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485U - 수도꼭지 직결형 정수기 - Google Patents
수도꼭지 직결형 정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01485U KR20230001485U KR2020237000018U KR20237000018U KR20230001485U KR 20230001485 U KR20230001485 U KR 20230001485U KR 2020237000018 U KR2020237000018 U KR 2020237000018U KR 20237000018 U KR20237000018 U KR 20237000018U KR 20230001485 U KR20230001485 U KR 20230001485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purified water
- raw water
- water purifier
- flow ra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수도꼭지 직결형 정수기(1)는, 원수를 받아들이는 원수 유입구(28)를 갖는 유로 스위칭 밸브(13), 원수를 정화하는 여과 카트리지(3), 정수를 토출하는 정수 유출구(19), 유로 스위칭 밸브로부터 여과 카트리지까지를 연결하는 원수관로(20), 및 여과 카트리지로부터 정수 유출구까지를 연결하는 정수관로(30)를 구비하고, 정수관로에는 유량 검출부(102)가 설치되어 있고, 원수관로의 상방에 정수관로가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가정 등의 수도꼭지에 부착해서 사용되는 수도꼭지 직결형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중공사막이나 활성탄 등 여과재를 충전한, 교환가능한 여과 카트리지를 탑재하고, 가정 등의 수도꼭지에 부착해서 수도수를 여과하는 수도꼭지 직결형 정수기가 알려져 있다. 여과 카트리지는 수도수에 포함되는 철수(鐵銹) 등이 중공사막에 막혀서 유량이 감소하거나, 수도수에 포함되는 유기물이 다량으로 흡착해서 활성탄의 흡착 성능이 저하하거나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정기적으로 신품의 여과 카트리지로 교환해서 계속 사용한다. 교환 시기가 적절하면, 사용자는 항상 안전하고 맛있는 정수를 마실 수 있어 건강적이다.
철수 등이 중공사막에 막혀서 유량이 감소하면 사용자는 눈치 채기 쉽지만, 유기물이 다량으로 흡착해서 활성탄의 흡착 성능이 저하해도, 맛이나 색의 변화가 거의 없으므로 사용자는 눈치 채기 어렵다. 활성탄의 흡착 성능의 저하는 통과한 총 여과수량과 상관이 있기 때문에 여과 유량을 계측해서 적산하면 좋지만, 사용하는 여과수량은 매일 바뀌므로 계측은 번잡하고 번거롭다.
이것에 대하여, 특허문헌 1에는 여과 카트리지에 유입하는 수도수의 유량을 계측해서 적산하고, 소정의 총 여과수량에 도달하면 사용자가 시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수도꼭지 직결형 정수기가 제안되고 있다. 정수의 맛이나 색의 변화가 없어도, 사용자는 번거로운 계측을 행하지 않고, 표시를 보고 여과 카트리지의 교환 시기를 파악할 수 있다. 흡착 성능이 저하하여 충분히 여과되지 않은 정수를 마시는 경우는 없다.
[제 1 과제]
그렇지만, 유량 검출부가 여과 카트리지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도수 중의 철수 등이 유량 검출부에 유입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유량 검출부의 자석을 내장하는 회전 날개(이하, 자석 내장·회전 날개라고 칭함)에 철수가 걸려서 회전하지 않게 되고, 유량을 계측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특허문헌 2에는 여과 카트리지의 하류측에 유량 검출부를 구비한 수도꼭지 직결형 정수기가 제안되어 있다. 철수 등이 제거된 정수가 유량 검출부에 유입하므로, 자석 내장·회전 날개에 철수가 걸려서 회전하지 않게 되는 경우는 없다. 그 때문에, 여과 유량을 정확하게 계측해서 적산하고, 여과 카트리지의 교환 시기를 표시할 수 있다.
그렇지만, 수도꼭지 직결형 정수기의 조립시에, 원수관로의 하방이 후미진 곳에 있는 정수관로 주변에 유량 검출부를 배치하지 않으면 안 되고, 손이 많이 가서 조립 효율이 저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과제에 감안하여, 수도수의 철수 등이 유량 검출부에 유입하여 계측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립 효율이 양호하고, 폭 치수가 크지 않고, 여과 카트리지의 교환 시기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수도꼭지 직결형 정수기를 제공한다.
[제 2 과제]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수도꼭지 직결형 정수기는 액정 표시기의 연직축 방향에 대한 경사가 크고 표면이 누운 상태이기 때문에, 정수기의 액정 표시기의 부분이 수도꼭지보다 상당히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정수기 아래에서 접시나 컵을 씻을 때에 정수기가 방해되어 손잡이가 보이기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것에 대하여, 특허문헌 3에는 액정 표시기의 표면을 세운 상태로 고정한 수도꼭지 직결형 정수기가 제안되어 있다. 즉, 액정 표시기의 표면이 연직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가 0도로 되어 있다. 액정 표시기가 수도꼭지보다 전방으로 크게 돌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정수기 아래에서 접시나 컵을 씻을 때에 정수기가 방해되어 손잡이가 보이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없다.
그렇지만, 사용자는 액정 표시기의 표면을 상당히 상방으로부터 내려다 봐야 하고, 표시된 세그먼트를 보기 어려워진다. 여과 카트리지의 교환 시기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허리를 굽혀 눈의 높이를 액정 표시기의 높이에 가까이 하지 않으면 안 되므로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과제에 감안하여, 사용자가 수도꼭지 직결형 정수기 아래에서 접시나 컵을 씻을 때에 손잡이가 보이기 어려운 것을 방지하고, 허리를 굽혀 눈의 높이를 액정 표시기의 높이에 가까이 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여과 카트리지의 교환 시기를 파악할 수 있는 수도꼭지 직결형 정수기를 제공한다.
[제 1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1-1) 상기 제 1 과제를 해결하는 본 고안의 수도꼭지 직결형 정수기는,
원수를 받아들이는 원수 유입구와, 받아들인 원수의 유로를 스위칭하는 유로 스위칭 밸브와, 원수를 정화하는 여과 카트리지와, 정수를 토출하는 정수 유출구와, 상기 유로 스위칭 밸브로부터 상기 여과 카트리지까지를 연결하는 원수관로와, 상기 여과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정수 유출구까지를 연결하는 정수관로를 구비하고, 수도꼭지에 지지 고정되는 정수기로서,
상기 정수관로에는 유량 검출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정수관로는 상기 정수기가 수도꼭지에 지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원수관로의 상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1-2) 상기 제 1 과제를 해결하는 본 고안의 수도꼭지 직결형 정수기는, 상기 유량 검출부가 회동 가능한 수차와, 상기 수차의 회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자기 스위치를 갖고,
상기 수차가 수지의 통부, 날개, 및 통부의 내부에 고정된 자석을 갖고, 상기 정수관로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자기 스위치는 상기 정수기가 수도꼭지에 지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정수관로의 상방이 되는 위치에서 정수관로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2-1) 상기 제 2 과제를 해결하는 본 고안의 수도꼭지 직결형 정수기는, 액정 표시기를 구비하고, 수도꼭지에 지지 고정되는 정수기로서,
상기 액정 표시기의 표면이 상기 정수기가 수도꼭지에 지지 고정된 상태에서, 연직축 방향에 대하여 20도 이상 40도 이하로 기울어져 있고,
상기 액정 표시기의 세그먼트와 백라이트가 동시에 점등 가능하다.
