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888A - 스피커 및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스피커 및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888A
KR20230002888A KR1020227040493A KR20227040493A KR20230002888A KR 20230002888 A KR20230002888 A KR 20230002888A KR 1020227040493 A KR1020227040493 A KR 1020227040493A KR 20227040493 A KR20227040493 A KR 20227040493A KR 20230002888 A KR20230002888 A KR 20230002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dome
vibrating plate
plate
ion co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0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수 첸
빈 루오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02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8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0Transducer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s H04R9/00 - H04R21/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53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using an acoustic labyrinth or a transmission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3Transducers capable of generating both sound as well as tactile vibration, e.g. as used in cellular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01General technical reviews, overviews, tutor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형체 및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하부 케이스, 중간 케이스, 전기 진동 플레이트와 돔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케이스, 상기 중간 케이스 및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는 함께 수용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평형체는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의 제1 표면과 상호 연결되며; 상기 돔은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의 상기 평형체와 떨어진 제2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에 전압을 인가하면,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돔이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스피커 및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피커 및 전자 장치
본 출원은 2020년 4월 30일 중국에서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번호가 202010362949.1인 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본 출원에서는 그 모든 내용을 인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자 디바이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피커 및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주류(mainstream)인 스피커의 구현 원리는: 전류 전도체(current-carrying conductor)가 자기장을 통과할 때, 힘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힘은 전류, 자기장의 방향과 서로 수직되고, 힘의 크기는 전류, 와이어 길이, 자속 밀도에 비례한다. 스피커는 마그네틱 스틸, 보이스 코일, 진동막을 포함하며, 보이스 코일에 교류 전류를 입력하면, 보이스 코일은 교체 추진력을 받고 교체 운동을 하게 되며, 진동막을 진동시켜 공기를 반복적으로 푸시(push)함으로써 스피커가 소리를 내도록 한다.
스피커는 마그네틱 스틸과 코일을 포함하기 때문에, 마그네틱 스틸과 코일이 발생한 자기장은 스피커 주변의 디바이스에 대해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현재 스피커의 마그네틱 스틸과 코일이 발생한 자기장이 스피커 주변의 디바이스에 대해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피커 및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평형체 및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하부 케이스(lower shell), 중간 케이스(middle shell), 전기 진동 플레이트(vibration plate)와 돔(dome)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 상기 중간 케이스 및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는 함께 수용 캐비티(cavity)를 형성하며, 상기 평형체(counterweight body)는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의 제1 표면과 상호 연결되며;
상기 돔은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의 상기 평형체와 떨어진(away from) 제2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에 전압을 인가하면,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돔을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스피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는 제1 관통홀(through hole)이 개설되어 있는 환형 구조물이고, 상기 돔은 상기 제1 관통홀을 덮는다.
또한, 상기 평형체는 제2 관통홀이 개설되어 있는 환형 구조물이고,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관통홀은 마주하게 분포된다.
또한,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는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며;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인가된 전압이 제1 전압일 때,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돔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며;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인가된 전압이 제2 전압일 때,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돔이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전압은 상기 제2 전압과 극성이 반대되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과 반대된다.
또한,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인가된 전압이 제1 전압일 때,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돔이 제1 방향으로 제1 거리를 이동하도록 구동하며;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인가된 전압이 제3 전압일 때,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돔이 제1 방향으로 제2 거리를 이동하도록 구동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전압은 상기 제3 전압과 극성이 같고, 상기 제3 전압은 상기 제1 전압보다 크며,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제2 거리와 다르다.
또한,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인가된 전압이 제1 전압일 때,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돔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1 속도로 구동하며;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인가된 전압이 제3 전압일 때,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돔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2 속도로 구동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전압은 상기 제3 전압과 극성이 같고, 상기 제3 전압은 상기 제1 전압보다 크며, 상기 제1 속도는 상기 제2 속도와 다르다.
또한, 전기 진동 플레이트는 제1 영역, 제2 영역과 제3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평형체는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의 제1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영역을 통해 상기 중간 케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고;
여기서,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의 제3 영역은 상기 하부 케이스를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거나, 상기 하부 케이스와 떨어진 방향으로 함몰된다.
