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276A - 팰릿, 유리판 곤포체, 및 수송용 곤포체 - Google Patents

팰릿, 유리판 곤포체, 및 수송용 곤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276A
KR20230002276A KR1020227022988A KR20227022988A KR20230002276A KR 20230002276 A KR20230002276 A KR 20230002276A KR 1020227022988 A KR1020227022988 A KR 1020227022988A KR 20227022988 A KR20227022988 A KR 20227022988A KR 20230002276 A KR20230002276 A KR 20230002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glass plate
package
container
plate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2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오 테시마
요시노리 니시카와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02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2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0Elements for spacing platforms from support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1ISO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4Contents retaining means
    • B65D90/006Contents retaining means fixed on the floor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283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29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skelet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776Accessories for manipulating the pal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8/00Large container
    • B65D2588/02Large container rigid
    • B65D2588/12Large container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0041Contents ret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Pallets (AREA)

Abstract

기대부(4a)와, 기대부(4a)의 상방에 형성되고 또한 유리판(2)을 포함하는 적층체(3)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4b)를 구비한 팰릿(4)에 대해서 기대부(4a)의 저면(4z)에 당해 팰릿(4)의 반송에 사용하는 반송 장치를 받아들이는 홈형상의 오목부(R)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다.

Description

팰릿, 유리판 곤포체, 및 수송용 곤포체
본 발명은 유리판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적재하기 위한 팰릿, 팰릿과 적층체를 구비한 유리판 곤포체, 및 유리판 곤포체와 이것을 수용하는 컨테이너를 구비한 수송용 곤포체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용의 유리 기판을 비롯한 각종 유리판을 수송하기 위한 형태로서 유리판 곤포체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을 참조). 유리판 곤포체에 있어서는 복수 장의 유리판을 상호 간에 보호 시트를 개재시킨 상태로 중합하여 적층체로 하고, 당해 적층체를 팰릿에 적재한다. 유리판 곤포체는 수송에 있어서 컨테이너에 수용된다.
일본 특허공개 2017-149472호 공보
그런데 최근에 있어서의 수송 대상의 유리판의 대형화에 기인하여 유리판 곤포체를 컨테이너에 수용하는 것에 있어서는 하기와 같은 해결해야 할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즉, 유리판 곤포체를 컨테이너에 수용하는 경우 유리판 곤포체를 이송하기 위해 포크리프트 등을 사용한다. 그러나 적층체에 포함되는 유리판의 대형화에 따라 적층체를 적재하는 팰릿, 나아가서는 유리판 곤포체도 대형화되어 있으며, 유리판 곤포체의 크기에 대해서 컨테이너 내의 스페이스의 크기에 여유가 없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다. 그 때문에 수용의 과정에 있어서 포크리프트 등으로 운반중인 유리판 곤포체와 컨테이너의 내면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해 정확한 작업이 요구되는 등 수용에 가해지는 부담이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은 유리판 곤포체를 컨테이너에 수용하는 것에 있어서 유리판 곤포체의 크기에 대해서 컨테이너 내의 스페이스의 크기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도 수용에 가해지는 부담을 가볍게 하는 것을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팰릿은 기대부와, 상기 기대부의 상방에 형성되고 또한 유리판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를 구비한 팰릿이며, 상기 기대부의 저면에 당해 팰릿의 반송에 사용되는 반송 장치를 받아들이는 홈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팰릿은 기대부의 저면에 반송 장치를 받아들이기 위한 홈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팰릿을 구비한 유리판 곤포체를 컨테이너에 수용하는 것에 있어서 반송 장치(예를 들면, 롤러 컨베이어나 대차식의 반송 장치)를 사용해서 본 팰릿(유리판 곤포체)을 반송하도록 하면 유리판 곤포체의 크기에 대해서 컨테이너 내의 스페이스의 크기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도 반송중에 유리판 곤포체와 컨테이너의 내면 사이에 극간이 형성된 상태를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팰릿을 사용하면 유리판 곤포체를 컨테이너에 수용하는 것에 있어서 유리판 곤포체와 컨테이너의 내면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고, 컨테이너로의 유리판 곤포체의 원활한 수용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수용에 가해지는 부담을 가볍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적재부가 적층체를 경사 자세로 적재 가능함과 아울러, 오목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유리판의 최장변이 연장되는 방향이 일치하도록 적층체를 적재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적재부가 적층체를 경사 자세로 적재할 수 있는 점에서 수평 배치 자세로 적재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대형의 유리판이 포함된 유리판 곤포체를 컨테이너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적재부가 오목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유리판의 최장변이 연장되는 방향이 일치하도록 적층체를 적재할 수 있기 때문에 적재부에 적층체가 적재되었을 때에는 유리판의 최장변이 연장되는 방향과 반송 장치에 의한 팰릿(유리판 곤포체)의 반송 방향이 일치한다. 이 때문에 대형의 유리판이 포함된 유리판 곤포체를 컨테이너에 수용하는 것에 있어서 더 유리해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기대부의 측면에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삽입 가능한 구멍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포크리프트를 사용해서 컨테이너 외에서 팰릿을 들어 올리거나, 컨테이너 내에서 팰릿을 밀거나 당기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팰릿(유리판 곤포체)의 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구멍부가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팰릿의 긴 쪽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기대부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팰릿의 짧은 쪽 방향을 따라 포크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포크가 유리판 곤포체의 무게 중심에 도달하기 쉬워지고, 유리판 곤포체를 들어 올리기 쉬워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구멍부가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팰릿의 짧은 쪽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기대부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팰릿의 긴 쪽 방향을 따라 포크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포크리프트로 팰릿을 밀거나 당기거나 함으로써 컨테이너로의 유리판 곤포체의 반입출이 행하기 쉬워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반송 장치와 감합하여 당해 팰릿의 반송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팰릿을 반송하는 경우에 오목부와 반송 장치의 감합에 의해 팰릿의 반송이 안내되기 때문에 팰릿의 반송 방향의 어긋남을 제한할 수 있다.
