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4893A -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 - Google Patents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4893A
KR20220164893A KR1020210073218A KR20210073218A KR20220164893A KR 20220164893 A KR20220164893 A KR 20220164893A KR 1020210073218 A KR1020210073218 A KR 1020210073218A KR 20210073218 A KR20210073218 A KR 20210073218A KR 20220164893 A KR20220164893 A KR 20220164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xed
injection molding
movable platen
mol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정근
이호민
최윤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3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4893A/ko
Publication of KR20220164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8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04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56Handling of moulds or mould parts, e.g. mould exchang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1Means for guiding movable mould supports or injection units on the machine base or frame; Machine base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75Connecting parts, e.g. injection screws, ejectors, to 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73Moulds with exchangeable mould parts, e.g. cassett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1Means for guiding movable mould supports or injection units on the machine base or frame; Machine bases or frames
    • B29C2045/1765Machine b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1Means for guiding movable mould supports or injection units on the machine base or frame; Machine bases or frames
    • B29C2045/1765Machine bases
    • B29C2045/1767Machine bases connecting means for machine bas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금형이 설치된 이동형판; 고정금형이 설치된 고정형판; 상기 이동형판과 상기 고정형판을 지지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출입문; 및 상기 이동형판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출입문이 함께 이동되도록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이동형판에 결합된 제1결합부; 상기 출입문에 결합된 제2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를 연동시키는 연동기구를 포함하는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Clamping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본 발명은 사출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출성형을 수행하는 사출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은 플라스틱 제품을 제조함에 있어 가장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제조방법이다. 예컨대, 텔레비전, 휴대폰, PDA 등과 같은 제품에 있어서 커버, 케이스를 비롯한 다양한 부품이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을 통한 제품의 제조는, 다음과 같은 공정들을 거쳐 이루어진다. 우선, 안료, 안정제, 가소제, 충전제 등이 첨가된 성형재료를 호퍼에 투입하여 용융 상태로 만든다. 다음,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금형 내에 주입한 후에 냉각을 통해 응고시킨다. 다음, 금형으로부터 응고된 성형재료를 추출한 후에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한다. 이러한 공정들을 거쳐 다양한 종류 및 크기를 갖는 사출제품이 제조된다.
이와 같은 사출성형을 수행하는 설비로, 사출성형기가 이용된다. 상기 사출성형기는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공급하는 사출장치, 및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냉각을 통해 응고시키는 형체장치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00)에 대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00)는 고정형판(110), 이동형판(120), 프레임(130), 및 출입문(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형판(110)은 고정금형(미도시)이 설치된 것이다. 상기 고정금형은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동형판은 상기 고정형판(1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다. 상기 이동형판은 상기 고정형판(110)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대되는 방향 및 상기 고정형판(110)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이동형판에는 이동금형(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이동금형은 용융 상태의 성형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동금형 및 상기 고정금형은 접촉되어 형폐(形閉) 상태가 되거나, 서로 이격되어 형개(形開) 상태가 된다.
