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3786A - 다단 사일로 및 그를 이용한 다단 지반 보강 공법 - Google Patents

다단 사일로 및 그를 이용한 다단 지반 보강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3786A
KR20230003786A KR1020210085299A KR20210085299A KR20230003786A KR 20230003786 A KR20230003786 A KR 20230003786A KR 1020210085299 A KR1020210085299 A KR 1020210085299A KR 20210085299 A KR20210085299 A KR 20210085299A KR 20230003786 A KR20230003786 A KR 20230003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o
reinforcing material
stratum
stage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87990B1 (ko
Inventor
문경주
윤성진
서세관
조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웅
주식회사 지안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웅, 주식회사 지안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웅
Priority to KR1020210085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7990B1/ko
Publication of KR20230003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3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7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7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46Storage or weighing apparatus for supplying ingredients
    • B28C7/0053Storage containers, e.g. hoppers, silos, bins
    • B28C7/0069Storage containers, e.g. hoppers, silos, bins having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46Storage or weighing apparatus for supplying ingredients
    • B28C7/0053Storage containers, e.g. hoppers, silos, bins
    • B28C7/0076Parts or details thereof, e.g. opening, closing or unloa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28C7/0481Plant for proportioning, supplying or batching
    • B28C7/0486Plant for proportioning, supplying or batching the plant being mobi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E02D2250/0076Dril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 사일로 및 그를 이용한 다단 지반 보강 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층 시공시 그 시공 깊이나 토질에 따라 서로 다른 보강재료를 선택적으로 투입할 수 있게 하는 다단 사일로 및 그를 이용한 다단 지반 보강 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단 사일로 및 그를 이용한 다단 지반 보강 공법{MULTI-STEP SILO AND METHOD FOR MULTI-STEP REINFORCING GROUND}
본 발명은 다단 사일로 및 그를 이용한 다단 지반 보강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층 시공시 그 시공 깊이나 토질에 따라 서로 다른 보강재료를 선택적으로 투입할 수 있게 하는 다단 사일로 및 그를 이용한 다단 지반 보강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반 보강 공사 현장에서는 지층을 시공함에 따른 보강을 위해 사일로에 저장된 보강재료를 투입하고 있으며, 보강재료로서 시멘트와 같은 결합재를 물과 혼합하여 슬러리 형태로 투입한다.
일 예로, 오거 드릴로 지반을 천공한 후 PHC 말뚝을 관입하고 시멘트 밀크액을 주입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PHC 말뚝 선단과 주면에 요구되는 강도가 서로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단지 물-결합재비(W/B)만 조절해서 주입하고 있다.
또한, 도로공사 전문 시방서에는 매입 말뚝시공에 있어 '선굴착 후 최종경타공법'이나 '선굴착 후 선단근고공법(시멘트밀크공법)'시 "선단근고액의 물-시멘트비(W/C)는 70 % 이하 또는 표준일축압축강도는 20MPa 이상이어야 하며, 주면고정액은 표준일축압축강도가 490kPa(0.5MPa) 이상이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굴착공일지라도 PHC 말뚝 부위에 따라 주입하는 시멘트 밀크액의 요구 압축강도가 40배 이상 차이가 남에도 불구하고, 실제 현장에서는 하나의 사일로에 저장된 시멘트(단일 재료)를 이용하여 오직 물-시멘트비(W/C)만을 변경 후 말뚝 선단과 주면 부위 모두에 사용하여 왔다.