(2-2) 상기 제 2 과제를 해결하는 본 고안의 수도꼭지 직결형 정수기는, 상기 백라이트가 적어도 2색 이상으로 점등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과제를 해결하는 고안의 효과]
상기 제 1 과제를 해결하는 본 고안의 수도꼭지 직결형 정수기는, 유로 스위칭 밸브로부터 여과 카트리지까지를 연결하는 원수관로와, 여과 카트리지로부터 정수 유출구까지를 연결하는 정수관로를 갖고, 정수관로에 유량 검출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철수 등이 제거된 정수가 유량 검출부에 유입된다. 그 결과, 자석 내장·회전 날개에 철수가 걸려서 회전하지 않게 되는 불량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여과 유량을 정확하게 계측해서 적산하고 여과 카트리지의 교환 시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원수관로의 상방에 정수관로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후미진 곳에 있는 관로 주변에 유량 검출부를 배치할 필요가 없고, 손잡이 가까운 곳에서 유량 검출부를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조립에 손이 많이 가거나 조립 효율이 저하하거나 하는 경우없이, 제조 원가의 저감이 도모된다.
또한, 상기 제 1 과제를 해결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형태의 수도꼭지 직결형 정수기는, 유량 검출부가 회동 가능한 수차와 자기 스위치를 갖고, 수차가 수지의 통부, 날개, 및 통부의 내부에 고정된 자석을 갖고, 정수관로의 내부에 수차가 배치되고, 정수관로의 상방에 자기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자기 스위치를 정수관로의 외측에 배치하여 폭 치수가 커지는 경우는 없다. 그 결과, 정수기의 사용자가 접시를 씻을 때에 손잡이가 정수기에 숨겨지기 어려우므로 손잡이가 보이기 쉬워진다.
[제 2 과제를 해결하는 고안의 효과]
상기 제 2 과제를 해결하는 본 고안의 수도꼭지 직결형 정수기는, 액정 표시기의 표면이 연직축 방향에 대하여 20도 이상 40도 이하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정수기의 액정 표시기의 부분이 수도꼭지보다 전방으로 크게 돌출되는 경우가 없고, 사용자가 정수기 아래에서 접시나 컵을 씻을 때에 정수기가 방해되어 손잡이가 보이지 않는 경우가 없다. 또한, 액정 표시기의 세그먼트와 백라이트가 동시에 점등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액정 표시기를 상방으로부터 내려다보는 것에 의해, 표시된 세그먼트가 보이지 않은 경우이어도, 백라이트의 점등의 방법을 확인함으로써 여과 카트리지의 교환 시기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과제를 해결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형태의 수도꼭지 직결형 정수기는, 백라이트가 적어도 2색 이상으로 점등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백라이트의 색을 확인함으로써, 여과 카트리지의 교환 시기를 더욱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정수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정수기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정수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정수기의 A-A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정수기의 B-B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정수기의 여과 카트리지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정수기에 사용하는 밸브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내는 정수기의 E-E 종단면이다.
도 9는 도 2에 나타내는 정수기의 C-C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정수기에 사용되는 전원부(10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 중에 있어서 부호 102가 나타내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정수기에 사용하는 유량 검출부(10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정수기의 유로 스위칭 밸브 본체(13)의 우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정수기의 제어부(104)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정수기의 스위칭 상태를 나타내는 「정수」「원수 스트레이트」「원수 샤워」의 일러스트이다.
도 16은 도 2에 나타내는 정수기의 D-D 단면도에 있어서의 제어부(104)의 확대도이다.
도 17은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정수기의 수차 지지 부재(123)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정수기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정수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정수기의 A-A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정수기의 B-B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정수기의 여과 카트리지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정수기에 사용하는 밸브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내는 정수기의 E-E 종단면이다.
도 9는 도 2에 나타내는 정수기의 C-C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정수기에 사용되는 전원부(10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 중에 있어서 부호 102가 나타내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정수기에 사용하는 유량 검출부(10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정수기의 유로 스위칭 밸브 본체(13)의 우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정수기의 제어부(104)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정수기의 스위칭 상태를 나타내는 「정수」「원수 스트레이트」「원수 샤워」의 일러스트이다.
도 16은 도 2에 나타내는 정수기의 D-D 단면도에 있어서의 제어부(104)의 확대도이다.
도 17은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정수기의 수차 지지 부재(123)의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가정의 키친 등의 수도꼭지에 부착되는 정수기를 예로 들고,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정수기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정수기(1)는 그 내부에 유로 스위칭 밸브를 내장한 본체부(2)와, 도 6에 나타낸 여과재를 수납한 여과 카트리지(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2)에는 레버(5)가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는 레버(5)를 조작함으로써 수도꼭지(4)로부터 원수 유입구를 개재해서 유입한 원수를 그대로 샤워수로서 샤워 형상으로 토출할지(원수 샤워), 그대로 스트레이트수로서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토출할지(원수 스트레이트), 여과 카트리지(3)에 공급할지를 선택하여 스위칭된다. 여과 카트리지(3)에 공급된 원수는, 활성탄 등의 흡착제나 중공사막 등에 의해 여과되고, 정수 유출구로부터 정수로서 토출된다.
우선, 본체부(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정수기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정수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 중의 A-A 종단면이며, 도 5는 도 2 중의 B-B 종단면이다.