상기 프레임(130)은 상기 고정형판(110)과 상기 이동형판(120)으로의 접근을 제한하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130)은 상기 고정형판(110)과 상기 이동형판(120)의 주변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30)에는 연결통로(13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통로(130a)는 상기 프레임(130)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시키는 통로이다. 작업자는 외부에서 상기 연결통로(130a)를 통해 상기 프레임(130)의 내부로 진입함으로써 상기 고정형판(110)과 상기 이동형판(120)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출입문(140)은 상기 연결통로(130a)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것이다. 상기 출입문(140)이 상기 연결통로(130a)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고정형판(110) 및 상기 이동형판(120)에 접근할 수 있게 되어 상기 고정형판(110) 및 상기 이동형판(120) 부근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출입문(140)이 상기 연결통로(130a)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고정형판(110) 및 상기 이동형판(120)에 접근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00)는 상기 출입문(14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50)가 필요하였다. 상기 구동부(150)는 예컨대, 공압실린더, 유압실린더, 또는 모터 등이 배선으로 연결됨으로써 전기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00)는 상기 구동부(150)가 수반됨에 따라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00)는 배선불량 등으로 인해 상기 구동부(150)에 전기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출입문(140)의 작동이 원천적으로 차단됨에 따라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이동형판이 이동됨에 따라 출입문이 함께 이동되도록 이동형판과 출입문을 연동시키는 연동부를 구비한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는 이동금형이 설치된 이동형판; 고정금형이 설치된 고정형판; 상기 이동형판과 상기 고정형판을 지지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출입문; 및 상기 이동형판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출입문이 함께 이동되도록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동부는, 상기 이동형판에 결합된 제1결합부; 상기 출입문에 결합된 제2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를 연동시키는 연동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동부를 통해 이동형판이 이동됨에 따라 출입문이 함께 이동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출입문을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력발생장치를 생략하도록 구현하므로, 출입문에 투입되는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동부를 통해 공압장치, 유압장치 또는 전기공급원와 같은 동력발생장치에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복잡한 배선구조가 생략되므로, 배선불량으로 인해 출입문이 동작하지 않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자에 대한 안전성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가 설치되는 사출성형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에 있어서 연동부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연동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는 사출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사출성형기(10, 이하 도 2에 도시됨)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사출성형기(10)는 사출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출성형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사출성형기(10)는 사출장치(11)를 이용하여 성형재료를 용융시켜 금형에 주입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를 이용하여 주입된 성형재료를 냉각해 응고시킴으로써 사출성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는 상기 사출성형기(10)가 갖는 사출장치(11)로부터 공급된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냉각을 통해 사출제품으로 응고시키는 공정을 담당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형체장치(1)는 고정형판(2), 이동형판(3), 연동부(4), 출입문(12), 및 베이스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형판(2)은 고정금형(미도시)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금형은 상기 금형의 일부분으로, 용융된 성형재료가 유입되기 위한 캐비티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판(3)은 이동금형(미도시)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금형은 상기 금형의 일부분으로, 상기 고정금형과 함께 용융된 성형재료가 유입되기 위한 캐비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판(3)은 상기 고정형판(2)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감소되는 형폐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형폐방향(F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형개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형폐방향(F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이동형판(3)이 상기 이동금형과 상기 고정금형이 서로 접촉되어 형폐(形閉) 상태가 되도록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형판(3)과 상기 고정형판(2) 사이의 이격된 거리가 감소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형폐방향(F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이동형판(3)에서 상기 고정형판(2)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형개방향(B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이동형판(3)이 상기 이동금형과 상기 고정금형이 서로 이격되어 형개(形開) 상태가 되도록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형판(3)과 상기 고정형판(2) 사이의 이격된 거리가 감소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형개방향(BD 화살표 방향)은 상기 고정형판(2)에서 상기 이동형판(3)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출입문(12)은 연결통로(미표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통로는 작업자가 상기 고정형판(2)과 이동형판(3)에 접근하기 위해 이동하는 통로로, 외부와 상기 고정형판(2) 및 이동형판(3) 부근 각각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출입문(12)은 상기 연결통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출입문(12)이 상기 연결통로를 개방하는 방향은 상기 형개방향(BD 화살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출입문(12)은 상기 연결통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출입문(12)이 상기 연결통로를 폐쇄하는 방향은 상기 형폐방향(FD 화살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출입문(12)이 상기 연결통로가 개방되도록 이동되면, 작업자는 상기 고정형판(2) 및 이동형판(3)에 접근하여 상기 고정형판(2)과 이동형판(3) 부근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출입문(12)이 상기 연결통로가 폐쇄되도록 이동되면, 작업자는 상기 고정형판(2)과 이동형판(3)으로 접근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상기 베이스부(13)는 상기 고정형판(2)과 상기 이동형판(3)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형판(2)과 상기 이동형판(3)은 상기 베이스부(13)에 설치되어서 상기 베이스부(13)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3)는 