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7230A - 전자 계전기 - Google Patents

전자 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7230A
KR20230007230A KR1020220074042A KR20220074042A KR20230007230A KR 20230007230 A KR20230007230 A KR 20230007230A KR 1020220074042 A KR1020220074042 A KR 1020220074042A KR 20220074042 A KR20220074042 A KR 20220074042A KR 20230007230 A KR20230007230 A KR 20230007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holder
contact
magne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이수케 무라타
타쓰로 기타가와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07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24Parts rotatable or rockable outside coil
    • H01H50/28Parts movable due to bending of a blade spring or re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01H50/443Connections to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4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4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 H01H9/443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usin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01H50/042Different parts are assembled by insertion without extra mounting facilities like screws, in an isolated mounting part, e.g. stack mounting on a coil-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01H50/043Details particular to miniaturised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24Parts rotatable or rockable outside coil
    • H01H50/26Parts movable about a knife ed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H01H50/38Part of main magnetic circuit shaped to suppress arcing between the contacts of the re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8Contact arrangements for miniaturised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01H50/641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intermediate part performing a rectilinear mov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과제)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전자 계전기 내에 있어서, 아크를 소호하기 위한 공간을 확대한다.
(해결수단) 전자 계전기는, 베이스, 고정 단자, 고정 접점, 가동편, 가동 접점, 자석, 베이스 홀더, 케이스를 구비한다. 고정 단자는, 베이스에 지지된다. 고정 접점은, 고정 단자에 접속된다. 가동편은, 베이스에 지지된다. 가동 접점은, 가동편에 접속되고, 고정 접점과 마주본다. 자석은,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에 대하여 로렌츠력을 작용시킨다. 베이스 홀더는, 베이스와 별체이다. 베이스 홀더는, 베이스에 설치된다. 베이스 홀더는, 베이스에 대하여 적어도 로렌츠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케이스는, 베이스 홀더에 설치된다.

Description

전자 계전기{ELECTROMAGNETIC RELAY}
본 발명은, 전자 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 계전기는,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을 구비한다.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에 전기가 흐른다.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에 의해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 사이에서 전기가 차단된다. 고정 접점은, 고정 단자에 접속된다. 가동 접점은, 가동편에 접속된다. 고정 단자와 가동편은, 베이스에 지지된다. 베이스에는 케이스가 설치된다.
한편, 전자 계전기에는, 아크를 소호(消弧)하기 위한 자석을 구비하는 것이 있다. 자석으로부터의 자기장에 의해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에 로렌츠력(Lorentz force)이 작용한다. 아크는, 로렌츠력에 의해 연장됨으로써 신속하게 소호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19-175603호 공보
아크를 신속하게 소호하기 위해서는 접점의 둘레에 넓은 공간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베이스를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접점의 둘레에 넓은 공간이 마련된다. 그러나, 베이스는 고정 단자, 고정 접점, 가동편 및 가동 접점의 위치 관계를 규정하는 부품이며, 높은 치수 정밀도가 요구된다. 이로 인해, 베이스를 신규로 재설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베이스의 형상이 변경되면, 전자 계전기의 제조 라인을 신규로 설계할 필요가 있다. 그 경우, 제조 비용이 증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전자 계전기 내에 있어서, 아크를 소호하기 위한 공간을 확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전자 계전기는, 베이스, 고정 단자, 고정 접점, 가동편, 가동 접점, 자석, 베이스 홀더, 케이스를 구비한다. 고정 단자는, 베이스에 지지된다. 고정 접점은, 고정 단자에 접속된다. 가동편은, 베이스에 지지된다. 가동 접점은, 가동편에 접속되고, 고정 접점과 마주본다. 자석은,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에 대하여 로렌츠력을 작용시킨다. 베이스 홀더는, 베이스와 별체(別體)이다. 베이스 홀더는, 베이스에 설치된다. 베이스 홀더는, 베이스에 대하여 적어도 로렌츠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케이스는, 베이스 홀더에 설치된다.
본 태양에 따른 전자 계전기에서는, 베이스 홀더가, 베이스에 대하여 적어도 로렌츠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로 인해, 케이스 내에 있어서, 아크를 소호하기 위한 공간이, 로렌츠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확대된다. 또한, 베이스 홀더는, 베이스와 별체이다. 이로 인해, 베이스의 형상을 변경하는 일없이 아크를 소호하기 위한 공간이 확대된다. 이로써,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아크를 소호하기 위한 공간이 확대된다.
