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042Y1 - 정수기의 필터교환 표시기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필터교환 표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042Y1
KR200215042Y1 KR2020000026635U KR20000026635U KR200215042Y1 KR 200215042 Y1 KR200215042 Y1 KR 200215042Y1 KR 2020000026635 U KR2020000026635 U KR 2020000026635U KR 20000026635 U KR20000026635 U KR 20000026635U KR 200215042 Y1 KR200215042 Y1 KR 2002150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low rate
water
impeller
re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6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썬월즈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썬월즈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썬월즈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20200000266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0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0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042Y1/ko

Link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기의 필터교환 표시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에 복수개의 필터가 내장되고, 각 필터를 튜브로서 직렬상으로 연결되어 원수가 유입되는 필터를 거친 원수가 연결튜브로 연결된 각 필터를 차례로 통과하여 본체의 전면에 노출되게 설치된 출수부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정수기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입수구 및 출수구가 양쪽에 형성되어 정수유출튜브상에 장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입수구로 유입되어 출수구로 유출된 정수의 유속에 의하여 회전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축 상단에 장착되어 임펠러와 함께 회전하는 마그넷트와, 상기 임펠러를 회전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복개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마그넷트의 회전수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자기센서로 형성되는 유량검출부와; 상기 유량검출부의 자기센서에서 검출된 전기신호를 받아 정수사용량을 숫자로 표시하는 액정표시판과 상기 각 필터들의 개별적인 사용측정치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되어 해당 필터의 교환시기를 알려주는 복수의 램프가 설치된 필터교환표시판이 형성되어 있는 유량표시 및 필터교환 표시부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정수기의 필터교환 표시기{Indicator of water purifier noting filter exchange}
본 고안은 필터를 이용하여 원수를 자체적으로 정수처리하는 정수기에 있어 정수의 사용량에 따라 필터의 교환시기를 알려주는 정수기의 필터교환 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수를 직접 정화처리하는 기능을 가진 정수기는 복수개의 필터를 일렬로 배치시킨 구조로 설치한 다음 원수가 복수개의 필터를 차례로 통과한 후 원터치 콕 또는 밸브로 형성된 출수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정수기에 내장된 복수개의 필터들의 교환주기를 정함에 있어 정수의 사용량에 관계없이 사용기간에 따라 일률적으로 교환하도록 하고 있으며, 또한 지역적으로 원수의 수질오염의 정도에 따라서 사용기간을 일률적으로 증감하여 필터를 교환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필터로서 1차 세디멘트 필터(Sediment Filter), 2차 포스트카본 필터(Post carbon Filter), 3차 중공사 필터, 4차 프리카본 필터(Pre carbon Filter) 4개를 장착한 정수기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상기한 각 필터의 교환주기를 1차 세디멘트 필터와 2차 포스트카본 필터의 경우는 6개월 정도로 정해 놓고 있으며, 3차 중공사 필터와 4차 프리카본 필터의 경우는 12개월 정도로 정해 놓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과 같이 정수기 내부에 내장된 각 필터들의 교환주기를 정수의 사용량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정해진 기간에 따라 필터를 교환하게 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정수기를 설치한 어느 가정은 정수의 사용량이 필터의 교환주기를 측정할 때의 정수사용량보다 훨씬 적은 량의 정수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필터가 사용가능한 상태에서 교환하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더 사용할 수 있는 필터를 강제적으로 교환토록 하므로서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사용가능한 필터를 폐기하는데 따른 국가적인 자원낭비를 초래하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필터의 교환주기를 측정할 때의 정수사용량에 비하여 훨씬 많은 량의 정수를 사용하는 가정의 경우에는 교환시기를 넘긴 불결한 필터를 거친 오염된 물을 식수로 사용하게 되어 오히려 건강을 해치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정수의 사용량을 측정하는 유량검출부와, 상기 유량검출부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전자적으로 연산하여 정수의 사용량을 숫자로 표시하는 액정표시판 및 각각의 필터들이 평균 사용측정치에 도달하면 LED 또는 LCD로서 각 필터들의 교환시기를 개별적으로 알려주는 복수의 교환표시램프로 형성되는 유량표시 