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8522A - 나노복합재가 코팅된 항균유리 및 그에 의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노복합재가 코팅된 항균유리 및 그에 의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8522A
KR20220168522A KR1020210078366A KR20210078366A KR20220168522A KR 20220168522 A KR20220168522 A KR 20220168522A KR 1020210078366 A KR1020210078366 A KR 1020210078366A KR 20210078366 A KR20210078366 A KR 20210078366A KR 20220168522 A KR20220168522 A KR 20220168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antibacterial
coating
color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창환
Original Assignee
리그마글라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그마글라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리그마글라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8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8522A/ko
Publication of KR20220168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5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03C17/360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 C03C17/36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one layer at least containing silicon, hydrogenated silicon or a silic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01General methods for coating;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03C17/360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 C03C17/3605Coatings of the type glass/metal/inorganic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70Properties of coatings
    • C03C2217/73Anti-reflective coatings with specific characteri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8/00Methods for coating glass
    • C03C2218/10Deposition methods
    • C03C2218/11Deposition methods from solutions or suspen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8/00Methods for coating glass
    • C03C2218/10Deposition methods
    • C03C2218/15Deposition methods from the vapour phase
    • C03C2218/154Deposition methods from the vapour phase by sputte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의 투명도를 유지하면서도 항균특성을 갖도록 나노 무기소재를 이용한 코팅과 내구성이 증가한 항균유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항균유리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은 항균, 무반사 및 김서림 기능을 갖는 초친수성 유리 표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나노복합재가 코팅된 항균유리 및 그에 의한 제조방법{Antibacterial glass coated with nanocomposi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유리의 투명도를 유지하면서도 항균특성을 갖도록 나노 무기소재를 이용한 코팅과 내구성이 증가한 항균유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항균유리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은 항균, 무반사 및 김서림 기능을 갖는 초친수성 유리 표면에 관한 것이다
유리는 투명하고 미려한 특성으로 건축 내외장재로 널리 사용될 뿐 아니라, 쉽게 깨지고 열에 약한 단점을 보완한 강화유리, 내열유리의 보급에 따라 핸드폰과 같은 전자기기, 냉장고, 에어콘과 같은 가전제품의 표면재, 식기, 가구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 전자기기들이 유리 패널 상에 일체화되면서 투명한 전자 기기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리 재료들은 땀이나 타액, 먼지, 기름기, 담배연기, 습기 등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많은 세균이 번식할 수 있어, 사람의 손이 유리에 접촉할 때마다 세균에 감염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리에 항균특성을 부여한 항균유리들이 제조되었다. 특히 전자기기의 유리 패널에 적용하기 위한 항균유리는 높은 투과율을 유지하면서 항균성을 부여하여야 하며, 항균성에 대한 유리 패널의 기계적 내구성 또한 요구된다.
은은 예로부터 동서양을 막론하고 살균 재료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최근 은과 나노기술이 접목된 나노은이 적은 양을 사용하면서도 높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알려지면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많은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은항균제를 표면에 코팅시키는 방법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항균유리의 제조방법이다. 한 예로 등록특허
제10-1174402호는 지르콘, 황산나트륨 및 황산아연과 함께 질산은을 함유하는 항균혼합액을 용제와 혼합하여 유리에 도포하고 500~800℃로 가열·건조하여 항균유리를 제조하는 방법을, 등록특허 제10-697401호는 용제, 천연수지와 실리카 바인더, 나노은으로 구성되는 표면 코팅제를 유리용기의 표면에 코팅하고 제1열처리에 의해 용제를 휘발시킨 후, 제2열처리에 의해 천연수지와 나노은으로 구성되는 도막층 및 도막층과 유리용기 표면사이에 개재되는 실리카층을 형성하는 항균유리용기의 제조방법을, 공개특허 제10-2004-75283호는 담체 내에 용해되거나 분산된 은이온의 원료를 포함하는 은이온 전구체 조성물을 유리의 표면에 침지, 분사, 스크리닝 또는 브러싱의 방법으로 표면상에 코팅하고 20~105℃에서 휘발성 물질을 제거한 후 600~605℃에서 2~5분간 소성하여 은이온을 유리 표면에 도입하는 항균유리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코팅방법을 이용한 항균유리의 제조방법은 구체적인 조성은 상이하다 하더라도 은 항균제용액을 표면에 도포한 후 건조하는 방법이므로 전체 표면에 대해 은을 고르게 도포할 수 없으며, 항균층의 두께나 은의 농도를 조절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특히 투명한 항균유리의 제조 시에는 부분적인 얼룩이나 변색으로
인하여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출원 제10-2013-89999호는 유리 위에 형성된 SiO2 박막을 완충층으로 하여 유리 표면에 균일하게 원하는 농도의 은 입자를 함유하는 항균층을 형성하면서도 얼룩이나 변색이 없이 투명하고 내구성이 있는 항균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은 나노입자는 부피에 대하여 표면적 비가 크기 때문에 항균성이 우수하지만, 인체 및 환경에 강한 독성을 나타낸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광범위한 적용에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은은 고가의 원료로서 대량 생산에 의하여 제품화를 할 때 제품의 단가가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항균유리의 투과성, 내구성의 조건을
만족하면서도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 항균유리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또한, 미생물에 의한 의료기기 또는 광학 장비의 오염을 막기 위해서 항균 활성을 갖는 물질로 의료기기의 표면을 코팅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왔으나, 항균 활성 물질에 저항성을 가지는 미생물이 증가하면서 미생물 감염 또는 오염을 막기 위한 새로운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광학 장비의 특성상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면서 반사 방
지, 김서림 방지 등의 기능성을 갖출 필요가 있다.
