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440A - 피로회복 및 수면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섭취방법 - Google Patents

피로회복 및 수면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섭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7440A
KR20220167440A KR1020210076284A KR20210076284A KR20220167440A KR 20220167440 A KR20220167440 A KR 20220167440A KR 1020210076284 A KR1020210076284 A KR 1020210076284A KR 20210076284 A KR20210076284 A KR 20210076284A KR 20220167440 A KR20220167440 A KR 20220167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supplement
weight
parts
supplement composition
composition con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욘드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욘드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욘드푸드
Priority to KR1020210076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7440A/ko
Publication of KR20220167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4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12Carnit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26Isoleuc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28Leuc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3Lys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32Methion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38Phenylalan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48Threon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5Tryptoph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54Val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61Magnesi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8Vitamin 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섭취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을 2 내지 4g을 섭취하고 약 10 내지 18시간 후에, 길초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2 내지 4g을 섭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섭취방법은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피로회복 및 수면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피로회복 및 수면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섭취방법 {HEALTH ASSISTANCE FOOD COMPOSITION SHOWING THE EFFECT OF FATIGUE RECOVERY AND SLEEP IMPROVEMENT AND INTAKE METHOD OF THE COMPOSITION}
본 발명은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섭취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피로회복 및 수면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섭취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루어진 연구결과에 따르면, 수면은 기억과 학습, 대사조절 및 체중, 안전사고(졸음운전, 근로사고 등), 기분(우울증, 활력 저하), 심혈관 건강, 질환(면역력 저하, 암 저항력 저하, 비만 및 당뇨 유도 등) 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숙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불면증과 같은 수면장애를 개선하고 숙면을 취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개인의 건강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다.
그러나, 현대인들은 바쁜 생활패턴이나 스트레스로 인해, 불안감과 초조함을 호소하며 이로 인해 수면장애를 겪고 있다. 통계에 의하면 성인의 약 15%가 불안증상에 의한 불면증으로 인해 약물 치료가 필요한 실정이며, 나이가 많아질수록 불면증 환자는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불면증의 원인으로는 스트레스, 지나친 걱정, 긴장, 공포 및 음식 등 다양하며, 치료약물로는 벤조디아제핀 계열의 약물과 세로토닌 효능약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약물들은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내성 및 의존성이 형성되는 부작용이 심하여, 초기 또는 일시적 불안과 불면을 호소하는 수험생이나 운동선수 및 근로자들이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수면제 장기복용자 및 제한자의 경우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수단으로 천연성분의 수면보조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선진국에서는 수면제를 대체하거나 줄일 수 있는 수면 증진 건강기능식품의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973937호(2019.04.24) 한국특허등록 제10-2113583호(2020.05.15)
본 발명의 목적은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피로회복 및 수면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섭취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타우린, L-카르니틴, 아미노산 혼합물, 비타민C 및 복분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은 타우린 100 중량부, L-카르니틴 45 내지 55 중량부, 아미노산 혼합물 30 내지 40 중량부, 비타민C 30 내지 35 중량부 및 복분자 15 내지 2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아미노산 혼합물은 페닐알라닌, 메싸이오닌, 라이신, 트레오닌, 트립토판, 발린, 류신, 아이소류신 및 히스타틴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에는 상기 타우린 100 중량부 대비 국화 추출물 및 미선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첨가제 3 내지 5 중량부가 더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길초근, 호프, L-테아닌, 마그네슘 및 캐모마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초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길초근이 함유된 간강보조식품 조성물은 길초근 100 중량부, 호프 50 내지 60 중량부, L-테아닌 70 내지 80 중량부, 마그네슘 70 내지 80 중량부 및 캐모마일 40 내지 5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길초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에는 상기 길초근 100 중량부 대비 편백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가 더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2 내지 4g을 섭취하고 약 10 내지 18시간 후에, 상기 길초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2 내지 4g을 섭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의 섭취방법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섭취방법은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피로회복 및 수면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을 보관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보관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은 타우린, L-카르니틴, 아미노산 혼합물, 비타민C 및 복분자로 이루어지며, 타우린 100 중량부, L-카르니틴 45 내지 55 중량부, 아미노산 혼합물 30 내지 40 중량부, 비타민C 30 내지 35 중량부 및 복분자 15 내지 2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우린은 본 발명에 따른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의 주재료가 되는 성분으로 식물을 제외한 대부분의 생물에 존재하며 심장, 폐, 간, 뇌, 골수 등의 모든 장기와 조직에 널리 존재하고 생명 활동의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아미노산의 하나로, 우리 몸에서 합성가능한 아미노산으로 보통 소화작용에 관여하여 활성산소를 억제하며 피로회복 효과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타우린은 문어, 오징어, 조개류 등에 다량 함유되어 있지만 자연에서 추출된 타우린은 강화제로서 식품으로 분류되는 제품도 포함되어 있으며, 그 효능부분을 살피면, 효소의 작용을 도와 간 담즙산 분비촉진과 간 세포의 재생 촉진 작용, 알코올 분해를 돕고 간장의 부담을 경감시켜 간 기능을 향상시키고, 콜레스트롤 감소효과로 동맥 경화를 예방하며, 교감 신경의 과도한 작용을 억제하고, 눈의 망막 보호, 부종 예방, 변비 예방, 유아의 뇌발달 및 치매를 예방하는데도 효과적이다.
