면 형상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4의 (a)는 평면도, 도 14의 (b)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의 (a)∼(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7의 (a)는 평면도, 도 17의 (b)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8의 (a)는 평면도, 도 18의 (b)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9의 (a)는 평면도, 도 19의 (b)는 측면도이다.
[0043]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이송 기구 및 두부 연속 제조 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0044] 도 1은, 두부 연속 제조 장치의 측면도이며, 특히 도 1의 (a)는 종래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1)를 나타낸 것이고, 도 1의 (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1)를 나타낸 것이다. 두부 연속 제조 장치(1)는, 주입된 두유류를 반송 컨베이어로 반송시키면서 응고시켜 두부류를 연속적으로 성형하여 제조하는 장치이며, 연속 응고기(10)와, 연속 성형기(30)와, 갈아타기 부재(20)를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 응고기(10)에 주입된 두유류는 응고되면서 시트 형상 두부(T)가 되어, 구동 롤러(11, 12)에 의해 구동되는 반송 컨베이어(13)에 의해 반송되고, 연속 성형기(30)를 향해 반송된다. 도 1에 있어서의 연속 응고기(10)는 스틸 벨트식의 연속 응고기이다.
본 실시형태의 연속 제조 장치(1)는, 종래의 연속 응고기(10)를 채용하는 한편, 갈아타기 부재(20)와 연속 성형기(30)를 신규 구성으로 하고 있다.
[0045] 두부 연속 제조 장치(1)가 제조하는 두부류는, 예컨대, 튀김 두부용 생지(生地), 설튀김 두부용 생지, 유부용 생지, 간모도키(일본의 두부 가공 식품으로서, 두부를 으깨어 당근, 연근, 우엉 등과 섞어 기름에 튀긴 것)용 생지, 목면 두부, 소프트 목면 두부, 구운 두부(grilled tofu), 냉동 두부 생지, 설튀김 두부용 냉동 생지, 설튀김 비단두부용 냉동 생지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참고로, 이하에서 말하는 「두부」는, 시트 형상 두부(T)뿐만 아니라, 시트 형상 두부(T)를 절단하여 얻어지는 블록 형상 두부나 1모 단위의 두부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0046] 연속 응고기(10)로부터 반송된 시트 형상 두부(T)는, 동일 방향으로 판 형상의 갈아타기 부재(20)로 이송되고, 갈아타기 부재(20)는 시트 형상 두부(T)를 동일 방향으로 반송하는 연속 성형기(30)로 이송한다. 즉, 연속 응고기(10)의 구동 롤러(11, 12)의 회전 중심축과, 연속 성형기(30)의 각 롤러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하며, 연속 응고기(10)의 구동 롤러(11, 12)와, 연속 성형기(30)의 각 롤러는, 시트 형상 두부(T)의 반송 시에 있어서,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또한, 연속 응고기(10)와 연속 성형기(30)의 반송면의 반송 속도는, 통상, 동일하지만, 조건에 따라 상대적으로 다르게 해도 된다.
[0047] 연속 성형기(30)는, 상측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31)와, 하측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32)와, 으깸 장치(33)와, 평탄화 장치(34)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 형상 두부(T)는, 제일 먼저, 하측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32)에 의해 반송되어, 으깸 장치(33)에 의해 소정의 사이즈로 파쇄되고, 평탄화 장치(34)에 의해 균등한 높이로 평탄해져, 무하중으로 자연 탈수된다. 이후, 파쇄되어 평탄해진 두부가, 상측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31)와 하측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32)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이면서, 수분이 더욱 제거되고, 하류 공정으로 반송된다. 지금까지의 설명은, 도 1의 (a)와 도 1의 (b)의 장치에 있어서 공통된다.
[0048] 또한, 연속 응고기(10)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13)는, 스틸 벨트식 이외에, 스테인리스나 티타늄 등의 강성(剛性)이 있는 금속 벨트이고 양단에 유연성이 있는 실리콘 고무의 측벽을 구비하거나(예컨대, 일본 특허 제3568193호 등 참조), 또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수지로 된 범포(canvas, 帆布)나 금속제 와이어를 심재로 하고, 이 심재의 표면에 우레탄 수지나 염화비닐 수지 등의 유연한 수지나 고무를 적층하여 용착시킨, 표면이 식품 접촉에 대응하는 수지제의 식품용 벨트이며, 하측 벨트와 측벽 벨트를 구비한다. 또한,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13)는,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를 불소 수지로 코팅한 테플론 벨트여도 된다(예컨대, 일본 특허 제4512663호, 일본 특허 제4613252호 등 참조).
스틸 벨트의 경우와 같이, 후단의 구동 롤러(12)(경우에 따라서는 전단의 구동 롤러(11)도)의 직경은 300∼1500mmφ, 바람직하게는 500∼1000mmφ의 범위로 크게 설정된다. 테플론 벨트 또는 식품용 벨트의 경우, 후단의 구동 롤러(12)(경우에 따라서는 전단의 구동 롤러(11)도)의 직경은 50mm 이상, 바람직하게는 50∼300mm로서, 스틸 벨트의 경우보다 가느다란 직경이지만, 굵은 직경이 슬립을 억제할 수 있어 유리하다.
[0049] 연속 성형기(30)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32)로서는, 불소 수지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모노 필라멘트(monofilament)를 평직, 능직 등으로 짠 수지제 여과포(예컨대 일본 특허 제4004413호 등 참조)로서, 시작단(始端)이나 후단(後端)에서는 평권 형상(平捲狀)이고, 반송면으로 바닥면(底面)과 측벽을 형성하는 수지제 여과포 벨트나,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제 와이어를 짠 와이어 네트 벨트(아이 링크 벨트 컨베이어(eye link belt conveyor), 플랫 플렉스 컨베이어(flat flex conveyor), 초콜릿 컨베이어(chocolate conveyor) 등), 유공(有孔) 내지 무공(無孔)의 식품용 수지 벨트(테플론 벨트나 식품용 벨트) 등이 이용된다.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32)는, 방향 전환부(42)의 직경(두께)이 5mm 이상, 50mm 미만(바람직하게는 10∼30mm)이며, 나이프 에지(knife edge) 형상의 방향 전환부를 형성하는 유연하고 강인한 재질이나 형태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32)는, 시작단이나 끝단에서는 평권 형상이고, 반송면에서는 그 내측을 주회(周回)하여 여과포를 지지하는 캐터필러(caterpillar) 양단에 수직벽을 구성함에 따라, 반송면에서 양단이 수직으로 꺾여 구부러지는 형태여도 된다(예컨대,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H05-89호, 일본 특허 제4269319호 등 참조).
[0050] 갈아타기 부재(20)는 스테인리스제나 수지제의 판 형상 부재이며, 특히 전단은 테이퍼 형상으로 예리하게 형성되고, 예컨대 스틸 벨트에 접촉시켜도 되도록 스테인리스 판의 전단에 수지제 선단 부재를 구비해도 되며, 연속 응고기(10)로부터 두부를 손상 없이 갈아타도록 할 수 있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갈아타기 부재(20)의 후단도 테이퍼 형상으로 예리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갈아타기 부재(20)는, 판 형상 이외에는, 둥근 막대(丸棒) 형상, 단면이 삼각이나 단면이 육각형 등(예컨대 후술하는 방향 전환부를 나타내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단면의 막대 부재(棒材)를 이용한 것)이거나, 이것들을 복수 늘어놓은 형태여도 되고, 나이프 에지식 벨트 컨베이어의 형태여도 되며, 이것들이 자동 또는 유동(遊動)적으로 회전하는 형태(롤러식이나 벨트 컨베이어식 등)라 하더라도, 갈아타기를 저해하지 않는 부재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0051] 시트 형상 두부(T)는, 예컨대 시트 형상의 비단 두부이고, 비단 두부의 형상을 유지한 채로 연속 응고기(10)로부터 연속 성형기(30)로 이송되는 것이 있다(비단 두부, 소프트 두부 등). 또한, 연속 응고기(10)의 끝단 부근, 갈아타기 부재(20)의 위, 연속 성형기(30)의 시작단 부근에서, 예컨대 으깸 장치를 설치하여, 적당한 정도로 러프하게 파쇄된 거친 파쇄 상태의 두부여도 된다(목면 두부, 소프트 목면 두부, 구운 두부, 설튀김 두부용 생지, 튀김 두부용 생지 등). 으깸 장치는 거친 파쇄, 중간 파쇄, 미세 파쇄로 복수 마련해도 되고, 그 후에 평탄화 장치를 마련해도 된다.
