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70567A -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 - Google Patents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70567A
KR20220170567A KR1020210081576A KR20210081576A KR20220170567A KR 20220170567 A KR20220170567 A KR 20220170567A KR 1020210081576 A KR1020210081576 A KR 1020210081576A KR 20210081576 A KR20210081576 A KR 20210081576A KR 20220170567 A KR20220170567 A KR 20220170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on
ornament
hole
fixing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희경
Original Assignee
유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희경 filed Critical 유희경
Priority to KR1020210081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70567A/ko
Publication of KR20220170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5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00Brooches or clips in their decorative or ornamental aspec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44B1/2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with shank and counterpiece
    • A44B1/30Screw-but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16B5/021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the position of the plates to be connected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된 타공판; 상기 타공판의 일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식물; 및 상기 장식물이 고정되고, 상기 홀을 통과하여 상기 타공판에 고정되는 장식물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장식물고정부를 모듈화하여 장식물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장식물의 위치와 개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Accessory for easy replacement of ornaments}
본 발명은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식물고정부를 모듈화하여 장식물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장신구는 몸을 치장하기 위한 도구로 사물이나 신체에 끼우고 달 수 있는 것을 통칭한다.
장신구는 역사적으로 청동기 시대에서 중세까지는 남성들이 신분이나 역할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던 것들이 나중에는 여성들이 주로 치장하는 용도로 정착했다.
장신구는 보석류가 주재료이며 다이아몬드, 금, 은, 진주, 에메랄드 등이 있는데, 현대에는 금, 은 같은 희소 금속뿐만 아니라 철 등의 금속으로도 장신구를 만들기도 한다.
장신구는 목걸이, 귀걸이, 반지, 브로치 등 착용하는 부위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다른데, 빠르게 변화하는 패션 트렌드에 따라 장신구도 변화가 요구된다.
그러나, 기존의 장신구들은 구매하게 되면 디자인의 변경이 어렵고 착용 가능한 위치가 한정되어 있어 장신구를 여러 개 구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장신구의 일예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4788호에 ‘뒤꽂이로 전환 가능한 브로치 결합기구’가 기재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장식물고정부를 모듈화하여 장식물을 분리 가능하게 타공판에 결합할 수 있는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장신구고정부를 모듈화하여 장신구의 착용 위치의 변경이 용이하게 장신구고정부를 교체할 수 있는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여기서, 타공판이 장식물과 장식물고정부를 견고하게 결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된 타공판; 상기 타공판의 일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식물; 및 상기 장식물이 고정되고, 상기 홀을 통과하여 상기 타공판에 고정되는 장식물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장식물고정부는, 상기 장식물이 고정되는 장식물고정부재; 일측이 상기 장식물고정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홀을 통과하는 몸체; 및 상기 홀을 통과한 상기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몸체를 상기 타공판에 고정하는 몸체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타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결합부재는, 상기 몸체의 상기 나사산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몸체를 상기 타공판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장식물고정부는, 상기 장식물을 고정하는 장식물고정부재; 및 일측이 상기 장식물고정부재에 연결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막대 형상으로, 끝단부로 갈수록 상기 홀의 직경보다 긴 간격으로 형성되며, 끝단부 간격을 외력으로 좁혀 상기 홀을 통과한 뒤 탄성에 의해 복원됨으로써 상기 타공판에 고정되는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홀에 걸림으로써 상기 몸체가 상기 타공판에 고정되도록, 끝단부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장식물고정부는, 상기 장식물을 고정하는 장식물고정부재; 및 일측이 상기 장식물고정부재에 연결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막대가 일정 간격 이격되고, 끝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있는 형상으로, 끝단부의 간격을 외력으로 넓혀 상기 홀을 통과한 뒤 탄성에 의해 복원되어 인접한 상기 홀 사이의 부분에 걸림으로써 상기 타공판에 고정되는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장식물고정부는, 상기 장식물을 고정하는 장식물고정부재; 일측이 상기 장식물고정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에 둘레를 따라 함몰홈이 형성되며, 상기 홀을 통과하는 몸체; 및 탄성력을 가지면서 상기 함몰홈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몸체를 상기 타공판에 고정하는 몸체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장식물고정부는, 상기 장식물을 고정하는 장식물고정부재; 일측이 상기 장식물고정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을 통과하는 몸체; 및 상기 홀의 직경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몸체를 상기 타공판에 고정하는 몸체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장식물고정부를 모듈화하여 장식물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장식물의 위치와 개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신구고정부를 모듈화하여 장신구고정부를 간편하게 교체함으로써, 장신구 착용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에, 타공판이 장식물과 장식물고정부를 견고하게 결속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장식물고정부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 전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장식물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결합 전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서 장식물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결합 전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서 장식물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결합 전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서 장식물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결합 전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식물고정부와 타공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고정부와 타공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고정부와 타공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고정부와 타공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신구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는 도 3에서 장식물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결합 전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장식물고정부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 전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장식물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결합 전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서 장식물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결합 전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서 장식물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결합 전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서 장식물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결합 전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식물고정부와 타공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고정부와 타공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고정부와 타공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고정부와 타공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신구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는 도 3에서 장식물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결합 전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109)이 형성된 타공판(101); 타공판(101)의 일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식물(103); 및 장식물(103)이 고정되고, 홀(109)을 통과하여 타공판(101)에 고정되는 장식물고정부(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타공판(10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109)이 형성된다.