따라서, 기존의 지반 보강 공사 현장에서는 지층 시공 깊이에 따른 보강재료의 선택적 투입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지층별 토사 종류나 지하수위 위치가 다름에도 단일 재료를 투입하기 때문에 지반 보강 공사 현장에서 일정 재령 경과 후 시공 깊이에 따라 압축강도 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요구강도가 지층별로 상이함에도 단일재료를 투입해야 하기 때문에 상대적 높은 강도의 보강재료를 이용하여 매우 낮은 강도를 요구하는 지층까지도 고가의 고강도 보강재료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577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037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179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층별 요구 강도, 지층별 토질 상태 및 지층별 토사 함수율 상태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보강재료의 투입이 가능한 다단 사일로 및 그를 이용한 다단 지반 보강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사일로는 지층 시공시 시공 깊이에 따라 서로 다른 보강재료를 투입하도록, 제1 보강재료를 저장하는 제1 사일로와; 상기 제1 사일로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보강재료를 일측의 배출기측으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기와; 상기 제1 보강재료와 다른 제2 보강재료를 저장하는 제2 사일로; 및 상기 제2 사일로에 저장되어 있는 제2 보강재료를 일측의 배출기측으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사일로와 제2 사일로는 각각 별개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사일로의 상측에 상기 제2 사일로가 적층 조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사일로의 제1 이송기 배출단에 연결된 제1 배출기; 및 상기 제2 사일로의 제2 이송기 배출단에 연결된 제2 배출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배출기와 제2 배출기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배출기는 상기 제1 이송기보다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이송기의 배출단과 제1 배출기의 입력단 사이에는 상기 제1 보강재료를 상승 이송시키는 리프팅 이송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사일로에 의해 제공되는 제1 보강재료를 제1 혼합재와 혼합하는 제1 혼합기; 및 상기 제2 사일로에 의해 제공되는 제2 보강재료를 제2 혼합재와 혼합하는 제2 혼합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지반 보강 공법은 지층 시공시 시공 깊이에 따라 서로 다른 보강재료를 투입하도록, 제1 사일로에 제1 보강재료를 저장하는 단계; 제2 사일로에 상기 제1 보강재료와 다른 제2 보강재료를 저장하는 단계; 지층 시공 깊이에 따라 상기 제1 사일로에 설치된 제1 이송기를 작동시켜 상기 제1 보강재료를 지층에 투입하는 단계; 및 지층 시공 깊이에 따라 상기 제1 보강재료의 투입을 중단하고, 상기 제2 사일로에 설치된 제2 이송기를 작동시켜 상기 제2 보강재료를 지층에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지층별 요구 강도(하층부, 중간부, 상층부), 지층별 토질(점성토, 고유기질토, 사질토, 사력토, 산성토, 풍화토 등) 상태 및 지층별 토사 함수율 상태 등에 따라 보강재료의 선택적인 투입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지층별 요구 성능이 개선되고, 요구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한 지층 부위는 저가의 보강재료 투입에 따른 원가절감 등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사일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사일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사일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 사일로 및 그를 이용한 다단 지반 보강 공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사일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사일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사일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사일로는 지층 시공시 시공 깊이에 따라 서로 다른 보강재료를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사일로(11), 제1 이송기(12), 제2 사일로(21), 제2 이송기(22) 및 배출기(31, 32)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일로(silo)에 보강재료를 저장하였다가 지반 보강을 위해 천공시 지중에 투입하는 것으로, 제1 사일로(11)와 제2 사일로(21)를 포함하는 다단(STEP#1, STEP#2) 구조로 이루어져 각 단의 사일로(11, 21)에 저장된 서로 다른 보강재료를 환경에 맞게 선택적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건설현장 연약지반 보강공사시 시멘트와 같은 결합재를 물과 혼합하여 슬러리 형태의 밀크액을 제조하고, 오거로 굴착 또는 인발시 보강재료를 지중에 주입하여 대상 지반의 흙과 교반시킴으로써 지반을 고결시키는 중층혼합처리공법이나 심층혼합처리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때, 지층별 요구 강도(하층부, 중간부, 상층부), 지층별 토질(점성토, 고유기질토, 사질토, 사력토, 산성토, 풍화토 등) 상태 및 지층별 토사 함수율 상태 등에 따라 지층별로 서로 다른 보강재료를 선택적으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지층별 요구 성능이 개선되고, 요구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한 지층 부위는 저가의 보강재료 투입에 따른 원가절감 등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사일로(11)에는 제1 보강재료를 저장한다. 다단 구조의 사일로 중 제1 사일로(11)에 저장되는 제1 보강재료는 후술하는 제2 사일로(21)에 저장되는 제2 보강재료와 다른 것으로, 일 예로 시멘트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사일로(11)는 그 내부에 보강재료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탱크 형상으로 구성되며, 일 예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부에는 투입부, 하부에는 배출부가 구비된다.