[0052] 도 2는, 두부 연속 제조 장치의 측면도로서, 특히 도 2의 (a)는 종래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1)를 나타내고, 도 2의 (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1)를 나타낸다. 도 2에 있어서의 연속 응고기(10)는 식품용 벨트식의 연속 응고기이다. 다른 구성은, 도 1과 공통된다.
[0053] 다음으로, 도 1과 도 2에서 공통되는 판 형상의 갈아타기 부재(20)에 대해 설명한다. 갈아타기 부재(20)는, 연속 응고기(10)의 끝단과, 연속 응고기(10)의 끝단에 대향하는 연속 성형기(30)의 시작단을 건너지르도록 배치된다. 도 1의 (a) 및 도 2의 (a)에 나타낸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물(맑은 물)이 갈아타기 부재(20)에 분출되면서, 시트 형상 두부(T)가 갈아타기 부재(20) 위를 미끄러지면서, 연속 응고기(10)로부터 연속 성형기(30)로 이송된다.
[0054]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갈아타기 부재(20)의 길이가 길어(예컨대 500mm 이상), 연속 응고기(10)로부터 이송되는 시트 형상 두부가 잘못 미끄러지면, 두부가 거기에서 막혀 트러블이 생기기 쉽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물을 소량만 분출시키면서, 두부를 미끄러지기 쉽게 하거나, 연속 응고기(10)와 연속 성형기(30)의 높낮이 차를 크게 하여 내리막 구배의 경사를 갖게 하는 등의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두부의 성질이 변화되면, 지나치게 미끄러져서 이송 시에 균열이 생겨 깨지거나, 미끄러지지 않고 두부가 퇴적되거나 함으로써, 물 분출량을 빈번하게 가감하여 조정하는 등의 수고를 필요로 하게 된다.
[0055] 또한 대형 기계이기 때문에, 연속 응고기(10), 갈아타기 부재(20), 연속 성형기(30), 다음 공정 장치(절단 장치 등)의 위치(전후, 상하 방향의 위치)는, 최초에 설정한 설치 위치나 시운전 시에 정한 레이아웃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설치나, 레이아웃이 부적절한 경우, 나중에 변경하는 것은 어려우며, 변경할 경우에는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두부의 품질 조정 범위가 한정되기 쉽다.
[0056] 한편, 도 1의 (b) 및 도 2의 (b)에 나타낸 본 실시형태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1)에 있어서는, 연속 성형기(30)의 시작단에 있어서, 연속 성형기(30)의 하측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32)가 시트 형상 두부(T)를 반송하는 반송면에 대해 하방으로 예각을 이루며 꺾여 구부러지도록, 연속 성형기(30)의 하측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32)를 안내하는 방향 전환 안내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방향 전환 안내부(40)와 갈아타기 부재(20)가 협조하여, 시트 형상 두부(T)를 원활하게 이송하는 두부 이송 기구(50)를 구성한다.
[0057]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에 있어서의 연속 응고기(10)의 끝단, 연속 성형기(30)의 시작단, 두부 이송 기구(50)를 포함하는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의 (a)는 종래의 장치의 확대도, 도 3의 (b), 도 4의 (a) 및 도 4의 (b)는, 두부 이송 기구(50)의 각종 실시형태의 확대도이다. 도 3의 (b), 도 4의 (a) 및 도 4의 (b)에 있어서의 두부 이송 기구(50)는, 갈아타기 부재(20)와 방향 전환 안내부(40)를 포함한다. 도 3의 (a) 및 도 3의 (b)의 장치는, 화살표 X1로 나타낸 바와 같이 두부를 지면(紙面)에 있어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송한다. 도 4의 (a) 및 도 4의 (b)의 장치는, 도 1 및 도 2의 장치에 있어서는 두부를 화살표 X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하지만, 역방향의 화살표 X2로 나타낸 바와 같이 두부를 지면에 있어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0058]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향 전환 안내부(40)는, 방향 전환부(42)와 방향 전환 보조부(44)를 포함한다. 방향 전환부(42)는 회전 롤러나 고정된 고정 부재에 의해 구성되며, 하측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32)를 하방으로 꺾어 구부리는 역할을 한다. 방향 전환 보조부(44)는 회전 롤러나 고정된 고정 부재에 의해 구성되며, 방향 전환부(42)보다 연속 응고기(10)의 끝단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방향 전환부(42)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방향 전환부(42)는,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32)의 반송면의 이면(裏面)과 접촉하여 안내하는 한편, 방향 전환 보조부(44)는, 연속 성형기(30)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32)의 반송면과 접촉하여 안내한다.
[0059] 갈아타기 부재(20)의 전후 방향의 길이 L은, 두부의 슬라이딩 거리를 짧게 하기 위해 짧을수록 좋으며, 극단적으로 말하자면 L=0, 즉 존재하지 않는 것이 이상적이다. 예컨대 후단의 구동 롤러(12)의 직경이 500∼1000mm이고, 방향 전환부(42)의 직경(두께)이 종래예에서 51mm 이상∼200mm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5∼50mm(바람직하게는 10∼30mm)인 경우, 도 3의 (a)의 종래예에서는 1000mm≥L>500mm인 데 대해, 본원에서는, 도 3의 (b), 도 4의 (a) 및 도 4의 (b)의 실시형태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500mm≥L≥0mm이고, 바람직하게는 300mm≥L≥0mm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L=0mm, 즉 갈아타기 부재(20)가 존재하지 않는 형태이다.
[0060] 방향 전환부(42)에 의해 꺾여 구부러진 하측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32)가 방향 전환 보조부(44)에 건너질러진다. 방향 전환 보조부(44)는, 방향 전환부(42)보다 연속 응고기(10)의 끝단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방향 전환부(42)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방향 전환부(42)에 있어서의 하측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32)의 꺾여 구부러진 부분이 예각 θ(-90°<θ<90°≒후기의 90°<α<270°로 서로 관련 있음)을 유지할 수 있다.
[0061]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사이즈 A1(종래예), A2, A3, A4는, 연속 응고기(10)의 반송 컨베이어(13)의 반송면과, 연속 성형기(30)의 하측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32)의 반송면 간의 높낮이 차 A를 나타낸다. 사이즈 B1, B2, B3, B4는, 연속 응고기(10)의 끝단의 구동 롤러(12)의 회전 중심축과, 연속 성형기(30)의 시작단의 방향 전환부(42)의 중심축 간의 중심축 거리 B를 나타낸다. 사이즈 C1, C2, C3, C4는, 구동 롤러(12)와 방향 전환부(42)의 거리, 보다 자세하게는, 구동 롤러(12)의 가장 후단과, 방향 전환부(42)의 가장 전단 간의 상대적 수평 거리(수평 방향, 바꾸어 말하자면 시트 형상 두부(T)의 반송 방향의 거리 L과 거의 동일함) C를 나타낸다. 각도 β1, β2, β3, β4는, 반송 컨베이어(13)의 반송면에 대한 갈아타기 부재(20)의 경사 각도 β를 나타낸다.
[0062] 상기의 예에서는, A1(종래예)>A2>A3>0, A4=0이 성립하며, 연속 응고기(10)의 반송 컨베이어(13)의 반송면은, 연속 성형기(30)의 하측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32)의 반송면보다 위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두 개의 반송면의 높낮이 차 A는, A1>A2>A3>A4=0으로 되어 있어, 실시형태의 것은, 종래의 것보다 작아져 있다. 사이즈 A는 작은 편이 바람직하고, 높낮이 차가 없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구동 롤러(12)의 직경이 500∼1000mm이고, 방향 전환부(42)의 직경(두께)이 종래예에서 51mm 이상∼200mm인 데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5∼50mm(바람직하게는 10∼30mm)인 경우, 도 3의 (a)의 종래예에서는 300mm≥A1>200mm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의 (b)의 실시형태에서 200mm≥A2>100mm이고, 바람직하게는 도 4의 (a)의 실시형태에서 100mm≥A3>0mm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 4의 (b)의 실시형태에서 A4=0mm이다.