본체부(2)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보디(16)와, 상부 보디(17)와, 스위칭 조작을 행하는 레버(5)와, 여과 카트리지(3)를 고정하는 카트리지 캡(91)과, 유량을 적산하고 그 결과를 표시하는 전장부 등을 구비하고 있다. 하부 보디(16)는 3개의 밸브체(11a, 11b, 11c) 및 밸브축(12)을 갖는 유로 스위칭 밸브 본체(13)와, 원수 샤워구(14)와, 원수 스트레이트구(15)와, 정수 유출구(19)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보디(17)는 유로 스위칭 밸브 본체(13)가 상면으로 돌출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유로 스위칭 밸브 본체(13)에는 링 형상의 패킹(36)이 장착되어 있고, 수도꼭지(4)의 선단에 부착되는 어댑터(37)를 개재하여 부착 너트(38)를 유로 스위칭 밸브 본체(13)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본체부(2)가 수도꼭지(4)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유로 스위칭 밸브 본체(13)의 내부는 3개의 통수로(21a, 21b, 21c)를 개설한 구획판(22)에 의해, 상부실(23)과 하부실(24)로 구획되어 있다. 상부실(23)에는 3개의 밸브체(11a, 11b, 11c)가 3개의 통수로(21a, 21b, 21c)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정수기에 사용하는 밸브체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체(11a, 11b, 11c)는 각각 밸브(58a, 58b, 58c)와, 밸브 시일(57a, 57b, 57c)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체(11a)의 밸브 시일(57a)을 구획판(22)에 압박함으로써, 통수로(21a)가 닫힌 상태가 된다. 밸브체(11b, 11c)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밸브축(12)은 그 회동에 대응하여, 밸브체(11a, 11b, 11c)가 상하하도록 삽입부착된다. 하부실(24)에는 통수로(21a)로부터 여과 카트리지(3)에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공급구(26)(도 9 참조)에 통하는 유로(31a)와, 통수로(21b)로부터 원수 스트레이트구(15)로 통하는 유로(31b)와, 통수로(21c)로부터 원수 샤워구(14)로 통하는 유로(31c)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축(12)에는 통수로(21a, 21b, 21c)에 대향하는 위치에, 밸브축 캠부(27a, 27b, 27c)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밸브축 캠부(27a, 27b, 27c)는 밸브축(12)의 둘레방향으로, 예를 들면 40°씩 비켜 놓아 설치되어 있고, 밸브축(12)을 40°씩 회동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상방을 향하여, 밸브(58a, 58b, 58c)에 설치한 밸브 캠부(47a, 47b, 47c) 중 어느 1개를 밀어올려 통수로를 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밀어올릴 수 없는 밸브체 2개는 대응하는 밸브축 캠부로 밀어내려져 통수로를 닫도록 되어 있다.
즉, 후술의 밸브 조작부(18)에 의해 밸브축(12)을 소정 각도 회동함으로써, 통수로(21a, 21b, 21c)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고, 수도꼭지(4)로부터 유입한 원수를 그대로 샤워수로서 토출할지, 그대로 스트레이트수로서 토출할지, 여과 카트리지(3)에 공급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밸브체(11a, 11b, 11c)에는 심체로서의 밸브에 우산형 고무제의 밸브 시일을 장착한 것을 사용하고 있지만, 밸브 시일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원추형이어도 원통형이어도 좋다.
도 9는 도 2 중의 C-C 단면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로 스위칭 밸브 본체(13)의 측부 후방에는 여과 카트리지(3)에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공급구(26)와, 여과 카트리지(3)로부터 정수를 받아들이는 정수 수입구(29)가 형성되어 있다. 원수 공급구(26)는 원수관로(20)를 개재해서 유로(31a)에 연통하고 있고, 정수 수입구(29)는 정수관로(30)를 개재해서 정수 유출구(19)와 연통하고 있다. 정수관로(30)에는, 후술하는 유량 검출부(102)의 수차(122)와 수차 지지 부재(123)가 설치되고, 정수의 통수에 의해 수차(122)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정수관로(30)는 원수관로(20)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유량 검출부(102)의 자기 스위치 홀더(125)는 정수관로(30)의 상방측면에 배치된다. 여기에서 「상방」이란, 정수기(1)를 수도꼭지에 지지 고정한 상태에서의 연직 상측의 방향이다.
다음에, 여과 카트리지(3)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정수기에 장착하는 여과 카트리지(3)의 횡단면도이다. 여과 카트리지(3)는 용기(61)의 저부에, 원수 공급구(26)로부터 원수를 받아들이는 원수 수입구(62)와, 정수 수입구(29)에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 공급구(63)가 형성되어 있다. 원수 수입구(62)와 정수 공급구(63)에는, 각각 O링(73, 74)이 설치되어, 원수 공급구(26)와 정수 수입구(29)에 접속했을 때에 외부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용기(61)의 내부 저면에는 원통 형상 돌기(61a)가 형성되어 있고, 원통 형상 돌기(61a)에, 중공사막 모듈의 원통체(64)의 하단이 O링(65)을 개재해서 끼워넣고 세워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원통체(64)의 외주 상하부에는, 원통체(64)의 외주면과 용기(61)의 내벽면 사이를 통과하는 원수의 처리를 행하는 흡착제층(70)을 유지하기 위해서, 링 형상 필터(66, 67)가 고정되어 있다.
원통체(64)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중공사막을 묶어서 역U자 형상으로 접어 구부린 중공사막속(68)이 수납되어 있다. 중공사막의 양단부는 원통체(64)의 하부에서 각 중공사간 및 중공사와 원통체(64) 사이에 충전된 경화성 수지(69)(밀봉제)에 의해 밀봉 고정되어 있다. 각 중공사막은 용기(61)에 끼워넣기 전에 포팅부가 일부 절단 제거되어 있으므로, 말단이 정수 공급구(63)를 향해서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원통체(64)의 외주면과 용기(61)의 내벽면 사이에는 활성탄, 제올라이트, 이온 교환 수지, 킬레이트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흡착제층(70)이 배치되어 있다.
용기(61)의 상부는 중공사막속(68)과 흡착제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고, 내부의 오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캡(71)이 끼워넣어져 초음파 용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여과 카트리지(3)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2) 내에 장전된다. 카트리지 캡(91)이 여과 카트리지(3)에 덮이는 위치에서 하부 보디(16)와 상부 보디(17)에 고정되고, 여과 카트리지(3)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계속해서, 도 3과 도 8을 사용하여 밸브축(12)을 회동 조작하는 밸브 조작부(18)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도 2 중의 E-E 종단면도이다.
밸브 조작부(18)는 레버(5)의 축단에 형성된 볼록부와, 밸브축(12)의 축단에 형성된 볼록부를 레버 접속부(8)를 개재해서 연결하고, 레버(5)의 조작에 따라서 밸브축(12)이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레버 접속부(8)에 형성된 홈부가 상부 보디(17)와 하부 보디(16)에 끼워져, 밸브축(12)의 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된다.
밸브축(12)에는 레버 접속부(8)와 밸브축(12)이 접촉하는 근방의 원통측면에 형성된 구멍에 용수철(7)과 강구(6a, 6b)가, 강구(6b)의 일부가 구멍부(9)로부터 나오는 상태로 삽입된다.
도 13은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수기의 유로 스위칭 밸브 본체(13)의 우측면도이다. 강구(6b)는 유로 스위칭 밸브 본체(13)의 밸브축(12)이 삽입되는 개소에 구비된 3개의 오목부(10)에 수납된다. 레버(5)의 회동 조작에 의해, 강구(6b)는 유로 스위칭 밸브 본체(13)의 3개의 오목부(10) 중 이웃이 되는 오목부로 이동할 때, 강구(6b)가 용수철(7)의 탄성력에 의해 오목부(10)로 튕겨짐으로써 클릭감을 초래하고, 사용자에게 스위칭 조작이 행해진 것을 알린다. 강구의 개수는 1개이어도 좋다. 또한, 압축 용수철을 사용하고 있지만 클릭감을 재현하기 위해서 판 용수철 기구를 사용해도 좋다.
