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4094A - 복수개의 광원을 하나의 동기 검출 센서로 처리하는 레이저 스캐닝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개의 광원을 하나의 동기 검출 센서로 처리하는 레이저 스캐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4094A
KR20230004094A KR1020210085933A KR20210085933A KR20230004094A KR 20230004094 A KR20230004094 A KR 20230004094A KR 1020210085933 A KR1020210085933 A KR 1020210085933A KR 20210085933 A KR20210085933 A KR 20210085933A KR 20230004094 A KR20230004094 A KR 20230004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detection sensor
lens
e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환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10085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4094A/ko
Priority to PCT/US2022/017703 priority patent/WO2023277972A1/en
Publication of KR20230004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40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36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 G03G15/04045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for exposing image information provided otherwise than by direct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to the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e.g. digital copiers
    • G03G15/04072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for exposing image information provided otherwise than by direct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to the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e.g. digital copiers by las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9Details of projection optic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4Arrangements for exposing and producing an image
    • G03G2215/0402Exposure devices
    • G03G2215/0404Las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제1 직선 상에 나란히 배치되어, 제1 직선에 수직하는 방향을 향해 제1 광 및 제2 광을 각각 방출하도록 구성된 제1 광원 및 제2 광원; 방출된 제1 광 및 제2 광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동기 검출 센서; 및 방출된 제1 광 및 제2 광이 하나의 동기 검출 센서에 도달하게 하기 위해, 방출된 제1 광 및 제2 광의 광 경로를 변경하도록 구성된 렌즈;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복수개의 광원을 하나의 동기 검출 센서로 처리하는 레이저 스캐닝 장치 {LASER SCANNING UNIT FOR PROCESSING MULTIPLE BEAMS WITH SINGLE SYNCHRONIZATION DETECTION SENSOR}
레이저 프린터와 같은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는 광 주사 장치를 이용하여 감광 드럼에 광빔을 주사하여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형성된 정전 잠상을 토너로 현상하고, 현상된 토너상(toner image)를 인쇄매체에 전사하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광 주사 장치는 광빔을 감광 드럼에 주사하기 위하여 회전 다면경을 이용할 수 있다.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는, 회전 다면경을 이용하여 흑색(K), 시안(C), 마젠타(M), 엘로우(Y)의 색상에 대응되는 4개의 광빔을 주사할 수 있다.
광 주사 장치가 감광 드럼에 광빔을 정확한 타이밍으로 주사하기 위하여, 주사되는 광빔의 수평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동기 신호 검출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칼라 화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광 주사 장치는, 회전 다면경을 이용하여 복수의 광빔들을 주사할 수 있고, 회전 다면경의 중심으로 기준으로 광빔들이 좌우 대칭되게 입사되도록 광원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동기 신호 검출 장치는 빔 검출 센서를 사용하여 수평 동기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수평 동기 신호는 비디오 컨트롤러(Printer Video Controller: PVC)에 전달될 수 있다. 비디오 컨트롤러는 전달된 수평 동기 신호를 기준으로 비디오 데이터를 광 주사 장치내의 광원 구동부(Laser Diode Driver: LDD)에 전송하고, 광원 구동부는 그에 따라 광원을 제어하여 광빔이 출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광 주사 장치 및 프린터 제어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의 광원들, 렌즈, 및 동기 검출 센서의 배치(configuration)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신호 처리부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수평 동기 신호 처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수평 동기 신호 처리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광원들의 배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광 주사 장치 및 프린터 제어부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일 예의 흐름도이다.
도 9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상 형성 장치"는 프린터(printer), 스캐너(scanner), 팩스기(fax machine),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는 2D 화상 형성 장치, 또는 3D 화상 형성 장치일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작업"은 인쇄, 복사, 스캔, 팩스, 저장, 전송, 코팅 등과 관련된 작업일 수 있고, 상기 작업 중 둘 이상을 조합한 작업일 수 있다.
"주주사 방향"은 피주사면(도 1의 180) 상에서 주사선이 그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주주사 방향은 회전 다면경(도 1의 150)에 의해 편향되어 피주사면(180)에 결상되는 광빔(도 1의 L1, L2)의 스폿이 피주사면(180) 상에서 진행하는 방향이다. 광빔(L1, L2)의 광경로는 반사미러와 같은 광경로 변경부재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주주사 방향은 광경로가 변경됨에 따라 바뀔 수 있다. 광빔(L1, L2)의 광경로 상에서 주주사 방향은 상기 피주사면 상에서의 주주사 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광경로 변경부재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피주사면상에서의 주사선의 방향과 같다. "부주사 방향"은 회전 다면경(150)에 의해 편향되는 광빔(L1, L2)의 진행 방향, 예를 들어, 광 경로와 주주사 방향에 동시에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광빔(L1, L2)의 광경로는 반사미러와 같은 광경로 변경부재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므로, 부주사 방향은 광경로가 변경됨에 따라 바뀔 수 있다. 광경로 변경부재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부주사 방향은 회전 다면경(150)의 회전축 방향과 같다. 한편, 주주사 단면은 광빔의 진행 방향와 주주사 방향이 동시에 놓이는 평면으로 정의되며, 회전 다면경(150)에 의해 편향 주사되는 광빔이 휩쓰는 평면이다. 부주사 단면은 주주사 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정의된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광 주사 장치 및 프린터 제어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의 광 주사 장치(100)는, 주주사 단면에서 본 광학적 배치로서 도시되며, 편의상 결상광학계(170)는 광경로가 접히지 않는 상태로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는 광 주사 장치(100)와, 광 주사 장치(100)를 제어하는 프린터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주사 장치(100)는 레이저 스캐너 유닛(laser scanner unit; LSU)으로 지칭될 수 있다.
