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3090A - 반송 용기 및 반송 방법 - Google Patents

반송 용기 및 반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3090A
KR20230003090A KR1020227041482A KR20227041482A KR20230003090A KR 20230003090 A KR20230003090 A KR 20230003090A KR 1020227041482 A KR1020227041482 A KR 1020227041482A KR 20227041482 A KR20227041482 A KR 20227041482A KR 20230003090 A KR20230003090 A KR 20230003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container
rib
transported
conveyed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1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페이 호까리
다다오 야부하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히타치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히타치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히타치하이테크
Publication of KR20230003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3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tacks of articles; for special arrangements of groups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1/00External frames or supports adapted to be assembled around, or applied to, articles
    • B65D61/02Tubular frames with resilient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6Labware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52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flat sample carriers, e.g. for plates, slides, chips
    • B01L9/523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flat sample carriers, e.g. for plates, slides, chips for multisample carriers, e.g. used for microtitration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02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2Arrangements of flexible binders
    • B65D71/04Arrangements of flexible binders with protecting or supporting elements arranged between binder and articles or materials, e.g. for preventing chafing of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01L2200/087Ergonomic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8Transport of container or devices
    • B01L2200/185Long distance transport, e.g. ma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for multiple samples, e.g. microtitration plates

Abstract

반송 용기(100), 및, 반송 방법이며, 반송물이 적재되는 바닥 부재(2)와, 바닥 부재(2)의 측방에 배치되는 좌우의 측면 부재(3)와, 바닥 부재(2)의 상방에 배치되는 손잡이 부재(4)와, 바닥 부재(2)와 측면 부재(3)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5)와, 측면 부재(3)와 손잡이 부재(4)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의 상부 연결 부재(6)를 구비하고, 각각, 힌지(1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손잡이 부재(4)를 들어올리지 않았을 때, 측면 부재(3)는, 바닥 부재(2)로부터 이격되고, 손잡이 부재(4)를 들어올렸을 때, 측면 부재(3)는, 바닥 부재(2)에 적재된 반송물을 측방으로부터 지지하고, 하부 연결 부재(5) 및 상부 연결 부재(6)가, 측면 부재(3)에 대하여 비평행한 옆으로 누운 상태가 되도록, 반송 용기(100)를 언로딩 장소에 설치하여, 반송물을 좌우의 측면 부재(3)끼리의 사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취출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반송 용기 및 반송 방법
본 발명은, 상하로 적층 가능한 반송물의 반송에 사용되는 반송 용기, 및, 적층되어 반송 용기에 수용된 반송물을 개별로 취출하는 반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료, 위생 관리, 식품 검사, 생화학 등의 분야에서는, 형광 표지나 특정 파장을 이용한 분광 분석이 행해지고 있다. 다량의 검체를 정량·동정할 때는, 마이크로플레이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플레이트는,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평판 상에 다수의 웰이 마련된 구조이다.
마이크로플레이트로서는, 하면이 평면인 것이나, 하면이 웰을 갖는 상면에 대하여 엠보스상의 오목부로서 성형되어 있는 것이 있다. 하면이 오목부로서 성형되어 있는 마이크로플레이트는, 분석 장치 등의 시료 스테이지나, 동종의 다른 마이크로플레이트 상에 끼워 맞춤 가능한 것이 많다. 이와 같은 형상의 마이크로플레이트는, 시료 스테이지나 마이크로플레이트 상에 위치 어긋남없이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이크로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웰마다 밀봉 가능한 구멍이 있는 플레이트상의 커버나, 구멍이 없는 플레이트상의 커버나, 필름상의 커버 등이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플레이트상의 커버에 대해서도, 다른 마이크로플레이트가 끼워 맞춤 가능한 형상이나, 다른 마이크로플레이트에 간섭하지 않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이 많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마이크로플레이트는, 상하로 적층 가능한 구조로서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 종래, 검체를 포함하는 시료액은, 마이크로플레이트의 웰에 대하여, 마이크로피펫 등을 사용한 수작업으로 분주되고 있다. 시료액의 조제나 분주를 행하는 장소가 분석 장소와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시료액을 분주한 마이크로플레이트를 분석 장소까지 반송하는 작업을 요하고 있다.
상하로 적층 가능한 마이크로플레이트는, 한 번에 분석하는 매수가 많은 경우, 적층한 상태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적층된 상태의 마이크로플레이트는, 잡을 수 있는 부위가 한정되어 있다. 분광 분석 시에는 마이크로플레이트에 분석광이 투광되고, 시료액이 접촉해서는 안되는 유해물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나, 수작업에 의한 콘타미네이션이 우려되는 경우 등도 있다. 그 때문에, 통상 마이크로플레이트는, 상면 이외를 잡는 것이 권장된다.
특허문헌 1에는, 크라이오 박스의 운반이나 보관에 사용하는 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용기는, 랙의 상부에 파지부가 마련되어 있어, 들고 다니는 식의 용기로 되어 있다. 크라이오 박스를 저장하는 저장부로서는, 크라이오 박스를 개별로 저장하는 선반상의 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8-062360호 공보
시료액을 분주한 마이크로플레이트는, 한 번에 다수매가 분석에 제공되는 경우가 있고, 검체의 성질 등에 따라서는, 신속한 반송이 요망되는 경우도 있다. 마이크로플레이트는, 구멍이 있는 플레이트상의 커버 등을 설치한 경우라도, 시료액끼리가 혼합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경사나 전도를 최대한 피해야 할 반송물이 된다. 이와 같은 사정 하에서, 시료액을 분주한 마이크로플레이트 등과 같이, 핸드 캐리의 리스크가 높은 반송물을 한 번에 다량으로 반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반송 용기가 요구되고 있다.
마이크로플레이트 등과 같이, 상하로 적층 가능한 반송물을 반송하는 경우, 작업의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적층시킨 상태의 반송물을 수용 가능한 용기 구조가 요망된다. 또한, 시료액을 분주한 마이크로플레이트 등을 반송하는 경우, 경사나 전도에 의해 시료액끼리가 혼합되는 등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적층시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용기 구조도 요망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용기에 의하면, 반송물인 크라이오 박스를 개별로 저장하는 선반상의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반송물의 경사나 전도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용기 구조에서는, 개개의 반송물의 출입마다 덮개 부재를 개폐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반송의 작업이 번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핸드 캐리의 리스크뿐만 아니라, 반송물에 손으로 접촉하는 것 자체를 피해야 할 케이스도 있다. 시료액을 분주한 마이크로플레이트를 분광 분석에 제공하는 경우, 분석에 영향을 미치는 마이크로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최대한 접촉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약품, 병원체 등의 유해물이나, 정밀 기기 등을 반송하는 경우에는, 반송 용기에 대한 반송물의 출입을 수작업으로 행하지 않는 쪽이 좋다.
그 때문에, 반송 용기에는, 적층시킨 상태의 반송물을 수용할 뿐만 아니라, 반송물의 출입을 기계나 기구로 행하기 쉬운 용기 구조도 요망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용기 구조에서는, 반송물을 개별로 저장하는 선반상의 구조이기 때문에, 반송 용기와 기계나 기구가 간섭하기 쉬워, 기계나 기구에 의한 출입이 곤란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반송물의 출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하로 적층 가능한 반송물을 효율적으로 반송할 수 있는 반송 용기, 및, 이것을 사용한 반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반송 용기는, 반송물의 반송에 사용되는 반송 용기이며, 반송물이 적재되는 바닥 부재와, 상기 바닥 부재의 측방에 배치되는 좌우의 측면 부재와, 상기 바닥 부재의 상방에 배치되는 손잡이 부재와, 상기 바닥 부재와 상기 측면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와, 상기 측면 부재와 상기 손잡이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의 상부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 부재와 상기 하부 연결 부재, 상기 하부 연결 부재와 상기 측면 부재, 상기 측면 부재와 상기 상부 연결 부재, 및, 상기 상부 연결 부재와 상기 손잡이 부재는, 각각, 상기 바닥 부재의 좌우의 측면에 대하여 평행 또한 수평한 회전축을 갖는 좌우의 힌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 부재를 들어올리지 않았을 때, 상기 하부 연결 부재 및 상기 상부 연결 부재는, 상기 측면 부재에 대하여 비평행한 옆으로 누운 상태로 되고, 상기 측면 부재는, 상기 바닥 부재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손잡이 부재를 들어올렸을 때, 상기 하부 연결 부재 및 상기 상부 연결 부재는, 기립 상태로 되고, 상기 측면 부재는, 상기 바닥 부재에 근접하여, 상기 바닥 부재에 적재된 상기 반송물을 측방으로부터 지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반송 방법은, 상하로 적층되어 반송 용기에 수용된 반송물을 개별로 취출하는 반송 방법이며, 반송물의 반송에 사용되는 반송 용기이며, 반송물이 적재되는 바닥 부재와, 상기 바닥 부재의 측방에 배치되는 좌우의 측면 부재와, 상기 바닥 부재의 상방에 배치되는 손잡이 부재와, 상기 바닥 부재와 상기 측면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와, 상기 측면 부재와 상기 손잡이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의 상부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 부재와 상기 하부 연결 부재, 상기 하부 연결 부재와 상기 측면 부재, 상기 측면 부재와 상기 상부 연결 부재, 및, 상기 상부 연결 부재와 상기 손잡이 부재는, 각각, 상기 바닥 부재의 좌우의 측면에 대하여 평행 또한 수평한 회전축을 갖는 좌우의 힌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 부재를 들어올리지 않았을 때, 상기 하부 연결 부재 및 상기 상부 연결 부재는, 상기 측면 부재에 대하여 비평행한 옆으로 누운 상태로 되고, 상기 측면 부재는, 상기 바닥 부재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손잡이 부재를 들어올렸을 때, 상기 하부 연결 부재 및 상기 상부 연결 부재는, 기립 상태로 되고, 상기 측면 부재는, 상기 바닥 부재에 근접하여, 상기 바닥 부재에 적재된 상기 반송물을 측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구조이며, 상기 반송물이 상하로 적층되어 수용된 상기 반송 용기를, 상기 하부 연결 부재 및 상기 상부 연결 부재가, 상기 측면 부재에 대하여 비평행한 옆으로 누운 상태가 되도록, 언로딩 장소에 설치하고, 상기 바닥 부재에 적재된 상기 반송물을 좌우의 상기 측면 부재끼리의 사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취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송물의 출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하로 적층 가능한 반송물을 효율적으로 반송할 수 있는 반송 용기, 및, 이것을 사용한 반송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반송 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반송 용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반송 용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반송 용기의 반송물이 수용된 접지 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반송 용기의 반송 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반송 용기의 하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의 반송물이 수용된 접지 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의 반송 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에 사용되는 취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반송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에 사용되는 취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반송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에 사용되는 취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반송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에 사용되는 취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반송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에 사용되는 취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반송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에 사용되는 취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반송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에 사용되는 취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반송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에 사용되는 취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반송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에 사용되는 취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반송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에 사용되는 취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반송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에 사용되는 취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반송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에 사용되는 취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반송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의 반송물이 수용된 접지 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의 반송 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의 반송물이 수용된 접지 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의 반송 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반송 용기 및 반송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도면에 있어서,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반송 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반송 용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반송 용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는, 반송물이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며, 들어올려져 있지 않고 접지된 상태의 반송 용기를 각 방향으로부터 본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반송 용기(100)는, 바닥 부재(2)와, 좌우의 측면 부재(3, 3)와, 손잡이 부재(4)와,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5, 5)와, 좌우의 상부 연결 부재(6, 6)를 구비하고 있다. 측면 부재(3), 하부 연결 부재(5) 및 상부 연결 부재(6)는, 반송 용기(100)의 좌우 방향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반송 용기(100)는, 주로 상하로 적층 가능한 반송물의 반송에 사용된다. 반송 용기(100)는, 복수의 반송물을 서로 상하로 적층시킨 상태로 수용하여, 한 번에 다량으로 반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반송용의 용기로 되어 있다. 반송 용기(100)는, 손잡이 부재(4)를 들어올려, 손으로 들고 다니는 것에 의해 반송할 수 있다. 단, 반송 용기(100)는, 손잡이 부재(4)를 들어올린 상태로 하는 한, 인간의 손이 아니라 기계나 기구에 의해 들어올려 반송해도 된다.