및 필터교환 표시부를 정수기에 장착하는 수단으로 정수를 적게 사용하거나 많이 사용하는 각 가정에서 정수기에 내장된 각 필터들의 정수사용량을 정확히 측정하여 정확한 교환시기에 필터들을 교환할 수 있게 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체의 내부에 복수개의 필터가 내장되고, 각 필터를 튜브로서 직렬상으로 연결하여 원수가 유입되는 필터를 거친 원수가 연결튜브로 연결된 각 필터를 차례로 통과하여 본체의 전면에 노출되게 설치된 출수부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정수기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입수구 및 출수구가 양쪽에 형성되어 정수유출튜브상에 장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입수구로 유입되어 출수구로 유출된 정수의 유속에 의하여 회전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축 상단에 장착되어 임펠러와 함께 회전하는 마그넷트와, 상기 임펠러를 회전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복개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마그넷트의 회전수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자기센서로 형성되는 유량검출부와;
상기 유량검출부의 자기센서에서 검출된 전기신호를 받아 정수사용량을 숫자로 표시하는 액정표시판과 상기 각 필터들의 개별적인 사용측정치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되어 해당 필터의 교환시기를 알려주는 복수의 램프가 설치된 필터교환표시판이 형성되어 있는 유량표시 및 필터교환 표시부;
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정수기의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수기의 필터교환 표시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요부인 필터교환 표시기의 유량검출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유량검출부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유량표시 및 필터교환 표시부의 블럭 다이아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a,2b,2c,2d : 1차 내지 4차 필터
3 : 원수공급튜브 31,32,33 : 연결튜브
34 : 정수유출튜브 4 : 출수부
5 : 유량검출부 51 : 케이스
52 : 하부 힌지 53 : 임펠러
54 : 마그넷트 55 : 커버
56 : 자기센서 59 : 보호판
6 : 유량표시 및 필터교환 표시부
61 : CPU 62 : 액정표시판
63 : 필터교환표시판 63a,63b,63c,63d : 램프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정수기의 정면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정수기의 필터교환 표시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요부인 필터교환 표시기의 유량검출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유량검출부의 조립상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유량표시 및 필터교환 표시부의 블럭 다이아그램을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정수기의 본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본체(1)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필터(2a,2b,2c,2d)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필터들은 예를 들어, 원수공급튜브(3)가 연결되는 1차 필터(2a)를 기준하여 2차, 3차, 4차 필터(2b,2c,2d)들이 연결튜브(31,32,33)에 의하여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4차 필터(2d)를 거친 정수는 본체(1)의 전면에 설치된 출수부(4)로 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는 필터들의 설치수는 4개로 한 것을 실시예로 하고 있지만 상기의 필터들은 정수기의 크기와 정수 사용량에 따라 증감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의 필터들은 각기 다른 구조로 되어 있는데, 통상적으로 종래 기술과 같이 세디멘트 필터, 포스트카본 필터, 중공사 필터, 프리카본 필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 내부에는 유량검출부(5)가 장착되는데, 상기 유량검출부(5)는 4차 필터(2d)와 출수부(4)에 연결되어 정수를 유출시키는 정수유출튜브(34)상에 장착되어 출수부(4)로 유출되는 정수유량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량검출부(5)의 구성은 정수유출튜브(34)를 연결시키는 입수구(51a)와 출수구(51b)가 양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채 내부에는 상기 입수구 및 출수구와 연통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51)와, 상기 케이스(51)의 내부 중심에 형성된 하부 힌지(5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입수구(51a)로 유입되어 출수구(51b)로 유출되는 정수의 유속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임펠러(53)와, 상기 임펠러(53)의 축(53a) 상단을 감싼 채 고정 부착되어 상기 임펠러(53)와 함께 회전하는 마그넷트(54)와, 상기 케이스(51) 상부를 복개하면서 상기 임펠러(53)의 축(53a) 상단에 고정 설치된 상부 힌지(53b)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55)와, 상기 커버(55)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마그넷트(54)의 일측 상방에 위치하여 상기 마그넷트(54)가 1회전할 때마다 그 회전수를 검출하는 자기센서(56)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51)의 상단 내주면과 상기 커버(55)의 외주면 사이에는 패킹(57)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볼트(58)로서 커버(55)를 케이스(51)에 고정 부착시켜서 입수구(51a)를 통해 케이스(51) 내부로 유입된 정수가 