홀(109)은 적어도 하나 이상 타공판(101)에 형성된다.
홀(109)은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타공판(101)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소재는 제한하지 않는다.
장식물(103)은 타공판(101)의 일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장식물(103)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장식물(103)은 일예로, 타공판(101)의 양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장식물고정부(105)는 일측에 장식물(103)이 고정되고 타측이 홀(109)을 통과하여 타공판(101)에 고정된다.
장식물고정부(105)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소재는 제한하지 않는다.
장식물고정부(105)는 일예로, 도 1에 장식물(103)을 관통하여 고정한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측면에서 장식물(103)의 고정한 뒤 장식물(103)에 겹치지 않은 타공판(101)의 홀(109)을 통과하여 타공판(101)에 고정될 수 있다.
장식물고정부(105)의 일실시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장식물고정부(105)는 장식물(103)이 고정되는 장식물고정부재(401); 일측이 장식물고정부재(401)에 연결되고, 홀(109)을 통과하는 몸체(407); 및 홀(109)을 통과한 몸체(407)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몸체(407)를 타공판(101)에 고정하는 몸체결합부재(409);를 포함한다.
장식물고정부재(401)는 장식물(103)이 고정된다.
추가적으로, 장식물고정부재(401)는 별도로 구비되는 장식물(403); 및 장식물(403)을 지지고정하는 다양한 형태의 장식물지지대(405);를 더 가질 수 있다.
장식물지지대(405)는 몸체(407)가 연결된 장식물고정부재(401)의 타측에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된다.
장식물지지대(405)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소재는 제한하지 않는다.
장식물지지대(405)는 일예로, 장식물(403)이 접한 상태에서 끝단을 외력으로 구부림으로써 장식물(403)을 지지고정할 수 있다.
장식물지지대(405)는 다른예로, 탄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장식물(403)이 압입됨으로써 장식물(403)을 지지고정할 수 있다.
장식물지지대(405)는 또 다른예로, 장식물(403)과의 접촉면에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장식물(403)을 지지고정할 수 있다.
장식물지지대(405)는 또 다른예로, 막대형상으로, 내측으로 타공홈이 형성된 장식물(403)의 타공홈에 결합됨으로써 장식물(403)을 지지고정할 수 있다.
몸체(407)는 일측이 장식물고정부재(401)에 연결되어 홀(109)을 통과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407)는 일예로, 장식물고정부재(401)가 연결된 방향의 반대방향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407)는 다른 예로, 장식물고정부재(401)가 연결된 방향의 반대방향에 자력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결합부재(409)는 장식물(103)이 결합된 타공판(101)의 타측면에 구비된다.
몸체결합부재(409)는 홀(109)을 통과한 몸체(407)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몸체(407)를 타공판(101)에 고정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결합부재(409)는 일예로, 너트 형상으로, 몸체(407)의 나사산에 체결됨으로써 몸체(407)를 타공판(101)에 고정할 수 있다.
몸체결합부재(409)는 다른 예로, 몸체(407)와 반대 극성의 자력이 형성되어 몸체(407)에 체결됨으로써 몸체(407)를 타공판(101)에 고정할 수 있다.
몸체결합부재(409)는 또 다른 예로, 내측으로 몸체(407)의 외경과 동일한 형태의 내경을 가지며, 내측으로 접착제가 도포되어 몸체(407)와 체결됨으로써 몸체(407)를 타공판(101)에 고정할 수 있다.