자석은,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의 상방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자석이 가동편의 동작을 간섭하는 일없이 아크에 로렌츠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가동 접점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고정 접점에 대하여 접촉 및 개방 분리해도 된다. 로렌츠력은, 좌우 방향으로 작용해도 된다. 베이스 홀더는, 베이스의 적어도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케이스 내에 있어서, 아크를 소호하기 위한 공간이, 로렌츠력이 작용하는 좌우 방향으로 확대된다.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접촉하는 방향은 전방으로 정의된다.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은 후방으로 정의된다. 베이스 홀더는, 전 홀더부, 후 홀더부, 좌 홀더부, 우 홀더부를 포함해도 된다. 전 홀더부는, 베이스의 전방에 배치되어도 된다. 후 홀더부는, 베이스의 후방에 배치되어도 된다. 좌 홀더부는, 베이스의 좌방에 배치되어도 된다. 우 홀더부는, 베이스의 우방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베이스의 전후 좌우에 베이스 홀더가 배치된다. 이로 인해, 베이스 홀더가 강고하게 베이스에 설치된다.
베이스 홀더는, 개구(開口)를 포함해도 된다. 베이스는, 개구 내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베이스 홀더의 베이스로의 설치가 용이하다.
베이스 홀더는, 홀더 프레임과 볼록부를 포함해도 된다. 홀더 프레임은, 개구를 포함해도 된다. 볼록부는, 홀더 프레임으로부터 개구 내로 돌출해도 된다. 볼록부는, 베이스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해도 된다. 이 경우, 볼록부에 의해 베이스가 상방으로 빠짐 방지된다. 이로써, 베이스 홀더가 안정적으로 베이스에 설치된다.
베이스 홀더는, 돌기를 포함해도 된다. 돌기는, 홀더 프레임으로부터 개구 내로 돌출해도 된다. 돌기는, 베이스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해도 된다. 이 경우, 돌기에 의해 베이스가 하방으로 빠짐 방지된다. 이로써, 베이스 홀더가 안정적으로 베이스에 설치된다.
베이스 홀더는, 케이스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단턱을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케이스가 베이스 홀더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케이스는, 자석 수납부를 포함해도 된다. 자석 수납부는,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의 상방에 배치되어도 된다. 자석 수납부는, 케이스 내의 공간으로부터 구획되어도 된다. 자석은, 자석 수납부 내에 격납되어도 된다. 이 경우, 자석을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 인근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케이스는, 자석 수납부를 폐쇄하는 연자성재료제의 덮개부를 더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덮개부가 요크로서 기능하는 것에 의해 자석의 자속이 접점 주변에 집중되다. 또한, 자석의 자속이 전자 계전기 밖으로 누출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전자 계전기 내에 있어서, 아크를 소호하기 위한 공간을 확대할 수 있다.
도 1은 개방 상태의 전자 계전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폐쇄 상태의 전자 계전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전자 계전기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4는 전자 계전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베이스 및 베이스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베이스 및 베이스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베이스 및 베이스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베이스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베이스 홀더의 저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1)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 계전기(1)는, 베이스(2), 베이스 홀더(3), 케이스(4), 고정 단자(5), 고정 접점(6), 가동편(7), 가동 접점(8), 구동 장치(9)를 구비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베이스(2)에 대하여 접점(6, 8)이 배치되는 방향을 상방, 그 반대를 하방으로 정의한다. 가동 접점(8)으로부터 고정 접점(6)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 그 반대를 후방으로 정의한다. 또한, 전방을 향해 왼쪽을 좌방, 그 반대를 우방으로 정의한다. 또한, 이들의 방향의 정의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되는 것이며 전자 계전기(1)의 배치 방향 등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베이스(2)는, 고정 단자(5)와 가동편(7)과 구동 장치(9)를 지지한다. 베이스 홀더(3)는, 베이스(2)에 설치된다. 베이스(2)와 베이스 홀더(3)는, 예를 들어 수지제이다. 베이스(2)와 베이스 홀더(3)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케이스(4)는, 베이스 홀더(3)에 설치된다. 케이스(4)는, 베이스(2)와 베이스 홀더(3)와 가동 접점(8)과 고정 접점(6)과 구동 장치(9)를 덮는다.