또한, 상기 중간 케이스에는 제3 관통홀이 개설되어 있으며, 상기 평형체와 상기 중간 케이스 사이에는 간격이 있다.
또한, 상기 제3 관통홀은 카운터보어(counterbore)이고, 상기 카운터보어의 카운터싱크 헤드(countersunk head)은 상기 중간 케이스의 상기 돔과 이격되는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돔의 운동 방향에서, 상기 돔과 상기 평형체의 투영은 모두 상기 카운터 보어의 투영 내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평형체의 높이는 상기 카운터 보어의 절반보다 크고, 상기 평형체의 높이는 상기 카운터 보어의 높이보다 작다.
또한, 상기 스피커는 진동 플레이트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 플레이트 지지대는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를 둘러싸면서 설치되고,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진동 플레이트 지지대를 통해 상기 중간 케이스와 고정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피커는 평형체 및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하부 케이스, 중간 케이스, 전기 진동 플레이트와 돔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케이스, 상기 중간 케이스 및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는 함께 수용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평형체는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의 제1 표면과 상호 연결되며; 상기 돔은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의 상기 평형체와 떨어진 제2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에 전압을 인가하면,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돔을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상기 스피커는 구조 상에서 마그네틱 스틸과 코일 구조를 없앰으로써, 스피커 주위의 전기회로와 디바이스에 대한 자기장 간섭을 방지하고, 스피커 주위의 전기회로와 디바이스의 작업 환경을 정화시켰다. 또한, 상기 스피커는 구조가 간단하고, 차지하는 공간이 작으며, 전자 장치의 박형화 요구를 더욱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구조 모식도 1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구조 모식도 2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부분 구조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플레이트의 양이온 분포 모식도 1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플레이트의 양이온 분포 모식도 2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가 아니다. 당업자가 창조적인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획득한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 ~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평형체(1) 및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하부 케이스(2), 중간 케이스(3), 전기 진동 플레이트(4)와 돔(5)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케이스(2), 상기 중간 케이스(3) 및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4)는 함께 수용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평형체(1)는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4)의 제1 표면과 상호 연결되며; 상기 돔(5)은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4)의 상기 평형체(1)와 떨어진 제2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4)에 전압을 인가하면,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4)는 상기 돔(5)이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스피커를 제공한다.
상기 구조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2), 상기 중간 케이스(3) 및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4)는 함께 수용 캐비티를 형성하며, 평형체(1)는 수용 캐비티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4)의 제1 표면과 상호 연결된다. 예를 들면, 접착제를 사용하여 평형체(1)와 제1 표면을 접착시킴으로써, 평형체(1)가 수용 캐비티 내에 매달리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진동 플레이트(4)는 돔(5)이 이동하도록 구동할 때, 평형체(1)가 함께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평형체(1)는 스피커의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4)에 전압을 인가하면, 전기 진동 플레이트(4)는 돔(5)이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돔(5) 주변의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피커는 평형체(1) 및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하부 케이스(2), 중간 케이스(3), 전기 진동 플레이트(4)와 돔(5)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케이스(2), 상기 중간 케이스(3) 및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4)는 함께 수용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평형체(1)는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4)의 제1 표면과 상호 연결되며; 상기 돔(5)은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4)의 