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8117A - 제주 백년초를 이용한 가공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가공된 제품 - Google Patents

제주 백년초를 이용한 가공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가공된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8117A
KR20220168117A KR1020210077727A KR20210077727A KR20220168117A KR 20220168117 A KR20220168117 A KR 20220168117A KR 1020210077727 A KR1020210077727 A KR 1020210077727A KR 20210077727 A KR20210077727 A KR 20210077727A KR 20220168117 A KR20220168117 A KR 20220168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ju
powder
opuntia
cactus
ste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제국
Original Assignee
김제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제국 filed Critical 김제국
Priority to KR1020210077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8117A/ko
Publication of KR20220168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3Cactaceae (Cactus family), e.g. pricklypear or Cere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주 백년초를 이용한 가공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가공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공보 제10-2061227호에 기재된 제주 백년초를 가공하여 분말 또는 진액을 획득하는 방법과 상기 방법으로 가공된 분말 또는 진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주 백년초는, 제주 자생 백년초로서 왕선인장을 타가수분에 의한 계통 육성하여 육종되고 무성적으로 반복 생식이 가능한 것으로 이러한 제주 백년초로부터 유래되는 잎, 줄기, 종자, 새순, 뿌리, 열매, 또는 세포를 포함하는 부분체이며, 이러한 권리로 확보된 제주 백년초 신품종을 이용하여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는데 있어서, 제주 백년초의 열매와 줄기를 이용한 가공제품을 권리화하여 더 많은 제품으로 시중에 제공되어 산업화의 다양화를 야기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제주 백년초를 이용한 가공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가공된 제품{MANUFACTURING METHOD USING A JEJU-OPUNTIA, AND THE PRODUCT BY A METHOD}
본 발명은 제주 백년초를 이용한 가공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가공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공보 제10-2061227호에 기재된 제주 백년초를 가공하여 분말 또는 진액을 획득하는 방법과 상기 방법으로 가공된 분말 또는 진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주 백년초는, 제주 자생 백년초로서 왕선인장을 타가수분에 의한 계통 육성하여 육종되고 무성적으로 반복 생식이 가능한 것으로 이러한 제주 백년초로부터 유래되는 잎, 줄기, 종자, 새순, 뿌리, 열매, 또는 세포를 포함하는 부분체이며, 이러한 권리로 확보된 제주 백년초 신품종을 이용하여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는데 있어서, 제주 백년초의 열매와 줄기를 이용한 가공제품을 권리화하여 더 많은 제품으로 시중에 제공되어 산업화의 다양화를 야기하고자 한다.
선인장은 남아메리카 원산으로 곧추 서서 자라는 다육 관목이다. 선인장과(Cactaceae)는 1,400 ~ 2,000 종을 포함한다(참고문헌: Hunt, D.R. 206. The New Cactus Lexicon. 1st ed. Milborne Port, UK: DH Boks; Nyefler, R. and U. Eggli. 2010. A farewel to dated ideas and concepts: molecular phyogenetics and a revised suprageneric clasification of the family Cactaceae. Schumania 6: 109~149).
손바닥 선인장속(Opuntia)은 Opuntioideae아과에 속하며 180~200종으로 구성되는 큰 속 중의 하나이다(참고문헌: Anderson, E.F. 2001. The Cactus Family. Portland, OR, USA: Timber Pres.; Nyfeler and Eggli, 2010).
이 속의 식물들은 반건조 온대에서 아열대 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참고문헌: Benson, L. 1982. The Cacti of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Stanford, CA, USA: Stanford University Pres.).
제주 백년초는 오래전부터 제주도 남부 해안에서 자생적으로 발견되었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분류학상 오푼티아속(Opuntia)의 선인장으로 추정되며 흔히 왕선인장 또는 서귀포 선인장이라고도 하는데, 개발 또는 산업화의 영향으로 인하여 언제부턴가 자취를 감춘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 백년초는 학명상으로는 Opuntia monacantha Haw., 또는 O. megacantha 등으로 문헌상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 이러한 학명이 정확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제주 백년초는 오래 전부터 변비 치료, 이뇨 효과, 장운동의 활성화 및 식욕증진 등 효과가 있고 잎은 피부질환, 류마티스, 화상 치료 등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다른 선인장 그룹으로서 제주시 한림읍 월령리 일대에서 집단 개체군이 발견되는 한림선인장(보검선인장 또는 월령선인장이라고도 부름)은 학명으로는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이라고 지칭하고 있으나, 이 역시 정확한 계통수가 수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서 백년초라고 부르고 있어서 손바닥 선인장, 부채선인장 등의 용어 정립과 함께 정확한 학술적 구분이 필요한 상황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제주 백년초와 한림선인장은 형태학적, 유전학적 정보가 상당히 다르고 수명 역시 제주 백년초는 300년 이상으로 추정되는 반면, 한림선인장은 10년 이하로 알려져 있다.
또한, 제주 백년초는 이전에 남아메리카 원산으로 곧추 서서 자라는 다육 관목으로 해류에 의해 떠밀려와 열대, 아열대 지역으로 널리 유입되어 귀화한 것으로 알려진 적이 있으나[참고문헌: Lim, T.K. 201. Opuntia monacantha. In Edible medicinal and non-medicinal plants, Volume 1 Fruits. Springer, p 683-686.], 이에 대한 서지적 근거는 아직까지 없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524097호(2005년10월19일) 한국 등록특허 제10-0622666호(2006년09월04일) 한국 등록특허 제10-0451894호(2004년09월24일)
