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9470A - 경고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경고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9470A
KR20220169470A KR1020217031283A KR20217031283A KR20220169470A KR 20220169470 A KR20220169470 A KR 20220169470A KR 1020217031283 A KR1020217031283 A KR 1020217031283A KR 20217031283 A KR20217031283 A KR 20217031283A KR 20220169470 A KR20220169470 A KR 20220169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image
frame
coin
p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1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아오 오우양
신신 왕
Original Assignee
센스타임 인터내셔널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스타임 인터내셔널 피티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센스타임 인터내셔널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IB2021/055678 external-priority patent/WO2022096952A1/en
Publication of KR20220169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4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6Card games appurtenances
    • A63F1/18Score computers; Miscellaneous indicat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07F17/3216Construction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housing, seats, ergonomic aspects
    • G07F17/322Casino tables, e.g. tables having integrated screens, chip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55Detecting or recognising potential candidate objects based on visual cues, e.g. sha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06V20/46Extra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from the video content, e.g. video fingerprints, representative shots or key fram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25Data transfer within a gaming system, e.g. data sent between gaming machines and users
    • G07F17/3232Data transfer within a gaming system, e.g. data sent between gaming machines and users wherein the operator is inform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1Security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detecting cheating, device integrity, surveilla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4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 G07F17/3248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involving non-monetary media of fixed value, e.g. casino chips of fixed valu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6Game play aspects of gaming systems
    • G07F17/3272Games involving multiple players
    • G07F17/3276Games involving multiple players wherein the players compete, e.g. tourname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86Type of games
    • G07F17/3293Card games, e.g. poker, canasta, black ja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depending on the stopping of moving members in a mechanical slot machine, e.g. "fruit" mach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경고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를 개시하고, 상기 방법은,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게임 테이블에는 게임 코인을 배치하기 위한 배치 영역이 포함됨 - ; 및 상기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의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게임이 청산 단계에 진입하는 것을 결정할 경우, 상기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의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따라 상기 게임의 플레이어가 상기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는 게임이 청산 단계에 진입한 경우에 촬영하여 얻은 것이다.

Description

경고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원 발명은 2021년 6월 18일에 싱가포르 특허청 제출한 싱가포르 특허 출원 10202106583R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상기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원 발명에 인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게임에 관한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특히 경고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한 라운드의 게임 결과가 나타난 후, 게임 통제자는 일반적으로 게임 테이블에서 대응되는 플레이어가 패자인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수거하고, 대응되는 플레이어가 승자인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지급한다.
게임의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게임 결과가 나타난 후, 플레이어가 게임 테이블 상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게임 결과가 나타난 후, 플레이어가 게임 코인을 배치하기 위한 게임 테이블의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을 변경하여, 게임 통제자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배치 영역 중 플레이어에 의해 변경된 게임 코인에 기반하여 지불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므로, 이는 게임장에 손실을 가져다 준다.
그러나, 관련 기술에는 게임 과정에 플레이어의 동작을 검출하는 기술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경고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제1 측면에서, 경고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게임 테이블에는 게임 코인을 배치하기 위한 배치 영역이 포함됨 - ; 상기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의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게임이 청산 단계에 진입하는 것을 결정할 경우, 상기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의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따라 상기 게임의 플레이어가 상기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는 게임이 청산 단계에 진입한 경우에 촬영하여 얻은 것이다.
제2 측면에서, 경고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장치는,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획득 유닛 - 상기 게임 테이블에는 게임 코인을 배치하기 위한 배치 영역이 포함됨 - ; 및 상기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의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게임이 청산 단계에 진입하는 것을 결정할 경우, 상기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의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따라 상기 게임의 플레이어가 상기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는 게임이 청산 단계에 진입한 경우에 촬영하여 얻은 것이다.
제3 측면에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고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상기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4 측면에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그램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방법의 단계가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에 기반하여, 플레이어가 게임의 청산 단계에서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이 결정될 경우, 경고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게임 과정에서 플레이어의 동작에 대한 검출을 구현하고, 경고 정보를 통해 플레이어가 게임의 청산 단계에서 수행한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동작을 철회하도록 프롬프트하여, 게임 규정에 부합되지 않는 플레이어의 동작으로 인해 게임장에 손실을 가져다 주는 상황의 발생을 줄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경고 시스템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경고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다른 경고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또 다른 경고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또 다른 경고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한 경고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한 경고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한 경고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한 다른 경고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경고 장치의 구성 구조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경고 기기의 하드웨어 엔티티 모식도이다.
아래에서는 실시예 및 도면을 결부하여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서로 결합될 수 있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개념 또는 과정은 일부 실시예에서 반복 설명되지 않을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예시에서, "제1", "제2" 등은 유사한 객체를 구별하기 위한 것이며 특정된 순서 또는 선후 순서를 설명하기 위해 반드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적 해결수단은 서로 충돌되지 않는 한,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적어도 하나, 적어도 한 프레임은 각각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 한 프레임 또는 적어도 두 프레임을 가리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복수 개, 다수의 프레임은 각각 적어도 두 개, 적어도 두 프레임을 가리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한 프레임의 A 이미지 이후에 촬영된 적어도 한 프레임의 B 이미지는 적어도 한 프레임의 B 이미지와 적어도 한 프레임의 A 이미지가 서로 인접함을 가리킬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한 프레임의 B 이미지와 적어도 한 프레임의 A 이미지 사이의 간격이 한 프레임 또는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임을 가리킬 수 있으며, 여기서 A 이미지 또는 B 이미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나타난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가리킬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일일이 열거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한 프레임의 C 이미지는 연속적으로 촬영된 C 이미지일 수 있거나, 비연속적으로 촬영된 C 이미지일 수 있다. C 이미지의 개수는 실제 상황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C 이미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나타난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가리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경고 방법은 게임장의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게임장 시나리오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임의의 한 곳에서 언급된 플레이어는 플레이어 또는 뱅커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임의의 한 곳에서 언급된 게임 통제자는 딜러를 가리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임의의 한 곳에서 언급된 게임 테이블은 겜블링 테이블을 가리킬 수 있고, 본 실시예의 임의의 한 곳에서 언급된 게임 코인은 칩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임의의 한 곳에서 언급된 배치 영역은 게임 테이블 상의 베팅 영역 또는 베트 영역을 가리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임의의 한 곳에서 언급된 관리 시스템은 게임장 관리 시스템(Casinos Management System, CMS)을 가리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 방식에서, 게임 테이블의 게임은 바카라 게임일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형태에서, 게임 테이블의 게임은 고기 잡기, 텍사스홀덤 포커, 슬롯머신, 파이브 카드 스터드 등과 같은 다른 게임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게임 타입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게임 테이블의 게임은 카드 게임 또는 비 카드 게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경고 시스템의 구조 모식도이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고 시스템(100)은 카메라 컴포넌트(101), 경고 기기(102) 및 관리 시스템(103)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카메라 컴포넌트(101)는 복수 개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카메라는 상이한 각도에서 게임 테이블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컴포넌트(101)는 3개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1 카메라는 조감 카메라일 수 있고, 제1 카메라는 게임 테이블의 최상부에 가설될 수 있다. 제2 카메라 및 제3 카메라는 각각 게임 테이블의 측면에 가설되고, 제2 카메라 및 제3 카메라 사이의 끼임각은 설정된 끼임각이며, 예를 들어, 설정된 끼임각은 30도 내지 120 도 사이일 수 있고, 설정 끼임각은 30도, 60도, 90도 또는 120도 등일 수 있다. 제2 카메라 및 제3 카메라는 게임 테이블 상에 설치되어, 측면 시각에서 게임 테이블 상의 게임 코인 및 플레이어의 상황을 촬영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경고 기기(102)는 하나의 카메라 컴포넌트(101)에만 대응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형태에서, 경고 기기(102)는 복수 개의 카메라 컴포넌트(101)에 대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경고 기기(102)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카메라 컴포넌트(101)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게임장에서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컴포넌트(101)일 수 있거나, 상기 경고 기기(102)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카메라 컴포넌트(101)는 하나의 게임장의 일부 영역에서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컴포넌트(101)일 수 있다. 일부 영역은 일반 영역 또는 중요 인사(Very Important Person, VIP) 영역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경고 기기(102)는 게임장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고 기기(102)는 게임장의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형태에서, 경고 기기(102)는 클라우드에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 컴포넌트(101)는 경고 기기(102)에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카메라 컴포넌트(101)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실시간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한 실시간 이미지를 경고 기기(102)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컴포넌트(101)가 복수 개의 카메라를 포함할 경우, 복수 개의 카메라는 타깃 지속 시간마다 실시간 이미지를 한번 촬영하고, 촬영한 실시간 이미지를 경고 기기(102)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카메라는 실시간 이미지를 동시에 또는 다른 시간에 촬영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형태에서, 카메라 컴포넌트(101)는 실시간 비디오를 촬영하고, 실시간 비디오를 경고 기기(102)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컴포넌트(101)가 복수 개의 카메라를 포함할 경우, 복수 개의 카메라는 촬영한 실시간 비디오를 경고 기기(102)에 각각 송신하여, 경고 기기(102)로 하여금 실시간 비디오에서 실시간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시간 이미지는 후술하는 어느 하나의 이미지 또는 복수 개의 이미지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카메라 컴포넌트는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촬영하여, 촬영한 이미지를 경고 기기(102)에 지속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형태에서, 카메라 컴포넌트는 타깃 트리거 하에 이미지 촬영을 시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카메라 컴포넌트는 게임의 결과가 나타나거나 게임 코인의 배치가 완료되었다는 명령어에 응답하여 이미지 촬영을 시작할 수 있다.