상기 평형체(1)와 떨어진 제2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4)에 전압을 인가하면,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4)는 상기 돔(5)이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는 구조 상에서 마그네틱 스틸과 코일 구조를 없앰으로써, 스피커 주위의 전기회로와 디바이스에 대한 자기장 간섭을 방지하고, 스피커 주위의 전기회로와 디바이스의 작업 환경을 정화시켰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피커는 구조가 간단하고, 차지 공간이 작으며, 전자 장치의 박형화 요구를 더욱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4)는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며,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인가된 전압이 제1 전압일 때,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돔(5)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인가된 전압이 제2 전압일 때,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돔(5)이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전압은 상기 제2 전압과 극성이 반대되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과 반대된다. 즉,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이 서로 반대되고,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극성이 반대되는 전압을 교대로 인가하면,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는 돔(5)이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교대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며, 돔(5) 주변의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도록 할 수 있다.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는 연질 폴리머 작동 소자와 같은 복합 재료 작동 소자이다. 선택적으로,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는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1 전극층, 이온 교환 수지층 및 제2 전극층을 포함하고, 이온 교환 수지층 내에는 폴리머 전해질이 구비된다.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는 화학 동도금 또는 금도금 등 방식을 통해 이온 교환 수지의 대향되는 두 표면에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을 형성할 수 있고, 전극의 표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변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진동 플레이트(4)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폴리머 전해질의 양이온이 음극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진동 플레이트(4)의 정면과 배면의 팽윤 차이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진동 플레이트(4)가 변형될 수 있으며, 진동 플레이트(4)에 인가되는 전압의 방향을 교대로 변화시킴으로써, 진동 플레이트(4)의 변형 방향이 교대로 변하게 되고, 진동을 일으킬 수 있다. 진동폭은 0.1 mm 내지 10 mm일 수 있으며, 진동폭은 진동 플레이트(4)의 두께를 설정하고 진동 플레이트(4)를 통과하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진동 플레이트(4)에 순방향 전류가 흐를 때, 진동 플레이트(4)의 양이온 분포 모식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양이온은 진동 플레이트(4)의 음극 측(즉, 도 4에서 진동 플레이트(4)의 하측)으로 이동하며, 진동 플레이트(4)는 위로 이동하고 돔(5)이 위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며, 도 4의 A는 진동 플레이트(4)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도 5는 진동 플레이트(4)에 역방향 전류가 흐를 때, 진동 플레이트(4)의 양이온 분포 모식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양이온은 진동 플레이트(4)의 음극 측(즉, 도 5에서 진동 플레이트(4)의 상측)으로 이동하며, 진동 플레이트(4)는 아래로 이동하고 돔(5)이 아래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며, 도 5의 B는 진동 플레이트(4)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의 폴리머 전해질의 양이온이 음극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정면과 배면의 팽윤 차이가 생기게 되어,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를 변형시킬 수 있다.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교류 전류를 인가하면,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는 돔(5)이 왕복 진동하도록 구동하고, 돔(5) 주변의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방열을 모니터링해야 하는 시나리오에서, 전자 장치 내의 온도 센서를 통해 온도를 모니터링하고, 방열해야 할 온도점에 도달하면, 전자 장치는 진동 플레이트(4)에 약 0.05 W의 저소비 전력 신호를 출력하며, 전기 도통된 진동 플레이트(4)는 왕복 진동하여 주변을 진동시켜 소리를 냄으로써, 사용자에게 전자 장치의 온도가 높아 방열할 필요가 있음을 알려주어,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자동 방열이 필요한 시나리오에서, 전자 장치 내의 온도 센서를 통해 온도를 모니터링하고, 방열해야 할 온도점에 도달하면, 전자 장치는 진동 플레이트(4)에 약 0.05 W의 저소비 전력 신호를 출력하며, 전기 도통된 진동 플레이트(4)는 왕복 진동하여 주변을 진동시켜 소리를 내고, 주변 공기가 흐리도록 구동하여 방열을 구현한다.
