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134B1 -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투명방음벽용 나노칼라 접합유리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투명방음벽용 나노칼라 접합유리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134B1
KR102236134B1 KR1020190158897A KR20190158897A KR102236134B1 KR 102236134 B1 KR102236134 B1 KR 102236134B1 KR 1020190158897 A KR1020190158897 A KR 1020190158897A KR 20190158897 A KR20190158897 A KR 20190158897A KR 102236134 B1 KR102236134 B1 KR 102236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nano
laminated glass
glass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우
Original Assignee
리그마글라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그마글라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누리플랜 filed Critical 리그마글라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8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99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introducing interlayers of synthetic resin
    • B32B17/10908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introducing interlayers of synthetic resin in liquid form
    • B32B17/1091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introducing interlayers of synthetic resin in liquid form between two pre-positioned glass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339Specific part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being colored or ti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76Curing, vulcanising, 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3Coloured on the layer surface, e.g. 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Hydrophob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턴을 이용하여 투명한 칼라가 구현되는 방음벽용 접합유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연(Pbfree) 저 융점 후릿트에 5-30% 정도의 칼라 안료를 혼합하여 도막두께 10~33um 를 유지하며, 680~720 ℃ 소부온도에 이르게 하여 유리표면에 융착발색되도록 하는 것으로 한국 공업표준 규격인 CMYK 조색시스템에 의해 다양한 색상으로 조색이 가능하며, 내후성과 내화학성,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외장재로 사용이 가능한 나노 세라믹 소재로서 마이크로 패턴을 이용하여 투명한 칼라를 구현시키는 방음벽용 접합유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투명방음벽용 나노칼라 접합유리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nano-color laminated glass for transparent soundproof walls with self-cleaning properties}
본 발명은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마이크로 도트 패턴을 이용하여 투명한 칼라가 구현되는 방음벽용 접합유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연(Pb free) 저 융점 후릿트에 5-30% 정도의 칼라 안료를 혼합하여 도막두께 10~33um 를 유지하며, 680~720 ℃ 소부온도에 이르게 하여 유리표면에 융착 발색되도록 하는 것으로 한국 공업표준 규격인 CMYK 조색시스템에 의해 다양한 색상으로 조색이 가능하며, 내후성과 내화학성,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외장재로 사용이 가능한 나노 세라믹 소재로서 도트형태의 마이크로 패턴을 이용하여 다양한 색상의 투명한 칼라를 구현시킬 수 있으며 자정작용을 갖는 나노 무기소재 코팅을 통하여 내구성을 확보하는 방음벽용 접합유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유리가 가지는 고급스러운 이미지에 색상을 부여한 유색 투명유리가 건축용 내외장재뿐만 아니라 산업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음벽분야에서는 소음 저감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장벽 형태의 구조물로서, 아파트, 철도, 도로의 주변에는 각종 전철 및 차량으로 인한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는 바, 상기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철도, 도로에 인접한 학교나 병원, 주택가에는 필수적으로 방음벽이 설치되고, 상기 방음벽은 상기와 같이 주거 시설이 건설된 주거지역과 철도, 도로 사이에 설치되어 철도, 도로의 소음이 주거 시설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방음벽의 구조를 개선하는 기술이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9-0115344호와 같은 것이 있다.