[0063]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B1(종래예)>B2>B3>B4>0이 성립하여, 연속 응고기(10)의 끝단의 구동 롤러(12)의 회전 중심축과, 연속 성형기(30)의 시작단의 방향 전환부(42)의 중심축은, 수평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 그리고, 이 중심축 거리 B는, B1>B2>B3>B4로 되어 있어, 실시형태의 것은, 종래의 것보다 작아져 있다. 사이즈 B는 갈아타기 부재(20)의 길이에도 관련되는데, 두부의 슬라이딩 거리와 기계 길이(機長)를 짧게 하기 위해, 사이즈 B는 작은 편이 바람직하며, 제로인 것이 이상적이어서 가장 바람직하다. 구동 롤러(12)의 직경이 500∼1000mm이고, 방향 전환부(42)의 직경(두께)이 종래예에서 51mm 이상∼200mm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5∼50mm(바람직하게는 10∼30mm)인 경우, 도 3의 (a)의 종래예에서는 2000mm≥B1>1000mm인 데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의 (b), 도 4의 (a) 및 도 4의 (b)의 실시형태에서 1000mm≥B2, B3, B4>0mm이고, 바람직하게는 500mm≥B3, B4>0mm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B=0mm이다(즉 L=0mm).
[0064]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C1(종래예)>C2>0, 0≥C3>C4가 성립한다. 사이즈 C1, C2, C3, C4는, 구동 롤러(12)의 가장 후단과, 방향 전환부(42)의 가장 전단 간의 상대적 수평 거리를 나타내고 있으며, C1>C2>0, 즉, C1, C2가 플러스라는 것은, 구동 롤러(12)의 가장 후단과 방향 전환부(42)의 가장 전단이 소정의 거리를 갖고 수평 방향(시트 형상 두부(T)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이격(離間)되어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단, C2는 매우 작아, C2≒0이다. 또한, 구동 롤러(12)의 가장 후단과, 방향 전환부(42)의 가장 전단은 수평 방향에 있어서 접촉, 즉, 동일 위치에 있어도 되며, 이 경우, C2는 제로가 된다(C2=0). 한편, 0>C3>C4, 즉, C3, C4가 마이너스라는 것은, 구동 롤러(12)의 가장 후단과 방향 전환부(42)의 가장 전단이 수평 방향(시트 형상 두부(T)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서로 겹쳐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상방(上方)에서 보자면, C2, C3, C4에 대해서는, 방향 전환부(42)의 가장 전단이 구동 롤러(12)의 가장 후단에 매우 접근해 있거나, 겹쳐져 덮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물론, 설령 양(兩) 롤러가 수평 방향에 있어서 서로 겹쳐 있더라도, 도 4의 (a) 및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향 전환부(42)의 직경은 구동 롤러(12)의 직경에 비해 작기 때문에, 양 롤러는 충돌하지 않는다. 사이즈 C는 제로 이하의 마이너스가 큰 편(위에서 보았을 때 겹쳐지는 상태)이, 기계 길이가 짧아지므로 바람직하다. 예컨대 구동 롤러(12)의 직경이 500∼1000mm이고, 방향 전환 부재의 직경(두께)이 종래예에서 51mm 이상∼200mm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5∼50mm(바람직하게는 10∼30mm)인 경우, 도 3의 (a)의 종래예에서는 500mm≥C1>300mm인 데 대해, 도 3의 (b)의 실시형태에서 300mm≥C2>0mm이고, 바람직하게는 도 4의 (a)의 실시형태에서 0mm≥C3>-300mm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 4의 (b)의 실시형태에서 -300mm≥C4>-500mm이다.
[0065] 즉, 방향 전환부(42)를 구성하는 회전 롤러나 고정 부재의 중심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구동 롤러(12)의 중심과 반송 컨베이어(13)의 반송면 사이에 위치하며, 또한, 상방에서 보았을 때, 구동 롤러(12)와 오버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기계 길이를 짧게 하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 롤러나 고정 부재의 단면 형상의 외형이, 상하 방향에 있어서, 구동 롤러(12)의 중심과 반송 컨베이어(13)의 반송면 사이, 그리고, 수평 방향에 있어서, 구동 롤러(12)의 중심과 구동 롤러(12)의 가장 후단 사이에서, 구동 롤러(12)와 간섭하지 않는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066] 나아가 상기의 예에서는, β1(종래예)>β2>β3>0, β4=0이 성립하며, 반송 컨베이어(13)의 반송면에 대해, 연속 성형기(30)의 측에서 보았을 때 갈아타기 부재(20)는 상향으로 경사져 있다. 그리고, 이 경사 각도 β는, β1>β2>β3>β4=0으로 되어 있어, 실시형태의 각도는, 종래의 각도보다 작아져 있다. 갈아타기 부재(20)의 각도가 작으면, 두부의 미끄러지기 쉬움으로 인해 깨지거나 막히거나 하는 트러블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β는 작은 편이 바람직하고, β=0°가 가장 바람직하다. 예컨대 구동 롤러(12)의 직경이 500∼1000mm이고, 방향 전환 부재의 직경(두께)이, 종래예에서는 51mm 이상∼200mm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5∼50mm(바람직하게는 10∼30mm)인 경우, 도 3의 (a)의 종래예에서는 45°≥β1>30°인 데 대해, 도 3의 (b)의 실시형태에서 30°≥β2>10°이고, 바람직하게는 도 4의 (a)의 실시형태에서 10°≥β3>0°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 4의 (b)의 실시형태에서 β4=0°이다.
[0067]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는 종래의 장치보다, 높낮이 차 A, 중심축 거리 B, 상대적 수평 거리 C, 경사 각도 β 각각의 값이 작다. 이것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속 응고기(10)와 연속 성형기(30)의 거리를 단축하여, 갈아타기 부재(20)의 반송 방향의 길이도 단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연속 응고기(10)와 연속 성형기(30)의 높이의 차이를 단축하여, 갈아타기 부재(20)의 경사도 작게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두부 연속 제조 장치(1) 전체의 길이와 높이를 작게 하여,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갈아타기 부재(20)의 반송 방향의 길이, 경사 각도를 작게 함으로써 두부의 이송도 원활해지고, 두부의 파손 등의 트러블을 억제할 수도 있다.
[0068] 도 5∼도 7은, 방향 전환 안내부(40)의 각종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두부의 반송 방향은 지면의 오른쪽에서 왼쪽(화살표 X1 방향), 내지는 왼쪽에서 오른쪽(화살표 X2 방향) 중 어느 방향이어도 된다. 하측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32)에 있어서, 방향 전환부(42)로부터 방향 전환 보조부(44)로 향하는 면을 방향 전환면(32a)으로 정의하는 동시에, 방향 전환부(42)를 중심으로 하여, 방향 전환면(32a)을 180도 회전시켜 얻어지는 면을 가상면 V로 정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속 성형기의 하측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32)의 반송면과 가상면 V가 이루는 각도 α가, 90°<α<270°의 범위로 설정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의 각도 α는, 방향 전환부(42)의 중심을, 반송면과 가상면 V의 교점으로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0069] 각도 α의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120°≤α≤240°, 더욱 바람직하게는 135°≤α≤225°,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α≤180°로 설정된다. 이러한 설정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의 가로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방향 전환부(42)에 있어서, 하측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32)가, 나이프 에지 형상과 같이 예각으로 꺾여 구부러진 상태에서, 하측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32)가 주회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구동 롤러(12)와 방향 전환부(42)를 접근시킬 수 있어, 두부 연속 제조 장치(1)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갈아타기 부재(20)도 소형화하여, 두부의 파손 등의 트러블을 억제할 수 있다.