고정 단자(5)는, 베이스(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고정 접점(6)은, 고정 단자(5)에 접속된다. 고정 단자(5)는, 베이스(2)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다. 가동편(7)은, 베이스(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가동 접점(8)은, 가동편(7)에 접속된다. 가동 접점(8)은, 고정 접점(6)과 전후 방향으로 마주본다. 가동편(7)은, 베이스(2)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다.
구동 장치(9)는, 가동편(7)을 접촉 방향과 개방 분리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접촉 방향은, 가동 접점(8)이 고정 접점(6)에 접촉하는 방향이다. 개방 분리 방향은, 가동 접점(8)이 고정 접점(6)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이다. 구동 장치(9)는, 코일 블록(11), 요크(12), 접극자(13), 힌지 스프링(14), 카드(15)를 포함한다. 코일 블록(11)은, 코일(16), 스풀(17), 철심(18)을 포함한다. 코일(16)은, 스풀(17)에 감긴다. 스풀(17)은, 베이스(2)에 지지된다. 코일(16)은, 통전되는 것에 의해 가동편(7)을 이동시키는 자력을 발생시킨다. 코일(16)에는, 코일 단자(19)가 접속된다. 코일 단자(19)는, 베이스(2)에 지지된다. 코일 단자(19)는, 베이스(2)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다.
철심(18)은, 스풀(17) 내에 배치된다. 철심(18)은, 코일(16)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요크(12)는, 베이스(2)에 지지된다. 요크(12)는, 제1 요크(21)와 제2 요크(22)를 포함한다. 요크(12)는, 제1 요크(21)와 제2 요크(22) 사이에서 굴곡된 형상을 가진다. 제1 요크(21)는, 코일(16)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1 요크(2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요크(22)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요크(22)는, 철심(18)의 하단(下端)에 접속된다.
접극자(13)는, 요동(搖動) 가능하도록 요크(12)에 지지된다. 접극자(13)는, 제1 부분(23)과 제2 부분(24)을 포함한다. 접극자(13)는, 제1 부분(23)과 제2 부분(24) 사이에서 굴곡된 형상을 가진다. 제1 부분(23)은, 철심(18)의 상단(上端)과 마주본다. 제2 부분(24)은, 카드(15)에 접속된다. 카드(15)는, 가동편(7)과 마주본다. 카드(15)는, 가동편(7)을 접촉 방향으로 누른다. 힌지 스프링(14)은, 접극자(13)에 접속된다. 힌지 스프링(14)은, 접극자(13)를 접촉 방향으로 가세한다.
도 1은, 개방 상태의 전자 계전기(1)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16)에 전류가 흐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가동편(7)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 접점(8)이 고정 접점(6)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유지된다. 코일(16)에 전류가 흐르면, 코일(16)의 자력에 의해 접극자(13)의 제1 부분(23)이 철심(18)에 흡인된다. 이로써, 접극자(13)가 가동편(7)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접촉 방향으로 요동하고, 제2 부분(24)이 접촉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카드(15)가 접촉 방향으로 이동하고, 가동편(7)을 접촉 방향으로 누른다. 이로써,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편(7)이 탄성 변형되고, 가동 접점(8)이 고정 접점(6)에 접촉한다. 그 결과, 전자 계전기(1)는, 도 2에 나타낸 폐쇄 상태로 된다.
코일(16)로의 전류가 차단되면, 철심(18)에 의한 접극자(13)의 흡인이 정지된다. 이로 인해, 가동편(7)의 탄성력에 의해 접극자(13)가 개방 분리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로써, 제1 부분(23)이 철심(18)으로부터 이격되고, 카드(15)가 개방 분리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가동편(7)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 접점(8)이 고정 접점(6)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로써, 전자 계전기(1)가 도 1에 나타낸 개방 상태로 돌아간다.
가동 접점(8)이 고정 접점(6)으로부터 이격될 때에 접점(6, 8) 사이에 아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 계전기(1)는, 아크를 소호하기 위한 자석(25)을 구비한다. 자석(25)은, 고정 접점(6) 및 가동 접점(8)의 상방에 배치된다. 도 3은, 전자 계전기(1)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4는, 전자 계전기(1)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화살표 A1은, 자석(25)의 자기장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석(25)은, 고정 접점(6)과 가동 접점(8) 사이에 상하 방향의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자석(25)은, 고정 접점(6)과 가동 접점(8) 사이에 하향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또는, 자석(25)은, 고정 접점(6)과 가동 접점(8) 사이에 상향 자기장을 발생시켜도 된다.
