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8076A -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8076A
KR20220168076A KR1020210077645A KR20210077645A KR20220168076A KR 20220168076 A KR20220168076 A KR 20220168076A KR 1020210077645 A KR1020210077645 A KR 1020210077645A KR 20210077645 A KR20210077645 A KR 20210077645A KR 20220168076 A KR20220168076 A KR 20220168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information
vehicle
danger
dangerous situation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9613B1 (ko
Inventor
홍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노플랫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노플랫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노플랫폼
Priority to KR1020210077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613B1/ko
Publication of KR20220168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5Monitoring making use of different thresholds, e.g. for different alarm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60W2050/0004In digital systems, e.g. discrete-time systems involving sampling
    • B60W2050/0005Processor details or data handling, e.g. memory registers or chip archite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43Signal treatments, identification of variables or parameters, parameter estimation or state estimation
    • B60W2050/0052Filter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8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차량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차량의 주변에 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차량의 주변에 위험 상황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복수의 디바이스 중 상기 위험 상황을 나타내는 알람을 제공받을 대상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디바이스에 상기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an alarm}
본 발명은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차량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해당 차량의 주변에 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주변의 위험 상황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위험 상황이 있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이와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는 알람을 대상 디바이스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센서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차량 내부 및 외부에 복수의 센서를 설치하여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 전/후/측면에 위치한 차량 간의 거리, 차선 침범 알림 등의 센싱 정보를 센서로부터 획득하여 제공하거나, 차량이 주정차 된 경우 접촉 및 충돌 감지 등의 센싱 정보를 센서로부터 획득하여 제공하는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이용하여 각종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차량 이용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편의성 향상에도 불구하고 종래 수행되는 차량에 대한 센싱 정보는 단일 차량에 한정된 정보로써 획득되며 센서의 센싱 범위에 대해서만 센싱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센싱 범위가 비교적 좁아 센싱 범위를 초과한 범위에서 해당 차량에 대해 예상되는 사고(예: 센싱 범위 밖에서 접근하는 이동체 등) 에 대한 알람은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해당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보험 처리를 위해 차량에 등록된 보험사에 사고를 입증할 수 있는 각종 서류 및 정보를 차주가 직접 수집하여 보험사에 제출해야 하는 종래의 불편함이 존재하고 있으나, 종래 제공되고 있는 센서 기술은 차량과 관련된 사고 정보를 획득, 알람의 형태로 제공할 뿐 해당 사고 정보를 보험사에 제공하는 등의 기능은 제공되지 않고 있으며, 센서마다 상이한 방식으로 사고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통합된 사고 정보 및 이에 대한 알람을 제공 받는 기능 또한 제공되지 않고 있어, 상술한 문제점들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906775호 (2018.10.02)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감지 장치 및 방법 등록특허 제10-0963143호 (2010.06.04) 위험물 수송차량의 관제를 위한 위험관제시스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일 차량에 설치된 센서의 센싱 범위의 한계에 따라 예측 불가능한 사고 위험에 대해서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해당 차량과 인접한 범위에 존재하는 차량들의 센싱 정보를 획득, 처리하여 종래 센싱 범위의 한계를 극복하여 효과적인 사고 예방을 도모하고자 하며, 차량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획득된 사고 정보를 통합된 정보로써 제공함과 동시에 보험사에 해당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험 