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5466A -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5466A
KR20230005466A KR1020210086210A KR20210086210A KR20230005466A KR 20230005466 A KR20230005466 A KR 20230005466A KR 1020210086210 A KR1020210086210 A KR 1020210086210A KR 20210086210 A KR20210086210 A KR 20210086210A KR 20230005466 A KR20230005466 A KR 20230005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haft
coupled
lifting plat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종판
문성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시드
Priority to KR1020210086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5466A/ko
Publication of KR20230005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54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1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 B24B7/1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end-faces, e.g. of gauges, rollers, nuts, piston rings
    • B24B7/167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end-faces, e.g. of gauges, rollers, nuts, piston rings end faces coi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1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 B24B7/1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end-faces, e.g. of gauges, rollers, nuts, piston rings
    • B24B7/17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end-faces, e.g. of gauges, rollers, nuts, piston rings for simultaneously grinding opposite and parallel end faces, e.g. double disc gr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에 턴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턴테이블에 다수 개의 스프링이 투입되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는 스프링공급부와, 상기 스프링공급부의 이송경로에 설치되어 스프링의 상, 하 좌면을 수평면으로 가공하는 스프링가공부를 포함하는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가공부는, 턴테이블 상부에 위치하여 연마지석을 회전가능하게 탑재하는 제1스핀들유닛; 상기 제1스핀들유닛의 연마지석이 마모되는 양만큼 스프링 좌면을 향해서 하강되도록 제어하는 제1엘리베이션; 턴테이블 하부에 위치하여 연마지석을 회전가능하게 탑재하는 제2스핀들유닛; 및 상기 제2스핀들유닛의 연마지석이 마모되는 양만큼 스프링 좌면을 향해서 승강되도록 제어하는 제2엘리베이션;을 포함하는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Apparatus for auto grinding compression spring}
본 발명은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스프링의 연마작업으로 인해 연마지석이 마모될 때, 연마지석이 마모된 만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연마 치수를 맞추어 자동 연마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선스프링(10)이라 함은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선재 형태의 스프링 소재를 나선형으로 둥글게 감아 만든 스프링으로, 양끝 좌면(10a,10b)이 스프링의 축(S)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상에 놓일 수 있도록 좌면 연마 공정을 실시하여 제작하게 된다.
이러한, 압축선스프링(10; 이하 스프링이라 칭함)은 도 2내지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은 압축선스프링 전용 연마장치에 투입되어 연마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2는 종래 스프링 연마장치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를, 도 3은 종래 스프링 연마장치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종래의 스프링 연마장치는 다수개의 스프링(10)을 고정한 채로 회전하는 턴테이블(20)과, 상기 턴테이블(2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턴테이블의 상하에 배치되어 턴테이블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스프링(10)의 좌면을 연마하는 다수개의 그라인딩 휠(30)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턴테이블(20)에는 스프링이 끼움 결합되는 다수개의 설치공(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설치공(21)은 연마하고자 하는 스프링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스프링의 연마작업시 스프링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압축스프링의 양쪽면을 연마하는 과정에서 상, 하부 연마지석이 마모되어 스프링의 연마 치수가 달라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상, 하부 연마지석이 마모되었을 때, 이를 조정하는 작업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직접 조작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높은 숙련도를 요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수동조작에 의한 연마지석 조정작업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스프링 연마작업이 중단되어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314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스프링을 다관절 로봇을 이용하여 무인으로 턴테이블에 투입하고, 턴테이블을 회전시켜 스프링을 연마가공부의 상부 연마지석과 하부 연마지석 사이로 이송시켜 스프링의 양측단부를 수평면으로 연마 가공하는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축스프링의 연마작업으로 인해 연마지석이 마모될 때, 연마지석이 마모된 만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연마 치수를 맞추어 자동 연마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프링의 연마작업으로 인한 연마지석의 마모량을 계측하여 연마지석이 마모된 양만큼 연마지석의 상하방향 위치가 실시간 조정되도록 하여 스프링의 연마치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자동 연마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체프레임에 턴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턴테이블에 다수 개의 스프링이 투입되어 다음공정으로 이송되는 스프링공급부와, 상기 스프링공급부의 이송경로에 설치되어 스프링의 상, 하 좌면을 수평면으로 가공하는 스프링가공부를 포함하는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가공부는, 턴테이블 상부에 위치하여 연마지석을 회전가능하게 탑재하는 제1스핀들유닛;