본 발명의 목적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공보 제10-2061227호에 기재된 제주 백년초를 가공하여 분말 또는 진액을 획득하는 방법과 상기 방법으로 가공된 분말 또는 진액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주 자생 백년초로서 왕선인장을 타가수분에 의한 계통 육성하여 육종되고 무성적으로 반복 생식이 가능한 제주 백년초와 상기 식물로부터 유래되는 잎, 줄기, 종자, 새순, 뿌리, 열매, 또는 세포를 포함하는 제주 백년초를 이용하여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는데 있어서, 제주 백년초의 열매와 줄기를 이용한 가공제품을 권리화하여 더 많은 제품으로 시중에 제공되어 산업화의 다양화를 야기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주 백년초를 이용한 가공방법은, 오푼타이속(Opuntia) 왕선인장(Opuntia monacantha Haw.)을 타가 수분시켜 수정하고 그 열매를 식재하여 역교배를 반복하여 육성하며, 1) 줄기(Cladode)의 길이는 30 내지 45㎝이고, 너비는 17 내지 18㎝이며, 두께는 0.8 내지 1.2cm까지 자라고, 2) 가시자리 모용의 크기는 0.5 내지 0.6㎝이며 갈색이며, 3) 꽃의 크기는 높이가 7 내지 8㎝이고, 너비는 3 내지 4㎝, 꽃잎의 수는 25 내지 30개이며, 꽃잎에는 2차색이 있는 특징을 가지며 열매 또는 줄기를 이용하여 무성번식 가능한 제주 백년초를 분말로 가공하거나,
가공된 분말을 이용하여 진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분말의 가공방법은,
제주 백년초의 열매 또는 줄기를 생원료로서 손질하는 1-1 단계;
상기 1-1 단계가 종료된 생원료를 세척하는 1-2 단계;
상기 1-2 단계를 통해 세척된 생원료를 1주일 간 냉동보관하는 1-3 단계;
상기 1-3 단계에서 냉동된 생원료를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동결건조시키는 1-4 단계;
상기 1-4 단계가 종료된 생원료를 파쇄하여 분말로 가공하는 1-5 단계;
상기 1-5 단계를 통해 가공된 분말을 채로 걸러 목적된 크기 이상으로 분쇄된 잔여물을 걸러내는 1-6 단계; 및
상기 1-6 단계를 통과하여 획득된 분말을, 제주 백년초 분말로서 획득하는 1-7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주 백년초를 이용한 가공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가공된 제품에 의하면,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공보 제10-2061227호에 기재된 제주 백년초를 가공하여 분말 또는 진액을 획득하는 방법과 상기 방법으로 가공된 분말 또는 진액을 제공함으로써,
제주 자생 백년초로서 왕선인장을 타가수분에 의한 계통 육성하여 육종되고 무성적으로 반복 생식이 가능한 제주 백년초로부터 유래되는 잎, 줄기, 종자, 새순, 뿌리, 열매, 또는 세포를 포함하는 부분체를 기반으로 하여,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는데 있어서, 제주 백년초의 열매와 줄기를 이용한 가공제품을 권리화하여 더 많은 제품으로 시중에 제공되어 산업화의 다양화를 야기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주 백년초를 이용한 가공방법 중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분말을 이용하여 진액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주 백년초를 이용한 가공방법으로 가공된 제품(분말)에 대한 식품 적합 판정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은 금속성이물에 대한 적합 판정 결과이고, 도 4는 납에 대한 적합 판정 결과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제주 백년초를 이용한 가공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가공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공보 제10-2061227호에 기재된 제주 백년초를 가공하여 분말 또는 진액을 획득하는 방법과 상기 방법으로 가공된 분말 또는 진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주 백년초는, 제주 자생 백년초로서 왕선인장을 타가수분에 의한 계통 육성하여 육종되고 무성적으로 반복 생식이 가능한 것으로 이러한 제주 백년초로부터 유래되는 잎, 줄기, 종자, 새순, 뿌리, 열매, 또는 세포를 포함하는 부분체이며, 이러한 권리로 확보된 제주 백년초 신품종을 이용하여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는데 있어서, 제주 백년초의 열매와 줄기를 이용한 가공제품을 권리화하여 더 많은 제품으로 시중에 제공되어 산업화의 다양화를 야기하고자 한다.
상술된 등록특허공보 제10-2061227호에 기재된 제주 백년초는, 오푼타이속(Opuntia) 왕선인장(Opuntia monacantha Haw.)을 타가 수분시켜 수정하고 그 열매를 식재하여 역교배를 반복하여 육성하며, 1) 줄기(Cladode)의 길이는 30 내지 45㎝이고, 너비는 17 내지 18㎝이며, 두께는 0.8 내지 1.2cm까지 자라고, 2) 가시자리 모용의 크기는 0.5 내지 0.6㎝이며 갈색이며, 3) 꽃의 크기는 높이가 7 내지 8㎝이고, 너비는 3 내지 4㎝, 꽃잎의 수는 25 내지 30개이며, 꽃잎에는 2차색이 있는 특징을 가지며 열매 또는 줄기를 이용하여 무성번식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공보에 기재된 사항을 참조한다.
분말 가공방법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주 백년초를 이용한 가공방법 중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른 제주 백년초를 이용한 분말 가공방법은, 생원료 손질단계(S10); 세척단계(S20); 냉동보관단계(S30); 동결건조단계(S40); 파쇄단계(S50); 채거름단계(S60); 및 분말획득단계(S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1) 생원료 손질단계(S10)
생원료 손질단계는, 등록특허공보 제10-2061227호에 기재된 제주 백년초의 열매 및 줄기를 생원료로서 하며, 이러한 생원료를 손질하는 단계이다.
이때, 손질은 열매와 줄기에 존재하는 가시를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1-2) 세척단계(S20)
세척단계는, 상기 생원료 손질단계가 종료된 생원료를 세척하여 표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1-3) 냉동보관단계(S30)
냉동보관단계는, 상기 세척단계를 통해 세척된 생원료의 표면에 뭍은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1주일 간 냉동보관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이때, 냉동보관은 -10℃ 이하의 저온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4) 동결건조단계(S40)
동결건조단계는, 상기 냉동보관단계에서 냉동된 생원료를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동결건조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동결건조기를 이용한 동결건조는 4일간 수행되며, 동결건조기는 통상의 제품을 이용하도록 한다.
한편, 통상의 건조는 냉온기 혹은 열풍기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생원료인 제주 백년초는 반드시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4일간 동결건조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동결건조를 4일 미만으로 진행하는 경우, 아래 평가결과에 만족할 수 있는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고, 4일을 초과하여도 더 좋은 효과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아래의 기능성 스크리닝 결과 자료에 기반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생원료인 등록특허공보에 기반한 제주 백년초를 대상으로 [표 1]의 항목을 평가하였다.
구분 항목 비고