이 구성 대신에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반송 장치를 받아들여 당해 팰릿을 얹은 상태로 상기 반송 장치를 반송하기 위한 것임과 아울러, 상기 반송 장치의 당해 팰릿을 얹는 재치부가 삽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팰릿을 반송하는 경우에는 팰릿의 오목부에 반송 장치의 재치부를 삽입하고, 팰릿의 반송을 정지하여 팰릿을 소정 위치에 놓은 경우에는 팰릿의 오목부로부터 반송 장치의 재치부를 이탈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컨테이너에 대해서 유리판 곤포체를 반입출하는 작업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오목부는 상기 재치부의 구성 요소인 당해 팰릿을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이 삽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팰릿을 반송하는 경우에는 팰릿의 오목부에 승강 수단을 삽입하여 팰릿을 상승시켜 놓고, 팰릿을 소정 위치까지 반송한 경우에는 승강 수단에 의해 팰릿을 하강시킴으로써 팰릿을 소정 위치에 놓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컨테이너에 대해서 유리판 곤포체를 반입출하는 작업을 보다 한층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팰릿과 적재부에 적재된 적층체를 구비한 유리판 곤포체에 의하면 상기 팰릿에 의한 설명에서의 기술된 작용·효과를 마찬가지로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유리판 곤포체와 유리판 곤포체를 수용하는 컨테이너를 구비한 수송용 곤포체에 의해서도 상기 팰릿에 의한 설명에서의 기술된 작용·효과를 마찬가지로 얻는 것이 가능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유리판 곤포체를 컨테이너에 수용하는 것에 있어서 유리판 곤포체의 크기에 대해서 컨테이너 내의 스페이스의 크기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도 수용에 가해지는 부담을 가볍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수송용 곤포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롤러 컨베이어의 배치 위치에 있어서의 수송용 곤포체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대좌의 배치 위치에 있어서의 수송용 곤포체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수송용 곤포체에 구비된 롤러 컨베이어 및 대좌의 주변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수송용 곤포체의 제조 방법에 포함된 반입 공정(준비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수송용 곤포체의 제조 방법에 포함된 반입 공정(준비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수송용 곤포체의 제조 방법에 포함된 반입 공정(준비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수송용 곤포체의 제조 방법에 포함된 반입 공정(준비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수송용 곤포체의 제조 방법에 포함된 반입 공정(재치 공정 및 이승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수송용 곤포체의 제조 방법에 포함된 이송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팰릿의 기대부의 저면에 형성된 오목부의 주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팰릿의 기대부의 저면에 형성된 오목부의 주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수송용 곤포체의 제조 방법에 포함된 거치 공정(상승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수송용 곤포체의 제조 방법에 포함된 거치 공정(제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수송용 곤포체의 제조 방법에 포함된 거치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수송용 곤포체의 제조 방법에 포함된 거치 공정(하강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수송용 곤포체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반송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반송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반송 장치 및 유리판 곤포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반송 장치 및 유리판 곤포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반송 장치, 및 유리판 곤포체, 및 포크리프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팰릿, 유리판 곤포체, 및 수송용 곤포체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실시형태의 설명에서 참조하는 각 도면에 나타낸 X 방향, Y 방향, 및 Z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그리고 X 방향 및 Y 방향은 수평 방향이며, Z 방향은 상하 방향이다.
<제 1 실시형태>
도 1~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수송용 곤포체의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이들 각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송용 곤포체(1)는 유리판(2)을 포함하는 적층체(3) 및 당해 적층체(3)를 적재하는 팰릿(4)을 포함한 유리판 곤포체(P)와, 유리판 곤포체(P)를 수용하는 컨테이너(5)를 구비하고 있다. 본 수송용 곤포체(1)에서는 컨테이너(5) 내의 저면(5a)과 팰릿(4)의 기대부(4a)의 상호 간에 개재 부재로서의 롤러 컨베이어(6)(프리 롤러) 및 대좌(7)가 개재하고 있다.
컨테이너(5)는 X 방향으로 장척인 직방체형상의 외형을 갖는다. 또한, X 방향은 컨테이너(5) 내에 있어서 유리판 곤포체(P)를 반송할 때의 반송 방향이다. 컨테이너(5)는 유리판 곤포체(P)를 수용하기 위한 본체부(5x)와, 본체부(5x)에 있어서의 X 방향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5xa)를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부(5y)를 갖는다. 본체부(5x)의 단면(X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과 개구(5xa)의 양자는 모두 직사각형상을 이룬다.
본체부(5x) 내에 형성된 스페이스(S)는 그 X 방향을 따른 길이가 Y 방향 및 Z 방향을 따른 길이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또한, Y 방향 및 Z 방향은 각각 컨테이너(5)의 폭 방향 및 높이 방향이다. 본체부(5x)는 그 내면으로서 저면(5a), 천장면(5b), 일방측면(5c), 타방측면(5d), 및 후면(5e)을 갖는다. 도어부(5y)는 개구(5xa)를 개방한 상태로 함으로써 X 방향을 따라 컨테이너(5)에 대한 유리판 곤포체(P)의 반입출을 가능하게 한다. 개구(5xa)의 천장면(5b)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체부(5x)의 단면에 있어서 높이(저면(5a)으로부터 천장면(5b)까지의 거리)는 2660㎜ 정도이며, 폭(일방측면(5c)으로부터 타방측면(5d)까지의 거리)은 2340㎜ 정도이다. 또한, 개구(5xa)에 있어서 높이(저면(5a)으로부터 볼록부까지의 거리)는 2580㎜ 정도이며, 폭(일방측면(5c)으로부터 타방측면(5d)까지의 거리)은 2340㎜ 정도이다.
적층체(3)는 복수 장의 직사각형상의 유리판(2)을 상호 간에 보호 시트(도시 생략)를 개재시킨 상태로 중합한 것이다. 적층체(3)는 수평면(XY 평면)에 대해서 경사진 자세로 팰릿(4)에 적재되어 있다. 적층체(3)와 천장면(5b)의 극간은, 예를 들면 100㎜~160㎜이다.