상기 고정형판(2)과 상기 이동형판(3)을 수용하는 프레임(미표시)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연결통로를 통해 외부에서 상기 프레임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고정형판(2)과 상기 이동형판(3)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출입문(12)은 상기 베이스부(13)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입문(12)은 상기 베이스부(13)에 설치된 가이드부(14, 도 4에 도시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13)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4)는 상기 출입문(12)에 형성된 슬라이딩홈(미표시)에 삽입되어서, 상기 출입문(12)이 상기 가이드부(14)를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4)는 상기 형폐방향(FD 화살표 방향)과 상기 형개방향(BD 화살표 방향)에 평행한 제1축방향(X축 화살표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상기 베이스부(1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4)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출입문(12)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으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동부(4)는 상기 이동형판(3)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출입문(12)이 함께 이동되도록 연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동부(4)는 상기 이동형판(3)에 결합된 제1결합부(41), 상기 출입문(12)에 결합된 제2결합부(42), 및 상기 제1결합부(41)와 상기 제2결합부(42)를 연동시키는 연동기구(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동기구(43)는 상기 제1결합부(41)와 상기 제2결합부(42)를 연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동형판(3)이 이동하는 동력이 상기 연동기구(43)를 통해 상기 출입문(12)에 전달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는 상기 출입문(12)이 상기 연동기구(43)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이동형판(3)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통로가 개방되도록 이동되거나, 상기 연결통로가 폐쇄되도록 이동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는 상기 연동부(4)를 통해 상기 이동형판(3)이 이동하는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출입문(12)을 이동시키도록 구현되므로, 상기 출입문(12)을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동력발생장치를 생략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는 상기 출입문(12)에 대한 제조비용을 경감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는 상기 연동부(4)가 공압장치, 유압장치 또는 전기공급원와 같은 동력발생장치에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같이 복잡한 배선구조를 생략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는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00)에서 구동부(150)의 배선불량, 예컨대 배선의 합선 또는 누전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상기 출입문(12)이 대한 고장률을 낮추고 나아가 상기 출입문(12)의 고장에 따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위험을 경감시킬 수 있다.
상기 연동부(4)는 연결부재(4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431)는 상기 제1결합부(41)와 상기 제2결합부(42)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431)는 상기 제1결합부(41)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부(4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결합부(41)와 상기 제2결합부(42)는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도 상기 연결부재(431)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연결부재(431)가 상기 제2결합부(42)에 대해 독립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431)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의 긴 봉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결합부(41)와 상기 제2결합부(42)를 연결할 수 있으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부재(431)는 상기 제2결합부(4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연결부재(431)는 상기 제2결합부(42)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결합부(42)에 대해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재(431)는 상기 제2결합부(42)가 직선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연결부재(431)는 상기 제1결합부(41)와 상기 제2결합부(42) 모두에 대해 고정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1결합부(41), 상기 제2결합부(42), 및 상기 연결부재(43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431)는 상기 제1결합부(41)로부터 상기 이동형판(3)이 이동하는 동력을 상기 제2결합부(42)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2결합부(42)에 결합된 상기 출입문(12)을 이동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연동기구(43)는 제1탄성부재(432, 도 5에 도시됨), 제2탄성부재(433, 도 7에 도시됨), 지지부재(434, 도 7에 도시됨), 및 고정부(5, 도 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432)는 상기 이동형판(3)의 이동에 따라 상기 출입문(12)이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출입문(1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탄성부재(432)는 일측이 상기 제1결합부(41)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결합부(4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형판(3)의 동력은 상기 제1결합부(41)에 결합된 상기 제1탄성부재(432)를 상기 제2결합부(42)에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탄성부재(432)는 상기 제1결합부(41)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탄성변형됨으로써, 상기 출입문(12)이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출입문(12)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는 상기 제1탄성부재(432)를 이용하여 상기 출입문(12)이 탄성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동부(4)가 상기 연결부재(431)와 상기 제1탄성부재(432)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는 상기 제2결합부(42)가 상기 연결부재(431)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출입문(12)이 상기 이동형판(3)에 대해 독립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되고, 이에 더하여 상기 제1탄성부재(432)를 이용하여 상기 출입문(12)이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는 상기 출입문(12)과 상기 이동형판(3)이 일체로 이동하도록 연동시키는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연동기구(43)가 상기 제1결합부(41)와 상기 제2결합부(42)를 연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출입문(12)과 상기 이동형판(3)의 속도차이로 인해 상기 연동기구(43)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연동기구(43)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는 상기 제1탄성부재(432)가 상기 이동형판(3)이 이동함에 따라 항상 압축됨으로써 상기 이동형판(3)으로부터 상기 출입문(12)으로 동력이 전달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증대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동형판(3)이 