[0070] 도 5의 (a)는, 방향 전환부(42)가 가느다란 직경(細徑)의 회전 롤러에 의해 구성되는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회전 롤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유동(遊動)되어, 이른바 자유로운 회전 롤러로서, 베어링, 수지 칼라(collar) 등의 축받이를 가지며, 다른 구동 롤러에 대해 종동(縱動)된다. 도 5의 (b)는, 방향 전환부(42)가 박형(薄形)의 고정 부재인 고정축에 의해 구성되는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고정 부재는 소정의 개소(個所)에 고정 배치되며, 회전은 하지 않는다. 고정 부재는, 한쪽이 둥그스름하게 되어 있는 평판 등을 배치한다. 회전 롤러 내지 고정 부재는, 양단이나 중앙 등의 적절한 위치에, 도시되지 않은 기대(基臺)로부터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해도 되고, 하측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32)를 구성하는 벨트의 장력(특히 두부가 올려진 상태나 프레스 하중으로 작용하는 커다란 인장 장력)에 의한 휨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구비하여, 매끄럽게 회전하거나 내지는 매끄러운 표면을 가져 벨트가 슬라이딩하기 쉬운 부재이다.
[0071] 도 6은, 도 5의 (a)와 마찬가지로 방향 전환부(42)가 가느다란 직경의 회전 롤러에 의해 구성되는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a)는 각도 α가 180°<α≤225°인 실시형태, 도 6의 (b)는 각도 α가 α=180°인 실시형태, 도 6의 (c)는 각도 α가 150°≤α<180°인 실시형태를 각각 나타낸다.
[0072] 도 7은, 도 5의 (b)와 마찬가지로 방향 전환부(42)가 박형의 고정 부재인 고정축에 의해 구성되는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a)는 각도 α가 180°<α≤225°인 실시형태, 도 7의 (b)는 각도 α가 α=180°인 실시형태, 도 7의 (c)는 각도 α가 150°≤α<180°인 실시형태를 각각 나타낸다.
[0073] 도 8은, 도 5의 (a)와 마찬가지로 방향 전환부(42)가 가느다란 직경의 회전 롤러에 의해 구성되는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a)는 도 5의 (a)와 동등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의 (b)는, 도 8의 (a)의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평면도로서, 단순한 막대 형상인 회전 롤러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의 (c)는, 도 8의 (a)의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평면도로서, 양단부가 테이퍼 형상으로 좁혀진 막대 형상인 회전 롤러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양단부가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방향 전환부(42)의 양단에 작용하는 장력을 완화할 수 있어,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蛇行)이나 주름을 억제하는 효과도 기대된다.
[0074] 도 9는, 도 5의 (b)와 마찬가지로 방향 전환부(42)가 박형의 고정 부재인 고정축에 의해 구성되는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a)는 도 5의 (b)와 동등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9의 (b)는, 도 9의 (a)의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평면도로서, 단순한 막대 형상인 고정 부재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9의 (c)는, 도 9의 (a)의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평면도로서, 양단부가 테이퍼 형상으로 좁혀진 막대 형상인 고정 부재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양단부가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방향 전환부(42)의 양단에 작용하는 장력을 완화할 수 있어,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이나 주름을 억제하는 효과도 기대된다.
[0075] 도 10은, 회전 롤러에 의해 구성되는 방향 전환부(42)의 단면 형상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10의 (a)는 원형 단면 형상, 도 10의 (b)는 원통형 단면 형상, 도 10의 (c)는 다각형(십이면체) 단면 형상, 도 10의 (d)는 다각형(십면체) 단면 형상, 도 10의 (e)는 다각형(팔면체) 단면 형상, 도 10의 (f)는 다각형(칠면체) 단면 형상을, 각각 갖고 있다. 도 10의 (a) 및 도 10의 (b)의 형태는 원형의 단면을 나타내거나, 적어도 원호를 포함하는 만곡면(42a)을 가지며, 도 10의 (c)∼도 10의 (f)의 형태는 다각형의 단면을 나타내고, 다면체면(42b)을 갖고 있다. 컨베이어의 벨트는 방향 전환부(42)와의 접촉에 의해 마찰이 발생하는데, 만곡면(42a), 다면체면(42b)의 작용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는 원활하게 반송된다. 단면 형상의 다면체는 육면체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0076] 방향 전환부(42)를 구성하는 회전 롤러는, 직경이 예컨대 5∼50mm인 가느다란 직경의 둥근 막대, 중공 파이프, 단면이 육각형 이상인 각진 막대 부재(角棒材) 등이다. 회전 롤러는, 유동 롤러여도 되고,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롤러여도 된다.
[0077] 도 11은, 고정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방향 전환부(42)의 단면 형상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11의 (a)는 원형 단면, 도 11의 (b)는 원통형 단면, 도 11의 (c)는 타원형 단면, 도 11의 (d)는 포탄형(砲彈型) 단면, 도 11의 (e)는 대략 직사각형 단면, 도 11의 (f)는 대략 직사각형 단면, 도 11의 (g)는 돔형 단면, 도 11의 (h)는 부채꼴(扇形) 단면, 도 11의 (i)는 다각형(십이면체) 단면, 도 11의 (j)는 다각형(십면체) 단면, 도 11의 (k)는 다각형(팔면체) 단면, 도 11의 (l)은 다각형(칠면체) 단면, 도 11의 (m)은 U자형 단면을 각각 갖는다. 도 11의 (a)∼도 11의 (h), 도 11의 (m)의 형태는 원형 단면을 나타내거나, 적어도 원호를 포함하는 만곡면(42a)을 가지며, 도 11의 (i)∼도 11의 (l)의 형태는 다각형의 단면을 나타내고, 다면체면(42b)을 갖고 있다. 컨베이어의 벨트는 방향 전환부(42)와의 접촉에 의해 마찰이 발생하는데, 만곡면(42a), 다면체면(42b)의 작용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는 원활하게 반송된다. 단면 형상이 다각형인 경우는, 육각형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0078] 만곡면(42a), 다면체면(42b)은 경면(鏡面) 연마, 세라믹용 용사(溶射) 등에 의한 각종 표면 처리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컨베이어를 구성하는 벨트와의 슬라이딩 저항을 최대한 작게 하는 동시에, 경화 처리에 의해 내마모(耐摩耗)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 전환부(42)를 구성하는 고정 부재는, 직경 내지 수직 방향의 두께가 예컨대 5∼50mm(미만)인 가느다란 직경의 둥근 막대, 중공(中空) 파이프, 단면이 육각형 이상인 각진 막대 부재 등으로 구성해도 된다. 표면 처리 가공(표면 개질(改質), 코팅 등)은, 슬라이딩성·평활성의 향상이나 내마모성의 향상을 위한 것으로, 그 재료 표면의 개질로서는, 예컨대 쇼트 피닝이나 질화 처리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코팅으로서는, 질화티타늄계 코팅, 탄질화티타늄계 코팅, DLC(diamond-like carbon) 코팅, 질화크롬계 코팅, 질화티타늄알루미늄계 코팅, 탄화크롬계 코팅, 세라믹 용사, 혹은 이들을 조합한 적층막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0079] 상술한 실시형태는, 두부 이송 기구(50)가 연속 응고기(10)로부터 연속 성형기(30)로, 시트 형상 두부(T)를 이송한다. 그러나, 두부 이송 기구(50)는, 연속 응고기(10), 연속 성형기(30)뿐만 아니라 다른 두 개의 제조 장치 사이에서 시트 형상 두부(T)를 이송할 수 있다. 예컨대 두부 이송 기구(50)는, 연속 응고기(10) 또는 연속 성형기(30)로부터 다음 공정의 반송 장치로 시트 형상 두부(T)를 이송할 수 있다. 다음 공정의 반송 장치는, 예컨대 절단기, 프라이어(fryer), 프리저(freezer), 포장기 등을 포함하며,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프라이어, 프리저에 구비되는 컨베이어는 금속제의 와이어 네트 벨트가 일반적이다. 두부 이송 기구(50)는, 예컨대 시트 형상 두부(T)를 연속 성형기(30)와 동일 방향으로 주회하는 절단기용의 동조 컨베이어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두부 이송 기구(50)는, 시트 형상 두부(T)로부터 블록 형상 내지는 띠 형상(帶狀)으로 잘라 내어진 블록 형상 두부(또는 한 모 단위의 두부)를 연속 응고기(10) 내지는 연속 성형기(30)와 교차(횡단, 직교)하는 방향으로 주회하는 무단 형상의 이송 컨베이어로 이송할 수 있다.