또한, 구리의 생물학적 활성은 금속성 구리 또는 구리 염 또는 산화물과 같은 "이온" 상태로 표현되며 구리가 항상 다른 원소 또는 무기질과 조합되는 반면, 특정한 조건하에서 구리는 이온상태로 존재할 수 있고, 이들 모두는 생물학적 활성이 있으며, 따라서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진균을 사멸하는 능력을 구리가 제공하기 때문에 이를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항균성 (antimicrobial) 활성을 갖는 유리 표면의 제조하는데, 특히 구리 및/또는 산화 구리를 함유하는 구리-함유 유리의 제조하기 위하여 유리 표면상에 보호 코팅 (protective coating)에 관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174402호 등록특허 10-697401호 공개특허 제10-2004-75283호 특허출원 제10-2013-8999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에서 더 나아가 유리 표면에 균일하게 원하는 두께의 항균층을 형성하면서도 얼룩이나 변색이 없을 뿐 아니라 투명성과 내구성이 더욱 강화된 항균유리를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항균유리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유리의 표면에 Cu-함유 나노입자의 증착을 통해 유리에 Cu의 항균성 특성을 제공하는 것에 관련된다.
공정은 물 또는 용매에서 Cu, Cu2O 또는 CuO 나노입자의 현탁액으로부터 유리의 표면 위에 딥-코팅, 스핀 코팅, 슬롯 코팅, 커튼 코팅, 또는 스프레이 코팅이다. 상기 유리는 그 다음 상기 유리에 입자를 밀봉하기 위하여 충분한 온도의 공기 또는 불활성 분위기 (예를 들어, 질소 또는 헬륨)에서 가열된다. 초기나노입자로서 CuO를 사용한 공정의 구현 예에 있어서, 상기 공정은 Cu 나노입자로 CuO를 환원시키기 위한 후속
단계를 포함한다. 유리와 같은 투명 기판의 표면상의 나노입자 조성물 및 나노입자의 농도는 최종 광학 투과도 (transmission)를 결정한다. 결론적으로, 열적 또는 화학적 강화된 유리를 갖는 유리, 예를 들어, 상기 유리에 존재하는 더 작은 양이온에 대해 이온-교환 욕 (ion-exchange bath)으로부터 더 큰 양이온의 이온-교환에 의해 화학적으로 강화된 유리를 포함하는, 그 밖의 투명 유리에 항균성 작용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유리 표면의 손쉬운 세정을 촉진하는 물질의 코팅, 예를 들어, 플루오로실란 화합물, 또는 지문 전달또는 오염의 영향을 방해하거나 최소화하는 다른 코팅은, 항균성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나노입자 함유 유리 표면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 유리 기판 위에 단일층의 나노입자를 코팅하는 단계; ⒝나노입자가 코팅된 유리 기판을 열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항균 유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유리는 석영 유리 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다라임 글라스일 수 있으며, 일반적인 유리가 여러가지 복합 성분으로 이루
어진 반면, 석영 유리는 거의 이산화규소(SiO2)만으로 이루어진 유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항균 유리는 초친수성(superhydrophilic), 무반사(antireflection) 및 김서림 방지(anti-fogging)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특성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특성들은 박테리아를 효과적으로 죽일 수 있는 나노기둥 구조의 유리를 내시경 및 복강경 렌즈, 콘택트 렌즈 및 안경을 비롯한 광학 장치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초친수성 특성으로 인하여, 항균 유리는 광학 장치의 광학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습한 환경에서도 연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항균유리에 관한 것이다. 