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5798A - 다층 경구용 박막 - Google Patents

다층 경구용 박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5798A
KR20220165798A KR1020227041477A KR20227041477A KR20220165798A KR 20220165798 A KR20220165798 A KR 20220165798A KR 1020227041477 A KR1020227041477 A KR 1020227041477A KR 20227041477 A KR20227041477 A KR 20227041477A KR 20220165798 A KR20220165798 A KR 20220165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hin film
oral thin
layers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1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토프 슈미츠
미하엘 린
Original Assignee
에르테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테메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르테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테메 아게 filed Critical 에르테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테메 아게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702382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0782B1/ko
Publication of KR20220165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7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gnetic Head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층이 다른 층의 상단에 정렬된 2개 이상의 층으로서, 각각의 층이 하나 이상의 수용성 중합체를 포함하고 서로 하나 이상의 밀봉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하나 이상의 밀봉이 표면 전체에는 제공되지 않는 2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다층 경구용 박막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약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층 경구용 박막{MULTI-LAYER ORAL THIN FILM}
본 발명은 다층 경구용 박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약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경구용 박막은 약학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박막으로서, 구강내에 직접적으로 위치되거나 구강 점막에 대해 위치되어 여기서 용해된다. 특히, 이는 점막, 특히 경구 점막에 적용될 때 점막에 활성 성분을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활성 성분-함유 중합체-기재 막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경구용 박막은 외부에서는 점착성이 없다. 구강 점막으로의 매우 양호한 혈액 공급은 활성 성분이 혈류로 빠르게 이동함을 보장한다. 이러한 전달 체계는 활성 성분이 구강 점막의 대부분에 흡수되고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액체와 함께 투여되는 활성 성분의 통상적인 정제 투약 형태에 의해 발생하는 불리할 수 있는 초회-통과 대사가 회피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활성 성분은 막에 용해되거나 유화되거나 분산될 수 있다. 또한, 경구용 박막이 입안에서 용해되면 적합한 활성 성분이 연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위장 관을 통해 흡수될 수 있다.
선행기술에 공지되어 있는 경구용 박막은 단위면적당 최대 중량 및 이에 따른 함유되는 약학 활성 성분의 양이 경구용 박막의 생산 동안 이의 건조과정에 의해 결정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경구용 박막의 단위면적당 중량이 클수록 더 다량의 약학 활성 성분이 이에 함유될 수 있지만, 이러면 경구용 박막의 건조 시간이 결과적으로는 더 이상 경제적이지 않는 시간으로 연장된다. 실제로, 이러한 단점은 건조 온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대응될 수 있지만, 이에 따라 약학 활성 성분이 바람직하지 않은 열 부하에 노출될 것이다. 또한, 단위면적당 큰 중량을 갖는 경구용 박막은 비교적 긴 붕해 시간을 갖고, 이는 적용례에 따라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문제들은 다층 경구용 박막에 의해 대체적으로 극복될 수 있다.
다층 경구용 박막은 선행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문서 WO 2011/134846 A1에는, 활성 성분-함유 층 및 상기 활성 성분-함유 층내의 활성 성분과 비양립성인 물질-함유 층을 포함하는 다층 경구용 박막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2개의 층은 상기 2개의 층 사이에 위치된 추가의 보호 층에 의해 격리된다.
US 2013/0017235 A1에는, 활성 성분-함유 층이 2개의 수-팽창성 중합체 층으로 동봉된 다층 경구용 박막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단위면적당 비교적 작은 중량을 갖는 다수의 개별 층이 접착성 결합되거나 라미네이팅되어 복합체 구조를 형성하는 공지되어 있는 다층 경구용 박막은 많은 단점을 갖는다. 한편, 때로는 다량의 적합한 접착제가 층들 사이에 사용되어야 한다. 다른 한편, 이러한 다층 체계는 먼저 제1 층을 제조하고 제1 층이 건조되면 제2 층을 제1 층 위에 라미네이팅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층 상의 제2 층이 건조되면, 필요에 따라 제3 층이 위에 라미네이팅될 수 있다. 실제로, 다층 박막은 이러한 방법에 의해, 기존 층 위에 추가의 층을 라미네이팅함으로써만 제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는 약학 활성 성분이 다층 코팅 과정에 따른 더 강한 열 부하를 거쳐야 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라미네이팅에 의해 생성된 복합체 구조는, 특히 경구용 박막의 개별 층이 점착성이 없는 경우, 종종 불안정하고,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기술의 전술한 단점들을 극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개별 층이 경제적으로 허용가능한 시간내에 건조될 수 있고 약학 활성 성분이 더 작은 열 부하를 거치도록, 서로 고정적으로 연결된 비교적 낮은 단위면적당 중량을 갖는 다수의 개별 층으로부터 구축되는 다층 경구용 박막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다층 경구용 박막은 구강내 적용의 경우 비교적 빠르게 용해될 것이다.