반송 용기(100)로 반송하는 반송물로서는, 횡단면의 외형이 직사각 형상인 물체가 바람직하다. 반송물의 형상은, 예를 들어 플레이트상, 블록상, 프레임상, 디시상 등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상하로 적층 가능한 반송물로서는, 상면측과 하면측에서 서로 끼워 맞춤 가능하고, 서로 적층된 상태로 수평 방향의 상대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나, 서로 적층된 상태로 수평 방향의 상대 위치가 고정되지 않는 것이 있다. 반송 용기(100)로 반송하는 반송물로서는, 이들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용기(100)는, 대략 직육면체상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반송 용기(100)의 저부에는, 바닥 부재(2)가 배치되어 있다. 반송 용기(100)의 우측의 측부 및 좌측의 측부에는, 각각, 측면 부재(3)가 배치되어 있다. 반송 용기(100)의 천장부에는, 손잡이 부재(4)가 배치되어 있다. 반송 용기(100)의 전방부 및 후방부는, 반송물을 출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개구로 되어 있다.
바닥 부재(2)는, 반송물이 적재되는 부위이며, 상하로 적층 가능한 반송물을 반송하는 경우에는, 바닥 부재(2) 상에, 반송물이 상하로 적층된 상태로 되도록 적재된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바닥 부재(2)는, 평탄한 상면을 갖는 대략 직육면체상의 부재로서 마련되어 있다. 바닥 부재(2)의 전후 방향의 길이 및 좌우 방향의 길이는, 각각, 반송 용기(100)의 평면으로 보아 바닥 부재(2)와 반송물(도 4의 부호 1 참조)이 대략 겹치도록, 반송물의 길이 및 폭과 동일 정도로 마련된다.
좌우의 측면 부재(3)는, 각각, 바닥 부재(2)의 좌우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측면 부재(3)는, 평탄한 주면을 갖는 얇은 판재로서 마련되어 있다. 좌우의 측면 부재(3)는, 서로 대향하도록, 주면을 좌우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기립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측면 부재(3)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적층된 반송물을 바닥 부재(2)와 손잡이 부재(4) 사이에 수용할 수 있도록, 반송물의 두께에 대하여 충분히 길게 마련된다. 측면 부재(3)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바닥 부재(2)의 전후 방향의 길이와 동일 정도로 마련되어 있다.
손잡이 부재(4)는, 바닥 부재(2)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손잡이 부재(4)는, 반송 용기(100)를 손으로 들고 다니기 위한 손잡이가 일체화된 얇은 판재로서 마련되어 있다. 손잡이 부재(4)는, 좌우의 측면 부재(3)끼리의 사이를 가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손잡이 부재(4)의 전후 방향의 길이 및 좌우 방향의 길이는, 각각, 바닥 부재(2)의 전후 방향의 길이 및 좌우 방향의 길이와 동일 정도로 마련되어 있다.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5)는, 바닥 부재(2)와 측면 부재(3)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하부 연결 부재(5)는, 얇은 판재로서 마련되어 있다. 우측의 하부 연결 부재(5)는, 바닥 부재(2)의 우측면의 하단과, 우측의 측면 부재(3)의 하단을, 판재에 의한 평면으로 연결하고 있다. 좌측의 하부 연결 부재(5)는, 바닥 부재(2)의 좌측면의 하단과, 좌측의 측면 부재(3)의 하단을, 판재에 의한 평면으로 연결하고 있다. 하부 연결 부재(5)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바닥 부재(2)의 전후 방향의 길이나 측면 부재(3)의 전후 방향의 길이와 동일 정도로 마련되어 있다.
좌우의 상부 연결 부재(6)는, 측면 부재(3)와 손잡이 부재(4)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상부 연결 부재(6)는, 얇은 판재로서 마련되어 있다. 우측의 상부 연결 부재(6)는, 우측의 측면 부재(3)의 상단과, 손잡이 부재(4)의 우단을, 판재에 의한 평면으로 연결하고 있다. 좌측의 상부 연결 부재(6)는, 좌측의 측면 부재(3)의 상단과, 손잡이 부재(4)의 좌단을, 판재에 의한 평면으로 연결하고 있다. 상부 연결 부재(6)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측면 부재(3)의 전후 방향의 길이나 손잡이 부재(4)의 전후 방향의 길이와 동일 정도로 마련되어 있다.
바닥 부재(2), 좌우의 측면 부재(3), 손잡이 부재(4),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5), 및, 좌우의 상부 연결 부재(6)는, 각각,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리스강, 탄소강 등의 각종 금속재나,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ABS 수지 등의 각종 합성 수지재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반송 용기의 반송물이 수용된 접지 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반송 용기의 반송 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반송 용기(100)에 대해, 부호 1로 나타내는 플레이트상의 반송물이 상하로 적층되어 수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용기(100)는, 손잡이 부재(4)의 들어올림에 연동하여 형태가 변화되는 가변식의 용기로 되어 있다. 반송 용기(1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 부재(4)를 들어올리지 않았을 때, 반송물의 출입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한편,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 부재(4)를 들어올렸을 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용기(100)에 수용된 반송물이 주위로부터 지지된 상태로 된다.
바닥 부재(2)와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5), 하부 연결 부재(5)와 측면 부재(3), 측면 부재(3)와 상부 연결 부재(6), 및, 좌우의 상부 연결 부재(6)와 손잡이 부재(4)는, 각각, 힌지(1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각 부재끼리의 연결의 각도는, 힌지(10)를 지지점축으로 하여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힌지(10)는, 각 부재간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을 따라서, 서로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고, 바닥 부재(2)의 좌우의 측면에 대하여 평행 또한 수평으로 배치된 회전축을 갖고 있다. 즉, 힌지(10)는, 바닥 부재(2)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방향에 대한 중심선이나, 반송 용기(10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방향에 대한 중심선에 대하여, 평행한 회전축을 갖고 있다. 힌지(10)의 회전축은, 각 부재에 마련된 통형의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있어서, 힌지(10)의 지지부는, 각 부재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반송 용기(100)의 부품의 점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힌지(10)와 각 부재가 간섭하기 어려운 용기 구조로 할 수 있다. 단, 힌지(10)의 지지부는, 각 부재에 대하여 별체로서 마련되어도 된다. 별체의 지지부는, 각 부재에 대하여 나사 등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바닥 부재(2)의 우측면의 하단과, 우측의 하부 연결 부재(5)의 내측단은, 우측 하부의 바닥 부재측의 힌지(1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 힌지(10)는, 한쪽의 지지부가, 바닥 부재(2)의 우측면의 하단을 따르도록 마련되어 있고, 다른 쪽의 지지부가, 우측의 하부 연결 부재(5)의 내측단을 따르도록 마련되어 있다.
우측 하부의 바닥 부재측의 힌지(10)는, 손잡이 부재(4)를 들어올렸을 때, 바닥 부재(2)와 우측의 하부 연결 부재(5)의 외각이, 약 180도로부터 약 90도로 되도록 회동하고, 손잡이 부재(4)를 놓았을 때, 반대로 회동한다. 우측 하부의 바닥 부재측의 힌지(10)는, 우측의 하부 연결 부재(5)를, 대략 수평한 옆으로 누운 상태(도 4 참조)와 대략 수직인 기립 상태(도 5 참조) 사이에서, 임의의 각도로 동작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바닥 부재(2)의 좌측면의 하단과, 좌측의 하부 연결 부재(5)의 내측단은, 좌측 하부의 바닥 부재측의 힌지(1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좌측 하부의 바닥 부재측의 힌지(10)는, 우측 하부의 바닥 부재측의 힌지(10)와 좌우 대칭으로 마련되어 있다. 좌측 하부의 바닥 부재측의 힌지(10)는, 좌측의 하부 연결 부재(5)를 우측과 대칭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우측의 하부 연결 부재(5)의 외측단과, 우측의 측면 부재(3)의 하단은, 우측 하부의 측면 부재측의 힌지(10)를 통해 연결하고 있다. 이 힌지(10)는, 한쪽의 지지부가, 우측의 하부 연결 부재(5)의 외측단을 따르도록 마련되어 있고, 다른 쪽의 지지부가, 우측의 측면 부재(3)의 하단을 따르도록 마련되어 있다.
우측 하부의 측면 부재측의 힌지(10)는 손잡이 부재(4)를 들어올렸을 때, 우측의 하부 연결 부재(5)와 우측의 측면 부재(3)의 내각이, 약 90도로부터 약 180도로 되도록 회동하고, 손잡이 부재(4)를 놓았을 때, 반대로 회동한다. 우측 하부의 측면 부재측의 힌지(10)는, 우측의 측면 부재(3)를 대략 수직인 기립 상태로 유지한 채로, 우측의 하부 연결 부재(5)를, 대략 수평으로 측면 부재(3)에 대하여 비평행한 옆으로 누운 상태(도 4 참조)와 대략 수직인 기립 상태(도 5 참조) 사이에서, 임의의 각도로 동작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좌측의 하부 연결 부재(5)의 외측단과, 좌측의 측면 부재(3)의 하단은, 좌측 하부의 측면 부재측의 힌지(1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좌측 하부의 측면 부재측의 힌지(10)는, 우측 하부의 측면 부재측의 힌지(10)와 좌우 대칭으로 마련되어 있다. 좌측 하부의 측면 부재측의 힌지(10)는, 좌측의 측면 부재(3)나 좌측의 하부 연결 부재(5)를, 우측과 대칭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우측의 측면 부재(3)의 상단과, 우측의 상부 연결 부재(6)의 외측단은, 우측 상부의 측면 부재측의 힌지(1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 힌지(10)는, 한쪽의 지지부가, 우측의 측면 부재(3)의 상단을 따르도록 마련되어 있고, 다른 쪽의 지지부가, 우측의 상부 연결 부재(6)의 외측단을 따르도록 마련되어 있다.
우측 상부의 측면 부재측의 힌지(10)는, 우측의 측면 부재(3)와 우측의 상부 연결 부재(6)의 내각이, 약 90도로부터 약 180도로 되도록 회동하고, 손잡이 부재(4)를 놓았을 때, 반대로 회동한다. 우측 상부의 측면 부재측의 힌지(10)는, 우측의 측면 부재(3)를 대략 수직인 기립 상태로 유지한 채로, 우측의 상부 연결 부재(6)를, 대략 수평으로 측면 부재(3)에 대하여 비평행한 옆으로 누운 상태(도 4 참조)와 대략 수직인 기립 상태(도 5 참조) 사이에서, 임의의 각도로 동작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좌측의 측면 부재(3)의 상단과, 좌측의 상부 연결 부재(6)의 외측단은, 좌측 상부의 측면 부재측의 힌지(1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좌측 상부의 측면 부재측의 힌지(10)는, 우측 상부의 측면 부재측의 힌지(10)와 좌우 대칭으로 마련되어 있다. 좌측 상부의 측면 부재측의 힌지(10)는, 좌측의 측면 부재(3)나 좌측의 상부 연결 부재(6)를, 우측과 대칭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우측의 상부 연결 부재(6)의 내측단과, 손잡이 부재(4)의 우측단은, 우측 상부의 손잡이 부재측의 힌지(1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 손잡이 부재측의 힌지(10)는, 한쪽의 지지부가, 우측의 상부 연결 부재(6)의 내측단을 따르도록 마련되어 있고, 다른 쪽의 지지부가, 손잡이 부재(4)의 우측단을 따르도록 마련되어 있다.