또 다른 목적의 종래 방음벽에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4252호와 같이 아파트, 철도, 도로 방음벽용 칼라코팅 강화유리나 건축물의 유리창과 같은 내외장재에 유전체 물질을 코팅하여 특정 색상을 표출할 수 있고, 또한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도록 한 건축물 내외장재의 다기능 칼라코팅방법을 제공거나 일정한 패턴이 형성된 패턴 패널을 구비함으로써, 원하는 색상뿐만 아니라 쉽게 탈장착할 수 있도록 한 방음패널용 모자이크 패널을 제공함으로서 미려한 경관을 제공하고자 하는 국내 등록특허 제10-1163351호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들은 단순하게 구조물을 변경하거나 색상 또는 모자이크를 형성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어 이러한 단순한 기능만으로 투명도를 제어하면서도 색상을 이용하여 경관을 미려하게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웠고 특히 최근 연간 100만 마리의 조류가 충돌하여 폐사하는 등의 조류충돌사고를 동시에 원천차단하는데 부족함이 있어 투명도를 제어할 수 있으면서도 칼라를 구현하여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들이 구현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마이크로 도트 패턴을 갖는 안료가 외부로 노출될 경우 열화에 의한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칼라 안료가 부착된 면을 접합유리의 내부면으로 하여 내구성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과 접합유리 최외각 부분의 오염 등으로 시간에 따라 미관해치는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44252호 한국등록특허 제10-1735383호
삭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마이크로 패턴을 이용하여 투명하면서도 다양한 칼라를 제어함으로서 미려한 경관을 제공하고 충돌에 따른 조류의 폐사를 동시에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칼라원료가 부착된 면이 외부에 노출되어도 최상층면에 나노 무기소재를 이용하여 코팅함으로서 자정작용 특성과 우수한 기계적 및 화학적 내구성을 확보함으로서 오랜 기간동안 미려한 경관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칼라를 제어하기 위하여 칼라 잉크는 무연(Pb free) 저 융점 후릿트에 5-30% 정도의 안료를 혼합하여 제조하고 도막두께 10~33um 를 유지하며, 1차로 550℃미만의 칼라 원료의 건조를 위해 1분 이내의 열처리를 통하여 칼라원료를 융착 후 건조시키며 자정작용 특성을 갖을 수 있도록 나노 무기소재를 이용하여 코팅을 진행한 후 2차로 680~800 ℃ 소부온도에 이르게 하여 5분 이내의 열처리를 함으로서 유리의 열적 강화와 동시에 나노 무기소재의 소성을 통한 경화를 진행하며 한국 공업표준 규격인 CMYK 조색시스템에 의해 다양한 색상으로 조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다양한 색상을 조색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스크린 프린팅 방식을 활용하며 스크린 마스크를 이용해 피인쇄체와 선접촉 방식으로 인쇄하여 칼라원료가 포함된 잉크를 스크린사의 마스크 부분으로 스퀴지를 이용해 긁어내려 피도물(GLASS)에 마스크의 패턴대로 인쇄하고 잉크의 점도, 스크린사의 mesh 사이즈, 스퀴지의 인쇄각도 및 인쇄속도, 스크린 판과 피인쇄체 사이의 간격 등을 최적으로 제어하는 스크린 프린팅 방식을 이용함으로서 잉크의 점도, 스크린 사의 mesh 사이즈, 스퀴지의 인쇄각도 및 인쇄속도, 스크린 판과 피인쇄체 사이의 간격 등이 인쇄에 있어서 중요한 기술적인 요인이 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공정은 원자재(유리)가 투입되면 표면세척 후 스크린 프린팅을 실시하고 건조 및 소성과정을 진행한 후 나노 무기소재 코팅과 원자재(유리)의 강화와 상기 나노 무기소재의 소성을 통한 경화 후 냉각과 검사공정을 통하며 이후 또 다른 원자재(유리)와 합착하여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투명한 방음벽용 칼라 접합유리를 제조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도의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다양한 칼라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칼라에 의하여 조류의 충돌에 따른 폐사율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공정설비가 복잡하지 않고 타 인쇄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비용으로 인쇄가 가능하고, 대면적에도 유리 소재에도 쉽게 인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 효과가 있으며 나노 무기소재를 이용하여 최외각층에 코팅함으로서 자정작용 특성과 기계적 및 화학적 내구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방음벽용 접합유리 제조의 전체 공정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하는 패턴상의 도트의 크리와 간격에 따른 투과도의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패턴상의 90% 투과율을 나타내는 도트 패턴의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패턴상의 60% 투과율을 나타내는 도트 패턴의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패턴상의 45% 투과율을 나타내는 도트 패턴의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방음벽용 접합유리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무기소재 코팅된 투명방음벽용 접합유리 개념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두장의 유리에 칼라원료가 융착되어 색상을 제어하는 투명방음벽용 접합유리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완성된 투명방음벽용 칼라 접합유리
이하, 본 발명의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투명방음벽용 나노칼라 접합유리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나타난 공정과 같이 투명 방음벽용 칼라 접합유리(100)를 코팅하여 접합하는 공정으로 대형 원판 유리가 코팅 자동화 공정에 투입되면 가장 먼저 표면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세척공정, 세척 후 표면을 건조시켜 색상을 융착하는 스크린 프린팅공정, 칼라 안료가 유리위에 안착되면 건조 또는 경화을 위하여 1차로 550℃ 미만으로 열처리하는 공정을 진행하고 상기의 공정이 마무리되면 나노무기소재의 코팅이 이루어지며 나노 무기소재의 경화와 유리의 열적 강화를 위해 800℃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진행한다. 이후 표면 경도를 높이기 위해 냉각단계를 거친 후 검사하는 공정으로 한 장의 칼라 유리를 완성하게 되며 상기 완성된 유리는 완전한 방음판용 접합유리(100)를 제조하기 위하여 투명 아크릴 폼의 스페이서(105)를 부착하여 상기의 칼라 유리에 또 다른 유리를 합착하고 이중롤러를 이용하여 합착된 유리의 가장자리를 압착시켜 부착시키고 상기 스페이서(105)로 인하여 형성된 공간에 고분자 레진(104)을 채워 합착된 유리의 부착력과 내구성을 강화시키고 자외선을 이용한 경화공정을 통하여 최종적인 투명 방음벽용 칼라 접합유리(100)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의 공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세척공정의 경우 정전기를 방지하고 원자재의 표면 친수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DI(증류수) 또는 시수를 사용한다.