도 15는,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수기의 스위칭 상태를 나타내는 「정수」 「원수 스트레이트」 「원수 샤워」의 일러스트이다. 상부 보디(17)에는, 도 15와 같은 스위칭 상태를 나타내는 「정수」 일러스트(171a), 「원수 스트레이트」 일러스트(171b), 「원수 샤워」 일러스트(171c)가 인쇄되어 있다. 스위칭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는, 문자만이어도 문자와 일러스트의 양방이어도 좋다.
다음에, 유량을 적산하여 그 결과를 표시하는 전장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장부는 도 4에 나타내는 전원부(101)와, 도 9에 나타내는 유량 검출부(102), 제어부(104), 리셋부(15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정수기에 사용하는 전원부(101)의 분해 사시도이다. 전원부(101)는 상부 보디(17)와 하부 보디(16)에 끼워넣는 전지 홀더(115)와, 코인형 이산화망간 리튬 전지(111)(이하, 전지(111))와, 양극 금구(113) 및 음극 금구(114)와, 전지를 수밀하게 고정하는 탈착 자자재인 전지 커버(112)로 구성되어 있다.
전지 커버(112)는 통 형상의 전지 장착부(116)를 가짐과 아울러, 그 외주에 O링(117)을 갖고, 전지 커버(112)가 바요네트 기구에 의해 전지 홀더(115)에 장착되었을 때에, 전지 장착부(116)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통 형상의 전지 장착부(116)에는 노치(11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손가락을 걸어 용이하게 전지를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전지 커버(112)의 표면에는 경화(硬貨)를 삽입하여 돌리기 위한 오목부(119)가 형성되고, 그 주위에, 전지의 규격과 개폐를 위한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문자나 일러스트가 각인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지의 규격과 전지 커버(112)의 회전 방향을 확인한 후에, 코인을 사용하여 전지 커버(112)를 전지 홀더(115)로부터 떼어내고 전지를 교환할 수 있다.
전지 홀더(115) 내에 설치된 양극 금구(113) 및 음극 금구(114)는, 각각 리드선으로 도 9에 나타내는 제어부(104)에 결선되어 있고, 전지(111)에 의한 전력이 제어부(104)에 공급된다. 리드선과 전지 홀더(115)가 실리콘 고무에 의해 밀봉되어 있고, 물이 리드선을 타고 양극 금구(113), 음극 금구(114) 게다가 전지 장착부(116)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양극 금구(113)와 음극 금구(114)와 리드선의 노출된 심선을 방수할 수 있으면, 실리콘 고무가 아닌 우레탄 수지에 의한 포팅이어도, 고무캡에 의한 밀봉이어도 좋다.
전지는 1차 전지이어도 2차 전지이어도 좋고, 비교적 높은 전압으로 장기간 안정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이산화망간 리튬 전지 등의 리튬 전지 외, 알칼리 건전지, 망간 건전지, 산화은 전지, 공기아연 전지 등이어도 좋다. 또한, 형상은 경량이고 큰 설치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 버튼형, 코인형 등의 소형 전지가 바람직하다. 소형 전지의 경우, 본체부가 현저하게 대형화하거나, 현저하게 중량 증가하거나 하는 경우는 없고, 또한 대폭적인 코스트업도 되지 않는다.
도 12는,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정수기에 사용하는 유량 검출부(10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와, 도 9 중에 있어서 부호 102로 나타내는 부분의 확대도인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량 검출부(102)는 자석(121)을 내포한 수차(122)와, 수차(12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차 지지 부재(123)와, 자석의 회전에 따라서 전류가 통전하는 자기 스위치(124)와, 자기 스위치(124)를 지지 고정하는 자기 스위치 홀더(125)로 구성되어 있다.
도 11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차(122)에는 수지제로 원주형의 통부(131)의 외주에 복수의 날개(132)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통부(131)와 같은 축 상에 자석(121)과 금속제의 축(126)이 고정되어 있다. 자석(121)은 접수되지 않도록, 통부(131)에 내포되도록 일체 성형된다. 자석(121)의 탈락 및 발청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자석(121)을 수차의 성형품에 설치한 자석 부착 구멍에 삽입한 후, 자석 부착 구멍의 개구부를 수지제의 뚜껑에 용착하는 것이나 경화성 수지(밀봉재)로 밀봉하는 구성도 바람직하다. 경화성 수지로서는 보다 안정성이 높은 폴리우레탄이 바람직하지만, 에폭시 수지나, 기타 밀봉재, 접착제를 사용해도 좋다. 자석(121)의 녹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자석 그 자체를 코팅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자석(121)에는, 자력이 강한 희토류 자석 외, 페라이트 자석 등을 사용해도 좋다.
수차(122)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수관로(30)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수차 지지 부재(123)에 의해 하류측으로부터 축지되어 있다. 수차(122)의 금속제의 축(126)이 수차 지지 부재(123)의 바닥이 있는 구멍에 삽입되어, 수차(122)가 하류측으로 어긋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차 지지 부재(123)의 외주면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127)가 설치되어 있어서, 정수관로(30)에 삽입했을 때에 리브(127)가 약간 변형함으로써 확실히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수차(122)는 그 회전축이 정수의 송수 방향으로 평행한 축류형이어도 직교하는 것이어도 좋다.
자기 스위치(124)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스위치 홀더(125)에 삽입되고, 경화성 수지(137)(밀봉재)에 의해 밀봉 고정되어 있다. 자기 스위치(124)는 리드선에 의해 제어부(104)와 결선되어 있고, 자기 스위치(124)에서 발생한 펄스 신호가 제어부(104)에 전달된다. 자기 스위치(124)를 수용한 자기 스위치 홀더(125)는, 정수관로(30)의 외주 상방측면에 접촉하고, 또한 수차(122)의 근방에 위치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수차(122)가 정수관로(30)의 소정 위치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수차(122)보다 상류측의 정수관로(30)의 한 쌍의 리브(133)가 그 통부(131)를 지지하고 있다. 리브(133)는 날개(132)가 아닌 통부(131)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수차의 회전을 방해하는 경우는 없다. 리브(133)는 수차(122)에 유입하는 정수를 정류하는 효과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브(133)는 한 쌍 설치되어 있지만, 유량이 저하하지 않는 범위에서, 정수관로(30)의 축에 대하여 방사 형상으로 복수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량 검출부(102)는, 정수가 흐르는 것에 의해 수차(122)가 회전하고, 수차(122)와 일체의 자석(121)이 회전하여, 거기에 따라서 자계가 변화된다. 자석(121)이 1회전함으로써 자기 스위치(124)가 2주기분의 펄스 신호를 발신하고, 그것이 제어부(104)에 전달된다. 자기 스위치로서는 리드 스위치를 사용해도 좋고, 홀 센서를 사용해도 좋다.
