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6588A - 화장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6588A
KR20230006588A KR1020227042834A KR20227042834A KR20230006588A KR 20230006588 A KR20230006588 A KR 20230006588A KR 1020227042834 A KR1020227042834 A KR 1020227042834A KR 20227042834 A KR20227042834 A KR 20227042834A KR 20230006588 A KR20230006588 A KR 20230006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polymer
cosmetic composition
less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2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루유키 후쿠다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06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58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29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r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polyvinylmethyle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6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 A61K8/898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containing nitrogen, e.g. amodimethicone, trimethyl silyl amodimethicone or dimethicone propyl PG-bet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3/00Manicure or pedicur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3/00Manicure or pedicure preparations
    • A61Q3/02Nail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61Q5/065Preparations for temporary colouring the hair, e.g. direct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61K2800/884Sequential application

Abstract

용매 A, 용매 B, 폴리머 C, 및 착색제를 함유하는 화장 조성물이고, 그 용매 A 가, 에탄올, n-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판올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그 용매 B 의 비점이 150 ℃ 이상이며, 또한 그 용매 B 의 물에 대한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의 거리 Ra 가 40 이상이고, 그 용매 B 가 그 용매 A 와 상용하며, 또한 그 폴리머 C 가 그 용매 A 에 가용이고 그 용매 B 에는 불용인 화장 조성물, 그 화장 조성물을 사용하는 화장 방법, 및 그 화장 조성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화장 도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 조성물
본 발명은 화장 조성물, 그 화장 조성물을 사용하는 화장 방법, 및 그 화장 조성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화장 도막에 관한 것이다.
종래, 메이크업 화장료에는 살갗 (피부) 의 기미, 칙칙함, 모공의 커버나 도포 마무리의 명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철 등의 은폐력이 높은 무기 안료를 배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121137호 (특허문헌 1) 에는, 높은 백색도나 은폐력을 부여시켜 이루어지는 화장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여, 평균 입자경이 0.2 ㎛ 이상인 산화티탄과, 평균 입자경이 0.01 ∼ 100 ㎛ 인 수지 미립자를 함유하는 화장료가 기재되어 있다.
또,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5-520120호 (특허문헌 2) 에는, 피부의 결점 등의 은폐 효과를 장기 지속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생리학적 매체 중에, 소정의 굴절률 및 입경을 갖는 플레이트 타입 필러,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1 ㎖/g 이상의 흡유능을 갖는 필러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용매 A, 용매 B, 폴리머 C, 및 착색제를 함유하는 화장 조성물이고,
그 용매 A 가, 에탄올, n-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판올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그 용매 B 의 비점이 150 ℃ 이상이며, 또한 그 용매 B 의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물에 대한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의 거리 Ra 가 40 이상이고,
그 용매 B 가 그 용매 A 와 상용하며, 또한 그 폴리머 C 가 그 용매 A 에 가용이고 그 용매 B 에는 불용인, 화장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Ra = (4 × ΔD2 + ΔP2 + ΔH2)0.5 (1)
ΔD : 용매 B 와 물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분산 성분의 차
ΔP : 용매 B 와 물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극성 성분의 차
ΔH : 용매 B 와 물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수소 결합 성분의 차
여기에서, 주로 살갗의 색 조정을 목적으로 하는 파운데이션, 컨실러 등의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에서는, 살갗의 기미, 반점, 모공을 은폐하고, 화장료에 배합되어 있는 착색제 본래의 색으로 착색할 수 있는 높은 발색성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또, 아이섀도, 치크, 네일 에나멜 등의 얼굴의 부위나 네일에 도포하여, 색채를 부분적으로 실시하여 강조하는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료에서는, 음영을 내어 입체감을 부여하는 목적이나 색채를 실시하여 부분적으로 강조하는 목적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살갗이나 네일의 본래의 색미 (色味) 를 은폐함과 함께, 화장료에 배합되어 있는 착색제 본래의 색으로 착색할 수 있는 높은 발색성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또한, 헤어 마스카라 등의 일시 염모제는, 모발에 대한 데미지가 적고, 부담없이 머리 염색을 즐길 수 있는 것으로서 선호되고 있고, 특히 패션성 향상을 위해서, 모발에 선명한 색을 부여하는 목적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시 염모제는, 모발 상에 착색 도막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발을 착색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모발 본래의 색미를 은폐함과 함께, 일시 염모제에 배합되어 있는 착색제 본래의 색으로 착색할 수 있는 높은 발색성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 및 2 의 기술에서는, 고굴절률의 무기 안료를 배합함으로써 은폐력을 발현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산화아연, 산화티탄에 관해서는 각종 법 규제에 의해서 사용의 제한이 엄격해지고 있다.
그 때문에, 무기 안료를 사용하지 않아도, 은폐성 및 발색성이 우수한 화장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화장 조성물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일시 염모제 중에는, 모발을 메시상으로 염모하는 사용 형태로도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원하는 일부의 메시에만 색채를 실시하는 간편한 화장 방법도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무기 안료를 사용하지 않아도, 은폐성 및 발색성이 우수한 화장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화장 조성물, 그 화장 조성물을 사용하는 화장 방법, 및 그 화장 조성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화장 도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2 종류의 용매, 폴리머, 및 착색제를 함유하고, 이들 2 종류의 용매 중의 제 1 용매가 에탄올, n-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판올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제 2 용매의 비점 및 물에 대한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의 거리가 각각 특정한 값 이상이며, 이들 2 종류의 용매의 상용성과 그 폴리머의 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각각 특정한 관계로 하는 화장 조성물에 의해서, 무기 안료를 사용하지 않아도, 은폐성 및 발색성이 우수한 화장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즉, 본 발명은, 다음의 [1] ∼ [3] 에 관한 것이다.
[1] 용매 A, 용매 B, 폴리머 C, 및 착색제를 함유하는 화장 조성물이고,
그 용매 A 가, 에탄올, n-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판올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그 용매 B 의 비점이 150 ℃ 이상이며, 또한 그 용매 B 의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물에 대한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의 거리 Ra 가 40 이상이고,
그 용매 B 가 그 용매 A 와 상용하며, 또한 그 폴리머 C 가 그 용매 A 에 가용이고 그 용매 B 에는 불용인, 화장 조성물.
Ra = (4 × ΔD2 + ΔP2 + ΔH2)0.5 (1)
ΔD : 용매 B 와 물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분산 성분의 차
ΔP : 용매 B 와 물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극성 성분의 차
ΔH : 용매 B 와 물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수소 결합 성분의 차
[2] 상기 [1] 에 기재된 화장 조성물을 사용하는 화장 방법으로서,
공정 1 : 상기 화장 조성물을 피부, 모발, 또는 네일에 도포하는 공정, 및,
공정 2 : 피부, 모발, 또는 네일 상에 도포된 화장 조성물에, 물을 함유하는 액체 E 의 액적을 부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화장 방법.
[3] 상기 [1] 에 기재된 화장 조성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화장 도막.
본 발명에 의하면, 무기 안료를 사용하지 않아도, 은폐성 및 발색성이 우수한 화장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화장 조성물, 그 화장 조성물을 사용하는 화장 방법, 및 그 화장 조성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화장 도막을 제공할 수 있다.
[화장 조성물]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은, 용매 A, 용매 B, 폴리머 C, 및 착색제를 함유하는 화장 조성물이고, 그 용매 A 가, 에탄올, n-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판올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그 용매 B 의 비점이 150 ℃ 이상이며, 또한 그 용매 B 의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물에 대한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의 거리 Ra 가 40 이상이고, 그 용매 B 가 그 용매 A 와 상용하며, 또한 그 폴리머 C 가 그 용매 A 에 가용이고 그 용매 B 에는 불용이다.
Ra = (4 × ΔD2 + ΔP2 + ΔH2)0.5 (1)
ΔD : 용매 B 와 물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분산 성분의 차
ΔP : 용매 B 와 물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극성 성분의 차
ΔH : 용매 B 와 물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수소 결합 성분의 차
본 발명에 있어서,「상용」이란, 용매 A 및 용매 B 를 함유하는 혼합 계에 있어서, 용매 A 와 용매 B 가 서로 용해되는 현상을 말한다. 용매 A 와 용매 B 를 혼합하여 정치 (靜置) 했을 때에 다상으로 분리되지 않은 경우, 또는, 혼합하여 교반 조작을 행했을 때에 상분리되어 백탁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를, 용매 A 및 용매 B 가 상용 상태에 있다고 판단한다.
또, 폴리머 C 는 용매 A 에 가용이고 용매 B 에는 불용이며, 화장 조성물 중에 있어서는 용해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폴리머 C 가 용매 A 에 가용이다」란, 105 ℃ 에서 2 시간 건조시키고, 항량에 도달한 폴리머 C 를 25 ℃ 의 용매 A 100 g 에 용해시켰을 때의 용해량이 5 g 이상인 것을 말한다. 폴리머 C 의 용매 A 에 대한 상기 용해량은,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 g 이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폴리머 C 가 용매 B 에 불용이다」란, 105 ℃ 에서 2 시간 건조시키고, 항량에 도달한 폴리머 C 를 25 ℃ 의 용매 B 100 g 에 포화될 때까지 용해시켰을 때의 용해량이 5 g 미만인 것을 말한다. 폴리머 C 의 용매 B 에 대한 상기 용해량은,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 g 미만이다.
상기한「상용」또는「가용」인지의 여부의 판단은 25 ℃ 에서 행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한센 용해도 파라미터」는, Hildebrand 에 의해서 도입된 용해도 파라미터 (SP 치) 를 3 성분 (분산 성분 D, 극성 성분 P, 수소 결합 성분 H) 으로 분할하여 나타내어진다. 각 용매의 D, P, H 는 "HANSEN SOLBILITY PARAMETERS" A User's Handbook Second Edition 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또, 많은 용매나 수지에 대한 HSP 치는 Wesley L. Archer 저, Industrial Solvents Handbook 등에도 기재되어 있다.
각 용매의 D, P, H 는, Charles Hansen Consulting, Inc. (Horsholm, De㎚ark, hansen-solubility.com) 의 소프트웨어 HSPiP 를 사용하여 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HSPiP 버젼 4.1.03 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용매 (각종 HSP 의 문헌 참조) 에 관해서는 그 값을 사용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없는 용매에 관해서는, 상기 HSPiP 에 의해서 추산되는 값을 사용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의 단위는,「(㎫)0.5」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기 안료를 사용하지 않아도, 은폐성 및 발색성이 우수한 화장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확실하지 않지만, 이하와 같이 생각된다.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은, 에탄올, n-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판올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용매 A 와, 비점이 150 ℃ 이상이며, 또한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물에 대한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의 거리 Ra 가 40 이상인 용매 B 와, 그 용매 A 에 가용이고 그 용매 B 에는 불용인 폴리머 C 와, 착색제를 함유한다.
이와 같은 화장 조성물을 피부, 모발 또는 네일에 도포하면, 도포막 내의 용매 A 의 휘발에 의해서 기화열이 빼앗겨지고, 도포막 표면에 대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미소한 수적으로 되어 부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용매 A 가 특정한 알코올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용매 B 의 물에 대한 용해도 파라미터의 거리 Ra 가 특정한 값 이상이기 때문에, 이 미소한 수적의 도포막 표면에 대한 부착에 의해서 용매 A 와 상용하고 있던 용매 B 는 상분리된다. 그리고, 폴리머 C 는 용매 B 에는 불용이기 때문에, 상분리된 용매 B 를 폴리머 C 가 피복하여, 용매 B 의 합일이 억제됨으로써, 용매 B 를 코어로 하고 폴리머 C 를 셸로 하는 코어 셸 구조를 갖는 착색제를 함유하는 1 차 입자가 형성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용매 A 의 휘발과 형성된 1 차 입자의 표면 정렬에 수반하여, 도포막 내에서 규칙적으로 구획된 셀상의 대류 구조, 이른바 베나르 셀 (Benard Cells) 이 발생되고, 각 셀 내에서의 베나르 대류에 의해서, 1 차 입자가 집적되어, 2 차 입자가 형성된 착색제를 함유하는 화장 도막이 얻어진다고 생각된다. 그 결과, 화장 도막 내에 형성된 입자 구조에 의해서 광이 산란되고, 높은 은폐성 및 발색성이 발현된다고 추찰된다.
<용매 A>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은, 용매 A 를 함유한다.
용매 A 는,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다. 또한, 화장 조성물 중에서, 용매 A 는, 용매 B 와 상용하고, 폴리머 C 를 용해시킨다. 이로써, 화장 조성물을 피부, 모발, 또는 네일에 도포했을 때에 용매 A 의 휘발에 수반하여, 기화열이 빼앗겨지고, 도포막 표면에 미소한 수적이 부착되어, 용매 A 와 용매 B 의 상분리를 일으키게 할 수 있다.
용매 A 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용매 A 는,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및 이소프로판올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다.
<용매 B>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은, 용매 B 를 함유한다.