처리를 위해 사고 정보를 직접 수집, 가공해야 하는 종래 불편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차량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차량의 주변에 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차량의 주변에 위험 상황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복수의 디바이스 중 상기 위험 상황을 나타내는 알람을 제공받을 대상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디바이스에 상기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 디바이스는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한 위치로부터 기설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인접 차량에 포함된 빌트인 디바이스 및 상기 인접 차량에 대응되는 계정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험 상황에 대한 정보 제공 요청을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험 상황에 대응되는 위험 센싱 정보를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위험 센싱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험 센싱 정보를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제공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 상황에 대응되는 위험 발생 위치, 위험 상황 종류 및 위험 발생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위험 발생 위치, 상기 위험 상황 종류 및 상기 위험 발생 시간에 대응되는 상기 위험 센싱 정보를 상기 센싱 정보로부터 필터링하여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험 센싱 정보는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위험 상황 종류는 상기 영상에 대한 영상 인식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험 상황에 대한 위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위험 상황에 대응되는 위험 센싱 정보의 저장 유지 기간을 상기 위험 레벨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알람을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차량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차량의 주변에 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수신부;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차량의 주변에 위험 상황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복수의 디바이스 중 상기 위험 상황을 나타내는 알람을 제공받을 대상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대상 디바이스에 상기 알람을 제공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위험 상황에 대한 정보 제공 요청을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위험 상황에 대응되는 위험 센싱 정보를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위험 센싱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보 제공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 상황에 대응되는 위험 발생 위치, 위험 상황 종류 및 위험 발생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위험 발생 위치, 상기 위험 상황 종류 및 상기 위험 발생 시간에 대응되는 상기 위험 센싱 정보를 상기 센싱 정보로부터 필터링하여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제 1 측면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감지된 차량 내/외부 위험 상황을 감지, 판단하고 위험 상황 존재 시 다수의 출력 수단을 통해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또는 사용자가 주변 상황에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는 상황이더라도 차량 주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을 센서를 통해 인식하여 위험 상황에 대한 알람을 운전자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위험 상황의 근거가 되는 구체적인 위협 요소를 관제하여 각각의 위험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제공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차량의 주변에 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변에 대한 센싱 정보 이용하여 다른 차량의 위험 상황 여부를 결정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위험 상황을 나타내는 알람을 제공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제공 서버의 운용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 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제공 서버(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알람 제공 서버(100)는 수신부(110), 프로세서(120) 및 송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10)는 하나 이상의 차량(200)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하나 이상의 차량(200)의 주변에 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200)에 포함된 센서는 적외선 센서, 이미지 센서, 광 센서, 진동 센서, 가스 센서 및 온도 센서 등 복수개의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주변(예: 차량 내/외부를 포함하여 주행 중 또는 주정차 중인 차량과 인접한 영역)에 대한 센싱 정보는 주행 중인 차량(200)(예: 자율주행 차량)의 충돌 감지, 차선 감지 및 차량(200) 간 거리 감지, 전방 사고 감지, 교통량 감지, 화재 상황(유독가스) 감지, 응급 차량 감지, 