우측 상부의 손잡이 부재측의 힌지(10)는, 우측의 상부 연결 부재(6)와 손잡이 부재(4)의 외각이, 약 180도로부터 약 90도로 되도록 회동하고, 손잡이 부재(4)를 놓았을 때, 반대로 회동한다. 우측 상부의 손잡이 부재측의 힌지(10)는, 우측의 상부 연결 부재(6)를, 대략 수평으로 측면 부재(3)에 대하여 비평행한 옆으로 누운 상태(도 4 참조)와 대략 수직인 기립 상태(도 5 참조) 사이에서 동작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좌측의 상부 연결 부재(6)의 내측단과, 손잡이 부재(4)의 좌단은, 좌측 상부의 손잡이 부재측의 힌지(1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좌측 상부의 손잡이 부재측의 힌지(10)는, 우측 상부의 손잡이 부재측의 힌지(10)와 좌우 대칭으로 마련되어 있다. 좌측 상부의 손잡이 부재측의 힌지(10)는, 좌측의 측면 부재(3)나 좌측의 상부 연결 부재(6)를 우측과 대칭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 부재(4)를 들어올리지 않았을 때, 좌우의 측면 부재(3)는, 바닥 부재(2)로부터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이격된 상태이다. 반송 용기(100)의 전방부의 개구 및 후방부의 개구는 좌우로 확대된 상태로 되어, 바닥 부재(2)의 상방의 공간이 개방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반송물의 출입을 행할 때, 손, 기계, 기구 등이 측면 부재(3)와 간섭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반송물의 출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 부재(4)를 들어올렸을 때, 힌지(10)에 의해, 좌우의 측면 부재(3)는 바닥 부재(2)의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바닥 부재(2)에 근접한다. 측면 부재(3)는, 좌우 방향의 중앙측으로 이동하여, 기립 상태의 하부 연결 부재(5) 상에 동일 평면 상이 되도록 배치된다. 반송 용기(100)의 전방부의 개구 및 후방부의 개구는 바닥 부재(2)의 좌우 방향의 길이까지 좁아져, 반송 용기(100)의 평면으로 보아, 바닥 부재(2)의 좌우 측단과 좌우의 측면 부재(3)가 대략 겹치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측면 부재(3)가, 바닥 부재(2)에 적재된 반송물을 측방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측면 부재(3)에 의해, 적층된 반송물을 좌우 방향으로 정렬시키거나, 반송 중인 반송물의 좌우 방향으로의 탈락을 방지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5)는, 각각의 내측단이 바닥 부재(2)의 측면에 힌지(10)를 통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 부재(2)의 좌우의 측면에 면접촉하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5)의 내측단의 힌지(10)는, 회전의 각도가 제한된다. 그 때문에, 반송 용기(100)의 전체 구조의 휨을 억제하여, 바닥 부재(2)에 적층된 반송물의 흔들림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용기(100)는, 좌우의 측면 부재(3)의 전단 및 후단의 각각에, 좌우의 측면 부재(3)의 전단 및 후단의 각각으로부터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리브(7)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있어서, 리브(7)는, 우측의 측면 부재(3)의 전단 및 후단과, 좌측의 측면 부재(3)의 전단 및 후단에, 대략 직육면체상의 얇은 판편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리브(7)는, 좌우의 측면 부재(3)의 전단 및 후단의 각각으로부터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 부재(4)를 들어올렸을 때, 좌우의 측면 부재(3)가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바닥 부재(2)에 근접하고, 기립 상태의 하부 연결 부재(5) 상에 동일 평면 상이 되도록 배치되면, 반송 용기(100)의 평면으로 보아, 바닥 부재(2)의 전단 및 후단의 각각과 리브(7)가 대략 겹치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리브(7)가, 바닥 부재(2)에 적재된 반송물을 전방 및 후방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리브(7)에 의해, 적층된 반송물을 전후 방향으로 정렬시키거나, 반송 중인 반송물의 전후 방향으로의 탈락을 방지하거나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7)는, 반송 용기(100)의 평면으로 보아, 측면 부재(3)와의 이루는 각이 대략 직각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리브(7)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측면 부재(3)의 상하 방향의 길이와 동일 정도로 마련되어 있다. 리브(7)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바닥 부재(2)의 좌우 방향의 길이의 절반보다도 짧게 마련되어 있다. 리브(7)의 좌우 방향의 길이가 짧으면, 반송물의 탈락을 방지하면서, 반송물의 출입의 용이성이나 반송물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반송 용기의 하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7)는, 측면 부재(3)의 하단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형상으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리브(7)는, 수평한 하단을 갖는 형상으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있어서, 리브(7)는, 대략 직육면체상의 얇은 판편으로서 마련되어 있고, 리브(7)의 하단이, 반송 용기(1000)의 접지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수평상으로 되어 있다. 리브(7)의 하단은, 측면 부재(3)의 하단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측면 부재(3)는, 직접적으로 접지하지 않고, 리브(7)에 의해 기립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리브(7)를 마련하면, 손잡이 부재(4)를 들어올리지 않았을 때, 좌우의 측면 부재(3)의 각각을, 리브(7)를 지지 다리로서 자립시킬 수 있다. 상부 연결 부재(6)나 손잡이 부재(4)가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경우라도, 손잡이 부재(4)를 들어올리지 않은 접지된 상태의 반송 용기(100)를 자립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반송물의 출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리브(7)의 하단은 수평상으로 되어 있지만, 리브(7)는, 측면 부재(3)의 전단측 및 후단측의 각각에 있어서, 측면 부재(3)를 1점 이상에서 지지하는 한, 적당한 형상으로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브(7)의 하단의 좌우 방향의 내측만이, 1점에서 점 접지하는 경우라도, 리브(7)의 하단의 좌우 방향의 내측과 측면 부재(3)의 하단에 의해, 측면 부재(3)를 자립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물의 반송에 사용되는 반송 용기는, 반송 용기의 평면으로 보아, 측면 부재(3)와의 이루는 각(도 7에 있어서 θ로 나타내는 내각)이 둔각이 되도록 마련된 리브(7)를 구비한 형태(반송 용기(200))로 할 수도 있다.
도 7에 있어서, 리브(7)는, 우측의 측면 부재(3)의 전단 및 후단과, 좌측의 측면 부재(3)의 전단 및 후단에, 얇은 판편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반송 용기(200)의 평면으로 보아, 리브(7)와 측면 부재(3)의 내각은 90도 이상으로 마련되어 있어, 리브(7)의 좌우 방향의 내측은 전후 방향의 외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리브(7)를 마련하면, 손잡이 부재(4)를 들어올렸을 때, 바닥 부재(2)에 적재되어 있는 반송물을, 리브(7)를 가이드로 하여 정렬시킬 수 있다. 손잡이 부재(4)를 들어올리면, 리브(7)가 좌우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바닥 부재(2) 상으로부터 비어져 나와 있는 반송물은, 리브(7)를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안내된다. 상하로 적층된 반송물이 서로 어긋나 있는 경우라도, 손잡이 부재(4)의 들어올림에 연동하여 반송물을 자동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작업에 의한 리스크나 수고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의 반송물이 수용된 접지 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의 반송 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용기(100)의 측면 부재(3)와 상부 연결 부재(6)에는, 기립 상태의 상부 연결 부재(6)를 기립 상태의 측면 부재(3)에 걸림 지지하기 위한 고정구(51, 5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고정구(51, 52)로서는, 훅(51)과, 훅(51)을 걸림 지지 가능한 갓 구비 스터드(52)가 구비되어 있다. 훅(51)은, 우측의 상부 연결 부재(6)의 외측면에 고정된 축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터드(52)는, 우측의 측면 부재(3)의 외측면의 상부측에 고정되어 있다.
훅(51)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연결 부재(6)가 측면 부재(3)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기립 상태일 때, 축 주위로 회동시키면, 스터드(52)에 걸 수 있다. 스터드(52)에 걸림 지지된 훅(51)은, 상부 연결 부재(6)가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여, 상부 연결 부재(6)와 측면 부재(3)를 대략 평행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스터드(52)는, 갓 구비이기 때문에, 상부 연결 부재(6)가 쓰러지려고 해도, 훅(51)이 외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훅(51)은, 반대의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스터드(52)로부터 뺄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구(51, 52)를 마련하면, 손잡이 부재(4)를 들어올렸을 때, 기립 상태의 상부 연결 부재(6)를 기립 상태의 측면 부재(3)에 걸림 지지함으로써, 상부 연결 부재(6)와 측면 부재(3)를 서로 대략 평행한 기립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 부재(4)를 들어올리지 않은 경우라도, 측면 부재(3) 등이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들어올려져 있지 않고 접지된 상태의 반송 용기(100)에 있어서도, 바닥 부재(2)에 적재된 반송물을 측방으로부터 계속해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고정구(51, 52)로서는, 상부 연결 부재(6)의 외측면에 훅(51)이 구비되어 있고, 측면 부재(3)의 외측면에 스터드(52)가 구비되어 있지만, 측면 부재(3)에 훅(51)을 구비하고, 상부 연결 부재(6)에 스터드(52)를 구비해도 된다. 또한, 고정구(51, 52)는, 각 부재의 외측면이 아니라, 각 부재의 내측면에 구비해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고정구(51, 52)는, 손잡이 부재(4)의 들어올림에 연동하여 방향이 변화되는 다른 부재에 구비해도 된다. 예를 들어, 고정구(51, 52)의 가동측은,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5) 혹은 좌우의 측면 부재(3), 또는, 좌우의 측면 부재(3) 혹은 좌우의 상부 연결 부재(6)에 구비할 수 있다. 고정구(51, 52)의 고정측은, 쌍이 되는 부재에 구비할 수 있다.
고정구(51, 52)로서는, 기립 상태의 하부 연결 부재(5) 또는 기립 상태의 상부 연결 부재(6)를 기립 상태의 측면 부재(3)에 걸림 지지하는 것인 한, 훅(51)과 스터드(52) 대신에, 훅이 구멍에 걸리는 걸쇠나, 슬라이드형 래치, 레버형 래치, 푸시형 래치, 박스형 래치 등을 사용해도 된다. 고정구(51, 52)를 마련하는 개소는, 반송 용기(100)당, 1개소여도 되고, 복수 개소여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와, 그것을 사용한 반송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21에는, 상하로 적층되어 반송 용기에 수용된 반송물을 개별로 취출하여 목적의 장소로 반송하는 반송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각 도면에 도시한 반송 방법은, 특히 언로딩의 공정에 특징을 갖고 있다. 이들 반송 방법에서는, 반송 용기로부터 반송물을 취출하는 작업에, 반송물을 자동적으로 언로딩하는 오토로더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각 도면에 나타내는 반송 용기는, 오토로더에 대응한 구조로 마련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7에는, 상하로 적층되어 반송 용기에 수용된 반송물을, 하단측으로부터 개별로 취출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 내지 도 17에 있어서, 오토로더는, 바닥 부재(2a)에 적재되어 있는 반송물의 전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가동 스테이지(반송물용의 승강 수단)(61)와, 가동 스테이지(61)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스테이지 리프트(62)와, 적층되어 있는 반송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포크(반송물용의 승강 수단)(63)와, 반송물을 수평 방향으로 인발하는 드로워(반송물용의 취출 수단)(64)를 구비하고 있다.
