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5134A -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65134A KR20220165134A KR1020210073747A KR20210073747A KR20220165134A KR 20220165134 A KR20220165134 A KR 20220165134A KR 1020210073747 A KR1020210073747 A KR 1020210073747A KR 20210073747 A KR20210073747 A KR 20210073747A KR 20220165134 A KR20220165134 A KR 202201651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protective net
- main member
- rope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title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06010052428 Wound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6010000372 Accident at work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1503987 Clematis vitalb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085—Details of flanges for tubular ma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송전철탑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주주재 마다 고정되는 고정유닛,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형성되고, 각각의 일측 단부가 고정유닛 마다 두 곳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주주재와 미리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보호망이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유닛을 포함하여 보호망이 송전철탑에 빠르고 쉽게 설치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송전철탑에 작업자의 안전과 낙하물 사고 방지를 위해 보호망을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 철탑 승탑 작업 중 추락방지조치 미흡에 따른 추락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기존에는 추락 방지용 보호망 설치에 대한 기준이 없어 보호망 장치 없이 철탑 승탑 작업, 철탑 도장 작업 등 철탑 상부에서의 작업이 이루어져 왔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추락방지 조치 미흡에 따른 안전사고가 수시로 발생하고 있다.
그런데, 추락 방지망 설치시 자재 운반에 장애가 되므로 형식적인 설치만 시행하고, 추락 방지를 위해 2중 안전벨트만 사용하거나 철탑 승탑 및 이동시 불편함으로 인하여 미사용함으로 인해 추락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추락방지를 위한 기존의 방호망은 자재 운반에 장애가 되어 효율성이 떨어지는 형식적인 설치에 불과하므로, 작업자의 추락 및 낙하물에 의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현장 적용이 용이하고 실질적인 사고방지의 효과가 있는 추락방지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송전철탑에 방호망이 설치되어도 송전철탑과 방호망 간의 견고한 결속이 이루어 지지 않고 방호망의 처짐, 주주재에 대한 방호망의 설치각도, 방호망의 설치높이에 대한 설치기준을 준수하고 있지 않으며 설치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설치되는 보호망의 처짐을 최소화하고 주주재에 대한 보호망의 설치각도와 보호망의 설치높이에 대한 설치기준에 준수하여 설치함에 따라 송전철탑에서 승탑 작업자의 추락 및 낙하물 발생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조립식으로 마련되어 시공시간을 단축시키며 쉽고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자재 운반시에는 간단한 조작으로 보호망을 주주재 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현장 적용이 용이하며 효율성이 향상된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송전철탑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주주재 마다 고정되는 고정유닛,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형성되고, 각각의 일측 단부가 고정유닛 마다 두 곳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주주재와 미리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보호망이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유닛은 단면이 'ㄱ' 형상으로 형성되어 주주재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1 고정앵글, 단면이 'ㄱ' 형상으로 형성되어 주주재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2 고정앵글, 제1 고정앵글과 제2 고정앵글을 주주재에 조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는 복수 개의 연결유닛의 타측 단부를 연결하며 둘러싸면서 복수 개의 연결유닛과 함께 내부에 보호망이 설치되는 틀을 형성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유닛은 일측 단부에 고정유닛과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고정유닛에 밀착되어 고정되거나 고정유닛에 일체로 마련되는 지지판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유닛은 일측 단부에 지지판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연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제1 프레임, 양측 단부에 체결홀이 형성되어 일측 단부가 제1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2 프레임, 양측 단부에 체결홀이 형성되어 일측 단부가 제2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유닛은 보호망을 통과한 고정끈이 연결되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보호망 연결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는 주주재의 고정유닛이 고정된 부분에서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며, 연결유닛의 타측 단부와 로프를 매개로 연결되어 연결유닛을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유닛은 단면이 'ㄱ' 형상으로 형성되어 주주재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1 지지앵글, 단면이 'ㄱ' 형상으로 형성되어 주주재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2 지지앵글, 제1 지지앵글과 제2 지지앵글을 주주재에 조임 체결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앵글은 외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로프가 연결되는 링형상의 지지고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는 연결유닛은 일측 단부가 고정유닛에 힌지 연결되어 주주재 측으로 접히거나, 타측 단부가 로프에 지지되어 주주재와 미리 설정된 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유닛은 외측면에 수직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정간격 이격된 한쌍의 힌지부를 구비하며, 연결유닛은 일측 단부에 고정유닛과 마주보도록 형성된 지지판에 구비되며 한쌍의 힌지부 사이에 삽입된 후 힌지핀으로 연결되는 돌출판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고정유닛은 연결유닛의 힌지 회전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한쌍의 지지부 사이를 가로막는 수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으로 배치되는 연결유닛의 하측면이 지지되는 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한쌍의 힌지부는 연결유닛이 주주재와 미리 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고정되도록, 한쌍의 지지부 사이를 가로막는 상향 경사진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유닛의 하측면이 지지되는 경사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로프는 일측단이 연결유닛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며 지지유닛에 지지되어 