광 주사 장치(100)는 광원들(110a, 110b), 동기 검출 센서(160), 및 렌즈(165)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더 많거나 더 적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주사 장치(100)는 회전 다면경(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다면경(150)은 광빔(L1, L2)을 피주사면(180)에 주주사 방향으로 편향하여 주사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회전 다면경(150)은 6개의 반사면들을 갖는 다면경(polygon mirror)으로서, 스핀들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에 의해 일정 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 다면경(1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159)으로 회전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본 개시는 회전 다면경(150)의 반사면이 6개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회전 다면경(150)은 4개, 5개, 혹은 7개 이상의 반사면을 가질 수도 있다.
광원들(110a, 110b), 동기 검출 센서(160), 및 렌즈(165)의 배치(configuration)를 설명하기 위해 도 2를 더 참조한다.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의 광원들(110a, 110b), 동기 검출 센서(160), 및 렌즈(165)의 배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광원들(110a, 110b)은 각각 광빔(L1, L2)을 방출할 수 있다. 광원들(110a, 110b)은, 레이저빔을 방출하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일 수 있다. 광원들(110a, 110b)이 실장되는 회로기판(도 2의 130)에는 광원 구동부(Laser Diode Driver: LDD)(190)가 실장되어 있을 수 있고, 광 파워 조정을 위한 가변저항들을 구성하는 회로소자들이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 광원 구동부(190)는 광원들(110a, 110b)를 온/오프 구동하며, 비디오 데이터에 따라 광원들(110a, 110b)에서 출력된 광빔들(L1, L2)은 피주사면(180)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주사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원들(110a, 110b)은 각각 제1 광원(110a) 및 제2 광원(110b)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광원(110a) 및 제2 광원(110b)은, 회전 다면경(150)의 일 면을 향해 제1 광빔(L1) 및 광빔(L2)을 주사하도록, 세로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광원(110a) 및 제2 광원(110b)은 부주사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주사 평면 상에서 제1 광원(110a) 및 제2 광원(110b)은 서로 겹쳐져 보일 수 있다. 나아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원(110a) 및 제2 광원(110b)으로부터 각각 방출되어 회전 다면경(150)에 각각 입사되는 광빔들(L1, L2)은, 회전 다면경(150)의 일 반사면에 부주사 방향으로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 입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광빔들(L1, L2)은, 회전 다면경(150)의 일 반사면에 평행 입사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광원들(110a, 110b)과 회전 다면경(150) 사이의 광빔들(L1, L2)의 광경로 상에는 입사광학계가 마련될 수 있다. 입사광학계는 콜리메이팅 렌즈(collimating lens)(120) 및 실린드리컬 렌즈(cylindrical lens)(14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입사광학계는 콜리메이팅 렌즈(120)와 실린드리컬 렌즈(140) 사이에 배치되는 슬릿(sli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콜리메이팅 렌즈(120), 슬릿, 및 실린드리컬 렌즈(140) 중 일부는 생략되거나 다른 광학부품과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콜리메이팅 렌즈(120)는 광원들(110a, 110b)으로부터의 광빔들(L1, L2)을 평행광 혹은 수렴광으로 만들어 주는 집광 렌즈이다. 콜리메이팅 렌즈(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들(110a, 110b)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콜리메이팅 렌즈(120a, 120b)로 구현될 수도 있다. 슬릿은 광빔들(L1, L2)의 직경과 형상을 조절하는 개구(aperture)이다. 실린드리컬 렌즈(140)는 광빔들(L1, L2)을 주주사방향 및/또는 부주사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집속시킴으로써, 광빔들(L1, L2)을 회전 다면경(150)의 반사면에 선형으로 결상시키는 왜상 렌즈(anamorphic lens)이다. 광빔들(L1, L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주사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서로 인접하여 회전 다면경(150)으로 입사될 수 있으므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빔들(L1, L2)에 대해 하나의 실린드리켈 렌즈(140)가 공용될 수 있다. 실린드리컬 렌즈(140)는, 광원들(110a, 110b)로부터 방출되는 광들(L1, L2)의 광 경로 상에 개별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동기 검출 센서(160)는, 예를 들어, 광검출기(photodetector), 포토 다이오드, 포토 센서 IC일 수 있다. 