용매 B 의 비점은 150 ℃ 이상이며, 또한 그 용매 B 의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물에 대한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의 거리 Ra 는 40 이상이다. 또한 화장 조성물 중에서, 용매 B 는, 용매 A 와 상용하고, 폴리머 C 를 용해시키지 않는다. 이로써, 용매 A 의 휘발에 의해서 도포막 표면에 미소한 수적이 부착했을 때에, 용매 A 와 용매 B 의 상분리가 일어나, 용매 B 를 폴리머 C 로 피복한 1 차 입자가 형성된다.
용매 B 의 비점은, 1 차 입자를 형성하고,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150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65 ℃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70 ℃ 이상이며, 그리고, 취급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7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 ℃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30 ℃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10 ℃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80 ℃ 이하이다.
용매 B 의 물에 대한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의 거리 Ra 는, 1 차 입자를 형성하고,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4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4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4 이상이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6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7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다.
용매 B 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용매 B 로서 2 종 이상을 병용하는 경우의 비점 및 물에 대한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의 거리 Ra 는, 각 용매의 함유량 (질량%) 으로 가중한 가중 평균치로서 구할 수 있다.
용매 B 는,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탄화수소유 및 실리콘유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화수소유로는, α-올레핀 올리고머 ; 유동 파라핀 ;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등의 유동 이소파라핀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중질 유동 이소파라핀) ; 유동 오조케라이트 ; 스쿠알란 ; 프리스탄 ; 스쿠알렌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탄화수소유는, 바람직하게는 α-올레핀 올리고머, 유동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유동 오조케라이트, 스쿠알란, 프리스탄, 및 스쿠알렌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동 이소파라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및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이소도데칸 및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다.
탄화수소유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이다.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의 20 ℃ 에 있어서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0.5 mPa·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mPa·s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 mPa·s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30 mPa·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mPa·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mPa·s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 mPa·s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mPa·s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 mPa·s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 mPa·s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 mPa·s 이하이다.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의 20 ℃ 에 있어서의 점도는, E 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측정할 수 있다.
실리콘유로는, 트리실록산 등의 직사슬형 실리콘유 ; 메틸트리메티콘 등의 분기상 실리콘유 ;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등의 고리형 실리콘유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실리콘유는, 직사슬형 실리콘유, 분기상 실리콘유, 및 고리형 실리콘유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트리실록산, 메틸트리메티콘, 및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트리실록산 및 메틸트리메티콘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실리콘유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이다.
실리콘유의 25 ℃ 에 있어서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0.5 mPa·s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20 mPa·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Pa·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mPa·s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 mPa·s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 mPa·s 이하이다. 실리콘유의 25 ℃ 에 있어서의 점도는, E 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측정할 수 있다.
용매 B 는, 화장 도막의 성막성을 향상시켜,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휘발성을 갖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휘발성의 탄화수소유 및 휘발성의 실리콘유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휘발성」이란, 이하의 방법에 의해서 측정되는, 25 ℃, 6 시간에서의 증발량이 20 %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측정 방법 : 직경 120 ㎜ 의 유리제 샬레 중에, 직경 90 ㎜ 의 여과지를 넣고, 여과지에 샘플을 1 g 얹어, 65 %RH 의 실내 (25 ℃) 에 6 시간 보존한다. 보존 전후의 샘플의 질량을 측정하고, 하기 식에 의해서 증발량을 산출한다.
증발량 (%) = [(보존 전 샘플 질량 - 보존 후 샘플 질량)/보존 전 샘플 질량] × 100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용매 B 를 코어로 하고 폴리머 C 를 셸로 하는 코어 셸 구조를 갖는 1 차 입자가 형성되지만, 용매 B 가 휘발성을 가짐으로써, 코어부에 내포된 용매 B 는 증산되어 중공 1 차 입자가 형성되고, 이로써, 은폐성 및 발색성, 그리고 화장 도막의 성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중공 1 차 입자를 형성할 때에는, 셸부에 미소한 구멍 (개구부) 이 형성되기도 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의 피부에 대한 적용에 있어서, 얼굴 표정의 변화 등으로 피부의 피구 (皮溝) 나 주름에 변형이 초래되어도, 피구나 주름 내부에 받아들여진 중공 1 차 입자는, 그 입자의 변형 또는 공기를 압출함으로써, 피구나 주름의 체적 변화에 추종하여 가역적으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이 때문에 중공 1 차 입자의 피부 표면으로의 압출이 억제되고, 피구나 주름의 변형 전의 화장 도막의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서, 화장 유지성이 향상된다고 생각된다. 상기 중공 1 차 입자는, 용매 B 의 종류나 피부에 도포 후의 도포막의 건조 조건을 조정하고, 코어부에 내포된 용매 B 를 증산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휘발성의 탄화수소유로는, 은폐성 및 발색성, 그리고 화장 도막의 성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탄소수 8 이상 16 이하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유가 바람직하다. 휘발성의 탄화수소유로는, 예를 들어, n-데칸, n-운데칸, n-도데칸 등의 파라핀계 탄화수소유 ; 이소데칸, 이소도데칸,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등의 이소파라핀계 탄화수소유 ; 시클로데칸, 시클로도데칸 등의 고리형 파라핀 탄화수소유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휘발성의 탄화수소유는, 바람직하게는 유동 이소파라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소데칸, 이소도데칸, 및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소도데칸 및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이다.
휘발성의 탄화수소유의 시판품으로는, 니치유 (주) 제조의「펄림 3」,「펄림 4」; 마루젠 석유 화학 (주) 제조의 마르카졸 R 등을 들 수 있다.
휘발성의 실리콘유로는, 은폐성 및 발색성, 그리고 화장 도막의 성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직사슬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고리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직사슬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구체예로는, 옥타메틸트리실록산,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 도데카메틸펜타실록산, 1,1,1,3,5,5,5-헵타메틸-3-[(트리메틸실릴)옥시]-트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고리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으로는, 탄소수가 1 이상 5 이하의 알킬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4 ∼ 6 원 고리의 고리형 실록산을 들 수 있다. 고리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구체예로서,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휘발성의 실리콘유의 시판품으로는, 신에츠 화학 공업 (주) 제조의「KF-96A-1cs」(옥타메틸트리실록산),「KF-96L-1.5cs」(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KF-96L-2cs」(도데카메틸펜타실록산),「KF-995」(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TMF-1.5」(1,1,1,3,5,5,5-헵타메틸-3-[(트리메틸실릴)옥시]-트리실록산) ; 토레이·다우코닝(주) 제조의「SH200C Fluid 1cs」(옥타메틸트리실록산),「SH200C Fluid 1.5cs」(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SH200C Fluid 2cs」(도데카메틸펜타실록산),「SH245 Fluid」(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스사 제조의「TSF405A」(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용매 B 는, 탄화수소유 또는 실리콘유에 더하여, 추가로 보습제, 자외선 흡수제, 해충 기피제, 주름 방지제, 향료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이어도 된다.
용매 B 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50 이상 1,000 이하인 탄화수소유 및 실리콘유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경우, 용매 B 중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50 이상 1,000 이하인 탄화수소유 및 실리콘유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함유량은,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 이다.
<폴리머 C>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머 C 는, 상분리된 용매 B 를 피복하여, 1 차 입자의 형성에 기여한다.
폴리머 C 는, 용매 A 에 가용이고 용매 B 에 불용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폴리머 C 로는, 아니온성 폴리머, 카티온성 폴리머, 베타인 폴리머 등의 이온성 폴리머 ; 논이온성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아니온성 폴리머)
아니온성 폴리머는 아니온성기를 갖고, 그 아니온성기로는, 카르복실기 (-COOM), 술폰산기 (-SO3M), 인산기 (-OPO3M2) 등의 해리되어 수소 이온이 방출됨으로써 산성을 나타내는 기, 또는 그것들의 해리된 이온형 (-COO-, -SO3-, -OPO3 2-, -OPO3-M)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중, M 는,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암모늄 또는 유기 암모늄을 나타낸다.
아니온성 폴리머는,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산성기를 갖는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아니온성 폴리머 CI (이하,「아니온성 폴리머 CI」라고도 한다) 이다.
산성기를 갖는 모노머는, 상기와 동일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시트라콘산 및 2-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숙신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산이다.
여기에서,「(메트)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의미한다.
아니온성 폴리머 CI 는,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추가로 산성기를 갖는 모노머 이외의 다른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모노머로는, 지방족 알코올 유래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방향족기 함유 모노머 등의 소수성 모노머 ; 논이온성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의미한다.
지방족 알코올 유래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이상 2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이상 1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이상 8 이하의 지방족 알코올 유래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것이다. 그 (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직사슬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 분기 사슬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 지환식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기 함유 모노머는, 바람직하게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6 이상 22 이하의 방향족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티렌계 모노머 및 방향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다. 방향족기 함유 모노머의 분자량은, 500 미만이 바람직하다.
스티렌계 모노머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2-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디비닐벤젠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아니온성 폴리머 CI 에 있어서의 논이온성 모노머로는, (메트)아크릴아미드 ; N-비닐-2-피롤리돈 ; N-tert-부틸아크릴아미드, N-tert-옥틸아크릴아미드, N-(2-에틸헥실)아크릴아미드, N-n-옥틸아크릴아미드, N-도데실아크릴아미드, N-n-헵틸아크릴아미드, N-헥실아크릴아미드, N-시클로헥실메타크릴아미드 등의 직사슬, 분기 또는 고리형의 알킬기를 갖는 N-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 하이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 폴리알킬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n = 2 ∼ 30, n 은 당해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낸다. 이하도 동일하다.) ; 알콕시폴리알킬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n = 1 ∼ 30) ; 페녹시 (에틸렌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 공중합) (n = 1 ∼ 30, 그 중의 에틸렌글리콜 : n = 1 ∼ 29)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페녹시폴리알킬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논이온성 모노머의 구체예로는,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 주식회사의 NK 에스테르 M-20G, 동 40G, 동 90G, 동 230G 등 ; 니치유 주식회사의 블렘머 PE-90, 동 200, 동 350 등, PME-100, 동 200, 동 400 등, PP-500, 동 800, 동 1000 등, AP-150, 동 400, 동 550 등, 50PEP-300, 50POEP-800B, 43PAPE-600B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각 모노머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0027] 아니온성 폴리머 CI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5,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0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00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00 이하이다. 아니온성 폴리머 CI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GPC) 에 의해서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분자량이다.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아니온성 폴리머 CI 로는, BASF 재팬 주식회사 제조의 울트라 홀드 8, 울트라 홀드·스트롱, 울트라 홀드·파워, 내셔널 스타치사 제조의 암포머 V-42 등의 아크릴산/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N-알킬)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 Lubrizol Advanced Materials 사 제조의 카르보폴 시리즈 등의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 미츠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의 다이어 홀드 등의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 고오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의 플러스 사이즈 L 시리즈 등의 ((메트)아크릴산/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코폴리머 AMP, ((메트)아크릴산/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코폴리머 AMP,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N-알킬)알킬아크릴아미드) 코폴리머 AMP ; BASF 사 제조의 루비 플렉스 VBM35 등의 (메트)아크릴산/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도 화장품 용도에서 사용되는, 산성기를 갖는 모노머로서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유래의 구성 단위에 갖는 폴리머의 시판품으로는, 오사카 유기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의 아니세트 시리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의미한다.
아니온성 폴리머 CI 는,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 산성기를 갖는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 및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유래의 구성 단위를 함유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산성기를 갖는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유래의 구성 단위, 및 (N-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유래의 구성 단위를 함유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N-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N-알킬)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이다.
(카티온성 폴리머)
본 발명에 있어서 카티온성 폴리머의「카티온성」이란, 미중화의 폴리머를 순수에 분산 또는 용해시켰을 경우, pH 가 7 보다 커지는 것, 제 4 급 암모늄기 등을 갖는 폴리머의 경우에는 그 카운터 이온을 수산화물 이온으로서 순수에 분산 또는 용해시켰을 경우, pH 가 7 보다 커지는 것, 또는 폴리머가 순수에 불용이고, pH 가 명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폴리머를 순수에 분산시킨 분산체의 제타 전위가 정 (正) 이 되는 것을 말한다.
카티온성 폴리머는,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제 1 ∼ 3 급 아미노기, 제 4 급 암모늄기, 하이드라지노기 등의 염기성기를 갖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4 급 암모늄기를 갖는다.
또한, 염기성기는, 염산, 황산, 질산, 아세트산, 포름산, 말레산, 푸마르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아디프산, 락트산 등의 산으로 중화된 것을 포함한다.
카티온성 폴리머로는, 천연계 카티온성 폴리머, 합성계 카티온성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천연계 카티온성 폴리머는, 천연물로부터 추출, 정제 등의 조작에 의해서 얻어지는 폴리머 및 그 폴리머를 화학적으로 수식한 것으로서, 폴리머 골격에 글루코오스 잔기를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티온화 구아검 ; 카티온화 타라검 ; 카티온화 로카스트빈검 ;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 카티온화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 ; 카티온성 전분 등을 들 수 있다.