타측단이 주주재의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의 높이에 고정된 작동유닛에 권취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지지유닛은 주주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로프가 지지되어 로프의 방향을 전환하는 활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동유닛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주주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로프가 감겨 권취되거나 권해되는 로프 드럼, 로프 드럼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로프 드럼과 함께 회전하는 작동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유닛은 로프 드럼의 타측단에 구비되어 로프의 권취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외주면에 로프가 권취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치가 복수개 형성된 래치부, 일단이 주주재 측에 스프링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며, 타단이 래치부에 치합되는 풀림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동유닛은 단면이 'ㄱ' 형상으로 형성되어 주주재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1 클램프, 단면이 'ㄱ' 형상으로 형성되어 주주재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2 클램프,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를 주주재에 조임 체결하는 클램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는 주주재의 작동유닛이 고정된 부분에서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어 로프를 지지하는 보조 지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지지유닛은 주주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로프가 지지되는 보조 활차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보호망이 연결유닛의 보호망 연결홀에 각각 연결되며 설치되어 보호망의 처짐이 최소화되고 보호망이 주주재에 대한 설치각도와 설치높이의 설치기준에 준수하여 설치됨에 따라 송전철탑에서 승탑 작업자의 추락 및 낙하물 발생시 피해를 최소화되어 산업재해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조립식으로 마련되어 시공시간이 단축되며 쉽고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자재 운반시에는 간단한 조작으로 보호망을 주주재 측으로 접을 수 있어서 효율성이 높으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현장 적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와 보호망이 송전철탑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C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D-D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B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의 지지유닛을 보여주는 정면도,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와 보호망이 송전철탑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8의 E 부분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도 8의 F 부분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의 작동유닛과 보조 지지유닛이 송전철탑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4의 G 부분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19는 도 14의 H 부분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C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D-D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B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의 지지유닛을 보여주는 정면도,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와 보호망이 송전철탑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8의 E 부분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도 8의 F 부분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의 작동유닛과 보조 지지유닛이 송전철탑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4의 G 부분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19는 도 14의 H 부분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와 보호망이 송전철탑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C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4는 도 3의 D-D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B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의 지지유닛을 보여주는 정면도, 저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와 보호망이 송전철탑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9 내지 도 11은 도 8의 E 부분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 내지 도 13은 도 8의 F 부분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의 작동유닛과 보조 지지유닛이 송전철탑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4의 G 부분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8 내지 도 19는 도 14의 H 부분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20) 설치장치는 송전철탑(10)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주주재(11) 마다 고정되는 고정유닛(100),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형성되고, 각각의 일측 단부가 고정유닛(100) 마다 두 곳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주주재(11)와 미리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보호망(20)이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유닛(2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조립식으로 마련되어 설치가 쉽고 간단하며 보호망(20)을 설치기준에 준수하여 설치하는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20)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정유닛(100)과 연결유닛(200) 사이가 고정되는 고정형과 고정유닛(100)과 연결유닛(200)이 힌지 연결되는 힌지형을 포함한다.
송전철탑(1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주주재(11),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주주재(11)를 지지하는 부부재(미부호)를 포함하며, 주주재(11)는 단면이 'ㄱ' 형상인 산형강일 수 있다.
이러한 주주재(11)는 일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마련되어 높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기울기는 9% 내지 13%로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20) 설치장치는 주주재(11)에 고정되는 고정유닛(100)과 보호망(20)이 연결되는 연결유닛(200)으로 구성되고, 보호망(20)을 지지하는 연결유닛(200)의 주주재(11)에 대한 보호망(20)의 각도(a2)가 미리 설정된 각도로 마련되며, 일예로, 80°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보호망(20)은 설치기준에 준수하도록 지면에 대한 각도(a1)가 20° 내지 30°로 설치된다.
고정유닛(100)은 복수 개로 마련되어 송전철탑(10)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주주재(11) 마다 고정된다.