이동하는 경우 우선적으로 상기 제1탄성부재(432)가 탄성적으로 압축되고, 순차적으로 상기 제1탄성부재(432)가 복원되는 과정에서 제공되는 상기 출입문(12)에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출입문(12)이 이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동형판(3)과 상기 출입문(12)이 일체로 이동하는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이동형판(3)이 상기 출입문(12)에 동력을 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증대시키도록 구현되므로, 상기 출입문(12)이 받는 충격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는 상기 연동기구(43)에 대한 내구성을 더 향상시키고, 나아가 상기 이동형판(3)과 상기 출입문(12)에 대한 내구성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432)는 상기 이동형판(3)이 상기 고정형판(2)과 접촉되는 형폐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형폐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출입문(12)에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탄성변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탄성부재(432)는 상기 출입문(12)이 상기 형폐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소정 길이만큼 인장되어서 탄성변형되도록 상기 제1결합부(41)와 상기 제2결합부(42)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탄성부재(432)는 수축되도록 탄성변형함으로써 상기 제1결합부(41)와 상기 제2결합부(42)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결합부(41)와 상기 제2결합부(42)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출입문(12)은 상기 연결통로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상기 연결통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는 상기 출입문(12)이 충격이나 진동에도 불구하고 상기 연결통로를 폐쇄하는 위치에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 도 5에 도시됨)는 상기 출입문(12)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고정부(5)는 상기 출입문(12)을 상기 베이스부(13)에 고정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출입문(12)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출입문(12)은 상기 출입문(12)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5)는 스위치, 버튼, 또는 레버 등과 같은 조작부재(미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는 작업자에 의해 상기 조작부재가 조작됨에 따라 작동되거나 작동 해제될 수 있다. 예컨대, 작업자는 상기 조작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고정부(5)를 작동시켜서 상기 출입문(12)을 이동 가능한 상태로 제어하거나, 상기 고정부(5)를 작동 해제시켜서 상기 출입문(12)을 이동이 제한된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는 상기 출입문(12)을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제2결합부(42)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5)에 의해 상기 출입문(12)이 고정되어 상기 제2결합부(42)가 고정되는 경우, 상기 출입문(12)은 상기 제1탄성부재(432)에 의해 상기 제2결합부(42)에 탄성력이 제공되더라도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 실시예로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와 같이 상기 출입문(12)이 상기 고정부(5)에 의해 고정되면, 상기 출입문(12)에 결합된 상기 제2결합부(42)도 고정된다.
다음, 상기 제2결합부(42)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형판(3)이 상기 형개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이동형판(3)에 결합된 상기 제1결합부(41)도 상기 형개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 상기 제2결합부(42)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부(41)가 상기 형개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결합부(41)와 상기 제2결합부(42)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탄성부재(432)는 수축되도록 탄성변형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탄성부재(432)가 수축되도록 탄성변형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2결합부(42)는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는 상기 고정부(5)를 이용하여 상기 제1탄성부재(432)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출입문(12)이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는 상기 제1탄성부재(432)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출입문(12)을 이동시키면서도, 필요에 따라 상기 제1탄성부재(432)의 탄성력과 무관하게 상기 출입문(12)이 항상 고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형판(3)과 상기 출입문(12)이 선택적으로 연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출성형기(10)가 가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출입문(12)이 상기 제1탄성부재(432)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이동하는 비교예와 대비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는 상기 출입문(12)의 불필요한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출입문(12)이 의도치 않게 상기 연결통로를 개방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는 상기 출입문(12)이 불필요하게 이동함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출입문(12)에 충돌하거나, 상기 연결통로가 의도치 않게 개방됨에 상기 이동형판(3)과 고정형판(2)으로부터 작업자가 접근하는 것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431)가 상기 출입문(12)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형판(3)이 독립적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2결합부(4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탄성부재(432)는 일측이 상기 제1결합부(41)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결합부(4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432)는 상기 이동형판(3)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출입문(12)이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출입문(12)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가 상기 출입문(12)을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제2결합부(42)를 고정시키는 경우, 상기 제1탄성부재(432)는 탄성변형함으로써 상기 이동형판(3)의 운동에너지를 탄성에너지로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5)가 상기 출입문(12)의 고정을 해제하면 상기 제1탄성부재(432)에 저장된 탄성에너지는 상기 출입문(12)으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출입문(12)이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 실시예로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와 같이 상기 고정부(5)에 의해 상기 제2결합부(42)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형판(3)이 상기 형개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결합부(41)와 상기 제2결합부(42) 사이의 거리는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결합부(41)와 상기 제2결합부(42)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1탄성부재(432)는 수축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형판(3)의 운동에너지가 상기 제1탄성부재(432)의 탄성에너지로 전환된다.
