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021U -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 - Google Patents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021U
KR20230001021U KR2020210003443U KR20210003443U KR20230001021U KR 20230001021 U KR20230001021 U KR 20230001021U KR 2020210003443 U KR2020210003443 U KR 2020210003443U KR 20210003443 U KR20210003443 U KR 20210003443U KR 20230001021 U KR20230001021 U KR 202300010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ence
pressing body
pressing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4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태
Original Assignee
동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100034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021U/ko
Publication of KR202300010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02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3Posts therefor lateral supporting elements, e.g. braces, tie dow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의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는, 휀스와 휀스의 이웃한 수직프레임을 일측에서 지지하며, 일면에 가이드 안내부가 구비된 제1 가압 몸체; 상기 이웃한 수직프레임을 타측에서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 안내부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 안내부의 대향면에 가이드가 구비된 제2 가압 몸체; 상기 제1 가압 몸체의 타면에 연결되어 단부가 설치면에 지지되는 지지다리; 및 상기 제1 가압 몸체와 상기 제2 가압 몸체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1, 2 몸체의 간격을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는, 휀스와 휀스의 이웃한 수직프레임에 전후에서 연결할 때 지지다리가 고정된 제1 가압 몸체에서 제2 가압 몸체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체결볼트의 머리가 제2 가압 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 가압 몸체를 관통한 나선축에 체결너트로 고정시킴으로써 작업자 혼자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 {FENCE PREVENTING FALL DOWN SUPPORTER}
본 고안은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사 현장 등에서 안전을 위해 사람의 접근을 차단하도록 구비된 휀스의 연속적인 연결과 함께 바람 등으로부터의 전도를 방지하는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건설, 건축공사현장 등지에서 안전사고에 대비하여 차량이나, 사람의 통행을 규제하기 위한 목적에서 설치되는 안전 휀스는 각 낱개로 제작되어 접근을 방지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위치에 맞게 횡방향으로 연속 설치한다.
통상적인 안전 휀스는 식별이 용이한 황색계통 철재물 또는 합성수지물로 제작된다.
더욱이, 휀스를 횡방향으로 연속 연결하는 경우, 쓰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각 휀스의 양측을 횡으로 밀착한 상태에서 결속부재를 이용하여 이들을 상호 횡으로 각각 연결하고, 연결부위를 다리로 받치는 지지대가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대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00991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전면조립체와 후면조립체가 개별 구비한 상태에서 상호 조립되면서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체가 후면조립체의 배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작업자 혼자 작업하기가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00991호(2005.11.04)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1 가압 몸체부가 제2 가압 몸체부에서 회전되지 않은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는, 휀스와 휀스의 이웃한 수직프레임을 일측에서 지지하며, 일면에 가이드 안내부가 구비된 제1 가압 몸체; 상기 이웃한 수직프레임을 타측에서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 안내부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 안내부의 대향면에 가이드가 구비된 제2 가압 몸체; 상기 제1 가압 몸체의 타면에 연결되어 단부가 설치면에 지지되는 지지다리; 및 상기 제1 가압 몸체와 상기 제2 가압 몸체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1, 2 몸체의 간격을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 몸체는 상기 이웃한 수직프레임을 동시 가압하는 제1 가압구가 횡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가 상기 제1 가압구의 중심부 상하에 교차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압 몸체는 상기 이웃한 수직프레임을 동시 가압하는 제2 가압구가 횡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안내부가 상기 제2 가압구의 중심부에 교차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머리가 상기 제2 가압 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나선축이 상기 제1 가압 몸체 및 지지다리의 상단을 관통한 체결볼트와, 상기 지지다리의 상단을 관통한 상기 나선축에 체결되는 체결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는, 휀스와 휀스의 이웃한 수직프레임에 전후에서 연결할 때 지지다리가 고정된 제1 가압 몸체에서 제2 가압 몸체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체결볼트의 머리가 제2 가압 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 가압 몸체를 관통한 나선축에 체결너트로 고정시킴으로써 작업자 혼자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가 휀스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가 휀스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가 휀스에 결합되기 전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에서 다른 실시예의 가이드 및 가이드 안내부의 결합 구조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가 휀스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가 휀스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가 휀스에 결합되기 전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에서 다른 실시예의 가이드 및 가이드 안내부의 결합 구조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100)는 제1 가압 몸체(110), 제2 가압 몸체(120), 지지다리(130) 및 체결부(140)를 포함하며, 횡방향으로 연결된 휀스(10)와 휀스(10)의 이웃한 수직프레임(12)을 서로 연결하면서 바람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전도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술이다.
제1 가압 몸체(1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휀스(10)와 휀스(10)의 이웃한 수직프레임(12)을 일측에서 지지하며, 제1 가압구(112) 및 가이드 안내부(114)를 포함한다.
제1 가압구(112)는 복수의 수직프레임(12)의 일측을 가압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구비되며, 금속판재 등으로 제작된다.