연결유닛(200)은 복수 개로 마련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형성되고, 각각의 일측 단부가 고정유닛(100) 마다 두 곳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주주재(11)와 미리 설정된 각도(a2)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보호망(20)이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유닛(200)은 송전철탑(10)의 4각 전면으로 각각 2개씩 미리 설정된 각도로 설치되며 그 사이 사이에 보호망(20)이 설치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연결유닛(200)은 타측 단부가 와이어(30)로 연결되어 그 내부에 보호망(20)이 설치되는 틀을 형성한다.
즉, 와이어(30)는 복수 개의 연결유닛(200)의 타측 단부를 둘러싸면서 복수 개의 연결유닛(200)과 함께 내부에 보호망(20)이 설치되는 틀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연결유닛(200)의 타측 단부에 와이어(30)가 설치될 경우 복수 개의 연결유닛(200)은 그 사이가 연결되어 서로 지지되어 연결유닛(200)의 지지력을 보조한다.
도 2에는 송전철탑(10)에 설치되는 보호망(20)이 도시되어 있으며, 동일한 방향의 일측면에 배치된 연결유닛(200) 사이에는 직사각 형태의 보호망(20)이 설치되며 다른 방향의 인접한 면에 배치된 연결유닛(200)과의 사이에는 직삼각 형태의 보호망(20)이 설치되어 송전철탑(10)의 둘레 전체를 감싸도록 마련된다.
또한, 보호망(20)은 외측 테두리가 연결유닛(20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된 와이어(30)에 연결되어 처짐이 방지되며, 연결유닛(200) 상에 배치되는 테두리가 일정 간격마다 후술할 보호망 연결홀(250)에 고정끈으로 고정되어 처짐이 최소화되고 승탑 작업자가 추락하거나 낙하물이 낙하하여도 안정적으로 받쳐준다.
아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고정유닛(100)에 대해 설명하며, 고정유닛(100)은 제1 고정앵글(110), 제2 고정앵글(120), 체결부재(130)로 구성되어 주주재(1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제1 고정앵글(110)은 직각 절곡된 판형상 부재로 마련되어 단면이 'ㄱ' 형상으로 형성되며, 즉, 주주재(11)의 단면과 대응되게 형성되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연장된 부분에 체결부재(130)가 체결되어 주주재(11)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제2 고정앵글(120)도 직각 절곡된 판형상 부재로 마련되어 단면이 'ㄱ' 형상으로 형성되며, 즉, 주주재(11)의 단면과 대응되게 형성되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고정앵글(110)의 연장된 부분과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연장된 부분에 체결부재(130)가 체결되어 주주재(11)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체결부재(130)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어 볼트가 제1 고정앵글(110)과 제2 고정앵글(120)을 통과한 후 너트와 조임 체결되면서 제1 고정앵글(110)과 제2 고정앵글(120)을 주주재(11)에 조임 체결한다.
이러한 고정유닛(100)은 제1 고정앵글(110)과 제2 고정앵글(120) 사이에 주주재(11)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130)를 조임 체결함에 따라 주주재(11)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각각 밀착된다.
아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연결유닛(200)에 대해 설명하며, 연결유닛(200)은 복수개의 프레임(210, 220, 23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유닛(200)은 단면이 'ㄱ'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1 프레임(210), 제2 프레임(220), 제3 프레임(230)이 연결되어 마련되어 일측 단부가 고정유닛(100)에 고정되며 타측 단부에 와이어(30)와 로프(301)가 연결된다.
제1 프레임(210)은 단면이 'ㄱ'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 단부에 지지판(211)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연결부재(202)가 체결되는 체결홀(240)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프레임(210)은 일측 단부에 고정유닛(100)과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고정유닛(100)에 밀착되어 별도의 설치부재(201)를 통해 고정되거나 고정유닛(100)에 용접 등의 열융착을 통해 일체로 마련되는 지지판(211)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1 프레임(210)은 지지판(211)과 높이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a2)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프레임(210)의 직각 절곡된 부분의 한쪽 부분이 지면과 수평하고 나머지 한쪽 부분이 높이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제2 프레임(220)도 단면이 'ㄱ'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 단부에 체결홀(240)이 형성되며 일측 단부가 제1 프레임(210)의 타측 단부와 겹쳐진 상태에서 연결부재(202)로 결합되어 연결된다.
제3 프레임(230)도 단면이 'ㄱ'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 단부에 체결홀(240)이 형성되며 일측 단부가 제2 프레임(220)의 타측 단부와 겹쳐진 상태에서 연결부재(202)로 결합되어 연결된다.
이러한 제3 프레임(230)은 타측 단부에 와이어 연결홀(260)이 형성되어 보호망(20)을 둘러싸는 와이어(30)와 후술할 로프(301)가 연결된다.