유리판(2)의 종변(2a)(경사를 따라 상하로 연장된 변)의 치수 및 횡변(2b)(X 방향으로 연장된 변)의 치수 각각은 컨테이너(5)의 개구(5xa)에 있어서의 Y 방향 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즉, 유리판(2)은 수평 배치 자세로는 컨테이너(5) 내에 반입할 수 없는 사이즈를 갖는다. 유리판(2)의 종변(2a)의 치수×횡변(2b)의 치수는 2200㎜×2500㎜ 이상이다. 또한, 종변(2a)의 치수×횡변(2b)의 치수는 바람직하게는 2400㎜×280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800㎜×3100㎜ 이상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900㎜×3300㎜ 이상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리판(2)은 G10.5사이즈를 갖는다. 유리판(2)의 두께 치수는, 예를 들면 0.2㎜~2㎜이다. 또한, 종변(2a)의 치수와 횡변(2b)의 치수는 동일해도 좋다.
유리판(2)의 종변(2a)은 컨테이너(5)의 본체부(5x)의 단면(X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이루는 직사각형상의 대각선에 따르도록 연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유리판(2)의 종변(2a)과 대각선이 이루는 각도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호 시트는 일례로서 유리 합지나 발포 수지 시트 등의 수지 시트임과 아울러, 유리판(2)보다도 1둘레 큰 사이즈를 갖는다. 이것에 의해 보호 시트는 유리판(2)의 종변(2a) 및 횡변(2b)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있다.
유리판 곤포체(P)는 2체가 컨테이너(5) 내에 수용되어 있다. 물론 컨테이너(5)의 본체부(5x) 내에 형성된 스페이스(S)의 크기에 맞춰 1체만 또는 3체 이상의 유리판 곤포체(P)가 컨테이너(5) 내에 수용되어 있어도 좋다. 2체의 유리판 곤포체(P) 각각에 포함된 팰릿(4)은 기대부(4a)와, 적층체(3)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4b)를 구비하고 있다. 각 팰릿(4)은 지그 등(도시 생략)을 통해 컨테이너(5)의 본체부(5x)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팰릿(4)은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있어서(Z 방향으로부터 봤을 때) X 방향으로 긴 쪽, Y 방향으로 짧은 쪽으로 되어 있다.
기대부(4a)는 X 방향에 평행한 2개의 측면(4s)과, Y 방향에 평행한 2개의 측면(4s)의 합계 4개의 측면(4s)을 갖고 있다. X 방향에 평행한 측면(4s)과 컨테이너(5) 내의 측면(5c, 5d)의 극간은, 예를 들면 10~30㎜이다. X 방향에 평행한 2개의 측면(4s) 중에서 적층체(3)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측면(4s)에는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부(H)가 형성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또한, Y 방향에 평행한 2개의 측면(4s) 각각에는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부(H)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X 방향에 평행한 2개의 측면(4s)의 양쪽에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부(H)를 형성해도 좋다. 기대부(4a)의 저면(4z)에는 롤러 컨베이어(6) 및 대좌(7)와 각각 감합하는 오목부(R)가 형성되어 있다.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오목부(R)는 팰릿(4)(유리판 곤포체(P))이 반송 장치에 얹혀있을 때에 반송 장치와 감합하여 팰릿(4)의 반송을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오목부(R)는 Y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물론 3개소 이상에 오목부(R)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각 오목부(R)는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X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각 오목부(R)는 하방이 개구하고 있음과 아울러, X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직사각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적재부(4b)는 기대부(4a)의 상방에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 자세의 적층체(3)를 배면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적재부(4b)는 세로·가로·비스듬하게 연장된 프레임(8)을 통해 기대부(4a)와 조합되어 있다. 적재부(4b)는 오목부(R)가 연장되는 방향과, 적층체(3)에 포함되는 유리판(2)의 최장변(여기에서는 횡변(2b))이 연장되는 방향이 일치하도록 적층체(3)를 적재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R)가 연장되는 방향과 최장변이 연장되는 방향이 모두 X 방향이다.
컨테이너(5) 내의 후면(5e)과 1체째의 유리판 곤포체(P) 사이, 1체째와 2체째의 유리판 곤포체(P) 사이, 및 2체째의 유리판 곤포체(P)와 컨테이너(5)의 도어부(5y) 사이에는 각각 유리판 곤포체(P)의 X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9)가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9)는 유리판 곤포체(P)에 포함된 팰릿(4)의 Y 방향에 평행한 측면(4s)과 접촉함으로써 유리판 곤포체(P)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면을 갖는다. 또한, 스토퍼(9)는 팰릿(4)의 저면과 접촉함으로써 팰릿(4)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 스토퍼(9)는 목제이며, 못이나 나사 등을 이용하여 컨테이너(5) 내의 저면(5a)에 대해서 고정이 가능하다. 물론 스토퍼(9)는 목제 이외이어도 좋다.
롤러 컨베이어(6) 및 대좌(7)는 각각 Y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2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물론 3개소 이상에 롤러 컨베이어(6) 및 대좌(7)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는, 롤러 컨베이어(6) 및 대좌(7)는 간격을 두는 일 없이 연결된 상태로 배치되어도 좋다.
여기에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2개소의 일방측에 배치된 롤러 컨베이어(6) 및 대좌(7)와, 타방측에 배치된 롤러 컨베이어(6) 및 대좌(7)를 구별한다. 그리고 구별하는 경우에는 2개소의 일방측에 배치된 롤러 컨베이어(6) 및 대좌(7)를 각각 일방측 컨베이어(6) 및 일방측 대좌(7)라고 표기하고, 타방측에 배치된 롤러 컨베이어(6) 및 대좌(7)를 각각 타방측 컨베이어(6) 및 타방측 대좌(7)라고 표기한다.
롤러 컨베이어(6) 및 대좌(7) 각각은 장척형상이며, 그들의 긴 쪽 방향이 X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1기의 팰릿(4)의 기대부(4a) 하에 있어서 대좌(7)는 롤러 컨베이어(6)보다도 컨테이너(5)의 개구(5xa)측에 배치되어 있다. 롤러 컨베이어(6) 및 대좌(7) 각각에 대해서 Y 방향으로의 이동은 컨테이너(5) 내의 저면(5a) 상에 배치된 규제 부재로서의 판 부재(10)에 의해 규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판 부재(10)는 목제이며, 못이나 나사 등을 이용하여 컨테이너(5) 내의 저면(5a)에 대해서 고정이 가능하다. 물론 판 부재(10)는 목제 이외이어도 좋다.
