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8002A - 배기 후드 - Google Patents

배기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8002A
KR20070008002A KR1020050062895A KR20050062895A KR20070008002A KR 20070008002 A KR20070008002 A KR 20070008002A KR 1020050062895 A KR1020050062895 A KR 1020050062895A KR 20050062895 A KR20050062895 A KR 20050062895A KR 20070008002 A KR20070008002 A KR 20070008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supply
canopy
intak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1783B1 (ko
Inventor
송성배
백승조
손상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2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1783B1/ko
Priority to EP06000918A priority patent/EP1744103A2/en
Publication of KR20070008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 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저부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부가 구비된 캐노피와,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캐노피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기부를 구비한 후드본체와;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후드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급기팬과; 상기 급기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캐노피의 전방 단부영역에 형성되는 급기노즐과, 상기 캐노피의 전방 단부영역에 상기 급기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급기노즐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캐노피의 전방영역의 오염공기를 포집하는 전면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오염공기의 포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오염공기의 이탈 및 확산을 억제할 수 있는 배기 후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기 후드{EXHAUST HOOD}
도 1은 종래의 배기 후드의 일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배기 후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캐비티의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Ⅸ-Ⅸ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ⅩΙ- ⅩΙ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후드본체 111 : 캐노피
115 : 흡입부 121 : 배기부
135 : 급기팬 137 : 급기유로
140 : 전면포집부 141 : 급기노즐
143 : 만곡벽부재 145 : 흡기노즐
147 : 흡기유로 149 : 흡기필터부
본 발명은, 배기 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공기의 포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오염공기의 이탈 및 확산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배기 후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기 후드는 가스레인지 등 가열조리기를 이용한 조리 시 또는 공기 오염 물질이 발생되는 실험대 등의 상측에 배치되어 연기, 냄새 및 기름증기 등 공기 오염 물질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배기 장치의 일종이다.
도 1은 종래의 배기 후드의 일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후드는, 복수의 버너(11a,11b)를 구비한 조리기(10)의 상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수평 또는 경사지게 설치되는 캐노피(21)와, 캐노피(21)와 연통되고 캐노피(21)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침니 형태의 배기부(31)를 구비하고 있다.
캐노피(21)의 저부면에는 조리기(10)로부터 발생된 연기 및 냄새와 조리 시 발생되는 증기 또는 기름 증기 등의 오염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기구(23)가 형성되어 있으며, 흡기구(23)에는 오염 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통상 그리스필터(24)가 구비되어 있다.
배기부(31)의 내부에는 흡기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유로(33)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기유로(33)에는 배기팬(34)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배기 후드에 있어서는, 조리기(10)의 각 버너(11a,11b)에서 발생된 상승 기류는 보이언시 젯(buoyancy jet) 형태로 상측으로 상승할 수록 그 폭이 증가하게 되어 캐노피(21)의 흡기구(23)에 인접된 일부의 공기만이 흡기구(23) 및 그리스필터(24)를 통해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되고, 나머지는 캐노피(21)의 저부면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 및 이탈되어 캐노피(21)의 주변으로 확산된다. 특히, 조리기(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전방에 배치된 버너(11a)에서 조리를 실시할 경우 오염공기가 캐노피(21)로부터 이탈되어 캐노피(21)의 전방 단부 및 전방 상부영역(A)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실내로 확산되어 주변을 오염시키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배기 후드에 있어서는, 배기팬(34)의 흡입력에 의해 단순히 그리스필터(24)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어, 배기팬(34)의 회전 속도를 높여 흡입력을 증가시킬 경우에도 흡입 성능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단순히 배기팬(34)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는 오염공기가 캐노피(21)를 이탈하여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오염공기의 흡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배기 후드가 고안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배기 후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후드는, 조리기(10)의 상측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조리기(10)의 상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후드본체(51)와, 후드본체(51)의 저부면 전방영역에 공기가 하향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노즐부(81)를 구비하고 있다.