상기 제1스핀들유닛의 연마지석이 마모되는 양만큼 스프링 좌면을 향해서 하강되도록 제어하는 제1엘리베이션;
턴테이블 하부에 위치하여 연마지석을 회전가능하게 탑재하는 제2스핀들유닛; 및
상기 제2스핀들유닛의 연마지석이 마모되는 양만큼 스프링 좌면을 향해서 승강되도록 제어하는 제2엘리베이션;을 포함하는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마지석의 마모된 양을 계측하고 연마지석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핀들유닛은, 스프링 좌면에 맞닿아 스프링 표면을 연마하는 제1연마지석; 상기 제1연마지석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회전휠; 상기 제1회전휠에 결합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의 축외경에 결합되어 제1회전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1축하우징; 상기 제1축하우징을 결합 지지하는 제1승강플레이트; 및 상기 제1승강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제1회전축을 구동시키는 제1축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엘리베이션은, 본체프레임에 마련되는 제1서보모터; 상기 제1서보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제1볼스크류; 및 상기 제1승강플레이트 측에 결합되고, 나선 축 결합되는 제1볼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제1승강플레이트와 함께 회전축방향으로 승하강 이동되는 제1너트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과 제1승강플레이트 사이에 복수 개의 제1슬라이딩 가이드를 설치하여 제1승강플레이트의 승하강시 흔들림이 가이드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스핀들유닛은, 스프링 좌면에 맞닿아 스프링 표면을 연마하는 제2연마지석; 상기 제2연마지석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회전휠; 상기 제2회전휠에 결합되는 제2회전축; 상기 제2회전축의 축외경에 결합되어 제2회전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2축하우징; 상기 제2축하우징을 결합 지지하는 제2승강플레이트; 및 상기 제2승강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제2회전축을 구동시키는 제2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엘리베이션은, 본체프레임에 마련되는 제2서보모터; 상기 제2서보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제2볼스크류; 및 상기 제2승강플레이트 측에 결합되고, 나선 축 결합되는 제2볼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제2승강플레이트와 함께 회전축방향으로 승하강 이동되는 제2너트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과 제2승강플레이트 사이에 복수 개의 제2슬라이딩 가이드를 설치하여 제2승강플레이트의 승하강시 흔들림이 가이드 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압축스프링의 연마작업으로 인해 연마지석이 마모될 때, 연마지석이 마모된 만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연마 치수를 맞추어 자동 연마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스프링의 높은 정밀도와 일률적인 품질을 갖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 하부 연마지석이 마모되었을 때, 마모된 양만큼을 실시간 자동 보정되도록 함으로써, 숙련된 작업자가 필요치 않아 인건비 절감의 효과가 있고, 연마지석 조정작업시에도 연마작업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스프링의 구조를 보인 도면,
도 2 는 종래 스프링 연마장치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3 은 종래 스프링 연마장치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공급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가공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스핀들유닛 및 제1엘리베이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스핀들유닛 및 제2엘리베이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공급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가공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스핀들유닛 및 제1엘리베이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스핀들유닛 및 제2엘리베이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1)는, 스프링(300)의 연마작업으로 인한 연마지석(211,231)의 마모량을 계측하여 연마지석(211,231)이 마모된 양만큼 연마지석(211,231)의 상하방향 위치가 실시간 조정되도록 하여 스프링(300)의 연마치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자동 연마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1)는, 크게 본체프레임(110)에 턴테이블(120)이 설치되고, 상기 턴테이블(120)에 다수 개의 스프링(300)이 투입되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는 스프링공급부(100)와, 상기 스프링공급부(100)의 이송경로에 설치되어 스프링(300)의 상, 하 좌면을 수평면으로 가공하는 스프링가공부(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공급부(10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스프링공급부(100)는, 본체프레임(110)에 스프링(300)을 연속 공급하기 위한 턴테이블(120)이 설치된다. 상기 턴테이블(120)은 원판형태로서, 원판둘레에 스프링(300)을 장입하여 회전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스프링 삽입홀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턴테이블(120)은 본체프레임(110)에 설치되어진 모터 및 감속기로 이루어진 테이블구동부(130)에 의해 회전동력을 제공받는다.
이때, 상기 본체프레임(110)은 스프링공급부(100) 및 스프링가공부(200)를 설치하기 위한 기초구조물로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박스형태의 입체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스프링가공부(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 도 6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프링가공부(200)는, 제1스핀들유닛(210), 제1엘리베이션(220), 제2스핀들유닛(230), 제2엘리베이션(240)으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제1스핀들유닛(21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스핀들유닛(210)은 턴테이블(120) 상부에 위치하여 제1연마지석(211)을 회전가능하게 탑재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상기 제1스핀들유닛(210)의 구성은, 제1연마지석(211), 제1회전휠(212), 제1회전축(213), 제1축하우징(214), 제1승강플레이트(215), 제1축구동부(216)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한 구성요소들 간의 연계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1연마지석(211)이 스프링 좌면에 맞닿아 스프링 표면을 연마한다.