즉, 유리 위에 형성된 티타늄 나노입자 층; 및 상기 티타늄 나노입자 층 위에 형성된 항균금속 나노입자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유리에 관한 것이다. 항균금속은 은 또는 아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항균유리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일반 유리보다 높은 정도의 투과율을 나타내었으며, 항균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반복적인 스와이프 이후에도 은이나 아연 나노입자의 응집이나 투과율의 변화가 없고 항균특성이
유지되어 내구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무기소재가 코팅된 유리는 초친수성, 항균, 방담 및 반사방지 특성으로 인한 광투과도가 증가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항균유리 제조방법에 의하면 항균특성을 나타내는 항균금속 나노입자를 원하는 두께로 고르게 분포시키면서도 얼룩이나 변색이 없이 투명성을 유지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항균유리를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항균유리는 특히 아연을 항균금속으로 사용하는 경우 별도의 보호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공기 중에서 아연 나노입자가 산화되더라도 항균특성이나 투명성에 변화가 없고, 물리적 내구성과 안정된 항균특성을 나타내므로 실제 사용범위가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 타이타늄코팅상의 나노코팅결합도.
도 2. 플라즈마코팅상의 나노코팅결합도
도 1을 참조하면, 무반사 코팅이 된 강화유리 2장을 데미워터(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척 및 건조한 후 2장이 유리에 각각 PDLC 필름을 접합하며 그 사이에 칼라원료를 포함한 레진(수지)을 주입 한 후 나노칼라 UV접착기술을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것으로 상기 5mm 두께를 갖는 2장의 강화된 원판유리가 코팅 자동화 공정에 투입되면 가장 먼저 표면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세척공정, 세척 후 표면을 건조시켜 광확산 및 눈부심 방지 등을 위한 반사방지막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AR(Anti Reflective)) 코팅층을 형성하고 1장의 강화유리에 대해서는 상부에 자정작용 기능 및 초친수 기능 등의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나노 무기소재를 이용한 코팅을 형성하고 상기 코팅층이 형성된 다른 한쪽면에는 광확산을 기능을 포함한 다양한 칼라를 제어하는 100μm 정도의 두께의 칼라 코팅층 형성을 위한 스크린 프린팅을 진행한다.
상기의 AR코팅층과 나노 무기코팅층을 형성한 후 다른 한쪽면에 칼라 안료가 유리위에 부착되면 이를 경화시키기 위하여 건조 또는 소성을 1차로 550℃ 미만에서 열처리하는 공정을 진행하며 이후 나노 무기소재의 경화와 유리의 강화를 위해 2차로 800℃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진행한다. 이후 표면 경도를 높이기 위해 냉각단계를 거친 후 검사하는 공정을 통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칼라유리가 완성된다.
상기 나노 무기소재의 코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나노 무기소재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 10 ~ 85 중량부; 인산(H3PO4) 0.1 ~ 1 중량부; 무기안료분산액 5 ~ 10 중량부; 강염기 0.5 ~ 5 중량부; 및 물(H2O) 4 ~ 8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무기소재을 제공한다:
[화학식 1] xNa2OySiO2nH2O
[화학식 2] xK2OySiO2nH2O
[화학식 3] xLi2OySiO2nH2O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에서, x 및 y는 각각 0.01 ~ 500이며, n은 1 ~ 20의 자연수이다.