또한, 제1 사일로(11)의 몸체에는 투입 후 수용된 보강재료의 경화나 뭉침을 방지하면서도 배출이 용이하도록 바이브레이터(Vb-1)가 설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바이브레이터(Vb-1)는 사일로 용량에 따라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제1 이송기(12)는 제1 사일로(11)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보강재료를 일측의 배출기(31)측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일 예로 제1 사일로(11)의 하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 설치된 공급 스크류(feeding screw)가 적용될 수 있다.
공급 스크류는 이송 스크류에 해당하는 것으로, 중공관 형상의 스크류 몸체 내부에 회전 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구동시 제1 이송기(12)를 통해 보강재료가 일측으로 이송된다.
다음, 제2 사일로(21)는 상기 제1 사일로(11)에 저장되는 제1 보강재료(예: 시멘트)와 다른 제2 보강재료를 저장하는 것으로, 제2 보강재료는 일 예로 순환 유동층 보일러 연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제2 사일로(21) 역시 그 내부에 보강재료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탱크 형상으로 구성되며, 일 예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부에는 투입부, 하부에는 배출부가 구비된다.
다만, 제2 사일로(21)는 제1 보강재료와 다른 제2 보강재료의 물성을 고려하여 하단측 배출부를 다수개의 부분(예: 3개)으로 분리하고 각각 제2 이송기(22)에 연결하여 재료의 특성에 따라 막힘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2 사일로(21)의 몸체에는 투입 후 수용된 보강재료의 경화나 뭉침을 방지하면서도 배출이 용이하도록 바이브레이터(Vb-2)가 설치되어 진동을 전달할 수 있으며, 바이브레이터(Vb-2)는 다수개로 분리된 부분마다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사일로(11)와 제2 사일로(21)를 서로 동일한 구조의 것을 적용하는 것보다는, 하단부가 분리된 것과 아닌 것으로 각각 설치하여, 서로 다른 제1 보강재료와 제2 보강재료의 재료 특성에 따라 택일적으로 사일로에 저장한다.
제2 이송기(22)는 제2 사일로(21)에 저장되어 있는 제2 보강재료를 일측의 배출기(31, 32)측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일 예로 제2 사일로(21)의 하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 설치된 공급 스크류가 적용될 수 있다.
공급 스크류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이송 스크류에 해당하는 것으로, 중공관 형상의 스크류 몸체 내부에 회전 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구동시 제2 이송기(22)를 통해 보강재료가 일측으로 이송된다.
한편, 위와 같은 제1 사일로(11)와 제2 사일로(21)는 각각 별개의 프레임(F1, F2)에 설치되어, 제1 사일로(11)의 상측에 제2 사일로(21)가 적층 조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층의 제1 사일로(11)와 상층의 제2 사일로(21)가 적층된 구조로 다단 사일로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사일로(11)에 저장된 제1 보강재료를 배출하는 배출기(31)와 제2 사일로(21)에 저장된 제2 보강재료를 배출하는 배출기(32)는 서로 분리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것이, 재료의 혼합이나 오염 방지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은 제1 사일로(11)의 제1 이송기(12) 배출단에 연결된 제1 배출기(31) 및 제2 사일로(21)의 제2 이송기(22) 배출단에 연결된 제2 배출기(3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배출기(31)와 제2 배출기(32)는 서로 분리 구성된다.