다음, 도 6과 같이 상기 고정부(5)에 의해 상기 제2결합부(42)의 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제1탄성부재(432)는 인장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제1탄성부재(432)를 이루는 복수개의 고리들 중에서 인접한 고리들 사이의 거리는 W1(도 5에 도시됨)에서 W2(도 6에 도시됨)로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결합부(42)는 상기 제1탄성부재(432)가 인장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형개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는 상기 제1탄성부재(432)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형판(3)이 발생시킨 운동에너지를 탄성에너지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출입문(12)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형판(3)을 불필요하게 이동시키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탄성부재(432)가 없는 비교예의 경우, 상기 이동형판(3)이 이동하는 운동에너지를 상기 출입문(12)에 직접 전달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출입문(12)만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이동형판(3)을 이동시키는 작업을 필수적으로 수반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는 상기 제1탄성부재(432)에 저장된 탄성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형판(3)을 이동시키기 않고도 상기 출입문(12)을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는 상기 이동형판(3)의 불필요한 이동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이동형판(3) 및 상기 이동형판(3)을 이동시키는 구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연동기구(43)는 지지부재(434), 및 제2탄성부재(4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34)는 제2탄성부재(433)가 상기 출입문(12)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2탄성부재(433)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434)는 상기 연결부재(431)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431)의 일측은 상기 제1결합부(41)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431)의 타측에는 상기 지지부재(434)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재(431)는 상기 제2결합부(4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42)는 상기 지지부재(434)와 상기 제1결합부(4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433)는 상기 제1결합부(41)와 상기 제2결합부(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탄성부재(433)는 상기 이동형판(3)의 형개방향(BD 화살표 방향)에 따라 상기 출입문(12)이 형개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출입문(12)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433)는 상기 출입문(12)이 형폐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출입문(12)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탄성부재(433)는 상기 지지부재(434)와 상기 제2결합부(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433)는 상기 이동형판(3)이 형폐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출입문(12)이 형폐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출입문(12)이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이동형판(3)이 형폐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이동형판(3)의 타측에 결합된 지지부재(434)도 상기 형폐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 상기 지지부재(434)가 상기 제2탄성부재(433)를 상기 형폐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탄성부재(433)는 상기 제2결합부(42)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형폐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 상기 제2탄성부재(433)가 상기 제2결합부(42)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2탄성부재(433)는 상기 제2결합부(42)가 형폐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결합부(42)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결합부(42)에 결합된 출입문(12)은 상기 형폐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434)는 상기 제2결합부(42)에 비해 더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34)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탄성부재(433)를 지지할 수 있으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34)와 상기 연결부재(43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434)는 상기 연결부재(43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433)의 탄성계수는 상기 제1탄성부재(432)의 탄성계수와 서로 상이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433)의 탄성계수는 상기 제1탄성부재(432)의 탄성계수와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제2탄성부재(433)에 대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출입문(12)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5)에 의해 상기 출입문(12)이 고정됨에 따라 상기 제2결합부(42)가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1탄성부재(432)에 의해 상기 제2결합부(42)에 탄성력이 제공되더라도 상기 출입문(12)은 고정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연결부재(431)는 상기 제2결합부(42)에 대해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탄성부재(433)는 상기 연결부재(431)가 상기 제2결합부(42)로부터 돌출되도록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2결합부(42)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증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서 상기 연결부재(431)가 상기 제2결합부(42)로부터 돌출되도록 계속 이동하면, 상기 제2탄성부재(433)와 상기 제2결합부(42) 사이의 거리는 도 7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재(433)와 상기 제2결합부(42) 사이의 거리(D)보다 더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탄성부재(433)는 상기 지지부재(434)에는 고정되게 결합되되, 상기 제2결합부(42)에는 고정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는 상기 제1탄성부재(432)가 충분히 수축되도록 