상기 목적은 한 층이 다른 층의 상단에 정렬된 2개 이상의 층으로서, 각각의 층이 하나 이상의 수용성 중합체를 포함하고 서로 하나 이상의 밀봉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하나 이상의 밀봉이 표면 전체에는 제공되지 않는 2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청구범위의 제1항에 따른 다층 경구용 박막에 의해 다뤄진다.
이러한 구성의 다층 경구용 박막은 다수의 층의 사용에 기인하여, 전체 경구용 박막을 기준으로, 긴 건조 시간이 필요 없거나 약학 활성 성분이 열 부하를 허용하게 함 없이 약학 활성 성분의 양이 증가될 수 있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특히, 이에 따라, 건조에 대해 경구용 박막이 비교적 장시간, 특히 약 20분 초과로 경구용 박막의 건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온도, 특히 약 70℃ 초과의 온도에 노출됨을 가장 큰 가능성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경구용 박막은 표면 전체에는 제공되지 않는 밀봉에 기인하여 통상적인 경구용 박막보다 훨씬 큰 표면을 갖는다. 이러한 더 큰 표면에 기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경구용 박막은 구강내 용도의 경우에서 훨씬 더 빠르게 용해된다. 특히, 표면 전체에는 제공되지 않는 밀봉에 기인하여, 침이 개별 층들 사이에 침투함에 따라 경구용 박막이 더 빠르게 용해됨을 야기할 수 있다.
수용성 중합체는 화학적으로 매우 상이한 천연 또는 합성 중합체를 포함하고, 이의 공통적 특징은 물 또는 수성 매질 중 이의 용해성이다. 이를 위한 전제조건은 상기 중합체가 수용해성에 충분한 다수의 친수성 기를 갖고 가교결합되지 않는 것이다. 친수성 기는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또는 양쪽이온성일 수 있다.
밀봉은 이에 의해 각각의 층이 하나 이상의 수용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다층 경구용 박막의 2개 이상의 층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임의의 가능한 방법을 의미한다. 이의 비제한적인 예는 접착성 결합, 엠보싱, 라미네이션 및/또는 열 밀봉에 의한 연결을 포함한다.
표면 전체에는 제공되지 않는 밀봉은 다층 경구용 박막의 2개 이상의 층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면적이 다층 경구용 박막의 층의 한쪽의 표면보다 작음을 의미한다. 표면 전체에는 제공되지 않는 밀봉은 다층 경구용 박막의 표면에 걸친 하나 이상의 연속 스트립(strip)의 형태로 제공되거나 하나 이상의 격리된 지점에서의 밀봉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층이 하나 이상의 수용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층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조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층이 하나 이상의 수용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층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크기 또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수용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층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단위면적당 중량을 가질 수 있다.
한 층이 다른 층의 상단에 정렬된 2개 이상의 층의 하나 이상의 중첩되는 가장자리가 밀봉에 의해 밀폐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침이 외부로부터 개별 층들 사이로 용이하게 침투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경구용 박막의 용해를 실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경구용 박막의 2개 이상의 층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크기 또는 면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경구용 박막의 2개 이상의 층이 동일한 크기 또는 면적을 갖는 경우, 상기 2개 이상의 층의 가장자리가 중첩되고 상기 2개 이상의 층의 어느 한 층도 다른 층을 넘어 돌출하지 않도록, 한 층이 다른 층의 상단에 정합하도록 상기 2개 이상의 층이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한 층이 다른 층의 상단에 정합하게 2개 이상의 층이 정렬되지 않도록 2개 이상의 층이 서로 부정합된 본 발명에 따른 경구용 박막의 양태도 고안가능하다.