이때, 상기 제1연마지석(211)은 제1회전휠(2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휠(212)에는 제1회전축(213)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1회전축(213)의 축외경을 감싸도록 제1축하우징(214)이 결합되어 제1회전축(213)의 회전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축하우징(214)은 제1승강플레이트(215)에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이고, 그 중심축에 결합된 제1회전축(213)이 회전하여 제1회전휠(212)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승강플레이트(215)에는 제1축구동부(216)가 설치되어 제1회전축(213)을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축구동부(216)는 제1승강플레이트(215)에 결합되는 제1회전모터(216a)와, 상기 제1회전모터(216a)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구동풀리(216b)와, 제1회전축(213)에 결합되고 상기 제1구동풀리(216b)와 벨트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제1종동풀리(216c)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스핀들유닛(210)은 제1엘리베이션(220)에 결합되어 제1연마지석(211)이 마모되는 양만큼 스프링(300) 좌면을 향해서 하강 제어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제1엘리베이션(22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엘리베이션(220)은, 본체프레임(110)에 제1서보모터(221)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1서보모터(221)에 제1볼스크류(222)가 결합되어 축 회전한다.
상기 제1볼스크류(222)와 축결합되는 제1너트하우징(223)이 제1승강플레이트(215) 측에 결합된다.
상기 제1너트하우징(223)은 나선 축 결합된 제1볼스크류(222)의 회전에 의해 제1승강플레이트(215)와 함께 회전축방향으로 승하강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승강플레이트(215)가 승하강 될 때, 제1승강플레이트(215)에 탑재된 제1스핀들유닛(210) 함께 승하강되어 제1연마지석(211)의 위치를 보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서보모터(221)는 제1연마지석(211)의 가공위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의 신호에 의해 회전수를 조절하여 제1연마지석(211)이 항상 일정한 연마위치에 연마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본체프레임(110)과 제1승강플레이트(215) 사이에 복수 개의 제1슬라이딩 가이드(224)를 설치하여 제1승강플레이트(215)의 승하강시 흔들림이 가이드 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제2스핀들유닛(23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2스핀들유닛(230)은 턴테이블(120) 하부에 위치하여 제2연마지석(231)을 회전가능하게 탑재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상기 제2스핀들유닛(230)의 구성은, 제2연마지석(231), 제2회전휠(232), 제2회전축(233), 제2축하우징(234), 제2승강플레이트(235), 제2축구동부(236)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한 구성요소들 간의 연계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2연마지석(231)이 스프링 좌면에 맞닿아 스프링 표면을 연마한다.
이때, 상기 제2연마지석(231)은 제2회전휠(23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휠(232)에는 제2회전축(233)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2회전축(233)의 축외경을 감싸도록 제2축하우징(234)이 결합되어 제2회전축(233)의 회전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축하우징(234)은 제2승강플레이트(235)에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이고, 그 중심축에 결합된 제2회전축(233)이 회전하여 제2회전휠(232)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승강플레이트(235)에는 제2축구동부(236)가 설치되어 제2회전축(233)을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축구동부(236)는 제2승강플레이트(235)에 결합되는 제2회전모터(236a)와, 상기 제2회전모터(236a)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2구동풀리(236b)와, 제2회전축(233)에 결합되고 상기 제2구동풀리(236b)와 벨트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제2종동풀리(236c)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스핀들유닛(230)은 제2엘리베이션(240)에 결합되어 제2연마지석(231)이 마모되는 양만큼 스프링(300) 좌면을 향해서 승강 제어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제2엘리베이션(24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엘리베이션(240)은, 본체프레임(110)에 제2서보모터(241)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2서보모터(241)에 제2볼스크류(242)가 결합되어 축 회전한다.
상기 제2볼스크류(242)와 축결합되는 제2너트하우징(243)이 제2승강플레이트(235) 측에 결합된다.