경고 기기(102)는 실시간 이미지에 기반하여 게임장의 게임 테이블 상의 게임 코인 및 게임 테이블 옆의 게임 통제자 및 플레이어를 분석하여, 게임 통제자 및 플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이 규정에 부합되는지 여부 또는 정당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경고 기기(102)는 관리 시스템(103)에 통신 연결될 수 있다. 경고 기기(102)가 게임 통제자 또는 플레이어의 동작이 비정당하다고 결정할 경우, 게임장 또는 플레이어에 대한 손실을 줄이기 위해, 경고 기기(102)는 동작이 비정당한 게임 통제자 또는 플레이어에 대응되는 게임 테이블 상의 관리 시스템(103)에 경고 정보를 송신하여, 관리 시스템(103)으로 하여금 상기 경고 정보에 대응되는 경고를 내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게임 테이블을 통해 게임 통제자 또는 플레이어를 경고하고, 게임 통제자 또는 플레이어의 동작이 비정당함으로 인해 게임장 또는 플레이어에게 손실을 초래하는 상황을 미리 경고하여, 동작을 적시에 수정하거나 다른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에 대응되는 실시예에서, 도시된 것은 카메라 컴포넌트(101), 경고 기기(102) 및 관리 시스템(103)이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된 것이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카메라 컴포넌트(101) 및 경고 기기(102)는 하나로 집적될 수 있거나, 경고 기기(102) 및 관리 시스템(103)이 하나로 집적될 수 있다.
아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경고 방법을 설명하며, 상기 방법은 게임의 청산 단계에서 플레이어의 동작을 검출할 수 있고, 게임의 청산 단계에서 플레이어가 게임의 공정성을 저해하는 동작을 할 경우, 관리 시스템을 통해 경고함으로써, 게임 규칙에 부합되지 않는 플레이어의 동작으로 인해 게임장에 손실이 발생되는 상황을 적시에 미리 경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경고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경고 기기에 적용되며,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201에 있어서,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게임 테이블에는 게임 코인을 배치하기 위한 배치 영역이 포함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경고 기기는 에지 기기, 사이드 엔드 기기 또는 에지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경고 기기는 게임장의 서버에 통신 연결되어, 서버로 하여금 경고 기기에 대해 상응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경고 기기는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하나의 경고 기기는 하나의 게임 테이블에 일대일 대응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형태에서, 하나의 경고 기기는 복수 개의 게임 테이블에 대응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경고 기기에는 카메라 컴포넌트가 설치되어, 카메라 컴포넌트를 통해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형태에서, 카메라 컴포넌트 및 경고 기기는 별도로 설치되고, 카메라 컴포넌트는 게임 테이블을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한 실시간 이미지를 경고 기기에 송신하여, 경고 기기가 실시간 이미지에 기반하여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결정하도록 한다. 또 다른 일부 실시형태에서, 경고 기기의 카메라 컴포넌트는 게임 테이블에 대해 비디오 촬영을 수행할 수 있고, 촬영한 비디오를 캡처하여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얻는다. 또 다른 일부 실시형태에서, 카메라 컴포넌트는 게임 테이블에 대해 비디오 촬영을 수행할 수 있고, 촬영한 비디오를 경고 기기에 송신함으로써, 경고 기기가 수신된 비디오를 캡처할 수 있으며, 나아가 캡처된 이미지에 기반하여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얻는다.
카메라 컴포넌트가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할 경우, 상기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지속적으로 촬영된 이미지는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일 수 있거나, 상기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비디오에서 캡처된 이미지는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이다. 카메라 컴포넌트가 복수 개의 카메라를 포함할 경우, 복수 개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다수의 이미지를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로 사용한다.
한 라운드의 게임 과정에는 게임 코인 배치 단계, 게임 아이템 조작 단계 및 청산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게임 코인 배치 단계에서, 게임 플레이어는 어느 한쪽을 대표하는 배치 영역을 선택하고, 그 곳에 게임 코인을 배치할 수 있다. 게임 아이템 조작 단계에서, 게임 통제자는 게임 테이블의 게임 아이템을 조작하여 게임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한 번의 게임에서 게임의 결과가 나타난 후, 경고 기기는 게임의 결과에 기반하여 각각의 배치 영역이, 대응되는 플레이어가 승자인 배치 영역 또는 대응되는 플레이어가 패자인 배치 영역임을 판정할 수 있고, 게임의 결과가 나타난 후 게임의 청산 단계에 진입하며, 청산 단계에서 플레이어는 게임 테이블의 어느 하나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이 변경하지 못하고, 게임 통제자는 패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수거하며, 승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지급할 수 있다. 여기서, 승자의 배치 영역은 상기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넣은 플레이어가 승자임을 특성화할 수 있고, 패자의 배치 영역은 상기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넣은 플레이어가 패자임을 특성화할 수 있다.
카드 게임을 예로 들면, 한 번의 게임이 시작된 후, 플레이어는 게임 테이블의 배치 영역 중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배치할 수 있고, 게임 통제자는 게임 테이블의 각각의 플에이어에게 카드를 발급할 수 있으며, 카드 발급이 종료된 후, 플레이어는 자신의 카드 앞면을 보여줄 수 있고, 경고 기기는 촬영된 카드 앞면에 기반하여 게임의 결과를 결정할 수 있음으로써, 게임의 결과에 기반하여 게임 통제자의 수행해야 할 청산 동작을 결정하고, 게임 통제자는 플레이어의 카드 앞면에 기반하여 어느 플레이어가 승자인지, 어느 플레이어가 패자인지 결정할 수도 있다. 게임의 결과가 나타난 후, 청산 단계에 진입하고 게임 통제자는 패자가 배치한 게임 코인을 수거하고 승자가 배치한 게임 코인을 지급할 수 있다. 청산 단계에서 플레이어가 게임 테이블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동작은 허용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는 한 라운드의 게임 또는 한 번의 게임에서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이미지를 가리킬 수 있다.
단계 S202에 있어서,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의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게임이 청산 단계에 진입하는 것을 결정할 경우,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의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따라 게임의 플레이어가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경고 정보를 출력하고,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는 게임이 청산 단계에 진입한 경우에 촬영하여 얻은 것이다.
한 라운드의 게임이 시작된 후, 게임 코인 배치 단계에 진입하고, 게임 코인 배치 단계에서 플레이어는 게임 테이블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배치할 수 있다. 게임 코인의 배치가 완료된 후, 게임 아이템 조작 단계에 진입하고, 게임 아이템 조작 단계에서 게임 통제자는 게임 아이템을 조작하여 게임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게임의 결과가 나타난 후, 청산 단계에 진입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게임 아이템 조작 단계에서 플레이어는 게임 코인이 이미 배치된 배치 영역에 계속하여 게임 코인을 배치할 수 있다.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1 이미지는 게임 아이템 조작 단계에서 촬영된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게임의 결과를 결정하고, 게임의 결과에 기반하여 청산 단계로 진입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는 청산 단계예서 촬영된 것일 수 있다. 플레이어가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은, 플레이어가 승자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것, 플레이어가 패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가져가는 것, 및 플레이어가 승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이 비워진 후, 상기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어가 패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가져가는 것은, 플레이어가 패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 전부 가져가거나 일부 게임 코인을 가져가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미지의 수집 순서에 따라, 게임 테이블에서의 시나리오의 변화를 지속적 또는 실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고, 게임 테이블의 게임 결과가 나타난 것이 검출되기 전에 수집된 이미지를 제1 이미지로 사용하고, 게임 테이블의 게임 결과가 나타난 것이 검출된 후에 수집된 이미지를 제2 이미지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언급된 배치 영역은 게임 테이블의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배치 영역일 수 있고, 언급된 게임 통제자는 사람 또는 기계일 수 있으며, 언급된 플레이어는 게임 테이블 옆의 어느 한 명 또는 여러 명의 플레이어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경고 기기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포함할 수 있고, 경고 기기가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경고 기기의 출력 유닛이 디스플레이 기기에 경고 정보를 출력하여, 경고 기기의 디스플레이로 하여금 경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형태에서, 경고 기기가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경고 기기가 전자 기기에 경고 정보를 출력하여, 전자 기기로 하여금 상기 경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는 관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플레이어는 일반적으로 손을 통해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한다. 게임 테이블에서 게임 통제자가 위치하는 위치와 플레이어가 위치하는 위치가 상이하므로(예를 들어, 각각 게임 코인 배치 영역의 대향되는 양측에 위치함), 경고 기기는 게임 티이블에서의 제1 사전 설정 방향의 핸드부 동작 및 각각의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의 변화에 기반하여, 플레이어가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배치 영역에 나타난 핸드부에 연관된 인원의 신분을 식별하여, 상기 배치 영역에서 게임 코인 조작을 수행하는 인원이 플레이어 또는 게임 통제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플레이어일 경우, 플레이어가 게임 과정에서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조작한 것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에 기반하여, 플레이어가 게임의 청산 단계에서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이 결정될 경우, 경고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게임 과정에서 플레이어의 동작에 대한 검출을 구현하고, 경고 정보를 통해 플레이어가 게임의 청산 단계에서 수행한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동작을 철회하도록 프롬프트하여, 게임에 규정에 부합되지 않는 플레이어의 동작으로 인해 게임장에 손실을 가져다 주는 상황의 발생을 감소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다른 경고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경고 기기에 적용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게임 테이블은 게임 아이템 조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301에 있어서,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게임 테이블에는 게임 코인을 배치하기 위한 배치 영역이 포함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계 S301는 게임 테이블의 측면 및 최상부 중 적어도 하나에 가설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각각 송신된,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형태에서, 단계 S301는 게임 테이블의 측면 및 최상부 중 적어도 하나에 가설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각각 송신된,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에서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캡처해내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 또는 비디오를 경고 기기에 송신함으로써, 경고 기기가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고, 나아가 게임 테이블에서의 플레이어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으므로, 게임 과정에서 플레이어에 대한 동작의 검출을 구현한다.