또한,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인가된 전압이 제1 전압일 때,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돔(5)이 제1 방향으로 제1 거리를 이동하도록 구동하며;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인가된 전압이 제3 전압일 때,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돔(5)이 제1 방향으로 제2 거리를 이동하도록 구동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전압은 상기 제3 전압과 극성이 같고, 상기 제3 전압은 상기 제1 전압보다 크며,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제2 거리와 다른데, 예를 들면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돔(5)이 긴 거리를 이동해야 할 때,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큰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돔(5)이 긴 거리를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으며; 돔(5)이 짧은 거리를 이동해야 할 때,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작은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돔(5)이 짧은 거리를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와 돔(5)의 이동 거리 간에는 대응 관계가 있으며, 돔(5)이 이동해야 하는 거리가 결정되면, 이 대응관계에 따라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인가된 전압이 제1 전압일 때,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돔(5)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1 속도로 구동하며;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인가된 전압이 제3 전압일 때,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돔(5)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2 속도로 구동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전압은 상기 제3 전압과 극성이 같고, 상기 제3 전압은 상기 제1 전압보다 크며, 상기 제1 속도는 상기 제2 속도와 다른데, 예를 들면 제2 속도는 제1 속도보다 작을 수 있다. 돔(5)이 빠른 속도로 이동해야 할 때,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큰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돔(5)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으며; 돔(5)이 느린 속도로 이동해야 할 때,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큰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돔(5)이 느린 속도로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속도는 제1 속도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와 돔(5)의 이동 속도 간에는 대응 관계가 있으며, 돔(5)이 이동해야 하는 속도가 결정되면, 이 대응관계에 따라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스피커는 발성 모드와 진동 모드와 같은 두 작업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발성 모드에서,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은 극성이 교대로 변환되는 제4 전압일 수 있고, 제4 전압의 전압값이 크므로, 돔(5)이 빠르게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돔(5)의 고주파 진동을 구현하며, 돔(5) 주변의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도록 할 수 있다. 진동 모드에서,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은 극성이 교대로 변환되는 제5 전압일 수 있고, 제5 전압의 전압값이 작으므로, 돔(5)이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돔(5)의 저주파 진동을 구현하며, 진동 모터로서 다중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2)는 중간 케이스(3)와 고정 연결되고, 구체적으로는 용접 방식을 통해 연결시킬 수 있으며, 하부 케이스(2)와 중간 케이스(3)는 지탱 역할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4)는 제1 관통홀이 개설되어 있는 환형 구조물이고, 상기 돔(5)은 상기 제1 관통홀을 덮는다 전기 진동 플레이트(4)와 돔(5)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접착제를 사용하여 전기 진동 플레이트(4)와 돔(5)을 접착시키고, 돔(5)이 고장나면 돔(5)을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형체(1)는 제2 관통홀이 개설되어 있는 환형 구조물이고,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관통홀은 마주하게 분포된다. 평형체(1)는 스피커의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한 무게를 가지고 있으며, 무게의 크기는 실제 상황에 따라 설정할 수 있는데, 여기서 한정하지 않는다. 평형체(1)는 전기 진동 플레이트(4)와 접착될 수 있다. 평형체(1)는 직사각형, 타원형 등일 수 있는데, 이는 전기 진동 플레이트(4)가 받은 평형체(1)의 작용력이 균일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4)는 제1 영역, 제2 영역과 제3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평형체(1)는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4)의 제1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4)는 상기 제2 영역을 통해 상기 중간 케이스(3)와 연결되며,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여기서,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4)의 제3 영역은 상기 하부 케이스(2)를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거나, 상기 하부 케이스(2)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함몰된다.
제1 영역, 제2 영역과 제3 영역은 전기 진동 플레이트(4)의 제1 표면에 위치하고, 평형체(1)는 전기 진동 플레이트(4)의 제1 영역과 연결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접착 연결될 수 있으며; 중간 케이스(3)는 전기 진동 플레이트(4)의 제2 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4)의 제3 영역은 상기 하부 케이스(2)를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거나, 상기 하부 케이스(2)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제3 영역이 만곡된 아치를 이루게 되고, 전기 진동 플레이트(4)가 변형된 경우, 돔(5)이 왕복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데 편리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 케이스(3)에는 제3 관통홀이 개설되어 있고, 상기 평형체(1)와 상기 중간 케이스(3) 사이에는 간격이 있어, 평형체(1)가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매달리게 되며, 전기 진동 플레이트(4)가 변형되어 돔(5)이 하부 케이스(2)를 향해 이동하도록 구동할 때, 중간 케이스(3)가 전기 진동 플레이트(4)의 이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한다. 