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622U - 오븐 - Google Patents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622U
KR20230001622U KR2020237000033U KR20237000033U KR20230001622U KR 20230001622 U KR20230001622 U KR 20230001622U KR 2020237000033 U KR2020237000033 U KR 2020237000033U KR 20237000033 U KR20237000033 U KR 20237000033U KR 20230001622 U KR20230001622 U KR 202300016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wind hole
oven
base
gril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70000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푸 장
지안리앙 첸
청강 스
Original Assignee
광동 마스터 일렉트리컬 업라이언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마스터 일렉트리컬 업라이언스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광동 마스터 일렉트리컬 업라이언스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300016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622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76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electrically he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베이스와 불판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가 위로 향한 공간 내에 팬을 설치하고 상기 불판 조립체는 상기 팬의 상부에 위치하고 불판 조립체에 바람구멍이 형성되며 불판 조립체 주변에 다수의 통풍구를 설치하고 상기 불판 조립체의 하부 측면과 상기 베이스이 상부 측면 사이에 일정한 통풍 간격을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Description

오븐
본 고안은 오븐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연 오븐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무연 오븐은 무연 효과가 좋지 않다. 예를 들어 CN109259617A의 무연 오븐은 그을음을 흡수하는 여과망이 있어 그을음은 불판의 주변에서 오븐으로 흡수되지만 순환 공기 덕트가 형성되지 않아 여과망을 통해 여과된 후 저부에서 오븐으로 배출된다. 여과망의 효과가 제한적이어서 한 번의 여과만으로 그을음을 깨끗하게 여과할 수 없으며 완전히 여과되지 못한 이러한 기체가 순환이 되지 않은 채로 배출되면 공기 오염도 초래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CN105212770A의 무연 오븐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로, 순환적인 그을음 공기 덕트가 형성되어 있지만 그을음 공기 덕트의 특징이 바람이 오븐의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부는 형식일 경우 바람의 힘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한다면 그을음이 섞인 기류가 바람이 부는 쪽에서 오븐 밖으로 용출되어 공기 오염을 초래할 수 있으며 특히 바람이 나가는 쪽의 사용자에게 불편을 느끼게 할 우려가 있다. 둘째로, 팬의 효율적인 공기흡입 거리를 충분히 발휘하지 못해 오븐의 모양은 직사각형으로만 제작할 수 있을 뿐이며 또한 오븐을 크게 제작할 수 없고 동시에 더 많은 사람이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 다음과 같은 기술적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오븐은 베이스와 불판 조립체로 이루어지며, 베이스가 위로 향하는 공간에 팬이 설치되고, 불판 조립체가 팬 상부에 위치하며, 불판 조립체 상에 바람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바람구멍은 불판 조립체를 위에서 아래로 관통하고, 불판 조립체 주위에 여러 개의 통풍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불판 조립체의 하부 측면과 베이스의 상부 측면 사이에 일정한 통풍 간격이 있다.
상기 바람구멍과 통풍구를 설치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은 오븐의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불어오는 것이 아니라 불판 조립체의 주변에서 불판 조립체 중앙의 바람구멍으로 흐른 다음 다시 바람구멍을 통해 베이스 상부의 공간으로 흐르게 된다. 불판 조립체 하부 측면과 베이스 상부 측면 사이에 일정한 통풍 간격이 있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공기 흐름은 이 통풍 간격을 통해 불판 조립체 주위에 있는 다수의 통풍구로 흐르고 최종적으로 이러한 통풍구를 통해 불판 조립체의 바람구멍으로 흐른다. 팬에 의해 구동되는 공기 흐름은 이렇게 순환된다.