가이드 안내부(114)는 제1 가압구(112)의 정면 중심부에 직교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2 가압 몸체(120)의 가이드(124)가 삽입되도록 전방이 개구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 안내부(114)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금속재의 사각파이프 구조로 구비된다.
더욱이, 가이드 안내부(114)는 삽입된 제2 가압 몸체(120)의 가이드(124)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이동 방향을 안내하면서 제2 가압 몸체(120)가 회전됨을 방지하게 된다.
제2 가압 몸체(1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휀스(10)와 휀스(10)의 이웃한 수직프레임(12)을 타측에서 지지하며, 제2 가압구(122) 및 가이드(124)를 포함한다.
제2 가압구(122)는 복수의 수직프레임(12)의 타측을 가압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구비되며, 금속판재 등으로 제작된다.
가이드(124)는 제2 가압구(122)의 후면 중심부 상하단에 금속판재 등을 이용하여 직교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1 가압구(112)의 가이드 안내부(114)의 내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지지다리(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파이프 구조로 구비되되, 제1 가압 몸체(110)의 후면에 상단이 연결되어 하단이 설치면에 지지된다.
이때, 지지다리(130)는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지탱력이 향상 가능하다.
그리고 지지다리(130)는 원형파이프의 상, 하단을 가압하여 평평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단이 체결부(140) 중 체결볼트(142)의 나선축(1422)이 관통되고, 하단에 지면에 볼트 등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다.
한편, 지지다리(13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지지다리를 상부 지지다리와 하부 지지다리로 분할한 상태에서 서로 이웃한 상부 지지다리의 하부와 하부 지지다리의 상부에 나선 방향이 반대인 나선돌기를 각각 형성하고, 상부 지지다리와 하부 지지다리의 나선돌기에 나선 체결되며, 내주면 양단의 나선 방향이 반대인 나선홀을 형성한 회전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회전부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부의 양단에 나선 체결된 상부 지지다리와 하부 지지다리의 간격이 줄거나 넓어지면서 하부 지지다리의 높낮이가 조절 가능하다.
더욱이, 상부 지지다리와 하부 지지다리에는 대향된 단부가 회전부에 나선 체결된 상태에서 풀림을 방지하도록 회전부의 상하면에 밀착 체결된 상, 하부 풀림방지너트가 구비된다.
이때, 상, 하부 풀림방지너트는 나선홀이 각각 형성된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나선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어, 상부 지지다리의 나선돌기를 회전부의 상면에 고정시키고, 하부 지지다리의 나선돌기를 회전부의 하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체결부(14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압 몸체(110)와 제2 가압 몸체(120)를 관통한 상태에서 제1, 2 몸체(110, 120)의 간격을 고정시키며, 체결볼트(142) 및 체결너트(144)를 포함한다.
체결볼트(142)는 머리(1422)가 제2 가압 몸체(122)의 전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나선축(1424)이 제1 가압 몸체(110) 및 지지다리(130)의 상단을 관통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나선축(1424)의 외부에 감싸도록 구비되면서 제1 가압구(112) 및 제2 가압구(122)의 사이 대향면에 양단이 지지된 스프링이 구비되어 항시 제1 가압구(112) 및 제2 가압구(122)가 벌어질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 가능하다.
체결너트(144)는 제1 가압 몸체(110) 및 지지다리(130)의 상단을 관통한 나선축(1424)에 체결되어 제1, 2 가압구(112, 122)의 양측 대향면이 휀스(10)의 이웃한 수직프레임(12)을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제2 가압 몸체(120)의 가이드(124)가 제1 가압 몸체(110)의 가이드 안내부(114)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 제2 가압구(122)가 제1 가압구(112)와 평행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 가능하다.
이를 위해 가이드(124)의 양단에 돌기(1242)가 연속 형성되고, 가이드 안내부(114)의 대향된 내벽면에 홈(G)을 각각 형성한 후 홈(G) 내에 스프링(1244)에 의해 탄지된 볼체(1242)가 각각 구비된다.
이렇게, 스프링(1244)의 탄성력이 볼체(1242)에 가해지고 볼체(1242)가 가이드(124)의 양단에 연속 형성된 돌기(1242)를 각각 동일 위치에서 가압하므로 제2 가압구(122)가 슬라이딩 이동할 때 틀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100)를 통해 휀스(10)와 휀스(10)의 이웃한 수직프레임(12)을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체결너트(144)를 체결볼트(142)의 나선축(1424)에서 체결 해제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가압 몸체(120)의 제2 가압구(122)를 제1 가압 몸체(110)의 제1 가압구(112)에서 이격시킨다.
이때, 제2 가압 몸체(120)의 제2 가압구(122)는 상하측의 가이드(124)가 제1 가압 몸체(110)의 가이드 안내부(114) 내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회전되지 않고 전진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2 가압구(122)와 제1 가압구(112)의 사이 공간을 휀스(10)와 휀스(10)의 이웃한 수직프레임(12)에 각각 삽입한다.
