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5477A - 정수기용 자동배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자동배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5477A
KR20230005477A KR1020210086229A KR20210086229A KR20230005477A KR 20230005477 A KR20230005477 A KR 20230005477A KR 1020210086229 A KR1020210086229 A KR 1020210086229A KR 20210086229 A KR20210086229 A KR 20210086229A KR 20230005477 A KR20230005477 A KR 20230005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charged
water purifier
collection contain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두산
안상규
Original Assignee
(주)탑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탑솔루션 filed Critical (주)탑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086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5477A/ko
Publication of KR20230005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54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6Devices for collecting spilled bever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2Aesthetics, advert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3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 B67D1/1238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comprising means for detecting the liquid level in vessels to be filled, e.g. using ultrasonic waves, optical reflexion, pro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Landscapes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장치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정수기에서 발생하여 배출되는 배출수가 배출호스를 통해 이동되어 저장되는 수거통과, 정수기에서 발생된 배출수를 모아서 수거통으로 회수하는 배출수 회수부와, 장치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거통에서 오버플로우 되는 배출수를 저장하는 물 받이부재와, 수거통에 모인 배출수를 증발시켜 제거하는 배출수 제거유닛 및 배출수 제거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자동배출 처리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정수기용 자동배수 처리장치{A AUTOMATIC DRAINAGE PROCESSING APPARATUS FOR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용 자동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에서 배출되는 물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정수기용 자동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정화하여 정수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최근에는 정수를 제공하는 것에 더하여 정수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 및 제공하는 정수기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정수기에 구비된 정수 탱크 및 냉수 탱크나 내부 유로의 오염방지를 위해 정기적으로 살균을 하거나 배수를 하는 기능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얼음 탱크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장된 얼음이 녹을 수도 있으므로, 얼음이 녹아서 생성된 물을 배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정수기에는 배수 기능에 의해 배출되는 물을 별도로 처리하기 위한 배출호스 등이 연결되는데, 이러한 배출호스는 하수배관 등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배출호스를 하수배관에 직접 연결할 수 없는 환경에서는, 상기 배출호스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담아서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물통(물탱크)을 설치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물통은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비워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정수기의 음용수의 배출구나 얼음 토출구에서 물이나 얼음을 받을 때, 용기에 담기지 않고 흘러넘치거나 사용자의 실수로 인하여 배출되는 물이나, 얼음을 받기 위한 물받이통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물받이통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수시로 확인하여 비워주어야 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 물이 넘쳐서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390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정수기의 배출수를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정수기용 자동배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수기용 자동배수 처리장치는,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정수기에서 발생하여 배출되는 배출수가 배출호스를 통해 이동되어 저장되는 수거통; 상기 정수기에서 발생된 배출수를 모아서 상기 수거통으로 회수하는 배출수 회수부; 상기 장치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거통에서 오버플로우되는 배출수를 저장하는 물 받이부재; 상기 수거통에 모인 배출수를 증발시켜 제거하는 배출수 제거유닛; 및 상기 배출수 제거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정수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는 조명이 설치되며, 상기 장치 본체의 일측벽에는 상기 조명에서 발생하는 조명광을 외부로 비춰주는 조명창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장치의 동작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거통의 배출수 수위를 감지하는 제1수위센서; 상기 물받이부재의 배출수 수위를 감지하는 제2수위센서; 및 상기 제2수위센서에서의 감지신호시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장치의 고장 여부를 즉시 확인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수 제거유닛은, 상기 배출수 수거통의 하부에 설치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어 초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배출수를 증기화시키는 제1 및 제2초음파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수 회수부는, 상기 정수기로부터 발생되어 모인 배출수를 상기 수거통으로 이동시키는 회수경로; 상기 회수경로 상에 설치되는 필터 용기; 및 상기 필터 용기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필터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이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정수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용이하게 자동으로 처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수기용 자동배수 처리장치는, 별도의 수거통에 모아서 제거하지 않아도 수증기 형태로 자동으로 처리하어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나 관리자가 별도로 정수기의 배출수 수거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지고, 배출수의 오버플로우에 의해 주변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자동배수 처리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정수기의 물받이통에 배출호스가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자동배수 처리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용 자동배수 처리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정수기용 자동배수 처리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정수기용 자동배수 처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필터부를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정수기용 자동배수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9는 정수기용 자동배수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자동배수 처리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자동배수 처리장치는, 장치 본체(110)와, 장치 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물받이부재(120)와, 장치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는 수거통(130)과, 수거통(130)으로 모인 물을 제거하기 위한 물 제거유닛(140) 및 정수기(200)에서 발생된 배출수를 회수하는 배출수 회수부(150), 정수기(200)에서 발생한 배출수를 배출수 회수부(150)로 이송하는 배출호스(180) 및 제어부(160)을 구비한다.