또한, 2개 이상의 층이 상이한 크기 또는 면적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경구용 박막의 양태도 고안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경구용 박막은 표면 전체에는 제공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밀봉이 표면 전체에는 적용되지 않은 열 밀봉을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경구용 박막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가 열 밀봉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열 밀봉은 한 층이 다른 층의 상단에 정렬된 2개 이상의 층의 특정 지점에서 가열 및 가압에 의해 다층 경구용 박막의 한 층이 다른 층의 상단에 정렬된 2개 이상의 층의 연결을 의미한다. 특정 지점에서의 가열에 의해, 다층 경구용 박막의 각각의 개별 층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중합체가 용융되고, 다시 냉각되면, 상기 2개 이상의 층의 고정된 연결이 생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특정 지점은 논의되는 중합체의 융점 또는 유리 전이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로 가열된다.
가열 밀봉에 통상적인 온도는 약 50 내지 200℃이다.
가열 밀봉 동안, 바람직하게는. 경구용 박막은 약 5초, 바람직하게는 약 3초,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2초 이하 동안 약 50 내지 200℃의 온도로 가열된다.
열 밀봉에 요하는 이러한 매우 짧은 시간의 결과로, 하나 이상의 약학 활성 성분의 가열 부하는 더 긴 시간 동안의 전술한 건조 온도에 의한 것보다 덜 심해진다.
따라서, 열 밀봉성 중합체는 상위 또는 하위 정렬된 층들에 대한 연결이 생성되도록, 특정 지점에서 가염됨으로써 용융되거나 연화될 수 있는 중합체를 의미한다.
하나 이상의 수용성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알코올, 풀룰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중합체는 다수의 약학 활성 성분과 양립성이 있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경구용 박막으로 치료받는 환자에게 매우 안전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기재된 중합체는 이의 열 밀봉성에 기인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경구용 박막은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다층 경구용 박막의 하나 이상의 층이 하나 이상의 약학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논의되는 활성 성분과 특정 층을 형성하는 물질, 및 해당될 경우, 다른 층들을 형성하는 물질과의 양립성을 고려하여, 약학 활성 성분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경구용 박막,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경구용 박막의 각각의 층에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경구용 박막은 단 하나만의 약학 활성 성분이 함유된다는 사실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이한 약학 활성 성분이 상이한 층들에 함유된 다층 경구용 박막이 고안가능하다. 또한, 개별 층은 하나 초과의 약학 활성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이한 층들에 상이한 활성 성분들을 함유하는 다층 경구용 박막에 있어서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상이한 층들은 모두 따로 제조된 후 표면 전체에는 제공되지 않는 밀봉에 의해 모듈 원칙(modular principle)에 따라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점막투과(transmucosal) 또는 경구 투여에 적합한 임의의 약학 활성 성분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경구용 박막에 함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약학 활성 성분은 본 발명의 맥락에서 경구 적용에 적합한 약학 활성 성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약학 활성 성분이다. 이는, 예컨대 항알러지제, 항부정맥제, 항생제, 항당뇨제, 항간질제, 항히스타민제, 진해제, 강심제, 이뇨제, 항고혈압제, 마취제, 신경 근육 차단제 및 성호르몬, 예컨대 혈관수축제이다. 구체적인 예는 아세트아미노펜, 아드레날린, 알프라졸람, 암로디핀, 아나스트로졸, 아포모르핀, 아리피프라졸, 아토르바스타틴, 바클로펜, 벤조카인, 벤조카인/멘톨, 벤자이드아민, 부프레노르핀, 부프레노르핀/날록손, 부프레노르핀/날록손/세티리진, 세티리진, 클로르페니라민, 클로미프라민, 덱사메타손, 텍스트로메트로판, 덱스트로 메토르판/페닐에프린, 디클로페낙, 디펜히드라민, 디펜히드라민/페닐에프린, 도네페질 드로나비놀, 에피네프린, 에스시탈로프람, 파모티딘, 펜타닐, 글리메피리드, GLP-1 펩티드, 그라니세트론, 인슐린, 인슐린 나노입자, 인슐린/GLP-1 나노입자, 케토프로펜, 케토티펜, 카페인, 레보세티리진, 로페라미드, 로라타딘, 메실리진, 메틸페니데이트, 미다졸람, 미로데나필, 몬테루카스트, 멀티머-001, 날록손, 니코틴, 니트로글리세린, 올란자핀, 올로파타딘, 온단세트론, 옥시부티닌, 펙틴, 펙틴/멘톨, 펙틴/아스코르브산, 페디아수낫(PediaSUNAT)(아르테수네이트 및 아모디아퀸), 프록시캄, 페닐에프린, 프레드니졸론, 슈도에페드린, 리스페리돈, 리바스티그민, 리자트립탄, 셀레길린, 세나글리코시드, 실데나필 시트레이트, 시메티콘, 수마트립탄, 타다라필, 테스토스테론, 트라이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트립탄, 트로피카미드, 보그리보스, 졸미트립탄, 졸피뎀, 또는 상기 화합물들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비-약학 활성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투약 형태는 예컨대 구강 위생을 위한 활성 성분, 예컨대 멘톨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약학 활성 성분은 상이한 활성 성분의 혼합물일 수 있다.