단계 S302에 있어서, 게임의 게임 아이템 조작 단계에서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1 이미지를 획득한다.
단계 S303에 있어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게임 아이템 조작 영역 내의 게임 아이템 정보를 결정한다.
게임 아이템 정보는 게임 아이템에 의해 나타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테이블에서 플레이되고 있는 게임이 카드 게임일 경우, 게임 아이템은 카드이고, 경고 기기는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기반하여, 게임 아이템 정보가 발급된 카드의 카드 앞면 및 무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임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304에 있어서, 게임 아이템 정보에 따라, 게임이 청산 단계에 진입하는 것을 결정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경고 기기는 게임 아이템 정보에 따라, 게임의 결과를 결정하고, 게임의 결과에 기반하여, 게임이 청산 단계에 진입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게임이 카드 게임일 경우, 게임 아이템 조작 단계에서, 게임 통제자는 발급된 카드를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경고 기기가 디스플레이된 카드의 카드 앞면 및 무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지속적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경고 기기가 게임 통제자에 의해 발급된 모든 카드의 카드 앞면 및 무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한 후, 경고 기기는 발급된 모든 카드의 카드 앞면 및 무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반하여, 게임의 결과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305에 있어서,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의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따라 게임의 플레이어가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경고 정보를 출력하고,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는 게임이 청산 단계에 진입한 경우에 촬영하여 얻은 것이다.
게임 아이템 조작 단계는 게임 통제자가 게임 아이템을 조작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1 이미지는 최상부에 가설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것일 수 있으므로, 최상부의 카메라를 통해 게임 아이템 조작 영역 내의 게임 아이템 정보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 후술되는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3 이미지 및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4 이미지가, 측면에 가설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것일 수 있으므로, 측면의 카메라를 통해 각각의 배치 영역 중 코인의 개수 및 총 가치 중 적어도 하나, 및 변화가 발생된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 후술되는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3 이미지 및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4 이미지가, 측면 및 최상부에 가설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것일 수 있으므로, 최상부의 카메라를 통해 각각의 배치 영역 중 각 무더기의 게임 코인 최상면의 게임 코인 가치, 및 변화가 발생된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고, 측면의 카메라를 통해, 각각의 배치 영역 중 각 무더기의 게임 코인의 개수, 및 변화가 발생된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음으로써, 경고 기기로 하여금 각각의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의 개수 및 총 가치 중 적어도 하나, 및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를 정확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관리 시스템에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시스템에 상기 경고 정보가 수신될 경우, 경고 정보에 대응되는 경고를 내보낼 수 있다.
관리 시스템은 게임 테이블 상에 설치된 경고를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관리 시스템은 게임 테이블 상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경고 정보를 수신한 후, 경고 정보에 대응되는 경고를 내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시스템이 경고 정보에 대응되는 경고를 내보내는 방식은, 경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 과정에서, 관리 시스템은 또한 경고 진동, 경고 라이트 및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의 경고 지시를 내보낼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형태에서, 관리 시스템은 제어 장치 및 게임 테이블의 각각의 배치 영역에 대응되는 서브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서브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 소리 발생 장치, 발광 장치 및 진동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과정에서, 경고 정보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배치 영역의 식별자 및 게임 규정에 부합되지 않는 플레이어의 동작 정보를 포함하거나 지시할 수 있으므로, 관리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 경고 정보가 수신될 경우,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배치 영역의 식별자 및 게임 규정에 부합되지 않는 플레이어의 동작 정보에 기반하여,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배치 영역에 대응되는 서브 장치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배치 영역에 대응되는 서브 장치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배치 영역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게임 규정에 부합되지 않는 플레이어의 동작 정보 및 경고 원인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배치 영역에 대응되는 소리 발생 장치가 경고음 및 게임 규정에 부합되지 않는 플레이어의 동작 정보 및 경고 원인 중 적어도 하나를 내보내도록 제어하는 것;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배치 영역에 대응되는 발광 장치가 경고 라이트를 내보내도록 제어하고,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배치 영역에 대응되는 진동 장치가 경고 진동을 내보내도록 제어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게임 규정에 부합되지 않는 플레이어의 동작 정보가 상이할 경우, 경고음이 상이할 수 있거나, 경고 라이트의 컬러, 밝기 및 깜빡임 주기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거나, 경고 진동의 진동 주파수가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고 원인은 게임 규정에 부합되지 않는 플레이어의 동작 정보에 의해 결정된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게임 규정에 부합되지 않는 플레이어의 동작 정보는, 승자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것; 패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가져가는 것; 및 승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이 비워진 후, 상기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새로 추가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경고 기기는 플레이어가 게임 규정에 부합되지 않는 동작을 결정할 경우, 관리 시스템에 경고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관리 시스템은 상응한 경고를 내보낼 수 있고, 나아가 플레이어는 관리 시스템이 내보낸 경고에 기반하여, 수행해야 할 청산 동작에 부합되지 않는 실제 청산 동작을 철회할 수 있어, 플레이어의 잘못된 동작으로 인해 게임장에 손실을 가져다 주는 상황의 발생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게임 아이템 조작 단계에서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게임 아이템 조작 영역 내의 게임 아이템 정보를 결정하고, 나아가 게임 아이템 조작 영역 내의 게임 아이템 정보에 기반하여 게임의 결과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경고 기기는 게임의 결과에 기반하여, 플레이어가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할 때의 동작이 규정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구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또 다른 경고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경고 기기에 적용되며, 상기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401에 있어서,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게임 테이블에는 게임 코인을 배치하기 위한 배치 영역이 포함된다.
단계 S402에 있어서,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의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게임이 청산 단계에 진입하는 것을 결정한다.
단계 S403에 있어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기반하여, 각각의 배치 영역의 게임 코인 변화 정보를 검출한다.
게임 코인 변화 정보는, 게임 코인의 개수 증가, 게임 코인의 개수 감소, 게임 코인의 총 가치 증가 및 게임 코인의 총 가치 감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의 개수가 감소하거나 게임 코인의 총 가치가 감소하는 것은, 상기 어느 하나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이 제로 셋팅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04에 있어서,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에 변화가 발생되고, 변화가 발생된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가 플레이어일 경우, 플레이어가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고, 경고 정보를 출력하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는 게임이 청산 단계에 진입한 경우에 촬영하여 얻은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게임 코인이 배치된 게임 테이블의 적어도 하나의 배치 영역은 제1 배치 영역 및 제2 배치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배치 영역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영역일 수 있으며, 제2 배치 영역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영역일 수 있고, 제1 배치 영역에 대응되는 배치 영역은 제2 배치 영역에 대응되는 배치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다. 게임의 결과는 제1 배치 영역에 대응되는 플레이어 및 제2 배치 영역에 대응되는 플레이어 사이의 승패 판정 결과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1 배치 영역이 패자의 배치 영역이고, 제2 배치 영역이 승자의 배치 영역일 경우, 게임 청산 단계에서 플레이어는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패자의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을 가져가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경고 기기는 어느 하나의 제1 배치 영역의 게임 코인 변화 정보가 게임 코인의 개수 및 총 가치 중 적어도 하나의 감소이고, 변화가 발생된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가 플레이어인 것이 결정될 경우, 플레이어가 상기 어느 하나의 제1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가져간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플레이어는 게임 통제자가 지급한 게임 코인 개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승자의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을 추가시키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경고 기기는 어느 하나의 제2 배치 영역의 게임 코인 변화 정보가 게임 코인의 개수 및 총 가치 중 적어도 하나의 증가이고, 변화가 발생된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가 플레이어인 것이 결정될 경우, 플레이어가 상기 어느 하나의 제2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추가시킨 것으로 결정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는 제1 서브 이미지, 제2 서브 이미지 및 제3 서브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기반하여, 각각의 배치 영역의 게임 코인 변화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 중의 제1 서브 이미지에 기반하여, 배치 영역의 제1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을 결정하는 단계;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서 제1 서브 이미지 이후에 촬영된 제2 서브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제2 서브 이미지의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가 플레이어인 것이 결정될 경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서 제2 서브 이미지 이후에 촬영된 제3 서브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3 서브 이미지 중 배치 영역의 제2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속성 값은, 개수 및 총 가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은 어느 하나의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의 개수 및 총 가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배치 영역에 두 무더기의 게임 코인이 존재하고, 두 무더기의 게임 코인의 개수가 각각 5와 10이며, 두 무더기의 게임 코인의 총 가치가 각각 100과 300이면, 상기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의 총 개수는 15이고, 상기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의 총 가치는 400이다.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에 변화가 발생되고, 변화가 발생된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가 플레이어일 경우, 플레이어가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1 게임 코인의 속성 값과 제2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이 상이하고,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가 플레이어일 경우, 플레이어가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제1 서브 이미지 내지 제12 서브 이미지 중의 어느 하나의 서브 이미지는 하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거나,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프레임의 서브 이미지가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포함할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프레임의 서브 이미지 중 지정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은,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 중 상기 지정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일 수 있거나,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 상기 지정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일 수 있으며, 각각의 이미지 중 상기 지정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은 동일하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2 이미지의 수집 순서에 따라, 제2 이미지 중의 각 배치 영역 내의 사물 변화 정보를 지속적 또는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고,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배치 영역에 대해, 게임 코인 변화가 검출되기 전 및 손이 나타나지 않은 이미지를 상기 제1 서브 이미지로 사용하고, 손이 검출된 이미지를 제2 서브 이미지로 사용하며, 게임 코인 변화가 검출된 이후에 수집된 이미지를 상기 제3 서브 이미지로 사용한다. 여기서, 제1 서브 이미지, 제2 서브 이미지 및 제3 서브 이미지는 지속적으로 수집된 이미지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게임 코인이 배치된 여러 개의 배치 영역에서, 지정 배치 영역 중의 제1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이 제2 게임 코인의 속성 값보다 작을 경우, 지정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이 추가된 것을 결정하고, 게임 코인 증가에 연관된 조작자가 플레이어일 경우, 플레이어가 상기 지정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배치한 것을 결정하며, 여기서, 제1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은 0일 수 있고; 및/또는, 지정 배치 영역 중 제1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이 제2 게임 코인의 속성 값보다 클 경우, 지정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이 감소된 것을 결정하고, 게임 코인 감소에 연관된 조작자가 플레이어일 경우, 플레이어가 상기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가져가는 것으로 결정하며, 여기서, 제2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은 0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서브 이미지, 제2 서브 이미지 및 제3 서브 이미지에 기반하여, 게임 테이블의 어느 하나의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가 플레이어이고, 상기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에 변화가 발생된 것을 결정할 수 있을 경우, 플레이어가 상기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으며, 경고 정보를 출력하여, 플레이어의 잘못된 동작을 프롬프트함으로써, 플레이어로 하여금 경고 정보의 프롬프트에 기반하여, 상기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에 대한 변경 동작을 철회하도록 할 수 있어, 게임 규정에 부합되지 않는 플레이어의 동작으로 인해 게임장에 손실을 가져다주는 상황의 발생을 감소시킨다.