동기 검출 센서(160)는 회전 다면경(150)에서 주사되는 광빔들(L1, L2)의 일 주사 주기의 시작단을 검출하도록, 회전 다면경(150)의 일 반사면에서 반사되는 광빔들(L1, L2)의 일 주사 구간의 시작단 직전의 광빔들, 예를 들어, 동기 검출용 광빔들(L1', L2')이 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동기 검출 센서(160)에 검출되는 동기 검출용 광빔들)(L1', L2')은 광빔들(L1, L2)의 주사 시작을 의미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로 변환될 수 있다. 동기 검출 센서(160)에서 검출되는 동기 신호는 프린터 제어부(200)에게 전달될 수 있다. 동기 신호는, 광원들(110a, 110b)의 발광 타이밍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어, 화상을 보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 검출 센서(160)가 설치되는 회로기판과, 광원들(110a, 110b)이 설치되는 회로기판은 분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동기 검출 센서(160)와, 광원들(110a, 110b)이 함께 하나의 회로기판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들(110a, 110b)에 대해 단일의 동기 검출 센서(160)를 사용하기 위해, 동기 검출 센서(160)와 회전 다면경(150) 사이에, 동기 검출용 광빔들(L1', L2')을 동기 검출 센서(160)에 집속하게 하는 렌즈(165)가 배치될 수 있다. 렌즈(165)는, 세로로 나란히 배치된 광원들(110a, 110b)로부터 방출되는 광빔들(L1', L2')을 한 점으로 집속시키도록 구성된 렌즈(165)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165)는 볼록렌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165)는 볼록렌즈와 오목렌즈가 결합된 렌즈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65)를 통과한 광빔들(L1', L2')이 집속되는 지점에, 동기 검출 센서(160)가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동기 검출 센서(160)는, 광빔들(L1', L2')의 광 경로들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 검출 센서(160)는, 광빔들(L1', L2')의 광 경로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 검출 센서(160)는, 광빔들(L1', L2')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한, 도 2에 도시된 것보다 렌즈(165)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들(110a, 110b)의 중간 지점, 동기 검출 센서(160)의 중심, 및 렌즈(165)의 중심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동기 검출 센서(160)는, 회로 기판(130)을 기준으로 광원들(110a, 110b)로부터 연장되는 두 직선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의 두께는, 회로 기판(130)을 기준으로 광원들(110a, 110b)의 중간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직선과 중첩되는 부분이, 회로 기판(130)을 기준으로 광원들(110a, 110b)로부터 연장되는 두 직선들과 중첩되는 부분들 각각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회로 기판(130)을 기준으로 광원들(110a, 110b)로부터 연장되는 두 직선들과 중첩되는 렌즈두께들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들(110a, 110b)에 대해 단일의 동기 검출 센서(160)가 사용될 수 있다. 광원들(110a, 110b)에 대해 단일의 동기 검출 센서(160)를 사용하기 위해, 광원들(110a, 110b)의 발광 타이밍이 제어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할 것이다.
한편, 광원들(110a, 110b) 각각에 대응하는 2개의 동기 검출 센서들이 이용될 수도 있으나, 이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조 원가를 증가시킬 수 있다. 광원들(110a, 110b) 각각에 대응하는 2개의 동기 검출 센서들이 이용되는 경우, 2개의 동기 검출 센서들 각각에 대해 동기 검출용 광빔들(L1', L2')을 집속시키기 위한 2개의 렌즈들로 인해, 화상 형성 장치의 제조 원가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광원들(110a, 110b)에 대해 하나의 동기 검출 센서(160)를 사용함으로써, 이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조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한편, 광원들(110a, 110b) 중 하나에 대해서만 동기 검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광원(110a)에 대해서만 하나의 동기 검출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나, 회전 다면경(150)의 반사면은 이상적이지 않고, 반사면의 가공 오차에 의해, 다른 광원(110b)에 대한 동기 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x-방향 쉬프트(shift)에 의한 무아레(Moire) 등을 발생시켜 출력 화상을 열화시킬 수 있다. 세로로 나란히 배치된 광원들(110a, 110b)로부터 방출된 각각 광빔들(L1', L2')이 회전 다면경(150)의 동일 반사면에 주사되더라도, 광원들(110a, 110b)의 방출 방향이나 회전 다면경(150)의 반사면에 편차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하나의 광원(110a)에 대해서만 하나의 동기 검출 센서가 사용되면, 다른 광원(110a)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해당 광원(110b)에 대한 동기 검출 센서의 부재로 인해, 화상을 출력하기 전에는 사용자 입장에서 해당 광원(110b)의 문제를 인식할 수 없다.