유량 검출부(102)가 여과 카트리지(3)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철수 등이 유입되는 경우는 없고, 수차(122)의 복수의 날개(132)에 철수가 걸려서 회전하지 않게 되는 경우는 없다. 그 결과, 정수의 유량을 정확하게 계측해서 적산하고, 여과 카트리지(3)의 교환 시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유량 검출부(102)의 자기 스위치 홀더(125)가 정수관로(30)의 외주 상방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자기 스위치 홀더를 정수관로의 횡 방향의 외측에 배치하여 정수기(1)의 폭 치수가 커지는 경우는 없다. 그 결과, 정수기의 사용자가 접시를 씻을 때에, 손잡이가 정수기에 숨겨지기 어려우므로 손잡이가 보이기 쉬워진다.
또한, 원수관로(20)의 상방에 정수관로(30)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후미진 곳에 있는 관로 주변에 유량 검출부(102)를 배치할 필요는 없다. 손잡이에 가까운 정수관로(30)에 유량 검출부(102)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에 손이 많이 가거나 조립 효율이 저하하거나 하는 경우없이, 제조 원가의 저감이 도모된다.
다음에, 제어부(104)와 액정 표시기(105)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도 2에 나타내는 정수기의 D-D 단면도의 제어부(104)의 확대도이다.
제어부(104)는, CPU가 설치된 회로 기판(151)과, 회로 기판(151)을 수납하는 투명한 기판 홀더(152)를 구비하고 있다. CPU는, 전원부(101)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아 유량 검출부(102)로부터의 펄스 신호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연산을 행하고, 액정 표시기(105)에 출력 신호를 보내도록 되어 있다.
이 액정 표시기(105)는 회로 기판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하여 리드선 등으로 결선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회로 기판(151)에 직접, 지지 고정한 쪽이 신호를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물이 침입하여 회로 기판(151)이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판 홀더(152)에, 그 개구부로부터 회로 기판(151)과 액정 표시기(105)를 고정한 상태에서, 개구부를 경화성 수지(156)(밀봉재)로 밀봉하여 방수 가공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뚜껑을 사용하여 기판 홀더(152)에 용착해서 고정하여 방수 가공해도 좋다. 이와 같이 방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각 부품에 대하여 개별로 방수 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없고, 제조 공정의 간략화, 제조 비용의 저감이 가능하게 된다. 경화성 수지로서는 2액 혼합형의 폴리우레탄이나 에폭시 수지 등을 사용하면 좋다.
액정 표시기(105)는 회로 기판(151)에 지지 고정된 상태에서, 본체부(2)의 전방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액정 표시기(105)는 정수기(1)를 수도꼭지에 지지 고정한 상태에서의 연직축 방향에 대하여, 표면이 20도 이상 40도 이하 비스듬하게 후방으로 경사하도록 세워설치되어 있다. 경사 각도가 40도 이하이면, 액정 표시기(105)가 너무 바로 앞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정수기가 방해되어 원수 샤워의 토출 상태를 보기 어렵게 되는 경우는 없다. 그 결과, 접시 닦을 때에 접시의 표면이 보기 쉬워진다. 또한, 사용자는 액정 표시기(105)를 상당히 상방에서 내려다 보게 되지만, 경사 각도가 20도 이상이면 상방에서 내려다 볼 때에 액정 표시기(105)의 표시가 보기 어려워지는 경우는 없다. 즉, 사용자가 일부러 허리를 굽혀 낮은 위치로부터 액정 표시기(205)를 볼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경사 각도가 20도 이상 40도 이하이면, 원수 샤워의 토출 상태가 보이기 쉽고, 액정 표시기(105)의 표시도 비교적 보기 쉬워져서 좋다.
도 14는,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수기의 제어부(104)의 정면도이다. 액정 표시기(105)에는 23개의 세그먼트로부터 4자리의 숫자를 나타내는 여과 카트리지 교환 표시 소자(161)와, 전지 교환 표시 소자(162)를 점등·점멸·소등할 수 있고, 또한 2개소에 설치한 3색 LED(168)로 백라이트를 점등·점멸·소등할 수 있고, 그 백라이트의 색을 변화시킬 수도 있게 되어 있다. 사용자는 4자리의 숫자가 순시로 판독되지 않아도, 백라이트의 점등·점멸 상태나 색을 보고 여과 카트리지 교환의 시기를 알 수 있다.
조립시에 상부 보디(17)와 하부 보디(16)에 전장부로부터 연장되는 리드선이 끼워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유로 스위칭 밸브 본체(13)의 정수관로(30)의 상부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기판 홀더(152)에는 전원부(101), 유량 검출부(102), 리셋부(153)로부터 연장되는 리드선을 정리하는 돌기 또는 걸림이 있으면 보다 좋다.
리셋부(153)는 리셋 버튼(154)과, 리셋 버튼으로의 물의 침입을 막기 위한 리셋 버튼 케이스(155)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수기(1)의 측면 후방 상면에 리셋 버튼(154)의 선단을 돌출시키고, 사용자가 리셋 버튼(154)을 누름으로써 적산 유량의 데이터를 리셋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는 여과 카트리지(3)의 종류에 따라서, 여과 카트리지를 교환하지 않으면 안 되는 적산 유량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리셋 버튼 케이스(155)를 엘라스토머로 구성했지만, ABS 수지를 사용하거나, 폴리우레탄으로 밀봉하거나 해도 좋다.
계속해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정수기(1)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원수가 원수 샤워구(14)로부터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수도꼭지를 열면 원수는 원수 유입구(28)로부터 유입되고, 수류 완화 부재(39)에서 그 기세가 완화된 후, 밸브축 캠부(27c)가 밸브체(11c)를 밀어올려 개방하고 있는 통수로(21c)를 통과하여 원수 샤워구(14)로부터 토출된다. 이 때, 레버(5)는 상부 보디(17)에 쓰여진 「원수 샤워」 일러스트(71c)를 나타내는 위치에 온다.
여기에서, 레버(5)를 회동 조작하여 밸브축(12)에 구비된 강구(6b)가 용수철(7)에 의해 유로 스위칭 밸브 본체(13)에 형성된 오목부에 들어갈 때까지 회동 시키면, 밸브축(12)의 밸브축 캠부(27c) 대신에 밸브축 캠부(27b)가 상방을 향하여 통수로(21c)가 닫히고 통수로(21b)가 열린다. 그 결과, 원수는 통수로(21c)를 통과하여 원수 스트레이트구(15)로부터 토출된다. 이 때, 레버(5)는 상부 보디(17)에 쓰여진 「원수 스트레이트」 일러스트(71b)를 나타내는 위치에 온다.
레버(5)를 원수 스트레이트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 조작하면, 마찬가지로 밸브축(12)이 회동하고 통수로(21b)가 닫히고 통수로(21a)가 열린다. 이 결과, 원수는 통수로(21a)를 통과해서 원수 공급구(26)로 흐른다. 그리고, 여과 카트리지(3)의 원수 수입구(62)로부터 유입하고, 활성탄 등의 흡착제와 중공사막에 의해 여과된다. 여과된 물은 정수 공급구(63)로부터 정수 수입구(29)로 흘르고, 정수관로(30)를 통과해서 정수 유출구(19)로부터 토출된다. 이 때, 레버(5)는 상부 보디(17)에 쓰여진 「정수」 일러스트(71a)를 나타내는 위치에 온다.