연결부재(202)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어 볼트가 겹쳐진 프레임(210, 220, 230)을 통과한 후 너트와 조임 체결되면서 프레임(210, 220, 230)을 연결 고정한다.
또한, 연결유닛(200)은 겹쳐지거나 일부분을 덮는 보호망(20)의 테두리가 고정되도록 복수 개의 보호망 연결홀(250)이 형성되며, 이러한 보호망 연결홀(250)은 보호망(20)을 통과한 고정끈 등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보호망 연결홀(250)은 프레임(210, 220, 230)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보호망(20)의 어느 한곳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며 보호망(20)이 안전하게 결속된다.
또한, 본 발명의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20) 설치장치는 연결유닛(200)과 로프(301)로 연결되어 연결유닛(200)의 타측 단부를 지지해주는 지지유닛(300)을 더 포함한다.
지지유닛(300)은 주주재(11)의 고정유닛(100)이 고정된 부분에서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며, 연결유닛(200)의 타측 단부와 로프(301)를 매개로 연결되어 연결유닛(200)을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유닛(300)은 연결유닛(200)의 타측 단부를 지지해주어 연결유닛(200)에 가해지는 외력 또는 하중을 분산시켜 고정유닛(100)과의 연결부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1 지지앵글(310), 제2 지지앵글(320), 결합부재(330), 및 지지고리(311)로 구성된다.
제1 지지앵글(310)은 직각 절곡된 판형상 부재로 마련되어 단면이 'ㄱ' 형상으로 형성되며, 즉, 주주재(11)의 단면과 대응되게 형성되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연장된 부분에 결합부재(330)가 체결되어 주주재(11)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제2 지지앵글(320)도 직각 절곡된 판형상 부재로 마련되어 단면이 'ㄱ' 형상으로 형성되며, 즉, 주주재(11)의 단면과 대응되게 형성되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지지앵글(310)의 연장된 부분과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연장된 부분에 결합부재(330)가 체결되어 주주재(11)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결합부재(330)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어 볼트가 제1 지지앵글(310)과 제2 지지앵글(320)을 통과한 후 너트와 조임 체결되면서 제1 지지앵글(310)과 제2 지지앵글(320)을 주주재(11)에 조임 체결한다.
이러한 지지유닛(300)은 제1 지지앵글(310)과 제2 지지앵글(320) 사이에 주주재(11)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결합부재(330)를 조임 체결함에 따라 주주재(11)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각각 밀착된다.
지지고리(311)는 링형상으로 마련되어 제1 지지앵글(310)에 구비되며 제1 지지앵글(310)의 외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로프(301)가 연결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20) 설치장치는 조립식으로 마련되되 설치기준에 준수하여 설치되어 마련되며, 보호망(20)을 견고하게 지지해주어 산업재해를 최소화한다.
아래에서는 작업도중 자재운반시에 연결유닛(200)을 주주재(11) 측으로 접을 수 있고, 자재운반이 완료된 후 간단한 조작으로 연결유닛(200)을 펼쳐 보호망(20)이 설치되는 힌지형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20) 설치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힌지형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20) 설치장치가 도시된 도 8을 참고하면, 연결유닛(200)이 고정유닛(100)에 힌지 연결되어 주주재(11) 측으로 접히거나 펼쳐진다.
그리고, 연결유닛(20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된 로프(301)는 지지유닛(300)에 지지되며 송전철탑(10)의 하부측에 연결되어 송전철탑(10)의 하부측에서 작업자가 잡아당기거나 풀면서 연결유닛(200)을 승강 이동시키며 주주재(11)에 밀착되어 접히거나 주주재(11)와 미리 정해진 각도로 펼쳐지도록 지지한다.
즉, 송전철탑(10)의 하부측에서 로프(301)를 잡아당기면 로프(301)가 연결유닛(200)의 타측 단부를 잡아당겨 연결유닛(200)이 고정유닛(100)에 대해 힌지 회전하고 주주재(11) 측으로 밀착되며 접힌다. 반대로, 송전철탑(10)의 하부측에서 로프(301)를 잡아당겼던 힘을 제거하면 연결유닛(200)의 하중으로 고정유닛(100)에 대해 힌지 회전하여 주주재(11) 측에서 멀어지며 미리 설정된 각도로 펼쳐진 후에는 로프(301)에 지지되어 그 상태가 유지된다.
도 9 내지 도 10에는 고정유닛(100)과 연결유닛(200)의 힌지 연결이 도시되어 있으며, 고정유닛(100)에 한쌍의 힌지부(111)가 구비되고 연결유닛(200)에는 힌지부(111)와 연결되는 돌출판(212)이 구비된다.