상기 세척공정이 마무리 되면 무연(Pb free) 저 융점 후릿트에 5-30% 정도의 칼라 안료가 혼합 잉크를 융착시키 전 세척시 사용된 DI를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한 건조단계를 거쳐 컨베이어 등의 자동화 장비에 따라 스크린 프린팅 공정으로 원자재가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원자재는 유리가 일반적이지만 투명한 플라스틱 종류를 포함한 모든 투명한 자재들이 원자재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프린팅 공정에는 무연(Pb free) 저 융점 후릿트에 5-30% 정도의 칼라 안료가 혼합된 잉크를 준비하고 준비된 잉크는 작업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점도는 낮을수록 유리하지만 잉크의 점도(PaS)는 투과도와 두께 등을 제어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잉크점도(PaS)를 100~200으로 범위를 설정하여 사용하고 최적화된 실시예로서는 점도 150과 180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무연(Pb free) 저 융점 후릿트에 5-30% 정도의 칼라 안료를 혼합한 잉크에는 무연(Pb free) 저 융점 후릿트로서 20~35%의 B2O3, 9.5~24.5%의 ZnO, 5~15%의 BaO, 0.01~5%의 CaO, 5~10%의 SrO, 0.01~20%의 SiO2, 0.01~10%의 Al2O3, 5~10%의 Na2O, 0.01~5%의 K2O, 0.01~5%의 Li2O, 그리고 0.01~10%의 ZrO를 함유하며, 그 크기는 4μm 이하의 그래뉼에 칼라원료를 5-30% 정도로 혼합한 것으로 잉크의 평균입도(μm)는 작을수록 투과율에 미치는 영향이 우수하기 때문에 0.5~4μm로 제어하여 사용하며 본 발명에서는 중간값인 2μm의 평균입도를 갖는 원료를 사용하였다.
상기 스크린 프린팅공정에는 칼라의 색상과 조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도트를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를 이용하여 프린팅을 진행하는데 상기 마스크의 메쉬(Mesh)수는 칼라의 색상과 투명도를 제어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본 발명에서는 200~300μm/in로 제어하여 사용하였지만 칼라의 조도, 투과도와 색상 등을 고려하여 200μm/in이하 또는 300μm/in이상으로 제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의 마스크는 주로 PET기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기재의 두께는 25~75μm 범위로서 240(gf/10mm) 이상의 점착력을 갖고 두께는 0.05~0.1(mm)의 범위인 아크릴릭의 점착제 유형으로 형성되어 인장강도 3(kgf/10mm)과 신장율 60%이상, 절연파괴전압은 4(KV)이상이며 내열도는 130(℃) 이상의 특성을 갖도록 하였다.
또한, 스크린 프린팅에 의한 다양한 기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퀴즈의 경도(Squeegee Hardness)는 70~90(Shore 또는 Sh)를 본 발명에서 사용하였지만 70(Sh)이하의 경우 인쇄시 번짐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반대로 90(Sh) 이상의 경우 제판(원자재) 손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본 발명에서는 최적화된 80(Sh)을 사용하였고 스퀴즈의 각도(Squeegee angle)는 45’이하의 경우 스퀴즈 자욱이나 잉크 번짐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있고 72’ 이상의 경우 도막두께 저하로 스크린 프린팅 시에 품질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본 발명에서는 최적화된 68’을 사용하였다.
