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938B1 - 코어 추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 - Google Patents

코어 추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938B1
KR101522938B1 KR1020150034633A KR20150034633A KR101522938B1 KR 101522938 B1 KR101522938 B1 KR 101522938B1 KR 1020150034633 A KR1020150034633 A KR 1020150034633A KR 20150034633 A KR20150034633 A KR 20150034633A KR 101522938 B1 KR101522938 B1 KR 101522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pring bracket
fastening
undercu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4157A (ko
Inventor
임재구
임영은
원경연
Original Assignee
(주) 부광테크
정원기계 (주)
임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부광테크, 정원기계 (주), 임영은 filed Critical (주) 부광테크
Priority to KR1020150034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938B1/ko
Publication of KR20150034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78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non-rigid undercut forming elements, e.g. elastic or resil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핀이 관통하고, 언더컷 취출장치가 설치되는 가이드 금형;을 포함하는 코어 추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 취출장치는 가이드 금형에 내장되며, 외주면에 구비되는 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하단 플랜지가 형성되고, 성형코어의 하측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하측으로 관통 형성되어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스프링 브라켓과, 상기 스프링 브라켓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 브라켓의 작동에 따라 승하강하면서 성형품의 언더컷부 취출이 이루어지도록 언더컷부의 취출을 위한 취출부와, 성형코어의 승하강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및 상단부가 언더컷부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된 성형코어와, 상기 성형코어가 관통하여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가이드 금형에 고정되며, 상단이 상기 스토퍼와 접촉하면서 상기 성형코어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스프링 브라켓과 밀판 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가이드 홀더와, 상기 스프링 브라켓의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성형코어를 상기 스프링 브라켓에 체결하는 체결수단과, 상기 체결수단의 머리부를 지지하며, 체결수단과 스프링 브라켓이 이중으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성형코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성형코어와 스프링 브라켓 간의 체결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어 추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 {Core extractor apparatus having injection mould}
본 발명은 코어 추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코어를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해 강제로 복원시키면서 언더컷이 형성된 성형품의 취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성형코어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을 안정되고 신속하게 취출할 수 있고,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코어 추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상의 사출금형의 취출장치는 고정금형을 관통하여 성형품이 취출되도록 하는 밀핀과, 밀핀이 상하 이동되도록 하는 하부밀판 및 상부밀판과, 고정금형이 설치된 고정측 설치판의 측면에 설치되어 완료되면, 가동금형이 이탈된 후 상부밀판을 밀어줌으로써 밀핀에 의해 성형품이 고정금형으로부터 이탈되어 취출되도록 하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언더컷이 형성된 성형품의 경우, 제품의 취출이 용이하지 못하여 별도의 취출장치가 구성되어야만 했다.
이에, 사출 성형품에 형성되는 언더컷을 처리하여 제품의 취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언더컷 취출장치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9-0011122호 (2009.10.29)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제품의 보스 외부에 돌출형상이 있어 슬리브 핀에서 그 형상이 가공되어 있고, 외곽형상은 2단으로 가공되어 일정 거리를 이동하면 그 단의 차에 의해 더 이상의 이동이 될 수 없도록 가공되어 있으며, 슬리브 핀의 아래에는 스프링에 압축력을 가해줄 수 있는 스프링 조정 부시와 스프링이 장치되어 있고, 금형으로부터의 제품분리를 위한 취출 과정이 2차에 걸쳐 작동될 수 있도록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전술한 선행기술 1은 정상적인 생산활동을 할 수 없고 다른 기구장치를 설치하여 해결하려 해도 금형 내 공간이 협소하여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1998-035663호 (1998.09.15.)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형금형에 설치되고, 상부로 형성된 환홈의 내저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홀을 가지며, 인써트 다이의 가이드봉에 끼워져 스프링이 탄설된 받침대에 설치된 아웃트핀과, 녹아웃트핀에 의해 상, 하 작동되는 인써트 다이에 설치되고, 하단으로 위치결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아웃트핀의 홀에 입설되어 선단이 환홈으로 돌출되는 인너핀으로 구성된 사출제품 취출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전술한 선행기술 2는 취출장치의 인써드 다이 및 인너핀의 복원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취출장치의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원활한 사출성형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제품의 생산력이 저하됨은 물론, 취출장치의 유지 보수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09-0011122호 (2009.10.29)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1998-035663호 (1998.09.15.)