여기서, 정수기(200)는 정수기 본체(210)와, 정수기 본체(210)에서 정수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부(220)와, 배출부(220)에서 흘러내린 물이 저장되는 물받이통(2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물받이통(230)에는 배출구(231)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호스(180)가 연결된다.
물론, 상기 물받이통(230) 이외에, 정수기 본체(2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정수탱크(240) 또는 냉수탱크 또는 얼음 탱크 등에 배출호스(180)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정수탱크(240)의 배출호스(180)가 연결되는 배출라인에는 개폐밸브(241)가 설치되어 배술수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장치 본체(110)는 박스 형태를 가지며, 상부는 커버(111)에 의해 덮인 구조를 가진다. 장치 본체(110)의 내부에 수거통(130)이 설치되어 있으며, 커버(111)에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수증기 배출구(1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장치 본체(110)의 어느 일측면에는 조명창(115)이 설치되어 내부에 설치된 조명(163)의 구동시, 불빛이 외부로 비칠 수 있도록 한다. 조명창(115)을 통해 조명이 외부로 비치면, 배출수 제거유닛(140)이 동작중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조명창(115)은 빛을 일부 투과시킬 수 있는 아크릴 등의 수지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장치 본체(110)의 상부에는 배출수 회수부(150)가 설치되어 정수기(200)로부터 배출되는 배출수를 수거하여 수거통(130)으로 회수되도록 한다.
상기 물받이부재(120)는 장치 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거통(130)에서 처리되지 못하고 오버플로우 되는 배출수를 수집함으로써 바닥 주변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받이부재(120)에는 제2수위센서(162)가 설치되어 물받이 부재(120) 내부로 흘러내린 배출수의 수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160)로 전달되거나, 또는 경보음 출력부(164)로 전달되어 경보음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나 관리자가 즉시 확인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감지센서(162)는 물받이부재(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유체(162a)와, 부유체(162a)가 배출수에 의해 상승할 때 접촉되어 감지하는 접촉스위치(162b)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2수위센서(162)의 다른 예로서, 물받이부재(120)에 설치되어 일정 수위 이상으로 올라오는 배출수에 의해 변색하는 리트머스 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리트머스 감지부는 일부는 물받이부재(120) 내부에 위치하고,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나 관리자가 리트머스 감지부의 변색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배출수가 수거통(130)에서 제거되지 못하고 오버플로우 되어 물받이부재(120)에 담긴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배수 처리장치의 고장 여부를 점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거통(130)은 장치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어 배출수 회수부(150)를 통해 회수되는 배출수가 저장된다. 수거통(130)의 상부에는 배출수 배출구(131)가 형성되어 일정 높이 이상 수용되는 배출수가 오버플로우 되어 물받이부재(120)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출수 배출구(131)로 배출되는 배출수를 물받이부재(120)의 입구(121)로 이동되도록 하는 배출수 이송경로(133)가 배출수 배출구(131)와 상기 입구(12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거통(130)에는 제1수위센서(161)가 소정 높이에 설치되어, 수거통(130) 내에 수거되는 배출수의 수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160)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제1수위센서(161)에서 감지정보가 전달되며, 배출수가 설정 수위에 도달한 것을 감지하여 배출수 제거유닛(140)을 구동제어하여 배출수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거통(130)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출수 제거유닛(140)은 배출수를 증발시켜서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배출수 제거유닛(140)은 제1 및 제2초음파 발생기(141,14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초음파 발생기(141,142)는 수거통(130)의 바닥에 진동자를 각각 이격되게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2개가 동시에 구동되어 수거통(130) 내의 배출수를 초음파를 이용하여 증발시켜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배출수 제거유닛(140)은 수거통(130) 내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히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배출수 회수부(150)는 장치 본체(1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설비로부터 생성된 배출수를 수거통(130)로 수거되도록 한다. 이러한 배출수 회수부(150)는 회수경로(151)와, 회수경로(151) 상에 설치되는 필터용기(153) 및 필터용기(153)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155)를 구비한다.