성분
총 폴리페놀 항산화 성분
총 플로보노이드 항산화 성분



효능
DPPH radical 소거능 항산화 효과
ABTS radical 소거능 항산화 효과
α-glucosidase 저해활성 항당뇨 효과
Tyrosinase 효소 활성 저해효과 미백 효과
Elastase 효소 활성 저해효과 주름억제, 탄력 효과
Acetylcholiensterase 효소 활성 저해효과 알츠하이머 효과
[표 1]에 따른 항목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으며, 상술된 분말가공방법으로 가공된 분말을 기반으로, 추출물을 조제한 것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분말 10 g에 70% 에탄올 500 mL를 넣고 30분 동안 초음파 추출한 후 3,000 rpm(175×10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Union 55R, Hanil Science Industrial Co.)하여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위 과정을 2회 반복하여 회수한 상등액을 여과지(Whatman No. 2, Whatman, Tokyo, Japan)로 여과하였다. 그 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줄기와 열매 추출물의 추출 수율은 각각 15.59%와 35.76%였다.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에 대한 평가
총 폴리페놀 분석은 Folin-Denis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Hwang 등, 2006).
Hwang IG, Woo KS, Kim TM, Kim DJ, Yang MH, Jeong HS. Change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ear (Pyrus pyrifolia Nakai) juice with heat treatment conditions. Koran J Food Sci Technol. 2006. 38:342-347.
시료 100 μL에 2% sodium carbonate 용액 2 mL를 첨가한 후 3분간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그 후 50%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 100 μL를 혼합하고 30분간 반응시킨 후 UV spectrophoto-meter(SpectraMax M3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LLC, 도시, CA, USA)를 사용하여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gallic acid를 사용하여 표준 검량선을 작성한 후 폴리페놀 함량을 구하였으며 gallic acid equivalent(mg GAE/g)로 표시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분석은 Hwang 등(Hwang IG, Woo KS, Kim TM, Kim DJ, Yang MH, Jeong HS. Change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ear (Pyrus pyrifolia Nakai) juice with heat treatment conditions. Koran J Food Sci Technol. 2006. 38:342-347.)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시료 250 μL에 5% sodium nitrite 용액 75 μL, 증류수 1 mL를 첨가하여 5분간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그 후 10% aluminium chloride 150 μL를 혼합하고 6분간 반응시킨 후 1 M sodium hydroxide 500 μL를 첨가하였다. 11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킨 다음 UV spectrophoto-meter(SpectraMax M3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LLC)를 사용하여 5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catechin을 사용하여 표준 검량선을 작성한 후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구하였으며 mg (+)-cate-chin/g(mg CE/g)으로 표시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는 대표적인 항산화 성분이다. 본 발명의 생원료인 제주 백년초의 줄기와 열매의 총 폴리페놀의 각 함량은 8.00 및 9.46mg GAE/g이었고, 총 플라보노이드의 각 함량은 0.18 및 0.27mg CE/g이었다([표 2] 참조).
항목 줄기 열매
총 폴리페놀
(mg gallic acid/g, 생물 중)
8.00±0.05 9.45±0.05
총 플라보노이드
(mg catachin/g, 생물 중)
0.18±0.03 0.27±0.04
즉, 열매가 줄기보다 각각의 함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동결건조가 아닌 통상의 열풍기를 이용하여 건조를 수행한 생원료의 경우, 총 폴리놀의 줄기와 열매의 각 함량이 6.24±0.04, 7.00±0.03으로 나타났고, 총 플라보노이드의 각 함량은 0.1±0.01, 0.14±0.02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생원료는 동결건조를 통해 건조되어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Jeong 등(Jeong YS, Hwang BS, Cho SM, Hwang KA, Hwang IG.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nti-alzheimer activities of stem from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cultivated in Jeju at harvest time. Korean J Food Nutr. 2017. 30:1332-1340.)에서는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선인장 줄기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재배지역에 따라 1.49~1.81 mg GAE/g이었고, Kim 등(Kim S, Jung BM, Joo N. Optimization of muffin with Opuntia humifusa powde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Nutr. 2012. 25:911-921.)에서 Opuntia humifusa 선인장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6.64 mg GAE/g으로 보고된 바 있다.
또한 Opun-tia ficus-indica 선인장의 경우 줄기에서 1.86 mg/g, 열매에서 4.9 mg/g, 씨앗에서 1.47 mg/g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밝혔다(Lee YC, Hwang KH, Han DH, Kim SD. Compositions of Opun-tia ficus-indica. Korean J Food Sci Technol. 1997. 5:847-853.).
또한, Jeong 등(2016)은 Opuntia ficus- indica var. saboten 선인장 줄기 추출물이 재배지역에 따라 0.55~0.65 mg CE/g으로 보고하였고, Opuntia ficus-indica 선인장의 경우 줄기에서 1.29 mg/g, 열매에서 1.59 mg/ g, 씨앗에서 0.24 mg/g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밝혔다(Lee YC, Hwang KH, Han DH, Kim SD. Compositions of Opun-tia ficus-indica. Korean J Food Sci Technol. 1997. 5:847-853.).
이를 통해 Opuntia 속 선인장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차이가 일정 수준 있는 것으로 보이며, 선인장의 품종, 재배 환경, 수확시기, 추출 용매 등에 따라 함량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주 백년초의 경우, 종래 선인장류에 대비하여 더 많은 총 폴리레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라디칼 소거능
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평가는,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였고, 본 발명에 사용된 생원료인 등록특허공보에 따른 제주 백년초의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표 3]과 같이 나타났다.
항목 줄기 열매
DPPH 라디칼 소거능
(mg AA eq/g, 생물 중)
2.72±0.11 3.08±0.12
ABTS 라디칼 소거능
(mg AA eq/g, 생물 중)
1.63±0.05 2.93±0.10