장식물고정부(105)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장식물고정부(105)는 장식물(103)을 고정하는 장식물고정부재(401); 및 일측이 장식물고정부재(401)에 연결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막대 형상으로, 끝단부로 갈수록 홀(109)의 직경보다 긴 간격으로 형성되며, 끝단부 간격을 외력으로 좁혀 홀(109)을 통과한 뒤 탄성에 의해 복원됨으로써 타공판(101)에 고정되는 몸체(501);를 포함한다.
장식물고정부재(401)의 세부 구성 및 기능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몸체(501)는 일측이 장식물고정부재(401)에 연결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01)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막대 형상으로, 끝단부로 갈수록 홀(109)의 직경보다 긴 간격으로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01)는 끝단부 간격을 외력으로 좁혀 홀(109)을 통과한 뒤 탄성에 의해 복원됨으로써 타공판(101)에 고정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601)는 일예로, 홀(109)에 걸림으로써 몸체(601)가 타공판(101)에 고정되도록, 끝단부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걸림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장식물고정부(105)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장식물고정부(105)는 장식물(103)을 고정하는 장식물고정부재(401); 및 일측이 장식물고정부재(401)에 연결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막대가 교차된 형상으로, 끝단부로 갈수록 홀(109)의 직경보다 긴 간격으로 형성되며, 끝단부 간격을 외력으로 좁혀 홀(109)을 통과한 뒤 탄성에 의해 복원됨으로써 타공판(101)에 고정되는 몸체(701);를 포함한다.
장식물고정부재(401)의 세부 구성 및 기능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몸체(701)는 일측이 장식물고정부재(401)에 연결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701)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막대가 교차된 형상으로, 끝단부로 갈수록 홀(109)의 직경보다 긴 간격으로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701)는 끝단부를 외력으로 좁혀 홀(109)을 통과한 뒤 탄성에 의해 복원됨으로써 타공판(101)에 고정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801)는 일예로, 홀(109)에 걸림으로써 몸체(801)가 타공판(101)에 고정되도록, 끝단부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걸림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장식물고정부(105)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장식물고정부(105)는 장식물(103)을 고정하는 장식물고정부재(401); 및 일측이 장식물고정부재(401)에 연결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막대가 일정 간격 이격되고, 끝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있는 형상으로, 끝단부의 간격을 외력으로 넓혀 홀(109)을 통과한 뒤 탄성에 의해 복원되어 인접한 홀(109) 사이의 부분에 걸림으로써 타공판(101)에 고정되는 몸체(901);를 포함한다.
장식물고정부재(401)의 세부 구성 및 기능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901)는 일측이 장식물고정부재(401)에 연결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막대가 일정간격 이격된 형상으로, 끝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더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901)는 끝단부의 간격을 외력으로 넓혀 인접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홀(109)을 통과한 뒤 탄성에 의해 복원되어 인접한 홀(109) 사이의 부분에 걸림으로써 타공판(101)에 고정된다.
장식물고정부(105)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장식물고정부(105)는 장식물(103)을 고정하는 장식물고정부재(401); 및 일측이 장식물고정부재(401)에 연결되고, 기둥형상으로 홀(109)을 통과한뒤, 끝단부를 리베팅(riveting)함으로써 타공판(101)에 고정되는 몸체(1701);를 포함한다.
장식물고정부재(401)의 세부 구성 및 기능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701)는 기둥형상으로, 일측이 장식물고정부재(401)에 연결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701)는 홀(109)을 통과한뒤, 끝단부를 리베팅(riveting)하여 홀(109)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됨으로써 타공판(101)에 고정된다.
장식물고정부(105)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장식물고정부(105)는 장식물(103)을 고정하는 장식물고정부재(401); 일측이 장식물고정부재(401)에 연결되고, 타측에 둘레를 따라 함몰홈(1003)이 형성되며, 홀(109)을 통과하는 몸체(1001); 및 탄성력을 가지면서 함몰홈(1003)에 체결됨으로써 몸체(1001)를 타공판(101)에 고정하는 몸체체결부재(1005);를 포함한다.
장식물고정부재(401)의 세부 구성 및 기능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몸체(1001)는 일측이 장식물고정부재(401)에 연결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1)는 타측에 둘레를 따라 길이방향의 수직으로 함몰홈(1003)이 형성되어 타공판(101)의 홀(109)을 통과한다.