후드본체(51)는, 직사각 판상으로 형성되어 조리기(10)의 상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는 캐노피(61)와, 캐노피(61)와 연통되고 캐노피(61)에 대해 수직하게 돌출되는 침니형태로 형성되는 배기부(71)로 구성되어 있다.
캐노피(61)의 저부면에는 조리기(10)로부터 발생되어 상승되는 오염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기구(63)가 형성되어 있으며, 흡기구(63)에는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그리스필터(64)가 구비되어 있다. 배기부(71)의 내부에는 흡기구(63)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유로(73)가 형성되고, 배기유로에는 배기팬(74)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캐노피(61)의 저부면 전방영역에는 공기를 하향 토출할 수 있도록 노즐부(81)가 형성되어 있으며, 캐노피(61)의 내부 전방영역에는 노즐부(81)를 통해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송풍하는 급기팬(83)이 설치되어 있다. 캐노피(61)의 저부면에는 노즐부(8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소위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해 흡기구(63)영역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볼록한 호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만곡벽부(85)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배기 후드에 있어서는, 캐노피(61)의 전면 하측의 공기를 흡기구(63)측으로 유도하여 흡입 성능을 어느 정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오염 공기의 포집에는 한계가 있어 캐노피(61)의 주변으로 여전히 오염공기가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노즐부(81)는 캐노피(61)의 저부면 전방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도록 되어 있어, 보이언시 젯 형태로 상승된 오염공기가 캐노피(61)의 전방 단부로부터 이탈되어 전방 단부 및 전방 상부영역(B)을 오염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공기의 포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오염공기의 이탈 및 확산을 억제할 수 있는 배기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저부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부가 구비된 캐노피와,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캐노피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기부를 구비한 후드본체와;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후드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급기팬과; 상기 급기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캐노피의 전방 단부영역에 형성되는 급기노즐과, 상기 캐노피의 전방 단부영역에 상기 급기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급기노즐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캐노피의 전방영역의 오염공기를 포집하는 전면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면포집부는 외면을 따라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볼록한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급기노즐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급기노즐을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외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하는 만곡벽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만곡벽부재는 원형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급기노즐은 상기 캐노피의 상부면에 형성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기노즐은 상기 만곡벽부재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을 중심으로 상기 급기노즐의 끝단과 상기 만곡벽부재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이 제1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수직선으로부터 상기 급기노즐의 공기 토출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각도는 0도 내지 60도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기노즐은 상기 만곡벽부재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을 중심으로 상기 급기노즐의 끝단과 상기 만곡벽부재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이 제2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수직선으로부터 상기 급기노즐의 공기 토출방향과 반대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2각도는 0도 내지 30도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노피의 상측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부흡기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상부흡기부는, 상기 캐노피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부흡기구와, 상기 상부흡기구를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 는 상부흡기필터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기노즐은 상기 만곡벽부재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을 중심으로 상기 흡기노즐의 끝단과 상기 만곡벽부재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이 제3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수직선으로부터 상기 급기노즐의 공기 토출방향과 반대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3각도는 0도 내지 30도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기노즐과 상기 급기팬 사이에는 흡기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기유로 중에 배치되는 흡기필터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흡기유로는 상기 흡입부의 하류측과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티의 저부에는 상기 흡기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캐비티의 하측의 공기가 상기 흡기유로로 흡입될 수 있도록 저부흡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흡기유로는 상기 배기부와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기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캐노피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급기노즐과, 상기 캐노피의 측면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측면흡기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캐노피의 측방영역의 공기를 포집하는 측면포집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측면포집부는 외측으로 볼록한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급 기노즐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급기노즐을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외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하는 측면만곡벽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만곡벽부재는 원형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배기 후드는, 저부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부(115)가 구비된 캐노피(111)와,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캐노피(111)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기부(121)를 구비한 후드본체(110)와;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후드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급기팬(135)과; 급기팬(135)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캐노피(111)의 전방 단부영역에 형성되는 급기노즐(141)과, 캐노피(111)의 전방 단부영역에 급기노즐(141)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급기노즐(141)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노즐(145)을 구비하여 캐노피(111)의 전방영역의 오염공기를 포집하는 전면포집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후드본체(110)는, 거의 직사각 판상으로 형성되고 저부면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흡입부(115)를 구비하여 조리기 또는 실험대 등 오염공기 발생원의 상측에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캐노피(111)와,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일측이 캐노피(111)와 연통되고 수직하게 침니 형태로 형성되는 배기부(121)를 구비하고 있다.