탄성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5)가 상기 출입문(12)의 고정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제2탄성부재(433)가 댐퍼(Damper)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2결합부(42)가 상기 제1탄성부재(432)의 탄성력으로 인해 형개방향(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안정적으로 감속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는 상기 출입문(12)이 형개방향(BD 화살표 방향)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출입문(12) 및 상기 제2결합부(42)가 다른 구조물들과의 충돌로 인해 손상 내지 파손되는 정도를 경감할 수 있으므로, 상기 출입문(12)과 상기 제2결합부(42)에 대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2탄성부재(433)에 대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탄성부재(433)는 일측이 상기 지지부재(434)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결합부(42)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는 상기 제1탄성부재(432)와 상기 제2탄성부재(433)가 서로 분담하여 상기 이동형판(3)이 이동하는 동력을 상기 출입문(12)에 전달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1)는 상기 출입문(12)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탄성부재들 각각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함으로써 탄성부재들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사출성형기용 안전장치 2 : 고정형판
3 : 이동형판 4 : 연동부
5 : 고정부 10 : 사출성형기
11 : 사출장치 12 : 출입문
13 : 베이스부 41 : 제1결합부
42 : 제2결합부 43 : 연동기구
431 : 연결부재 432 : 제1탄성부재
433 : 제2탄성부재 434 : 지지부재

Claims (5)

  1. 이동금형이 설치된 이동형판;
    고정금형이 설치된 고정형판;
    상기 이동형판과 상기 고정형판을 지지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출입문; 및
    상기 이동형판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출입문이 함께 이동되도록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이동형판에 결합된 제1결합부;
    상기 출입문에 결합된 제2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를 연동시키는 연동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형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이동형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출입문이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출입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부재는 일측이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형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출입문이 고정되어 상기 제2결합부가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1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제2결합부에 탄성력이 제공되더라도 상기 출입문은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형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일측이 상기 제1결합부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형판의 형개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출입문이 형개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출입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에 결합된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형판의 형폐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출입문이 형폐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출입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형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출입문이 고정되어 상기 제2결합부가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1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제2결합부에 탄성력이 제공되더라도 상기 출입문은 고정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결합부에 대해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형체장치.
KR1020210073218A 2021-06-07 2021-06-07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 KR202201648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218A KR20220164893A (ko) 2021-06-07 2021-06-07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218A KR20220164893A (ko) 2021-06-07 2021-06-07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893A true KR20220164893A (ko) 2022-12-14

Family

ID=84438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218A KR20220164893A (ko) 2021-06-07 2021-06-07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48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6083B2 (ja) ダイカストマシンにおける離型剤のスプレイ方法及びその装置
US9138923B2 (en) Vertical injection molding machine
US6843647B2 (en) Electric closing gear
JPWO2009118833A1 (ja) 二材成形用射出成形機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522938B1 (ko) 코어 추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
KR20220164893A (ko)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
US7156649B2 (en) Mold for injection molding and a method of operating a mold
US10207441B2 (en) Molding die and die-exchanging method
KR101626509B1 (ko) 탠덤 성형장치의 잠금장치
KR100250401B1 (ko) 금형 교환장치
KR101156196B1 (ko) 사출 금형장치
KR20170010453A (ko) 금형의 잠금 조절장치
JP6448072B1 (ja) 金型装置
CN108290320B (zh) 射出成形机
KR20090073851A (ko) 금형조립체
KR200227970Y1 (ko) 사출금형의 제품취출장치
KR101317676B1 (ko) 액상실리콘 진공성형장치
KR101247182B1 (ko) 사출성형 금형의 코어 유동 방지 장치
CN215283070U (zh) 一种带有新型电动门的注塑机
KR20180089131A (ko) 사출성형기
JP2010052322A (ja) 射出成形機
KR102465609B1 (ko) 사출성형기용 안전장치
JP2001105460A (ja) 射出成形金型
KR102593391B1 (ko) 사출성형기용 이동형판 지지장치
JPH06114874A (ja) 射出成形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