즉, 제주 백년초의 줄기 1g은 비타민 C 2.72mg과 같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고, 제주 백년초의 열매 1g은 비타민 C 3.08mg과 같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는, 자연에서 채집 가능한 식물자원으로부터 가질 수 있는 항산화 효과이기 때문에, 라디칼 소거능의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평가에 사용된 분말을 동결건조를 수행하지 않고 열풍건조를 사용함으로써 획득된 분말은, 열매를 이용한 것에 대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 2.42±0.09, ABTS 라디칼 소거능은 2.12±0.11로 확인되었다.
α-glucosidase 저해활성 평가
α-glucosidase 효소는 다당류를 포도당으로 분해하는 효소로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생원료의 분말 가공방법을 이용하여 가공된 분말 1mg을 1ml의 물에 혼합한 액상(1mg/ml)에서 α-glucosidase 효소를 저해하는 억제효과는 [표 4]와 같이 나타났다. 이때 대조군 Acarbose는 "알파 글루코시다제 억제제" 계열의 경구용 혈당강하제로서 식이, 운동 요법과 병행하여 제2형 당뇨병에 사용되는 약제이다.
항목 줄기
(1mg/ml)
열매
(1mg/ml)
Acarbose
(1mg/ml, 대조군)
α-glucosidase
저해활성
32.93±2.10 47.34±1.68 81.11±0.53
[표 4]에 기반하면, 본 발명에 사용된 본 출원인의 종자를 이용하여 가공한 제주 백년초를 분말로 사용하면, 약제로 사용되는 대조군만큼의 저해활성이 나타나지는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분말이 적어도 천연자원을 이용한 것을 감안하였을 때, 그 효과는 인정될 수 있다고 확인되었다.
이는, 아래에서 서술되는 타 효소의 활성 저해효과를 평가한 결과에서도 마찬가지로 취급될 수 있다.
또한, α-Glucosidase(Saccharomyces cerevisiae) 저해 활성을 분석하기 위해 Song 등(2016)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시료는 DMSO를 사용하여 농도별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Song YH, Kim DW, Curtis-Long MJ, Park C, Son M, Kim JY, et al. Cinnamic acid amides from Tribulus terrestris displaying uncompetitive α-glucosidase inhibition. Eur J Med Chem. 2016. 23:201-208.
0.05 M phosphate buffer(pH 6.8) 130 μL에 추출물 10 μL와 기질인 1.2 mM p-nitrophenyl-α-D-glucopy-ranoside(pNPG) 40 μL를 넣고 마지막으로 α-glucosidase 20 μL를 혼합하였다. 15분 동안 37°C에서 반응시킨 후 405 nm 흡광도를 측정하여 결과를 확인하였다. Acarbose를 양성대조구로 사용하였고 저해능(%)은 (1-sample absorbance/ control absorbance)×100 식에 의해 산출되었다.
그 결과, Opuntia monacantha Haw. 선인장 줄기와 열매 추출물의 α-glucosidase 저해 효과를 평가한 결과는 도 5와 같이 처리 농도(0.25~1.00 mg/mL)에 따라 의존적으로 저해 효과가 높아졌으며 각각 27.58~32.93 및 20.74~47.34 %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성대조군인 acarbose는 1 mg/mL 농도에서 83%의 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α-Gluco-sidase는 소화와 흡수작용에 관여하며 α-glucosidase 저해제는 포도당의 흡수를 지연시켜 식후 혈당 농도를 조절하는 혈당 강하제 역할을 한다.
Lee 등(Lee JN, Kim HE, Kim YS. Anti-diabet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Opuntia humifusa cladod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4. 43:661-667.)에 따르면 1 mg/mL의 Opuntia humifusa 선인장 75% 에탄올 추출물이 23%의 α-glucosidase 저해 효과를 보였으며,
Park 등(Park CM, Kwak BH, Park SH, Kim H, Rhyu DY.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ries of Opuntia humifusa and Opuntia ficus-indica. Korean J Plant Res. 2013. 26:519-525.)은 Opuntia humifusa 선인장과 달리 Opuntia ficus-indica 선인장 추출물은 α-glucosi-dase 저해능이 없다고 밝혔다.
또한 Lee 등(Lee SH, Jeong YS, Jin Song, Hwang KA, Noh GM, Hwang IG. Chemical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Opuntia ficus-indica depending on different cultivation regions. Kore-an J Food Nutr. 2016. 29:521-528.)은 1 mg/ mL의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선인장 추출물이 재배지역에 따라 30~46% 저해 효과를 보였다고 밝혔다. 같은 Opuntia속 선인장들과 비교했을 때 Opuntia monacan-tha Haw. 선인장 줄기와 열매 추출물의 활성은 유사한 것으로 생각된다.
Tyrosinase 효소 활성 저해효과 평가
Tyrosinase 효소는 멜라닌 생합성 과정에 필수적인 효소로서,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른 분말을 이용한 액상(1mg/ml)에 대하여 Tyrosinase 효소의 저해효과가 [표 5]와 같이 나타났다.
줄기
(1mg/ml)
열매
(1mg/ml)
Kojic acid
(1mg/ml, 대조군)
Tyrosinase
저해활성
40.74±2.20 48.91±1.48 87.25±2.90
Tyrosinase 효소 활성 저해효과 평가는 Mushroom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분석하기 위해 Kim 등(Kim JY, Kim JY, Jenis J, Li ZP, Ban YJ, Baiseitova A, et al. Tyrosinase inhibitory study of flavonolignans from the seeds of Silybum marianum (milk thistle). Bioorg Med Chem. 2019. 27:2499-2507.)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시료는 DMSO를 사용하여 농도별로 희석하여 사용했으며 475 nm에서 0.05 M phosphate buffer(pH 6.8) 165 μL에 추출물 5 μL와 기질인 1.8 mM L-tyrosine 20 μL를 넣은 후 tyrosinase(260 unit/ mL) 10 μL를 혼합하였다. 15분 동안 30°C에서 반응시킨 후 흡광도를 측정하여 결과를 확인하였다. Tyrosinase 저해 활성 평가 시 kojic acid를 양성대조구로 사용하여 저해능(%)은 (1-sample absorbance/ control absorbance)× 100 식에 의해 산출되었다.
그 결과, Opuntia monacantha Haw. 선인장 줄기와 열매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 효과를 평가한 결과는 도 6과 같이 처리 농도(0.25~1.00 mg/mL)에 따라 의존적으로 저해 효과가 높아졌으며 각각 24.11~40.74 및 37.94~48.91% 범위의 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양성대조군인 kojic acid는 1 mg/mL 농도에서 85%의 저해율을 보였다.
Park 등(2013)은 Opuntia ficus-indica 선인장의 경우 0.1 mg/mL에서 약 30%의 저해력을 보였고, Opuntia humifusa 선인장의 경우 0.1 mg/mL에서 10% 미만의 저해율을 보였음을 밝혔다.
또한 Opuntia humifusa 선인장을 다당류만 모이도록 분획하였을 때 저해율이 40%까지 높아졌다고 밝혔다. 본 시료도 최적 추출 조건을 선정하거나 용매 분획 등의 단순 정제과정을 거치면 더 높은 tyrosinase 저해력을 보일 것으로 추정된다.
Tyrosinase 저해 효과의 평가는 피부미백 개발에 있어서 유용한 평가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어(Kim 등, 2019)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Opuntia monacantha Haw. 선인장을 활용한 미백 기능성 소재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Elastase 효소 활성 저해효과 평가
Elastase 효소는 피부의 엘라스틴과 콜라겐의 결합은 분해하는 효소로서, 위의 액상(1mg/ml)를 이용하여 Elastase 효소의 활성 저해효과를 평가한 결과는 [표 6]과 같다.
줄기
(1mg/ml)
열매
(1mg/ml)
비타민 C
(1mg/ml, 대조군)
Elastase
저해활성