흡입부(115)는, 캐노피(111)의 저부면에 관통형성되는 흡기구(116)와, 흡기 구(116)를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그리스필터(117)를 가진다.
배기부(121)의 내부에는 흡입부(115)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배기유로(123)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기유로(123)에는 배기팬(124)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캐노피(111)의 내부에는 급기팬(135)이 설치되어 있으며, 급기팬(135)의 주변에는 급기팬(135)의 회전 시 공기를 흡입 및 토출할 수 있도록 흡기유로(147) 및 급기유로(13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흡기유로(147)는 흡입부(115)를 통과한 공기와 합류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흡기유로(147)에는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그리스필터 형태로 구현되는 흡기필터부(149)가 형성되어 있다.
전면포집부(140)는, 급기유로(137)의 말단에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급기노즐(141)과, 외측으로 볼록한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급기노즐(141)의 일측에 배치되어 급기노즐(141)을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소위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해 볼록한 외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하는 만곡벽부재(143)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급기노즐(141)의 하류측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흡기노즐(145)을 구비하고 있다.
만곡벽부재(143)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봉 또는 원관 형태로 형성되며, 캐노피(111)의 저부면에 대해 하향 돌출되게 결합되어 있다.
급기노즐(141)은 끝단과 만곡벽부재(143)의 중심(O)을 연결하는 가상선(L1) 과 만곡벽부재(143)의 중심(O)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LV)과 제1각도(θ1)를 가지도록 수직선(LV)으로부터 공기의 토출방향을 따라 소정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각도(θ1)는 0도 내지 60도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곡벽부재(143)의 하측에는 급기노즐(141)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 중 코안다 효과에 의해 만곡벽부재(143)의 외면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기노즐(145)이 형성되어 있다. 흡기노즐(145)은 만곡벽부재(143)의 하측 전방영역에 만곡벽부재(143)의 중심(O)과 선단을 연결한 가상선(L3)과 만곡벽부재(143)의 중심(O)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LV)과 제3각도(θ3)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3각도(θ3)는 0도 내지 30도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노피(111)의 하부영역에는 흡기노즐(145)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캐노피(111)의 저부면을 따라 흡기유로(147)가 형성되어 있으며, 흡기유로(147)에는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흡기필터부(149)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배기팬(124)이 회전되면 흡입부(115)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그리스필터(117)를 통과한 공기는 배기유로(123)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급기팬(135)이 회전되면 흡기노즐(145)을 통해 흡입된 공기 및 흡입부(115)를 통과한 공기 중 일부가 급기팬(135)측으로 유동되고, 급기팬(135)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급기노즐(141)을 통해 토출된다. 급기노즐(141)을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만곡벽부재(143)의 외면을 따라 유동된다. 이 때, 캐노피(111)의 전방 단부영역의 오염공기가 만곡벽부재(143)를 따라 유동되는 기류에 유입되어 일부는 흡기노즐(145)을 통해 흡입되어 흡기필터부(149)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급기팬(135)에 의해 순환되고, 일부는 흡기노즐(145)의 외측 저부면을 따라 유동되어 흡입부(1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캐비티의 저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배기 후드는, 저부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부(115)가 구비된 캐노피(111)와,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캐노피(111)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기부(121)를 구비한 후드본체(110)와;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후드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급기팬(135)과; 급기팬(135)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캐노피(111)의 전방 단부영역에 형성되는 급기노즐(151)과, 캐노피(111)의 전방 단부영역에 급기노즐(151)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급기노즐(151)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노즐(145)을 구비하여 캐노피(111)의 전방영역의 오염공기를 포집하는 전면포집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후드본체(110)는 직사각 판상체로 형성되어 수평으로 배치되고 저부에 흡기구(116) 및 그리스필터(117)로 된 흡입부(115)가 형성되어 있는 캐노피(111)와, 캐노피(111)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배기유로(123) 및 배기팬(124)이 설치되 어 있는 배기부(121)를 구비하고 있다.