상기 제2너트하우징(243)은 나선 축 결합된 제2볼스크류(242)의 회전에 의해 제2승강플레이트(235)와 함께 회전축방향으로 승하강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승강플레이트(235)가 승하강 될 때, 제2승강플레이트(235)에 탑재된 제2스핀들유닛(230) 함께 승하강되어 제2연마지석(231)의 위치를 보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서보모터(241)는 제2연마지석(231)의 가공위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의 신호에 의해 회전수를 조절하여 제2연마지석(231)이 항상 일정한 연마위치에 연마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본체프레임(110)과 제2승강플레이트(235) 사이에 복수 개의 제2슬라이딩 가이드(244)를 설치하여 제2승강플레이트(235)의 승하강시 흔들림이 가이드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스프링가공부(200)는 스프링(300) 이송경로를 따라 복수의 단계로 형성하되, 거친연마단계에서 정밀연마단계로 순차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프링을 지속적으로 연마하게 되면 연마지석의 표면이 불규칙해지게 되는데 이때, 별도의 드레싱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연마지석의 표면을 주기적으로 다듬질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는 연마지석의 마모된 양을 계측하고 연마지석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를 갖는 본 발명은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로서, 연마지석의 상, 하 이동을 서보모터를 사용하여 정밀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고, 연마지석이 마모되면 그 마모량을 자동으로 보상하여 주게 된다. 또한,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는 터치스크린(미도시)을 구비함으로써, 조작 데이터 입력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어부는 데이터 입력을 위한 터치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어부는 스프링 연마작업시 연마지석석이 마모되는 양을 계산하여 서보모터로 보상하는 바, 일 예로서, 30분당 약0.05mm~0.08mm 씩 연마지석이 자동 이송되도록 하여 스프링의 가공치수를 제어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제2엘리베이션(220,240)을 리니어 부싱 및 볼스크류를 사용하여 구성함으로써, 이동량 및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상, 하측에 위치하는 제1, 제2연마지석(211,231)을 동시에 위치 보상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1)는 턴테이블(120)의 회전 속도는 0.2rpm, 외경치수는 Ø1650, 1피치 이동 속도 약 5~6초 소요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때, 제1, 제2연마지석(211,231)의 회전속도는 650rpm, 외경치수는 Ø915가 되도록 하고, 연마 후 스프링 평탄도는 ±0.1내가 되도록 하며, 연마 후 스프링 직각도는 0.5° 이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압축스프링의 연마작업으로 인해 연마지석이 마모될 때, 연마지석이 마모된 만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연마 치수를 맞추어 자동 연마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스프링의 높은 정밀도와 일률적인 품질을 갖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 하부 연마지석이 마모되었을 때, 마모된 양만큼을 실시간 자동 보정되도록 함으로써, 숙련된 작업자가 필요치 않아 인건비 절감의 효과가 있고, 연마지석 조정작업시에도 연마작업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 100; 스프링공급부
110; 본체프레임 120; 턴테이블
200; 스프링가공부 210; 제1스핀들유닛
211; 제1연마지석 212; 제1회전휠
213; 제1회전축 214; 제1축하우징
215; 제1승강플레이트 216; 제1축구동부
220; 제1엘리베이션 221; 제1서보모터
222; 제1볼스크류 223; 제1너트하우징
224; 제1슬라이딩 가이드 230; 제2스핀들유닛
231; 제2연마지석 232; 제2회전휠
233; 제2회전축 234; 제2축하우징
235; 제2승강플레이트 236; 제2축구동부
240; 제2엘리베이션 241; 제2서보모터
242; 제2볼스크류 243; 제2너트하우징
244; 제2슬라이딩 가이드 300; 스프링

Claims (7)

  1. 본체프레임에 턴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턴테이블에 다수 개의 스프링이 투입되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는 스프링공급부와, 상기 스프링공급부의 이송경로에 설치되어 스프링의 상, 하 좌면을 수평면으로 가공하는 스프링가공부를 포함하는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가공부(200)는, 턴테이블(120) 상부에 위치하여 연마지석을 회전가능하게 탑재하는 제1스핀들유닛(210);
    상기 제1스핀들유닛(210)의 연마지석이 마모되는 양만큼 스프링 좌면을 향해서 하강되도록 제어하는 제1엘리베이션(220);
    턴테이블(120) 하부에 위치하여 연마지석을 회전가능하게 탑재하는 제2스핀들유닛(230); 및
    상기 제2스핀들유닛(230)의 연마지석이 마모되는 양만큼 스프링 좌면을 향해서 승강되도록 제어하는 제2엘리베이션(240);을 포함하는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핀들유닛(210)은,