위에서 순환 기류에 대해 설명하였다. 공기 흐름의 그을음을 여과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 팬과 베이스 바닥 사이에 물탱크를 설치하여 팬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기류는 일정한 각도로 물탱크의 수면으로 내려오며, 기류 중에 섞인 그을음과 물을 결합시켜 그을음에 대한 여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한다. 수면을 지나간 기류는 상기 통풍 간격을 통해 최종적으로 불판 조립체 주변의 다수의 통풍구를 향해 흐르고 다시 통풍구를 통해 불판 조립체의 바람구멍으로 흘러간다. 상기 기류의 흐름 모드는 기류의 정방향 운동이라고 부른다.
팬을 통과한 공기 흐름을 수면으로 유도하기 위해 팬에 팬 스탠드를 설치한다. 이 팬 스탠드에 다수의 통기공이 설치되어 있으며 통기공이 팬 주변을 감싸고 있다. 공기 흐름이 이 통기공을 통과하여 물탱크 수면에 흐르고 더 많은 기류가 수면으로 흐르게 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그을음을 분리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기류의 역방향 운동, 즉 불판 조립체 중앙의 바람구멍에서 불판 조립체 주변으로 흘러간 후 다시 불판 조립체 주변에 있는 다수의 통풍구를 통과하는 것도 구현할 수 있다. 불판 조립체 하부면과 베이스 상부면 사이에 있는 일정한 통풍 간격에 도달한 후 베이스 하부로 흘러내려 베이스 하부를 돌아 베이스 하부 중앙을 통과하면서 동시에 물탱크의 수면을 경과한 후 베이스 하부의 중앙의 팬에 의해 위로 흡입되어 불판 조립체 중앙의 바람구멍을 향해 불어와 다시 불판 조립체상부 표면의 시작점으로 돌아간다. 이러한 반복 운동을 통해 역순환이 이루어진다. 기류의 역방향 운동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팬의 날개를 특수한 형태의 날개로 바꿔야 한다.
상기 바람구멍은 제1 바람구멍과 제2 바람구멍을 포함하고 불판에 제1 바람구멍을 설치하고 내부 쉘에 제2 바람구멍을 설치하며, 팬은 베이스 중앙에 위치하고, 제1 바람구멍은 불판의 중앙에 위치하며 제2 바람구멍은 내부 쉘의 중앙에 위치한다. 팬, 제1 바람구멍, 제2 바람구멍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마주한다. 이 설계의 장점은 팬과 바람구멍이 중앙에 위치할 때 팬의 유효한 공기흡입 거리를 최대한 이용할 수 있어 오븐을 더 크게 제작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중심 대칭의 모양, 예를 들어 정사각형과 원형으로 제작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 예를 들어 7, 8명이 둘러앉아서 사용할 수 있다.
팬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기류는 오븐의 중앙에서 위에서 아래로 흐르고 공기 흡입구는 오븐 중앙에 형성되고 공기 배출구는 오븐의 주변에 형성되며, 기류가 역방향으로 움직일 때 기류의 방향은 정반대로 되고, 공기 흡입구는 오븐의 주변에 위치하고 공기 배출구가 오븐의 중앙에 위치한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전자, 즉 그을음 공기 덕트 흡입구가 오븐 중앙에 위치하고 공기 배출구가 오븐 주변에 위치하면 그을음을 흡입하는 효과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불판에 제1 바람구멍의 상부를 막는 바람막이 덮개가 설치되어 있다. 바람막이 덮개는 제1 바람구멍 상부의 깨끗한 공기가 제1 바람구멍의 통로로 흘러드는 것을 막는다. 이렇게 설계함으로써 팬이 바람구멍 상부의 깨끗한 공기를 흡입하지 않고, 불판 표면에 형성된 그을음을 보다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또한 바람막이 덮개는 불판의 손잡이 역할도 할 수 있어 그야말로 일석이조이다.
상기 설계를 통해 그을음 기류를 그을음 순환 공기 덕트에 끊임없이 순환시켜 오븐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게 하여 공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그을음을 제거하지 않으면 그을음의 지속적 발생과 함께 그을음의 농도가 점차 증가하게 되어 최종적으로 그을음의 확산으로 인해 외부 공기를 오염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그을음을 제거할 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그을음 흡수물질를 이용한 그을음 흡수 방식과 물탱크를 이용한 그을음 흡수 방식의 두 가지 방식으로 그을음을 제거한다.