캐노피(111)의 내부에는 급기팬(135)이 설치되어 있으며, 급기팬(135)의 주변에는 급기팬(135)의 회전 시 공기를 흡입 및 토출할 수 있도록 흡기유로(147) 및 급기유로(13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흡기유로(147)는 흡입부(115)를 통과한 공기와 합류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흡기유로(147)에는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그리스필터 형태로 구현되는 흡기필터부(149)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면포집부(150)는, 급기유로(137)의 말단에 캐노피(111)의 두께방향을 따라 공기가 상향 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급기노즐(151)과, 외측으로 볼록한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급기노즐(151)의 일측에 배치되어 급기노즐(151)을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소위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해 볼록한 외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하는 만곡벽부재(143)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급기노즐(151)의 하류측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흡기노즐(145)을 구비하고 있다.
만곡벽부재(143)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봉 또는 원관 형태로 형성되며, 캐노피(111)의 저부면에 대해 소정 하향 돌출되게 결합되어 있다.
급기노즐(151)은 끝단과 만곡벽부재(143)의 중심(O)을 연결하는 가상선(L2)과 만곡벽부재(143)의 중심(O)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LV)이 제2각도(θ2)를 가지도록 수직선(LV)으로부터 공기의 토출방향과 반대측으로 소정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각도(θ2)는 0도 내지 30도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곡벽부재(143)의 하측에는 급기노즐(151)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 중 코안다 효과에 의해 만곡벽부재(143)의 외면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기노즐(145)이 형성되어 있다. 흡기노즐(145)은 만곡벽부재(143)의 하측 전방영역에 만곡벽부재(143)의 중심(O)과 선단을 연결한 가상선(L3)과 만곡벽부재(143)의 중심(O)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LV)과 제3각도(θ3)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3각도(θ3)는 0도 내지 30도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노피(111)의 하부영역에는 흡기노즐(145)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흡기유로(147)가 형성되어 있으며, 흡기유로(147)에는 흡기필터부(149)가 구비되어 있다.
캐비티(111)의 저부면 전방영역에는 캐비티(111)의 하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판면을 관통함과 아울러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캐비티(111)의 전후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슬릿형태로 구현된 복수의 저부흡입공(148)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저부흡입공(148)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급기팬(135)이 회전되면 흡기노즐(145) 및 흡입부(115)를 통과한 공기 중 일부가 급기팬(135)측으로 유동되고, 급기팬(135)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급기노즐(151)을 통해 캐노피(111)의 상측으로 토출된다. 급기노즐(151)을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만곡벽부재(143)의 외면 을 따라 하향 유동되고, 이 때, 캐노피(111)의 전방 단부영역의 오염공기가 만곡벽부재(143)를 따라 유동되는 기류에 유입됨으로써, 캐노피(111)의 전방 및 전방 상부영역까지 오염공기의 포집영역이 확대되어 오염공기의 이탈 및 확산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만곡벽부재(143)를 따라 유동된 공기 중 일부는 코안다 효과 및 급기팬(135)의 흡입력에 의해 흡기노즐(145)을 통해 흡입되고, 일부는 흡기노즐(145)의 저부면을 따라 흡입부(115)측으로 유동되면서 일부는 흡입슬릿(148)을 통해 흡입되고 나머지는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Ⅸ-Ⅸ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배기 후드는, 저부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부(115)가 구비된 캐노피(111)와,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캐노피(111)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기부(121)를 구비한 후드본체(110)와;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후드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급기팬(135)과; 급기팬(135)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캐노피(111)의 전방 단부영역에 형성되는 급기노즐(141)과, 캐노피(111)의 전방 단부영역에 급기노즐(141)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급기노즐(141)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노즐(145)을 구비하여 캐노피(111)의 전방영역의 오염공기를 포집하는 전면포집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후드본체(110)는, 거의 직사각 판상으로 형성되고 저부면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흡입부(115)를 구비하여 조리기 또는 실험대 등 오염공기 발생원 의 상측에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캐노피(111)와,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일측이 캐노피(111)와 연통되고 수직하게 침니 형태로 형성되는 배기부(121)를 구비하고 있다.