빙결 감지, 강풍 감지 등의 위험 상황과, 주정차된 차량(200)의 충돌 및 부품 파손 감지, 접근하는 이동체(310) 감지, 발화 감지 등의 위험 상황 및 안전 사고 발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복수개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정보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차량(200)의 주변에 위험 상황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상황은 해당 차량(200)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기설정 속도 이상 빠르게 접근하는 이동체(310)가 감지되거나, 차량(200)과 인접한 물체 간의 거리가 기설정 거리 이하로 가까워지거나, 차선을 이탈하여 주행하거나 차량(200) 내부 온도가 기설정 온도 이상으로 높거나, 산사태와 같은 재해가 예상되는 지역을 통과하도록 이동 경로가 설정되어 있거나, 사고 발생 지역이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거나 기상 상태에 따라 주행에 위험이 예상되는 상황 등 차량(200)에 대한 다양한 종류의 사고가 예상되거나 발생된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 정보에 따라 사고가 예상되거나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난 경우 프로세서(120)는 차량(200)의 주변에 위험 상황이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이러한 위험 상황을 나타내는 알림을 제공받을 대상 디바이스를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바이스는 복수의 차량과 대응되도록 알람 제공 서버(100)에 정보가 기등록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일 수 있고, 대상 디바이스는 복수의 차량 중 하나 이상의 차량(200)과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대상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위험 상황이 발생한 위치로부터 기설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인접 차량(200)에 포함된 빌트인 디바이스(예: HUD 또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등) 및 인접 차량(200)에 대응되는 계정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대상 차량(200)의 주변에 위험 상황이 있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위험 상황을 나타내는 알람(예: 사고 발생 알람, 사고 예상 알람 등)을 대상 디바이스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위험 상황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수신부(110)는 위험 상황에 대한 정보 제공 요청을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프로세서(120)는 위험 상황에 대응되는 위험 센싱 정보를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는 차량(200)에 대한 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험사 서버일 수 있다. 종래에는 차량(200)에 대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차량(200)에 대한 보험 처리를 위해 사용자는 사고와 관련된 정보를 직접 수집하여 보험사에 제공해야만 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고와 관련된 정보를 직접 수집하기는 매우 번거로우며 필요에 따라서는 보험사 측에서 요구하는 조건에 맞춰 정보를 가공하는 절차가 필요할 수도 있어 이에 대한 불편함이 존재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위험 상황에 대응되는 위험 센싱 정보를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프로세서(120)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위험 센싱 정보를 송신부(130)를 통해 외부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상황이 차량(200)의 추돌 상황인 것으로 결정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추돌 상황에 대응되는 진동 센싱 정보, 충격 센싱 정보, 영상 정보, 파손 정보 등이 포함된 위험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 제공 요청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에 대응되는 위험 발생 위치, 위험 상황 종류 및 위험 발생 시간을 결정하고, 위험 발생 위치, 위험 상황 종류 및 위험 발생 시간에 대응되는 위험 센싱 정보를 센싱 정보로부터 필터링하여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기준값을 이용해 복수로 존재하는 센싱 정보를 필터링하여 위험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기설정된 기준값은 센싱 정보로부터 위험 센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값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차량(200)을 향해 접근하는 이동체(310)의 빠르기 및 거리, 차선이 센싱되지 않는 시간 또는 차선이 센싱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센싱 정보가 획득되는 횟수, 차량 내부의 온도, 재해 예상 지역 또는 사고 발생 지역과의 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센싱 정보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거나 기준값에 미달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센싱 정보로부터 위험 센싱 정보를 획득하여 송신부(130)를 통해 이를 외부 서버에 제공함으로써 종래 사용자가 겪었던 번거로움을 해결함과 동시에 사고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최소화하여 보험 처리 진행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위험 센싱 정보는 영상을 포함할 수 있고, 위험 상황 종류는 영상에 대한 영상 인식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인식 알고리즘은 상술한 사고들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서버 또는 