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성형코어를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해 강제로 복원시키면서 언더컷이 형성된 성형품의 취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성형코어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을 안정되고 신속하게 취출할 수 있고,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성형품의 취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밀핀이 설치된 밀판; 상기 밀핀이 관통하는 핀 관통홀과, 언더컷 취출장치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부가 형성된 가이드 금형; 및 가이드 금형에 내장되는 스프링 브라켓과, 스프링 브라켓의 상부에 결합되며, 성형품의 언더컷부 취출이 이루어지는 성형코어와, 성형코어 작동을 제어하는 가이드 홀더 및 소정의 탄성력을 통해 성형코어의 작동을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언더컷 취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추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 가이드 홀더를 고정시키는 고정홈과, 가이드 홀더의 하단부 및 스프링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턱과, 스프링 브라켓이 수용되는 수용홈 및 지지턱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성형코어의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추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반멸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브라켓은 양측에 스프링이 구비되며, 성형코어가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체결홀 및 성형코어의 하측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추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반멸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브라켓에는 성형코어의 승하강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지지부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추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반멸에 있어서, 상기 성형코어는 언더컷부의 취출을 위한 취출부와, 승하강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가이드 홀더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스토퍼 및 성형코어(220)의 상단부가 언더컷부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추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성형코어를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해 강제로 복원시키면서 언더컷이 형성된 성형품의 취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성형코어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을 안정되고 신속하게 취출할 수 있고,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추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추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추출장치의 요부 확대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추출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추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추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추출장치의 요부 확대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어 추출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어 추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은 고정금형(110)과 받침판(120) 사이에 구성되며, 성형품의 취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밀핀(150)이 설치되는 밀판(140)과, 고정금형(110)의 하측부에 구성되어 성형품의 언더컷부 취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언더컷 취출장치(200)가 설치되는 가이드 금형(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가이드 금형(130)에는 밀핀(150)의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이 밀핀(150)이 관통하는 핀 관통홀(131)이 형성되고, 이 핀 관통홀(131)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어 언더컷 취출장치(200)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부(134)가 형성된다.
설치부(134)는 언더컷 취출장치(200)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이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분으로, 언더컷 취출장치(200)의 가이드 홀더(230)를 고정시키는 고정홈(133)과, 가이드 홀더(230)의 하단부 및 스프링(240)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턱(135)과, 언더컷 취출장치(200)가 가이드 금형(130)에 수용시키는 수용홈(137), 지지턱(135)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성형코어(220)의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139)을 포함하는 것이다.
밀판(140)은 밀핀(150)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유압 실린더와 같은 외부 동력에 의해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밀핀(150)의 하단이 구성되며, 이 밀핀(150)의 일측으로 언더컷 취출장치(200)의 작동시 스프링 브라켓(210)과의 충돌을 방지하여 밀판(140) 및 언더컷 취출장치(200)의 안정적인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동홀(142)이 형성된다.
한편, 언더컷 취출장치(200)는 가이드 금형(130)의 수용홈(137)에 내장되는 스프링 브라켓(210), 스프링 브라켓(2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언더컷이 형성된 성형품의 취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성형코어(220), 성형코어(220)의 승하강 작동을 제어하는 가이드 홀더(230) 및 스프링 브라켓(210)의 외면에 구비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통해 성형코어(220)의 하강 작동을 지지하는 스프링(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프링 브라켓(210)은 양측에 스프링(240)이 구비되며, 이 스프링(24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하단 플랜지(212)가 형성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 형성되어 성형코어(220)의 하측 단부가 스프링 브라켓(210)과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수단(260)이 삽입되는 체결홀(214)과, 상측 단부에 함몰 형성되어 성형코어(220)의 하측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216)이 형성된다.
여기서, 체결수단(260)은 상단이 성형코어(220)와 체결되는 코어 체결부(262)가 형성되며, 이 코어 체결부(262)의 하측으로 형성되되, 코어 체결부(262)보다 큰 외주를 형성하여 체결홀(214)에 체결되는 브라켓 체결부(264)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스프링 브라켓(210)에는 하측 단부에 체결수단(260)의 브라켓 체결부(264)와 체결되며, 체결수단(260)의 머리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시(266)를 구비하여 성형코어(220)의 승하강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 성형코어(220)와 스프링 브라켓(210) 간의 체결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즉, 지지부시(266)는 상측 단부가 스프링 브라켓(210)의 하단 플랜지(212)와 밀착하며, 하측 단부가 체결수단(260)의 머리부를 지지하고,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브라켓 체결부(264)와 체결이 이루어짐에 따라 체결수단(260)과 스프링 브라켓(210)이 이중으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성형코어(22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성형코어(220)는 성형품에 형성된 언더컷부를 취출하는 구성요소로서, 스프링 브라켓(210)과 체결수단(260)에 의해 체결 고정되어 이 스프링 브라켓(210)의 작동에 따라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는 구성요소이다.