합성계 카티온성 폴리머로는,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알릴아민 또는 그것들의 산 중화물, 폴리글리콜-폴리아민 축합물, 카티온성 폴리비닐알코올, 카티온성 폴리비닐피롤리돈,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또는 그것들의 산 중화물, 폴리(트리메틸-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아민/에피클로로하이드린 공중합체,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산디에틸황산염/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산디에틸황산염/N,N-디메틸아크릴아미드/디메타크릴산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이산화황 공중합체, 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공중합체, 1-알릴-3-메틸이미다졸륨클로라이드/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 알킬아미노(메트)아크릴레이트/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 알킬아미노(메트)아크릴레이트/비닐피롤리돈/비닐카프로락탐 공중합체, (3-(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 알킬아미노알킬아크릴아미드/알킬아크릴아미드/(메트)아크릴레이트/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카티온성 폴리머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카티온성 폴리머는,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염기성기를 갖는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카티온성 폴리머 CII-1 (이하,「카티온성 폴리머 CII-1」이라고도 한다),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이하,「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CII-2」라고도 한다) 이다.
[카티온성 폴리머 CII-1]
카티온성 폴리머 CII-1 은, 염기성기를 갖는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함유한다. 그 염기성기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염기성기를 갖는 모노머로는, 알킬아미노(메트)아크릴레이트 ; N,N-디알킬아미노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 디알릴디알킬암모늄 등의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그 산 중화물 또는 4 급 화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염기성기를 갖는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산 중화하기 위한 산으로는, 염산, 황산, 질산, 아세트산, 포름산, 말레산, 푸마르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아디프산, 락트산 등을 들 수 있고, 4 급화제로는, 염화메틸, 염화에틸, 브롬화메틸, 요오드화메틸 등의 할로겐화알킬 ; 황산디메틸, 황산디에틸, 황산디-n-프로필 등의 황산디알킬 등의 알킬화제를 들 수 있다.
카티온성 폴리머 CII-1 은,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염기성기를 갖는 모노머의 단독 중합체, 염기성기를 갖는 모노머와 그 염기성기를 갖는 모노머 이외의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 또는 축중합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염기성기를 갖는 모노머와 그 염기성기를 갖는 모노머 이외의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염기성기를 갖는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와, 전술한 아니온성 폴리머 CI 에서 든 소수성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와, 전술한 아니온성 폴리머 CI 에서 든 논이온성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와,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유래의 구성 단위와, N-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유래의 구성 단위와, 알콕시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와, 탄소수 1 이상 22 이하의 지방족 알코올 유래의 탄화수소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유래의 구성 단위와, 직사슬, 분기 또는 고리형의 알킬기를 갖는 N-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유래의 구성 단위와, 알콕시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와, 탄소수 1 이상 8 이하의 지방족 알코올 유래의 탄화수소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유래의 구성 단위와, 탄소수 4 이상 8 이하의 분기 알킬기를 갖는 N-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유래의 구성 단위와,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이다.
카티온성 폴리머 CII-1 은, 이들 모노머를 함유하는 원료 모노머를 괴상 중합법, 용액 중합법, 현탁 중합법, 유화 중합법 등의 공지된 중합법에 의해서 공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이들 중합법 중에서는, 용액 중합법이 바람직하다.
카티온성 폴리머 CII-1 제조시에 있어서의, 염기성기를 갖는 모노머, 소수성 모노머, 및 논이온성 모노머의 원료 모노머 중에 있어서의 함유량 (미중화량으로서의 함유량. 이하 동일), 즉 카티온성 폴리머 CII-1 중에 있어서의 각 성분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다음과 같다.
염기성기를 갖는 모노머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3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7 질량% 이하이다.
소수성 모노머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3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하이다.
논이온성 모노머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5 질량%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8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질량% 이하이다.
카티온성 폴리머 CII-1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7,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0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0,000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50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00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0,000 이하이다.
카티온성 폴리머 CII-1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CII-2]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CII-2 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세그먼트 (x) (이하, 간단히「세그먼트 (x)」라고도 한다) 와, 그 세그먼트 (x) 의 규소 원자 중 적어도 1 개에 결합하는 카티온성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기와, 하기 일반식 (1-1) 로 나타내는 N-아실알킬렌이민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지는 폴리(N-아실알킬렌이민) 세그먼트 (y) (이하, 간단히「세그먼트 (y)」라고도 한다) 를 포함하는 폴리(N-아실알킬렌이민)/오르가노폴리실록산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중, R1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이상 22 이하의 알킬기, 탄소수 6 이상 22 이하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7 이상 22 이하의 아릴알킬기 혹은 알킬아릴기를 나타내고, a 는 2 또는 3 이다.)
일반식 (1-1) 에 있어서, R1 인 알킬기로는, 탄소수 1 이상 12 이하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등의 탄소수 1 이상 3 이하의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며, 에틸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R1 인 아릴기로는, 페닐기,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R1 인 아릴알킬기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 이상 20 이하의, 페닐알킬기, 나프틸알킬기 등을 들 수 있고, 알킬아릴기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 이상 20 이하의, 알킬페닐기, 알킬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 (1-1) 에 있어서, a 는, 바람직하게는 2 이다.
세그먼트 (y) 에 있어서의 일반식 (1-1)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의 중합도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1 이상 500 이하가 바람직하고, 6 이상 1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세그먼트 (x) 를 형성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으로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 (1-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식 중, R2 는 탄소수 1 이상 22 이하의 알킬기, 페닐기, 또는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복수 개의 R2 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는데, 적어도 1 개는 카티온성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기이다. b 는 100 이상 5,000 이하이다.)
일반식 (1-2) 에 있어서, R2 로 나타내는 탄소수 1 이상 22 이하의 알킬기 중에서는, 탄소수 1 이상 12 이하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1 이상 3 이하의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며, 메틸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R2 로 나타내는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기로는, 질소 원자를 바람직하게는 1 개 이상 3 개 이하 함유하는 탄소수 2 이상 20 이하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기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말단 또는 측사슬의 규소 원자 중 적어도 1 개이면 되고,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기의 수는 1 이상 300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이상 1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 (1-2) 에 있어서, b 는,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2,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 이상 1,500 이하이다.
세그먼트 (x) 를 형성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0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00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00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0,000 이하이다.
세그먼트 (x) 와 세그먼트 (y) 의 결합에 있어서, 개재하는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기로서, 질소 원자를 바람직하게는 1 개 이상 3 개 이하 함유하는 탄소수 2 이상 20 이하의 알킬렌기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알킬렌 사슬의 탄소-탄소간 또는 말단에 존재하는 질소 원자로는, (i) 제 2 급 아민 또는 제 3 급 아민, (ii) 제 2 급 아민 또는 제 3 급 아민에 수소 이온이 부가한 암모늄염, (iii) 제 4 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폴리(N-아실알킬렌이민)/오르가노폴리실록산 공중합체로는, 세그먼트 (x) 의 말단 또는 측사슬의 규소 원자 중 적어도 1 개에, 카티온성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기를 개재하여, 세그먼트 (y) 가 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N-아실알킬렌이민)/오르가노폴리실록산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세그먼트 (x) 및 세그먼트 (y) 의 합계 함유량에 대한 세그먼트 (x) 의 함유량의 질량비 [세그먼트 (x) 의 함유량/[세그먼트 (x) 및 세그먼트 (y) 의 합계 함유량]] 는,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5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0.99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이하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질량비 [세그먼트 (x) 의 함유량/[세그먼트 (x) 및 세그먼트 (y) 의 합계 함유량]] 는, 폴리(N-아실알킬렌이민)/오르가노폴리실록산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세그먼트 (x) 의 질량 (Mx) 및 세그먼트 (y) 의 질량 (My) 의 합계량에 대한 세그먼트 (x) 의 질량 (Mx) 의 비이다.
질량비 [세그먼트 (x) 의 함유량/[세그먼트 (x) 및 세그먼트 (y) 의 합계 함유량]] 는, 폴리(N-아실알킬렌이민)/오르가노폴리실록산 공중합체를 중 클로로포름 중에 5 질량% 용해시켜, 핵자기 공명 (1H-NMR) 분석에 의해서, 세그먼트 (x) 중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와, 세그먼트 (y) 중의 메틸렌기의 적분비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폴리(N-아실알킬렌이민)/오르가노폴리실록산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000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00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00 이하이다. 폴리(N-아실알킬렌이민)/오르가노폴리실록산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세그먼트 (x) 를 형성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과 전술한 질량비 [세그먼트 (x) 의 함유량/[세그먼트 (x) 및 세그먼트 (y) 의 합계 함유량]] 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폴리(N-아실알킬렌이민)/오르가노폴리실록산 공중합체의 적합예로는, 폴리(N-포르밀에틸렌이민)/오르가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폴리(N-아세틸에틸렌이민)/오르가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폴리(N-프로피오닐에틸렌이민)/오르가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N-아실알킬렌이민)/오르가노폴리실록산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고리형 이미노에테르의 개환 중합물인 폴리(N-아실알킬렌이민) 과 세그먼트 (x) 를 형성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반응시키는 방법에 의해서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26978호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얻을 수 있다.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CII-2 로서 사용하는 폴리(N-아실알킬렌이민)/오르가노실록산 공중합체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베타인 폴리머)
본 발명에 있어서 베타인 폴리머는, 아니온성기를 갖는 모노머와 카티온성기를 갖는 모노머의 공중합체, 베타인 모노머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아니온성기를 카티온성 폴리머에 도입한 것, 전술한 염기성기를 아니온성 폴리머에 도입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베타인 폴리머는,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측사슬에 베타인 구조를 함유하는 폴리머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베타인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베타인 폴리머 (이하,「베타인 폴리머 CIII」이라고도 한다) 이다.
베타인 모노머는,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베타인 구조와 (메트)아크릴아미드 구조를 함유하는 모노머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베타인 모노머, 술포베타인 모노머, 및 포스포베타인 모노머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베타인 모노머이다.
베타인 폴리머로는, 폴리메타크릴로일에틸디메틸베타인(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의 단독 중합체),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로일에틸디메틸베타인/염화메타크릴로일에틸트리메틸암모늄/메타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공중합체, 메타크릴로일에틸디메틸베타인/염화메타크릴로일에틸트리메틸암모늄/메타크릴산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옥틸아크릴아미드/(메트)아크릴산 또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베타인 폴리머 CIII 으로서,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베타인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와, 탄소수 1 이상 22 이하의 지방족 알코올 유래의 탄화수소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유래의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카르복시베타인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와, 탄소수 1 이상 22 이하의 지방족 알코올 유래의 탄화수소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유래의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며,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가 더욱 바람직하다.
베타인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00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00 이하이다. 베타인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GPC) 에 의해서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분자량이다.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베타인 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플러스 사이즈 L-410W, 동 L-402W, 동 L-440, 동 L-440W, 동 K-450, 동 L-450W (이상, 고오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유카포머 SM, 동 301 (이상, 미츠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RAM 레진-1000, 동 -2000, 동 -3000, 동 -4000 (이상, 오사카 유기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머쿼트 플러스 3330 (닛폰 루브리졸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암포머 28-4910, 동 LV-71 (이상, 아크조 노벨 주식회사,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논이온성 폴리머)
논이온성 폴리머로는, 논이온성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를 갖는 폴리머, 수용성 다당류 (셀룰로오스계, 검계, 시티치계 등) 및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논이온성 폴리머에 있어서의 논이온성 모노머로는, 탄소수 1 이상 22 이하의 지방족 알코올 유래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 N-비닐-2-피롤리돈 ; 비닐알코올 ; 폴리알킬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n = 1 ∼ 30) ; 알콕시폴리알킬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n = 1 ∼ 30) ; (메트)아크릴아미드 및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 논이온성 폴리머는, 추가로, 논이온성 모노머 이외의 다른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함유해도 된다. 다른 모노머로는, 전술한 스티렌계 모노머 ; 전술한 방향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 아세트산비닐 등을 들 수 있다.
논이온성 폴리머는,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우레탄폴리우레아, 폴리비닐피롤리돈, 비닐피롤리돈/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비닐피롤리돈과 다른 논이온성 모노머의 공중합체,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글리세린, 폴리비닐알코올, 풀루란, 구아검, 폴리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폴리N-비닐아세트아미드, 폴리N-비닐포름아미드, 폴리(2-알킬-2-옥사졸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논이온성 폴리머는,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우레탄폴리우레아가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로서 폴리비닐부티랄을 사용하는 경우, 폴리비닐부티랄의 아세탈화도는,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고 55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몰%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80 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몰% 이하이다.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논이온성 폴리머로는, 에스레크 B 시리즈 (세키스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등의 폴리비닐부티랄 ; BAYCUSAN 시리즈 (코베스트로 재팬사 제조, 상품명) 등의 폴리우레탄폴리우레아 ; HEC 다이셀 SE900, 동 SE850, 동 SE600, 동 SE550, 동 SE400 (이상, 다이셀 파인 화학 병기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등의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 Polyox WSRN-12K, 동 WSRN-60K, 동 WSR-301 (이상, 다우·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등의 고중합 폴리에틸렌글리콜; PEO-27, PEO-18, PEO-15, PEO-8 (이상, 스미토모 정화 주식회사, 상품명, 폴리에틸렌옥사이드) ; 루비스콜 K90, 동 K80, 동 K30 (이상, BASF 사 제조, 상품명) 등의 폴리비닐피롤리돈 ; 고세놀 시리즈 (이상, 미츠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상품명) 등의 폴리비닐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머 C 의 물에 대한 용해량은,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105 ℃ 에서 2 시간 건조시켜, 항량에 도달한 폴리머 C 를 25 ℃ 의 물 100 g 에 용해시켰을 때의 용해량으로서, 바람직하게는 5 g 미만이다.