본 개시의 광 주사 장치(100)는 광원들(110a, 110b)에 대해 단일의 동기 검출 센서(160)를 사용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의 제조 원가가 절감되고 화상 열화가 억제될 수 있다. 광원들(110a, 110b)에 대해 단일의 동기 검출 센서(160)를 사용하기 위해, 광원들(110a, 110b)의 발광 타이밍이 제어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회전 다면경(150)과 피주사면(180) 사이에는 결상광학계(170)가 마련될 수 있다. 결상광학계(170)는 회전 다면경(150)에 의해 편향되는 광빔(L1, L2)이 각각 피주사면(180)에 결상되게 하는 제1 및 제2 결상렌즈(171, 17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빔들(L1, L2)은 회전 다면경(150)의 근방에서 서로 인접하므로, 제1 결상렌즈(171) 및 제2 결상렌즈(172)는 회전 다면경(150)에 의해 반사되는 광빔들(L1, L2)에 대해 공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결상렌즈(171) 및 제2 결상렌즈(172)는, 광원들(110a, 110b)로부터 방출되는 광들(L1, L2)의 광 경로 상에 개별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결상렌즈들 및 복수의 제2 결상렌즈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결상렌즈(171, 172)는 수렴 기능과 fθ특성을 갖는 fθ렌즈일 수 있다. 회전 다면경(150)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1 결상렌즈(171)는 부주사 방향으로의 굴절력이 거의 영(0)이 되고, 회전 다면경(150)에 상대적으로 먼 제2 결상렌즈(172)는 부주사 방향으로 양의 굴절력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1은, 2매의 렌즈가 배치된 결상광학계(170)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일 뿐이며, 결상광학계(170)의 광학적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가령, 결상광학계(170)는 1매 또는 3매 이상의 렌즈가 배치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광 주사 장치(100)를 소형화하며, 광 주사 장치(100)에서 주사되는 광빔(L1, L2)을 소정 방향으로 주사하기 위하여, 반사부재들(미도시)은 결상광학계(170)내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신호 처리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린터 제어부(200)는 프로세서(210)와 메모리(220)를 포함한다. 프린터 제어부(200)는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처리부로부터 입력 데이터(input data), 예를 들어, 비트맵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비트맵 데이터에 기초하여 용지에 화상을 형성한다. 프린터 제어부(200)는, 광주사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린터 제어부(200)의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광주사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화상 형성 장치의 메인 보드내의 중앙 연산 장치(CPU)이거나 하이퍼 프린트 비디오 컨트롤러(Hyper Print Video Controller; HPVC)일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동기검출 센서(160)로부터 전송된 동기신호들(Hsync1, Hsync2)을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기신호들(Hsync1, Hsync2)은 각각 광원들(도 1 및 도 2의 110a, 110b)로부터 방출된 광빔들(L1', L2')에 기초하여, 동기검출 센서(16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동기검출 센서(160)는, 광원들(도 1 및 도 2의 110a, 110b)로부터 방출된 광빔들(L1', L2') 각각에 기초하여, 동기신호들(Hsync1, Hsync2)을 검출할 수 있다. 동기신호들(Hsync1, Hsync2)의 비교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할 것이다.
광원들(110a, 110b)로부터 방출된 광빔들(L1', L2')에 기초하여, 유효한 동기신호들(Hsync1, Hsync2)이 생성될 수 있도록, 광원들(110a, 110b)은 교번하여 발광될 수 있다. 광원들(110a, 110b)이 교번하여 발광함으로써, 하나의 동기검출 센서(160)에서 생성되는 동기신호들(Hsync1, Hsync2)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광원들(110a, 110b)이 교번하여 발광하므로, 비디오 컨트롤러(220)의 화상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동안, 동기 검출이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입력으로 인한 초기화, 절전모드에서 일반모드로 변경되는 초기화 구간, 프리프린팅(pre-printing) 구간, 애프터프린팅(after-printing) 구간, 또는 인쇄 작업들 간 휴지기 등, 화상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동안에, 동기신호들(Hsync1, Hsync2)이 검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단일의 동기검출 센서(160)만을 이용하더라도, 광원들(110a, 110b) 각각으로부터 방출된 광빔들(L1', L2')에 기초하여 동기신호들(Hsync1, Hsync2)이 검출되므로, 화상 형성 장치는, 두 광원들(110a, 110b) 중 어느 하나의 광원에 대해 발생한 문제를 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는, 두 광원들(110a, 110b) 중 어느 하나의 광원에 대한 동기신호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 해당 광원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에 디스플레이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 화상 형성 장치는, 광원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해당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는, 광원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화상 형성 장치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동기신호들(Hsync1, Hsync2)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화상을 처리하는 방법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수평 동기 신호 처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수평 동기 신호 처리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광원들(110a, 110b)은 소정 주기에 따라 교번하여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들(110a, 110b)은 회전 다면경(150)의 회전 주기에 따라 교번하여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110a)이 회전 다면경(150)의 소정 횟수의 회전 주기 동안 켜지는 동안 다른 광원(110b)은 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110a)이 회전 다면경(150)의 1회 회전 주기 (T) 동안 켜지는 동안 다른 광원(110b)은 꺼질 수 있다. 광원들(110a, 110b)은 교번하여 발광하는 것을 소정 횟수만큼 반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들(110a, 110b)은 교번하여 발광하는 것을, 회전 다면경(150)이 10회 회전하는 동안 반복할 수 있다. 광원(110a)이 켜졌다 꺼진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다른 광원(110b)이 켜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소정의 시간 동안에 광원들(110a, 110b)은 모두 꺼진 상태일 수 있고, 해당 소정의 시간은 회전 다면경(150)의 소정 횟수의 회전 주기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해당 소정의 시간은 회전 다면경(150)의 1회 회전 주기(T)와 동일할 수 있다.
도 4는 광원들(110a, 110b)의 동기신호들 간 오프셋값이, 회전 다면경(150)의 반사면들에서 모두 동일한 예를 도시한다.