정수관로(30)에 흐르는 정수에 의해 수차(122)가 회전하고 유량 검출부(102)에 의해 제어부(104)에 펄스 신호가 보내져, 그 펄스 신호가 정수의 유량으로서 적산된다. 이 정수의 적산 유량에 따라서, 여과 카트리지의 잔존 수명을 액정 표시기(105)에 표시한다. 여과 카트리지 교환 표시 소자(161)에 의해, 매회의 정수 사용 개시 시에, 여과 카트리지 사용 개시 시에 선택한 유량으로부터 정수의 적산량을 뺀 값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동시에 백라이트를 초기 점등·점멸 조건으로 소정 시간 점등한다. 예를 들면, 청색을 7초 연속으로 점등한다. 청색은 신호기의 「진행」을 의미하고, 그것을 본 사용자는 여과 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있다는 안심감을 얻는다.
정수의 적산 유량에 대응하는 펄스의 적산 카운트수가 미리 설정한 제 1 설정값에 도달하면, 매회의 정수 사용 개시 시에 점등하는 백라이트를 제 1 점등·점멸 조건으로 변경한다. 예를 들면, 황색인가 녹색을 7초 연속으로 점등한다. 황색은 신호기의 「주의하여 멈추세요」를 의미하고, 그것을 본 사용자는 주의 환기된다. 정수 통과량을 여과 카트리지 사용 개시 시에 선택한 유량으로부터 뺀 값을 표시하는 것은 변하지 않는다.
또한, 제 2 설정값에 도달하면, 매회의 정수 사용 개시 시에 점등하는 백라이트를 제 2 점등·점멸 조건으로 변경한다. 예를 들면, 적색이나 핑크색을 7초 연속으로 점등시킨다. 적색은 신호기의 「정지」를 의미하고, 그것을 본 사용자는 여과 카트리지를 슬슬 교환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인식하고, 새로운 여과 카트리지를 준비한다. 정수 통과량을 여과 카트리지 사용 개시 시에 선택한 유량으로부터 뺀 값을 표시하는 것은 변하지 않는다.
여과 카트리지 사용 개시 시에 선택한 유량으로부터 정수의 적산량을 뺀 값이 제로가 되고, 여과 카트리지를 교환하지 않으면 안 될 때, 제 3 점등·점멸 조건으로 변경한다. 예를 들면, 정수 사용시에도 백라이트를 소등한다. 그것을 본 사용자는 여과 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는 것을 강하게 느끼고 여과 카트리지를 교환한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백라이트가 청색, 황색(또는 녹색), 적색(또는 핑크색)의 3색을 점등할 수 있는 형태로의 표시 방법을 나타냈지만, 백라이트가 단색이나 2색밖에 점등할 수 없는 실시형태이어도, 제 1 점등·점멸 조건, 제 2 점등·점멸 조건, 제 3 점등·점멸 조건의 표시를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라이트가 청색과 적색의 2색만 점등할 수 있는 실시형태이면, 다음과 같은 표시를 하면 좋다. 사용 개시 시는 청색으로 점등으로 하고, 제 1 점등·점멸 조건은 청색으로 2초 간격의 점멸로 한다. 제 2 점등·점멸 조건은 적색으로 2초 간격의 점멸로 하고, 제 3 점등·점멸 조건은 적색으로 연속 점등으로 한다. 백라이트의 색이 청색의 점등으로부터 점멸로 변하고, 적색의 연속 점등에 이르는 것으로 보행자용 신호의 이미지로, 사용자는 여과 카트리지를 교환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을 강하게 느끼게 된다.
또한, 백라이트가 백색만 점등할 수 있는 실시형태이면, 다음과 같은 표시를 하면 좋다. 사용 개시 시는 백색으로 2초 간격의 점멸로 한다. 제 1 점등·점멸 조건은 백색으로 1.5초 간격의 점멸로 하고, 제 2 점등·점멸 조건은 백색으로 1초 간격의 점멸로 한다. 제 3 점등·점멸 조건은 백색으로 연속 점등으로 한다. 점멸의 간격이 짧아져 최후에 연속 점등이 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여과 카트리지를 교환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을 강하게 느끼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백라이트가 단색만 점등할 수 있으면, 사용자는 여과 카트리지의 사용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단, 단색이면 사용자에의 인상이 옅어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백라이트가 2색 이상 점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새로운 여과 카트리지로 교환하여 리셋 버튼(154)을 길게 누르면, 적산 유량에 대응하는 펄스의 적산 카운트수가 제로로 되돌아가고, 여과 카트리지 교환 표시 소자(161)도 초기 표시로 되돌아간다.
액정 표시기(105)는 전지의 전압이 미리 설정한 값 이하로 저하한 시점에서, 전지 교환 표시 소자(162)를 점멸하여 사용자에게 전지의 교환을 촉구하도록 되어 있다. 3색 LED에 의한 색조정 상태가 변화되는 전압을 하회한 시점에서 전지 교환 표시 소자(162)를 점멸시키면, 본래의 색으로부터 변화되었기 때문에 생기는 오인식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지의 사용 개시 시기와 설명서 등에 기재되어 있는 전지 수명을 특별히 기억해 둘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전지 수명을 잊어 버렸기 때문에 전지의 교환을 할 수 없고 여과 카트리지 사용 중에 적산 유량의 데이터가 소멸해 버리는 경우도 없어, 적절한 시기에 전지 교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지 교환 표시 소자(162)는 전지 사용 개시시에는 소등하고, 전지의 수명에 가까이 갔을 때에 점멸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상술의 여과 카트리지 교환 표시와 마찬가지로 단계적으로 표시해도 좋다.
그리고, 이 액정 표시기(105)는 정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소등한다. 즉, 회로 기판(151)의 CPU가 정수의 유수가 정지하여 유량 검출부(102)로부터의 펄스 신호가 정지한 것을 검지해서 슬리브 모드로 스위칭되어, 액정 표시기(105)를 소등하고 백라이트도 소등한다. 레버(5)를 원수 샤워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 조작하고, 정수가 정수관로(30)를 통과하여 정수 유출구(19)로부터 토출되고, 액정 표시기(105)와 백라이트가 점등, 그 3초 후에 수도꼭지를 조작하여 지수했을 때에는, 즉시 액정 표시기(105)와 백라이트가 소등하도록 되어 있다. 이 스위칭에 의해 전지의 전력 소비가 대폭 억제되어 전지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지 교환 직후와 리셋 버튼 조작 직후에는 일정 시간만 슬리브 모드를 해제하고, 액정 표시기(105)를 점등시킨다. 이것은, 사용자가 바로 전지를 장착했는지, 정확하게 데이터를 리셋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유로 스위칭 밸브 본체의 측부 후방에, 여과 카트리지에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공급구와 유로 스위칭 밸브 본체의 원수 유로를 연결하는 원수 유로를 설치했다. 그 상방에, 여과 카트리지로부터 정수를 받아들이는 정수 수입구와 정수 유출구를 연결하는 정수 유로를 설치했다. 원수 유로의 중심축과 정수 유로의 중심축은 평행으로 했으므로, 금형 제작이 용이해졌다.