또한, 폴리머 C 가 아니온성 폴리머인 경우, 상기 용해량은 폴리머 C 의 아니온성기를 수산화나트륨으로 100 % 중화시켰을 때의 용해량이다. 폴리머 C 가 카티온성 폴리머인 경우, 상기 용해량은 폴리머 C 의 카티온성기를 염산으로 100 % 중화시켰을 때의 용해량이다.
폴리머 C 는,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용매 B 에는 불용이어도 용매 B 에 대해서 친화성을 가지며, 또한 물에 대해서도 친화성을 갖는 양쪽 친매성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온성 폴리머 및 논이온성 폴리머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산성기를 갖는 모노머, 염기성기를 갖는 모노머, 및 베타인 모노머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모노머 구성 단위로서 함유하는 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산성기를 갖는 모노머 및 베타인 모노머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모노머 구성 단위로서 함유하는 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아니온성 폴리머 CI 및 베타인 폴리머 CIII 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베타인 폴리머 CIII 을 함유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 폴리머 C 는,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면서, 화장 도막의 내수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카티온성기를 갖는 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이다. 그 카티온성기를 갖는 폴리머로는, 상기와 동일한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카티온성 폴리머 및 베타인 폴리머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카티온성 폴리머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카티온성 폴리머 CII-1 및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CII-2 에서 선택되는 종 이상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카티온성 폴리머 CII-1 이다.
또한, 폴리머 C 는,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면서, 화장 도막의 내수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폴리머 C 를 2 종 이상 병용하는 경우, 상기와 동일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아니온성 폴리머 CI, 카티온성 폴리머 CII-1,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CII-2, 및 베타인 폴리머 CIII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 종을 함유하는 것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니온성 폴리머 CI 과 카티온성 폴리머 CII-1 의 조합, 아니온성 폴리머 CI 과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CII-2 의 조합, 카티온성 폴리머 CII-1 과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CII-2 의 조합, 아니온성 폴리머 CI 과 베타인 폴리머 CIII 의 조합, 카티온성 폴리머 CII-1 과 베타인 폴리머 CIII 의 조합,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CII-2 와 베타인 폴리머 CIII 의 조합, 또는 아니온성 폴리머 CI 과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CII-2 와 베타인 폴리머 CIII 의 조합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니온성 폴리머 CI 과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CII-2 와 베타인 폴리머 CIII 의 조합이다.
<착색제>
본 발명에 사용하는 착색제는, 통상적인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유기 안료, 소수성 염료 (유용성 염료, 분산 염료), 수용성 염료 (산성 염료, 반응 염료, 직접 염료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소수성 염료란, 100 g 의 수중 (20 ℃) 에 있어서의 용해도가, 바람직하게는 6 질량% 미만의 염료를 말한다.
착색제의 구체예로는, 적색 201 호, 적색 202 호, 황색 401 호, 청색 404 호 등의 유기 안료 ; 적색 104 호, 적색 230 호, 황색 4 호, 황색 5 호, 청색 1 호 등의 레이크 안료 ; 적색 226 호, 애시드 옐로 1, 애시드 오렌지 7, 푸드 블루 2, 애시드 레드 52 등의 염료 ; 이들 안료나 염료를 폴리메타크릴산에스테르 등의 수지로 피복한 것 등이 포함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 무기 안료의 사용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러한 무기 안료로는, 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백색 무기 안료 ; 황산화철, 적산화철, 흑산화철, 카본 블랙, 군청, 감청, 감청 산화티탄, 흑색 산화티탄,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티탄/산화티탄 소결물 등의 비백색 무기 안료 ; 탄산칼슘, 실리카, 탤크 등의 체질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착색제가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그 무기 안료는, 은폐성 및 발색성의 관점에서, 비백색 무기 안료 및 체질 안료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착색제의 색상으로는,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옐로, 마젠타, 시안, 블루, 레드, 오렌지, 그린 등의 유채색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제는, 화장 조성물 중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관점, 및 화장 도막의 내수성의 관점에서, 그 표면이 소수화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와 동일한 관점에서, 상기 착색제가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그 무기 안료는 그 표면이 소수화 처리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소수화 처리로는, 통상적인 화장료용 분체에 여러 가지의 소수화 처리제를 사용하여 실시되어 있는 소수화 처리가 바람직하다. 그 소수화 처리로는, 예를 들어, 실리콘 처리, 지방산 처리, 라우로일리신 처리, 계면 활성제 처리, 금속 비누 처리, 불소 화합물 처리, 레시틴 처리, 나일론 처리, 고분자 처리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 중의 상기 착색제의 형태로는, 화장 조성물 중에서 분산되어 있는 형태, 화장 조성물 중에서 용해되어 있는 형태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착색제의 형태는,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켜, 화장 조성물 중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화장 조성물 중에서 분산되어 있는 형태가 바람직하고, 분산제를 사용하여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형태, 또는 분산제를 사용하지 않는 자기 분산형의 형태가 보다 바람직하며, 분산제를 사용하여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형태가 더욱 바람직하다.
자기 분산형의 형태로는, 자기 분산형 안료가 바람직하다.
자기 분산형 안료란, 안료의 표면에 직접 또는 다른 원자단을 개재하여 안료의 표면에 분산성을 부여하는 관능기를 결합시킴으로써, 계면 활성제나 분산제를 사용하지 않고 화장 조성물 중에 배합할 수 있는 안료를 의미한다. 분산성을 부여하는 관능기로는, 카르복실기나 술폰산기 등의 아니온성을 갖는 관능기, 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기나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기 등을 들 수 있다.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자기 분산형 안료로는, 구체적으로는 캐벗사의 CAB-O-JET200 시리즈, 동 300 시리즈, 동 400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착색제는, 착색의 균질성의 관점, 그리고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분산제로서 분산성 폴리머 D 로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분산성 폴리머」란, 착색제를 화장 조성물의 매체에 분산 가능한 폴리머를 의미한다.
분산성 폴리머 D 는,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 용매 A 및 용매 B 중 어느 일방에 가용이며, 또한 타방에 불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성 폴리머 D 가 용매 A 에 가용이고 그 용매 B 에는 불용인 경우에는, 화장 도막을 형성할 때의 용매 A 와 용매 B 의 상분리가 일어나는 과정에 있어서, 계 중의 착색제는 분산용 폴리머 D 와 함께 존재하고, 분산성 폴리머 D 의 용매 B 에 대한 용해성으로부터 용매 B 중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화장 도막 중에 있어서는 주로 폴리머 C 와 함께 1 차 입자의 셸의 구성 성분으로서 함유되게 된다.
한편, 분산성 폴리머 D 가 용매 A 에 불용이고 그 용매 B 에는 가용인 경우에는, 화장 도막을 형성할 때의 용매 A 와 용매 B 의 상분리가 일어나는 과정에 있어서, 분상된 용매 B 의 액적 중에 착색제가 분배되기 때문에, 특히 용매 B 가 휘발성을 갖는 경우에는, 화장 도막 중에 있어서는 중공 1 차 입자의 공동 내에 착색제가 존재하게 된다.
분산성 폴리머 D 는,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용매 A 에 가용이고 용매 B 에는 불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성 폴리머 D 로는, 전술한 폴리머 C 에서 예시한, 아니온성 폴리머, 카티온성 폴리머, 베타인 폴리머 등의 이온성 폴리머 ; 논이온성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분산성 폴리머 D 는, 이온성 폴리머 및 논이온성 폴리머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 보다 바람직하고, 전술한 아니온성 폴리머 CI, 카티온성 폴리머 CII-1,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CII-2, 베타인 폴리머 CIII, 및 논이온성 폴리머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 더욱 바람직하며, 아니온성 폴리머 CI 및 논이온성 폴리머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분산성 폴리머 D 로서 사용하는 아니온성 폴리머 CI 는, 바람직하게는 산성기를 갖는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 및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유래의 구성 단위를 함유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산성기를 갖는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유래의 구성 단위, 및 (N-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유래의 구성 단위를 함유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N-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N-알킬)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이다.
분산성 폴리머 D 로서 사용하는 논이온성 폴리머는,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아세탈 및 폴리우레탄폴리우레아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아세탈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부티랄이다.
폴리비닐부티랄의 아세탈화도는,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고 55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몰%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80 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몰% 이하이다.
상기 착색제가 분산성 폴리머 D 로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경우, 폴리머 C 및 분산성 폴리머 D 의 모두가, 바람직하게는 이온성 폴리머 및 논이온성 폴리머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머 C 와 분산성 폴리머 D 의 조합으로는, 폴리머 C 가 이온성 폴리머이며, 또한 분산성 폴리머 D 가 이온성 폴리머인 조합, 폴리머 C 가 이온성 폴리머이며, 또한 분산성 폴리머 D 가 논이온성 폴리머인 조합, 폴리머 C 가 논이온성 폴리머이며, 또한 분산성 폴리머 D 가 이온성 폴리머인 조합을 들 수 있다.
폴리머 C 와 분산성 폴리머 D 의 조합은,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C 가 아니온성 폴리머 CI, 카티온성 폴리머 CII-1,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CII-2, 베타인 폴리머 CIII, 및 논이온성 폴리머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며, 또한 폴리머 D 가, 아니온성 폴리머 CI 및 논이온성 폴리머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C 가 아니온성 폴리머 CI, 카티온성 폴리머 CII-1,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CII-2, 및 베타인 폴리머 CIII 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며, 또한 폴리머 D 가 아니온성 폴리머 CI 및 논이온성 폴리머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다. 그 중에서도, 폴리머 C 와 분산성 폴리머 D 의 조합은,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C 가 아니온성 폴리머 또는 베타인 폴리머이고, 또한 폴리머 D 가 아니온성 폴리머이다. 화장 도막의 내수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폴리머 C 와 분산성 폴리머 D 의 조합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C 가 카티온성 폴리머 또는 베타인 폴리머이며, 또한 폴리머 D 가 아니온성 폴리머이다.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 및 화장 도막의 내수성의 관점에서는, 폴리머 C 와 분산성 폴리머 D 의 조합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C 가 베타인 폴리머이고, 또한 폴리머 D 가 아니온성 폴리머이다.
상기 착색제가 분산성 폴리머 D 로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경우, 그 폴리머 D 로 분산된 착색제 입자의 체적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0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00 ㎚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이다. 착색제 입자의 체적 평균 입경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측정된다.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 성분으로서 자외선 산란제, 자외선 흡수제, 향료, 미용 성분, 약효 성분, pH 조정제, 보습제, 산화 방지제, 살균제, 방부제 등의 화장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이것들은, 각각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의 20 ℃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1 mPa·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mPa·s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mPa·s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000 mPa·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 mPa·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mPa·s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0 mPa·s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 mPa·s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0 mPa·s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 mPa·s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mPa·s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7 mPa·s 이하이다. 화장 조성물의 20 ℃ 점도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된다.
(화장 조성물의 제조)
화장 조성물은, 용매 A, 용매 B, 폴리머 C, 착색제 및 필요에 따라서 상기 임의 성분을 혼합하고, 교반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착색제가 분산성 폴리머 D 로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그 착색제는, 분산성 폴리머 D 로 분산된 착색제 입자를 함유하는 착색제 분산체로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 A, 용매 B, 폴리머 C, 착색제 분산체, 및 상기 임의 성분의 혼합 순서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먼저 용매 A 와 폴리머 C 를 혼합하고, 폴리머 C 를 용매 A 에 용해시켜 폴리머 C 의 용액을 얻은 후, 그 용액에 용매 B 및 착색제 분산체를 첨가 및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임의 성분을 더욱 첨가 및 혼합해도 된다.
착색제 분산체는, 착색제, 분산성 폴리머 D 등을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분산 처리하여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착색제, 분산성 폴리머 D, 및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착색제 혼합물을 분산 처리하여, 착색제 분산체를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서 얻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착색제 분산체의 제조에 사용하는 유기 용매는 분산성 폴리머 D 와의 친화성이 높고, 착색제에 대한 젖음성이 양호하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유기 용매는, 착색제에 대한 젖음성 및 착색제에 대한 분산성 폴리머의 흡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 그리고 화장 조성물의 도포 후에 잔류하는 유기 용매에 의한 안전성의 관점에서, 에탄올, 이소프로판올이 바람직하다.