자석(25)은, 고정 접점(6)과 가동 접점(8)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에 대하여 로렌츠력을 작용시킨다. 이하, 자석(25)이 고정 접점(6)과 가동 접점(8) 사이에 하향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경우의 로렌츠력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실선의 화살표 F1은, 가동 접점(8)으로부터 고정 접점(6)을 향해 전류가 흐르는 경우의 로렌츠력(이하, '제1 로렌츠력'이라고 함)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파선의 화살표 F2는, 고정 접점(6)으로부터 가동 접점(8)을 향해 전류가 흐르는 경우의 로렌츠력(이하, '제2 로렌츠력'이라고 함)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로렌츠력 F1, F2는, 아크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작용한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4)는, 제1 측면(31), 제2 측면(32), 전면(前面)(33), 후면(34), 상면(35)을 포함한다. 제1 측면(31)과 제2 측면(32)은,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측면(31)은, 접점(6, 8)의 좌방에 배치된다. 제2 측면(32)은, 접점(6, 8)의 우방에 배치된다.
가동 접점(8)으로부터 고정 접점(6)을 향해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아크에 좌방으로의 제1 로렌츠력 F1이 작용한다. 이로써, 아크는, 접점(6, 8)과 제1 측면(31) 사이의 공간(이하, '제1 공간'이라고 함) S1으로 연장되어 소호된다. 고정 접점(6)으로부터 가동 접점(8)을 향해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아크에 우방으로의 제2 로렌츠력 F2가 작용한다. 이로써, 아크는, 접점(6, 8)과 제2 측면(32) 사이의 공간(이하, '제2 공간'이라고 함) S2로 연장되어 소호된다. 또한, 자석(25)이 고정 접점(6)과 가동 접점(8) 사이에 상향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설명과 역방향으로 로렌츠력이 작용한다.
전면(33)은, 접점(6, 8)의 전방에 배치된다. 후면(34)은, 구동 장치(9)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면(35)은, 접점(6, 8) 및 구동 장치(9)의 상방에 배치된다. 케이스(4)는, 자석 수납부(36)를 포함한다. 자석 수납부(36)는, 접점(6, 8)의 상방에 배치된다. 자석 수납부(36)는, 상면(35)으로부터 하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진다. 자석(25)은, 자석 수납부(36)에 배치된다. 자석 수납부(36)는, 케이스(4) 내의 공간으로부터 구획된다. 자석 수납부(36)는, 덮개(37)에 의해 폐쇄된다. 덮개(37)는, 연자성재료제이다. 덮개(37)가 연자성재료제임으로써 자석(25)의 자속이 접점(6, 8)의 주변에 집중된다. 또한, 자석(25)의 자속이 전자 계전기(1) 밖으로 누출되기 어려워진다.
도 5 및 도 6은, 베이스(2) 및 베이스 홀더(3)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베이스(2) 및 베이스 홀더(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2)는, 제1 지지부(41)와 제2 지지부(42)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41)는, 고정 단자(5)를 지지한다. 제1 지지부(41)는, 상하 방향으로 베이스(2)를 관통하는 제1 구멍(43)을 포함한다. 고정 단자(5)는, 제1 구멍(43)에 통과된다. 제2 지지부(42)는, 가동편(7)을 지지한다. 제2 지지부(42)는, 상하 방향으로 베이스(2)를 관통하는 제2 구멍(44)을 포함한다. 가동편(7)은, 제2 구멍(44)에 통과된다.
베이스(2)는, 요크 지지부(45)와 코일 지지부(46)를 포함한다. 요크 지지부(45)는, 베이스(2)의 상면(35)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요크 지지부(45)는, 요크(12)를 지지한다. 코일 지지부(46)는, 코일 블록(11)을 지지한다. 베이스(2)는, 전연(前緣)(47)과 후연(後緣)(48)을 포함한다. 전연(47)은, 제1 지지부(41)의 전방에 배치된다. 후연(48)은, 코일 지지부(46)의 후방에 배치된다.