또한,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일로(11) 위에 제2 사일로(21) 적층 설치되는 경우, 제1 사일로(11)에 구비된 제1 배출기(31)가 사일로의 하단부 개구에 연결된 제1 이송기(12)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이송기(12)의 배출단과 제1 배출기(31)의 입력단 사이에는 제1 보강재료를 상승 이송시키는 리프팅 이송기(13)가 설치되어, 현장에 설치시 제1 배출기(31)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하여 사용 편리성 및 배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리프팅 이송기(13)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하단부는 제1 이송기(12)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제1 배출기(31)에 연결된다. 이러한 리프팅 이송기(13) 역시 수직 설치된 공급 스크류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사일로(11)와 제2 사일로(21)가 별개의 배출기(31, 32) 즉, 제1 배출기(31)와 제2 배출기(32)에 각각 연결되는 경우, 사일로(11, 21)에서 배출된 보강재료 역시 각각 별개의 혼합기(도시 생략)에 의해 물 등의 혼합재와 혼합이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 사일로(11)에 의해 제공되는 제1 보강재료를 제1 혼합재와 혼합하는 제1 혼합기 및 제2 사일로(21)에 의해 제공되는 제2 보강재료를 제2 혼합재와 혼합하는 제2 혼합기를 포함한다.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혼합기는 사일로의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어 보강재료와 혼합재(혹은 첨가재)등을 혼합시킨다.
이와 같이 제1 혼합기와 제2 혼합기에서 각각 혼합을 마친 보강재료는 최종적으로 지층 시공 깊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지중에 투입되어 대상 지반의 흙과 교반되어 지반을 고결시키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단 지반 보강 공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다단 사일로의 운영을 통해 지층 시공 깊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보강재료의 투입이 가능한 지반 보강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단 보강 공법은 지층 시공시 시공 깊이에 따라 서로 다른 보강재료를 투입하도록, 제1 사일로(11)에 제1 보강재료를 저장하는 제1 단계, 제2 사일로(21)에 제2 보강재료를 저장하는 제2 단계, 지층 시공 깊이에 따라 제1 사일로(11)의 제1 보강재료를 지층에 투입하는 제3 단계 및 지층 시공 깊이에 따라 제2 사일로(21)의 제2 보강재료를 지층에 투입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단계에서 제1 사일로(11)에 저장되는 제1 보강재료는 지중에 삽입 파일이나 말뚝의 선단을 보강하기 위한 시멘트 등이 될 수 있으며, 제2 단계의 제2 보강재료는 연소재와 같이 제1 보강재료와 다른 것이다.
또한, 제3 단계에서는 제1 사일로(11)에 설치된 제1 이송기(12)를 작동시켜 제1 보강재료를 지층에 투입하고, 제4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보강재료의 투입을 중단한 상태에서 제2 사일로(21)에 설치된 제2 이송기(22)를 작동시켜 제2 보강재료를 지층에 투입하게 된다.
또한, 제1 사일로(11)의 제1 보강재료와 제2 사일로(21)의 제2 보강재료는 지층 시공 깊이에 따라 제1 혼합기 또는 제2 혼합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혼합되고, 혼합을 마친 보강재료가 지중에 투입되어 지반 보강을 진행하게 된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지반 보강 공법은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PHC 파일) 시공시 선굴착 후 선단근고공법을 위해 선단근고액으로 이용되는 1종 시멘트를 제1 사일로(11)에 저장한다.
반면, 제2 사일로(21)에는 주면고정액 제조시 투입하기 위한 결합재로서 고로슬래그 미분말 15중량부와 함께 Free CaO 함량이 10중량% 이상이며 SO3 함량이 5중량%인 순환 유동층 보일러 연소재 85중량부로 구성된 결합재를 저장한다.