45.52±4.43 58.53±0.85 87.60±1.16
Elastase 효소 활성 저해효과의 평가는, Human leukocytes elastase 저해 활성을 분석하기 위해 Kim 등(2018)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했으며 시료는 dimethyl sulfoxide(DMSO)를 사용하여 농도별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0.02 mM Tris-HCl buffer(pH 8.0) 130 μL에 추출물 10 μL와 기질인 1.5 mM methoxysuccinyl-Ala- Ala-Pro-Val-p-nitroanilide 40 μL를 넣고 마지막으로 elastase 20 μL를 혼합하였다. 5분 동안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결과를 확인하였다. L-Ascorbic acid를 양성대조구로 사용하였고 저해능(%)은 (1-sample absorbance/ control absorbance)×100 식에 의해 산출되었다.
Opuntia monacantha Haw. 선인장 줄기와 열매 추출물의 elastase 저해 효과를 평가한 결과는 도 7과 같이 처리 농도(0.25~1.00 mg/mL)에 따라 의존적으로 저해 효과가 높아졌으며 각각 25.06~45.55 및 34.71~58.53% 범위의 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양성대조군인 L-ascorbic acid는 1 mg/mL 농도에서 87%의 저해율을 보였다. 제1 인용논문 Kim 등(2018)은 1 mg/mL의 괭이밥 추출물이 41% 저해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고, Kim 등(2008)은 1 mg/mL의 녹두 추출물이 29%, 감초 추출물은 55%의 저해율을 보였다고 밝혔다.
제1 인용논문 : Kim JH, Seo SJ, Kim NW, Lee YS. Comparison of anti-ag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Oxalis corniculata ultrasonic ex-tracts. J Invest Cosmetol. 2018. 14:19-28.
제2 인용논문 : Kim DG, Shin JH, Kang MJ.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Opuntia ficus-indica and Opuntia humifusa fruits ethanol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2018. 8:586-594.
이와 비교했을 때 Opuntia monacantha Haw. 선인장은 elastase를 효과적으로 저해하여 피부 항노화 소재로서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Opuntia속 선인장에 대한 elastase 저해 효과에 관한 연구 보고는 매우 부족한 실정으로 추후 elastase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 성분에 대한 분석과 동정 연구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cetylcholiensterase 효소 활성 저해효과 평가
Acetylcholiensterase 효소는 기억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아세틸콜린을 분해하는 효소이다.
위의 평가와 마찬가지로 액상(1mg/ml)을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표 7]과 같이 나타났다. 대조군으로 사용된 Berberine는 알츠하이머 예방에 사용되는 약제이다.
줄기
(1mg/ml)
열매
(1mg/ml)
Berberine
(1mg/ml, 대조군)
Acetylcholiensterase
저해활성
2.55±6.90 54.15±2.51 81.31±1.32
Human erythrocyte acetylcholinesterase 저해 활성을 분석하기 위해 종래 공지된 Ryu 등(2012)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시료는 DMSO를 사용하여 농도별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Ryu HW, Curtis-Long MJ, Jung S, Jeong IY, Kim DS, Kang KY, et al. Anticholinesterase potential of flavonols from paper mulberry (Broussonetia papyrifesa) and their kinetic stud-ies. Food Chem. 2012. 3:1244-1250.
100 mM sodium phosphate(pH 8.0) 108 μL에 추출물 20 μL와 기질인 1 mM iodide 20 μL를 넣고 acetylcholinesterase 2 μL를 혼합하였다. 마지막으로 5,5´-dithiobis(2- nitrobenzoic acid) 30 μL를 넣고 혼합한 후 10분 동안 412 nm 흡광도를 측정하여 결과를 확인하였다. Berberine을 양성대조구로 사용하였고 저해능(%)은 (1-sample absorbance/control absorbance)×100 식에 의해 산출되었다.
Opuntia monacantha Haw. 선인장 줄기와 열매 추출물의 AChE 저해 효과를 평가한 결과는 도 8과 같이 처리 농도(0.25~1.00 mg/mL)에 따라 의존적으로 저해 효과가 높아졌으며 각각 10.00~42.56 및 22.76~54.15% 범위의 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양성대조군인 barberine은 1 mg/ mL 농도에서 81%의 저해 효과를 보였다. AChE는 학습과 기억을 담당하는 아세틸콜린을 저해하기 때문에 위 저해제 개발은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를 위한 연구로써 시행되고 있다(Jeong YS, Hwang BS, Cho SM, Hwang KA, Hwang IG.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nti-alzheimer activities of stem from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cultivated in Jeju at harvest time. Korean J Food Nutr. 2017. 30:1332-1340.).
선행논문 Choi 등(2002)에 의하면 2.5 mg/ mL의 오가피 추출물이 14%의 AChE 저해율을 보였으며 천궁 추출물 2.5 mg/mL의 경우 41%의 저해율을 보였다(Choi JH, Kim MY, Kim HM, Cui X, Jeon H, Kim DK, et al. Effect of several herbs on acetylcholinesterase enzyme activity. Korea J Herbol. 2002. 17:131-138.).
Jeong 등(2017)은 2.5 mg/mL의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선인장에서 약 42%의 AChE 저해율을 확인하였다. 흔히 쓰이는 한약재와 Opuntia속 선인장의 AChE 저해율을 비교했을 때 Opuntia monacantha Haw. 선인장은 항 알츠하이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등록특허공보 제10-2061227호에 기재된 제주 백년초를 분말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동결건조를 사용하는 것은 필수이고, 동결건조는 4일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5) 파쇄단계(S50)
파쇄단계는, 상기 동결건조단계가 종료된 생원료를 파쇄하여 분말로 가공하는 단계이다. 이때, 파쇄는 통상의 파쇄기를 사용한다.
1-6) 채거름단계(S60)
채거름단계는, 상기 파쇄단계를 통해 가공된 분말을 채로 걸러 목적된 크기 이상으로 분쇄된 잔여물을 걸러내는 단계이다.
이때, 걸러진 잔여물은 다시 파쇄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1-7) 분말획득단계(S70)
분말획득단계는, 상기 채거름단계를 통과하여 획득된 분말을, 제주 백년초 분말로서 획득하여 종료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가공방법으로 제조된 분말을 이용하여 제조한 고형차를 기반으로 도 3 및 도 4의 시험, 검사를 진행한 바 있으며, 그 결과, 제주 백년초를 이용한 분말은 금속성이물과 납의 성분이 불검출되어 식품으로서 적합 판정을 받은 바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주 백년초를 이용한 가공방법으로 가공된 제품(분말)에 대한 식품 적합 판정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은 금속성이물에 대한 적합 판정 결과이고, 도 4는 납에 대한 적합 판정 결과이다.