또한, 스크린 프린팅 시 원자재(유리 등) 또는 스퀴지의 속도는 빠를수록 균일성(Uniformity)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프린팅 스피드(Printing Speed)를 15~35mm/sec로 제어하여 프린팅을 하였으며 최적회된 프린팅 스피드는 중간값인 25mm/sec를 이용함으로서 최적화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최적화의 의미는 다양하고 많은 실험을 통하여 경험치로 확보한 것으로 환경과 조건에 따라 수치화된 범위는 일정부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Off-contact(mm)의 경우 4~6mm를 활용하지만 6보다 높을시 번짐현상 발생할 수 있어 5mm을 기준으로 번짐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하였다.
상기의 스크린 프린팅 공정이 마무리되면 다음단계로 건조 또는 소성과정으로 진행하며 일반적으로 칼라 잉크는 520℃ 이상에서 결정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원료의 종류에 따라 520℃ 이하에서 건조를 위한 열처리를 진행하며 본 발명에서는 520℃이하에서 1분이내의 건조를 위한 열처리를 진행한 후 나노 무기소재를 코팅하고 800℃ 이하에서 5분 이내의 유리의 강화와 나노 무기소재의 경화를 위해 별도의 유리의 강화를 위한 열처리 없이 연이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공정의 단순화를 이루었다. 상기의 건조 후 나노 무기소재 코팅을 위해서 냉각단계를 추가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의 열처리과정은 1차로 550℃미만에서 칼라 잉크의 건조를 위해 1분 이내의 열처리에 의해 원자재에 융착 후 건조시키며 이후 나노 무기소재를 건조된 표면위에 코팅하게 되지만 표면의 온도가 100℃ 이상 될 경우 냉각단계를 추가할 수 있고 이어 2차로 680~800 ℃ 소부온도에 이르게 하여 유리의 열적 강화와 동시에 나노 무기소재의 경화를 위한 소성을 진행하게 된다.
상기의 소성 또는 건조공정이 진행된 후 표면 경도를 높이기 위하여 급냉과정을 진행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팬(Fan)을 이용하는 공냉 방식을 채택하여 급냉시킴으로서 경도를 높이는 과정을 진행하였지만 공냉방식과 다른 다양한 냉각방식을 사용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상기의 모든 과정이 진행한 후 코팅된 원자재의 색상 등에 문제점이 없는지 검사를 진행하고 특별한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을 경우 코팅된 원자재를 적재하여 포장/출하함으로서 칼라 유리의 제조 공정을 마무리 할 수 있다.
특히 상기의 스크린 프린팅 공정에 있어서 색상과 조도 및 투과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단위면적(inch)당 색상이 표현된 마이크로 도트(dot)를 활용한 패턴으로 도3~도6과 같이 도트의 크기를 제어하여 색상과 투과도를 제어한다.
상기 마이크로 도트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갖게 되는데 6각형 이상의 다각형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었다. 도 3은 투과율과 커버리지 비율에 따른 다양한 패턴형상을 수치와 함께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0.5mm 직경을 갖는 도트 패턴의 경우 수평 및 수직거리는 0.63mm이고 도트패턴의 원점과 원점의 거리는 1.13mm이며 패턴과 패턴의 45°의 경사 거리는 1.09mm를 유지할 경우 커버리지 비율(C/R)은 15%, 유리 가시광선 투과율는 90%로 제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는 상기에 나타난 실시예와 함께 커버리지 비율(C/R)이 40%, 유리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60%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0.5mm 직경을 갖는 도트 패턴의 경우 수평 및 패턴과 패턴의 45°의 경사 거리는 0.75mm를 유지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커버리지 비율(C/R)은 40%, 유리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45%를 제어하기 위하여 수평거리 0.5mm와 패턴과 패턴의 45°의 경사 거리는 0.71mm를 유지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의 칼라가 융착된 유리에 대한 모든 공정이 마무리되면 투명방음벽용 접합유리를 제조하기 위하여 다른 한 장의 유리를 접합하는 공정을 진행한다.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한국 공업표준 규격인 CMYK 조색시스템에 의해 다양한 색상으로 조색된 유리와 투명한 유리를 합착함으로서 이와는 다르게 조색된 유리에 또 다른 조색된 두 장의 유리를 접합함으로서 다양한 색상을 조색할 수도 있다.