판 부재(10)는 (A) 컨테이너(5) 내의 일방측면(5c)과 일방측 컨베이어(6)(일방측 대좌(7)) 사이, (B) 일방측 컨베이어(6)(일방측 대좌(7))와 타방측 컨베이어(6)(타방측 대좌(7)) 사이, 및 (C) 컨테이너(5) 내의 타방측면(5d)과 타방측 컨베이어(6)(타방측 대좌(7)) 사이에 있어서 각각 극간 없이 개재하고 있다. (A)~(C) 각각에 배치된 판 부재(10)의 상면은 팰릿(4)과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해 팰릿(4)의 저면(4z)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규제 부재로서 판 부재(10)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규제 부재는 팰릿(4)과의 접촉을 회피하면서 롤러 컨베이어(6) 및 대좌(7)의 Y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는 것이면 임의의 부재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프레임체 등이어도 좋다. 또는, 규제 부재로서의 판 부재(10)를 생략해도 좋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좌(7)는 목제의 기초부(7a)와, 기초부(7a) 상에 고정된 고무 시트(7b)에 의해 구성된다. 롤러 컨베이어(6)는 롤러(6a)를 구비하고 있다. 고무 시트(7b)의 표면에서 구성된 대좌(7)의 상면(7s)은 롤러(6a)의 상단보다도 약간 고위치에 존재한다. 이것에 의해 대좌(7)의 상면(7s)과 롤러(6a)의 상단 사이에는 고저차(G)가 있으며, 롤러(6a)보다도 고무 시트(7b)에 팰릿(4)의 기대부(4a)(오목부(R))가 접촉하기 쉽게 되어 있다. 고저차(G)는 일례로서 1㎜~10㎜이다. 또한, 고무 시트(7b) 대신에 각종 완충재를 배치해도 좋고, 예를 들면 후판의 고무나 판형상의 스펀지 등을 배치해도 좋다.
이어서, 상기 수송용 곤포체(1)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제조 방법은 유리판 곤포체(P)를 컨테이너(5)에 수용하고, 유리판 곤포체(P)와 컨테이너(5)를 구비한 수송용 곤포체(1)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다. 본 제조 방법은 유리판 곤포체(P)의 크기에 대해서 컨테이너(5) 내의 스페이스(S)의 크기에 여유가 없을 경우에 특히 유효한 방법이다.
본 제조 방법에서는 1체의 유리판 곤포체(P)를 컨테이너(5) 내에 수용하는 것에 있어서 컨테이너(5) 외로부터 컨테이너(5) 내로 유리판 곤포체(P)를 반입하는 반입 공정(도 5~도 9)과, 컨테이너(5) 내에서 유리판 곤포체(P)를 이송하는 이송 공정(도 10)과, 이송 공정에 의해 컨테이너(5) 내의 목표 위치까지 이송이 완료된 유리판 곤포체(P)를 목표 위치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 공정(도 11a~도 14)을 실행한다.
반입 공정에는 준비 공정과, 재치 공정과, 이승 공정이 포함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준비 공정에서는 컨테이너(5)의 도어부(5y)를 개방하여 개구(5xa)를 개방한 상태하, 컨테이너(5) 내의 롤러 컨베이어(6)에 연결하여 컨테이너(5) 외에 롤러 컨베이어(11)를 배치한다. 또한, 양 롤러 컨베이어(6, 11)는 어느 것이나 반송 장치로서 기능함과 아울러, 상호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으며, 각각 롤러(6a, 11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양 롤러 컨베이어(6, 11)는 구동부를 갖고 있지 않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준비 공정에서는 이하의 작업을 순서대로 행하면 좋다.
최초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5) 내의 후면(5e)을 따라 스토퍼(9)를 배치한다. 스토퍼(9)의 배치가 완료되면, 이어서 스토퍼(9)에 연결하고, 컨테이너(5) 내의 일방측면(5c) 및 타방측면(5d) 각각을 따라 복수 장의 판 부재(10)를 X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한다. 일방측면(5c)을 따르게 한 각 판 부재(10) 및 타방측면(5d)을 따르게 한 각 판 부재(10)는 각각 일방측면(5c) 및 타방측면(5d)에 대해서 극간 없이 설치한다. 또한, 각 판 부재(10)는 일부 또는 전부를 컨테이너(5) 내의 저면(5a)에 대해서 고정해도 좋고, 고정하지 않아도 좋다.
이어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측면(5c)을 따르게 한 복수 장의 판 부재(10) 및 타방측면(5d)을 따르게 한 복수 장의 판 부재(10) 각각의 내측에 복수의 롤러 컨베이어(6)를 X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한다. 각 롤러 컨베이어(6)는 인접하는 판 부재(10)에 대해서 극간 없이 설치한다. 이것에 의해 컨테이너(5) 내의 저면(5a) 상에 있어서 X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롤러 컨베이어(6)를 1열로 해서 Y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열분의 복수의 롤러 컨베이어(6)가 설치된다. 또한, 1열째와 2열째의 Y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은 팰릿(4)의 저면(4z)에 형성된 2개소의 오목부(R)의 간격과 동일해진다. 이와 같이 1열째와 2열째의 간격과 2개소의 오목부(R)의 간격이 동일해지도록 상기 각 판 부재(10)에 있어서의 Y 방향 치수가 조절되어 있다.
이어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열째에 속하는 롤러 컨베이어(6)와 2열째에 속하는 롤러 컨베이어(6)의 상호 간에 복수 장의 판 부재(10)를 X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한다. 각 판 부재(10)는 인접하는 양 롤러 컨베이어(6, 6)에 대해서 극간 없이 설치한다. 이것에 의해 1열째에 속하는 각 롤러 컨베이어(6) 및 2열째에 속하는 각 롤러 컨베이어(6)의 Y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최후에 컨테이너(5) 내의 복수의 롤러 컨베이어(6)에 연결하고, 컨테이너(5) 외에 있어서 복수의 롤러 컨베이어(11)를 X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한다. 물론이지만 복수의 롤러 컨베이어(11)에 대해서도 Y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열분을 설치한다. 또한, 1열째에 속하는 각 롤러 컨베이어(11) 및 2열째에 속하는 각 롤러 컨베이어(11)의 Y 방향으로의 이동은 규제해도 좋고, 규제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규제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컨테이너(5)의 개구(5xa) 부근의 롤러 컨베이어(11)에 대해서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 의해 준비 공정이 완료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X 방향에서 인접하는 롤러 컨베이어(6, 6)끼리의 사이, X 방향에서 인접하는 롤러 컨베이어(11, 11)끼리의 사이, 및 X 방향에서 인접하는 롤러 컨베이어(6)와 롤러 컨베이어(11) 사이에 어느 것이나 극간을 형성하고 있지 않지만 물론 극간을 형성해도 상관없다.