몸체체결부재(1005)는 탄성력을 가지면서, 함몰홈(1003)에 체결되어 몸체(1001)를 타공판(101)에 고정한다.
몸체체결부재(1005)는 C형 스냅링이 될 수 있다.
장식물고정부(105)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장식물고정부(105)는 장식물(103)을 고정하는 장식물고정부재(401); 일측이 장식물고정부재(401)에 연결되고, 타측에 관통홀(1103)이 형성되며, 홀(109)을 통과하는 몸체(1101); 및 타공판(101)의 홀(109)의 직경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고, 관통홀(1103)을 통과하여 체결됨으로써 몸체(1101)를 타공판(101)에 고정하는 몸체체결부재(1105, 1201, 1301);를 포함한다.
장식물고정부재(401)의 세부 구성 및 기능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몸체(1101)는 일측이 장식물고정부재(401)에 연결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1)는 끝단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길이 방향의 수직으로 관통홀(1103)이 형성되어 타공판(101)의 홀(109)을 통과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체결부재(1105)는 막대 형상으로, 타공판(101)의 홀(109)의 직경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고, 관통홀(1103)을 통과하여 체결됨으로써 몸체(1101)를 타공판(101)에 고정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체결부재(1201)는 일예로, 절곡된 형상이고, 양 끝단부가 나란한 방향이며, 타공판(101)의 홀(109)의 직경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고, 관통홀(1103)을 통과하여 체결됨으로써 몸체(1101)를 타공판(101)에 고정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체결부재(1301)는 다른 예로, 절곡된 형상의 양 끝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걸림턱이 더 형성되어 외력으로 끝단부의 간격을 좁혀 관통홀(1103)을 통과한 뒤 탄성에 의해 복원됨으로써 몸체(1101)를 타공판(101)에 고정한다.
한편,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100)는 장신구의 착용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일측이 홀(109)을 통과하여 타공판(101)에 고정되는 장신구고정부(1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신구고정부(107)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소재는 제한하지 않는다.
장신구고정부(107)의 일실시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장신구고정부(107)가 의류, 귀, 목, 팔, 손, 손가락에 착용되는 장신구고정부재(1401, 1501, 1601); 및 일측이 장신구고정부재(1401, 1501, 1601)에 연결되고, 홀(109)을 통과는 몸체(1411); 및 홀(109)을 통과한 몸체(14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몸체(1411)를 타공판(101)에 고정하는 몸체결합부재(1413)를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신구고정부재(1401)는 일예로, 기둥부재(1403); 기둥부재(1403)에 구비되고, 탄성이 있으며, 의류를 관통하는 고정핀(1405); 기둥부재(1403)가 결합되는 판(1407); 및 기둥부재(1403)가 연결된 판(1407)의 같은 면에 연결되고, 고정핀(1405)이 체결되는 걸림고리(1409);을 포함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신구고정부재(1501)는 다른 예로, 귓불을 관통하는 돌출핀(1503); 및 귓불을 관통한 돌출핀(1503)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돌출핀고정부재(1505);를 포함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신구고정부재(1601)는 또 다른 예로, 목걸이줄(1603); 및 목걸이줄(1603)이 통과하여 체결되는 고리몸체(1605);를 포함한다.