흡입부(115)는, 캐노피(111)의 저부면에 관통형성되는 흡기구(116)와, 흡기구(116)를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그리스필터(117)를 가진다.
배기부(121)의 내부에는 흡입부(115)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배기유로(123)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기유로(123)에는 배기팬(124)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캐노피(111)의 내부에는 급기팬(135)이 설치되어 있으며, 캐노피(111)의 상부면에는 캐노피(111)의 상측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부흡기부(171)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흡기부(171)는 캐노피(111)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부흡기구(173)와, 상부흡기구(173)를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상부흡기구(173)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상부흡기필터부(174)로 구성되어 있다.
급기팬(135)의 일측에는 상부흡기부(171)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전면포집부(140)로 유동될 수 있도록 급기유로(137)가 형성되어 있으며, 캐노피(111)의 하부영역에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기유로(147)가 형성되어 있다. 흡기유로(147)의 말단은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부(121)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으며, 흡기유로(147)에는 흡기유로(147)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흡기필터부(149)가 구비되어 있다.
전면포집부(140)는, 급기유로(137)의 말단에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형성 되는 급기노즐(141)과, 외측으로 볼록한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급기노즐(141)의 일측에 배치되어 급기노즐(141)을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소위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해 볼록한 외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하는 만곡벽부재(143)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급기노즐(141)의 하류측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흡기노즐(145)을 구비하고 있다.
만곡벽부재(143)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봉 또는 원관 형태로 형성되며, 캐노피(111)의 저부면에 대해 하향 돌출되게 결합되어 있다.
급기노즐(141)은 끝단과 만곡벽부재(143)의 중심(O)을 연결하는 가상선(L1)과 만곡벽부재(143)의 중심(O)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LV)과 제1각도(θ1)를 가지도록 수직선(LV)으로부터 공기의 토출방향을 따라 소정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각도(θ1)는 0도 내지 60도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곡벽부재(143)의 하측에는 급기노즐(141)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 중 코안다 효과에 의해 만곡벽부재(143)의 외면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기노즐(145)이 형성되어 있다. 흡기노즐(145)은 만곡벽부재(143)의 하측 전방영역에 만곡벽부재(143)의 중심(O)과 선단을 연결한 가상선(L3)과 만곡벽부재(143)의 중심(O)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LV)과 제3각도(θ3)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3각도(θ3)는 0도 내지 30도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배기팬(124)이 회전되면 흡입부(115)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그리스필터(117)를 통과한 공기는 배기유로(123)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 다.