도 10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반송 용기에 있어서, 반송 용기의 저부에는, 대략 직육면체상의 바닥 부재(2)(도 2 등 참조) 대신에, 가대상의 바닥 부재(2a)가 구비되어 있다. 가대상의 바닥 부재(2a)는, 반송물의 하면의 좌우 방향의 외연부만을 지지하는 프레임상의 구조로 마련되어 있다. 가대상의 바닥 부재(2a)는, 바닥 부재(2a)에 적재된 반송물의 하방으로부터 가동 스테이지(61)를 삽입하기 위한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 구조와, 바닥 부재(2a)의 전후 방향으로부터 드로워(64)를 삽입하기 위한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가동 스테이지(61)는, 드로워(64)를 삽입하기 위한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반송 용기에 있어서, 반송 용기의 좌우의 측부에는, 측면 부재(3)(도 1 등 참조) 대신에, 관통 구멍(31, 32, 33, 34)을 갖는 측면 부재(3A, 3B, 3C, 3D)가 구비되어 있다. 측면 부재(3A, 3B, 3C, 3D)는, 적층되어 있는 반송물끼리의 사이에 반송물을 승강시키는 포크(반송물용의 승강 수단)(63)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 구멍(31, 32, 33, 34)을 주면의 하부측에 갖고 있다. 관통 구멍(31, 32, 33, 34)은, 좌우의 측면 부재(3A, 3B, 3C, 3D)의 각각에, 서로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가로로 긴 슬릿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에 사용되는 취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반송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에 사용되는 취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반송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는, 상하로 적층되어 반송 용기(300)에 수용된 반송물을, 대략 수평한 취출 장소에서, 하단측으로부터 개별로 취출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반송 용기(300)에 있어서, 좌우의 측면 부재(3A)에는, 소정의 높이에 관통 구멍(31)이 마련되어 있다. 좌우의 관통 구멍(31)은, 손잡이 부재(4)를 들어올리지 않았을 때, 바닥 부재(2a)의 상단이나 최하단의 반송물보다도 높은, 아래로부터 제2단째 부근의 위치로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취출 방법에서는, 처음에, 반송물이 상하로 적층되어 수용된 반송 용기(300)를,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5) 및 좌우의 상부 연결 부재(6)가 좌우의 측면 부재(3A)에 대하여 비평행한 옆으로 누운 상태가 되도록, 대략 수평한 취출 장소(60)에 설치한다. 반송 용기(300)의 전방부의 개구 및 후방부의의 개구는, 좌우로 최대 정도까지 확대되기 때문에, 바닥 부재(2a)의 상방의 공간이 넓게 개방된 상태로 된다.
계속해서, 최하단의 반송물과 아래로부터 제2단째의 반송물 사이에 관통 구멍(31)을 통해 포크(63)를 삽입할 수 있는 높이까지, 바닥 부재(2a)에 적재된 반송물의 전체를 가동 스테이지(61)에 의해 들어올린다. 또한, 관통 구멍(31)의 높이가 반송물의 높이에 따라서 미리 적절하게 설계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조작을 행하지 않아도 된다. 이 조작을 행하지 않는 경우, 가대상의 바닥 부재(2a) 대신에, 대략 직육면체상의 바닥 부재(2)(도 2 등 참조)를 사용해도 된다.
계속해서, 최하단의 반송물과 아래로부터 제2단째의 반송물 사이에 관통 구멍(31)을 통해 포크(63)를 삽입하여, 제2단째 이후의 반송물을 포크(63)에 의해 들어올린다. 최하단의 반송물에 적층되어 있는 제2단째 이후의 반송물을 들어올림으로써, 최하단의 반송물이 반송 용기(300)의 전후 방향으로 개별로 출입 가능해진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포크(63)는, 측면으로 보아 기단측이 높아지는 경사상으로 마련되어 있지만, 반송물용의 승강 수단의 형상이나 기구는, 관통 구멍(31)을 통해 반송물을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한 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송물용의 승강 수단은, 그 자체가 상하로 승강하여 반송물을 들어올리는 것이어도 된다.
계속해서, 최하단의 반송물 아래에 드로워(64)를 삽입하여, 최하단의 반송물을 좌우의 측면 부재(3A)끼리의 사이로부터 취출한다. 도 11에 있어서, 드로워(64)는, 반송 용기(300)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있고, 반송물을 후방으로 인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반송 용기(300)의 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반송물을 전방으로 인출하는 구성으로 되어도 된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 드로워(64)는, 측면으로 보아 선단측이 상방을 향하여 굴곡한 클로상으로 마련되어 있지만, 반송물용의 취출 수단의 형상이나 기구는, 반송물을 대략 수평 방향으로 취출하는 것이 가능한 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송물용의 취출 수단은, 반송물을 인출하는 기구여도 되고, 반송물을 트레이 등에 압출하는 기구여도 된다.
최하단의 반송물을 취출한 후, 포크(63)를 외측으로 발출하고, 아래로부터 제2단째였던 반송물을 바닥 부재(2a)에 적재시킨다. 그 후, 아래로부터 제2단째였던 반송물을 최하단의 반송물로 하여, 최하단의 반송물의 취출의 공정을 반복한다. 반송 용기(300)로부터 취출한 반송물은, 목적의 장소에 개별로 반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반송 용기(300)나 반송 방법에 의하면, 반송물용의 승강 수단이나 반송물용의 취출 수단이 이용되기 때문에, 상하로 적층되어 반송 용기에 수용된 반송물을, 자동으로 개별로 취출할 수 있다. 반송 용기를 소정의 취출 장소에 설치하는 것만으로, 적층되어 수용되어 있던 반송물을 개별로 취출할 수 있기 때문에, 수작업에 의한 리스크나 수고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반송 용기나 반송 방법에 의하면, 상하로 적층되어 반송 용기에 수용된 반송물을, 하단측으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하단측으로부터 취출하는 경우, 가동 스테이지(61)나 스테이지 리프트(62)는, 반송물의 높이를 위치 정렬할 정도의 소형의 장치로 족하다. 관통 구멍(31)의 높이가 반송물의 높이에 따라서 미리 적절하게 설계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동 스테이지(61)나 스테이지 리프트(62)의 설치를 생략할 수도 있다. 그 때문에, 오토로더를 간이적인 구조로 마련하여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에 사용되는 취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반송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에 사용되는 취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반송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는, 상하로 적층되어 반송 용기(400)에 수용된 반송물을, 경사 가이드가 마련된 취출 장소에서, 하단측으로부터 개별로 취출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반송 용기(400)에 있어서, 좌우의 측면 부재(3B)에는, 소정의 높이에 관통 구멍(32)이 마련되어 있다. 좌우의 관통 구멍(32)은, 손잡이 부재(4)를 들어올리지 않았을 때, 최하단의 반송물보다도 낮은 위치로 되고, 손잡이 부재(4)를 중간 정도의 높이까지 들어올렸을 때, 즉,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5) 및 좌우의 상부 연결 부재(6)가 좌우의 측면 부재(3B)에 대하여 비평행한 경사 상태일 때, 최하단의 반송물보다도 높은, 아래로부터 제2단째 부근의 위치로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취출 방법에서는, 처음에, 반송물이 상하로 적층되어 수용된 반송 용기(400)를,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5) 및 좌우의 상부 연결 부재(6)가 좌우의 측면 부재(3B)에 대하여 비평행한 경사 상태가 되도록, 경사 가이드(65)가 마련된 취출 장소(60)에 설치하여, 최하단의 반송물을 좌우의 측면 부재(3B)끼리의 사이로부터 노출시킨다. 반송 용기(400)의 전방부의 개구 및 후방부의 개구는, 반송물의 전방면 및 후방면이 리브(7)로 덮이지 않을 정도로, 좌우로 중간 정도까지 확대되기 때문에, 바닥 부재(2a)의 상방의 공간이 개방된 상태로 되지만, 경사의 각도에 따라서 전체로서의 폭은 억제된다.
경사 가이드(65)는, 상면이 경사져 있고, 취출 장소(60)의 좌우에 외측이 높아지도록 좌우 대칭으로 고정된다. 경사 가이드(65)는,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5)에 경사진 상면이 면접촉하도록, 바닥 부재(2a)의 좌우 방향의 길이와 동일 정도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경사 가이드(65)의 경사의 각도는, 반송 용기(400)를 설치하였을 때, 반송물의 전방면 및 후방면이 리브(7)로 덮이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사 가이드(65)의 경사의 각도는, 반송 용기(400)의 풋 프린트를 작게 하는 관점에서는, 45도 이상이 바람직하고, 60도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75도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최하단의 반송물과 아래로부터 제2단째의 반송물 사이에 관통 구멍(32)을 통해 포크(63)를 삽입할 수 있는 높이까지, 바닥 부재(2a)에 적재된 반송물의 전체를 가동 스테이지(61)에 의해 들어올린다. 또한, 관통 구멍(32)의 높이가 반송물의 높이에 따라서 미리 적절하게 설계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조작을 행하지 않아도 된다. 이 조작을 행하지 않는 경우, 가대상의 바닥 부재(2a) 대신에, 대략 직육면체상의 바닥 부재(2)(도 2 등 참조)를 사용해도 된다.
계속해서, 최하단의 반송물과 아래로부터 제2단째의 반송물 사이에 관통 구멍(32)을 통해 포크(63)를 삽입하여, 제2단째 이후의 반송물을 포크(63)에 의해 들어올린다. 최하단의 반송물에 적층되어 있는 제2단째 이후의 반송물을 들어올림으로써, 최하단의 반송물이 반송 용기(400)의 전후 방향으로 개별로 출입 가능해진다.
계속해서, 최하단의 반송물 아래에 드로워(64)를 삽입하여, 최하단의 반송물을 좌우의 측면 부재(3B)끼리의 사이로부터 취출한다. 도 13에 있어서, 드로워(64)는, 반송 용기(400)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있고, 반송물을 후방으로 인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반송 용기(400)의 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반송물을 전방으로 인출하는 구성으로 되어도 된다.