다른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는 제7 서브 이미지, 제8 서브 이미지 및 제9 서브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기반하여, 각각의 배치 영역의 게임 코인 변화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 중의 제7 서브 이미지에 기반하여, 제7 서브 이미지 중 배치 영역의 게임 코인이 비워진 것을 결정할 경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서 제7 서브 이미지 이후에 촬영된 제8 서브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8 서브 이미지 중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가 플레이어인 것이 결정될 경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서 제8 서브 이미지 이후에 촬영된 제9 서브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제9 서브 이미지 중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이 존재할 경우, 배치 영역의 게임 코인 변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게임 코인이 비워진 후 새로운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에 변화가 발생되고, 변화가 발생된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가 플레이어일 경우, 플레이어가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는,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이 비워진 후 새로운 게임 코인을 추가하고,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가 플레이어인 것이 결정될 경우, 플레이어가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2 이미지의 수집 순서에 따라, 제2 이미지 중의 각 배치 영역 내의 사물 변화 정보를 지속적 또는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고,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배치 영역에 대해, 게임 코인이 비워진 것이 검출된 이미지를 상기 제7 서브 이미지로 사용하고, 손이 검출된 이미지를 제8 서브 이미지로 사용하며, 상기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이 검출된 이미지를 제9 서브 이미지로 사용한다. 여기서, 제7 서브 이미지, 제8 서브 이미지 및 제9 서브 이미지는 지속적으로 수집된 이미지일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형태에서, 게임의 청산 단계에서 게임 통제자는 일반적으로 게임 코인이 비워진 어느 하나의 승자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지 않으므로, 경고 기기가 어느 하나의 설정 영역이 승자의 배치 영역인 것을 결정하고, 게임의 청산 단계에서 상기 승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이 비워진 후, 새로운 게임 코인이 다시 나타난 것이 결정되면, 게임 코인 변화에 연관된 조작자가 플레이어 또는 게임 통제자인지 여부를 결정하지 않고, 플레이어가 상기 승자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한 것을 직접적으로 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7 서브 이미지, 제8 서브 이미지 및 제9 서브 이미지에 기반하여,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이 비워진 후 추가되는 경우, 및 게임 코인이 비워진 후 추가되는 것에 연관된 조작자가 플레이어인 것이 결정될 경우, 경고 정보를 출력하여, 플레이어의 잘못된 동작을 프롬프트함으로써, 플레이어로 하여금 경고 정보의 프롬프트에 기반하여, 상기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에 대한 변경 동작을 철회하도록 할 수 있어, 게임 규정에 부합되지 않는 플레이어의 동작으로 인해 게임장에 손실을 가져다주는 상황의 발생을 감소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또 다른 경고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경고 기기에 적용되며, 상기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501에 있어서,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게임 테이블에는 게임 코인을 배치하기 위한 배치 영역이 포함된다.
단계 S502에 있어서,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의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게임이 청산 단계에 진입하는 것을 결정할 경우,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의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따라 게임의 플레이어가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경고 정보를 출력하고,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는 게임이 청산 단계에 진입한 경우에 촬영하여 얻은 것이다.
단계 S503에 있어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기반하여 제1 속성 값을 결정하고, 제1 속성 값은 플레이어가 배치 영역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기 전의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이다.
단계 S504에 있어서,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에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 이후에 촬영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3 이미지를 획득한다.
단계 S505에 있어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3 이미지에 기반하여 제2 속성 값을 결정하고, 제2 속성 값은 플레이어가 배치 영역의 게임 코인을 변경한 후의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미지의 수집 순서에 따라, 게임 테이블의 시나리오의 변화를 지속적 또는 실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고, 플레이어가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이 검출된 이미지, 및 그 이전에 촬영된 이미지를 제2 이미지로 사용하며, 플레이어가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이 검출된 이미지 이후에 촬영된 이미지를 제3 이미지로 사용한다.
단계 S506에 있어서, 제1 속성 값과 제2 속성 값이 동일할 경우, 경고 해제를 지시하는 해제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경고 기기에 의해 플레이어가 어느 하나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것이 결정될 경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3 이미지에 기반하여,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을 결정하고, 플레이어가 상기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기 전의 상기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의 속성 값으로 복원되면, 플레이어가 상기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동작을 철회하는 것을 결정하고, 해제 정보를 출력한다.
또 예를 들어, 경고 기기에 의해 플레이어가 어느 하나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가져간 것이 결정될 경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3 이미지에 기반하여,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을 결정하고, 플레이어가 상기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가져가기 전의 상기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의 속성 값으로 복원되면, 플레이어가 상기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가져가는 동작을 철회하는 것을 결정하고, 해제 정보를 출력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경고 해제를 지시하는 해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관리 시스템에 경고 해제를 지시하는 해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관리 시스템에 해제 정보가 수신될 경우, 경고 정보에 대응되는 현재 발생 중인 경고를 중지시키거나 해제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표시 장치가 게임 규정에 부합되지 않는 플레이어의 동작 정보 및 경고 원인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경우, 표시 장치는 해제 정보에 기반하여 게임 규정에 부합되지 않는 플레이어의 동작 정보 및 경고 원인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중지시키거나 더이상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형태에서, 소리 발생 장치가 경고음 또는 경고 원인을 내보낼 경우, 소리 발생 장치는 해제 정보에 기반하여 소리 발생 장치가 경고음 또는 경고 원인을 내보내는 것을 중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부 실시형태에서, 발광 장치가 경고 라이트를 내보낼 경우, 발광 장치는 해제 정보에 기반하여 발광 장치가 경고 라이트 발광을 중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부 실시형태에서, 진동 장치가 경고 진동을 내보낼 경우, 진동 장치는 해제 정보에 기반하여 진동 장치가 경고 진동을 내보내는 것을 중지하도록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해제 정보를 출력하는 몇 가지 구현 시나리오를 설명한다.
일부 구현 시나리오에서, 경고 기기에 의해 제1 플레이어가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승자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것이 결정될 경우, 관리 시스템에 경고 정보를 출력하고, 관리 시스템은 표시 장치에서 경고를 표시할 수 있거나, 관리 시스템은 상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승자의 배치 영역에 대응되는 서브 장치를 통해 경고할 수 있다. 이후, 경고 기기에 의해 제1 플레이어가 상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승자의 배치 영역에서 증가된 게임 코인을 회수하는 것이 결정될 경우, 관리 시스템에 해제 정보를 출력하여, 관리 시스템의 경고를 중지시킨다.
다른 일부 구현 시나리오에서, 경고 기기에 의해 제2 플레이어가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패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가져간 것이 결정될 경우, 관리 시스템에 경고 정보를 출력하고, 관리 시스템은 표시 장치에서 경고를 표시할 수 있거나, 관리 시스템은 상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패자의 배치 영역에 대응되는 서브 장치를 통해 경고할 수 있다. 이후, 경고 기기에 의해 제2 플레이어가 가져간 상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패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반환하는 것이 결정될 경우, 관리 시스템에 해제 정보를 출력하여, 관리 시스템의 경고를 중지시킨다.