준비 공정이 완료되면, 이어서 재치 공정을 행한다. 재치 공정에서는 도 9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5) 외에 있어서 복수의 롤러 컨베이어(11) 상에 유리판 곤포체(P)를 재치한다. 이때 1열째에 속하는 롤러 컨베이어(11) 및 2열째에 속하는 롤러 컨베이어(11)가 팰릿(4)의 저면(4z)에 형성된 2개소의 오목부(R)와 각각 감합하도록 유리판 곤포체(P)를 재치한다. 여기에서 재치 공정을 행하는 것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포크리프트를 사용한다. 그리고 팰릿(4)의 4개의 측면(4s) 중 X 방향에 평행한 측면(4s)에 형성된 구멍부(H)에 포크를 삽입한 상태하, 유리판 곤포체(P)의 들어 올림 및 롤러 컨베이어(11) 상으로의 유리판 곤포체(P)의 재치를 행한다. 또한, 포크는 적층체(3)의 배면측으로부터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 의해 재치 공정이 완료된다.
재치 공정이 완료되면, 이어서 이승 공정을 행한다. 이승 공정에서는 복수의 롤러 컨베이어(6) 및 복수의 롤러 컨베이어(11)를 사용해서 도 9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유리판 곤포체(P)를 반송한다. 이와 같이 해서 복수의 롤러 컨베이어(11) 상으로부터 복수의 롤러 컨베이어(6) 상으로 유리판 곤포체(P)를 이승시킨다. 여기에서 이승 공정을 행하는 것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포크리프트를 사용한다. 그리고 팰릿(4)의 4개의 측면(4s) 중 Y 방향에 평행한 측면(4s)에 형성된 구멍부(H)에 포크를 삽입한 상태하, 포크리프트로 유리판 곤포체(P)를 들어 올리는 일 없이 밀어서 반송한다. 이상에 의해 이승 공정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승 공정이 완료됨으로써 반입 공정의 전체 공정이 완료되면, 이어서 이송 공정을 실행한다. 이송 공정에서는 복수의 롤러 컨베이어(6)를 사용해서 도 10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유리판 곤포체(P)를 반송한다. 또한,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는 목표 위치이며, 팰릿(4)의 측면(4s)이 스토퍼(9)에 접촉하는 위치이다. 여기에서 이송 공정을 실행하는 것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상술한 이승 공정과 마찬가지의 양태하, 포크리프트로 유리판 곤포체(P)를 들어 올리는 일 없이 밈으로써 복수의 롤러 컨베이어(6) 상에서 유리판 곤포체(P)를 반송한다. 이상에 의해 이송 공정이 완료된다.
여기에서 상술한 이승 공정 및 이송 공정에 있어서는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팰릿(4)의 저면(4z)에 형성된 오목부(R)가 롤러 컨베이어(6)(롤러 컨베이어(11))와 감합하여 팰릿(4)(유리판 곤포체(P))의 반송을 안내한다. 이것에 의해 반송중에 있어서 팰릿(4)의 X 방향에 평행한 측면(4s)이 컨테이너(5) 내의 일방측면(5c)(타방측면(5d))과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R)의 Y 방향을 따른 폭 치수(W1)는 롤러 컨베이어(6)의 Y 방향을 따른 폭 치수(W2)보다도 크다. 따라서, 오목부(R)의 측면(Ra)과 롤러 컨베이어(6)의 측면(6b) 사이에는 극간(V)이 형성되고, 반송중인 팰릿(4)은 Y 방향을 따라 횡 어긋남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팰릿(4)이 한계까지 횡 어긋난 경우(측면(Ra)과 측면(6b)이 접촉할 때까지 어긋난 경우)이어도 팰릿(4)의 측면(4s)이 컨테이너(5) 내의 일방측면(5c)(타방측면(5d))과 접촉하지 않도록 양폭 치수(W1, W2)의 치수차가 조절되어 있다. 또한, 치수차의 일례로서는 5㎜~50㎜이다. 이와 같이 오목부(R)의 측면(Ra)이 가이드로서 기능함으로써 팰릿(4)(유리판 곤포체(P))의 반송 방향이 본래의 방향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송 공정이 완료되면, 이어서 거치 공정을 실행하는 거치 공정에는 상승 공정과, 제거 공정과, 하강 공정이 포함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승 공정에서는 잭(12)을 사용해서 팰릿(4)의 기대부(4a)에 있어서의 단부(개구(5xa)측의 단부)를 들어 올린다. 들어 올리는 높이는, 예를 들면 10㎜~100㎜이다. 이것에 의해 팰릿(4)의 기대부(4a) 하에 존재하는 복수의 롤러 컨베이어(6)로부터 기대부(4a) 중 적어도 일부의 개소를 띄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로 스토퍼(9)와 잭(12)으로 기대부(4a)가 지지된다. 기대부(4a) 하에는 4대의 롤러 컨베이어(6)가 존재(1열째와 2열째 각각에 4대씩이 존재)하고 있다. 이상에 의해 상승 공정이 완료된다.
상승 공정이 완료되면, 이어서 제거 공정을 행한다. 제거 공정에서는 기대부(4a)에 있어서의 띄운 개소 하에 존재하는 복수의 롤러 컨베이어(6) 중 적어도 1개를 제거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대부(4a) 하의 4대의 롤러 컨베이어(6) 중 개구(5xa)측의 3대를 제거한다. 이상에 의해 제거 공정이 완료된다. 또한, 제거 공정에서 롤러 컨베이어(6)를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면 상승 공정의 완료 시 및 제거 공정에서 기대부(4a)가 뜨는 일 없이 기대부(4a)와 롤러 컨베이어(6)가 접촉하고 있어도 좋다.