다음으로,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너트(144)를 체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체결너트(144)가 나선축(1424)에 점점 체결되면서 나선축(1424)을 당겨 머리(1422)가 고정된 제2 가압 몸체(122)를 제1 가압 몸체(110) 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이때에도 제2 가압구(122)는 상하측의 가이드(124)가 제1 가압 몸체(110)의 가이드 안내부(114) 내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회전되지 않고 후진하게 된다.
다음으로, 체결너트(144)를 견고하게 체결하면 제2 가압구(122)와 제1 가압구(112)의 대향면이 휀스(10)와 휀스(10)의 이웃한 수직프레임(12)의 전후면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이상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들은 서로 간에 명백하게 구현의 측면에서 배척되는 조합이 아닌 이상 위에서 예시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기타 가능한 다양한 변경조합의 실시예로 구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100: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
110: 제1 가압 몸체
112: 제1 가압구
114: 가이드 안내부
120: 제2 가압 몸체
122: 제2 가압구
124: 가이드
130: 지지다리
140: 체결부

Claims (4)

  1. 휀스와 휀스의 이웃한 수직프레임을 일측에서 지지하며, 일면에 가이드 안내부가 구비된 제1 가압 몸체;
    상기 이웃한 수직프레임을 타측에서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 안내부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 안내부의 대향면에 가이드가 구비된 제2 가압 몸체;
    상기 제1 가압 몸체의 타면에 연결되어 단부가 설치면에 지지되는 지지다리; 및
    상기 제1 가압 몸체와 상기 제2 가압 몸체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1, 2 몸체의 간격을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몸체는 상기 이웃한 수직프레임을 동시 가압하는 제1 가압구가 횡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가 상기 제1 가압구의 중심부 상하에 교차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 몸체는 상기 이웃한 수직프레임을 동시 가압하는 제2 가압구가 횡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안내부가 상기 제2 가압구의 중심부에 교차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머리가 상기 제2 가압 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나선축이 상기 제1 가압 몸체 및 지지다리의 상단을 관통한 체결볼트와, 상기 지지다리의 상단을 관통한 상기 나선축에 체결되는 체결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
KR2020210003443U 2021-11-11 2021-11-11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 KR202300010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443U KR20230001021U (ko) 2021-11-11 2021-11-11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443U KR20230001021U (ko) 2021-11-11 2021-11-11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021U true KR20230001021U (ko) 2023-05-18

Family

ID=86541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443U KR20230001021U (ko) 2021-11-11 2021-11-11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021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991B1 (ko) 2000-12-05 2003-10-10 엔바이로텍 주식회사 탈착식 상향류 경사판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장방형중력식 침전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991B1 (ko) 2000-12-05 2003-10-10 엔바이로텍 주식회사 탈착식 상향류 경사판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장방형중력식 침전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531087C2 (ko)
EP1570965A2 (de) Frästisch
DE2344432A1 (de) Abkantpresse mit hydraulischem oberantrieb
WO1997043094A1 (de) Werktisch für montagearbeiten an werkstücken
KR20230001021U (ko) 휀스 전도방지 지지대
EP0858861A1 (de) Einzugsnippel für eine Palette oder Aufspannplatte zur Halterung von Werkstücken zwecks spanabhebender Bearbeitung
EP2597221B1 (de) Absturzsicherung
DE2323351A1 (de) Befestigungsvorrichtung
DE19711039C1 (de) Stützfuß
DE19528489A1 (de) Glasscheibenhalter, insbesondere für Vordächer
EP1158233A2 (de) Schelle zur Befestigung von Schlauch-oder Rohrleitungen
DE2910210A1 (de) Wagenheber
AT518644A4 (de) Verbindungsvorrichtung
EP2965656A1 (de) Anbringvorrichtung für ein tragelement an einer tragsäule
CN205688796U (zh) 一种杠杆式活动夹具及使用该活动夹具的早拆头
DE20219351U1 (de) Stoßdämpfer für Laufrollen
DE19843293A1 (de) An einer Stirnseite eines Holzträgers befestigter Stützfuß
CN220016357U (zh) 一种管道支撑扣
CN212564023U (zh) 一种防止松动六角螺母
CN219931409U (zh) 一种钢结构柱的底部安装套件
EP1182309B1 (de) Stützfuss für Pfosten
DE20105314U1 (de) Standbein mit einem Knickgelenk
DE4303958A1 (de) Stützklemme für ein Rohr, insbesondere für einen elektrischen Rohrleiter
DE20214887U1 (de) Pneumatische Verstellvorrichtung mit Schwenkhebel
WO2021148464A1 (de) Nivellierschuh, für eine werkzeugmaschine oder ähnlich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