평형체(1)는 자신의 중력을 통해 전기 진동 플레이트(4)에 작용력을 발생시켜 돔(5)의 공진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관통홀은 카운터보어이고, 상기 카운터보어의 카운터싱크 헤드는 상기 중간 케이스(3)의 상기 돔(5)과 이격되는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돔(5)의 운동 방향에서, 상기 돔(5)과 상기 평형체(1)의 투영은 모두 상기 카운터보어의 투영 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평형체(1)와 돔(5)은 카운터 보어의 홀 내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평형체(1)의 높이는 상기 카운터 보어의 절반보다 크고, 상기 평형체(1)의 높이는 상기 카운터 보어의 높이보다 작아, 평형체(1)가 카운터 보어 내에 매달리도록 할 수 있고, 돔(5)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피커는 진동 플레이트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 플레이트 지지대는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4)를 둘러싸면서 설치되고,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4)는 상기 진동 플레이트 지지대를 통해 상기 중간 케이스(3)와 고정 연결되며, 진동 플레이트 지지대는 전기 진동 플레이트(4)의 사용량을 줄이고, 스피커의 원가를 낮추기 위해 저렴한 절연재료로 제작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스피커는 구조 상에서 마그네틱 스틸과 코일이 없기 때문에, 스피커 주위의 전기회로와 디바이스에 대한 자기장 간섭이 없고, 스피커 주위의 전기회로와 디바이스의 작업 환경을 정화시켰다. 또한, 상기 스피커는 구조가 간단하고, 차지 공간이 작으며, 전자 장치의 박형화 요구를 더욱 만족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일 뿐,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개시한 기술 범위 내에서 변화 또는 치환을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 또는 치환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항의 보호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2)

  1. 평형체(counterweight body) 및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하부 케이스, 중간 케이스, 전기 진동 플레이트와 돔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케이스, 상기 중간 케이스 및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는 함께 수용 캐비티(cavity)를 형성하며, 상기 평형체는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의 제1 표면과 상호 연결되며;
    상기 돔은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의 상기 평형체와 떨어진 제2 표면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에 전압을 인가하면,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돔이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는 제1 관통홀이 개설되어 있는 환형 구조물이고, 상기 돔은 상기 제1 관통홀을 덮는 스피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체는 제2 관통홀이 개설되어 있는 환형 구조물이고,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관통홀은 마주하고 분포하는 스피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는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며;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인가된 전압이 제1 전압일 때,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돔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며;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인가된 전압이 제2 전압일 때,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돔이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전압은 상기 제2 전압과 극성이 반대되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과 반대되는 스피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인가된 전압이 제1 전압일 때,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돔이 제1 방향으로 제1 거리를 이동하도록 구동하며;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인가된 전압이 제3 전압일 때,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돔이 제1 방향으로 제2 거리를 이동하도록 구동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전압은 상기 제3 전압과 극성이 같고, 상기 제3 전압은 상기 제1 전압보다 크며,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제2 거리와 다른 스피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인가된 전압이 제1 전압일 때,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돔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1 속도로 구동하며;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에 인가된 전압이 제3 전압일 때, 상기 이온 전도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돔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2 속도로 구동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전압은 상기 제3 전압과 극성이 같고, 상기 제3 전압은 상기 제1 전압보다 크며, 상기 제1 속도는 상기 제2 속도와 다른 스피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는 제1 영역, 제2 영역과 제3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평형체는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의 제1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영역을 통해 상기 중간 케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여기서,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의 제3 영역은 상기 하부 케이스를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거나, 상기 하부 케이스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스피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케이스에는 제3 관통홀이 개설되어 있으며, 상기 평형체와 상기 중간 케이스 사이에는 간격이 있는 스피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관통홀은 카운터보어(counterbore)이고, 상기 카운터 보어의 카운터싱크 헤드(countersunk head)는 상기 돔에서 이격된 상기 중간 케이스의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돔의 운동 방향에서, 상기 돔과 상기 평형체의 투영(projection)은 모두 상기 카운터보어의 투영 내에 위치하는 스피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체의 높이는 상기 카운터보어의 절반보다 크고, 상기 평형체의 높이는 상기 카운터보어의 높이보다 작은 스피커.