누수되지 않게 하였으며, 또한 상기 커버(55)의 상면에는 그 일측에 설치된 자기센서(56)를 덮어주어 보호하는 보호판(59)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량검출부(5)의 자기센서(56)는 본체(1) 전면에 부착되는 유량표시 및 필터교환 표시부(6)에 전기적인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전선(7)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유량표시 및 필터교환 표시부(6)는 자기센서(56)으로부터 입력된 전기적인 신호를 전자적으로 자동 연산하는 CPU(61)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받아 정수유량을 디지털로 표시하는 액정표시판(62)과 본체(1)에 내장된 각 필터와 같은 수의 LED 또는 LCD로 형성된 복수의 램프(63a,63b,63c,63d)가 설치되어 있는 필터교환표시판(6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량표시 및 필터교환 표시부(6)은 그 액정표시판(62)이 본체(1)의 전면으로 표출되게 하고, 필터교환표시판(63)의 각 램프들은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1) 전면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액정표시판(62)은 사용된 정수유량을 문자로 표시하는 기능과 함께 정수의 유속을 나타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정수가 유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시계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배터리의 교환시키는 알려주는 기능도 가지고 있으며, 나아가 정수가 유출될 때에는 정수의 유출상태를 나타내는 화살표 표시등이 순차적으로 점등되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정수의 유출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본체(1)에 내장된 1차 필터(2a)에 원수공급튜브(3)를 연결시킨 다음 원수를 공급하게 되면 원수는 1차 내지 4차 필터(2a,2b,2c,2d)를 차례로 통과하여 각 필터들과 각 연결튜브(31.32.,33) 및 정수유출튜브(34)에는 원수 또는 정수가 채워진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체(1)의 전면에 설치된 출수부(4)를 개방조작하게 되면 4차 필터(2d)를 통과한 정수는 정수유출튜브(34)와 그에 장설된 유량검출부(5)를 통과한 후 출수부(4)로 유출되는데, 이때 상기 4차 필터(2d)를 통과하여 유량검출부(5)의 케이스(51)의 입수구(51a)로 유입된 후 출수구(51b)로 흘러 나갈 때 상기 케이스(51)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임펠러(53)를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임펠러(53)는 출수부(4)로 유출되는 정수의 유량에 따라 빠르게 또는 느리게 회전하게 된다. 즉, 출수부(4)로 많은 량의 정수가 유출될 때에는 임펠러(53)는 빠르게 회전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출수부(4)로 적은 량의 정수가 유출될 때에는 임펠러(53)는 느리게 회전하게 되므로서 상기 출수부(4)로 유출되는 정수유량과 임펠러(53)의 회전수는 서로 정비례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출수부(4)로 정수가 유출됨에 따라 임펠러(53)가 회전하게 되면 그 축(53a)의 상단을 감싼 상태로 설치된 마그넷트(54)도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통상 마그넷트(54)는 S극과 N극으로 양분되어 있으며, 한편 상기 마그넷트(54)의 일측 상방에 고정 설치된 자기센서(56)는 마그넷트(54)의 극성이 교대로 바뀌는 것을 검출하여 그 신호를 전기적으로 유량표시 및 필터교환 표시부(6)의 CPU(61)에 보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자기센서(56)는 임펠러(53)와 함께 회전하는 마그넷트(54)의 회전수를 정확하게 검출함과 동시 그 검출된 회전수를 전기적인 신호로서 유량표시 및 필터교환 표시부(6)의 CPU(61)에 보내게 되며, 상기 CPU(61)는 자기센서(56)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전자적으로 연산하여 정수의 유량을 액정표시판(62)에 디지털 문자로 표시하게 되므로서 사용자는 상기 액정표시판(62)에 디지털 문자로 표시된 정수사용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유량표시 및 필터교환 표시부(6)의 필터교환표시판(63)에 형성된 복수개의 램프(63a,63b,63c,63d)들 각각은 1차 필터(2a) 내지 4차 필터(2d)들의 사용수명이 측정치에 도달하게 되면 순차적으로 점등되어 해당 필터의 교환시기를 알려주게 된다.
예를 들어, 1차 및 2차 필터(2a,2b)는 사용수명의 측정치가 각각 2000리터이고, 3차 및 4차 필터(2c,2d)는 사용수명의 측정치가 각각 4000리터라고 가정하여 각 필터의 교환시기를 알려주는 유량표시 및 필터교환 표시부(6)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출수부(4)로 유출된 정수사용량이 2000리터에 도달하게 되면 액정표시판(62)에는 디지털 문자가 2000리터로 표시됨과 동시 상기 필터교환표시판(63)에 형성된 4개의 램프 중 상기 1차 및 2차 필터(2a,2b)의 교환시기를 알려주는 램프(63,63b)가 점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터교환표시판(63)에서 점등된 램프(63a,63b)를 확인하고 1차 및 2차 필터(2a)(2b)를 교환하게 되며, 상기 1차 및 2차 필터(2a,2b)를 교환한 다음에는 유량표시 및 필터교환 표시부(6)에 장착되어 있는 리셉버튼(도시 생략)을 눌러주게 되면 이에 따라 앞서 점등되었던 램프(63a,63b)가 소등됨과 동시 액정표시판(62)의 디지털 문자도 지워지면서 '0'에서부터 다시 정수사용량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며, 한편 유량표시 및 필터교환 표시부(6)의 CPU(61)는 1차 및 2차 필터(2a,2b)의 교환시기를 알려주었던 정수사용량(2000리터)를 기억하고 있다가 다시 정수의 사용량이 2000리터에 도달하게 되면 1차 및 2차 필터(2a,2b)의 교환시키를 알려주는 램프(63a,63b)가 점등되는 것은 물론이고 3차 및 4차 필터(2c,2d)의 교환시기를 알려주는 램프(63c,63d)도 함께 점등시키게 되므로서 1차 내지 4차 필터 모두를 정확한 교환시기에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정수기의 