한편, 급기팬(135)이 회전되면 상부흡기부(171)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급기팬(135)에 의해 송풍되어 급기유로(137)를 따라 유동된 후 급기노즐(141)을 통해 토출된다. 급기노즐(141)을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만곡벽부재(143)의 외면을 따라 유동된다. 이 때, 캐노피(111)의 전방 단부영역의 오염공기가 만곡벽부재(143)를 따라 유동되는 기류에 유입되어 일부는 흡기노즐(145)을 통해 흡입되어 흡기필터부(149)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배기부(121)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고, 일부는 흡기노즐(145)의 외측 저부면을 따라 유동되어 흡입부(1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 후드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ⅩΙ- ⅩΙ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배기 후드는, 저부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부(115)가 구비된 캐노피(111)와,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캐노피(111)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기부(121)를 구비한 후드본체(110)와;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후드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급기팬(135)과; 급기팬(135)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캐노피(111)의 전방 단부영역에 형성되는 급기노즐(151)과, 캐노피(111)의 전방 단부영역에 급기노즐(151)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급기노즐(151)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노즐(145)을 구비하여 캐노피(111)의 전방영역의 오염공기를 포집하는 전면포집부(150)와; 캐노피(111)의 측면에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측면급기노즐(171)과, 캐노피(111)의 측 면에 측면급기노즐(171)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하류측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측면흡기노즐(175)을 구비하여 캐노피(111)의 측방영역의 오염공기를 포집하는 측면포집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후드본체(110)는 직사각 판상체로 형성되어 수평으로 배치되고 저부에 흡기구(116) 및 그리스필터(117)로 된 흡입부(115)가 형성되어 있는 캐노피(111)와, 캐노피(111)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배기유로(123) 및 배기팬(124)이 설치되어 있는 배기부(121)를 구비하고 있다.
캐노피(111)의 내부에는 급기팬(135)이 설치되어 있으며, 급기팬(135)의 주변에는 급기팬(135)의 회전 시 공기를 흡입 및 토출할 수 있도록 흡기유로(147) 및 급기유로(13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흡기유로(147)는 흡입부(115)를 통과한 공기와 합류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흡기유로(147)에는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그리스필터 형태로 구현되는 흡기필터부(149)가 형성되어 있다.
전면포집부(150)는, 급기유로(137)의 말단에 캐노피(111)의 두께방향을 따라 공기가 상향 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급기노즐(151)과, 외측으로 볼록한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원봉 또는 원관 형태로 형성되어 급기노즐(151)의 일측에 배치되어 급기노즐(151)을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소위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해 볼록한 외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하는 만곡벽부재(143)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급기노즐(151)의 하류측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흡기노즐(145)을 구비하고 있다.
급기노즐(151)은 끝단과 만곡벽부재(143)의 중심(O)을 연결하는 가상선(LV)과 만곡벽부재(143)의 중심(O)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LV)과 제2각도(θ2)를 가지도록 수직선(LV)으로부터 공기의 토출방향과 반대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각도(θ2)는 0도 내지 30도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곡벽부재(143)의 하측에는 급기노즐(151)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 중 코안다 효과에 의해 만곡벽부재(143)의 외면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기노즐(145)이 형성되어 있으며, 흡기노즐(145)은 만곡벽부재(143)의 하측 전방영역에 만곡벽부재(143)의 중심(O)과 선단을 연결한 가상선(L3)과 만곡벽부재(143)의 중심(O)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LV)과 제3각도(θ3)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3각도(θ3)는 0도 내지 30도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노피(111)의 하부영역에는 흡기노즐(145)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흡기유로(147)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측면포집부(170)는, 급기팬(135)에 의해 송풍된 공기 중 일부가 캐노피(111)의 측방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측면급기노즐(171)과, 외측으로 볼록한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원봉 또는 원관 형태로 형성되어 측면급기노즐(171)을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볼록한 외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도록 배치되는 측면만곡벽부재(173)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측면급기노즐(171)의 하류측에 소정 거리 이격배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측면흡기노즐(175)을 구비하고 있다.
캐노피(111)의 하측에는 측면흡기노즐(175)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급기팬 (135) 영역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측면흡기유로(177)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흡기유로(177)에는 측면흡기노즐(175)을 통해 흡입된 공기 중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그리스필터의 형태로 측면흡기필터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배기팬(124)이 회전되면 흡입부(115)를 통해 캐노피(111)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배기유로(12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급기팬(135)이 회전되면 전면포집부(150)의 흡기노즐(145) 및 측면포집부(170)의 측면흡기노즐(175)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 중 일부는 급기유로를 따라 전면포집부(150)로 유동되고, 급기노즐(15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급기노즐(151)을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만곡벽부재(143)의 외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고, 이 때 캐노피(111)의 전방영역의 오염공기가 만곡벽부재(143)를 따라 유동되는 기류에 유입되어 일부는 흡기노즐(145)을 통해 흡입되고 일부는 캐노피(111)의 하측을 따라 유동되어 흡입부(115)를 통해 흡입된다.