착색제 분산체의 제조의 분산 처리에 있어서, 전단 응력을 부여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롤 밀, 니더, 익스트루더 등의 혼련기, 마이크로 플루이다이저 (Microfluidics 사, 상품명) 등의 고압 호모게나이저, 페인트 셰이커, 비드 밀 등의 미디어식 분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는, 착색제를 소립자 직경화하는 관점에서, 고압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압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하여 분산 처리를 행하는 경우, 처리 압력이나 분산 처리의 패스 횟수의 제어에 의해서, 착색제 입자를 원하는 입경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함유량은,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 중의 용매 A 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5 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 중의 용매 B 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3 질량%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7 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 중의 폴리머 C 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질량%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 중의 용매 A 및 용매 B 의 합계 함유량은,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3 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5 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7 질량%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8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 중의 용매 B 의 함유량에 대한 용매 A 의 함유량의 질량비 [용매 A/용매 B] 는,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 및 발색의 발현 속도를 촉진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1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8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폴리머 C 가, 산성기를 갖는 모노머, 염기성기를 갖는 모노머, 및 베타인 모노머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구성 단위로서 함유하는 폴리머를 함유하는 경우, 폴리머 C 중의, 산성기를 갖는 모노머, 염기성기를 갖는 모노머, 및 베타인 모노머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구성 단위로서 함유하는 폴리머의 함유량은,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 이하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 이다.
폴리머 C 가, 카티온성기를 갖는 폴리머로서 카티온성 폴리머 및 베타인 폴리머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경우,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면서, 화장 도막의 내수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폴리머 C 중의 카티온성기를 갖는 폴리머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이다.
폴리머 C 를 2 종 이상 병용하는 경우에는, 화장 조성물 중의 각 폴리머 C 의 함유량이 동량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 중의 착색제의 함유량은,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 질량%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하이다.
착색제가 분산성 폴리머 D 로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경우,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 중의 분산성 폴리머 D 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질량%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하이다.
착색제가 분산성 폴리머 D 로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경우,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 중의 착색제의 함유량의 분산성 폴리머 D 의 함유량에 대한 질량비 [착색제/분산성 폴리머 D] 는,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착색제가 분산성 폴리머 D 로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경우,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 중의 폴리머 C 의 함유량과 분산성 폴리머 D 의 함유량의 질량비 [폴리머 C/분산성 폴리머 D] 는, 바람직하게는 0.3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3 이하이다.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물을 함유해도 된다.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 중의 물의 함유량은, 화장 조성물 중의 용매 B 의 분상을 억제하여,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0 질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 질량% 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화장 조성물 중의 물의 함유량은, 의도적으로 배합되는 양에 더하여, 에탄올 등의 용매 A 등의 각 성분의 원료로부터의 반입량, 및 그 화장 조성물의 제조 과정에서의 결로 등에 의해서 혼입량 등을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 중에 함유되는 물의 총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 무기 안료의 사용을 방해하지 않지만, 그 화장 조성물 중의 무기 안료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 질량% 이다.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은, 피부 (입술을 포함한다), 모발, 또는 네일에 적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도포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은피성과 발색성을 부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은, 피부용 화장 조성물, 모발용 화장 조성물, 또는 네일용 화장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발용 화장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부용 화장 조성물로는, 화장 하지 (下地) 화장료, 파운데이션, 컨실러 등의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 볼연지, 아이섀도,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아이브로, 오버코트제, 립스틱 등의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료 ; 선탠 유액, 선탠 크림 등의 자외선 방어 화장료 ; 세안료, 클렌징 화장료 등의 피부 세정 화장료 ; 미용액, 팩, 마사지 화장료 등의 기초 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은폐성 및 발색성의 관점에서, 화장 하지 화장료, 파운데이션 등의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료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발용 화장 조성물로는, 헤어 마스카라, 헤어 컬러 등의 염모제 ; 헤어 왁스, 헤어 스프레이, 헤어 무스, 헤어 폼 등의 스타일링제 ; 육모제 등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일용 화장 조성물로는, 네일 에나멜, 네일 글로스 등의 메니큐어용 화장료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의 제형으로는, 용액상, 유액상, 크림상, 겔상, 페이스트상, 고형상, 다층상 등에 적응이 가능하고, 추가로 스프레이제, 시트제, 무스제로서도 적용할 수 있다.
[화장 방법]
본 발명의 화장 방법은, 일상 생활의 온도 및 습도 조건 하에서, 피부, 모발, 또는 네일에 적용할 때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도포 방법에 의해서, 상기 화장 조성물을 피부, 모발, 또는 네일에 도포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화장 조성물의 도포량은,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다.
건조 전의 도포막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3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 이하이다.
본 발명의 화장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장 조성물의 도포 방법은,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인쇄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패터닝 인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패터닝 인쇄를 사용하면, 화장 조성물의 도포량, 도포 영역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 사용하는 인쇄 패턴을 디자인함으로써, 실시하는 화장 화상을 미리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패터닝 인쇄를 사용하면, 복잡한 화장 화상을 갖는 화장 도막의 재현성을 높일 수도 있다.
상기 패터닝 인쇄로는, 잉크젯 방식, 디스펜서 방식 등의 온디멘드 인쇄 ; 스크린 인쇄, 플렉소 인쇄, 그라비어 인쇄, 오프셋 인쇄 등의 아날로그 인쇄를 들 수 있고, 화장 조성물의 점도 등에 따라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온디멘드 인쇄는, 쇄판을 필요로 하지 않는 무판 방식으로서, 피부, 모발, 또는 네일의 피인쇄물에 대해서 비접촉의 상태에서 인쇄를 행하는 방법이다.
아날로그 인쇄는, 쇄판을 필요로 하는 유판 방식으로서, 피부, 모발, 또는 네일의 피인쇄물에 대해서 접촉한 상태에서 인쇄를 행하는 방법이다.
이 중에서도, 온디멘드 인쇄는, 화장 조성물의 액적을 토출하여, 피부, 모발, 또는 네일의 원하는 영역에 원하는 양의 액적을 부여할 수 있고, 액적의 면적당 부여량, 부여 영역 등을 제어하고, 화장 화상의 미세한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당해 관점에서, 상기 화장 조성물의 도포 방법은, 잉크젯 방식 및 디스펜서 방식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에 의해서 그 화장 조성물을 토출하여, 그 화장 조성물의 액적을 피부, 모발, 또는 네일에 부여하는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고, 잉크젯 방식에 의해서 그 화장 조성물을 토출하여, 그 화장 조성물의 액적을 피부, 모발, 또는 네일에 부여하는 방법이 더욱 바람직하다.
잉크젯 헤드의 인가 전압은,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V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V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V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50 V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V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V 이하이다.
잉크젯 헤드의 구동 주파수는,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3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이다.
화장 조성물의 토출 액적량은,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1적당, 바람직하게는 0.01 pL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pL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 pL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 pL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50 pL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pL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pL 이하이다.
화장 조성물의 액적의 주입 밀도 p 는, 1 평방 인치당 도트수로서, 바람직하게는 10,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0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0,000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3,00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00 이하이다. 액적의 주입 밀도 p 는, 인쇄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도트 밀도 (dpi) 와 인쇄 방향의 도트 밀도 (dpi) 의 곱으로부터 산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 조성물을 피부, 모발 또는 네일에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한 후, 그 도포막을 대기압 조건 하에서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은폐성 및 발색성이 우수한 화장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포막의 건조는, 일상 생활의 온도 및 습도 조건 하의 자연 건조에 의해서 충분히 행할 수 있지만, 건조를 앞당기는 관점에서, 송풍 건조, 온풍 건조 등을 행해도 된다. 또, 상기 화장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에는, 피부의 온도 하의 자연 건조에 의해서 행해도 된다.
온풍 건조를 행하는 경우에는, 도포막의 건조시의 온도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8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 이하이다.
도포막의 건조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5 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분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30 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분 이하이다.
본 발명의 화장 방법은, 은폐성 및 발색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상기 화장 조성물을 피부, 모발, 또는 네일에 도포하는 공정 (이하,「공정 1」이라고도 한다) 후, 화장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도포막의 건조 전에, 추가로 피부, 모발, 또는 네일 상에 도포된 화장 조성물에, 물을 함유하는 액체 E 의 액적을 부여하는 공정 (이하,「공정 2」라고도 한다)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용매 A 와 용매 B 의 상분리가 신속하게 진행되고, 용매 B 를 폴리머 C 로 피복된 1 차 입자의 형성이 촉진되어,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액체 E>
본 발명에 관련된 액체 E 는 물을 함유하지만, 물 이외에 다른 액체를 함유해도 된다.
다른 액체로는, 탄소수 1 이상 4 이하의 1 가의 알코올이 바람직하고,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tert-부틸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다른 액체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tert-부틸알코올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다.
액체 E 중의 물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7 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9 질량%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 이하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 이다.
액체 E 중의 다른 액체로서 에탄올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이다.
공정 2 에 있어서의 액체 E 의 액적의 부여 방법은, 미소한 액적을 피부, 모발, 또는 네일 상의 화장 조성물의 표면에 부여할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물을 함유하는 액체 E 의 미소한 액적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소한 액적을 발생시키는 장치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피에조식, 서멀식, 가압식, 회전식, 스팀식, 초음파식, 정전식 등을 사용한 장치를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박무화 장치 (스프레이) 등을 사용하여 액적을 분무하는 방법 또는 인쇄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패터닝 인쇄에 의해서 액적을 부여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고, 박무화 장치를 사용하여 액적을 분무하는 방법 또는 잉크젯 방식에 의해서 액적을 토출하는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액체 E 의 액적 부여량은,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다.
액체 E 의 액적의 평균 직경은,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다.
박무화 장치로는, 제트식 박무화 장치, 초음파 박무화 장치, 메시식 박무화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박무화 장치의 분무 능력은, 바람직하게는 0.01 ㎖/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분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고 10 ㎖/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분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분 이하이다.
박무화 장치의 분무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 초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초 이상이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30 초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초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초 이하이다.
잉크젯 방식에 의해서 액적을 토출하는 방법으로는, 전술한 화장 조성물의 도포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공정 2 에 있어서의 액체 E 의 액적의 부여는, 공정 1 에서 화장 조성물을 도포한 영역 전체에 부여해도 되고, 그 영역의 일부에 부여해도 된다.
공정 1 과 공정 2 의 시간 간격은, 피부, 모발, 또는 네일 상의 화장 조성물이 건조되기 전에 공정 2 를 행하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0.01 초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초 이상이고, 그리고, 은폐성 및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 초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초 이하이다.
[화장 도막]
본 발명에 의해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화장 도막 중에 포함되는 1 차 입자의 평균 입경은, 화장 도막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이상이고, 그리고, 은폐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이다.
화장 도막 중에 포함되는 1 차 입자의 평균 입경은, 형성되는 화장 도막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고, 얻어진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을 화상 해석 소프트「ImageJ」(미국 국립 위생 연구 연구소 제조) 를 사용하여 화상 처리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광학 현미경 (주식회사 하이록스사 제조, 상품명 : RH-2000) 을 사용하여, 배율 2,500 배에서 폴리머 도막 표면의 관찰 화상을 촬영하고, 화상 해석 소프트 (미국 국립 위생 연구 연구소제, ImageJ) 에 의해서 화상 처리를 행하고, 그 도막 중에 포함되는 1 차 입자의 평균 입경을 측정한다.
광학 현미경으로의 촬영시에, 최대 휘도치에 이르는 화소의 비율이 1 % 이하이고 휘도치의 평균치가 최대 휘도치의 40 % ∼ 60 % 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휘도 및 콘트라스트를 조정하여, 관찰 화상을 보존한다. 그 관찰 화상을, ImageJ 의 화상 변환 기능을 이용하여, 8 비트의 그레이 스케일 화상으로 변환한다.
이어서, 광학 현미경의 배율에 맞춘 스케일을 설정한다. 이 스케일 설정에 의해서, 이후의 연산으로 산출되는 입자경의 데이터가 실제 사이즈로 환산된다. 예로서 배율 2,500 배의 경우에는, 1 ㎜ 의 길이가 15,840 픽셀이 되도록 변환한다.
이어서 Subtract Background 처리를 행한다. 이 때에, Rolling Ball Radius 는 대체로 관찰되어 있는 1 차 입자경과 동일한 사이즈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직경 3 ㎛ 정도의 1 차 입자가 대다수이고, 1 ㎜ 의 길이가 15,840 픽셀인 경우에는, Rolling Ball Radius 는 50 픽셀로 한다. 이로써, 1 차 입자경보다 작은 촬영상의 노이즈 성분을 컷할 수 있다.
이어서 ImageJ 의 화상 조정 기능인 Threshold 기능을 이용하여, 1 차 입자의 영역에 대해서 2 치화 처리를 행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2 치화 처리」란, 화상의 휘도치가 지정한 값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백색으로 하고, 지정한 값 미만인 경우에는 흑색으로 하는 처리이다. 관찰에 의해서 얻어진 화상에 있어서, 1 차 입자의 셸은 폴리머의 존재 밀도가 높기 때문에 고휘도로 표시되고, 코어 부분은 저휘도로 표시된다. 이로써, 1 차 입자의 평균 입경을 측정하기에 충분한 음영이 명료한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얻어진 2 치화상에 대해서, ImageJ 의「Analyze Particles」를 실행한다.