회수경로(151)는 설비에 설치되어 설비에서 발생하는 배출수를 수집하는 수집부(10)와 상기 장치 본체(110)의 상부를 연결하며, 호스 내지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집부(10)는 넓은 판 구조를 가지며, 일측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에 회수경로(151)가 연결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회수경로(151)의 하단에 필터용기(153)의 유입관(153a)이 연결되고, 필터용기(153) 하단에 연결되는 배출관(153b)은 장치 본체(110)의 커버(111)를 통과하여 수거통(1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필터용기(153)는 내부에 필터(155)가 수용되며, 상부보다 하부로 갈수록 그 내부 공간이 좁아지는 테이퍼부(153c)를 가진다. 테이퍼부(153c)의 내부에 필터(155)가 걸쳐져 수용되며, 테이퍼부(153c)의 외측은 장치 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170)에 거치되어 지지되다.
상기 필터(155)는 소정 두께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155)는 회수되는 배출수에 포함된 녹이나 다른 고형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수거통(130)으로 녹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초음파 발생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브라켓(170)은 장치 본체(1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측벽(171)과, 측벽(171) 각각에 양단이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지지판(172,173)을 가진다. 상부 및 하부 지지판(172,173) 각각에는 필터 용기(151)가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공(172a,173a)이 각각 형성된다. 하부 지지판(173)의 지지공(173a)이 더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필터 용기(151)를 상부 지지판(172)의 지지공(172a)으로부터 통과시켜 하부의 지지공(173a)에 거치되도록 하여 필터 용기(151)를 지지브라켓(170)에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거치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160)는 제1수위센서(161)에서의 수위감지신호를 전달받아 배출수 제거유닛(14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수거통(130) 내로 회수되는 배출수가 설정 수위에 도달할 때 동작되어 배출수를 수증기화하여 자동으로 제거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60)는 초기에는 하나의 초음파 발생기(141)만을 작동시켜 배출수를 제거하게 되는데, 설정된 시간 이상이 되어도 제1수위센서(161)에서 배출수 감지신호가 계속 감지되면, 배출수의 수거량이 많은 것으로 판단하여 제1 및 제2초음파 발생기(141,142)를 모두 구동제어하여 배출수를 빨리 제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배출수 제거유닛(140)을 구동제어하는 동안, 조명(163)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온시킨다. 따라서, 특정 컬러의 조명광이 장치 본체(110) 내부에서 발생되어 조명창(115)을 통해 외부로 비치도록 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시설 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배출수 제거장치(100)를 눈으로 확인하여 조명광이 외부로 비춰지는 것을 통해 작동중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제2수위센서(162)에서 감지신호가 감지되면, 경보음 출력부(164)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경보음이 울리는 경우 고장 여부에 대해 점검을 하면 되므로, 배출수가 흘러넘쳐서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를 해결하고, 정수기에서 나오는 배출수를 자동으로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기용 자동배수 처리장치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배출수의 수거통에 단순히 수거하고, 배출수가 채워진 수거통을 사용자가 일일이 확인하여 외부로 이동하여 비운 뒤에, 비워진 수거통을 다시 회수위치에 위치시켜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관리가 필요 없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배출호스(180)를 정수기(200)의 배출수 배출부 측에 연결하여 두면, 정수기(200)에서 발생하여 배출되는 배출수를 수증기화하여 자동으로 제거하여 줌으로써, 배출수를 별도로 회수하여 버릴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정수기용 자동배수 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배출수 수거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할 필요 없이, 배출수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오동작하거나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배출수가 오버플로우 되어 물받이부재(120)로 회수하여 주변으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경보음을 발생시켜서 사용자가 즉시 인지하여 확인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수 누수에 의한 누전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배출수 제거에 따른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장치 본체 120..물받이 부재