[0080] 즉, 두부 연속 제조 장치(1)에 있어서, 두부 이송 기구(50)는 시트 형상 두부를 제1 제조 장치로부터 제2 제조 장치로 이송할 수 있다. 제1 제조 장치, 제2 제조 장치는 두부의 제조에 이용되는 각종 장치이며,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0081]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1)를 나타내며, 두부 연속 제조 장치(1)는, 연속 응고기(10)와, 연속 성형기(30)와, 절단기(60)와, 두부 이송 기구(50)를 포함한다. 연속 응고기(10)와 연속 성형기(30)의 사이에 있어서는, 시트 형상 두부(T)가 종래형의 판 형상의 갈아타기 부재(20A)에 의해 이송된다. 한편, 연속 성형기(30)와 절단기(60)의 사이에 있어서는, 시트 형상 두부(T)가, 갈아타기 부재(20B)를 포함하는 두부 이송 기구(50)에 의해 이송된다. 절단기(60)로 이송된 시트 형상 두부(T)는, 절단칼날을 갖는 절단 장치(61)에 의해 블록 형상 두부로 잘라내어진다.
즉, 도 12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조 장치가 연속 성형기(30)에 해당하고, 제2 제조 장치가 절단기(60)에 해당한다. 또한, 제1 제조 장치인 연속 성형기(30)의 끝단에, 방향 전환 안내부(40)가 설치되어 있다.
[0082] 도 13은, 다른 실시형태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1)를 나타내며, 두부 연속 제조 장치(1)는, 연속 응고기(10)와, 연속 성형기(30)와, 절단기(60)와, 제1 두부 이송 기구(50A)와, 제2 두부 이송 기구(50B)를 포함한다. 즉, 연속 응고기(10)와 연속 성형기(30)의 사이에 있어서는, 시트 형상 두부(T)가, 갈아타기 부재(20A), 방향 전환 안내부(40A)를 포함하는 제1 두부 이송 기구(50A)에 의해 이송된다. 한편, 연속 성형기(30)와 절단기(60)의 사이에 있어서는, 시트 형상 두부(T)가, 갈아타기 부재(20B), 방향 전환 안내부(40B)를 포함하는 제2 두부 이송 기구(50B)에 의해 이송된다.
즉, 도 13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조 장치가 연속 응고기(10)에 해당하고, 제2 제조 장치가 연속 성형기(30)에 해당하고, 제3 제조 장치가 절단기(60)에 해당한다. 또한, 제2 제조 장치인 연속 성형기(30)의 시작단 및 끝단에, 방향 전환 안내부(40A) 및 방향 전환 안내부(다른 방향 전환 안내부)(40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0083] 도 14는, 다른 실시형태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1)를 나타내며, 두부 연속 제조 장치(1)는, 연속 응고기(10)와, 연속 성형기(30)와, 반송기(70)와, 제1 두부 이송 기구(50A)와, 제2 두부 이송 기구(50B)를 포함한다. 즉, 연속 응고기(10)와 연속 성형기(30)의 사이에 있어서는, 시트 형상 두부(T)가, 갈아타기 부재(20A), 방향 전환 안내부(40A)를 포함하는 제1 두부 이송 기구(50A)에 의해 이송된다. 한편, 연속 성형기(30)와 반송기(70)의 사이에 있어서는, 시트 형상 두부(T)가, 갈아타기 부재(20B), 방향 전환 안내부(40B)를 포함하는 제2 두부 이송 기구(50B)에 의해 이송된다. 연속 성형기(30)의 끝단에 있어서 절단 장치(61)가 설치되며, 절단 장치(61)에 의해 잘라내어진 블록 형상 두부는, 반송기(70)에 의해 다음 공정으로 보내진다. 반송기(70)는 연속 응고기(10), 연속 성형기(30)의 반송 방향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블록 형상 두부를 반송한다. 또한, 갈아타기 부재(20B)가 없고(L=0), 연속 성형기(30)의 끝단이, 반송기(70) 위에 덮이도록, 수직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조금 겹치도록 배치된 형태여도 된다.
즉, 도 14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조 장치가 연속 응고기(10)에 해당하고, 제2 제조 장치가 연속 성형기(30)에 해당하고, 제3 제조 장치가 반송기(70)에 해당한다. 또한, 제2 제조 장치인 연속 성형기(30)의 시작단 및 끝단에, 방향 전환 안내부(40A) 및 방향 전환 안내부(다른 방향 전환 안내부)(40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0084] 도 15는, 종래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1)를 나타낸 것이다. 두부 연속 제조 장치(1)는, 연속 응고기(10)와, 절단기(60)와, 두부 이송 기구(50)를 포함하며, 연속 응고기(10)와 절단기(60)의 사이에 있어서는, 시트 형상 두부(T)가 종래형인 판 형상의 갈아타기 부재(20)에 의해 이송된다. 절단기(60)는, 시트 형상 두부(T)를 가로 방향(반송 방향에 수직인 방향이며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하는 제1 절단 장치(63)와, 시트 형상 두부(T)를 세로 방향(반송 방향을 따른 방향이며 지면을 따른 방향)으로 절단하는 제2 절단 장치(65)를 포함하며, 이들 장치에 의해, 시트 형상 두부(T)는, 블록 형상 두부로 잘라내어져, 도시되지 않은 패킹(packing) 장치로 이송된다.
[0085] 도 16의 (a)∼(c)의 각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1)에서 제1 제조 장치인 비단 두부나 냉동 비단 두부 생지 등의 연속 응고기(10)와 제2 제조 장치인 절단기(6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의 (a)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1)에 있어서는, 도 15의 갈아타기 부재(20)의 하류측에, 방향 전환 안내부(40)를 구비한 두부 이송 기구(5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6의 (b)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1)에 있어서는, 도 16의 (a)에 있어서의 제1 절단 장치(63)가 연속 응고기(10)에 설치되고, 제2 절단 장치(65)만이 절단기(60)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절단 장치(65)는, 시트 형상 두부(T)를 세로 방향으로 절단하는 동시에, 가로 방향으로 간격을 넓히는 기능도 갖고 있다.
[0086] 도 16의 (b)의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절단 장치(63)가 연속 응고기(10)의 끝단에 설치되어 있어, 측벽이 있는 상태에서 절단할 수 있으므로, 형태도 띠 형상 직육면체로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다. 시트 형상 두부(T)가 절단기의 컨베이어 상으로 이재(移載; 옮겨 싣기)되면, 두부의 부드러움으로 인해 처지기 때문에 정확하게 절단하기 어려워져, 양단의 어중간한 귀 부분(가장자리 부분)이 많았지만, 본 형태에서는 측벽이 있는 위치에서 두부가 처지지 않은 상태로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어, 귀 부분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0087] 도 16의 (c)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1)는, 연속 응고기(10)와, 분배 정렬기(80)와, 두부 이송 기구(50)를 포함한다. 연속 응고기(10)에는, 제1 절단 장치(63)와, 제2 절단 장치(65)와 마찬가지로 시트 형상 두부(T)를 세로 방향으로 절단하는 롤 커터(67)가 설치되어 있다. 단, 롤 커터(67)는, 제2 절단 장치(65)와 같은 가로 방향으로 간격을 넓히는 기능을 갖고 있지 않다. 연속 응고기(10)에 있어서 가로 방향으로 길고 가느다란 띠 형상 두부를 거쳐 블록 형상(예컨대 1모 단위)으로 절단된 블록 형상 두부는, 두부 이송 기구(50)에 의해 분배 정렬기(80)로 이송되어, 분배 정렬기(80)의 하방의 두부 반송 컨베이어와, 빗날 형상 스토퍼 부재가 상하 이동하는 엇갈림식 분배 부재를 구비하는 분배 정렬 장치(81)에 의해, 이웃하는 두부끼리 전후로 간격을 넓힌 엇갈린 형상으로 배치된다. 분배 정렬 장치(81)는 예컨대 블록 형상 두부를 흡인하여 들어올리는 흡인 장치를 가져도 되고, 블록 형상 두부를 들어올려 이동시켜도 된다.