또한, 화상 단부 (端部) 에서 끊어져 있는 입자, 대체로 관찰되는 1 차 입자경보다 10 분의 1 의 장경의 입자 (상기 설정에서는 5 픽셀 미만의 입자) 및 원형도 0.5 미만의 입자는 측정 대상에서 배제하고, 적어도 300 이상의 입자의 장경의 평균치를 1 차 입자의 평균 입경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해서 형성되는 화장 도막은, 1 차 입자가 집적된 2 차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용매 A 의 휘발과 형성된 1 차 입자의 표면 정렬에 수반하여, 도막 내에서 규칙적으로 구획된 셀상의 대류 구조, 이른바 베나르 셀 (Benard Cells) 이 발생되고, 각 셀 내에서의 베나르 대류에 의해서, 1 차 입자가 집적되어 2 차 입자를 형성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2 차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 도막은, 특히 피부에 대한 적용에 있어서는, 실제의 피부의 표면 릴리프 구조에 가까운 구조를 갖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인상을 주는 화장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의 합성예, 제조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부」및「%」는 특기하지 않는 한「질량부」및「질량%」이다. 폴리머 등의 물성의 측정은, 이하의 방법으로 행하였다.
(1) 카티온성 폴리머 CII-1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인산 및 리튬브로마이드를 각각 60 m㏖/ℓ 와 50 m㏖/ℓ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킨 액을 용리액으로 하여,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법 [토소 주식회사 제조 GPC 장치(HLC-8320GPC), 토소 주식회사 제조 칼럼 (TSKgel SuperAWM-H, TSKgel SuperAW3000, TSKgel guardcolum Super AW-H), 유속 : 1 ㎖/분] 에 의해서, 표준 물질로서 분자량이 이미 알려진 단분산 폴리스티렌 키트 [PStQuick B (F-550, F-80, F-10, F-1, A-1000), PStQuick C (F-288, F-40, F-4, A-5000, A-500), 토소 주식회사 제조] 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시료는, 유리 바이알 중에 카티온성 폴리머 CII-1 0.1 g 을 상기 용리액 10 ㎖ 와 혼합하고, 25 ℃ 에서 10 시간, 마그네틱 스터러로 교반하고, 시린지 필터 (DISMIC-13HP PTFE 0.2 ㎛, 아드반테크 주식회사 제조) 로 여과한 것을 사용하였다.
(2) 폴리(N-프로피오닐에틸렌이민) 의 수 평균 분자량
1 m㏖/ℓ 파민 DM20 (상품명, 카오 주식회사 제조)/클로로포름을 용리액으로 하여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법 [측정 칼럼 : 쇼와 전공 주식회사 제조 칼럼 (K-804 L) 을 직렬에 2 개 연결된 것, 유속 : 1 ㎖/분, 칼럼 온도 : 40 ℃, 검출기 : 시차 굴절률 합계] 에 의해서, 표준 물질로서 분자량이 이미 알려진 폴리스티렌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시료는, 농도 5 ㎎/㎖ 로 100 ㎕ 사용하였다.
(3) 점도의 측정
토키 산업 주식회사 제조의 E 형 점도계 RE80 을 사용하고, 측정 시간 1 분, 회전수 100 rpm, 로터는 표준 (1°34' × R24) 을 사용하여 점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점도의 측정은,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은 20 ℃, 실리콘유는 25 ℃, 화장 조성물은 20 ℃ 에서 행하였다.
(4) 착색제 입자의 체적 평균 입경의 측정
착색제 분산체 내의 착색제 입자의 체적 평균 입경은, 제타 전위·입경 측정 시스템「ELS-8000」(오오츠카 전자 주식회사 제조) 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입자의 농도가 약 5 × 10-3 질량% 가 되도록 물로 희석한 분산액을 측정용 셀에 넣고, 온도 25 ℃, 적산 횟수 100 회이고, 분산 용매의 굴절률로서 물의 굴절률 (1.333) 을 입력하고, 큐뮬런트 해석법에 의해서 측정하였다.
각 성분의 자세한 것은, 아래와 같다
(아니온성 폴리머 CI)
울트라 홀드 8 : 아크릴산/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N-알킬)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BASF 재팬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울트라 홀드 8), 고형분 100 % 분체
울트라 홀드 스트롱 : 아크릴산/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N-알킬)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BASF 재팬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울트라 홀드 스트롱), 고형분 100 % 분체
울트라 홀드 파워 -dry : 아크릴산/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N-알킬)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의 용액 (고형분 32 %) (BASF 재팬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울트라 홀드 파워) 을 건조시킨 분체
(카티온성 폴리머 CII-1)
카티온성 폴리머 1 : 하기 합성예 1 에서 얻어진 공중합체
카티온성 폴리머 2 : 하기 합성예 2 에서 얻어진 공중합체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CII-2)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1 : 하기 합성예 3 에서 얻어진 폴리(N-프로피오닐에틸렌이민)/디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2 : 하기 합성예 4 에서 얻어진 폴리(N-프로피오닐에틸렌이민)/디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3 : 하기 합성예 5 에서 얻어진 폴리(N-프로피오닐에틸렌이민)/디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베타인 폴리머 CIII)
유카포머 SM-dry :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에탄올 용액 (고형분 30 %) (미츠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유카포머 SM) 을 건조시킨 분체
(논이온성 폴리머)
폴리비닐부티랄 : 에스레크 BM-1 (세키스이 화학 공업 주식회사, 상품명, 아세탈화도 약 65 몰% (카탈로그치)), 고형분 100 % 분체
폴리우레탄폴리우레아 : BAYCUSAN C2000 (코베스트로 재팬 주식회사, 상품명, 폴리우레탄-64 의 고형분 40 % 에탄올 용액) 을 건조시킨 분체
(용매 B)
[탄화수소유]
펄림 3 :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니치유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펄림 3, 비점 179 ℃, Ra 45, 점도 1.4 mPa·s)
펄림 4 :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니치유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펄림 4, 비점 262 ℃, Ra 45, 점도 3.7 mPa·s)
[실리콘유]
KF-96A-1cs : 트리실록산 (신에츠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KF-96A-1cs, 비점 153 ℃, Ra 45, 점도 0.9 mPa·s)
TMF-1.5 : 메틸트리메티콘 (신에츠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TMF-1.5, 비점 191 ℃, Ra 45, 점도 1.4 mPa·s)
합성예 1 (카티온성 폴리머 1 의 합성)
2 의 적하 깔때기 1 및 2 를 구비한 반응 용기 내에, 표 1 의「초기 투입 모노머 용액」란에 나타내는 조성의 모노머 및 유기 용매를 넣고, 질소 가스 치환을 행하였다.
한편, 표 1 의「적하 모노머 용액」란에 나타내는 조성의 모노머 및 유기 용매를 혼합하여 적하 모노머 용액을 조제하고, 별도로 표 1 의「중합 개시제 용액」란에 나타내는 중합 개시제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후지 필름 와코 순약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V-65) 및 유기 용매를 혼합하여 중합 개시제 용액을 조제하고, 각각 적하 깔때기 1 및 2 중에 넣고, 질소 가스 치환을 행하였다.
질소 분위기 하, 반응 용기 내의 초기 투입 모노머 용액을 교반하면서 62 ℃ 로 유지하고, 적하 모노머 용액 및 중합 개시제 용액을 적하되는 모노머에 대한 적하되는 중합 개시제의 비율이 일정해지도록 2 시간 들여 서서히 반응 용기 내에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62 ℃ 로 유지한 채로, 1 시간 교반한 후, 이어서 아세톤을 47 부 첨가하였다. 추가로 교반하면서 62 ℃ 로 유지하고, 4 시간 가열 숙성을 행하였다.
이어서, 한외 여과막 (닛폰 가이시 주식회사 제조, 세라믹제 한외 여과막, 상품명 : 세필트 공경 10 ㎚) 을 사용하여, 반응물로부터 미반응 모노머 및 중합 개시제 잔류물을 제거하고, 건조시켜, 카티온성 양쪽 친매성 폴리머 (이하,「카티온성 폴리머 1」이라고도 한다) 를 얻었다. 얻어진 카티온성 폴리머 1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30,000 이었다.
합성예 2 (카티온성 폴리머 2 의 합성)
2 개의 적하 깔때기 1 및 2 를 구비한 반응 용기 내에, 표 1 의「초기 투입 모노머 용액」란에 나타내는 조성의 모노머 및 유기 용매를 넣고, 질소 가스 치환을 행하였다.
한편, 표 1 의「적하 모노머 용액」란에 나타내는 조성의 모노머 및 유기 용매를 혼합하여 적하 모노머 용액을 조제하고, 별도로 표 1 의「중합 개시제 용액」란에 나타내는 중합 개시제 (V-65) 및 유기 용매를 혼합하여 중합 개시제 용액을 조제하고, 각각 적하 깔때기 1 및 2 중에 넣고, 질소 가스 치환을 행하였다.
질소 분위기 하, 반응 용기 내의 초기 투입 모노머 용액을 교반하면서 55 ℃ 로 유지하고, 적하 모노머 용액 및 중합 개시제 용액을 적하되는 모노머에 대한 적하되는 중합 개시제의 비율이 일정해지도록 2 시간 들여 서서히 반응 용기 내에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교반하면서 55 ℃ 로 유지하고, 5 시간 가열 숙성을 행하였다.
이어서, 한외 여과막 (닛폰 가이시 주식회사 제조, 세라믹제 한외 여과막, 상품명 : 세필트 공경 10 ㎚) 을 사용하여, 반응물로부터 미반응 모노머 및 중합 개시제 잔류물을 제거하고, 건조시켜, 카티온성 양쪽 친매성 폴리머 (이하,「카티온성 폴리머 2」라고도 한다) 를 얻었다. 얻어진 카티온성 폴리머 2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20,000 이었다.
Figure pct00003
합성예 3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1 의 합성)
2-에틸-2-옥사졸린 12.9 g (0.13 몰) 과 아세트산에틸 27.7 g 을 혼합하고, 혼합액을 몰레큘러 시브 (제올룸 A-4, 토소 주식회사 제조) 2.0 g 으로, 28 ℃ 15 시간 탈수를 행하였다. 얻어진 탈수 2-에틸-2-옥사졸린의 아세트산에틸 용액에 황산디에틸 0.77 g (0.005 몰) 을 첨가하고, 질소 분위기 하 8 시간, 80 ℃ 에서 가열 환류하여, 말단 반응성 폴리(N-프로피오닐에틸렌이민) (수 평균 분자량 2,700) 용액을 얻었다.
별도로, 측사슬 1 급 아미노프로필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신에츠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KF-8015,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0 (카탈로그치), 아민 당량 20,000) 100.0 g 과 아세트산에틸 203.0 g 을 혼합하고, 혼합액을 몰레큘러 시브 15.2 g 으로, 28 ℃ 15 시간 탈수를 행하였다.
이어서, 상기에서 얻어진 말단 반응성 폴리(N-프로피오닐에틸렌이민) 용액을, 탈수된 측사슬 1 급 아미노프로필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용액에 일괄하여 첨가하고, 10 시간, 80 ℃ 에서 가열 환류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여, 폴리(N-프로피오닐에틸렌이민)/디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이하,「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1」이라고도 한다) 를 백색 고무상 고체 (108 g) 로서 얻었다.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1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15,000 (계산치), 질량비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세그먼트 (x) 의 함유량/[오르가노폴리실록산 세그먼트 (x) 및 폴리(N-아실알킬렌이민) 세그먼트 (y) 의 합계 함유량]] 는 0.87 이었다.
합성예 4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2 의 합성)
2-에틸-2-옥사졸린 53.3 g (0.54 몰) 과 아세트산에틸 127.5 g 을 혼합하고, 혼합액을 몰레큘러 시브 (제올룸 A-4, 토소 주식회사 제조) 9.0 g 으로 15 시간 탈수를 행하였다. 얻어진 탈수 2-에틸-2-옥사졸린의 아세트산에틸 용액에 황산디에틸 9.48 g (0.061 몰) 을 첨가하고, 질소 분위기 하 8 시간, 80 ℃ 에서 가열 환류하여, 말단 반응성 폴리(N-프로피오닐에틸렌이민) (수 평균 분자량 1,300) 용액을 얻었다.
별도로, 측사슬 1 급 아미노프로필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신에츠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KF-8003, 중량 평균 분자량 40,000 (카탈로그치), 아민 당량 2,000) 153.7 g 과 아세트산에틸 312.1 g 을 혼합하고, 혼합액을 몰레큘러 시브 23.3 g 으로, 28 ℃ 15 시간 탈수를 행하였다.
이어서, 상기에서 얻어진 말단 반응성 폴리(N-프로피오닐에틸렌이민) 용액을, 탈수된 측사슬 1 급 아미노프로필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용액에 일괄하여 첨가하고, 10 시간, 80 ℃ 에서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고, 폴리(N-프로피오닐에틸렌이민)/디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이하,「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2」라고도 한다) 를 담황색 고무상 고체 (200 g) 로서 얻었다.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2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6,000 (계산치), 질량비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세그먼트 (x) 의 함유량/[오르가노폴리실록산 세그먼트 (x) 및 폴리(N-아실알킬렌이민) 세그먼트 (y) 의 합계 함유량]] 는 0.71 이었다.