원칙적으로, 하나 이상의 약학 활성 성분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경구용 박막의 하나 이상의 층에 적어도 약학 효과량으로 함유된다.
약학 활성 성분이 다층 경구용 박막의 하나 이상의 층에 1 내지 60 중량%로 존재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경구용 박막의 개별 층들의 연결을 위한 개별 밀봉의 개수는 제한이 없되, 밀봉의 개별 면적의 총합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경구용 박막의 한 면의 면적보다 작아야 한다.
하나 이상의 수용성 중합체를 포함하고 한 층이 다른 층의 상단에 정렬된 2개 이상의 층이 상이한 크기 또는 면적을 갖는 경우, 밀봉의 면적은 가작 작은 층의 면적보다 작아야 한다.
2개 이상의 층이 표면 전체에는 제공되지 않는 밀봉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개 이상의 층이 표면 전체에는 제공되지 않는 2개의 밀봉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경구용 박막이 특징지어지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경구용 박막은 하나 이상의 밀봉이 다층 경구용 박막의 표면 전체 면적의 약 66% 이하를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하나 이상의 수용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층이 상이한 크기 또는 면적을 갖는 경우, %의 값들은 가장 작은 층의 면적에 관한 것이다.
밀봉 면적이 더 작은 경우, 이는 경구용 박막의 개별 층이 서로 고정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단점을 갖는다. 밀봉 면적이 더 큰 경우, 이는 경구용 박막의 총 표면이 감소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표면 전체에는 적용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밀봉의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 밀봉은 스트립 형태 및/또는 도트(dot) 형태로 편리하게 수행된다.
도 1의 1a 내지 1e는, 표면 전체에는 제공되지 않는 1 또는 2개의 밀봉에 의해 개별 층이 서로 연결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경구용 박막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경구용 박막은 2개 이상의 비점착성 층 각각이 20 내지 300 g/m2의 단위면적당 중량을 갖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단위면적당 중량이 더 큰 경우, 이는 특히 긴 건조 시간의 단점을 갖고, 이는 경제적 관점으로 볼 때 불리하다. 또한, 기포가 피막 형성의 결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작은 단위면적당 중량을 갖는 막은 어렵게만 가공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첨가제, 예컨대 투과 강화제, 항산화제, 향미료, 맛-차폐제, 보존제, 착색료, 불활성 충전제 등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경구용 박막의 다양한 층에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하나 이상의 수용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제1 층을 제공하는 단계;
(b) 하나 이상의 수용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추가 층을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추가 층 상에 상기 제1 층을 정렬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층과 상기 추가 층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표면 전체에는 제공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밀봉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술한 다층 경구용 박막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 층 및 추가 층이 동일한 조성을 갖는 양태가 고안가능하다. 제1 층 및 추가 층이 상이한 조성을 갖는 양태도 고안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단계 (a) 및/또는 단계 (b)에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층이 하나 이상의 약학 활성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단계 (d)에서 수행되는 표면 전체에는 제공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밀봉이 표면 전체에는 제공되지 않는 열 밀봉인 것으로 유리하게 특징지어진다.
가능한 양태에서, 제1 층(a)은 추가 층(b)과 동일한 조성을 갖는다.
추가의 가능한 양태에서, 제1 층(a)은 추가 층(b)과 비교하여 상이한 조성을 갖는다.
가능한 양태에서, 제1 층(a) 및/또는 추가 층(b)은 이미 하나 초과의 층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3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다층 경구용 박막이 수득가능하다.