상기 L-카르니틴은 45 내지 55 중량부가 함유되며, 체내에서 리신과 메티오닌으로부터 생합성되는 내인성 물질로, 세포질로부터 지방산을 미토콘드리아로 운반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 특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L-카르니틴은 인체의 정상적인 에너지 발생과 지방대사를 위해 필수적인 영양소로 알려져 온 물질이며,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전환시켜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체력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체내 지방을 소모시켜 다이어트 효과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L-카르니틴의 함량이 45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L-카르니틴의 함량이 55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아미노산 혼합물은 30 내지 40 중량부가 함유되며, 페닐알라닌, 메싸이오닌, 라이신, 트레오닌, 트립토판, 발린, 류신, 아이소류신 및 히스타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페닐알라닌은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인 노르에피네프린과 도파민 수치를 높여 우울증을 예방하며, 메싸이오닌은 모발 등과 같은 신체조직에 영양소를 공급하여 머리색이 검게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라이신은 콜라겐 폴리펩티드 사이를 연결하고, 필수미네랄 흡수에 관여하며, 지방산 대사에 필수적인 카르니틴을 생성한다.
또한, 트레오닌은 트레오닌은 소장 점막기능을 보호하며, 상기 트립토판은 뇌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을 만드는 재료가 되고, 상기 발린은 조혈줄기세포 생성에 필요하며, 상기 류신은 근육의 약화를 억제하며, 상기 아이소류신은 헤모글로빈을 제조하는데 필수적이며, 상기 히스타틴은 체내 상처치료에 효과적이다.
상기 비타민C는 30 내지 35 중량부가 함유되며, 피로회복 효과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비타민C는 항산화 물질로 신체를 활성산소(자유기)로부터 보호하여 암, 동맥경화, 류머티즘 등을 예방해주고, 면역 체계도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결합조직과 지지조직의 형성에 가담하여 피부와 잇몸의 건강을 지켜준다.
또한, 비타민 C는 위, 십이장궤양의 원인인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의 번식을 억제하며, 노인의 인지 능력과 기억력 유지를 돕고, 알츠하이머병(치매)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상기 복분자는 15 내지 25 중량부가 함유되며, 본 발명에 따른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의 피로회복 효과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복분자에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간기능의 활성화를 통해 피로회복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식욕을 증진시키고, 사포닌, 폴리페놀 및 안토시아닌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암, 눈건강 개선등의 효과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에는 상기 타우린 100 중량부 대비 국화 추출물 및 미선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첨가제 3 내지 5 중량부가 더 함유될 수도 있는데, 상기와 같이 국화 추출물 또는 미선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진 첨가제가 함유되면 간기능 개선을 통해 피로회복 효과가 더욱 향상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국화추출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국화 꽃잎 1 내지 10 중량부로 첨가하고 50 내지 90℃의 온도로 10분 내지 60분 동안 가열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상기 국화 꽃잎에는 눈과 간기능 회복에 좋은 비타민A, B1, B2, C, 철분, 콜린, 스타키드린, 아데닌, 트리메칠싸이크로 핵산, 카보시릭산, 아카세틴, 코린스타키드린, 크리산테민(황색색소), 정유 등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상기 미선나무 추출물은 미선나무의 줄기, 가지, 열매, 뿌리, 꽃, 잎 또는 캘러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열수추출 또는 탄소수가 1 내지 4인 저급 알코올을 이용한 용매추출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데, 미선나무의 줄기, 가지, 열매, 뿌리, 꽃, 잎 또는 캘러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물 또는 탄소수가 1 내지 4인 저급 알코올(질량농도 50 내지 90%)과 혼합하고 60℃ 내지 75℃의 온도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추출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는 국내에서만 자생하며 세계에서 단 1속 1종밖에 없는데, 항암제(등록특허 제10-0706131호)나 아토피 치료제(등록특허 제10-1729210호)로 효능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길초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은 길초근, 호프, L-테아닌, 마그네슘 및 캐모마일로 이루어지며, 길초근 100 중량부, 호프 50 내지 60 중량부, L-테아닌 70 내지 80 중량부, 마그네슘 70 내지 80 중량부 및 캐모마일 40 내지 5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길초근는 본 발명에 따른 길초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의 주재료가 되는 성분으로, 우울증, 불안증 및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신경을 안정시키기 때문에 수면의 질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길초근은 비만이나 비알코올성지방간을 개선하기 때문에 다이어트 및 피로회복 효과를 부여하는 역할도 한다.