프로세서(210)는, 광원들(110a, 110b)의 동기신호들을 비교하여, 오프셋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광원(110b)의 동기신호는, 다른 광원(110a)의 동기신호보다 "a"만큼 지연된 오프셋값을 갖는다. 회전 다면경(150)의 모든 반사면들을 기준으로, 일 광원(110b)의 동기신호가 다른 광원(110a)의 동기신호보다 "a"만큼 지연된 오프셋값을 가지는 경우, 비디오 컨트롤러(220)는 해당 오프셋값을 보상하기 위해 광원 구동부(190)를 제어하여, 광원(110a)의 발광 타이밍을 "a"만큼 지연시키거나, 광원(110b)의 발광 타이밍을 "a"만큼 앞당길 수 있다. 이로써, 광원들(110a, 110b)로부터의 광빔들이 피주사면에 동시적으로 결상될 수 있다.
동기신호들의 비교 결과는 메모리(220)에 저장되어, 이후의 인쇄 작업에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광원들(110a, 110b)의 동기신호들 간 오프셋값이, 회전 다면경(150)의 반사면에 따라 상이한 예를 도시한다.
프로세서(210)는, 광원들(110a, 110b)의 동기신호들을 비교하여, 오프셋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광원(110b)의 동기신호는, 다른 광원(110a)의 동기신호에 비해, 회전 다면경(150)의 1회 회전 주기(T)의 3/6T 구간에서 "a"만큼 지연된 오프셋값을 가지고, 회전 다면경(150)의 1회 회전 주기(T)의 5/6T 구간에서 "b"만큼 지연된 오프셋값을 갖는다. 프린터 제어부(200)는 광원 구동부(190)를 제어하여, 회전 다면경(150)의 1회 회전 주기(T)의 3/6T 구간에서 광원(110a)의 발광 타이밍을 "a"만큼 지연시키거나 광원(110b)의 발광 타이밍을 "a"만큼 앞당길 수 있다. 프린터 제어부(200)는 해당 오프셋값들을 보상하기 위해 광원 구동부(190)를 제어하여, 회전 다면경(150)의 1회 회전 주기(T)의 5/6T 구간에서 광원(110a)의 발광 타이밍을 "b"만큼 지연시키거나 광원(110b)의 발광 타이밍을 "b"만큼 앞당길 수 있다. 이로써, 회전 다면경(150)의 일부 반사면 또는 일부 광원에서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광원들(110a, 110b)로부터의 광빔들이 피주사면에 동시적으로 결상될 수 있다.
광원들(110a, 110b)의 동기신호들 간 오프셋값이, 회전 다면경(150)의 반사면에 따라 상이할 경우, 인쇄 작업 단위 또는 프린터 제어부(200)의 LSU 모터 준비완료(motor ready on) 신호를 기준으로 동기신호의 검출, 비교, 및 비교결과 저장이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광원들의 배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광 주사 장치 및 프린터 제어부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광 주사 장치(100')는, 전술된 광원들(110a, 110b)에 더하여, 다른 광원들(110c, 110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광원들(110a, 110b)은, 회전 다면경(150)의 일 측을 향해 각각 제1 광(L1) 및 제2 광빔(L2)을 주사하도록 배치되고, 다른 광원들(110c, 110d)은, 회전 다면경(150)의 다른 일 측을 향해 각각 제3 광(L3) 및 제4 광빔(L4)을 주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광원(110a)으로부터 유래하는 제1 광(L1)은 광 경로가 변경된 이후에도 계속 제1 광(L1)으로 지칭되며, 제2, 제3, 및 제4 광(L2, L3, L4) 또한 광 경로가 변경된 이후에도 계속 제2, 제3, 및 제4 광(L2, L3, L4)로 지칭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광원들(110a, 110b)은 회로기판(130')에서 세로로 나란히 배치되고, 다른 광원들(110c, 110d) 또한 회로기판(130')에서 세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한 쌍의 광원들(110a, 110b) 및 다른 한 쌍의 광원들(110c, 110d)은 회로기판(130')에서 가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광원들(110a, 110b)의 중간 지점, 동기 검출 센서(160a)의 중심, 및 렌즈(165a)의 중심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광원들(110c, 110d)의 중간 지점, 동기 검출 센서(160b)의 중심, 및 렌즈(165b)의 중심 또한 해당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들(110a, 110b)이 위치하는 직선과, 다른 광원들(110c, 110d)이 위치하는 직선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도 7에서, 동기 검출 센서들(160a, 160b)이 상이한 평면에 위치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 경로를 변경할 수 있는 미러를 이용함으로써, 동기 검출 센서들(160a, 160b)이 동일한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 검출 센서들(160a, 160b)이 동일한 회로 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 검출 센서들(160a, 160b)과 광원들(110a, 110b, 110c, 110d)이 동일한 회로 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경로를 변경할 수 있는 미러는, 렌즈(165b)와 일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일 예의 흐름도이다.