베이스 홀더(3)는, 베이스(2)와 별체이다. 베이스 홀더(3)는, 베이스(2)의 전후 좌우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베이스 홀더(3)는, 홀더 프레임(51)을 포함한다. 홀더 프레임(51)은, 개구(52)를 포함한다. 베이스(2)는, 개구(52) 내에 배치된다. 홀더 프레임(51)은, 단턱(53)을 포함한다. 단턱(53)은, 홀더 프레임(51)의 외연(外緣)을 따라 설치된다. 단턱(53)은, 케이스(4)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홀더 프레임(51)은, 전 홀더부(54), 후 홀더부(55), 좌 홀더부(56), 우 홀더부(57)를 포함한다. 전 홀더부(54)는, 베이스(2)의 전방에 배치된다. 전 홀더부(54)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후 홀더부(55)는, 베이스(2)의 후방에 배치된다. 후 홀더부(55)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좌 홀더부(56)는, 베이스(2)의 좌방에 배치된다. 좌 홀더부(56)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좌 홀더부(56)는, 전 홀더부(54)와 후 홀더부(55)에 접속된다. 우 홀더부(57)는, 베이스(2)의 우방에 배치된다. 우 홀더부(57)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우 홀더부(57)는, 전 홀더부(54)와 후 홀더부(55)에 접속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 홀더부(56)는, 베이스(2)에 대하여 제1 로렌츠력 F1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아크는, 제1 로렌츠력 F1에 의해 좌 홀더부(56)의 상방의 제1 공간 S1로 연장된다. 우 홀더부(57)는, 베이스(2)에 대하여 제2 로렌츠력 F2가 작용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아크는, 제2 로렌츠력 F2에 의해 우 홀더부(57)의 상방의 제2 공간 S2로 연장된다.
도 8은, 베이스 홀더(3)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베이스 홀더(3)의 저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홀더(3)는, 복수의 다리부(61-64)를 포함한다. 복수의 다리부(61-64)는, 홀더 프레임(51)의 저면(底面)(58)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다. 복수의 다리부(61-64)는, 제1 다리부(61), 제2 다리부(62), 제3 다리부(63), 제4 다리부(64)를 포함한다. 제1∼제4 다리부(61-64)는, 홀더 프레임(51)의 저면(58)의 4개의 모서리에 각각 배치된다.
베이스 홀더(3)는, 복수의 오목부(65-68)를 포함한다. 복수의 오목부(65-68)는, 홀더 프레임(51)의 저면(58)으로부터 상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진다. 복수의 오목부(65-68)는, 제1 오목부(65), 제2 오목부(66), 제3 오목부(67), 제4 오목부(68)를 포함한다. 제1 오목부(65)와 제2 오목부(66)는, 좌 홀더부(56)의 저면에 설치된다. 제1 오목부(65)와 제2 오목부(66)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3 오목부(67)와 제4 오목부(68)는, 우 홀더부(57)의 저면에 설치된다. 제3 오목부(67)와 제4 오목부(68)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복수의 오목부(65-68)는 생략되어도 된다.
베이스 홀더(3)는, 복수의 볼록부(71-73)를 포함한다. 복수의 볼록부(71-73)는, 홀더 프레임(51)으로부터 개구(52) 내로 돌출한다. 복수의 볼록부(71-73)는, 베이스(2)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한다. 복수의 볼록부(71-73)는, 제1 볼록부(71), 제2 볼록부(72), 제3 볼록부(73)를 포함한다. 제1 볼록부(71)와 제2 볼록부(72)는, 개구(52)의 모서리에 배치된다. 제1 볼록부(71)는, 전 홀더부(54)와 좌 홀더부(56) 사이의 모서리에 배치된다. 제2 볼록부(72)는, 전 홀더부(54)와 우 홀더부(57) 사이의 모서리에 배치된다. 제1 볼록부(71)와 제2 볼록부(72)는, 베이스(2)의 전연(47)의 상방에 배치된다. 제1 볼록부(71)와 제2 볼록부(72)는, 베이스(2)의 전연(47)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한다. 제3 볼록부(73)는, 후 홀더부(55)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다. 제3 볼록부(73)는, 베이스(2)의 후연(48)의 상방에 배치된다. 제3 볼록부(73)는, 베이스(2)의 후연(48)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홀더(3)는, 복수의 돌기(74, 75)를 포함한다. 복수의 돌기(74, 75)는, 홀더 프레임(51)으로부터 개구(52) 내로 돌출한다. 복수의 돌기(74, 75)는, 베이스(2)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복수의 돌기(74, 75)는, 제1 돌기(74)와 제2 돌기(75)를 포함한다. 제1 돌기(74)는, 좌 홀더부(56)로부터 개구(52) 내로 돌출한다. 제2 돌기(75)는, 우 홀더부(57)로부터 개구(52) 내로 돌출한다. 제1 돌기(74)와 제2 돌기(75)는, 베이스(2)의 하방에 배치된다. 베이스(2)는, 끼워맞춤에 의해 베이스 홀더(3)의 하방으로부터 개구(52)에 삽입되고, 복수의 볼록부(71-73)와 복수의 돌기(74, 75) 사이에 배치된다. 베이스(2)는, 복수의 볼록부(71-73)와 복수의 돌기(74, 75)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베이스 홀더(3)에 유지된다.