한쌍의 힌지부(111)는 고정유닛(100)의 외측면, 즉, 제1 고정앵글(110)의 외측면 중 연결유닛(200)이 연결되는 부분에 수직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그 사이에 돌출판(212)이 삽입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그리고, 한쌍의 힌지부(111)는 각각에 힌지핀이 삽입되는 제1 힌지홀(112)이 형성된다.
돌출판(212)은 연결유닛(200)의 일측 단부에 고정유닛(100)과 마주보도록 형성된 지지판(211)에서 한쌍의 힌지부(111) 사이로 삽입되게 돌출되어 구비되며 한쌍의 힌지핀(101) 사이로 삽입된 후 힌지핀(101)으로 연결되며 힌지 회전된다. 또한, 돌출판(212)에도 제1 힌지홀(112)과 대응되는 제2 힌지홀(213)이 형성되어 힌지핀이 삽입된다.
이때, 연결유닛(200)은 보호망(20)을 송전철탑(10)의 둘레에 설치해야 하므로 주주재(11)에서 펼쳐질 때 적어도 지면과 수평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한쌍의 힌지부(111) 사이에는 스토퍼(113)가 구비된다. 단, 스토퍼(113)는 송전철탑(10)의 하측에서 로프(301)의 감김작동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로프(301)가 끊어질 경우를 대비하여 연결유닛(200)의 주주재(11)와의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스토퍼(113)는 한쌍의 지지부 사이를 가로막는 지면과 수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으로 배치되며 연결유닛(200)의 하측면이 지지되어 연결유닛(200)의 힌지 회전하는 각도를 제한한다.
또한, 도 11에는 스토퍼(113)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연결유닛(200)이 고정유닛(100)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각도(a2) 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돌출판(212)을 지지해주는 경사스토퍼(114)가 구비된다.
경사스토퍼(114)는 한쌍의 지지부 사이를 가로막는 상향 경사진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유닛(200)의 하측면이 지지되어 연결유닛(200)이 주주재(11)와 미리 설정된 각도(a2)를 이루며 고정되도록 돌출판(212)을 지지해준다.
이에 따라 송전철탑(10)의 하측에서 로프(301)를 오작동시키거나 로프(301)의 연결이 끊어지더라도 연결유닛(200)이 고정유닛(100)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각도(a2)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2 내지 도 13에는 지지유닛(300)에 로프(301)를 지지해주는 활차(350)가 구비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지지유닛(300)은 제2 지지앵글(320)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사각판 형태의 보강 플레이트(340)를 구비하며, 보강 플레이트(340)의 제2 지지앵글(320)과 연결되지 않는 모서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활차(350)를 구비한다.
보강 플레이트(340)는 일정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인접한 두 모서리가 제2 지지앵글(320)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나머지 두 모서리중 한측 모서리에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샤프트가 구비된다.
활차(350)는 고정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로프(301)를 지지해주며, 연결유닛(20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된 로프(301)의 방향을 전환하여 송전철탑(10)의 하측과 연결되게 한다.
이에 따라 송전철탑(10)의 하측에서 로프(301)를 잡아당기면 지지유닛(300)에 고정된 활차(350)가 회전하며 로프(301)를 지지해주고 연결유닛(200)의 타측 단부가 들어올려진다.
이와 같이 로프(301)는 송전철탑(10)의 하측에 설치되는 작동유닛(400)을 통해 잡아당겨지거나 풀리게 된다.
즉, 로프(301)는 일측단이 연결유닛(20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며 지지유닛(300)에 지지되어 타측단이 주주재(11)의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의 높이에 고정된 작동유닛(400)에 권취되어 마련된다.
이때, 작동유닛(40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손이 닿으며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높이의 송전철탑(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면으로부터 0.5m 내지 1.5m 이내의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송전철탑(10)의 하측의 주주재(11)의 작동유닛(400)이 고정된 부분에서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보조 지지유닛(500)이 설치될 수 있으며, 로프(301)가 작동유닛(400)으로 안정적으로 인입되고 인출될 수 있도록 지지해준다.
먼저, 도 15 내지 도 17을 참고하여 작동유닛(400)에 대해 설명하며, 작동유닛(400)은 제1 클램프(410), 제2 클램프(420), 및 클램프 부재(430)를 통해 주주재(11)에 고정되며, 로프(301)가 감기도록 작동하는 로프 드럼(440)을 포함한다.