또한, 제1 사일로(11)의 시멘트는 제1 혼합기에서 물-결합재비 68%로 혼합하여 밀크액을 제조한 후 선단근고액으로 사용하고, 제2 사일로(21)의 결합재는 제2 혼합기에서 물-결합재비 83%로 혼합하여 밀크액을 제조한 후 주면고정액으로 사용한다.
도로공사 전문시방서에 따라 선단근고액은 공저에서 4d(d:말뚝안쪽지름)+1m를 먼저 주입하고, 그 이후 주면고정액은 상부 확대기초 저면(설계 지반면)까지 주입한다.
이때, 말뚝 침설 후 주면고정액의 상면 변화를 관찰하여 액면이 침강하면 유지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보충하는데 제2 사일로(21)에 사용된 주면고정액은 침강현상 발생이 거의 없어 재주입을 별도로 실시하지 않아도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밀크액을 KS F 7001에 의거하여 압축강도를 측정하면 재령 28일의 경우 선단근고액의 압축강도는 26.2MPa, 주면고정액의 압축강도는 2.5MPa를 발현한다.
따라서, 한국도로공사의 전문시방서 기준 선단근고액 20MPa, 주면고정액 0.49MPa을 모두 만족함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주면고정액의 경우 기준 보다 5배 이상을 발휘 할 수 있다.
비교예로서, 종래의 방식에 따라 PHC 말뚝 시공시 선굴착 후 1종 시멘트만을 사용하여 선단근고액(물-결합재비 68%)과 주면고정액(물-결합재비 83%)을 제조하여 각각의 밀크액에 대한 압축강도를 측정하면, 재령 28일의 경우 선단근고액의 압축강도는 26.2MPa이고 주면고정액의 압축강도는 18.5MPa이다.
그런데, 종래방식의 주면고정액은 기준인 0.49MPa에 비해 무려 38배를 발현한다. 반면, 말뚝 침설 후 주면고정액의 상면 변화를 관찰하여 액면이 침강하면 유지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보충하여야 하는데 시멘트를 주면고정액으로 사용한 경우 지속적인 침강 현상의 발생으로 4회에 걸쳐 재주입을 별도로 실시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기성 말뚝 공사에서 말뚝을 박은 후 생기는 말뚝 주변 공간(주면 부분)에서는 말뚝의 수평저항력과 주면마찰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압축강도보다는 체적 안정성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하나의 사일로에서 제공되는 시멘트만을 사용할 경우, 압축강도보다 팽창성능을 발휘하는 것이 훨씬 유리함에도 불구하고, 높은 물-결합재비에서 블리딩에 의한 침강현상 및 체적수축이 심하여 체적수축에 의한 주면마찰력 저하 현상과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재주입 작업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기성말뚝 공사에서 주면고정액의 경우 매우 낮은 일축압축강도를 요구하기 때문에 건설현장에서는 물-결합재비(W/B)를 83% 이상으로 하여도 표준일축강도 0.49MPa 이상은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반면, 높은 물-결합재비를 갖는 빈배합비의 주면 고정액은 지중에 주입을 하더라도 말뚝 주변지반으로 빠져나가 충진이 되지 않으므로 지속적으로 주면고정액을 보충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전문시방서에는 주면고정액의 경우에도 물-결합재비 83%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시멘트 1종류의 사일로만 운영할 경우 주면고정액에 요구되는 일축압축강도에 비하여 과도한 시멘트가 지반에 투입되는 현상을 초래한다. 또한 지층별로 다양하게 분포하는 토사 및 지하수위에 대하여 균질한 강도 발현이 어렵다. 또한, 시멘트는 지반의 강알칼리 및 육가 크롬에 의한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고 체적 수축이 발생하여 매입 말뚝의 주면 마찰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지층별 요구 강도, 지층별 토질 상태 및 지층별 토사 함수율 상태 등에 따라 지층별로 서로 다른 보강재료를 선택적으로 투입하여야만, 지층별 요구 성능이 개선되고, 요구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한 지층 부위는 저가의 보강재료 투입에 따른 원가절감 등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STEP#1: 1단 사일로