베이스 홀더(3)는, 복수의 걸림부(76, 77)를 포함한다. 복수의 걸림부(76, 77)는, 케이스(4)에 걸리게 된다. 이로써, 케이스(4)가 베이스 홀더(3)에 설치된다. 복수의 걸림부(76, 77)는, 제1 걸림부(76)와 제2 걸림부(77)를 포함한다. 제1 걸림부(76)는, 좌 홀더부(56)로부터 돌출한다. 제1 걸림부(76)는, 케이스(4)의 제1 측면(31)에 걸리게 된다. 제2 걸림부(77)는, 우 홀더부(57)로부터 돌출한다. 제2 걸림부(77)는, 케이스(4)의 제2 측면(32)에 걸리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1)에서는, 베이스 홀더(3)가 베이스(2)에 대하여 적어도 로렌츠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로 인해, 케이스(4) 내에 있어서, 아크를 소호하기 위한 공간 S1, S2가, 로렌츠력 F1, F2가 작용하는 방향으로 확대된다. 또한, 베이스 홀더(3)는, 베이스(2)와 별체이다. 이로 인해, 베이스(2)의 형상을 변경하는 일없이 아크를 소호하기 위한 공간 S1, S2가 확대된다. 이로써,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아크를 소호하기 위한 공간 S1, S2가 확대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고정 접점(6) 및 고정 단자(5)의 구조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고정 접점(6)과 고정 단자(5)는 서로 별체에 한정되지 않고, 일체라도 된다. 가동 접점(8) 및 가동편(7)의 구조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가동 접점(8)과 가동편(7)은, 서로 별체에 한정되지 않고, 일체라도 된다.
구동 장치(9)의 구조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카드(15)의 형상이 변경되어도 된다. 접극자(13)의 형상이 변경되어도 된다.
베이스(2) 및 베이스 홀더(3)의 구조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후 홀더부(55) 또는 전 홀더부(54)가 생략되어도 된다. 좌 홀더부(56)와 우 홀더부(57)의 일방만이 설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로렌츠력이 접점(6, 8)의 좌방에만 작용하는 경우에는, 우 홀더부(57)이 생략되어도 된다. 또는, 로렌츠력이 접점(6, 8)의 우방에만 작용하는 경우에는, 좌 홀더부(56)가 생략되어도 된다.
볼록부의 구조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볼록부의 배치가 변경되어도 된다. 볼록부의 개수는 3개에 한정되지 않고, 3개보다 많거나 3개보다 적어도 된다. 돌기의 배치가 변경되어도 된다. 돌기의 개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1개이거나 2개보다 많아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전자 계전기 내에 있어서, 아크를 소호하기 위한 공간을 확대할 수 있다.