또한, 상기 나노 무기소재는, 무기 도료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 10 ~ 85 중량부; 인산(H3PO4) 0.1 ~ 1 중량부; 무기안료분산액 5 ~ 10 중량부; 강염기 0.5 ~ 5 중량부; 및 물(H2O) 4 ~ 8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는, 나노 무기소재 100 중량부 기준으로, 각각 12 ~ 40 중량부, 1 ~ 30 중량부, 및 12 ~ 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는, 각각 고형분의 함량이 25% ~ 50%, 15% ~ 40%, 10% ~ 35%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나노 무기소재는 pH가 8 ~ 14가 되도록 제조함으로써 바람직한 반응효율을 얻을 수 있으며, 조성물이 용액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무기 안료 분산액은 무기안료 5 내지 60 중량%와; 상기 무기 안료를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제 1 내지 15 중량%와; 무기안료가 분산되는 분산매가 되는 용제 25 내지 94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기안료는 산화아연, 산화타이타늄, 실버화이트, 벵갈라, 버밀리온, 카드뮴레드, 크롬옐로, 황토, 카드뮴옐로, 에메랄드녹, 산화크로뮴녹, 프러시안블루, 코발트청, 카본블랙, 철흑, 실리카백, 알루미나백, 백토, 탄산칼슘, 오레올린, 코발트 바이올렛, 세룰리안 청, 비리디안, 울트라마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기 안료는 5 내지 250nm의 평균 입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나노 무기소재로부터 형성된 코팅막은, ASTM D3363의 기준에 따라 측정한 연필경도가 9H, ASTM D3359의 기준에 따라 측정한 부착력이 5B, 코팅막에 물 한 방울을 떨어뜨린 후의 코팅막과 물 간의 접촉각이 20도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기의 공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세척공정의 경우 세척시 또는 세척 후 정전기를 방지하고 원자재의 표면 친수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DI(증류수) 또는 시수를 사용하여 세척을 실시한다.
상기 세척공정이 마무리 되면 코팅층 형성을 위하여 세척시 사용된 DI를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한 건조단계를 거쳐 컨베이어 등의 자동화 장비에 따라 눈부심 방지 및 광확산 등을 위한 AR 코팅층 형성 공정으로 원자재(유리)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의 AR 코팅층이 형성되면 유리 1장에 대해 AR코팅층 상부에 나노무기소재의 코팅층 형성하고 이후 2장의 유리는 각각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한쪽면에 칼라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스크린 프린팅 공정이 진행되며 스크린 프린팅 공정에서는 무연(Pb free) 저 융점 후릿트에 5-30% 정도의 칼라 안료가 혼합된 칼라의 원료를 준비하고 준비된 원료는 작업성을 높이기 위하여 원료의 점도(PaS)는 낮을수록 유리하지만 투과도와 두께 등을 제어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원료점도(PaS)를 100~200으로 범위를 설정하여 사용하고 최적화된 실시예로서는 150과 180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무연(Pb free) 저 융점 후릿트에 5-30% 정도의 칼라 안료를 혼합한 원료에는 20~35%의 B2O3, 9.5~24.5%의 ZnO, 5~15%의 BaO, 0.01~5%의 CaO, 5~10%의 SrO, 0.01~20%의 SiO2, 0.01~10%의 Al2O3, 5~10%의 Na2O, 0.01~5%의 K2O, 0.01~5%의 Li2O, 그리고 0.01~10%의 ZrO를 함유하며, 그 크기는 4μm 이하의 그래뉼에 칼라원료를 5-30% 정도로 혼합한 것으로 원료의 평균입도(μm)는 작을수록 투과율에 미치는 영향이 우수하기 때문에 0.5~4μm로 제어하여 사용하며 본 발명에서는 중간값인 2μm의 평균입도를 갖는 원료를 사용하였다.
상기 스크린 프린팅공정에는 칼라의 색상과 조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도트를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를 이용하여 프린팅을 진행하는데 상기 마스크의 메쉬(Mesh)수는 칼라의 색상과 투과율을 제어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본 발명에서는 200~300μm/in로 제어하여 사용하였지만 칼라의 조도와 색상 등을 고려하여 200μm/in이하 또는 300μm/in이상으로 제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스크린 프린팅 시에는 다양한 기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스퀴즈가 사용되는데 스퀴즈의 경도(Squeegee Hardness)는 70~90(Shore 또는 Sh)를 사용하였고 70(Sh)이하의 경우 인쇄 번짐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며 반대로 90(Sh) 이상의 경우 제판 손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본 발명에서는 최적화된 80(Sh)을 사용하였고 스퀴즈 각도(Squeegee angle)는 45’이하의 경우 스퀴즈 자욱이나 원료 번짐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있고 72’ 이상의 경우 도막두께 저하로 스크린 프린팅에 의한 품질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본 발명에서는 68’을 사용하였다.