한국 공업표준 규격인 CMYK 조색시스템에 의해 다양한 색상으로 조색하는 방법으로는 스크린 프린팅시에 CMYK 조색시스템을 이용한 원료를 이용하여 프린팅을 진행하고 프린팅 된 색상의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나노 무기소재를 이용한 코팅을 함으로서 자정작용 특성 및 우수한 기계적 화학적 특성을 갖도록 하여 내구성을 확보하였으며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칼라원료 위에 나노 무기소재를 코팅하여 최외각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8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프린팅된 유리 상부에 투명한 아크릴폼으로 형성된 양면 테이프 형태의 스페이서(105)를 유리위에 부착시키고 투명한 유리를 상기의 스페이서(105)가 부착된 유리위에 합착 후 양쪽 모서리부분을 롤러형 압착기에 상기 합착된 유리를 3-5kg/m2의 압력으로 압착하고 스페이서(105)에 의해 형성된 공간사이에 UV경화형 접착제인 고분자 레진을 주입한 후 자외선을 이용한 경화 후 검사가 완료되면 다양한 색상의 투명한 패턴의 칼라가 적용된 방음벽용 접합유리가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목적 달성을 위하여 자정작용 특성과 다양한 기계적 화학적 특성을 갖도록 하는 나노 무기코팅은 인쇄된 면이 최외각에 위치하도록 융착하고 이후 나노 무기소재를 이용한 코팅을 진행함으로서 원하는 내구성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색상을 조색하기 위한 또 다른 하나의 시스템은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크린 프린팅에 의해 제조된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유리를 합착하는 것으로 투명한 유리를 합착하는 상기의 방식과 다르게 다른 색상을 가지는 유리를 합착하는 것으로 유지보수 또는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가장 적합한 형태의 칼라 접합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 도트를 활용하여 투명하면서도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과 마이크로 도트를 이용하여 투명하게 표현된 색상을 두장의 유리에 각각 다른 색상을 스크린 프린팅하여 사용함으로서 다양한 색상을 동시에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나노 무기소재의 코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나노 무기소재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 10 ~ 85 중량부; 인산(H3PO4) 0.1 ~ 1 중량부; 무기안료분산액 5 ~ 10 중량부; 강염기 0.5 ~ 5 중량부; 및 물(H2O) 4 ~ 8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무기소재을 제공한다:
[화학식 1] xNa2OySiO2nH2O
[화학식 2] xK2OySiO2nH2O
[화학식 3] xLi2OySiO2nH2O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에서, x 및 y는 각각 0.01 ~ 500이며, n은 1 ~ 20의 자연수이다.
또한, 상기 나노 무기소재는, 무기 도료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 10 ~ 85 중량부; 인산(H3PO4) 0.1 ~ 1 중량부; 무기안료분산액 5 ~ 10 중량부; 강염기 0.5 ~ 5 중량부; 및 물(H2O) 4 ~ 8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는, 나노 무기소재 100 중량부 기준으로, 각각 12 ~ 40 중량부, 1 ~ 30 중량부, 및 12 ~ 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는, 각각 고형분의 함량이 25% ~ 50%, 15% ~ 40%, 10% ~ 35%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나노 무기소재는 pH가 8 ~ 14가 되도록 제조함으로써 바람직한 반응효율을 얻을 수 있으며, 조성물이 용액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무기 안료 분산액은 무기안료 5 내지 60 중량%와; 상기 무기 안료를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제 1 내지 15 중량%와; 무기안료가 분산되는 분산매가 되는 용제 25 내지 94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기안료는 산화아연, 산화타이타늄, 실버화이트, 벵갈라, 버밀리온, 카드뮴레드, 크롬옐로, 황토, 카드뮴옐로, 에메랄드녹, 산화크로뮴녹, 프러시안블루, 코발트청, 카본블랙, 철흑, 실리카백, 알루미나백, 백토, 탄산칼슘, 오레올린, 코발트 바이올렛, 세룰리안 청, 비리디안, 울트라마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기 안료는 5 내지 250nm의 평균 입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나노 무기소재로부터 형성된 코팅막은, ASTM D3363의 기준에 따라 측정한 연필경도가 9H, ASTM D3359의 기준에 따라 측정한 부착력이 5B, 코팅막에 물 한 방울을 떨어뜨린 후의 코팅막과 물 간의 접촉각이 20도 이하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나노 무기소재의 코팅막이 형성된 유리 표면은 염산을 포함한 강산 10% 용액으로 12시간 이상(바람직하게는, 48시간 이상) 처리한 후에도 부식이 일어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무기 코팅소재 조성물의 입자가 나노사이즈 