최하단의 반송물을 취출한 후, 포크(63)를 외측으로 발출하여, 아래로부터 제2단째였던 반송물을 바닥 부재(2a)에 적재시킨다. 그 후, 아래로부터 제2단째였던 반송물을 최하단의 반송물로 하여, 최하단의 반송물의 취출의 공정을 반복한다. 반송 용기(400)로부터 취출한 반송물은, 목적의 장소에 개별로 반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반송 용기(400)나 반송 방법에 의하면, 반송물용의 승강 수단이나 반송물용의 취출 수단이 이용되기 때문에, 상하로 적층되어 반송 용기에 수용된 반송물을, 자동으로 개별로 취출할 수 있다. 반송 용기를 소정의 경사 가이드가 마련된 취출 장소에 설치하는 것만으로,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5) 및 좌우의 상부 연결 부재(6)가 좌우의 측면 부재(3B)에 대하여 비평행한 경사 상태가 되기 때문에, 수작업에 의한 리스크나 수고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반송 용기(400)의 전방측 및 후방측의 개구를 좁혀 반송물을 취출할 수 있기 때문에, 언로딩 시의 반송 용기(400)의 풋 프린트를, 반송 용기(300)의 경우와 비교하여, 작게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에 사용되는 취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반송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에 사용되는 취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반송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는, 상하로 적층되어 반송 용기(500)에 수용된 반송물을, 경사 가이드가 마련된 취출 장소에서, 하단측으로부터 개별로 취출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반송 용기(500)에 있어서, 좌우의 측면 부재(3C)에는, 소정의 높이에 관통 구멍(33)이 마련되어 있다. 좌우의 관통 구멍(33)은, 손잡이 부재(4)를 들어올리지 않았을 때, 최하단의 반송물보다도 낮은 위치로 되고, 손잡이 부재(4)를 최대보다도 약간 낮은 높이까지 들어올렸을 때, 즉,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5) 및 좌우의 상부 연결 부재(6)가 좌우의 측면 부재(3C)에 대하여 평행에 가까운 경사 상태일 때, 최하단의 반송물보다도 높은, 아래로부터 제2단째 부근의 위치로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측면 부재(3C)에 마련된 리브(7a)는, 하단부에 절결부(71)가 마련되어 있고, 하단부의 좌우 방향의 내측이 절결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좌우의 리브(7a)는, 손잡이 부재(4)를 최대보다도 약간 낮은 높이까지 들어올렸을 때, 최하단의 반송물을 좌우의 측면 부재(3C)끼리의 사이의 리브(7a)가 절결된 부위로부터 노출시키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최하단의 반송물은, 손잡이 부재(4)를 최대의 높이까지 들어올렸을 때, 절결부(71)의 외측으로 덮이도록 되어 있다. 한편, 아래로부터 제2단째 이후의 반송물은, 손잡이 부재(4)를 최대보다도 약간 낮은 높이까지 들어올렸을 때, 리브(7a)로 덮이도록 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취출 방법에서는, 처음에, 반송물이 상하로 적층되어 수용된 반송 용기(500)를,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5) 및 좌우의 상부 연결 부재(6)가 좌우의 측면 부재(3C)에 대하여 비평행한 경사 상태가 되도록, 경사 가이드(66)가 마련된 취출 장소(60)에 설치하여, 최하단의 반송물을 좌우의 측면 부재(3C)끼리의 사이의 리브(7a)가 절결된 부위로부터 노출시킨다. 반송 용기(500)의 전방부의 개구 및 후방부의 개구는, 절결부(71)의 폭에 따라서 좌우로 좁아지기 때문에, 최하단의 반송물의 전방면 및 후방면이 리브(7a)로 덮이지 않지만, 아래로부터 제2단째의 반송물의 전방면 및 후방면이 리브(7a)로 덮이는 상태로 되어, 경사의 각도나 절결부(71)의 폭에 따라서 전체로서의 폭은 억제된다.
경사 가이드(66)는, 상면이 경사져 있고, 취출 장소(60)의 좌우에 외측이 높아지도록 좌우 대칭으로 고정된다. 경사 가이드(66)는,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5)에 경사진 상면이 면접촉하도록, 바닥 부재(2a)의 좌우 방향의 길이와 동일 정도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경사 가이드(66)의 경사의 각도는, 반송 용기(500)를 설치하였을 때, 최하단의 반송물의 전방면 및 후방면이 리브(7a)로 덮이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사 가이드(66)의 경사의 각도는, 반송 용기(500)의 풋 프린트를 작게 하는 관점에서, 45도 이상이 바람직하고, 60도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75도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상기 반송 용기(400)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서, 바닥 부재(2a)에 적재된 반송물의 전체를 가동 스테이지(61)에 의해 들어올린다. 다음에, 제2단째 이후의 반송물을 포크(63)에 의해 들어올린다. 그리고, 제2단째 이후의 반송물을 들어올린 후, 최하단의 반송물 아래에 드로워(64)를 삽입하여, 최하단의 반송물을 좌우의 측면 부재(3C)끼리의 사이의 리브(7a)가 절결된 부위로부터 취출한다. 이후의 공정에서는, 아래로부터 제2단째였던 반송물을 최하단의 반송물로 하여, 최하단의 반송물의 취출의 공정을 반복한다.
이와 같은 반송 용기(500)나 반송 방법에 의하면, 반송물용의 승강 수단이나 반송물용의 취출 수단이 이용되기 때문에, 상하로 적층되어 반송 용기에 수용된 반송물을, 자동으로 개별로 취출할 수 있다. 반송 용기를 소정의 경사 가이드가 마련된 취출 장소에 설치하는 것만으로,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5) 및 좌우의 상부 연결 부재(6)가 좌우의 측면 부재(3C)에 대하여 비평행한 경사 상태가 되기 때문에, 수작업에 의한 리스크나 수고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리브(7a)의 하단부에 절결부(71)가 마련되어 있어, 반송 용기(500)의 전방측 및 후방측의 개구를 좁혀 반송물을 취출할 수 있기 때문에, 언로딩 시의 반송 용기(500)의 풋 프린트를, 반송 용기(400)의 경우와 비교하여, 한층 더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언로딩 중에, 아래로부터 제2단째 이후의 반송물의 전방측 및 후방측을 리브(7a)로 계속해서 지지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에 사용되는 취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반송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에 사용되는 취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반송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는, 상하로 적층되어 반송 용기(600)에 수용된 반송물을, 수직 가이드가 마련된 취출 장소에서, 하단측으로부터 개별로 취출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 반송물로서는, 상면측과 하면측에서 서로 끼워 맞춤 가능하고,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의 상대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 사용된다.
반송 용기(600)에 있어서, 좌우의 측면 부재(3D)에는, 소정의 높이에 관통 구멍(34)이 마련되어 있다. 좌우의 관통 구멍(34)은, 손잡이 부재(4)를 들어올리지 않았을 때나, 손잡이 부재(4)를 중간 정도의 높이까지 들어올렸을 때, 최하단의 반송물보다도 낮은 위치로 되고, 손잡이 부재(4)를 최대의 높이까지 들어올렸을 때, 즉,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5) 및 좌우의 상부 연결 부재(6)가 좌우의 측면 부재(3D)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기립 상태일 때, 최하단의 반송물보다도 높은, 아래로부터 제2단째 부근의 위치로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측면 부재(3D)에 마련된 리브(7b)는, 손잡이 부재(4)를 들어올렸을 때, 리브(7b)의 하단부가 바닥 부재(2a)의 상단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길이로 되어 있다. 좌우의 리브(7b)는, 손잡이 부재(4)를 최대의 높이까지 들어올렸을 때, 최하단의 반송물을 좌우의 측면 부재(3D)끼리의 사이의 리브(7b)보다도 하방으로부터 노출시키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취출 방법에서는, 처음에, 반송물이 상하로 적층되어 수용된 반송 용기(600)를,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5) 및 좌우의 상부 연결 부재(6)가 좌우의 측면 부재(3D)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기립 상태가 되도록, 수직 가이드(67)가 마련된 취출 장소(60)에 설치하여, 최하단의 반송물을 좌우의 측면 부재(3D)끼리의 사이의 리브(7b)보다도 하방으로부터 노출시킨다. 반송 용기(600)의 전방부의 개구 및 후방부의 개구는, 좌우로 좁아지기 때문에, 전체로서의 폭은 억제된다.
수직 가이드(67)는, 내측면이 대략 수직으로 마련되어 있고, 취출 장소(60)의 좌우에 서로 대향하도록 고정된다. 수직 가이드(67)는, 대략 수직인 내측면이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5)에 대하여 면접촉하도록, 바닥 부재(2a)의 좌우 방향의 길이와 동일 정도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계속해서, 상기 반송 용기(400)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서, 바닥 부재(2a)에 적재된 반송물의 전체를 가동 스테이지(61)에 의해 들어올린다. 다음에, 제2단째 이후의 반송물을 포크(63)에 의해 들어올린다. 제2단째 이후의 반송물은, 최하단의 반송물에 대한 끼워 맞춤이 빠지는 높이까지 들어올릴 수 있다. 그리고, 제2단째 이후의 반송물을 들어올린 후, 최하단의 반송물 아래에 드로워(64)를 삽입하여, 최하단의 반송물을 좌우의 측면 부재(3D)끼리의 사이의 리브(7b)보다도 하방으로부터 취출한다. 이후의 공정에서는, 아래로부터 제2단째였던 반송물을 최하단의 반송물로 하여, 최하단의 반송물의 취출의 공정을 반복한다.
이와 같은 반송 용기(600)나 반송 방법에 의하면, 반송물용의 승강 수단이나 반송물용의 취출 수단이 이용되기 때문에, 상하로 적층되어 반송 용기에 수용된 반송물을, 자동으로 개별로 취출할 수 있다. 반송 용기를 소정의 수직 가이드가 마련된 취출 장소에 설치하는 것만으로, 손잡이 부재(4)를 놓아도,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5) 및 좌우의 상부 연결 부재(6)가 좌우의 측면 부재(3D)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기립 상태가 되기 때문에, 수작업에 의한 리스크나 수고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리브(7b)의 하방이 개방되어 있어, 반송 용기(600)의 전방측 및 후방측의 개구를 좁혀 반송물을 취출할 수 있기 때문에, 언로딩 시의 반송 용기(600)의 풋 프린트를, 반송 용기(500)의 경우와 비교하여, 한층 더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언로딩 중에, 아래로부터 제2단째 이후의 반송물의 전방측 및 후방측을 리브(7b)로 계속해서 지지할 수 있다. 최하단의 반송물은, 이와 같은 전방측 및 후방측이 지지된 제2단째 이후의 반송물에 끼워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리브(7b)의 하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기 어려워진다.
도 18 내지 도 21에는, 상하로 적층되어 반송 용기에 수용된 반송물을, 상단측으로부터 개별로 취출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8 내지 도 21에 있어서, 오토로더는, 바닥 부재(2a)에 적재되어 있는 반송물의 전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가동 스테이지(반송물용의 승강 수단)(61a)와, 가동 스테이지(61a)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스테이지 리프트(62)와, 반송물을 수평 방향으로 인발하는 롤러식 로더(반송물용의 취출 수단)(80)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 스테이지(61a)는, 도 10 내지 도 17에 도시한 가동 스테이지(61)와는 달리, 드로워(64)를 삽입하기 위한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 구조를 갖고 있지 않고, 평판상의 가대로서 마련되어 있다.