디바이스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더하여,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알람 제공 서버(1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람 제공 서버(100)는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알람을 획득하거나 제공하는 관제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를 경우,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생략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 의해 이용될 수 있고,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터치 스크린 패널이 구비된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알람 제공 서버(10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동작하는 컴퓨터 등의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제공 서버(100)는 알람 제공 디바이스(미도시) 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제공 서버(100)는 알람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각 구성을 참조하여 전술한 내용은 아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차량(200)의 주변에 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차량(200)의 주변에 대한 센싱 정보는 제 1 차량(210), 제 2 차량(220) 및 제 3 차량(230)의 주변에 대한 센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일 예에 따라 주차장 내에 제 1 차량(210), 제 2 차량(220) 및 제 3 차량(230)이 주정차 된 경우, 수신부(110)는 제 1 차량(210)의 주변, 제 2 차량(220)의 주변 및 제 3 차량(230)의 주변에 대한 센싱 정보를 각각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차량(210), 제 2 차량(220) 및 제 3 차량(230)은 알람 제공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알람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제 1 계정, 제 2계정 및 제 3 계정과 대응되는 차량(200)일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각 차량(200)들은 서로 인접한 영역에 주정차 되거나 인접한 영역에서 주행중인 경우 각 차량(200)의 주변에 대한 센싱 정보는 상호 중첩된 영역에 대한 센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알람 제공 서버(100)는 상호 인접한 차량(200)들로부터 획득된 센싱 정보를 통합 센싱 정보로써 각 차량(200) 및 각 차량(200)에 대응되는 대상 디바이스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알람 제공 서버(100)는 상호 인접한 차량(200)들로부터 획득한 센싱 정보를 각 차량(200) 및 차량(200)과 대응되는 대상 디바이스 간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차량(200)의 센싱 영역에 대한 사각지대가 최소화되어 더욱 효율적인 안전 관리가 가능해진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 1 차량(210) 내지 제 3 차량(230)으로부터 획득된 센싱 정보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통합되어 각 차량(200)들이 위치한 영역에 대한 센싱 정보를 나타내는 제 1 영역(240)에 대한 센싱 정보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영역(240)에 대한 센싱 정보에 따라 현재 제 1 영역(240)에 차량(200) 간 추돌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나타난 경우, 알람 제공 서버(100)는 제 1 영역(240)을 통과할 예정이거나, 제 1 영역(240)과 인접한 영역에 위치한 제 4 차량 및 제 4 차량과 대응되는 대상 디바이스에 추돌 사고 발생 상황 및 사고 발생 영역을 나타내는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사고 발생 여부 및 영역을 나타내는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다른 차량(200) 및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알람 제공 서버(100)는 제 1 영역(240)에 대한 센싱 정보 및 제 1 영역(240)과 상이한 위치에 있는 제 2 영역에 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하고, 각 영역에 대한 센싱 정보를 비교하여 교통 혼잡도가 더 낮은 영역 또는 사고 발생율이 더 낮은 영역 등 원활하고 안전한 주행이 가능한 영역을 통과하는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 1 영역(240) 및 제 2 영역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제 1 영역(240) 및 제 2 영역을 우회할 수 있는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알람 제공 서버(100)는 결정된 경로를 나타내는 알람을 제 1 영역(240) 및 제 2 영역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할 예정인 차량(200) 및 차량(200)과 대응되는 대상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는 불편이 최소화된 최적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파악해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200)의 주변에 대한 센싱 정보 이용하여 다른 차량(200)의 위험 상황 여부를 결정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알람 제공 서버(100)는 제 2 차량(220)의 주변에 대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차량(210)의 주변에 위험 상황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차량(220)의 주변에 대한 센싱 정보에 따라, 제 2 차량(220)의 주변에서 제 1 차량(210)이 위치한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이동체(310)가 센싱되는 경우 제 1 차량(210) 및 제 1 차량(210)에서 하차 중인 사람과 