또 다른 일부 구현 시나리오에서, 경고 기기에 의해 제3 플레이어가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승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이 비워진 후, 상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승자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것이 결정될 경우, 관리 시스템은 표시 장치에서 경고를 표시할 수 있거나, 관리 시스템은 상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승자의 배치 영역에 대응되는 서브 장치를 통해 경고할 수 있다. 이후, 경고 기기에 의해 제3 플레이어가 상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승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비운 것이 결정될 경우, 관리 시스템에 해제 정보를 출력하여, 관리 시스템의 경고를 중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경고를 지시하는 경고 정보를 출력한 후, 또한 계속 촬영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3 이미지에 기반하여, 플레이어가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동작을 철회하거나,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을 가져가는 동작을 철회하는 것이 결정될 경우, 경고 해제를 지시하는 해제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해제 정보에 기반하여 경고를 중지시켜 게임이 계속 진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한 경고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경고 기기에 적용되며, 상기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601에 있어서,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게임 테이블에는 게임 코인을 배치하기 위한 배치 영역이 포함된다.
단계 S602에 있어서,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에서 게임 코인 배치 단계 및 게임의 아이템 조작 단계 중 적어도 하나에서 촬영하여 얻은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4 이미지를 획득한다.
단계 S603에 있어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4 이미지에 기반하여, 플레이어가 게임 코인 배치 단계 및 게임 아이템 조작 단계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치 영역 중의 지정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것이 결정될 경우,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고, 프롬프트 정보는 지정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이 추가되는 것을 지시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 과정에서, 경고 기기가 한 라운드의 게임에서 지속적으로 촬영한 이미지에서 제1 이미지, 제2 이미지 제3 이미지 및 제4 이미지를 결정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한 라운드의 게임에는 게임 코인 배치 단계, 게임 아이템 조작 단계 및 청산 단계가 순차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게임 코인 배치 단계에서 플레이어는 게임 코인을 배치하기 위한 게임 테이블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배치하고, 게임 코인의 배치가 완료된 후, 게임 아이템 조작 단계에 진입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게임 아이템 조작 단계에서, 플레이어는 게임 코인이 이미 배치된 영역에 계속하여 게임 코인을 추가할 수도 있다. 게임 결과가 나타난 후, 플레이어는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한다.
게임 아이템 조작 단계에서 게임 통제자는 게임 아이템 조작 영역 내의 게임 아이템을 조작하여 게임 결과를 얻을 수 있고, 게임 결과가 나타난 후, 청산 단계에 진입한다.
한 라운드의 게임에서, 게임 코인 배치 단계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4 이미지로 사용하고, 게임 아이템 조작 단계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1 이미지로 사용하며, 청산 단계에서 플레이어가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이미지 및 그 이전에 촬영된 이미지를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로 사용하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 이후에 촬영된, 플레이어가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동작을 철회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이미지를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3 이미지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부 실시형태에서, 플레이어가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배치하거나, 게임 코인이 이미 배치된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동작을 결정하기 위한 이미지를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4 이미지로 사용하고, 청산 단계 이전에 게임의 결과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이미지를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1 이미지로 사용한다.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관리 시스템에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관리 시스템은 각각의 배치 영역에 대응되는 서브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게임 결과가 나타나기 전에 플레이어가 지정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할 경우, 지정 배치 영역에 대응되는 서브 장치는 상응하게 표시, 소리 발생, 발광 또는 진동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시스템에 프롬프트 정보가 수신된 후, 프롬프트 정보에 기반하여, 지정 배치 영역에 대응되는 서브 장치가 진동을 내보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604에 있어서,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의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게임이 청산 단계에 진입하는 것을 결정할 경우,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의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따라 게임의 플레이어가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경고 정보를 출력하고,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는 게임이 청산 단계에 진입한 경우에 촬영하여 얻은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플레이어가 게임 코인을 배치하는 과정에 촬영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4 이미지를 통해, 플레이어가 지정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할 경우, 지정 배치 영역을 통해 게임 코인의 증가를 프롬프트할 수 있으므로, 게임의 기술적인 느낌을 증가시키고 플레이어의 오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한 경고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경고 기기에 적용되며, 상기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701에 있어서,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게임 테이블에는 게임 코인을 배치하기 위한 배치 영역이 포함된다.
단계 S702에 있어서,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의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게임이 청산 단계에 진입하는 것을 결정한다.
단계 S703에 있어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따라, 게임의 플레이어가 승자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경고 정보를 출력하고, 제1 경고 정보는 플레이어가 승자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것을 지시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경고 기기는 먼저 제1 서브 이미지를 획득하고, 제1 서브 이미지 중 각각의 승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을 결정한 다음, 제2 서브 이미지를 획득하여, 제2 서브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승자의 배치 영역에 플레이어의 손이 나타나는 것을 결정하며, 그 다음 제3 서브 이미지를 획득하여, 제3 서브 이미지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승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이 제1 서브 이미지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승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의 속성 값보다 큰 것이 결정될 경우, 플레이어가 상기 어느 하나의 승자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한 것으로 결정한다.
경고 기기는 또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서브 이미지 이후에 촬영된 제10 서브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이로써, 제1 경고 정보가 출력된 후, 경고 기기는 제10 서브 이미지에 기반하여, 플레이어가 상기 어느 하나의 승자의 배치 영역에 추가된 게임 코인을 가져간 것이 결정될 경우, 제1 해제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제1 해제 정보는 제1 경고 정보에 대응되는 경고를 해제하는 것을 지시한다.
단계 S704에 있어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따라, 게임의 플레이어가 패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가져가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경고 정보를 출력하고, 제2 경고 정보는 플레이어가 패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가져가는 것을 지시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경고 기기는 먼저 제1 서브 이미지를 획득하고, 제1 서브 이미지 중 각각의 패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을 결정한 다음, 제2 서브 이미지를 획득하여, 제2 서브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패자의 배치 영역에 플레이어의 손이 나타나는 것을 결정하며, 그 다음 제3 서브 이미지를 획득하여, 제3 서브 이미지 중 상기 어느 하나의 패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이 제1 서브 이미지 중 상기 어느 하나의 패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의 속성 값보다 작은 것이 결정될 경우, 플레이어가 상기 어느 하나의 패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가져간 것으로 결정한다.
경고 기기는 또한, 제2 서브 이미지 이후에 촬영된 제11 서브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이로써, 제2 경고 정보가 출력된 후, 경고 기기는 제11 서브 이미지에 기반하여, 가져간 게임 코인을 상기 어느 하나의 승자의 배치 영역에 반환하는 것이 결정될 경우, 제2 해제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제2 해제 정보는 제2 경고 정보에 대응되는 경고를 해제하는 것을 지시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1 해제 정보/제2 해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관리 시스템에 제1 해제 정보/제2 해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제1 해제 정보/제2 해제 정보는, 경고에 대응되는 배치 영역의 식별자를 포함하거나 지시할 수 있다. 이로써, 관리 시스템에 제1 해제 정보/제2 해제 정보가 수신될 경우, 배치 영역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배치 영역에서 경고하는 것을 중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게임의 플레이어가 승자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것이 검출될 경우, 제1 경고 정보를 출력하고, 게임의 플레이어가 패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가져간 것이 검출될 경우, 제2 경고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게임의 청산 단계에서 게임 규정에 부합되지 않는 플레이어의 잘못된 동작을 경고하여, 플레이어의 잘못된 동작으로 인한 게임장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경고 방법은,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 중의 제4 서브 이미지에 기반하여, 배치 영역의 제3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을 결정하는 단계;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서 제4 서브 이미지 이후에 촬영된 제5 서브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제5 서브 이미지의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가 게임 통제자인 것이 결정될 경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서 제5 서브 이미지 이후에 촬영된 제6 서브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제6 서브 이미지 중 배치 영역의 제4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제3 게임 코인의 속성 값과 제4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이 상이할 경우, 게임 통제자가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서브 이미지 및 제1 서브 이미지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이미지일 수 있고, 제5 서브 이미지 및 제2 서브 이미지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이미지일 수 있으며, 제6 서브 이미지 및 제3 서브 이미지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이미지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게임 통제자는 코인 수거 장치를 소지할 수 있고, 코인 수거 장치는 플레이어가 배치한 칩을 수거하기 위한 칩 수거 장치일 수 있으며, 게임 통제자는 코인 수거 장치를 통해 게임 테이블 상의 게임 코인을 청산할 수 있고, 경고 기기는 제5 서브 이미지 중의 배치 영역에 코인 수거 장치가 존재하는 것이 결정될 경우, 제5 서브 이미지의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가 게임 통제자인 것을 결정한다. 다른 일부 실시형태에서, 경고 기기는 게임 테이블의 제2 사전 설정 방향의 핸드부 동작 및 각각의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의 변화에 기반하여, 게임 통제자가 각각의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사전 설정 방향 및 제2 사전 설정 방향은 대향되거나, 제1 사전 설정 방향 및 제2 사전 설정 방향 사이의 각도는 설정 각도보다 크다. 또 다른 일부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배치 영역에 나타난 핸드부에 연관된 인원의 신분을 식별하여, 상기 배치 영역에서 게임 코인 조작을 수행하는 인원이 게임 통제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게임 통제자가 각각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에 대해 수행하는 조작을 결정해낼 수 있다.