롤러식 로더(80)는, 접촉한 반송물을 회전에 의한 마찰로 이동시키는 롤러(81)와, 롤러(81)의 회전 운동을 구동하는 구동축(82)과, 롤러(81)를 바닥 부재(2a)의 상방의 공간에 대하여 진퇴시키는 가동 부재(83)를 구비하고 있다. 롤러식 로더(80)의 하방에는, 롤러(81)에 의해 인출된 반송물을 받기 위한 가동 트레이(84)가, 바닥 부재(2a)의 상방의 공간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한 반송 용기에 있어서, 반송 용기의 저부에는, 대략 직육면체상의 바닥 부재(2)(도 2 등 참조) 대신에, 가대상의 바닥 부재(2b)가 구비되어 있다. 가대상의 바닥 부재(2b)는, 반송물의 하면의 좌우 방향의 외연부만을 지지하는 프레임상의 구조로 마련되어 있다. 가대상의 바닥 부재(2b)는, 바닥 부재(2b)에 적재된 반송물의 하방으로부터 가동 스테이지(61a)를 삽입하기 위한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 구조를 갖고 있다. 단, 가대상의 바닥 부재(2b)는, 상기 바닥 부재(2a)와는 달리,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 구조에 대해서는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한 반송 용기에 있어서, 반송 용기의 좌우의 측부에는, 측면 부재(3)(도 1 등 참조) 대신에, 소정의 형상의 리브(7c, 7d)를 갖는 측면 부재(3E, 3F)가 구비되어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에 사용되는 취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반송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에 사용되는 취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반송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에는, 상하로 적층되어 반송 용기(700)에 수용된 반송물을, 경사 가이드가 마련된 취출 장소에서, 상단측으로부터 개별로 취출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반송 용기(700)에 있어서, 좌우의 측면 부재(3E)에 마련된 리브(7c)는, 상단부에 절결부(72)가 마련되어 있고, 상단부의 좌우 방향의 내측이 절결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좌우의 리브(7c)는, 손잡이 부재(4)를 최저보다도 약간 높은 높이까지 들어올렸을 때, 최상단의 반송물을 좌우의 측면 부재(3E)끼리의 사이의 리브(7c)가 절결된 부위로부터 노출시키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최상단의 반송물은, 손잡이 부재(4)를 최대의 높이까지 들어올렸을 때, 절결부(72)의 외측으로 덮이도록 되어 있다. 한편, 위로부터 제2단째 이후의 반송물은, 손잡이 부재(4)를 최저보다도 약간 높은 높이까지 들어올렸을 때, 리브(7c)로 덮이도록 되어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취출 방법에서는, 처음에, 반송물이 상하로 적층되어 수용된 반송 용기(700)를,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5) 및 좌우의 상부 연결 부재(6)가 좌우의 측면 부재(3E)에 대하여 비평행한 경사 상태가 되도록, 경사 가이드(68)가 마련된 취출 장소(60)에 설치한다. 반송 용기(700)의 전방부의 개구 및 후방부의 개구는, 절결부(72)의 폭에 따라서 좌우로 좁은 상태 그대로이기 때문에, 경사의 각도나 절결부(72)의 폭에 따라서 전체로서의 폭은 억제된다.
경사 가이드(68)는, 상기 경사 가이드(66)와 마찬가지로, 상면이 경사져 있고, 취출 장소(60)의 좌우에 외측이 높아지도록 좌우 대칭으로 고정된다. 경사 가이드(68)의 경사의 각도는, 반송 용기(700)의 풋 프린트를 작게 하는 관점에서, 45도 이상이 바람직하고, 60도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75도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최상단의 반송물이 좌우의 측면 부재(3E)끼리의 사이의 리브(7c)가 절결된 부위에 노출되는 높이까지, 바닥 부재(2a)에 적재된 반송물의 전체를 가동 스테이지(61a)에 의해 들어올린다. 반송물의 전체를 들어올림으로써, 최상단의 반송물이, 좌우의 측면 부재(3E)끼리의 사이의 리브(7c)가 절결된 부위로부터 반송 용기(700)의 전후 방향으로 출입 가능해진다.
계속해서, 최상단의 반송물 상에 롤러식 로더(80)를 삽입하고, 롤러(81)를 회전시켜, 최상단의 반송물을 좌우의 측면 부재(3E)끼리의 사이의 리브(7c)가 절결된 부위로부터 취출한다. 도 19에 있어서, 롤러식 로더(80)는, 반송 용기(700)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있고, 반송물을 후방으로 인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반송 용기(700)의 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반송물을 전방으로 인출하는 구성으로 되어도 된다.
롤러식 로더(80)는, 가동 부재(83)의 선단에 지지되어 있는 롤러(81)가 최상단의 반송물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삽입된다. 또한, 최상단의 반송물의 후방에는, 최상단의 반송물의 높이에 맞추어, 가동 트레이(84)가 배치된다. 반송물의 상면에 접촉한 롤러(81)는, 모터에 접속된 구동축(82)에 의해 회전 운동이 구동된다. 최상단의 반송물은, 롤러(81)의 회전 운동에 의한 마찰로 후방으로 취출되어, 가동 트레이(84)에 적재된다.
최상단의 반송물을 취출한 후, 바닥 부재(2b)에 적재된 반송물의 전체를 가동 스테이지(61a)에 의해 들어올린다. 그 후, 위로부터 제2단째였던 반송물을 최상단의 반송물로 하여, 최상단의 반송물의 취출의 공정을 반복한다. 반송 용기(700)로부터 취출한 반송물은, 목적의 장소에 개별로 반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반송 용기(700)나 반송 방법에 의하면, 반송물용의 승강 수단이나 반송물용의 취출 수단이 이용되기 때문에, 상하로 적층되어 반송 용기에 수용된 반송물을, 자동으로 개별로 취출할 수 있다. 반송 용기를 소정의 경사 가이드가 마련된 취출 장소에 설치하는 것만으로,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5) 및 좌우의 상부 연결 부재(6)가 좌우의 측면 부재(3E)에 대하여 비평행한 경사 상태로 되기 때문에, 수작업에 의한 리스크나 수고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리브(7c)의 상단부에 절결부(72)가 마련되어 있어, 반송 용기(700)의 전방측 및 후방측의 개구를 좁혀 반송물을 취출할 수 있기 때문에, 언로딩 시의 반송 용기(700)의 풋 프린트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단측으로부터 취출하는 방법에 의하면, 좌우의 측면 부재(3E)에 관통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반송 용기(700)를 보다 간이적인 구조로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언로딩 중에, 위로부터 제2단째 이후의 반송물의 전방측 및 후방측을 리브(7c)로 계속해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반송 방법은, 최상단의 반송물을 수평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는 점에서,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의 상대 위치가 고정되지 않는 반송물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에 사용되는 취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반송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에 사용되는 취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반송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에는, 상하로 적층되어 반송 용기(800)에 수용된 반송물을, 수직 가이드가 마련된 취출 장소에서, 상단측으로부터 개별로 취출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반송 용기(800)에 있어서, 좌우의 측면 부재(3F)에 마련된 리브(7d)는, 상기 리브(7c)와는 달리, 상단부에 절결부(72)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한, 리브(7d)는, 상기 리브(7a)와는 달리, 하단부에 절결부(71)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한, 리브(7d)는, 상기 리브(7b)와는 달리, 손잡이 부재(4)를 들어올렸을 때, 리브(7d)의 하단부가 바닥 부재(2b)의 상단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길이로 마련되어 있지 않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취출 방법에서는, 처음에, 반송물이 상하로 적층되어 수용된 반송 용기(800)를,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5) 및 좌우의 상부 연결 부재(6)가 좌우의 측면 부재(3F)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기립 상태가 되도록, 수직 가이드(69)가 마련된 취출 장소(60)에 설치한다. 반송 용기(800)의 전방부의 개구 및 후방부의 개구는, 좌우로 좁은 상태 그대로이기 때문에, 전체로서의 폭은 억제된다.
수직 가이드(69)는, 상기 수직 가이드(67)와 마찬가지로, 내측면이 대략 수직으로 마련되어 있고, 취출 장소(60)의 좌우에 서로 대향하도록 고정된다. 수직 가이드(69)는, 대략 수직인 내측면이,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5)에 대하여 면접촉하도록, 바닥 부재(2b)의 좌우 방향의 길이와 동일 정도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계속해서, 최상단의 반송물이 좌우의 측면 부재(3F)끼리의 사이의 리브(7d)보다도 상방에 노출되는 높이까지, 바닥 부재(2b)에 적재된 반송물의 전체를 가동 스테이지(61a)에 의해 들어올린다. 반송물의 전체를 들어올림으로써, 최상단의 반송물이, 좌우의 측면 부재(3F)끼리의 사이의 리브(7d)보다도 상방으로부터 반송 용기(800)의 전후 방향으로 출입 가능해진다.
계속해서, 최상단의 반송물 상에 롤러식 로더(80)를 삽입하고, 롤러(81)를 회전시켜, 최상단의 반송물을 좌우의 측면 부재(3F)끼리의 사이의 리브(7d)보다도 상방으로부터 취출한다. 도 21에 있어서, 롤러식 로더(80)는, 반송 용기(800)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있고, 반송물을 후방으로 인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반송 용기(800)의 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반송물을 전방으로 인출하는 구성으로 되어도 된다.
최상단의 반송물을 취출한 후, 바닥 부재(2b)에 적재된 반송물의 전체를 가동 스테이지(61a)에 의해 들어올린다. 그 후, 위로부터 제2단째였던 반송물을 최상단의 반송물로 하여, 최상단의 반송물의 취출의 공정을 반복한다. 반송 용기(800)로부터 취출한 반송물은, 목적의 장소에 개별로 반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반송 용기(800)나 반송 방법에 의하면, 반송물용의 승강 수단이나 반송물용의 취출 수단이 이용되기 때문에, 상하로 적층되어 반송 용기에 수용된 반송물을, 자동으로 개별로 취출할 수 있다. 반송 용기를 소정의 수직 가이드가 마련된 취출 장소에 설치하는 것만으로, 손잡이 부재(4)로부터 손을 놓아도,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5) 및 좌우의 상부 연결 부재(6)가 좌우의 측면 부재(3F)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기립 상태가 되기 때문에, 수작업에 의한 리스크나 수고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리브(7d)의 상방이 개방되어 있어, 반송 용기(800)의 전방측 및 후방측의 개구를 좁혀 반송물을 취출할 수 있기 때문에, 언로딩 시의 반송 용기(800)의 풋 프린트를, 반송 용기(700)의 경우와 비교하여, 한층 더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단측으로부터 취출하는 방법에 의하면, 좌우의 측면 부재(3F)에 관통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리브(7d)에 절결부(72)를 마련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반송 용기(800)를 보다 간이적인 구조로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언로딩 중에, 위로부터 제2단째 이후의 반송물의 전방측 및 후방측을 리브(7d)로 계속해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반송 방법은, 최상단의 반송물을 수평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는 점에서,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의 상대 위치가 고정되지 않는 반송물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다른 반송 용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의 반송물이 수용된 접지 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의 반송 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물의 반송에 사용되는 반송 용기는, 손잡이 부재(4)를 들어올렸을 때, 바닥 부재(2)에 적재된 반송물의 전방면 및 후방면의 전체를 좌우의 리브(7f)에 의해 덮는 폭의 리브(7f)를 구비한 형태(반송 용기(900))로 할 수도 있다.
도 22 및 도 23에 있어서, 리브(7f)는, 우측의 측면 부재(3G)의 전단 및 후단과, 좌측의 측면 부재(3G)의 전단 및 후단에, 대략 직육면체상의 얇은 판재로서 마련되어 있다. 리브(7f)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각각, 바닥 부재(2)의 좌우 방향의 길이의 절반 정도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반송 용기(900)의 저부에는, 바닥 부재(2) 대신에,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바닥 부재(2a)(도 10 등 참조)나, 상하 방향으로만 관통된 바닥 부재(2b)(도 18 등 참조)를 구비해도 된다.