또한, 스크린 프린팅 시 원자재(유리 등) 또는 스퀴지의 속도는 빠를수록 균일성(Uniformity)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프린팅 스피드(Printing Speed)를 15~35mm/sec로 제어하여 프린팅을 하였으며 최적회된 프린팅 스피드는 중간값인 25mm/sec를 이용함으로서 최적화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Off-contact(mm)의 경우 4~6mm를 활용하지만 6보다 높을시 번짐현상 발생할 수 있어 5mm을 기준으로 번짐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최적화의 의미는 다양하고 많은 실험을 통하여 경험치로 확보한 것으로 환경과 조건에 따라 수치화된 범위는 일정부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상기의 스크린 프린팅 공정이 마무리되면 다음단계로 건조 또는 소성과정으로 진행하며 일반적으로 칼라 원료는 520℃ 이상에서 결정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원료의 종류에 따라 520℃ 이하에서 건조를 위한 열처리를 진행하며 본 발명에서는 520℃이하에서 1분이내의 건조를 위한 열처리를 진행한 후 나노 무기소재를 코팅하고 800℃ 이하에서 5분 이내의 유리의 강화와 나노 무기소재의 경화를 위해 별도의 유리의 강화를 위한 열처리 없이 연이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공정 단순화를 시킬 수 있다.
상기의 열처리과정은 AR코팅된 유리의 다른 한쪽면에 칼라 원료를 스크린 프린팅 방법에 의해 부착시킨 후 1차로 550℃미만에서 칼라 원료의 건조를 위해 1분 이내의 열처리에 의해 건조시키며 이후 AR코팅층 위에 나노 무기소재를 코팅하여 2차로 680~800 ℃ 소부온도에 이르게 하여 유리의 열적 강화와 동시에 나노 무기소재의 경화를 위한 소성을 진행할 수 있으며 AR코팅과 나노무기코팅 및 스크린 프린팅에 의한 칼라코팅을 마무리 한 후 1차와 2차 열처리를 진행함으로서 소성공정을 단순화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열처리과정은 코팅층의 형성과정에 따라 열처리와 코팅순서를 가장 최적으로 단순화시키거나 품질등을 고려하여 순서를 바꾸어 진행할 수 있다.
상기의 소성 또는 건조공정이 진행된 후 표면 경도를 높이고 유리의 강화를 위하여 급냉과정을 진행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팬(Fan)을 이용하는 공냉 방식을 채택하여 급냉시킴으로서 경도를 높이는 과정을 진행하였지만 공냉방식과 다른 다양한 냉각방식을 사용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상기의 모든 과정이 진행한 후 코팅된 원자재의 색상 등에 문제점이 없는지 검사를 진행하고 특별한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을 경우 코팅된 원자재를 적재하여 포장/출하함으로서 칼라 유리의 제조 공정을 마무리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색상의 칼라유리를 표현하기 위하여 한국 공업표준 규격인 CMYK 조색시스템에 의해 다양한 색상으로 조색이 가능하고 한국 공업표준 규격인 CMYK 조색시스템에 의해 다양한 색상으로 조색하는 방법으로는 스크린 프린팅시에 CMYK 조색시스템을 이용한 원료를 이용하여 프린팅을 진행하고 프린팅 된 색상의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프린팅된 유리 상부에 투명한 아크릴폼으로 형성된 양면 테이프 형태의 스페이서를 유리위에 부착시키고 투명한 유리를 상기의 스페이서가 부착된 유리위에 합착 후 양쪽 모서리부분을 롤러형 압착기에 상기 합착된 유리를 3-5kg/m2의 압력으로 압착하고 스페이서에 의해 형성된 공간사이에 UV경화형 접착제인 고분자 레진을 주입함으로서 스크린 프린팅에 의해 인쇄된 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을 확보하며 자외선을 이용한 경화 후 검사가 완료되면 다양한 색상의 투명한 패턴의 칼라가 적용된 유리가 제조될 수 있다.색상을 조색하기 위한 또 다른 하나의 시스템은 상기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크린 프린팅에 의해 제조된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유리를 합착하는 것으로 투명한 유리를 합착하는 상기의 방식과 다르게 다른 색상을 가지는 유리를 합착하는 것으로 유지보수 또는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가장 적합한 형태의 칼라 접합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나노 칼라 UV접착기술은 100nm이하의 입자로 구성되어 가시광선 투과율이 매우 높은 칼라원료가 포함되어 있는 고분자 레진을 자외선을 이용하여 접착하는 기술로서, 상기의 칼라원료가 포함된 고분자 레진은 Cu[Fe,Mn]O4 , FeOOH, Fe2O3, CoAl2O4, ZnFe2O4, Fe2O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laims (1)

  1. (A) 유리 위에 스퍼터링에 의해 티타늄 나노입자를 증착하여 항균금속과 기판을 접착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 와
    (B) 상기 완충층 상에 액상공정에 의해 항균 나노입자를 코팅하여 항균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유리의 제조방법.