합성예 5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3 의 합성)
2-에틸-2-옥사졸린 73.7 g (0.74 몰) 과 아세트산에틸 156.0 g 을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액을 몰레큘러 시브 (제올룸 A-4, 토소 주식회사 제조) 12.0 g 으로, 28 ℃ 15 시간 탈수를 행하였다. 얻어진 탈수 2-에틸-2-옥사졸린의 아세트산에틸 용액에 황산디에틸 2.16 g (0.014 몰) 을 첨가하고, 질소 분위기 하 8 시간, 80 ℃ 에서 가열 환류하여, 말단 반응성 폴리(N-프로피오닐에틸렌이민) (수 평균 분자량은 6,000) 용액을 얻었다.
별도로, 측사슬 1 급 아미노프로필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KF-864, 신에츠 실리콘사 제조, 중량 평균 분자량 50,000 (카탈로그치), 아민 당량 3,800) 70.0 g 과 아세트산에틸 140.0 g 을 혼합하고, 혼합액을 몰레큘러 시브 15.0 g 으로, 28 ℃ 15 시간 탈수를 행하였다.
이어서, 상기에서 얻어진 말단 반응성 폴리(N-프로피오닐에틸렌이민) 용액을, 상기한 탈수된 측사슬 1 급 아미노프로필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용액에 일괄하여 첨가하고, 10 시간, 80 ℃ 에서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고, 폴리(N-프로피오닐에틸렌이민)/디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이하,「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3」이라고도 한다) 를 백색 고무상 고체 (135 g) 로서 얻었다.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3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00 (계산치), 질량비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세그먼트 (x) 의 함유량/[오르가노폴리실록산 세그먼트 (x) 및 폴리(N-아실알킬렌이민) 세그먼트 (y) 의 합계 함유량]] 는 0.50 이었다.
제조예 1-1 (착색제 분산체 1 의 제조)
밀봉 및 온도 조정 가능한 유리제 재킷 내에, 분산성 폴리머 D (아니온성 폴리머 CI) 로서 아니온성 아크릴 폴리머의 에탄올 용액「플러스 사이즈 L-9909U」(고오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산가 : 50 ㎎KOH/g, 100 % 중화, 중화제 :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고형분 농도 40 질량% 의 에탄올 용액) 250 g 을 투입하고, 고속 분산기「T.K. 로보믹스」(프라이믹스 주식회사 제조) (교반부 : 호모 디스퍼 2.5 형 (날개 직경 40 ㎜)) 를 사용하여 15 ℃ 의 재킷 온도로 1,400 rpm 의 조건에서 교반하면서, 착색제로서 적색 226호 K (키시 화성 주식회사 제조, 적색 염료 (C.I. Vat Red 1)) 를 300 g 투입하고, 추가로 15 ℃ 의 재킷 온도에서 2,000 rpm 의 조건에서 1 시간 교반하여, 착색제를 아니온성 아크릴 폴리머의 용액에 융화되게 하였다.
이어서 15 ℃ 의 재킷 온도로 유지한 채로, 회전 속도를 8,000 rpm 으로 변경하고, 1 급 에탄올을 1450 g 투입하여, 3 시간 교반하고, 착색제 혼합물 1 (고형분 농도 20 질량%) 을 얻었다.
얻어진 착색제 혼합물 1 을 마이크로 플루이다이저 (Microfluidics 사 제조, 형식 : M-140K) 를 사용하여, 150 ㎫ 의 압력으로, 10 패스 분산 처리하고, 고형분 농도 20 질량% 의 착색제 분산체 1 을 얻었다.
또한, 분산성 폴리머 D (아니온성 폴리머 CI) 로서 사용한 상기 아니온성 아크릴 폴리머의 후술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각 용매 B 100 g 에 대한 용해량은 5 g 미만이고, 각 용매 A 100 g 에 대한 용해량은 5 g 이상이었다.
제조예 1-2 (착색제 분산체 2 의 제조)
밀봉 및 온도 조정 가능한 유리제 재킷 내에, 분산성 폴리머 D (논이온성 폴리머) 로서 논이온성 폴리비닐부티랄「에스레크 BM-1」(세키스이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유효분 100 % 분체) 100 g 을 1 급 에탄올 900 g 에 용해시키고, 고형분 농도 10 질량% 의 논이온성 폴리비닐부티랄의 에탄올 용액을 얻었다. 이어서, 제조예 1-1 에 있어서, 아니온성 아크릴 폴리머의 에탄올 용액 대신에 논이온성 폴리비닐부티랄의 용액을 사용하여, 표 2 에 기재된 착색제 혼합물의 배합 조성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착색제 분산체 2 를 얻었다.
또한, 분산성 폴리머 D (논이온성 폴리머) 로서 사용한 상기 논이온성 폴리비닐부티랄의 후술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각 용매 B 100 g 에 대한 용해량은 5 g 미만이고, 각 용매 A 100 g 에 대한 용해량은 5 g 이상이었다.
Figure pct00004
실시예 1-1 ∼ 1-5 및 비교예 1-1 ∼ 1-7
(화장 조성물의 제조)
폴리머 C (베타인 폴리머 CIII) 로서 유카포머 SM-dry 1.5 부를, 표 3 에 나타내는 용매 A 58.5 부에 용해시켜, 투명하고 부유물 및 침전물이 없는 것을 확인한 후, 표 3 에 나타내는 용매 B 10 부를 첨가하고, 이어서 착색제 분산체 1 30 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균일화하고, 얻어진 혼합액을 여과하여, 화장 조성물 X-1 ∼ X-5 및 XC-1 ∼ XC-7 을 각각 얻었다. 얻어진 각 화장 조성물의 20 ℃ 에 있어서의 점도를 표 3 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혼합액의 여과에 사용한 멤브레인 필터는, 필터 자체의 용제 내성의 관점에서, 화장 조성물 X-1 ∼ X-5 및 XC-1 ∼ XC-2, XC-7 의 제조에서는 공경 1.20 ㎛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시린지 필터 (싸토리우스사 제조) 를 사용하여, 화장 조성물 XC-3 ∼ XC-6 의 제조에서는 공경 0.45 ㎛ 친수화 PTFE 시린지 필터 (아드반테크사 제조) 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1 에서 사용한 폴리머 C (유카포머 SM-dry) 의 용매 A (무수 에탄올) 100 g 에 대한 용해량은 50 g 이고, 용매 B (펄림 3) 100 g 에 대한 용해량은 0.3 g 이었다. 또, 실시예 1-2 ∼ 1-5 에서 사용한 폴리머 C (유카포머 SM-dry) 의 각 용매 B 100 g 에 대한 용해량은 5 g 미만이고, 각 용매 A 100 g 에 대한 용해량은 5 g 이상이었다.
(화장 방법 (화장 도막의 제조))
잉크 카트리지「TK403 흑-CS 카트리지」(키슈 기술 연구소 공업 주식회사 제조) 의 내부를 이온 교환수 및 에탄올로 세정한 후,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각 화장 조성물을 각각 충전하고, 인쇄 조건 600 dpi 로 인쇄할 수 있도록 개수 (改修) 한 핸디 잉크젯 프린터 (키슈 기술 연구소 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KGKJET HQ1000H) 에 탑재하였다.
이어서, 온도 25 ℃ 및 습도 50 % 로 온습도를 제어한 환경실 내에서, 수평의 받침대 상에 평가용 기재로서 흑색 PET 필름「루미러 S10」(토레이 주식회사 제조) 을 고정시키고, 상기 핸디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하여, 평가용 기재에 수직인 상면 방향에서 화장 조성물을 솔리드 인쇄하였다.
인쇄는, 세로 600 dpi, 가로 600 dpi 의 해상도로, 세로 12.7 ㎜, 폭 50.8 ㎜ 의 솔리드 화상 (주입 밀도 p : 360,000 (도트/평방 인치)) 을 사용하여 행하였다.
인쇄 후 바로 핸디 잉크젯 프린터의 잉크젯 헤드를 추종하여, 초음파 네뷸라이저「COMFORT OASIS」(신에이 공업 주식회사 제조, 형식 : KU-200, 액적의 평균 직경 : 1 ∼ 5 ㎛) 를 사용하여, 액체 E 로서 이온 교환수의 미소한 액적을 도포막의 표면에 분무하고, 솔리드 화상의 인쇄 완료 1 초 후에 초음파 네뷸라이저의 전원을 끊어, 액적의 분무를 중지시켰다.
이어서, 온도 25 ℃ 및 습도 50 % 로 온습도를 제어한 환경실 내에 30 분 방치하고, 각 화장 조성물로 형성된 화장 도막 1-1 ∼ 1-5 및 1-C1 ∼ 1-C7 을 형성한 인쇄물을 얻었다.
(은폐성 및 발색성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인쇄물을 사용하여, 마젠타의 화상 농도 (이하,「마젠타 농도」라고도 한다) 와 블랙의 화상 농도 (이하,「블랙 농도」라고도 한다) 를 하기의 측정 장치 및 측정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측정 장치 : 분광 측색계/농도계「SpectroEye」(엑스라이트 주식회사 제조)
측정 조건 : 광원 D65, 관찰 시야 2 도, 농도 기준 DIN, 백색 베이스「Abs」, 내장 필터「No」
평가용 기재로서 사용한 흑색 PET 필름을 측정한 결과, 블랙 농도 및 마젠타 농도의 측정치는 모두 1.90 이었다.
은폐성 및 발색성의 평가로는, 색의 선명함의 관점에서, 블랙 농도가 낮고, 마젠타 농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 도막의 은폐성이 불충분하면, 블랙 농도가 높아져, 마젠타의 발색이 발현되기 어려워진다. 당해 관점에서, 마젠타 농도와 블랙 농도의 농도차 (마젠타 농도 - 블랙 농도) 는, 바람직하게는 0.8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9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은폐성 및 발색성의 평가에는, 피부, 모발, 및 네일의 대체로서 흑색 PET 필름을 사용했지만, 피부, 모발, 및 네일에 적용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한 척도로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pct00005
표 3 으로부터, 실시예 1-1 ∼ 1-5 는, 블랙 농도가 낮고, 은폐성이 우수하며, 마젠타 농도가 높고, 마젠타 농도와 블랙 농도의 농도차가 0.8 이상인 점에서, 발색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1 ∼ 1-7 은, 블랙 농도가 높고, 은폐성이 열등하여, 마젠타 농도와 블랙 농도의 농도차가 작은 점에서, 발색성이 열등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1 ∼ 2-30
(화장 조성물의 제조)
표 4 및 표 5 에 나타내는 폴리머 C (아니온성 폴리머 CI, 카티온성 폴리머 CII-1,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CII-2, 베타인 폴리머 CIII, 또는 논이온성 폴리머) 를 용매 A 로서 무수 에탄올 (비점 78 ℃, Ra 24) 에 용해시켜, 투명하고 부유물 및 침전물이 없는 것을 확인한 후, 용매 B 로서 펄림 3 (비점 179 ℃, Ra 45) 을 첨가하고, 이어서 착색제 분산체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균일화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공경 1.20 ㎛ 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시린지 필터 (싸토리우스사 제조) 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화장 조성물 Y-1 ∼ Y-30 을 얻었다.
실시예 2-1 ∼ 2-30 에서 사용한 폴리머 C 의 용매 B (펄림 3) 100 g 에 대한 용해량은 5 g 미만이고, 용매 A (무수 에탄올) 100 g 에 대한 용해량은 5 g 이상이었다.
(화장 방법 (화장 도막의 제조) 그리고 은폐성 및 발색성의 평가)
실시예 1-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화장 도막 2-1 ∼ 2-30 을 갖는 인쇄물을 얻은 후, 화상 농도를 측정하고, 은폐성 및 발색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4 및 표 5 에 나타낸다.
(내수성의 평가)
얻어진 인쇄물을 수평면 상에 두고, 화장 도막 상에 스포이트로 0.1 g 의 이온 교환수를 적하하고, 온도 25 ℃ 및 습도 50 % 로 온습도를 제어한 환경실 내에서 1 분 방치하였다. 이어서, 이온 교환수를 적하한 지점을, 이온 교환수로 적신 직경 5 ㎜ 의 면봉을 사용하여 5 회 찰과하면서 화장 도막의 표면 상태를 관찰한 후, 적하된 지점의 수적이 건조되어 안 보이게 될 때까지 온풍 드라이어로 건조시켰다. 이어서, 찰과 후의 화장 도막의 표면 상태를 더욱 관찰하여, 이하의 5 단계의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4 및 표 5 에 나타낸다.
[평가 기준]
5 : 물에 젖은 상태에서의 찰과 중에 화장 도막의 표면 상태에 변화는 없고, 탈색도 없다.