원칙적으로, 따라서, 2개 이상의 층뿐만 아니라 임의의 개수의 층을 갖는 다층 경구용 박막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에 따라 수득가능한 다층 경구용 박막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전술한 다층 경구용 박막 또는 본원에 이후로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득가능한 다층 경구용 박막에 관한 것이다.
이후로, 본 발명은 비한정적인 예를 참조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경구용 박막에서 개별 층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표면 전체에는 제공되지 않는 특정 밀봉이 어두운 음영으로 개략적 강조된 본 발명에 따른 가능한 다층 경구용 박막의 개략도가 도 1의 1a 내지 1e에 도시되어 있다.

Claims (14)

  1. 한 층이 다른 층의 상단에 정렬된 2개 이상의 층으로서, 각각의 층이 하나 이상의 수용성 중합체를 포함하고 서로 하나 이상의 밀봉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하나 이상의 밀봉이 표면 전체에는 제공되지 않는 2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다층 경구용 박막.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밀봉이, 한 층이 다른 층의 상단에 정렬된 2개 이상의 층의 하나 이상의 중첩되는 가장자리가 밀봉에 의해 밀폐되지 않도록 적용되는, 다층 경구용 박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수용성 중합체가 열 밀봉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다층 경구용 박막.
  4. 제3항에 있어서,
    표면 전체에는 제공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밀봉이 표면 전체에는 제공되지 않는 열 밀봉을 포함하는, 다층 경구용 박막.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수용성 중합체가 폴리비닐 알코올, 풀룰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다층 경구용 박막.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층 경구용 박막의 하나 이상의 층이 하나 이상의 약학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다층 경구용 박막.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층이 표면 전체에는 제공되지 않는 엄밀히는 1개의 밀봉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다층 경구용 박막.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층이 표면 전체에는 제공되지 않는 2개의 밀봉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다층 경구용 박막.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밀봉이 다층 경구용 박막의 표면 전체 면적의 66% 이하를 피복하는, 다층 경구용 박막.
  10. (a) 하나 이상의 수용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제1 층을 제공하는 단계;
    (b) 하나 이상의 수용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추가 층을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추가 층 상에 상기 제1 층을 정렬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층과 상기 추가 층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표면 전체에는 제공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밀봉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층 경구용 박막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단계 (a) 및/또는 단계 (b)에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층이 하나 이상의 약학 활성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단계 (d)에서 수행되는 표면 전체에는 제공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밀봉이 표면 전체에는 제공되지 않는 열 밀봉인, 제조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수득가능한 다층 경구용 박막.
  14. 제1항 내지 제9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층 경구용 박막의 약제로서의 용도.
KR1020227041477A 2018-01-26 2019-01-28 다층 경구용 박막 KR202201657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01778.2A DE102018101778A1 (de) 2018-01-26 2018-01-26 Mehrschichtiger Oraler Dünnfilm
DE102018101778.2 2018-01-26
KR1020207023825A KR102670782B1 (ko) 2018-01-26 2019-01-28 다층 경구용 박막
PCT/EP2019/051960 WO2019145524A1 (de) 2018-01-26 2019-01-28 Mehrschichtiger oraler dünnfil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825A Division KR102670782B1 (ko) 2018-01-26 2019-01-28 다층 경구용 박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798A true KR20220165798A (ko) 2022-12-15

Family

ID=65237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1477A KR20220165798A (ko) 2018-01-26 2019-01-28 다층 경구용 박막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210030668A1 (ko)
EP (1) EP3743050B1 (ko)
JP (1) JP7174067B2 (ko)
KR (1) KR20220165798A (ko)