즉, 도 16의 (a)∼(c)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조 장치가 연속 응고기(10)에 해당하고, 제2 제조 장치가 절단기(60) 또는 분배 정렬기(80)에 해당한다. 또한, 제2 제조 장치인 절단기(60) 또는 분배 정렬기(80)의 시작단에, 방향 전환 안내부(40)가 설치되어 있다.
[0088] 도 17은, 다른 실시형태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1)를 나타낸 것으로, 두부 연속 제조 장치(1)는, 연속 응고기(10)와, 분배 정렬기(80)와, 두부 이송 기구(50)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연속 응고기(10)에 있어서 먼저 롤 커터(67)가 시트 형상 두부(T)를 세로 방향으로 절단한 후, 제1 절단 장치(63)가 가로 방향으로 절단한다. 연속 응고기(10)에 있어서 세로 방향의 띠 형상 두부를 거쳐 블록 형상(예컨대 1모 단위)으로 절단된 블록 형상 두부는, 두부 이송 기구(50)에 의해 분배 정렬기(80)로 이송되어, 분배 정렬기(80)의 하방의 두부 반송 컨베이어와, 빗날 형상 스토퍼 부재가 상하 이동하는 엇갈림식 분배 부재를 구비하는 분배 정렬 장치(81)에 의해, 이웃하는 두부끼리 전후로 간격을 넓힌 엇갈린 형상으로 배치된다.
즉, 도 17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조 장치가 연속 응고기(10)에 해당하고, 제2 제조 장치가 분배 정렬기(80)에 해당한다. 또한, 제2 제조 장치인 분배 정렬기(80)의 시작단에, 방향 전환 안내부(40)가 설치되어 있다.
[0089] 도 18은, 다른 실시형태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1)를 나타낸 것으로, 두부 연속 제조 장치(1)는, 연속 응고기(10)와, 연속 성형기(30)와, 반송기(70)와, 두부 이송 기구(50)와, 절단기(60)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연속 성형기(30)의 끝단에 있어서 제1 절단 장치(63)가 시트 형상 두부(T)를 가로 방향으로 절단한다. 반송기(70)는 가로 방향으로만 절단된 가느다란 띠 형상 두부를 연속 성형기(30)의 반송 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송하여, 다음 공정으로 보낸다.
즉, 도 18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조 장치가 연속 응고기(10)에 해당하고, 제2 제조 장치가 연속 성형기(30)에 해당하고, 제3 제조 장치가 가로 방향 절단(橫切)용 절단기(60)에 해당한다. 또한, 제2 제조 장치인 연속 성형기(30)의 시작단과 끝단에, 방향 전환 안내부(40A) 및 방향 전환 안내부(다른 방향 전환 안내부)(40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0090] 도 19는, 다른 실시형태의 두부 연속 제조 장치(1)를 나타낸 것으로, 두부 연속 제조 장치(1)는, 연속 응고기(10)와, 연속 절단기(60)와, 반송기(70)와, 두부 이송 기구(50)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연속 절단기(60)에 있어서 먼저 롤 커터(67)가 시트 형상 두부(T)를 세로 방향으로 절단한 후, 제1 절단 장치(63)가 가로 방향으로 절단한다. 반송기(70)는 절단된 예컨대 1모 단위나 여러 모 분(分)의 블록 형상 두부를 반송하여, 다음 공정으로 보낸다.
즉, 도 19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조 장치가 연속 응고기(10)에 해당하고, 제2 제조 장치가 연속 절단기(60)에 해당하고, 제3 제조 장치가 반송기(70)에 해당한다. 또한, 제2 제조 장치인 연속 절단기(60)의 시작단 및 끝단에, 방향 전환 안내부(40A) 및 방향 전환 안내부(다른 방향 전환 안내부)(40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0091] 도 12∼14, 18, 19에서 설명한 제1 또는 제2 제조 장치인, 연속 성형기(30)가 구비하는 컨베이어는, 금속 벨트나, 방향 전환부의 직경(두께)이 약간 굵은(약간 두꺼운) 50mm 이상인 식품용 벨트, 테플론 벨트나 와이어 네트 벨트 등 이외이면 된다. 즉, 연속 성형기(30)가 구비하는 컨베이어는, 방향 전환부의 직경(두께)이 약간 가느다란(약간 얇은) 5mm 이상, 50mm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5∼30mm인 나이프 에지 형상의 방향 전환부를 형성하는 수지제 여과포 벨트, 식품용 벨트, 테플론 벨트가 바람직하며, 기타의 형태로서 스테인리스제 등의 와이어 네트나 철망으로 이루어진 와이어 네트 벨트를 구비하는 와이어 네트 컨베이어(아이 링크 벨트 컨베이어, 플랫 플렉스 컨베이어, 초콜릿 컨베이어 등) 등이어도 된다. 따라서, 연속 성형기(30)가 구비하는 컨베이어는, 나이프 에지 형상의 방향 전환부를 형성할 수 있는 유연하고 강인한 재질이나 형태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0092] 또한 도 12∼14, 18, 19에서 설명한 제2 또는 제3 제조 장치인, 절단기(60)나 반송기(70)나 분배 정렬기(80)가 구비하는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는, 전단이 비교적 직경이 큰 직경 50mm 이상의 축을 갖는, 직경 50∼300mm인 식품용 벨트나 테플론 벨트, 직경 300∼1500mmφ, 바람직하게는 직경 500∼1000mmφ인 금속 벨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해당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는, 기타의 형태로서, 수지제 여과포 벨트나, 스테인리스제 등의 와이어나 철망으로 이루어진 와이어 네트 벨트를 구비하는 와이어 네트 컨베이어(아이 링크 벨트 컨베이어, 플랫 플렉스 컨베이어, 초콜릿 컨베이어 등)나, 넓은 의미(廣義)에서의 식품용 벨트로서, 롤러 컨베이어,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제나 수지제의 탑 체인 컨베이어나, 수지제의 슬랫 밴드 체인(slat-band chain) 컨베이어, 플라스틱 모듈러 체인(plastic modular chain) 컨베이어, 플라스틱 탑 체인 컨베이어 등이어도 된다. 즉, 절단기(60)나 반송기(70)나 분배 정렬기(80)가 구비하는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는, 직경(두께) 50mm 이상의 방향 전환부를 형성하는 벨트 재질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2 또는 제3 제조 장치의 반송 컨베이어가, 상기 제1 또는 제2 제조 장치의 두부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두부를 반송하는 형태여도 되며, 이 경우의 제2 또는 제3 제조 장치의 반송 컨베이어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0093] 또한, 도시되지 않지만, 상기 제1 제조 장치와 제2 제조 장치가 바뀐 형태(도 1이나 도 2와 유사하며, 제1 제조 장치 쪽의 후단이 비교적 직경이 큰 축을 갖는 식품용 벨트이고, 제2 제조 장치 쪽이 유연한 재질로 전단이 나이프 에지를 형성하는 형태)여도 된다.
[0094] 또한 도시되지 않지만, 제1 제조 장치와 제2 제조 장치가 모두 유연한 재질의 벨트로 나이프 에지 형상의 방향 전환부를 형성하는 형태(예컨대, 하방에 생긴 공간에 다른 기기나 횡단 통로를 설치할 수 있음)여도 된다.
[0095] 연속 응고기(10)로부터 이송되는 시트 형상 두부(T)의 경도는, 예컨대 1∼100kN/m2, 바람직하게는 20∼10kN/m2이다. 부드러우면 보형성(保形性)이 없어 갈아타기 자체가 곤란하고, 단단한 편이 갈아타기에는 유리한데, 너무 단단하면 갈아타기는 용이하다.