제1 바람구멍과 제2 바람구멍 사이에 그을음 흡수물질을 배치한다. 그을음 흡수물질은 일반적으로 고체로 된 다공성 물질들인데 예를 들어 활성탄, PP면, 여과망 등이 있다. 팬과 베이스 하부 사이에 물탱크를 설치하고 팬 회전 시 발생하는 기류가 물탱크의 수면을 향해 아래로 불게 된다. 이러한 기류 운동 방향의 설계는 종래 기술 중 수면을 단지 스쳐가기만 하는 설계와 비교해 볼 때 큰 차이점이 있는데, 수면을 향해 아래 방향으로 직접 불어 내리면 그을음 입자가 수면에 더 많이 접촉하여 더 낳은 청결의 효과를 얻는다.
상기 물탱크는 쉽게 청소할 수 있도록 풀 아웃(pull-out) 방식으로 베이스에 삽입하거나 빼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원형 오븐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고안의 사각형 오븐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사각형 오븐의 평면도이다 (팬이 정방향으로 회전),
도4는 본 고안의 사각형 오븐의 정방향 기류 운동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사각형 오븐의 역방향 기류 운동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의 사각형 오븐의 분해도이다,
도7은 도3의 A-A 단면도이다,
도8은 도3의 B-B 단면도이다.
다음은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 방법을 통해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자세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한다. 본 고안의 오븐은 베이스(1)와 불판 조립체(2)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1)가 위로 향한 공간(1.1) 내에 팬(3)을 설치하고 상기 불판 조립체(2)는 상기 팬(3)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불판 조립체(2)에 바람구멍(4)이 형성되며, 상기 바람구멍(4)는 위로부터 아래로 상기 불판 조립체(2)를 관통하고 상기 불판 조립체(2) 주변에 다수의 통풍구(5)를 설치하고 상기 불판 조립체(2)의 하부 측면(2.1)과 상기 베이스(1) 상부 측면(1.2) 사이에 일정한 통풍 간격(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에 관한 것이다. 상기 통풍구(5)는 상기 베이스(1)의 상부 측면(1.2)의 정상부보다 낮다.
상기 불판 조립체(2)는 불판(7), 내부 쉘(8)과 발열관(9)을 포함하고 상기 불판(7)은 위로부터 아래로 상기 내부 쉘(8) 내에 수용되며 상기 발열관(9)은 상기 불판(7)과 내부 쉘(8)의 저부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다수의 통풍구(5)는 상기 내부 쉘(8)의 상단에 설치되는 내부 쉘의 통풍구(5)이며 상기 불판(7)의 표면은 상기 통풍구(5)보다 낮다.
상기 바람구멍(4)은 제1 바람구멍(4.1)과 제2 바람구멍(4.2)을 포함하고 불판(7)에 제1 바람구멍(4.1)을 설치하고 상기 내부 쉘(8)에 제2 바람구멍(4.2)를 설치한다. 상기 팬(3)은 베이스(1)의 중앙에 위치하고 제1 바람구멍(4.1)은 불판(7)의 중앙에 위치하며 제2 바람구멍(4.2)은 내부 쉘(8)의 중앙에 위치하고 팬(3), 제1 바람구멍(4.1), 제2 바람구멍(4.2)은 수직 방향에서 서로 맞대고 있다. 팬(3)이 회전할 때 팬(3)에 의해 발생하는 기류가 위에서 아래로 제1 바람구멍(4.1)과 제2 바람구멍(4.2)을 차례대로 통과하여 베이스(1)로 흡입된 후 베이스(1)의 저부에서 주변으로 퍼지고 나서 위로 유동하고 통풍 간격(6)을 통과하여 통풍구(5)에 도달한 다음 불판(7)의 상부 표면을 스쳐서 다시 제1 바람구멍(4.1)로 돌아감으로써 밀폐 순환된 그을음 공기 흐름를 형성한다.