11: 제1 사일로
12: 제1 이송기
13: 리프팅 이송기
31: 제1 배출기
F1: 제1 프레임
Vb-1: 바이브레이터
STEP#1: 2단 사일로
21: 제2 사일로
22: 제2 이송기
32: 제2 배출기
F2: 제2 프레임
Vb-2: 바이브레이터

Claims (6)

  1. 지층 시공시 시공 깊이에 따라 서로 다른 보강재료를 투입하도록,
    제1 보강재료를 저장하는 제1 사일로(11)와;
    상기 제1 사일로(11)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보강재료를 일측의 배출기측으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기(12)와;
    상기 제1 보강재료와 다른 제2 보강재료를 저장하는 제2 사일로(21); 및
    상기 제2 사일로(21)에 저장되어 있는 제2 보강재료를 일측의 배출기측으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기(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깊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보강 재료를 투입하는 다단 사일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일로(11)와 제2 사일로(21)는 각각 별개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사일로(11)의 상측에 상기 제2 사일로(21)가 적층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깊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보강 재료를 투입하는 다단 사일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일로(11)의 제1 이송기(12) 배출단에 연결된 제1 배출기(31); 및
    상기 제2 사일로(21)의 제2 이송기(22) 배출단에 연결된 제2 배출기(3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배출기(31)와 제2 배출기(32)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깊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보강 재료를 투입하는 다단 사일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기(31)는 상기 제1 이송기(12)보다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이송기(12)의 배출단과 제1 배출기(31)의 입력단 사이에는 상기 제1 보강재료를 상승 이송시키는 리프팅 이송기(1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깊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보강 재료를 투입하는 다단 사일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일로(11)에 의해 제공되는 제1 보강재료를 제1 혼합재와 혼합하는 제1 혼합기; 및
    상기 제2 사일로(21)에 의해 제공되는 제2 보강재료를 제2 혼합재와 혼합하는 제2 혼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깊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보강 재료를 투입하는 다단 사일로.
  6. 지층 시공시 시공 깊이에 따라 서로 다른 보강재료를 투입하도록,
    제1 사일로(11)에 제1 보강재료를 저장하는 단계;
    제2 사일로(21)에 상기 제1 보강재료와 다른 제2 보강재료를 저장하는 단계;
    지층 시공 깊이에 따라 상기 제1 사일로(11)에 설치된 제1 이송기(12)를 작동시켜 상기 제1 보강재료를 지층에 투입하는 단계; 및
    지층 시공 깊이에 따라 상기 제1 보강재료의 투입을 중단하고, 상기 제2 사일로(21)에 설치된 제2 이송기(22)를 작동시켜 상기 제2 보강재료를 지층에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지반 보강 공법.