장신구고정부(107)는 도 14 내지 도 16에 몸체(1411)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몸체결합부재(1413)로 타공판(101)에 고정되는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세부 구성 및 기능은 앞에서 설명한 몸체(407, 501, 601, 701, 801, 901, 1001, 1101), 몸체결합부재(409) 및 몸체체결부재(1005, 1105, 1201, 1301)가 타공판(101)에 고정되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장식물의 위치와 개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장식물고정부를 모듈화하여 장식물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장신구 착용 위치의 변경이 용이하도록 장신구고정부를 모듈화하여 간편하게 장신구고정부를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타공판이 장식물과 장식물고정부를 견고하게 결속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
101 : 타공판
103 : 장식물
105 : 장식물고정부
107 : 장신구고정부
109 : 홀
401 : 장식물고정부재
403 : 장식물
405 : 장식물지지대
407 : 몸체
409 : 몸체결합부재
501 : 몸체
601 : 몸체
701 : 몸체
801 : 몸체
901 : 몸체
1001 : 몸체
1003 : 함몰홈
1005 : 몸체체결부재
1101 : 몸체
1103 : 관통홀
1105 : 몸체체결부재
1201 : 몸체체결부재
1301 : 몸체체결부재
1401 : 장신구고정부재
1403 : 기둥부재
1405 : 고정핀
1407 : 판
1409 : 걸림고리
1411 : 몸체
1413 : 몸체결합부재
1501 : 장신구고정부재
1503 : 돌출핀
1505 : 돌출핀고정부재
1601 : 장신구고정부재
1603 : 목걸이줄
1605 : 고리몸체
1701 : 몸체

Claims (8)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된 타공판;
    상기 타공판의 일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식물; 및
    상기 장식물이 고정되고, 상기 홀을 통과하여 상기 타공판에 고정되는 장식물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고정부는,
    상기 장식물이 고정되는 장식물고정부재;
    일측이 상기 장식물고정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홀을 통과하는 몸체; 및
    상기 홀을 통과한 상기 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몸체를 상기 타공판에 고정하는 몸체결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타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결합부재는,
    상기 몸체의 상기 나사산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몸체를 상기 타공판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고정부는,
    상기 장식물을 고정하는 장식물고정부재; 및
    일측이 상기 장식물고정부재에 연결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막대 형상으로, 끝단부로 갈수록 상기 홀의 직경보다 긴 간격으로 형성되며, 끝단부 간격을 외력으로 좁혀 상기 홀을 통과한 뒤 탄성에 의해 복원됨으로써 상기 타공판에 고정되는 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홀에 걸림으로써 상기 몸체가 상기 타공판에 고정되도록, 끝단부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고정부는,
    상기 장식물을 고정하는 장식물고정부재; 및
    일측이 상기 장식물고정부재에 연결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막대가 일정 간격 이격되고, 끝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있는 형상으로, 끝단부의 간격을 외력으로 넓혀 상기 홀을 통과한 뒤 탄성에 의해 복원되어 인접한 상기 홀 사이의 부분에 걸림으로써 상기 타공판에 고정되는 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고정부는,
    상기 장식물을 고정하는 장식물고정부재;
    일측이 상기 장식물고정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에 둘레를 따라 함몰홈이 형성되며, 상기 홀을 통과하는 몸체; 및
    탄성력을 가지면서 상기 함몰홈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몸체를 상기 타공판에 고정하는 몸체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고정부는,
    상기 장식물을 고정하는 장식물고정부재;
    일측이 상기 장식물고정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을 통과하는 몸체; 및
    상기 홀의 직경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몸체를 상기 타공판에 고정하는 몸체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
KR1020210081576A 2021-06-23 2021-06-23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 KR202201705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576A KR20220170567A (ko) 2021-06-23 2021-06-23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576A KR20220170567A (ko) 2021-06-23 2021-06-23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567A true KR20220170567A (ko) 2022-12-30

Family

ID=84538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576A KR20220170567A (ko) 2021-06-23 2021-06-23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705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9582B1 (en) Interchangeable jewelry strand
US20140150496A1 (en) Multi-Use Jewelry Device
US4305262A (en) Jewelry with slidable, add-on gems
JP4199129B2 (ja) 身飾品
DK174354B1 (da) Pyntedel til et smykkesystem og et smykkesystem omfattende en sådan pyntedel
US718708A (en) Ear ornament.
US4220018A (en) Display device for ornamental objects
KR100761985B1 (ko) 착탈식장신구
KR20220170567A (ko) 장식물 교체가 용이한 장신구
US20070251269A1 (en) Adjustable Jewelry Assembly
KR200418686Y1 (ko) 귀고리
JP2018505011A (ja) パームブレスレット
KR101604653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US20110120187A1 (en) Jewelry Kit, Articles of Jewelry, and Associated Devices and Methods Thereof
JP3203099U (ja) 頭飾具
KR101828755B1 (ko) 귀걸이 고정구
IT201700015156A1 (it) Monile
EP1051927A1 (en) A jewelry article
KR200465134Y1 (ko) 다용도 장신구
KR20110011681U (ko) 장신구용 펜던트의 장착구조
KR101887487B1 (ko) 귀걸이 고정구
KR101668415B1 (ko) 귀금속 장신구 조립체
KR101668414B1 (ko) 귀금속 장신구 조립체
JP3140698U (ja) 装飾部材の係止構造及びその係止構造を有する装飾品
US20060144086A1 (en) Ball-seam jewel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