제1 클램프(410)는 직각 절곡된 판형상 부재로 마련되어 단면이 'ㄱ' 형상으로 형성되며, 즉, 주주재(11)의 단면과 대응되게 형성되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연장된 부분에 클램프 부재(430)가 체결되어 주주재(11)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제2 클램프(420)도 직각 절곡된 판형상 부재로 마련되어 단면이 'ㄱ' 형상으로 형성되며, 즉, 주주재(11)의 단면과 대응되게 형성되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클램프(410)의 연장된 부분과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연장된 부분에 클램프 부재(430)가 체결되어 주주재(11)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클램프 부재(430)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어 볼트가 제1 클램프(410)와 제2 클램프(420)를 통과한 후 너트와 조임 체결되면서 제1 클램프(410)와 제2 클램프(420)를 주주재(11)에 조임 체결한다.
이러한 작동유닛(400)은 제1 클램프(410)와 제2 클램프(420) 사이에 주주재(11)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클램프 부재(430)를 조임 체결함에 따라 주주재(11)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각각 밀착된다.
그리고, 제2 클램프(420)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사각판 형태의 보강 플레이트(미부호)가 마련될 수 있고 제2 클램프(420)의 내측에 로프 드럼(440)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로프 드럼(44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주주재(11) 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로프(301)가 감겨 권취되거나 권해된다.
이러한 로프 드럼(440)은 길이방향의 가운데에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로프(301)가 감기는 감김부(441)를 구비하며, 길이방향의 일측단에는 작동 핸들(442)을 구비하고 길이방향의 타측단에는 래치부(443)를 구비한다.
작동 핸들(442)은 로프 드럼(440)과 함께 회전하며 로프 드럼(440)의 길이방향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작업자가 로프 드럼(440)을 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래치부(443)는 로프 드럼(440)의 길이방향의 타측단에 구비되어 로프(301)의 권취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외주면에 로프(301)가 권취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치가 복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주주재(11) 측 또는 제2 클램프(420)의 내측면에는 일단이 스프링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는 풀림방지부(444)가 구비되고, 풀림방지부(444)의 타단이 래치부(443)에 치합되는 돌기를 구비하여 로프 드럼(440)이 로프(301)를 권해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로프 드럼(440)의 래치부(443)는 풀림방지부(444)가 치합되어 있어서 로프(301)를 권취할 때에는 작동 핸들(442)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며 풀림방지부(444)는 스프링(미도시)을 회전방향으로 압축시키며 래치부(443)의 외측으로 돌출된 치의 단부를 따라 이동하며 래치부(443)의 회전을 허용한다.
그리고, 로프(301)를 권해할 때에는 작동 핸들(442)을 타방향으로 회전시켜도 풀림방지부(444)가 래치부(443)의 치에 치합되어 있고, 풀림방지부(444)의 힌지축에 연결된 스프링이 압축되어도 래치부(443)의 치가 풀림방지부(444)의 돌기를 누르고 있기 때문에 로프 드럼(440)의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자재운반을 위해 연결유닛(200)을 접어둔 상태에서 자재운반이 완료된 후 보호망(2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풀림방지부(444)를 힌지 회전시켜 래치부(443)의 치와 분리시킨 후 작동 핸들(442)을 회전시켜 로프(301)를 권해하며, 연결유닛(200)이 주주재(11)로부터 완전히 펼쳐지면 풀림방지부(444)를 래치부(443)의 치에 치합하여 로프 드럼(440)이 로프(301)를 권해하는 방향으로 더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로프(301)는 지지유닛(300)에 지지되어 작동유닛(400)으로 연결되기 전에 송전철탑(10)에 설치되는 보조 지지유닛(500)에 지지되어 가이드된다.
보조 지지유닛(500)은 도 18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조앵글(510), 제2 보조앵글(520), 및 보조 결합부재(530)를 포함하여 송전철탑(10)에 고정되고, 보조 활차(550)를 구비하여 로프(301)를 지지한다.
제1 보조앵글(510)은 직각 절곡된 판형상 부재로 마련되어 단면이 'ㄱ' 형상으로 형성되며, 즉, 주주재(11)의 단면과 대응되게 형성되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연장된 부분에 보조 결합부재(530)가 체결되어 주주재(11)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제2 보조앵글(520)도 직각 절곡된 판형상 부재로 마련되어 단면이 'ㄱ' 형상으로 형성되며, 즉, 주주재(11)의 단면과 대응되게 형성되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보조앵글(510)의 연장된 부분과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연장된 부분에 보조 결합부재(530)가 체결되어 주주재(11)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보조 결합부재(530)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어 볼트가 제1 보조앵글(510)과 제2 보조앵글(520)을 통과한 후 너트와 조임 체결되면서 제1 보조앵글(510)과 제2 보조앵글(520)을 주주재(11)에 조임 체결한다.