CN (1) CN111655242A (ko)
AU (1) AU2019211136B2 (ko)
BR (1) BR112020014028A2 (ko)
CA (1) CA3087220C (ko)
DE (1) DE102018101778A1 (ko)
ES (1) ES2945788T3 (ko)
MX (1) MX2020007716A (ko)
PL (1) PL3743050T3 (ko)
RU (1) RU2762081C1 (ko)
WO (1) WO2019145524A1 (k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1317B2 (ja) * 1995-12-26 1998-08-27 株式会社三和化学研究所 多層フィルム製剤
US20050048102A1 (en) * 1997-10-16 2005-03-03 Virotex Corporation Pharmaceutical carrier device suitable for delivery of pharmaceutical compounds to mucosal surfaces
DE19954245A1 (de) * 1999-11-11 2001-07-19 Lohmann Therapie Syst Lts Mehrschichtige filmförmige Zubereitung aus hydrophilen Polymeren zur schnellen Freisetzung von Wirkstoffen
US8268333B2 (en) * 2001-04-24 2012-09-18 Lintec Corporation Orally administered agent and an orally administered agent/supporting substrate complex
US20080050422A1 (en) * 2001-10-12 2008-02-28 Monosolrx, Llc. Method of administering a film product containing a drug
JP4227853B2 (ja) * 2002-12-26 2009-02-18 株式会社ツキオカ 可食性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
US7276246B2 (en) * 2003-05-09 2007-10-02 Cephalon, Inc. Dissolvable backing layer for use with a transmucosal delivery device
EP2335921A1 (en) * 2004-09-30 2011-06-22 MonoSolRX, LLC Multi-layer films
CN101370477A (zh) * 2006-01-20 2009-02-18 莫诺索尔克斯有限公司 薄膜连接的包装及其制备方法
JP5209274B2 (ja) * 2007-11-12 2013-06-1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嚥下補助用フィルム、嚥下補助用中空フィルム接合体およびその連続製造方法
WO2009125465A1 (ja) * 2008-04-07 2009-10-15 株式会社ツキオカ 経口投与製剤の製造方法及び経口投与製剤の製造装置
EP2563344A1 (en) 2010-04-27 2013-03-06 Novartis AG Oral dosage forms
US20110290694A1 (en) * 2010-05-27 2011-12-01 Monosol Rx, Llc Oral film dosage form having indicia thereon
DE102010048408A1 (de) * 2010-10-15 2012-04-19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Laminat mit verbessertem Wasserretentionsverhalten
JP6200432B2 (ja) * 2011-12-26 2017-09-20 エスケー ケミカル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モンテルカストまたはその薬学的に許容可能な塩を含む経口投与用フィルム
US20140261990A1 (en) * 2013-03-15 2014-09-18 Monosol Rx, Llc Multi-layer films having uniform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0014028A2 (pt) 2020-12-01
EP3743050A1 (de) 2020-12-02
KR20200112899A (ko) 2020-10-05
CA3087220A1 (en) 2019-08-01
DE102018101778A1 (de) 2019-08-01
WO2019145524A1 (de) 2019-08-01
ES2945788T3 (es) 2023-07-07
AU2019211136A1 (en) 2020-07-16
JP2021511385A (ja) 2021-05-06
PL3743050T3 (pl) 2023-07-24
US20210030668A1 (en) 2021-02-04
MX2020007716A (es) 2020-09-09
CA3087220C (en) 2022-08-23
AU2019211136B2 (en) 2021-09-23
EP3743050B1 (de) 2023-03-29
RU2762081C1 (ru) 2021-12-15
CN111655242A (zh) 2020-09-11
JP7174067B2 (ja)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9244B2 (ja) 経口投与剤の製造方法
KR100874876B1 (ko) 맛을 마스킹한 필름상 또는 웨이퍼상 약제
KR20060135051A (ko) 경구투여제
KR20060130747A (ko) 약제의 제조 방법
KR102670782B1 (ko) 다층 경구용 박막
AU2019211136B2 (en) Multi-layer oral thin film
AU2018371143B2 (en) Pouch-type orally dissolving films with high active ingredient concentration
JP5209274B2 (ja) 嚥下補助用フィルム、嚥下補助用中空フィルム接合体およびその連続製造方法
US8349120B2 (en) Multi-layer patch made on a sheet and enclosed in a blister
JP2014189548A (ja) 嚥下物被覆体
US20240156727A1 (en) Rolled oral thin films having a high level of active-ingredient loading
EP2023908A1 (en) Multi-layer medical patch with impermeable center
Fiza et al. Buccal Patches: a review
JP2024520892A (ja) 高レベルの有効成分の添着を有するロール状の経口薄フィルム
DE102021130950A1 (de) Applikationshilfe
JP2024508601A (ja) 多層経口薄フィルム
CN116847828A (zh) 多层口腔薄膜
JP2014058470A (ja) 可食性積層フィルム
JP2014189547A (ja) 嚥下物被覆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