제거 공정 후에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측 3대의 롤러 컨베이어(6)의 제거에 따라 형성된 스페이스에 대해서 컨테이너(5) 내의 저면(5a)과 팰릿(4)의 기대부(4a) 사이에 개재시키기 위한 대좌(7)를 설치한다. 그 후에 하강 공정을 행한다. 하강 공정에서는 상기 잭(12)에 의한 기대부(4a)의 단부의 들어 올림을 원래대로 되돌림으로써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대부(4a)에 있어서의 띄운 개소를 하강시킨다. 이상에 의해 하강 공정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강 공정이 완료됨으로써 거치 공정의 전체 공정이 완료되면 벨트 등을 사용해서 컨테이너(5)의 본체부(5x)에 대해서 팰릿(4)을 고정한다. 그 후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판 곤포체(P)에 대해서 개구(5xa)측에 인접시켜 스토퍼(9)를 배치한다. 그 후에는 상술한 1체의 유리판 곤포체(P)를 컨테이너(5) 내에 수용하기 위한 일련의 흐름을 다시 실행하고,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5) 내로의 2체째의 유리판 곤포체(P)의 수용을 행하여 간다. 2체째의 유리판 곤포체(P)의 수용이 완료되면 상기 수송용 곤포체(1)가 제조된다.
이 수송용 곤포체(1)에서는 팰릿(4)의 저면(4z)에 형성된 오목부(R)가 개재 부재(롤러 컨베이어(6) 및 대좌(7))와 감합하고 있다. 또한, 개재 부재는 컨테이너(5)의 폭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 부재(판 부재(10))에 의해 규제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수송중의 진동이나 충격 등에 따르는 의도하지 않은 팰릿(4)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때문에 이승 공정 및 이송 공정과 마찬가지로 수송중에 있어서 팰릿(4)의 X 방향에 평행한 측면(4s)이 컨테이너(5) 내의 일방측면(5c)(타방측면(5d))과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수송용 곤포체(1)의 수송 후 등에 있어서 컨테이너(5) 내로부터 유리판 곤포체(P)를 반출하는 것에 있어서는 상술한 1체의 유리판 곤포체(P)를 컨테이너(5) 내에 수용하기 위한 일련의 흐름을 반대의 순서로 행하면 좋다. 또한, 반출에 있어서 컨테이너(5) 내에서 유리판 곤포체(P)를 이송할 때에는, 예를 들면 포크리프트를 사용한다. 그리고 포크리프트와 유리판 곤포체(P)의 팰릿(4)에 밴드 등을 걸쳐서 양자를 고정한 상태하, 포크리프트로 유리판 곤포체(P)를 들어 올리는 일 없이 잡아당김으로써 복수의 롤러 컨베이어(6) 상에서 유리판 곤포체(P)를 반송한다.
이하, 상기 팰릿(4)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 주된 작용·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팰릿(4)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팰릿(4)(유리판 곤포체(P))의 반송중에 오목부(R)의 측면(Ra)이 가이드로서 기능하고, 팰릿(4)의 반송 방향이 본래의 방향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리판 곤포체(P)의 크기에 대해서 컨테이너(5) 내의 스페이스(S)의 크기에 여유가 없을 경우에도 반송중에 유리판 곤포체(P)와 컨테이너(5)의 내면(특히, 일방측면(5c), 타방측면(5d)) 사이에 극간이 형성된 상태를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리판 곤포체(P)와 컨테이너(5)의 내면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고, 컨테이너(5)로의 유리판 곤포체(P)의 원활한 수용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수용에 가해지는 부담을 가볍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의한 팰릿, 유리판 곤포체, 및 수송용 곤포체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오목부(R)가 반송 장치로서의 롤러 컨베이어(6)(롤러 컨베이어(11))와 감합하고 있지만 물론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목부(R)는 양 롤러 컨베이어(6, 11) 외,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반송면을 갖고, 또한 직선 궤도를 따라 반송물을 반송할 수 있는 임의의 반송 장치(예를 들면, 오목부(R)와 감합하는 벨트를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 등)와 감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양 롤러 컨베이어(6, 11)가 구동부를 갖고 있지 않지만 물론 구동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포크리프트 등에 의해 유리판 곤포체(P)를 밀지 않아도 팰릿(4)을 양 롤러 컨베이어(6, 11)에 의해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컨테이너(5) 내의 저면(5a)과 팰릿(4)의 기대부(4a)의 상호 간에 롤러 컨베이어(6) 및 대좌(7)를 개재시키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변형예로서 컨테이너(5) 내의 저면(5a)과 팰릿(4)의 기대부(4a)의 상호 간에 대좌(7)만을 개재시켜도 좋다. 이 경우 제거 공정에 있어서 4대 모든 롤러 컨베이어(6)를 제거하고, 제거에 따라 형성된 스페이스에 대해서 대좌(7)를 설치한다.
<제 2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팰릿(4), 유리판 곤포체(P), 및 수송용 곤포체(1)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팰릿(4) 및 유리판 곤포체(P)의 구성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래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들 팰릿(4) 및 유리판 곤포체(P)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이 제 2 실시형태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상위하고 있는 점은 수송용 곤포체(1)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반송 장치로서 롤러 컨베이어(또는 벨트 컨베이어 등)가 채용되어 있지 않은 점에 있다. 이하, 이것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반송 장치(13)는 대차식의 장치이며, 대차의 주된 구성 요소인 2개의 재치부(14)와, 그들 재치부(14)에 각각 부착된 핸들(17)을 구비한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팰릿(4)의 저면(4z)에 형성된 각 오목부(R)에는 각 재치부(14)가 삽탈 가능하게 된다. 또한, 팰릿(4)(유리판 곤포체(P))이 각 재치부(14)에 얹혀졌을 때에는 각 오목부(R)가 각 재치부(14)를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다.
재치부(14)는 X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재치 기재(14a)를 갖고, 재치 기재(14a)의 긴 쪽 방향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승강부(15)를 갖는다. 승강부(15)에는 승강 수단(16)이 수용되어 있다. 재치부(14)의 후단에는 핸들(17)이 설치되어 있다.