이러한 보조 지지유닛(500)은 제1 보조앵글(510)과 제2 보조앵글(520) 사이에 주주재(11)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보조 결합부재(530)를 조임 체결함에 따라 주주재(11)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각각 밀착된다.
그리고, 보조 지지유닛(500)은 제2 보조앵글(520)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사각판 형태의 보조 보강 플레이트(540)를 구비하며, 보조 보강 플레이트(540)의 제2 보조앵글(520)과 연결되지 않는 모서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보조 활차(550)를 구비한다.
보조 보강 플레이트(540)는 일정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인접한 두 모서리가 제2 보조앵글(520)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나머지 두 모서리 중 한측 모서리에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샤프트가 구비된다.
보조 활차(550)는 고정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로프(301)를 지지해주며, 작동유닛(400)에 권취되거나 권해되는 로프(301)를 지지한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보호망이 연결유닛의 보호망 연결홀에 각각 연결되며 설치되어 보호망의 처짐이 최소화되고 보호망이 주주재에 대한 설치각도와 설치높이의 설치기준에 준수하여 설치됨에 따라 송전철탑에서 승탑 작업자의 추락 및 낙하물 발생시 피해를 최소화되어 산업재해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조립식으로 마련되어 시공시간이 단축되며 쉽고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자재 운반시에는 간단한 조작으로 보호망을 주주재 측으로 접을 수 있어서 효율성이 높으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현장 적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송전철탑
11: 주주재
20: 보호망 30: 와이어
100: 고정유닛 101: 힌지핀
110: 제1 고정앵글 111: 힌지부
112: 제1 힌지홀 113: 스토퍼
114: 경사스토퍼 120: 제2 고정앵글
130: 체결부재 200: 연결유닛
201: 설치부재 202: 연결부재
210: 제1 프레임 211: 지지판
212: 돌출판 213: 제2 힌지홀
220: 제2 프레임 230: 제3 프레임
240: 체결홀 250: 보호망 연결홀
260: 와이어 연결홀 300: 지지유닛
301: 로프 310: 제1 지지앵글
311: 지지고리 320: 제2 지지앵글
330: 결합부재 340: 보강 플레이트
350: 활차 400: 작동유닛
410: 제1 클램프 420: 제2 클램프
430: 클램프 부재 440: 로프 드럼
441: 감김부 442: 작동 핸들
443: 래치부 444: 풀림방지부
500: 보조 지지유닛 510: 제1 보조앵글
520: 제2 보조앵글 530: 보조 결합부재
540: 보조 보강 플레이트 550: 보조 활차
20: 보호망 30: 와이어
100: 고정유닛 101: 힌지핀
110: 제1 고정앵글 111: 힌지부
112: 제1 힌지홀 113: 스토퍼
114: 경사스토퍼 120: 제2 고정앵글
130: 체결부재 200: 연결유닛
201: 설치부재 202: 연결부재
210: 제1 프레임 211: 지지판
212: 돌출판 213: 제2 힌지홀
220: 제2 프레임 230: 제3 프레임
240: 체결홀 250: 보호망 연결홀
260: 와이어 연결홀 300: 지지유닛
301: 로프 310: 제1 지지앵글
311: 지지고리 320: 제2 지지앵글
330: 결합부재 340: 보강 플레이트
350: 활차 400: 작동유닛
410: 제1 클램프 420: 제2 클램프
430: 클램프 부재 440: 로프 드럼
441: 감김부 442: 작동 핸들
443: 래치부 444: 풀림방지부
500: 보조 지지유닛 510: 제1 보조앵글
520: 제2 보조앵글 530: 보조 결합부재
540: 보조 보강 플레이트 550: 보조 활차
Claims (20)
- 송전철탑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주주재 마다 고정되는 고정유닛; 및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형성되고, 각각의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유닛 마다 두 곳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주주재와 미리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보호망이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단면이 'ㄱ'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주주재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1 고정앵글;
단면이 'ㄱ'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주주재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2 고정앵글; 및
상기 제1 고정앵글과 제2 고정앵글을 상기 주주재에 조임 체결하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연결유닛의 타측 단부를 연결하며 둘러싸면서 상기 복수 개의 연결유닛과 함께 내부에 상기 보호망이 설치되는 틀을 형성하는 와이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일측 단부에 상기 고정유닛과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유닛에 밀착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고정유닛에 일체로 마련되는 지지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일측 단부에 상기 지지판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연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제1 프레임;
양측 단부에 상기 체결홀이 형성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2 프레임; 및
양측 단부에 상기 체결홀이 형성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3 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보호망을 통과한 고정끈이 연결되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보호망 연결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주재의 상기 고정유닛이 고정된 부분에서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유닛의 타측 단부와 로프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유닛을 지지하는 지지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단면이 'ㄱ'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주주재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1 지지앵글;
단면이 'ㄱ'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주주재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2 지지앵글; 및