  11. 제1항에 있어서,
    진동 플레이트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 플레이트 지지대는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를 둘러싸면서 설치되고, 상기 전기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진동 플레이트 지지대(bracket)를 통해 상기 중간 케이스와 고정 연결되는 스피커.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227040493A 2020-04-30 2021-04-25 스피커 및 전자 장치 KR202300028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362949.1 2020-04-30
CN202010362949.1A CN113596685B (zh) 2020-04-30 2020-04-30 扬声器及电子设备
PCT/CN2021/089549 WO2021218841A1 (zh) 2020-04-30 2021-04-25 扬声器及电子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888A true KR20230002888A (ko) 2023-01-05

Family

ID=78237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0493A KR20230002888A (ko) 2020-04-30 2021-04-25 스피커 및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71200B2 (ko)
EP (1) EP4145857A4 (ko)
JP (1) JP2023523607A (ko)
KR (1) KR20230002888A (ko)
CN (1) CN113596685B (ko)
WO (1) WO202121884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1949A (ja) * 2003-07-30 2005-0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関節駆動機構
US20090161879A1 (en) * 2005-12-05 2009-06-25 Hirofumi Yanagawa Sound Signal Processing Device, Method of Processing Sound Signal, Sound Reproducing System, Method of Designing Sound Signal Processing Device
CN103190072A (zh) * 2010-11-12 2013-07-03 索尼公司 驱动单元及其制造方法、透镜模块和图像拾取单元
US8256567B2 (en) * 2010-12-26 2012-09-04 Aac Acoustic Technologies (Shenzhen) Co., Ltd. Diaphragm and speaker using same
WO2013054614A1 (ja) * 2011-10-11 2013-04-18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トランスデューサ
CN103563012A (zh) * 2011-10-17 2014-02-05 东海橡塑工业株式会社 介电膜和使用了其的转换器
GB2508639A (en) * 2012-12-06 2014-06-11 Pss Belgium Nv A loudspeaker diaphragm electro-actively driven at its edges
CN205320287U (zh) * 2015-07-17 2016-06-15 闳晖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薄型压电扬声器
US10321235B2 (en) * 2016-09-23 2019-06-11 Apple Inc. Transducer having a conductive suspension member
CN206302568U (zh) * 2016-11-11 2017-07-04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压电式发声装置
CN206302567U (zh) * 2016-11-24 2017-07-04 歌尔科技有限公司 压电扬声器
CN208227320U (zh) * 2018-05-14 2018-12-11 川普(厦门)精密电子有限公司 一种压电陶瓷扬声器
CN209390316U (zh) * 2018-12-28 2019-09-13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发声器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45857A1 (en) 2023-03-08
US11871200B2 (en) 2024-01-09
WO2021218841A1 (zh) 2021-11-04
US20230048346A1 (en) 2023-02-16
JP2023523607A (ja) 2023-06-06
CN113596685B (zh) 2022-09-20
EP4145857A4 (en) 2023-11-08
CN113596685A (zh)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42701B (zh) 屏幕振动发声装置和电子产品
KR101354773B1 (ko) 선형진동모터
JP6955158B2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ー及び携帯機器
JPWO2008146678A1 (ja) 圧電アクチュエータ及び電子機器
US10610892B2 (en) Vibration actuator and portable device
JP5677639B2 (ja)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1206492B2 (en) Screen sounding exciter and electronic device
JP2017006901A (ja) 振動モータ
US11962982B2 (en) Vibration exciter for electronic product and electronic product
CN209267624U (zh) 屏幕振动发声装置和电子产品
EP2608571A1 (en) Vibration-lead plate for flat type speaker, mounted between voice coil plate and vibration plate
EP2887694B1 (en) Sound generator, sound genera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O2020224281A1 (zh) 振动发声装置以及电子产品
US9215531B2 (en) Acoustic generator, acoustic genera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20230002888A (ko) 스피커 및 전자 장치
CN209017298U (zh) 扬声器
CN213484731U (zh) 一种扁平状圆形微型振动器
KR100488654B1 (ko) 두개의 자기회로부를 가지는 스피커
JP2014123900A (ja)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11641310A (zh) 一种微型超重低音双驱动低频振动器
JP2007209845A (ja) 噴流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CN212231315U (zh) 一种微型超重低音双驱动低频振动器
WO2021244570A1 (zh) 马达及电子设备
CN111866675A (zh) 一种扬声器单体、扬声器模组及电子设备
JP2019081158A (ja) 振動発生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