정수관로에는 유량 검출부의 수차와 수차 지지 부재를 설치하고, 정수의 유수에 의해 수차가 회전하도록 했다. 유량 검출부를 여과 카트리지의 하류측에 배치했으므로 철수 등이 유입하는 경우는 없고, 수차의 복수의 날개에 철수가 걸려서 회전하지 않게 되는 경우는 없었다. 그 결과, 정수의 유량을 정확하게 계측해서 적산하고, 여과 카트리지의 교환 시기를 표시할 수 있었다.
정수관로는 원수 유로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그 정수관로의 상방측면에 유량 검출부의 자기 스위치 홀더를 배치했으므로, 후미진 곳에 손가락을 넣을 필요가 없고, 조립에 손이 많이 가거나 조립 효율이 저하하거나 하는 경우가 없이, 제조 원가의 저감이 도모된다. 자기 스위치 홀더를 정수관로의 외측에 배치하지 않았으므로 정수기의 폭 치수가 커지는 경우는 없고, 정수기의 사용자가 접시를 씻을 때에 손잡이가 보이기 쉬워졌다.
액정 표시기를 본체부의 전방 상부에 위치시키고, 유로 스위칭 밸브 본체의 축에 대하여 32도 비스듬하게 후방으로 경사하여 세워설치시켰다. 액정 표시기가 바로 앞으로 돌출되지 않고, 원수 샤워의 토출 상태가 보여지기 어려워 접시닦을 때에 접시의 표면이 보이지 않는 경우는 없었다.
매회의 정수 사용 개시 시에, 액정 표시기에 여과 카트리지의 잔존 수명을 표시시키고, 동시에 백라이트를 7초간 점등시켰다. 수명 600L의 여과 카트리지에서는, 잔존 수명 300∼600L에서는 청색의 백라이트, 잔존 수명 150∼300L에서는 녹색의 백라이트, 잔존 수명 0∼150L에서는 핑크색의 백라이트를 점등시켰다. 핑크색의 백라이트를 본 사용자는, 여과 카트리지를 슬슬 교환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인식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유로 스위칭 밸브 본체의 후방에, 여과 카트리지에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공급구와 유로 스위칭 밸브 본체의 원수 유로를 연결하는 원수 유로를 설치하고, 그 원수관로에 유량 검출부의 수차와 수차 지지 부재를 설치하고, 원수의 통수에 의해 수차가 회전하도록 했다. 원수의 유량은 계측할 수 있었지만, 수차 날개에 철수가 걸려서 회전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자주 일어났다.
[비교예 2]
유로 스위칭 밸브 본체의 측부 후방에, 여과 카트리지에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공급구와 유로 스위칭 밸브 본체의 원수 유로를 연결하는 원수 유로를 설치했다. 그 하방에, 여과 카트리지로부터 정수를 받아들이는 정수 수입구와 정수 유출구를 연결하는 정수 유로를 설치했다. 원수 유로의 중심축과 정수 유로의 중심축은 평행으로 했으므로, 금형 제작은 용이했다.
정수관로에는 유량 검출부의 수차와 수차 지지 부재를 설치하고, 정수의 유수에 의해 수차가 회전하도록 했다. 자기 스위치 홀더는 정수관로의 외측에 배치 할 필요가 있어, 정수기의 폭 치수는 커져 버렸다. 그 결과, 정수기의 사용자가 접시를 씻을 때에, 손잡이가 보이지 않았다. 또한, 조립에 있어서는 후미진 곳에 손가락을 넣을 필요가 있어, 손이 많이 가서 조립 효율이 저하했다.
액정 표시기를 본체부의 전방 상부에 위치시키고, 유로 스위칭 밸브 본체의 축에 대하여 60도 비스듬하게 후방으로 경사하여 세워설치시켰다. 액정 표시기는 보기 쉬웠지만, 손잡이로 돌출되었기 때문에 원수 샤워의 토출 상태가 보이기 어려워져, 접시 닦을 때에 접시의 표면이 보이기 어려워줬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면서 각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고안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당업자이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생각이 미치는 것은 명백하고,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하게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양해된다. 또한, 고안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를 임의로 조합시켜도 좋다.
또한, 본 출원은 2020년 12월 21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특원 2020-211054) 및 2020년 12월 21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특원 2020-211055)에 근거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본 출원 중에 참조로서 인용된다.
1: 정수기
2: 본체부
3: 여과 카트리지
4: 수도꼭지
5: 레버
6a: 강구
6b: 강구
7: 용수철
8: 레버 접속부
9: 구멍부
10: 오목부
11a: 밸브체
11b: 밸브체
11c: 밸브체
12: 밸브축
13: 유로 스위칭 밸브 본체
14: 원수 샤워구
15: 원수 스트레이트구
16: 하부 보디
17: 상부 보디
18: 밸브 조작부
19: 정수 유출구
20: 원수관로
21a: 통수로
21b: 통수로
21c: 통수로
22: 구획판
23: 상부실
24: 하부실
26: 원수 공급구
27a: 밸브축 캠부
27b: 밸브축 캠부
27c: 밸브축 캠부
28: 원수 유입구
29: 정수 수입구
30: 정수관로
31a: 유로
31b: 유로
31c: 유로
36: 패킹
37: 어댑터
38: 부착 너트
39: 수류 완화 부재
47a: 밸브 캠부
47b: 밸브 캠부
47c: 밸브 캠부
57a: 밸브 시일
57b: 밸브 시일
57c: 밸브 시일
58a: 밸브
58b: 밸브
58c: 밸브
61: 용기
61a: 원통 형상 돌기
62: 원수 수입구
63: 정수 공급구
64: 원통체
65: O링
66: 링 형상 필터
67: 링 형상 필터
68: 중공사막속속
69: 경화성 수지
70: 흡착제층
73: O링
74: O링
91: 카트리지 캡
101: 전원부
102: 유량 검출부
104: 제어부
105: 액정 표시기
111: 전지
112: 전지 커버
113: 양극 금구
114: 음극 금구
115: 전지 홀더
116: 전지 장착부
117: O링
118: 노치
119: 오목부
121: 자석
122: 수차
123: 수차 지지 부재
124: 자기 스위치
125: 자기 스위치 홀더
126: 축
127: 리브
131: 통부
132: 날개
137: 경화성 수지
151: 회로 기판
152: 기판 홀더
153: 리셋부
154: 리셋 버튼
155: 리셋 버튼 케이스
161: 여과 카트리지 교환 표시 소자
162: 전지 교환 표시 소자
171a: 「정수」 일러스트
171b: 「원수 스트레이트」 일러스트
171c: 「원수 샤워」 일러스트
2: 본체부
3: 여과 카트리지
4: 수도꼭지
5: 레버
6a: 강구
6b: 강구
7: 용수철
8: 레버 접속부
9: 구멍부
10: 오목부
11a: 밸브체
11b: 밸브체
11c: 밸브체
12: 밸브축
13: 유로 스위칭 밸브 본체
14: 원수 샤워구
15: 원수 스트레이트구
16: 하부 보디
17: 상부 보디
18: 밸브 조작부
19: 정수 유출구
20: 원수관로
21a: 통수로
21b: 통수로
21c: 통수로
22: 구획판
23: 상부실
24: 하부실
26: 원수 공급구
27a: 밸브축 캠부
27b: 밸브축 캠부
27c: 밸브축 캠부
28: 원수 유입구
29: 정수 수입구
30: 정수관로
31a: 유로
31b: 유로
31c: 유로
36: 패킹
37: 어댑터
38: 부착 너트
39: 수류 완화 부재
47a: 밸브 캠부
47b: 밸브 캠부
47c: 밸브 캠부
57a: 밸브 시일
57b: 밸브 시일
57c: 밸브 시일
58a: 밸브
58b: 밸브
58c: 밸브
61: 용기
61a: 원통 형상 돌기
62: 원수 수입구