식품 조성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술된 제주 백년초를 이용한 분말 및 후술될 진액을 통해 식품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식품 조성물은 사람이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음식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사람이 먹고 마시는 것의 총칭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식품 조성물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공지의 부재료, 식품 첨가물 등을 혼합하여 음료, 차, 선식, 면류, 과자류, 육류, 생선류, 나물류, 찌게류 또는 밥류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식품 첨가물로 예를 들어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 당알콜 등의 당류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향미제와, 영양제, 비타민, 식용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증진제(예,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알긴산,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화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가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될 수 있다. 향미제로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의 천연 향미제 및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향미제를 사용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술된 제주 백년초를 이용한 분말 및 후술될 진액을 통해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로션, 크림, 에센스, 팩, 메이컵베이스, 파운데이션, 클렌징오일, 클렌징폼, 헤어오일, 헤어샴프 및 헤어린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의미하는데,
만약,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 팩인 경우 공지의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롤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비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 화이소스테아릴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스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롤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가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세정제인 경우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 아미드, 식물성유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공지된 성분인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 등이 이용할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고, 사용 대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약제 조성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술된 제주 백년초를 이용한 분말 및 후술될 진액을 통해 약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약제 조성물이란, 분말에 용매를 혼합하여 추출물로 획득한 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품 또는 건강식품을 포함하며, 이러한 약제 조성물은 통상의 제형화나 첨가방법에 의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의약품으로 제조시에는 경구 투여 제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 유화제, 활탁제, 점착제, 감미제, 방향제 등을 이용하여 정제, 경질캅셀제, 연질캅셀제, 환제, 과립제, 액제와 같은 경구 투여 제제, 주사제 등으로 제조도 가능하다.
진액 가공방법
상술된 제주 백년초 분말을 이용하여 진액으로 가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분말을 이용하여 진액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2에 따른 제주 백년초를 이용한 진액 가공방법은, 상술된 분말 가공방법으로 획득된 분말을 이용한 것으로, 획득된 분말을 교반하는 분말교반단계(S100); 끓임단계(S200); 첨가단계(S300); 졸임단계(S400); 및 진액획득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2-1) 분말교반단계(S100)
분말교반단계는, 분말획득단계를 통해 획득된 분말을 통상의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는 단계이다.
이때, 교반에는 올리고당(저가당) 및 구연산을 제주 백년초 분말과 혼합하여 교반시킨다.
혼합비율은 무게비를 기준으로, 백년초 분말 75~80중량%, 올리고당 10~20중량% 및 구연산 5~7중량%로 혼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백년초 분말 80중량%, 올리고당 15중량% 및 구연산 5중량%를 사용하도록 한다.
이때, 구연산은 본 발명과 같이 적어도 5중량% 이상을 사용하도록 하는데, 이는 본 발명의 생원료인 제주 백년초 열매 및 줄기가 자체적으로 단맛을 가지면서 올리고당이 혼합됨에 따라, 단맛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며, 구연산을 5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아래와 같이 기호도 평가에서 신맛이 강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기호도 평가는, 20대~50대의 총 30명 패널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각 실험군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중간에 충분히 물로 입을 헹궈 내도록 하고, 충분한 휴식 시간(30분)을 두어 평가를 진행하였다. 평가는 5점 척도를 이용하였으며, 5점으로 갈수록 긍정적인 평가 의견이다.
실험군 1 : 백년초 분말 80중량%, 올리고당 17중량 % 및 구연산 3중량%
실험군 2 : 백년초 분말 80중량%, 올리고당 16중량 % 및 구연산 4중량%
실험군 3 : 백년초 분말 80중량%, 올리고당 15중량 % 및 구연산 5중량%
실험군 4 : 백년초 분말 80중량%, 올리고당 14중량 % 및 구연산 6중량%
구분 의견
실험군 1 단맛이 너무 강하다는 평가의견 (기호도값 : 3.98±0.01)
실험군 2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평이었지만, 고령대 패널에게서 단맛이 강하다는 의견 (기호도값 : 4.25±0.17)
실험군 3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평, 단맛, 신맛이 조화됨
(기호도값 : 4.78±0.14)
실험군 4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평, 다만 신맛이 다소 느껴지나 불편하진 않음
(기호도값 : 4.74±0.04)
이러한 패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구연산은 5중량%로 고정하였다.
이하에서는, 백년초 분말 대비 올리고당의 함량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실험군 3>
백년초 분말 80중량%, 올리고당 15중량 % 및 구연산 5중량%를 혼합하여 진액을 획득하였다.
상기 실험군 3에 따른 진액은, 생원료 중 열매를 이용하였다.
또한, 이하의 비교예는 백년초 분말의 함량과 구연산의 함량을 고정하면서 올리고당의 함량을 1중량%씩 증가시켰다.
즉, 인위적으로 실험군 3을 기준으로, 올리고당의 1중량%에 해당하는 함량을 인위적으로 더 추가한 것이다.
<비교예 1>
실험군 3에 대하여 올리고당을 1중량% 만큼 더 추가하였다. 즉, 백년초 분말 80중량%, 올리고당 16중량 % 및 구연산 5중량%를 혼합하여 진액을 획득하였다.
<비교예 2>
실험군 3에 대하여 올리고당을 2중량% 만큼 더 추가하였다. 즉, 백년초 분말 80중량%, 올리고당 7중량 % 및 구연산 5중량%를 혼합하여 진액을 획득하였다.
<비교예 3>
실험군 3에 대하여 올리고당을 3중량% 만큼 더 추가하였다. 즉, 백년초 분말 80중량%, 올리고당 8중량 % 및 구연산 5중량%를 혼합하여 진액을 획득하였다.
<비교예 4>
실험군 3에 대하여 올리고당을 4중량% 만큼 더 추가하였다. 즉, 백년초 분말 80중량%, 올리고당 9중량 % 및 구연산 5중량%를 혼합하여 진액을 획득하였다.
상술된 실험군 3과 비교예들을 대상으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평가하였고, 평가방법은 통상의 소거능 평가방법을 이용하였다.
구분 실험군 3 비고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DPPH
라디칼 소거능
(mg AA eq/g, 생물 중)