[0096] 본 실시형태의 두부 이송 기구(50)에 의하면, 연속 응고기(10)와 연속 성형기(30)의 거리를 단축시켜, 갈아타기 부재(20)의 반송 방향의 길이도 단축되어 있다. 또한, 연속 응고기(10)와 연속 성형기(30)의 높이 차도 단축시켜, 갈아타기 부재(20)의 경사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두부 연속 제조 장치(1) 전체의 길이와 높이를 작게 하여,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 결과, 예컨대 공장 내에 차지하는 장치의 공간(높이)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그 만큼의 천장 높이를 낮게 하여 건축비도 억제할 수 있으며, 기계를 구성하는 강재량(鋼材量)도 적어서, 초기 비용을 저감하여 경제성이 우수한 장치가 된다.
[0097] 또한, 갈아타기 부재(20)의 반송 방향의 길이, 경사 각도를 작게 함으로써 두부의 이송도 원활해지고, 두부의 파손 등의 트러블을 억제할 수도 있다. 갈아타기 부재(20)에 대한 물 분출을 삭감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갈아타기 부재(20)에 물을 분출시키는 경우라 하더라도, 약간의 수량(水量)이면 되어, 절수(節水)가 되고, 또한 배수량도 줄여 정화조에 대한 부담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두부의 미끄러짐 상태에 따른 물 분출량의 빈번한 조정 작업의 수고로움도 줄어들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등, 러닝 코스트(running cost)도 경감되어, 경제적이다.
[0098] 또한, 시트 형상 두부(T)의 갈아타기 부재(20) 통과 시의 슬라이딩 저항을 낮출 수 있으므로, 단단한 두부가 아닌 부드러운 두부라 하더라도 안정적으로 통과하기 쉬워진다. 일반적으로 두부를 단단하게 할 경우, 두유 농도를 높이거나, 응고제 첨가량을 늘리는 등의 수단을 취한다. 응고제 첨가량을 늘리면 가열살균으로 2차 응고가 진행되어, 두부의 이수량(離水量)이 많아지고 더불어 좋은 맛도 달아나 버리는 경향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해, 응고제 첨가량을 적정하게 억제할 수 있어, 조금 부드러워지더라도 탄력이 있고, 보수력(保水力)이 증가하여, 가열살균 후에도 맛이 빠져버리는 경향이 적고, 보다 맛있는 두부, 매끄러워 식감이 좋은 두부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두부 제품 종류의 차이나 대두 품질 변동 등에서 유래하는 두부 품질의 변동이 있었을 경우, 갈아타기 부재 상에서의 미끄러지는 방식(슬라이딩 저항)이 바뀌는 경우가 있는데, 갈아타기 부재가 작기(갈아타는 거리가 짧기) 때문에, 두부가 갈라지거나, 두부가 정체되어 퇴적되거나 하지 않고, 쉽게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트러블이나 로스도 경감시킬 수 있다. 보수력이 있는 두부질(質)이 되므로, 특히 목면 두부 등과 같이 프레스하여 압밀하는 경우, 수율 향상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0099]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적절히, 변형, 개량 등이 가능하다. 그 밖에,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의 재질, 형상, 사이즈, 수치, 형태, 개수, 배치 개소, 등은 본 발명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임의이며,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를 임의로 조합해도 된다.
[0100] 또한, 본 출원은, 2020년 5월 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특원 제2020-082738호)에 근거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본 출원 내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1 : 두부 연속 제조 장치
10 : 연속 응고기
20 : 갈아타기 부재
30 : 연속 성형기
31 : 상측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
32 : 하측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
32a : 방향 전환면
40 : 방향 전환 안내부
42 : 방향 전환부
44 : 방향 전환 보조부
50 : 두부 이송 기구
60 : 절단기
61 : 절단 장치
63 : 제1 절단 장치
65 : 제2 절단 장치
67 : 롤 커터
70 : 반송기
80 : 분배 정렬기
81 : 분배 정렬 장치
V : 가상면

Claims (34)

  1. 두부 연속 제조 장치에 있어서, 두부를 제1 제조 장치로부터 제2 제조 장치로 이송하기 위한 두부 이송 기구로서,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끝단(終端)과, 해당 제1 제조 장치의 끝단에 대향(對向)하는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시작단(始端)을 건너지르도록 배치되는 갈아타기 부재와,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시작단에 있어서, 해당 제2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無端狀) 반송 컨베이어가 상기 두부를 반송(搬送)하는 반송면에 대해 하방으로 예각을 이루며 꺾여 구부러지도록,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를 안내하는 방향 전환 안내부
    를 구비하는 두부 이송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안내부는,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를 하방으로 꺾어 구부리는 방향 전환부와,
    상기 방향 전환부보다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끝단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상기 방향 전환부보다 하방에 배치된 방향 전환 보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 전환부에 의해 꺾여 구부러진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상기 방향 전환 보조부에 건너질러짐으로써, 상기 방향 전환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의 꺾여 구부러진 부분이 예각을 유지하는,
    두부 이송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부로부터 상기 방향 전환 보조부로 향하는 방향 전환면에 대해, 상기 방향 전환부를 중심으로 하여 180도 회전시켜 얻어지는 가상면을 정의하고,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면과 상기 가상면이 이루는 각도 α가, 90°<α<270°인,
    두부 이송 기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부가 회전 롤러 또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두부 이송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롤러의 단면(斷面)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두부 이송 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가, 적어도 원호를 포함하는 단면 형상을 구비하는,
    두부 이송 기구.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부의 양단(兩端)이 테이퍼 형상인,
    두부 이송 기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반송 컨베이어가 금속 벨트, 테플론 벨트, 식품용 벨트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두부 이송 기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수지제 여과포 벨트, 테플론 벨트, 식품용 벨트, 와이어 네트(wire net) 벨트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두부 이송 기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조 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두부의 경도가 1∼100kN/m2인,
    두부 이송 기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두부 이송 기구와, 제1 제조 장치와, 제2 제조 장치를 구비하는 두부 연속 제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가장 후단(最後端)과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상기 방향 전환부의 가장 전단(最前端)이, 수평 방향에 있어서 근접해 있거나, 접촉하고 있거나, 또는 서로 겹쳐 있는, 두부 연속 제조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조 장치 상에 절단 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두부를 절단한 후에,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두부 연속 제조 장치.
  14. 두부 연속 제조 장치에 있어서, 두부를 제1 제조 장치로부터 제2 제조 장치로 이송하기 위한 두부 이송 기구로서,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끝단과, 해당 제1 제조 장치의 끝단에 대향하는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시작단을 건너지르도록 배치되는 갈아타기 부재와,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끝단에서, 해당 제1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상기 두부를 반송하는 반송면에 대해 하방으로 예각을 이루며 꺾여 구부러지도록,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를 안내하는 방향 전환 안내부
    를 구비하는 두부 이송 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안내부는,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를 하방으로 꺾어 구부리는 방향 전환부와,
    상기 방향 전환부보다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시작단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상기 방향 전환부보다 하방에 배치된 방향 전환 보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 전환부에 의해 꺾여 구부러진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상기 방향 전환 보조부에 건너질러짐으로써, 상기 방향 전환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의 꺾여 구부러진 부분이 예각을 유지하는,
    두부 이송 기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부로부터 상기 방향 전환 보조부로 향하는 방향 전환면에 대해, 상기 방향 전환부를 중심으로 하여 180도 회전시켜 얻어지는 가상면을 정의하고,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면과 상기 가상면이 이루는 각도 α가, 90°<α<270°인,
    두부 이송 기구.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부가 회전 롤러 또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두부 이송 기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롤러의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두부 이송 기구.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가, 적어도 원호를 포함하는 단면 형상을 구비하는,
    두부 이송 기구.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부의 양단이 테이퍼 형상인,
    두부 이송 기구.
  21. 제14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반송 컨베이어가 금속 벨트, 테플론 벨트, 식품용 벨트, 와이어 네트 벨트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두부 이송 기구.
  22. 제14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반송 컨베이어가,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두부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두부를 반송하는,
    두부 이송 기구.
  23. 제14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수지제 여과포 벨트, 테플론 벨트, 식품용 벨트, 와이어 네트 벨트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두부 이송 기구.