충돌할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하지만, 제 1 차량(210)에 대한 센싱 범위의 한계에 따라 해당 이동체(310)가 제 1 차량(210)에 대한 센싱 범위에 아직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제 1 차량(210)에 대한 센싱 정보로부터는 해당 이동체(310)가 감지되지 않을 수 있어 이러한 위험 상황에 대한 알람을 제공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알람 제공 서버(100)는 제 2 차량(220)의 주변에 대한 센싱 정보에 따라 제 2 차량(220)의 주변에서 제 1 차량(210)이 위치한 방향으로 기설정 속도 이상 빠르게 이동하는 이동체(310)가 감지된 경우, 제 2 차량(220)의 주변에 대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차량(210)의 위험 상황이 예상된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알람을 제 1 차량(210) 및 제 1 차량(210)과 대응되는 대상 디바이스에 제공하여 제 1 차량(210)에 대해 감지되지 않은 위험 상황에 대해서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대상 디바이스는 위험 상황이 발생한 위치로부터 기설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인접 차량(200)에 포함된 빌트인 디바이스(예: HUD, 차량용 디스플레이 등) 및 인접 차량(200)에 대응되는 계정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위험 상황을 나타내는 알람을 제공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S410에서 알람 제공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차량(200)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하나 이상의 차량(200)의 주변에 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 정보는 차량(200)의 위치에서 기설정 범위 또는 센서의 센싱 범위 내에 대한 위험 상황을 센싱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알람 제공 서버(100)는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차량(200)의 주변에 위험 상황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상황은 해당 차량(200)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기설정 속도 이상 빠르게 접근하는 이동체(310)가 감지되거나, 차량(200)과 인접한 물체 간의 거리가 기설정 거리 이하로 가까워지거나, 차선을 이탈하여 주행하거나 차량(200) 내부 온도가 기설정 온도 이상으로 높거나, 산사태와 같은 재해가 예상되는 지역을 통과하도록 이동 경로가 설정되어 있거나, 사고 발생 지역이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거나 기상 상태에 따라 주행에 위험이 예상되는 상황 등 차량(200)에 대한 다양한 종류의 사고가 예상되거나 발생된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알람 제공 서버(100)는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200) 주변에 위험 상황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차량(200) 주변에 위험 상황이 있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알람 제공 서버(100)는 위험 상황에 대한 위험 레벨을 결정할 수 있고, 위험 상황에 대응되는 위험 센싱 정보의 저장 유지 기간을 위험 레벨에 따라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험 레벨은 위험 상황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데, 주행 중 차량 운전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상황이거나 차량 파손 등에 영향을 가장 크게 끼치는 상황인, 차선을 이탈하여 주행하는 상황, 재해가 예상되는 지역을 통과하는 이동 경로가 설정된 상황, 사고 발생 지역이 예상 경로 상에 존재하는 상황, 차량(200)과 인접한 물체 간의 거리가 기설정 거리 이하로 가까워지는 상황 및 기상 상태(예: 도로 빙결 등) 등에 위험 정도가 가장 높은 레벨인 제 1 레벨로 위험 레벨이 결정될 수 있고, 기설정 속도 이상 빠르게 접근하는 이동체(310)가 감지되는 상황, 차량(200)에 대한 기설정값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는 상황 등은 사용자의 생명에 비교적 영향이 적은 대신 차량 파손 등의 사고 위험이 높다고 볼 수 있어 위험 정도가 중간인 제 2 레벨로 위험 레벨이 결정될 수 있고, 차량 내부 온도가 기설정 온도 이상인 상황, 기설정된 경로를 이탈한 상황 등은 사용자의 생명에 비교적 영향이 적을 뿐더러 주행 중 운전자의 조작 등으로 어느정도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해당 상황들은 제 2 레벨보다 낮은 제 3 레벨로 위험 레벨이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결정되는 위험 레벨은 차량(200)이 주행 중인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나 주정차 된 차량에 대해서는 적용하기에 다소 적절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주정차 된 차량에 대해서는 위험 레벨이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정차 된 차량에 있어서, 차량(200)과 인접한 물체 간의 거리가 기설정 거리 이하로 가까워지는 상황(예: 오토바이 등이 차량(200) 운전자가 하차하는 범위로 접근하는 상황 등), 기설정 속도 이상 빠르게 접근하는 이동체(310)가 감지되는 상황, 차량(200)에 대한 기설정값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는 상황 등은 하차하는 차량 운전자의 생명에 위협이 되거나 차량 파손 위험이 크다고 볼 수 있어 이러한 상황들에는 제 1 레벨로 위험 레벨이 결정될 수 있고, 차량 내부 온도가 기설정 온도 이상인 상황은 차량 내부 온도를 원격 제어하는 등의 대응이 가능하고, 차량(200) 주행 전 재해가 예상되는 지역을 통과하는 이동 경로가 설정된 상황, 사고 발생 지역이 예상 경로 상에 존재하는 상황 및 기상 상태에 대해서는 주행을 시작하기 전까지는 위험한 정도가 다소 낮다는 점에서 해당 상황들에 제 2 레벨로 위험 레벨이 결정될 수 있고, 주정차 된 상황이기 때문에 차선을 이탈하여 주행하는 상황은 특수한 상황을 제외하고서는 해당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해당 상황에 제 3 레벨로 위험 레벨이 결정될 수도 있다.