블록 810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광들을 교번하여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로 나란히 배치된 2개의 광원들(110a, 110b)을 제어하여, 회전 다면경(150)의 일 측을 향해 제1 및 제2 광(L1, L2)을 교번하여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광원들(110a, 110b)을 제어하여, 회전 다면경(150)의 일 측을 향해 제1 및 제2 광(L1, L2)을 교번하여 방출하고, 해당 한 쌍의 광원들(110a, 110b)과 가로로 나란히 배치된 다른 한 쌍의 광원들(110c, 110d)을 제어하여, 회전 다면경(150)의 다른 일 측을 향해 제3 및 제4 광(L3, L4)을 교번하여 방출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3 광(L1, L3)을 방출하는 광원들(110a, 110c)이 가로로 나란히 배치되고, 제2 및 제4 광(L2, L4)을 방출하는 광원들(110b, 110d)이 가로로 나란히 배치되어, 제1 및 제3 광(L1, L3)이 켜질 때, 제2 및 제4 광(L2, L4)은 꺼질 수 있고, 제2 및 제4 광(L2, L4)이 켜질 때 제1 및 제3 광(L1, L3)이 꺼질 수 있다. 제1 및 제2 광(L1, L2)과 제3 및 제4 광(L3, L4)은 회전 다면경(150)의 회전 주기를 기준으로 교번하여 방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3 광(L1, L3)이 회전 다면경(150)의 1회 회전 주기 동안 방출되고, 제2 및 제4 광(L2, L4)은 회전 다면경(150)의 다른 1회 회전 주기 동안 방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4 광(L1, L4)이 함께 방출되고, 제2 및 제3 광(L2, L3)이 함께 방출되거나, 제1 광(L1)이 제3 또는 제4 광(L3 또는 L4)과 중첩되는 기간 동안 함께 방출될 수 있다.
블록 820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교번하여 방출되는 광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 검출 센서(160)를 통해 광들(L1, L2)을 수신할 수 있다. 세로로 나란히 배치된 2개의 광원들(110a, 110b)로부터 교번하여 방출되는 제1 및 제2 광(L1, L2)이, 단일의 동기 검출 센서(160)에 수신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광(L1, L2)이 단일의 동기 검출 센서(160)에 수신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광(L1, L2)의 광 경로 상에 렌즈(165)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동기 검출 센서(160a)를 통해, 세로로 나란히 배치된 2개의 광원들(110a, 110b)로부터 교번하여 방출되는 제1 및 제2 광(L1, L2)을 수신하고, 다른 하나의 동기 검출 센서(160b)를 통해, 세로로 나란히 배치된 다른 2개의 광원들(110c, 110d)로부터 교번하여 방출되는 제3 및 제4 광(L3, L4)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및 제3 광(L1, L3)이 회전 다면경(150)의 1회 회전 주기 동안 수신되고, 제2 및 제4 광(L2, L4)은 회전 다면경(150)의 다른 1회 회전 주기 동안 수신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제2, 제3, 및 제4 광(L1, L2, L3, L4)의 수신 주기는, 제1, 제2, 제3, 및 제4 광(L1, L2, L3, L4)의 발광 주기에 대응할 수 있다.
블록 830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수신된 광들에 기초하여 동기신호들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로 나란히 배치된 2개의 광원들(110a, 110b)로부터 수신되는 광들에 기초하여, 하나의 동기 검출 센서(160)를 통해 제1 및 제2 동기신호들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로 나란히 배치된 2개의 광원들(110a, 110b)로부터 수신되는 광들에 기초하여 하나의 동기 검출 센서(160a)를 통해 제1 및 제2 동기신호들을 검출하고, 세로로 나란히 배치된 다른 2개의 광원들(110c, 110d)로부터 수신되는 광들에 기초하여 다른 하나의 동기 검출 센서(160b)를 통해 제3 및 제4 동기신호들을 검출할 수 있다.
동기신호들 간의 오프셋값을 계산하는 방법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블록 840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검출된 동기신호들에 기초하여 광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된 제1 및 제2 동기신호들에 기초하여, 2개의 광원들(110a, 110b)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된 제1 및 제2 동기신호들에 기초하여, 2개의 광원들(110a, 110b)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 타이밍을 제어하고, 검출된 제3 및 제4 동기신호들에 기초하여, 다른 2개의 광원들(110c, 110d)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표현된 요소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방식을 포괄하고, 이러한 요소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요소들의 조합, 또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수행하기 위해 적합한 회로와 결합된,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들을 교번하여 발광시키거나, 동기 검출 센서에서 수신된 광들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동기 신호들에 기초하여 광원들 간의 오프셋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오프셋값을 보상하여 인쇄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들은, 회로 요소들의 조합, 또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수행하기 위해 적합한 회로와 결합된,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하드웨어 모듈들은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 모듈은 특별히-디자인된 영구 회로 또는 로직 구성 (예를 들어, FPGA 또는 ASIC 전용 프로세서) 을 포함하고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하드웨어 모듈은 또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구성 또는 일시적으로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성된 회로 (예를 들어, 범용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를 포함함) 를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에 소정의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터, 팩시밀리, 복사기, 복합기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도 9의 화상 형성 장치는 광 주사 장치(100), 프린터 제어부(200), 현상장치(300), 전사장치(400), 및 정착장치(500)를 구비한다.
컬러화상을 인쇄하기 위하여, 광 주사 장치(100)는 흑색(K), 시안(C), 마젠타(M), 엘로우(Y)의 색상에 대응되게 4개의 광빔을 주사할 수 있다.