임을 감안하여 0.01 ~ 5 ㎛의 두께로 코팅하여 도막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의 재료에 따라 UV(자외선)을 활용하여 경화함으로서 무기 도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경도와 접착력을 높이고 도막형성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마이크로 웨이브와 UV(자외선)경화를 혼합하여 소성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나노 무기소재 코팅은 유리 또는 칼라원료의 표면에 무기질 코팅소재를 견고하게 부착하고 소성하는 방법으로 고분자 재료와 유기재료의 단점인 경도를 매우 높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친수성 및 내부식성, 불연성, 내화학성, 항균성 등 무기재료가 갖는 일반적인 특징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칼라 접합유리
101 : 투명 또는 칼라 유리
102 : 칼라 유리
103 : 도트 패턴
104 : 고분자 레진
105 : 스페이서
106 : 나노 무기 소재

Claims (11)

  1. 투명방음벽용 칼라 접합유리의 코팅에 있어서,
    원자재(102) 투입 단계;
    원자재(102) 세척단계;
    상기 세척 후 습분 제거를 위한 건조단계;
    무연(Pb free) 저융점 후릿트에 칼라원료 5~30%를 혼합한 잉크를 이용하여 스크린 프린팅 단계;
    건조단계;
    나노 무기소재 코팅단계;
    유리의 강화와 동시에 나노무기소재 경화단계;
    냉각단계;
    투명 아크릴 폼으로 구성된 스페이서(105) 부착단계;
    상기 스페이서(105) 상부에 유리를 합착하는 단계
    합착된 두장의 유리에 대해 압착하는 단계;
    합착된 유리사이의 공간에 액상의 고분자 레진을 주입하는 단계;
    자외선(UV)을 이용하여 경화하는 단계;
    의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투명방음벽용 칼라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나노 무기소재로 코팅된 면이 최외각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투명방음벽용 칼라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4. 제 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나노 무기소재로 코팅된 면은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투명방음벽용 칼라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5. 제 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나노 무기소재로 코팅된 면은 표면 경도 9H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투명방음벽용 칼라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 후 나노 무기소재의 코팅을 위하여 냉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투명방음벽용 칼라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나노 무기소재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인산(H3PO4); 무기안료분산액; KOH, NaOH 및 LiOH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강염기; 및 물(H2O);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투명방음벽용 칼라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화학식 1] xNa2OySiO2nH2O
    [화학식 2] xK2OySiO2nH2O
    [화학식 3] xLi2OySiO2nH2O
  8. 제 1항에 있어서,
    나노 무기소재로 코팅된 면은 접촉각 20° 이하의 친수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투명방음벽용 칼라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소성 및 건조단계는 1차로 520℃이하에서 건조가 이루어지며 이후 2차로 800℃이하에서 유리의 강화 및 나노 무기소재의 경화를 위한 소성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투명방음벽용 칼라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프린팅 단계에서 칼라가 융착된 두장의 유리를 이용하여 색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투명방음벽용 칼라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프린팅 단계에서 패턴 형성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도트는 크기와 간격을 제어하여 투과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투명방음벽용 칼라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KR1020190158897A 2019-12-03 2019-12-03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투명방음벽용 나노칼라 접합유리 제조 방법 KR102236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897A KR102236134B1 (ko) 2019-12-03 2019-12-03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투명방음벽용 나노칼라 접합유리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897A KR102236134B1 (ko) 2019-12-03 2019-12-03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투명방음벽용 나노칼라 접합유리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134B1 true KR102236134B1 (ko) 2021-04-05