130..수거통 140..배출수 제거유닛
150..배출수 회수부 160..제어부
170..지지브라켓 180..배출호스
200..정수기

Claims (4)

  1.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정수기에서 발생하여 배출되는 배출수가 배출호스를 통해 이동되어 저장되는 수거통;
    상기 정수기에서 발생된 배출수를 모아서 상기 수거통으로 회수하는 배출수 회수부;
    상기 장치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거통에서 오버플로우 되는 배출수를 저장하는 물 받이부재;
    상기 수거통에 모인 배출수를 증발시켜 제거하는 배출수 제거유닛; 및
    상기 배출수 제거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자동배출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는 조명이 설치되며,
    상기 장치 본체의 일측벽에는 상기 조명에서 발생하는 조명광을 외부로 비춰주는 조명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자동배출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통의 배출수 수위를 감지하는 제1수위센서;
    상기 물받이부재의 배출수 수위를 감지하는 제2수위센서; 및
    상기 제2수위센서에서의 감지신호시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자동배출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 제거유닛은,
    상기 배출수 수거통의 하부에 설치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어 초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배출수를 증기화시키는 제1 및 제2초음파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수 회수부는,
    상기 정수기로부터 발생되어 모인 배출수를 상기 수거통으로 이동시키는 회수경로;
    상기 회수경로 상에 설치되는 필터 용기; 및
    상기 필터 용기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필터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자동배출 처리장치.




KR1020210086229A 2021-07-01 2021-07-01 정수기용 자동배수 처리장치 KR202300054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229A KR20230005477A (ko) 2021-07-01 2021-07-01 정수기용 자동배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229A KR20230005477A (ko) 2021-07-01 2021-07-01 정수기용 자동배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477A true KR20230005477A (ko) 2023-01-10

Family

ID=84893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229A KR20230005477A (ko) 2021-07-01 2021-07-01 정수기용 자동배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547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909Y1 (ko) 2009-11-20 2014-08-07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용 배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909Y1 (ko) 2009-11-20 2014-08-07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용 배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2563B1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JP2002320964A (ja) 分離器デバイス
US5705055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covering grease from a grease separator
US6264830B1 (en) On premise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6951615B2 (en) Grease removal system
KR20100004855A (ko) 찜통
US20020063051A1 (en) Processing of shipboard wastewater
KR20050090069A (ko) 연료 필터
KR20230005477A (ko) 정수기용 자동배수 처리장치
JP2927637B2 (ja) 加湿器
JP2011514958A (ja) リンス機能を備えた蒸気装置
KR100794357B1 (ko) 엘리베이터 에어컨의 응축수 제거시스템
KR101647088B1 (ko) 결로수 자동 제거장치
KR101584815B1 (ko) 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정수기
JPH0722571Y2 (ja) 蒸気発生装置
JP3271883B2 (ja) 空気浄化装置
JP5353226B2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排水減量装置
KR200250555Y1 (ko) 냉장고
JPH1043736A (ja) 配水器
JP2003082752A (ja) 異常検知機能付き阻集器および阻集器の異常検知方法
KR930023282A (ko) 음료수장치
JP2004154615A (ja) 排気洗浄装置
FI112442B (fi) Menetelmä rasvan erottamiseksi jätevedestä erotinlaitteelle sekä erotinlaite
KR19980047182A (ko) 정수기의 배수처리방법 및 장치
KR0123049Y1 (ko) 반도체 제조를 위한 코팅공정용 포토레지스트 자동폐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