상기 불판(7)에 제1 바람구멍(4.1)의 상부를 막는 바람막이 덮개(10)를 설치한다. 제1 바람구멍(4.1)과 제2 바람구멍(4.2) 사이에 그을음 흡수물질(11)을 설치한다. 팬(3)과 베이스(1) 사이에 물탱크(12)를 설치하여 팬(3) 회전 시 발생하는 기류가 물탱크(12)의 수면(12.1)을 향해 아래 방향으로 불게 된다. 상기 물탱크(12)는 풀 아웃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1)에 삽입되거나 빼낼 수 있다.
상기 오븐은 팬 스탠드(13)를 더 포함하며, 팬(3)은 상기 팬 스탠드(13) 내에 위치하고 팬 스탠드(13)에 다수의 통기공(13.1)이 설치되며 통기공(13.1)은 팬(3)의 주변에 위치하므로 기류가 통기공(13.1)을 통과한 후 물탱크(12)의 수면(12.1)으로 흘러 든다.
위와 같은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행 가능한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으로서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 범위를 제한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은 동등 효과의 실시나 변경 사항은 모두 본 특허의 범위에 포함시켜야 한다.
1 베이스; 1.1 위로 향한 공간; 12 베이스 상부 측면; 2 불판 조립체; 2.1 불판 조립체 하부 측면; 3 팬 ; 4 바람구멍; 4.1 제1 바람구멍; 4.2 제2 바람구멍; 5 통풍구; 6 통풍 간격; 7 불판; 8 내부 쉘; 9 발열관; 10 바람막이 덮개; 11 그을음 흡수 물질; 12 물탱크; 12.1 수면; 13 팬 스탠드; 13.1 통기공.

Claims (11)

  1. 베이스(1)와 불판 조립체(2)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1)의 위로 향한 공간(1.1) 내에 팬(3)을 설치하고 상기 불판 조립체(2)가 상기 팬(3)의 상부에 배열되며 불판 조립체(2)에 바람구멍(4)이 형성되며, 상기 바람구멍(4)은 위로부터 아래로 상기 불판 조립체(2)을 관통하고 상기 불판 조립체(2) 주변에 다수의 통풍구(5)를 설치하고 상기 불판 조립체(2)의 하부 측면(2.1)과 상기 베이스(1) 상부 측면(1.2) 사이에 일정한 통풍 간격(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2. 제1항에 있어서, 통풍구(5)의 위치가 상기 베이스(1) 상부 측면(1.2)의 정상부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3. 제2항에 있어서, 불판 조립체(2)는 불판(7), 내부 쉘(8)과 발열관(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4. 제3항에 있어서, 다수의 통풍구(5)는 내부 쉘(8)의 상단에 설치되는 내부 쉘의 통풍구(5)이며 불판(7)의 표면은 통풍구(5)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5. 제4항에 있어서, 바람구멍(4)은 제1 바람구멍(4.1)과 제2 바람구멍(4.2)을 포함하고 불판(7)에 상기 제1 바람구멍(4.1)을 설치하고 내부 쉘(8)에 상기 제2 바람구멍(4.2)을 설치하며 제1 바람구멍(4.1)과 제2 바람구멍(4.2)은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6. 제5항에 있어서, 팬(3)은 베이스(1)의 중앙에 위치하고 제1 바람구멍(4.1)은 불판(7)의 중앙에 위치하며 제2 바람구멍(4.2)은 내부 쉘(8)의 중앙에 위치하고 팬(3), 제1 바람구멍(4.1), 제2 바람구멍(4.2)은 상하 방향에서 서로 맞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7. 제6항에 있어서, 불판(7)에 제1 바람구멍(4.1)의 상부를 막는 바람막이 덮개(1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8. 제7항에 있어서, 제1 바람구멍(4.1)과 제2 바람구멍(4.2) 사이에 그을음 흡수물질(11)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9. 제8항에 있어서, 팬(3)과 베이스(1) 사이에 물탱크(12)를 설치하고 상기 팬(3) 회전 시 발생하는 기류가 일정한 각도로 아래 방향으로 상기 물탱크(12)의 수면(12.1)을 향해 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팬(3)은 팬 스탠드(13)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팬 스탠드(13) 내에 위치하고, 팬 스탠드(13)에 다수의 통기공(13.1)이 설치되며 상기 통기공(13.1)은 상기 팬(3)의 주변에 위치하여 기류가 상기 통기공(13.1)을 통과한 후 상기 물탱크(12)의 수면(12.1)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물탱크(12)는 풀 아웃 형식으로 베이스(1)에 삽입되거나 빼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KR2020237000033U 2021-10-14 2022-03-09 오븐 KR20230001622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1206873.4 2021-10-14