Family

ID=75461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897A KR102236134B1 (ko) 2019-12-03 2019-12-03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투명방음벽용 나노칼라 접합유리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13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669U (ko) * 1998-05-19 1999-12-27 정성길 표리면에 무늬가 형성된 이중접합유리
KR101193560B1 (ko) * 2011-10-11 2012-10-22 신동훈 그라데이션 패턴을 이용한 입체감, 원근감 형성 유리인쇄기법
KR20130049987A (ko) * 2011-11-07 2013-05-15 (주)티메이 터치 패널 및 이의 잉크 인쇄 방법
KR20140044252A (ko) 2012-10-04 2014-04-14 박범규 건축물 내외장재의 다기능 칼라 코팅방법 및 이에 따른 다목적 방음벽용 칼라코팅 강화유리 및 이를 이용한 강화유리 조립체
KR101735383B1 (ko) 2012-11-16 2017-05-29 김효원 무기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무기 도막의 형성방법
KR101847785B1 (ko) * 2017-09-21 2018-04-11 리그마글라스 주식회사 가시광선이 투과하는 투명방음벽용 나노컬러 접합유리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669U (ko) * 1998-05-19 1999-12-27 정성길 표리면에 무늬가 형성된 이중접합유리
KR101193560B1 (ko) * 2011-10-11 2012-10-22 신동훈 그라데이션 패턴을 이용한 입체감, 원근감 형성 유리인쇄기법
KR20130049987A (ko) * 2011-11-07 2013-05-15 (주)티메이 터치 패널 및 이의 잉크 인쇄 방법
KR20140044252A (ko) 2012-10-04 2014-04-14 박범규 건축물 내외장재의 다기능 칼라 코팅방법 및 이에 따른 다목적 방음벽용 칼라코팅 강화유리 및 이를 이용한 강화유리 조립체
KR101735383B1 (ko) 2012-11-16 2017-05-29 김효원 무기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무기 도막의 형성방법
KR101847785B1 (ko) * 2017-09-21 2018-04-11 리그마글라스 주식회사 가시광선이 투과하는 투명방음벽용 나노컬러 접합유리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503237B1 (de) Wandverkleidung aus glas
DE4416489C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atursteinähnlichen, plattenförmigen Bau- und Dekorationsmaterialien und danach hergestellte Materialien
JP6096766B2 (ja) 印刷されたエナメルパターンを含むガラス基材の製造方法
CN1810693A (zh) 用于对玻璃或者玻璃陶瓷进行上釉、上珐琅和装饰的无铅无镉玻璃
US10253493B2 (en) Particulates having high total solar reflectance
KR20160014580A (ko) 복합 분말, 복합 분말 페이스트 및 착색층 부착 유리판
KR102205984B1 (ko)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칼라 태양광 모듈 제조방법
EP2985267A1 (en) Outdoor chemically strengthened glass plate
JPH06183784A (ja) 車輌窓ガラス用セラミックカラー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車輌窓ガラスの製法
US6126737A (en) High solids water-based ceramic paint
AU2013294851B2 (en) Temperable enamelled glass
CN115626774A (zh) 柔光肤感釉、具有数码立体效果的柔光肤感陶瓷岩板及其制备方法
KR102236134B1 (ko) 자정작용 특성을 갖는 투명방음벽용 나노칼라 접합유리 제조 방법
JP2944627B1 (ja) インテリア装飾用および建築外装用の不燃性ボードとその製造方法
KR102241281B1 (ko) 패턴을 이용한 투명방음벽용 나노칼라 접합유리 제조 방법
KR101031103B1 (ko) 물성이 우수한 토목/건축 구조물의 마감공법
KR101847785B1 (ko) 가시광선이 투과하는 투명방음벽용 나노컬러 접합유리 제조 방법
US6176919B1 (en) Water-based paint useful for windshields
CN104893418A (zh) 一种无铅环保玻璃油墨及其制备方法
KR20200001758A (ko) 납석을 이용한 불연성 도료 조성물
KR102581929B1 (ko) 무반사 컬러유리 일체형 고분자액정(pdlc) 기반 스마트 윈도우
JP2008248574A (ja) ガラスレンガ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138897A (ja) セラミックカラーペースト、セラミックカラーならびにセラミックカラー付き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20168522A (ko) 나노복합재가 코팅된 항균유리 및 그에 의한 제조방법
CN110451799A (zh) 自清洁防辐射型的玻璃制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