63: 정수 공급구
64: 원통체
65: O링
66: 링 형상 필터
67: 링 형상 필터
68: 중공사막속속
69: 경화성 수지
70: 흡착제층
73: O링
74: O링
91: 카트리지 캡
101: 전원부
102: 유량 검출부
104: 제어부
105: 액정 표시기
111: 전지
112: 전지 커버
113: 양극 금구
114: 음극 금구
115: 전지 홀더
116: 전지 장착부
117: O링
118: 노치
119: 오목부
121: 자석
122: 수차
123: 수차 지지 부재
124: 자기 스위치
125: 자기 스위치 홀더
126: 축
127: 리브
131: 통부
132: 날개
137: 경화성 수지
151: 회로 기판
152: 기판 홀더
153: 리셋부
154: 리셋 버튼
155: 리셋 버튼 케이스
161: 여과 카트리지 교환 표시 소자
162: 전지 교환 표시 소자
171a: 「정수」 일러스트
171b: 「원수 스트레이트」 일러스트
171c: 「원수 샤워」 일러스트
Claims (2)
- 원수를 받아들이는 원수 유입구와, 받아들인 원수의 유로를 스위칭하는 유로 스위칭 밸브와, 원수를 정화하는 여과 카트리지와, 정수를 토출하는 정수 유출구와, 상기 유로 스위칭 밸브로부터 상기 여과 카트리지까지를 연결하는 원수관로와, 상기 여과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정수 유출구까지를 연결하는 정수관로를 구비하고, 수도꼭지에 지지 고정되는 정수기로서,
상기 정수관로에는 유량 검출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정수관로는 상기 정수기가 수도꼭지에 지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원수관로의 상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수도꼭지 직결형 정수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검출부가 회동 가능한 수차와, 상기 수차의 회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자기 스위치를 갖고,
상기 수차가 수지의 통부, 날개, 및 통부의 내부에 고정된 자석을 갖고, 상기 정수관로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자기 스위치는 상기 정수기가 수도꼭지에 지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정수관로의 상방이 되는 위치에서 정수관로에 배치된 수도꼭지 직결형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20-211055 | 2020-12-21 | ||
JP2020211055A JP2022097853A (ja) | 2020-12-21 | 2020-12-21 | 蛇口直結型浄水器 |
JP2020211054A JP2022097852A (ja) | 2020-12-21 | 2020-12-21 | 蛇口直結型浄水器 |
JPJP-P-2020-211054 | 2020-12-21 | ||
PCT/JP2021/046889 WO2022138517A1 (ja) | 2020-12-21 | 2021-12-17 | 蛇口直結型浄水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1485U true KR20230001485U (ko) | 2023-07-24 |
Family
ID=82157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37000018U KR20230001485U (ko) | 2020-12-21 | 2021-12-17 | 수도꼭지 직결형 정수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01485U (ko) |
WO (1) | WO2022138517A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79244A (ja) | 1999-12-27 | 2001-07-03 | Techno Excel Co Ltd | 浄水器 |
JP2002292365A (ja) | 2000-12-06 | 2002-10-08 | Toray Ind Inc | 浄水器 |
JP2005111476A (ja) | 2001-12-28 | 2005-04-28 | Mitsubishi Rayon Co Ltd | 浄水器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244285A (ja) * | 1991-01-10 | 1992-09-01 | Hitachi Ltd | 浄水器 |
JPH07132283A (ja) * | 1993-11-09 | 1995-05-23 | Hitachi Ltd | 蛇口直結形浄水器 |
JP2004344888A (ja) * | 2004-08-27 | 2004-12-09 | Toray Ind Inc | 浄水器 |
-
2021
- 2021-12-17 KR KR2020237000018U patent/KR20230001485U/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12-17 WO PCT/JP2021/046889 patent/WO202213851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79244A (ja) | 1999-12-27 | 2001-07-03 | Techno Excel Co Ltd | 浄水器 |
JP2002292365A (ja) | 2000-12-06 | 2002-10-08 | Toray Ind Inc | 浄水器 |
JP2005111476A (ja) | 2001-12-28 | 2005-04-28 | Mitsubishi Rayon Co Ltd | 浄水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138517A1 (ja) | 2022-06-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70160B1 (ko) | 정수기 | |
CN101795977B (zh) | 用于安装在水龙头上的水过滤系统的装置和方法 | |
EP1793908B1 (en) | Counter top water filtration system | |
KR20170072356A (ko) | 사용 시점 수처리 시스템 | |
WO2008058632A1 (en) | Jug for filtering liquids | |
KR20080004306A (ko) |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한 정수방법 | |
KR20230001485U (ko) | 수도꼭지 직결형 정수기 | |
US7094334B1 (en) | Water filter having a filter use time indicator | |
CN220684756U (zh) | 水龙头直接连结型净水器 | |
JP2022097852A (ja) | 蛇口直結型浄水器 | |
JP2004344888A (ja) | 浄水器 | |
JP3951724B2 (ja) | 浄水器 | |
JP3399473B2 (ja) | 浄水器 | |
JP2023007564A (ja) | 蛇口直結型浄水器 | |
JP2002210458A (ja) | 蛇口直結型浄水器 | |
JP3951723B2 (ja) | 蛇口直結型浄水器 | |
KR20020023090A (ko) | 정수기의 필터교환 표시기 | |
GB2375721A (en) | A water conditioning system | |
CN205294877U (zh) | 直饮机 | |
JP2003211156A (ja) | 浄水器 | |
JP2003039062A (ja) | 浄水器 | |
JP2003094046A (ja) | 浄水器 | |
JP5160011B2 (ja) | 蛇口直結型浄水器 | |
KR200215042Y1 (ko) | 정수기의 필터교환 표시기 | |
JP3379528B2 (ja) | 流量計およびろ過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