알람 제공 서버(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위험 레벨을 위험 상황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하고, 제 1 레벨, 제 2 레벨 및 제 3 레벨의 순서에 따라 위험 센싱 정보의 저장 유지 기간을 길게 결정할 수 있어, 위험 레벨이 높은 위험 상황에 대응되는 위험 센싱 정보를 오래 저장하여 보험사 서버에 제공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사고 사실을 입증할 수 있는 등, 사고와 관련성이 높은 정보를 오래 저장함으로써 클라우드 서버의 용량 관리 등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람 제공 서버(100)는 대상 차량과 인접한 차량(200)에 대한 위험 센싱 정보 또는 위험 상황 레벨 정보가 저장 유지 기간 내에서 저장되고 있는 경우, 이를 대상 차량과 관련된 사용자 디바이스 등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알람 제공 서버(100)는 저장 유지 기간에 따라 차량(200)에 대한 위험 센싱 정보 또는 위험 상황 레벨 정보가 저장 중인 경우, 차량(200)과 관련된 사용자 디바이스 등에 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알람 제공 서버(100)는 저장 중인 정보에 기초하여 알람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잠재적 위험이 있는 차량 또는 상황에 대해서도 좀 더 유의하도록 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운행을 지원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알람 제공 서버(100)는 복수의 디바이스 중 위험 상황을 나타내는 알람을 제공받을 대상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 있고, 단계 S440에서는 대상 디바이스에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람 제공 서버(100)는 위험 상황이 발생한 위치로부터 기설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인접 차량(200)에 포함된 빌트인 디바이스 및 인접 차량(200)에 대응되는 계정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대상 디바이스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험 상황이 발생된 위치에 인접한 차량(200)의 내부 및 주정차 된 차량의 차주에게 위험 상황을 나타내는 알람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위험 상황에 대해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제공 서버(100)의 운용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알람 제공 서버(100)는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및 관제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고, 클라우드 서버 및 관제 시스템을 통해 알람 제공을 위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는 센싱 정보 또는 위험 센싱 정보를 차량(200, 송신부)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센싱 정보 자체를 제공받는 경우는 관제 시스템의 위험 상황 판단 알고리즘을 통해 센싱 정보로부터 위험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관제 시스템은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센싱 정보를 제공 받고,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위험 센싱 정보에 따라 알람을 대상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관제 시스템을 통해 알람을 제공하는 경우는 차량(200)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위험 센싱 정보를 획득하여 알람을 제공하는 방식과 통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서비스에 가입된 계정의 수가 적은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알람 제공 서비스는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고객의 디바이스(예: 대상 디바이스)에 제공하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위험 상황을 나타내는 알람 및 위험 상황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알람 제공 서비스는 보험사 서버와의 실시간 통신 환경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센싱 정보에 따른 위험 센싱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이를 보험사 서버에 제공하여 사고 접수 및 사고 증거 자료 제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사고 접수 및 사고 증빙을 위해 사고 관련 자료를 수집, 제출해야 하는 종래의 불편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시스템은 센싱 정보로부터 획득된 위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험 상황을 나타내는 알람을 대상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차량(200)으로부터 획득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 여부를 결정하거나 위험 센싱 정보를 획득하고, 이와 관련된 알람을 대상 디바이스에 제공함과 동시에 보험사 서버에 사고 접수 및 사고 사실을 입증할 수 있어, 사용자는 종래 위험 상황에 대한 알람을 효과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고, 보험 처리를 위한 번거로운 종래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람 제공 서버(100)는 차량(200)이 주행 중인 경우 센싱 정보에 따른 차량(200)의 움직임 정보, 차선 감지 정보, 차량(200)에서 감지된 진동 크기 및 차량(200) 내부의 온도 순서로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부여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200)이 주행 중인 경우에는 차량(200)과 인접한 다른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 속도 이상으로 빠르면 차선을 변경하는 중 이를 인지하지 못해 충돌할 수 있고, 인접한 다른 차량이 해당 차량(200)을 추월하거나 차량의 전면에서 급정거하는 경우 매우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차량(200)과 인접한 다른 차량이 기설정 거리 이하로 접근하게 되는 경우 역시 충돌 사고 등의 위험이 매우 높다고 볼 수 있기 ‹š문에 차량(200)의 움직임 정보에 가장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차선 감지 정보에 따라서 차량(200)이 주행 중 차선을 이탈하는 경우 졸음 운전 또는 음주 운전 등의 상황일 수 있거나, 차량(200) 운전자의 신변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따른 사고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볼 수 있어 차선 감지 정보에 2순위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주행 중인 차량(200)에서 감지된 진동의 크기가 기설정 값 이상으로 큰 경우 충돌 사고 발생 상황으로 볼 수 있으나 차량의 움직임 정보 또는 차선 감지 정보와 같이 사고 발생을 예방하기 보다 사고 발생 상황과 같은 위험 정보를 알리기 위한 정보에 적합하며, 사고 예방보다 중요도가 다소 낮다는 점에서 진동의 크기에 3순위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고, 