재치부(14)의 재치 기재(14a)는 측면에 가이드 부재(18)를 갖는다. 가이드 부재(18)가 팰릿(4)의 오목부(R)의 측면에 안내됨으로써 재치부(14)를 팰릿(4) 하에 스무드하게 삽입할 수 있다. 재치부(14)는 저부에 이동용의 주행 롤러(19)를 갖는다. 2개의 재치부(14)는 연결되는 일 없이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지만 2개의 재치부(14)가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승강부(15)는 재치 기재(14a) 상에 고정되어 상면이 개구하는 하측 상자체(15a)와, 하측 상자체(15a)에 감합되어 하면이 개구하는 상측 상자체(15b)를 구비한다. 상측 상자체(15b)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승강 수단(16)은 벌룬식 잭의 벌룬이다. 벌룬(16)은 상측 상자체(15b) 및 하측 상자체(15a)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된다. 벌룬(16)은 측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편평형상,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직사각형상을 나타내는 자루형상 부재이다.
벌룬식 잭은 벌룬(16) 내에 에어 등의 작동 유체를 급배하는 유체 급배 회로(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유체 급배 회로에 의해 벌룬(16) 내에 작동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벌룬(16)은 팽창한다. 이 팽창에 따라 승강부(15)(상측 상자체(15b))가 상승한다. 한편, 벌룬(16)으로부터 작동 유체를 배출함으로써 벌룬(16)이 수축한다. 이 수축에 따라 승강부(15)(상측 상자체(15b))가 하강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수송용 곤포체(1)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방법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방법과 상위하는 사유는 반송 장치로서 상술한 대차식의 장치(13)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유래된다. 그래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상위점에 의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양 실시형태에 공통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유리판 곤포체(P)의 컨테이너(5) 내로의 수용에 앞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장치(13)를 주행시킴으로써 팰릿(4)의 기대부(4a)의 저면(4z)에 형성된 홈형상의 오목부(R)에 반송 장치(13)의 재치부(14)를 삽입한다. 이때 반송 장치(13)의 핸들(17)을 파지하고, 수동으로 위치 조정을 행하면서 반송 장치(13)를 주행시킴으로써 반송 장치(13)를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홈형상의 오목부(R)는 팰릿(4)의 기대부(4a)의 X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있다. 따라서, 반송 장치(13)의 재치부(14)는 홈형상의 오목부(R)에 도시와 같이 X 방향의 일단(우단)으로부터 삽입해도 좋고, X 방향의 타단(좌단)으로부터 삽입해도 좋다.
재치부(14)를 오목부(R)에 삽입하는 작업이 완료된 시점에서 벌룬(16)에 작동 유체를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치부(14)의 승강부(15)(상측 상자체(15b))가 상승하여 유리판 곤포체(P)가 들어 올려진다. 이 경우 각각의 벌룬(16)은 배관(도시 생략)을 통해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점에서 각각의 승강부(15)는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한 상태로 상승한다. 이것에 의해 상승중에 유리판 곤포체(P)가 기우는 일이 없어 상승중인 유리판(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소정 높이까지 상승한 것을 확인한 시점에서 작동 유체의 공급을 정지하고, 유리판 곤포체(P)를 소정 높이로 유지한다.
또한, 이 들어 올려진 유리판 곤포체(P)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크리프트(20)에 의해 밀림으로써 추진되어 컨테이너(5) 내에 반입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포크리프트(20)로 유리판 곤포체(P)를 밀 때에는 포크(21)를 소정 높이로 승강시켜 팰릿(4)의 기대부(4a)의 구멍부(H)에 포크(21)를 삽입하고, 그 선단을 기대부(4a)의 내부의 고정 설치 부재(4F)에 접촉한 상태로 포크리프트(20)를 전진시킨다. 이것에 따라 반송 장치(13)가 컨테이너(5) 내의 저면(5a) 상을 주행한다. 유리판 곤포체(P)가 컨테이너(5) 내의 소정 위치까지 반송된 시점에서 포크리프트(20)는 후퇴하여 컨테이너(5) 외로 퇴피한다. 또한, 포크리프트(20)는 컨테이너(5) 내에서 여유를 갖고 전진 및 후퇴할 수 있는 크기로 된다.
컨테이너(5) 내의 소정 위치로 반송된 유리판 곤포체(P)는 컨테이너(5) 내의 저면(5a)에 놓인다. 구체적으로는 벌룬(16)으로부터 작동 유체를 배출시킴으로써 승강부(15)(상측 상자체(15b))를 하강시킨다. 이 경우 각각의 벌룬(16)은 배관(도시 생략)을 통해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점에서 각각의 승강부(15)는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한 상태로 하강한다. 이것에 의해 하강중에 유리판 곤포체(P)가 기우는 일이 없어 하강중인 유리판(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유리판 곤포체(P)가 컨테이너(5) 내의 저면(5a)에 놓인 것을 확인한 후 반송 장치(13)의 핸들(17)을 파지하고, 수동으로 후방으로 당김으로써 반송 장치(13)를 후퇴시켜 재치부(14)를 오목부(R)로부터 빼내어 이탈시킨다. 이것에 의해 유리판 곤포체(P)의 컨테이너(5) 내로의 반입 동작이 종료된다. 이 반입 동작은 컨테이너(5) 내에 수용하는 유리판 곤포체(P)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복수 회에 걸쳐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해서 제조되는 수송용 곤포체(1)는 컨테이너(5) 내의 저면(5a)과 팰릿(4)의 기대부(4a)의 상호 간에 대좌(7) 등의 부재가 개재하는 일 없이 컨테이너(5) 내의 저면(5a)에 직접 재치된다.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수송용 곤포체(1)와 동일하다.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반송 장치(13)는 컨테이너(5)로부터 유리판 곤포체(P)를 반출할 때에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컨테이너(5) 내에 놓인 유리판 곤포체(P)(팰릿(4))의 저면(4z)의 오목부(R)에 반송 장치(13)의 재치부(14)를 삽입하고, 벌룬(16)에 작동 유체를 공급하여 유리판 곤포체(P)를 들어 올린다.