현상장치(3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흑색(K), 시안(C), 마젠타(M), 엘로우(Y)의 색상별로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현상장치들(300)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화상수용체인 감광드럼(31)과 정전잠상을 현상시키기 위한 현상롤러(32)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감광드럼(31)은 감광체의 일 예로서, 원통형 금속 파이프의 외주면에 소정 두께의 감광층이 형성될 수 있고, 감광체로서 벨트 형태의 감광 벨트가 채용될 수도 있다. 감광드럼(31)의 외주면은 피노광면(도 1의 180)에 해당한다. 감광드럼(31)의 외주면에서 광 주사 장치(100)에 의해 노광되는 위치의 상류측에는 대전 롤러(33)가 마련될 수 있다. 대전 롤러(33)는 감광드럼(31)에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그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 롤러(33)에는 대전바이어스가 인가될 수 있고, 대전 롤러(33) 대신에 코로나 대전기(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다.
현상롤러(32)는 그 외주에 토너를 부착시켜 감광드럼(31)으로 공급할 수 있다. 현상롤러(32)에는 토너를 감광드럼(31)으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될 수 있고, 현상장치들(300)에는 그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현상롤러(32)로 부착시키는 공급롤러, 현상롤러(32)에 부착된 토너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수단, 그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공급롤러 및/또는 현상롤러(32) 쪽을 이송시키는 교반기 등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전사장치(400)는 용지반송벨트(41)와 4개의 전사롤러(42)를 포함할 수 있다. 용지반송벨트(41)는 현상장치(300)의 외부로 노출된 감광드럼(31)의 외주면과 대면된다. 용지반송벨트(41)는 다수의 지지롤러들(43, 44, 45, 46)에 의해 지지되어 순환주행된다. 4개의 전사롤러(42)는 용지반송벨트(41)를 사이에 두고 각 현상장치(300)의 감광드럼(31)과 대면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전사롤러(42)에는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될 수 있다.
현상장치(300)의 감광드럼(31) 각각은 대전롤러(23)에 인가된 대전바이어스에 의하여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광 주사 장치(100)가 시안, 마젠타, 옐로우, 블랙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4개의 광을 현상장치(300)의 각 감광드럼(31)으로 주사함으로써, 정전잠상이 형성될 수 있다. 현상롤러(32)에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되면, 현상롤러(32)의 외주에 부착된 토너가 정전잠상으로 부착되어 현상장치(300)의 각 감광드럼(31)에 각각 시안, 마젠타, 옐로우, 블랙 색상의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토너를 최종적으로 수용하는 매체, 예를 들면 용지(P)는 픽업롤러(61)에 의하여 카세트(60)로부터 인출된다. 용지는 이송롤러(62)에 의하여 용지반송벨트(41)로 인입된다. 용지(P)는 정전기적인 힘에 의하여 용지반송벨트(41)의 표면에 부착되어 용지반송벨트(41)의 주행 선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송된다.
예를 들면, 현상장치(300)의 일 감광드럼(31)의 외주면에 형성된 시안(C)색상의 토너화상의 선단이 전사롤러(42)와 대면된 전사닙으로 도달되는 시점에 맞추어 용지(P)의 선단이 전사닙에 도달된다. 전사롤러(42)에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되면 감광드럼(31)에 형성된 토너화상은 용지(P)로 전사된다. 용지(P)가 이송됨에 따라 현상장치(300)의 감광드럼(31)들에 형성된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의 토너화상은 순차적으로 용지(P)에 중첩 전사되어, 용지(P)에는 컬러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용지(P)에 전사된 컬러 토너화상은 정전기적인 힘에 의하여 용지(P)의 표면에 유지된다. 정착장치(500)는 열과 압력을 이용하여 컬러토너화상을 용지(P)에 정착시킨다. 정착이 완료된 용지(P)는 배출롤러(63)에 의하여 화상 형성 장치 밖으로 배출된다.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read-only memory (ROM), random-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CD-ROMs, CD-Rs, CD+Rs, CD-RWs, CD+RWs, DVD-ROMs, DVD-Rs, DVD+Rs, DVD-RWs, DVD+RWs, DVD-RAMs, BD-ROMs, BD-Rs, BD-R LTHs, BD-REs, 마그네틱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자기 데이터 저장 장치,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솔리드-스테이트 디스크(SSD), 그리고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나 컴퓨터가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나 컴퓨터에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제1 직선 상에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제1 직선에 수직하는 방향을 향해 제1 광 및 제2 광을 각각 방출하도록 구성된 제1 광원 및 제2 광원;
    상기 방출된 제1 광 및 제2 광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동기 검출 센서; 및
    상기 방출된 제1 광 및 제2 광이 상기 하나의 동기 검출 센서에 도달하게 하기 위해, 상기 방출된 제1 광 및 제2 광의 광 경로를 변경하도록 구성된 렌즈;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제1 광 및 상기 제2 광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들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동기 신호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의 발광 타이밍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제1 광 및 상기 제2 광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들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동기 신호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 간의 오프셋값을 계산하고,
    상기 오프셋값을 보상하여 인쇄 화상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및 상기 제2 광이 교번하여 방출되게끔,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광 및 상기 제2 광이 교번하여 방출되는 동안, 인쇄 화상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더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제1 광 및 상기 제2 광을 상기 하나의 동기 검출 센서에 집속시키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제1 광 및 상기 제2 광을 한 점에 집속시키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과 상기 제2 광원의 중간 지점, 상기 하나의 동기 검출 센서의 중심, 및 상기 렌즈의 중심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선에 수직하는 방향을 향해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두 직선들 사이에 상기 하나의 동기 검출 센서의 중심이 위치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선에 수직하는 방향을 향해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의 중간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나의 직선, 및 상기 두 직선들에 걸쳐 상기 렌즈가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직선과 중첩되는, 상기 렌즈의 제1 렌즈두께는, 상기 두 직선들과 각각 중첩되는 상기 렌즈의 제2 렌즈두께 및 제3 렌즈두께보다 더 두꺼운, 화상 형성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각각 방출되는 상기 제1 광 및 상기 제2 광을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회전 다면경; 및