이와 같은 성형코어(220)는 하측 단부가 체결수단(260)의 코어 체결부(262)가 체결되는 체결부(222)가 형성되며, 상측부에는 언더컷부의 취출을 위한 취출부(224)가 형성된다. 또한, 성형코어(220)의 중간부 외주면에는 성형코어(220)의 승하강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가이드 홀더(230)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스토퍼(226)가 형성된다.
여기서, 취출부(224)는 복수의 테이퍼부를 형성하여 합성수지재의 성형품에 형성된 언더컷부와 성형코어(220)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더컷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스프링 브라켓(210)이 스프링(2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하향 이동이 이루어질 때, 언더컷부의 경사면을 따라 하향 이동하면서 언더컷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벌려 성형코어(220)의 상단부가 언더컷부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테이퍼부(227)가 형성된다.
가이드 홀더(230)는 가이드 금형(130)의 고정홈(133)에 고정되며, 하단이 지지턱(115)에 의해 지지되어 성형코어(2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토퍼(226)와 접촉하여 성형코어(220)의 작동 범위를 제한함과 동시에 접촉시 발생하는 충돌하중을 흡수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가이드 홀더(230)는 성형코어(220)의 하향 이동 범위를 제한함에 따라 스프링(240)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이동하는 스프링 브라켓(210)의 이동 범위 역시 제한함으로써, 스프링 브라켓(210)과 밀판(140) 간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코어 추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 성형에 의한 언더컷부가 형성된 사출품의 성형이 완료되면, 유압 실린더와 같은 외부 동력에 의해 밀판(140)과, 스프링 브라켓(210)이 동시에 상향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 브라켓(2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40)의 압축량에 따라 그 이동 범위가 결정되며, 스프링(240)의 압축이 완료되면, 성형코어(220)의 승강 작동 역시 정지된다.
하지만, 밀판(140)은 외부 동력에 의해 승강 작동이 계속 이루어지면서 밀핀(150)을 상승시키며,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스프링 브라켓(210)이 하향 이동함과 동시에 이 스프링 브라켓(210)과 고정되는 성형코어(220) 역시 하향 이동하게 된다.
이때, 성형코어(220)의 상부에 형성된 테이퍼부(227)에 의해 언더컷부를 좌우 양측으로 벌려 취출부(224)가 언더컷부로부터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성형품의 취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성형코어(220)는 중간부 외주면에 형성된 스토퍼(226)가 가이드 홀더(230)와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하향 이동하는 스프링 브라켓(210)을 정지시켜 계속적으로 상승하는 밀판(140)과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성형코어를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해 강제로 복원시키면서 언더컷이 형성된 성형품의 취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성형코어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을 안정되고 신속하게 취출할 수 있고,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고정금형 120: 받침판
130: 가이드 금형 140: 밀판
150: 밀핀 200: 언더컷 취출장치
210: 스프링 브라켓 220: 성형코어
222: 체결부 224: 취출부
226: 스토퍼 227: 테이퍼부
230: 가이드 홀더 240: 스프링

Claims (3)

  1. 성형품의 취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밀핀이 설치된 밀판; 상기 밀핀이 관통하고, 언더컷 취출장치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부가 형성된 가이드 금형;을 포함하는 코어 추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 취출장치는
    가이드 금형에 내장되며, 외주면에 구비되는 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하단 플랜지가 형성되고, 성형코어의 하측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하측으로 관통 형성되어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스프링 브라켓과,
    상기 스프링 브라켓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 브라켓의 작동에 따라 승하강하면서 성형품의 언더컷부 취출이 이루어지도록 언더컷부의 취출을 위한 취출부와, 성형코어의 승하강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및 상단부가 언더컷부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된 성형코어와,
    상기 성형코어가 관통하여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가이드 금형에 고정되며, 상단이 상기 스토퍼와 접촉하면서 상기 성형코어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스프링 브라켓과 밀판 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가이드 홀더와,
    상기 스프링 브라켓의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성형코어를 상기 스프링 브라켓에 체결하는 체결수단과,