실시 과정에서, 게임 통제자가 승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지급함으로써, 승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은 연관된 조작자가 게임 통제자이기 때문에 증가되고, 이는 게임 과정에서의 게임 통제자의 정상적인 동작이며, 게임 통제자가 패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수거함으로써, 패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은 연관된 조작자가 게임 통제자이기 때문에 감소되고, 이는 게임 과정에서의 게임 통제자의 정상적인 동작이므로, 경고 기기는 경고 정보를 출력하지 않고 다음 프레임의 이미지의 검출을 계속하여 수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경고 기기는 또한, 어느 하나의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의 변화에 연관된 조작자가 게임 통제자인 것을 검출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의 변화에 연관된 조작자가 게임 통제자인 것이 결정될 경우, 경고 정보를 내보내지 않으므로, 게임 과정 중 플레이어의 동작 또는 게임 통제자의 동작을 정확하게 검출하여, 게임 규정에 부합되지 않는 플레이어의 동작을 경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한 경고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경고 기기에 적용되며, 상기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801에 있어서,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게임 테이블에는 게임 코인을 배치하기 위한 배치 영역이 포함된다.
단계 S802에 있어서,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의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게임이 청산 단계에 진입하는 것을 결정한다.
단계 S803에 있어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따라, 게임의 플레이어가 승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이 비워진 후, 승자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3 경고 정보를 출력하고, 제3 경고 정보는 플레이어가 승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이 비워진 후, 승자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것을 지시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3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관리 시스템에 제3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경고 정보는 플레이어에 의해 비워진 후 다시 게임 코인이 새로 추가된 승자의 배치 영역의 식별자를 지시할 수 있고, 경고 기기에 제3 경고 정보가 수신될 경우, 상기 배치 영역의 식별자를 통해,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이 비워진 후 다시 새로 추가된 경고를 지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경고 기기는 먼저 제7 서브 이미지를 획득하고, 제7 서브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승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이 비워진 것이 결정된 다음, 제8 서브 이미지를 획득하여, 제8 서브 이미지 중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가 플레이어인 것을 결정하고, 그 다음, 획득된 제9 서브 이미지에 기반하여, 제9 서브 이미지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승자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이 존재하는 것이 결정될 경우, 플레이어가 상기 어느 하나의 승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이 비워진 후 게임 코인을 다시 새로 추가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경고 기기는 또한, 제9 서브 이미지 이후에 촬영된 제12 서브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이로써, 제3 경고 정보가 출력된 후, 경고 기기는 제12 서브 이미지에 기반하여, 플레이어가 상기 어느 하나의 승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비운 것이 결정될 경우, 제3 해제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제3 해제 정보는 제3 경고 정보에 대응되는 경고를 해제하는 것을 지시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3 해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관리 시스템에 제3 해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제3 해제 정보는, 경고에 대응되는 배치 영역의 식별자를 포함하거나 지시할 수 있다. 이로써, 관리 시스템에 제3 해제 정보가 수신될 경우, 배치 영역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배치 영역에서 경고하는 것을 중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게임의 플레이어가 승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이 비워진 후, 승자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것이 검출될 경우, 제3 경고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게임의 청산 단계에서 게임 규정에 부합되지 않는 플레이어의 잘못된 동작을 경고하여, 플레이어가 잘못된 동작을 수행하였으나, 게임 통제자가 인지하고 있지 않는 경우 상기 승자의 배치 영역에 두번 지불함으로 인해, 게임장에 손실을 가져다 주는 상황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경고 기기가 켜지고 플레이어가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배치하며, 게임의 결과가 나타나기 전에, 경고 기기는 획득된 실시간 이미지를 분석하여, 게임 테이블 상의 게임 코인이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게임 테이블에 게임의 결과가 나타난 후, 경고 기기는 게임의 결과에 기반하여, 각각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이 승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 또는 패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경고 기기는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 중의 게임 코인 데이터(예를 들어, 게임 코인 개수 및 게임 코인 가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플레이어가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이동하였으면 경고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수거 및 지불 단계에서, 플레이어가 승자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거나, 플레이어가 패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가져가거나, 플레이어가 승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이 비워진 후, 상기 승자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면, 경고 기기는 플레이어의 이러한 부적절한 동작이 검출될 경우, 관리 시스템에 경고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관리 시스템은 표시 장치를 통해 경고할 수 있고, 또는 관리 시스템은 서브 장치를 통해 대응되는 배치 영역에서 경고할 수 있다. 플레이어가 한 라운드의 게임의 청산 단계에서 어느 하나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지 않을 경우, 경고를 생성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경고 기기가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분석하는 단계는, 경고 기기의 해석층이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한 다른 경고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경고 기기에 적용되며, 상기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901에 있어서, 현재 프레임의 이미지 중 각각의 배치 영역의 현재 게임 코인 개수 및 현재 게임 코인 총 가치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한다.
단계 S902에 있어서, 각각의 배치 영역의 현재 게임 코인 개수 및 현재 게임 코인 총 가치 중 적어도 하나가, 캐싱된 제1 이미지 중의 타깃 게임 코인 개수 및 타깃 게임 코인 총 가치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캐싱된 제1 이미지는 한 프레임의 이미지 또는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일 수 있다. 제1 이미지는 청산 단계에 진입하기 시작함을 결정할 수 있는 이미지일 수 있다.
동일하면, 단계 S901을 수행하고, 후속적으로 수집된 현재 프레임의 이미지에 기반하여, 현재 게임 코인 개수 및 현재 게임 코인 총 가치 중 적어도 하나를 계속하여 결정한다. 동일하지 않으면, 단계 S903을 수행한다.
단계 S903에 있어서, 현재 게임 코인 개수가 타깃 게임 코인 개수보다 작은지 여부, 및 현재 게임 코인 총 가치가 타깃 게임 코인 총 가치보다 작은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한다.
모두 작으면, 단계 S904 내지 단계 S906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를 수행할 수 있고, 모두 작지 않으면, 단계 S907를 수행한다.
단계 S904에 있어서, 플레이어의 손에 의해 승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이 비워진 것이 검출될 경우, 상기 배치 영역은 이미 지급 완료된 것으로 결정한다.
단계 S905에 있어서, 게임 통제자의 손 또는 게임 코인을 이전하기 위한 이전 장치가 어느 하나의 패자의 배치 영역에 나타난 후, 상기 패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이 감소된 것으로 검출될 경우, 게임 통제자가 게임 코인을 제어한 것으로 결정하여, 경고 정보를 출력하지 않는다.
단계 S906에 있어서, 플레이어의 손이 어느 하나의 패자의 배치 영역에 나타난 후, 상기 패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이 감소된 것으로 검출될 경우, 플레이어가 상기 패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가져가는 것을 지시하는 경고 정보를 출력한다.
단계 S907에 있어서, 현재 게임 코인 개수가 타깃 게임 코인 개수보다 큰 것, 및 현재 게임 코인 총 가치가 타깃 게임 코인 총 가치보다 큰 것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한다.
단계 S907 후에 단계 S908 내지 단계 S910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908에 있어서, 게임 통제자의 손 또는 게임 코인을 이전하기 위한 이전 장치가 어느 하나의 승자의 배치 영역에 나타난 후, 승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이 추가된 것이 검출될 경우, 게임 통제자가 게임 코인을 제어한 것으로 결정하여, 경고 정보를 출력하지 않는다.
단계 S909에 있어서, 플레이어의 손이 어느 하나의 승자의 배치 영역에 나타난 후, 상기 승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이 추가된 것이 검출될 경우, 플레이어가 상기 승자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것을 지시하는 경고 정보를 출력한다.