차량(200) 내부 온도가 높거나 낮은 정도에 따라서 차량(200)의 화재 상황 또는 기능 이상 등 주행 중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이에 대해 차량(200) 운전자가 어느정도 대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량(200) 내부 온도에 4순위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차량(200)이 주행 중이 아닌 주정차 중인 경우 위험 상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부여되는 가중치의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람 제공 서버(100)는 차량(200)이 주정차된 경우 센싱 정보에 따른 차량(200)에서 감지된 진동 크기, 차량(200)의 움직임 정보, 차량(200)의 내부 온도 및 차선 감지 정보의 순서로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부여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200)이 주정차된 경우에는 차량(200) 운전자가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충돌 사고, 접촉 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기 때문에 위험 상황이 발생했다는 것을 신속하게 알리기 위해 진동 크기에 가장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차량(200)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서 해당 차량(200)이 이동되는 경우 차량(200)이 견인되거나 충돌 등에 의해 이동되었다고 볼 수 있어 차량(200)의 움직임 정보에 2순위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고, 차량(200) 내부 온도가 기설정 값 이상으로 높은 경우 차량(200) 내부에 화재가 발생했거나 지나치게 온도가 높아 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차량(200) 내부 온도에 3순위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차선 감지 정보는 차량(200)이 주정차된 상황에서는 그 정보의 중요도가 낮고, 움직임 정보에 의해 주차선 이탈 등의 상황을 어느정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차선 감지 정보에 4순위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알람 제공 서버(100)는 차량(200)이 주행 중 또는 주정차된 경우에 따라서 위험 상황을 결정하기 위한 가중치를 상이하게 결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을 결정함으로써 차량(200)의 상태에 따라 더욱 위험한 상황에 대한 알람을 제공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해지고 사고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제공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0) 및/또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제공 서버(100)를 설명하기 위한 필수적인 구성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디스플레이(미도시) 등 발명에 해당하는 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종래의 여러 구성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도 1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0)에 의한 실행 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0)가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프로그램 내지 명령은 메모리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서버의 리소스를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장치의 리소스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미들 웨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0)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 명령)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본 개시와 관련된 다양한 연산, 처리, 데이터 생성, 가공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데이터 등을 메모리로부터 로드하거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알람 제공 서버(1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additionally) 또는 대체적으로(alternatively),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알람 제공 서버
110: 수신부
120: 프로세서
130: 송신부
200: 차량 210: 제 1 차량
220: 제 2 차량 230: 제 3 차량
240: 제 1 영역
310: 이동체

Claims (10)

  1.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차량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차량의 주변에 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차량의 주변에 위험 상황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복수의 디바이스 중 상기 위험 상황을 나타내는 알람을 제공받을 대상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디바이스에 상기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디바이스는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한 위치로부터 기설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인접 차량에 포함된 빌트인 디바이스 및 상기 인접 차량에 대응되는 계정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상황에 대한 정보 제공 요청을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험 상황에 대응되는 위험 센싱 정보를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위험 센싱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센싱 정보를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제공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 상황에 대응되는 위험 발생 위치, 위험 상황 종류 및 위험 발생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위험 발생 위치, 상기 위험 상황 종류 및 상기 위험 발생 시간에 대응되는 상기 위험 센싱 정보를 상기 센싱 정보로부터 필터링하여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센싱 정보는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위험 상황 종류는 상기 영상에 대한 영상 인식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상황에 대한 위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위험 상황에 대응되는 위험 센싱 정보의 저장 유지 기간을 상기 위험 레벨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알람을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차량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차량의 주변에 