3.27±0.04

2.85±0.01

2.77±0.02

2.76±0.01

2.67±0.04
[표 9]에 기반하였을 때, DPPH 라디칼 소거능에 기반한 항산화 효과는 비교예와 같이 올리고당의 함량을 증가시킬수록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올리고당의 함량의 증가가 오히려 제주 백년초 분말의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올리고당의 함량을 줄이는 경우에 대하여 평가를 수행한 결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효소 저해는 일부 유사했으나, 특히 [표 10]과 같이 Acetylcholiensterase 효소의 저해활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의 평가 역시 생원료 중 열매를 대상으로 하였다.
<비교예 5>
백년초 분말 81중량%, 올리고당 14중량% 및 구연산 5중량%를 혼합하여 진액을 획득하였다.
<비교예 6>
백년초 분말 82중량%, 올리고당 13중량% 및 구연산 5중량%를 혼합하여 진액을 획득하였다.
<비교예 7>
백년초 분말 83중량%, 올리고당 12중량% 및 구연산 5중량%를 혼합하여 진액을 획득하였다.
<비교예 8>
백년초 분말 84중량%, 올리고당 11중량% 및 구연산 5중량%를 혼합하여 진액을 획득하였다.
구분 실험군 3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Acetylcholiensterase
저해활성

57.24±3.47

55.44±1.11

55.01±1.14

54.85±0.8

54.47±1.07
[표 10]에 따르면, 생원료에 올리고당을 혼합하였을 때, Acetylcholiensterase 효소의 저해활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올리고당의 함량을 감소시키고 백년초 분말의 함량을 증가시킴에 의해, 저해활성이 점점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올리고당의 함량을 실험군 3을 기준으로 1중량%씩 증가시켰을 때에도 Acetylcholiensterase 효소의 저해활성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당분으로서 그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Acetylcholiensterase 효소의 저해활성을 오히려 방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2) 끓임단계(S200)
끓임단계는, 상기 분말교반단계를 통해 교반된 조성물 100 중량부를 무게비로 기준하여 물 200 중량부에 혼합한 뒤 끓여주는 단계이다.
2-3) 졸임단계(S300)
졸임단계는, 상기 끓임단계가 수행되어 끓기 시작하면 주기적으로 저어주면서 2~3일 동안 160℃에서 조려주는 단계이다.
2-4) 진액획득단계(S400)
진액획득단계는, 상기 졸임단계가 수행된 후 냉각시켜 포장함으로써 진액을 획득하는 단계이다.
상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S10 : 생원료 손질단계
S20 : 세척단계
S30 : 냉동보관단계
S40 : 동결건조단계
S50 : 파쇄단계
S60 : 채거름단계
S70 : 분말획득단계
S100 : 분말교반단계
S200 : 끓임단계
S300 : 졸임단계
S400 : 진액획득단계