    스프링 좌면에 맞닿아 스프링 표면을 연마하는 제1연마지석(211);
    상기 제1연마지석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회전휠(212);
    상기 제1회전휠(212)에 결합되는 제1회전축(213);
    상기 제1회전축(213)의 축외경에 결합되어 제1회전축(213)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1축하우징(214);
    상기 제1축하우징(214)을 결합 지지하는 제1승강플레이트(215); 및
    상기 제1승강플레이트(215)에 설치되어 제1회전축(213)을 구동시키는 제1축구동부(2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엘리베이션(220)은,
    본체프레임(110)에 마련되는 제1서보모터(221);
    상기 제1서보모터(221)에 의해 회전하는 제1볼스크류(222); 및
    상기 제1승강플레이트(215) 측에 결합되고, 나선 축 결합되는 제1볼스크류(222)의 회전에 의해 제1승강플레이트(215)와 함께 회전축방향으로 승하강 이동되는 제1너트하우징(2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110)과 제1승강플레이트(215) 사이에 복수 개의 제1슬라이딩 가이드(224)를 설치하여 제1승강플레이트(215)의 승하강시 흔들림이 가이드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핀들유닛(230)은,
    스프링 좌면에 맞닿아 스프링 표면을 연마하는 제2연마지석(231);
    상기 제2연마지석(231)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회전휠(232);
    상기 제2회전휠(232)에 결합되는 제2회전축(233);
    상기 제2회전축(233)의 축외경에 결합되어 제2회전축(233)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2축하우징(234);
    상기 제2축하우징(234)을 결합 지지하는 제2승강플레이트(235); 및
    상기 제2승강플레이트(235)에 설치되어 제2회전축(233)을 구동시키는 제2축구동부(2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엘리베이션(240)은,
    본체프레임(110)에 마련되는 제2서보모터(241);
    상기 제2서보모터(241)에 의해 회전하는 제2볼스크류(242); 및
    상기 제2승강플레이트(235) 측에 결합되고, 나선 축 결합되는 제2볼스크류(242)의 회전에 의해 제2승강플레이트(235)와 함께 회전축방향으로 승하강 이동되는 제2너트하우징(2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110)과 제2승강플레이트(235) 사이에 복수 개의 제2슬라이딩 가이드(244)를 설치하여 제2승강플레이트(235)의 승하강시 흔들림이 가이드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
KR1020210086210A 2021-07-01 2021-07-01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 KR202300054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210A KR20230005466A (ko) 2021-07-01 2021-07-01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210A KR20230005466A (ko) 2021-07-01 2021-07-01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466A true KR20230005466A (ko) 2023-01-10

Family

ID=84893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210A KR20230005466A (ko) 2021-07-01 2021-07-01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546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145B1 (ko) 2012-11-16 2013-05-15 대원강업주식회사 압축선스프링 연마장치 및 연마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145B1 (ko) 2012-11-16 2013-05-15 대원강업주식회사 압축선스프링 연마장치 및 연마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16590A (ko) 경질 웨이퍼의 연삭 방법
US6419443B2 (en) Glass product machining apparatus
KR101809956B1 (ko) 평행되고 대향되게 장착되는 2개의 지석들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는 연속 압축 선스프링 연마장치
KR102507675B1 (ko) 웨이퍼의 가공 방법
KR20220066627A (ko) 파이프용 용접비드 연마 장치
JP7002287B2 (ja) ドレッシング用ウェーハ及びドレッシング方法
KR20230005466A (ko) 스프링 무인자동 연마장치
CN117020856A (zh) 自动磨抛机
JPH09262747A (ja) 高脆性材の両面研削装置
JP4885548B2 (ja) ウェーハの研磨方法
CN113523919B (zh) 一种修磨质量稳定、效率高的轴承外圆修磨器
JP7405563B2 (ja) クリープフィード研削方法及び研削装置
US4837979A (en) Polishing device
JP2000263414A (ja) 自動研磨装置
JP4486898B2 (ja) 研削方法及び研削装置
CN109551343A (zh) 全自动连续抛光机
JP2001121392A (ja) ガラス物品の加工仕上げ装置
CN117020840B (zh) 一种蜗杆机的蜗壳内壁精整装置
JP4485643B2 (ja) 研磨装置及び被研磨材の研磨方法
CN202367588U (zh) 研磨垫调整装置
KR100423358B1 (ko) 아이들 롤러 조절장치를 구비한 폴리싱머신
US1091407A (en) Grinding-machine.
KR20160070369A (ko) 기판 폴리싱장치 및 방법
JP2022072120A (ja) ウェーハの研削方法
JP2005305609A (ja) ラップ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