상기 제1 지지앵글과 제2 지지앵글을 상기 주주재에 조임 체결하는 결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앵글은 외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로프가 연결되는 링형상의 지지고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유닛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주주재 측으로 접히거나, 타측 단부가 상기 로프에 지지되어 상기 주주재와 미리 설정된 각도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외측면에 수직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정간격 이격된 한쌍의 힌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유닛은 일측 단부에 상기 고정유닛과 마주보도록 형성된 지지판에 구비되며 상기 한쌍의 힌지부 사이에 삽입된 후 힌지핀으로 연결되는 돌출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연결유닛의 힌지 회전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한쌍의 지지부 사이를 가로막는 수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으로 배치되는 상기 연결유닛의 하측면이 지지되는 스토퍼;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힌지부는, 상기 연결유닛이 상기 주주재와 미리 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고정되도록, 상기 한쌍의 지지부 사이를 가로막는 상향 경사진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유닛의 하측면이 지지되는 경사스토퍼;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는 일측단이 상기 연결유닛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유닛에 지지되어 타측단이 상기 주주재의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의 높이에 고정된 작동유닛에 권취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주주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로프가 지지되어 상기 로프의 방향을 전환하는 활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주주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로프가 감겨 권취되거나 권해되는 로프 드럼; 및
상기 로프 드럼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상기 로프 드럼과 함께 회전하는 작동 핸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로프 드럼의 타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로프의 권취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외주면에 상기 로프가 권취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치가 복수개 형성된 래치부; 및
일단이 상기 주주재 측에 스프링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래치부에 치합되는 풀림방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은,
단면이 'ㄱ'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주주재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1 클램프;
단면이 'ㄱ'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주주재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2 클램프; 및
상기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를 상기 주주재에 조임 체결하는 클램프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주주재의 상기 작동유닛이 고정된 부분에서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로프를 지지하는 보조 지지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유닛은 상기 주주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로프가 지지되는 보조 활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3747A KR20220165134A (ko) | 2021-06-07 | 2021-06-07 |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3747A KR20220165134A (ko) | 2021-06-07 | 2021-06-07 |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5134A true KR20220165134A (ko) | 2022-12-14 |
Family
ID=84438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3747A KR20220165134A (ko) | 2021-06-07 | 2021-06-07 |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65134A (ko) |
-
2021
- 2021-06-07 KR KR1020210073747A patent/KR2022016513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29781B2 (en) |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 |
US12012769B2 (en) | Safety net and safety net components for multi-storey building construction | |
US9038777B2 (en) | Fall protection system | |
US20140339018A1 (en) |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With Rigid Panel Net Supports And Stopper Mechanisms | |
KR20180050154A (ko) |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 |
US20090020363A1 (en) | Scaffolding fall protection system | |
US20060090961A1 (en) | Safety net system | |
JP6633688B2 (ja) | トラック荷台からの落下防止装置 | |
CA2777181C (en) | A tilt tower assembly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and a method to ship and assemble a tilt tower | |
KR20220165134A (ko) | 낙하물 및 추락 방호용 보호망 설치장치 | |
KR200491429Y1 (ko) |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 | |
JP7094046B2 (ja) | 支持装置 | |
JP3780379B2 (ja) | 自動開閉式落下物防護装置 | |
KR20120054251A (ko) | 족장 설치구조 | |
CN206188278U (zh) | 一种建筑物资吊运装置 | |
KR100929311B1 (ko) | 대빗 장치 | |
WO2021053863A1 (ja) | 手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作業機械 | |
KR102230963B1 (ko) |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 | |
KR102517534B1 (ko) | 시험용 벽체와 시험틀이 고정 결합된 시험조립체의 제작 및 직립장치와, 이를 이용한 시험조립체의 제작 및 직립방법 | |
JP3363042B2 (ja) | 竪管ユニットの直吊り工法 | |
CN216141160U (zh) | 一种组装式塔吊操作平台 | |
KR20120107209A (ko) | 행사용 천막 | |
EP1059400A1 (en) | Safety gate | |
CN220978910U (zh) | 一种电梯井防坠保护结构 | |
KR102236750B1 (ko) | 호환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1인 창호 작업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