길초근(Valerian coreana BRIQUE)은 한방에서 이르는 말이며 근경힐초 또는 좀귀오줌이라고 한다. 부종, 종기, 산후증상 및 화상 등에 효과가 우수하여 주로 한약재로 이용하고 있다. 길초근 잎은 마주나고 작으며 잎자루가 있고 깃꼴로 갈라진다. 잎 밑이 좁으며 끝은 날카롭거나 뭉뚝하고 거친 톱니가 있다. 꽃은 엷은 홍색으로 피며, 잔꽃은 줄기 끝에 여러 개 모여난다. 한국 특산종으로 제주도와 거제도에 분포하며 산지에서 자란다
상기 호프(Humulus lupulus L.)는 50 내지 60 중량부가 함유되며, 수면유도작용과 진정작용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유럽의 민간에서는 호프를 진정, 진경, 진통 및 건위제로 사용하고 있으며, 불면증 치료에로 활용되어 자연스럽게 잠이 들도록 하며, 숙면을 유도하여 수면의 질을 높여주는데, 약초 치료법에 대한 치료 지침인 독일 위원회는 호프(humulus lupulus)를 신경증과 불면증에 적용됨을 승인했다.
상기 L-테아닌은 70 내지 80 중량부가 함유되며,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수면을 돕는 역할을 한다.
테아닌(theanine)은 녹차에서 발견된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녹차의 달콤한 맛을 내는 원인 물질로 알려져있는데, 뿌리에서 생합성되어 잎으로 이송되어 축적된 후 햇볕을 받아 폴리페놀로 전환된다. 테아닌은 뇌파 중 α파를 증대시켜 긴장을 완화시켜 주는 기능이 있으며, 세포 내 글루타치온(glutathione)의 수준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항산화 작용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외에도 면역증강작용, 혈압강하작용,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 스트레스 해소, 수면 보조, 집중력 강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L-테아닌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테아닌에 L-테아닌 전환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배지에서 접종 배양하여 제조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L-테아닌의 함량이 70 중량부 미만이면 스트레스완화 및 수면개선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L-테아닌의 함량이 8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마그네슘은 70 내지 80 중량부가 함유되며, 비타민 B가 함유되어 있어 피로회복 효과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위염증상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마그네슘은 칼륨 다음으로 체세포 내에 많이 함유된 이온성분이며, 주요 기능은 효소 활성화이다. 인체 내 마그네슘의 약 60%는 뼈 안에, 26%는 근육 내에, 그 나머지는 연조직과 체액 속에 있다. 그러나, 마그네슘 농도가 가장 높은 조직들은 뇌, 심장, 간, 신장과 같은 대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조직들로, 마그네슘이 함유되면 신체대사가 활발해지면 간기능이 개선되어 피로회복 효과가 부여될 수 있다.
상기 캐모마일은 40 내지 50 중량부가 함유되며, 스트레스로 인한 두통이나 불면증을 개선하고 항산화 효과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캐모마일(Matricaria recutita L)은 국화과에 속하며, 허브차로 많이 이용된다. 예로부터 캐모마일은 장내 가스, 두통, 불면증, 요통, 신경통, 류마티즘, 피부 질환, 소화불량 및 통풍 질환 등의 완화에 사용되어왔다. 최근 연구에서는 캐모마일 에센셜 오일이 항균과 항산화에 많은 효능을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Natarajan etal, Phytotherapy Research, 27(1)118-125, 2013) 캐모마일 에센셜 오일은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한 다양한 파이토케미컬 (phytochemical)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항염증과 항알레르기 활성을 나타낸다. 캐모마일 에센셜 오일은 제약, 향수 등 화장품 산업을 포함한 많은 분야에서 오래전부터 연구되어 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길초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에는 상기 길초근 100 중량부 대비 편백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가 더 함유될 수도 있는데, 상기와 같이 편백추출물이 더 함유되면, 스트레스 완화 및 불면증의 개선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편백(Chamaecyparis Obtusa) 나무는 피톤치드라는 성분을 공기 중에 발산한다. 피톤치드(phytoncide)란 식물이 해충이나 미생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하여 만들어 내는 살균성 물질의 총칭이다. 피톤치드의 주요성분은 테르펜(terpene)류 화합물로 이들은 독특한 방향성을 가지며, 심폐기능 강화, 혈관기능 강화, 호흡기 강화 및 피부살균 작용 등 여러가지 산림욕 효과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물질이라고 알려져 있다.