단계 S910에 있어서, 플레이어의 손이 게임 코인이 비워진 어느 하나의 승자의 배치 영역에 나타난 후, 상기 승자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이 존재하는 것이 검출될 경우, 플레이어가 비워진 승자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것을 지시하는 경고 정보를 출력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기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경고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장치에 포함된 각 유닛, 및 각 유닛에 포함된 각 모듈은 경고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물론 구체적인 논리 회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경고 장치의 구성 구조 모식도이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고 장치(1000)는,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획득 유닛(1001) - 게임 테이블에는 게임 코인을 배치하기 위한 배치 영역이 포함됨 - ; 및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의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게임이 청산 단계에 진입하는 것을 결정할 경우,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의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따라 게임의 플레이어가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유닛(1002)을 포함하고,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는 게임이 청산 단계에 진입한 경우에 촬영하여 얻은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경고 장치(1000)는, 게임의 게임 아이템 조작 단계에서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1 이미지를 획득하고,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게임 아이템 조작 영역 내의 게임 아이템 정보를 결정하며, 게임 아이템 정보에 따라, 게임이 청산 단계에 진입하는 것을 결정하는 결정 유닛(1003)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결정 유닛(1003)은 또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기반하여, 각각의 배치 영역의 게임 코인 변화 정보를 검출하며,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에 변화가 발생하고, 변화가 발생된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가 플레이어일 경우, 플레이어가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획득 유닛(1001)은 또한, 게임 테이블의 측면 및 최상부 중 적어도 하나에 가설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각각 송신된,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획득 유닛(1001)은 또한, 게임 테이블의 측면 및 최상부 중 적어도 하나에 가설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각각 송신된,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에서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캡처해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출력 유닛(1002)은 또한, 관리 시스템에 경고 정보를 출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결정 유닛(1003)은 또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기반하여 제1 속성 값을 결정하고, 제1 속성 값은 플레이어가 배치 영역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기 전의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이며, 획득 유닛(1001)은 또한,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에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 이후에 촬영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3 이미지를 획득하고, 결정 유닛(1003)은 또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3 이미지에 기반하여 제2 속성 값을 결정하며, 제2 속성 값은 플레이어가 배치 영역의 게임 코인을 변경한 후의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이고, 출력 유닛(1002)은 또한, 제1 속성 값과 제2 속성 값이 동일할 경우, 경고 해제를 지시하는 해제 정보를 출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획득 유닛(1001)은 또한,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에서 게임 코인 배치 단계 및 게임의 아이템 조작 단계 중 적어도 하나에서 촬영하여 얻은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4 이미지를 획득하고, 결정 유닛(1003)은 또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4 이미지에 기반하여, 플레이어가 게임 코인 배치 단계 및 게임 아이템 조작 단계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치 영역 중의 지정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것이 결정될 경우,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며, 프롬프트 정보는 지정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이 추가되는 것을 지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출력 유닛(1002)은 또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따라, 게임의 플레이어가 승자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경고 정보를 출력하고, 제1 경고 정보는 플레이어가 승자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것을 지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출력 유닛(1002)은 또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따라, 게임의 플레이어가 패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가져가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경고 정보를 출력하고, 제2 경고 정보는 플레이어가 패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가져가는 것을 지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결정 유닛(1003)은 또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 중의 제1 서브 이미지에 기반하여, 배치 영역의 제1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을 결정하고,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서 제1 서브 이미지 이후에 촬영된 제2 서브 이미지를 획득하며, 제2 서브 이미지의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가 플레이어인 것이 결정될 경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서 제2 서브 이미지 이후에 촬영된 제3 서브 이미지를 획득하고, 제3 서브 이미지 중 배치 영역의 제2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을 결정하며,
결정 유닛(1003)은 또한, 제1 게임 코인의 속성 값과 제2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이 상이하고,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가 플레이어일 경우, 플레이어가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결정 유닛(1003)은 또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 중의 제4 서브 이미지에 기반하여, 배치 영역의 제3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을 결정하고, 획득 유닛(1001)은 또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서 제4 서브 이미지 이후에 촬영된 제5 서브 이미지를 획득하며, 제5 서브 이미지의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가 게임 통제자인 것이 결정될 경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서 제5 서브 이미지 이후에 촬영된 제6 서브 이미지를 획득하고, 결정 유닛(1003)은 또한, 제6 서브 이미지 중 배치 영역의 제4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을 결정하며, 제3 게임 코인의 속성 값과 제4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이 상이할 경우, 게임 통제자가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출력 유닛(1002)은 또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따라, 게임의 플레이어가 승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이 비워진 후, 승자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3 경고 정보를 출력하고, 제3 경고 정보는 플레이어가 승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이 비워진 후, 승자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것을 지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결정 유닛(1003)은 또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 중의 제7 서브 이미지에 기반하여, 제7 서브 이미지 중 배치 영역의 게임 코인이 비워진 것을 결정할 경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서 제7 서브 이미지 이후에 촬영된 제8 서브 이미지를 획득하고, 제8 서브 이미지 중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가 플레이어인 것이 결정될 경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서 제8 서브 이미지 이후에 촬영된 제9 서브 이미지를 획득하며, 제9 서브 이미지 중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이 존재할 경우, 배치 영역의 게임 코인 변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게임 코인이 비워진 후 새로운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결정 유닛(1003)은 또한,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이 비워진 후 새로운 게임 코인을 추가하고,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가 플레이어인 것이 결정될 경우, 플레이어가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한다.
상기 장치 실시예의 설명은 상기 방법 실시예의 설명과 유사하며, 동일한 방법 실시예와 유사한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장치 실시예 에서 공개되지 않은 기술적 세부사항은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하기 바란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식으로 상기 경고 방법을 구현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될 때,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본질적으로 또는 관련 기술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컴퓨터 기기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도록 하는 다수의 명령을 포함하는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메모리, 이동식 저장 기기,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임의의 특정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경고 기기의 하드웨어 엔티티 모식도이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고 기기(1100)의 하드웨어 엔티티는 프로세서(1101) 및 메모리(1102)를 포함하고, 메모리(1102)에는 프로세서(1101)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프로세서(1101)가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게임 테이블에서 게임 코인을 수거 및 지불하는 기기(1100)는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경고 기기일 수 있다.
메모리(1102)에는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메모리(1102)는 프로세서(1101)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응용이 저장되고, 또한 프로세서(1101) 및 경고 기기(1100) 중 각 모듈이 처리할 데이터 또는 이미 처리한 데이터(예를 들어, 이미지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음성 통신 데이터 및 비디오 통신 데이터)가 캐싱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플래시 메모리(FLASH)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1)가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상기 어느 한 항의 경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프로세서(1101)는 일반적으로 경고 기기(1100)의 전반적인 조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그램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경고 방법의 단계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장 매체 및 기기 실시예의 설명은 상기 방법 실시예의 설명과 유사하며, 동일한 방법 실시예와 유사한 유익한 효과를 가짐을 지적해야 한다. 본 발명의 저장 매체 및 기기 실시예에서 공개되지 않은 기술적 세부사항은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하기 바란다.
상기 프로세서는 특정 용도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컨트로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해 가능하게, 상기 프로세서 기능을 구현하는 전자 소자는 다른 것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컴퓨터 저장 매체/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소거 가능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강자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Ferro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F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자기 표면 메모리, 광 디스크, 또는 판독 전용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등 메모리일 수 있고,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기기, 개인 정보 단말기 등과 같이, 상기 메모리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양한 단말기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언급된 "하나의 실시예" 또는 "일 실시예"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전술한 실시예" 또는 "일부 실시예"는 실시예와 관련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명세서 전반에 걸쳐 여러 곳에서 나타난 "하나의 실시예에서" 또는 "일 실시예에서"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전술한 실시예" 또는 "일부 실시예"는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특정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실시예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각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수행 순서의 선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각 과정의 수행 순서는 그 기능 및 내적 논리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시과정에 대해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여서는 아니됨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번호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실시예의 우열을 나타내지 않는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경고 기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어느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며, 경고 기기의 프로세서가 상기 단계를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경고 기기가 하기 단계를 수행하는 선후 순서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이한 실시예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방식은 동일한 방법이거나 상이한 방법일 수 있다. 더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어느 하나의 단계는 경고 기기에 의해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즉 경고 기기가 상기 실시예 중의 어느 하나의 단계를 수행할 경우, 다른 단계의 수행에 의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한 여러 실시예에서, 개시된 기기 및 방법은 다른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위에서 설명된 기기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획은 논리적 기능 구획일 뿐이고, 실제 구현시 다른 구획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가 결합될 수 있거나 다른 시스템에 집적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이 생략되거나, 또는 수행되지 않는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되는 각 구성 부분 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고, 기기 또는 유닛의 간접적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상기 분리 부재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거나 분리되어 있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재는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즉 한 곳에 위치하거나 복수 개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는바, 실제 수요에 의해 그 중 일부분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해결수단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모두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되거나 또는 각각의 유닛이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2개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집적된 유닛은 하드웨어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에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을 조합한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된 여러 방법 실시예에서 개시된 방법은 서로 충돌하지 않는 한 임의로 조합되어 새로운 방법 실시예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된 여러 제품 실시예에서 개시된 특징은 서로 충돌하지 않는 한 임의로 조합되어 새로운 제품 실시예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된 여러 방법 또는 기기 실시예에서 개시된 특징은 서로 충돌하지 않는 한 임의로 조합되어 새로운 방법 실시예 또는 기기 실시예를 얻을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상기 방법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의 구현은 프로그램 명령어에 관련되는 하드웨어를 통해 완료될 수 있고,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될 경우, 상기 방법 실시예의 단계가 수행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이동식 저장 기기,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함을 이해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상기 집적된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될 경우,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본질적으로 또는 관련 기술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경고 기기,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도록 하는 다수의 명령을 포함하는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이동식 저장 기기, RO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이한 실시예에서 동일한 단계 및 동일한 내용의 설명은 서로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용어 "또한"은 단계의 선후 순서에 영향주지 않는다.