    상기 체결수단의 머리부를 지지하며, 체결수단과 스프링 브라켓이 이중으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성형코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성형코어와 스프링 브라켓 간의 체결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추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가이드 홀더를 고정시키는 고정홈과, 상기 가이드 홀더의 하단부 및 스프링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턱과, 상기 스프링 브라켓이 수용되는 수용홈, 및 상기 지지턱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성형코어의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추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단이 상기 성형코어와 체결되는 코어 체결부가 형성되며, 이 코어 체결부의 하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는 브라켓 체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추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
KR1020150034633A 2015-03-12 2015-03-12 코어 추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 KR101522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633A KR101522938B1 (ko) 2015-03-12 2015-03-12 코어 추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633A KR101522938B1 (ko) 2015-03-12 2015-03-12 코어 추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1248 Division 2013-09-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157A KR20150034157A (ko) 2015-04-02
KR101522938B1 true KR101522938B1 (ko) 2015-05-28

Family

ID=5303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633A KR101522938B1 (ko) 2015-03-12 2015-03-12 코어 추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9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041A (ko) 2016-09-30 2018-04-09 한연수 금형의 코어가이드봉 후단부 절삭가공을 위한 고정장치
KR20180039902A (ko) 2016-10-11 2018-04-19 한연수 금형의 코어가이드봉 후단부 절삭가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8407A (zh) * 2019-12-24 2020-04-10 安徽省明光市爱福电子有限公司 一种继电器线圈骨架注塑模具
CN111570761B (zh) * 2020-06-22 2021-10-26 湛江德利车辆部件有限公司 一种压铸模抽芯机构
CN114434737A (zh) * 2021-12-27 2022-05-06 苏州爱福特精密模具有限公司 罩壳塑件内环形栅格成型结构
CN115319971A (zh) * 2022-10-13 2022-11-11 宁波臻至机械模具有限公司 一种抽芯机构以及模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996Y1 (ko) * 1986-12-30 1990-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출 금형의 밀판 후진 장치
KR950004243Y1 (ko) * 1992-03-17 1995-05-24 홍종선 사출금형의 성형제품 추출(eject)장치
JP2002210787A (ja) * 2001-01-19 2002-07-30 Citizen Electronics Co Ltd 射出成形金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996Y1 (ko) * 1986-12-30 1990-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출 금형의 밀판 후진 장치
KR950004243Y1 (ko) * 1992-03-17 1995-05-24 홍종선 사출금형의 성형제품 추출(eject)장치
JP2002210787A (ja) * 2001-01-19 2002-07-30 Citizen Electronics Co Ltd 射出成形金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041A (ko) 2016-09-30 2018-04-09 한연수 금형의 코어가이드봉 후단부 절삭가공을 위한 고정장치
KR20180039902A (ko) 2016-10-11 2018-04-19 한연수 금형의 코어가이드봉 후단부 절삭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157A (ko) 2015-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2938B1 (ko) 코어 추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
US10328486B2 (en) Automatically-returning mold ejection device and casting mold comprising the same
KR101183171B1 (ko)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KR102281139B1 (ko) 사이드 게이트 자동절단장치를 구비한 사출금형
CN102962966A (zh) 一种塑胶模具的自动切断浇口结构
KR101629671B1 (ko) 사출금형
KR101626509B1 (ko) 탠덤 성형장치의 잠금장치
KR100988328B1 (ko) 사출금형의 밀핀장치
CN216579032U (zh) 一种用于注塑模浇口的切断装置
KR101522937B1 (ko) 2단 취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
KR100622599B1 (ko) 사출성형기의 기계식 안전장치
KR101156196B1 (ko) 사출 금형장치
JP4799128B2 (ja) 樹脂成形用金型および樹脂成形方法
KR20160062467A (ko) 사출금형의 인서트물 고정핀장치
KR20090073851A (ko) 금형조립체
CN108058342A (zh) 一种注塑机脱模机
US9776236B2 (en) Center hole forming method and forging device
KR101811555B1 (ko) 압축 성형품의 버 제거장치
KR20050064973A (ko) 슬라이드캠을 이용한 사출 성형장치
KR20180014025A (ko) 사출 성형기
KR100722446B1 (ko) 사출성형 금형의 가변코어
CN108162365B (zh) 塑料中空成型机摆杆联动式升降机构的双重合模保护装置
CN104669560A (zh) 一种延时脱模模具及脱模方法
KR20120001855U (ko) 슬라이드 코어 장치
CN102310139B (zh) 一种开卷落料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