2 베이스
3 베이스 홀더
4 케이스
5 고정 단자
6 고정 접점
7 가동편
8 가동 접점
25 자석
36 자석 수납부
51 홀더 프레임
52 개구
53 단턱
54 전 홀더부
55 후 홀더부
56 좌 홀더부
57 우 홀더부
71 볼록부
74 돌기

Claims (10)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는 고정 단자,
    상기 고정 단자에 접속되는 고정 접점,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는 가동편,
    상기 가동편에 접속되고, 상기 고정 접점과 마주보는 가동 접점,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에 대하여 로렌츠력(Lorentz force)을 작용시키는 자석,
    상기 베이스와 별체(別體)이며,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로렌츠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베이스 홀더,
    상기 베이스 홀더에 설치되는 케이스,
    를 포함하는 전자 계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고정 접점 및 상기 가동 접점의 상방에 배치되는,
    전자 계전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정 접점에 대하여 접촉 및 개방 분리하고,
    상기 로렌츠력은, 좌우 방향으로 작용하고,
    상기 베이스 홀더는, 상기 베이스의 적어도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자 계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하는 방향이 전방으로 정의되며,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이 후방으로 정의되고,
    상기 베이스 홀더는,
    상기 베이스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 홀더부,
    상기 베이스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 홀더부,
    상기 베이스의 좌방에 배치되는 좌 홀더부,
    상기 베이스의 우방에 배치되는 우 홀더부,
    를 포함하는,
    전자 계전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홀더는, 개구(開口)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개구 내에 배치되는,
    전자 계전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홀더는,
    상기 개구를 포함하는 홀더 프레임과,
    상기 홀더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개구 내로 돌출하고, 상기 베이스에 상방으로부타 접촉하는 볼록부,
    를 포함하는,
    전자 계전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홀더는,
    상기 개구를 포함하는 홀더 프레임과,
    상기 홀더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개구 내로 돌출하고, 상기 베이스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돌기,
    를 포함하는,
    전자 계전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홀더는, 상기 케이스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단턱을 포함하는,
    전자 계전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의 상방에 배치되는 자석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 수납부는, 상기 케이스 내의 공간으로부터 구획되고,
    상기 자석은, 상기 자석 수납부 내에 격납되는,
    전자 계전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자석 수납부를 폐쇄하는 연자성재료제의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계전기.
KR1020220074042A 2021-07-05 2022-06-17 전자 계전기 KR202300072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11451A JP2023008138A (ja) 2021-07-05 2021-07-05 電磁継電器
JPJP-P-2021-111451 2021-07-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230A true KR20230007230A (ko) 2023-01-12

Family

ID=84772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042A KR20230007230A (ko) 2021-07-05 2022-06-17 전자 계전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78603B2 (ko)
JP (1) JP2023008138A (ko)
KR (1) KR20230007230A (ko)
CN (1) CN115588600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4158B2 (ja) * 2001-03-26 2009-09-3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4307182B2 (ja) * 2003-08-22 2009-08-0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4190379B2 (ja) * 2003-09-12 2008-12-0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複合型電磁継電器
JP5131218B2 (ja) * 2008-09-12 2013-01-30 アンデ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5560058B2 (ja) * 2010-01-26 2014-07-2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6787182B2 (ja) * 2017-02-28 2020-11-18 オムロ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のシール構造、シール構造を備えた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JP7003788B2 (ja) 2018-03-27 2022-01-21 オムロン株式会社 リレー
JP7003787B2 (ja) * 2018-03-27 2022-01-21 オムロン株式会社 リレ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588600A (zh) 2023-01-10
US11978603B2 (en) 2024-05-07
JP2023008138A (ja) 2023-01-19
US20230005688A1 (en)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8989B2 (ja) 電磁接触器
JP5684650B2 (ja) 電磁接触器
JP5984087B2 (ja) 電磁リレー
JP5767508B2 (ja) 電磁接触器
JP6841047B2 (ja) 電磁接触器
US10515774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11295918B2 (en) Electromagnetic relay
CN112543987A (zh) 继电器
JP2022141412A (ja) 電磁継電器
KR20230007230A (ko) 전자 계전기
US11515113B2 (en) Contact device
JP7206831B2 (ja) 接点装置
WO2020148994A1 (ja) リレー
JP7310508B2 (ja) リレー
US11784020B2 (en) Electromagnetic relay
JP7390791B2 (ja) リレー
JP7480567B2 (ja) 電磁継電器
JP2023156771A (ja) 電磁継電器
JP2023151048A (ja) 電磁継電器
JP2023156772A (ja) 電磁継電器
JP2023166955A (ja) 接点装置、及び電磁継電器
CN117981034A (zh) 电磁继电器
JP2020115432A (ja) リレー
JP2020115434A (ja) リレー
JP2023007923A (ja) 電磁継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