  24. 제14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조 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두부의 경도가 1∼100kN/m2인,
    두부 이송 기구.
  25. 제14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두부 이송 기구와, 제1 제조 장치와, 제2 제조 장치를 구비하는 두부 연속 제조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상기 방향 전환부의 가장 후단과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가장 전단이, 수평 방향에 있어서 근접해 있거나, 접촉하고 있거나, 또는 서로 겹쳐 있는, 두부 연속 제조 장치.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조 장치 상에 절단 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두부를 절단한 후에,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두부 연속 제조 장치.
  28.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를 갖는 제1 제조 장치와,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를 갖는 제2 제조 장치를 구비하여, 두부를 상기 제1 제조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제조 장치로 이송하는 두부 연속 제조 장치로서,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끝단과, 해당 제1 제조 장치의 끝단에 대향하는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시작단 중 어느 한쪽(一方)인 해당 제조 장치의 단(端)에는, 해당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상기 두부를 반송하는 반송면에 대해 하방으로 예각을 이루며 꺾여 구부러지도록, 해당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를 안내하는 방향 전환 안내부를 구비하는 두부 연속 제조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끝단과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시작단을 건너지르도록 배치되는 갈아타기 부재를 더 구비하는,
    두부 연속 제조 장치.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안내부는,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를 하방으로 꺾어 구부리는 방향 전환부와,
    상기 방향 전환부보다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끝단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상기 방향 전환부보다 하방에 배치된 방향 전환 보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 전환부에 의해 꺾여 구부러진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상기 방향 전환 보조부에 건너질러짐으로써, 상기 방향 전환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의 꺾여 구부러진 부분이 예각을 유지하는,
    두부 연속 제조 장치.
  31.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안내부는,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시작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제조 장치는, 상기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금속 벨트, 테플론 벨트, 식품용 벨트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연속 응고기이며,
    상기 제2 제조 장치는, 상기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수지제 여과포 벨트, 테플론 벨트, 식품용 벨트, 와이어 네트 벨트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연속 성형기, 절단기, 반송기, 분배 정렬기 중 어느 하나인,
    두부 연속 제조 장치.
  32.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안내부는, 상기 제1 제조 장치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제조 장치는, 상기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수지제 여과포 벨트, 테플론 벨트, 식품용 벨트, 와이어 네트 벨트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연속 성형기이며,
    상기 제2 제조 장치는, 상기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금속 벨트, 수지제 여과포 벨트, 테플론 벨트, 식품용 벨트, 와이어 네트 벨트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절단기, 반송기, 분배 정렬기 중 어느 하나인,
    두부 연속 제조 장치.
  33.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를 갖는 제3 제조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두부는, 제2 제조 장치로부터 상기 제3 제조 장치로 이송되며,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끝단과, 해당 제2 제조 장치의 끝단에 대향하는 상기 제3 제조 장치의 시작단 중 어느 한쪽인 해당 제조 장치의 단(端)에는, 해당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상기 두부를 반송하는 반송면에 대해 하방으로 예각을 이루며 꺾여 구부러지도록, 해당 제조 장치의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를 안내하는 다른 방향 전환 안내부를 구비하는,
    두부 연속 제조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안내부는,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시작단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다른 방향 전환 안내부는, 상기 제2 제조 장치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제조 장치는, 상기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금속 벨트, 테플론 벨트, 식품용 벨트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연속 응고기이며,
    상기 제2 제조 장치는, 상기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수지제 여과포 벨트, 테플론 벨트, 식품용 벨트, 와이어 네트 벨트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연속 성형기이며,
    상기 제3 제조 장치는, 상기 무단 형상 반송 컨베이어가, 금속 벨트, 수지제 여과포 벨트, 테플론 벨트, 식품용 벨트, 와이어 네트 벨트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절단기, 반송기, 분배 정렬기 중 어느 하나인,
    두부 연속 제조 장치.
KR1020227037669A 2020-05-08 2021-04-30 두부 이송 기구 및 두부 연속 제조 장치 KR202300080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82738A JP7311154B2 (ja) 2020-05-08 2020-05-08 豆腐の移送機構及び豆腐の連続製造装置
JPJP-P-2020-082738 2020-05-08
PCT/JP2021/017306 WO2021225128A1 (ja) 2020-05-08 2021-04-30 豆腐の移送機構及び豆腐の連続製造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059A true KR20230008059A (ko) 2023-01-13

Family

ID=78409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7669A KR20230008059A (ko) 2020-05-08 2021-04-30 두부 이송 기구 및 두부 연속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25377A1 (ko)
JP (1) JP7311154B2 (ko)
KR (1) KR20230008059A (ko)
CN (1) CN115443244A (ko)
WO (1) WO20212251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487B1 (ko) * 2022-01-29 2024-01-10 서신식품 주식회사 순두부 파쇄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583A (en) 1975-07-03 1977-01-17 Subaru Denshi Seiki Kk Vibration sensor
JPS568193B2 (ko) 1976-09-22 1981-02-21
JPH03251151A (ja) 1989-05-08 1991-11-08 Sanyo Shokuhin Kk 豆腐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2983085B2 (ja) 1991-08-29 1999-11-29 ニチモウ株式会社 豆腐等の搬送コンベヤ用ブレードと、それを使用する豆腐等の搬送コンベヤ装置
JP2018198593A (ja) 2017-05-25 2018-12-20 株式会社高井製作所 豆腐の凝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583B2 (ko) * 1974-04-08 1977-02-15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583A (en) 1975-07-03 1977-01-17 Subaru Denshi Seiki Kk Vibration sensor
JPS568193B2 (ko) 1976-09-22 1981-02-21
JPH03251151A (ja) 1989-05-08 1991-11-08 Sanyo Shokuhin Kk 豆腐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2983085B2 (ja) 1991-08-29 1999-11-29 ニチモウ株式会社 豆腐等の搬送コンベヤ用ブレードと、それを使用する豆腐等の搬送コンベヤ装置
JP2018198593A (ja) 2017-05-25 2018-12-20 株式会社高井製作所 豆腐の凝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76799A (ja) 2021-11-11
WO2021225128A1 (ja) 2021-11-11
JP7311154B2 (ja) 2023-07-19
US20230225377A1 (en) 2023-07-20
CN115443244A (zh)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141B1 (ko) 두부류의 연속식 응고 장치
US4758148A (en) Manufacture of concrete tiles
KR20230008059A (ko) 두부 이송 기구 및 두부 연속 제조 장치
US20130122169A1 (en) Shaping and cooling device
JP5165809B1 (ja) 立体網状構造体製造装置及び立体網状構造体製造方法
AU2005217998B2 (en) Forming and Cooking with Controlled Curtain Spillage
US6854590B2 (en) Conveyor belt assembly
EP0323538B1 (en) Machine and method for layering sheets of food material
JP2022017583A (ja) 豆腐の凝固装置
RU2345187C1 (ru) Бумагоделательная машина с устройством формирования промежуточного слоя в двухслойной структуре и принимающим башмаком с регулируемым охватом
EP1155625A1 (en) Method for heat treating a continuous strand of food product and apparatus adapted therefore
EP1064114B1 (de) Stranggiessanlage zum kontinuierlichen giessen eines dünnen bandes sowie verfahren hierzu
FI102451B (fi) Menetelmä ja laite cannellonin valmistamiseksi
JP4878924B2 (ja) ロール状パン生地成形装置
KR20070115226A (ko) 육고기 양면칼집 성형기용 육고기 이송자세 변환장치
JP2021176799A5 (ko)
AU2003300338B2 (en) Hybrid type forming section for a paper making machine
JP7493798B2 (ja) 横スリットシート
EP11238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urning food products
JP6542323B2 (ja) 豆腐類製造装置および豆腐類製造方法
US20100140058A1 (en) Conveyance device
JP2023110125A (ja) ハンド装置およびこのハンド装置を用いた食品群形成方法
EP01856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sheets
JPS5928433A (ja) 練り込み生地片形成機械
JP2005198579A (ja) パン生地搬送成形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