4 : 물에 젖은 상태에서의 찰과 중에 화장 도막에 약간의 색 변화가 보이지만, 건조 후에는 원래의 표면 상태로 되돌아가 탈색은 없고, 실용상 문제는 없다.
3 : 물에 젖은 상태에서의 찰과 중에 화장 도막에 약간의 색 변화와 비틀림이 발생되기는 하지만, 건조 후에는 원래의 표면 상태로 되돌아가 탈색은 없고, 실용상 문제는 없다.
2 : 물에 젖은 상태에서의 찰과 중에 화장 도막에 명확한 탈색이 보이고, 건조 후에 있어서도 탈색이 명확하게 인식된다.
1 : 물에 젖은 상태에서의 찰과 중에 화장 도막에 찢어짐이 발생되고, 건조 후에 있어서도 원래의 표면 상태와는 크게 상이하다.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표 4 및 표 5 로부터, 실시예 2-1 ∼ 2-30 은, 블랙 농도가 낮고, 은폐성이 우수하며, 마젠타 농도가 높고, 마젠타 농도와 블랙 농도의 농도차가 0.8 이상인 점에서, 발색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수성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2-1 ∼ 2-6, 2-12 ∼ 2-13, 2-17, 2-29 ∼ 2-30 은, 착색제의 분산성 폴리머 D 로서 아니온성 폴리머를 사용하고, 폴리머 C 로서 아니온성 폴리머 CI, 카티온성 폴리머 CII, 베타인 폴리머 CIII 및 논이온성 폴리머 중 어느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한 것이다. 이들 결과로부터, 베타인 폴리머 CIII 을 사용한 실시예 2-1 이, 가장 낮은 블랙 농도를 나타내고, 이어서 아니온성 폴리머 CI 을 사용한 실시예 2-2 ∼ 2-4 가 비교적 낮은 블랙 농도를 나타내어, 이들 실시예는, 은폐성 및 발색성이 보다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 카티온성 폴리머 CII-1 을 사용한 실시예 2-5 ∼ 2-6 은, 내수성이 보다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 표 4 및 표 5 로부터, 실시예 2-7 ∼ 2-11, 2-14 ∼ 2-16, 2-18 ∼ 2-27 에 있어서, 착색제의 분산성 폴리머 D 로서 아니온성 폴리머 또는 논이온성 폴리머를 사용하고, 폴리머 C 로서 2 종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니온성 폴리머 CI 과 베타인 폴리머 CIII 을 병용한 실시예 2-7 ∼ 2-9 가 가장 낮은 블랙 농도를 나타내고, 이어서 카티온성 폴리머 CII-1 과 베타인 폴리머 CIII 을 병용한 실시예 2-10 ∼ 2-11 이 비교적 낮은 블랙 농도를 나타내어, 이들 실시예는, 은폐성 및 발색성에 의해서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아니온성 폴리머 CI 과 카티온성 폴리머 CII-1 또는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CII-2 를 병용한 실시예 2-14 ∼ 2-16, 2-18 ∼ 2-22 는, 내수성이 보다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5 로부터, 실시예 2-28 은, 폴리머 C 로서, 아니온성 폴리머 CI,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CII-2, 및 베타인 폴리머 CIII 의 3 종을 병용한 것으로서, 비교적 낮은 블랙 농도를 나타내고, 은폐성 및 발색성이 우수하며, 또한 내수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1 ∼ 3-11
(화장 조성물의 제조)
표 6 에 나타내는 조성에서, 폴리머 C (베타인 폴리머 CIII 및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CII-2) 로서, 유카포머 SM-dry 또는 유카포머 SM-dry 및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3 을, 용매 A 로서 무수 에탄올 또는 무수 이소프로판올에 용해시켜, 투명하고 부유물 및 침전물이 없는 것을 확인한 후, 표 6 에 나타내는 각 용매 B 및 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균일화하고, 공경 0.20 ㎛ 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시린지 필터 (아드반테크사 제조) 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화장 조성물 Z-1 ∼ Z-11 을 얻었다.
실시예 3-8 ∼ 3-9 에서 사용한 폴리머 C (유카포머 SM-dry 및 카티온성 실리콘 폴리머 3) 의 표 6 에 나타내는 각 용매 B 100 g 에 대한 용해량은 5 g 미만이고, 용매 A (무수 에탄올) 100 g 에 대한 용해량은 5 g 이상이었다.
(화장 방법 (화장 도막의 제조) 그리고 은폐성 및 발색성의 평가)
실시예 1-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화장 도막 3-1 ∼ 3-11 을 갖는 인쇄물을 얻은 후, 화상 농도를 측정하여, 은폐성 및 발색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또한, 은폐성 및 발색성의 평가에 있어서, 이온 교환수의 미소한 액적의 분무를 중지한 후 5 분 간격으로 마젠타 농도를 측정하고, 마젠타 농도의 값이 안정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측정하여, 발색 발현 속도를 평가하였다. 마젠타 농도를 측정했을 때에, 5 분 전에 측정한 마젠타 농도와의 차가 0.1 이하로 된 시점에서 마젠타 농도가 안정된 것으로 하여 그 시간을 기록하고, 그 때의 마젠타 농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마젠타 농도의 값이 안정될 때까지의 시간은 짧을수록 바람직하고, 30 분 이내이면 발색 발현 속도로서 실용상 문제 없다.
Figure pct00008
표 6 으로부터, 실시예 3-1 ∼ 3-11 은, 발색 발현 속도의 시간이 30 분 이내이고, 블랙 농도가 낮으며, 은폐성이 우수하고, 마젠타 농도가 높고, 마젠타 농도와 블랙 농도의 농도차가 0.8 이상인 점에서, 발색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은, 무기 안료를 사용하지 않아도, 은폐성 및 발색성이 우수하여, 피부, 모발, 또는 네일에 적용할 수 있는 양호한 화장 도막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7)

  1. 용매 A, 용매 B, 폴리머 C, 및 착색제를 함유하는 화장 조성물이고,
    그 용매 A 가, 에탄올, n-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판올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그 용매 B 의 비점이 150 ℃ 이상이며, 또한 그 용매 B 의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물에 대한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의 거리 Ra 가 40 이상이고,
    그 용매 B 가 그 용매 A 와 상용하며, 또한 그 폴리머 C 가 그 용매 A 에 가용이고 그 용매 B 에는 불용인, 화장 조성물.
    Ra = (4 × ΔD2 + ΔP2 + ΔH2)0.5 (1)
    ΔD : 용매 B 와 물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분산 성분의 차
    ΔP : 용매 B 와 물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극성 성분의 차
    ΔH : 용매 B 와 물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수소 결합 성분의 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가 분산성 폴리머 D 로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화장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분산성 폴리머 D 가, 용매 A 에 가용이고 용매 B 에는 불용인, 화장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머 C 가, 산성기를 갖는 모노머, 염기성기를 갖는 모노머, 및 베타인 모노머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구성 단위로서 함유하는 폴리머를 함유하는, 화장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매 B 가, 휘발성의 탄화수소유 및 휘발성의 실리콘유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화장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의 함유량이 5 질량% 이하인, 화장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매 A 의 함유량이, 30 질량% 이상 90 질량% 이하인, 화장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매 B 의 함유량이, 5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인, 화장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머 C 의 함유량이, 0.5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인, 화장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의 함유량이, 1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인, 화장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발용 화장 조성물인, 화장 조성물.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 조성물을 사용하는 화장 방법으로서,
    공정 1 : 상기 화장 조성물을 피부, 모발, 또는 네일에 도포하는 공정, 및,
    공정 2 : 피부, 모발, 또는 네일 상에 도포된 화장 조성물에, 물을 함유하는 액체 E 의 액적을 부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화장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액체 E 중의 물의 함유량이 50 질량% 이상인, 화장 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공정 1 에 있어서의 화장 조성물의 도포 방법이, 잉크젯 방식 및 디스펜서 방식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에 의해서 그 화장 조성물을 토출하여, 그 화장 조성물의 액적을 피부, 모발, 또는 네일에 부여하는 방법인, 화장 방법.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정 2 에 있어서의 액적의 부여 방법이, 박무화 장치를 사용하여 액적을 분무하는 방법, 또는 잉크젯 방식에 의해서 액적을 토출하는 방법인, 화장 방법.
  16. 화장 조성물을 사용하는 화장 방법으로서,
    그 화장 조성물이, 용매 A, 용매 B, 폴리머 C, 및 착색제를 함유하고,
    그 용매 A 가, 에탄올, n-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판올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그 용매 B 의 비점이 150 ℃ 이상이며, 또한 그 용매 B 의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물에 대한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의 거리 Ra 가 40 이상이고,
    그 용매 B 가 그 용매 A 와 상용하며, 또한 그 폴리머 C 가 그 용매 A 에 가용이고 그 용매 B 에는 불용이고,
    공정 1 : 잉크젯 방식 및 디스펜서 방식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에 의해서 그 화장 조성물을 토출하여, 그 화장 조성물의 액적을 피부, 모발, 또는 네일에 부여하는 공정, 및,
    공정 2 : 피부, 모발, 또는 네일 상에 도포된 화장 조성물에, 물을 함유하는 액체 E 의 액적을 부여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공정 2 에 있어서의 액적의 부여 방법이, 박무화 장치를 사용하여 액적을 분무하는 방법, 또는 잉크젯 방식에 의해서 액적을 토출하는 방법인, 화장 방법.
    Ra = (4 × ΔD2 + ΔP2 + ΔH2)0.5 (1)
    ΔD : 용매 B 와 물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분산 성분의 차
    ΔP : 용매 B 와 물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극성 성분의 차
    ΔH : 용매 B 와 물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수소 결합 성분의 차
  17.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 조성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화장 도막.
KR1020227042834A 2020-06-08 2021-06-03 화장 조성물 KR202300065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99623 2020-06-08
JP2020099623 2020-06-08
PCT/JP2021/021213 WO2021251268A1 (ja) 2020-06-08 2021-06-03 化粧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588A true KR20230006588A (ko) 2023-01-10

Family

ID=78846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2834A KR20230006588A (ko) 2020-06-08 2021-06-03 화장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10752A1 (ko)
EP (1) EP4162922A1 (ko)
JP (1) JP2021193079A (ko)
KR (1) KR20230006588A (ko)
CN (1) CN115697288B (ko)
WO (1) WO2021251268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3208A (ja) * 1985-02-08 1986-08-15 Kobayashi Kooc:Kk スプレ−式仕上用メ−クアツプ化粧料
JP2004269514A (ja) * 2003-02-17 2004-09-30 Michi Ozaki メークアップ用コーティング剤
JP5406692B2 (ja) 2009-12-16 2014-02-05 花王株式会社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化合物の製造方法
CN104379216B (zh) 2012-06-21 2019-01-01 莱雅公司 具有毛孔遮盖和持久效果的化妆品组合物
JP6647850B2 (ja) 2014-12-25 2020-02-14 三菱鉛筆株式会社 化粧料
JP6690947B2 (ja) * 2016-01-08 2020-04-28 花王株式会社 油中水型皮膚化粧料
JP6849986B2 (ja) * 2016-10-03 2021-03-31 株式会社アリミノ ヘアマスカラ組成物
JP7233012B2 (ja) * 2017-10-10 2023-03-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化粧料インク、これを含む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およ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ならびに化粧用シートの製造方法
JP2020026401A (ja) * 2018-08-10 2020-02-20 株式会社 資生堂 多層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697288B (zh) 2024-04-02
WO2021251268A1 (ja) 2021-12-16
CN115697288A (zh) 2023-02-03
EP4162922A1 (en) 2023-04-12
JP2021193079A (ja) 2021-12-23
US20230210752A1 (en)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8138B2 (ja) 固形粉末化粧料
CN111511342A (zh) 包含amps聚合物的组合物
KR20230006588A (ko) 화장 조성물
CN111328291A (zh) 包含具有环状酰胺、环状胺和丙烯酰胺的聚合物的睫毛膏组合物
EP4083291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colored nonwoven fabric
CN113165011B (zh) 涂膜的形成方法
EP4083290A1 (en) Concavo-convex plate for electric spinning method
KR20210145709A (ko) 비수계 분산액,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TWI825044B (zh) 固形粉末化妝料
CN113165008B (zh) 涂膜的形成方法
KR101199182B1 (ko) 전처리한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1938207B2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JP6663715B2 (ja) 固形粉末化粧料の製造方法
JP5384778B2 (ja) 重合体組成物
CN117120026A (zh) 包括施用包含至少一种(聚)碳二亚胺化合物的组合物以及包含至少一种缔合型聚合物和特定化合物的组合物的用于使头发角蛋白纤维着色的方法
CN117015369A (zh) 包括施用包含至少一种(聚)碳二亚胺化合物的组合物以及包含至少一种缔合型聚合物和特定化合物的组合物的用于使头发角蛋白纤维着色的方法
CN116997320A (zh) 包含至少一种(聚)碳二亚胺化合物和至少一种包含至少一个羟基官能团的化合物的头发着色组合物
CN117120027A (zh) 包含至少一种(聚)碳二亚胺化合物和至少一种非羧酸阴离子增稠剂的头发着色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