그 후 포크리프트(20)의 포크(21)를 팰릿(4)의 구멍부(H)에 삽입하고, 포크(21)의 상면이 구멍부(H)의 상면에 접촉할 때까지 포크(21)를 상승시킨다. 이것에 의해 포크(21)의 상면과 구멍부(H)의 상면 사이의 마찰에 의해 포크리프트(20)를 후퇴시켰을 때에 반송 장치(13)에 의해 들어 올려진 유리판 곤포체(P)를 포크리프트(20)에 추종해서 주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포크리프트(20)를 후퇴시켜 유리판 곤포체(P)를 컨테이너(5) 내로부터 반출시킨다. 이것에 따라 반송 장치(13)도 컨테이너(5) 내로부터 퇴출된다. 이 후 벌룬(16)으로부터 작동 유체를 배출한다. 이것에 의해 승강부(15)(상측 상자체(15b))가 하강하여 유리판 곤포체(P)가 컨테이너(5) 외의 소정 위치에 놓인다. 이것에 의해 유리판 곤포체(P)의 컨테이너(5)로부터의 반출 동작이 종료된다.
여기에서 반송 장치(13) 및 수송용 곤포체(1)는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승강 수단으로서 벌룬식 잭의 벌룬(16)을 사용했지만 기계식 잭의 잭부나, 전동식 잭 또는 실린더식 잭의 잭부 등이어도 좋다.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수송용 곤포체(1)의 제조 시에 포크리프트(20)를 사용해서 유리판 곤포체(P)를 컨테이너(5)에 반입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핸들(17)을 파지하고, 수동으로 반송 장치(13)를 밀어서 반입출해도 좋다.
1: 수송용 곤포체 2: 유리판
2b: 횡변 3: 적층체
4: 팰릿 4a: 기대부
4b: 적재부 4s: 측면
4z: 저면 5: 컨테이너
5a: 저면 6: 롤러 컨베이어
7: 대좌 10: 판 부재
11: 롤러 컨베이어 13: 대차식의 반송 장치
14: 반송 장치의 재치부 16: 승강 수단(벌룬)
H: 구멍부 P: 유리판 곤포체
R: 오목부

Claims (10)

  1. 기대부와 상기 기대부의 상방에 형성되고 또한 유리판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를 구비한 팰릿으로서,
    상기 기대부의 저면에 당해 팰릿의 반송에 사용되는 반송 장치를 받아들이는 홈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가 상기 적층체를 경사 자세로 적재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오목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상기 유리판의 최장변이 연장되는 방향이 일치하도록 상기 적층체를 적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대부의 측면에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삽입 가능한 구멍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가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당해 팰릿의 긴 쪽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상기 기대부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가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당해 팰릿의 짧은 쪽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상기 기대부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반송 장치와 감합하여 당해 팰릿의 반송을 안내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반송 장치를 받아들여 당해 팰릿을 얹은 상태로 상기 반송 장치를 반송하기 위한 것임과 아울러, 상기 반송 장치의 당해 팰릿을 얹는 재치부가 삽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재치부의 구성 요소인 당해 팰릿을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이 삽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팰릿.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팰릿과,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적층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곤포체.
  10. 제 9 항에 기재된 유리판 곤포체와,
    상기 유리판 곤포체를 수용하는 컨테이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 곤포체.
KR1020227022988A 2020-04-21 2021-04-13 팰릿, 유리판 곤포체, 및 수송용 곤포체 KR202300022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75422 2020-04-21
JP2020075422 2020-04-21
PCT/JP2021/015349 WO2021215310A1 (ja) 2020-04-21 2021-04-13 パレット、ガラス板梱包体、及び、輸送用梱包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276A true KR20230002276A (ko) 2023-01-05

Family

ID=78269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2988A KR20230002276A (ko) 2020-04-21 2021-04-13 팰릿, 유리판 곤포체, 및 수송용 곤포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1215310A1 (ko)
KR (1) KR20230002276A (ko)
CN (1) CN114981181A (ko)
TW (1) TW202146294A (ko)
WO (1) WO202121531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49472A (ja) 2016-02-26 2017-08-3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梱包用パレット及びガラス板梱包体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15557D0 (en) * 1990-07-14 1990-08-29 Matthews Robin Palletised loading
JP4612221B2 (ja) * 2001-04-27 2011-01-12 豊田スチールセンター株式会社 搬送物の搬出入用パレット及びドライコンテナへの搬送物搬送方法
JP2004043063A (ja) * 2002-07-09 2004-02-12 Kyushu Sanki Kk 重量物搬送台及びそれを用いた重量物搬送システ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重量物搬送方法
JP2008127028A (ja) * 2006-11-17 2008-06-05 Toyoda Suchiirusentaa Kk 荷台からの運搬物の搬出方法及び荷台への運搬物の搬入出方法
JP2014097808A (ja) * 2012-11-13 2014-05-29 Asahi Glass Co Ltd ガラス板梱包用パレ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49472A (ja) 2016-02-26 2017-08-3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梱包用パレット及びガラス板梱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5310A1 (ja) 2021-10-28
JPWO2021215310A1 (ko) 2021-10-28
CN114981181A (zh) 2022-08-30
TW202146294A (zh)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6987B1 (ko) 반송차 및 반송 설비
CN106477217B (zh) 物品搬运设备
KR100586354B1 (ko) 기판 이송 장치, 상기 기판의 반출 방법 및 상기 기판의 수납 방법
KR101677291B1 (ko) 트레이 공급 장치
KR101595920B1 (ko) 반송 시스템
JP4003882B2 (ja) 基板移載システム
KR102043984B1 (ko) 워크를 분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899298B (zh) 半导体基板加载载具的上料机
TW202007622A (zh) 搬送系統
CN111674941B (zh) 一种垛板库及自动输送系统
TW201604100A (zh) 貨櫃昇降搬運裝置
KR20080059039A (ko) 트레이 수령 및 전달 장치
KR101604044B1 (ko) 멀티 스택 구조의 트레이 피더
JP5163860B2 (ja) 基板搬送装置
KR20230002276A (ko) 팰릿, 유리판 곤포체, 및 수송용 곤포체
JP2019156502A (ja) パレタイズ装置
JP7417861B2 (ja) 梱包体および梱包体の製造方法
JP5120869B2 (ja) 段積み装置
KR101005338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박스 적재장치
KR101851618B1 (ko) 휨 판재 반송 물류 시스템
JP2007134734A (ja) 液晶基板の搬送装置
JPS6311248B2 (ko)
JP7044182B2 (ja) 搬送車
JP2013086886A (ja) 積重ね板紙状材移送装置
KR102111220B1 (ko) 음료용기 하역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