이상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일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화 또는 대체를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보호범위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Claims (21)

  1. 경고 방법으로서,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게임 테이블에는 게임 코인을 배치하기 위한 배치 영역이 포함됨 - ; 및
    상기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의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게임이 청산 단계에 진입하는 것을 결정할 경우, 상기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의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따라 상기 게임의 플레이어가 상기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는 게임이 청산 단계에 진입한 경우에 촬영하여 얻은 것인 경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테이블은 게임 아이템 조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의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게임이 청산 단계에 진입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게임의 게임 아이템 조작 단계에서 상기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1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게임 아이템 조작 영역 내의 게임 아이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아이템 정보에 따라, 상기 게임이 상기 청산 단계에 진입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고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의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따라 상기 게임의 플레이어가 상기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배치 영역의 게임 코인 변화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에 변화가 발생하고, 변화가 발생된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가 플레이어일 경우, 상기 플레이어가 상기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고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게임 테이블의 측면 및 최상부 중 적어도 하나에 가설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각각 송신된, 상기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게임 테이블의 측면 및 최상부 중 적어도 하나에 가설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각각 송신된, 상기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에서 상기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캡처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고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관리 시스템에 상기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고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후에, 상기 경고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기반하여 제1 속성 값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속성 값은 상기 플레이어가 상기 배치 영역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기 전의 게임 코인의 속성 값임 - ;
    상기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에서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 이후에 촬영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3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3 이미지에 기반하여 제2 속성 값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2 속성 값은 상기 플레이어가 상기 배치 영역의 게임 코인을 변경한 후의 게임 코인의 속성 값임 - ; 및
    상기 제1 속성 값과 상기 제2 속성 값이 동일할 경우, 경고 해제를 지시하는 해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고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방법은,
    상기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 게임 코인 배치 단계 및 상기 게임의 게임 아이템 조작 단계 중 적어도 하나에서 촬영하여 얻은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4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4 이미지에 기반하여, 플레이어가 상기 게임 코인 배치 단계 및 상기 게임 아이템 조작 단계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치 영역 중의 지정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것이 결정될 경우,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롬프트 정보는 상기 지정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이 추가되는 것을 지시하는 경고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의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따라 상기 게임의 플레이어가 상기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따라, 상기 게임의 플레이어가 승자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 상기 제1 경고 정보는 플레이어가 상기 승자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것을 지시함 - ; 및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따라, 상기 게임의 플레이어가 패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가져가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경고 정보는 플레이어가 상기 패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가져가는 것을 지시하는 경고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배치 영역의 게임 코인 변화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 중의 제1 서브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배치 영역의 제1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서 상기 제1 서브 이미지 이후에 촬영된 제2 서브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서브 이미지의 상기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가 플레이어인 것이 결정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서 상기 제2 서브 이미지 이후에 촬영된 제3 서브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서브 이미지 중 상기 배치 영역의 제2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에 변화가 발생하고, 변화가 발생된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가 플레이어일 경우, 상기 플레이어가 상기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게임 코인의 속성 값과 상기 제2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이 상이하고, 상기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가 플레이어일 경우, 상기 플레이어가 상기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고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 중의 제4 서브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배치 영역의 제3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서 상기 제4 서브 이미지 이후에 촬영된 제5 서브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5 서브 이미지의 상기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가 게임 통제자인 것이 결정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서 상기 제5 서브 이미지 이후에 촬영된 제6 서브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6 서브 이미지 중 상기 배치 영역의 제4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게임 코인의 속성 값과 상기 제4 게임 코인의 속성 값이 상이할 경우, 상기 게임 통제자가 상기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고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의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따라 상기 게임의 플레이어가 상기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따라, 상기 게임의 플레이어가 승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이 비워진 후, 상기 승자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3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경고 정보는 상기 플레이어가 상기 승자의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이 비워진 후, 상기 승자의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것을 지시하는 경고 방법.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배치 영역의 게임 코인 변화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 중의 제7 서브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제7 서브 이미지 중 상기 배치 영역의 게임 코인이 비워진 것을 결정할 경우,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서 상기 제7 서브 이미지 이후에 촬영된 제8 서브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8 서브 이미지 중의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가 플레이어인 것이 결정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서 상기 제8 서브 이미지 이후에 촬영된 제9 서브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9 서브 이미지 중 상기 배치 영역에 게임 코인이 존재할 경우, 상기 배치 영역의 게임 코인 변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게임 코인이 비워진 후 새로운 게임 코인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에 변화가 발생하고, 변화가 발생된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가 플레이어일 경우, 상기 플레이어가 상기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이 비워진 후 새로운 게임 코인을 추가하고, 상기 배치 영역 중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가 플레이어인 것이 결정될 경우, 상기 플레이어가 상기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고 방법.
  13. 경고 장치로서,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획득 유닛 - 상기 게임 테이블에는 게임 코인을 배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치 영역이 포함됨 - ; 및
    상기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의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게임이 청산 단계에 진입하는 것을 결정할 경우, 상기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의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따라 상기 게임의 플레이어가 어느 하나의 상기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는 게임이 청산 단계에 진입한 경우에 촬영하여 얻은 것인 경고 장치.
  14. 경고 기기로서,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 및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 상기 게임 테이블에는 게임 코인을 배치하기 위한 배치 영역이 포함됨 - ;
    상기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의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게임이 청산 단계에 진입하는 것을 결정할 경우, 상기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 중의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따라 상기 게임의 플레이어가 상기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경고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는 게임이 청산 단계에 진입한 경우에 촬영하여 얻은 것인 경고 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테이블은 게임 아이템 조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게임의 게임 아이템 조작 단계에서 상기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1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게임 아이템 조작 영역 내의 게임 아이템 정보를 결정하며,
    상기 게임 아이템 정보에 따라, 상기 게임이 상기 청산 단계에 진입하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경고 기기.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배치 영역의 게임 코인 변화 정보를 검출하며,
    상기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에 변화가 발생하고, 변화가 발생된 게임 코인에 연관된 조작자가 플레이어일 경우, 상기 플레이어가 상기 배치 영역 중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경고 기기.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게임 테이블의 측면 및 최상부 중 적어도 하나에 가설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각각 송신된, 상기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수신하거나;
    상기 게임 테이블의 측면 및 최상부 중 적어도 하나에 가설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각각 송신된, 상기 게임 테이블을 촬영하여 얻은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디오에서 상기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를 캡처해내는 경고 기기.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관리 시스템에 상기 경고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경고 기기.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고 정보를 출력한 후에,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기반하여 제1 속성 값을 결정하고 - 상기 제1 속성 값은 상기 플레이어가 상기 배치 영역의 게임 코인을 변경하기 전의 게임 코인의 속성 값임 - ;
    상기 다수의 프레임의 이미지에서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2 이미지 이후에 촬영된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3 이미지를 획득하며;
    상기 적어도 한 프레임의 제3 이미지에 기반하여 제2 속성 값을 결정하고 - 상기 제2 속성 값은 상기 플레이어가 상기 배치 영역의 게임 코인을 변경한 후의 게임 코인의 속성 값임 - ;
    상기 제1 속성 값과 상기 제2 속성 값이 동일할 경우, 경고 해제를 지시하는 해제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경고 기기.
  20. 컴퓨터 저장 매체로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그램이 저장되고,상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그램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어,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경고 방법의 단계를 구현 가능한 컴퓨터 저장 매체.
  21.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코드가 전자 기기에서 실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경고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7031283A 2021-06-18 2021-06-25 경고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 KR202201694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10202106583R 2021-06-18
SG10202106583R 2021-06-18
PCT/IB2021/055678 WO2022096952A1 (en) 2021-06-18 2021-06-25 Warning method, apparatus,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470A true KR20220169470A (ko) 2022-12-27

Family

ID=78008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1283A KR20220169470A (ko) 2021-06-18 2021-06-25 경고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406131A1 (ko)
JP (1) JP2023504323A (ko)
KR (1) KR20220169470A (ko)
CN (1) CN113508390A (ko)
AU (1) AU2021204555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13783A1 (en) * 2006-11-10 2008-05-15 Zbigniew Czyzewski Casino table game monitoring system
US7559839B2 (en) * 2005-03-09 2009-07-14 Reuben Bahar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players' bets on a gaming table
SG10201914026XA (en) * 2015-08-03 2020-03-30 Angel Playing Cards Co Ltd Fraud detection system in casino
KR20210043739A (ko) * 2016-08-02 2021-04-21 엔제루 프레잉구 카도 가부시키가이샤 검사 시스템 및 관리 시스템
EP3479879A4 (en) * 2016-08-02 2020-01-01 Angel Playing Cards Co., Ltd. GAME MANAGEMENT SYSTEM
JP6864193B2 (ja) * 2017-10-18 2021-04-28 株式会社大光 不正人物の特定システム及び特定方法
US11183012B2 (en) * 2019-08-19 2021-11-23 Sg Gaming, Inc. Systems and methods of automated linking of players and gaming tokens
US11398127B2 (en) * 2019-10-07 2022-07-26 Sg Gaming, Inc. Gaming systems and methods using image analysis authentication
EP4042394A4 (en) * 2019-10-10 2023-11-08 FM Gaming LLC CASINO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BETTING GAMES
CN114514566B (zh) * 2020-08-01 2023-09-22 商汤国际私人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04323A (ja) 2023-02-03
CN113508390A (zh) 2021-10-15
AU2021204555A1 (en) 2023-01-19
US20220406131A1 (en)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9363B2 (en) Wagering game machine with area sound panning
US201703304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Analyzing Video Data Relating to the Course of a Game on a Gambling Table in Casinos
JP652288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12044059B (zh) 一种游戏信息处理方法及装置
JP2016013412A (ja) ゲー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8178599A (ja) 複数プレーヤが参加可能なゲームを実行するゲーム装置
JP4480977B2 (ja) 遊技機監視システム、遊技機、データ制御装置及びホール監視装置
JP5669975B1 (ja) ゲー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723047B1 (ja) ゲー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20169470A (ko) 경고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
KR20220168953A (ko) 경고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
JP2008178598A (ja) 複数プレーヤが参加可能なゲームを実行するゲーム装置
WO2022096952A1 (en) Warning method, apparatus,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JP2014168538A (ja) ゲーム装置、操作入力ユニット
WO2022096958A1 (en) Alerting method and device,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JP5457574B1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1150160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processing,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2755537B (zh) 游戏系统、游戏玩具以及记录介质
EP4154955A1 (en) Game system displaying historical recorded images of random odds
CN113613741A (zh) 游戏状态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23504318A (ja) 警告方法および装置、機器、記憶媒体
KR20230000922A (ko) 게임 테이블 상의 게임 코인 검출 방법 및 장치, 기기, 저장 매체
JP2009254589A (ja) 遊技装置
KR20220170331A (ko) 게임 코인 상태 검출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JP2008206603A (ja) 遊技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