또한, 테르펜은 다수의 이소프렌(isoprene, C5H8)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탄화수소의 일종으로, 식물은 일반적으로 태양 에너지의 광합성작용을 통하여 0.01∼5% 가량의 테르펜을 합성하는데, 수증기 증류법, 압착법 또는 추출법을 통하여 정유(essential oil)의 형태로 제조할 수도 있다.
피톤치드의 방출량과 그에 함유된 성분은 수목마다 다르며 침엽수는 활엽수에 비해 두 배 이상의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톤치드는 인간에게 사용할 경우 스트레스 완화, 항균, 소취 및 유해물질 중화, 진정작용 및 쾌적효과, 알레르기 및 피부질환 개선 그리고 면역기능 증대 등의 효과를 발휘하므로, 오늘날과 같이 각종 오염 및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현대인에게는 무엇보다 그 활용이 기대되고 있는 물질이다.
상기 편백추출물은 편백 잎 100 중량부에 물 200 내지 500 중량부를 혼합하고 90 내지 100℃의 온도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열수추출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의 섭취방법은 상기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과 상기 길초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을 섭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인데, 상기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들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체내 흡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두 가지의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을 한번에 섭취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2 내지 4g을 섭취하고 약 10 내지 18시간 후에, 상기 길초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2 내지 4g을 섭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정으로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과 길초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을 교차 섭취하게 되면, 상기의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들에 함유된 성분들의 체내 효율이 증가하여 취식자의 피로회복 및 수면개선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교차로 섭취하게 되면 원료 성분간 충돌현상이 억제되어 안정성이 보장된다. 특히,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의 경우 아침 식후에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길초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의 경우 저녁 취침전 약 30분 정도에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과 길초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은 보관 및 섭취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 아래 도 1에 나타낸 보관케이스(10)를 이용하여 휴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성분이 서로 다른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이 각각 담긴 제1보관용기(11) 및 제2보관용기(12)를 개재할 수 있는 보관케이스(10)에 제1보관용기(11) 및 제2보관용기(12)가 각각 개재되면,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아침과 저녁에 본 발명에 따른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과 길초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을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건강보조식품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의 제조
타우린 504mg, L-카르니틴 252mg, 아미노산 혼합물( 페닐알라닌, 메싸이오닌, 라이신, 트레오닌, 트립토판, 발린, 류신, 아이소류신 및 히스타틴) 174mg, 비타민C 162mg 및 복분자 102mg을 혼합하고 제환기를 이용하여 환 형태의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국화 추출물 10mng 및 미선나무 추출물10mg을 더 혼합하여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길초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의 제조
길초근 348mg, 호프 180mg, L-테아닌 252mg, 마그네슘 252mg 및 캐모마일 150mg을 혼합하고 제환기를 이용하여 환 형태의 길초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길초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3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편백추출물 25mg을 더 혼합하여 길초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을 2정을 식후에 섭취(오전 8시)하고 약 14시간 후에, 상기 제조예 3을 통해 제조된 길초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을 2정을 섭취(오후 10시)하는 과정을 한달간 반복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제조예 2를 통해 제조된 레몬밤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을 2정을 식후에 섭취(오전 8시)하고 약 14시간 후에, 상기 제조예 4를 통해 제조된 길초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을 2정을 섭취(오후 10시)하는 과정을 한달간 반복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2정과 상기 제조예 3을 통해 제조된 길초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2정을 동시에 섭취(1일 1회)하는 과정을 한달간 반복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제조예 2을 통해 제조된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2정과 상기 제조예 4를 통해 제조된 길초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2정을 동시에 섭취(1일 1회)하는 과정을 한달간 반복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를 통해 건강보조식품을 섭취한 후에 효능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효능은 피로회복 및 수면개선이며, 만성피로감이 있는 피시험자 각 20명과, 만성 불면증이 있는 피시험자 각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5점 척도법으로 측정한 후에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5점:매우 개선, 4점:개선, 3점:보통, 2점:효과 없음, 1점:악화이다.}
<표 1>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길초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은 피로회복 및 수면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와 같이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길초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을 14시간 간격으로 교차 섭취한 경우는 비교예 1 내지 2와 같이 한번에 섭취하는 경우보다 피로회복 및 수면개선 효과가 더욱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섭취방법은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피로회복 및 수면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10 ; 보관케이스