캐노피(111)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 중 일부는 측면포집부(170)로 유동되어 측면급기노즐(171)을 통해 토출된다. 측면급기노즐(171)을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측면만곡벽부재(173)의 외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고, 이 때 캐노피(111)의 측방영역의 공기가 측면만곡벽부재(173)의 외면을 따라 하향 유동되는 기류에 유입되어 하향 유동되고, 이들 중 일부는 측면흡기노즐(175)을 통해 흡입되고 다른 일부는 캐노피(111)의 하측에서 흡입부(115)측으로 유동되어 흡입부 (115)를 통해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도 10 및 도 11과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전면포집부 및 측면포집부가 만곡벽부재 및 측면만곡벽부재의 각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으로부터 각 급기노즐 및 측면급기노즐의 각 끝단이 공기의 토출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2각도를 이루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급기노즐 및 측면급기노즐이 만곡벽부재 및 측면만곡벽부재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으로부터 공기의 토출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각 노즐의 끝단이 제1각도를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각 급기팬이 캐노피의 두께방향을 따라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각 급기팬의 회전축이 캐노피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7과, 도 11 및 도 12와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도 8 및 도 9와 관련하여 전술한 상부흡기부를 동시에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저부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부가 구비된 캐노피와,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캐노피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기부를 구비한 후드본체와;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후드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급기팬과; 급기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캐노피의 전방 단부영역에 형성되는 급기노즐과, 캐노피의 전방 단부영역에 급기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급기노즐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노즐을 구비하여 캐노피의 전방영역의 오염공기를 포집하는 전면포집부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캐노피의 전방영역의 오염 공기를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오염 공기의 이탈 및 확산을 억제할 수 있는 배기 후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급기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캐노피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급기노즐과, 캐노피의 측면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측면흡기노즐을 구비하여 캐노피의 측방영역의 공기를 포집하는 측면포집부를 더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오염공기의 포집영역을 확대할 수 있어 오염공기의 이탈 및 확산을 억제할 수 있고 오염공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기 후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만곡벽부재의 하측에 급기노즐에 의해 토출되어 코안다효과에 의해 만곡벽부재의 외면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를 흡입될 수 있도록 흡기노즐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후드본체의 외각으로 이탈되는 공기의 포집 및 흡입이 용이하여 만곡벽부재의 외면을 따라 유동되는 기류의 박리유동이 억제되어 코안다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배기 후드가 제공된다.

Claims (19)

  1. 저부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부가 구비된 캐노피와,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캐노피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기부를 구비한 후드본체와;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후드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급기팬과;
    상기 급기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캐노피의 전방 단부영역에 형성되는 급기노즐과, 상기 캐노피의 전방 단부영역에 상기 급기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급기노즐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캐노피의 전방영역의 오염공기를 포집하는 전면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포집부는 외면을 따라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볼록한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급기노즐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급기노즐을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외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하는 만곡벽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벽부재는 원형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노즐은 상기 캐노피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노즐은 상기 만곡벽부재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을 중심으로 상기 급기노즐의 끝단과 상기 만곡벽부재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이 제1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수직선으로부터 상기 급기노즐의 공기 토출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각도는 0도 내지 60도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노즐은 상기 만곡벽부재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을 중심으로 상기 급기노즐의 끝단과 상기 만곡벽부재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이 제2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수직선으로부터 상기 급기노즐의 공기 토출방향과 반대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각도는 0도 내지 30도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의 상측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부흡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흡기부는, 상기 캐노피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부흡기구와, 상기 상부흡기구를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상부흡기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노즐은 상기 만곡벽부재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을 중심으로 상기 흡기노즐의 끝단과 상기 만곡벽부재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이 제3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수직선으로부터 상기 급기노즐의 공기 토출방향과 반대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각도는 0도 내지 30도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노즐과 상기 급기팬 사이에는 흡기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기유로 중에 배치되는 흡기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유로는 상기 흡입부의 하류측과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저부에는 상기 흡기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캐비티의 하측의 공기가 상기 흡기유로로 흡입될 수 있도록 저부흡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유로는 상기 배기부와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17.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캐노피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급기노즐과, 상기 캐노피의 측면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측면흡기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캐노피의 측방영역의 공기를 포집하는 측면포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포집부는 외측으로 볼록한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급기노즐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급기노즐을 통해 토출된 공기 중 일부가 외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하는 측면만곡벽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만곡벽부재는 원형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후드.