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수신부;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차량의 주변에 위험 상황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복수의 디바이스 중 상기 위험 상황을 나타내는 알람을 제공받을 대상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대상 디바이스에 상기 알람을 제공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서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위험 상황에 대한 정보 제공 요청을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위험 상황에 대응되는 위험 센싱 정보를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위험 센싱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에 제공하는, 서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보 제공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 상황에 대응되는 위험 발생 위치, 위험 상황 종류 및 위험 발생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위험 발생 위치, 상기 위험 상황 종류 및 상기 위험 발생 시간에 대응되는 상기 위험 센싱 정보를 상기 센싱 정보로부터 필터링하여 획득하는, 서버.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77645A 2021-06-15 2021-06-15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659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645A KR102659613B1 (ko) 2021-06-15 2021-06-15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645A KR102659613B1 (ko) 2021-06-15 2021-06-15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076A true KR20220168076A (ko) 2022-12-22
KR102659613B1 KR102659613B1 (ko) 2024-04-23

Family

ID=84578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645A KR102659613B1 (ko) 2021-06-15 2021-06-15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61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143B1 (ko) 2008-01-16 2010-06-15 (주)위니텍 위험물 수송차량의 관제를 위한 위험관제시스템
KR20130140331A (ko) * 2012-06-14 2013-12-24 백상은 차량 사고 관리 장치 및 차량 사고 관리 방법
KR20140024084A (ko) * 2012-08-17 2014-02-28 안태영 교통 사고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906775B1 (ko) 2018-06-05 2018-12-0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90126024A (ko) * 2019-08-23 2019-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통 사고 처리 장치 및 교통 사고 처리 방법
KR20200107023A (ko) * 2019-03-05 2020-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안전주행 지원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143B1 (ko) 2008-01-16 2010-06-15 (주)위니텍 위험물 수송차량의 관제를 위한 위험관제시스템
KR20130140331A (ko) * 2012-06-14 2013-12-24 백상은 차량 사고 관리 장치 및 차량 사고 관리 방법
KR20140024084A (ko) * 2012-08-17 2014-02-28 안태영 교통 사고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906775B1 (ko) 2018-06-05 2018-12-0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200107023A (ko) * 2019-03-05 2020-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안전주행 지원 장치 및 방법
KR20190126024A (ko) * 2019-08-23 2019-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통 사고 처리 장치 및 교통 사고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9613B1 (ko) 202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64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ra-vehicle pedestrian and infrastructure communication
EP3523155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vehicle collisions
CN102656613B (zh) 使用眼睛注视技术、盲点指示器和驾驶员经验的预测人机接口
CN102398554B (zh) 车辆安全系统和方法
US11851077B2 (en) Secondary disengage alert for autonomous vehicles
KR102027921B1 (ko) 텔레매틱스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80018869A1 (en) Autonomous Police Vehicle
US201702134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distributing hazard data by a vehicle
KR101656302B1 (ko) 사고 방지 및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N110060465B (zh) 一种用于车辆行人交互系统的交互方法及交互系统
CN111284427A (zh) 基于货物掉落检测的车辆控制方法和系统
US20200005562A1 (en) Method for ascertaining illegal driving behavior by a vehicle
KR102505298B1 (ko) 역주행 감지시스템
KR20210026248A (ko) 차량 사고 통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68076A (ko)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US20220297688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blind spot collision based on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KR102249089B1 (ko) 속도 프로파일 분석에 의한 사고 영상 선별 방법
KR102249091B1 (ko) 속도 프로파일 분석에 의한 사고 영상 선별 방법
KR20230072925A (ko) 자율 주행 차량, 그를 원격 제어하는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N219302678U (zh) 车辆避障装置及车辆避障设备
KR102602500B1 (ko)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20160008377A (ko) 차량 사고 자동 통보 시스템 및 방법
US20230059772A1 (en) Autonomous vehicle and method for autonomous vehicle travel
EP3499482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parking a vehicle
US11016190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erimeter crossover dtection about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