    상기 회전 다면경의 회전 주기에 따라 상기 제1 광 및 상기 제2 광이 교번하여 방출되게끔,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선에 평행하는 제2 직선 상에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제2 직선에 수직하는 방향을 향해 제3 광 및 제4 광을 각각 방출하도록 구성된 제3 광원 및 제4 광원;
    상기 방출된 제3 광 및 제4 광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다른 하나의 동기 검출 센서; 및
    상기 방출된 제3 광 및 제4 광이 상기 다른 하나의 동기 검출 센서에 도달하게 하기 위해, 상기 방출된 제3 광 및 제4 광의 광 경로를 변경하도록 구성된 다른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원과 상기 제2 광원의 중간 지점, 상기 하나의 동기 검출 센서의 중심, 및 상기 렌즈의 중심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3 광원과 상기 제4 광원의 중간 지점, 상기 다른 하나의 동기 검출 센서의 중심, 및 상기 다른 렌즈의 중심은, 상기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 직선 상에 나란히 배치된 제1 광원 및 제2 광원으로부터, 상기 제1 직선에 수직하는 방향을 향해 제1 광 및 제2 광을 교번하여 방출하는 단계;
    상기 교번하여 방출되는 제1 광 및 제2 광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광 및 제2 광에 기초하여 제1 동기신호 및 제2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제1 동기신호 및 제2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광 및 상기 제2 광의 발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 직선 상에 나란히 배치된 제1 광원 및 제2 광원으로부터, 상기 제1 직선에 수직하는 방향을 향해 제1 광 및 제2 광을 교번하여 방출하고;
    상기 교번하여 방출되는 제1 광 및 제2 광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광 및 제2 광에 기초하여 제1 동기신호 및 제2 동기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제1 동기신호 및 제2 동기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광 및 상기 제2 광의 발광을 제어하게 하는, 명령어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10085933A 2021-06-30 2021-06-30 복수개의 광원을 하나의 동기 검출 센서로 처리하는 레이저 스캐닝 장치 KR2023000409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933A KR20230004094A (ko) 2021-06-30 2021-06-30 복수개의 광원을 하나의 동기 검출 센서로 처리하는 레이저 스캐닝 장치
PCT/US2022/017703 WO2023277972A1 (en) 2021-06-30 2022-02-24 Laser scanning unit for processing multiple bea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933A KR20230004094A (ko) 2021-06-30 2021-06-30 복수개의 광원을 하나의 동기 검출 센서로 처리하는 레이저 스캐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4094A true KR20230004094A (ko) 2023-01-06

Family

ID=84692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933A KR20230004094A (ko) 2021-06-30 2021-06-30 복수개의 광원을 하나의 동기 검출 센서로 처리하는 레이저 스캐닝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04094A (ko)
WO (1) WO2023277972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4900A (ja) * 1999-11-16 2001-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読み取り装置
KR100754216B1 (ko) * 2006-04-18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빔 주사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KR20140103516A (ko) * 2013-02-18 2014-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 다면경, 이를 채용한 광 주사 장치 및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77972A1 (en)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4165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122062B2 (en) Polygon mirror, light scanning unit employing the sam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4934498B2 (ja) 走査式光学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ジッター補正方法
JP2002228956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039416A (ja) 画像形成装置
KR101814121B1 (ko)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
JP2013134381A (ja) 光ビーム検出回路、光ビーム走査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008429A (ja) 画像形成装置
US20040169716A1 (en) Optical scan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230004094A (ko) 복수개의 광원을 하나의 동기 검출 센서로 처리하는 레이저 스캐닝 장치
JP4989376B2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0076817A (ja) ポリゴンミラー、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156992A (ja) 光走査装置と画像形成装置
JP4965143B2 (ja) 光走査装置・画像形成装置
JP6800696B2 (ja) 光学走査装置
JP5471999B2 (ja)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459056B2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018337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184650A (ja) 走査光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219630A (ja) 画像形成装置
JP5568538B2 (ja) 偏向部材の反射面の膜厚設定方法、偏向部材、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118214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025446A (ja) 光書込み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123797B2 (ja) 光走査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ラスチック光学素子
JP2012063625A (ja)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