이와 같은 리브(7f)를 마련하면, 바닥 부재(2)에 적재된 반송물을 전방 및 후방의 각각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브(7f)에 의해 반송물을 차광할 수 있다. 반송물이 분광 분석 등에 제공되는 마이크로플레이트 등이며, 광 감수성의 시약이 넣어져 있는 경우 등에, 적절한 반송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송물의 상방을 차광하고 싶은 경우, 차광재를 반송물에 적층해도 되고, 차광재를 손잡이 부재(4) 등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도 22 및 도 23에 있어서, 리브(7f)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각각, 바닥 부재(2)의 좌우 방향의 길이의 절반 정도로 마련되어 있지만, 반송물의 전방면 및 후방면의 전체를 좌우의 리브(7f)에 의해 덮는 것이 가능하고, 손잡이 부재(4)를 들어올리지 않았을 때, 반송물의 출입이 가능한 한, 좌우에서 다른 길이로 마련해도 된다.
도 2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의 반송물이 수용된 접지 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반송 용기의 반송 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물의 반송에 사용되는 반송 용기는, 측면 부재(3)의 전후 방향의 단부로부터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도어(8)를 구비한 형태(반송 용기(1000))로 할 수도 있다.
도 24 및 도 25에 있어서, 좌우의 측면 부재(3)의 전단에는,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리브(7)(도 1 등 참조) 대신에,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도어(8)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측면 부재(3)의 후단에는, 손잡이 부재(4)를 들어올리지 않았을 때 바닥 부재(2)에 적층되어 있는 반송물의 출입이 가능한 정도의 좌우 방향의 길이(폭)를 갖는 리브(7g)가 마련되어 있다.
도어(8)는, 편개의 도어로 되어 있고, 좌측의 측면 부재(3)의 전단측에,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어(8)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바닥 부재(2)에 적재된 반송물의 전체를 전방으로부터 덮는 높이가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어(8)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바닥 부재(2)의 좌우 방향의 길이와 동일 정도로 마련되어 있다.
도어(8)와 좌측의 측면 부재(3)에는, 닫은 도어(8)를 측면 부재(3)에 걸림 지지하기 위한 고정구(91, 92)가 구비되어 있다. 도 24 및 도 25에 있어서, 고정구(91, 92)로서는, 훅(91)과, 훅(91)을 걸림 지지 가능한 탭(92)이 구비되어 있다. 훅(91)은, 좌측의 측면 부재(3)의 전단측에 고정된 축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탭(92)은, 도어(8)의 선단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훅(91)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8)가 닫혔을 때, 축 주위로 회동시키면, 탭(92)에 걸릴 수 있다. 탭(92)에 걸림 지지된 훅(91)은, 도어(8)를 닫은 상태로 유지함과 함께, 측면 부재(3)에 연결한 하부 연결 부재(5)나 상부 연결 부재(6)를 기립 상태로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훅(91)은, 반대의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탭(92)으로부터 뺄 수 있다.
고정구(91, 92)로서는, 상기 고정구(51, 52)와 마찬가지로, 훅(91)과 탭(92) 대신에, 훅이 구멍에 걸리는 걸쇠나, 슬라이드형 래치, 레버형 래치, 푸시형 래치, 박스형 래치 등을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은 개폐 가능한 도어(8)를 마련하면, 도어(8)의 폐쇄 시에는, 수용되어 있는 반송물을 도어(8)로 차광, 지지, 보호하거나 할 수 있고, 도어(8)의 개방 시에는, 바닥 부재(2)의 상방의 공간을 개방하여, 반송물의 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닫은 도어(8)를 고정구(91, 92)로 걸림 지지하는 구조에 의하면, 손잡이 부재(4)를 들어올리지 않은 경우라도, 측면 부재(3) 등이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4 및 도 25에 있어서, 고정구(91, 92)로서는, 좌측의 측면 부재(3)의 전단측에 훅(91)이 구비되어 있고, 도어(8)의 선단측에 탭(92)이 구비되어 있지만, 도어(8)에 훅(91)을 구비하고, 측면 부재(3)에 탭(92)을 구비해도 된다. 또한, 도어(8)를 좌측 개방으로 하여, 도어(8) 및 고정구(91, 92)를 좌우의 반대측에 구비해도 되고, 도어(8) 및 고정구(91, 92)를 전후의 반대측에 구비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술적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다양한 변형예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는,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어떤 실시 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구성으로 치환하거나, 어떤 실시 형태의 구성에 다른 구성을 추가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어떤 실시 형태의 구성의 일부에 대하여, 다른 구성의 추가, 구성의 삭제, 구성의 치환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측면 부재(3)와의 이루는 각이 둔각이 되도록 마련된 리브(7)의 구성이나, 기립 상태의 상부 연결 부재(6)를 기립 상태의 측면 부재(3)에 걸림 지지하기 위한 고정구(51, 52)의 구성이나, 도어(8) 및 고정구(91, 92)의 구성은, 도 10 내지 도 25에 도시한 각 반송 용기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반송 용기에 있어서, 상하로 적층 가능한 반송물로서는, 부호 1로 표시되는 플레이트상의 반송물이 도시되어 있지만, 반송물로서는, 횡단면의 외형이 직사각 형상인 물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송물은, 상하로 적층 가능하고, 측방이 측면 부재(3)로 지지되는 한, 임의의 물체여도 된다. 반송물의 구체예로서는, 마이크로플레이트나, 시험용이나 배양용의 디시, 베셀이나, 반도체 집적 회로 등의 정밀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반송 용기에 있어서, 좌우의 측면 부재(3),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5), 및, 좌우의 상부 연결 부재(6)는, 판재로서 마련되어 있지만, 메쉬상, 격자상 등의 부재로서 마련해도 된다. 또한, 바닥 부재(2)나 손잡이 부재(4)는, 적당한 형상이나, 적당한 상하 방향의 길이로 마련할 수 있다. 손잡이 부재(4)는, 손잡이가 설치된 판재 등이어도 된다.
또한, 바닥 부재(2), 좌우의 측면 부재(3), 손잡이 부재(4),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5), 및, 좌우의 상부 연결 부재(6)에 관하여, 전후 방향의 길이, 좌우 방향의 길이, 상하 방향의 길이 등은,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용기 구조가 유지되는 한, 반드시, 서로 동일 정도로 마련될 필요는 없고, 마찬가지의 작용을 발휘하는 한, 서로 다른 길이나 형상으로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반송 용기에 있어서, 힌지(10)는, 각 부재간의 변의 전체 길이에 걸쳐 마련되어 있지만, 부재간을 연결하는 구조는, 이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힌지(10)는, 각 부재간의 변의 일부분에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힌지(10)는, 회전축이 각 부재의 외측면에 마련되어도 된다.
1: 반송물
2, 2a, 2b: 바닥 부재
3: 측면 부재
4: 손잡이 부재
5: 하부 연결 부재
6: 상부 연결 부재
7: 리브
8: 도어
10: 힌지
31, 32, 33, 34: 관통 구멍
51: 훅(고정구)
52: 스터드(고정구)
61, 61a: 가동 스테이지(반송물용의 승강 수단)
62: 스테이지 리프트
63: 포크(반송물용의 승강 수단)
64: 드로워(반송물용의 취출 수단)
65, 66, 68: 경사 가이드
67, 69: 수직 가이드
71, 72: 절결부
80: 롤러식 로더
81: 롤러
82: 구동축
83: 가동 부재
84: 가동 트레이
91: 훅(고정구)
92: 탭(고정구)
100, 200, 300, 400, 500: 반송 용기
600, 700, 800, 900, 1000: 반송 용기

Claims (19)

  1. 반송물의 반송에 사용되는 반송 용기이며,
    반송물이 적재되는 바닥 부재와,
    상기 바닥 부재의 측방에 배치되는 좌우의 측면 부재와,
    상기 바닥 부재의 상방에 배치되는 손잡이 부재와,
    상기 바닥 부재와 상기 측면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와,
    상기 측면 부재와 상기 손잡이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의 상부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 부재와 상기 하부 연결 부재, 상기 하부 연결 부재와 상기 측면 부재, 상기 측면 부재와 상기 상부 연결 부재, 및, 상기 상부 연결 부재와 상기 손잡이 부재는, 각각, 상기 바닥 부재의 좌우의 측면에 대하여 평행 또한 수평한 회전축을 갖는 좌우의 힌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 부재를 들어올리지 않았을 때, 상기 하부 연결 부재 및 상기 상부 연결 부재는, 상기 측면 부재에 대하여 비평행한 옆으로 누운 상태로 되고, 상기 측면 부재는, 상기 바닥 부재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손잡이 부재를 들어올렸을 때, 상기 하부 연결 부재 및 상기 상부 연결 부재는, 기립 상태로 되고, 상기 측면 부재는, 상기 바닥 부재에 근접하여, 상기 바닥 부재에 적재된 상기 반송물을 측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반송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부재의 전단 및 후단에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손잡이 부재를 들어올렸을 때, 상기 바닥 부재에 적재된 상기 반송물을 전방 및 후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반송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측면 부재의 하단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반송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반송 용기의 평면으로 보아, 상기 측면 부재와의 이루는 각이 둔각인 반송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기립 상태의 상기 하부 연결 부재 또는 기립 상태의 상기 상부 연결 부재를 기립 상태의 상기 측면 부재에 걸림 지지하기 위한 고정구를 구비하는 반송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부재는, 상기 바닥 부재에 적재된 상기 반송물끼리의 사이에 반송물용의 승강 수단을 삽입하기 위한 관통 구멍을 갖는 반송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부재의 전후 방향의 단부에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리브의 하단부의 좌우 방향의 내측이 절결된 형상인 반송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부재의 전후 방향의 단부에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손잡이 부재를 들어올렸을 때, 상기 리브의 하단부가 상기 바닥 부재의 상단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길이인 반송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부재는, 상기 바닥 부재에 적재된 상기 반송물의 하방으로부터 반송물용의 승강 수단을 삽입하기 위한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 구조를 갖는 반송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부재의 전후 방향의 단부에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리브의 상단부의 좌우 방향의 내측이 절결된 형상인 반송 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부재의 전후 방향의 단부에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손잡이 부재를 들어올렸을 때, 상기 바닥 부재에 적재된 상기 반송물의 전방면 및 후방면의 전체를 좌우의 상기 리브에 의해 덮는 폭인 반송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부재의 전후 방향의 단부에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손잡이 부재를 들어올렸을 때 상기 바닥 부재에 적재된 상기 반송물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의 전체를 덮는 폭인 반송 용기.