KR1020210085299A 2021-06-30 2021-06-30 다단 사일로 및 그를 이용한 다단 지반 보강 공법 KR102687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299A KR102687990B1 (ko) 2021-06-30 2021-06-30 다단 사일로 및 그를 이용한 다단 지반 보강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299A KR102687990B1 (ko) 2021-06-30 2021-06-30 다단 사일로 및 그를 이용한 다단 지반 보강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786A true KR20230003786A (ko) 2023-01-06
KR102687990B1 KR102687990B1 (ko) 2024-07-25

Family

ID=84924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299A KR102687990B1 (ko) 2021-06-30 2021-06-30 다단 사일로 및 그를 이용한 다단 지반 보강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799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9434A (ko) * 2008-12-31 2010-07-08 주식회사 바스코플랜트 상온식 재생아스콘 제조장치
KR101218057B1 (ko) * 2012-07-18 2013-01-03 신영구 양방향 배출 사일로
KR101374085B1 (ko) * 2013-08-29 2014-03-13 삼표건설 주식회사 이동식 배합타설 장비
JP2014177746A (ja) * 2013-03-13 2014-09-25 Osaka Bosui Constr Co Ltd 薬液注入工法及び薬液注入時の地盤中の薬液注入構造
KR101845772B1 (ko) 2017-11-24 2018-04-05 주식회사 반석테크 모듈형 사일로와 고효율 믹서기 및 고착방지 기능을 갖는 혼합기와 투웨이 관로형 호스펌프가 일체로 구비된 시멘트 콘크리트 생산 시스템
KR101860375B1 (ko) 2017-11-24 2018-05-23 주식회사 반석테크 모듈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사일로
KR101891799B1 (ko) 2017-11-24 2018-08-24 주식회사 반석테크 체적 가변식 함체 승강구조를 갖는 이동식 사일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9434A (ko) * 2008-12-31 2010-07-08 주식회사 바스코플랜트 상온식 재생아스콘 제조장치
KR101218057B1 (ko) * 2012-07-18 2013-01-03 신영구 양방향 배출 사일로
JP2014177746A (ja) * 2013-03-13 2014-09-25 Osaka Bosui Constr Co Ltd 薬液注入工法及び薬液注入時の地盤中の薬液注入構造
KR101374085B1 (ko) * 2013-08-29 2014-03-13 삼표건설 주식회사 이동식 배합타설 장비
KR101845772B1 (ko) 2017-11-24 2018-04-05 주식회사 반석테크 모듈형 사일로와 고효율 믹서기 및 고착방지 기능을 갖는 혼합기와 투웨이 관로형 호스펌프가 일체로 구비된 시멘트 콘크리트 생산 시스템
KR101860375B1 (ko) 2017-11-24 2018-05-23 주식회사 반석테크 모듈형 구조를 갖는 조립식 사일로
KR101891799B1 (ko) 2017-11-24 2018-08-24 주식회사 반석테크 체적 가변식 함체 승강구조를 갖는 이동식 사일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87990B1 (ko) 2024-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2293B1 (en) Method for filling voids with aggregate material
JP4852732B2 (ja) コラムの置換築造方法
EP2278075A1 (en) Soil stabilization column, rotar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column
JPH07119462B2 (ja) 地盤改良用攪拌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た地盤改良工法
KR102687990B1 (ko) 다단 사일로 및 그를 이용한 다단 지반 보강 공법
JP2017106187A (ja) 回転キャップ、既製杭埋設装置、杭基礎構造の構築方法
JP2012057407A (ja) 安定液の再利用方法
JP4797147B2 (ja) コラムの置換築造方法及び置換コラム
CN113309128B (zh) 一种泥炭土地层哑铃型水泥土帷幕桩施工方法
JP2005282063A (ja) 複合現場造成杭及びその築造方法、並びに複合現場造成杭造成用装置
CN1260423A (zh) 于机械搅拌式深层混合处理施工的固化材注入管理方法
JP5064297B2 (ja) スパイラルロッド
JP2005009240A (ja) ソイル硬化物現場造成杭及び既製杭の施工法
KR20150001437A (ko) 광산 채굴공동 충전 장치
CN113073629A (zh) 一种固化土桩的施工方法
JP4092411B2 (ja) 排土処理方法、排土を処理する基礎杭工法
JP2021080789A (ja) 地盤の埋戻し方法及び撹拌翼
JP2879386B2 (ja) 地盤の改良または強化工法
JP3247516B2 (ja) 地盤改良用噴射管
JP2698772B2 (ja) スラググラフト系循環地中壁工法
KR101998208B1 (ko) 이중 로드 교반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지반 강화 교반공법
JP2017057637A (ja) 杭基礎構造、既製杭埋設装置、該既製杭埋設装置による杭基礎構造の構築方法
JP2001090480A (ja) 裏込め注入工法
JP4867044B2 (ja) コラムの置換築造方法
JP4867045B2 (ja) コラムの置換築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