KR1020050062895A 2005-07-12 2005-07-12 배기 후드 KR100741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895A KR100741783B1 (ko) 2005-07-12 2005-07-12 배기 후드
EP06000918A EP1744103A2 (en) 2005-07-12 2006-01-17 Exhaust h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895A KR100741783B1 (ko) 2005-07-12 2005-07-12 배기 후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002A true KR20070008002A (ko) 2007-01-17
KR100741783B1 KR100741783B1 (ko) 2007-07-24

Family

ID=37102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895A KR100741783B1 (ko) 2005-07-12 2005-07-12 배기 후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1744103A2 (ko)
KR (1) KR1007417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786B1 (ko) * 2005-08-23 2007-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기 후드
DE102007039635A1 (de) * 2007-03-20 2008-09-2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Dunstabzugshaube
DE102007039633A1 (de) * 2007-08-22 2009-02-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häuse einer Dunstabzugshaube mit einem Luftaustrittsspalt
DE102007039634A1 (de) * 2007-08-22 2009-02-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häuse einer Dunstabzugshaube
CN105757741B (zh) * 2014-12-15 2018-01-09 布朗(上海)环境技术有限公司 厨房剩余油烟净化处理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21303D0 (en) 1994-10-22 1994-12-07 Howorth Airtech Ltd Clean air system
DE19613513A1 (de) 1996-04-04 1997-10-09 Roehl Hager Hannelore Verfahren zum Eingrenzen, Erfassen und Absaugen von Dunst, Staub oder dergleichen sowie Ein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KR100384700B1 (ko) * 2001-06-04 2003-05-23 주식회사 엑타 주방용 배기 후드
JP2004077073A (ja) 2002-08-21 2004-03-11 Fuji Industrial Co Ltd レンジフードファ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1783B1 (ko) 2007-07-24
EP1744103A2 (en) 200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7289B1 (ko) 배기 후드
KR100664067B1 (ko) 배기 후드
KR100741786B1 (ko) 배기 후드
EP1657494B1 (en) Exhaust hood
KR100741783B1 (ko) 배기 후드
KR20130054722A (ko)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US6347626B1 (en) Ventilation system for a kitchen
JP2003207184A (ja) 給排型厨房換気装置の給気吹出し構造
KR20110094110A (ko) 흡입 후드
KR100677288B1 (ko) 배기 후드
KR100664068B1 (ko) 배기 후드
JP2009139056A (ja) 空気汚染物の除去装置及びレンジフード
KR100664069B1 (ko) 월젯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배기 후드
KR101985797B1 (ko)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KR100608704B1 (ko) 주방용 후드의 월제트 배기장치
KR200386369Y1 (ko) 신선공기 도입형 주방용 레인지후드
KR102331409B1 (ko) 와류형 흡입 장치
CN106439964B (zh) 一种吸油烟机
CN110500632B (zh) 吸油烟机
JP3637219B2 (ja) レンジフード
CN201121935Y (zh) 百叶式导流板
CN114763918A (zh) 一种吸油烟机及其控制方法
KR100565905B1 (ko) 양흡입형 가스렌지 후드
WO2023060828A1 (zh) 一种烤炉
KR100347389B1 (ko) 와류 주방 환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