  13. 상하로 적층되어 반송 용기에 수용된 반송물을 개별로 취출하는 반송 방법이며,
    반송물의 반송에 사용되는 반송 용기이며,
    반송물이 적재되는 바닥 부재와,
    상기 바닥 부재의 측방에 배치되는 좌우의 측면 부재와,
    상기 바닥 부재의 상방에 배치되는 손잡이 부재와,
    상기 바닥 부재와 상기 측면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의 하부 연결 부재와,
    상기 측면 부재와 상기 손잡이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의 상부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 부재와 상기 하부 연결 부재, 상기 하부 연결 부재와 상기 측면 부재, 상기 측면 부재와 상기 상부 연결 부재, 및, 상기 상부 연결 부재와 상기 손잡이 부재는, 각각, 상기 바닥 부재의 좌우의 측면에 대하여 평행 또한 수평한 회전축을 갖는 좌우의 힌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 부재를 들어올리지 않았을 때, 상기 하부 연결 부재 및 상기 상부 연결 부재는, 상기 측면 부재에 대하여 비평행한 옆으로 누운 상태로 되고, 상기 측면 부재는, 상기 바닥 부재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손잡이 부재를 들어올렸을 때, 상기 하부 연결 부재 및 상기 상부 연결 부재는, 기립 상태로 되고, 상기 측면 부재는, 상기 바닥 부재에 근접하여, 상기 바닥 부재에 적재된 상기 반송물을 측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구조이며,
    상기 반송물이 상하로 적층되어 수용된 상기 반송 용기를, 상기 하부 연결 부재 및 상기 상부 연결 부재가, 상기 측면 부재에 대하여 비평행한 옆으로 누운 상태가 되도록, 언로딩 장소에 설치하고,
    상기 바닥 부재에 적재된 상기 반송물을 좌우의 상기 측면 부재끼리의 사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취출하는 반송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부재는, 상기 바닥 부재에 적재된 상기 반송물끼리의 사이에 반송물용의 승강 수단을 삽입하기 위한 관통 구멍을 갖고 있고,
    상기 반송물이 상하로 적층되어 수용된 상기 반송 용기를, 상기 하부 연결 부재 및 상기 상부 연결 부재가, 상기 측면 부재에 대하여 비평행한 옆으로 누운 상태가 되도록, 언로딩 장소에 설치하고,
    상기 바닥 부재에 적재된 최하단의 상기 반송물과 아래로부터 제2단째의 상기 반송물 사이에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상기 승강 수단을 삽입하여, 제2단째 이후의 상기 반송물을 들어올리고,
    최하단의 상기 반송물을 좌우의 상기 측면 부재끼리의 사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취출하는 반송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용기는, 상기 측면 부재의 전후 방향의 단부에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리브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리브는, 상기 리브의 하단부의 좌우 방향의 내측이 절결된 형상이며,
    상기 반송물이 상하로 적층되어 수용된 상기 반송 용기를, 상기 하부 연결 부재 및 상기 상부 연결 부재가 상기 측면 부재에 대하여 비평행한 경사 상태가 되도록, 좌우 방향의 외측을 향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사 가이드가 마련된 언로딩 장소에 설치하여, 최하단의 상기 반송물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을 좌우의 상기 측면 부재끼리의 사이의 상기 리브가 절결된 부위로부터 노출시키고,
    상기 바닥 부재에 적재된 최하단의 상기 반송물과 아래로부터 제2단째의 상기 반송물 사이에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상기 승강 수단을 삽입하여, 제2단째 이후의 상기 반송물을 들어올리고,
    최하단의 상기 반송물을 좌우의 상기 측면 부재끼리의 사이의 상기 리브가 절결된 부위로부터 취출하는 반송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용기는, 상기 측면 부재의 전후 방향의 단부에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리브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리브는, 상기 손잡이 부재를 들어올렸을 때, 상기 리브의 하단부가 상기 바닥 부재의 상단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길이이며,
    상기 반송물이 상하로 적층되어 수용된 상기 반송 용기를, 상기 하부 연결 부재 및 상기 상부 연결 부재가 상기 측면 부재에 대하여 비평행한 경사 상태가 되도록, 좌우 방향의 외측을 향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사 가이드가 마련된 언로딩 장소에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하부 연결 부재 및 상기 상부 연결 부재가 기립 상태가 되도록, 좌우 방향의 내측면이 수직으로 마련된 언로딩 장소에 설치하여, 최하단의 상기 반송물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을 좌우의 상기 측면 부재끼리의 사이의 상기 리브보다도 하방으로부터 노출시키고,
    상기 바닥 부재에 적재된 최하단의 상기 반송물과 아래로부터 제2단째의 상기 반송물 사이에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상기 승강 수단을 삽입하여, 제2단째 이후의 상기 반송물을 들어올리고,
    최하단의 상기 반송물을 좌우의 상기 측면 부재끼리의 사이의 상기 리브보다도 하방으로부터 취출하는 반송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부재는, 상기 바닥 부재에 적재된 상기 반송물의 하방으로부터 반송물용의 승강 수단을 삽입하기 위한 관통 구멍을 갖고 있고,
    상기 반송물이 상하로 적층되어 수용된 상기 반송 용기를, 상기 하부 연결 부재 및 상기 상부 연결 부재가 상기 측면 부재에 대하여 비평행한 옆으로 누운 상태가 되도록, 언로딩 장소에 설치하고,
    상기 바닥 부재에 적재된 최하단의 상기 반송물의 하방으로부터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상기 승강 수단을 삽입하여, 전단의 상기 반송물을 들어올리고,
    최상단의 상기 반송물을 좌우의 상기 측면 부재끼리의 사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취출하는 반송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용기는, 상기 측면 부재의 전후 방향의 단부에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리브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리브는, 상기 리브의 상단부의 좌우 방향의 내측이 절결된 형상이며,
    상기 반송물이 상하로 적층되어 수용된 상기 반송 용기를, 상기 하부 연결 부재 및 상기 상부 연결 부재가 상기 측면 부재에 대하여 비평행한 경사 상태가 되도록, 좌우 방향의 외측을 향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사 가이드가 마련된 언로딩 장소에 설치하여, 최상단의 상기 반송물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을 좌우의 상기 측면 부재끼리의 사이의 상기 리브가 절결된 부위로부터 노출시키고,
    최상단의 상기 반송물을 좌우의 상기 측면 부재끼리의 사이의 상기 리브가 절결된 부위로부터 취출하는 반송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용기는, 상기 측면 부재의 전후 방향의 단부에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리브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리브는, 상기 손잡이 부재를 들어올렸을 때, 상기 리브의 상단부가 상기 손잡이 부재의 하단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길이이며,
    상기 반송물이 상하로 적층되어 수용된 상기 반송 용기를, 상기 하부 연결 부재 및 상기 상부 연결 부재가 상기 측면 부재에 대하여 비평행한 경사 상태가 되도록, 좌우 방향의 외측을 향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사 가이드가 마련된 언로딩 장소에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하부 연결 부재 및 상기 상부 연결 부재가 기립 상태가 되도록, 좌우 방향의 내측면이 수직으로 마련된 언로딩 장소에 설치하여, 최상단의 상기 반송물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을 좌우의 상기 측면 부재끼리의 사이의 상기 리브보다도 상방으로부터 노출시키고,
    최상단의 상기 반송물을 좌우의 상기 측면 부재끼리의 사이의 상기 리브보다도 상방으로부터 취출하는 반송 방법.
KR1020227041482A 2020-07-01 2020-07-01 반송 용기 및 반송 방법 KR202300030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25911 WO2022003877A1 (ja) 2020-07-01 2020-07-01 搬送容器および搬送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090A true KR20230003090A (ko) 2023-01-05

Family

ID=79314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1482A KR20230003090A (ko) 2020-07-01 2020-07-01 반송 용기 및 반송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64890A1 (ko)
EP (1) EP4177182A4 (ko)
JP (1) JP7397988B2 (ko)
KR (1) KR20230003090A (ko)
CN (1) CN115485207B (ko)
WO (1) WO202200387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62360A (ja) 2016-10-11 2018-04-19 株式会社ワンビシアーカイブズ ドライシッパー用ラック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69651A (en) * 1959-01-10 1961-06-07 Alan Fletcher Jones Egg packing device
JPS59124283A (ja) * 1982-12-31 1984-07-18 日綜産業株式会社 折りたたみ自在なコンテナ
JPS6077861A (ja) * 1983-09-27 1985-05-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コンテナ
JPH05319432A (ja) * 1992-05-18 1993-12-03 Shinko:Kk 折畳み可能な通い箱
JPH08104354A (ja) * 1994-10-04 1996-04-23 Nikko Kogyo Kk 折りたたみ式収納枠
JP3026384U (ja) * 1995-12-27 1996-07-12 株式会社三洋 トラック搭載用粉粒体搬送容器
JPH09240720A (ja) * 1996-03-07 1997-09-16 Mochida Shoko Kk 包装用シート
JP3771840B2 (ja) 2001-12-27 2006-04-26 アロカ株式会社 マイクロプレート搬送装置
JP2006256639A (ja) * 2005-03-15 2006-09-28 Fuji Photo Film Co Ltd 平版印刷版の梱包構造
CN2928700Y (zh) * 2006-04-13 2007-08-01 许永泉 一种包装盒
JP5226508B2 (ja) * 2006-05-16 2013-07-03 ローツェ株式会社 シャトル型搬送装置
JP2009046212A (ja) * 2007-08-15 2009-03-05 Asyst Technologies Japan Inc 搬送システム
EP2169405A2 (en) 2008-09-30 2010-03-31 F.Hoffmann-La Roche Ag Robotic Store
JP2011131229A (ja) * 2009-12-24 2011-07-07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レーザ加工方法及びレーザ加工装置並びにソーラパネル製造方法
JP5429566B2 (ja) * 2010-05-17 2014-02-26 株式会社ダイフク 書籍搬送用トレー及びピッキング設備
JP5872696B2 (ja) * 2012-07-25 2016-03-01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分析装置
CN203497287U (zh) * 2013-08-07 2014-03-26 深圳市裕同包装科技股份有限公司 可折叠式便携包装盒
JP6307607B2 (ja) * 2014-07-07 2018-04-04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分析装置および分析方法
JP6564590B2 (ja) * 2015-03-16 2019-08-21 株式会社日立物流 廃棄物運搬用折り畳みコンテナ
JP6766584B2 (ja) * 2016-10-19 2020-10-14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3209427U (ja) * 2016-12-21 2017-03-16 エム施工株式会社 U字溝用コンクリート製甲蓋成型型枠の収納具
JP6946150B2 (ja) * 2017-11-08 2021-10-06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 自動分析装置
JP3214717U (ja) * 2017-11-16 2018-02-01 ライフ工業株式会社 角型密閉容器
CN111003354B (zh) * 2019-12-25 2022-05-24 湖州华普钢杆制造有限公司 一种堆叠型灯杆放置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62360A (ja) 2016-10-11 2018-04-19 株式会社ワンビシアーカイブズ ドライシッパー用ラ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64890A1 (en) 2023-08-24
CN115485207A (zh) 2022-12-16
JPWO2022003877A1 (ko) 2022-01-06
CN115485207B (zh) 2023-08-15
WO2022003877A1 (ja) 2022-01-06
EP4177182A4 (en) 2024-02-28
EP4177182A1 (en) 2023-05-10
JP7397988B2 (ja) 2023-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42787B (zh) 一种自助杂货存取的终端及其内移动杂货箱的装置
US8574495B2 (en) Apparatus for automatic analysis of samples on gel cards
ES2643134T3 (es) Sistema y método para el procesamiento de muestras líquidas
JP5566484B2 (ja) 試料試験管ラックを取り扱う研究室システム、試料試験管ラックの配列要素およびラックトレイ受承組立体
JP4454904B2 (ja) 自動分析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部品供給装置
EP3435091B1 (en) Automatic analysis device
JPH02105062A (ja) アナライザ
JP6837362B2 (ja) 自動分析装置
JP2003262642A (ja) 自動分析装置
JP5378284B2 (ja) 容器供給装置及び試料分析装置
JPH0933541A (ja) プローブチップトレイの装填装置
KR20230003090A (ko) 반송 용기 및 반송 방법
JP4021311B2 (ja) 自動倉庫システム
WO2010041482A1 (ja) サンプルラック供給装置
JP7221997B2 (ja) 自動分析器
TWI222950B (en) Container for conveying plate-like object
JP5276085B2 (ja) 箱状物ストッカ
US20200150139A1 (en) Receptacle terminal
JPH09305853A (ja) 自動販売機
JP2003068840A (ja) 液晶ガラス基板収納用カセット
JP2002189032A (ja) バーコード読み取り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