KR1020210078366A 2021-06-16 2021-06-16 나노복합재가 코팅된 항균유리 및 그에 의한 제조방법 KR202201685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366A KR20220168522A (ko) 2021-06-16 2021-06-16 나노복합재가 코팅된 항균유리 및 그에 의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366A KR20220168522A (ko) 2021-06-16 2021-06-16 나노복합재가 코팅된 항균유리 및 그에 의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522A true KR20220168522A (ko) 2022-12-23

Family

ID=84536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366A KR20220168522A (ko) 2021-06-16 2021-06-16 나노복합재가 코팅된 항균유리 및 그에 의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852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5283A (ko) 2003-02-20 2004-08-27 젬트론 코포레이션 항균 유리 및 유리-유사 제품 그리고 그 제조방법
KR100697401B1 (ko) 2005-05-26 2007-03-20 주식회사 두산 나노 실버가 코팅된 유리 용기의 제조방법
KR101174402B1 (ko) 2012-05-30 2012-08-16 주식회사 휴코텍 항균유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항균유리
KR20130089999A (ko) 2012-01-27 2013-08-13 (주) 골프존 구기 게임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5283A (ko) 2003-02-20 2004-08-27 젬트론 코포레이션 항균 유리 및 유리-유사 제품 그리고 그 제조방법
KR100697401B1 (ko) 2005-05-26 2007-03-20 주식회사 두산 나노 실버가 코팅된 유리 용기의 제조방법
KR20130089999A (ko) 2012-01-27 2013-08-13 (주) 골프존 구기 게임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174402B1 (ko) 2012-05-30 2012-08-16 주식회사 휴코텍 항균유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항균유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9439B2 (en) Antimicrobial action of Cu, CuO and Cu2O nanoparticles on glass surfaces and durable coatings
AU719985B2 (en) Colored film-coated glass article
US11339081B2 (en) Antimicrobial strengthened glass and preparation process thereof
WO2015186753A1 (ja) 機能膜付き化学強化ガラス板、その製造方法および物品
CN108025962B (zh) 用于生产具有耐用功能性涂层的钢化玻璃制品的方法及具有耐用功能性涂层的钢化玻璃制品
CN108779024B (zh) 抗菌化学强化玻璃及其优化制造方法
CN112694258A (zh) 一种憎水憎油性提高的镀膜微晶玻璃及其制法和应用
CN104085165B (zh) 一种二氧化钛光触媒涂层的制备方法
JP7170022B2 (ja) 無色銅含有材料
EP1608793B1 (en) Titania coatings
JP2002519300A (ja) ガラス上への有機塗料の供給
JPH0827404A (ja) 抗菌性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そのコーティング法、および抗菌性被覆物品
EP2133147A1 (en) Photocatalyst thin film, method for forming photocatalyst thin film, and photocatalyst thin film coated product
KR20220168522A (ko) 나노복합재가 코팅된 항균유리 및 그에 의한 제조방법
CN210176775U (zh) 一种透明抗菌涂层及包含该涂层的抗菌玻璃
KR101847785B1 (ko) 가시광선이 투과하는 투명방음벽용 나노컬러 접합유리 제조 방법
CN104893418A (zh) 一种无铅环保玻璃油墨及其制备方法
CA2289868A1 (en) Heat-reflecting glass and double-glazing unit using the same
KR20110074391A (ko) 초발수성 나노 코팅제 접착용 저융점 유리 프릿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초발수성 나노 코팅 기재
KR102581929B1 (ko) 무반사 컬러유리 일체형 고분자액정(pdlc) 기반 스마트 윈도우
KR102236134B1 (ko)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투명방음벽용 나노칼라 접합유리 제조 방법
JP2003010696A (ja) 光触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3950463B (zh) 纳米无机组合物及利用其的涂布方法
US20240018035A1 (en) Glass body
KR102281837B1 (ko) 나노 무기 도막형성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