11 ; 제1보관용기
12 ; 제2보관용기

Claims (8)

  1. 타우린, L-카르니틴, 아미노산 혼합물, 비타민C 및 복분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은 타우린 100 중량부, L-카르니틴 45 내지 55 중량부, 아미노산 혼합물 30 내지 40 중량부, 비타민C 30 내지 35 중량부 및 복분자 15 내지 2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혼합물은 페닐알라닌, 메싸이오닌, 라이신, 트레오닌, 트립토판, 발린, 류신, 아이소류신 및 히스타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에는 상기 타우린 100 중량부 대비 국화 추출물 및 미선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첨가제 3 내지 5 중량부가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5. 길초근, 호프, L-테아닌, 마그네슘 및 캐모마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초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길초근이 함유된 간강보조식품 조성물은 길초근 100 중량부, 호프 50 내지 60 중량부, L-테아닌 70 내지 80 중량부, 마그네슘 70 내지 80 중량부 및 캐모마일 40 내지 5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초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길초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에는 상기 길초근 100 중량부 대비 편백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가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초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8.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타우린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2 내지 4g을 섭취하고 약 10 내지 18시간 후에, 청구항 5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길초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2 내지 4g을 섭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의 섭취방법.
KR1020210076284A 2021-06-11 2021-06-11 피로회복 및 수면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섭취방법 KR202201674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284A KR20220167440A (ko) 2021-06-11 2021-06-11 피로회복 및 수면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섭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284A KR20220167440A (ko) 2021-06-11 2021-06-11 피로회복 및 수면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섭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440A true KR20220167440A (ko) 2022-12-21

Family

ID=84536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284A KR20220167440A (ko) 2021-06-11 2021-06-11 피로회복 및 수면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섭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744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937B1 (ko) 2017-11-30 2019-04-30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13583B1 (ko) 2019-10-25 2020-05-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레몬 추출물 및 오렌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카페인에 의한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937B1 (ko) 2017-11-30 2019-04-30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13583B1 (ko) 2019-10-25 2020-05-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레몬 추출물 및 오렌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카페인에 의한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rwat et al. Fruit plant species mentioned in the Holy Qura’n and Ahadith and their ethno medicinal importance
KR101090284B1 (ko)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90098230A1 (en) Nutraceutical moringa composition
KR101541516B1 (ko) 누에와 뽕나무잎과 상지(桑枝)를 주원료로한 이온미네랄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CN104585787A (zh) 一种玫瑰蛋羹的配方及制作方法
CN106858215A (zh) 一种百香果复合饮料
KR20090032158A (ko) 가압전이(加壓轉移)에 의한 과일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ozak et al. Health properties of selected herbal plants
KR20130133946A (ko) 한약재를 포함하는 된장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80152733A1 (en) Noni juice composition
Smith Arctic pharmacognosia
KR20140137155A (ko) 원적외선수가 포함되는 발효 흑한방약재 제조방법
KR20220167440A (ko) 피로회복 및 수면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섭취방법
KR102322276B1 (ko) 비만 예방 및 부종 개선용 음료 조성물
Bakhru Indian spices & condiments as natural healers
Khater Herbal and Horticultural Remedies:: Gardening for the Elderly and Physically and Mentally Disabled
CN102308989B (zh) 一种具有保健功能的红蚁、葡萄、蜂胶提取物的组合物
HS et al. Nutraceutical and medicinal values of minor fruits in Western Ghats of South India
Fernie Herbal simples
KR20090022208A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마늘 침출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52258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감귤 비타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64038A (ko) 감동의 차 새콤달콤 콜라겐 감귤(柑橘) 비타 녹차(과일침출 차)
RU2792449C2 (ru) Состав фиточая, содержащего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е добавки
CN104206556A (zh) 一种无防腐剂生态食用油
KR20050080501A (ko) 고혈압, 비만, 당뇨병환자를 위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