Claims (6)

  1. 오푼타이속(Opuntia) 왕선인장(Opuntia monacantha Haw.)을 타가 수분시켜 수정하고 그 열매를 식재하여 역교배를 반복하여 육성하며, 1) 줄기(Cladode)의 길이는 30 내지 45㎝이고, 너비는 17 내지 18㎝이며, 두께는 0.8 내지 1.2cm까지 자라고, 2) 가시자리 모용의 크기는 0.5 내지 0.6㎝이며 갈색이며, 3) 꽃의 크기는 높이가 7 내지 8㎝이고, 너비는 3 내지 4㎝, 꽃잎의 수는 25 내지 30개이며, 꽃잎에는 2차색이 있는 특징을 가지며 열매 또는 줄기를 이용하여 무성번식 가능한 제주 백년초를 분말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주 백년초를 이용한 가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말의 가공방법은,
    제주 백년초의 열매 또는 줄기를 생원료로서 손질하는 1-1 단계;
    상기 1-1 단계가 종료된 생원료를 세척하는 1-2 단계;
    상기 1-2 단계를 통해 세척된 생원료를 1주일 간 냉동보관하는 1-3 단계;
    상기 1-3 단계에서 냉동된 생원료를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동결건조시키는 1-4 단계;
    상기 1-4 단계가 종료된 생원료를 파쇄하여 분말로 가공하는 1-5 단계;
    상기 1-5 단계를 통해 가공된 분말을 채로 걸러 목적된 크기 이상으로 분쇄된 잔여물을 걸러내는 1-6 단계; 및
    상기 1-6 단계를 통과하여 획득된 분말을, 제주 백년초 분말로서 획득하는 1-7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주 백년초를 이용한 가공방법.
  3. 청구항 1에 기재된 분말을 이용하여 제조된 진액.
  4. 청구항 1 또는 3에 기재된 분말을 이용한 식품 조성물.
  5. 청구항 1 또는 3에 기재된 분말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 또는 3에 기재된 분말을 이용한 약제 조성물.
KR1020210077727A 2021-06-15 2021-06-15 제주 백년초를 이용한 가공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가공된 제품 KR202201681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727A KR20220168117A (ko) 2021-06-15 2021-06-15 제주 백년초를 이용한 가공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가공된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727A KR20220168117A (ko) 2021-06-15 2021-06-15 제주 백년초를 이용한 가공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가공된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117A true KR20220168117A (ko) 2022-12-22

Family

ID=84578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727A KR20220168117A (ko) 2021-06-15 2021-06-15 제주 백년초를 이용한 가공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가공된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811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894B1 (ko) 2002-08-20 2004-10-08 탐라야채마을영농조합법인 제주선인장 추출물을 주원료로 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KR100524097B1 (ko) 2003-08-27 2005-10-26 한국식품연구원 변형 및 변색을 최소화한 건조 접목선인장 및 그 제조방법
KR100622666B1 (ko) 2004-10-01 2006-09-19 주식회사롯데햄.롯데우유 제주 손바닥선인장 열매 착즙액의 제조방법 및 착즙액을함유하는 유제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894B1 (ko) 2002-08-20 2004-10-08 탐라야채마을영농조합법인 제주선인장 추출물을 주원료로 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KR100524097B1 (ko) 2003-08-27 2005-10-26 한국식품연구원 변형 및 변색을 최소화한 건조 접목선인장 및 그 제조방법
KR100622666B1 (ko) 2004-10-01 2006-09-19 주식회사롯데햄.롯데우유 제주 손바닥선인장 열매 착즙액의 제조방법 및 착즙액을함유하는 유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ara et al. Carica papay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nutritional values, phytochemicals 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KR100910747B1 (ko) 항균, 항여드름, 피부진정, 보습 및 피지 조절 활성이 우수한 생약 혼합 추출물
KR101828584B1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1817055B1 (ko) 항산화 및 면역기능 증진 활성을 갖는 덖음차 조성물
CN105166899A (zh) 香味浓郁的果蔬酵素粉的制备方法
KR101717431B1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건강식품조성물
KR101377411B1 (ko)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풀솜대 추출물 또는 장대나물 추출물
Ahmed et al. Himalayan sources of anthocyanins and its multifunctional applications: A review
KR20190061544A (ko) 누에 발효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Naeem et al. Tamarindus indica–A review of explored potentials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Hassani Moghaddam et al. Medicinal properties of pomegranate
KR20170115873A (ko) 과실과 구근을 혼합한 즙의 제조방법
KR20220168117A (ko) 제주 백년초를 이용한 가공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가공된 제품
KR101063351B1 (ko)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KR101615923B1 (ko) 거북꼬리, 바디나물 및 우엉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피부알러지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889492B1 (ko) 처진뽕나무, 자두나무, 및 큰달맞이꽃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Baiyeri et al. Diversity, food, nutrition and medicinal importance of some selected less-known African indigenous tropical plant species: advocacy for global research attention.
KR20170095435A (ko) 봄맞이 추출물, 정금나무 추출물 및 많첩빈도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항산화 활성 조성물
KR102520908B1 (ko) 영여자 숙성액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영여자 숙성액
Moghadam et al. Medicinal properties of pomegranate
Allai et al. Black Currant
KR20190120860A (ko) 무화과잎 주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06981B1 (ko) 항산화 및 항염 활성을 가지는 개구리발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561258B1 (ko) 커먼자스민, 흰버드나무껍질 및 가지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