출수부로 정수를 유출시키는 정수유출튜브에 정수유량을 검출하는 유량검출부를 장설하는 한편 상기 유량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를 받아 디지털 문자로 디스플레이하는 액정표시판과 각 필터의 교환시기를 알려주는 램프가 설치되어 있는 필터교환표시판을 본체의 전면에 장착하는 수단으로 정수의 사용량에 따라 각기 교환시기가 다른 복수의 필터가 내장된 정수기에서 각각의 필터를 사용수명에 따라 그 교환시기를 개별적으로 알려주므로서 각 필터들의 사용수명을 정확히 측정하여 제때에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자원을 절약하고 보다 깨끗하게 정화된 정수를 안심하고 식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건강에 이바지하는 이점을 제공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본체의 내부에 복수개의 필터가 내장되고, 각 필터를 튜브로서 직렬상으로 연결하여 원수가 유입되는 필터를 거친 원수가 연결튜브로 연결된 각 필터를 차례로 통과하여 본체의 전면에 노출되게 설치된 출수부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정수기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입수구 및 출수구가 양쪽에 형성되어 정수유출튜브상에 장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입수구로 유입되어 출수구로 유출된 정수의 유속에 의하여 회전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축 상단에 장착되어 임펠러와 함께 회전하는 마그넷트와, 상기 임펠러를 회전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복개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마그넷트의 회전수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자기센서로 형성되는 유량검출부와;
    상기 유량검출부의 자기센서에서 검출된 전기신호를 받아 정수사용량을 숫자로 표시하는 액정표시판과 상기 각 필터들의 개별적인 사용측정치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되어 해당 필터의 교환시기를 알려주는 복수의 램프가 설치된 필터교환표시판이 형성되어 있는 유량표시 및 필터교환 표시부;
    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교환 표시기
KR2020000026635U 2000-09-22 2000-09-22 정수기의 필터교환 표시기 KR2002150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635U KR200215042Y1 (ko) 2000-09-22 2000-09-22 정수기의 필터교환 표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635U KR200215042Y1 (ko) 2000-09-22 2000-09-22 정수기의 필터교환 표시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150A Division KR20020023090A (ko) 2001-03-09 2001-03-09 정수기의 필터교환 표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042Y1 true KR200215042Y1 (ko) 2001-02-15

Family

ID=73058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635U KR200215042Y1 (ko) 2000-09-22 2000-09-22 정수기의 필터교환 표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04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098A (ko) * 2001-09-05 2003-03-12 이한필 정수기 필터 수명 확인용 정수 계량기
KR20030062838A (ko) * 2002-01-21 2003-07-28 정휘동 수질 및 유량측정이 가능한 역삼투압 정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098A (ko) * 2001-09-05 2003-03-12 이한필 정수기 필터 수명 확인용 정수 계량기
KR20030062838A (ko) * 2002-01-21 2003-07-28 정휘동 수질 및 유량측정이 가능한 역삼투압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6898B2 (en) Water purifying device with means for indicating exhaustion of the purifying medium
CN201711036U (zh) 一种净水器
AU2002219561B2 (en) Water purifier
US6149780A (en) Water electrolyzer having a water presence detector
ITPD20010234A1 (it) Caraffa filtrante per la depurazione di acqua, ad uso domestico.
KR20020023090A (ko) 정수기의 필터교환 표시기
CN202105504U (zh) 一种可显示多个滤芯工作时间的净水器
KR200215042Y1 (ko) 정수기의 필터교환 표시기
CN209952337U (zh) 一种用于水质监测的在线自动过滤装置
KR20130058328A (ko) 필터교환시기를 표시하는 정수기
JP2004183247A (ja) 流量計付吐水装置、流量計付切替コック、流量計付フレキ吐水管、浄活水器用流量計、アンダーシンク型浄活水器用流量計付水栓及び流量計ユニット
US6860988B2 (en) Fluid filtration system with fluid flow meter
JPH10118641A (ja) 水栓直結浄水器
JP5130597B2 (ja) 浄水器
KR100383227B1 (ko)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표시장치
JPS62153713A (ja) ガスメ−タのガス流量検出構造
KR200179077Y1 (ko) 정수기 필터의 교환시기 알림장치
CN100594961C (zh) 功能水过滤器
JPH11169844A (ja) 浄水器
CN201197912Y (zh) 功能水过滤器
JP7448366B2 (ja) 浄水器
JP3379528B2 (ja) 流量計およびろ過装置
KR200283488Y1 (ko) 정수기 필터의 교환시기 통보 장치
WO2022138517A1 (ja) 蛇口直結型浄水器
KR200298701Y1 (ko) 필터교환표시기능을 갖는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0416

Effective date: 2003073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