CN202111206873 2021-10-14
CN202111608865.2 2021-12-16
CN202111608865.2A CN114947553A (zh) 2021-10-14 2021-12-16 一种烤炉
PCT/CN2022/080012 WO2023060828A1 (zh) 2021-10-14 2022-03-09 一种烤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622U true KR20230001622U (ko) 2023-08-03

Family

ID=82974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7000033U KR20230001622U (ko) 2021-10-14 2022-03-09 오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44799U (ko)
KR (1) KR20230001622U (ko)
CN (1) CN114947553A (ko)
WO (1) WO2023060828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8600A (ja) * 2000-08-21 2002-0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調理器
KR100378209B1 (ko) * 2002-07-03 2003-03-31 고태곤 전기 로스터의 공기순환구조
KR101803836B1 (ko) * 2017-03-09 2017-12-04 최승혁 유증기 및 연기 정화 순환시스템을 구비한 전기구이기
CN107456109B (zh) * 2017-09-20 2024-01-30 广东嘉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烤饼机
CN108253502A (zh) * 2018-03-23 2018-07-06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带油烟净化装置的组合锅具
CN209694963U (zh) * 2018-12-28 2019-11-29 林活益 一种中间吸烟型无油烟电烤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0828A1 (zh) 2023-04-20
JP3244799U (ja) 2023-11-30
CN114947553A (zh)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42056A1 (en) Range hood with vortex fan
RU2549938C2 (ru) Варочная панель с центральным отсосом кухонных паров вниз
US20040103789A1 (en) Fume-treating device and fume ducting system for cooker hoods
CN204678522U (zh) 一种可加湿的空气净化器
CN106642387A (zh) 一种空气净化器
CN206001608U (zh) 一种厨房空气净化装置
CN204147708U (zh) 一种便携式油烟净化机
KR20200000159U (ko) 정화 기능을 구비한 기류팬
CN206320902U (zh) 一种空气净化器
KR20230001622U (ko) 오븐
CN210145759U (zh) 一种360度环形进风的空气净化器
CN104289060B (zh) 一种便携式油烟净化机
CN106225207A (zh) 一种可以控制空间内气流路径的净化系统
JPH0464310A (ja) 空調機能付テーブル
KR20070008002A (ko) 배기 후드
JP2023031295A (ja) 空気清浄機
CN217039771U (zh) 一种烤炉
CN205351512U (zh) 一种净化器
JP2006214618A (ja) レンジフード
KR20220013879A (ko) 휴대용 공기정화기
CN108980932B (zh) 一种内循环式防止油烟外溢的家庭厨房用通风装置
KR100445402B1 (ko) 주방용 환기시스템
JPS63267854A (ja) 排煙処理装置
CN206207707U (zh) 一种可以控制空间内气流路径的净化系统
CN214841048U (zh) 吸油烟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